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3890A - 인휠 모터용 씰링 장치 및 상기 씰링 장치와 더스트 커버를 포함하는 인휠 모터용 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휠 모터용 씰링 장치 및 상기 씰링 장치와 더스트 커버를 포함하는 인휠 모터용 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3890A
KR20240053890A KR1020220133981A KR20220133981A KR20240053890A KR 20240053890 A KR20240053890 A KR 20240053890A KR 1020220133981 A KR1020220133981 A KR 1020220133981A KR 20220133981 A KR20220133981 A KR 20220133981A KR 20240053890 A KR20240053890 A KR 20240053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wheel motor
slinger
contac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3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광
Original Assignee
평화오일씰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오일씰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오일씰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3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3890A/ko
Publication of KR20240053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38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 F16J15/32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having two or more 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44Free-space packings
    • F16J15/447Labyrinth pack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6Structural association of a motor or generator with the drive train of a motor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휠 모터의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수분 및 먼지 등의 이물질을 차단하기 위한 인휠 모터용 씰링 장치 및 상기 씰링 장치와 더스트 커버를 포함하는 인휠 모터용 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오일 씰링 장치의 수리 및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 인휠 모터에 쉽게 탈장착이 가능하면서도 높은 원주속도에서 사용 가능한 내구성을 가지며 인휠 모터의 구동시 발생하는 편심에 의한 마찰력을 감소시켜 인휠 모터의 토크 출력을 감소시키지 않는 인휠 모터용 씰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휠 모터용 씰링 장치 및 상기 씰링 장치와 더스트 커버를 포함하는 인휠 모터용 씰링 시스템{Sealing Device and Sealing System for In-wheel Motor Including Dust Cover and the Sealing Device}
본 발명은 인휠 모터의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수분 및 먼지 등의 이물질을 차단하기 위한 인휠 모터용 씰링 장치 및 상기 씰링 장치와 더스트 커버를 포함하는 인휠 모터용 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의 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차량의 변속기(transmission), 액슬(axle), 허브베어링(hub bearing) 등과 같이 구동력을 전달하는 장치에는 상기 장치를 구성하는 케이스(case)와 상기 케이스의 외부와 내부를 관통하며 구동력을 전달하는 샤프트(shaft)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와 샤프트 사이의 틈새로 외부의 먼지, 니수(泥水)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씰 및 씰링 장치가 구비된다.
씰은 샤프트가 정지해 있을 때뿐만 아니라 고속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샤프트 표면과 접촉되어 일정한 접촉면을 형성하여야 외부의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씰과 샤프트가 충분한 접촉면과 접촉 압력을 형성하지 못하면 외부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지 못하고, 씰과 샤프트가 너무 과도한 접촉면과 접촉 압력을 갖게 되면 샤프트와 씰의 마찰에 의하여 샤프트의 구동력이 소실될 뿐만 아니라 씰이 손상되거나 마모될 수 있다.
따라서 씰은 샤프트의 표면과 적당한 압력, 즉 외부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면서도 샤프트와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압력으로 접촉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한편 휘발유, 경유 등과 같은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차량 대신에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는 전기 자동차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인휠 모터는 상기 전기 자동차와 같이 전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자동차에 사용되는 기술로서, 가솔린 또는 디젤 자동차에서의 엔진-미션-구동축을 통한 동력 전달에 의해 바퀴가 회전 구동하는 방식과는 달리, 휠 림 내부에 배치되는 모터에 의해 동력이 휠에 직접 전달된다. 따라서 인휠 모터를 적용하는 경우 엔진, 변속기나 차동기어와 같은 구동 및 동력전달장치를 생략할 수 있어 차량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동력전달과정에서의 에너지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인휠 모터는 크게 두 가지 구동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외륜 회전방식과 내륜 회전방식이 있다.
도 1에 외륜 회전방식의 인휠 모터가 장착된 휠 구조체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내었으며, 도 2에 외륜 회전방식의 인휠 모터가 장착된 휠 구조체를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륜 회전방식의 인휠 모터는, 내측의 모터 스테이터(170)와 외측의 로터(180)가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터 스테이터(170)에는 코일(171)이 권선되고, 상기 로터(180)에는 영구자석(181)이 구비된다. 상기 인휠 모터의 모터 스테이터(170)는 스테이터 브래킷(80)을 개재하여 너클(30)에 고정된다. 상기 너클(30)은 차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인휠 모터의 모터 스테이터(170)도 차체에 대해 고정된다. 한편, 인휠 모터의 로터(180)는 로터 브래킷(130)을 개재하여 휠(140)에 고정되어 있어 인휠 모터가 작동하여 로터(180)가 모터 스테이터(170)에 대해 회전하면 휠(140) 및 바퀴(141)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인휠 모터의 경우, 인휠 모터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며, 외부로부터 유입된 이물질은 전기에 의하여 작동되는 인휠 모터의 작동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외부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외부 이물질이 브래킷(130)과 스테이터 브래킷(80) 사이의 공간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모터 스테이터(170)와 외측의 로터(180) 사이의 갭과 휠베어링의 내륜(50)과 외륜(70) 사이의 갭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스테이터(170)와 외측의 로터(180) 사이에 적용되는 씰링 장치는 R2의 직경이 요구되며, 휠베어링의 내륜(50)과 외륜(70) 사이에 적용되는 씰링 장치는 R1의 직경이 요구된다.
R2의 직경을 가지는 씰링 장치는 R1의 직경을 가지는 씰링 장치에 비하여 약 6배 이상의 원주속도(v=rθ/t, r; 반지름, θ; 회전각, t; 시간)를 가지므로 동일한 시간을 운행하더라도 R2의 직경을 가지는 씰은 R1의 직경을 가지는 씰에 비하여 훨씬 큰 마찰에 노출되게 된다. 또한 차량의 하중에 의하여 인휠 모터의 구동시 R2의 직경을 가지는 씰링 장치가 R1의 직경을 가지는 씰링 장치에 비하여 훨씬 큰 편심이 발생하게 되므로 균일한 마찰력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R1의 직경을 가지는 씰링 장치와 같은 기존의 씰링 장치는 직경이 100mm 이하이며 편심이 0.2 mm이하인 경우에 적용이 가능하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300 mm 이상이고 편심이 1.0 mm 이상인 경우(즉 R2의 직경을 가지는 씰링 장치)에는 적용될 수 없다.
등록특허공보 제10-2168516호에는 인휠 모터의 아우터 로터와 스테이터 사이의 최외측에 압입 장착되어 인휠 모터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출력 인휠모터의 오일 씰링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오일 씰링 장치는 제1완충부재를 구비한 제1지지프레임, 하나 이상의 립이 형성되는 제2완충부재를 구비한 제2지지프레임과 제3지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오일 씰링 장치는 아우터 로터와 스테이터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고정된다.
상기 인휠모터의 오일 씰링 장치와 같이 300 mm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오일 씰링 장치를 강제 압입 방식으로 아우터 로터와 스테이터에 고정하려면 오일 씰링 장치에 많은 부하가 걸리게 되고 결국 오일 씰링 장치를 구성하는 지지프레임 및 완충부재에 변형이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변형은 오일 씰링 장치의 밀폐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그리고 큰 직경을 가지는 오일 씰링 장치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완충부재들이 높은 원주속도를 가지게 되므로 마찰에 의한 완충부재의 손상이 발생하기 쉽고, 손상된 오일 씰링 장치의 수리 및 교체가 요구되게 된다. 하지만 억지 끼움 방식으로 고정된 대경의 오일 씰링 장치를 단순한 도구를 이용하여 인휠 모터에서 제거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인휠 모터에 쉽게 탈장착이 가능하면서도 높은 원주속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내구성과 인휠 모터의 구동시 발생하는 편심에 의한 마찰력을 감소시켜 인휠 모터의 토크 출력을 감소시키지 않는 인휠 모터용 씰링 장치 및 상기 씰링 장치와 더스트 커버를 포함하는 인휠 모터용 씰링 시스템이 요구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2168516호(2020. 10. 23. 공고) 미국 공개특허공보 US 2005/0247469 A1(2005. 11. 10. 공개)
본 발명은 인휠 모터의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수분 및 먼지 등의 이물질을 차단하기 위한 인휠 모터용 씰링 장치 및 상기 씰링 장치와 더스트 커버를 포함하는 인휠 모터용 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인휠 모터용 씰링 장치와 더스트 커버가 억지 끼움 방식으로 고정자와 회전자에 고정되는 경우 인휠 모터로부터 탈장착이 어려우므로 고정자와 회전자로부터 탈장착이 용이한 씰링 시스템이 요구된다.
또한 인휠 모터의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의 갭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매우 높은 원주속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내구성과 인휠 모터의 구동시 회전자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편심에 의한 마찰력을 감소시켜 인휠 모터의 토크 출력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인휠 모터의 코일에 의한 발명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씰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휠 모터용 씰링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인휠 모터의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에 적용되는 씰링 시스템으로써, 상기 씰링 시스템은 볼트에 의하여 고정자에 체결되는 더스트 커버 및 씰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씰링 장치는 볼트에 의하여 회전자에 고정되는 슬링어와 상기 고정자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자의 안착부 및 내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더스트 커버에 의하여 압착 고정되는 씰을 포함한다.
상기 인휠 모터용 씰링 시스템은 볼트에 의하여 탈장착이 가능한 더스트 커버 및 슬링어와 장착이 용이한 씰을 구비함으로써 쉽게 씰링 시스템의 조립과 교체가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인휠 모터용 씰링 시스템은 고정자에 볼트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홀을 구비한 제1부분,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절곡되어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부분, 상기 제1부분과 평행하게 제2부분으로부터 절곡 연장되는 제3부분, 상기 제3부분으로부터 회전자 측으로 절곡되는 제4부분을 포함하는 더스트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휠 모터용 씰링 시스템은 회전자에 볼트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홀을 구비한 제1부분,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절곡되어 회전자 내면에 접촉되는 제2부분, 상기 제2부분으로부터 제1부분과 평행하게 절곡되어 고정자측으로 연장되는 제3부분, 상기 제3부분으로부터 씰 측으로 절곡되는 제4부분을 포함하는 슬링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휠 모터용 씰링 시스템은 씰을 포함하며, 상기 씰은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에 형성된 완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은 ‘ㄱ’자 형태를 가지며 상기 고정자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1부분,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90도 각도로 절곡되어 고정자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슬링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분의 일단은 고정자의 안착부에 배치되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제1,2부분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고정자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제1부분, 더스트 커버의 제1부분에 접촉되는 제2부분 및 고정자의 안착부에 접촉되는 제3부분, 상기 슬링어의 제3부분에 접촉되는 제1,2립, 상기 제3부분과 비접촉식으로 배치되는 제3립 및 슬링어의 제2부분에 비접촉되는 제4립을 포함하며, 인휠 모터용 씰링 시스템은상기 제1,2,3립은 고정자의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4립은 회전자의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휠 모터용 씰링 시스템은 다른 형태의 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씰은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에 형성된 완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은 ‘’자 형태를 가지며 상기 고정자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1부분,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90도 각도로 절곡되어 고정자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슬링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부분, 상기 제2부분의 일단에서 인휠 모터의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3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분의 일단은 고정자의 안착부에 배치되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제1,2,3부분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고정자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제1부분, 더스트 커버의 제1부분에 접촉되는 제2부분, 고정자의 안착부에 접촉되는 제3부분, 상기 슬링어의 제3부분에 접촉되는 제1,2립 및 슬링어의 제2부분과 비접촉식으로 배치되는 제4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2립은 고정자의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며 제4립은 회전자의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씰링 시스템들은 더스트 커버의 제2부분과 씰의 제2부분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은 더스트 커버 제4부분과 슬링어의 제1부분 사이로 유입되는 수분 또는 이물질 등이 체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유입된 이물질이 완충부재의 제4립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공간에 체류되는 이물질은 바퀴의 회전시 다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씰링 시스템은 제1,2립들이 슬링어와 고정자의 축방향으로만 접촉되므로, 인휠 모터의 구동시 회전자의 회전에 따른 편심 발생시에도 슬링어와 제1,2립들 사이의 일정한 접촉을 유지할 수 있어 립들과 슬링어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으므로 인휠 모터의 토크 손실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속의 원주속도에도 불구하고 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휠 모터용 씰링 시스템은 다른 형태의 슬링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슬링어는 회전자에 볼트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홀을 구비하여 고정자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부분,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인휠 모터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부분, 제2부분으로부터 절곡되어 제1부분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3부분, 제3부분으로부터 인휠 모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4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링어의 경사진 제2부분과 제3부분이 각각 더스트 커버의 경사진 제2부분 및 제1부분과 서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슬링어의 제2부분과 더스트 커버의 경사진 제2부분 사이의 간격이 고정자 측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도록, 그리고 슬링어의 제3부분과 더스트 커버의 제1부분 사이의 간격이 슬링어의 제1부분과 더스트 커버의 제3부분 사이의 간격 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슬링어와 더스트 커버의 사이로 유입된 이물질 또는 수분이 씰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휠 모터용 씰링 시스템은 씰을 포함하며, 상기 씰은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에 형성된 완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은 ‘┛’자 형태를 가지며 상기 고정자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90도로 절곡되어 고정자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슬링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제1,2부분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고정자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제1부분, 상기 더스트 커버의 제1부분과 압착되는 제2부분, 일부분이 고정자의 안착부에 접촉되는 제3부분과 상기 슬링어의 제3부분에 접촉되는 제1립과 슬링어의 제1부분에 접촉되는 제2립 및 상기 제1부분과 비접촉식으로 배치되는 제3립을 포함하며, 상기 제1,2립들은 고정자 측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2립들은 슬링어와 고정자의 축방향으로만 접촉되므로, 인휠 모터의 구동시 회전자의 회전에 따른 편심 발생시에도 슬링어와 제1,2립들 사이의 일정한 접촉을 유지할 수 있어 립들과 슬링어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으므로 인휠 모터의 토크 손실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속의 원주속도에도 불구하고 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재는 고정자의 내측면 및 안착부에 접하는 부분과 더스트 커버의 제1부분에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돌기부는 고정자와 씰 사이의 밀봉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휠 모터용 씰링 장치는 인휠 모터의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에 적용되는 인휠 모터용 씰링 장치로써, 회전자에 고정되는 슬링어와 고정자에 고정되는 씰을 포함하며, 상기 씰은 지지프레임 및 립이 형성된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의 립은 상기 슬링어와 인휠 모터의 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부재의 립은 상기 슬링어와 인휠 모터의 코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코일의 발열에 의한 온도 상승에 따른 완충부재의 물리적 특성의 변화, 노화, 손상의 가능성을 낮추게 된다.
본 발명은 인휠 모터의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수분 및 먼지 등의 이물질을 차단하기 위한 인휠 모터용 씰링 장치 및 상기 씰링 장치와 더스트 커버를 포함하는 인휠 모터용 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스트 커버 및 슬링어가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되므로 탈장착이 쉬우면서도 높은 원주속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내구성을 가지며 인휠 모터의 구동시 발생하는 편심에 의한 마찰력을 감소시켜 인휠 모터의 토크 출력을 감소시키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휠 모터용 씰링 장치는 인휠 모터의 작동시 코일에 의한 발열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외륜 회전방식의 인휠 모터가 장착되어 있는 휠 구조체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외륜 회전방식의 인휠 모터가 장착되어 있는 휠 구조체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씰링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씰링 시스템의 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씰링 시스템의 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씰링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는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휠 모터용 씰링 장치 및 상기 씰링 장치와 더스트 커버를 포함하는 인휠 모터용 씰링 시스템을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씰링 시스템은 슬링어(300) 및 씰(400)을 포함하는 씰링 장치와 더스트 커버(900)를 포함한다.
상기 더스트 커버(900)는 고정자(S)에 볼트(B)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홀(H)을 구비한 제1부분(910), 상기 제1부분(910)으로부터 절곡되어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부분(920), 상기 제1부분(910)과 평행하게 제2부분(920)으로부터 절곡 연장되는 제3부분(930), 상기 제3부분(930)으로부터 회전자(R) 측으로 절곡되는 제4부분(940)을 포함하며, 상기 제4부분(940)의 단부는 회전자(R)의 외경과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회전자(R) 측으로 절곡되는 제4부분(940)은 후술하는 슬링어(300)의 제1부분(310)과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외부 이물질이 더스트 커버(9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일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홀(H)은 더스트 커버(900)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홀(H)의 갯수는 더스트 커버(900)를 고정자(S)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면 제한이 없다. 그리고 상기 더스트 커버(900)는 금속재료, 복합소재, 고분자소재 등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링어(300)는 회전자(R)에 볼트(B)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홀(H)을 구비한 제1부분(310), 상기 제1부분(310)으로부터 절곡되어 회전자(R) 내면에 접촉되는 제2부분(320), 상기 제2부분(320)으로부터 제1부분(310)과 평행하게 절곡되어 고정자(S)측으로 연장되는 제3부분(330), 상기 제3부분(330)으로부터 씰(400) 측으로 절곡되는 제4부분(340)을 포함하며, 상기 제4부분(340)의 단부는 아래 서술하는 씰(400)의 제1부분(420)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슬링어는 강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금속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홀(H)은 슬링어(300)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홀(H)의 갯수는 슬링어(300)를 회전자(R)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면 제한이 없다.
상기 씰(400)은 지지프레임(410)과 상기 지지프레임(410)의 외측에 형성된 완충부재(50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410)은 ‘ㄱ’자 형태를 가지며 상기 고정자(S)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1부분(420), 상기 더스트 커버(200)의 제1부분(210)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부분(430)을 포함하며, 상기 제1부분(420)의 일단은 고정자(S)의 안착부(S’) 상에 안착된다.
상기 완충부재(500)는 상기 지지프레임(410)의 제1,2부분(420, 430)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슬링어(300)의 제3부분(330)에 접촉되는 제1,2립(510, 520)과 슬링어(300)의 제3부분(330) 상부에 위치하지만 제3부분(330)과 비접촉식으로 배치되는 제3립(530), 슬링어(300)의 제2부분(320)을 향하여 배치되지만 제2부분(320)과 비접촉되는 제4립(540)을 포함한다. 상기 제1,2,3립(510, 520, 530)은 고정자(S)의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며 제4립(540)은 회전자(R)의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3립(530)과 제4립(540)은 슬링어(300)와 비접촉 상태로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1,2립(510, 520)은 제3,4립(530, 540)을 통과한 보다 작은 이물질 또는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완충부재(500)는 지지프레임(410)의 제1,2부분(420, 430)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므로 고정자(S)에 고정시 고정자(S)의 내면에 접촉되는 제1부분(550), 더스트 커버(900)의 제1부분(910)에 접촉되는 제2부분(560) 및 고정자(S)의 안착부(S’)에 접촉되는 제3부분(570)을 형성하여 더스트 커버(900) 및 고정자(S)와 씰(400) 사이의 접촉면을 밀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410)의 제2부분(430)을 둘러싸는 완충부재 제2부분(560)의 일부분은 더스트 커버(900)의 제1부분(910)과 밀접 접촉되고 완충부재 제2부분(560)의 나머지 부분은 더스트 커버(900)의 제2,3부분(920, 930)과 이격되어 배치되어 그 사이에 공간(V)을 형성한다. 상기 완충부재(500)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료로 구성되며 지지프레임(400)은 강재 또는 금속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립들(510, 520)과 슬링어(300) 사이 및 제1립(510)과 돌출부(340) 사이 공간에는 그리스가 적용되어 립들과 슬링어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에는 씰(400)이 고정자(S)에 장착되기 전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나타내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재(500)의 고정자(S)의 내면에 접촉되는 제1부분(550), 더스트 커버(900)의 제1부분(910)에 접촉되는 제2부분(560)과 고정자(S)의 안착부(S’)에 접촉되는 제3부분(570)에는 돌기부(580)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580)들은 씰링 시스템 조립시 고정자(S) 및 더스트 커버(900)와 씰(400) 사이의 밀봉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돌기부의 개수는 씰의 크기 및 형상, 더스트 커버 및 고정자(S)와의 접촉면적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는 씰(400)의 완충부재(500)가 4개의 립들(510~540)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립들의 위치 및 개수는 슬링어의 형상 및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씰링 시스템의 탈장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작업자는 볼트(B)를 이용하여 회전자(R)에 슬링어(300)를 장착한다. 슬링어(300)가 장착된 다음 고정자(S)에 씰(400)을 삽입하여 고정자(S)의 내면 및 안착부(S’)에 씰(400)을 위치시킨다. 이때 씰(400)의 내경은 작업자가 별도의 공구가 필요없이 고정자(S)에 씰(400)을 장착할 수 있을 정도이면 충분하며 상기한 바와 같이 완충부재(500)의 제1부분(550)에 형성된 돌기부(570)에 의해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씰(400)을 장착한 다음 고정자(S)에 더스트 커버(900)를 볼트(B)로 고정시킨다. 이때 더스트 커버(900)의 제1부분(910)이 완충부재(500)의 제2부분(560)의 상부 및 돌기부(580)를 가압하면서 완충부재(500) 제3부분(570)의 돌기부(580)를 고정자(S)의 안착부(S’)에 밀착시키고 완충부재(500) 제1부분(550)의 돌기부(580) 역시 고정자(S)의 내측면에 밀착됨으로써 더스트 커버(900) 및 고정자(S)와 씰(400) 사이가 밀봉되면서 씰(400)이 고정자(S)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된다.
상기 씰링 시스템의 수리 또는 교체가 요구될 때에는 상기한 장착 과정의 역순으로 더스트 커버(900), 씰(400) 및 슬링어(300)를 탈착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씰링 시스템은 볼트에 의하여 탈장착이 가능한 더스트 커버(900) 및 슬링어(300)와 장착이 용이한 씰(400)을 구비함으로써 쉽게 씰링 시스템의 조립과 교체가 용이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씰링 시스템은 제3,4립(530, 540)이 슬링어(300)와 비접촉식으로 구성되고 제1,2립(510, 520)들이 슬링어(300)의 제3부분(330)과 고정자(S)의 축방향(X, 즉 인휠 모터의 구동축)으로만 접촉되므로, 인휠 모터의 구동시 회전자(R)의 회전에 따른 편심 발생시에도 슬링어(300)와 제1,2립들(510, 520)이 일정한 접촉을 유지할 수 있어 립들과 슬링어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으므로 인휠 모터의 토크 손실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속의 원주속도에도 불구하고 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씰링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스트 커버(900) 제2부분(920)과 씰(400)의 제2부분(430) 사이에 공간(V)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은 더스트 커버(900) 제4부분(240)과 슬링어(300) 제1부분(310) 사이로 유입되는 수분 또는 이물질 등이 체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므로 유입된 이물질이 완충부재(500)의 제4립(540)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공간(V)에 체류되는 이물질은 바퀴의 회전시 다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씰링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씰(400’)을 나타내었다. 상기 씰(400’)은 도 3의 씰(400)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씰(400’)은 지지프레임(410’)과 상기 지지프레임(410’)의 외측에 형성된 완충부재(50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410’)은 ‘’자 형태를 가지며 고정자(S)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1부분(420’), 상기 더스트 커버(200)의 제1부분(210)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부분(430’)과 상기 제2부분(440’)으로부터 인휠 모터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3부분(440’)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분(420’)의 일단은 고정자(S)의 안착부(S’) 상에 안착된다.
상기 완충부재(500’)는 상기 지지프레임(410’)의 제1,2,3부분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슬링어(300)의 제3부분(330)에 접촉되는 제1,2립(510’, 520’), 지지프레임(400’)의 제3부분(440’)에 형성되어 슬링어(300)의 제2부분(320)을 향하여 배치되지만 상기 제2부분(320)과 비접촉되는 제4립(540’)을 포함한다. 따라서 슬링어(300)의 제2부분(320)을 향하여 배치되는 제4립(540’)의 강성이 더 높게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 3에 도시된 씰(400)과 차이를 보인다. 상기 제1,2립(510’, 520’)은 고정자(S)의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며 제4립(540)은 회전자(R)의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500’)는 지지프레임(410’)의 제1,2,3부분(420’~440’)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므로 고정자(S)에 고정시 고정자(S)의 내면에 접촉되는 제1부분(550’), 더스트 커버(900)의 제1부분(910)에 접촉되는 제2부분(560’) 및 고정자(S)의 안착부(S’)에 접촉되는 제3부분(570’)을 형성하여 더스트 커버(900) 및 고정자(S)와 씰(400) 사이의 접촉면을 밀폐하게 된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씰링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였다. 더스트 커버(900)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하 슬링어(600)와 씰(7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슬링어(600)는 회전자(R)에 볼트(B)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홀(H)을 구비하여 고정자(S)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부분(610), 상기 제1부분(610)으로부터 인휠 모터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부분(620), 제2부분(620)으로부터 절곡되어 제1부분(610)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3부분(630), 제3부분(630)으로부터 인휠 모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4부분(640)을 포함하며, 상기 제4부분(640)은 후술하는 씰(700)의 제1부분(72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씰(700)은 지지프레임(710)과 지지프레임(710)의 외측에 형성된 완충부재(80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710)은 ‘┛’자 형태를 가지며 상기 고정자(S)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1부분(720)과 상기 제1부분(720)으로부터 90도로 절곡되어 고정자(S)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슬링어(6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부분(730)을 포함한다. 상기 제2부분(730)의 일부는 고정자(S)의 안착부(S’)에 안착된다.
상기 완충부재(800)는 상기 지지프레임(710)의 제1,2부분(720, 730)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슬링어(600)의 제3부분(630)에 접촉되는 제1립(810), 슬링어(600)의 제1부분(610)에 접촉되는 제2립(820)과 상기 제1부분(610)과 비접촉되는 제3립(8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2립들(810, 820)은 고정자(S) 측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제3립(830)은 슬링어(600)와 비접촉식으로 배치되어 제2립(820)과 제3립(810) 사이에 그리스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완충부재(800)는 지지프레임(710)의 제1,2부분(720, 730)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므로 고정자(S)에 고정시 고정자(S)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제1부분(850), 더스트 커버(200)의 제1부분(210)에 접촉되는 제2부분(860) 및 일부분이 고정자(S)의 안착부(S’)에 접촉되는 제3부분(870)을 형성하여 더스트 커버(200)와 고정자(S)의 접촉면을 밀폐하게 된다. 상기 완충부재 (800) 역시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돌기부(580)가 완충부재(800)의 제1,2부분(850, 860) 및 고정자(S)의 안착부(S’)에 접촉되는 제3부분(870)의 일면에 구비되어 조립시 고정자(S) 및 더스트 커버(200)와 씰(800) 사이의 밀봉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돌기부의 개수는 씰의 크기 및 형상, 더스트 커버 및 고정자와의 접촉면적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는 씰(700)의 완충부재(800)가 3개의 립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립들의 위치 및 개수는 슬링어의 형상 및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3립들(810~830)과 슬링어(600) 사이 공간에는 그리스가 적용되어 립들과 슬링어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씰링 시스템의 탈장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작업자는 고정자(S)에 씰(700)을 삽입하여 씰(700)을 고정자(S)의 내측면과 안착부(S’)에 고정시킨다. 이때 씰(700)의 내경은 작업자가 별도의 공구가 필요없이 고정자(S)에 씰(700)을 장착할 수 있을 정도이면 충분하며 상기한 바와 같이 완충부재(800)의 제1부분(850)에 형성된 돌기부(미도시)에 의해 밀착 고정될 수 있다. 그 다음 볼트(B)를 이용하여 회전자(R)에 슬링어(600)를 장착한다. 상기 슬링어(600)을 장착한 다음 고정자(S)에 더스트 커버(900)를 볼트(B)로 고정시킨다. 이때 더스트 커버(900)의 제1부분(910)이 완충부재(800)의 제1부분(860)의 돌기부(미도시) 및 상부에 일정한 압력으로 밀착되면서 완충부재(800)의 제3부분(870)에 형성된 돌기부(미도시)가 고정자(S)의 안착부(S’)에 밀착되고 완충부재(800)의 제2부분(850) 돌기부(미도시)가 고정자(S)의 내측면에 밀착됨으로써 더스트 커버(900)와 고정자(S) 및 씰(800) 사이가 밀봉되면서 씰(800)이 고정자(S)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씰링 시스템의 수리 또는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기한 장착 과정의 역순으로 더스트 커버(900), 슬링어(600) 및 씰(700)을 탈착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씰링 시스템은 볼트에 의하여 탈장착이 가능한 더스트 커버(900) 및 슬링어(600)와 장착이 용이한 씰(700)을 구비함으로써 쉽게 씰링 시스템의 조립과 교체가 용이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씰링 시스템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링어(600)의 경사진 제2부분(620)과 제3부분(630)이 각각 더스트 커버(900)의 경사진 제2부분(920) 및 제1부분(910)과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슬링어(600)의 제2부분(620)과 더스트 커버(900)의 경사진 제2부분(920) 사이의 간격이 고정자(S) 측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도록, 그리고 슬링어(600)의 제3부분(630)과 더스트 커버(900)의 제1부분(910) 사이의 간격이 슬링어(600)의 제1부분(610)과 더스트 커버(900)의 제3부분(930) 사이의 간격 보다 좁게 형성된다. 따라서 슬링어(600)와 더스트 커버(900)의 사이로 유입된 이물질 또는 수분이 씰(700) 측으로 이동하는 속도를 낮추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씰링 시스템 역시 더스트 커버(900) 및 슬링어(600)와 장착이 용이한 씰(700)을 구비함으로써 쉽게 씰링 시스템의 조립과 교체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씰링 시스템은 제1,2립(810, 820)이 슬링어(600)와 고정자(S)의 축방향(X, 즉 인휠 모터의 구동축)으로만 접촉되므로, 인휠 모터의 구동시 회전자(R)의 회전에 따른 편심 발생시에도 슬링어(600)와 제1,2립들(810, 820)이 일정한 접촉을 유지할 수 있어 립들과 슬링어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으므로 인휠 모터의 토크 손실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속의 원주속도에도 불구하고 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휠 모터용 씰링 시스템은 상기한 바 이외의 또 다른 효과를 가진다. 인휠 모터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코일이 고정자(S)에 권취되고, 인휠 모터의 작동시 코일에 의한 발열이 발생하게 된다. 코일에서 발생된 열은 씰링 시스템에 영향을 주게 된다. 특히 고무 재료로 구성되는 완충부재의 경우 슬링어나 더스트 커버에 비하여 온도 상승에 따른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즉 도 3에 개시된 씰링 시스템의 경우 슬링어(300)의 제3부분(330)의 하부에 코일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 코일의 발열에 의한 온도 상승은 금속 소재로 구성되는 슬링어(300)를 따라 전달되어 완충부재(500)의 립들(510~540)에 전달되기 쉽다. 따라서 온도 상승에 따른 립들의 물리적 특성 변화에 따라 원래 설계된 완충부재의 마찰력, 특히 립들과 슬링어의 마찰력이 감소되기 쉬우며 온도 상승에 따른 노화, 손상의 가능성도 높아지게 된다.
하지만 도 6에 도시된 씰링 시스템의 경우, 씰(700)의 제2부분(730)이 코일 측으로 배치되고 립들(810, 820)이 코일 측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코일의 발열에 의한 완충부재(800) 및 립들(810, 820)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씰링 시스템이 외륜 회전방식의 인휠 모터에 적용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씰링 시스템은 내륜 회전방식의 인휠 모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3 및 6에는 더스트 커버 및 인휠 모터용 씰링 장치가 인휠 모터의 내측(즉 도 3, 6의 상부)으로 노출되는 경우(즉 인휠 모터가 장착된 차량 바퀴의 바깥면이 하부인 경우)에 대하여 도시하였으나, 상기 더스트 커버 및 인휠 모터용 씰링 장치는 인휠 모터의 외측(즉 도 3, 6의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300, 600; 슬링어
400, 700; 씰
500, 800; 완충부재
900; 더스트 커버
B; 볼트
H; 홀
R; 회전자
S; 고정자
V; 공간
X; 축

Claims (15)

  1. 인휠 모터의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에 적용되는 씰링 시스템으로써, 상기 씰링 시스템은 볼트에 의하여 고정자에 체결되는 더스트 커버 및 씰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씰링 장치는 볼트에 의하여 회전자에 고정되는 슬링어와 상기 고정자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자의 안착부 및 내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더스트 커버에 의하여 압착 고정되는 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휠 모터용 씰링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커버는 고정자에 볼트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홀을 구비한 제1부분,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절곡되어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부분, 상기 제1부분과 평행하게 제2부분으로부터 절곡 연장되는 제3부분, 상기 제3부분으로부터 회전자 측으로 절곡되는 제4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휠 모터용 씰링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링어는 회전자에 볼트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홀을 구비한 제1부분,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절곡되어 회전자 내면에 접촉되는 제2부분, 상기 제2부분으로부터 제1부분과 평행하게 절곡되어 고정자측으로 연장되는 제3부분, 상기 제3부분으로부터 씰 측으로 절곡되는 제4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휠 모터용 씰링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씰은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에 형성된 완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은 ‘ㄱ’자 형태를 가지며 상기 고정자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1부분,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90도 각도로 절곡되어 고정자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슬링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분의 일단은 고정자의 안착부에 배치되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제1,2부분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고정자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제1부분, 더스트 커버의 제1부분에 접촉되는 제2부분 및 고정자의 안착부에 접촉되는 제3부분, 상기 슬링어의 제3부분에 접촉되는 제1,2립, 상기 제3부분과 비접촉식으로 배치되는 제3립 및 슬링어의 제2부분에 비접촉되는 제4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휠 모터용 씰링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2,3립은 고정자의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4립은 회전자의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휠 모터용 씰링 시스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씰은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에 형성된 완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은 ‘’자 형태를 가지며 상기 고정자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1부분,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90도 각도로 절곡되어 고정자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슬링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부분, 상기 제2부분의 일단에서 인휠 모터의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3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분의 일단은 고정자의 안착부에 배치되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제1,2,3부분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고정자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제1부분, 더스트 커버의 제1부분에 접촉되는 제2부분, 고정자의 안착부에 접촉되는 제3부분, 상기 슬링어의 제3부분에 접촉되는 제1,2립 및 슬링어의 제2부분과 비접촉식으로 배치되는 제4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휠 모터용 씰링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2립은 고정자의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며 제4립은 회전자의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휠 모터용 씰링 시스템.
  8. 청구항 4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커버의 제2부분과 상기 씰의 제2부분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휠 모터용 씰링 시스템.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링어는 회전자에 볼트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홀을 구비하여 고정자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부분,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인휠 모터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부분, 제2부분으로부터 절곡되어 제1부분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3부분, 제3부분으로부터 인휠 모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4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휠 모터용 씰링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씰은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에 형성된 완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은 ‘┛’자 형태를 가지며 상기 고정자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90도로 절곡되어 고정자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슬링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제1,2부분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고정자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제1부분, 상기 더스트 커버의 제1부분과 압착되는 제2부분, 일부분이 고정자의 안착부에 접촉되는 제3부분과 상기 슬링어의 제3부분에 접촉되는 제1립과 슬링어의 제1부분에 접촉되는 제2립 및 상기 제1부분과 비접촉식으로 배치되는 제3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휠 모터용 씰링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2립들은 고정자 측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휠 모터용 씰링 시스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슬링어의 경사진 제2부분과 제3부분이 각각 더스트 커버의 경사진 제2부분 및 제1부분과 서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슬링어의 제2부분과 더스트 커버의 경사진 제2부분 사이의 간격이 고정자 측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도록, 그리고 슬링어의 제3부분과 더스트 커버의 제1부분 사이의 간격이 슬링어의 제1부분과 더스트 커버의 제3부분 사이의 간격 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휠 모터용 씰링 시스템.
  13. 청구항 4, 6,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고정자의 내측면 및 안착부에 접하는 부분과 더스트 커버의 제1부분에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휠 모터용 씰링 시스템.
  14. 인휠 모터의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에 적용되는 인휠 모터용 씰링 장치로써, 회전자에 고정되는 슬링어와 고정자에 고정되는 씰을 포함하며, 상기 씰은 지지프레임 및 립이 형성된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의 립은 상기 슬링어와 인휠 모터의 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휠 모터용 씰링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슬링어는 회전자에 볼트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홀을 구비하여 고정자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부분,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인휠 모터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부분, 제2부분으로부터 절곡되어 제1부분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3부분, 제3부분으로부터 인휠 모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4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자 형태를 가지며 상기 고정자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90도로 절곡되어 고정자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슬링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제1,2부분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고정자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제1부분, 일부분이 고정자의 안착부에 접촉되는 제3부분과 상기 슬링어의 제3부분에 접촉되는 제1립과 슬링어의 제1부분에 접촉되는 제2립 및 상기 제1부분과 비접촉식으로 배치되는 제3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휠 모터용 씰링 장치.
KR1020220133981A 2022-10-18 2022-10-18 인휠 모터용 씰링 장치 및 상기 씰링 장치와 더스트 커버를 포함하는 인휠 모터용 씰링 시스템 KR202400538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3981A KR20240053890A (ko) 2022-10-18 2022-10-18 인휠 모터용 씰링 장치 및 상기 씰링 장치와 더스트 커버를 포함하는 인휠 모터용 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3981A KR20240053890A (ko) 2022-10-18 2022-10-18 인휠 모터용 씰링 장치 및 상기 씰링 장치와 더스트 커버를 포함하는 인휠 모터용 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3890A true KR20240053890A (ko) 2024-04-25

Family

ID=90885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3981A KR20240053890A (ko) 2022-10-18 2022-10-18 인휠 모터용 씰링 장치 및 상기 씰링 장치와 더스트 커버를 포함하는 인휠 모터용 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389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47469A1 (en) 2004-05-10 2005-11-10 Wacker-Chemie Gmbh Cable components of silicone comprising glass fibers
KR102168516B1 (ko) 2019-08-26 2020-10-23 한국에스케이에프씰 주식회사 고출력 인휠모터의 오일 씰링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47469A1 (en) 2004-05-10 2005-11-10 Wacker-Chemie Gmbh Cable components of silicone comprising glass fibers
KR102168516B1 (ko) 2019-08-26 2020-10-23 한국에스케이에프씰 주식회사 고출력 인휠모터의 오일 씰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6731B2 (en) Motor-driven wheel small in size and improved in ride comfort, ease of assembly and reliability
US7121367B2 (en) Installation structure for electric rotating machine in motor vehicle
JP5461580B2 (ja) 電動モータホイール構造体
CN107453538B (zh) 一种带有立柱的轮毂电机
US20200282822A1 (en) In-wheel motor driving apparatus
JP2014075879A (ja) アウターロータ式インホイールモータ
JPH08178080A (ja) 自動車用の単一の車軸シール
CN105691103A (zh) 轮毂驱动总成
KR20120046534A (ko) 휠 베어링용 실링 캡
KR20240053890A (ko) 인휠 모터용 씰링 장치 및 상기 씰링 장치와 더스트 커버를 포함하는 인휠 모터용 씰링 시스템
KR100742027B1 (ko) 허브가 일체화된 브레이크 디스크의 차축 결합 구조
KR101795395B1 (ko) 구동모터용 베어링 유닛
KR102168516B1 (ko) 고출력 인휠모터의 오일 씰링 장치
WO2023092804A1 (zh) 一种可实现轴承防护的电机
CN102884436A (zh) 用于轮轴轴颈的仪表化组件和组装方法
CN1886323A (zh) 无传动机构的且紧凑的外转子驱动系统
KR102592737B1 (ko) 드래그 토크를 저감할 수 있는 차량용 휠베어링
JPWO2014168032A1 (ja) 車両用インホイールモータユニット
CN111664253B (zh) 密封装置和轮毂电机驱动系统
KR102536970B1 (ko) 씰링 기능이 향상된 차량용 휠베어링
CN115335249A (zh) 车轮总成、车辆和组装方法
CN202144179U (zh) 车轮组装置
KR20240053879A (ko) 인휠 모터용 씰 및 이를 포함하는 인휠 모터용 씰링 장치
CN105691104A (zh) 轮毂驱动总成
CN112622612B (zh) 一种汽车驱动轴的固定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