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2493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2493A
KR20240052493A KR1020220132629A KR20220132629A KR20240052493A KR 20240052493 A KR20240052493 A KR 20240052493A KR 1020220132629 A KR1020220132629 A KR 1020220132629A KR 20220132629 A KR20220132629 A KR 20220132629A KR 20240052493 A KR20240052493 A KR 20240052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mera module
adhesive
coupling protrusio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2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원
김봉섭
박진웅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220132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2493A/ko
Publication of KR20240052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24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 몸체 및 상기 하우징 몸체의 외부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결합판을 포함하는 렌즈 하우징, 내부에 상기 렌즈 하우징을 수납하는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판의 하부면과 중첩되어 있는 상단면을 갖는 홀더 몸체 및 상기 홀더 몸체에서 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상단면과 끊김없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판의 측면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내측면을 구비하는 결합 돌출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홀더, 상기 결합 돌출부의 상부면에서 정해진 깊이만큼 함몰되어 있고, 접착제가 주입되어 상기 결합 돌출부와 상기 결합판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접착제 주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 주입홈은 바닥면, 상기 바닥면에 연결되어 있고 외부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제1 측면, 상기 바닥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고 있으며 상기 렌즈 하우징 쪽에 인접하게 위치한 제2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의 경사 각도는 서로 상이하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렌즈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목적의 카메라가 개발되어 해당 대상물에 장착되고 있다.
일 예로, 카메라는 자동차에 장착되어, 자동차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고 발생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에서, 카메라에 장착되어 있는 렌즈의 포커싱(focusing)을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렌즈를 구비한 렌즈부의 결합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에폭시와 같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렌즈부를 결합할 경우, 렌즈부가 결합되는 부분의 표면조도(즉, 표면 거칠기) 등에 따라 렌즈부의 결합력이 정해지게 된다. 이때, 렌즈부와 해당 부분과의 결합력이 약화되는 경우 렌즈부의 설치 위치가 정상 위치에서 벗어나게 되어 초점 조절 등과 같은 렌즈부의 동작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로 이해, 획득된 영상의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렌즈부의 결합력을 이미 기술한 것처럼 렌즈부가 결합되는 부분의 상태에 따라 정해지는데, 결합되는 부분이 금속과 같이 표면조도가 낮거나 결합 면적이 적을 경우, 렌즈부의 설치 위치가 정상 위치에서 벗어나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51146호(공고일자: 2018년 04월 24일, 발명의 명칭: 자동차용 카메라)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렌즈 하우징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카메라 모듈에서 생성되는 영상의 화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 몸체 및 상기 하우징 몸체의 외부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결합판을 포함하는 렌즈 하우징, 내부에 상기 렌즈 하우징을 수납하는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판의 하부면과 중첩되어 있는 상단면을 갖는 홀더 몸체 및 상기 홀더 몸체에서 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상단면과 끊김없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판의 측면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내측면을 구비하는 결합 돌출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홀더 및 상기 결합 돌출부의 상부면에서 정해진 깊이만큼 함몰되어 있고, 접착제가 주입되어 상기 결합 돌출부와 상기 결합판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접착제 주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 주입홈은 바닥면, 상기 바닥면에 연결되어 있고 외부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제1 측면, 상기 바닥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고 있으며 상기 렌즈 하우징 쪽에 인접하게 위치한 제2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의 경사 각도는 서로 상이하다.
상기 제2 측면의 경사 각도는 상기 제1 측면의 경사 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바닥면은 위치에 무관하게 동일한 높이를 갖는 평탄면일 수 있다.
상기 바닥면은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경사면일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결합 돌출부가 이루는 각도는 90도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결합 돌출부의 연결 부분은 곡면일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상기 결합 돌출부의 측면과 상기 측면에 인접한 상기 하우징 몸체의 측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하우징 홀더 내에 위치하는 기판부 및 상기 기판부에 위치하는 이미지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렌즈 하우징과 결합되는 접착제 주입홈의 형상으로 인해 렌즈 하우징과 접착제 간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므로, 렌즈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렌즈부의 위치 변동이 발생하지 않거나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 주입홈에 주입된 접착제가 카메라 모듈의 내측으로 확산되어 렌즈 하우징과 결합 돌출부와의 결합력이 증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예에 의해 렌즈 하우징이 정상 위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위치할 수 있고, 또한 접착제의 경화 과정에서도 안정적으로 정해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렌즈부의 초점 조절이 양호하게 이루어져 카메라 모듈의 동작으로 생성된 영상의 화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카메라 모듈을 일 방향을 따라 잘라 얻어진 단면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각각 도 1의 차량용 카메라 모듈에서 접착제 주입홈의 단면 형상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차량용 카메라 모듈에서 접착제 주입홈에 주입된 접착제의 도포 위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특별한 인과관계에 의해 나열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나열된 순서와 상관없이 수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한 렌즈부(미도시)가 위치하는 렌즈 하우징(10), 렌즈 하우징(10)이 장착되는 하우징 홀더(20), 하우징 홀더(20) 내에 위치하는 기판부(30), 기판부(30)에 실장되어 있는 이미지 센서부(40), 기판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커넥터(51)를 구비하고 있는 신호 연결부(50)를 구비할 수 있다.
렌즈 하우징(10)은 내부에 빈 공간을 구비하는 원통형의 하우징 몸체(11)와 하우징 몸체(11)에서 외측면에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결합판(13)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 몸체(11)와 결합판(13)은 일체로 성형될 수 있지만, 이와 달리, 하우징 몸체(11)와 결합판(13)은 별개의 제품으로 성형된 후 서로 조립될 수 있다.
하우징 몸체(11)와 결합판(13)은 모두 금속 재질이나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비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표면이 비금속 재질로 코팅되어 빛의 난반사를 방지할 수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하우징 몸체(11)의 내부 빈 공간 내에는 하우징 몸체(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한 렌즈부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몸체(11) 내부에 장착된 렌즈에 의해 외부의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는 빛은 집광되어 이미지 센서부(40) 쪽으로 유입될 수 있다.
결합판(13)은 하우징 몸체(11)의 외부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판으로서, 렌즈 하우징(10)과 하우징 홀더(20)를 서로 결합하기 위한 부분일 수 있다.
하우징 홀더(20)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렌즈 하우징(10)의 결합판(13)과 결합되어, 렌즈 하우징(1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 홀더(20)는 홀더 몸체(21) 및 홀더 몸체(21)에서 상부 쪽으로 돌출된 결합 돌출부(23)를 구비할 수 있다.
홀더 몸체(21)는 내부에 원통형인 렌즈 하우징(10)의 하우징 몸체(11)가 삽입되는 빈 공간(H20)을 갖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하부 쪽으로 갈수록 외측 지름이 증가하는 다단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홀더 몸체(21)의 상단부는 렌즈 하우징(10)과의 결합되고, 하단부는 카메라 모듈의 다른 구성요소(예, 구동 모듈)과 나사 결함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모듈(20)의 하단부에는 나사 결합을 위한 결합 구멍이 위치하고, 이러한 하단부는 도시하지 않은 하부 하우징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 모듈(20)과 하부 하우징 사이의 결합에 의해 생성된 빈 공간 내에 기판부(30)가 위치할 수 있다.
결합 돌출부(23)는,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홀더 몸체(21)의 상단면에서 일 방향(도 1의 경우 위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돌출부(23)는 홀더 몸체(21)의 상단면의 일부에서 돌출되어 있으므로, 홀더 몸체(21)의 상단면의 나머지 일부는 결합 돌출부(23)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결합 돌출부(23)가 위치하지 않아 외부로 노출된 홀더 몸체(21)의 상단면은 결합 돌출부(23)에 의해 에워싸여져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결합 돌출부(23)에 의해, 결국, 하우징 홀더(20)의 상단면은 서로 다른 높이를 두 개의 상단면을 가질 수 있다. 즉, 하나의 상단면은 홀더 몸체(21)의 상단면이고 나머지 상단면은 결합 돌출부(23)의 상단면일 수 있으며, 결합 돌출부(23)의 상단면이 홀더 몸체(21)의 상단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예에서, 결합 돌출부(23)는 렌즈 하우징(10)의 결합판(13)과의 결합을 위한 부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예에서, 결합 돌출부(23)는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접착제 주입홈(231)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예의 접착제 주입홈(231)에 대하 도 3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의 (a)을 참고하여 접착제 주입홈(231)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 3의 (a)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접착제 주입홈(231)은 결합 돌?부(23)의 상부면(T23)에서 정해진 깊이만큼 함몰되어 있고, 정해진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는 홈일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 주입홈(231)은 대략 사각형, 타원형 또는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예의 접착제 주입홈(231)은 바닥면(BT11), 바닥면(BT11)에 연결되어 있고 외부에 인접하게 위치한 외측 측면, 예, 제1 측면(ST11) 및 바닥면(BT11)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측면(ST11)의 반대편에서 제1 측면(ST11)과 마주보고 있고 렌즈 하우징(10) 쪽에 인접한 내측 측면인 제2 측면(ST12)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의 (a)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접착제 주입홈(231)의 바닥면(BT11)은 위치에 무관하게 동일한 높이를 갖는 평탄면일 수 있다.
반면, 본 예의 접착제 주입홈(231)의 제1 측면(ST11)과 제2 측면(ST12)은 경사면을 갖는 경사면일 수 있고, 이때, 제1 측면(ST11)과 제2 측면(ST12)의 경사 각도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 설치면에 대한 제1 측면(ST11)의 경사 각도(θ11)가 제2 측면(ST12)의 경사 각도(θ12)보다 클 수 있어, 제1 측면(ST11)의 경사도가 제2 측면(ST12)의 경사도보다 클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접착제 주입홈(231) 속에 에폭시 등을 함유하는 접착제가 주입될 때, 접착제 주입홈(231)을 에워싸고 있는 결합 돌출부(23)의 상부면(T23)보다 높은 높이까지 주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접착제 주입홈(231) 속에 주입된 접착제는 접착제 주입홈(231)을 가상으로 덮는 가상의 상부면 위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접착제 주입홈(231) 위에 렌즈 하우징(20)의 결합판(13)이 위치하게 되면, 접착제 주입홈(231) 속에 주입된 접착제는 렌즈 하우징(20)으로부터 인가되는 무게에 의해 접착제 주입홈(231)의 주변으로 퍼질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본 예와 같이, 제1 측면(ST11)의 경사 각도(θ11)가 제2 측면(ST12)의 경사 각도(θ12)보다 클 경우, 접착제 주입홈(231) 속에 주입되어 있는 접착제는 제1 측면(ST11) 쪽보다 상대적으로 경사도가 낮은 제2 측면(ST12) 쪽으로 이동하여 퍼지는 양이 증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접착제 주입홈(231)의 접착제는 외측보다 렌즈 하우징(10)과 인접한 내측으로 이동하는 양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접착제(25)는 접착제 주입홈(231)과
접착제 주입홈(231)과 반대편에서 대면하고 있는 결합판(13) 사이 뿐만 아니라 결합 돌출부(23)의 측면, 좀더 구체적으로는 하우징 몸체(11)에 인접한 내측면과 이 결합 돌출부(23)의 내측면과 인접한 하우징 몸체(11)의 측면 사이에도 추가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접착제(25)가 제1 측면(ST11) 쪽인 외측으로 이동할 때보다 결합판(13) 및 결합 돌출부(23)과 접착제(25)와의 접합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도 4 참고). 따라서, 증가하는 접합 면적으로 인해, 렌즈 하우징(10)은 결합 돌출부(23)의 정해진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측면(ST11)과 이 제1 측면(ST11)과 연결되어 있는 결합 돌출부(23)의 상부면(T23)이 이루는 각도(θ2)는 직각으로 접해 있는 것이 아니라 90도보다 큰 각도를 이루게 접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제1 측면(ST11)과 결합 돌출부(23)의 상부면(T23)의 연결 부분(CA1)은 곡면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연결 부분(CA1)은 대안적인 예에서는 평탄면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접착제 주입홈(231) 속에 주입된 접착제를 1차 경화시키기 위해 외측으로부터 접착제 주입홈(231) 쪽으로 자외선(UV)과 같은 빛을 조사할 때, 제1 측면(ST11)과 이 제1 측면(ST11)과 연결되어 있는 결합 돌출부(23)의 상부면(T23)이 이루는 각도(θ2)가 90도 미만 경우에 비해 접착 주입홈(231) 쪽으로 주입되는 빛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주입된 접착제의 경화 동작이 좀 더 균일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의 (b)에 도시한 것처럼, 접착제 주입홈(231)의 다른 예에서, (a)와 달리, 바닥면(BT11)은 위치에 무관하게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경사면일 수 있다.
이때, 바닥면(BT11)은 내측인 제2 측면(ST12)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접착제 주입홈(231)에 주입된 접착제는 상부 측으로 인가되는 압력이 인가될 때, 즉, 렌즈 하우징(10)이 위치할 때 제1 측면(ST11) 쪽으로 퍼지는 양보다 제2 측면(ST12) 쪽으로 퍼지는 양이 훨씬 증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접착제와 결합판(13) 및 결합 돌출부(23)의 접합 면적은 더욱 더 증가할 수 있고, 접착제를 통해 결합판(13)과 결합 돌출부(23)의 결합력은 증가할 수 있다.
도 3의 (a)와 동일하게, 본 예의 경우에도, 제1 측면(ST11)과 이 제1 측면(ST11)과 연결되어 있는 결합 돌출부(23)의 상부면(T23)이 이루는 각도(θ2)는 직각으로 접해 있는 것이 아니라 90도보다 큰 각도를 이루게 접해 있을 수 있고,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제1 측면(ST11)과 결합 돌출부(23)의 상부면(T23)의 연결 부분(CA1)은 곡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 돌출부(23)의 상부에 위치한 본 예의 접착제 주입홈(231)에 의해, 결합판(13)과 결합 돌출부(231)의 접합 면적이 증가하여 렌즈 하우징(10)은 좀 더 안정적으로 결합 돌출부(23)의 정해진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 주입홈(231)으로부터 외측으로 퍼지는 접착제의 양보다 내측인 렌즈 하우징(10) 쪽으로 퍼지는 접착제의 양이 훨씬 많으므로, 렌즈 하우징(10)은 하우징 홀더(20)과 더욱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접착제 주입홈(231) 속에 주입된 접착제 위에 결합판(13), 즉 렌즈 하우징(10)이 위치하게 되면, 결합판(13)과 하우징 홀더(20)의 결합 돌출부(23)와의 1차 결합은 자외선 등을 이용한 경화 동작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오븐기 등을 이용하여 열을 이용한 경화 동작을 통해 21차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렌즈 하우징(10)의 위치, 즉 하우징 홀더(20) 내의 공간(H20) 속에서 렌즈 하우징(10)의 위치는 이미지 센서부(40) 사이의 초점 거리가 조정된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넘어가, 기판부(30)는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회로기판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부(30)에는 카메라 모듈의 동작에 필요한 이미지 센서부(40)와 같은 다양한 전기전자 소자 및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은 구동 칩 등이 실장될 수 있고, 신호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신호선 및 패드(pad) 등이 인쇄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부(40)는 기판부(30)에 실장될 수 있고, 하우징 홀더(20)에 장착되어 있는 렌즈 하우징(10)과 대면할 수 있다.
따라서, 렌즈 하우징(10)의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빛은 이미지 센서부(40)로 입사되고, 이미지 센서부(40)는 입사되는 빛을 해당하는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센서부(40)는 빛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와 원하는 파장대의 빛을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신호 연결부(50)는 기판부(30)과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기판부(30)의 동작에 필요한 신호를 기판부(30)로 전송할 수 있고, 또한 기판부(30)에서 생성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 연결부(50)는 양 단부에 기판부(30)와 같은 다른 기기와의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을 위한 커넥터(51)를 구비할 수 있고, 이 커넥터(51)를 통해 해당 기기와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부(30)의 경우에는 이 커넥터부(51)과 결합되는 커넥터 역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기술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각 기술적 특징이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서로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로 인해, 접착제 주입홈(231) 속에 주입된 접착제를 1차 경화시키기 위해 외측으로부터 접착제 주입홈(231) 쪽으로 자외선(UV)과 같은 빛을 조사할 때, 제1 측면(ST11)과 이 제1 측면(ST11)과 연결되어 있는 결합 돌출부(23)의 상부면(T23)이 이루는 각도(θ2)가 90도 미만 경우에 비해 접착 주입홈(231) 쪽으로 주입되는 빛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주입된 접착제의 경화 동작이 좀 더 균일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의 (b)에 도시한 것처럼, 접착제 주입홈(231)의 다른 예에서, (a)와 달리, 바닥면(BT11)은 위치에 무관하게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경사면일 수 있다.
이때, 바닥면(BT11)은 내측인 제2 측면(ST12)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접착제 주입홈(231)에 주입된 접착제는 상부 측으로 인가되는 압력이 인가될 때, 즉, 렌즈 하우징(10)이 위치할 때 제1 측면(ST11) 쪽으로 퍼지는 양보다 제2 측면(ST12) 쪽으로 퍼지는 양이 훨씬 증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접착제와 결합판(13) 및 결합 돌출부(23)의 접합 면적은 더욱 더 증가할 수 있고, 접착제를 통해 결합판(13)과 결합 돌출부(23)의 결합력은 증가할 수 있다.
도 3의 (a)와 동일하게, 본 예의 경우에도, 제1 측면(ST11)과 이 제1 측면(ST11)과 연결되어 있는 결합 돌출부(23)의 상부면(T23)이 이루는 각도(θ2)는 직각으로 접해 있는 것이 아니라 90도보다 큰 각도를 이루게 접해 있을 수 있고,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제1 측면(ST11)과 결합 돌출부(23)의 상부면(T23)의 연결 부분(CA1)은 곡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 돌출부(23)의 상부에 위치한 본 예의 접착제 주입홈(231)에 의해, 결합판(13)과 결합 돌출부(231)의 접합 면적이 증가하여 렌즈 하우징(10)은 좀 더 안정적으로 결합 돌출부(23)의 정해진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 주입홈(231)으로부터 외측으로 퍼지는 접착제의 양보다 내측인 렌즈 하우징(10) 쪽으로 퍼지는 접착제의 양이 훨씬 많으므로, 렌즈 하우징(10)은 하우징 홀더(20)과 더욱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접착제 주입홈(231) 속에 주입된 접착제 위에 결합판(13), 즉 렌즈 하우징(10)이 위치하게 되면, 결합판(13)과 하우징 홀더(20)의 결합 돌출부(23)와의 1차 결합은 자외선 등을 이용한 경화 동작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오븐기 등을 이용하여 열을 이용한 경화 동작을 통해 21차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렌즈 하우징(10)의 위치, 즉 하우징 홀더(20) 내의 공간(H20) 속에서 렌즈 하우징(10)의 위치는 이미지 센서부(40) 사이의 초점 거리가 조정된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넘어가, 기판부(30)는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회로기판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부(30)에는 카메라 모듈의 동작에 필요한 이미지 센서부(40)와 같은 다양한 전기전자 소자 및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은 구동 칩 등이 실장될 수 있고, 신호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신호선 및 패드(pad) 등이 인쇄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부(40)는 기판부(30)에 실장될 수 있고, 하우징 홀더(20)에 장착되어 있는 렌즈 하우징(10)과 대면할 수 있다.
따라서, 렌즈 하우징(10)의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빛은 이미지 센서부(40)로 입사되고, 이미지 센서부(40)는 입사되는 빛을 해당하는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센서부(40)는 빛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와 원하는 파장대의 빛을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신호 연결부(50)는 기판부(30)과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기판부(30)의 동작에 필요한 신호를 기판부(30)로 전송할 수 있고, 또한 기판부(30)에서 생성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 연결부(50)는 양 단부에 기판부(30)와 같은 다른 기기와의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을 위한 커넥터(51)를 구비할 수 있고, 이 커넥터(51)를 통해 해당 기기와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부(30)의 경우에는 이 커넥터부(51)과 결합되는 커넥터 역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기술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각 기술적 특징이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서로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렌즈 하우징 11: 하우징 몸체
13: 결합판 20: 하우징 홀더
21: 홀더 몸체 23: 결합 돌출부
231: 접착제 주입홈 30: 기판부
40: 이미지 센서부 50: 신호 연결부
51: 커넥터 ST11: 제1 측면,
ST12: 제2 측면 BT11: 바닥면
T23: 결합 돌출부의 상부면 25: 접착제

Claims (8)

  1. 하우징 몸체 및 상기 하우징 몸체의 외부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결합판을 포함하는 렌즈 하우징;
    내부에 상기 렌즈 하우징을 수납하는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판의 하부면과 중첩되어 있는 상단면을 갖는 홀더 몸체 및 상기 홀더 몸체에서 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상단면과 끊김없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판의 측면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내측면을 구비하는 결합 돌출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홀더; 및
    상기 결합 돌출부의 상부면에서 정해진 깊이만큼 함몰되어 있고, 접착제가 주입되어 상기 결합 돌출부와 상기 결합판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접착제 주입홈
    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 주입홈은 바닥면, 상기 바닥면에 연결되어 있고 외부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제1 측면, 상기 바닥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고 있으며 상기 렌즈 하우징 쪽에 인접하게 위치한 제2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의 경사 각도는 서로 상이한
    카메라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의 경사 각도는 상기 제1 측면의 경사 각도보다 작은 카메라 모듈.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위치에 무관하게 동일한 높이를 갖는 평탄면인 카메라 모듈.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경사면인 카메라 모듈.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결합 돌출부가 이루는 각도는 90도보다 큰 카메라 모듈.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결합 돌출부의 연결 부분은 곡면인 카메라 모듈.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결합 돌출부의 측면과 상기 측면에 인접한 상기 하우징 몸체의 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카메라 모듈.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홀더 내에 위치하는 기판부; 및
    상기 기판부에 위치하는 이미지 센서부
    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220132629A 2022-10-14 2022-10-14 카메라 모듈 KR202400524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2629A KR20240052493A (ko) 2022-10-14 2022-10-14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2629A KR20240052493A (ko) 2022-10-14 2022-10-14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2493A true KR20240052493A (ko) 2024-04-23

Family

ID=90880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2629A KR20240052493A (ko) 2022-10-14 2022-10-14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249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146B1 (ko) 2016-09-21 2018-04-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카메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146B1 (ko) 2016-09-21 2018-04-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카메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7151B2 (en) Optical module package and optical module
US7521790B2 (en) Semiconductor device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module
US8054634B2 (en) Camera module package
KR102648389B1 (ko) 카메라 모듈
JP2006330121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102248312B1 (ko) 감광성 부품과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WO2016121177A1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セット及びレセプタクルの製造方法
US10236243B2 (en) Electronic component, electronic modul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electronic apparatus
JP6629966B2 (ja) 接着構造、撮像装置、および車載カメラ
KR101632343B1 (ko) 이중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한 카메라 모듈
TW200306015A (en) Image pickup device
KR102527791B1 (ko) 카메라 모듈
JP6460130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セット
KR20240052493A (ko) 카메라 모듈
US8581173B2 (en) Fiber optic transceiver module having a molded cover in which an optical beam transformer made of an elastomer is integrally formed
EP1154638A1 (en) Image pickup device and portable telephone
KR102392572B1 (ko) 카메라 모듈
US20180307035A1 (en) Optical transmission module and endoscope
KR100725288B1 (ko) 광도파로와 수광소자 간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광 수신장치및 그 결합방법
TW201441689A (zh) 光通訊裝置
EP1406311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nsor alignment
WO2004010688A1 (en) Camera module, holder for use in a camera module, camera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camera module
US11387270B2 (en) Image sensor package including reflector
KR20230068640A (ko) 카메라 모듈
KR20180017590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