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4418A -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통신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통신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4418A
KR20240054418A KR1020247012399A KR20247012399A KR20240054418A KR 20240054418 A KR20240054418 A KR 20240054418A KR 1020247012399 A KR1020247012399 A KR 1020247012399A KR 20247012399 A KR20247012399 A KR 20247012399A KR 20240054418 A KR20240054418 A KR 20240054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eld
physical layer
ppdu
layer preamble
s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2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밍 간
웨이 린
순 양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54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44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2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using repet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3Signal structure ensuring backward compatibility with legacy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1Use of interlea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04L27/20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04L27/20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04L27/2032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for discrete phase modulation, e.g. in which the phase of the carrier is modulated in a nominally instantaneous manner
    • H04L27/2053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for discrete phase modulation, e.g. in which the phase of the carrier is modulated in a nominally instantaneous manner using more than one carrier, e.g. carriers with different ph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6Acquisition of further OFDM parameters, e.g. bandwidth, subcarrier spacing, or guard interval 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405Modifications of the signal spac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mission, e.g. reduction of the bit error rate, bandwidth, or average power
    • H04L27/3444Modifications of the signal spac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mission, e.g. reduction of the bit error rate, bandwidth, or average power by applying a certain rotation to regular constell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 H04L47/62Queue scheduling characterised by scheduling criteria
    • H04L47/624Altering the ordering of packets in an individual que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3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physical layer [OSI layer 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방법은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을 생성하는 단계― 프리앰블은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과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을 포함하고,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반복 필드를 포함하고, 반복 필드는 주파수 영역에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의 미리 설정된 비 순차적 관계(preset out-of-order relationship)를 갖는 필드임 ―와, PPDU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 따르면, 차세대 802.11 표준에서 PPDU의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자동 검출이 구현된다.

Description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통신 디바이스{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DEVICE}
본 출원은 2018년 7월 6일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DEVICE"라는 제목의 중국 특허 출원 제2018107398728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이 특허 출원의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출원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통신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802.11 시리즈 표준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에 의해 정의되며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 널리 사용된다. 802.11 시리즈 표준에서의 주요 표준에는 802.11a, 802.11n, 802.11ac, 802.11ax 등이 포함된다.
차세대 802.11 표준은 또한 하위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고려하여 802.11ax 표준의 2.4GHz, 5GHz, 6GHz 주파수 대역과 같은 작동 스펙트럼을 지원한다. 채널 분할은 최근에 개방된 무료 6GHz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수행되며, 지원 가능한 대역폭은 5GHz 주파수 대역에서 지원하는 최대 대역폭 160MHz를 초과할 수 있는데, 예컨대, 240MHz, 320MHz 또는 400MHz일 수 있다. 초고대역폭을 지원하는 것 외에도, 차세대 802.11 표준은 또한 복수의 주파수 대역(2.4GHz, 5GHz 및 6GHz)의 조합을 지원하고 또한 공간 스트림의 수량을 16개로 늘리는 것과 같이 보다 많은 공간 스트을 지원할 수 있어서, 최대 처리량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차세대 802.11 표준에서 레거시의 Wi-Fi 디바이스와의 호환성을 고려하여,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HY protocol data unit, PPDU)의 프레임 구조는 일반적으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로 시작하고, 이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에 바로 이어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이 후속한다.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차세대 802.11 표준을 구현하기 위한 새로운 기능 표시, 예를 들어 초고대역폭에 대한 대역폭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802.11a 표준이 아닌 802.11 표준의 각 세대에서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정보를 전달하므로 수신단은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을 기반으로, 수신된 PPDU의 프레임 구조가 표준의 해당 세대에 따라 생성되는 PPDU의 프레임 구조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를 자동 검출이라고 한다. 자동 검출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의미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서, 수신단은 현재 세대의 표준에 기초하여 생성된 수신된 PPDU를 현재 세대의 표준에 기초하여 생성된 PPDU로 정확하게 판정하지만, 수신된 PPDU를 비 현재 세대 표준에 기초하여 생성된 PPDU로 판정하지 않는다. 다른 측면에서, 수신단은 비 현재 세대 표준에 기초하여 생성된 수신된 PPDU를 현재 세대 표준에 기초하여 생성된 PPDU로 판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802.11n 수신단이 802.11n PPDU를 수신하면, 802.11n 수신단은 수신된 PPDU를 802.11n PPDU로 정확하게 판정하고, 수신단이 802.11a PPDU를 수신하면 수신단은 수신된 PPDU를 802.11n PPDU로 판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차세대 802.11 표준의 PPDU의 물리 계층 프리앰블 설계에는 여전히 자동 검출 문제가 존재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차세대 802.11 표준의 PPDU의 물리 계층 프리앰블 설계에 여전히 존재하는 자동 검출의 현재 기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을 생성하는 단계― 프리앰블은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과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을 포함하고,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반복 필드를 포함하고, 반복 필드는 주파수 영역에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의 미리 설정된 비 순차적 관계(preset out-of-order relationship)를 갖는 필드임 ―와,
PPDU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해결책에서, 미리 설정된 비 순차적 관계는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반복 필드 사이에 존재하며, PPDU가 차세대 PPDU임을 자동으로 검출하기 위한 정보는 PPDU에서 전달된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심볼을 생성하기 위한 제1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는 인터리빙 프로세싱을 포함하고, 반복 필드의 OFDM 심볼을 생성하기 위한 제2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는 인터리빙 프로세싱을 포함하지 않는다.
전술한 해결책에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의 OFDM 심볼을 생성하기 위한 제1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는 인터리빙 프로세싱을 포함하고, 반복 필드의 OFDM 심볼을 생성하기 위한 제2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는 인터리빙 프로세싱을 포함하지 않아,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반복 필드 사이에 미리 설정된 비 순차적 관계가 존재한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제1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는 스크램블링 프로세싱을 포함하지 않고, 제2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는 스크램블링 프로세싱을 포함한다.
전술한 해결책에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의 OFDM 심볼을 생성하기 위한 제1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는 스크램블링 프로세싱을 포함하지 않으며, 반복 필드의 OFDM 심볼을 생성하기 위한 제2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는 스크램블링 프로세싱을 포함하여,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반복 필드 사이에 미리 설정된 비 순차적 관계가 존재한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제1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는 데이터 심볼에 대한 비 순차적 프로세싱을 포함하지 않고, 제2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는 데이터 심볼에 대한 비 순차적 프로세싱을 포함한다.
전술한 해결책에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의 OFDM 심볼을 생성하기 위한 제1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는 비 순차적 프로세싱을 포함하지 않고, 반복 필드의 OFDM 심볼을 생성하기 위한 제2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는 비 순차적 프로세싱을 포함하므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반복 필드 사이에 미리 설정된 비 순차적 관계가 존재한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비 순차적 프로세싱은 다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데이터 부반송파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에 대해 주기적 시프트를 수행하는 것, 홀수 및 짝수 데이터 부반송파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을 교환하는 것, 및 고주파 및 저주파 데이터 부반송파 서브세트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을 교환하는 것.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PSK) 모드는 제2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에서 성상점 매핑(constellation point mapping)을 위해 사용된다.
전술한 해결책에서, BPSK 모드는 제2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에서 성상점 매핑을 위해 사용된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경우를 피할 수 있다. 802.11n 수신단은 L-SIG에 후속하는 제1 OFDM 필드가 성상점 매핑을 위해 QBPSK 모드를 사용한다는 것에 기초하여, 차세대 PPDU가 HT PPDU인 것으로 판정하고 결과적으로 802.11n 수신단은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를 잘못 디코딩하는데, 예를 들어 802.11n 수신단은 순환 중복 검사를 수행하지 못하고 더 나아가 802.11n 수신단은 L-SIG의 길이 필드를 준수하지 않아 침묵 기간에 진입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이 동작은 전송중인 PPDU를 방해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복수의 수신단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고,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복수의 수신단의 일부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반복 필드에 대해 채널 인코더로 입력되는 비트는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에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에 대해 채널 인코더로 입력되는 비트와 동일하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는 레거시 신호 필드(L-SIG)이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반복 필드는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 또는 제2 필드이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반복 필드는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이고, 제1 필드 이외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임의의 필드는 성상점 매핑을 위해 회전 BPSK 모드를 사용한다.
전술한 해결책에서, 반복 필드는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이고, 제1 필드가 아닌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임의의 필드는 성상점 매핑을 위해 회전 BPSK 모드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반복 필드가 자동 검출 정보를 전달한다는 점에 기초하여, 자동 검출 정보는 또한 회전 BPSK 모드를 사용하여 전달된다. 이것은 수신단에서 PPDU를 결정하는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를 수신하는 단계―프리앰블은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 및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을 포함함 ―와,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이 반복 필드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반복 필드는 주파수 영역에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미리 설정된 비 순차적 관계를 갖는 필드임 ―와,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이 반복 필드를 포함하는 경우, PPDU가 타겟 PPDU라고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해결책에서,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이 반복 필드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반복 필드는 주파수 영역에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미리 설정된 비 순차적 관계를 갖는 필드이다.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이 반복 필드를 포함하는 경우, PPDU가 타겟 PPDU, 즉 차세대 PPDU인 것으로 판정된다. 이와 같이, 수신단은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반복 필드 사이의 미리 설정된 비 순차적 관계를 기반으로, PPDU가 차세대 PPDU인 것으로 판정한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이 반복 필드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1 정보와 제2 정보 간의 유사도를 판정하는 단계― 제1 정보는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에 대해 제1 디코딩 프로세싱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획득하고, 제2 정보는 반복 필드에 대해 제2 디코딩 프로세싱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획득됨 ―와,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면,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이 반복 필드를 포함한다고 판정하는 단계, 또는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으면,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이 반복 필드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제1 디코딩 프로세싱 절차는 디인터리빙 프로세싱을 포함하고, 제2 디코딩 프로세싱 절차는 디인터리빙 프로세싱을 포함하지 않고, 또는
제1 디코딩 프로세싱 절차는 디스크램블링 프로세싱을 포함하지 않고, 제2 디코딩 프로세싱 절차는 디스크램블링 프로세싱을 포함하고, 또는
제1 디코딩 프로세싱 절차는 데이터 심볼에 대한 비순차 해제 프로세싱(de-out-of-order processing)을 포함하지 않고, 제2 디코딩 프로세싱 절차는 데이터 심볼에 대한 비순차 해제 프로세싱을 포함한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데이터 심볼에 대한 비순차 해제 프로세싱은 다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데이터 부반송파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에 대해 주기적 시프트를 수행하는 것, 홀수 및 짝수 데이터 부반송파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을 교환하는 것, 및 고주파 및 저주파 데이터 부반송파 서브세트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을 교환하는 것.
제3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을 생성하는 단계― 프리앰블은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과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을 포함하고,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는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동일하고, 제1 필드 이외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임의의 필드는 성상점 매핑을 위해 회전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PSK) 모드를 사용함 ―와,
PPDU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해결책에서,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는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동일하고, 제1 필드 이외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임의의 필드는 성상점 매핑을 위해 회전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PSK) 모드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PPDU는 PPDU가 차세대 PPDU임을 자동으로 검출하기 위한 정보를 전달한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2 필드는 성상점 매핑을 위해 회전 BPSK 모드를 사용한다.
제4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를 수신하는 단계― 프리앰블은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 및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을 포함함 ―와,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가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동일한지, 그리고 제1 필드 이외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임의의 필드가 성상점 매핑을 위해 회전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PSK) 모드를 사용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가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같고, 제1 필드 이외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임의의 필드가 성상점 매핑을 위해 회전 BPSK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 PPDU는 타겟 PPDU인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해결책에서,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가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동일한지, 그리고 제1 필드 이외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임의의 필드가 성상점 매핑을 위해 회전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PSK) 모드를 사용하는지가 판정된다.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가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동일하고, 제1 필드 이외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임의의 필드가 성상점 매핑을 위해 회전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PSK)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 PPDU가 타겟 PPDU, 즉 차세대 PPDU인 것으로 판정된다. 이와 같이, 수신단은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반복 필드 사이의 미리 설정된 비 순차적 관계에 기초하여, PPDU가 차세대 PPDU인 것으로 결정한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제1 필드 이외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임의의 필드가 성상점 매핑을 위해 회전 BPSK 모드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은: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2 필드가 성상점 매핑을 위해 회전 BPSK 모드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5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을 생성하는 단계―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미리 설정된 필드를 포함하고, 미리 설정된 필드의 체크 비트는 데이터 부반송파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있고, 미리 설정된 위치는 PPDU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와,
PPDU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해결책에서,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미리 설정된 필드를 포함하고, 미리 설정된 필드의 체크 비트는 데이터 부반송파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있으며, 미리 설정된 위치는 PPDU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이와 같이, PPDU는 PPDU가 차세대 PPDU임을 자동으로 검출하기 위한 정보를 전달한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미리 설정된 위치는 데이터 부반송파의 시작 위치이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미리 설정된 필드는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 또는 제2 필드이다.
제6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을 수신하는 단계와,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의 체크 비트가 데이터 부반송파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위치는 PPDU가 타겟 PPDU임을 나타내는 데 사용됨 ―와,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의 체크 비트가 데이터 부반송파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있는 경우, PPDU가 타겟 PPDU인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해결책에서,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의 체크 비트가 데이터 부반송파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있는지 여부가 판정되고, 미리 설정된 위치는 PPDU가 타겟 PPDU임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의 체크 비트가 데이터 부반송파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있으면, PPDU가 타겟 PPDU, 즉 차세대 PPDU인 것으로 판정된다. 이와 같이, 수신단은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반복 필드 사이의 미리 설정된 비 순차적 관계를 기반으로 PPDU가 차세대 PPDU인 것으로 판정한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미리 설정된 위치는 데이터 부반송파의 시작 위치이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미리 설정된 필드는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 또는 제2 필드이다.
제7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송신단에 사용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이 통신 장치는: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유닛― 프리앰블은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과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을 포함하고,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반복 필드를 포함하고, 반복 필드는 주파수 영역에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미리 설정된 비 순차적 관계를 갖는 필드임 ―과,
PPDU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심볼을 생성하기 위한 제1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는 인터리빙 프로세싱을 포함하고, 반복 필드의 OFDM 심볼을 생성하기 위한 제2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는 인터리빙 프로세싱을 포함하지 않고, 또는
제1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는 스크램블링 프로세싱을 포함하지 않고, 제2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는 스크램블링 프로세싱을 포함하고, 또는
제1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는 데이터 심볼에 대한 비 순차적 프로세싱을 포함하지 않고, 제2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는 데이터 심볼에 대한 비 순차적 프로세싱을 포함한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비 순차적 프로세싱은 다음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한다.
데이터 부반송파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에 대해 주기적 시프트를 수행하는 것, 홀수 및 짝수 데이터 부반송파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을 교환하는 것, 및 고주파 및 저주파 데이터 부반송파 서브세트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을 교환하는 것.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PSK) 모드는 제2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에서 성상점 매핑을 위해 사용된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복수의 수신단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고,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복수의 수신단의 일부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반복 필드에 대해 채널 인코더로 입력되는 비트는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에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에 대해 채널 인코더로 입력되는 비트와 동일하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는 레거시 신호 필드(L-SIG)이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반복 필드는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 또는 제2 필드이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반복 필드는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이고, 제1 필드 이외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임의의 필드는 성상점 매핑을 위해 회전 BPSK 모드를 사용한다.
제7 측면에서 제공되는 통신 장치 및 제7 측면의 가능한 구현의 유익한 효과에 대해서는, 제1 측면 및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의 유익한 효과를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제8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수신단에 사용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이 통신 장치는: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프리앰블은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 및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을 포함함 ―과,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이 반복 필드― 반복 필드는 주파수 영역에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미리 설정된 비 순차적 관계를 갖는 필드임 ―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이 반복 필드를 포함하는 경우 PPDU가 타겟 PPDU인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 유닛을 포함한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판정 유닛은:
제1 정보와 제2 정보 사이의 유사도를 결정하고― 제1 정보는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에 대해 제1 디코딩 프로세싱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획득되고, 제2 정보는 반복 필드에 대해 제2 디코딩 프로세싱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획득됨 ―,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면,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이 반복 필드를 포함한다고 판정하고, 또는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으면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반복 필드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제1 디코딩 프로세싱 절차는 디인터리빙 프로세싱을 포함하고, 제2 디코딩 프로세싱 절차는 디인터리빙 프로세싱을 포함하지 않고, 또는
제1 디코딩 프로세싱 절차는 디스크램블링 프로세싱을 포함하지 않고, 제2 디코딩 프로세싱 절차는 디스크램블링 프로세싱을 포함하고, 또는
제1 디코딩 프로세싱 절차는 데이터 심볼에 대해 비순차 해제 프로세싱을 포함하지 않고, 제2 디코딩 프로세싱 절차는 데이터 심볼에 대해 비순차 해제 프로세싱을 포함한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데이터 심볼에 대한 비순차 해제 프로세싱은 다음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한다.
데이터 부반송파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에 대해 주기적 시프트를 수행하는 것, 홀수 및 짝수 데이터 부반송파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을 교환하는 것, 및 고주파 및 저주파 데이터 부반송파 서브세트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을 교환하는 것.
제8 측면에서 제공되는 통신 장치 및 제8 측면의 가능한 구현의 유익한 효과에 대해서는, 제2 측면 및 제2 측면의 가능한 구현의 유익한 효과를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제9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송신단에 사용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이 통신 장치는: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유닛― 프리앰블은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과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을 포함하고,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는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동일하고, 제1 필드 이외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임의의 필드는 성상점 매핑을 위해 회전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PSK) 모드를 사용함 ―과,
PPDU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2 필드는 성상점 매핑을 위해 회전 BPSK 모드를 사용한다.
제9 측면에서 제공되는 통신 장치 및 제9 측면의 가능한 구현의 유익한 효과에 대해서는, 제3 측면 및 제3 측면의 가능한 구현의 유익한 효과을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제10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수신단에 사용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이 통신 장치는: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프리앰블은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 및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을 포함함 ―과,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가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동일한지, 그리고 제1 필드 이외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임의의 필드가 성상점 매핑을 위한 회전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PSK) 모드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가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같고, 제1 필드 이외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임의의 필드가 성상점 매핑을 위해 회전 BPSK 모드를 사용한다면, PPDU는 타겟 PPDU인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 유닛을 포함한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판정 유닛은: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2 필드가 성상점 매핑을 위해 회전 BPSK 모드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10 측면에서 제공되는 통신 장치 및 제10 측면의 가능한 구현의 유익한 효과에 대해서는, 제4 측면 및 제4 측면의 가능한 구현의 유익한 효과를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제11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송신단에 사용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이 통신 장치는: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유닛―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미리 설정된 필드를 포함하고, 미리 설정된 필드의 체크 비트는 데이터 부반송파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있으며, 미리 설정된 위치는 PPDU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과,
PPDU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미리 설정된 위치는 데이터 부반송파의 시작 위치이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미리 설정된 필드는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 또는 제2 필드이다.
제11 측면에서 제공된 통신 장치 및 제11 측면의 가능한 구현의 유익한 효과에 대해서는, 제5 측면 및 제5 측면의 가능한 구현의 유익한 효과를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제12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수신단에 사용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이 통신 장치는: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과,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의 체크 비트가 데이터 부반송파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미리 설정된 위치는 PPDU가 타겟 PPDU임을 나타내는 데 사용됨 ―,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의 체크 비트가 데이터 부반송파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있는 경우 PPDU가 타겟 PPDU인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 유닛을 포함한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미리 설정된 위치는 데이터 부반송파의 시작 위치이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미리 설정된 필드는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 또는 제2 필드이다.
제12 측면에서 제공되는 통신 장치 및 제12 측면의 가능한 구현의 유익한 효과에 대해서는, 제6 측면 및 제6 측면의 가능한 구현의 유익한 효과를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제13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되,
프로세서는 통신 인터페이스의 송신 및 수신 동작을 제어하고,
메모리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제1 측면, 제3 측면 또는 제5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한다.
제14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되,
프로세서는 통신 인터페이스의 송신 및 수신 동작을 제어하고,
메모리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제2 측면, 제4 측면 또는 제6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한다.
제15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이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측면, 제3 측면 또는 제5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이 구현된다.
제16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한다.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프로그램(즉, 실행 가능한 명령어)을 포함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송신단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읽을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송신단은 제1 측면, 제3 측면, 또는 제5 측면에서 제공된 방법을 수행한다.
제17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2 측면, 제4 측면 또는 제6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이 구현된다.
제18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한다.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프로그램(즉, 실행 가능한 명령어)을 포함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수신단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읽을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수신단은 제2 측면, 제4 측면 또는 제6 측면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된 방법을 수행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AP 및 STA의 내부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a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802.11a PPDU의 프레임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b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HT PPDU의 프레임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c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VHT PPDU의 프레임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d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HT PPDU 및 VHT PPDU에 의한 자동 검출 정보를 전달하는 개략도이다.
도 3e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HE PPDU의 프레임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f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서명 필드를 포함하는 HE PPDU의 프레임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g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반복 HE-SIG A를 포함하는 HE PPDU의 프레임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h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EHT PPDU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a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EHT PPDU의 프레임 구조의 제1 개략도이다.
도 5b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도 5a에 도시된 CL-SIG를 얻는 제1 개략도이다.
도 5c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도 5a에 도시된 CL-SIG를 얻는 제2 개략도이다.
도 5d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도 5a에 도시된 CL-SIG를 얻는 제3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a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EHT PPDU의 프레임 구조의 제2 개략도이다.
도 7b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EHT PPDU의 프레임 구조의 제3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하드웨어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AP)가 있고 두 개의 기지국(STA)이 있는 예가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는 AP, STA 1 및 STA 2를 포함할 수 있다. AP는 STA 1 및 STA 2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되고, STA 1은 STA 2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며, AP는 더 나아가 또 다른 AP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법은 AP들 간의 통신, STA들 간의 통신, AP와 STA 간의 통신에 사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AP는 수신단 또는 송신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STA는 수신단 또는 송신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AP는 통신 서버, 라우터, 스위치, 브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STA는 컴퓨터, 휴대폰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 및 STA 각각의 내부 구조는 예를 들어 안테나, 무선(Radio) 주파수 모듈, 물리(PHY) 계층 베이스밴드 모듈,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계층 모듈, 로직 링크 제어(LLC) 모듈, 인터넷 프로토콜(IP) 프로세싱 모듈, 전송 제어 프로토콜/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TCP/UDP) 프로세싱 모듈 및 애플리케이션 계층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IP 모듈과 LLC 모듈은 상위 계층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안테나가 있을 수 있고, STA와 AP는 동일한 양의 안테나 또는 다른 양의 안테나를 가질 수 있다.
AP와 STA는 802.11 표준을 지원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802.11 표준은 주로 PHY 계층 및 MAC 계층과 관된다. 본 출원은 주로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와 관련된다.
구체적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PPDU(802.11a PPDU로 표시될 수 있음)의 프레임 구조는 802.11a 표준에 정의되어 있으며 데이터(Data) 및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 필드를 포함한다.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L-STF(legacy-short training field), L-LTF(legacy-long training field) 및 L-SIG(legacy signal field)를 포함한다.
또한, 802.11a 표준은 1세대 메인스트림 Wi-Fi 프로토콜이며, 802.11a PPDU의 PPDU 프레임 구조는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 및 데이터 필드만을 포함하고 다른 프리앰블 필드는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802.11a 표준을 따르는 PPDU는 PPDU가 802.11a PPDU임을 자동으로 검출하기 위한 정보를 전달하지 않는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a에 기초하여, 혼합 포맷(mixed format, MF) PPDU(고 처리량(high throughput, HT) PPDU 또는 802.11n PPDU로 표기될 수 있음)의 프레임 구조는 802.11n 표준에서 정의되고 후속하는 필드, 즉 데이터,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 및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을 포함한다.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높은 처리량 신호 필드(HT-SIG), 높은 처리량 짧은 트레이닝 필드(HT-STF) 및 높은 처리량 긴 트레이닝 필드(HT-LTF)를 포함한다. HT-SIG는 2개의 OFDM 심볼(Symbol)을 포함하고, 각 OFDM 심볼은 4 마이크로초(μs)의 지속기간을 갖는다.
HT PPDU와 802.11a PPDU 간을 구별하기 위해, 802.11n 표준을 따르는 PPDU는 PPDU가 HT PPDU임을 자동으로 검출하기 위한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802.11n HT-SIG에 포함된 2개의 OFDM 심볼 모두는 성상점 매핑을 위해 회전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QBPSK) 모드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QBPSK는 BPSK의 위상을 90도 회전시키는 것과 동일하므로 I 축에서 전달된 정보는 Q 축으로 이동된다. 802.11n 수신단은 Q 축 에너지와 I 축 에너지를 비교한다. 에너지 차이가 임계치보다 크면, 802.11n 수신단은 수신된 PPDU가 HT PPDU라고 판정하고, 또는 에너지 차이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 802.11n 수신단은 수신된 PPDU가 802.11a PPDU인 것으로 판정한다.
또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a에 기초하여, PPDU(매우 높은 처리량(VHT) PPDU 또는 802.11ac PPDU로 표시될 수 있음)의 프레임 구조는 802.11ac 표준에서 정의되며, 후속하는 필드, 즉 데이터,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 및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을 포함한다.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매우 높은 처리량 신호 필드 A(VHT-SIG A), 매우 높은 처리량의 짧은 트레이닝 필드(VHT-STF), 매우 높은 처리량의 긴 트레이닝 필드(VHT-LTF), 및 매우 높은 처리량 신호 필드 B(VHT-SIG B)를 포함한다. VHT-SIG-A(VHTSIGA로도 표시될 수 있음)는 2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각 심볼은 4μs의 지속기간을 갖는다.
VHT PPDU, HT PPDU 및 802.11a PPDU 간을 구별하기 위해, 802.11ac 표준을 따르는 PPDU는 PPDU가 VHT PPDU임을 자동으로 검출하기 위한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한다. 구체적으로, VHT-SIG-A의 제1 OFDM은 성상점 매핑을 위해 BPSK 모드를 사용하고, VHT-SIG-A의 제2 OFDM은 성상점 매핑을 위해 QBPSK 모드를 사용한다. 수신단은 VHT-SIG-A의 두 OFDM 심볼 각각의 Q 축 에너지와 I 축 에너지 사이의 에너지 차이를 결정한다. 제1 OFDM 심볼의 Q 축 에너지에서 I 축 에너지를 뺀 에너지 차이가 임계치 미만이고 제2 OFDM 심볼의 Q 축 에너지에서 I 축 에너지를 뺀 에너지 차이가 임계치보다 큰 경우, 수신단은 수신된 PPDU가 VHT PPDU라고 판정한다.
802.11n HT PPDU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에 의한 자동 검출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과 802.11ac VHT PPDU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에 의한 자동 검출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은 구체적으로 도 3d에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a에 기초하여, PPDU(고효율(HE) PPDU 또는 802.11ax PPDU로 표시될 수 있는)의 프레임 구조는 802.11ax 표준에서 정의되며 후속하는 필드, 즉 데이터,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 및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을 포함한다.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고효율 신호 필드 A(HE-SIG A), 고효율 신호 필드 B(HE-SIG-B), 고효율 짧은 트레이닝 시퀀스(HE-STF) 및 고효율 긴 트레이닝 시퀀스 필드(HE-LTF)를 포함한다.
HE PPDU, VHT PPDU, HT PPDU 및 802.11a PPDU 간을 구분하기 위해, 802.11ax 표준을 따르는 PPDU는 PPDU가 HE PPDU임을 자동으로 검출하기 위한 정보를 전달해야한다. 구체적으로, L-SIG와 HE-SIGA 사이에 반복 레거시 신호 필드(RL-SIG)가 추가된다. RL-SIG의 각 주파수 영역 부반송파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L-SIG의 각 주파수 영역 부반송파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와 동일하다. 수신단은 L-SIG가 RL-SIG와 동일한지 비교함으로써, 수신된 PPDU가 HE PPDU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수신단은 L-SIG 필드 내의 길이 필드의 값을 정확히 3으로 나눌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수신된 PPDU가 HE PPDU인지 여부를 더 판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길이 필드의 값을 정확히 3으로 나눌 수 없는 경우, 수신단은 수신된 PPDU가 HE PPDU라고 판정하고, 또는 길이 필드의 값을 정확히 3으로 나눌 수 있는 경우, 수신단은 수신된 PPDU가 802.11ax 이전 표준에 정의된 PPDU라고 판정한다. 802.11ax 이전 표준에서 정의한 PPDU에서 L-SIG 필드의 길이 필드의 값은 정확히 3으로 나눌 수 있지만, 802.11ax PPDU에서의 L-SIG 필드의 길이 필드의 값은 정확히 3으로 나눌 수 없다.
또한, HE PPDU의 PPDU 프레임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PPDU가 HE PPDU임을 자동으로 검출하기 위한 후속하는 두 가지 유형의 정보가 더 제공된다.
1. L-SIG 뒤에 서명(Signature) 필드가 추가되고, 특정 PPDU 프레임 구조가도 3f에 도시될 수 있다. 서명 필드는 서명 시퀀스를 포함하며, 서명 시퀀스의 길이는 1 ~ 26 비트이다. 서명 시퀀스가 길수록 성능은 더 좋지만 오버 헤드가 더 높다. 수신단은 서명 필드를 디코딩하고, 로컬에 저장된 서명 시퀀스와 수신된 서명 시퀀스 간의 유사도를 비교한다. 유사도가 임계치보다 크면, 수신단은 수신된 PPDU가 HE PPDU라고 판정하고, 또는 유사도가 임계치 이하이면, 수신단은 수신된 PPDU가 HE PPDU가 아니라고 판정한다. 그러나, 서명 시퀀스는 프리앰블에 추가 오버헤드를 유발하고, 다른 기능없이 자동 검출 기능만 수행하는 단점을 갖는다.
2. 반복 HE-SIG A가 사용되며, 특정 PPDU 구조는 도 3g에 도시될 수 있다. 수신단은 수신된 L-SIG를 뒤따르는 2개의 OFDM 심볼 간의 유사도를 비교한다. 유사도가 임계치보다 크면, 수신단은 수신된 PPDU가 HE PPDU라고 판정하고, 또는 유사도가 임계치 이하이면, 수신단은 수신된 PPDU가 HE PPDU가 아니라고 판정한다. 그러나, L-SIG를 뒤따르는 2개의 OFDM 심볼 간의 비교는 자동 검출의 지연을 야기한다.
현재, 전술한 802.11 표준을 기반으로 차세대 802.11 표준이 제안된다. PPDU(차세대 PPDU, 예를 들어 매우 높은 처리량(EHT) PPDU로 표기될 수 있음)의 프레임 구조는 차세대 802.11 표준에서 정의되며, 후속하는 필드, 즉 데이터,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 및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을 포함한다. 차세대 PPDU가 EHT PPDU인 경우, 도 3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예를 들어, 매우 높은 처리량 신호 필드 1(EHT-SIG1), 매우 높은 처리량 신호 필드 2(EHT-SIG2), 매우 높은 처리량의 짧은 트레이닝 시퀀스 필드(EHT-STF) 및 매우 높은 처리량의 긴 트레이닝 시퀀스 필드(EHT-LTF)를 포함할 수 있다. EHT-SIG1은 대역폭과 같은 공통 신호를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EHT-SIG2는 자원 할당 표시 및 스테이션 정보와 같은 신호를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EHT-STF는 자동 이득 제어(AGC)를 위해 수신단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EHT-LTF는 채널 추정을 위해 수신단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선택에 따라,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매우 높은 처리량 신호 필드 3(EHT-SIG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HT-SIG3는 EHT-LTF를 뒤따른다. EHT-STF, EHT-LTF, EHT-SIG3 각각의 데이터 필드에서 OFDM 심볼에 대응하는 부반송파 간격은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OFDM 심볼에 대응하는 부반송파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HE PPDU, VHT PPDU, HT PPDU, 802.11a PPDU와 같은 기존 PPDU와 차세대 PPDU 간을 구분하고, 전술한 두 가지 유형의 정보의 사용을 피하기 위해, 차세대 802.11 표준에서 PPDU가 차세대 PPDU임을 자동으로 검출하기 위한 정보를 PPDU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이 어떻게 전달하는지가 본 출원에서 주로 설명된다.
본 출원의 기술적 솔루션은 후속하는 특정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후속하는 몇 가지 특정 실시예는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일부 실시예에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개념 또는 절차는 반복적으로 설명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방법은 후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401: 송신단이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PPDU를 생성한다.
이 단계에서, 프리앰블은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과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을 포함한다.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도 3a 내지 도 3f의 L-STF, L-LTF 및 L-SIG를 포함하고, 802.11a 표준을 지원하는 수신단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다.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도 3b 내지 도 3f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과 다르고, 차세대 802.11 표준을 지원하는 수신단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다. 호환성을 고려하여, 차세대 802.11 표준을 지원하는 수신단도 802.11a 표준을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복수의 수신단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고,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복수의 수신단의 일부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기존 Wi-Fi 디바이스와 차세대 Wi-Fi 디바이스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될 수 있다. 그러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차세대 Wi-Fi 디바이스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될 수 있지만 기존 Wi-Fi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될 수 없다.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반복 필드를 포함한다. 반복 필드는 주파수 영역에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미리 설정된 비 순차적 관계를 갖는 필드이다. 구체적으로, 주파수 영역에서, 반복 필드에 대해 미리 설정된 비 순차적 관계의 변환이 수행된 후, 반복 필드는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동일할 수 있다.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에 대해 변환의 역변환이 수행된 후, 미리 설정된 필드는 반복 필드와 동일할 수 있다.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가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 주파수 영역에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반복 필드 사이에 미리 설정된 비 순차적 관계가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주파수 영역에서 반복 필드의 하나의 OFDM 심볼과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사전 설정된 필드의 하나의 OFDM 심볼 사이에 미리 설정된 비 순차적 관계가 있을 수 있고, 또는 주파수 영역에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의 복수의 OFDM 심볼 각각과 반복 필드의 복수의 OFDM 심볼 각각 간에 미리 설정된 비 순차적 관계가 있을 수 있다.
선택에 따라,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는 L-STF, L-LTF 또는 L-SIG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용이한 구현을 위해,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는 L-SIG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에서의 반복 필드는 PPDU가 차세대 PPDU임을 자동으로 검출하기 위한 정보를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는 점에 유의해야한다. 반복 필드 외에,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차세대 802.11 표준에서 제공하는 새로운 기능 표시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예를 들어, 도 3h에 도시된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차세대 PPDU는 EHT PPDU이고,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는 L-SIG이다. EHT PPDU의 프레임 구조는 도 5a에 도시될 수 있다. CL-SIG는 반복 필드이며, 주파수 영역에서 CL-SIG와 L-SIG 사이에 사전 설정된 비 순차적 관계가 있다.
인터리빙 프로세싱, 비 순차적 프로세싱, 스크램블링 프로세싱 등이 주파수 영역 비 순차적 프로세싱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리빙 프로세싱, 비 순차적 프로세싱, 스크램블링 프로세싱 등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함으로써, 반복 필드가 주파수 영역에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비 순차적 관계를 갖는 필드일 수 있게 할 수 있다.
선택에 따라,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의 OFDM 심볼을 생성하는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는 제1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이고, 반복 필드의 OFDM 심볼 생성을 위한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는 제2 프로세싱 절차인 것으로 가정하면, 주파수 영역에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미리 설정된 비 순차적 관계를 갖는 반복 필드는 아래의 3가지 방식 중 어느 하나로 생성될 수 있다.
방식 1: 제1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는 인터리빙 프로세싱을 포함하고, 제2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는 인터리빙 프로세싱을 포함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차세대 PPDU는 EHT PPDU이고,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는 L-SIG이며, EHT PPDU의 프레임 구조는 도 5a에 도시되어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L-SIG 필드에 포함된 주파수 영역 정보 비트에 대해 채널 코딩, 인터리빙 프로세싱, 성상점 매핑 및 역 고속 푸리에 변환(IFFT)이 순차적으로 수행된 후, L-SIG가 생성된다. 정보 비트에 대해 채널 코딩, 성상점 매핑 프로세싱, IFFT가 순차적으로 수행된 후, CL-SIG가 생성된다. 즉, L-SIG를 생성하는 절차에서 수행된 인터리빙 프로세싱 단계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에 따라, 제1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와 제2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 사이의 유일한 차이점은 제1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는 인터리빙 프로세싱을 포함하지만 제2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는 인터리빙 프로세싱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 있을 수 있다. 그 점을 제외하면, 다른 프로세싱은 동일하다. 예를 들어, 제1 프로세싱 절차에서의 성상점 매핑 모드는 제2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에서의 성상점 매핑 모드와 동일하다. 다른 예로, CL-SIG를 생성하는 제2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에서 수행되는 코딩 및 IFFT는 L-SIG를 생성하는 제1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에서 수행되는 코딩 및 IFFT와 동일하다. 주기적 시프트 지연(Cyclic Shift Delay, CSD) 프로세싱, 순환 프리픽스(cyclic prefix, CP) 프로세싱 등이 IFFT 이후에 더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선택에 따라, 제1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가 인터리빙 프로세싱을 포함하고 제2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가 인터리빙 프로세싱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차이점 외에도, CL-SIG를 생성하는 프로세싱 절차와 L-SIG를 생성하는 프로세싱 절차 간에 다른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로세싱 절차에서의 성상점 매핑 모드는 제2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에서의 성상점 매핑 모드와 다르다.
방식 2: 제1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는 스크램블링 프로세싱을 포함하지 않고, 제2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는 스크램블링 프로세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차세대 PPDU는 EHT PPDU이고,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는 L-SIG이며, EHT PPDU의 프레임 구조는 도 5a에 도시된다. 도 5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L-SIG 필드에서 전달되는 주파수 영역 정보 비트에 대해 채널 코딩, 인터리빙 프로세싱, 성상점 매핑 및 역 고속 푸리에 변환(IFFT)이 순차적으로 수행되고, L-SIG가 생성된다. 정보 비트에 대해 채널 코딩, 스크램블링 프로세싱, 인터리빙 프로세싱, 성상점 매핑 프로세싱 및 IFFT가 순차적으로 수행된 후, CL-SIG가 생성된다. 대안적으로, 스크램블링 프로세싱은 채널 코딩 이전에 수행될 수 있거나, 인터리빙 프로세싱 후 및 성상점 매핑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스크램블링 프로세싱와 관련된 스크램블러는 IEEE 802.11a의 스크램블러일 수 있다.
선택에 따라, 제1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와 제2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 사이의 유일한 차이점은 제1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에는 스크램블링 프로세싱이 포함되지 않고 제2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에는 스크램블링 프로세싱이 포함된다는 점에 있을 수 있다. 이 점을 제외하면, 다른 프로세싱은 동일하다.
대안으로, 선택에 따라, 제1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가 스크램블링 프로세싱을 포함하지 않고 제2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가 스크램블링 프로세싱을 포함한다는 차이점에 더해, CL-SIG를 생성하는 프로세싱 절차와 L-SIG를 생성하는 프로세싱 절차 간에 다른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로세싱 절차에서의 성상점 매핑 모드는 제2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에서의 성상점 매핑 모드와 다르다.
도 5c에서, 스크램블링 프로세싱은 IFFT 전에 그리고 성상점 매핑 후에 수행되는 것이 일 예로 사용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스크램블링 프로세싱은 IFFT 전에 수행될 수 있다. 선택에 따라, 스크램블링 프로세싱은 채널 코딩 전 또는 성상점 매핑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방식 3: 제1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는 데이터 심볼에 대한 비 순차적 프로세싱을 포함하지 않고, 제2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는 데이터 심볼에 대한 비 순차적 프로세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차세대 PPDU는 EHT PPDU이고,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는 L-SIG이며, EHT PPDU의 프레임 구조는 도 5a에 도시되어 있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L-SIG 필드에서 전달되는 주파수 영역 정보 비트에 대해 채널 코딩, 인터리빙 프로세싱, 성상점 매핑, 역 고속 푸리에 변환(IFFT)이 순차적으로 수행된 후, L-SIG가 생성된다. 채널 코딩, 인터리빙 프로세싱, 성상점 매핑 프로세싱, 비 순차적 프로세싱 및 IFFT가 정보 비트에 대해 순차적으로 수행된 후, CL-SIG가 생성된다.
선택에 따라, 제1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와 제2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 사이의 유일한 차이점은 제1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가 데이터 심볼에 대한 비 순차적 프로세싱을 포함하지 않지만, 제2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는 데이터 심볼에 대한 비 순차적 프로세싱을 포함한다는 점에 있을 수 있다. 이 차이점을 제외하면, 다른 프로세싱은 동일하다. 이와 달리, 선택에 따라, CL-SIG를 생성하는 프로세싱 절차와 L-SIG를 생성하는 프로세싱 절차의 유일한 차이점은 제1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는 데이터에 대한 비 순차적 프로세싱을 포함하지 않고, 제2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는 데이터 심볼에 대한 비 순차적 프로세싱을 포함한다는 점에 있을 수 있다.
정보 비트에 대해 성상점 매핑이 수행된 후 데이터 심볼이 생성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선택에 따라, 비 순차적 프로세싱은 다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데이터 부반송파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심볼에 대해 주기적 시프트를 수행하는 것, 홀수 및 짝수 데이터 부반송파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심볼을 교환하는 것, 및 고주파 및 저주파 데이터 부반송파 서브세트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심볼을 교환하는 것.
선택에 따라, 데이터 부반송파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은 n 비트만큼 주기적으로 시프트될 수 있으며, 여기서 n은 0보다 크고 데이터 부반송파의 수량보다 작은 정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부반송파의 수량은 48개(n = 1, ..., 47)이다. 구체적으로, 제1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에서, 성상점 매핑이 수행된 후, 데이터 심볼이 저주파에서 고주파로 순위가 매겨진 48개의 데이터 부반송파는 각각 D1, D2, ..., D48이고, n = 1인 것으로 가정한다. 데이터 부반송파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심볼에 대해 주기적 시프트가 수행된 후, 저주파에서 고주파로 순위가 매겨진 48개의 데이터 부반송파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은 각각 D2, D3, ..., D48 및 D1이다. 또한, 성상점 매핑 이후에 주기적 시프트가 데이터 심볼에 대해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채널 코딩을 통해 획득한 코딩 비트에 대하여 성상점 매핑 전에 주기적 시프트가 수행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선택에 따라, 데이터 부반송파의 수량이 m이고, 저주파에서 고주파로 순위가 매겨진 m개의 데이터 부반송파의 번호(시퀀스 번호라고도 함)가 각각 1, ..., m이라고 가정하면, 홀수 데이터 부반송파와 짝수 데이터 부반송파가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화하여 m/2개의 그룹을 얻을 수 있고, 하나의 그룹 내에서 홀수 데이터 부반송파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과 짝수 데이터 부반송파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은 상호 교환된다. 예를 들어, 제1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에서, 성상점 매핑이 수행된 후, 저주파에서 고주파로 순위가 매겨진 48개의 데이터 부반송파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은 각각 D1, D2, ..., 및 D48이다. 홀수 데이터 부반송파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과 짝수 데이터 부반송파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이 서로 교환된 후, 저주파에서 고주파로 순위가 매겨진 48개의 데이터 부반송파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은 각각 D2, D1 , D4, D3, ..., D48 및 D47이다. 이와 달리, 채널 코딩을 통해 획득된 코딩 비트와 데이터 심볼 사이에 일대일 대응이 있는 경우, 각 코딩 비트는 하나의 데이터 부반송파에 대응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성상점 매핑 이전에, 채널 코딩을 통해 획득되고 홀수 및 짝수 데이터 부반송파에 대응하는 코딩 비트가 서로 교환될 수 있다.
선택에 따라, 모든 데이터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세트는 데이터 부반송파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고주파 데이터 부반송파 서브세트와 이 고주파 부반송파 서브세트에 대응하는 저주파 데이터 부반송파 서브세트로 나눠질 수 있다. 고주파 부반송파 서브세트에서의 데이터 부반송파의 주파수는 고주파 부반송파 서브세트에 대응하는 저주파 부반송파 서브세트에서의 데이터 부반송파의 주파수보다 높다. 고주파 데이터 부반송파 서브세트에서의 데이터 부반송파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과 고주파 부반송파 서브세트에 대응하는 저주파 부반송파 서브세트에서의 데이터 부반송파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은 서로 교환된다. 하나 이상의 고주파 부반송파 서브세트가 있을 수 있고, 하나의 저주파 부반송파 서브세트가 하나의 고주파 부반송파 서브 세트에 대응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48개의 데이터 부반송파가 있고, 하나의 고주파 부반송파 서브세트가 있으며, 제1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에서, 성상점 매핑 후 저주파에서 고주파로 순위가 매겨진 48개의 데이터 부반송파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은 각각 D1, D2, ... 및 D48이다. 고주파 부반송파 서브세트의 데이터 부반송파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과 저주파 데이터 부반송파 서브세트의 데이터 부반송파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이 교환된 후, 저주파에서 고주파수로 순위가 매겨진 48개의 데이터 부반송파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은 각각 D25, D26, ..., D48, D1, D2, ... 및 D24이다. 이와 달리, 채널 코딩을 통해 획득된 코딩 비트와 데이터 심볼 사이에 일대일 대응이 있는 경우, 각 코딩 비트는 하나의 데이터 부반송파에 대응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성상점 매핑 이전에, 채널 코딩을 통해 획득되고 고주파 및 저주파 데이터 부반송파에 대응하는 코딩 비트가 상호 교환될 수 있다.
상술한 3개의 특정 비 순차적 프로세싱 방식에 더하여, 다른 비 순차적 프로세싱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12개의 데이터 부반송파마다 이들은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화되어 그룹 1, 그룹 2, 그룹 3 및 그룹 4를 얻는다. 그룹 1의 데이터 부반송파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과 그룹 2의 데이터 부반송파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은 서로 교환된다. 그룹 3의 데이터 부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심볼과 그룹 4의 데이터 부반송파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심볼이 서로 교환된다. 예를 들어, 모든 데이터 부반송파에 대해, 2개의 특정 데이터 부반송파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이 서로 교환된다. 이와 달리, 채널 코딩을 통해 획득된 코딩 비트와 데이터 심볼 사이에 일대일 대응이 있는 경우, 각 코딩 비트는 하나의 데이터 부반송파에 대응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성상점 매핑 이전에, 채널 코딩을 통해 획득되고 다른 데이터 부반송파에 대응하는 코딩 비트가 그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선택에 따라, CL-SIG 필드의 경우, 전술한 방식에 기초하여, m개의 데이터 부반송파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에는 추가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m-비트 랜덤 시퀀스가 포인트 곱셈(point multiplied)될 수 있다. 선택에 따라, 랜덤 시퀀스의 시퀀스 값은 1 또는 -1일 수 있지만 두 값에 국한되지 않는다. 선택에 따라, m-비트 랜덤 시퀀스는 비트가 모두 -1인 시퀀스이다. 이와 달리, m-비트 랜덤 시퀀스에서, 비트의 절반은 1이고 나머지 절반은 -1이다. 또한, 선택에 따라, 홀수 데이터 부반송파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에는 1을 곱하고 짝수 데이터 부반송파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에는 -1을 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고주파 데이터 부반송파 서브세트에서의 데이터 부반송파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에 1을 곱하고, 저주파 데이터 부반송파 서브세트에서 데이터 부반송파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에 -1을 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홀수 데이터 부반송파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심볼에 -1을 곱하고, 짝수 데이터 부반송파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심볼에 1을 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고주파 데이터 부반송파 서브세트에서의 데이터 부반송파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에 -1을 곱할 수 있고, 저주파 데이터 부반송파 서브세트에서의 데이터 부반송파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에 1을 곱할 수 있다.
또한, 선택에 따라, m-비트 랜덤 시퀀스의 2개의 값이 프리앰블을 나타내는 1 비트 신호를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트가 모두 1인 시퀀스는 EHT PPDU가 프리앰블 펑처링 EHT PPDU(preamble puncture EHT PPDU)임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비트가 모두 -1인 시퀀스는 EHT PPDU가 프리앰블 펑처링 EHT PPDU가 아님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리앰블 펑쳐링의 개념은 802.11ax에서의 PPDU의 프리앰블 펑쳐링과 유사하다. 예를 들어, 프리앰블 펑처링은 대역폭의 20MHz 대역폭에서 프리앰블과 데이터 필드가 전송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에서, 반복 필드가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 인 예가 사용됨을 알아야 한다. 선택에 따라, 반복 필드는 대안으로서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2 필드일 수 있다.
선택에 따라, BPSK 모드는 제2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에서 성상점 매핑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선택에 따라, 반복 필드가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인 경우, 반복 필드는 비회전 성상점 매핑 모드(QBPSK 제외), 예를 들어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PSK)을 사용한다. 반복 필드가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2 필드인 경우, 반복 필드는 BPSK 또는 QBPSK와 같은 성상점 매핑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에 따라, 레거시 프리앰블의 L-SIG에서 길이 필드의 값을 정확히 3으로 나누는 방식과 연계하여 전술한 복수의 자동 검출 방식을 더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레거시 프리앰블의 L-SIG 필드에서 길이 필드의 값을 정확히 3으로 나누지 않는 방식과 연계하여 전술한 복수의 자동 검출 방식을 더 사용할 수 있다.
802.11n 수신단은 L-SIG에 후속하는 제1 OFDM 필드에 사용되는 성상점 매핑 모드를 결정하여 자동 검출을 수행하므로,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가 성상점 매핑에 QBPSK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802.11n 수신단은 L-SIG에 후속하는 제1 OFDM 필드가 성상점 매핑에 QBPSK 모드를 사용한다는 것을 기반으로 PPDU가 HT PPDU임을 판정하고, 또는 PPDU가 실제로 HT PPDU가 아닌 경우 802.11n 수신단은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를 잘못 디코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802.11n 수신단은 순환 중복 검사를 수행하지 못하고, 802.11n 수신단은 L-SIG의 길이 필드를 준수하지 않아 무음 기간에 진입한다. 결과적으로, 이 동작은 전송중인 PPDU를 방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반복 필드가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인 경우, 반복 필드는 비회전 성상점 매핑 모드(QBPSK 제외)를 사용한다. 이는 802.11n 수신단이 차세대 PPDU를 HT PPDU로 잘못 판단하는 것을 방지하여 L-SIG의 길이 필드를 준수하지 않는 위험한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수신단, 예를 들어 802.11a 수신단, 802.11ac 수신단 또는 802.11ax 수신단이 자동 검출를 통해 차세대 PPDU를 802.11a PPDU, 802.11ac VHT PPDU 또는 802.11ax HE PPDU로 각각 잘못 판정할지라도, 802.11n 수신단이 L-SIG의 길이 필드를 준수하지 않는 전술한 위험한 동작은 발생하지 않는다.
선택에 따라, 반복 필드가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인 경우, 제1 필드 이외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임의의 필드는 성상점 매핑을 위해 회전 BPSK 모드를 사용한다. 제1 필드 이외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임의의 필드는 성상점 매핑을 위해 회전 BPSK 모드를 사용하므로, 수신단은 수신된 PPDU가 차세대 PPDU인지 여부를, 제1 필드 이외의 필드에 사용되는 성상점 매핑 모드에 기초하여 한층 강화된 방식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이것은 판정 결과의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선택에 따라, 성상점 매핑을 위해 회전 BPSK 모드를 사용하는, 제1 필드 이외의 필드는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2 필드, 예를 들어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2 OFDM 심볼일 수 있다.
제1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 및 제2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에서, 채널 코딩 전의 정보 비트는 동일할 수 있고, 채널 코딩 후의 정보 비트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즉,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에서, 반복 필드에 대해 채널 인코더로 입력되는 비트는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에 대해 채널 인코더에 입력되는 비트와 동일할 수 있고, 특정 채널 코딩 모드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IFFT는 대안으로서 역 이산 푸리에 변환(IDFT)으로 대체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단계 402: 송신단이 PPDU를 전송한다.
이 단계에서, 선택에 따라, 송신단은 브로드캐스트 또는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PPDU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403: 수신단은 PPDU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이 반복 필드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단계에서, 반복 필드는 주파수 영역에서 PPDU의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미리 설정된 비 순차적 관계를 갖는 필드이다. 미리 설정된 비 순차적 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단계(401)를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이 반복 필드를 포함하는 경우, PPDU는 타겟 PPDU, 즉 차세대 PPDU이다.
선택에 따라,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이 반복 필드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1 정보와 제2 정보의 유사도를 판정하는 단계― 제1 정보는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에 대해 제1 디코딩 프로세싱 절차를 수행하여 획득되고, 제2 정보는 반복 필드에 대해 제2 디코딩 프로세싱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획득됨 ―와,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으면,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이 반복 필드를 포함한다고 판정하는 단계; 또는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이 반복 필드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정보 및 제2 정보의 유형은 미리 설정된 비 순차적 관계를 반영할 수 있는 유형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제1 정보 및 제2 정보의 유형은 동일하며, 예를 들어 둘 다 정보 비트 또는 데이터 심볼이다. 제1 디코딩 프로세싱 절차 및 제2 디코딩 프로세싱 절차는 각각 모든 디코딩 절차를 포함할 수 있거나, 디코딩 절차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다른 802.11 표준의 자동 검출에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단계(401)에 대응하여, 선택에 따라, 제1 디코딩 프로세싱 절차와 제2 디코딩 프로세싱 절차 사이의 관계는 다음의 3가지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유형 1: 제1 디코딩 프로세싱 절차는 디인터리빙 프로세싱을 포함하고, 제2 디코딩 프로세싱 절차는 디인터리빙 프로세싱을 포함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는 L-SIG이다. 수신단은 802.11의 기존 레거시 프리앰블의 디코딩 프로세싱 절차를 수행하여 L-SIG를 디코딩할 수 있다. 수신단이 CL-SIG를 디코딩할 때, 수신단이 성상점 디매핑을 수행한 후, 수신단은 디인터리빙을 수행하지 않고 이진 컨볼루션 코딩(BCC) 채널 디코딩을 수행한다. 또한, 수신단은 L-SIG를 디코딩함으로써 얻어진 정보 비트와 CL-SIG를 디코딩함으로써 얻어진 정보 비트 간의 유사성을 비교할 수 있다.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크면, 수신단은 PPDU가 EHT PPDU인 것으로 판정하고, 또는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거나 같으면, 수신단은 PPDU가 EHT PPDU가 아니라고 판정한다. 이와 달리, 수신단은 L-SIG를 디인터리빙하여 얻은 코딩 비트와 CL-SIG에 대해 성상점 디매핑을 수행하여 얻은 코딩 비트 간의 유사성을 비교할 수 있다.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크면, 수신단은 PPDU가 EHT PPDU라고 판정하고, 또는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거나 같으면, 수신단은 PPDU가 EHT PPDU가 아니라고 판정한다.
유형 2: 제1 디코딩 프로세싱 절차는 디스크램블링 프로세싱을 포함하지 않고, 제2 디코딩 프로세싱 절차는 디스크램블링 프로세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는 L-SIG이다. 수신단은 제2 정보와 제1 정보 사이의 유사성을 비교할 수 있는데, 여기서 제2 정보는 CL-SIG에 대한 디스크램블링 프로세싱 후에 디스크램블링 프로세싱 또는 다른 프로세싱(예를 들어, 채널 디코딩)를 수행함으로써 획득되고, 제1 정보는 L-SIG에 대해 대응하는 프로세싱을 수행함으로써 획득된다.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크면, 수신단은 PPDU가 EHT PPDU라고 판정할 수 있고, 또는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거나 같으면, 수신단은 PPDU가 EHT PPDU가 아니라고 판정할 수 있다.
유형 3: 제1 디코딩 프로세싱 절차는 데이터 심볼에 대한 비 순차 해제 프로세싱을 포함하지 않고, 제2 디코딩 프로세싱 절차는 데이터 심볼에 대한 비 순차 해제 프로세싱을 포함한다.
단계(401)와 유사하게, 데이터 심볼에 대한 비 순차 해제 프로세싱은 다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데이터 부반송파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에 대해 주기적 시프트를 수행하는 것, 홀수 및 짝수 데이터 부반송파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을 교환하는 것, 및 고주파 및 저주파 데이터 부반송파 서브세트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을 교환하는 것.
예를 들어,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는 L-SIG이다. 수신단은 제2 정보와 제1 정보 사이의 유사성을 비교할 수 있는데, 여기서 제2 정보는 CL-SIG 상의 데이터 심볼에 대한 비순차 해제 프로세싱 이후 데이터 심볼에 대한 비순차 해제 프로세싱을 수행함으로써 또는 다른 프로세싱(예컨대, 채널 디코딩)을 수행함으로써 얻어지고, 제1 정보는 L-SIG에 대한 대응하는 프로세싱을 수행으로써 얻어진다.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크면, 수신단은 PPDU가 EHT PPDU라고 판정하고, 또는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거나 같으면, 수신단은 PPDU가 EHT PPDU가 아니라고 판정한다. 단계(403)에서 데이터 심볼에 대한 비순차 해제 프로세싱은 단계(401)에서 비순차적 프로세싱과 역순임을 알아야 한다. 데이터 심볼에 대한 비순차 해제 프로세싱의 특정 내용에 대해, 비 순차적 프로세싱을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에 따라, 레거시 프리앰블의 L-SIG 필드에서의 길이 필드의 값을 정확히 3으로 나누는 방식과 결합하여 전술한 복수의 자동 검출 방식이 더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레거시 프리앰블의 L-SIG 필드에서의 길이 필드의 값을 정확히 3으로 나누지 않는 방식과 결합하여 전술한 복수의 자동 검출 방식이 더 사용될 수 있다.
선택에 따라, PPDU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이 반복 필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정된 후, PPDU를 디코딩하여 얻은 정보 비트는 차세대 PPDU의 프레임 구조를 기반으로 파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송신단은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PPDU를 생성하고 전송하는데, 프리앰블은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과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을 포함하고,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반복 필드를 포함하고, 반복 필드는 주파수 영역에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미리 설정된 비 순차적 관계를 갖는 필드이다. 수신단은 수신된 PPDU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이 반복 필드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PPDU가 반복 필드를 포함하는 경우, 수신단은 PPDU가 타겟 PPDU, 즉 차세대 PPDU라고 판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세대 802.11 표준에서 PPDU의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자동 검출이 구현된다. 또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의 견고성은 반복 필드를 설정함으로써 향상된다. 이것은 실외 전송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도 6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601): 송신단이 물리적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PPDU를 생성한다.
이 단계에서, 물리적 프리앰블은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과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을 포함한다.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도 3a 내지 도 3f의 L-STF, L-LTF 및 L-SIG를 포함하며 802.11a 표준을 지원하는 수신단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다.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도 3b 내지 도 3f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과는 다르며, 세대 802.11 표준을 지원하는 수신단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다. 호환성을 고려하여, 차세대 802.11 표준을 지원하는 수신단도 802.11a 표준을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복수의 수신단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고,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복수의 수신단의 일부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다.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는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동일하며, 제1 필드 이외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임의의 필드는 성상점 매핑을 위해 회전 BPSK 모드를 사용한다. 이와 달리,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2 필드는 레거시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동일하다.
선택에 따라,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는 L-STF, L-LTF 또는 L-SIG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용이한 구현을 위해,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는 L-SIG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는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동일하고, 제1 필드 이외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임의의 필드는 PPDU가 차세대 PPDU임을 자동으로 검출하기 위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성상점 매핑에 회전 BPSK 모드를 사용함을 알아야 한다. 제1 필드에 더해,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차세대 802.11 표준에서 제공되는 새로운 기능 표시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필드 외의 다른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예를 들어, 도 3h에 도시된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세대 PPDU는 EHT PPDU이고,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는 L-SIG이다. EHT PPDU의 프레임 구조는 도 7a에 도시될 수 있다. RL-SIG는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에서의 L-SIG와 동일한 필드이다.
도 7a에서, 구체적으로, EHT-SIG1, EHT-SIG2, EHT-STF 또는 EHT-LTF의 임의의 필드는 QBPSK와 같은 성상점 매핑을 위해 회전 BPSK 모드를 사용한다.
제1 필드 이외의 필드가 성상점 매핑을 위해 회전 BPSK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 필드가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면, 복수의 OFDM 심볼은 성상점 매피을 위해 회전 BPSK 모드를 사용할 수 있고, 또는 복수의 OFDM 심볼 중 일부(예를 들어, 제1 OFDM 심볼)가 성상점 매핑을 위해 회전 BPSK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것은 본 출원에서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에 따라, RL-SIG에 후속하는 제1 필드는 QBPSK 변조될 수 있고, 또는 RL-SIG에 후속하는 제1 OFDM 심볼은 QBPSK 변조될 수 있다.
선택에 따라,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2 필드는 성상점 매핑을 위해 회전 BPSK 모드를 사용한다.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2 필드는 성상점 매핑을 위해 회전 BPSK 모드를 사용하므로, 수신단은 PPDU가 차세대 PPDU임을 가능한 빨리 판정한다.
이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2 필드(예를 들어, 제2 OFDM 심볼)는 레거시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동일하며, PPDU가 차세대 PPDU임을 자동으로 검출하기 위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다음 단계(603)는, 수신단은 수신된 PPDU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2 필드가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PPDU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2 필드가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동일한 경우, 수신단은 PPDU가 타겟 PPDU, 즉 차세대 PPDU라고 판정한다. PPDU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2 필드가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다를 경우, 수신단은 PPDU가 타겟 PPDU가 아닌 것으로 판정한다. 선택에 따라,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예컨대, 제1 OFDM 심볼)는 BPSK 변조된다. 즉, OFDM 심볼상의 모든 데이터 부반송파에서 전달되는 심볼은 BPSK 변조된다.
예를 들어, 차세대 PPDU는 EHT PPDU이고,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는 L-SIG이다. EHT PPDU의 프레임 구조는 도 7b에 도시될 수 있다. RL-SIG는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L-SIG와 동일한 필드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언급된 RL-SIG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CL-SIG로 대체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의 RL-SIG는 도 3e의 RL-SIG와 동일하고, 둘 다 L-SIG의 반복 필드임에 주의해야 한다.
단계(602): 송신단이 PPDU를 전송한다.
이 단계에서, 선택에 따라, 송신단은 브로드캐스트 또는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PPDU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603): 수신단은 PPDU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가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동일한지 여부, 및 제1 필드 이외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임의의 필드가 성상점 매핑에 회전 BPSK 모드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단계에서, PPDU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가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같고, 제1 필드 이외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임의의 필드가 성상점 매핑에 회전 BPSK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 수신단은 PPDU가 타겟 PPDU, 즉 차세대 PPDU인 것으로 판정한다. PPDU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가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다르거나, 제1 필드 이외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임의의 필드가 성상점 매핑에 회전 BPSK 모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수신단은 PPDU의 프레임 구조가 차세대 PPDU의 프레임 구조가 아니라고 판정한다.
선택에 따라, 예를 들어 L-SIG 또는 EHT-SIG 1과 같은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성상점 매핑을 위해 QBPSK 모드를 사용한다. 수신단은 먼저 RL-SIG를 디코딩하고 그런 다음 RL-SIG와 L-SIG 간의 유사성을 비교할 수 있다. 유사도가 임계치보다 크면, 수신단은 EHT-SIG 1이 성상점 매핑에 QBPSK 모드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계속 판정하는데, 즉, Q 축 에너지에서 I 축 에너지를 뺀 차이가 임계치보다 큰지 비교한다. 유사도가 임계치보다 크고 EHT-SIG 1이 성상점 매핑을 위해 QBPSK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 수신단은 수신된 PPDU가 EHT PPDU라고 판정한다. 유사도가 임계치보다 크지만 EHT-SIG 1이 성상점 매핑에 QBPSK 모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수신단은 수신된 PPDU가 802.11ax HE PPDU라고 판정한다.
선택에 따라, 레거시 프리앰블의 L-SIG 필드에서의 길이 필드의 값을 정확히 3으로 나누는 방식과 결합하여 전술한 복수의 자동 검출 방식이 더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레거시 프리앰블의 L-SIG 필드에서의 길이 필드의 값을 정확히 3으로 나누지 않는 방식과 결합하여 복수의 자동 검출 방식이 더 사용될 수 있다.
802.11ax 수신단이 단계(601)에서 PPDU를 수신하면, 802.11ax 수신단은 RL-SIG와 L-SIG의 유사성을 비교하여 수신된 PPDU가 802.11ax HE PPDU인 것으로 판정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PPDU는 HE PPDU가 아니기 때문에 802.11ax 수신단이 디코딩을 잘못 수행하더라도, PPDU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선택에 따라, 802.11ax 수신단이 PPDU가 차세대 PPDU가 아니라고 판정한 후, 802.11ax 수신단은 PPDU가 다른 PPDU인지 여부, 예를 들어 PPDU가 VHT PPDU인지 여부를 더 판정할 수 있다.
선택에 따라, 802.11ax 수신단이 PPDU가 차세대 PPDU라고 판정한 후, 802.11ax 수신단은 차세대 PPDU의 프레임 구조를 기반으로, PPDU를 디코딩하여 얻은 정보 비트를 파싱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송신단은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PPDU를 생성하고 전송하는데, 프리앰블은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과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을 포함하며,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는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동일하고, 제1 필드 이외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임의의 필드는 성상점 매핑을 위해 회전 BPSK 모드를 사용한다. 수신단은 수신된 PPDU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가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동일한지, 그리고 제1 필드 이외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임의의 필드가 성 상점 매핑을 위해 회전 BPSK 모드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수신된 PPDU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가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같고, 제1 필드 이외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임의의 필드가 성상점 매핑을 위해 회전 BPSK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 수신단은 PPDU가 타겟 PPDU, 즉 차세대 PPDU인 것으로 판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세대 802.11 표준에서 PPDU의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자동 검출이 구현된다.
도 8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801): 송신단이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PPDU를 생성한다.
이 단계에서, 프리앰블은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을 포함한다.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미리 설정된 필드를 포함하고, 미리 설정된 필드의 체크 비트는 데이터 부반송파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있으며, 미리 설정된 위치는 PPDU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PPDU가 차세대 PPDU임을 자동으로 검출하기 위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필드의 체크 비트가 데이터 부반송파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위치함을 주목해야 한다. 미리 설정된 필드는 차세대 802.11 표준에서 제공되는 새로운 기능 표시를 전달하는 데 더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PDU는 EHT PPDU이다. 미리 설정된 필드는 도 3h에 도시된 필드에서 EHT-SIG1일 수 있고, 또는 도 5 또는 도 7에 도시된 EHT-SIG1일 수 있다.
현재 기술에서, PPDU의 체크 비트는 데이터 부반송파의 특정 위치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체크 비트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부반송파 뒤와 BCC 디코딩에 사용되는 테일 비트 앞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미리 설정된 위치는 PPDU가 차세대 PPDU임을 자동으로 검출하기 위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현재 기술에서의 체크 비트의 위치와 다른 특정 위치 이외의 임의의 위치일 수 있다. 선택에 따라, 미리 설정된 위치는 데이터 부반송파의 시작 위치이다.
선택에 따라, 미리 설정된 필드는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 또는 제2 필드일 수 있다.
미리 설정된 필드가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OFDM 심볼의 체크 비트 모두는 데이터 부반송파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있거나, 복수의 OFDM 심볼 중 일부의 체크 비트가 데이터 부반송파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것은 본 출원에서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에 따라, 이 실시예의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반복 필드를 이용하여 차세대 PPDU가 표시된다는 것에 기초하여,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의 체크 비트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위치인 것은 차세대 PPDU를 나타내는데 더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단은 PPDU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에 반복 필드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해야 하며, 또한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의 체크 비트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위치인지 여부도 판정해야 한다.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이 반복 필드를 포함하고,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의 체크 비트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위치인 경우, 수신단은 PPDU의 프레임 구조가 차세대 PPDU의 프레임 구조라고 판정하는데, 즉 수신단은 PPDU가 차세대 PPDU인 것으로 판정한다.
선택에 따라, 이 실시예의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가 레거시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동일하다는 것과,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차세대 PPDU를 나타내기 위해 제1 필드 이외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임의의 필드가 성상점 매핑에 회전 BPSK 모드를 사용한다는 것에 기초하여,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위치라는 것은 차세대 PPDU를 나타내는 데 더 사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수신단은 PPDU에서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가 레거시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동일한지, 그리고 제1 필드 이외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임의의 필드가 성상점 매핑을 위해 회전 BPSK 모드를 사용하는지를 판정할 필요가 있고, 또한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의 체크 비트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위치인지를 확인해야 한다.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가 레거시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동일하고, 제1 필드 이외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임의의 필드는 성상점 매핑을 위해 회전 BPSK 모드를 사용하며,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의 체크 비트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위치인 경우, 수신단은 PPDU의 프레임 구조가 차세대 PPDU의 프레임 구조인 것으로 판정한다.
선택에 따라, 본 실시예의 방법에서,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가 레거시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동일하면, 그것이 PPDU가 HE PPDU 또는 차세대 PPDU라는 것을 나타낸다는 것에 기초하여,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의 체크 비트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위치라는 것은 차세대 PPDU를 나타내는 데 더 사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수신단은 PPDU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가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동일한지, 그리고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의 체크 비트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위치인지를 판정할 필요가 있다. PPDU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가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동일하고,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의 체크 비트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위치인 경우, 수신단은 PPDU의 프레임 구조가 차세대 PPDU의 프레임 구조인 것으로 판정한다.
PPDU는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을 더 포함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도 3a 내지 도 3f의 L-STF, L-LTF 및 L-SIG를 포함하고, 802.11a 표준을 지원하는 수신단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다.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도 3b 내지 도 3f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과 다르고, 차세대 802.11 표준을 지원하는 수신단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다. 호환성을 고려하여, 차세대 802.11 표준을 지원하는 수신단도 802.11a 표준을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복수의 수신단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고,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복수의 수신단의 일부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다.
단계(802): 송신단이 PPDU를 전송한다.
이 단계에서, 선택에 따라, 송신단은 브로드캐스트 또는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PPDU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803): 수신단은 PPDU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의 체크 비트가 데이터 부반송파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단계에서, PPDU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의 체크 비트가 데이터 부반송파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있는 경우,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위치의 CRC 필드를 선택하여 디코딩된 미리 설정된 필드를 체크하고 이 체크가 성공적이면, 수신단은 PPDU가 타겟 PPDU, 즉 차세대 PPDU인 것으로 판정한다. PPDU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의 체크 비트가 데이터 부반송파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위치의 CRC 필드를 선택하여 디코딩된 미리 설정된 필드를 체크하지만 이 체크가 실패하면, 수신단은 PPDU의 프레임 구조가 차세대 PPDU의 프레임 구조가 아닌 것으로 판정한다.
선택에 따라, 수신단은 미리 설정된 위치를 기반으로, 디코딩된 미리 설정된 필드(EHT-SIG1)에서 체크 비트를 추출하고, 그런 다음 정보 비트에 대해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예를 들어, 순환 중복 체크(CRC)를 수행한다). 체크가 성공적이면, 수신단은 수신된 PPDU가 차세대 PPDU라고 판정한다.
선택에 따라, 수신단이 PPDU가 차세대 PPDU가 아니라고 판정한 후, 수신단은 PPDU가 다른 PPDU인지 여부, 예를 들어 PPDU가 VHT PPDU인지 여부를 더 판정할 수 있다.
선택에 따라, 수신단이 PPDU가 차세대 PPDU라고 결정한 후, 수신단은 PPDU를 디코딩하여 얻은 정보 비트를 차세대 PPDU의 프레임 구조를 기반으로 파싱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송신단은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PPDU를 생성하고 전송하는데, 이 프리앰블은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을 포함하고,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미리 설정된 필드를 포함하며, 미리 설정된 필드의 체크 비트는 데이터 부반송파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있고, 미리 설정된 위치는 PPDU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수신단은 수신된 PPDU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의 체크 비트가 데이터 부반송파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있는지 판정한다.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의 체크 비트가 데이터 부반송파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있는 경우, 수신단은 PPDU가 타겟 PPDU, 즉 차세대 PPDU라고 판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세대 802.11 표준에서 PPDU의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자동 검출이 구현된다.
선택에 따라, 레거시 프리앰블의 L-SIG 필드에서의 길이 필드의 값을 정확히 3으로 나누는 방식과 함께 전술한 복수의 자동 검출 방식이 더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레거시 프리앰블의 L-SIG 필드에서의 길이 필드의 값을 정확히 3으로 나누지 않는 방식과 결합하여 전술한 복수의 자동 검출 방식이 더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복수의 자동 검출 방식은 차세대 PPDU의 자동 검출을 구현하기 위해 자유롭게 결합될 수 있음에 알아야 한다.
반복되는 필드, 제1 필드, 제1 필드 이외의 필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 및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는 각각 OFDM 심볼로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구체적으로, 제1 필드는 제1 OFDM 심볼, 제2 필드는 제2 OFDM 심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제1 필드 이외의 필드는 제1 OFDM 심볼이 아닌 OFDM 심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필드 이외의 필드는 제2 OFDM 심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반복 필드, 제1 필드, 제1 필드 이외의 필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 및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 각각은 하나 이상의 OFDM 심볼로 구성된 필드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LTF는 2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L-SIG는 하나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선택에 따라, 전술한 모든 실시예에서, 송신단은 주파수 영역에서 PPDU의 L-SIG에, 4개의 부반송파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을 추가하고, 데이터 심볼을 특수 값으로 설정하여, PPDU가 차세대 PPDU임을 자동으로 검출하기 위한 정보를 더 전달할 수 있다. 선택에 따라, 4개의 부반송파는 52개의 사용된 부반송파(48개의 데이터 부반송파와 4개의 파일럿 부반송파를 포함할 수 있음)의 두 측면에 추가로 추가된 2개의 부반송파일 수 있다. 4개의 부반송파의 번호는 [-28 -27 27 28]일 수 있다. 저주파에서 고주파로 순위가 매겨진 4개의 부반송파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의 특수 값은 802.11ax 표준에서 [-1 -1 -1 -1 1] 이외의 값, 예를 들어 [-1 -1 -1 -1] 및 [1 -1 -1 -1]일 수 있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장치는 송신단에 사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통신 장치는 생성 유닛(901) 및 송신 유닛(902)을 포함할 수 있다.
생성 유닛(901)은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프리앰블은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 및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을 포함하고,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반복 필드를 포함하고, 반복 필드는 주파수 영역에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미리 설정된 비 순차적 관계를 갖는 필드이다.
송신 유닛(902)은 PPDU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심볼을 생성하는 제1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는 인터리빙 프로세싱을 포함하고, 반복 필드의 OFDM 심볼을 생성하는 제2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는 인터리빙 프로세싱을 포함하지 않고, 또는
제1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는 스크램블링 프로세싱을 포함하지 않고, 제2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는 스크램블링 프로세싱을 포함하고, 또는
제1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는 데이터 심볼에 대한 비 순차적 프로세싱을 포함하지 않고, 제2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는 데이터 심볼에 대한 비 순차적 프로세싱을 포함한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비 순차적 프로세싱은 다음 중 하나를 포함한다.
데이터 부반송파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에 대해 주기적 시프트를 수행하는 것, 홀수 및 짝수 데이터 부반송파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을 교환하는 것, 및 고주파 및 저주파 데이터 부반송파 서브세트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을 교환하는 것.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PSK) 모드가 제2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에서 성상점 매핑을 위해 사용된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복수의 수신단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고,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복수의 수신단의 일부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반복 필드에 대해 채널 인코더로 입력되는 비트는 주파수 영역 프로세싱 절차에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에 대해 채널 인코더로 입력되는 비트와 동일하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는 레거시 신호 필드(L-SIG)이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반복 필드는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 또는 제2 필드이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반복 필드는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이고, 제1 필드 이외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임의의 필드는 성상점 매핑을 위해 회전 BPSK 모드를 사용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송신단 측에서 기술적 솔루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현 원리와 그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며,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10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장치는 수신단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통신 장치는 수신 유닛(1001) 및 판정 유닛(1002)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유닛(1001)은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프리앰블은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 및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을 포함한다.
판정 유닛(1002)은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이 반복 필드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결정하고― 여기서 반복 필드는 주파수 영역에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미리 설정된 비 순차적 관계를 갖는 필드임 ―,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이 반복 필드를 포함하는 경우, PPDU가 타겟 PPDU인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판정 유닛이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이 반복 필드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제1 정보와 제2 정보 간의 유사도를 결정하는 것― 제1 정보는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에 대해 제1 디코딩 프로세싱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획득하고, 제2 정보는 반복 정보에 대해 제2 디코딩 프로세싱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획득됨 -과,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면,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이 반복 필드를 포함한다고 판정하는 것, 또는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으면,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이 반복 필드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제1 디코딩 프로세싱 절차는 디인터리빙 프로세싱을 포함하고, 제2 디코딩 프로세싱 절차는 디인터리빙 프로세싱을 포함하지 않고, 또는
제1 디코딩 프로세싱 절차는 디스크램블링 프로세싱을 포함하지 않고, 제2 디코딩 프로세싱 절차는 디스크램블링 프로세싱을 포함하고, 또는
제1 디코딩 프로세싱 절차는 데이터 심볼에 대한 비순차 해제 프로세싱을 포함하지 않고, 제2 디코딩 프로세싱 절차는 데이터 심볼에 대한 비순차 해제 프로세싱을 포함한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데이터 심볼에 대한 비순차 해제 프로세싱은 다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데이터 부반송파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에 대해 주기적 시프트를 수행하는 것, 홀수 및 짝수 데이터 부반송파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을 교환하는 것, 및 고주파 및 저주파 데이터 부반송파 서브세트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심볼을 교환하는 것.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신단 측에서 기술적 솔루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현 원리와 그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며,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송신단에 사용되는 통신 장치를 더 제공한다. 통신 장치의 구조는 도 9에 도시된 구조와 유사하고, 이 통신 장치도 생성 유닛 및 송신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생성 유닛은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프리앰블은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 및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을 포함하며,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는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동일하고, 제1 필드 이외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임의의 필드는 성상점 매핑을 위해 회전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PSK) 모드를 사용한다.
송신 유닛은 PPDU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2 필드는 성상점 매핑을 위해 회전 BPSK 모드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송신단 측에서 기술적 솔루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현 원리와 그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며,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수신단에 사용되는 통신 장치를 더 제공한다. 통신 장치의 구조는 도 10에 도시된 구조와 유사하며, 이 통신 장치도 또한 수신 유닛 및 판정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유닛은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프리앰블은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 및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을 포함한다.
판정 유닛은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가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동일한지, 그리고 제1 필드 이외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임의의 필드가 성상점 매핑을 위해 회전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PSK) 모드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가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와 동일하같고, 제1 필드 이외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임의의 필드가 성상점 매핑을 위해 회전 BPSK 모드를 사용한다면, PPDU는 타겟 PPDU인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제1 필드 이외의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임의의 필드가 성상점 매핑을 위해 회전 BPSK 모드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은: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2 필드가 성상점 매핑을 위해 회전 BPSK 모드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신단 측에서 기술적 솔루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현 원리와 그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며,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송신단에 사용되는 통신 장치를 더 제공한다. 통신 장치의 구조는 도 9에 도시된 구조와 유사하며, 이 통신 장치도 생성 유닛 및 송신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생성 유닛은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미리 설정된 필드를 포함하고, 미리 설정된 필드의 체크 비트는 데이터 부반송파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있고, 미리 설정된 위치는 PPDU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송신 유닛은 PPDU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미리 설정된 위치는 데이터 부반송파의 시작 위치이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미리 설정된 필드는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 또는 제2 필드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장치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송신단 측에서 기술적 솔루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현 원리와 그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며,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수신단에 사용되는 통신 장치를 더 제공한다. 통신 장치의 구조는 도 10에 도시된 구조와 유사하며, 이 통신 장치도 수신 유닛 및 판정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유닛은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프리앰블은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을 포함한다.
판정 유닛은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의 체크 비트가 데이터 부반송파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미리 설정된 위치는 PPDU가 타겟 PPDU임을 나타내는 데 사용됨 -,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미리 설정된 필드의 체크 비트가 데이터 부반송파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있는 경우, PPDU가 타겟 PPDU인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미리 설정된 위치는 데이터 부반송파의 시작 위치이다.
가능한 구현 설계에서, 미리 설정된 필드는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 또는 제2 필드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장치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신단 측에서 기술적 솔루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현 원리와 그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며,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통신 장치의 전술한 유닛으로의 분할은 단지 논리적 기능으로의 분할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실제 구현에서, 유닛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하나의 물리적 엔티티로 통합되거나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모든 유닛은 프로세싱 요소에 의해 호출되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유닛들 중 일부는 프로세싱 요소에 의해 호출되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유닛들 중 일부는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유닛은 별도로 배치된 프로세싱 요소일 수 있거나, 통신 장치의 칩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송신 유닛은 프로그램 형태로 통신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송신 유닛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 장치의 프로세싱 요소에 의해 호출될 수 있다. 다른 유닛의 구현은 송신 유닛의 구현과 유사하다. 또한, 유닛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함께 통합될 수 있고, 또는 유닛들은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프로세싱 요소는 신호 처리 능력을 갖는 집적 회로일 수 있다. 구현 프로세스에서, 전술한 방법의 단계 또는 전술한 유닛은 프로세싱 요소에서의 하드웨어 집적 로직 회로를 사용하거나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송신부는 송신을 제어하는 유닛이고, 안테나, 무선 주파수 장치 등 통신 장치의 송신 장치를 통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유닛은 전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예컨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하나 이상의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등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술한 유닛 중 하나가 프로그램을 호출하는 프로세싱 요소에 의해 구현될 때, 프로세싱 요소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프로그램을 호출할 수 있는 다른 프로세서와 같은 범용 프로세서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유닛들은 함께 통합되어 시스템 온 칩(SOC)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110)의 하드웨어 구조의 개략도이다. 통신 장치(1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1), 통신 버스(1102), 메모리(1103) 및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1104)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101)는 범용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또는 본 출원의 솔루션에서 프로그램의 실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일 수 있다.
통신 버스(1102)는 전술한 컴포넌들 간에 정보가 전송되는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04)는 트랜시버 유형의 임의의 장치이며, 다른 장치 또는 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이더넷,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또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1103)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또는 정적 정보 및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정적 저장 장치,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또는 다른 정보 및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는 또 다른 유형의 동적 저장 장치일 수 있거나, 또는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 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 컴팩트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CD-ROM) 또는 다른 컴팩트 디스크 저장소, 광학 디스크 저장소(압축된 광학 디스크, 레이저 디스크, 광학 디스크, 디지털 다목적 광학 디스크, 블루 레이 광학 디스크 등을 포함함),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자기 저장 장치, 또는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예상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전달하거나 저장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다른 매체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메모리는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버스를 통해 프로세서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통합될 수 있다.
메모리(1103)는 본 출원의 솔루션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1101)는 실행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101)는 메모리(1103)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여 본 출원의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공된 통신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으로, 선택에 따라,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1)는 본 출원의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제공된 통신 방법에서 프로세싱 관련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통신 인터페이스(1104)는 다른 장치와의 또는 통신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담당한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 구현에서,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1)는 하나 이상의 CPU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현에서, 일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110)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프로세서는 단일 코어(단일 CPU) 프로세서이거나 다중 코어(멀티 CPU) 프로세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세서는 데이터(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처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코어일 수 있다.
특정 구현에서, 일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110)는 출력 장치 및 입력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장치는 프로세서(1101)와 통신하고, 정보를 여러 가지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장치, 음극선 관(CRT) 디스플레이 장치, 프로젝터 등일 수 있. 입력 장치는 프로세서(1101)와 통신하고, 복수의 방식으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마우스, 키보드, 터치 스크린 장치 또는 센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장치(110)는 칩, 송신단, 수신단, 또는 도 11에 도시된 장치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장치일 수 있다. 통신 장치(110)의 유형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110)는 통합을 통해 구현된 기능 모듈과 함께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모듈"은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SIC), 회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메모리, 집적 로직 회로, 및/또는 전술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컴포넌트일 수 있다. 간단한 실시예에서, 당업자라면, 통신 장치(110)가 도 11에 도시된 형태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 및 도 10의 유닛들의 기능/구현 프로세스는 도 11의 프로세서(1101) 및 메모리(1103)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의 생성 유닛은 메모리(1103)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함으로써 프로세서(1101)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달리, 도 9의 송신 유닛은 도 11의 통신 인터페이스(110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된 통신 장치는 구체적으로 도 4, 도 6 또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송신단일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메모리(1103)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호출할 때, 프로세서(1101)는 도 4, 도 6 또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된 방법을 송신단 측에서 수행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된 통신 장치는 구체적으로 도 4, 도 6 또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신단일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메모리(1103)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호출할 때, 프로세서(1101)는 도 4, 도 6 또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된 방법을 수신단 측에서 수행할 수 있다.
선택에 따라,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통신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서 설명된 통신 장치 또는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때,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명령어가 포함된다. 컴퓨터 명령어가 컴퓨터에 로딩되어 실행될 때,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절차 또는 기능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생성된다.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 명령어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명령어는 하나의 웹 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에서 다른 웹 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유선(예컨대, 동축 케이블, 광섬유 또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으로 또는 무선으로(예컨대, 적외선, 라디오 또는 마이크로웨이브)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또는 데이터 저장 장치,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매체를 통합하는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사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매체는 자기 매체(예컨대,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광학 매체(예컨대, DVD), 반도체 매체(예를 들어,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SD)) 등일 수 있다.

Claims (22)

  1. 통신 방법으로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 및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매우 높은 처리량 (extremely high throughput, EHT)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레거시 짧은 트레이닝 필드 (legacy-short training field)(L-STF), 레거시 긴 트레이닝 필드 (legacy-long training field)(L-LTF) 및 레거시 신호 (legacy signal)(L-SIG) 필드를 차례로 포함하며, 상기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는 상기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 내의 하나의 필드의 반복이며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PSK)에 의하여 변조됨 ―와,
    상기 EHT PPDU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 내의 상기 하나의 필드는 상기 L-SIG 필드인
    통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L-SIG 필드의 길이 필드의 값 및 상기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상기 제1 필드의 값은 모두 3으로 나뉘며,
    3으로 나뉜다는 점이 상기 EHT PPDU와 고효율 (high efficient HE) PPDU의 차이를 나타내는
    통신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L-SIG 필드의 길이 필드의 값은 3으로 나뉘며,
    3으로 나뉜다는 점이 상기 EHT PPDU와 고효율 (high efficient HE) PPDU의 차이를 나타내는
    통신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드는 상기 L-SIG 필드의 바로 다음이며,
    상기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매우 높은 처리량 신호 2 (EHT-SIG 2) 필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EHT-SIG 2 필드는 매우 높은 처리량 신호 1 (EHT-SIG 1) 필드의 바로 다음이고, 자원 유닛 (RU) 할당 및 사용자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 방법.
  6. 통신 방법으로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 및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매우 높은 처리량 (extremely high throughput, EHT)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레거시 짧은 트레이닝 필드 (legacy-short training field)(L-STF), 레거시 긴 트레이닝 필드 (legacy-long training field)(L-LTF) 및 레거시 신호 (legacy signal)(L-SIG) 필드를 차례로 포함하며, 상기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는 상기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 내의 하나의 필드의 반복이며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PSK)에 의하여 변조됨 ―와,
    상기 EHT PPDU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 내의 상기 하나의 필드는 상기 L-SIG 필드인
    통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L-SIG 필드의 길이 필드의 값 및 상기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상기 제1 필드의 값은 모두 3으로 나뉘며,
    3으로 나뉜다는 점이 상기 EHT PPDU와 고효율 (high efficient HE) PPDU의 차이를 나타내는
    통신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L-SIG 필드의 길이 필드의 값은 3으로 나뉘며,
    3으로 나뉜다는 점이 상기 EHT PPDU와 고효율 (high efficient HE) PPDU의 차이를 나타내는
    통신 방법.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상기 제1 필드는 상기 L-SIG 필드의 바로 다음이며,
    상기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매우 높은 처리량 신호 2 (EHT-SIG 2) 필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EHT-SIG 2 필드는 매우 높은 처리량 신호 1 (EHT-SIG 1) 필드의 바로 다음이고, 자원 유닛 (RU) 할당 및 사용자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 방법.
  11. 통신 장치로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 및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매우 높은 처리량 (extremely high throughput, EHT)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 상기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레거시 짧은 트레이닝 필드 (legacy-short training field)(L-STF), 레거시 긴 트레이닝 필드 (legacy-long training field)(L-LTF) 및 레거시 신호 (legacy signal)(L-SIG) 필드를 차례로 포함하며, 상기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는 상기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 내의 하나의 필드의 반복이며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PSK)에 의하여 변조됨 ―와,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상기 EHT PPDU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기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 내의 상기 하나의 필드는 상기 L-SIG 필드인
    통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L-SIG 필드의 길이 필드의 값 및 상기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상기 제1 필드의 값은 모두 3으로 나뉘며,
    3으로 나뉜다는 점이 상기 EHT PPDU와 고효율 (high efficient HE) PPDU의 차이를 나타내는
    통신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L-SIG 필드의 길이 필드의 값은 3으로 나뉘며,
    3으로 나뉜다는 점이 상기 EHT PPDU와 고효율 (high efficient HE) PPDU의 차이를 나타내는
    통신 장치.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상기 제1 필드는 상기 L-SIG 필드의 바로 다음이며,
    상기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매우 높은 처리량 신호 2 (EHT-SIG 2) 필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EHT-SIG 2 필드는 매우 높은 처리량 신호 1 (EHT-SIG 1) 필드의 바로 다음이고, 자원 유닛 (RU) 할당 및 사용자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 장치.
  16. 통신 장치로서,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 및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매우 높은 처리량 (extremely high throughput, EHT)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PDU)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 상기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레거시 짧은 트레이닝 필드 (legacy-short training field)(L-STF), 레거시 긴 트레이닝 필드 (legacy-long training field)(L-LTF) 및 레거시 신호 (legacy signal)(L-SIG) 필드를 차례로 포함하며, 상기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제1 필드는 상기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 내의 하나의 필드의 반복이며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PSK)에 의하여 변조됨 ―와,
    상기 수신기에 연결되고, 상기 EHT PPDU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레거시 물리 계층 프리앰블 내의 상기 하나의 필드는 상기 L-SIG 필드인
    통신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L-SIG 필드의 길이 필드의 값 및 상기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상기 제1 필드의 값은 모두 3으로 나뉘며,
    3으로 나뉜다는 점이 상기 EHT PPDU와 고효율 (high efficient HE) PPDU의 차이를 나타내는
    통신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L-SIG 필드의 길이 필드의 값은 3으로 나뉘며,
    3으로 나뉜다는 점이 상기 EHT PPDU와 고효율 (high efficient HE) PPDU의 차이를 나타내는
    통신 장치.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의 상기 제1 필드는 상기 L-SIG 필드의 바로 다음이며,
    상기 새로운 물리 계층 프리앰블은 매우 높은 처리량 신호 2 (EHT-SIG 2) 필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EHT-SIG 2 필드는 매우 높은 처리량 신호 1 (EHT-SIG 1) 필드의 바로 다음이고, 자원 유닛 (RU) 할당 및 사용자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 장치.
  21.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는
    저장 매체.
  22.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
KR1020247012399A 2018-07-06 2019-07-05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통신 디바이스 KR202400544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739872.8A CN110691114A (zh) 2018-07-06 2018-07-06 通信方法、装置及设备
CN201810739872.8 2018-07-06
KR1020217001804A KR20210021394A (ko) 2018-07-06 2019-07-05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통신 디바이스
PCT/CN2019/094779 WO2020007350A1 (zh) 2018-07-06 2019-07-05 通信方法、装置及设备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804A Division KR20210021394A (ko) 2018-07-06 2019-07-05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통신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4418A true KR20240054418A (ko) 2024-04-25

Family

ID=690606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804A KR20210021394A (ko) 2018-07-06 2019-07-05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통신 디바이스
KR1020247012399A KR20240054418A (ko) 2018-07-06 2019-07-05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통신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804A KR20210021394A (ko) 2018-07-06 2019-07-05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통신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1575482B2 (ko)
EP (2) EP3806426A4 (ko)
JP (1) JP7308917B2 (ko)
KR (2) KR20210021394A (ko)
CN (3) CN110691114A (ko)
WO (1) WO20200073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1114A (zh) * 2018-07-06 2020-01-14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及设备
US11464022B2 (en) * 2018-09-19 2022-10-0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PDU in WLAN system
SG10201808652UA (en) * 2018-10-01 2020-05-28 Panasonic Ip Corp Americ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Channel Estimation
JP7308623B2 (ja) * 2019-02-28 2023-07-1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並びに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20255785A1 (en) * 2019-07-04 2022-08-11 Lg Electronics Inc. Technique for configuring preambl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20329471A1 (en) * 2019-08-12 2022-10-13 Lg Electronics Inc. Technique for configuring preambl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3225793A (zh) * 2020-01-21 2021-08-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局域网的通信方法及装置
KR20220113464A (ko) * 2020-02-20 2022-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광대역에 대한 1x eht-stf 시퀀스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10282119A1 (en) * 2020-03-04 2021-09-09 Qualcomm Incorporated Group data transmissions for multi-link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CN113395131A (zh) 2020-03-12 2021-09-14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相关装置
CN114338829A (zh) * 2020-09-30 2022-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名义包填充值的指示方法、确定方法及通信装置
US20220141052A1 (en) * 2020-11-02 2022-05-05 Avago Technologies International Sales Pte. Limited Ltf sequences for 320 mhz wifi channels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1957A (ko) * 2008-08-18 2010-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자동 재전송 요청 피드백 메시지 생성 장치 및 방법
EP2811717B1 (en) * 2009-04-13 2016-08-03 Marvell World Trade Ltd. Physical layer frame format for wlan
CN102595494A (zh) * 2012-02-07 2012-07-18 北京新岸线无线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和装置
CN103916353B (zh) * 2013-01-07 2017-11-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降低峰均比的方法及装置
US9271241B2 (en) 2013-11-19 2016-02-23 Intel IP Corporation Access point and methods for distinguishing HEW physical layer packets with backwards compatibility
US9647816B2 (en) * 2014-07-16 2017-05-09 Newracom, Inc.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s with varying subcarrier spacings
EP3178207A4 (en) 2014-08-04 2018-03-21 Intel IP Corporation Wireless devic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a high efficiency signal-a field in a high efficiency wireless local- area network
KR20160019383A (ko) * 2014-08-11 2016-02-19 뉴라컴 인코포레이티드 고효율 무선랜의 물리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포맷
US9877174B2 (en) * 2014-10-15 2018-01-23 Intel IP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extending range of wireless networks
US10327226B2 (en) * 2014-12-12 2019-06-18 Newraco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allocation for multiple user transmission in a High Efficiency wireless LAN
US10327246B2 (en) * 2014-12-30 2019-06-18 Newraco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ide bandwidth PPDU transmission in a high efficiency wireless LAN
US9866290B2 (en) 2015-02-17 2018-01-09 Newracom,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multi-user simultaneous transmission
WO2016143970A1 (ko) 2015-03-06 2016-09-15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6159476A1 (ko) * 2015-03-27 2016-10-06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N107529354B (zh) * 2015-03-31 2020-02-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和传输装置
AU2016273154B2 (en) * 2015-06-03 2019-12-12 Apple Inc. Transmission device and transmission method for aggregate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
KR20230074296A (ko) * 2015-06-29 2023-05-26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데이터 전송을 위한 채널 접근 방법,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KR102178131B1 (ko) * 2015-06-29 2020-11-12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레거시 무선 통신 단말과 공존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CN106533612A (zh) * 2015-09-14 2017-03-22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高效率信令b字段的方法、站点和接入点
US20170111196A1 (en) 2015-10-20 2017-04-20 Mediatek Inc. Method of embedding auxiliary information into legacy physical layer preamble
WO2017073011A1 (en) * 2015-10-30 2017-05-0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Transmission method and transmission apparatus for packet format detection
US9832058B2 (en) * 2015-11-03 2017-11-28 Newracom,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crambling control field inform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s
CN108141304B (zh) * 2015-11-04 2019-09-17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中的控制信令的发送装置和发送方法
US10567555B2 (en) * 2015-11-06 2020-02-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arly detection of high efficiency wireless packets in wireless communication
CN105553623B (zh) * 2015-12-25 2019-03-29 魅族科技(中国)有限公司 无线局域网的通信方法及通信装置、接入点和站点
US10397955B2 (en) * 2016-07-06 2019-08-27 Frontside Uplink PPDU transmission
CN107645747B (zh) * 2016-07-22 2020-02-2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发送和接收数据的方法及设备
US10129064B1 (en) * 2016-08-02 2018-11-13 Newracom, Inc. Wireless device low power wake up
CN108011688B (zh) * 2016-11-01 2020-07-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传输多站点控制帧的方法、接入点及系统
CN110691114A (zh) * 2018-07-06 2020-01-14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及设备
US11588673B2 (en) * 2020-01-30 2023-02-21 Lg Electronics Inc. Technique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a PPDU format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88073A1 (en) 2023-11-30
JP7308917B2 (ja) 2023-07-14
CN110691114A (zh) 2020-01-14
US11575482B2 (en) 2023-02-07
CN116405160A (zh) 2023-07-07
US20210126755A1 (en) 2021-04-29
US11882069B2 (en) 2024-01-23
KR20210021394A (ko) 2021-02-25
US20230163909A1 (en) 2023-05-25
US11991110B2 (en) 2024-05-21
EP4239923A2 (en) 2023-09-06
EP4239923A3 (en) 2023-10-11
EP3806426A1 (en) 2021-04-14
WO2020007350A1 (zh) 2020-01-09
JP2021530168A (ja) 2021-11-04
CN116488773A (zh) 2023-07-25
EP3806426A4 (en) 202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08917B2 (ja) 通信方法、通信装置、及び通信デバイス
US10320537B2 (en) Downlink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 format in a high efficiency wireless LAN
JP727911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ブロック送信方法及び送信機
EP2811717B1 (en) Physical layer frame format for wlan
US201202631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various transmission modes for wlan systems
US9532187B2 (en) Interleaver for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 in a high efficiency wireless LAN
RU2664396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а с низкой плотностью контроля по четности
US11128508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11394492B2 (en) Binary convolutional coding (BCC) interleaver, dual sub-carrier modulation (DCM) constellation mapper, and low-density parity-check (LDPC) tone mapper design
US20210399930A1 (en) Information sending and receiving methods and apparatuses
CN111801900A (zh) 唤醒无线电单元发射分集
US20240015715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mmunication based on extended bandwidth and multi-resource unit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US20220141062A1 (en) Data sending and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KR2022014235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up 모드에서 ppdu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45188A (ko) 검출 가능한 wlan 버전 식별이 있는 프리앰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