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1055A - 생들기름을 함유한 스틱형 젤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들기름을 함유한 스틱형 젤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1055A
KR20240051055A KR1020230134310A KR20230134310A KR20240051055A KR 20240051055 A KR20240051055 A KR 20240051055A KR 1020230134310 A KR1020230134310 A KR 1020230134310A KR 20230134310 A KR20230134310 A KR 20230134310A KR 20240051055 A KR20240051055 A KR 20240051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entrate
mixing
mixture
perilla oil
sug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4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낙신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천우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천우당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천우당
Publication of KR20240051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105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10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 A23L21/15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derived from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3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sugars o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88Taste or flavour enhanc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38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from seeds, e.g. locust bean gum or guar g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5Exudates, e.g. gum arabic, gum acacia, gum karaya or tragacan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5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from seaweeds, e.g. alginates, agar or carrageen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들기름을 함유한 젤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메가3계열의 α리놀렌산이 풍부하게 함유된 생들기름을 섭취가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남녀노소 누구나 거부감없이 즐길 수 있도록 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정제수를 70~80℃로 가열하는 단계; 올리고당에 로커스트콩검, 한천을 섞은 후에 정백당을 혼합하여 당-젤화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정제수에 상기 당-젤화제 조성물을 혼합하여 85~95℃까지 가열 농축하여 농축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농축물에 생들기름인 주성분과, 오렌지 농축액 및 자몽 농축액으로 된 보조성분을 혼합하여 혼합 농축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 농축물에 함수구연산, 비타민C, 구연산삼나트륨, 젖산칼슘 및 효소처리스테비아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감미료를 혼합하여 감미료 혼합 농축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감미료 혼합 농축물을 가열하여 95~98℃가 되었을 때 트로피칼향을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Description

생들기름을 함유한 스틱형 젤리 및 그 제조방법{Stick type jelly containing perilla oi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생들기름을 함유한 젤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메가3계열의 α리놀렌산이 풍부하게 함유된 생들기름을 섭취가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남녀노소 누구나 거부감없이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생들기름을 함유한 스틱형 젤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각종 건강보조식품 등을 젤리화하여 스틱형 젤리로 제조함으로써 섭취가 용이하고, 또한 보관이 편리하게 되어 판매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일예로서, 등록특허 제10-1436784호(쓴맛의 감소 및 섭취편의성을 개선한 홍삼 스틱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홍삼농축액과 산탄검과 로커스트콩검을 포함하여 홍삼 스틱겔 조성물을 제조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홍삼의 우수한 약리효과를 유지하면서 섭취가 용이하도록 하며 유통 안정성에서도 우수한 장점을 갖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스틱형 젤리는 홍삼 등의 건강보조식품에 많이 한정되어 제품화됨으로써, 반드시 식품으로 섭취하여야 하는 불포화지방산 특히 오메가3계열의 α리놀렌산 등을 젤리화하여 스틱형 젤리로 판매하는 제품을 찾아보기 힘들다.
즉, α리놀렌산은 필수 영양소인데, 식품을 통해서만 섭취가 가능하게 되므로, 편중된 식습관 등에 의해 오메가3의 섭취가 많이 부족하게 되고, 부족 상태를 해소하기 위하여 영양제 형태로 된 오메가 계열의 불포화지방산을 섭취하게 되지만, 이는 가공된 상태이므로 천연의 불포화지방산의 상태보다 그 효능이 좋지 않게 된다.
따라서, 오메가3 계열의 α리놀렌산이 많이 함유된 천연 식품인 생들기름을 함유하여 스틱형 젤리를 제공하는 것이 크게 요구된다.
<선행기술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6784호
(쓴맛의 감소 및 섭취편의성을 개선한 홍삼 스틱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에 의하여, 생들기름을 주성분으로 스틱형 젤리에 의해 오메가3계열의 α리놀렌산의 섭취가 용이하고, 또한 남녀노소 누구나 거부감없이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생들기름을 함유한 스틱형 젤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들기름을 함유한 스틱형 젤리의 제조방법은,
정제수를 70~80℃로 가열하는 단계;
올리고당에 로커스트콩검, 한천을 섞은 후에 정백당을 혼합하여 당-젤화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정제수에 상기 당-젤화제 조성물을 혼합하여 85~95℃까지 가열 농축하여 농축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농축물에 생들기름인 주성분과, 오렌지 농축액 및 자몽 농축액으로 된 보조성분을 혼합하여 혼합 농축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 농축물에 함수구연산, 비타민C, 구연산삼나트륨, 젖산칼슘 및 효소처리스테비아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감미료를 혼합하여 감미료 혼합 농축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감미료 혼합 농축물을 가열하여 95~98℃가 되었을 때 트로피칼향을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제수 60~70 중량부, 당-젤화제 조성물은 10~15 중량부, 주성분과 보조성분 21~31 중량부, 감미료 0.3~0.5 중량부 및 트로피칼향 0.1~0.2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생들기름을 함유한 스틱형 젤리는 상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생들기름을 함유한 스틱형 젤리에 의해 오메가3계열의 α리놀렌산을 누구나 쉽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휴대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생들기름을 함유한 스틱형 젤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생들기름을 함유한 스틱형 젤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지방의 종류는 크게 포화지방산과 1가 불포화지방산, 오메가6계열 고도불포화지방산, 오메가3계열불포화지방산에 의해 3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1그룹으로서의 포화지방산과 1가 불포화지방산은 쇠기름, 돼지기름, 팜유, 올리브유 등에 다량 존재하며, 주요 지방산으로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등이며, 주로 에너지 공급을 담당하고 있다.
2그룹으로서의 오메가6계열 고도불포화지방산은 옥수수기름, 콩기름, 면실유, 홍화유 등에 다량 존재하며, 주요 지방산으로는 리놀레산, 아라키돈산, 디호모감마리놀레산 등이며, 신체적 성장과 발달을 담당한다.
3그룹으로서의 오메가3계열 고도불포화지방산은 들기름, 차조기기름, 아마인유, 생선기름 등에 다량 존재하며, 주요 지방산으로는 알파리놀렌산, 에이코사펜타에노산(EPA), 도코사헥사에노산(DHA) 등이며, 뇌, 신경계통의 발달과 성인병의 예방을 담당한다.
이 세가지 그룹의 지방산은 체내에서 상호 전환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필요한 양을 식품을 통해서만 섭취하여야 하며, 그 세가지 그룹의 지방산의 섭취가 균형을 이루어야만 건강을 유지할 수 있으며, 각종 성인병의 위험을 낮출수가 있는 것이다.
그런데, 서구화된 식생활에 의하여 지방의 섭취가 늘고 있어서, 고지혈증, 심혈관질환, 비만, 당뇨병 등의 질병에 많이 노출되고 있다.
즉, 코로나19에 의한 팬데믹 상황하에서 간편조리음식, 배달음식 등의 섭취가 크게 증가하고, 이는 콩기름, 옥수수기름 등에 의해 주로 조리가 이루어짐으로써 리놀레산 등 오메가6계열 고도불포화지방산의 섭취가 증가하였으며, 이는 2그룹의 지방이 편중되어 섭취되었음을 의미하며, 그 결과 2그룹과 3그룹간의 섭취 밸런스가 무너진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리놀레산의 과다섭취는 알레르기 체질의 형성, 심혈관질환의 증가, 암 유발 등의 문제점을 가져왔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오메가3계열 고도불포화지방산은 리놀레산 과다섭취에 의한 질병을 예방하고, 두뇌를 발달시키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3그룹의 지방산의 섭취가 매우 권장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3그룹의 고도불포화지방산은 EPA 및 DHA를 많이 함유하고 있으나, 생선을 선호하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다른 식품으로부터 오메가3계열 고도불포화지방산의 섭취가 이루어져야 하지만, 이를 고르게 섭취하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국내에서 쉽게 조달이 가능한 생들기름을 스틱형 젤리로 제조함으로써 오메가3계열의 고도불포화지방산의 섭취가 용이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생들기름과 젤화제를 혼합하여 젤리화하고, 이를 스틱형 포장재를 이용하여 포장함으로써 섭취가 용이하고, 유통 안정성을 높이게 된다.
생들기름은 오메가3계열 지방산인 α리놀렌산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α리놀렌산은 뇌기능을 돕는 DHEA의 기초물질로 기억력과 학습력을 높여 주며, 당근, 고구마 등에 풍부한 항산화성분인 ß카로틴의 흡수를 돕는 역할을 하게 된다.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생들기름을 함유한 스틱형 젤리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생들기름을 함유한 스틱형 젤리는 도1에 도시된 흐름과 같이 제조된다.
1-1) 재료
생들기름을 함유한 스틱형 젤리를 제조하기 위하여 다음 [표1]에서와 같이 혼합을 위한 재료를 준비하게 되는데, 이러한 재료는 생들기름을 기본으로 하여 섭취자의 기호에 맞게 그 성분 및 함유비율은 조금씩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재료명

포함원료

배합 중량부

정제수

정제수

60 ~ 70 (62)

당-젤화제 조성물

올리고당, 로커스트콩검, 한천, 정백당

10 ~ 15 (13)

주성분

생들기름

18 ~ 25 (20)

보조성분

오렌지 농축액, 자몽 농축액

3 ~ 6 (4.4)

감미료


함수구연산, 비타민C, 구연산삼나트륨, 젖산칼슘, 효소처리스테비아

0.3 ~ 0.5 (0.4)



트로피칼향

0.1 ~ 0.2 (0.2)
여기서 괄호안의 비율을 가장 바람직한 비율이다.
1-2) 정제수 가열
정제수를 60~7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65 중량부를 갖도록 계량한 다음, 70 ~ 80℃, 바람직하게는 80℃로 가열하여 당-젤화제 조성물이 용이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
1-3) 당-젤화제 조성물 제조
올리고당에 로커스트콩검 및 한천을 섞은 후에 정백당을 혼합하여 당-젤화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로커스트콩검은 지중해 연안에서 생육하는 콩과 다년생 카로브 나무에서 채취한 후 배유 부분을 분리 정제하여 얻어지는 것으로서, 내산성 및 내알칼리성이 우수하다.
이때, 젤화제는 로커스트콩검과 한천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젤화제를 사용하여 생들기름과 혼합하는 경우에는 이수율, 탄력성, 겔강도를 만족하는 배합비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당-젤화제 조성물은 올리고당 7 중량부, 정백당 4 중량부, 로커스트콩검 1 중량부, 한천 1중량부가 혼합되어 조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1-4) 정제수와 당-젤화제 조성물 혼합
70 ~ 80℃로 가열된 정제수에 당-젤화제 조성물을 혼합한 후 85~95℃ 바람직하게는 85℃로 가열하여 약간 끈적한 점도를 가지도록 5 ~ 10분 정도 가열하여 농축물을 제조한다.
1-5) 주성분과 보조성분 혼합
상기 정제수와 당-젤화제 조성물이 농축된 농축물을 85℃로 가열하면서, 주성분인 생들기름, 오렌지 농축액, 자몽 농축액을 혼합한다.
이러한 생들기름은 통들깨를 압착하여 착유하게 되는데, 통들깨를 세척기에 투입하여 이물질 제거 등의 세척과정을 거치게 되고, 이를 탈수하여 건조시키며, 건조된 통들깨를 볶지 않고 저온압착하여 착유하게 된다.
1-6) 감미료 혼합
감미료로서, 함수구연산, 비타민C, 구연산삼나트륨, 젖산칼슘 및 효소처리스테비아를 계량하여 투입한다.
상기에서 생들기름과 젤화제만을 혼합하여 젤리를 제조할 수 있으나, 생들기름과 젤화제만을 혼합하는 경우에는 특유의 기름맛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기름맛을 선호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선호하는 않은 사람들도 있게 되어 다양한 사람들의 기호에 맞도록 감미료를 추가로 혼합함으로써 섭취가 더욱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생들기름은 특유의 고소한 맛을 풍미를 가질 수 있지만, 산화가 빨리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착유과정, 젤화제를 혼합하는 과정, 포장하는 과정 중에 공기와 접촉이 많이 이루어지게 되고, 포장재에 의해 기밀 포장이 이루어졌다고 할지라도 이미 공기가 유입된 상태이므로 산패가 가속화된다.
따라서, 감미료로서 항산화기능을 갖는 비타민C가 투입됨으로써 이러한 들기름의 산패를 억제시킬 수 있게 된다.
1-7) 트로피칼향 투입
주성분 및 보조성분과 감미료를 추가한 후에 5~10분간 가열 농축하면서 95~98℃, 바람직하게는 98℃가 되도록 가열하면서 열대과일향인 트로피칼향을 투입하고, 이후 15 ~ 20분간 온도를 유지하면서 혼합하게 된다.
1-8) 포장
트로피칼향까지 혼합된 혼합물을 성형틀에 의해 성형한 다음 이를 냉각하게 되고, 이를 스틱형 포장지에 투입하여 스틱형 젤리를 제조 완료한다.
아울러, 이러한 생들기름과 푸딩, 요거트, 젤리, 캔디류 등을 혼합하여 섭취가 용이하도록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2. 관능평가
2-1) 관능평가에 사용된 생들기름을 함유한 스틱형 젤리
정제수 62 중량부, 당-젤화제 조성물로서 올리고당 7 중량부, 정백당 4 중량부, 로커스트콩검 1 중량부, 한천 1중량부, 주성분으로서 생들기름 20 중량부, 보조성분으로서 오렌지 농축액 2.2 중량부, 자몽 농축액 2.2 중량부, 감미료 2.4 중량부, 트로피칼향 0.2 중량부를 혼합하여 관능평가에 사용하였다.
2-2) 기호도 조사
자사 직원 및 관계 회사 직원 15명을 대상으로 관능평가하였으며, 느끼한 맛, 단맛, 신맛, 쓴맛, 경도 및 탄력성, 그리고 윤활성을 나타내는 식감에 대하여 그 강한 정도에 따라 5점부터 1점까지의 점수를 부여하도록 하였다.
2-3) 결과



총점수

평균점수

느끼한 맛

55

3.6

고소한 맛

61

4.06

단맛

57

3.8

신맛

41

2.73

식감

40

2.66
2-4) 평가
상기 표2의 관능평가 결과에 의하면, 주성분인 생들기름 때문에 느끼한 맛이 3.6으로 비교적 높은 점수로 평가되었지만, 반대로 고소한 맛이 이보다 더 높은 4.06으로 평가되어 실험대상군의 호볼호가 갈리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단맛의 경우에는 당-젤화제 조성물과 감미료에 의해 3.8로 비교적 높게 평가되었고, 신맛의 경우에는 2.73으로 낮게 평가되었으며, 생들기름 특유의 윤활성 때문에 미끈거림에 의한 식감이 2.66으로 낮게 평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관능평가에 참여한 실험군의 대부분에서는 식감이 조금은 낮더라도 건강 증진을 위하여 오메가3계열 고도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한 생들기름 스틱형 젤리를 꾸준히 섭취할 용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3.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생들기름을 함유한 스틱형 젤리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생들기름을 함유한 스틱형 젤리는 도2에 도시된 흐름과 같이 제조된다.
3-1) 재료
생들기름을 함유한 스틱형 젤리를 제조하기 위하여 다음 [표1]에서와 같이 혼합을 위한 원료를 준비하게 된다.

원료명

배합 중량부

정제수

30 ~ 70 (49.80)

세립당

10 ~ 20 (10.98)

오렌지 농축액

5 ~ 10 (7.00)

프락토올리고당

5 ~ 10 (7.00)

결정과당

3 ~ 10 (5.80)

생들기름

3 ~ 10 (5.00)

[향료] 오렌지향

1 ~ 5 (4.00)

망고농축액

1 ~ 5 (4.00)

[향료] 망고향

1 ~ 3 (2.10)

검믹스

1 ~ 3 (1.50)

아라비아검

0.1 ~ 3 (0.70)

카제인나트륨

0.1 ~ 3 (0.70)

구연산

0.1 ~ 3 (0.50)

사과산

0.1 ~ 3 (0.30)

대두레시틴

0.1 ~ 3 (0.30)

정제염

0.1 ~ 1 (0.10)

멀티비타민 믹스

0.01 ~ 0.1 (0.71)

안나토색소

0.01 ~ 0.1 (0.07)

자몽종자추출물

0.01 ~ 0.1 (0.05)
여기서 괄호안의 비율을 가장 바람직한 비율이다.
3-2) 1차 혼합
먼저, 정제수 30~70 중량부, 아라비아검 0.1~3 중량부, 카제인나트륨 0.1~3 중량부, 대두레시틴 0.1~3 증량부를 1차 혼합하게 된다.
3-3) 2차 혼합
상기 1차 혼합된 혼합물에 생들기름 3~10 중량부를 2차 혼합한다.
3-4) 3차 혼합
혼합기에 세립당 10~20 중량부, 오렌지 농축액 5~10 중량부, 프락토올리고당 5~10 중량부, 결정과당 3~10 중량부, 망고농축액 1~5 중량부, 구연산 0.1~3 중량부, 사과산 0.1~3 중량부, 정제염 0.1~1 중량부, 멀티비타민믹스 0.01~0.1 중량부, 안타노색소 0.01~0.1 중량부, 자몽종자추출물 0.01~0.1 중량부를 투입하여 혼합하면서 용해시키게 된다.
3-5) 4차 혼합
완전히 용해된 3차 혼합물과 2차 혼합된 혼합물을 교반기에서 교반하여 4차 혼합한다.
3-6) 5차 혼합
4차 혼합물에 검믹스 1~3 중량부를 투입하여 뭉치지 않도록 5차 혼합한다.
3-7) 6차 혼합
5차 혼합물에 향료인 오렌지향 1~5 중량부와 망고향 1~3 중량부를 넣고 6차 혼합한다.
3-8) 가열 혼합
6차 혼합물을 혼합기에서 90~95℃까지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굳지 않게 교반하면서 살균하게 된다.
3-9) 여과
가열 혼합 및 살균된 6차 혼합물을 여과망을 통하여 여과시킴으로써 불순물과 큰 입자들을 걸러내게 된다.
3-10) 포장
여과된 혼합물을 스틱형 젤리 포장지에 투입하여 정량씩 밀봉 포장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예일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정제수를 70~80℃로 가열하는 단계;
    올리고당에 로커스트콩검, 한천을 섞은 후에 정백당을 혼합하여 당-젤화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정제수에 상기 당-젤화제 조성물을 혼합하여 85~95℃까지 가열 농축하여 농축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농축물에 생들기름인 주성분과, 오렌지 농축액 및 자몽 농축액으로 된 보조성분을 혼합하여 혼합 농축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 농축물에 함수구연산, 비타민C, 구연산삼나트륨, 젖산칼슘 및 효소처리스테비아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감미료를 혼합하여 감미료 혼합 농축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감미료 혼합 농축물을 가열하여 95~98℃가 되었을 때 트로피칼향을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들기름을 함유한 스틱형 젤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 60~70 중량부, 당-젤화제 조성물은 10~15 중량부, 주성분과 보조성분 21~31 중량부, 감미료 0.3~0.5 중량부 및 트로피칼향 0.1~0.2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들기름을 함유한 스틱형 젤리의 제조방법.
  3. 정제수, 아라비아검, 카제인나트륨, 대두레시틴을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1차 혼합물에 생들기름을 혼합하여 2차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혼합기에 세립당, 오렌지 농축액, 프락토올리고당, 결정과당, 망고농축액, 구연산, 사과산, 정제염, 멀티비타민믹스, 안타노색소, 자몽종자추출물을 투입하여 혼합하면서 용해시켜 3차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3차 혼합물과 2차 혼합물을 혼합하여 4차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4차 혼합물에 검믹스를 투입하여 뭉치지 않도록 혼합하여 5차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5차 혼합물에 오렌지향과 망고향을 투입하여 6차 혼합하는 단계;
    상기 6차 혼합물을 90~95℃까지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굳지 않게 교반하면서 살균하는 단계;
    가열 혼합 및 살균된 6차 혼합물을 여과시킨 다음 스틱형 젤리 포장지에 투입하여 포장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들기름을 함유한 스틱형 젤리의 제조방법.
  4. 상기 청구항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들기름을 함유한 스틱형 젤리.
KR1020230134310A 2022-10-11 2023-10-10 생들기름을 함유한 스틱형 젤리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510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345 2022-10-11
KR20220129345 2022-10-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1055A true KR20240051055A (ko) 2024-04-19

Family

ID=90882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4310A KR20240051055A (ko) 2022-10-11 2023-10-10 생들기름을 함유한 스틱형 젤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10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1726B2 (en) Chia seed composition
CN1326477C (zh) 凝胶型饮料组合物
JP5025657B2 (ja) 乳清タンパク質及び脂質を含む組成物、並びにそれらを調製する方法
CN102499301B (zh) 一种速溶姜枣固体奶茶及制备方法
Tohamy et al. Production of functional spreadable processed cheese using Chlorella vulgaris
US20120100257A1 (en) Omega-3 Fatty Acid Enriched Beverages
CN105707292A (zh) 一种适用于婴幼儿的山茶调和油
CA2773793A1 (en) Omega-3 fatty acid enriched shortenings and nut butters
EP2520177B2 (en) Nutritional compositions comprising fruit flakes containing docosahexaenoic acid
CN105580950A (zh) 一种富硒水果瑞士糖
CN102342538B (zh) 一种营养杂粮蛋卷及其制备方法
KR20240051055A (ko) 생들기름을 함유한 스틱형 젤리 및 그 제조방법
CN110897015A (zh) 一种牡丹籽营养配方油
CN104886264A (zh) 一种青少年特膳牡丹籽营养调和油
KR20050007718A (ko) Dha 함유 조성물
US20120231142A1 (en) Omega-3 Fatty Acid Enriched Soups and Sauces
Elgaml et al. EFFECT OF ADDING GRAPE SEED POWDER AND IT’S EXTRACT ON THE COMPOSITION AND PROPERTIES OF PROCESSED CHEESE ANALOGUES
AU2011211461B2 (en) Chia seed composition
JPH02227030A (ja) α―リノレン酸強化油脂性食品
CN103859392A (zh) 一种低脂食品、馅料及制备方法
RU2777906C1 (ru) Специализированный пищевой продукт диетического лечебного питания для больных диабетической нефропатией
RU2428052C1 (ru) Эмульсионный жировой продукт прямого типа
US20110052760A1 (en) Soup or sauc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KR20230145810A (ko) 땅콩 신품종 우도올레-1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CN117530314A (zh) 一种奇亚籽拔丝月饼及其制作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