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3664A - 향미 흡인 기구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그의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향미 흡인 기구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그의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3664A
KR20240053664A KR1020247012052A KR20247012052A KR20240053664A KR 20240053664 A KR20240053664 A KR 20240053664A KR 1020247012052 A KR1020247012052 A KR 1020247012052A KR 20247012052 A KR20247012052 A KR 20247012052A KR 20240053664 A KR20240053664 A KR 20240053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t rate
sensory stimulation
stimulation element
user
flav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2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히로 조무라
히사노리 나가타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53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366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5Devices with integrated communication means, e.g.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108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from analysis of pulse wave characteris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ard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저에 대하여 효과적인 심리 효과를 부여하는 향미 흡인 기구 등을 제공한다.
향미 흡인 기구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인 디바이스(200)는, 감각 자극 소자(210)와, 유저의 심박수를 취득하기 위한 심박 취득부(220)와, 상기 감각 자극 소자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24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감각 자극 소자(210)의 동작은 주기성을 갖고,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감각 자극 소자(210)의 상기 동작의 주기가 상기 심박 취득부(220)에 의해 취득된 상기 심박수에 기초하도록, 상기 감각 자극 소자(210)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향미 흡인 기구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그의 프로그램
본 출원은, 향미 흡인 기구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이하, '향미 흡인 기구 등'이라고 한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출원은, 유저의 심박수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감각 자극 소자를 갖는 향미 흡인 기구 등에 관한 것이다.
또한, 향미 흡인 기구는 향미를 흡인하기 위한 기구를 뜻하며, 가열형의 향미 흡인 기구(가열에 의해 향미를 생성하는 것.)와, 비가열형의 향미 흡인 기구(예컨대, 초음파 무화(霧化)에 의해 향미를 생성하는 것.)를 포함한다. 향미 흡인 기구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전자 담배나 가열식 담배, 종래의 담배를 포함한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생성된 에어로졸을 흡인하기 위한 장치를 뜻하며, 가열형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열에 의해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것.)와, 비가열형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예컨대, 초음파 무화에 의해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것.)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전자 담배나 가열식 담배, 의료용 네블라이저를 포함한다. 또한, 향미 흡인 기구 등은, 이른바 RRP(Reduced-Risk Products)를 포함한다.
종래, 시가렛(종래의 담배) 등의 끽연 행위에 의해, 유저에게 각성, 진정 등의 심리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근래, 가열식 담배나 전자 담배 등, 전자 기기를 탑재한 향미 흡인 기구 등이 시가렛의 대체로서 보급되고 있다. 이들 향미 흡인 기구 등을 이용하여, 유저의 심박수를 측정하고, 유저에게 소정의 기능을 제공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을 참조.).
예컨대, 유저의 심박수를 측정함으로써 유저에게 다양한 가치를 제공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특허문헌 1과 같이, 심박수가 소정 값 이상일 때에 유저에게 통지하거나, 의료 기관에 통지하거나 하는 것도 그 중 하나이다. 한편, 다양한 가치 중 하나로서, 끽연 행위에 심리 효과를 요구하는 유저도 존재한다. 이와 같은 유저에 대하여, 심리 효과를 증강시키는 향미 흡인기가 요구되고 있다.
일본 특허출원공표 제2021-500002호 공보
본 발명은 이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과제는, 유저에 대하여 효과적인 심리 효과를 부여하는 향미 흡인 기구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향미 흡인 기구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인 디바이스로서, 감각 자극 소자와, 유저의 심박수를 취득하기 위한 심박 취득부와, 상기 감각 자극 소자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감각 자극 소자의 동작은 주기성을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각 자극 소자의 상기 동작의 주기가 상기 심박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심박수에 기초하도록, 상기 감각 자극 소자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심박 취득부는 심박 센서일 수 있고, 심박 센서는 맥파 센서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심박 취득부는,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심박수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통신부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감각 자극 소자의 상기 동작의 주기는, 취득된 상기 심박수에 상당하는 주기의 80% 내지 120%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일 실시형태인 디바이스는, 각성 모드와 진정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각 자극 소자의 상기 동작의 주기가, 상기 각성 모드일 때는 취득된 상기 심박수에 상당하는 주기보다 짧고, 상기 진정 모드일 때는 취득된 상기 심박수에 상당하는 주기보다 길어지도록, 상기 감각 자극 소자를 동작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각성 모드에서의 상기 감각 자극 소자의 동작 강도는, 상기 진정 모드에서의 상기 감각 자극 소자의 동작 강도보다 커도 된다.
일 실시형태인 디바이스는, 취득 개시 시의 상기 심박수와 취득 종료 시의 상기 심박수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유저가 각성하였는지 및 진정되었는지 중 한쪽 또는 양쪽을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감각 자극 소자의 상기 동작의 1주기에서, 상기 감각 자극 소자의 동작 시간은 0.05초 이상 0.5초 이하이어도 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감각 자극 소자는, 진동자와 발광 소자와 음향 소자 중 하나 이상이어도 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심박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심박수는, 소정 기간에 측정된 유저의 심박수의 이동 평균이어도 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향미 흡인 기구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인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디바이스는, 감각 자극 소자와, 유저의 심박수를 취득하기 위한 심박 취득부와, 상기 감각 자극 소자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감각 자극 소자의 동작은 주기성을 가지며, 상기 방법은, 상기 감각 자극 소자의 상기 동작의 주기가 상기 심박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심박수에 기초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감각 자극 소자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향미 흡인 기구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프로세서에, 상기 동작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감각 자극에 의해, 향미 흡인 기구 등의 유저에 대하여 효과적인 심리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 기구 등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 기구 등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 기구 등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a는, 향미 흡인 기구 등이 포함하는 심박 센서의 배치 위치를 설명하기위한 도이다.
도 3b는, 향미 흡인 기구 등이 포함하는 심박 센서의 배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는, 향미 흡인 기구 등이 포함하는 제어부가 실행하는 예시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5a는, 향미 흡인 기구 등이 포함하는 제어부가 실행하는 예시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5b는, 향미 흡인 기구 등이 포함하는 제어부가 실행하는 예시 처리의 흐름도이다.
1 본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유저에게 감각 자극을 부여하는 기능을 갖는 향미 흡인 기구 등이다.
1-1 제1 구성예
도 1a는, 향미 흡인 기구 등의 제1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구성예에 따른 향미 흡인 기구 등(100A)은, 전원 유닛(110), 카트리지(120), 및 향미 부여 카트리지(130)를 포함한다. 전원 유닛(110)은, 전원부(111A), 센서부(112A), 통지부(113A), 기억부(114A), 통신부(115A), 및 제어부(116A)를 포함한다. 카트리지(120)는, 가열부(121A), 액 유도부(122), 및 액 저장부(123)를 포함한다. 향미 부여 카트리지(130)는, 향미원(131), 및 마우스피스(124)를 포함한다. 카트리지(120) 및 향미 부여 카트리지(130)에는, 공기 유로(180)가 형성된다.
전원부(111A)는, 전력을 축적한다. 그리고, 전원부(111A)는, 제어부(116A)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 향미 흡인 기구 등(100A)의 각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부(111A)는, 예컨대,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등의 충전식 배터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112A)는, 향미 흡인 기구 등(100A)에 관한 각종 정보를 취득한다. 센서부(112A)는, 마이크로폰 콘덴서 등의 압력 센서, 유량 센서 또는 온도 센서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유저에 의한 흡인에 따른 값을 취득한다. 또한, 센서부(112A)는,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의, 유저로부터의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 장치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센서부(112A)는, 향미 흡인 기구 등(100A)의 유저의 심박수를 취득하기 위한 심박 센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심박 센서는 복수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통지부(113A)는, 정보를 유저에게 통지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통지부(113A)는, 유저에게 감각 자극을 부여하도록 구성된 감각 자극 소자를 포함한다. 감각 자극 소자는, 발광하는 발광 소자, 소리를 출력하는 음향 소자 및 진동하는 진동자 중 하나 이상이어도 된다. 즉, 감각 자극 소자는, 음향 소자, 발광 소자 또는 진동자이거나,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이어도 된다. 또한, 통지부(113A)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기억부(114A)는, 향미 흡인 기구 등(100A)의 동작을 위한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기억부(114A)는,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의 기억 매체에 의해 구성된다. 기억부(114A)는, 제어부(116A)에 의한 제어를 위한 작업 영역을 제공하는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기억부(114A)가 기억하는 정보의 일례는, 후술하는 유저의 심박수이다.
통신부(115A)는, 소정의 LPWA 무선 통신 규격 또는 마찬가지의 제한을 갖는 무선 통신 규격에 준거한 통신 인터페이스(통신 모듈이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는 통신용 전자 회로 등을 포함한다. 이하 마찬가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신 규격으로서는, Sigfox나 LoRA-WAN 등이 채용될 수 있다. 통신부(115A)는, 유선 또는 무선의 임의의 통신 규격에 준거한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통신 규격으로서는, 예컨대, Wi-Fi(등록상표), 또는 Bluetooth(등록상표) 등이 채용될 수 있다. 통신부(115A)는, 외부 기기(도시하지 않음)와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어부(116A)는, 연산 처리 장치 및 제어 장치로서 기능하고,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향미 흡인 기구 등(100A) 내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제어부(116A)는, 예컨대 CPU(Central Processing Unit)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의 전자 회로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제어부(116A)는, 이후에 상술하는 변환부(117A)를 포함할 수 있다.
액 저장부(123)는, 에어로졸원을 저장한다. 에어로졸원이 무화됨으로써,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에어로졸원은, 예컨대,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및 물 등의 액체이다. 에어로졸원은, 담배 유래 또는 비-담배 유래의 향미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향미 흡인 기구 등(100A)이 네블라이저 등의 의료용 흡입기인 경우, 에어로졸원은, 약제를 포함하여도 된다.
액 유도부(122)는, 액 저장부(123)에 저장된 액체인 에어로졸원을, 액 저장부(123)로부터 유도하고, 보유지지한다. 액 유도부(122)는, 예컨대, 유리 섬유 등의 섬유 소재 또는 다공질상의 세라믹 등의 다공질상 소재를 꼬아 형성되는 윅(wick)이다. 이 경우, 액 저장부(123)에 저장된 에어로졸원은, 윅의 모세관 효과에 의해 유도된다.
가열부(121A)는, 에어로졸원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원을 무화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도 1a에 나타낸 예에서는, 가열부(121A)는, 코일로서 구성되고, 액 유도부(122)에 둘러 감아진다. 가열부(121A)가 발열하면, 액 유도부(122)에 보유지지된 에어로졸원이 가열되어 무화되고,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가열부(121A)는, 전원부(111A)로부터 급전되면 발열한다. 일례로서, 유저가 흡인을 개시한 것, 및 소정의 정보가 입력된 것 중 한쪽 또는 양쪽이, 센서부(112A)에 의해 검출된 경우에, 급전되어도 된다. 그리고, 유저가 흡인을 종료한 것, 및 소정의 정보가 입력된 것 중 한쪽 또는 양쪽이, 센서부(112A)에 의해 검출된 경우에, 급전이 정지되어도 된다.
향미원(131)은, 에어로졸에 향미 성분을 부여하기 위한 구성 요소이다. 향미원(131)은, 담배 유래 또는 비-담배 유래의 향미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공기 유로(180)는, 유저에게 흡인되는 공기의 유로이다. 공기 유로(180)는, 공기 유로(180) 내로의 공기의 입구인 공기 유입공(181)과 공기 유로(180)로부터의 공기의 출구인 공기 유출공(182)을 양단으로 하는 관상 구조를 갖는다. 공기 유로(180)의 도중에는, 상류 측(공기 유입공(181)에 가까운 측)에 액 유도부(122)가 배치되고, 하류 측(공기 유출공(182)에 가까운 측)에 향미원(131)이 배치된다. 유저에 의한 흡인에 따라 공기 유입공(181)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가열부(121A)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과 혼합되고, 화살표(190)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향미원(131)을 통과하여 공기 유출공(182)으로 수송된다. 에어로졸과 공기와의 혼합 유체가 향미원(131)을 통과할 때에는, 향미원(131)에 포함되는 향미 성분이 에어로졸에 부여된다.
마우스피스(124)는, 흡인 시에 유저에게 물려지는 부재이다. 마우스피스(124)에는, 공기 유출공(182)이 배치된다. 유저는, 마우스피스(124)를 물고 흡인함으로써, 에어로졸과 공기와의 혼합 유체를 구강 내로 취입할 수 있다.
이상, 향미 흡인 기구 등(100A)의 구성예를 설명하였다. 물론 향미 흡인 기구 등(100A)의 구성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에 예시하는 다양한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일례로서, 향미 흡인 기구 등(100A)은, 향미 부여 카트리지(130)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카트리지(120)에 마우스피스(124)가 마련된다.
다른 일례로서, 향미 흡인 기구 등(100A)은, 복수 종류의 에어로졸원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복수 종류의 에어로졸원으로부터 생성된 복수 종류의 에어로졸이 공기 유로(180) 내에서 혼합되어 화학 반응을 일으킴으로써, 또 다른 종류의 에어로졸이 생성되어도 된다.
또한,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수단은, 가열부(121A)에 의한 가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수단은, 진동 무화, 또는 유도 가열이어도 된다.
1-2 제2 구성예
도 1b는, 향미 흡인 기구 등의 제2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구성예에 따른 향미 흡인 기구 등(100B)은, 전원부(111B), 센서부(112B), 통지부(113B), 기억부(114B), 통신부(115B), 제어부(116B), 가열부(121B), 보유지지부(140) 및 단열부(144)를 포함한다.
전원부(111B), 센서부(112B), 통지부(113B), 기억부(114B), 통신부(115B) 및 제어부(116B)의 각각은, 제1 구성예에 따른 향미 흡인 기구 등(100A)에 포함되는 대응하는 구성 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보유지지부(140)는, 내부 공간(141)을 갖고, 내부 공간(141)에 스틱형 기재(150)의 일부를 수용하면서 스틱형 기재(150)를 보유지지한다. 또한, 스틱형 기재(150)도, '리필'의 일례이다. 보유지지부(140)는, 내부 공간(141)을 외부로 연통하는 개구(142)를 갖고, 개구(142)로부터 내부 공간(141)에 삽입된 스틱형 기재(150)를 보유지지한다. 예컨대, 보유지지부(140)는, 개구(142) 및 바닥부(143)를 바닥면으로 하는 통 형상체이고, 기둥 형상의 내부 공간(141)을 획정한다. 보유지지부(140)는, 스틱형 기재(150)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로를 획정하는 기능도 갖는다. 이와 같은 유로로의 공기의 입구인 공기 유입공은, 예컨대 바닥부(143)에 배치된다. 한편, 이와 같은 유로로부터의 공기의 출구인 공기 유출공은, 개구(142)이다.
스틱형 기재(150)는, 기재부(151) 및 흡구부(152)를 포함한다. 기재부(151)는, 에어로졸원을 포함한다. 또한, 본 구성예에서, 에어로졸원은 액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고체이어도 된다. 스틱형 기재(150)가 보유지지부(140)에 보유지지된 상태에서, 기재부(151)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 공간(141)에 수용되고, 흡구부(152)의 적어도 일부는 개구(142)로부터 돌출한다. 그리고, 개구(142)로부터 돌출한 흡구부(152)를 유저가 물고 흡인하면, 도시하지 않은 공기 유입공으로부터 내부 공간(141)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기재부(151)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과 함께 유저의 입 안에 도달한다.
가열부(121B)는, 제1 구성예에 따른 가열부(121A)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단, 도 1b에 나타낸 예에서는, 가열부(121B)는, 필름 형상으로 구성되고, 보유지지부(140)의 외주를 덮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가열부(121B)가 발열하면, 스틱형 기재(150)의 기재부(151)가 외주로부터 가열되어,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단열부(144)는, 가열부(121B)로부터 다른 구성 요소로의 전열을 방지한다. 예컨대, 단열부(144)는, 진공 단열재, 또는 에어로겔 단열재 등에 의해 구성된다.
이상, 향미 흡인 기구 등(100B)의 구성예를 설명하였다. 물론 향미 흡인 기구 등(100B)의 구성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에 예시하는 다양한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일례로서, 가열부(121B)는, 블레이드 형상으로 구성되고, 보유지지부(140)의 바닥부(143)로부터 내부 공간(141)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블레이드 형상의 가열부(121B)는, 스틱형 기재(150)의 기재부(151)에 삽입되고, 스틱형 기재(150)의 기재부(151)를 내부로부터 가열한다. 다른 일례로서, 가열부(121B)는, 보유지지부(140)의 바닥부(143)를 덮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가열부(121B)는, 보유지지부(140)의 외주를 덮는 제1 가열부, 블레이드 형상의 제2 가열부, 및 보유지지부(140)의 바닥부(143)를 덮는 제3 가열부 중, 2 이상의 조합으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다른 일례로서, 보유지지부(140)는, 내부 공간(141)을 형성하는 외각의 일부를 개폐하는, 힌지 등의 개폐 기구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리고, 보유지지부(140)는, 외각을 개폐함으로써, 내부 공간(141)에 삽입된 스틱형 기재(150)를 협지하여도 된다. 이 경우, 가열부(121B)는, 보유지지부(140)에서의 당해 협지 개소에 마련되고, 스틱형 기재(150)를 압압하면서 가열하여도 된다.
또한,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수단은, 가열부(121B)에 의한 가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수단은, 유도 가열이어도 된다.
또한, 향미 흡인 기구 등(100B)은, 제1 구성예에 따른 가열부(121A), 액 유도부(122), 액 저장부(123) 및 공기 유로(180)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공기 유로(180)의 공기 유출공(182)이 내부 공간(141)으로의 공기 유입공을 겸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가열부(121A)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과 공기와의 혼합 유체는, 내부 공간(141)으로 유입하여 가열부(121B)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과 추가로 혼합되어, 유저의 구강 내에 도달한다.
1-3 간략화한 구성예
도 2는, 상술한 향미 흡인 기구 등(100A 또는 100B)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특히 관계 있는 구성 요소만을 추출하고 간략화한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따라서, 200은, 향미 흡인 기구 등(100A 또는 100B)을 나타내고 있다.
210은, 통지부(113A 또는 113B)에 포함되는 상술한 감각 자극 소자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감각 자극 소자(210)는, 통지부(113A 또는 113B)와는 별개의 것으로 생각하여도 된다.
220은, 향미 흡인 기구 등(200)의 유저의 심박수를 취득하기 위한 심박 취득부를 나타내고 있다. 심박 취득부(220)는, 센서부(112A 또는 112B)에 포함되는, 향미 흡인 기구 등(200)의 유저의 심박수를 취득하기 위한 상술한 심박 센서이어도 된다. 혹은, 심박 취득부(220)는, 외부 기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향미 흡인 기구 등(200)의 유저의 심박수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통신부(115A 또는 115B)이어도 된다. 외부 기기는, 심박 센서를 구비하거나, 또는 심박 센서를 구비한 다른 외부 기기(도시하지 않음)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것이어도 되고,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 디바이스(스마트 워치 등), 통신 기능이 있는 심박계 등이어도 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40은, 제어부(116A 또는 116B)를 나타내고 있다.
1-4 감각 자극 소자(210)에 대하여
감각 자극 소자(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하는 발광 소자, 소리를 출력하는 음향 소자 및 진동하는 진동자 중 하나 이상이어도 되지만, 후술하는 유저를 각성 또는 진정시킨다는 본 실시형태의 용도에서는, 감각 자극 소자로서는 진동자가 적합하다는 것을 알고 있다. 진동자는, 구체적으로는 진동 모터나 리니어 진동 액추에이터 등이어도 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감각 자극 소자(210)는, 그 동작이 주기성을 갖도록 제어된다.
1-5 심박 취득부(220)에 대하여
1-5-1 심박 센서의 종류
심박 취득부(220)인 심박 센서 및 외부 기기 또는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다른 외부 기기(이하, "외부 기기 등"이라고 한다.)가 구비하는 심박 센서는, 심전도법이나 광전맥파법, 혈압계법, 심음도법 등을 이용하여 심박을 검출 가능한 공지의 센서이어도 된다. 또한, 심박 취득부(220)가 심박 센서이고, 따라서 향미 흡인 기구 등(200)이 심박 센서를 구비하는 경우, 이와 같은 심박 센서로서는, 맥파 센서, 특히, 광전맥파법을 이용한 반사형의 맥파 센서가 적합할 것이다. 이하, 향미 흡인 기구 등(200)이 심박 취득부(220)로서 구비하는 심박 센서를 "심박 센서(220)"라고 한다.
1-5-2 심박 센서의 위치
심박 센서(220)는, 그의 종류와 향미 흡인 기구 등(200)의 형상에 따른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예컨대, 심박 센서(220)가 맥파 센서, 특히, 광전맥파법을 이용한 반사형의 맥파 센서인 경우, 당해 센서는, 향미 흡인 기구 등(200)에서 유저가 손가락으로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일반적으로, 맥파 센서로는 손바닥으로부터의 맥파의 검출, 즉 심박의 검출이 어렵기 때문이다.
도 3a 및 3b는, 심박 센서(220)로서 상기 맥파 센서를 이용한 경우의, 당해 센서를 배치하는, 향미 흡인 기구 등(200)의 형상에 따른 예시 위치를 설명하는 도이다.
300A 및 300B는 향미 흡인 기구 등(200)을 나타내고 있다.
310A는 스틱형 기재(150)를, 310B는 마우스피스(124)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315B는 버튼을 나타내고 있다.
320A 및 320B는, 각각, 향미 흡인 기구 등(300A 및 300B)의 형상에 따른, 심박 센서(220)의 배치에 적합한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즉, 향미 흡인 기구 등(300A 및 300B)에서는, 각각, 범위(320A 및 320B)의 내부의 어느 하나의 위치에 심박 센서(220)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범위(320A)는, 향미 흡인 기구 등(300A)의 측면(지면 수직 방향의 부분.) 및 이면(지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범위(320B)는, 버튼(315B)이 존재하지 않는, 향미 흡인 기구 등(300B)의 이면(지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부분.)을 의도한 것이다.
또한, 향미 흡인 기구 등(200)에서 심박 센서(220)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의 마크를 부여하여도 되고, 이로 인해, 유저에게 심박 센서(220)의 위치를 알릴 수 있다.
또한, 심박 센서(220)는 향미 흡인 기구 등(200)에 복수 탑재되어도 된다. 따라서, 심박 센서(220)에 의해 측정되는 후술하는 심박수는, 복수의 심박 센서 중 하나에 의해 측정되는 심박수일 수 있다. 혹은, 심박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후술하는 심박수는, 복수의 심박 센서에 의해 측정된 심박수의 평균일 수 있다.
외부 기기 등이 구비하는 심박 센서는, 그의 종류와 외부 기기 등의 형상에 따라, 외부 기기 등에서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1-5-3 심박수의 취득 수법
본 실시형태에서, 심박수는, 소정의 시간(통상적으로는 1분=60초.)에 생기는 심박의 횟수로서 정의된다. 유저의 심박수는 임의의 수법에 의해 취득하여도 되지만, 이하, 예시의 수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저의 심박수는, 소정의 기간에서 검출되는 유저의 심박의 수를 이용하여, 이하의 식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A=a×(60/T) (1)
여기에서, A는 측정되는 심박수이고, a는 소정의 기간에서 검출한 유저의 심박의 수이며, T는 소정의 기간의 길이(단위는 초.)이다.
심박 취득부(220)에 의해 취득되는 유저의 심박수는, 상기와 같이 측정된 심박수일 수 있다.
혹은, 심박 취득부(220)에 의해 취득되는 유저의 심박수는, 복수 회 상기와 같이 측정된 심박수의 이동 평균일 수 있다. 예컨대, n회째의 심박수의 측정 후에 취득되는 심박수는, n회째에 측정된 심박수와, (n-1)회째에 측정된 심박수와, …, (n-i)회째에 측정된 심박수와의 평균이어도 되고, 여기에서, 0〈i〈n이다. 환언하면, 심박 취득부(220)에 의해 취득되는 유저의 심박수는, 과거 (i+1)회분의 측정된 심박수의 평균이어도 된다. 또한, i의 값은, 심박수를 취득할 때마다 상이하여도 된다. 예컨대, 1회째에 취득되는 심박수는 과거 3회분의 측정된 심박수의 평균(i=2)이고, 2회째에 취득되는 심박수는 과거 4회분의 측정된 심박수의 평균(i=3)이며, …,j회째에 취득되는 심박수는 과거 (j+2)회분의 측정된 심박수의 평균(i=j+1)이어도 된다. 이 경우, 평균을 취하는 데 이용하는 과거의 측정 횟수에 상한을 마련하여도 된다. 예컨대, 상한을 10으로 하고, 8회째 이후에 취득하는 심박수는 모두 과거 10회분의 측정된 심박수의 평균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복수 회 상기와 같이 심박수를 측정하는 경우, 각 회의 측정에서의 상기 소정 기간의 길이(T)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1-6 제어부(240)에 대하여
도 4는, 제어부(240)가 실행하는 예시 처리 400의 흐름도이다. 또한, 예시 처리 400에 의하면 감각 자극 소자(210)가 동작하게 되지만, 그 동작은 주기성을 갖도록 제어된다.
410은, 유저에 대한 감각 자극을 개시하여야 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나타내고 있다.
유저에 대한 감각 자극은, 유저에 의한 향미 흡인 기구 등(200)의 흡인과 연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계 410에서는, 향미 흡인 기구 등(200)에서 유저에 의한 흡인이 시작되었는지를 판정하고, 흡인이 시작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감각 자극을 개시하여야 한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한, 흡인이 시작되었는지의 판정 수법은 임의이지만, 예컨대, 향미 흡인 기구 등(200)이 구비하는, 흡인에 의한 압력 변화를 검지하도록 구성된 상술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판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컨대,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이 소정의 역치를 하회한 경우, 흡인이 시작되었다고 판정할 수 있다.
혹은, 단계 410에서는, 향미 흡인 기구 등(200)이 구비하는 상술한 가열부(121A 또는 121B)의 가열이 개시되었을 때에, 감각 자극을 개시하여야 한다고 판정할 수 있다. 혹은, 향미 흡인 기구 등(200)이 구비하는 상술한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의 입력 장치에 소정의 조작이 있었을 때에, 감각 자극을 개시하여야 한다고 판정할 수 있다.
감각 자극을 개시하여야 한다고 판정한 경우, 처리는 단계 42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처리는 단계 410으로 되돌아간다.
420은, 심박 취득부(220)를 이용하여, 유저의 심박수를 취득하는 단계를 나타내고 있다. 유저의 심박수의 취득 수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단계 420은, 심박 센서(220)(향미 흡인 기구 등(200)이 심박 취득부(220)로서 구비하는 심박 센서)에 의해 유저의 심박수를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혹은, 단계 420은, 외부 기기로부터 유저의 심박수를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저의 심박수를 취득하기 위한 유저의 심박수의 측정(상술)은, 단계 420에서 실행되어도 되지만, 예시 처리 400의 실행과 병렬로, 비동기로 반복적으로 실행되어도 된다. 예컨대, 유저의 심박수의 측정은, 향미 흡인 기구 등(200)의 전원을 ON으로 함으로써 개시되고, OFF로 함으로써 종료하여도 된다. 혹은, 유저의 심박수의 측정은, 향미 흡인 기구 등(200)이 구비하는 상술한 가열부(121A 또는 121B)의 가열이 개시될 때에 개시되고, 가열이 종료될 때에 종료하여도 된다. 혹은, 유저의 심박수의 측정은, 향미 흡인 기구 등(200)이 구비하는 상술한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의 입력 장치에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개시되고,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종료하여도 된다. 또한, 취득한 심박수는, 상술한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430은, 취득한 유저의 심박수에 기초하여, 감각 자극 소자(210)의 동작의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나타내고 있다.
감각 자극 소자(210)의 동작의 주기는, 바람직하게는, 취득한 심박수에 상당하는 주기의 80% 내지 120%의 범위 내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10%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심박수"는 소정 시간에 생기는 심박의 횟수로 정의되는데, "심박수에 상당하는 주기"는, 이하의 식에 의해 도출한 것이어도 된다.
P=T0/A (2)
여기에서, P는 심박수에 상당하는 주기(단위는 초.)이고, T0은 소정 시간의 길이(단위는 초. 통상적으로는 60초.)이며, A는 심박수이다.
향미 흡인 기구 등(200)은 각성 모드와 진정 모드를 포함할 수 있고, 유저는 임의의 수법, 예컨대 향미 흡인 기구 등(200)이 구비하는 상술한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의 입력 장치에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향미 흡인 기구 등(200)이 각성 모드인 경우, 설정되는 감각 자극 소자(210)의 동작의 주기는, 취득한 심박수에 상당하는 주기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취득한 심박수에 상당하는 주기의 80% 내지 99%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90% 내지 9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향미 흡인 기구 등(200)이 진정 모드인 경우, 설정되는 감각 자극 소자(210)의 동작의 주기는, 취득한 심박수에 상당하는 주기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취득한 심박수에 상당하는 주기의 101% 내지 120%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105% 내지 1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440은, 설정된 주기로 감각 자극 소자(210)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나타내고 있다.
감각 자극 소자(210)의 동작의 1주기에서, 감각 자극 소자(210)가 실제로 동작하고 있는 시간은, 유저의 심장의 1회의 박동에 요하는 시간(심박과 심박과의 사이의 시간이 아니라, 실제로 심장이 움직이는 시간.)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감각 자극 소자(210)의 동작의 1주기에서, 감각 자극 소자(210)가 실제로 동작하고 있는 시간은,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0.05초∼0.5초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초 내지 0.3초이어도 된다.
또한, 향미 흡인 기구 등(200)이 각성 모드인 경우, 진정 모드인 경우보다도 감각 자극 소자(210)의 동작 강도를 크게 하여도 된다.
또한, 감각 자극 소자(210)는, 유저에게 어떠한 통지(에어로졸원의 가열 개시의 통지, 에어로졸원의 예비 가열의 통지, 에어로졸원의 가열 종료의 통지 등.)를 행하기 위해서도 이용될 수 있지만, 이와 같은 통지와 관련된 동작과 단계 440에서의 동작은 구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감각 자극 소자(210)로서 진동자를 이용하는 경우, 전자의 동작과 관련된 진동과 후자의 동작과 관련된 진동에서 그 양태(진동 주파수나 진동 강도, 진동 패턴 등)를 상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50은, 유저에 대한 감각 자극을 종료하여야 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에 대한 감각 자극은, 유저에 의한 향미 흡인 기구 등(200)의 흡인과 연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계 450에서는, 향미 흡인 기구 등(200)에서 유저에 의한 흡인이 끝났는지를 판정하고, 흡인이 끝났다고 판정한 경우에 감각 자극을 종료하여야 한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한, 흡인이 끝났는지의 판정 수법은 임의이지만, 예컨대, 향미 흡인 기구 등(200)이 구비하는, 흡인에 의한 압력 변화를 검지하도록 구성된 상술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판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컨대,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이 소정의 역치를 상회한 경우, 흡인이 끝났다고 판정할 수 있다.
혹은, 단계 450에서는, 향미 흡인 기구 등(200)이 구비하는 상술한 가열부(121A 또는 121B)의 가열이 종료되었을 때에, 감각 자극을 종료하여야 한다고 판정할 수 있다. 혹은, 향미 흡인 기구 등(200)이 구비하는 상술한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의 입력 장치에 소정의 조작이 있었을 때에, 감각 자극을 종료하여야 한다고 판정할 수 있다.
감각 자극을 종료하여야 한다고 판정한 경우, 처리는 종료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처리는 단계 420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단계 420∼440에 따르면, 제어부(240)는, 감각 자극 소자(210)의 동작의 주기가 심박 취득부(220)에 의해 취득된 심박수에 기초하도록, 감각 자극 소자(210)를 동작시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감각 자극의 결과, 유저가 각성하였는지를 판정하는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도 5a는, 유저가 각성하였는지를 판정하기 위하여 제어부(240)가 실행하는 예시 처리 500A의 흐름도이다. 예시 처리 500A는, 예시 처리 400과 병렬로 실행되어도 된다.
510A는, 유저가 각성하였는지의 판정을 개시하여야 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나타내고 있다. 유저가 각성하였는지의 판정을 개시하여야 하는지의 판정의 기준은 임의이다. 예컨대, 향미 흡인 기구 등(200)이 각성 모드로 설정되었을 때에, 유저가 각성하였는지의 판정을 개시하여야 한다고 판정하여도 된다. 혹은, 예컨대, 향미 흡인 기구 등(200)이 각성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유저에 의한 흡인이 시작되었다고 판정하였을 때, 향미 흡인 기구 등(200)의 가열이 개시하였을 때,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의 입력 장치에 소정의 조작이 있었을 때에, 유저가 각성하였는지의 판정을 개시하여야 한다고 판정하여도 된다. 유저가 각성하였는지의 판정을 개시하여야 한다고 판정한 경우, 처리는 단계 520A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처리는 단계 510A로 되돌아간다.
520A는, 심박 취득부(220)를 이용하여, 유저의 심박수를 취득하는 단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단계에서 취득되는 심박수를, 이하, r0으로 나타낸다. 이 단계는, 단계 420과 마찬가지의 것이어도 된다. 혹은, 이 단계에서 취득되는 심박수로서, 최근에 실행된 단계 420에서 취득된 심박수를 이용하여도 된다.
530A는, 처리의 실행을 소정 시간 대기하는 단계를 나타내고 있다. 소정 시간의 길이는 임의이다. 예컨대, 소정 시간의 길이는, 단계 520A가 1회의 끽연의 초반의 타이밍에서, 후술하는 단계 540A가 1회의 끽연의 종반에 실행되도록, 전형적인 또는 유저 고유의 1회의 끽연에 요하는 시간의 길이에 기초하여 설정되어도 된다.
540A는, 심박 취득부(220)를 이용하여, 유저의 심박수를 취득하는 단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단계에서 취득되는 심박수를, 이하, r1으로 나타낸다. 이 단계는, 단계 520A와 마찬가지의 것이어도 된다.
550A는, 단계 520A에서 취득된 심박수 r0과, 단계 540A에서 취득된 심박수 r1을 비교하여, 심박수가 증가하였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단계에서는 이하의 수식에 기초하는 비교를 행할 수 있다.
r1-r0-R>Ta (3)
여기에서, R은 0보다 큰 보정항이다. 즉, 일반적으로 끽연에 의해 심박수는 증가하는데, 보정항은, 이 증가분을 상쇄하고, 감각 자극에만 기인하는 심박수의 증가가 있었는지를 판정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이다. 보정항은, 실험적으로 구하여져도 되고, 또한, 시간의 함수이어도 된다. 또한, 보정항은, 그다지 엄밀성을 요하지 않는 경우, 생략되어도 된다. 또한, Ta 소정의 역치이다. 이 역치는 실험적으로 구하여져도 되고, 또한, 제로(zero)이어도 된다.
식 (3)이 참인 경우, 처리는 단계 570A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처리는 단계 580A로 진행한다.
570A는, 유저가 각성하였다고 판정하는 단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단계는, 향미 흡인 기구 등(200)에서 소정의 통지를 행하는 등, 임의의 처리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580A는, 유저가 각성하였는지의 판정을 종료하여야 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나타내고 있다. 유저가 각성하였는지의 판정을 종료하여야 하는지의 판정의 기준은 임의이다. 예컨대, 유저에 의한 흡인이 끝났다고 판정한 경우, 향미 흡인 기구 등(200)의 가열이 종료된 경우,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의 입력 장치에 소정의 조작이 있었을 경우에, 유저가 각성하였는지의 판정을 종료하여야 한다고 판정할 수 있다. 혹은, 예컨대, 유저가 각성하였는지의 판정을 개시하여야 한다고 판정하고 나서 소정 횟수의 흡인이 끝났다고 판정한 경우에, 유저가 각성하였는지의 판정을 종료하여야 한다고 판정할 수 있다. 혹은, 예컨대, 유저가 각성하였는지의 판정을 개시하여야 한다고 판정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유저가 각성하였는지의 판정을 종료하여야 한다고 판정할 수 있다. 유저가 각성하였는지의 판정을 종료하여야 한다고 판정한 경우, 처리는 종료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처리는 단계 530A로 되돌아간다.
제어부(240)는, 감각 자극의 결과, 유저가 진정되었는지를 판정하는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도 5b는, 유저가 진정되었는지를 판정하기 위하여 제어부(240)가 실행하는 예시 처리 500B의 흐름도이다. 예시 처리 500B는, 예시 처리 400과 병렬로 실행되어도 된다.
510B는, 유저가 진정되었는지의 판정을 개시하여야 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나타내고 있다. 유저가 진정되었는지의 판정을 개시하여야 하는지의 판정의 기준은 임의이다. 예컨대, 향미 흡인 기구 등(200)이 진정 모드로 설정되었을 때에, 유저가 진정되었는지의 판정을 개시하여야 한다고 판정하여도 된다. 혹은, 예컨대, 향미 흡인 기구 등(200)이 진정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유저에 의한 흡인이 시작되었다고 판정하였을 때, 향미 흡인 기구 등(200)의 가열이 개시하였을 때,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의 입력 장치에 소정의 조작이 있었을 때에, 유저가 진정되었는지의 판정을 개시하여야 한다고 판정하여도 된다. 유저가 진정되었는지의 판정을 개시하여야 한다고 판정한 경우, 처리는 단계 520B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처리는 단계 510B로 되돌아간다.
520B∼540B는, 각각 단계 510A∼540A와 마찬가지의 것이어도 된다. 단, 단계 530B에서의 소정 시간은, 단계 530A에서의 소정 시간과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550B는, 단계 520B에서 취득된 심박수 r0과, 단계 540B에서 취득된 심박수 r1을 비교하여, 심박수가 감소하였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단계에서는 이하의 수식에 기초하는 비교를 행할 수 있다.
r1 -r0-R〈TS (4)
여기에서, 보정항 R은, 그다지 엄밀성을 요하지 않는 경우, 생략되어도 된다. 또한, TS 소정의 역치이다. 이 역치는 실험적으로 구하여져도 되고, 또한 제로이어도 된다.
식 (4)가 참인 경우, 처리는 단계 570B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처리는 단계 580B로 진행한다.
570B는, 유저가 진정되었다고 판정하는 단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단계는, 향미 흡인 기구 등(200)에서 소정의 통지를 행하는 등, 임의의 처리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580B는, 유저가 진정되었는지의 판정을 종료하여야 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나타내고 있다. 유저가 진정되었는지의 판정을 종료하여야 하는지의 판정의 기준은 임의이다. 예컨대, 유저에 의한 흡인이 끝났다고 판정한 경우, 향미 흡인 기구 등(200)의 가열이 종료된 경우,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의 입력 장치에 소정의 조작이 있었을 경우에, 유저가 진정되었는지의 판정을 종료하여야 한다고 판정할 수 있다. 혹은, 예컨대, 유저가 진정되었는지의 판정을 개시하여야 한다고 판정하고 나서 소정 횟수의 흡인이 끝났다고 판정한 경우에, 유저가 진정되었는지의 판정을 종료하여야 한다고 판정할 수 있다. 혹은, 예컨대, 유저가 진정되었는지의 판정을 개시하여야 한다고 판정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유저가 진정되었는지의 판정을 종료하여야 한다고 판정할 수 있다. 유저가 진정되었는지의 판정을 종료하여야 한다고 판정한 경우, 처리는 종료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처리는 단계 530B로 되돌아간다.
또한, 유저가 각성하였는지 또는 진정되었는지는, 당업자에게는 분명한 바와 같이, 심박수 또는 심박 간격의 변동에 기초하여 판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제어부(240)는, 심박 센서(220)를 이용하여 복수 회 유저의 심박수를 측정하고, 측정한 복수의 심박수(시간 영역의 측정 데이터)를 푸리에 변환하여 주파수 영역의 측정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 주파수 영역의 측정 데이터에 포함되는 주파수 성분에 기초하여 유저가 각성하였는지 또는 진정되었는지를 판정하는 처리를 실행하여도 된다.
또한, 제어부(240)는, 외부 기기로부터 얻은, 측정된 복수의 심박수(시간 영역의 측정 데이터)를 푸리에 변환하여 주파수 영역의 측정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 주파수 영역의 측정 데이터에 포함되는 주파수 성분에 기초하여 유저가 각성하였는지 또는 진정되었는지를 판정하는 처리를 실행하여도 된다. 또한, 주파수 영역의 상기 측정 데이터는 외부 기기 등에 의해 생성되어도 되고, 제어부(240)는, 외부 기기로부터 주파수 영역의 측정 데이터를 취득하여도 된다.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향미 흡인 기구 등(200)의 동작 방법이다. 이 동작 방법은, 예시 처리 400 등의 상술한 예시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향미 흡인 기구 등(200)의 프로세서에, 상기 동작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다.
3 마치며
여기까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여러 상이한 형태로 실시되어도 됨은 말할 것도 없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도시되고 기재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것과 균등한 효과를 가져오는 모든 실시형태까지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각 청구항에 의해 규정되는 발명의 특징의 조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개시된 각각의 특징 중 특정 특징의 모든 소망하는 조합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100A, 100B, 200, 300A, 300B: 향미 흡인 기구 등
110: 전원 유닛
111A, 111B: 전원부
112A, 112B: 센서부
113A, 113B: 통지부
114A, 114B: 기억부
115A, 115B: 통신부
116A, 116B, 240: 제어부
120: 카트리지
121A, 121B: 가열부
122: 액 유도부
123: 액 저장부
124, 310B: 마우스피스
130: 향미 부여 카트리지
131: 향미원
140: 보유지지부
141: 내부 공간
142: 개구
143: 바닥부
144: 단열부
150, 310A: 스틱형 기재
151: 기재부
152: 흡구부
180: 공기 유로
181: 공기 유입공
182: 공기 유출공
210: 감각 자극 소자
220: 심박 취득부
315B: 버튼
320A, 320B: 심박 센서를 배치하는 범위

Claims (13)

  1. 향미 흡인 기구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인 디바이스로서,
    감각 자극 소자와,
    유저의 심박수를 취득하기 위한 심박 취득부와,
    상기 감각 자극 소자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감각 자극 소자의 동작은 주기성을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각 자극 소자의 상기 동작의 주기가 상기 심박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심박수에 기초하도록, 상기 감각 자극 소자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박 취득부는 심박 센서인,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심박 센서는 맥파 센서인,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박 취득부는,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심박수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통신부인, 디바이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각 자극 소자의 상기 동작의 주기는, 취득된 상기 심박수에 상당하는 주기의 80% 내지 120%의 범위 내인, 디바이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성 모드와 진정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각 자극 소자의 상기 동작의 주기가, 상기 각성 모드일 때는 취득된 상기 심박수에 상당하는 주기보다 짧고, 상기 진정 모드일 때는 취득된 상기 심박수에 상당하는 주기보다 길어지도록, 상기 감각 자극 소자를 동작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된,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성 모드에서의 상기 감각 자극 소자의 동작 강도는, 상기 진정 모드에서의 상기 감각 자극 소자의 동작 강도보다 큰, 디바이스.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취득 개시 시의 상기 심박수와 취득 종료 시의 상기 심박수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유저가 각성하였는지 및 진정되었는지 중 한쪽 또는 양쪽을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통지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각 자극 소자의 상기 동작의 1주기에서, 상기 감각 자극 소자의 동작 시간은 0.05초 이상 0.5초 이하인, 디바이스.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각 자극 소자는 진동자와, 발광 소자와, 음향 소자 중의 하나 이상인, 디바이스.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박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심박수는, 소정 기간에 측정된 유저의 심박수의 이동 평균인, 디바이스.
  12. 향미 흡인 기구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인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디바이스는,
    감각 자극 소자와,
    유저의 심박수를 취득하기 위한 심박 취득부와,
    상기 감각 자극 소자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감각 자극 소자의 동작은 주기성을 가지며,
    상기 방법은, 상기 감각 자극 소자의 상기 동작의 주기가 상기 심박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심박수에 기초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감각 자극 소자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향미 흡인 기구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프로세서에, 제12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KR1020247012052A 2021-11-02 2021-11-02 향미 흡인 기구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그의 프로그램 KR202400536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1/040355 WO2023079588A1 (ja) 2021-11-02 2021-11-02 香味吸引器具又はエアロゾル生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3664A true KR20240053664A (ko) 2024-04-24

Family

ID=86240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2052A KR20240053664A (ko) 2021-11-02 2021-11-02 향미 흡인 기구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그의 프로그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40053664A (ko)
CN (1) CN118102930A (ko)
WO (1) WO202307958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500002A (ja) 2017-05-23 2021-01-07 アール・エイ・アイ・ストラテジック・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エアロゾル送達装置のための心拍数モニ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517088D0 (en) * 2015-09-28 2015-11-11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s and methods
JP6774478B2 (ja) * 2018-11-02 2020-10-2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個人用健康状態評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500002A (ja) 2017-05-23 2021-01-07 アール・エイ・アイ・ストラテジック・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エアロゾル送達装置のための心拍数モニ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102930A (zh) 2024-05-28
WO2023079588A1 (ja)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00172A1 (en) Inhaling device
WO2021240617A1 (ja) 吸引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40053664A (ko) 향미 흡인 기구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그의 프로그램
US20230000152A1 (en) Inhal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7359957B2 (ja) 吸引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制御方法
WO2022230433A1 (ja) 吸引器用の電源ユニット
WO2022101954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3214444A1 (ja) 香味吸引器具又はエアロゾル生成装置、その動作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WO2023157898A1 (ja) 香味吸引器具又はエアロゾル生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WO2022219677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6798159B2 (ja) ネブライザ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2208835A1 (ja) 制御装置、端末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WO2022208834A1 (ja) 制御装置、端末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WO2023089753A1 (ja) 吸引装置
WO2023089752A1 (ja) 吸引装置
WO2023089756A1 (ja) 吸引装置
WO2023112247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
WO2024095455A1 (ja) 情報処理装置、吸引システム、及び情報提示方法
WO2023119387A1 (ja) 香味吸引器具又はエアロゾル生成装置、その動作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735862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WO2023112218A1 (ja) 制御装置、吸引装置、及び制御方法
WO2024038531A1 (ja) 吸引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4095454A1 (ja) 情報処理装置、吸引システム、及び情報提示方法
WO2022219676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7311631B2 (ja)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