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0159A -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0159A
KR20240050159A KR1020220129979A KR20220129979A KR20240050159A KR 20240050159 A KR20240050159 A KR 20240050159A KR 1020220129979 A KR1020220129979 A KR 1020220129979A KR 20220129979 A KR20220129979 A KR 20220129979A KR 20240050159 A KR20240050159 A KR 20240050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rail
rail
moving
sliding device
rai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9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순
박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220129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0159A/ko
Publication of KR20240050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01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60N2/073Reinforcement members preventing slide dis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력에 의한 레일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구비된 고정레일과, 시트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레일, 그리고 상기 이동레일에 구비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고정레일과 상기 이동레일이 비틀림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동레일에 보강부를 구비하여 시트에 전방 하중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이동레일과 고정레일에 비틀림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SEAT SLID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력에 의한 레일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탑승자의 탑승 자세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여 주기 위한 것으로, 승객의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백과, 엉덩이와 허벅지 등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쿠션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자동차의 시트는 승차자의 체형을 맞추기 위해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구간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시트레일이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레일은 통상 자동차의 실내 바닥면에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레일(10)과, 시트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레일(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레일(20), 그리고 상기 이동레일(20)에 구비되고 원하는 위치에 시트를 고정하는 로킹유닛(30)이 구비된다.
즉, 시트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로킹유닛(30)이 상기 고정레일(10)에서 분리되어 상기 이동레일(20)이 상기 고정레일(10)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어 시트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시트를 원하는 위치에 이동시킨 후 상기 로킹유닛(30)을 상기 고정레일(10)에 체결하여 시트를 위치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시트에는 안전벨트(40)가 설치되어 있고, 주행하는 차량이 급정차 하거나 충돌 사고가 발생하는 등과 같이 시트에 전방 하중이 인가되면 시트에 착좌한 승객을 보호하도록 상기 안전벨트(40)가 승객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안전벨트(40)에 의해 시트에 하중이 인가되고, 시트에는 전방으로 당겨지는 하중(F)과 측면으로 당겨지는 하중(S)이 인가된다. 이로 인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에 구비된 이동레일(20)도 상기 시트와 함께 하중을 받게 되므로, 상기 전방으로 당겨지는 하중(F)과 측면으로 당겨지는 하중(S)에 의해 상기 이동레일(20)의 일측이 눌려지는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이동레일(20)과 상기 고정레일(10)의 길이 방향으로도 비틀림 하중(C)에 의해 비틀림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이러한 레일의 변형은 상기 로킹유닛(30)이 상기 고정레일(10)에서 이탈되는 문제를 야기하여 시트가 고정되지 않아 더 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365399호(2022.02.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시트에 전방 하중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이동레일과 고정레일에 비틀림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는, 차량에 구비된 고정레일; 시트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레일; 및 상기 이동레일에 구비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고정레일과 상기 이동레일이 비틀림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레일은, 사각 프레임에서 일측이 개방된 형태의 이동레일 몸체와, 상기 이동레일 몸체의 양측벽의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상향 절곡되고 베어링이 설치되는 베어링 설치부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레일은, 사각 프레임에서 일측이 개방된 형태의 고정레일 몸체와, 상기 고정레일 몸체의 양측벽의 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하향 절곡되어 상기 베어링 설치부를 감싸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강부는, 상기 이동레일 몸체에 삽입 체결되고, 상기 이동레일 몸체의 양측벽과 갭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보강부 몸체; 및 상기 보강부 몸체의 단부에서 양측으로 확장 형성되어 상기 이동레일 몸체의 양측벽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레일 몸체의 내주면과 갭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보강 플랜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이동레일에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이동레일 몸체의 양측벽은 상기 보강부 몸체에 지지되어 내측으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이동레일 몸체의 양측벽의 하단부는 상기 보강 플랜지에 지지되어 상기 이동레일이 상기 고정레일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보강부 몸체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레일 몸체의 양측벽 사이에 배치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보강부 몸체는, 상기 이동레일 몸체에 체결되는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단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단부에 상기 보강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 플랜지는, 두께가 상기 이동레일 몸체의 양측벽의 하측과 상기 고정레일 몸체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에 따르면, 이동레일에 보강부를 구비하여 시트에 전방 하중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이동레일과 고정레일에 비틀림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에서 시트에 전방 하중이 인가되는 경우 레일이 변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에서 보강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에서 보강부에 의해 하중이 지지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5의 (a)는 시트에 전방 하중이 인가되는 경우 종래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가 변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의 (b)는 시트에 전방 하중이 인가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가 변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에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강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에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강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상기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에서 보강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에서 보강부에 의해 하중이 지지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시트에 전방 하중이 인가되는 경우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가 변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에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강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강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100)는 차량에 구비된 고정레일(200)과, 시트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레일(20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레일(300), 그리고 상기 이동레일(300)에 구비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고정레일(200)과 상기 이동레일(300)이 비틀림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100)에는 상기 이동레일(300)에 구비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레일(200)에 맞물려 체결되어 상기 이동레일(300)의 이동을 로킹 또는 로킹 해제하는 로킹유닛(600)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로킹유닛(600)의 공지의 기술인 바 상세한 구조 및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이동레일(300)은 사각 프레임에서 일측이 개방된 형태 즉, U자 형태의 이동레일 몸체(310)와, 상기 이동레일 몸체(310)의 양측벽(320)의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상향 절곡되고 베어링(340)이 설치되는 베어링 설치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레일 몸체(310)의 양측벽(320)과 상기 베어링 설치부(330)는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레일(200)은 사각 프레임에서 일측이 개방된 형태 즉, U자 형태의 고정레일 몸체(210)와, 상기 고정레일 몸체(210)의 양측벽(220)의 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하향 절곡되어 상기 베어링 설치부(330)를 감싸는 가이드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레일 몸체(310)의 개방된 측과 상기 고정레일 몸체(210)의 개방된 측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고정레일 몸체(210)의 양측벽(220)은 상기 베어링 설치부(330)의 외측에서 상기 베어링 설치부(33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즉, 상기 베어링 설치부(330)에 설치된 베어링(340)은 상기 고정레일 몸체(210)의 양측벽(220)에 접촉하여 구름 회전하게 된다.
상기 고정레일(200)의 가이드부(230)는 상기 베어링 설치부(330)를 감싸면서 하향 절곡되어 상기 이동레일 몸체(310)의 양측벽(320)과 상기 베어링 설치부(33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230)의 일 영역에는 고정로크(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이동레일(300)에 구비된 로킹유닛(600)과 로킹 또는 로킹 해제되게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부(400)는 상기 이동레일 몸체(310)에 삽입 체결되는 보강부 몸체(410)와, 상기 보강부 몸체(410)의 단부에서 양측으로 확장 형성된 보강 플랜지(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부 몸체(4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레일 몸체(310)의 개방된 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이동레일 몸체(310)의 양측벽(320) 사이에서 상기 이동레일 몸체(310)에 체결된다. 즉, 상기 보강부 몸체(410)는 상기 이동레일 몸체(310)의 양측벽(320)과 갭(G1)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상기 보강 플랜지(420)는 상기 보강부 몸체(410)의 단부에서 양측으로 확장 형성되어 상기 이동레일 몸체(310)의 양측벽(320)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레일 몸체(210)의 내주면과 갭(G2)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보강부(400)는 상기 이동레일(300)과 함께 상기 고정레일(200)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이동레일(300)이 이동 시 상기 보강부(400)가 상기 고정레일(200)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보강 플랜지(420)는 상기 고정레일 몸체(210)의 내주면과 갭(G2)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 플랜지(420)는 두께(T)가 상기 이동레일 몸체(310)의 양측벽(320)의 하측과 상기 고정레일 몸체(210)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D)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이동레일(300)에 외력이 인가되어 비틀림 변형이 발생하여도 상기 보강 플랜지(420)가 상기 이동레일(300)과 상기 고정레일(200) 사이의 틈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레일(300)에 시트가 전방으로 당겨지면서 하측으로 눌려지는 하중(F)과 측면으로 당겨지는 하중(S)인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이동레일 몸체(310)의 양측벽(320)은 상기 보강부 몸체(410)에 지지되어 측면으로 당겨지는 하중(S)에 대한 지지력(S')를 가지게 되어 내측으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레일 몸체(310)의 양측벽(320)의 하단부는 상기 보강 플랜지(420)에 지지되어 하측으로 눌려지는 하중(F)에 대한 지지력(F')을 가지게 되어 상기 이동레일(300)이 상기 고정레일(200)에서 분리되거나 로킹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보강부(400)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이동레일(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 배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보강부(400)가 상기 이동레일(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설치되면 비틀림 하중(C)에 의해 비틀림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레일(300)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가 전방으로 당겨지면서 하측으로 눌려지는 하중(F)과, 측면으로 당겨지는 하중(S)과, 비틀림 하중(C)이 인가되면, 상기 보강부(400)가 구비되지 않은 종래의 시트 슬라이딩 장치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이 발생한다. 하지만, 상기 보강부(400)가 구비된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100)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레일(300)과 상기 고정레일(200)이 상기 보강부(400)에 의해 지지되어 변형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보강부(500)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레일 몸체(310)에 삽입 체결되는 보강부 몸체(510)와, 상기 보강부 몸체(510)의 단부에서 양측으로 확장 형성된 보강 플랜지(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부 몸체(510)는 상기 이동레일 몸체(310)에 체결되는 베이스플레이트(51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1)의 양측단에서 절곡 형성된 한쌍의 지지플레이트(512)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보강부 몸체(510)는 ㄷ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1)는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레일 몸체(3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이동레일(300)에 체결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512)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1)의 양측단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단부에는 상기 이동레일 몸체(310)의 양측벽(320)의 하측으로 확장 형성된 상기 보강 플랜지(520)가 형성된다. 이러한 한쌍의 상기 지지플레이트(512)는 상기 이동레일(30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플레이트(512)는 상기 이동레일 몸체(310)의 양측벽(320)과 갭(G1)을 가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보강 플랜지(520)는 상기 고정레일 몸체(210)의 내주면과 갭(G2)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보강 플랜지(520)는 두께(T)가 상기 이동레일 몸체(310)의 양측벽(320)의 하측과 상기 고정레일 몸체(210)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D)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보강부 몸체(510)는 플레이트를 절곡시켜서 제작하므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1)의 길이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를 절곡시켜 제작되는 보강부 몸체(510)는 사각 기둥 형태의 보강부 몸체(410)와 비교하여 길이 방향으로 크기의 제약 없이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ㄷ자 형태의 보강부(500)는 상기 이동레일(300)에 하나만 설치하여도 비틀림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ㄷ자 형태의 보강부(500)를 복수로 설치하는 경우에도, 사각 기둥 형태의 보강부(400)보다 적은 수량을 설치하여 비틀림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200 : 고정레일
210 : 고정레일 몸체 220 : 측벽
230 : 가이드부 300 : 이동레일
310 : 이동레일 몸체 320 : 측벽
330 : 베어링 설치부 340 : 베어링
400, 500 : 보강부 410, 510 : 보강부 몸체
420, 520 : 보강 플랜지 511 : 베이스플레이트
512 : 지지플레이트 600 : 락킹부

Claims (7)

  1. 차체에 구비된 고정레일;
    시트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레일; 및
    상기 이동레일에 구비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고정레일과 상기 이동레일이 비틀림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은, 사각 프레임에서 일측이 개방된 형태의 이동레일 몸체와, 상기 이동레일 몸체의 양측벽의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상향 절곡되고 베어링이 설치되는 베어링 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레일은, 사각 프레임에서 일측이 개방된 형태의 고정레일 몸체와, 상기 고정레일 몸체의 양측벽의 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하향 절곡되어 상기 베어링 설치부를 감싸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이동레일 몸체에 삽입 체결되고, 상기 이동레일 몸체의 양측벽과 갭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보강부 몸체; 및
    상기 보강부 몸체의 단부에서 양측으로 확장 형성되어 상기 이동레일 몸체의 양측벽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레일 몸체의 내주면과 갭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보강 플랜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에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이동레일 몸체의 양측벽은 상기 보강부 몸체에 지지되어 내측으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이동레일 몸체의 양측벽의 하단부는 상기 보강 플랜지에 지지되어 상기 이동레일이 상기 고정레일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 몸체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레일 몸체의 양측벽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 몸체는,
    상기 이동레일 몸체에 체결되는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단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단부에 상기 보강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랜지는,
    두께가 상기 이동레일 몸체의 양측벽의 하측과 상기 고정레일 몸체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KR1020220129979A 2022-10-11 2022-10-11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KR202400501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979A KR20240050159A (ko) 2022-10-11 2022-10-11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979A KR20240050159A (ko) 2022-10-11 2022-10-11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0159A true KR20240050159A (ko) 2024-04-18

Family

ID=90844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9979A KR20240050159A (ko) 2022-10-11 2022-10-11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015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399B1 (ko) 2020-08-03 2022-02-21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레일의 회전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399B1 (ko) 2020-08-03 2022-02-21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레일의 회전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54764B2 (ja)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装置
WO2014027628A1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8708299B2 (en) Slide device for vehicle seat
US20120126592A1 (en) Base For A Person's Seat
EP2767433B1 (en) Vehicle seat sliding apparatus
JP3672861B2 (ja) 乗物用シート案内装置
EP2292462B1 (en) Slide Structure of Vehicle Seat
JP2742439B2 (ja) 車両座席用安全スライド
KR20240050159A (ko)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CN113710576B (zh) 设置有安装在可变形部分上的齿条的飞行器座椅
KR102071504B1 (ko)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KR102540479B1 (ko) 시트벨트용 센터 필러 트림 어셈블리
KR20240050889A (ko)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KR20200037211A (ko) 차량용 시트 구조
US20240092230A1 (en) Vehicle seat sliding device
JP7460954B2 (ja) 車両用サイドドア構造
EP4005867A1 (en) Seat slide adjuster
JP4259242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16150710A (ja) スライドレール
JP2016060274A (ja) スライドレール
KR0138800Y1 (ko) 자동차용 시이트 트랙
JP2016094101A (ja) スライドレール
KR20230172307A (ko) 시트레일 로킹장치
JP2023123175A (ja) 車両構造
JP2006001398A (ja) 自動車用ドア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