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3388A - 이중 모션 액티브 에어 플랩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모션 액티브 에어 플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3388A
KR20240053388A KR1020220133414A KR20220133414A KR20240053388A KR 20240053388 A KR20240053388 A KR 20240053388A KR 1020220133414 A KR1020220133414 A KR 1020220133414A KR 20220133414 A KR20220133414 A KR 20220133414A KR 20240053388 A KR20240053388 A KR 20240053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air flap
stopper
dual motion
flap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3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운태
신준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3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3388A/ko
Publication of KR20240053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338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8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 B60K11/085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with adjustable shutters o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ai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with means for cooling the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5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05Electric motors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전방에 설치되며,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에어 플랩(air flap) 및 액추에이터(actuator)의 동력에 의해 상기 에어 플랩을 회전 동작시키는 링크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중 모션 에어 플랩 장치로서, 상기 링크 조립체는, 일 단부가 상기 액추에이터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 일 단부가 상기 제1 링크의 타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 및 상기 에어 플랩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링크 체결 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 단부가 상기 제2 링크의 타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링크를 포함하는 이중 모션 에어 플랩 장치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실링 성능이 개선되고 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 모션 액티브 에어 플랩 장치{DOUBLE MOTION ACTIVE AIR FLAP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에어 플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중 모션 동작의 액티브 에어 플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차(Electric Vehicle)는 배터리와 모터로 구성되어 있어 내연기관의 엔진대비 발열량이 작아 많은 양의 냉각 유동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대부분의 전기차는 그릴이 막혀있거나, AAF(Active Air Flap)를 적용하여 필요한 순간 외에는 냉각홀을 차단하여 공력성능을 개선한다.
이러한 AAF 의 가장 중요한 기술은 플랩이 닫혔을 때 얼마나 실링성능을 잘 유지하느냐에 달려있다.
그래서, 제조사들은 AAF 가 다양한 범퍼 디자인에서도 최적의 실링성능을 발휘하기 위해 플랩이 단순 개폐를 위해 회전만 하는 것이 아니라,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며 플랩의 밀착력을 극대화하여 실링(sealing)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적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의 AAF를 통칭 2중 모션(슬라이딩+로테이션) AAF라 한다.
한편, AAF를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의 경우 전원이 인가되면 매우 강한 토크로 플랩을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고속으로 주행하며 플랩에 강한 풍압이 작용하더라도 OPEN과 CLOSE 시 액추에이터에 의한 플랩 작동성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일단 플랩이 열리거나 닫히게 되면, 액추에이터에 전원이 차단되어 액추에이터에 의한 토크가 사라지기 때문에 강한 풍압이 플랩에 걸리게 되면 플랩이 뒤로 밀리는 등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여 실링문제가 발생할 수가 있다.
특히 2중 모션 AAF의 경우 플랩이 닫힌 상태에서 전원이 차단되면 플랩이 슬라이딩 되며 뒤로 쉽게 밀리는 문제가 발생하며, 특정 조건에서의 해석 결과 플랩이 약 12.4cm 가량 밀림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액추에이터에 전원을 계속 인가하거나, 플랩을 잡아줄 수 있는 스토퍼(솔레노이드) 및 별도의 구조물이 필요하지만 이는 액추에이터의 내구성을 저하시키고 원가 및 중량을 증대하기에 바람직한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
이상의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5660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실링 성능이 개선되고 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 모션 액티브 에어 플랩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이중 모션 액티브 에어 플랩 장치는, 차량 전방에 설치되며,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에어 플랩(air flap) 및 액추에이터(actuator)의 동력에 의해 상기 에어 플랩을 회전 동작시키는 링크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중 모션 에어 플랩 장치로서, 상기 링크 조립체는, 일 단부가 상기 액추에이터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 일 단부가 상기 제1 링크의 타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 및 상기 에어 플랩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링크 체결 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 단부가 상기 제2 링크의 타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링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링크의 중단부에는 상기 제2 링크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는 제1 스토퍼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링크의 상기 일 단부에는 서로 이격되어 측방으로 돌출된 제2 스토퍼 및 제3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래서, 상기 제2 링크의 회전 반경은 상기 제2 스토퍼 및 상기 제3 스토퍼가 상기 제1 스토퍼와 접촉함으로써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3 링크의 타 단부는 측방으로 홈이 뚫린 후크부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 플랩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후크 스토퍼에 상기 후크부가 걸림으로써 상기 제3 링크의 일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양 단이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에 각각 체결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측면부에는 상기 에어플랩 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 플랩이 상기 개구를 막은 클로즈드(CLOSED) 상태에서, 상기 제2 링크의 타 단부 또는 상기 제3 링크의 일 단부에 형성된 체결부가 상기 돌기부보다 하방향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클로즈드 상태에서 상기 액추에이터가 일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체결부가 상기 돌기부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향 이동되는 록업(Lock up) 모드의 구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록업 모드 구현시, 상기 돌기부가 상기 체결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에어 플랩의 전방으로부터의 풍압에 의해 상기 체결부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로즈드 상태에서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록업 모드 구현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에어 플랩을 기준으로 상기 체결부가 상기 돌기부보다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록업 모드 구현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에어 플랩이 후방으로 슬라이딩 동작되는 슬라이드 백(SLIDE BACK) 상태 및 상기 에어 플랩이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오픈(OPEN) 상태의 구현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링크 조립체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한 쌍의 상기 링크 조립체가 상기 에어 플랩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된 링크 체결 돌기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의한 이중 모션 에어 플랩 장치는, 차량 전방에 설치되며,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에어 플랩(air flap) 및 액추에이터(actuator)의 동력에 의해 상기 에어 플랩을 회전 동작시키는 링크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중 모션 에어 플랩 장치로서, 상기 링크 조립체는, 일 단부가 상기 액추에이터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단부에는 제1 스토퍼가 돌출 형성된 제1 링크, 일 단부가 상기 제1 링크의 타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일 단부에는 서로 이격되어 측방으로 돌출된 제2 스토퍼 및 제3 스토퍼가 형성된 제2 링크, 상기 에어 플랩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링크 체결 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 단부가 상기 제2 링크의 타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링크 및 양 단이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에 각각 체결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부에는 상기 에어플랩 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링크의 회전 반경은 상기 제2 스토퍼 및 상기 제3 스토퍼가 상기 제1 스토퍼와 접촉함으로써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 링크의 타 단부는 측방으로 홈이 뚫린 후크부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 플랩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후크 스토퍼에 상기 후크부가 걸림으로써 상기 제3 링크의 일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링크 조립체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한 쌍의 상기 링크 조립체가 상기 에어 플랩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된 링크 체결 돌기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중 모션 액티브 에어 플랩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공력 성능이 개선된다.
종래 기술의 경우 고속주행시 강한 전방의 풍압으로 인해 플랩이 뒤로 밀려 실링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3개의 링크구조와 하우징 내 돌기 형상을 적용하여 플랩이 뒤로 밀리지 않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이로 인해 냉각저항이 감소하고, 공력 성능이 개선되어 전기차의 AER(All Electric Range)이 개선된다.
둘째, 원가 및 중량을 절감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서 플랩이 뒤로 밀리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스토퍼 등을 추가로 사용하였으나, 이는 원가와 중량을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링크의 개수를 3개로 구성하여 실링 문제를 해결하여 원가/중량 절감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중 모션 액티브 에어 플랩 장치가 적용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이중 모션 액티브 에어 플랩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 및 도 4의 작동 상태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이중 모션 액티브 에어 플랩 장치의 SLIDE BACK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이중 모션 액티브 에어 플랩 장치의 HALF OPEN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은본 발명의 이중 모션 액티브 에어 플랩 장치의 FULL OPEN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의 기술이나 반복적인 설명은 그 설명을 줄이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중 모션 액티브 에어 플랩 장치가 적용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 모션 액티브 에어 플랩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 전방 범퍼 및 그릴에 설치되는 장치이며, 에어 플랩(AIR FLAP)을 개폐함으로써 공기의 유입을 제어하고, 나아가 주행 중 공기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에어 플랩의 로테이션(rotation) 외에 슬라이딩(sliding) 동작이 가능한 이중 모션 액티브 에어 플랩 장치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이중 모션 액티브 에어 플랩 장치는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20)과, 액추에이터에 의한 회전 동작으로 하우징(20)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하는 에어 플랩(10)을 포함하고, 액추에이터에 의한 동력을 에어 플랩(10)에 전달하여 에어 플랩(10)을 회전 및 슬라이딩 동작시키는 링크 조립체(1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에어 플랩(10)의 후면에 구비되어 하우징(20)과 결합되는 커버(30)가 에어 플랩(10) 및 링크 조립체(100)를 보호한다.
즉, 링크 조립체(100)에 의해 에어 플랩(10)의 이중모션이 가능하게 하고, 풍압에 의해 에어 플랩(10)이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링크 조립체(100)는 제1 링크(110), 제2 링크(120), 제3 링크(130)를 포함한다.
제1 링크(110)는 액추에이터의 회전축에 해당하는 연결축(113)에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단부에 돌출 형성된 제1 체결부(111)에 의해 제2 링크(120)의 일 단부와 결합된다.
그리고, 제1 링크(110)의 중단부에는 제2 링크(120)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는 제1 스토퍼(112)가 돌출 형성된다.
제2 링크(120)의 일 단부에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체결홀을 관통하는 제1 체결부(111)에 의해 제1 링크(110)의 타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2 링크(120)의 타 단부에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제3 링크(130)의 일 단부에 형성된 제2 체결부(131)가 체결홀을 관통하여 제3 링크(130)와 결합된다.
한편, 제2 링크(120)의 일 단부에는 제2 스토퍼(121)와 제3 스토퍼(122)가 측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2 스토퍼(121)와 제3 스토퍼(122)는 이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제2 링크(120)가 제1 링크(110)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 회전시 제2 스토퍼(121)가 제1 링크(110)의 제1 스토퍼(112)에 의해 회전 반경이 제한되고, 제2 링크(120)가 제1 링크(110)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 회전시 제3 스토퍼(122)가 제1 링크(110)의 제1 스토퍼(112)에 의해 회전 반경이 제한되게 된다.
그리고, 스프링(140)의 양 단이 각각 제1 링크(110)와 제2 링크(120)에 체결됨으로써 제1 링크(110)와 제2 링크(120)의 회전 동작시 탄성 지지한다.
제3 링크(130)의 중단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에어 플랩(1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링크 체결 돌기(11)가 관통홀을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제3 링크(130)가 링크 체결 돌기(11)를 기준으로 회전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제3 링크(130)의 타 단부는 측방으로 홈이 뚫린 형태의 후크부(132)로 형성되며, 도시와 같이 에어 플랩(10)에 돌출 형성된 후크 스토퍼(12)에 후크부(132)가 걸림으로써 제3 링크(130)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을 제한시킨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이중 모션 액티브 에어 플랩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에어 플랩(10)이 CLOSED 된 상태로서, 스프링(140)이 제1 링크(110)와 제2 링크(120)를 장력으로 눌러서 제2 링크(120)의 제2 스토퍼(121)가 제1 링크(110)의 제1 스토퍼(111)에 걸리게 되고, 제1 링크(110)와 제2 링크(120)를 도시와 같은 특정한 각도로 유지시킨다.
한편, 하우징(20)의 측면부에는 제2 링크(120)의 타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돌기부(21)가 상기 에어플랩(10) 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도 3의 상태에서 제3 링크(130)의 제2 체결부(131)가 돌기부(21)보다 하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액추에이터가 반시계 방향으로 동작하여 에어 플랩(10)이 도 3과 같이 CLOSED 상태에서는 도 5와 같이 스프링(140)의 탄성력에 의해 제3 링크(130)의 제2 체결부(131)가 돌기부(21)보다 하방향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도 3의 에어 플랩(10)이 CLOSED 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 동작하면, 도 4와 같이 스프링(140) 장력에 의해 특정 각도로 유지되던 제1 링크(110)와 제2 링크(120)가 펴지게 된다. 즉, 제1 링크(110)는 상대적으로 시계 방향, 제2 링크(120)는 상대적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2 링크(120)의 제3 스토퍼(122)가 제1 링크(110)의 제1 스토퍼(111)에 걸리게 되어 제1 링크(110)와 제2 링크(120)가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도록 한다.
한편, 제3 링크(130)의 제2 체결부(131)가 상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돌기부(21)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시와 같이 제3 링크(130)의 제2 체결부(131)는 하우징(20)의 돌기부(21)의 측면과 접하게 된다. 즉, 에어 플랩(10)의 전면을 기준으로 제2 체결부(131)의 후면이 돌기부(21)의 전면에 접하는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도 4의 상태를 록업(Lock up) 모드 상태로 명명한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록업 모드에서는 돌기부(21)가 제3 링크(130)의 제2 체결부(131)를 받쳐줌으로써, 에어 플랩(10)이 후방으로 밀리지 않게 하며 보다 우수한 실링(sealing) 성능 확보가 가능하게 한다. 즉, 액추에이터 전원 미인가 상태에서도 에어 플랩(10)이 후방으로 밀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 3의 CLOSED 상태에서 액추에이터의 시계 방향 동작에 의해서 도 4와 같은 록업 모드 상태를 구현할 수가 있다.
반대로, 도 3의 CLOSED 상태에서 액추에이터의 반시계 방향 동작시 도 7과 같은 SLIDE BACK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링크(130)의 제2 체결부(131)가 하우징(20)의 돌기부(21)보다 하방향에 위치함으로써, 이 상태에서 액추에이터의 반시계 방향 동작시 도시와 같이 제2 링크(12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에어 플랩(10)이 하우지(20)에 밀착되어 보다 우수한 실링(sealing) 성능 확보가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액추에이터가 보다 반시계 방향으로 동작되면, 도 8 및 도 9와 같은 HALF OPEN 상태가 된다.
이때는 스프링(140)의 복원력에 의해서 제2 링크(120) 및 제3 링크(130)가 상대적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동작됨으로써 에어 플랩(10)이 일부 개방된다.
나아가, 액추에이터가 보다 반시계 방향으로 동작되면, 도 10 및 도 11과 같은 FULL OPEN 상태가 된다.
즉, 스프링(140)의 장력에 의해서 제2 링크(120) 및 제3 링크(130)는 보다 후방으로 밀리도록 동작되며, 따라서 제3 링크(130)의 후크부(132)는 후크 스토퍼(12)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이상의 동작 설명에서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의 설명은 설명의 편의상 도면의 표시 상태를 기준으로 한 방향에 해당한다. 즉, 도시된 상태는 에어 플랩(10)의 우측면을 나타낸 것이므로, 해당 방향의 설명은 에어 플랩(10)의 좌측면을 기준으로 하면 반대 방향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에어 플랩
20 : 하우징 21 : 돌기부
30 : 커버
100 : 링크 조립체
110 : 제1 링크
111 : 제1 체결부
112 : 제1 스토퍼
113 : 연결축
120 : 제2 링크
121 : 제2 스토퍼
122 : 제3 스토퍼
130 : 제3 링크
131 : 제2 체결부
132 : 후크부
140 : 스프링

Claims (17)

  1. 차량 전방에 설치되며,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에어 플랩(air flap) 및 액추에이터(actuator)의 동력에 의해 상기 에어 플랩을 회전 동작시키는 링크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중 모션 에어 플랩 장치로서,
    상기 링크 조립체는,
    일 단부가 상기 액추에이터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
    일 단부가 상기 제1 링크의 타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 및
    상기 에어 플랩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링크 체결 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 단부가 상기 제2 링크의 타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링크를 포함하는,
    이중 모션 에어 플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의 중단부에는 상기 제2 링크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는 제1 스토퍼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모션 에어 플랩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의 상기 일 단부에는 서로 이격되어 측방으로 돌출된 제2 스토퍼 및 제3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모션 에어 플랩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의 회전 반경은 상기 제2 스토퍼 및 상기 제3 스토퍼가 상기 제1 스토퍼와 접촉함으로써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모션 에어 플랩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링크의 타 단부는 측방으로 홈이 뚫린 후크부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 플랩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후크 스토퍼에 상기 후크부가 걸림으로써 상기 제3 링크의 일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모션 에어 플랩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양 단이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에 각각 체결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이중 모션 에어 플랩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부에는 상기 에어플랩 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모션 에어 플랩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에어 플랩이 상기 개구를 막은 클로즈드(CLOSED) 상태에서, 상기 제2 링크의 타 단부 또는 상기 제3 링크의 일 단부에 형성된 체결부가 상기 돌기부보다 하방향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모션 에어 플랩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클로즈드 상태에서 상기 액추에이터가 일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체결부가 상기 돌기부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향 이동되는 록업(Lock up) 모드의 구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모션 에어 플랩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록업 모드 구현시, 상기 돌기부가 상기 체결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에어 플랩의 전방으로부터의 풍압에 의해 상기 체결부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이중 모션 에어 플랩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클로즈드 상태에서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록업 모드 구현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에어 플랩을 기준으로 상기 체결부가 상기 돌기부보다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모션 에어 플랩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록업 모드 구현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에어 플랩이 후방으로 슬라이딩 동작되는 슬라이드 백(SLIDE BACK) 상태 및 상기 에어 플랩이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오픈(OPEN) 상태의 구현이 가능한,
    이중 모션 에어 플랩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 조립체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한 쌍의 상기 링크 조립체가 상기 에어 플랩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된 링크 체결 돌기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모션 에어 플랩 장치.
  14. 차량 전방에 설치되며,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에어 플랩(air flap) 및 액추에이터(actuator)의 동력에 의해 상기 에어 플랩을 회전 동작시키는 링크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중 모션 에어 플랩 장치로서,
    상기 링크 조립체는,
    일 단부가 상기 액추에이터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단부에는 제1 스토퍼가 돌출 형성된 제1 링크;
    일 단부가 상기 제1 링크의 타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일 단부에는 서로 이격되어 측방으로 돌출된 제2 스토퍼 및 제3 스토퍼가 형성된 제2 링크;
    상기 에어 플랩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링크 체결 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 단부가 상기 제2 링크의 타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링크; 및
    양 단이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에 각각 체결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부에는 상기 에어플랩 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모션 에어 플랩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의 회전 반경은 상기 제2 스토퍼 및 상기 제3 스토퍼가 상기 제1 스토퍼와 접촉함으로써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모션 에어 플랩 장치.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3 링크의 타 단부는 측방으로 홈이 뚫린 후크부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 플랩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후크 스토퍼에 상기 후크부가 걸림으로써 상기 제3 링크의 일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모션 에어 플랩 장치.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링크 조립체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한 쌍의 상기 링크 조립체가 상기 에어 플랩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된 링크 체결 돌기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모션 에어 플랩 장치.
KR1020220133414A 2022-10-17 2022-10-17 이중 모션 액티브 에어 플랩 장치 KR202400533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3414A KR20240053388A (ko) 2022-10-17 2022-10-17 이중 모션 액티브 에어 플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3414A KR20240053388A (ko) 2022-10-17 2022-10-17 이중 모션 액티브 에어 플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3388A true KR20240053388A (ko) 2024-04-24

Family

ID=90884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3414A KR20240053388A (ko) 2022-10-17 2022-10-17 이중 모션 액티브 에어 플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338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6601A (ko) 2019-11-11 2021-05-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능동에어플랩(aaf)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6601A (ko) 2019-11-11 2021-05-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능동에어플랩(aaf) 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7166B2 (en) Active aero shutters
CN106515429B (zh) 车辆的外部活动气门装置
JP4678500B2 (ja) 車両用可動グリルシャッタ装置
US9031748B2 (en) Grille shutte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US20180170170A1 (en) Heat exchanger cooling system
US20100243352A1 (en) Movable grille shutter device for vehicle
JP2014069789A (ja) グリルシャッタ
KR101964599B1 (ko) 차량용 에어 플랩 장치
CN104417312B (zh) 车辆的主动式风门系统
KR20240053388A (ko) 이중 모션 액티브 에어 플랩 장치
JPH06241550A (ja) 風向調節装置
CN113043836A (zh) 一种主动进气格栅组件和车辆前端模块
JP2014069788A (ja) グリルシャッタ
KR102628631B1 (ko) 차량용 액티브 에어플랩 장치
KR20230100071A (ko) 차량용 액티브 에어 플랩 장치
CN204003111U (zh) 电子节气门本体
JP2009264113A (ja) 内燃機関の電子制御スロットル装置
JP3752792B2 (ja) 空気調和装置
KR970016059A (ko) 드로틀 제어장치
KR20240022273A (ko) 차량의 액티브 에어플랩 장치
US11131401B2 (en) Air control valve
JP3123326B2 (ja) ラジエータ用シュラウド
JP2023088859A (ja) 車両用アクティブエアフラップ装置
CN219883672U (zh) 移动结构、主动进气格栅、车辆
CN218400200U (zh) 用于车辆的主动空气风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