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2454A -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2454A
KR20240052454A KR1020220132517A KR20220132517A KR20240052454A KR 20240052454 A KR20240052454 A KR 20240052454A KR 1020220132517 A KR1020220132517 A KR 1020220132517A KR 20220132517 A KR20220132517 A KR 20220132517A KR 20240052454 A KR20240052454 A KR 20240052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upling
contact
c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2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선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220132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2454A/ko
Publication of KR20240052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24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Abstract

본 발명은 결합본체와 상대결합부와 사이가 오링에 의하여 수밀하게 구성되므로, 결합본체와 상대결합부 사이는 간단한 구조로 방수 기능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본체에 절곡 형성된 제 2 본체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외부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 구조물에 따라 제 2 본체와 연결되는 케이블의 위치 및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 설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High Frequency Waterproof Connector Apparatus for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방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를 있도록 하는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자동차에 카메라, 네비게이션 등의 전자 장치가 많이 설치됨에 따라 이들 전자 장치를 효율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가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커넥터 중 파크라(FAKRA) 커넥터는 고주파 대역의 정보전송을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동축케이블의 말단에 적용되어 서로 다른 동축케이블의 전기적 연결이 용이해지도록 구성된다.
한편, 커넥터가 자동차 등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 우천시 또는 다습한 환경에서 빗물, 이슬 등의 외부 수분이 커넥터로 침투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커넥터의 하우징과 터미널 사이에는 방수 구조가 적용되어 외부 수분이 커넥터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커넥터는 커넥터하우징(2)의 내부에 터미널안착공간(3)과 시일안착공간(4)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터미널안착공간(3)에 터미널(5)이 안착되고, 시일안착공간(4)에는 상기 터미널(5)에 결합되는 방수시일(6)이 안착된다. 방수시일(6)은 내부에 전선(w)이 삽입되도록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고무, 실리콘 등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방수시일(6)은 커넥터하우징(2)의 내주연에 밀착되어 커넥터하우징(2)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방수시일(6)은 자리를 많이 차지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므로, 커넥터의 전체 크기가 더욱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0333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방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접촉본체를 하우징에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외부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 구조물에 따라 접촉본체와 연결되는 케이블의 위치 및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 설계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 일측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결합본체; 상기 결합본체의 내부 타측에 삽입되며 상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 상기 결합본체의 타측 외주연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오링; 및 상기 결합본체의 타측이 삽입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대하우징의 상대본체가 상기 결합본체와 상기 터미널 사이로 삽입되면, 상기 오링의 외주연이 상대본체의 내주연에 수밀하게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본체의 타측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본체는,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도록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외주연 일측에 상기 오링이 끼워지는 제 1 본체와, 상기 제 1 본체의 일측에 절곡된 상태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제 2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제 1 본체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 1 본체와 연결된 상기 제 2 본체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의 일측은 상기 제 2 본체의 타측에서 상기 제 2 본체의 내부를 지나 상기 제 2 본체의 일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오링과 상기 제 2 본체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제 1 본체의 외주연 타측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과 마주보는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에 상기 걸림홈에 걸리도록 상기 걸림홈 방향으로 테두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의 내주연을 따라 상기 걸림홈의 원주가 안내되도록 오목한 라운드 형태의 제 1 라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본체가 상기 제 1 본체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면, 상기 걸림홈이 상기 제1 라운드부에 안내된 상태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결합되는 위치보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보증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돌출걸림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의 하측에는 상기 돌출걸림부가 삽입되도록 삽입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본체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후 상기 위치보증부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면, 상기 돌출걸림부가 상기 삽입안내부를 지나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고,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상기 돌출걸림부의 단부는 상기 걸림홈의 외주연을 따라 오목하게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는 제 2 라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본체가 상기 제 1 본체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면, 상기 걸림홈이 상기 제 2 라운드부에 안내된 상태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본체는,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외주연 일측에 상기 오링이 삽입되는 제 1 본체와, 상기 제 1 본체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제 1 본체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 1 본체와 연결된 상기 제 2 본체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의 전선부의 일측이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제 2 본체에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의 외부피복이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제 2 본체에 삽입되지 않은 상기 전선부의 타측을 감싸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탄성을 갖는 기둥 형태의 방수부가 상호 마주보는 상기 연장부의 일단부 및 상기 외부피복의 단부를 일체로 감싸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본체를 향하는 상기 연장부의 타단부 및 상기 방수부를 일체로 감싸도록 형성되는 압착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본체 및 상기 압착슬리브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장부의 타단부와 상기 압착슬리브 사이에 압착오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본체의 타측에 삽입되도록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내부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은, 상기 내부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접촉본체와, 상기 접촉본체의 양측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의 내주연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본체가 상기 내부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걸림부가 상기 내부하우징의 내주연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내부하우징의 내주연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본체의 타측에 삽입되도록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내부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은, 상기 내부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접촉본체와, 상기 케이블을 향하는 상기 접촉본체의 단부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한 쌍의 결합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부와 마주보는 상기 내부하우징의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의 전선부에 결합되는 접촉부가 한 쌍의 상기 결합돌부 사이로 삽입될 때, 상기 결합돌부가 상기 절개홈에 안내된 상태로 상기 접촉부의 직경만큼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본체는 통전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상기 결합본체의 단부 양측에 상기 결합본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대하우징의 상대결합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통전 재질로 형성되는 접지접촉부가 결합되고, 상기 접지접촉부는, 상기 결합본체의 단부의 외주연을 감싸는 외측부와, 상기 외측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결합본체의 단부의 내주연을 감싸는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와 상기 내측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부에 형성되는 걸림홀에 상기 결합본체의 단부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걸림 결합되고, 상기 내측부에 형성되는 안내홀의 내주연 일측에 상기 결합본체의 단부의 내주연에서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가압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결합본체와 상대결합부와 사이가 오링에 의하여 수밀하게 구성되므로, 결합본체와 상대결합부 사이는 간단한 구조로 방수 기능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합본체의 제 1 본체, 제 2 본체 및 연장부가 상호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형성되므로, 이들 사이에 신호가 누설될 수 있는 틈 또는 절개흔적이 없어, 신호라인에서 방사되거나 외부로부터 침투해오는 노이즈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촉본체가 내부기둥의 내부로 삽입되면, 걸림부가 내부하우징의 내주연에 접촉된 상태로 내부하우징의 내주연을 가압하게 되어, 접촉본체는 내부기둥에 삽입된 상태를 오랫동안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압부는 탄성적으로 상대결합부를 견고하게 가압하고 있어, 외부 충격이 가해지거나 오랜 시간이 지난다 하더라도 가압부는 상대결합부를 안정적으로 접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블의 접촉부가 한 쌍의 결합돌부 사이로 삽입될 때, 결합돌부가 절개홈의 공간으로 안내되므로, 결합돌부는 접촉부의 직경만큼 용이하게 벌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수부가 상호 마주보는 연장부의 외주연 하단부 및 외부피복의 외주연 상단부를 일체로 감싸도록 위치되어, 연장부와 외부피복 사이로 물이 침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압착슬리브는 견고한 금속 재질로 형성되므로, 결합본체의 연장부와 케이블 사이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고, 외부로부터 케이블을 차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합본체 및 압착슬리브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압착슬리브가 결합본체와 케이블 사이를 감싸도록 구성되므로, 압착슬리브의 내부를 지나가는 케이블 및 결합본체 내부를 지나가는 터미널 간의 신호 전송 과정이 끊어지지 않도록 하고, 노이즈가 발생되지 않도록 차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장부의 상단부와 압착슬리브 사이에 압착오링이 개재되므로, 연장부와 압착슬리브 사이로 물이 침투되지 않도록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2 본체가 제 1 본체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면, 걸림홈이 제 1 라운드부 및 제 2 라운드부에 안내된 상태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본체에 절곡 형성된 제 2 본체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외부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 구조물에 따라 제 2 본체와 연결되는 케이블의 위치 및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 설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의 결합본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의 결합본체에 터미널, 접지접촉부 및 내부하우징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의 결합본체에 터미널, 접지접촉부 및 내부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수직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의 결합본체에 터미널, 접지접촉부 및 내부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수평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의 결합본체에 케이블이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의 결합본체에 케이블이 결합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본체에 하우징과 위치보증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본체에 하우징과 위치보증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본체에 하우징과 위치보증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 2 본체가 제 1 본체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과 상대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과 상대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의 결합본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의 결합본체에 터미널, 접지접촉부 및 내부하우징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1000)는 예를 들면 차량에 장착되어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 상세하게는 차량에 적용되는 카메라와 디스플레이부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는 결합본체(100), 터미널(300), 접지접촉부(400), 내부하우징(500), 하우징(600: 도 8 도시) 및 위치보증부(700: 도 8 도시)를 포함한다.
결합본체(1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내부 일측에 케이블(C)이 삽입되고 내부 타측에 터미널(300)이 삽입되어 이들 케이블(C)과 터미널(300)이 결합본체(100)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결합본체(100)는 후술하는 하우징(600)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원통 또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제 1 본체(110)와, 제 1 본체(110)의 일측에 절곡된 상태로 하방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제 2 본체(120)와, 제 2 본체(120)의 일측에 하방으로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연장부(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본체(110)의 외주연 일측을 감싸도록 오링(200)이 장착되고, 오링(200)과 제 2 본체(120) 사이에 위치되는 제 1 본체(110)의 외주연 타측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걸림홈(112)이 형성된다. 오링(200)은 예를 들면 실리콘 재질 등으로 형성되며 링 형태로 형성된다. 오링(200) 및 걸림홈(112)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러한 결합본체(100)는 외부 노이즈를 차폐시키고 그 내부에 위치되는 터미널(300)의 신호 방출을 저지하기 위하여 황동 등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본체(100)의 제 1 본체(110), 제 2 본체(120) 및 연장부(130)가 상호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형성되므로, 이들 사이에 신호가 누설될 수 있는 틈 또는 절개흔적이 없어, 신호라인에서 방사되거나 외부로부터 침투해오는 노이즈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결합본체(100)에는 터미널(300), 접지접촉부(400) 및 내부하우징(500)이 결합되고, 이어서 하우징(600)이 결합된다. 그리고 하우징(600)이 결합된 결합본체(100)는 상대하우징(900: 도 13 도시)과 결합된다. 상대하우징(900)의 형태는 별도로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대결합안내부(910), 상대결합안내부(91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상대본체(920), 상대본체(920) 내부에 위치되는 상대결합부(930) 및 상대결합부(930)에 삽입되는 상대터미널(9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대터미널(940)은 외부 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600)이 결합된 결합본체(100)와 상대하우징(900)이 결합될 때, 상대본체(920)가 하우징(600)과 제 1 본체(110) 사이로 삽입되고, 상대결합부(930)가 제 1 본체(110)와 내부기둥(520) 사이로 삽입되고, 상대터미널(940)이 터미널(300)에 삽입되어, 상대터미널(940)과 터미널(300)이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의 결합본체에 터미널, 접지접촉부 및 내부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수직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의 결합본체에 터미널, 접지접촉부 및 내부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수평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내부하우징(500)은 제 1 본체(110)에 삽입된 상태로 제 2 본체(120)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외부기둥(510)과, 외부기둥(510)의 내부에 위치되는 내부기둥(520)과, 외부기둥(510)과 내부기둥(520)을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돌부(530)를 포함한다. 외부기둥(510)의 외주연 일측에는 어느 한쪽을 향하도록 돌출돌부(514)가 돌출 형성된다.
내부기둥(520)의 길이방향 일측은 외부기둥(510)의 내부 길이방향 일단부 쪽에 위치되고, 내부기둥(520)의 길이방향 타측은 외부기둥(510)의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내부기둥(520)이 위치되지 않은 외부기둥(510)의 내부 타단부에는 오목하게 절개홈(512)이 형성된다. 절개홈(512)은 내부기둥(520)의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내부하우징(500)은 예를 들면 절연 재질로 형성되며 터미널(30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터미널(300)은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접촉본체(310)와, 케이블(C)을 향하는 접촉본체(310)의 일단부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한 쌍의 결합돌부(320)와, 케이블(C)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접촉본체(310)의 타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접촉안내부(330)를 포함한다. 접촉본체(310)는 내부기둥(520)의 내부 일측에 위치되고, 접촉안내부(330)는 내부기둥(520)의 내부 타측에 위치된다. 결합돌부(320)는 외부기둥(510)의 절개홈(512)과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접촉안내부(330)는 상대터미널(940)이 접촉본체(310)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한다.
그리고 접촉본체(310)의 양측에 관통홀(312)이 관통 형성되고, 관통홀(312)의 내주연 일측에 걸림부(314)가 연장 형성된다. 걸림부(314)는 관통홀(312)의 내주연 일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며, 탄성을 갖도록 관통홀(312)의 내주연 일측에 연결된다. 그리고 접촉본체(310)가 내부기둥(520)의 내부로 삽입되면, 걸림부(314)가 내부하우징(500)의 내주연에 접촉된 상태로 내부하우징(500)의 내주연을 가압하게 되어, 접촉본체(310)는 내부기둥(520)에 삽입된 상태를 오랫동안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접지접촉부(400)는 상대하우징(900)의 상대결합부(930)의 접지를 위한 것으로, 케이블(C)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 1 본체(110)의 단부 양측에 제 1 본체(110)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대하우징(900)의 상대결합부(930)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통전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접지접촉부(400)는 제 1 본체(110)의 단부의 외주연을 감싸는 외측부(410)와, 외측부(410)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결합본체(100)의 단부의 내주연을 감싸는 내측부(420)와, 외측부(410)와 내측부(420)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부(4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외측부(410)에 형성되는 걸림홀(412)에 결합본체(100)의 단부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14)가 삽입되어 걸림 결합된다. 그리고 내측부(420)에 형성되는 안내홀(422)의 내주연 일측에 결합본체(100)의 단부의 내주연에서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가압부(424)가 돌출 형성된다. 가압부(424)는 상대하우징(900)의 상대결합부(930)에 접촉되며, 이때, 가압부(424)는 탄성적으로 상대결합부(930)를 견고하게 가압하고 있어, 외부 충격이 가해지거나 오랜 시간이 지난다 하더라도 가압부(424)는 상대결합부(930)를 안정적으로 접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의 결합본체에 케이블이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의 결합본체에 케이블이 결합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의 (a)를 참조하면, 케이블(C)은 예를 들면 동축케이블(C)로 구성되는 것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전선부(C1-1)와, 전선부(C1-1)를 피복시키는 피복부(C1)와, 피복부(C1)의 일측이 결합본체(100)의 연장부(130)를 지나 제 2 본체(120) 내부로 삽입될 때, 결합본체(100)의 연장부(130)의 외부로 돌출되는 피복부(C1)의 타측을 감싸는 외부피복(C2)을 포함한다. 그리고 피복부(C1)의 일측의 상부로 노출되는 전선부(C1-1)의 상단은 통전 재질의 접촉부(C3)가 결합된다. 그리고 외부피복(C2)의 외주연 상측에 방수부(800)가 삽입되고, 외부피복(C2)의 외주연 하측에 압착슬리브(810)가 삽입된다.
방수부(800)는 결합본체(100)와 케이블(C) 사이를 수밀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수밀하고 탄력을 갖는 재질, 예를 들면 실리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수부(800)는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외표면이 울퉁불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압착슬리브(810)는 결합본체(100)와 케이블(C)을 고정 및 차폐시키는 것으로, 금속 재질, 예를 들면 황동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압착슬리브(810) 또한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방수부(800)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압착슬리브(810)는 케이블(C)이 결합본체(100)에 결합되기 전에는 외부피복(C2)의 하측에 위치된다.
도 5 및 도 6의 (b)를 참조하면, 케이블(C)의 전선부(C1-1) 및 피복부(C1)가 연장부(130)를 지나 제 2 본체(120) 내부로 삽입된다. 그러면 전선부(C1-1)의 상단에 결합되는 접촉부(C3)가 한 쌍의 결합돌부(320) 사이로 삽입되어, 전선부(C1-1), 접촉부(C3) 및 결합돌부(320)가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즉, 접촉부(C3)가 결합돌부(320)에 접촉되어, 케이블(C)과 터미널(300)이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접촉부(C3)가 한 쌍의 결합돌부(320) 사이로 삽입될 때, 결합돌부(320)가 절개홈(512)에 안내된 상태로 접촉부(C3)의 직경만큼 벌어지게 된다. 이처럼 케이블(C)의 접촉부(C3)가 한 쌍의 결합돌부(320) 사이로 삽입될 때, 결합돌부(320)가 절개홈(512)의 공간으로 안내되므로, 결합돌부(320)는 접촉부(C3)의 직경만큼 용이하게 벌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케이블(C)의 외부피복(C2)이 연장부(130) 및 제 2 본체(120)에 삽입되지 않은 피복부(C1)의 타측을 감싸도록 위치된다. 이때, 방수부(800)가 상호 마주보는 연장부(130)의 외주연 하단부 및 외부피복(C2)의 외주연 상단부를 일체로 감싸도록 위치되어, 연장부(130)와 외부피복(C2) 사이로 물이 침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도 6의 (c) 및 도 7을 참조하면, 방수부(800)가 연장부(130)와 외부피복(C2)의 상부를 감싸도록 결합된 이후, 외부피복(C2)의 하부에 위치된 압착슬리브(810)가 외부피복(C2)의 상부로 이동되어, 제 2 본체(120)를 향하는 연장부(130)의 상단부 및 방수부(800)를 일체로 감싸도록 위치된다. 압착슬리브(810)는 견고한 금속 재질로 형성되므로, 결합본체(100)의 연장부(130)와 케이블(C) 사이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고, 외부로부터 케이블(C)을 차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압착슬리브(810)는 금속 재질로 구성되고, 결합본체(100) 또한 금속 재질로 구성되므로, 압착슬리브(810)의 내부를 지나가는 케이블(C) 및 결합본체(100) 내부를 지나가는 터미널(300) 간의 신호 전송 과정이 끊어지지 않도록 하고, 노이즈가 발생되지 않도록 차폐시킬 수 있다. 특히 자동차 내부에 들어가는 D-Audio, AVN, Audio 등의 보드를 연결하는 커넥터의 경우, 노이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결합본체(100) 및 압착슬리브(810)를 금속으로 형성하고, 압착슬리브(810)가 결합본체(100)와 케이블(C) 사이를 감싸도록 구성되므로, 압착슬리브(810)의 내부를 지나가는 케이블(C) 및 결합본체(100) 내부를 지나가는 터미널(300) 간의 신호 전송 과정이 끊어지지 않도록 하고, 노이즈가 발생되지 않도록 차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연장부(130)의 상단부와 압착슬리브(810) 사이에 압착오링(210)이 개재되므로, 연장부(130)와 압착슬리브(810) 사이로 물이 침투되지 않도록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본체에 하우징과 위치보증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본체에 하우징과 위치보증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본체에 하우징과 위치보증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하우징(600)은 대략 육면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제 1 본체(110)가 삽입되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본체(110)가 하우징(600) 내부로 삽입될 때 제 1 본체(110)의 걸림홈(112)과 마주보는 하우징(600)의 일단부의 테두리를 따라 제 1 본체(110)의 외주연 방향으로 테두리부(610)가 돌출 형성된다. 이처럼 테두리부(610)가 걸림홈(112)에 삽입되므로, 하우징(600)의 내부로 삽입된 제 1 본체(110)는 하우징(600)에 걸림 결합되어, 임의로 잘 빠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위치보증부(700)는 하우징(600)이 제 1 본체(110)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그 위치를 보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위치보증부(700)는 하우징(600)의 하측에 결합되며, 이때, 위치보증부(700)의 일측에는 하부징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돌출걸림부(710)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600)의 테두리부(610)의 하측에는 돌출걸림부(710)가 삽입되도록 삽입안내부(614)가 관통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1 본체(110)가 하우징(600)에 삽입된 후 위치보증부(700)가 하우징(600)에 결합되면, 돌출걸림부(710)가 삽입안내부(614)를 지나 걸림홈(112)에 삽입된다.
도 11은 도 10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 2 본체가 제 1 본체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 1 본체(110)는 하우징(60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걸림홈(112)과 접촉되는 테두리부(610)의 내주연을 따라 걸림홈(112)의 원주가 안내되도록 오목한 라운드 형태의 제 1 라운드부(612)가 형성된다. 제 1 라운드부(612)는 걸림홈(112)에 삽입된 상태로 걸림홈(112)의 원주 즉, 걸림홈(112)의 외주연을 따라 맞닿은 상태로 부드럽게 회전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 1 라운드부(612)는 후술하는 제 2 라운드부(712)와 함께 제 1 본체(110)의 회전을 안내한다.
제 2 라운드부(712)는 걸림홈(112)에 삽입되는 돌출걸림부(710)의 단부는 걸림홈(112)의 원주, 즉, 걸림홈(112)의 외주연을 따라 맞닿은 상태로 부드럽게 회전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라운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본체(120)가 제 1 본체(110)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면, 걸림홈(112)이 제 2 라운드부(712)에 안내된 상태로 회전된다.
이처럼 제 2 본체(120)가 제 1 본체(110)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면, 걸림홈(112)이 제 1 라운드부(612) 및 제 2 라운드부(712)에 안내된 상태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본체(110)에 절곡 형성된 제 2 본체(12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외부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 구조물에 따라 제 2 본체(120)와 연결되는 케이블(C)의 위치 및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 설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3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과 상대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과 상대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결합본체(100)가 결합된 하우징(600)이 상대하우징(900)의 상대본체(920)에 결합되면, 상대하우징(900)의 상대본체(920)가 하우징(600)과 제 1 본체(110) 사이로 삽입되고, 상대결합부(930)가 제 1 본체(110)와 내부기둥(520) 사이로 삽입되고, 상대결합부(930)의 내부에 위치되는 상대터미널(940)이 터미널(300)에 삽입되어, 상대터미널(940)과 터미널(300)이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그리고 상대하우징(900)의 상대결합부(930)가 터미널(300)과 결합본체(100) 사이로 삽입되면, 오링(200)의 외주연이 상대결합부(930)의 내주연에 수밀하게 접촉된다. 이처럼 결합본체(100)와 상대결합부(930) 사이가 오링(200)에 의하여 수밀하게 구성되므로, 결합본체(100)와 상대결합부(930) 사이는 간단한 구조로 방수 기능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결합본체
110: 제 1 본체 112: 걸림홈
114: 걸림돌기 120: 제 2 본체
130: 연장부
200: 오링 210: 압착오링
300: 터미널
310: 접촉본체 312: 관통홀
314: 걸림부 320: 결합돌부
330: 접촉안내부
400: 접지접촉부
410: 외측부 412: 걸림홀
420: 내측부 422: 안내홀
424: 가압부 430: 연결부
500: 내부하우징
510: 외부기둥 512: 절개홈
514: 돌출돌부 520: 내부기둥
530: 연결돌부
600: 하우징
610: 테두리부 612: 제 1 라운드부
614: 삽입안내부
700: 위치보증부
710: 돌출걸림부 712: 제 2 라운드부
800: 방수부 810: 압착슬리브
900: 상대하우징
910: 상대결합안내부 920: 상대본체
930: 상대결합부 940: 상대터미널
C: 케이블
C1: 피복부 C1-1: 전선부
C2: 외부피복 C3: 접촉부

Claims (11)

  1. 내부 일측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결합본체;
    상기 결합본체의 내부 타측에 삽입되며 상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
    상기 결합본체의 타측 외주연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오링; 및
    상기 결합본체의 타측이 삽입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대하우징의 상대본체가 상기 결합본체와 상기 터미널 사이로 삽입되면, 상기 오링의 외주연이 상대본체의 내주연에 수밀하게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본체의 타측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본체는,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도록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외주연 일측에 상기 오링이 끼워지는 제 1 본체와, 상기 제 1 본체의 일측에 절곡된 상태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제 2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제 1 본체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 1 본체와 연결된 상기 제 2 본체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의 일측은 상기 제 2 본체의 타측에서 상기 제 2 본체의 내부를 지나 상기 제 2 본체의 일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링과 상기 제 2 본체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제 1 본체의 외주연 타측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과 마주보는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에 상기 걸림홈에 걸리도록 상기 걸림홈 방향으로 테두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의 내주연을 따라 상기 걸림홈의 원주가 안내되도록 오목한 라운드 형태의 제 1 라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본체가 상기 제 1 본체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면, 상기 걸림홈이 상기 제1 라운드부에 안내된 상태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결합되는 위치보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보증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돌출걸림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의 하측에는 상기 돌출걸림부가 삽입되도록 삽입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본체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후 상기 위치보증부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면, 상기 돌출걸림부가 상기 삽입안내부를 지나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고,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상기 돌출걸림부의 단부는 상기 걸림홈의 외주연을 따라 오목하게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는 제 2 라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본체가 상기 제 1 본체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면, 상기 걸림홈이 상기 제 2 라운드부에 안내된 상태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본체는,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외주연 일측에 상기 오링이 삽입되는 제 1 본체와, 상기 제 1 본체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제 1 본체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 1 본체와 연결된 상기 제 2 본체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의 전선부의 일측이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제 2 본체에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의 외부피복이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제 2 본체에 삽입되지 않은 상기 전선부의 타측을 감싸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탄성을 갖는 기둥 형태의 방수부가 상호 마주보는 상기 연장부의 일단부 및 상기 외부피복의 단부를 일체로 감싸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본체를 향하는 상기 연장부의 타단부 및 상기 방수부를 일체로 감싸도록 형성되는 압착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본체 및 상기 압착슬리브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타단부와 상기 압착슬리브 사이에 압착오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본체의 타측에 삽입되도록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내부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은, 상기 내부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접촉본체와, 상기 접촉본체의 양측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의 내주연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본체가 상기 내부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걸림부가 상기 내부하우징의 내주연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내부하우징의 내주연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본체의 타측에 삽입되도록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내부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은, 상기 내부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접촉본체와, 상기 케이블을 향하는 상기 접촉본체의 단부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한 쌍의 결합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부와 마주보는 상기 내부하우징의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의 전선부에 결합되는 접촉부가 한 쌍의 상기 결합돌부 사이로 삽입될 때, 상기 결합돌부가 상기 절개홈에 안내된 상태로 상기 접촉부의 직경만큼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본체는 통전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상기 결합본체의 단부 양측에 상기 결합본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대하우징의 상대결합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통전 재질로 형성되는 접지접촉부가 결합되고,
    상기 접지접촉부는, 상기 결합본체의 단부의 외주연을 감싸는 외측부와, 상기 외측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결합본체의 단부의 내주연을 감싸는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와 상기 내측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부에 형성되는 걸림홀에 상기 결합본체의 단부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걸림 결합되고,
    상기 내측부에 형성되는 안내홀의 내주연 일측에 상기 결합본체의 단부의 내주연에서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가압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
KR1020220132517A 2022-10-14 2022-10-14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 KR202400524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2517A KR20240052454A (ko) 2022-10-14 2022-10-14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2517A KR20240052454A (ko) 2022-10-14 2022-10-14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2454A true KR20240052454A (ko) 2024-04-23

Family

ID=90881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2517A KR20240052454A (ko) 2022-10-14 2022-10-14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245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333A (ko) 2008-07-22 2010-02-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방수시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333A (ko) 2008-07-22 2010-02-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방수시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56018B1 (en) Waterproof structure
US8337229B2 (en) Connector having a nut-body continuity element and method of use thereof
JP5186170B2 (ja) 導電部材、その導電部材を有するコネクタ
KR101095685B1 (ko) 패널 장착 전기 커넥터
US10027073B2 (en) Coaxial connector with electromagnetic shield
CN107453158B (zh) 一种线束连接器及一种线缆连接方法
US20110059659A1 (en) Connector
US4674807A (en) Shielded connector
WO2007112771A1 (en) Retention ferrule for cable connector
CN105406286A (zh) 具有电缆出口区垫圈的连接器模块
JP7032978B2 (ja) L形同軸端子を備えた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5390857B (zh) 具有电缆出口区域垫圈的连接器模块
US5997353A (en) Metallic connector housing
CN107196112B (zh) 汽车高速连接器
US7347730B2 (en) Grommet
US20070202739A1 (en) Coaxial plug connector for a coaxial cable
KR20240052454A (ko) 전장용 고주파 방수 커넥터 장치
KR100800789B1 (ko) 실드 커넥터
US10340639B2 (en) Shield shell and shielded connector
CN110504597A (zh) 屏蔽连接器
JP2020187891A (ja) コネクタ
KR102657454B1 (ko) 수직형 커넥터
KR200311811Y1 (ko) 케이블 접속장치
CN113471761B (zh) 插头连接器和插座连接器
JP2019145216A (ja) 同軸ケーブル用プラ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