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9855A -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블록 방식 모듈 구성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블록 방식 모듈 구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9855A
KR20090079855A KR1020090055907A KR20090055907A KR20090079855A KR 20090079855 A KR20090079855 A KR 20090079855A KR 1020090055907 A KR1020090055907 A KR 1020090055907A KR 20090055907 A KR20090055907 A KR 20090055907A KR 20090079855 A KR20090079855 A KR 20090079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olar cell
unit module
modu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동균
이규헌
조영준
최태선
한고운
원창섭
Original Assignee
유동균
이규헌
한고운
원창섭
조영준
최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동균, 이규헌, 한고운, 원창섭, 조영준, 최태선 filed Critical 유동균
Priority to KR1020090055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9855A/ko
Publication of KR20090079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8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6Electric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special 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two or more PV modules, e.g. electrical module-to-module 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태양전지의 기본 단위인 셀(cell)을 재구성하여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설치를 편리하게 하며, 그 이용 범위를 넓혀 대중과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기본 단위인 솔라 셀(cell) 을 탑재하는 하나의 모듈을 단위 블록(Block) 형식으로 제작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단위 블록으로 제작된 솔라 셀 모듈에 포트를 설치하여 솔라 셀 모듈 블록을 원하는 면적 및 형상으로 직렬 연결시킬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병렬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하는 발전 용량을 직접 제작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며, 시공 또한 간편하고, 몇 개의 모듈 블록만을 따로 휴대하고 다닐 수 있어 포터블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설치한 후에도, 햇빛이 잘 드는 쪽으로 모듈 블록의 연결 방향을 쉽게 바꿀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블록 디자인(Block Design), 태양광 발전, 솔라 셀(solar cell), 모듈(module)

Description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블록 방식 모듈 구성{BLOCK DESIGN MODULE}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솔라 셀 모듈에 관한 것이며, 좀 더 상세하게는 솔라 셀들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기 위한 솔라 셀 모듈의 조립 구성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계적으로 환경에 대한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면서, 대체에너지 이용에 관한 기술 개발과 상용화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대체에너지 중 태양에너지는 세계에서 가장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설치 용량도 급속하게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최근에는 대용량의 발전소의 건설과 함께, 태양광 주택 보급사업 등 민간 설치 용량도 증가하고 있다.
즉, 건물 외장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BIPV: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System)의 설치가 점차 늘고 있으며, 건물의 지붕, 외벽 및/또는 창문에 솔라셀 모 듈이 탑재된 외장재를 부착하여 필요한 전력을 태양광으로부터 얻고 있다.
현재까지 솔라 셀의 발전 효율에 대해 연구를 거듭하여 발전 효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20% 를 밑도는 수준으로 여전히 BIPV 시스템에 채용되는 솔라 셀의 설치 면적은 원하는 전력을 얻기 위해 대면적으로 되며, 그 대면적 전체가 건물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즉,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가장 기본 단위는 셀(cell) 이지만, 현재 설치되고 있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단위는 그 전력 생산량을 고려하여 모듈(module) 로 설치되고 있으며, 또한, 상기와 같은 이유로 모듈(module)의 크기가 매우 크고 구성되어 그 설치와 분리 및 수리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시공비가 많이 들고 건물에 고정식으로 설치하게 되는 데 한정되어 전혀 이동성이 없어 사용 범위는 매우 좁은 실정이다.
종래 기술의 한 예를 보여주는 도 2를 참조하면, 넓은 설치 면적에 상당하는 모듈(module)의 용량을 주문제작 하거나 기성품을 사용하여 일단 시공으로 설치하고 나면 모듈의 형태 변형은 거의 불가능하여, 모듈 면적의 일부에 그늘이 져도 그 부분을 햇빛이 드는 곳으로 변형시킬 수 없으며, 모듈의 일부를 떼어 내 여행 시 차량 지붕에 설치한다거나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기본 단위인 솔라 셀(cell) 을 탑재하는 하나의 모듈을 단위 블록(Block) 형식으로 제작하여,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듈을 단위 블록으로 제작하여 필요한 만큼의 모듈 블록을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사용 범위를 넓히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솔라 셀을 탑재한 사각 블록 식으로 된 단위 모듈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 모듈 블록의 직렬 또는 병렬연결을 위해, 상기 단위 모듈 블록의 두 쌍의 대변 각각에 설치되는 한 쌍의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 셀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위 모듈 블록이 육각형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위 모듈 블록의 직렬 또는 병렬연결을 위해, 상기 단위 모듈 블록의 세 쌍의 대변 각각에 설치되는 한 쌍의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 셀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트는 전력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저항이 0.03Ω이하인 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 셀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위 모듈 블록이 직렬연결 된 다수의 모듈 연결체들을 병렬로 연결하는 별도의 쌍을 이루는 포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 셀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설치할 때, 원하는 발전 용량을 직접 제작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며, 시공 또한 간편하다는 장점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설치한 후에도, 햇빛이 잘 드는 쪽으로 모듈 블록의 연결 방향을 쉽게 바꿀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모듈 블록을 떼어내 일부의 모듈 블록을 휴대하고 다닐 수 있는 포터블(portable)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듈 블록들을 직렬연결 또는 병렬연결 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설치 공간, 전압 또는 수명의 조절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듈 블록의 연결과 회로 구성이 간단하여 손쉽게 설치와 분리가 가능하여 파손에 따른 수리도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사용이 간편하기 때문에 교육용 교재 및 휴대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여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대중과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라셀 모듈 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난 종래의 솔라셀 모듈에 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솔라 셀 모듈(250)은 간편한 하나의 작은 단위블록으로 구성된다. 햇빛을 받아 전자?정공 쌍을 생성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솔라 셀(100) 박막을 탑재하는 사각형의 단위 블록의 모듈의 네 변에는 포트(200)가 장착된다. 상기 포트(200)를 통해 여러 개의 솔라 셀 모듈 블록(250)이 중첩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모듈 블록의 각 대변에 한 쌍의 포트(200)를 구비하여 결과적으로 하나의 모듈 블록에 네 개의 포트(200)가 구비되고, 그에 따라 가로 방향으로 솔라 셀 모듈(250)을 확장시킬 수도 있고, 세로 방향으로 확장시킬 수도 있으며, 그 외 ‘ㄱ', ’ㄴ‘자 모양 등 여러 가지 다양한 모양으로 솔라 셀 모듈을 확장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햇빛이 드는 면적에 맞추어 솔라 셀 모듈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한 번 연결해서 설치된 솔라셀 모듈 블록(250)의 연결 모양을 얼마든지 쉽게 바꿀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솔라 셀 모듈 블록(250)을 직렬 연결 구현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솔라 셀 모듈 블록(250)들을 직렬 연 결한 모듈 블록 결합체(300) 두 개를 다시 병렬 연결하여 병렬 연결 회로 구성체(450)를 구성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다.
솔라 셀 모듈 블록(250)들의 직렬 연결 또는 병렬 연결에 사용되는 포트(200)는 일반적인 USB 메모리 연결 포트와 구성이 유사하여 솔라 셀 모듈 블록(250)간의 연결이나 분리가 매우 용이하며, 전력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최소의 저항을 갖는 것으로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채용한 포트(200)의 저항은 0.03Ω이하이다.
도 4에서 보듯이 이미 직렬 연결된 모듈 블록 직렬 결합체(300)들을 병렬 연결할 경우에는 별도의 추가적인 포트를 채용한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솔라 셀 모듈 블록을 사각형이 아닌 육각형으로 구성하는 것이다(도면 미도시).
이러한 육각형 블록의 채용은 무엇보다 햇빛을 받는 면적의 형상이 다양함에 따라 솔라 셀의 면적도 그에 유사하게 구성하기 위함이며, 외관상의 아름다움을 고려한 것이기도 하다.
포트(200)는, 육각형의 세 쌍의 대변 각각 마다 한 쌍씩 장착한다.
직렬 연결시 모양은 보다 응용성이 있으며, 그 연결은 포트(200)를 통해 이루어지고 병렬 연결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라셀 모듈 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솔라 셀 모듈(MODULE)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솔라 셀 모듈 블록(250)을 직렬 연결 구현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모듈 블록 직렬 결합체(300) 두 개를 병렬 연결하여 병렬 연결 회로 구성체(450)를 구성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솔라 셀(CELL)
200: 포트
250: 솔라 셀 모듈 블록
300: 모듈(MODULE) 블록 직렬 결합체
400: 직렬 회로 구성
450: 모듈 블록 병렬 결합체

Claims (4)

  1.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솔라 셀을 탑재한, 사각 블록 식으로 된 단위 모듈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 모듈 블록의 직렬 또는 병렬연결을 위해, 상기 단위 모듈 블록의 두 쌍의 대변 각각에 설치되는 한 쌍의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 셀 모듈.
  2.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솔라 셀을 탑재한 단위 모듈 블록이 육각형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위 모듈 블록의 직렬 또는 병렬연결을 위해, 상기 단위 모듈 블록의 세 쌍의 대변 각각에 설치되는 한쌍의 포트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 셀 모듈.
  3.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는 전력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저항이 0.03Ω이하인 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 셀 모듈.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는 재료, 형상, 결합관계 등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의 명칭.
  4.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모듈 블록이 직렬연결 된 다수의 모듈 직렬 연결체들을 병렬도 연결하는 별도의 쌍을 이루는 포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솔라 셀 모듈.
KR1020090055907A 2009-06-23 2009-06-23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블록 방식 모듈 구성 KR200900798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907A KR20090079855A (ko) 2009-06-23 2009-06-23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블록 방식 모듈 구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907A KR20090079855A (ko) 2009-06-23 2009-06-23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블록 방식 모듈 구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855A true KR20090079855A (ko) 2009-07-22

Family

ID=41290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907A KR20090079855A (ko) 2009-06-23 2009-06-23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블록 방식 모듈 구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985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399B1 (ko) * 2010-12-20 2012-03-23 정 욱 한 학습교구용 태양전지 모듈
KR101306444B1 (ko) * 2011-12-02 2013-09-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장치
KR20180082727A (ko) * 2017-01-11 2018-07-19 주식회사 야베스 태양전지패널 어셈블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399B1 (ko) * 2010-12-20 2012-03-23 정 욱 한 학습교구용 태양전지 모듈
WO2012086922A1 (ko) * 2010-12-20 2012-06-28 Jeong Yeong Sik 학습교구용 태양전지 모듈
US9099587B2 (en) 2010-12-20 2015-08-04 Yeong Sik Jeong Educational solar cell module
KR101306444B1 (ko) * 2011-12-02 2013-09-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장치
KR20180082727A (ko) * 2017-01-11 2018-07-19 주식회사 야베스 태양전지패널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0601B2 (en) Integrated photovoltaic modular panel
US8286393B2 (en) Bearing frame for an electrically active panel such as a photovoltaic panel
KR101260301B1 (ko)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0735101B1 (ko) 단자박스가 일체화된 발코니형 태양전지모듈
JP2007019140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接続方法並びにその設置構造及び設置方法
Ramasamy et al. A dodging algorithm to reconfigure photovoltaic array to negate partial shading effect
KR20090079855A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블록 방식 모듈 구성
WO2016002458A1 (ja) 太陽光発電装置
WO2007132027A1 (es) Teja solar fotovoltaica
JP3198764U (ja) ソーラーパネル用フレームモジュール
KR101016793B1 (ko) 태양전지를 포함하는 지붕재 및 이를 연결한 지붕
CN102792460B (zh) 太阳能电池模块
US20220302873A1 (en) A solar power generator
EP2408017B1 (en) Photovoltaic battery module and junction box assembly therein
CN204119149U (zh) 双玻交流光伏组件
CN203192812U (zh) 太阳能电池模块及太阳能电池系统
KR20150029801A (ko) 인버터 일체형 고전압 bipv 태양전지 패널
CN201221167Y (zh) 太阳电池组件z字形支撑架
CN217630916U (zh) 一种用于光伏建筑一体化屋面的通风降温系统
JPH1052076A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101451626B1 (ko) 태양전지모듈 고정 프레임
CN216904796U (zh) 一种光伏发电装置的安装结构
CN207543049U (zh) 太阳能瓦的边框连接件
CN203339186U (zh) 太阳能电池模组固定装置
CN215253742U (zh) 一种具有太阳能发电功能的光伏玻璃幕墙及建筑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