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6601A - 능동에어플랩(aaf)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능동에어플랩(aaf)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6601A
KR20210056601A KR1020190143259A KR20190143259A KR20210056601A KR 20210056601 A KR20210056601 A KR 20210056601A KR 1020190143259 A KR1020190143259 A KR 1020190143259A KR 20190143259 A KR20190143259 A KR 20190143259A KR 20210056601 A KR20210056601 A KR 20210056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bumper cover
opening
housing
activ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8056B1 (ko
Inventor
김장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3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056B1/ko
Publication of KR20210056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8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ai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1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8Optimized components or subsystems, e.g. lighting, actively controlled gl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범퍼 스킨면과 동일 평면에 플랩면이 위치하도록 구조를 개선한 AAF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능동에어플랩 장치는, 범퍼커버의 개방부에 설치되며, 이 범퍼커버 개방부에 연통되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 기구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범퍼커버의 개방부를 막되, 상기 범퍼커버의 스킨면과 동일한 평면에 있도록 설치되는 플랩; 플랩의 폐쇄 및 개방을 위하여 회전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플랩에 연결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회전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플랩을 밀거나 당기는 링크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플랩은 상기 링크기구에 의해 당겨질 때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범퍼커버의 개방부를 개방한다.

Description

능동에어플랩(AAF)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ctive air flap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능동에어플랩 AAF(Active Air flap)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AAF의 플랩면이 범퍼 스킨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하고 강성이 증대된 구조로 개선된 AAF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능동에어플랩 AAF(Active Air Flap System)는 주행시 공기 저항의 감소를 위하여 개폐되는 플랩 구조로 이루어진다. AAF 장치는 주행안정성 향상 및 연비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외장형 AAF(10)의 플랩(5)의 개방 상태(a)에서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엔진 냉각수온도 등에 따른 엔진룸 내부의 과열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플랩(5) 닫음 상태(b)에서는 고속 주행시 공기저항 감소를 통한 연비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현재의 외장형 AAF(10)는 대부분 차량 전단의 외장품, 특히, 범퍼 그릴부(15)의 에어가이드(20)에 설치된다. 그리고 현재의 외장형 AAF(10)에서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액추에이터(30)를 구동하여 액추에이터 작동축(40)에 의해서 플랩(5, 5')이 작동(회전)한다. 도 3에서 5는 개방된 상태의 플랩을, 5'은 폐쇄된 상태의 플랩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액추에이터(30)의 작동축(40)과 플랩(5, 5')의 회전축이 동일하게 설계되어 있어서, 외장형 AAF(10)는 범퍼(50)의 그릴부(15)의 스킨면과 단차가 생기고 디자인적으로 일체화되지 못하여 디자인 이질감이 나고 감성 품질 저하가 발생된다. 또한 범퍼(50) 그릴부(15)의 스킨면에 일체화 시키면 플랩(5, 5')들의 작동간 간섭이 발생한다. 도 4(AAF의 횡단면 개념도)에서와 같이 플랩(5, 5')들은 액추에이터(30)의 작동축(40)과 동일한 플랩 회전축(40')에 의해 작동되므로, 닫힌 상태의 플랩(5)과 열린 상태의 플랩(5')의 작동시의 공간 점유를 감안하여 AAF(10)를 설계해야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범퍼 스킨면과 동일 평면에 플랩면이 위치하도록 구조를 개선한 AAF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안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예를 들어 ECU로부터 플랩 폐쇄 명령을 받으면 플랩면이 범퍼 스킨면에 동평면에 위치하도록 범퍼커버의 개방부를 플랩이 막고 있다가 플랩 개방 명령을 받으면 플랩이 범퍼커버의 배면쪽(차체 엔진룸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플랩이 범퍼커버에 대해서 슬라이딩되면서 개방부를 OPEN한다. 플랩이 범퍼커버의 개방부를 CLOSE하고 있을 때에는 플랩면은 범퍼 스킨면과의 단차를 만들지 않고 동일 평면을 유지하고 있다.
플랩이 범퍼커버의 배면쪽(차체 엔진룸 방향)으로 당겨지는 동작을 위해서, 액츄에이터와 링크 기구가 이용될 수 있다. ECU로부터 플랩개방 지령이 하달되면 회전수단(예를 들어, 액츄에이터)이 회전하고 이 회전력은 회전운동-직선운동 변환수단(예를 들어, 링크 기구)에 의해서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플랩의 하부를 범퍼커버의 배면쪽에서부터 차체쪽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플랩의 하부가 잡아당겨지면 플랩의 상부가 범퍼커버의 개방부의 아래쪽으로 슬라이딩하게 되고, 플랩이 개방된다.
플랩이 범퍼커버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동작을 위해서, 범퍼커버에 부착되는 하우징에 길게 세로 공간을 갖도록 슬롯홈을 형성하고, 플랩의 상부 양단에 측방향으로 하우징결합보스를 돌출 형성한다. 슬롯홈에 하우징결합보스가 끼워져서 슬롯홈의 직선의 세로 공간 내에서 하우징결합보스가 직선 이동하여 슬라이딩 동작이 된다. 플랩이 슬라이딩되면서 범퍼커버의 개방부를 개방해야 하므로, 상기 하우징의 슬롯홈은 범퍼커버의 내부면과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발명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능동에어플랩 장치는, 범퍼커버의 개방부에 설치되며, 이 범퍼커버 개방부에 연통되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 기구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범퍼커버의 개방부를 막되, 상기 범퍼커버의 스킨면과 동일한 평면에 있도록 설치되는 플랩; 플랩의 폐쇄 및 개방을 위하여 회전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플랩에 연결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회전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플랩을 밀거나 당기는 링크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플랩은 상기 링크기구에 의해 당겨질 때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범퍼커버의 개방부를 개방한다.
여기서 상기 플랩을 하우징에 결합시키는 슬라이드기구는, 플랩의 양측단의 상부에 측방향으로 돌출된 하우징결합보스; 및 상기 하우징 개방부의 상기 플랩의 하우징결합보스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슬롯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슬롯홈에 상기 하우징결합보스가 결합되어 플랩의 상부가 슬롯홈의 홈을 따라 상기 플랩이 상기 하우징 개방부를 따라 슬라이딩된다. 또한, 상기 슬롯홈은 상기 범퍼커버의 면에 대해 아래로 갈수록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어 상기 플랩이 슬롯홈을 따라 아래로 슬라이딩될 때 점차 범퍼커버로부터 멀어지게 되어 범퍼커버를 개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플랩에 연결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회전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플랩을 밀거나 당기는 링크기구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링크; 및 상기 제1링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서 직선운동을 하여 상기 플랩을 밀거나 당기는 제2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소개한 본 발명의 개념은 도면과 함께 설명하는 실시예의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자인적으로 범퍼 스킨면과 AAF 장치의 플랩면을 동평면화시켜 단차를 없앰으로써 감성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구조적으로 종래의 AAF 장치에 비해 플랩의 강성이 증대되는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도 1 ~ 도 4는 종래의 외장형 AAF(10)에 관련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AAF의 구성도이다.
도 6 ~ 도 11은 도 5의 개별 구성요소의 상세 표현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AAF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3a,b는 본 발명에 따른 AAF의 강성 확보에 관련된 설명도이다.
도 14a,b는 액츄에이터(300)의 OPEN/CLOSE 상태 인식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이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된 '포함한다(comprise)'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급적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능동 에어플랩(AAF)의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6 ~ 도 11은 도 5의 각 구성요소의 개별 도면이다.
본 발명은 AAF 의 외관 상품성 개선을 위한 발명으로 범퍼커버(60)의 스킨면과 AAF의 플랩(200)의 표면의 단차를 제거(즉, 동일평면화 또는 동평면화)하기 위한 구조이다. 기존의 경우에는 플랩의 회전축이 지지하우징(100)의 중간부에 위치하여 90도 회전하며 공기 유입을 조절하였으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플랩(200)의 외측면이 폐쇄시에는 범퍼커버(60)의 스킨면과 동일한 평면을 유지하고 있다가 개방 명령을 받으면 범퍼커버의 내측으로 당겨지면서 슬라이딩되어 범퍼커버를 개방한다.
도 5와 도 6~11을 통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능동 에어플랩(AAF)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한다.
범퍼커버(60)의 AAF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개방부 위치에 대략 직사각형으로 개방된 하우징(100)이 설치된다. 도 5와 도 6에서 보듯이 하우징(100)은 범퍼커버(60)에 부착되는 개방부(130)와, 범퍼커버(60)의 내측으로 대략 직각으로 위치하게 되는 수평부(140)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00)의 직사각형 개방부(130)에 플랩(200)이 이 개방부(130)를 막는 형태로 설치되는데, 플랩(200)의 면과 범퍼커버(60)의 스킨면(도 5는 스킨면의 반대면에서 바라 본 것임)이 동일한 평면에 있도록 설치된다. 도 7을 참조하면, 플랩(200)이 하우징(100)에 결합되는 부위는, 직사각형으로 묘사된 플랩(200)의 양측단의 상부에 측방향으로 돌출된 하우징결합보스(210)와 플랩(200)의 아래쪽 장변의 중앙부에 위치한 제2링크연결부(220)이다. 이들 하우징결합보스(210)와 제2링크연결부(220)에 대해서는 추후 설명한다.
다시 도 5에서, 하우징(100) 아래에 액츄에이터(300)가 설치된다. 액츄에이터(300)는 180도 회전동작하며 그 회전 작동력은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작동축(310)을 통해 로더(loader)(400)를 회전시킨다. 로더(400)는 도 9에서와 같이, 액츄에이터(300)의 작동축(310)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축(410)과 이 회전력을 제1링크(500)로 전달하는 제1링크 연결부(420)를 갖는다.
로더(400)는 액츄에이터(300)의 회전력을 제1링크(500)로 전달하는데, 이를 위해 로더(400)의 제1링크 연결부(420)에 도 10에 나타낸 것처럼 제1링크(500)의 로더 연결부(510) 연결된다. 또한, 제1링크(500)는 제2링크 연결부(510) 통해 제2링크(600)와 연결된다. 둘 사이는 핀(520)으로 연결되어 있어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제2링크(600)는 하우징(100)과 연결되는데, 하우징(100)의 수평부(140)에 형성된 가이드홈(120)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직선운동만 한다(즉, 액츄에이터(300)의 회전력 → 직선운동으로 전환). 이를 위해 도 11에서처럼 제2링크(600)는 하우징(100)에 형성된 가이드홈(120)에 슬라이드 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드부(620)를 갖는다. 또한 제2링크(600)는 플랩(200)의 하부에 형성된 제2링크연결부(220)와 핀(630)으로 연결되어 제2링크(600)가 하우징(100)의 수평부(140) 위에서 앞뒤(차체의 범퍼쪽 및 엔진룸쪽)로 움직임에 따라 플랩(200) 하단부 역시 앞뒤로 작동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2링크(600)에는 플랩(200)의 하부에 형성된 제2링크연결부(220)에 핀(630)을 통해 연결되는 플랩연결부(610)가 형성된다.
플랩(200)의 상부는 하우징(100)에 대해서 슬라이딩되는 구조로 하우징(100)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플랩(200)의 좌우 양단에는 하우징결합보스(210)가 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하우징(100)의 개방부의 좌우 양단에는 이와 대응하여 슬롯홈(110)이 형성된다, 슬롯홈(110)은 긴 세로 공간이 있는 슬롯 형태이다. 슬롯홈(110)에 하우징결합보스(210)가 결합되어 플랩(200)의 상부가 슬롯홈(110)의 세로 홈을 따라 슬라이딩되기 때문에 플랩(200)은 상하로만 움직일 수 있다. 슬롯홈(110)이 범퍼커버(60)의 면에 대해 아래로 갈수록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기 때문에, 플랩(200)은 슬롯홈(110)을 따라 위에서 아래로 슬라이딩되면서 점차 범퍼커버(60)로부터 멀어지게 되어 범퍼커버(60)를 개방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AAF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플랩(200)의 폐쇄상태에서 액츄에이터(300)의 회전각은 0도이고 이에 의해 로더(400)와 제1링크(500)의 위치가 설정된 위치에 있게 되고 이에 의해 제2링크(600)는 하우징(100)의 최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플랩(200)은 그 외면이 범퍼커버(60)의 스킨면과 동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닫혀 있다. 이 상태에서는 플랩(200) 상부의 하우징결합보스(210)가 하우징(100) 양단의 슬롯홈(110)의 최상부에 위치하고 있다(도 12의 좌측 단면도 참조).
이 상태에서 액츄에이터(300)가 작동(회전)하면(도 12의 75도 회전 상태를 나타낸 중간부 참조), 그에 따라 로더(400)가 회전하고 이에 의해 제1링크(500)가 회전하여 제2링크(600)의 운동방향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플랩(200)의 하부(즉, 도 5와 도 7의 220번 제2링크연결부)를 잡아당기게 된다. 이에 의해 플랩(200)은 하우징(100)의 슬롯홈(110)의 긴 슬롯 공간 속에 들어가 있는 하우징결합보스(210)에 의해 하부로 슬라이딩되어 범퍼커버(60)로부터 플랩(200)의 상면이 점차 멀어지게 된다. 도 12의 두 번째 그림은 액츄에이터(300)가 약 75도로 회전된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의 아래 단면도를 보면 플랩(200)의 하우징결합보스(210)가 슬롯홈(110)의 최상부에서 아래로 이동되어 있고 플랩(200)의 하부가 차체 쪽으로 당겨져 있어서 기울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범퍼커버(60)의 개방부의 위쪽이 일부 열리기 시작함을 알 수 있다.
도 12의 우측(세 번째 그림)은 액추에이터(300)의 회전각이 180도인 상태로 플랩(200)이 범퍼커버(60)의 개방부를 완전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액츄에이터(300)가 폐쇄상태로부터 180도 회전하여서 제2링크(600)가 더욱 하우징(100) 뒤쪽으로 당겨지면서 플랩(200) 상부 양단의 하우징결합보스(210)가 하우징(100)의 슬롯홈(110)을 따라 아래로 슬라이딩된다. 도 12의 세 번째 그림에서 플랩(200)의 기울어짐 각도 'a'가 수직선에 대해 90도 이상 기울어져서 거의 수평면에 있고 플랩(200)의 하우징결합보스(210)가 슬롯홈(110)의 중간부보다도 아래에 위치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AAF는 범퍼커버(60)의 스킨면과 동평면에 플랩(200) 면이 위치하게 되어 종래의 AAF에서처럼 폐쇄시에 단차가 없어 단차관리가 용이하며, 그에 따라 디자인 자유도가 높아지고 감성품질의 확보가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다른 장점은 그 구조상 강성이 증대된다는 것이다. 특히 외부에서 응력이 가해졌을 경우에 버티는 강성이 증대된다. 강성의 문제는 차량 충돌이나 고의 충격 등의 경우에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주차시에도 영향을 받는다. 현실상, 공간이 협소한 주차장 등에서 차량의 기어를 중립으로 위치시키고 주차를 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 다른 차량의 앞 범퍼를 밀어서 차량을 이동시키고 있다. 이 경우에는 AAF의 플랩을 사람이 누를 가능성이 있으며, 이때 플랩이 약하면 변형이나 파손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기존 AAF 의 경우에는 범퍼 스킨면과의 단차가 존재하여 이를 사람이 인식하여 플랩을 누를 가능성이 높지 않으나, 본 발명에서처럼 AAF가 스킨면과 동평면상에 위치하게 되면 사람이 이를 인지하기 어려워 손으로 누를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도 13a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서 플랩(200)은 그 상부 양단의 하우징결합보스(210)가 하우징(100)의 슬롯홈(110)에 결합되고 그 하부 중앙부의 제2링크연결부(220)는 제2링크(600)의 플랩연결부(610)에 결합된다. 하우징(100)의 슬롯홈(110)의 슬롯 공간 구조상, 그리고 제2링크(600)의 장착 구조상 범퍼커버(60)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플랩(200)은 견고하게 고정되어 움직이기 어렵고 변형이 쉽게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한, 플랩(200)의 상부 양단과 하부 중앙부가 플랩(200)의 고정 위치이므로 플랩(200)의 전체 면에 대해 세 군데의 고정점이 있게 되어 플랩(200)에 가해지는 외력이 균등하게 분산되므로 더욱 강성 확보가 용이해진다. 아울러, 플랩(200)의 상부 양단의 하우징결합보스(210)가 하우징(100)의 슬롯홈(110)의 내부 공간에 결합되므로 플랩(200)에 가해지는 횡방향 힘을 슬롯홈(110)의 슬롯 외벽이 버티게 되고, 플랩(200)의 하부 중간부의 제2링크연결부(220)가 연결된 링크기구는 플랩(200)에 횡방향 힘이 가해지더라도 역방향으로 액추에이터를 강제 회전시키는 것이 어려우므로 본 발명에 따른 플랩(200) 구조의 강성 확보에 기여하게 된다.
반면에, 도 13b와 같이 종래의 AAF의 플랩(5)은 액추에이터의 작동축에 연결된 작동 회전축(40)과 그 반대단의 아이들 회전축(70)에 의해서만 고정되어 고정점이 두 군데 밖에 없으며, 이들 고정점은 둘다 회전축이므로 플랩(5)에 가해지는 횡방향 외력을 버티는 능력이 약하다.
마지막으로 도 14a,b는 ECU로부터 플랩 개폐 명령을 받는 액츄에이터(300)의 OPEN/CLOSE 상태 인식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액츄에이터(300)의 위치가 개방/폐쇄 상태에 있는지 인식하기 위하여 하우징(100)의 수평부(140)에 개방 스토퍼(150)와 폐쇄 스토퍼(160)가 형성된다. 각 스토퍼(150, 160)는 이들 스토퍼에 로더(400)가 걸려서 액츄에이터(300)의 회전동작이 저지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300)의 회전력에 의해 로더(400)가 회전하다가 개방 스토퍼(150)에 걸려서 회전이 멈추면 로더(400)가(따라서 액츄에이터(300)가) 플랩(200)의 최대 개방 위치에 있는 것으로 인식되도록, 그리고 로더(400)가 폐쇄 스토퍼(160)에 걸려서 회전이 멈추면 로더(400)가(따라서 액츄에이터(300)가) 플랩(200)의 폐쇄 위치에 있는 것으로 인식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300)에서 ECU로 현재 자신의 위치에 관련된 신호를 보내고 ECU에서 이를 인지하여 적절한 액츄에이터(300) 동작을 위한 지령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개방 스토퍼(150)와 폐쇄 스토퍼(160)라는 기구적 요소에 의하여 로더(400) 및 액츄에이터(300)의 회전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소개하였지만, 이와 다른 방식, 예를 들어, 광센서나 홀센서 등의 전기적 요소를 이용하여 로더(400) 및 액츄에이터(300)의 위치를 인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과는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범퍼커버의 개방부에 부착되며 범퍼커버의 개방부를 폐쇄 및 개방하는 능동에어플랩(AAF) 장치로,
    상기 범퍼커버의 개방부 폐쇄시에 상기 범퍼커버의 스킨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면을 갖는 플랩을 포함하는 능동에어플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커버의 개방부를 개방시에 상기 플랩을 범퍼커버로부터 당기는 제1수단과,
    상기 제1수단에 의해 상기 플랩이 당겨지게 됨에 따라 플랩이 범퍼커버에 대해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범퍼커버의 개방부를 개방하도록 하는 제2수단을 포함하는 능동에어플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플랩 개방시에 회전하는 수단; 및
    상기 회전 수단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플랩 개방을 위해 상기 회전 수단이 회전하면 이 회전력이 상기 변환 수단에 의해서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상기 플랩을 상기 범퍼커버로부터 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에어플랩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범퍼커버에 부착되어, 상기 범퍼커버 개방부의 세로 방향으로 직선의 공간을 갖는 슬롯홈이 포함된 하우징; 및
    상기 플랩의 상부 양단에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롯홈에 결합되는 하우징결합보스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의 슬롯홈의 직선의 공간 내에서 상기 플랩의 하우징결합보스가 직선 이동하여 슬라이딩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에어플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슬롯홈은 상기 범퍼커버면과 경사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에어플랩 장치.
  6. 범퍼커버의 개방부에 설치되며, 이 범퍼커버 개방부에 연통되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 기구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범퍼커버의 개방부를 막되, 상기 범퍼커버의 스킨면과 동일한 평면에 있도록 설치되는 플랩;
    플랩의 폐쇄 및 개방을 위하여 회전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플랩에 연결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회전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플랩을 밀거나 당기는 링크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플랩은 상기 링크기구에 의해 당겨질 때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범퍼커버의 개방부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에어플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범퍼커버의 내측으로 상기 개방부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위치하는 수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에어플랩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을 하우징에 결합시키는 슬라이드기구는
    플랩의 양측단의 상부에 측방향으로 돌출된 하우징결합보스; 및
    상기 하우징 개방부의 상기 플랩의 하우징결합보스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슬롯홈을 포함하여,
    상기 슬롯홈에 상기 하우징결합보스가 결합되어 플랩의 상부가 슬롯홈의 홈을 따라 상기 플랩이 상기 하우징 개방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에어플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홈은 상기 범퍼커버의 면에 대해 아래로 갈수록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어, 상기 플랩이 슬롯홈을 따라 아래로 슬라이딩될 때 점차 범퍼커버로부터 멀어지게 되어 범퍼커버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에어플랩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에 연결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회전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플랩을 밀거나 당기는 링크기구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링크; 및
    상기 제1링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서 직선운동을 하여 상기 플랩을 밀거나 당기는 제2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에어플랩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은 상기 제2링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연결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제2링크의 직선운동에 의해 상기 플랩이 밀릴 때에 상기 범퍼커버의 개방부를 폐쇄하고 상기 제2링크의 직선운동에 의해 상기 플랩이 당겨질 때에 상기 범퍼커버의 개방부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에어플랩 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의 폐쇄 및 개방을 위한 액츄에이터의 폐쇄/개방 상태를 인식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능동에어플랩 장치.
  13. 범퍼커버에 부착되며 범퍼커버의 개방부를 폐쇄 및 개방하는 플랩을 포함하는 능동에어플랩(AAF)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플랩 폐쇄시에, 상기 플랩의 면이 상기 범퍼커버의 스킨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범퍼커버의 개방부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에어플랩 장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플랩 개방시에, 상기 범퍼커버의 개방부를 막고 있는 플랩을 범퍼커버로부터 당기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 의해 상기 플랩이 당겨지게 됨에 따라 플랩이 범퍼커버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범퍼커버의 개방부를 개방하도록 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능동에어플랩 장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플랩 개방을 수행하는 회전 수단을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회전 수단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 수단이 회전하면 이 회전력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상기 플랩을 상기 범퍼커버로부터 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에어플랩 장치 제어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플랩이 상기 범퍼커버를 따라 슬라이딩될 때에 상기 범퍼커버의 스킨면으로부터 점차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슬라이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에어플랩 장치 제어방법.
KR1020190143259A 2019-11-11 2019-11-11 능동에어플랩(aaf)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658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259A KR102658056B1 (ko) 2019-11-11 2019-11-11 능동에어플랩(aaf)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259A KR102658056B1 (ko) 2019-11-11 2019-11-11 능동에어플랩(aaf)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601A true KR20210056601A (ko) 2021-05-20
KR102658056B1 KR102658056B1 (ko) 2024-04-16

Family

ID=76142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259A KR102658056B1 (ko) 2019-11-11 2019-11-11 능동에어플랩(aaf)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0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3388A (ko) 2022-10-17 2024-04-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중 모션 액티브 에어 플랩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26924A (ja) * 2012-04-25 2013-11-07 Toyoda Gosei Co Ltd グリルシャッタ装置
JP2014024474A (ja) * 2012-07-27 2014-02-06 Toyoda Gosei Co Ltd グリルシャッタ装置
KR101945747B1 (ko) * 2012-09-10 2019-02-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 플랩 장치 및 그 페일 판정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26924A (ja) * 2012-04-25 2013-11-07 Toyoda Gosei Co Ltd グリルシャッタ装置
JP2014024474A (ja) * 2012-07-27 2014-02-06 Toyoda Gosei Co Ltd グリルシャッタ装置
KR101945747B1 (ko) * 2012-09-10 2019-02-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 플랩 장치 및 그 페일 판정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3388A (ko) 2022-10-17 2024-04-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중 모션 액티브 에어 플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8056B1 (ko) 202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8666B1 (ko) 테일게이트의 인출식 아웃사이드 핸들
CN103132874B (zh) 用于可收回把手的具有可动遮挡件和关闭板的关闭组件
EP2078630B1 (en)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US6364396B1 (en) Package tray for vehicle
US8079631B2 (en) Method and system for guiding a drive rod in a door after an impact to the door
US8870276B2 (en) Locking mechanism for open roof construction and open roof construction provided therewith
US20130341972A1 (en) Roller blind apparatus for panoramic sunroofs
CN102011527A (zh) 机动车辆的门锁闭系统
JP6385481B2 (ja) 車両用駆動機構および車両用パネル移動方法
KR20210056601A (ko) 능동에어플랩(aaf)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7229127B2 (en) Shifting mechanism for a sliding-tilting roof
US8042424B2 (en) System for opening/closing a roof panel and a branched driving cable to be used for the system
JP4235172B2 (ja) 自動車の収納部内に畳み込まれたルーフの下に、物品を挿入しやすくするための装置
KR101584003B1 (ko) 차량의 스텝 장치
CN111809722A (zh) 房屋与车辆的连接系统
KR102173472B1 (ko) 리트랙터블 도어 핸들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119443B1 (ko) 언더 커버 유닛
US10953732B2 (en) Structure of electric sunshade and sunroof
US10961753B2 (en) Retractable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US20050001447A1 (en) Actuating device for open/close member of vehicle
JP3810970B2 (ja) サンルーフ装置
JP6534092B2 (ja) 充電口構造
CN220909408U (zh) 一种平出式车门把手总成
KR102020625B1 (ko) 후방 카메라 장치
JP4250178B2 (ja) 多板サンシェー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