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9063A - 착탈 가능한 착용 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착탈 가능한 착용 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9063A
KR20240049063A KR1020220140055A KR20220140055A KR20240049063A KR 20240049063 A KR20240049063 A KR 20240049063A KR 1020220140055 A KR1020220140055 A KR 1020220140055A KR 20220140055 A KR20220140055 A KR 20220140055A KR 20240049063 A KR20240049063 A KR 20240049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d
cover
electronic device
bind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0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1102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075954A1/ko
Publication of KR20240049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90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4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fastening to a wrist-watch or the like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04B37/1486Arrangements for fixing to a bracelet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4G99/006Electronic time-pieces using a microcomputer, e.g. for multi-function clo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 부재는, 양단(both ends) 중 적어도 일단에서 출몰 가능하게 배치된 결속 팁(engaging tip)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 팁을 이용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본체에 결속되도록 구성된 지지 봉, 상기 지지 봉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게 결합된 커버 부재, 상기 지지 봉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상태로 상기 지지 봉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지지 봉과 상기 커버 부재 사이에 배치된 레버 몸체, 및 상기 커버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레버 몸체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가이드 홀로서, 상기 레버 몸체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된 회전 구간과, 상기 회전 구간의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회전 구간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선형 이동 구간을 포함하는 상기 제1 가이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버 몸체는, 상기 회전 구간의 안내를 받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지지 봉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형 이동 구간의 안내를 받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선형 이동함으로써 상기 결속 팁을 상기 지지 봉의 내부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착탈 가능한 착용 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ATTACHABLE/DETACHABLE WEARING MEMBER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개시의 실시예(들)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착탈 가능한 착용 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자 장치라 함은, 가전제품으로부터, 전자 수첩,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이동통신 단말기, 태블릿 PC, 영상/음향 장치, 데스크톱/랩톱 컴퓨터 및/또는 차량용 내비게이션과 같이, 탑재된 프로그램에 따라 지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집적도가 높아지고, 초고속, 대용량 무선 통신이 보편화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이 소형화된 전자 장치 하나에 다양한 기능이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게임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기능, 음악/동영상 재생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 모바일 뱅킹을 위한 통신 및 보안 기능, 일정 관리나 전자 지갑의 기능이 하나의 전자 장치에 집약되고 있다.
최근에는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상용화되기에 이르렀으며, 이동통신 단말기나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일상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사용자 신체에 접촉한 상태로 상당 시간을 지속할 수 있으므로, 의료 또는 건강 관리에 있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탑재된 센서에 따라,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광용적맥파(photoplethysmograph: PPG), 수면구간, 피부 온도, 심박 및/또는 심전도와 같은 생체 정보를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된 생체 정보는 전자 장치에 저장되거나 실시간으로 의료 기관으로 전송되어 사용자의 건강 관리에 활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는, 바(bar) 형상, 상자(box) 형상 또는 평판(flat plate)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사용자 신체 굴곡에 대응하면서 착용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다수의 세그먼트(segment)가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목 착용형 전자 장치는 각종 회로 장치를 수용하여 본체 역할을 하는 하우징과 적어도 하나의 착용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안면 착용형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양안에 대응하는 렌즈(들)과 적어도 하나의 다리(temple bow(s))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정보는 본 문서의 개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하는 배경 기술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 중 어느 것도 본 문서의 개시와 관련하여 종래 기술(prior art)로서 적용될 수 있는지에 관해서는 어떠한 주장이나 결정이 제기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 부재는, 양단(both ends) 중 적어도 일단에서 출몰 가능하게 배치된 결속 팁(engaging tip)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 팁을 이용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본체에 결속되도록 구성된 지지 봉, 상기 지지 봉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게 결합된 커버 부재, 상기 지지 봉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상태로 상기 지지 봉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지지 봉과 상기 커버 부재 사이에 배치된 레버 몸체, 및 상기 커버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레버 몸체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가이드 홀로서, 상기 레버 몸체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된 회전 구간과, 상기 회전 구간의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회전 구간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선형 이동 구간을 포함하는 상기 제1 가이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버 몸체는, 상기 회전 구간의 안내를 받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지지 봉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형 이동 구간의 안내를 받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선형 이동함으로써 상기 결속 팁을 상기 지지 봉의 내부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사용자 신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착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착용 부재는, 양단(both ends) 중 적어도 일단에서 출몰 가능하게 배치된 결속 팁(engaging tip)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 팁을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에 결속되도록 구성된 지지 봉, 상기 지지 봉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게 결합된 커버 부재, 상기 지지 봉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상태로 상기 지지 봉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지지 봉과 상기 커버 부재 사이에 배치된 레버 몸체, 및 상기 커버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레버 몸체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가이드 홀로서, 상기 레버 몸체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된 회전 구간과, 상기 회전 구간의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회전 구간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선형 이동 구간을 포함하는 상기 제1 가이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버 몸체는, 상기 회전 구간의 안내를 받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지지 봉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형 이동 구간의 안내를 받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선형 이동함으로써 상기 결속 팁을 상기 지지 봉의 내부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해 상술한 측면 또는 다른 측면, 구성 및/또는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일부분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 부재 중 링크 구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 부재 중 링크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링크 구조 중 커버 부재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 부재 중 밴드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과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링크 구조의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와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링크 구조의 잠금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3 내지 도 16의 링크 구조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링크 구조가 밴드 부재와 결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8의 링크 구조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밴드 부재가 도 9의 링크 구조와 결합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 부재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본체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의 전반에서, 유사한 부품, 구성 및/또는 구조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신체에 착용한 상태로 휴대 또는 사용될 수 있을 정도로 상당한 발전이 있었지만,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감과 경량화에 대한 사용자 요구가 더욱 증가하고 있다. 또한, 신체에 착용한 상태로 휴대 또는 사용되는 만큼,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기능이나 성능 외에도, 사용자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장신구로서의 활용성에 대해서도 사용자 요구가 증가할 수 있다. 손목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서 본체와 착용 부재는 착탈 가능한(attachable/detachable) 구조를 가짐으로써, 손상된 착용 부재를 교체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장신구로 활용함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원하는 구조, 형상 및/또는 색상의 착용 부재를 본체에 장착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착용 부재를 교체할 수 있는 구조에서는, 본체와 착용 부재 사이에 안정적인 결합 구조가 구현되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와 착용 부재 사이의 결합 구조가 안정되고 견고할수록, 사용자가 착용 부재를 교체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상술한 문제점 및/또는 단점을 적어도 해소하고 후술하는 장점을 적어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착탈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개성 표현에 유용한 착용 부재 및/또는 그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착탈이 용이하면서 안정된 결합 구조를 가진 착용 부재 및/또는 그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 관한 다음 설명은 청구항 및 이에 상응하는 내용에 의해 정의된 공개의 다양한 구현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에서 개시된 구체적인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한 다양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을 포함하고 있지만 이는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인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일반 기술자는 본 문서에 기술된 다양한 구현의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공개의 범위와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음을 자명하다. 또한 명확성과 간결성을 위해 잘 알려진 기능 및 구성의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다음 설명과 청구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참고 문헌적 의미에 국한되지 않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를 명확하고 일관되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기술분야에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시의 다양한 구현에 대한 다음의 설명이 권리범위 및 이에 준하는 것으로 규정하는 공시를 제한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 설명을 위한 목적으로만 제공된다는 것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문맥이 다르게 명확하게 지시하지 않는 한, "a", "an", 그리고 "the"와 같은 단수 형식은 복수의 의미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구성 요소 표면"이라 함은 구성 요소의 표면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3의 직교 좌표계 중 'X 축 방향'은 전자 장치(100) 또는 하우징(110)의 폭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Y 축 방향'은 전자 장치(100) 또는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고, 'Z 축 방향'은 전자 장치(100) 또는 하우징(110)의 두께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 또는 하우징(110)의 전면(예: 도 1의 제1 면(110A))이 향하는 방향은 '제1 방향' 또는 '+Z 방향'이라 정의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 또는 하우징(110)의 후면(예: 도 2의 제2 면(110B))이 향하는 방향은 '제2 방향' 또는 '-Z 방향'이라 정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는, 제1 면(또는 전면)(110A), 제2 면(또는 후면)(110B), 및 제1 면(110A) 및 제2 면(110B)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110C)을 포함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되고 상기 전자 장치(100)를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 손목, 발목 등)에 탈착 가능하게 결착하도록 구성된 착용 부재(150, 1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는 손목 시계의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미도시)에서는, 하우징은, 도 1의 제1 면(110A), 도 2의 제2 면(110B) 및 측면(110C)들 중 일부를 형성하는 구조를 지칭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면(110A)은 적어도 일부분이 실질적으로 투명한 전면 플레이트(101)(예: 다양한 코팅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글라스 플레이트, 또는 폴리머 플레이트)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면(110B)은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후면 플레이트(107)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가 제2 면(110B)에 배치된 센서 모듈(111)을 포함할 때, 후면 플레이트(107)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면 플레이트(107)는, 예를 들어, 코팅 또는 착색된 유리, 세라믹, 폴리머, 금속(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마그네슘), 또는 상기 물질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110C)은, 전면 플레이트(101) 및 후면 플레이트(107)와 결합하며, 금속 및/또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측면 베젤 구조(또는 “측면 부재”)(106)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후면 플레이트(107) 및 측면 베젤 구조(106)는 일체로 형성되고 동일한 물질(예: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용 부재(150, 160)는 다양한 재질 및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직조물, 가죽, 러버, 우레탄, 금속, 세라믹, 또는 상기 물질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에 의하여 일체형 및 복수의 단위 링크가 서로 유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220, 도 3 참조), 오디오 모듈(105, 108), 센서 모듈(111), 키 입력 장치(102, 103, 104) 및 커넥터 홀(109)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0)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키 입력 장치(102, 103, 104), 커넥터 홀(109), 또는 센서 모듈(111))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예: 도 3의 디스플레이(220))는, 예를 들어, 전면 플레이트(101)의 상당 부분을 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20)의 형태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101)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일 수 있으며,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220)는, 터치 감지 회로, 터치의 세기(압력)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및/또는 지문 센서와 결합되거나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05, 108)은, 마이크 홀(105) 및 스피커 홀(108)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 홀(105)은 외부의 소리를 획득하기 위한 마이크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는 소리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마이크가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 홀(108)은, 외부 스피커 및 통화용 리시버로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스피커 홀 없이 스피커가 포함될 수 있다(예: 피에조 스피커).
센서 모듈(111)은, 전자 장치(100)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11)은,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110)의 제2 면(110B)에 배치된 생체 센서 모듈(111)(예: HRM 센서)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 모듈, 예를 들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키 입력 장치(102, 103, 104)는, 하우징(110)의 제1 면(110A)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휠 키(102), 및/또는 하우징(110)의 측면(110C)에 배치된 사이드 키 버튼(103, 104)을 포함할 수 있다. 휠 키(102)는 전면 플레이트(101)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0)는 상기 언급된 키 입력 장치(102, 103, 104)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포함되지 않은 키 입력 장치(102, 103, 104)는 디스플레이(220) 상에 소프트 키 등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커넥터 홀(109)은, 외부 전자 장치와 전력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예를 들어, USB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고, 외부 전자 장치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다른 커넥터 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면, 커넥터 홀(109)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커넥터 홀에 대한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커넥터 커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착용 부재(150, 160)는 락킹 부재(151, 161)를 이용하여 하우징(1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착될 수 있다. 락킹 부재(151, 161)는 예를 들면, 포고 핀(pogo pin)과 같은 결속용 부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착용 부재(150, 160)에 형성된 돌기 또는 홈(protrusion(s) or recess(es))으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 부재(150, 160)는 하우징(110)에 형성된 홈 또는 돌기에 맞물리는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착용 부재(150, 160)는 고정 부재(152), 고정 부재 체결 홀(153), 밴드 가이드 부재(154), 밴드 고정 고리(155)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152)는 하우징(110)과 착용 부재(150, 160)를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 손목, 발목 등)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 부재 체결 홀(153)은 고정 부재(152)에 대응하여 하우징(110)과 착용 부재(150, 160)를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밴드 가이드 부재(154)는 고정 부재(152)가 고정 부재 체결 홀(153)과 체결 시 고정 부재(152)의 움직임 범위를 제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착용 부재(150, 160)가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밀착하여 결착되도록 할 수 있다. 밴드 고정 고리(155)는 고정 부재(152)와 고정 부재 체결 홀(153)이 체결된 상태에서, 착용 부재(150, 160)의 움직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측면 베젤 구조(210), 휠 키(230), 전면 플레이트(201)(예: 도 1의 전면 플레이트(101)), 디스플레이(220), 제1 안테나(250), 제2 안테나(예: 제2 회로 기판(255)에 포함된 안테나), 지지 부재(260)(예: 브라켓), 배터리(270), 인쇄 회로 기판(280), 실링 부재(290), 후면 플레이트(293), 및 착용 부재(295, 297)(예: 도 1 또는 도 2의 착용 부재(150, 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 또는 도 2의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지지 부재(260)는, 전자 장치(200) 내부에 배치되어 측면 베젤 구조(210)와 연결될 수 있거나, 상기 측면 베젤 구조(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260)는, 예를 들어, 금속 재질 및/또는 비금속(예: 폴리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260)는, 일면에 디스플레이(220)가 결합되고 타면에 인쇄 회로 기판(280)이 결합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280)에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또는 인터페이스가 장착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GPU(graphic processing unit),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센서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및/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를 외부 전자 장치와 전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USB 커넥터, SD 카드/MMC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270)는, 전자 장치(2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또는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270)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280)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270)는 전자 장치(200) 내부에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전자 장치(200)와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안테나(250)는 디스플레이(220)와 지지 부재(2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안테나(250)는,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 무선 충전 안테나, 및/또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테나(250)는, 예를 들어, 외부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하거나, 충전에 필요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 할 수 있고, 근거리 통신 신호 또는 결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자기-기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측면 베젤 구조(210) 및/또는 상기 지지 부재(260)의 일부 또는 그 조합에 의하여 안테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회로 기판(255)은 회로 기판(280)과 후면 플레이트(29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회로 기판(255)은 안테나,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 무선 충전 안테나, 및/또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로 기판(255)은, 예를 들어, 외부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하거나, 충전에 필요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 할 수 있고, 근거리 통신 신호 또는 결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자기-기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측면 베젤 구조(210) 및/또는 상기 후면 플레이트(293)의 일부 또는 그 조합에 의하여 안테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예: 도 1 및 도 2의 전자 장치(100))가 센서 모듈(예: 도 2의 센서 모듈(111))을 포함할 때, 제2 회로 기판(255)에 배치된 센서 회로 또는 제2 회로 기판(255)과는 별도의 센서 소자(예: 광전 변환 소자(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나 전극 패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111)로서 제공되는 전자 부품이 회로 기판(280)과 후면 플레이트(29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실링 부재(290)는 측면 베젤 구조(210)와 후면 플레이트(29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실링 부재(290)는, 외부로부터 측면 베젤 구조(210)와 후면 플레이트(293)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으로 유입되는 습기와 이물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예: 도 1 내지 도 3의 전자 장치(100, 200))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의 일부분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 및/또는 그의 착용 부재(402)(예: 도 1 내지 도 3의 착용 부재(150, 160, 295, 297))는, 하우징(40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링크 구조(403)(예: 도 2의 락킹 부재(151, 161))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 구조(403)는 커버 부재(431)의 양 측단에 각각 배치된 결속 팁(engaging tip)(433b)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결속 팁(433b)들에 의해 하우징(401)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링크 구조(403)는 커버 부재(431)에 수용된 지지 봉(433; 도 9 참조)을 포함하며, 지지 봉(433)은 커버 부재(431)의 하부 커버(431a)와 상부 커버(43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결속 팁(433b)(들)은 실질적으로 지지 봉(433)의 일부로서 제공되며, 하부 커버(431a)와 상부 커버(431b)가 지지 봉(433)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결합함으로써 결속 팁(433b)(들)이 커버 부재(431)의 측단에 돌출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속 팁(433b)들 중 적어도 하나는 링크 구조(403)의 측단(예: 도 9의 지지 튜브(433a)의 양단 중 어느 하나)에서 출몰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결속 팁(433b)이 링크 구조(403)의 내부로 수용됨으로써 하우징(401)과 링크 구조(403)의 잠금 상태(또는 결속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링크 구조(403)의 구성에 관해서는 도 9의 실시예를 통해 좀더 살펴보게 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의 본체, 예를 들어, 하우징(401)은, 측면(예: 도 1 내지 도 3의 측면 베젤 구조(106, 210))에서 서로 마주보게 연장된(또는 돌출된) 적어도 한 쌍의 결속 돌기(41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속 돌기(411)들은 하우징(401)의 외주면으로부터 착용 부재(402)(들)(예: 링크 구조(403))의 폭에 상응하는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으며, 링크 구조(403) 또는 착용 부재(402)는 실질적으로 결속 돌기(411)들 사이에서 하우징(401)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속 돌기(411)들은 서로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결속 홀(engaging hole)(411a)을 포함하며, 결속 팁(433b)이 결속 홀(411a)에 맞물림으로써 링크 구조(403)가 하우징(401)에 실질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400)가 한 쌍의 착용 부재(402)를 포함할 때, 도시되지 않은 다른 한 쌍의 결속 돌기가 도 4에 도시된 결속 돌기(411)들과 대칭을 이루는 위치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 및/또는 착용 부재(402)는 링크 구조(403)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밴드 부재(4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밴드 부재(404)는 일단부가 링크 구조(403)의 적어도 일부(예: 커버 부재(431))를 덮도록 결합되며, 링크 구조(403)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하우징(40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밴드 부재(404)는 하우징(401)의 전면(예: 도 1의 제1 면(110A)) 일측에서, 실질적으로 링크 구조(403)를 은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밴드 부재(40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자의 신체 굴곡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을 정도로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를 착용함에 있어, 실질적으로 밴드 부재(404)가 사용자 신체를 감싸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밴드 부재(404)(예: 착용 밴드(404b))는 서로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또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단위 링크를 포함하는 체인 구조일 수 있으며, 사용자 신체의 굴곡에 따라 복수의 단위 링크가 서로에 대하여 이동 또는 회동할 수 있다.
밴드 부재(404)의 한 예에 관해서는 도 12를 더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 부재 중 밴드 부재(404)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를 더 참조하면, 밴드 부재(404)는 결속 플레이트(404a)와 착용 밴드(404b)를 포함할 수 있다. 결속 플레이트(404a)는, 예를 들면, 밴드 부재(404)로 하여금 링크 구조(403)에 결합 또는 결속되도록 하는 기계적인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속 플레이트(404a)에 제공된 후크(441)가 링크 구조(403) 내에서 고정됨으로써 밴드 부재(404)는 링크 구조(403)와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후크(441)의 한 측면에는 결속 홈(engaging recess)(443)이 형성될 수 있다. 후술되겠지만, 레버 몸체(435)가 커버 부재(431)의 내부에서 회전 또는 선회함에 따라 레버 몸체(435)의 일부(예: 스토퍼 돌기(435b))가 결속 홈(443)과 맞물려 결속 플레이트(404a)를 구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 돌기(435b)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속 홈(443)에 수용되거나, 및/또는 결속 홈(443)과 맞물림으로써, 밴드 부재(404)를 링크 구조(403)에 구속시킬 수 있다. 도 8에서 화살표 'BL'은 링크 구조(403)가 결속 플레이트(404a)를 고정(또는 구속)한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도 9의 레버 몸체(435)(예: 가이드 돌기(435a))가 커버 부재(431) 상에서 회전 또는 이동한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링크 구조(403)와 결속 플레이트(404a)의 구속 상태에 관해서는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다시 살펴보게 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 밴드(404b)는 결속 플레이트(404a)보다 유연한 재질로 제작됨으로써, 사용자 신체의 굴곡에 상응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밴드 부재(404)가 복수의 단위 링크를 포함할 때, 결속 플레이트(404a)는 밴드 부재(404) 또는 착용 부재(402)의 단위 링크들 중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착용 밴드(404b)는, 결속 플레이트(404a)의 외측면을 실질적으로 감싸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섬유 또는 가죽과 같은 재질로 제작될 때, 착용 밴드(404b)는 결속 플레이트(404a)의 외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될 때,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착용 밴드(404b)가 성형됨과 동시에 결속 플레이트(404a)의 외측면을 감싸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착용 밴드(404b)가 복수의 단위 링크를 포함할 때, 단위 링크들 중 어느 하나가 결속 플레이트(404a)의 일측 가장자리에 이동 가능하게 또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밴드 부재(404)의 외관에 따라 착용 밴드(404b)의 재질이나 구조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착용 밴드(404b)의 재질 또는 구조에 따라 결속 플레이트(404a)와의 결합 구조가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도 9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착용 부재(402)에 관한 실시예가 개시될 수 있다. 착용 부재(402)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도 1 내지 도 4의 전자 장치(100, 200, 400)가 참조될 수 있으며, 선행 실시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구성에 관해서는 도면의 참조번호가 동일하게 부여되거나 생략되고, 그 상세한 설명 또한 생략될 수 있다. 도 9에서, 직교 좌표계가 예시되었으나 착용 부재(402) 및/또는 링크 구조(403)에 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본 개시의 실시예를 한정하지 않음에 유의한다. 도 9의 직교 좌표계는 실제 제작될 하우징(예: 도 3의 측면 베젤 구조(210) 또는 도 4의 하우징(401))의 형상에 따라, 또는, 하우징(401)에 대한 착용 부재(402)의 배치에 따라 도 3의 직교 좌표계와는 다를 수 있음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도 9의 링크 구조(403)가 하우징(401)에 결합된 상태에서, 도 9의 Z축은 도 3의 Z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고, 도 9의 X축은 도 3의 X축과는 반대 방향이거나 도 3의 X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 부재 중 링크 구조(403)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착용 부재 중 링크 구조(403)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링크 구조(403) 중 커버 부재(431)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링크 구조(403)는, 커버 부재(431), 지지 봉(433) 및/또는 레버 몸체(43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링크 구조(403)는 레버 커버(437)를 더 포함함으로써, 레버 몸체(435)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레버 몸체(435)는 커버 부재(431)에 대하여 일 방향(예: X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함으로써, 하우징(401)에 대한 지지 봉(433) 또는 링크 구조(403)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라 함은, 예를 들어, 지지 봉(433)(예: 결속 팁(433b))이 하우징(401)(예: 도 4의 결속 홀(411a))에 결속되지 않아 링크 구조(403)가 하우징(40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레버 몸체(435)는 지지 봉(433)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밴드 부재(404)를 링크 구조(403)에 결합된 상태로 구속하거나, 구속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구속 상태를 해제한다"라 함은, 예를 들어, 레버 몸체(435)의 스토퍼 돌기(435b)가 후크(441)와 결속되지 않아 밴드 부재(404)가 링크 구조(403)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레버 몸체(435)의 동작에 관해서는 도 13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다시 살펴보게 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부재(431)는 Z축 방향에서 서로 마주보게 결합된 하부 커버(431a)와 상부 커버(431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커버(431a)와 상부 커버(431b) 사이에 지지 봉(433) 및/또는 레버 몸체(435)의 적어도 일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착용 부재(402), 링크 구조(403) 및/또는 커버 부재(431)는 하부 커버(431a)(또는 상부 커버(431b))에 제공된 결속 리브(439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속 리브(439a)는 예를 들면, 커버 부재(431)의 양단에 각각 제공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결속 리브(439a)가 하부 커버(431b)에 제공된 때, 상부 커버(431a)는 양 측단 중 적어도 하나는 결속 리브(439a)와 마주본 상태로 하부 커버(431b)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봉(433)은 양 단부(both end portions)가 결속 리브(439a)들 중 하나에 결합된 상태로 하부 커버(431a)와 상부 커버(43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속 리브(439a)는 하부 커버(431a)와 상부 커버(431b) 사이의 공간에 지지 봉(433)을 고정하는 구조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속 리브(439a)는 X축 방향에서 관통하게 형성된 고정 홀(439b)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봉(433)의 양단이 고정 홀(439b)에 수용됨으로써 지지 봉(433)이 결속 리브(439a)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 부재(402), 링크 구조(403) 및/또는 커버 부재(431)는 제1 가이드 홀(439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 홀(439c)은 하부 커버(431a)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으로 관통하게 형성된 홀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가이드 홀(439c)은 결속 리브(439a)들 사이의 영역에서 복수(예: 한 쌍)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가이드 홀(439c)은 레버 몸체(435)의 일부(예: 가이드 돌기(435a))를 수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가이드 홀(439c)은 X축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궤적의 회전 구간(RS)과, 회전 구간(RS)에 연결되며 회전 구간(RS)에 교차하는 방향(예: X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선형 이동 구간(LS)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형 이동 구간(LS)은 회전 구간(RS)의 제1 부분(NS)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회전 구간(RS)이 선형 이동 구간(LS)의 제1 부분(NS)으로부터 연장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가이드 홀(439c)의 형상은 레버 몸체(435)의 선형 이동 또는 회전을 안내할 수 있다. 후술되겠지만, 결속 팁(433b)을 지지 봉(433) 또는 링크 구조(403)의 내측으로 수용하는 동작이 레버 몸체(435)의 선형 이동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선형 이동 구간(LS)은 레버 몸체(435)의 선형 이동을 허용하는 공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형 이동 구간(LS)은 회전 구간(RS)의 내벽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된 홈 또는 노치(notch)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선형 이동 구간"으로 칭하였지만, 해당 구간에 의해 구현되는 레버 몸체(435)의 선형 이동은 대략 1~3mm 정도의 범위로서 선형 이동 구간(LS)은 제1 가이드 홀(439c)(예: 제1 부분(NS))의 내벽 중 일부에 형성된 회피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 구간(RS)은 선형 이동 구간(LS)의 내벽에서 X축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방향(예: 도 19의 화살표 BL로 지시된 방향)으로 연장된 홈 또는 노치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의 편의를 위해 "회전 구간"으로 칭하였지만, 해당 구간에 의해 구현되는 레버 몸체(435)의 회전은 대략 10~30도 각도 정도의 범위로서 회전 구간(RS)은 제1 가이드 홀(439c)의 내벽 중 일부에 형성된 회피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부분(NS)이 다각형(예: 사각형) 형상의 홀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다각형 형상 홀의 내벽 중 일부가 X축 방향으로 연장된 회피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제1 부분(NS)과 함께 선형 이동 구간(LS)이 구현되고, 다각형 형상 홀의 내벽 중 일부가 X축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방향으로 연장된 회피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제1 부분(NS)과 함께 회전 구간(RS)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커버(431b)는 지지 봉(433)의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하부 커버(431a)와 마주보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커버(431a)와 마주보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 커버(431b)의 일부분은 결속 리브(439a)들 사이의 영역(또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커버(431b)의 일부분이 결속 리브(439a)들 사이의 영역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부 커버(431a)의 내측면이 지지 봉(433)(예: 지지 튜브(433a))의 외주면과 인접하거나 지지 봉(433)의 외주면과 실질적으로 접촉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착용 부재(402), 링크 구조(403) 및/또는 커버 부재(431)는 상부 커버(431b)에 형성된 제2 가이드 홀(439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홀(439d)은, 예를 들면, X축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궤적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가이드 홀(439d)는 결속 리브(439a)들 사이의 영역에서 복수(예: 한 쌍)로 제공될 수 있다. 후술되겠지만, 제2 가이드 홀(439d)은 밴드 부재(404)의 일부분(예: 도 12의 후크(441))을 수용할 수 있으며, 레버 몸체(435)가 회전 구간(RS)을 이동함에 따라 레버 몸체(435)의 일부분(예: 스토퍼 돌기(435b))이 제2 가이드 홀(439d) 상에서 밴드 부재(404)(예: 후크(441))와 결속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봉(433)은 포고 핀(pogo pin) 구조를 가진 결속용 부품으로서, 지지 튜브(433a)와, 지지 튜브(433a)의 양단에 제공된 결속 팁(433b)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결속 팁(433b)들 중 적어도 하나는 지지 봉(433)의 양단, 예를 들어, 지지 튜브(433a)의 양단에서 출몰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시되지는 않지만, 지지 튜브(433a)의 내부에는 탄성 부재(예: 코일 스프링)가 제공되어 결속 팁(433b)(들)을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결속 팁(433b)(들)은 지지 튜브(433a)의 양단에서 돌출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봉(433)은 결속 팁(433b)들 중 출몰 가능하게 배치된 결속 팁에 연결된 조절 손잡이(433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절 손잡이(433c)는 예를 들면, 지지 튜브(433a)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며, 결속 팁(433b)들 중 하나와 함께 지지 튜브(433a) 상에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조절 손잡이(433c)를 이용하여 결속 팁(433b)을 지지 튜브(433a)의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속 팁(433b)들은 하우징(401)의 결속 홀(예: 도 4의 결속 홀(411a))에 결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봉(예: 결속 팁(433b))이 결속 홀(411a)과 맞물림으로써, 착용 부재(402) 및/또는 링크 구조(403)가 하우징(401)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401)의 결속 돌기(411)들 사이에 지지 봉(433)이 위치된 상태에서는 대체로 결속 팁(433b)(들)은 지지 튜브(433a)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결속 돌기(411)들 사이에서 결속 팁(433b)(들)은 결속 홀(411a)들 중 어느 하나에 정렬됨으로써 지지 튜브(433a)에서 돌출되어 결속 홀(411a)과 맞물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튜브(433a) 내부에 탄성 부재가 배치됨으로써 결속 팁(433b)(들)이 결속 홀(411a)들 중 하나에 정렬된 때 지지 튜브(433a)에서 돌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절 손잡이(433c)를 이용하여 결속 팁(433b)(들)을 지지 튜브(433a)의 내부로 수용한 상태에서 착용 부재(402), 링크 구조(403) 및/또는 지지 봉(433)을 하우징(40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의 실시예(들)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조절 손잡이(433c)는 실질적으로 레버 몸체(435)에 수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후술되는 레버 몸체(435) 또는 레버 커버(437)를 이용하여 조절 손잡이를 조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버 몸체(435)는 지지 봉(433)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상태로 지지 봉(433)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레버 몸체(435)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 봉(433)과 커버 부재(431)(예: 하부 커버(431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버 몸체(435)는 곡면 형태의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으며, 하부 커버(431a)의 내측면 또는 제1 가이드 홀(439c)의 회전 구간(RS)의 안내를 받아 지지 봉(43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착용 부재(402), 링크 구조(403) 및/또는 레버 몸체(435)는, 제1 가이드 홀(439c)에 상응하게 배치된 가이드 돌기(435a)와, 제2 가이드 홀(439d)에 상응하게 배치된 스토퍼 돌기(435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돌기(435a)는 제1 가이드 홀(439c)에 수용되어 제1 가이드 홀(439c)(예: 선형 이동 구간(LS) 또는 회전 구간(RS))의 안내를 받으면서 선형 이동하거나 지지 봉(433)의 주위를 선회할 수 있다. 스토퍼 돌기(435b)는 제2 가이드 홀(439d)에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가이드 돌기(435a)와 함께 상부 커버(431b)의 내측에서 선형 이동하거나 지지 봉(433)의 주위를 선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돌기(435a)는 선형 이동 구간(LS)의 안내를 받아, 및/또는 회전 구간(RS)의 안내를 받아 제1 가이드 홀(439c)의 제1 부분(NS)으로부터 선형 이동하거나 지지 봉(433) 주위를 선회할 수 있다. 선형 이동에 의해 제1 부분(NS)으로부터 이탈한 상태에서 가이드 돌기(435a)의 선회 동작이 제한될 수 있으며, 선회 동작에 의해 제1 부분(NS)으로부터 이탈한 상태에서는 가이드 돌기(435a)의 선형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시되지는 않지만, 가이드 돌기(435a)는 조절 손잡이(433c)를 수용하는 수용 홀을 제공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435a)가 레버 몸체(435)의 외측 곡면에 배치된 구조에서, 수용 홀은 레버 몸체(435)의 내측 곡면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 손잡이(433c) 또는 결속 팁(433b) 중 하나는 레버 몸체(435)(예: 가이드 돌기(435a))와 함께 선형 이동하거나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형 이동에 의해 가이드 돌기(435a)가 제1 부분(NS)으로부터 이탈한 상태에서, 결속 팁(433b)(들)은 실질적으로 지지 봉(433)(예: 지지 튜브(433a))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예컨대, 선형 이동에 의해 가이드 돌기(435a)가 제1 부분(NS)으로부터 이탈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링크 구조(403)(및/또는 착용 부재(402))를 하우징(401)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회 동작에 따라 지지 봉(433)의 주위를 선회하는 동작에서, 스토퍼 돌기(435b)는 제2 가이드 홀(439d) 상에서 상부 커버(431b)의 외측으로 더 노출되거나 상부 커버(431b)의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회 동작에 의해 가이드 돌기(435a)가 제1 부분(NS)으로부터 이탈한 상태에서 스토퍼 돌기(435b)는 제2 가이드 홀(439d) 상에서 상부 커버(431b)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 돌기(435b)가 상부 커버(431b)의 외측으로 노출된다"라 함은, 가이드 돌기(435a)가 제1 부분(NS)으로부터 이탈하여 회전 구간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스토퍼 돌기(435b)가 제2 가이드 홀(439b) 상에서 외부 공간에 접근하는 동작 또는 외부 공간에 가까이 이동한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예컨대, "스토퍼 돌기(435b)가 상부 커버(431b)의 외측으로 노출된다"라 함은, 지정된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2 가이드 홀(439b)의 내측에서 스토퍼 돌기(435b)의 일부분이 시각적으로 인지되는 정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0에서, 'AH'로 지시된 지점은 밴드 부재(404)의 일부(예: 도 12의 후크(441))가 수용되는 위치, 또는 스토퍼 돌기(435b)가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위치를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크(441)가 제2 가이드 홀(439d)에 수용된 상태에서 스토퍼 돌기(435b)가 후크(441)(예: 도 12의 결속 홈(443))와 맞물릴 수 있다. 이로써, 링크 구조(403)는 하우징(401)에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밴드 부재(404)가 링크 구조(403)에 고정되거나 링크 구조(403)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 부재(402)를 교체하고자 할 때, 링크 구조(403)가 하우징(401)에 고정된 상태로 사용자는 레버 몸체(435) 및/또는 스토퍼 돌기(435b)를 후크(441)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링크 구조(403)로부터 밴드 부재(404)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부재(404)가 링크 구조(403)와 결합되고 가이드 돌기(435a)가 회전 구간(RS)에 있으면서 제1 부분(NS)으로부터 이탈한 상태에서, 착용 부재(402)(예: 링크 구조(403)와 밴드 부재(404))는 실질적으로 하우징(401)에 결속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1에서 'BL'로 지시된 화살표는 가이드 돌기(435a)가 회전 구간(RS)에 있으면서 제1 부분(NS)으로부터 이탈한 상태를 예시한 것일 수 있다. 가이드 돌기(435a)가 제1 부분(NS)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선형 이동 또는 선회 동작이 가능하며, 밴드 부재(404)는 링크 구조(403)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밴드 부재(404)가 링크 구조(403)에 결합되었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가이드 돌기(435a)가 선형 이동 구간(LS)에 있으면서 제1 부분(NS)으로부터 이탈한 상태에서 링크 구조(403)는 하우징(40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도 11에서 'UL'로 지시된 화살표는 가이드 돌기(435a)가 선형 이동 구간(LS)에 있으면서 제1 부분(NS)으로부터 이탈한 상태를 예시한 것일 수 있다.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서 결속 팁(433b)(들)이 결속 홀(411a)과 정렬된 때, 결속 팁(433b)들은 탄성력에 의해 실질적으로 결속 홀(411a)과 맞물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때, 가이드 돌기(435a)는 제1 부분(NS) 및/또는 회전 구간(RS)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착용 부재(402)는 하우징(401)에 결속된 링크 구조(403)와, 사용자 신체에 결착되는 밴드 부재(404)를 포함하되, 링크 구조(403)와 밴드 부재(404)가 착탈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 구조(403)는 하우징(401)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안정된 결속 구조를 구현하며, 사용자가 링크 구조(403)로부터 밴드 부재(404)를 용이하게 분리 또는 교체할 수 있다. 이로써,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착용 부재(402)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의 외관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으며, 손상된 착용 부재를 사용자가 쉽게 교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버 커버(437)는 커버 부재(431)(예: 하부 커버(431a))의 외측에서 가이드 돌기(435a)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레버 커버(437)를 이용하여 레버 몸체(435)를 선형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밴드 부재(404)를 링크 구조(403)에 결합하거나 링크 구조(403)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레버 커버(437)를 이용하여 가이드 돌기(435a)를 제1 부분(NS)에 위치시킬 수 있다. 가이드 돌기(435a)가 제1 부분(NS)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링크 구조(403)와 밴드 부재(404)의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사용자가 레버 커버(437)를 이용하여 가이드 돌기(435a)를 제1 부분(NS)으로부터 이탈시키되 회전 구간(RS)에 위치시킨 때, 스토퍼 돌기(435b)의 간섭으로 인해 밴드 부재(404)는 실질적으로 링크 구조(403)에 결합되지 못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밴드 부재(404)와 링크 구조(403)가 결합되고 가이드 돌기(435a)가 회전 구간(RS) 내에서 제1 부분(NS)으로 이탈한 상태에서는 스토퍼 돌기(435b)가 밴드 부재(404)(예: 후크(441) 또는 결속 홈(443))와 맞물림으로써, 밴드 부재(404)는 링크 구조(403)에 결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부재(404)를 링크 구조(403)와 결합 또는 분리하는 동작에서, 링크 구조(403)는 실질적으로 하우징(401)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레버 커버(437)를 이용하여 가이드 돌기(435a)를 선형 이동시키지 않는 이상, 결속 팁(433b)(또는 조절 손잡이(433c))에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 돌기(435a)는 제1 부분(NS) 또는 회전 구간(RS)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에서 착용 부재(402)를 교체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실질적으로 밴드 부재(404)만 교체하고 링크 구조(403)를 하우징(401)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반복된 분리 / 교체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링크 구조(403)의 내구성 저하가 개선될 수 있다. 반복된 사용으로 인한 마모, 또는 외부 충격으로 인한 손상이 있을 경우, 사용자는 링크 구조(403)를 하우징(401)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버 커버(437)를 이용하여 가이드 돌기(435)를 제1 부분(NS)으로부터 선형 이동시켜 결속 팁(433b)을 결속 홀(411a)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사용자는 링크 구조(403)를 하우징(401)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링크 구조(403)와 하우징(401)의 결합 / 분리 구조, 및/또는 링크 구조(403)와 밴드 부재(404)의 결합 / 분리 구조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좀더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를 살펴봄에 있어서는, 도 4 내지 도 12의 구성이 함께 참조될 수 있다.
도 13과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링크 구조(403)의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와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링크 구조(403)의 잠금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3 내지 도 16의 링크 구조(403)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7은, 예를 들면, 가이드 돌기(435a)가 선형 이동 가능한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이때 가이드 돌기(435a)는 실질적으로 제1 부분(NS)에 위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레버 커버(437)를 이용하여 가이드 돌기(435a)를 선형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레버 커버(437) 및/또는 가이드 돌기(435a)를 화살표 UL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결속 팁(433b)은 지지 봉(433)(예: 지지 튜브(433a))의 내부로 수용되고, 링크 구조(403)와 하우징(401) 사이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링크 구조(403)와 하우징(401) 사이의 잠금이 해제된 때, 사용자는 링크 구조(403)를 본체(예: 하우징(40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밴드 부재(404)가 링크 구조(403)에 결합되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링크 구조(403)와 하우징(401) 사이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레버 커버(437) 및/또는 가이드 돌기(435a)가 선형 이동할 수 있는 위치에서는, 이미 밴드 부재(404)와 링크 구조(403) 사이의 구속이 해제될 수 있다. 예컨대, 레버 커버(437) 및/또는 가이드 돌기(435a)가 선형 이동할 수 있는 위치에서는, 밴드 부재(404)가 링크 구조(403)에 결합하거나 및/또는 링크 구조(403)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링크 구조(403)가 밴드 부재(404)와 결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8의 링크 구조(403)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밴드 부재(404)가 도 9의 링크 구조(403)와 결합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가이드 돌기(435a)가 제1 부분(NS) 또는 선형 이동 구간(LS)에 위치된 상태에서 밴드 부재(404)가 링크 구조(403)에 결합되거나 링크 구조(403)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돌기(435a)가 선형 이동 구간(LS)(또는 제1 부분(NS))에 위치된 상태에서, 스토퍼 돌기(435b)는 실질적으로 제2 가이드 홀(439d) 상에 노출되지 않으며, 밴드 부재(404)(예: 후크(441))는 제2 가이드 홀(439d)에 진입하거나 제2 가이드 홀(439d)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자유로울 수 있다. 밴드 부재(404)가 링크 구조(403)를 감싸게 결합하고 후크(441)가 제2 가이드 홀(439d)에 진입한 상태에서, 가이드 돌기(435a)가 회전 구간(RS)에서 이동함에 따라 스토퍼 돌기(435b)가 후크(441)(예: 결속 홈(443))와 맞물릴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돌기(435a)가 제1 부분(NS)에서 벗어나 회전 구간(RS)에 위치된 상태에서, 밴드 부재(404)는 실질적으로 링크 구조(403)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부재(404)를 분리 또는 교체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레버 커버(437)를 이용하여 가이드 돌기(435a)를 제1 부분(NS)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돌기(435a)가 제1 부분(NS)으로 이동함으로써 스토퍼 돌기(435b)와 후크(441)의 결속이 해제될 수 있다. 스토퍼 돌기(435b)와 후크(441)의 결속이 해제됨으로써 밴드 부재(404)는 링크 구조(403)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원하는 형상, 구조 및/또는 색상의 밴드 부재(404)를 선택하여 링크 구조(403)에 결합할 수 있다.
도 2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 부재(402)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의 본체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을 더 참조하면, 착용 부재(402)가 하우징(401)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토퍼 돌기(435b)는 후크(441)와 맞물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돌기(435a)가 회전 구간(RS)에서 제1 부분(NS)으로부터 벗어난 상태로서, 가이드 돌기(435a)의 선형 이동은 제한되며 회전(또는 선회)만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착용 부재(402) 및/또는 링크 구조(403)는 하우징(401)에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밴드 부재(404)를 링크 구조(403)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 또는 링크 구조(403)를 하우징(401)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레버 커버(437)를 이용하여 가이드 돌기(435a)를 제1 부분(NS)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가이드 돌기(435a)가 제1 부분(NS)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밴드 부재(404)가 링크 구조(403)에 결합되거나 링크 구조(403)로부터 분리되기 용이함을 앞서 살펴본 바 있다. 가이드 돌기(435a)가 제1 부분(NS)에 위치된 상태에서, 링크 구조(403)와 하우징(401) 사이의 잠금 상태는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링크 구조(403)를 하우징(401)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가이드 돌기(435a), 레버 몸체(435) 및/또는 결속 팁(433b)을 선형 이동시킬 수 있다. 가이드 돌기(435a), 레버 몸체(435) 및/또는 결속 팁(433b)을 선형 이동시킴에 있어 사용자는 레버 커버(437)를 이용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435a)가 선형 이동하여 제1 부분(NS)으로부터 이탈한 때, 결속 팁(433b)은 결속 홀(411a)로부터 이탈하며 링크 구조(403)와 하우징(401)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예컨대, 가이드 돌기(435a)가 선형 이동하여 제1 부분(NS)으로부터 이탈한 때, 사용자는 링크 구조(403)를 하우징(401)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착용 부재(402) 및/또는 그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에서, 레버 몸체(435)의 선형 이동 동작에 의해 링크 구조(403)가 본체(예: 도 4의 하우징(401))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어 사용자가 착용 부재(402)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레버 몸체(435)의 회전 동작에 따라, 링크 구조(403)는 하우징(401)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밴드 부재(404)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 구조(403)는 실질적으로 하우징(401)에서 분리되지 않으면서 밴드 부재(404)를 더욱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로써, 하우징(40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링크 구조(403)를 포함하면서도, 링크 구조(403)는 실질적으로 하우징(401)에서 분리되지 않으므로 안정된 결합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밴드 부재(404)를 교체함에 있어 링크 구조(403)는 하우징(401)에 결속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밴드 부재(404)의 교체가 반복되더라도 링크 구조(403)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링크 구조(403)와 하우징(401)의 결합 상태가 안정될 수 있다. 링크 구조(403)는 하우징(401)에서 실질적으로 분리되지 않으면서 레버 몸체(435)의 회전에 의해 밴드 부재(404)가 링크 구조(403)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원하는 구조, 형상 및/또는 색상의 밴드 부재(404)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상술한 실시예(들)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4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 200, 400))의 착용 부재(예: 도 1 내지 도 4의 착용 부재(150, 160, 295, 297, 402))는, 양단(both ends) 중 적어도 일단에서 출몰 가능하게 배치된 결속 팁(engaging tip)(예: 도 4 또는 도 9의 결속 팁(443b))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 팁을 이용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본체(예: 도 4의 하우징(401))에 결속되도록 구성된 지지 봉(예: 도 9의 지지 봉(433)), 상기 지지 봉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게 결합된 커버 부재(예: 도 4 또는 도 9의 커버 부재(431)), 상기 지지 봉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상태로 상기 지지 봉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지지 봉과 상기 커버 부재 사이에 배치된 레버 몸체(예: 도 9의 레버 몸체(435)), 및 상기 커버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레버 몸체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가이드 홀(예: 도 9 또는 도 11의 제1 가이드 홀(439c))로서, 상기 레버 몸체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된 회전 구간(예: 도 9 또는 도 11의 회전 구간(RS))과, 상기 회전 구간의 제1 부분(예: 도 9 또는 도 11의 제1 부분(NS))으로부터 상기 회전 구간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선형 이동 구간(예: 도 9 또는 도 11의 선형 이동 구간(LS))을 포함하는 상기 제1 가이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버 몸체는, 상기 회전 구간의 안내를 받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지지 봉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형 이동 구간의 안내를 받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선형 이동함으로써 상기 결속 팁을 상기 지지 봉의 내부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버 몸체는, 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가이드 홀에 수용된 가이드 돌기(예: 도 9의 가이드 돌기(435a))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착용 부재는, 상기 커버 부재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에 결합된 레버 커버(예: 도 9의 레버 커버(4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 부재는, 양단에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결속 리브(engaging rib)(예: 도 9의 결속 리브(439a))들을 포함하는 하부 커버(예: 도 9의 하부 커버(431a)), 및 상기 하부 커버와 마주보게 결합하는 상부 커버(예: 도 9의 상부 커버(431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봉은, 양 단부(both end portions)가 상기 결속 리브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하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속 리브들 사이의 영역에서 한 쌍의 상기 제1 가이드 홀이 상기 하부 커버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착용 부재는, 상기 상부 커버에 제공된 제2 가이드 홀(예: 도 9의 제2 가이드 홀(439d)), 및 상기 레버 부재에 배치된 스토퍼 돌기(예: 도 9의 스토퍼 돌기(435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레버 부재가 점차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스토퍼 돌기가 상기 제2 가이드 홀로 점차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착용 부재는, 상기 커버 부재에 제공된 제2 가이드 홀, 상기 레버 부재에 배치된 스토퍼 돌기, 상기 커버 부재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밴드 부재(예: 도 4 또는 도 12의 밴드 부재(404)), 및 상기 밴드 부재에 배치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 가이드 홀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후크(예: 도 12의 후크(4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레버 부재가 점차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스토퍼 돌기가 상기 제2 가이드 홀로 점차 노출되어 상기 후크와 결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착용 부재는, 상기 후크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 돌기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결속 홈(예: 도 12의 결속 홈(4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밴드 부재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커버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은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 부재는, 양단에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결속 리브(engaging rib)들을 포함하는 하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와 마주보게 결합하는 상부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속 리브들 사이의 영역에서 한 쌍의 상기 제1 가이드 홀이 상기 하부 커버에 제공되고, 한 쌍의 상기 제2 가이드 홀이 상기 상부 커버에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4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 200, 400))는, 하우징(예: 도 4의 하우징(401)), 및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사용자 신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착용 부재(예: 도 1 내지 도 4의 착용 부재(150, 160, 295, 297, 40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착용 부재는, 양단(both ends) 중 적어도 일단에서 출몰 가능하게 배치된 결속 팁(engaging tip)(예: 도 4 또는 도 9의 결속 팁(443b))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 팁을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에 결속되도록 구성된 지지 봉(예: 도 9의 지지 봉(433)), 상기 지지 봉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게 결합된 커버 부재(예: 도 4 또는 도 9의 커버 부재(431)), 상기 지지 봉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상태로 상기 지지 봉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지지 봉과 상기 커버 부재 사이에 배치된 레버 몸체(예: 도 9의 레버 몸체(435)), 및 상기 커버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레버 몸체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가이드 홀(예: 도 9 또는 도 11의 제1 가이드 홀(439c))로서, 상기 레버 몸체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된 회전 구간(예: 도 9 또는 도 11의 회전 구간(RS))과, 상기 회전 구간의 제1 부분(예: 도 9 또는 도 11의 제1 부분(NS))으로부터 상기 회전 구간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선형 이동 구간(예: 도 9 또는 도 11의 선형 이동 구간(LS))을 포함하는 상기 제1 가이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버 몸체는, 상기 회전 구간의 안내를 받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지지 봉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형 이동 구간의 안내를 받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선형 이동함으로써 상기 결속 팁을 상기 지지 봉의 내부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연장된 결속 돌기(예: 도 4의 결속 돌기(411))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속 팁이 상기 결속 돌기들 중 어느 하나와 맞물림으로써 상기 지지 봉을 상기 하우징에 결속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 부재는, 상기 레버 몸체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가이드 홀에 수용된 가이드 돌기(예: 도 9의 가이드 돌기(435a)), 및 상기 커버 부재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에 결합된 레버 커버(예: 도 9의 레버 커버(4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 부재는, 양단에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결속 리브(engaging rib)(예: 도 9의 결속 리브(439a))들을 포함하는 하부 커버(예: 도 9의 하부 커버(431a)), 및 상기 하부 커버와 마주보게 결합하는 상부 커버(예: 도 9의 상부 커버(431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봉은, 양 단부(both end portions)가 상기 결속 리브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하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속 리브들 사이의 영역에서 한 쌍의 상기 제1 가이드 홀이 상기 하부 커버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 부재는, 상기 상부 커버에 제공된 제2 가이드 홀(예: 도 9의 제2 가이드 홀(439d)), 및 상기 레버 부재에 배치된 스토퍼 돌기(예: 도 9의 스토퍼 돌기(435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레버 부재가 점차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스토퍼 돌기가 상기 제2 가이드 홀로 점차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 부재는, 상기 커버 부재에 제공된 제2 가이드 홀, 상기 레버 부재에 배치된 스토퍼 돌기, 상기 커버 부재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밴드 부재(예: 도 4 또는 도 12의 밴드 부재(404)), 및 상기 밴드 부재에 배치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 가이드 홀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후크(예: 도 12의 후크(4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레버 부재가 점차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스토퍼 돌기가 상기 제2 가이드 홀로 점차 노출되어 상기 후크와 결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 부재는, 상기 후크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 돌기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결속 홈(예: 도 12의 결속 홈(4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밴드 부재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커버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은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 부재는, 양단에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결속 리브(engaging rib)들을 포함하는 하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와 마주보게 결합하는 상부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속 리브들 사이의 영역에서 한 쌍의 상기 제1 가이드 홀이 상기 하부 커버에 제공되고, 한 쌍의 상기 제2 가이드 홀이 상기 상부 커버에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일 실시예에 관해 예시하여 설명되었지만, 일 실시예가 본 개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를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을 포함하여, 본 개시의 전체 관점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그 형식과 세부적인 구성에 다양한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링크 구조의 크기와 동작, 링크 구조와 하우징 사이의 결속 상태, 및/또는 링크 구조와 밴드 부재의 결속력에 관한 설계 사양을 고려하여 제1 가이드 홀, 제2 가이드 홀, 가이드 돌기 및/또는 스토퍼 돌기의 수와 위치가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토퍼 돌기는 가이드 돌기와 함께 선형 이동하는 구조로서, 상부 커버의 내부 또는 제2 가이드 홀은 스토퍼 돌기의 선형 이동을 허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또는 착용 부재는 도시되지 않은 스냅 핏(snap-fit) 구조와 같은 추가의 결속 구조를 포함함으로써, 밴드 부재와 링크 구조 사이의 결속력이 강화될 수 있다.
100, 200, 400: (웨어러블) 전자 장치 110, 401: 하우징
150, 160, 295, 297, 402: 착용 부재 403: 링크 구조
404: 밴드 부재 431: 커버 부재
439c: 제1 가이드 홀 439d: 제2 가이드 홀
433: 지지 봉 435: 레버 몸체
435a: 가이드 돌기 435b: 스토퍼 돌기
437: 레버 커버 441: 결속 홈

Claims (20)

  1.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 200; 400)의 착용 부재(150, 160; 295, 297; 402)에 있어서,
    양단(both ends) 중 적어도 일단에서 출몰 가능하게 배치된 결속 팁(engaging tip)(433b)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 팁을 이용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본체(401)에 결속되도록 구성된 지지 봉(433);
    상기 지지 봉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게 결합된 커버 부재(431);
    상기 지지 봉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상태로 상기 지지 봉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지지 봉과 상기 커버 부재 사이에 배치된 레버 몸체(435); 및
    상기 커버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레버 몸체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가이드 홀(439c)로서, 상기 레버 몸체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된 회전 구간(RS)과, 상기 회전 구간의 제1 부분(NS)으로부터 상기 회전 구간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선형 이동 구간(LS)을 포함하는 상기 제1 가이드 홀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 몸체는,
    상기 회전 구간의 안내를 받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지지 봉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형 이동 구간의 안내를 받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선형 이동함으로써 상기 결속 팁을 상기 지지 봉의 내부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착용 부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몸체는, 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가이드 홀에 수용된 가이드 돌기(435a)를 포함하는 착용 부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에 결합된 레버 커버(437)를 더 포함하는 착용 부재.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양단에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결속 리브(engaging rib)(439a)들을 포함하는 하부 커버(431a); 및
    상기 하부 커버와 마주보게 결합하는 상부 커버(431b)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봉은, 양 단부(both end portions)가 상기 결속 리브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하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 사이에 배치된 착용 부재.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 리브들 사이의 영역에서 한 쌍의 상기 제1 가이드 홀이 상기 하부 커버에 제공된 착용 부재.
  6. 제4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에 제공된 제2 가이드 홀(439d); 및
    상기 레버 부재에 배치된 스토퍼 돌기(435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레버 부재가 점차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스토퍼 돌기가 상기 제2 가이드 홀로 점차 노출되도록 구성된 착용 부재.
  7.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에 제공된 제2 가이드 홀;
    상기 레버 부재에 배치된 스토퍼 돌기;
    상기 커버 부재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밴드 부재(404); 및
    상기 밴드 부재에 배치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 가이드 홀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후크(44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레버 부재가 점차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스토퍼 돌기가 상기 제2 가이드 홀로 점차 노출되어 상기 후크와 결속되도록 구성된 착용 부재.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 돌기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결속 홈(443)을 더 포함하는 착용 부재.
  9. 제7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부재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커버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은폐되도록 구성된 착용 부재.
  10. 제7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양단에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결속 리브(engaging rib)들을 포함하는 하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와 마주보게 결합하는 상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 리브들 사이의 영역에서 한 쌍의 상기 제1 가이드 홀이 상기 하부 커버에 제공되고, 한 쌍의 상기 제2 가이드 홀이 상기 상부 커버에 제공된 착용 부재.
  11.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 200; 400)에 있어서,
    하우징(401); 및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사용자 신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착용 부재(150, 160; 295, 297; 402)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 부재는,
    양단(both ends) 중 적어도 일단에서 출몰 가능하게 배치된 결속 팁(engaging tip)(433b)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 팁을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에 결속되도록 구성된 지지 봉(433);
    상기 지지 봉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게 결합된 커버 부재(431);
    상기 지지 봉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상태로 상기 지지 봉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지지 봉과 상기 커버 부재 사이에 배치된 레버 몸체(435); 및
    상기 커버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레버 몸체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가이드 홀(439c)로서, 상기 레버 몸체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된 회전 구간(RS)과, 상기 회전 구간의 제1 부분(NS)으로부터 상기 회전 구간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선형 이동 구간(LS)을 포함하는 상기 제1 가이드 홀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 몸체는,
    상기 회전 구간의 안내를 받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지지 봉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형 이동 구간의 안내를 받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선형 이동함으로써 상기 결속 팁을 상기 지지 봉의 내부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연장된 결속 돌기(411)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속 팁이 상기 결속 돌기들 중 어느 하나와 맞물림으로써 상기 지지 봉을 상기 하우징에 결속시키도록 구성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
  13. 제11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부재는,
    상기 레버 몸체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가이드 홀에 수용된 가이드 돌기(435a); 및
    상기 커버 부재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에 결합된 레버 커버(437)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14. 제11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양단에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결속 리브(engaging rib)(439a)들을 포함하는 하부 커버(431a); 및
    상기 하부 커버와 마주보게 결합하는 상부 커버(431b)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봉은, 양 단부(both end portions)가 상기 결속 리브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하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 사이에 배치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 리브들 사이의 영역에서 한 쌍의 상기 제1 가이드 홀이 상기 하부 커버에 제공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
  16. 제14 항 내지 제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부재는,
    상기 상부 커버에 제공된 제2 가이드 홀(439d); 및
    상기 레버 부재에 배치된 스토퍼 돌기(435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레버 부재가 점차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스토퍼 돌기가 상기 제2 가이드 홀로 점차 노출되도록 구성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
  17. 제11 항 내지 제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부재는,
    상기 커버 부재에 제공된 제2 가이드 홀;
    상기 레버 부재에 배치된 스토퍼 돌기;
    상기 커버 부재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밴드 부재(404); 및
    상기 밴드 부재에 배치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 가이드 홀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후크(44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레버 부재가 점차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스토퍼 돌기가 상기 제2 가이드 홀로 점차 노출되어 상기 후크와 결속되도록 구성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부재는,
    상기 후크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 돌기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결속 홈(443)을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19. 제17 항 내지 제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부재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커버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은폐되도록 구성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
  20. 제17 항 내지 제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양단에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결속 리브(engaging rib)들을 포함하는 하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와 마주보게 결합하는 상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 리브들 사이의 영역에서 한 쌍의 상기 제1 가이드 홀이 상기 하부 커버에 제공되고, 한 쌍의 상기 제2 가이드 홀이 상기 상부 커버에 제공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1020220140055A 2022-10-07 2022-10-27 착탈 가능한 착용 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202400490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11021 WO2024075954A1 (ko) 2022-10-07 2023-07-28 착탈 가능한 착용 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28855 2022-10-07
KR1020220128855 2022-10-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9063A true KR20240049063A (ko) 2024-04-16

Family

ID=90882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0055A KR20240049063A (ko) 2022-10-07 2022-10-27 착탈 가능한 착용 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906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9372B1 (en) Wearable computer-battery system
US20230056946A1 (en) Detachable wearing member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KR20170005135A (ko) 데이터 및 전력 커넥터
KR102574355B1 (ko) 복수개의 개구부들을 이용하여 소리를 획득하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KR20210021657A (ko)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611224B2 (en) Electronic device and charging module system comprising same
US11559239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ectrically conductive connection member
US11940764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peaker structure
KR20240049063A (ko) 착탈 가능한 착용 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US11388825B2 (en) Structure for limiting movement of rotatable member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US11871178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peaker assembly
CN111512245B (zh) 包括接触构件的电子装置及其制造方法
WO2024075954A1 (ko) 착탈 가능한 착용 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CN113303571B (zh) 连接机构和可穿戴设备
US20240069494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coupling member
KR20240048443A (ko) 착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20240047251A (ko) 착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20230160670A (ko) 스트랩 체결 장치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20240015549A (ko) 착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20210150665A (ko) 착탈 가능한 장식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27506A (ko) 착탈 가능한 착용 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20200133456A (ko) 포스 센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20210041208A (ko) 착용 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94983A (ko) 힌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40050202A (ko) 결착 부재 어셈블리 및 결착 부재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