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1525A - 호흡을 이용한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 Google Patents

호흡을 이용한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1525A
KR20240051525A KR1020220131296A KR20220131296A KR20240051525A KR 20240051525 A KR20240051525 A KR 20240051525A KR 1020220131296 A KR1020220131296 A KR 1020220131296A KR 20220131296 A KR20220131296 A KR 20220131296A KR 20240051525 A KR20240051525 A KR 20240051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thing
information
electric wheelchair
control
drivin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1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응표
김용철
장대진
남기태
김규석
이석민
Original Assignee
근로복지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근로복지공단 filed Critical 근로복지공단
Priority to KR1020220131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1525A/ko
Publication of KR20240051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15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4Wheel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1Arrangements f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12Remote contr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을 이용한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호흡을 인가받아 소정의 호흡정보를 생성하는 호흡 인가부; 및 상기 호흡정보를 기초로 하여 미리 정해진 제어 조건으로 상기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호흡정보는 들숨 정보, 날숨 정보, 들숨의 크기 정보 및 날숨의 크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흡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동 휠체어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호흡을 이용한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Electric wheelchair control device using Breathing and Electric wheelchai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호흡을 이용한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호흡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전동 휠체어의 동작을 제어하는 호흡을 이용한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노약자, 중증 피간호인 및 장애인 등 자력으로 거동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피간호인의 경우 전동 휠체어를 사용하게 된다.
최근에는 노령인구의 증가로 인해 자력으로 침대에 눕거나 이동이 어려운 피간호인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여서 간병인의 업무가 가중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피간호인 및 간호인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여러 가지 장치 등이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들 중에서 전동 휠체어는 장애인이나 환자 또는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가 편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이동보조장치이다.
이러한 전동 휠체어는 시트, 등받이, 발판 그리고 시트의 양측에 장착된 바퀴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동으로 바퀴를 움직일 필요 없는 전동 휠체어가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어 판매되고 있다.
전동 휠체어는 일반적으로 모터를 이용해 바퀴를 구동시키며 이동하는 형태의 휠체어는 장애인이나 환자 또는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근래의 전동 휠체어는 다양한 전동 동작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전진, 후진, 가속, 감속, 좌회전, 우회전 등의 주행 동작을 가지며, 또한 의자의 틸팅, 리클라인, 상승, 하강 등의 의자 동작을 가지고 있다.
통상의 사용자는 이러한 다양한 전동 동작을 조이스틱과 같은 입력 장치를 통해 동작 제어 입력 신호를 입력하여 전동 휠체어의 동작을 제어하고 있으나, 팔이나, 목을 사용할 수 없는 중증의 장애인의 경우 전동 휠체어의 다양한 전동 동작을 제어하는 것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8-0088247 A (2008.10.02)호는 사용자의 호흡 신호를 센싱하는 이동체용 무선생체신호 감시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호흡 신호는 오로지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팔이나, 목을 사용할 수 없는 중증의 장애인의 경우에도, 호흡을 이용하여 매우 용이하게 전동 휠체어의 다양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호흡을 이용한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을 이용한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호흡을 인가받아 소정의 호흡정보를 생성하는 호흡 인가부; 및 상기 호흡정보를 기초로 하여 미리 정해진 제어 조건으로 상기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호흡정보는 들숨 정보, 날숨 정보, 들숨의 크기 정보 및 날숨의 크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흡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동 휠체어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을 이용한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의하면, 팔이나, 목을 사용할 수 없는 중증의 장애인의 경우에도, 호흡을 이용하여 매우 용이하게 전동 휠체어의 다양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을 이용한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전동 휠체어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을 이용한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전동 휠체어의 개략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을 이용한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의 호흡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을 이용한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통해 전동 휠체어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을 이용한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호흡을 인가받아 소정의 호흡정보를 생성하는 호흡 인가부; 및 상기 호흡정보를 기초로 하여 미리 정해진 제어 조건으로 상기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호흡정보는 들숨 정보, 날숨 정보, 들숨의 크기 정보 및 날숨의 크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흡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동 휠체어를 제어할 수 있다.
또, 상기 호흡정보는 들숨의 유지 시간 정보, 날숨의 유지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흡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동 휠체어를 제어할 수 있다.
또, 상기 미리 정해진 제어 조건은 상기 전동 휠체어의 전진, 후진, 좌회전, 우회전으로 제어 가능한 주행 모드, 상기 전동 휠체어의 의자의 위치 변화를 제어하는 의자 제어 모드 및 상기 주행 모드 및 상기 의자 제어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모드로 제어하는 조건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흡정보를 기초로 상기 주행 모드, 상기 의자 제어 모드 및 상기 선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특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주행 모드는 상기 전동 휠체어의 전진, 후진, 좌회전, 우회전으로 제어 가능한 실외 주행 모드 및 상대적으로 상기 실외 주행 모드보다 약한 호흡으로 상기 전동 휠체어의 전진, 후진, 좌회전, 우회전으로 제어 가능한 실내 주행 모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는 상기 호흡을 이용한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일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을 이용한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전동 휠체어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을 이용한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전동 휠체어의 개략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을 이용한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의 호흡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을 이용한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통해 전동 휠체어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을 이용한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겠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할 때, 본 발명은 팔이나, 목을 사용할 수 없는 중증의 장애인의 경우 자신의 호흡을 이용하여 전동 휠체어(300)의 다양한 동작을 제어하도록 사용자에게 제어 환경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일례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호흡을 인가받아 소정의 호흡정보를 생성하는 호흡 인가부(100) 및 상기 호흡정보를 기초로 하여 미리 정해진 제어 조건으로 상기 전동 휠체어(300)를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호흡 인가부(100)는 사용자로부터 호흡을 인가받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입에 물리는 호스(110)와 상기 호스(110)를 통해 사용자의 들숨 및 날숨을 센싱하는 센서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호스(110)를 입에 물고 숨을 불어 넣거나(날숨), 숨을 빨아들여(들숨) 상기 호흡 인가부(100)에 들숨 및 날숨을 인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서부(120)는 호스(110)를 통해 사용자가 인가한 들숨 및 날숨을 센싱하여 상기 호흡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서부(120)는 압력 센서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숨을 불어 넣는 경우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을, 숨을 빨아들이는 경우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을 센싱하여 상기 호흡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일례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호흡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제어 조건으로 상기 전동 휠체어(300)의 다양한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리 정해진 제어 조건은 상기 호흡정보에 따라 상기 전동 휠체어(300)의 다양한 동작을 제어하는 조건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일례로, 상기 미리 정해진 제어 조건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전동 휠체어(300)의 다양한 동작은 상기 전동 휠체어(300)의 전진, 후진, 좌회전, 우회전으로 제어 가능한 주행 모드, 상기 전동 휠체어(300)의 의자의 위치 변화를 제어하는 의자 제어 모드 및 상기 주행 모드 및 상기 의자 제어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모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주행 모드는 상기 전동 휠체어(300)의 주행과 관련된 동작으로서, 전동 바퀴의 전진, 후진, 좌회전, 우회전 등의 동작을 가지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주행 모드는 상기 전동 휠체어(300)의 전진, 후진, 좌회전, 우회전으로 제어 가능한 실외 주행 모드 및 상대적으로 상기 실외 주행 모드보다 약한 호흡으로 상기 전동 휠체어(300)의 전진, 후진, 좌회전, 우회전으로 제어 가능한 실내 주행 모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호흡정보와 연계된 상기 실외 주행 모드 및 상기 실내 주행 모드는 아래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한편, 상기 의자 제어 모드는 상기 전동 휠체어(300)의 의자의 위치 변화를 제어하는 모드로서, 의자의 틸트, 리클라인, 상승 및 하강을 구현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택 모드는 앞서 설명한 상기 실외 주행 모드, 상기 실내 주행 모드 상기 의자 제어 모드 중 사용자가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상태를 제공하는 모드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을 이용한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는 사용자의 상기 호흡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제어 조건으로 상기 전동 휠체어(300)의 다양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호흡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동 휠체어(30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데이터를 미리 저장하는 메모리부(M) 및 상기 호흡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동 휠체어(30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데이터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D)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호흡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제어 조건으로 상기 전동 휠체어(300)의 다양한 동작을 제어하는 기술적 사상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호흡에 의해 상기 호흡 인가부(100)가 생성하는 상기 호흡정보는 들숨 정보, 날숨 정보, 들숨의 크기 정보, 날숨의 크기 정보, 들숨의 유지 시간 정보 및 날숨의 유지 시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호흡 정보는 사용자가 호스(110)를 통해 인가한 호흡의 종류로서 들숨인지 날숨인지에 대한 정보인 상기 들숨 정보 및 상기 날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흡 정보는 상기 들숨 정보 및 상기 날숨 정보뿐만 아니라, 호흡의 강약인 상기 들숨의 크기 정보 및 상기 날숨의 크기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호흡 인가부(100)는 사용자가 들숨 및 날숨을 상대적으로 강하게 하는 경우와 약하게 하는 경우를 구분하여, 상기 들숨의 크기 정보 및 상기 날숨의 크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흡 정보는 상기 들숨 정보 및 상기 날숨 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들숨의 유지 시간 정보 및 상기 날숨의 유지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호흡정보를 시각화한 것으로서, 도 3 (a)를 참조하여 볼 때, 상기 호흡정보는 상기 들숨 정보(Sip) 및 상기 날숨 정보(Puff)를 포함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들숨의 크기 정보(박스의 높이) 및 상기 날숨의 크기 정보(박스의 높이)를 포함할 수 있음에 따라, 들숨과 날숨의 상대적인 강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b)를 참조하여 볼 때, 상기 호흡정보는 상기 들숨의 유지 시간 정보(박스의 너비) 및 상기 날숨의 유지 시간 정보(박스의 너비)를 포함할 수 있음에 따라 들숨과 날숨의 상대적인 짧음, 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이러한 상기 호흡정보를 입력값으로 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제어 조건으로 상기 주행 모드, 상기 의자 제어 모드 및 상기 선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특정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전동 휠체어(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200)의 상기 미리 정해진 제어 조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도 4는 상기 선택 모드에서의 제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들숨 정보 또는 상기 날숨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실외 주행 모드로 대기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호흡정보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실외 주행 모드로 특정되어 상기 전동 휠체어(3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실외 주행 모드 대기 중,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들숨 정보 또는 상기 날숨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실내 주행 모드로 대기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호흡정보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실내 주행 모드로 특정되어 상기 전동 휠체어(3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실내 주행 모드 대기 중,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들숨 정보 또는 상기 날숨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의자 제어 모드로 대기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호흡정보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의자 제어 모드로 특정되어 상기 전동 휠체어(3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들숨 정보 또는 상기 날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행 모드 및 상기 의자 제어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상기 선택 모드로 상기 전동 휠체어(3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상기 주행 모드에서의 제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5(a)는 상기 실외 주행 모드를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상기 실내 주행 모드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도 5(a)를 참조하여 볼 때, 상기 실외 주행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200)는 제1 크기(상대적으로 강한 크기) 이상의 상기 날숨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동 휠체어(300)의 전진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제1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약한 크기인 제2 크기 이하의 상기 날숨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동 휠체어(300)의 전진 상태에서 좌회전 제어를 구현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2 크기 이하의 상기 들숨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동 휠체어(300)의 전진 상태에서 우회전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1 크기 이상의 상기 날숨 정보 또는 상기 들숨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전동 바퀴가 정지되는 정지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1 크기 이상의 상기 들숨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동 휠체어(300)의 후진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상기 제2 크기 이하의 상기 날숨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동 휠체어(300)의 후진 상태에서 좌회전 제어를 구현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2 크기 이하의 상기 들숨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동 휠체어(300)의 후진 상태에서 우회전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1 크기 이상의 상기 날숨 정보 또는 상기 들숨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전동 바퀴가 정지되는 정지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자신의 호흡을 통해 상기 실외 주행 모드에서 상기 전동 휠체어(300)의 다양한 주행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5(b)를 참조하여 볼 때, 상기 실내 주행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2 크기 이하이며, 기 설정된 시간 이상(상기 실외 주행 모드에서의 들숨 및 날숨의 유지 시간 이상)의 상기 날숨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동 휠체어(300)의 전진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제2 크기 이하이며, 기 설정된 시간 이상(상기 실외 주행 모드에서의 들숨 및 날숨의 유지 시간 이상)의 상기 들숨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동 휠체어(300)의 후진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2 크기 이하이며, 기 설정된 시간 미만의 유지 시간의 상기 날숨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동 휠체어(300)의 좌회전 제어를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크기 이하이며, 기 설정된 시간 미만의 유지 시간의 상기 들숨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동 휠체어(300)의 우회전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상기 실외 주행 모드 보다 약한 호흡만으로도 상기 실내 주행 모드에서 상기 전동 휠체어(300)의 다양한 주행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상기 의자 제어 모드에서의 제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1 크기 이상의 상기 날숨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의자의 틸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2 크기 이하의 상기 날숨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의자를 상승 시킬 수 있고, 상기 제2 크기 이하의 상기 들숨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의자를 하강 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틸트 기능 상태에서 상기 제1 크기 이상의 상기 날숨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의자의 리클라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2 크기 이하의 상기 날숨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의자를 상승 시킬 수 있고, 상기 제2 크기 이하의 상기 들숨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의자를 하강 시킬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자신의 호흡을 통해 의자의 다양한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을 참조로 하여, 앞서 설명한 제어 방법은 예시일 뿐이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상기 들숨 정보 또는 상기 날숨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실외 주행 모드, 상기 실내 주행 모드 및 상기 의자 제어 모드로의 변경이 가능함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들숨 정보 입력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연속으로 상기 날숨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실외 주행 모드, 상기 실내 주행 모드 및 상기 의자 제어 모드로의 변경이 가능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들숨 정보, 상기 날숨 정보, 상기 들숨의 크기 정보, 상기 날숨의 크기 정보, 상기 들숨의 유지 시간 정보 및 상기 날숨의 유지 시간 정보 중 적어도 복수 개가 조합되어 상기 전동 휠체어(300)를 제어할 수 있음에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을 이용한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는 팔이나, 목을 사용할 수 없는 중증의 장애인의 경우에도, 호흡을 이용하여 매우 용이하게 전동 휠체어(300)의 다양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는 상기 호흡을 이용한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호흡 인가부
200: 제어부
300: 전동 휠체어

Claims (5)

  1. 호흡을 이용한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호흡을 인가받아 소정의 호흡정보를 생성하는 호흡 인가부; 및
    상기 호흡정보를 기초로 하여 미리 정해진 제어 조건으로 상기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호흡정보는,
    들숨 정보, 날숨 정보, 들숨의 크기 정보 및 날숨의 크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흡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호흡을 이용한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정보는,
    들숨의 유지 시간 정보, 날숨의 유지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흡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호흡을 이용한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제어 조건은,
    상기 전동 휠체어의 전진, 후진, 좌회전, 우회전으로 제어 가능한 주행 모드,
    상기 전동 휠체어의 의자의 위치 변화를 제어하는 의자 제어 모드 및
    상기 주행 모드 및 상기 의자 제어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모드로 제어하는 조건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흡정보를 기초로 상기 주행 모드, 상기 의자 제어 모드 및 상기 선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특정하는,
    호흡을 이용한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모드는,
    상기 전동 휠체어의 전진, 후진, 좌회전, 우회전으로 제어 가능한 실외 주행 모드 및
    상대적으로 상기 실외 주행 모드보다 약한 호흡으로 상기 전동 휠체어의 전진, 후진, 좌회전, 우회전으로 제어 가능한 실내 주행 모드를 구비하는,
    호흡을 이용한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호흡을 이용한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KR1020220131296A 2022-10-13 2022-10-13 호흡을 이용한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KR202400515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296A KR20240051525A (ko) 2022-10-13 2022-10-13 호흡을 이용한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296A KR20240051525A (ko) 2022-10-13 2022-10-13 호흡을 이용한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1525A true KR20240051525A (ko) 2024-04-22

Family

ID=90881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1296A KR20240051525A (ko) 2022-10-13 2022-10-13 호흡을 이용한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15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33391A1 (en) Patient Support Systems And Methods For Assisting Caregivers With Patient Care
EP2392304B1 (en) Modifying a support apparatus based on a patient condition score
US20220054335A1 (en) Joystick Chair
JP7469417B2 (ja) 制御装置及び電動家具
WO2010110411A1 (ja) 頭部運動による入力装置
KR20190043140A (ko) 로봇 수술을 위한 사용자 콘솔 시스템
US20200229998A1 (en) Smart tilting/lifting chair with the ability to tilt user to vertical position
JP2004530503A (ja) 人間工学上の問題を避けるための座席装置
NL8401051A (nl) Inrichting voor het besturen van een elektrisch bedreven inrichting.
US20210106478A1 (en) Techniques for notifying persons within a vicinity of a patient support apparatus of a remote control function
KR20240051525A (ko) 호흡을 이용한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TWI415597B (zh) 智慧型機器人輪椅
US98782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ctuating controlled stimulation of a patient in a confined medical position
JP7204466B2 (ja) 利用者の操作プロセスを無接触式に検出する装置を有する呼吸器具
US20220386776A1 (en) Tilting/lifting chair
US20230120653A1 (en) Person support systems and methods including a proning mode
KR101124647B1 (ko) 안구 전위 신호를 이용한 전동 휠체어
KR101284012B1 (ko) 환상통 치료를 위한 가상현실장치
KR102474923B1 (ko) 바이탈 관리 기능을 구비한 휠체어
KR102643693B1 (ko) 지자계 조이스틱을 이용한 환경 감응형 전동 휠체어 시스템
JP7244213B2 (ja) ベッドシステム
JP2003334219A (ja) 遠隔地散策装置
KR20180097842A (ko) 자립적인 승하차 도우미 기능의 전동 휠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