KR20240055858A - 약물 전달 장치용 회전자 - Google Patents

약물 전달 장치용 회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5858A
KR20240055858A KR1020247012265A KR20247012265A KR20240055858A KR 20240055858 A KR20240055858 A KR 20240055858A KR 1020247012265 A KR1020247012265 A KR 1020247012265A KR 20247012265 A KR20247012265 A KR 20247012265A KR 20240055858 A KR20240055858 A KR 20240055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delivery
path
rotor
delivery device
t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2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스카 알렉산더슨
요한 잔더
다니엘 칼손
Original Assignee
에스에이치엘 메디컬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이치엘 메디컬 아게 filed Critical 에스에이치엘 메디컬 아게
Publication of KR20240055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585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5/2033Spring-loaded one-shot injectors with or without automatic needle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06Having specific accessories
    • A61M2005/2013Having specific accessories triggering of discharging means by contact of injector with patient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73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preventing premature release, e.g. by making use of a safety lock
    • A61M2005/208Release is possible only when device is pushed against the skin, e.g. using a trigger which is blocked or inactive when the device is not pushed against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6Fully automatic sleeve extens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sleeve does not require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 A61M2005/3267Biased sleeves where the needle is uncovered by insertion of the needle into a patient's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물 전달 장치용 회전자에 관한 것이며, 상기 회전자는 축에 대해 축 방향으로 그리고 축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까지 연장되는 관형 본체와, 관형 본체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릿지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릿지는 관형 본체의 표면에 트랙을 규정하며, 트랙은 트랙의 원위 단부로부터 트랙의 근위 단부까지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트랙은 제 1 경로, 및 제 1 경로에 연결된 제 2 경로를 포함하고, 제 1 경로는 트랙의 근위 단부에 있고, 제 2 경로는 트랙의 원위 단부에 있다. 제 1 경로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2개의 섹션을 포함한다. 2개의 섹션 중 제 1 섹션은 하나 이상의 릿지의 부분에 의해 원위 방향으로 범위가 정해지고, 2개의 섹션 중 제 2 섹션은 제 2 섹션의 원위 단부에서 제 2 경로에 연결된다. 대응하는 약물 전달 장치 및 방법이 또한 설명된다.

Description

약물 전달 장치용 회전자
본 발명은 약물 전달 장치, 특히 약물 전달 장치용 회전자에 관한 것이다.
국제 공개 팜플렛 제 WO 2011/123024 호에 기술된 것과 같은 약물 전달 장치는 견고성, 단순성 및 유용성과 같은 특성의 조합으로 인해 이미 상업적으로 매우 성공적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출원인은 국제 공개 팜플렛 제 WO 2011/123024 호에 설명된 것과 같은 약물 전달 장치의 회전자를 개선할 수 있는 추가 범위가 있음을 인식했다.
본 발명은 이제 참조되어야 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본 개시에서, "원위 방향"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 이는 약물 전달 장치의 사용 중에 용량 전달 부위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원위 부분/단부"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 이는 약물 전달 장치의 사용 시 투여량 전달 부위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되는 전달 장치의 부분/단부, 또는 그 부재의 부분들/단부들을 의미한다. 대응하게, "근위 방향"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 이는 약물 전달 장치의 사용 중에 투여량 전달 부위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근위 부분/단부"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 이는 약물 전달 장치의 사용 시 투여량 전달 부위에 가장 가깝게 위치되는 전달 장치의 부분/단부, 또는 그 부재의 부분들/단부들을 의미한다.
또한, 용어 "길이방향", "길이방향으로", "축방향으로" 또는 "축방향"은 일반적으로 장치 및/또는 구성요소의 가장 긴 연장부의 방향으로 장치 또는 그 구성요소를 따라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까지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유사하게, "횡방향", "횡방향의" 및 "횡방향으로"라는 용어는 길이 방향에 일반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지칭한다.
일 양태는 약물 전달 장치용 회전자에 관한 것이며, 축에 대해 축 방향으로 그리고 축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까지 연장되는 관형 본체; 및 상기 관형 본체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릿지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릿지는 상기 관형 본체의 표면에 트랙을 규정하며, 상기 트랙은 트랙의 원위 단부로부터 트랙의 근위 단부까지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트랙은 제 1 경로, 및 제 1 경로에 연결된 제 2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경로는 트랙의 근위 단부에 있고, 상기 제 2 경로는 트랙의 원위 단부에 있으며, 상기 제 1 경로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2개의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섹션 중 제 1 섹션은 하나 이상의 릿지의 부분에 의해 원위 방향으로 범위가 정해지고, 상기 2개의 섹션 중 제 2 섹션은 제 2 섹션의 원위 단부에서 제 2 경로에 연결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릿지의 부분에 의해 원위 방향으로 2개의 섹션 중 제 1 섹션의 경계를 정하면 회전자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의 약물 전달 부재 가드의 돌출부가 제 1 경로의 제 1 섹션으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릿지는 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돌출부는 제 1 경로의 제 1 섹션과 제 1 경로의 제 2 섹션 사이에서 연장된다. 이는 약물 전달 부재 가드의 돌출부가 실수로 제 1 경로의 제 1 섹션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릿지의 부분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릿지 부분은 축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릿지 부분의 근위 면은 곡선이다. 이는 돌출부가 제 1 경로의 제 1 부분으로부터 제 1 경로의 제 2 부분까지 이동할 때(예를 들어, 캡이 회전자를 포함하는 장치에서 제거될 때) 약물 전달 부재 가드의 돌출부를 안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릿지(30)의 부분은 제 1 부분이다. 이 부분은 약물 전달 부재 가드의 돌출부가 이 부분으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릿지는 제 1 부분의 근위에 배열된 제 2 부분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 2 부분은 축에 대해 각을 이루고 있다. 선택적으로, 제 2 부분은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까지 연장되고, 제 2 부분의 근위 단부는 제 1 경로의 제 2 섹션에 인접해 있다. 선택적으로, 제 2 부분은 선형이다.
선택적으로, 제 1 경로는 제 3 섹션을 포함하고, 제 3 섹션은 제 2 경로에 인접하고, 제 3 섹션은 제 2 섹션을 제 2 경로에 연결한다. 선택적으로, 제 3 섹션은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까지 연장되고, 제 3 섹션의 원위 단부를 향해 폭이 감소한다.
선택적으로, 회전자는 제 2 경로에 연결된 제 3 경로를 포함하며, 제 3 경로는 트랙의 근위 단부에 있다. 선택적으로, 제 1 경로와 제 3 경로는 하나 이상의 릿지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분리된다.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릿지는 회전자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된다.
다른 양태는 전술한 바와 같은 회전자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약물 전달 장치는 자동주사기이다. 선택적으로, 약물 전달 장치는 약물 전달 부재 가드를 포함하고, 약물 전달 부재 가드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돌출부는 회전자의 트랙 내에 있다. 선택적으로, 돌출부는 장치 활성화 전에는 제 1 경로의 제 1 부분에, 장치 활성화 후에는 제 1 경로의 제 2 부분에, 그리고 약물 전달 동안에는 제 2 경로에 있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돌출부는 약물 전달 후에 제 3 경로에 있도록 구성된다.
다른 양태는 약물 전달 장치용 회전자에 관한 것이며, 회전자는 약물 전달 부재 가드의 돌출부를 안내하기 위한 트랙을 포함하고, 트랙은 약물 전달 장치 활성화 이전에 원위 방향으로 약물 전달 부재 가드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원위 방향으로 경계가 정해지는 섹션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는 약물 전달 장치를 활성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약물 전달 장치의 약물 전달 부재 가드가 약물 전달 장치의 하우징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약물 전달 장치로부터 캡을 제거하고, 이에 의해 약물 전달 장치의 회전자를 잠금 위치로부터 활성화 위치까지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청구범위에 사용된 모든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달리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 분야에서의 일반적인 의미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a/an/요소, 장치, 부재, 구성요소, 수단 등에 대한 모든 언급은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부재, 장치, 구성요소, 수단 등의 적어도 하나의 사례를 언급하는 것으로 공개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제 본 발명 개념의 특정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설명한다.
도 1은 예시적인 회전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회전자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회전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다른 예시적인 회전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3의 회전자의 추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회전자의 트랙의 다른 실시예의 단순화된 선도를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상이한 사전-주입 위치에 약물 전달 부재 가드의 돌출부를 갖는 도 1의 회전자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1 내지 도 13은 각각 캡 제거 이전, 도중 및 이후의 약물 전달 장치의 전방 부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 내지 10에 도시된 회전자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하우징, 캡 및 약물 전달 부재 가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는 약물 전달 장치용 회전자(10)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회전자(10)는 축 방향(20)으로 근위 단부(14)로부터 원위 단부(16)까지 연장되는 관형 본체(12)를 포함한다. 릿지(30)는 관형 본체(12)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고, 릿지(30)는 관형 본체(12)의 표면 상의 트랙(래비린스)(32)을 정의하며, 트랙(32)은 트랙(32)의 원위 단부로부터 트랙(32)의 근위 단부까지 축 방향(20)으로 연장된다. 트랙(32)은 트랙(32)의 원위 단부에 하나의 경로(36)와 트랙(32)의 근위 단부에 2개의 경로(36)를 포함한다. 경로의 전형적인 형상은 도 6에 도시된 다른 유사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트랙(32)의 근위 단부의 2개의 경로(34, 38)는 릿지(30)의 부분에 의해 분리된다.
선택적인 텅(50)이 도 1 및 도 2의 트랙(32)의 표면의 개구부(49)에 또한 도시되어 있다. 텅(50)의 구조와 목적은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트랙(32)은 제 1 섹션, 제 2 섹션 및 제 3 섹션을 포함하는 제 1 경로를 포함한다. 제 1 섹션은 원주 방향의 한 측면에서 제 2 섹션에 인접해 있다(이것은 회전자가 다른 약물 전달 구성요소에 대해 회전하도록 설계되는 방식에 따라 어느 한 측면일 수 있음). 제 1 섹션의 원위 단부에서, 릿지 부분(70)이 제 1 섹션을 한정한다.
도 4는 위에서 설명한 회전자에 대해 도 3에 도시된 관점과 유사한 관점에서 대안적인 회전자를 도시한다. 도 3의 회전자는 곡선형(보다 구체적으로, 릿지 부분(70)의 근위 면이 곡선을 이룸)인 릿지 부분(70)을 포함하고, 릿지는 또한 제 1 경로의 제 1 섹션과 제 1 경로의 제 2 섹션 사이에서 회전자의 근위 단부를 향해 트랙 내로 연장되는 돌출부(71)를 포함하며; 이러한 돌출부는 릿지 부분(70) 및 릿지 부분(80)에 인접해 있다. 이러한 돌출부는 우발적인 활성화를 더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도 4의 대안적인 회전자는 선형인 릿지 부분(70)을 포함한다. 릿지 부분(70)은 또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으며, 특히 돌출부(71)가 우발적인 활성화를 방지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제공될 때 더욱 그러하다. 릿지 부분(70)은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축(22)에 수직일 수 있다(릿지 부분(70)이 선형인 경우).
제 1 경로의 제 1 섹션은 일 측면의 제 1 경로의 제 2 섹션에 의해 그리고 다른 측면의 릿지 부분(72)에 의해 범위가 정해지고, 릿지 부분(72)은 축 방향(20)에서 돌출부(71)와 릿지 부분(73) 사이에서 연장된다. 선택적인 릿지 부분(73)은 선형이고, 축 방향과 원주 방향 모두에 대해 일정 각도로 연장되며, 릿지 부분(73)의 근위 단부는 릿지 부분(73)의 원위 단부보다 제 1 경로의 제 2 섹션에 더 가깝다(이 경우 인접한다). 예를 들어, 축에 대한 릿지 부분(73)의 각도는 10도 내지 80도, 바람직하게 30도 내지 60도이다. 릿지 부분(73)은 약물 전달 부재 가드(니들 가드)를 제 1 경로의 제 1 섹션으로부터 제 1 경로의 제 2 섹션까지 안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릿지 부분(72)은 또한 선택적으로 릿지에 잔류하는 갭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릿지 부분(70)과 릿지 부분(73)은 예를 들어 함께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서, 도 1 및 도 2의 회전자(10)의 추가 도면을 볼 수 있다. 약물 전달 부재 가드(60)의 부분, 즉 트랙(32)에 도시된 약물 전달 부재 가드(60)의 돌출부(61)가 또한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장치 조립이 완료된 후의 상대 위치를 도시한다. 도 8은 장치의 활성화(예를 들어, 캡을 벗겨 활성화)하는 동안의 상대적 위치를 도시한다. 도 9는 활성화가 완료된 후이지만 약물 전달(주입)을 위한 장치의 사용이 시작되기 전의 상대 위치를 도시한다. 도 10은 장치를 떨어뜨린 경우(예를 들어, 장치의 원위 단부가 바닥에 충격을 가하면서 떨어뜨려 약물 전달 부재 가드를 회전자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밀어내는 경우) 활성화 전의 상대 위치를 도시한다.
도 7에서, 조립된 약물 전달 장치의 회전자(10) 내에서 돌출부(61)의 위치를 볼 수 있는데, 즉 장치의 사용 이전을 볼 수 있다. 돌출부는 제 1 경로의 제 1 부분에 있다(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의 초기 위치와 동일하다).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서, 돌출부(61)는 릿지 부분(70)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릿지 부분(73)과 접촉한다(이것은 선택사항이며, 돌출부(61)는 릿지 부분(70) 및 릿지 부분(73) 중 어느 것과도 접촉하지 않거나, 릿지 부분(70) 및 릿지 부분(73) 중 하나 또는 양자와 접촉할 수 있다). 장치를 활성화하는 동안(이 경우 캡을 제거하여), 약물 전달 부재 가드는 회전자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8은 활성화 동안의 중간 위치를 도시하고, 도 9는 활성화 후의 위치를 도시한다(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의 중간 위치(62)와 동일하다). 도 10은 약물 전달 부재 가드가 떨어지는 장치의 충격에 의해 원위 방향으로 밀린 후 릿지 부분(70)에 충돌하여 릿지 부분(70)이 장치의 조기 활성화를 중단시키는 것을 도시한다.
완성된 약물 전달 장치에서 릿지 부분(70)과 돌출부(61) 사이에 갭이 있는 것은 선택사항이다. 그러나, 이러한 갭은 예를 들어 덜 엄격한 허용오차 여유를 허용할 수 있으므로 유익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돌출부(61)를 제 1 경로의 제 1 섹션으로부터 제 1 경로의 제 2 섹션까지 이동시키기 위해 약물 전달 부재 가드가 회전자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하나의 방식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선택적인 캡(90), 하우징(100) 및 약물 전달 부재 가드(60)가 도시되어 있으며, 캡의 약물 전달 부재 쉴드 제거기(니들 쉴드 제거기)와 같은 몇몇 다른 가능한 구성요소는 단순화를 위해 도시되지 않았다.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회전자에 대해 축 방향으로 고정되어, 축 방향에서 하우징에 대한 약물 전달 부재 가드의 이동은 회전자에 대한 약물 전달 부재 가드의 이동과 동일하다. 도 11에서, 조립된 약물 전달 장치에서 캡(90), 하우징(100) 및 약물 전달 부재 가드(60)의 서로에 대한 위치가 장치 사용 전 도시되어 있다. 캡의 리브(92)는 캡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축을 향해 연장된다. 리브(92)는 약물 전달 부재 가드의 외부 표면 상의 대응 홈(66) 내로 연장된다. 결과적으로, 캡이 하우징(100)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당겨질 때, 캡은 약물 전달 부재 가드를 근위 방향으로 도 12에 도시된 위치로 끌어당겨, 약물 전달 부재 가드의 돌출부(61)를 도 7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9에 도시된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일단 약물 전달 부재 가드가 장치 내에서 허용된 한계에 도달하면(예를 들어 하우징의 특징 및/또는 회전자의 특징에 의해 하우징/회전자에 대한 추가 근위 이동이 차단되기 때문에), 근위 방향으로 캡을 계속 당기면 리브(92)와 홈(66)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제공되는 저항이 극복되어, 캡이 장치에서 당겨진다(도 13 참조).
약물 전달 부재 가드를 회전자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다양한 상이한 접근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리브(92)와 홈(66) 대신에 돌출부와 리세스가 대신 제공될 수 있다. 리브/돌출부는 캡 대신 약물 전달 부재 가드 상에 있을 수 있고, 홈/리세스는 약물 전달 부재 가드 대신 캡 상에 있을 수 있다. 다수의 리브/돌출부 및/또는 홈/리세스가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마찰 끼워맞춤과 같은 다른 접근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회전자는 일반적으로 자동주사기와 같은 약물 전달 장치의 독립형 구성 요소이다. 회전자가 사용될 수 있는 약물 전달 장치 유형의 예는 국제 공개 팜플렛 제 WO 2011/123024 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는 특히 도 1 및 도 2와 대응하는 설명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간략하게, 회전자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는 하우징(예를 들어, 외부 하우징), 약물 전달 부재 가드 및 회전자를 포함할 것이다. 회전자는 약물 전달 장치를 사용하는 동안 하우징 내에서 회전방향으로(원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약물 전달 부재 가드는 약물 전달 장치를 사용하는 동안 하우징 내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우징에 대한 회전자의 축방향 이동은 제한된다. 전형적으로, 하우징에 대한 약물 전달 부재 가드의 회전 이동은 제한될 것이다. 약물 전달 장치는 또한 전형적으로 하우징 내부에 파워팩을 포함하고, 파워팩은 회전자 및 플런저 로드와, 외부 하우징 내의 약물 배럴과, 캡을 포함한다. 약물 배럴은 전형적으로 약물 용기와, 니들과 같은 약물 전달 부재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트 인젝터와 같은 다른 약물 전달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4는 위에 주어진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약물 전달 부재 가드(60), 캡(90) 및 하우징(100)의 예를 도시한다. 하우징은 관형(이 경우 원통형)이지만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약물 전달 부재 가드(60)의 돌출부(61) 및 홈(66)을 볼 수 있다. 약물 전달 부재 가드는 관형 본체(69)(이 경우에 원통형임)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원위방향으로 연장 아암(68)을 포함하며, 각 아암의 원위 단부에 돌출부(61)를 갖지만(돌출부 중 하나만 보임), 약물 전달 부재 가드(60)는 예를 들어 2개의 아암 대신 1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아암을 갖는 상이한 형상 또는 구조일 수 있다. 캡의 리브형 외부 표면 및 하우징의 윈도우를 포함한 다양한 기타 옵션 기능도 볼 수 있다.
회전자(10)와 약물 전달 부재 가드(60)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에서, 회전자(10)와 약물 전달 부재 가드(60)는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약물 전달 부재 가드에 대한 회전자의 일반적인 이동을 이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6은 다른 예시적인 트랙(32)의 단순화된 도면을 도시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트랙(32)은 3개의 별개의 경로, 즉 도 3에 점선으로 별개로 도시된 제 1 경로(34), 제 2 경로(36) 및 제 3 경로(38)의 다음의 조합으로 생각될 수 있다. 전이 부분(35)은 제 1 경로(34)의 일부인 것으로 간주된다. 잠금 부분(33) 또한 제 1 경로(34)의 일부인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제 1 경로는 3개의 부분, 즉 제 1 섹션(잠금 부분(33))(위에서 더 자세히 설명됨), 제 2 섹션 또는 주요 부분, 및 제 3 섹션(전이 부분(35))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3 경로(34, 38)는 전형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트랙의 근위 단부에 있는 2개의 경로에 대응하고, 제 2 경로는 전형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트랙의 원위 단부에 있는 경로에 대응한다. 돌출부(61)는 트랙/경로를 '추종하는' 것으로 설명될 것이며, 이는 실제로 돌출부가 릿지(30)에 의해 트랙/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한되고, 결과적으로 트랙에서 관형 본체의 표면에 닿거나 근처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이 부분(35)은 제 1 경로의 폭이 원주 방향으로 좁아지는 부분이며, 전이 부분의 폭은 회전자의 원위 단부를 향할수록 테이퍼링(감소)된다. 이러한 전이 부분은 돌출부(61)를 안내하도록 설계되고, 약물 전달 부재 가드가 회전자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이동할 때 회전자의 회전을 초래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이 부분이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 더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약물 전달 부재 가드(60)의 돌출부(61)는 조립되어 사용되지 않은 약물 전달 장치에서 도 6에 도시된 위치에 초기에 있을 것이다. 다음에, 캡을 제거하는 동안 돌출부가 위치(62)로 이동한다. 이후에 약물 전달 장치를 사용하여 주사가 수행될 때, 약물 전달 부재 가드는 장치의 다른 부분에 대해(예를 들어 회전자에 대해 그리고 외부 하우징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이동한다. 환언하면, 약물 수용자에 대해, 약물 전달 부재 가드는 약물 전달 부재 가드의 근위 단부가 투여량 전달 부위에 대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반면, 장치의 다른 부분은 투여량 전달 부위를 향해 근위 방향으로 이동한다. 약물 전달 부재 가드가 회전자에 대해 이동할 때, 돌출부(61)도 회전자에 대해 이동하고, 먼저 제 1 경로(구체적으로 제 2 부분 및 제 3 부분)를 따라 그리고 다음에 제 2 경로를 따라 트랙을 추종하도록 트랙에 배열된다. 약물 전달 부재 가드는 일반적으로 약물 전달 장치의 다른 부품(예를 들어, 여기에서 예로서 사용될 외부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대략적으로 말하면, 돌출부는 주입 전에 제 1 경로에, 주입 동안 제 2 경로 경로에, 주입 후에 제 3 경로에 있지만, 정확한 전이 지점(주입 전에서 주입 동안 내지 주입 후까지) 동안 돌출부의 위치는 장치 설계 및 사용에 따라 다소 변화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전이는 돌출부가 제 1 경로로부터 제 2 경로까지 그리고 제 2 경로로부터 제 3 경로까지 이동할 때 반드시 정확하게 발생하지 않으며, 대신에 주입 완료는 일반적으로 돌출부가 여전히 제 2 경로에 있는 상태에서 이뤄진다. 보다 상세하게, 주사 직전에, 돌출부는 제 1 경로의 제 2 섹션에 있고, 제 1 경로에서 돌출부의 후속 이동 동안에, 약물 전달 부재 가드는 외부 하우징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회전자는 외부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어 유지된다.
돌출부가 전이 부분(35)에 들어가고 제 2 경로(36)로 전달됨에 따라, 약물 전달 부재 가드는 외부 하우징에 대해 축방향으로 계속 이동하고, 회전자도 외부 하우징 및 약물 전달 부재 가드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회전한다. 주입이 시작되는 지점은 일반적으로 전이 부분(35)에 및/또는 제 2 경로(36)에 돌출부가 있을 것이다. 돌출부는 선택적으로 주입이 시작되고 있다는 표시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약물 전달 장치의 다양한 부품의 정확한 상대 위치에 따라 주입이 시작하려는지, 시작 중인지, 또는 막 시작하였는지의 표시를 제공한다. 이는 예를 들어 돌출부와 상호 작용하는 텅(50)과 유사한 제 2 텅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실제 주입 동안, 약물 전달 부재 가드, 회전자 및 외부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서로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주입이 완료되면(일반적으로 약물 전달 장치 내의 다른 곳에서 생성된 종료 클릭에 의해 표시됨), 약물 전달 장치는 주입 부위에서 제거되고, 그 결과 약물 전달 부재 가드는 회전자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것이며, 외부 하우징은 초기 상대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돌출부는 제 2 경로를 따라 다시 제 3 경로(38)로 이동할 것이다. 주입 후 돌출부의 최종 위치는 일반적으로 점선으로 표시되고 도 6에서 참조 번호(63)로 표시된 위치 또는 그 근처일 것이다. 제 3 경로는 선택적이지만 유익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 3 경로는 약물 전달 부재 가드가 약물 전달 후에 약물 전달 부재를 커버하도록 다시 연장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고, 사용 후 약물 전달 부재 가드 잠금 장치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회전자(10)는 축(22)에 대해 축 방향(20)으로 그리고 축 주위의 원주 방향(24)으로 연장된다. 도면에서, 회전자는 원주 방향으로 축을 중심으로 완전히 연장되어, 축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회전자는 축을 중심으로 일부만 연장될 수도 있다. 회전자의 다양한 다른 구조적 특징이 실시예 에서 볼 수 있지만, 이러한 특징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발명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회전자는 하나의 일체형 피스로서 또는 함께 결합된 2개 이상의 피스로서 제조될 수 있다. 회전자는 축(22)에 대해 서로 반대편에 있는 2개의 트랙(2개의 래비린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예를 들어 도 5 참조), 1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트랙이 회전자에 제공될 수 있다.
릿지(30)는 하나의 단일 릿지일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서로 인접하거나 서로 이격된 2개 이상의 별개의 부분일 수 있다. 릿지 또는 릿지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회전자에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과 같은 추가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 1의 릿지는 2개의 별개 부분으로 간주될 수 있다(2개의 경로 사이의 하나의 직선 섹션과, 2개의 경로 주위로 연장되는 다른 더 큰 섹션). 도 1의 릿지는 일련의 직선 섹션으로 도시되지만, 도 1에 도시된 릿지의 특정 형상은 필수는 아니다: 예를 들어, 곡선 부분이 대신 사용될 수 있다. 트랙(32)은 회전자의 원위 단부로부터 회전자의 근위 단부까지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트랙은 또한 회전자의 원위 단부 및/또는 회전자의 근위 단부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본 출원에 기술된 트랙은 릿지를 경계로 돌출부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의 볼륨으로 간주될 수 있다. 트랙의 표면(트랙에 인접한 회전자의 표면)은 일반적으로 실제로 돌출부의 이동을 제한하지만, 이는 본 발명이 작동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완전한 약물 전달 장치 내에 조립될 때, 트랙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외부 하우징에 의해 트랙의 표면 반대편에 물리적으로 한정되어 있지만, 이것이 트랙 내에 돌출부를 유지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트랙의 원위 단부에 있는 경로는 일반적으로 트랙의 근위 단부에 있는 2개의 경로 중 단지 하나와 축 방향으로 정렬된다. 회전자의 이동 및 약물 전달 부재 가드의 이동에 대한 제한이 약물 전달 장치의 하우징의 특징과 같은 약물 전달 장치의 다른 특징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으므로 임의의 특정 릿지 부분은 일반적으로 선택적이다.
트랙의 표면의 개구부(49)는 텅(50)이 회전자의 나머지에 대해 이동할 수 있게 해준다. 트랙의 표면은 트랙의 형상을 형성하는 릿지 사이의 회전자의 표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트랙은 회전자의 외부 표면, 즉 축(22)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회전자의 표면에 있고, 돌출부(61)는 약물 전달 부재 가드로부터 반경 방향에서 축을 향해 연장된다. 대안적으로, 트랙은 회전자의 내부 표면에 있을 수 있으며, 돌출부는 약물 전달 부재 가드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텅(50)은 반경 방향으로 변형된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서, 텅은 예를 들어 텅의 형상, 트랙에서의 텅의 위치 및 돌출부의 형상에 따라 원주 방향 및/또는 축 방향으로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텅(50)은 트랙의 개구부(49)에 제공될 수 있다. 텅은 일반적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제 3 경로에 있을 것이다. 텅(50)은 돌출부(61)가 한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도록 설계되고 다른 방향으로는 움직일 수 없도록 설계되었다. 돌출부가 텅(50)을 지나면(돌출부가 텅의 위치보다 회전자의 근위 단부(14)에 더 가까운 위치의 제 3 경로(38)에 있도록), 돌출부는 텅이 차단될 때 원위 방향으로 다시 통과될 수 없다. 이는 사용 후 약물 전달 부재를 차폐하고 니들 찔림 부상과 같은 문제를 피할 수 있는 약물 전달 부재 가드 잠금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텅은 전형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데, 예를 들어 텅의 근위 단부로부터 텅의 원위 단부까지 연장되지만, 다른 방향으로도 연장될 수도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텅의 원위 단부는 회전자의 나머지에 부착되어 있으며, 근위 단부는 회전자의 나머지에 대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이 특정 솔루션 대신 다양한 대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위 단부는 원위 단부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회전자에 고정될 수 있거나, 텅은 원위 방향보다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텅(50)의 위치는 약물 전달 장치의 다른 부품의 형상 및 상대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이는 상이한 장치가 주입 동안 적절한 시간에 클릭(또는 주입의 종료시에 또는 주입의 종료 근방에 최종 클릭)을 제공하기 위해 다소 상이한 위치를 요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텅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는 상이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약물 전달 부재 가드는 도면의 실시예에 도시된 형상 이외의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는 돌출부(61)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돌출부의 원위 면은 곡선형(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대로 반원형)이고, 돌출부의 근위 면은 점의 양쪽에 2개의 선형 표면이 있는 뾰족한 모양이다(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돌출부의 원위 면이 릿지 부분(70)의 곡선 표면과 상호작용하고, 돌출부의 근위 면의 선형 면 중 하나가 릿지 부분(73)의 선형 표면과 상호 작용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하나의 대안은 도 6과 같이 원형 돌출부이다.
일반적으로, 약물 전달 부재 가드는 일부 종류의 블록이 제거될 때까지 완성된 약물 전달 장치의 회전자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차단(또는 적어도 제한)되며; 예를 들어 이러한 블록은 캡의 특징(상술한 리브(92) 및 홈(66), 또는 캡의 다른 부품)에 의해 제공될 수 있거나, 활성화 버튼과 같은 다른 약물 전달 장치 구성요소의 일부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블록이 제거되면, 약물 전달 부재 가드는 회전자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돌출부(61)를 제 1 경로의 제 1 섹션으로부터 제 1 경로의 제 2 섹션까지 이동시키기 위해 근위 방향으로 약물 전달 부재 가드를 이동시키기 위해 캡 제거를 사용하는 대신, 이는 다른 구성요소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거나, 사용자가 캡을 제거한 후 약물 전달 부재 가드를 당기는 것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다른 대안은, 예를 들어 약물 전달 부재 가드와 하우징 사이에 배열된 약물 전달 부재 가드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캡이 제거된 후에 약물 전달 부재 가드를 하우징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밀어내는 것이다(이러한 동일한 스프링은 약물 전달 완료 후 약물 전달 부재 가드를 근위 방향으로 미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수정이 가능하며, 다음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게 발생할 수 있다.

Claims (15)

  1. 약물 전달 장치용 회전자(10)에 있어서,
    축(22)에 대해 축 방향(20)으로 그리고 축(22)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까지 연장되는 관형 본체(12); 및
    상기 관형 본체(12)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릿지(30)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릿지(30)는 상기 관형 본체(12)의 표면에 트랙(32)을 규정하며, 상기 트랙(32)은 트랙(32)의 원위 단부로부터 트랙(32)의 근위 단부까지 축 방향(20)으로 연장되며,
    상기 트랙(32)은 제 1 경로, 및 제 1 경로에 연결된 제 2 경로(36)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경로는 트랙(32)의 근위 단부에 있고, 상기 제 2 경로(36)는 트랙(32)의 원위 단부에 있으며,
    상기 제 1 경로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2개의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섹션 중 제 1 섹션(33)은 하나 이상의 릿지(30)의 부분(70)에 의해 원위 방향으로 범위가 정해지고, 상기 2개의 섹션 중 제 2 섹션(34)은 제 2 섹션(34)의 원위 단부에서 제 2 경로(36)에 연결되는
    약물 전달 장치용 회전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릿지(30)는 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71)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71)는 제 1 경로의 제 1 섹션(33)과 제 1 경로의 제 2 섹션 사이에서 연장되는
    약물 전달 장치용 회전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릿지(30)의 부분(70)은 원주 방향(24)으로 연장되는
    약물 전달 장치용 회전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릿지의 부분(70)은 축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약물 전달 장치용 회전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릿지(30)의 부분(70)의 근위 면은 곡선인
    약물 전달 장치용 회전자.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릿지(30)의 부분(70)은 제 1 부분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릿지(30)는 상기 제 1 부분의 근위에 배열된 제 2 부분(73)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용 회전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73)은 축(22)에 대해 각을 이루고 있는
    약물 전달 장치용 회전자.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73)은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 2 부분(73)의 근위 단부는 상기 제 1 경로의 제 2 섹션(34)에 인접해 있는
    약물 전달 장치용 회전자.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73)은 선형인
    약물 전달 장치용 회전자.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10)는 제 2 경로(36)에 연결된 제 3 경로(38)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경로(38)는 상기 트랙(32)의 근위 단부에 있는
    약물 전달 장치용 회전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로와 상기 제 3 경로(38)는 하나 이상의 릿지(3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분리되는
    약물 전달 장치용 회전자.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릿지(30)는 상기 회전자(10)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약물 전달 장치용 회전자.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의 회전자(10)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전달 장치는 약물 전달 부재 가드(60)를 포함하고, 상기 약물 전달 부재 가드는 돌출부(61)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61)는 상기 회전자(10)의 트랙(32) 내에 있는
    약물 전달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61)는 장치 활성화 전에는 제 1 경로의 제 1 섹션(33)에, 장치 활성화 후에는 제 1 경로의 제 2 섹션(34)에, 그리고 약물 전달 동안에는 제 2 경로(36)에 있도록 구성되는
    약물 전달 장치.
KR1020247012265A 2021-11-03 2022-10-21 약물 전달 장치용 회전자 KR202400558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206324 2021-11-03
EP21206324.2 2021-11-03
PCT/EP2022/079361 WO2023078698A1 (en) 2021-11-03 2022-10-21 Rotator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5858A true KR20240055858A (ko) 2024-04-29

Family

ID=78516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2265A KR20240055858A (ko) 2021-11-03 2022-10-21 약물 전달 장치용 회전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40055858A (ko)
CN (1) CN118103097A (ko)
WO (1) WO2023078698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84134A1 (en) * 2015-12-21 2017-06-28 Carebay Europe Ltd. Tubular rotator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and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comprising the same
EP3999149A1 (en) * 2019-07-18 2022-05-25 SHL Medical AG Support structure, medicament delivery device and method of assemblying
KR102637226B1 (ko) * 2019-11-08 2024-02-19 에스에이치엘 메디컬 아게 관형 회전자
JP7439259B2 (ja) * 2019-12-11 2024-02-27 エスエイチエル・メディカル・アーゲー 薬剤給送デバイ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103097A (zh) 2024-05-28
WO2023078698A1 (en)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65863B2 (ja) 制止された保護位置を有する針保護装置
JP6027984B2 (ja) 自動注射器
EP2750739B1 (en) Medical delivery device with an initial locked state, intermediate priming state and a medicament delivery state
RU255511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инъекции двух доз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вещества
JP6018089B2 (ja) 自動注射器
JP6139697B2 (ja) 薬剤送達装置
EP1888151B1 (en) Protection device for protecting an injection needle
JP6027985B2 (ja) 戻り止め機構
JP6054310B2 (ja) 自動注射器
TWI598123B (zh) 用於預充填注射器之安全裝置及注射裝置
JP6054311B2 (ja) 自動注射器
EP2654833B1 (en) Auto-injector
US9757523B2 (en) Selectable dose injection device
KR102118819B1 (ko) 약물 전달 장치를 위한 투여 메커니즘
JP2014508000A (ja) 自動注射器
JP2014507995A (ja) 注射デバイス
CN107635603B (zh) 用于自动注射器的驱动机构
CN109069745B (zh) 注射装置
US20230076974A1 (en) Safety needl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2021519669A (ja) メモリ要素を有する自動注入装置
TW201840345A (zh) 注入設備
US20140221924A1 (en) Needle safety device
US20220401649A1 (en) Medicament delivery device
KR20240055858A (ko) 약물 전달 장치용 회전자
CN109310829A (zh) 药剂输送装置的致动机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