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8910A -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8910A
KR20240048910A KR1020220128780A KR20220128780A KR20240048910A KR 20240048910 A KR20240048910 A KR 20240048910A KR 1020220128780 A KR1020220128780 A KR 1020220128780A KR 20220128780 A KR20220128780 A KR 20220128780A KR 20240048910 A KR20240048910 A KR 20240048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rking clip
clip
magnetic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8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Priority to KR1020220128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8910A/ko
Publication of KR20240048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89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61B17/083Clips, e.g.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20Surgical navigation systems; Devices for tracking or guiding surgical instruments, e.g. for frameless stereot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115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with audible or visual output
    • A61B2017/00119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with audible or visual output alarm; indicating an abnormal sit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20Surgical navigation systems; Devices for tracking or guiding surgical instruments, e.g. for frameless stereotaxis
    • A61B2034/2046Tracking techniques
    • A61B2034/2051Electromagnetic track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61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easuring dimensions, e.g. leng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67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easuring an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04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specifi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54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magnetic, e.g. NMR or MRI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Robotic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킹 클립 일단에 와이어 형태의 루프로 자성부가 연결되고, 자성부는 자성체 외면에 기밀유지를 위한 씰링이 마련되어, 부식 발생을 개선한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은, 병변 부위에 결착되는 마킹 클립; 및 상기 마킹 클립의 위치가 추적되는 추적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킹 클립은 소정의 각도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끝단이 서로 대항하는 내측으로 맞물리도록 돌출된 한 쌍의 암; 상기 한 쌍의 암의 개폐를 조절하는 조임링; 및 상기 마킹 클립과 연결되어 상기 추적부에 의해 추적되기 위해 자성을 가지는 자성부;를 포함하는는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lesion location using a marking clip}
본 발명은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킹 클립 일단에 와이어 형태의 루프로 자성부가 연결되고, 자성부는 자성체 외면에 기밀유지를 위한 씰링이 마련되어, 부식 발생을 개선한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체내에 종양이 발생하는 경우, 종양을 검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내시경 검사를 실시한다. 내시경 검사를 통해 종양이 발견되면, 이후 외과 수술을 통해 종양을 제거하기 위하여, 종양이 발생한 병변에 위치를 표시하게 된다. 수술 중 종양이 발생한 병변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수술의 성공, 수술시간 단축 및 환자의 예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잉크를 직접 마킹 하거나, 발광하는 표시장치를 설치하여 병변의 위치를 탐지해 왔으나, 잉크가 유실되거나 위치파악을 위해 매 수술 시 내시경 장비가 추가로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병변의 위치를 오랫동안 정확하고 간편하게 탐지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이를 위해, 병변 부위에 자성을 가지는 클립을 결착하고, 이를 탐지하는 기술이 게시되어 왔다.
도 1은 종래의 마킹 클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77581(등록일자 2019.05.07)의 '병변 위치 마킹용 클립을 포함하는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은 병변에 결착되는 클립(10)과 추적부를 포함하고, 클립(10)은 한 쌍의 암부(11) 및 자성을 가지는 조임링(12)을 포함하여 조임링(12)이 발생하는 자성을 추적하여 병변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나, 조임링(12)의 자성이 약하고, 자성체가 직접 병변에 닿아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 하기위해 조임링(12) 외면에 코팅이 요구되는데 중공된 내경에 코팅이 어려워 부식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977581 B1 2019.05.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 출원인에 의해 등록받은 바 있는 등록특허 10-1977581(등록일자 2019.05.07) '병변 위치 마킹용 클립을 포함하는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의 자성체가 자성이 약하고, 중공된 내경에 코팅이 어려워 부식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마킹 클립 일단에 와이어 형태의 루프로 자성부가 연결되고, 자성부는 자성체 외면에 기밀유지를 위한 씰링이 마련되어, 부식 발생을 개선한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은, 병변 부위에 결착되는 마킹 클립; 및 상기 마킹 클립의 위치가 추적되는 추적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킹 클립은 소정의 각도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끝단이 서로 대항하는 내측으로 맞물리도록 돌출된 한 쌍의 암; 상기 한 쌍의 암의 개폐를 조절하는 조임링; 및 상기 마킹 클립과 연결되어 상기 추적부에 의해 추적되기 위해 자성을 가지는 자성부;를 포함하는는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성부는 내부에 마련되어 자성을 가지는 자성체; 및 상기 자성체를 둘러싸는 실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성부는 상기 조임링 또는 상기 암의 일측에 와이어 형태의 루프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적부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추적부 몸체; 상기 추적부 몸체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마련되어 홀 센서와 가속도계가 구비되는 센서부; 및 상기 추적부 몸체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자성부와 상기 센서부의 거리정보를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속도계에서 전송받은 중력가속도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센서부의 기울기를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센서부의 기울기에 기초하여 상기 홀 센서에서 전송받은 자성 신호를 보정하고, 보정된 자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부와 상기 자성부와의 거리정보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적부는 상기 추적부 몸체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에서 계산한 거리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적부는 상기 추적부 몸체의 일측에 유무선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통신부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외부 디바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어부에서 계산한 거리정보를 전달받아 전달받은 거리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계산한 거리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제어부에서 계산한 거리정보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색이 표시되는 색표시부; 상기 제어부에서 계산한 거리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거리 이하가 되면 알림음이 발생되는 스피커; 상기 제어부에서 계산한 거리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거리 이하가 되면 진동이 발생되는 진동부;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거리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방법은, 상기 마킹 클립이 삽입된 클립 장치가 체내로 진입되는 제1 단계; 상기 클립 장치의 끝단이 마킹하고자 하는 병변 부위에 위치되는 제2 단계; 상기 클립 장치의 손잡이를 눌러 조임링에 의해 한 쌍의 암이 닫치는 제3 단계; 자성부와 연결된 상기 마킹 클립이 병변 부위에 결착되는 제4 단계; 상기 클립 장치가 체내에서 제거되는 제5 단계; 추적부가 체외에서 병변 부위로 접근되는 제6 단계; 제어부가 센서부의 가속도계에서 발생한 중력가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부의 기울기를 계산하는 제7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부의 홀 센서에서 발생한 자성 신호를 수집하는 제8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7 단계에서 계산된 상기 센서부의 기울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8 단계에서 수집된 자성 신호를 보정하는 제9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9 단계에서 보정된 자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자성부의 자성체와 상기 센서부의 거리를 계산하는 제10 단계; 및 상기 제10 단계에서 계산된 거리정보가 표시부에서 영상, 색, 소리, 진동 신호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제11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출원인에 의해 등록받은 바 있는 등록특허 10-1977581(등록일자 2019.05.07) '병변 위치 마킹용 클립을 포함하는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의 자성체가 자성이 약하고, 중공된 내경에 코팅이 어려워 부식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마킹 클립 일단에 와이어 형태의 루프로 자성부가 연결되고, 자성부는 자성체 외면에 기밀유지를 위한 씰링이 마련되어, 부식 발생을 개선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의 마킹 클립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의 자성부가 조임링에 연결된 마킹 클립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의 자성부가 암에 연결된 마킹 클립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의 자성부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의 연장부와 센서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의 작동 원리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표시부의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의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의 작동 원리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은 마킹 클립(100) 및 추적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의 자성부가 조임링에 연결된 마킹 클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의 자성부가 암에 연결된 마킹 클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의 자성부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마킹 클립(100)은 소정의 각도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U자 형태로 형성되어 끝단이 서로 대항하는 내측으로 맞물리도록 돌출된 한 쌍의 암(110), 한 쌍의 암의 개폐를 조절하는 조임링(120) 및 마킹 클립(100)과 연결되어 추적부(200)에 의해 추적되기 위해 자성을 가지는 자성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암(110)은 U자 또는 Y자 형태로 조정의 길이 만큼 나란하게 형성되다가 개폐가 가능하도록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벌어지며 뻗어 나오는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양 끝단에 서로 대항하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파지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파지부(112)는 끝단에 병변 조직을 집기 위해 어느 하나의 파지부(112)에 일정 모양으로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파지부(112)에 그에 대응하는 일정 모양으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암(110)은 길이방향 측면에 측면으로 돌출될 돌기부(111)가 형성되며, 마킹 클립(100)이 병변에 결착되기 위해 양 끝단으로부터 내부가 중공된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된 조임링(120)이 돌기부(111)에 강제 압입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암(110) 및 조임링(120)의 재질은 탄성을 가지며 녹이 슬지 않는 금속으로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및 티타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자성부(130)는 조임링(120) 또는 암(110)의 일측에 와이어 형태의 루프(121)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루프(121)의 재질은 인체에 무해한 금속 또는 폴리머로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니티놀 및 나일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자성부(130)는 원기둥의 형태로 내부에 자성을 가지는 자성체(131)를 실링(132)이 감싸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자성체(131)는 자성을 가지는 재질로 바람직하게는 사마륨, 스칸듐, 이트륨, 네오디뮴 및 뮤메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실링(132)은 인체와 접촉하여 부식이 발생하지 않는 재질로 바람직하게는 금속 또는 폴리머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의 연장부와 센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의 작동 원리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표시부의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추적부(200)는 추적부 몸체(210), 연장부(220), 센서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추적부 몸체(210)는 사용자(의료진)가 파지하기 위해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220)는 추적부 몸체(210)의 일측으로부터 길이가 긴 원기둥의 형태로 뻗어나오도록 형성되고, 타측 끝단에 센서부(230)가 내장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230)는 홀 센서(231)와 가속도계(2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추적부(200)의 내부에 CPU 또는 MCU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홀 센서(231)는 자성체(131)의 자성에 의해 발생하는 홀 효과를 이용하여 센서부(230)와 자성체(131)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홀 효과란 자기장으로 인하여 전자가 움직이며 전류를 만들어내는 현상을 말한다. 이때, 홀 센서(231)에서 측정되는 자기장의 세기는 자성체(131)의 거리와 반비례하므로 자기장의 세기를 측정하여, 센서부(230)와 자성체(131) 사이의 거리를 측정 할 수 있다.
가속도계(232)는 홀 센서(231)가 지표면과 평행이 아닌 경우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센서부(230)에 가해지는 x, y, z축 방향의 중력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센서부(230)와 연결되어 가속도계(232)에서 측정된 중력가속도 정보를 전달받아 센서부(230)의 기울기를 계산하고, 계산된 센서부(230)의 기울기에 기초하여 홀 센서(231)에서 측정한 자성 신호를 전달받아 보정하고, 보정된 자성 신호에 기초하여 센서부(230)와 자성부(130)의 자성체(131) 사이의 거리를 보다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추적부(200)는 추적부 몸체(210)의 일측에 마련되고, 제어부(240)와 연결되어 제어부(240)에서 계산된 거리정보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거리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표시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50)는 디스플레이(251), 색표시부(252), 스피커(253) 및 진동부(25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51)는 제어부(240)에서 계산된 거리정보를 영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여 센서부(230)와 자성체(131) 사이의 거리가 숫자, 문자 및 그래프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색표시부(252)는 제어부(240)에서 계산된 거리정보에 기초하여, 센서부(230)와 자성체(131) 사이의 거리가 기준 거리 이하인 경우 제1 색을 발광하고, 기준 거리 초과인 경우 제2 색을 발광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색과 제2 색은 서로 다른 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색은 빨간색, 제2 색은 초록색일 수 있다. 그리고, 스피커(253)는 제어부(240)에서 계산된 거리정보에 기초하여, 센서부(230)와 자성체(131) 사이의 거리가 기준 거리 이하인 경우 알림음을 발생하고, 기준 거리 초과인 경우 알람음 발생을 중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진동부(254)는 제어부(240)에서 계산된 거리정보에 기초하여, 센서부(230)와 자성체(131) 사이의 거리가 기준 거리 이하인 경우 진동을 발생하고, 기준 거리 초과인 경우 진동 발생을 중지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거리는 자성체(131)를 추적하기 위한 소정의 거리로 바람직하게는 10mm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의 작동 원리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마킹 클립(100) 및 추적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추적부(200)는 추적부 몸체(210), 연장부(220), 센서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킹 클립(100), 추적부 몸체(210), 연장부(220), 센서부(230) 및 제어부(240)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이하 상이한 부분에 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추적부(200)는 통신부(260) 및 외부 디바이스(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260)는 추적부 몸체(210)의 일측에 마련되어 제어부(240)가 외부 디바이스(300)와 유무선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디바이스(300)는 외부 디바이스(300)의 일측에 마련되고, 제어부(240)와 통신부(260)를 통해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제어부(240)에서 계산된 거리정보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거리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표시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310)는 디스플레이(311), 색표시부(312), 스피커(313) 및 진동부(31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1)는 제어부(240)에서 계산된 거리정보를 영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여 센서부(230)와 자성체(131) 사이의 거리가 숫자, 문자 및 그래프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색표시부(312)는 제어부(240)에서 계산된 거리정보에 기초하여, 센서부(230)와 자성체(131) 사이의 거리가 기준 거리 이하인 경우 제1 색을 발광하고, 기준 거리 초과인 경우 제2 색을 발광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색과 제2 색은 서로 다른 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색은 빨간색, 제2 색은 초록색일 수 있다. 그리고, 스피커(313)는 제어부(240)에서 계산된 거리정보에 기초하여, 센서부(230)와 자성체(131) 사이의 거리가 기준 거리 이하인 경우 알림음을 발생하고, 기준 거리 초과인 경우 알람음 발생을 중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진동부(314)는 제어부(240)에서 계산된 거리정보에 기초하여, 센서부(230)와 자성체(131) 사이의 거리가 기준 거리 이하인 경우 진동을 발생하고, 기준 거리 초과인 경우 진동 발생을 중지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거리는 자성체(131)를 추적하기 위한 소정의 거리로 바람직하게는 10mm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방법은 상기 마킹 클립이 삽입된 클립 장치가 체내로 진입되는 제1 단계(S100), 상기 클립 장치의 끝단이 마킹하고자 하는 병변 부위에 위치되는 제2 단계(S200), 상기 클립 장치의 손잡이를 눌러 조임링에 의해 한 쌍의 암이 닫치는 제3 단계(S300), 자성부와 연결된 상기 마킹 클립이 병변 부위에 결착되는 제4 단계(S400), 상기 클립 장치가 체내에서 제거되는 단계 제5 단계(S500), 추적부가 체외에서 병변 부위로 접근되는 단계 제6 단계(S600), 제어부가 센서부의 가속도계에서 발생한 중력가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부의 기울기를 계산하는 단계 제7 단계(S700),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부의 홀 센서에서 발생한 자성 신호를 수집하는 제8 단계(S800),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7 단계에서 계산된 상기 센서부의 기울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8 단계에서 수집된 자성 신호를 보정하는 제9 단계(S900),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9 단계에서 보정된 자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자성부의 자성체와 상기 센서부의 거리를 계산하는 제10 단계(S1000) 및 상기 제10 단계에서 계산된 거리정보가 표시부에서 영상, 색, 소리, 진동 신호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제11 단계(S1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마킹 클립 11: 암
12: 조임링 100: 마킹 클립
110: 암 111: 돌기부
112: 파지부 120: 조임링
121: 루프 130: 자성부
131: 자성체 132: 실링
200: 추적부 210: 추적부 몸체
220: 연장부 230: 센서부
231: 홀 센서 232: 가속도계
240: 제어부 250: 표시부
251: 디스플레이 252: 색표시부
253: 스피커 254: 진동부
260: 통신부 300: 외부 디바이스
310: 표시부 311: 디스플레이
312: 색표시부 313: 스피커
314: 진동부

Claims (9)

  1. 병변 부위에 결착되는 마킹 클립; 및
    상기 마킹 클립의 위치가 추적되는 추적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킹 클립은
    소정의 각도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끝단이 서로 대항하는 내측으로 맞물리도록 돌출된 한 쌍의 암;
    상기 한 쌍의 암의 개폐를 조절하는 조임링; 및
    상기 마킹 클립과 연결되어 상기 추적부에 의해 추적되기 위해 자성을 가지는 자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는
    내부에 마련되어 자성을 가지는 자성체; 및
    상기 자성체를 둘러싸는 실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는
    상기 조임링 또는 상기 암의 일측에 와이어 형태의 루프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부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추적부 몸체;
    상기 추적부 몸체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마련되어 홀 센서와 가속도계가 구비되는 센서부; 및
    상기 추적부 몸체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자성부와 상기 센서부의 거리정보를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속도계에서 전송받은 중력가속도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센서부의 기울기를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센서부의 기울기에 기초하여 상기 홀 센서에서 전송받은 자성 신호를 보정하고, 보정된 자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부와 상기 자성부와의 거리정보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부는
    상기 추적부 몸체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에서 계산한 거리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부는
    상기 추적부 몸체의 일측에 유무선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통신부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외부 디바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어부에서 계산한 거리정보를 전달받아 전달받은 거리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계산한 거리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제어부에서 계산한 거리정보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색이 표시되는 색표시부;
    상기 제어부에서 계산한 거리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거리 이하가 되면 알림음이 발생되는 스피커;
    상기 제어부에서 계산한 거리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거리 이하가 되면 진동이 발생되는 진동부;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거리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9. 상기 마킹 클립이 삽입된 클립 장치가 체내로 진입되는 제1 단계;
    상기 클립 장치의 끝단이 마킹하고자 하는 병변 부위에 위치되는 제2 단계;
    상기 클립 장치의 손잡이를 눌러 조임링에 의해 한 쌍의 암이 닫치는 제3 단계;
    자성부와 연결된 상기 마킹 클립이 병변 부위에 결착되는 제4 단계;
    상기 클립 장치가 체내에서 제거되는 제5 단계;
    추적부가 체외에서 병변 부위로 접근되는 제6 단계;
    제어부가 센서부의 가속도계에서 발생한 중력가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부의 기울기를 계산하는 제7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부의 홀 센서에서 발생한 자성 신호를 수집하는 제8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7 단계에서 계산된 상기 센서부의 기울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8 단계에서 수집된 자성 신호를 보정하는 제9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9 단계에서 보정된 자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자성부의 자성체와 상기 센서부의 거리를 계산하는 제10 단계; 및
    상기 제10 단계에서 계산된 거리정보가 표시부에서 영상, 색, 소리, 진동 신호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제11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방법.
KR1020220128780A 2022-10-07 2022-10-07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489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780A KR20240048910A (ko) 2022-10-07 2022-10-07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780A KR20240048910A (ko) 2022-10-07 2022-10-07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8910A true KR20240048910A (ko) 2024-04-16

Family

ID=90882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8780A KR20240048910A (ko) 2022-10-07 2022-10-07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891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581B1 (ko) 2018-08-30 2019-09-03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병변 위치 마킹용 클립을 포함하는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581B1 (ko) 2018-08-30 2019-09-03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병변 위치 마킹용 클립을 포함하는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2965B2 (en) Robotic capsule system with magnetic actuation and localization
JP3325533B2 (ja) 患者の頭部に固定された基準ユニットを用いた医学的応用に使用される位置追跡及び画像生成システム
EP2301411B1 (en) Endoscope system
US20210113113A1 (en) Magnetometer Surgical Device
CN109276249B (zh) 医疗装置、获得位置和/或方向信息的方法及磁化设备
US9459087B2 (en) Magnetic position detection system
US20180221610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Endotracheal Intubation
EP2687156A1 (en) Sensor device and mouthpiece
US20060206034A1 (en) Breath alcohol measuring device with improved mouthpiece
US8147402B2 (en) Endoscope system
US20030208103A1 (en) Entry port for endoscopes and laparoscopes
US20160193436A1 (en) Respiratory therapy apparatus, sensors and methods
WO2007079201A3 (en) Magnetic surgical/oral retractor
EP0911668A3 (en) Microscope calibration
EP3415074A3 (en) Surgical apparatus including elastomeric sheath
KR20240048910A (ko) 마킹 클립을 이용한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101863440B1 (ko) 환부 위치 파악을 위한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1977581B1 (ko) 병변 위치 마킹용 클립을 포함하는 병변 위치 추적 시스템
JP2017169676A (ja) 医療用クリップおよびその位置特定器
JP6242421B2 (ja) 撮像プローブ及び磁気測定検出器を備えるシステム
US11511067B2 (en) Respiration assistance device
US605095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sexual arousal
JP2018012001A (ja) 磁気測定検出器及び医療用デバイスを備えるシステム
WO2018136905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endotracheal intubation
US20160220148A1 (en) Mouthpiece for a Device for Measuring a Parameter of Respiratory Air, and Respiratory Air Me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