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3479A -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와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및 태양광 발전 파사드 구조체 - Google Patents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와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및 태양광 발전 파사드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3479A
KR20240053479A KR1020220138856A KR20220138856A KR20240053479A KR 20240053479 A KR20240053479 A KR 20240053479A KR 1020220138856 A KR1020220138856 A KR 1020220138856A KR 20220138856 A KR20220138856 A KR 20220138856A KR 20240053479 A KR20240053479 A KR 20240053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case
cell module
triangula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8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중식
남원석
정우진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40053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347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25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L31/0264Inorganic materials
    • H01L31/032Inorganic materials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31/0272 - H01L31/0312
    • H01L31/0322Inorganic materials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31/0272 - H01L31/0312 comprising only AIBIIICVI chalcopyrite compounds, e.g. Cu In Se2, Cu Ga Se2, Cu In Ga Se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45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including thin film solar cells, e.g. single thin film a-Si, CIS or CdTe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 H01L31/072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the potential barriers being only of the PN heterojunction type
    • H01L31/0749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the potential barriers being only of the PN heterojunction type including a AIBIIICVI compound, e.g. CdS/CulnSe2 [CIS] heterojunction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6Building materials integrated with PV modules, e.g. façade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와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및 태양광 발전 파사드 구조체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는 삼각틀 구조를 갖고, 상기 삼각틀 구조의 안쪽에 삼각형 모양의 태양전지 부재가 수용되는 수용영역을 가지며, 상기 삼각틀 구조의 일변에 해당하는 일측면에 상기 태양전지 부재가 출입 가능한 입구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본체부, 상기 케이스 본체부와 결합된 것으로, 상기 입구부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입구부를 폐쇄하도록 배치되었을 때 상기 케이스 본체부와 함께 하나의 삼각형 케이스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된 개폐부, 및 상기 케이스 본체부 및 상기 개폐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수용영역에 수용된 상기 태양전지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적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와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및 태양광 발전 파사드 구조체{Case for solar cell module, solar cell module including the same, and solar power generation facade structure}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장치 및 관련 부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 태양전지 모듈 및 태양광 발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재생 가능 에너지 중에서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시스템은 햇빛을 직류 전기로 바꾸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 방법이다. 태양광 발전은 여러 개의 태양전지들이 붙어있는 태양광 패널을 이용한다. 재생 가능 에너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태양전지와 태양광 어레이의 생산도 크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시스템은 무한의 에너지원을 사용하여 발전할 수 있고,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건축물에 적용하여 이로부터 생산된 전기를 해당 건축물에서 직접 사용하는 건물용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태양광 발전 구조체는 디자인 유형이 획일화되어 도시 미관과는 대체로 무관하게 설치되고 있다. 다시 말해, 기존의 BIPV(building-integrated photovoltaic) 시스템 또는 BAPV(bilding applied photovoltaic) 시스템에 적용되는 태양광 발전 구조체의 경우, 사각형의 획일화된 형태 및 단조로운 색상을 가지고 있어, 도시 미관을 개선하는 데는 한계와 어려움이 있다. 또한, 기존의 태양광 발전 구조체는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다양한 건축물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고, 아울러 설치 및 교체와 유지관리 등이 용이한 태양광 발전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태양전지의 설치 및 관리는 향후 사용자 개인의 영역으로 확장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설치 및 관리의 편의성 및 사용성이 향상된 태양광 발전 장치 및 관련 부품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다양한 건축물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고, 아울러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태양전지 모듈 및 이에 적용된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태양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파사드 구조체(solar power generation facade structure)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로서, 삼각틀 구조를 갖고, 상기 삼각틀 구조의 안쪽에 삼각형 모양의 태양전지 부재가 수용되는 수용영역을 가지며, 상기 삼각틀 구조의 일변에 해당하는 일측면에 상기 태양전지 부재가 출입 가능한 입구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본체부; 상기 케이스 본체부와 결합된 것으로, 상기 입구부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입구부를 폐쇄하도록 배치되었을 때 상기 케이스 본체부와 함께 하나의 삼각형 케이스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된 개폐부; 및 상기 케이스 본체부 및 상기 개폐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수용영역에 수용된 상기 태양전지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적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가 제공된다.
상기 개폐부의 일단부는 상기 입구부에 인접한 상기 케이스 본체부의 제1 꼭짓점 부분에 힌지(hinge) 구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의 타단부 내지 그와 인접한 부분은 상기 입구부에 인접한 상기 케이스 본체부의 제2 꼭짓점 부분 내지 그와 인접한 부분에 대하여 체결 및 탈거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부는 삼각형의 제1 개구를 정의하는 삼각틀 형태를 갖는 전면 케이스 부재; 및 상기 전면 케이스 부재와 대응하여 배치되면서 이와 결합되는 것으로, 삼각형의 제2 개구를 정의하는 삼각틀 형태를 갖는 후면 케이스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 부재는 상기 전면 케이스 부재와 상기 후면 케이스 부재 사이에 정의된 상기 수용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태양전지 부재의 전면 영역 및 후면 영역은 상기 제1 및 제2 개구를 통해 각각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케이스 부재는 꼭지점 및 모서리 부분에 완충재를 추가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는 상기 삼각형 케이스 구조의 세 개의 변 각각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수용영역에 수용된 상기 태양전지 부재의 세 개의 변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부의 제1변에 해당하는 제1 프레임부에 제1 전기적 연결부재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 본체부의 제2변에 해당하는 제2 프레임부에 제2 전기적 연결부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부에 제3 전기적 연결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는 포고핀(pogo pin)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 및 상기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의 수용영역에 수용된 태양전지 부재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이 제공된다.
상기 태양전지 부재는 CIGS(copper indium gallium selenide) 태양전지 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건축물의 외벽을 이루거나 건축물의 외면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 파사드(facade) 구조체로서, 상기 건축물의 외벽을 이루거나 상기 건축물의 외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삼각형 모양을 갖는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이 정의된 프레임 구조체; 및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은 전술한 태양전지 모듈에 대응하는 구조를 갖는 태양광 발전 파사드 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은 삼각형 모양을 갖는 제1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 및 이와 인접하고 삼각형 모양을 갖는 제2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은 삼각형의 한 변에 해당하는 부분을 공유하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다양한 건축물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고, 아울러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태양전지 모듈 및 이에 적용된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파사드 구조체를 구현할 수 있다.
기존의 BIPV(building-integrated photovoltaic) 시스템 또는 BAPV(bilding applied photovoltaic) 시스템에 적용되는 태양광 발전 구조체의 경우, 사각형의 획일화된 형태 및 단조로운 색상을 가지고 있어, 도시 미관을 개선하는 데는 한계와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은 삼각형의 케이스 구조를 이용하고 다양한 색상 구현이 용이하기 때문에, 건축물 및 도시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에서는 힌지(hinge) 구조 및 체결 구조를 적용한 개폐부를 사용함으로써, 태양전지 셀 부재를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 내에 간편하게 삽입하고 또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개인이 태양전지 모듈을 유지관리하기가 매우 용이할 수 있다. 아울러, 포고핀(pogo pin) 등의 전기적 연결부재를 이용해서 태양전지 간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태양전지 간 연결 및 외부 기기와의 연결에 있어서도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가 적용된 태양전지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가 적용된 태양전지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가 적용된 태양전지 모듈의 분해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파사드(facade)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에 완충재가 설치된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재가 설치된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가 적용된 태양 전지 모듈의 분해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의 용어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한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연결"이라는 용어는 어떤 부재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부재들 사이에 다른 부재가 더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아울러, 본원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약", "실질적으로" 등의 정도의 용어는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 오차를 감안하여, 그 수치나 정도의 범주 또는 이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이나 파트들의 사이즈나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 및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다소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100)가 적용된 태양전지 모듈(200)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은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100)에서 태양전지 부재(150)가 분리된 경우를 보여주고, 도 2는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100)에 태양전지 부재(150)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100)는 케이스 본체부(110), 케이스 본체부(110)와 결합된 개폐부(120) 및 케이스 본체부(110)와 개폐부(12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전기적 연결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본체부(110)는 삼각틀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삼각틀 구조의 안쪽에 삼각형 모양의 태양전지 부재(150)가 수용되는 수용영역(A1)을 가질 수 있다. 태양전지 부재(150)는 삼각형의 플레이트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수용영역(A1)은 그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부(110)는 상기 삼각틀 구조의 일변에 해당하는 일측면에 태양전지 부재(150)가 출입 가능한 입구부(E1)를 구비할 수 있다. 입구부(E1)를 통해서 태양전지 부재(150)가 케이스 본체부(110)의 수용영역(A1)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입구부(E1)를 통해서 태양전지 부재(150)를 케이스 본체부(110)로부터 그 외부로 분리할 수 있다.
개폐부(120)는 케이스 본체부(110)와 결합되어 입구부(E1)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폐부(120)는 케이스 본체부(110)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예컨대, 회동)됨으로써 입구부(E1)에 대하여 개폐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개폐부(120)가 입구부(E1)를 폐쇄하도록 배치되었을 때, 개폐부(120)는 케이스 본체부(110)와 함께 하나의 삼각형 케이스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100)는 태양전지 부재(150)를 보호하면서 태양전지 부재(150)에 대한 전기적 접속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전기적 연결부재(50)는 케이스 본체부(110) 및 개폐부(120)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전기적 연결부재(50)는 수용영역(A1)에 수용된 태양전지 부재(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기적 연결부재(50)는 수용영역(A1)에 수용된 태양전지 부재(150)와 다른 태양전지 부재 또는 다른 부품 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폐부(120)의 일단부는 입구부(E1)에 인접한 케이스 본체부(110)의 제1 꼭짓점 부분에 힌지(hinge) 구조(7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개폐부(120)는 힌지 구조(70)를 회동축으로 하여 케이스 본체부(110)에 대하여 그와 평행한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개폐부(120)의 타단부 내지 그와 인접한 부분은 입구부(E1)에 인접한 케이스 본체부(110)의 제2 꼭짓점 부분 내지 그와 인접한 부분에 대하여 체결 및 탈거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개폐부(120)의 타단부 내지 그와 인접한 부분과 케이스 본체부(110)의 상기 제2 꼭짓점 부분 내지 그와 인접한 부분 사이에 소정의 체결 구조(일종의 잠금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꼭짓점 부분 내지 그와 인접한 부분에 체결홈(H1)이 구비될 수 있고, 개폐부(120)의 타단부 내지 그와 인접한 부분에 체결돌기(P1)가 구비될 수 있다. 체결홈(H1)에 체결돌기(P1)를 삽입함으로써, 개폐부(120)의 닫힘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다. 체결홈(H1)에서 체결돌기(P1)를 분리(탈거)하여 상기 닫힘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고, 개폐부(120)를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체결 구조(잠금 장치)로서 체결홈(H1)과 체결돌기(P1)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상기 체결 구조의 구체적인 구성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적 연결부재(50)는 상기 삼각형 케이스 구조의 세 개의 변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전기적 연결부재(50)가 상기 삼각형 케이스 구조의 세 개의 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전기적 연결부재(50)는 수용영역(A1)에 수용된 태양전지 부재(150)의 세 개의 변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스 본체부(110)의 제1변에 해당하는 제1 프레임부에 구비된 전기적 연결부재(50)를 '제1 전기적 연결부재'라 할 수 있고, 케이스 본체부(110)의 제2변에 해당하는 제2 프레임부에 구비된 전기적 연결부재(50)를 '제2 전기적 연결부재'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제 2 프레임부는 입구부(E1)에 해당하는 프레임부를 제외한 나머지 두 개의 프레임부일 수 있다. 개폐부(120)에 구비된 전기적 연결부재(50)는 '제3 전기적 연결부재'라 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기적 연결부재(50)는 상기 제1 프레임부의 중앙부에 내장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기적 연결부재(50)는 상기 제2 프레임부의 중앙부에 내장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전기적 연결부재(50)는 개폐부(120)의 중앙부에 내장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기적 연결부재(50)는 포고핀(pogo pin) 부재(즉, 포고핀 커넥터)를 포함하거나 포고핀 부재일 수 있다. 상기한 포고핀(pogo pin) 부재를 이용할 경우, 전기적 접속이 용이해지고 접속 특성이 향상되며,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태양전지 부재(150)는 비실리콘계 태양전지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전지 부재(150)는 CIGS(copper indium gallium selenide) 태양전지 셀을 포함할 수 있다. CIGS 태양전지 셀은 태양빛을 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박막형 태양전지로서, 앞뒤에 전극을 부착시켜 전류를 모음과 더불어 유리나 플라스틱 안감에 구리 인듐 갈륨 셀레늄의 얇은 층을 증착시켜 제조될 수 있다. CIGS 태양전지 셀은 높은 흡수 계수를 가지고 태양빛을 강력하게 흡수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CIGS 태양전지 셀은 적색(빨강), 녹색(초록), 청색(파랑) 등 다양한 색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아울러, CIGS 태양전지 셀은 투명성을 갖거나 반투명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CIGS 태양전지 셀은 건축물의 미관 개선에 매우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200)은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100) 및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100)의 수용영역(A1)에 수용된 태양전지 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100)가 적용된 태양전지 모듈(200)의 분해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부(110), 케이스 본체부(110)와 결합된 개폐부(120) 및 케이스 본체부(110)와 개폐부(12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전기적 연결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본체부(110)는 전면 케이스 부재(111) 및 후면 케이스 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케이스 부재(111)는 삼각형의 제1 개구(G1)를 정의하는 삼각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후면 케이스 부재(112)는 전면 케이스 부재(111)와 대응하여 배치되면서 전면 케이스 부재(111)와 결합될 수 있고, 삼각형의 제2 개구(G2)를 정의하는 삼각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태양전지 부재(150)는 전면 케이스 부재(111)와 후면 케이스 부재(112) 사이에 정의된 상기 수용영역(도 1의 A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전면 케이스 부재(111)의 하면에 삼각틀 형태의 제1홈이 정의될 수 있고, 후면 케이스 부재(112)의 상면에 삼각틀 형태의 제2홈이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홈 및 제2홈에 의해 상기 수용영역(도 1의 A1) 및 상기 입구부(도 1의 E1)가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수용영역(도 1의 A1)에 수용된 태양전지 부재(150)의 전면 영역 및 후면 영역은 제1 개구(G1) 및 제2 개구(G2)를 통해 각각 노출될 수 있다.
태양전지 부재(150)는 삼각형 형태의 기판(151) 및 기판(151)의 일면 상에 구비된 태양전지 소자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51)은, 예를 들어, 유리(glass) 기판일 수 있다. 태양전지 소자부(152)는 비실리콘계 태양전지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전지 소자부(152)는 CIGS(copper indium gallium selenide) 태양전지 셀을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120)는 케이스 본체부(110)와 결합되어 상기 입구부(도 1의 E1)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폐부(120)는 개폐부 본체(121) 및 개폐부 본체(121)의 상면에 결합되는 개폐부 커버(122)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120)의 일단부는 상기 입구부(도 1의 E1)에 인접한 케이스 본체부(110)의 제1 꼭짓점 부분에 힌지 구조(7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개폐부(120)는 힌지 구조(70)를 회동축으로 하여 케이스 본체부(110)에 대하여 그와 평행한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후면 케이스 부재(112)의 상기 제1 꼭짓점 부분에 대응하는 영역에 기둥부(71)가 구비될 수 있고, 개폐부 본체(121)의 일단부에 삽입홀(7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홀(72) 내에 기둥부(71)가 삽입됨으로써 후면 케이스 부재(112)와 개폐부 본체(121)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기둥부(71) 및 삽입홀(72) 등에 의해 힌지 구조(70)가 구성된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힌지 구조(70)는 기둥부(71) 및 삽입홀(72) 등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전면 케이스 부재(111)의 상기 제1 꼭짓점 부분에 대응하는 영역에도 기둥부(71)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제2 기둥부'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 기둥부도 삽입홀(72) 내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설명한 힌지 구조(70)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개폐부(120)의 타단부 내지 그와 인접한 부분은 상기 입구부(도 1의 E1)에 인접한 케이스 본체부(110)의 제2 꼭짓점 부분 내지 그와 인접한 부분에 대하여 체결 및 탈거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개폐부(120)의 타단부 내지 그와 인접한 부분과 케이스 본체부(110)의 상기 제2 꼭짓점 부분 내지 그와 인접한 부분 사이에 소정의 체결 구조(일종의 잠금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꼭짓점 부분 내지 그와 인접한 부분에 체결홈(H1)이 구비될 수 있고, 개폐부(120)의 타단부 내지 그와 인접한 부분에 체결돌기(P1)가 구비될 수 있다. 전면 케이스 부재(111)에 체결홈(H1)의 제1 부분이 마련될 수 있고, 후면 케이스 부재(112)에 체결홈(H1)의 제2 부분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전면 케이스 부재(111)와 후면 케이스 부재(112)의 결합시,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결합에 의해 하나의 체결홈(H1)이 정의될 수 있다. 체결돌기(P1)는 개폐부 본체(121)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체결홈(H1)에 체결돌기(P1)를 삽입함으로써, 개폐부(120)의 닫힘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체결홈(H1)에서 체결돌기(P1)를 분리(탈거)하여 상기 닫힘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고, 개폐부(120)를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체결 구조(잠금 장치)로서 체결홈(H1)과 체결돌기(P1)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상기 체결 구조의 구체적인 구성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체결 구조는 일종의 '걸쇠 구조'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전기적 연결부재(50)는 케이스 본체부(110) 및 개폐부(120)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적 연결부재(50)는 케이스 본체부(110)와 개폐부(120)의 체결에 의해 형성되는 삼각형 케이스 구조의 세 개의 변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전기적 연결부재(50)가 상기 삼각형 케이스 구조의 세 개의 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 본체부(110)의 제1변에 해당하는 제1 프레임부에 구비된 전기적 연결부재(50)를 '제1 전기적 연결부재'라 할 수 있고, 케이스 본체부(110)의 제2변에 해당하는 제2 프레임부에 구비된 전기적 연결부재(50)를 '제2 전기적 연결부재'라 할 수 있다. 개폐부(120)에 구비된 전기적 연결부재(50)는 '제3 전기적 연결부재'라 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기적 연결부재(50)는 상기 제1 프레임부의 중앙부에 내장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기적 연결부재(50)는 상기 제2 프레임부의 중앙부에 내장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전기적 연결부재(50)는 개폐부(120)의 중앙부에 내장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기적 연결부재(50) 및 제2 전기적 연결부재(50)는 전면 케이스 부재(111)와 후면 케이스 부재(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전면 케이스 부재(111)와 후면 케이스 부재(112)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제1 및 제2 전기적 연결부재(50)의 안착을 위한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전기적 연결부재(50)는 개폐부 본체(121)와 개폐부 커버(1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개폐부 본체(121)와 개폐부 커버(122)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제3 전기적 연결부재(50)의 안착을 위한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기적 연결부재(50)의 제1 단자부는 상기 수용공간(도 1의 A1)의 안쪽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고, 전기적 연결부재(50)의 제2 단자부는 태양전지 모듈(200)의 측면의 바깥쪽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다양한 건축물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고, 아울러 설치/조립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태양전지 모듈(200) 및 이에 적용된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100)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 모듈(200)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파사드 구조체를 구현할 수 있다.
기존의 BIPV(building-integrated photovoltaic) 시스템 또는 BAPV(bilding applied photovoltaic) 시스템에 적용되는 태양광 발전 구조체의 경우, 사각형의 획일화된 형태 및 단조로운 색상을 가지고 있어, 도시 미관을 개선하는 데는 한계와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200)은 삼각형의 케이스 구조를 이용하고 다양한 색상 구현이 용이하기 때문에, 건축물 및 도시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200)에서는 힌지 구조 및 체결 구조를 적용한 개폐부(120)를 사용함으로써, 태양전지 부재(150)를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100) 내에 간편하게 삽입하고 또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개인(비전문가)이 태양전지 모듈 구조체 및 이를 적용한 태양광 발전 파사드 구조체를 유지관리하기가 매우 용이할 수 있다. 아울러, 포고핀(pogo pin) 등의 전기적 연결부재(50)를 이용해서 태양전지 간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태양전지 간 연결 및 외부 기기와의 연결에 있어서도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파사드(facade)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파사드 구조체는 건축물의 외벽을 이루거나 건축물의 외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여기서, '파사드(facade)'는 건축물의 정면이나 소정 입면을 뜻하는 용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파사드'라는 용어는 건축물의 전반적인 입면 및 외면을 모두 지칭하는 용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파사드 구조체는 상기 건축물의 외벽을 이루거나 상기 건축물의 외면에 설치되는 프레임 구조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구조체(300)는 '외곽 프레임 구조체'라고 할 수 있다. 프레임 구조체(300)는 삼각형 모양을 갖는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R10)이 정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R10)은 하나의 태양전지 모듈(200)이 장착(설치)되는 영역으로서, 삼각형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삼각형은 정삼각형일 수 있다. 태양전지 모듈(200)은 하나의 '파사드 유닛'일 수 있고,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R10)은 '파사드 유닛 장착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R10)은 이차원 평면(도면상 XZ 평면) 상에 상호 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R10)은 삼각형 모양을 갖는 제1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R10a) 및 이와 인접하고 삼각형 모양을 갖는 제2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R1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R10a, R10b)은 삼각형의 한 변에 해당하는 부분을 공유하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R10a, R10b)은 하나의 평행사변형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R10a, R10b)은 도면상 X축 방향으로 반복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R10)은 삼각형 모양을 갖는 제3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R10c) 및 이와 인접하고 삼각형 모양을 갖는 제4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R10d)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및 제4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R10c, R10d)은 제1 및 제2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R10a, R10b)에 대해서 Z축 방향으로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R10c)은 제1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R10a)과 삼각형의 하나의 꼭짓점 영역을 공유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4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R10d)은 제2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R10b)과 삼각형의 한 변에 해당하는 부분을 공유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및 제4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R10c, R10d)은 삼각형의 한 변에 해당하는 부분을 공유하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및 제4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R10c, R10d)은 하나의 평행사변형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제3 및 제4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R10c, R10d)은 도면상 X축 방향으로 반복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R10)은 평판형 구조를 이루도록 이차원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R10)의 적어도 일부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평행사변형 구조' 및/또는 '육각형 구조'를 이루도록 배열될 수 있다. 그 밖에도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R10)의 배열 방식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각각의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R10)은 측벽 프레임부(310) 및 저면 프레임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측벽 프레임부(310)는 도면상 XZ 평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것일 수 있고, 각각의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R10)에서 삼각형의 틀 모양을 이룰 수 있다. 저면 프레임부(320)는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R10)의 저면에 해당하는 부분을 정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저면 프레임부(320)는 도면상 XZ 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것일 수 있고, 각각의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R10)에서 삼각형의 틀 모양을 이룰 수 있다. 저면 프레임부(320)는 측벽 프레임부(310)의 후단부로부터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R10)의 안쪽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태양전지 모듈(200)은 각각의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R10)에서 측벽 프레임부(310)의 안쪽으로 끼워져서 저면 프레임부(320) 상에 놓여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R10)에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200)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R10)과 태양전지 모듈(200) 사이의 결합 및 고정을 위한 다양한 결합 구조나 부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태양전지 모듈(200)은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R10)으로부터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결합 구조는 래치(latch) 구조와 같은 원터치 결합/탈거 방식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R10) 각각에 하나 이상의 접속부가 배치될 수 있다.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R10) 각각에 복수의 접속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는 전기적 접속부로서, 각각의 접속부는 하나 이상의 접속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는 태양전지 모듈(200)과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 각각은 태양전지 모듈(200)의 전기적 연결부재(50)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에 완충재가 설치된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100)에는 고무 완충재(115)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고무 완충재(15)는 후면 케이스 부재의 제1 내지 제3 꼭지점 및 모서리 부분 중 적어도 한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고무 완충재를 설치함으로써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200)에 태양광 전지(150)를 결합시키면서 태양광 전지(150)가 파손되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이외에도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100)는 케이스에서 태양전지가 인입되는 모서리 상에 소정의 식별 요소(60)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 요소(60)는 인입되는 태양 전지의 꼭지점(161)이 결합되는 케이스의 영역(162)에 대응되는 위치를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식별 요소(60)는 모서리의 영역 중 꼭지점(162)에 대응되는 가로 위치를 식별하도록 함으로써, 태양 전지의 꼭지점(161)을 보다 적절히 삽입하도록 하여, 태양 전지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식별 요소(60)는 소정의 마킹, 플라스틱 등 외부에서 식별 가능한 임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예시에서 완충재는 고무로 제조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완충재의 소재는 고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완충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소재로 구현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재가 설치된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가 적용된 태양 전지 모듈의 분해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를 참고하면, 고무 완충재(115)는 삼각틀 형태의 후면 케이스 부재(112)에 설치될 수 있다. 고무 완충재(115)를 설치함으로써 기판(151)이 파손되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판(151)는 유리로 되어 파손의 위험성이 있을 수 있다. 특히 삼각형의 유리 기판은 각 모서리의 파손 위험성이 큰데, 고무 완충재(115)를 후면 케이스 부재(112)의 제1 내지 제3 꼭지점 부분에 설치하여 파손 위험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자석 부재(163)를 복수로 구비하여, 앞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태양광 패널 모듈간의 결합을 위한 보조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호 결합되는 태양광 패널 모듈은 자석부재(163)를 통해 상호간에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다양한 건축물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고, 아울러 설치/조립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태양전지 모듈 및 이에 적용된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파사드 구조체를 구현할 수 있다. 기존의 BIPV(building-integrated photovoltaic) 시스템 또는 BAPV(bilding applied photovoltaic) 시스템에 적용되는 태양광 발전 구조체의 경우, 사각형의 획일화된 형태 및 단조로운 색상을 가지고 있어, 도시 미관을 개선하는 데는 한계와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은 삼각형의 케이스 구조를 이용하고 다양한 색상 구현이 용이하기 때문에, 건축물 및 도시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에서는 힌지(hinge) 구조 및 체결 구조를 적용한 개폐부를 사용함으로써, 태양전지 셀 부재를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 내에 간편하게 삽입하고 또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개인이 태양전지 모듈을 유지관리하기가 매우 용이할 수 있다. 아울러, 포고핀(pogo pin) 등의 전기적 연결부재를 이용해서 태양전지 간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태양전지 간 연결 및 외부 기기와의 연결에 있어서도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예들 들어,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와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및 태양광 발전 파사드 구조체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인 예로, 프레임 구조체 및 태양광 발전 파사드 구조체는 평판형 구조가 아닌 절곡형 구조, 입체적 구조 등 다양한 구조 및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때문에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50 : 전기적 연결부재 70 : 힌지 구조
71 : 기둥부 72 : 삽입홀
100 :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 110 : 케이스 본체부
111 : 전면 케이스 부재 112 : 후면 케이스 부재
120 : 개폐부 121 : 개폐부 본체
122 : 개폐부 커버 150 : 태양전지 부재
151 : 기판 152 : 태양전지 소자부
200 : 태양전지 모듈 300 : 프레임 구조체
310 : 측벽 프레임부 320 : 저면 프레임부
A1 : 수용영역 E1 : 입구부
G1 : 제1 개구 G2 : 제2 개구
H1 : 체결홈 P1 : 체결돌기
R10 :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

Claims (11)

  1.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로서,
    삼각틀 구조를 갖고, 상기 삼각틀 구조의 안쪽에 삼각형 모양의 태양전지 부재가 수용되는 수용영역을 가지며, 상기 삼각틀 구조의 일변에 해당하는 일측면에 상기 태양전지 부재가 출입 가능한 입구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본체부;
    상기 케이스 본체부와 결합된 것으로, 상기 입구부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입구부를 폐쇄하도록 배치되었을 때 상기 케이스 본체부와 함께 하나의 삼각형 케이스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된 개폐부; 및
    상기 케이스 본체부 및 상기 개폐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수용영역에 수용된 상기 태양전지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적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의 일단부는 상기 입구부에 인접한 상기 케이스 본체부의 제1 꼭짓점 부분에 힌지(hinge) 구조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개폐부의 타단부 내지 그와 인접한 부분은 상기 입구부에 인접한 상기 케이스 본체부의 제2 꼭짓점 부분 내지 그와 인접한 부분에 대하여 체결 및 탈거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부는 삼각형의 제1 개구를 정의하는 삼각틀 형태를 갖는 전면 케이스 부재; 및 상기 전면 케이스 부재와 대응하여 배치되면서 이와 결합되는 것으로, 삼각형의 제2 개구를 정의하는 삼각틀 형태를 갖는 후면 케이스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태양전지 부재는 상기 전면 케이스 부재와 상기 후면 케이스 부재 사이에 정의된 상기 수용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태양전지 부재의 전면 영역 및 후면 영역은 상기 제1 및 제2 개구를 통해 각각 노출되는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케이스 부재는 꼭지점 및 모서리 부분에 고무 완충재를 추가적으로 부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는 상기 삼각형 케이스 구조의 세 개의 변 각각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영역에 수용된 상기 태양전지 부재의 세 개의 변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부의 제1변에 해당하는 제1 프레임부에 제1 전기적 연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부의 제2변에 해당하는 제2 프레임부에 제2 전기적 연결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에 제3 전기적 연결부재가 구비된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는 포고핀(pogo pin) 부재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 및
    상기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의 수용영역에 수용된 태양전지 부재;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부재는 CIGS(copper indium gallium selenide) 태양전지 셀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10. 건축물의 외벽을 이루거나 건축물의 외면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 파사드(facade) 구조체로서,
    상기 건축물의 외벽을 이루거나 상기 건축물의 외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삼각형 모양을 갖는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이 정의된 프레임 구조체; 및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은 청구항 7에 기재된 태양전지 모듈에 대응하는 구조를 갖는 태양광 발전 파사드 구조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은 삼각형 모양을 갖는 제1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 및 이와 인접하고 삼각형 모양을 갖는 제2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태양전지 모듈 장착영역은 삼각형의 한 변에 해당하는 부분을 공유하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는 태양광 발전 파사드 구조체.
KR1020220138856A 2022-10-17 2022-10-26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와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및 태양광 발전 파사드 구조체 KR202400534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2984 2022-10-17
KR20220132984 2022-10-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3479A true KR20240053479A (ko) 2024-04-24

Family

ID=90884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8856A KR20240053479A (ko) 2022-10-17 2022-10-26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와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및 태양광 발전 파사드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34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5338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ガラス用の組合わせ式太陽光発電パネル
US8203075B2 (en) BIPV junction box
KR101260301B1 (ko)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US8955267B2 (en) Hole-thru-laminate mounting supports for photovoltaic modules
JP2009513008A (ja) 複数の光電池モジュールを備えたソーラーパワーシステム
KR20090003860U (ko) 건축물적용 태양광발전장치의 분리형 분기장치
US10476429B2 (en) Solar junction box
KR101126430B1 (ko) 발포 알루미늄을 이용한 기능성 판재
US20160359449A1 (en) Solar junction box for solar panel
KR20110045522A (ko) 건물 일체형 태양광 외장재 구조
US20120031472A1 (en) Support for Photovoltaic Module and Photovoltaic Module
JP7408811B2 (ja) 太陽電池パネルが装着可能なルーバー組立体
KR101016793B1 (ko) 태양전지를 포함하는 지붕재 및 이를 연결한 지붕
KR20240053479A (ko) 태양전지 모듈용 케이스와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및 태양광 발전 파사드 구조체
WO2011064820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US20220302873A1 (en) A solar power generator
CN209729921U (zh) 太阳能电池模块
KR20090079855A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블록 방식 모듈 구성
CN209250572U (zh) 太阳能发电组件和太阳能发电模组
CN204967751U (zh) 太阳能光伏装置
US20200382052A1 (en) Homogeneous transparent coated greenhouse electrical generating devices, and internal and external electrical interconnections
JPH1154778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WO2009046531A1 (en) Integrated photovoltaic roof tile
KR20230100523A (ko) 태양광 발전 파사드 구조체
JP3354374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