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8554A - 인공 장치를 이식하기 위한 전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공 장치를 이식하기 위한 전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8554A
KR20240048554A KR1020247010086A KR20247010086A KR20240048554A KR 20240048554 A KR20240048554 A KR 20240048554A KR 1020247010086 A KR1020247010086 A KR 1020247010086A KR 20247010086 A KR20247010086 A KR 20247010086A KR 20240048554 A KR20240048554 A KR 20240048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device
shaft
handle body
knob
dri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0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 제이 데로지에
Original Assignee
에드워즈 라이프사이언시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드워즈 라이프사이언시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에드워즈 라이프사이언시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40048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855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27Devices for manipulating or deploying heart valves during implantation
    • A61F2/2436Deployment by retracting a shea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12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with soft flexible valve members, e.g. tissue valves shaped like natural valves
    • A61F2/2418Scaffolds therefor, e.g. support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517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ndle assemblies therefor

Abstract

전달 장치는 핸들 몸체, 캐리지, 제1 샤프트, 제2 샤프트, 및 구동 부재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 몸체는 근위 및 원위 단부, 및 상기 근위 단부와 상기 원위 단부 사이에 배치된 공동을 포함한다. 상기 캐리지는 상기 공동 내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 몸체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제1 샤프트는 상기 캐리지에 대해 고정된 근위 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샤프트는 상기 제1 샤프트의 루멘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핸들 몸체에 대해 고정된다. 상기 구동 부재 어셈블리는 노브 및 복수의 몸체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노브 및 상기 각각의 몸체 부재는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형성된다. 상기 구동 부재 어셈블리는, 상기 핸들 몸체에 대해 상기 노브를 회전시키는 단계가 상기 핸들 몸체 및 상기 제2 샤프트에 대해 상기 캐리지 및 상기 제1 샤프트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캐리지 및 상기 핸들 몸체에 커플링된다.

Description

인공 장치를 이식하기 위한 전달 장치 및 방법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1년 8월 30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제63/238,599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는 모든 목적을 위해 참조로서 본원에 원용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대체적으로 인공 장치를 이식하기 위한 전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지 구조체 및/또는 인공 심장 판막을 이식하기 위한 전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 심장은 다양한 판막 질환을 앓을 수 있다. 이러한 판막 질환은 심장의 심각한 기능 부전을 초래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고유 판막의 보수 또는 고유 판막의 인공 판막으로의 교체를 필요로 할 수 있다. 다수의 공지된 보수 장치(예를 들어, 스텐트) 및 인공 판막 뿐만 아니라 이들 장치 및 판막을 인간에게 이식하는 다수의 공지된 방법이 있다. 경피적인 및 최소 침습적 수술 접근법은, 수술에 의해 쉽게 접근할 수 없거나 수술 없이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한 신체 내부의 위치에 인공 의료 장치를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절차에 사용된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인공 판막은 전달 장치의 원위 말단에 압착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고, 인공 판막이 심장의 이식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환자의 혈관구조를 통해 (예를 들어, 대퇴 동맥 및 대동맥을 통해) 전진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예를 들어, 인공 판막이 장착되는 풍선을 팽창시키거나, 인공 판막에 팽창력을 인가하는 기계적 작동기를 작동시키거나, 인공 판막이 그의 기능적 크기로 자가 확장할 수 있도록 전달 장치의 시스로부터 인공 판막을 전개함으로써, 인공 판막은 그 기능적 크기로 확장된다.
일부 경우, 예를 들어, 고유 판막 환형부가 너무 크거나 고유 판막의 기하학적 구조가 너무 복잡하여 판막의 안전한 삽입을 허용하지 않는 경우, 인공 판막을 고유 판막 환형부에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의 하나의 접근법은 우선적으로 도킹 스테이션을 이식 위치에 배치한 다음, 도킹 스테이션에 인공 판막을 설치하는 것이다. 도킹 스테이션은 고유 판막 환형부 내에 인공 판막을 고정시키는 데 필요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킹 스테이션은 최소 침습 시술로 이식 위치에 전달될 수 있으며, 이는 도킹 스테이션이 인공 판막을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동일한 시술 내에서 전개될 수 있게 한다.
도킹 스테이션과 같은 인공 이식물을 환자의 신체 내의 이식 위치에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전달 장치의 예가 본원에 개시된다. 전달 장치는 핸들 및 (선택적으로) 핸들에 커플링된 샤프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샤프트 어셈블리는 하나 이상의 샤프트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샤프트 어셈블리는 외부 샤프트 및 외부 샤프트의 루멘을 통해 연장되는 내부 샤프트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핸들 내의 캐리지는 외부 샤프트에 커플링되고 핸들에 대해 이동 가능하여 외부 샤프트를 축 방향으로 그리고 핸들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위시킨다. 캐리지의 이동은 인공 이식물을 포착하기 위한 연장된 위치와 인공 이식물을 노출시키기 위한 수축된 위치 사이에서 외부 샤프트를 변위시킬 수 있다.
일부 경우, 전달 장치의 핸들은 핸들 및 캐리지에 커플링된 구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부재는 노브 부분 및 몸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노브 부분 및 몸체 부분은 하나의 단일 구성요소로서 일체로 형성된다. 노브 부분은 핸들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어 캐리지, 따라서 외부 샤프트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전달 장치는 노브 및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형성되는 복수의 몸체 부재를 갖는 모듈형 구동 부재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부재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정합 특징부, 패스너, 접착제, 및/또는 커플링 수단을 사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함께 커플링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전달 장치는 핸들 몸체, 캐리지 부재, 제1 샤프트, 제2 샤프트, 및 구동 부재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핸들 몸체는 근위 단부, 원위 단부,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 및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공동을 포함한다. 캐리지 부재는 공동 내에 배치되고, 핸들 몸체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핸들 몸체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1 샤프트는 캐리지 부재에 대해 고정된 근위 단부를 포함한다. 제2 샤프트는 제1 샤프트의 루멘을 통해 연장되고, 핸들 몸체에 대해 고정된다. 구동 부재 어셈블리는 노브 및 복수의 몸체 부재를 포함한다. 노브 및 복수의 몸체 부재의 각각의 몸체 부재는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형성된다. 구동 부재 어셈블리는, 핸들 몸체에 대해 제1 회전 방향으로 구동 부재의 노브를 회전시키는 단계가 캐리지 부재 및 제1 샤프트를 핸들 몸체 및 제2 샤프트에 대해 근위로 이동시키고, 구동 부재의 노브를 핸들 몸체에 대해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가 캐리지 부재 및 제1 샤프트를 핸들 몸체 및 제2 샤프트에 대해 원위로 이동시키도록, 캐리지 부재 및 핸들 몸체에 커플링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전달 장치를 위한 구동 부재 어셈블리는 노브 및 복수의 몸체 부재를 포함한다. 복수의 몸체 부재의 각각의 몸체 부재는 노브 및 복수의 몸체 부재의 다른 몸체 부재와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형성된다.
전술한 장치는 살아있는 동물, 또는 사체, 사체 심장, 인체형태 고스트, 시뮬레이터와 같은, 시뮬레이션(예를 들어, 신체 부위, 조직 등이 시뮬레이션됨) 상에서 수행되는 이식 절차의 부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전달 장치를 위한 구동 부재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제1 몰드 형상의 노브를 형성하는 단계, 제2 몰드 형상의 제1 몸체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제2 몰드 형상의 제2 몸체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혁신은 조합되어 사용되거나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요약은 이하 상세한 설명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내용을 단순화된 형태의 선택적인 개념을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요약은 청구된 주제의 주요 특징부 또는 필수 특징부를 구분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청구된 주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하고자 하는 것 또한 아니다. 본 개시의 전술한 내용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 상세한 설명, 청구항,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반경 방향으로 확장된 상태에서의 도킹 스테이션의 프레임의 일 부분의 입면도이다.
도 2는 반경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에서의 도 1의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도킹 스테이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 내의 이식 위치에 전개된 도 3의 도킹 스테이션의 절취도로서, 이는 개략적으로 단면으로 도시되고, 그 안에 전개된 인공 심장 판막을 갖는다.
도 5a는 도킹 스테이션을 전개하기 위한 전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전달 장치의 원위 부분 주위에 배치된 도 3의 도킹 스테이션을 도시한다.
도 6a는 전달 장치의 외부 샤프트가 후퇴된 위치에 있는, 도 5a의 전달 장치의 원위 부분의 입면도이다.
도 6b는 캡슐화된 도킹 스테이션을 도시하기 위해 절단된, 전달 장치의 외부 사프트가 확장된 위치에 있는, 도 5a의 전달 장치의 원위 부분의 입면도이다.
도 6c 내지 도 6f는 도 5a의 전달 장치로부터의 도 3의 도킹 스테이션의 전개 단계를 도시한다.
도 7a는 도 5a에 도시된 전달 장치의 핸들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7b 및 도 7c는 핸들 부분의 일 부분이 다양한 내부 구성요소를 도시하기 위해 절단된, 도 7a의 핸들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7a의 핸들 부분의 캐리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c는 도 8a 및 도 8b의 캐리지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a 및 도 8b의 캐리지 부재의 헤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샤프트 어셈블리의 근위 부분이 캐리지 부재를 통해 연장되는, 도 8a 및 도 8b의 캐리지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1a는 도 7a에 도시된 라인 11A-11A를 교차하는 평면을 따라 취해진, 도 7a의 핸들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라인 11B-11B를 따라 취해진, 도 7a의 핸들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2a는 샤프트 어셈블리의 내부 샤프트의 유체 포트를 도시하기 위해 샤프트 어셈블리의 일 부분이 절단된, 도 7a의 핸들 부분에 커플링된 샤프트 어셈블리의 근위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2b는 도 12a에 도시된 샤프트 어셈블리의 내부 샤프트의 일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2c는 도 12a에 도시된 영역 12C의 확대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프레임 커넥터의 입면도이다.
도 14는 도 13a에 도시된 라인 14-14를 따라 취해진 절단 평면에서의 도 13a 및 도 13b의 프레임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킹 스테이션의 커넥터 탭이 프레임 커넥터의 오목부에 보유되어 있는, 도 13a 및 도 13b의 프레임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 16a는 도 13a에 도시된 라인 16a-16a를 따라 취해진 절단 평면에서의 도 13a 및 도 13b의 프레임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6b는 도 16a의 절단 평면에서의 도 13a 및 도 13b의 프레임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7a는 도 13a에 도시된 라인 17a-17a를 따라 취해진 절단 평면에서의 도 13a 및 도 13b의 프레임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7b는 도 17a의 절단 평면에서의 도 13a 및 도 13b의 프레임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5a 및 도 5b의 샤프트 어셈블리의 내부 샤프트에 연결된 도 13a 및 도 13b의 프레임 커넥터를 예시하는, 전달 장치의 원위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3a 및 도 13b의 외부 샤프트 및 프레임 커넥터에 의해 보유되는 도킹 스테이션을 도시하기 위해 절단된, 전달 장치의 외부 사프트가 확장된 위치에 있는, 도 5a의 전달 장치의 원위 부분의 입면도이다.
도 20은 도킹 스테이션의 커넥터 탭과의 체결을 도시하기 위해 프레임 커넥터가 절단된, 도 19에 도시된 전달 장치의 원위 부분의 회전된 도면이다.
도 21은 커넥터 탭에 인가된 축 방향 장력에 반응하는, 도 19 및 도 20의 도킹 스테이션의 커넥터 탭의 반경 방향 편향을 도시한다.
도 22는 일 구현예에 따른, 구동 부재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구동 부재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구동 부재 어셈블리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시각에 대해 90도 회전된, 도 22의 구동 부재 어셈블리의 다른 측면 입면도이다.
도 26은 도 22의 구동 부재 어셈블리의 원위 단부의 도면이다.
도 27은 도 22의 구동 부재 어셈블리의 근위 단부의 도면이다.
도 28은 도 22의 구동 부재 어셈블리의 몸체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9는 조립된 구성에서의 몸체 부재를 도시하는, 도 22의 구동 부재 어셈블리의 몸체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2의 구동 부재 어셈블리의 몸체 부재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31은 도 30에 도시된 섹션 라인 31-31을 따라 취해진, 도 22의 구동 부재 어셈블리의 몸체 부재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0에 도시된 섹션 라인 32-32를 따라 취해진, 도 22의 구동 부재 어셈블리의 몸체 부재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30에 도시된 섹션 라인 33-33을 따라 취해진, 도 22의 구동 부재 어셈블리의 몸체 부재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34는 노브와 몸체 부재 사이의 제1 정합 특징부를 예시하기 위해 몸체 부재로부터 분리된 노브를 도시하는, 도 22의 구동 부재 어셈블리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5는 노브와 몸체 부재 사이의 제2 정합 특징부를 예시하기 위해 몸체 부재로부터 분리된 노브를 도시하는, 도 22의 구동 부재 어셈블리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6은 도 25에 도시된 섹션 라인 36-36을 따라 취해진, 도 22의 구동 부재 어셈블리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 37은 도 22의 구동 부재 어셈블리의 다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8은 도 22의 구동 부재 어셈블리의 몸체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9는 도 22의 구동 부재 어셈블리의 몸체 부재의 원위 단부 도면이다.
도 40은 도 22의 구동 부재 어셈블리의 노브의 근위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41은 도 22의 구동 부재 어셈블리의 노브의 근위 단부의 도면이다.
도 42는 도 24에 도시된 섹션 라인 42-42를 따라 취해진, 도 22의 구동 부재 어셈블리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 43은 도 24에 도시된 섹션 라인 42-42를 따라 취해진, 도 22의 구동 부재 어셈블리의 단면 사시도이다.
일반 고려사항
본 설명의 목적을 위해, 본 개시의 구현예의 특정 양태, 이점, 및 신규 특징부들이 본원에 기술된다. 개시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은 어떤 방식으로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대신, 본 개시는 다양한 개시된 구현예의 모든 신규하고 자명하지 않은 특징부 및 양태 전부, 단독 그리고 서로의 다양한 조합 및 하위 조합에 관한 것이다.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은 임의의 특정 양태, 또는 특징부, 또는 이들의 조합에 한정되지 않으며, 개시된 구현예는 임의의 하나 이상의 특정 이점이 존재하거나 문제가 해결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개시된 구현예 중 일부의 작동은 편리한 표현을 위해 특정 순차적 순서로 설명되지만, 이러한 설명의 방식은, 후술하는 특정 언어에 의해 특정 순서가 요구되지 않는 한, 재배열을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순차적으로 설명된 작동은 일부 경우에 동시에 재배열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단순화를 위해, 첨부된 도면은 개시된 방법이 다른 방법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나타내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설명은 때때로 개시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 또는 "달성"과 같은 용어를 사용한다. 이러한 용어는 수행되는 실제 작동에 대한 상위 수준의 관념이다. 이들 용어에 해당하는 실제 작동은 특정 구현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다.
간결성을 위해,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의 연속성을 위해,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문자가 상이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에 대해 사용될 수 있고, 하나의 도면에서의 일 요소의 설명은, 해당 요소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문자를 갖는 다른 도면에서 나타날 경우 이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일부 경우, 용어 "~에 상응하는"은 상이한 도면의 요소들 간의 상응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사용에서, 제1 도면의 요소가 제2 도면의 다른 요소에 상응하는 것으로 설명될 경우, 해당 제1 도면의 요소는 해당 제2 도면의 다른 요소의 특성을 갖는 것으로 간주되며,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이의 역도 성립된다.
본 출원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를 포함한다. 단어 "포함한다", 및 "포함하고"와 "포함하는"과 같은 이의 파생어는 개방적이고, 포괄적인 의미, 즉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용어 "구비하다"는 "포함한다"를 의미한다. 또한, 용어 "커플링된"은 일반적으로 물리적으로, 기계적으로, 화학적으로, 자기적으로, 및/또는 전기적으로 커플링되거나 링크된 것을 의미하며, 특정 반대 언어가 없는 한 커플링된 또는 연관된 항목들 사이에 중간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근위"는 사용자에게 더 가깝고 이식 부위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는 장치의 위치, 방향, 또는 부분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원위"는 사용자로부터 더 멀리 있고 이식 부위에 더 가까운 장치의 위치, 방향, 또는 부분을 지칭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장치의 근위 운동은 장치를 이식 부위로부터 사용자 쪽으로(예를 들어, 환자의 신체 밖으로) 이동시키는 반면, 장치의 원위 운동은 장치를 사용자로부터 멀어지고 이식 부위를 향해(예를 들어, 환자의 신체 내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용어 "길이방향" 및 "축방향"은 달리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근위 및 원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시뮬레이션"은 사체, 사체 심장, 인체형태 고스트, 및/또는 컴퓨터 시뮬레이터 상에서 작동을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예를 들어, 신체 부위, 조직 등이 시뮬레이션됨).
개시된 기술의 개요
본 개시는 도킹 스테이션 및/또는 인공 심장 판막과 같은 인공 이식물을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 내의 이식 위치에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복수의 전달 장치를 기술한다. 전달 장치는, 전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핸들에 커플링된 샤프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인공 이식물은, 이식물 위치로의 전달을 위해 샤프트 어셈블리의 샤프트 중 하나의 원위 단부 부분 내에 캡슐화될 수 있다.
샤프트 어셈블리는, 전달 장치 상에 로딩된 인공 이식물을 캡슐화하기 위한 연장된 위치와 이식 위치에서의 전개를 위해 인공 이식물을 노출시키기 위한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외부 샤프트를 포함한다. 캐리지 부재는 핸들에 포함되어 외부 샤프트를 후퇴된 위치와 연장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샤프트 어셈블리는 외부 샤프트의 루멘을 통해 연장되는 내부 샤프트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캐리지 부재 및 외부 샤프트는 밀봉 부재를 보유하기 위해 글랜드 또는 환형 홈을 형성한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내부 샤프트는 캐리지 부재 내에 배치된 밀봉 부재와 함께 내부 샤프트 및 외부 샤프트가 단일 주입 포트로부터 유체로 플러싱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유체 포트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내부 샤프트는 인공 이식물의 하나 이상의 커넥터 탭을 수용하여 인공 이식물을 축 방향으로 구속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갖는 프레임 커넥터를 운반할 수 있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오목부는 커넥터 탭에 인가된 인장력을 커넥터 탭에 작용하는 반경 방향 힘으로 전환하는 언더컷 벽부를 가지며, 이는 재압축 및/또는 인공 이식물의 회수 동안 커넥터 탭과 오목부와의 체결을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또한, 도킹 스테이션과 같은 인공 이식물을 환자의 신체 내의 이식 위치에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전달 장치의 예가 본원에 개시된다. 전달 장치는 핸들 및 핸들에 커플링된 샤프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샤프트 어셈블리는 외부 샤프트 및 외부 샤프트의 루멘을 통해 연장되는 내부 샤프트를 포함한다. 핸들 내의 캐리지는 외부 샤프트에 커플링되고 핸들에 대해 이동 가능하여 외부 샤프트를 축 방향으로 그리고 핸들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위시킨다. 캐리지의 이동은 인공 이식물을 포착하기 위한 연장된 위치와 인공 이식물을 노출시키기 위한 수축된 위치 사이에서 외부 샤프트를 변위시킬 수 있다.
일부 경우, 전달 장치의 핸들은 핸들 및 캐리지에 커플링된 구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부재는 노브 부분 및 몸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노브 부분 및 몸체 부분은 하나의 단일 구성요소로서 일체로 형성된다. 노브 부분은 핸들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어 캐리지, 따라서 외부 샤프트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전달 장치는 노브 및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형성되는 복수의 몸체 부재를 갖는 모듈형 구동 부재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부재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정합 특징부, 패스너, 접착제, 및/또는 커플링 수단을 사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함께 커플링될 수 있다.
구동 부재 어셈블리를 모듈형 어셈블리로서 형성하는 것은, 예를 들어 구동 부재를 제조하는 시간 및/또는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모듈식 구성은 또한, 해당 모듈식 설계가 몰딩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재료를 제거하는) 임의의 추가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재료의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의 구현예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도킹 스테이션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는 프레임(100)(또는 스텐트)의 예시적인 구현예를 도시한다. 프레임(100)은 제1 단부(104) 및 제2 단부(108)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단부(104)는 유입 단부일 수 있고, 제2 단부(108)는 유출 단부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단부(104)는 유출 단부일 수 있고, 제2 단부(108)는 유입 단부일 수 있다. 용어 "유입" 및 "유출"은 프레임을 통한 혈류의 정상적인 방향(예를 들어, 전향 혈류)과 관련된다. 도 1에 도시된 프레임(100)의 구속되지 않은 확장된 상태에서, 제1 단부(104)와 제2 단부(108) 사이의 프레임(100)의 비교적 좁은 부분(또는 허리)(112)은 판막 시트(116)를 형성한다. 프레임(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장치에 의한 이식 위치로의 전달을 위해 압축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 전달 장치, 인공 심장 판막, 및/또는 방법은 특정 이식 위치(예를 들어, 폐동맥 판막) 및/또는 특정 전달 접근법(예를 들어, 대퇴경동맥)에 대하여 본원에서 기술되지만, 본원에 개시된 장치 및 방법은 다양한 다른 이식 위치(예를 들어, 대동맥 판막, 이첨판 판막 및 삼첨판 판막) 및/또는 다양한 다른 전달 접근법(경근단, 경중격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프레임(100)은 셀(124)을 형성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스트럿(120)을 포함한다. 스트럿(120)의 단부는 프레임(100)의 단부에 정점(128)을 형성한다. 정점(128) 중 하나 이상은 커넥터 탭(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정점(128)과 판막 시트(116)(또는 허리(112)) 사이의 스트럿(120)의 부분은 프레임(100)의 밀봉부(130)를 형성한다. 도 1에 도시된 프레임(100)의 구속되지 않은 확장된 상태에서, 정점(128)은 대체적으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판막 시트(116)의 반경 방향 외측에 있다.
프레임(100)은 해부학적 구조의 광범위한 변형을 수용하도록 고도로 탄성적이거나 유연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00)은 가요성 금속, 금속 합금, 중합체, 또는 개방 셀 발포체로 제조될 수 있다. 고 탄성 금속의 예는 니켈과 티타늄의 금속 합금인 니티놀이지만, 다른 금속 및 고 탄성 또는 유연한 비금속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프레임(100)은 자가 확장형, 수동 확장형(예를 들어, 풍선을 통해 확장 가능), 또는 기계식 확장형일 수 있다. 자가 확장형 프레임은, 예를 들어 니티놀과 같은 형상 기억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레임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압착 장치를 통해) 반경 방향으로 압축될 수 있고, 도 1에 도시된 구성으로 반경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도 3은 프레임(100) 및 프레임 내에 배치된 불투과성 재료(140)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도킹 스테이션(136)을 도시한다. 불투과성 재료(140)는 (예를 들어, 봉합사(144)에 의해) 프레임(100)에 부착된다. 도 3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불투과성 재료(140)는 프레임(100)의 밀봉부(130) 내에서 적어도 셀(124)을 덮는다. 밀봉부(130)에서 불투과성 재료(140)에 의해 형성된 밀봉부는, 근위 유입 단부(104)로부터 도킹 스테이션(136) 내로 흐르는 혈류가 판막 시트(116)(및 일간 판막 시트에 설치되면, 판막)로 흐르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원위 유출 단부(108)에 근접한 하나 이상의 셀(124)의 열은 개방될 수 있다.
불투과성 재료(140)는 혈액에 대해 불투과성인 직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혈액, 폴리에스테르 재료, 또는 심낭과 같은 처리된 생물학적 물질에 대해 불투과성인 코팅으로 처리된 발포체 또는 직물과 같은 다양한 생체적합성 물질이 불투과성 재료(140)로서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일 구현예에서, 불투과성 재료(140)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일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136)은 프레임(100)의 허리(112) 주위로 (또는 허리에 일체인) 연장되는 밴드(146)를 포함할 수 있다. 밴드(146)는 판막 시트(116)가 특정 판막 크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전개된 상태에서의 특정 직경으로의 판막 시트(116)의 확장을 제한할 수 있다. 밴드(146)는 매우 다양한 상이한 형태를 취할 수 있고, 매우 다양한 상이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146)는 PET, 하나 이상의 봉합사, 직물, 금속, 중합체, 생체적합성 테이프, 또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고 판막 시트(116)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다른 비교적 확장 불가능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 4는 고유 판막 환형부(148) 내에서 전개된 상태에서의 도킹 스테이션 (136)을 도시한다. 보이는 바와 같이, 도킹 스테이션(136)의 프레임(100)은 확장된 상태에 있으며, 여기에서 프레임의 단부 부분은 고유 판막 환형부의 내부 표면부(152)에 대해 가압된다. 밴드(146)(도 3에 도시됨)는 프레임(100)의 확장된 상태에서 판막 시트(116)를 일정하거나 실질적으로 일정한 직경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또한 도킹 스테이션(136) 내에서 전개되고 도킹 스테이션(136)의 판막 시트(116)와 체결된 인공 판막(200)를 도시한다. 인공 판막(200)은 먼저 도킹 스테이션(136)을 이식 위치에서 전개한 다음, 인공 판막을 도킹 스테이션 내에 설치함으로써 이식될 수 있다.
인공 판막(200)은 고유 심장 판막(예를 들어, 대동맥, 이첨판, 폐 및/또는 삼첨판 판막)을 대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인공 판막(200)는 프레임(204) 및 프레임(204) 내에 배치되고 프레임에 부착된 판막 구조체(208)를 포함할 수 있다. 판막 구조체(208)는 심장의 이완기 및 수축기 단계 동안의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순환하는 하나 이상의 첨판(21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04)은 도킹 스테이션(136)의 프레임(100)에 대해 기술된 프레임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첨판(212)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심장막 조직(예를 들어, 소 심장막 조직), 생체적합성 합성 재료,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다른 적절한 천연 또는 합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136)은 도 4에 예시된 인공 판막(200)의 특정 구현예에 대한 사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의 관련 개시 내용이 본원에 참조로서 통합되는, 미국 특허 공개 제2018/0153689호 및 제2019/0060057호; 미국 특허 가출원 제62/869,948호; 및 국제 특허 출원 제PCT/US2019/056865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기계적으로 확장 가능한 인공 판막이 도킹 스테이션(136)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a는 도킹 스테이션을 이식 위치에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전달 장치(300)를 도시한다. 전달 장치(300)는 일반적으로 핸들(302) 및 핸들(302)에 커플링되고 핸들(302)로부터 원위로 연장되는 샤프트 어셈블리(303)를 포함한다. 샤프트 어셈블리(303)는 내부 샤프트(305) 및 외부 샤프트(309)를 포함한다. 내부 샤프트(305)는 외부 샤프트(309)의 루멘을 통해 연장된다.
도 5a에 예시된 구현예에서, 프레임 커넥터(400)는 내부 샤프트(305)에 커플링된다. 도킹 스테이션(136)은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 커넥터(400)로부터 원위로 연장되는 내부 샤프트(305)의 일 부분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프레임 커넥터(400)는 도킹 스테이션(136)의 근위 단부에서 하나 이상의 커넥터 탭(132)을 수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포함함으로써 도킹 스테이션(136)을 축 방향으로 구속한다.
노즈콘(nosecone)(317)이 내부 샤프트(305)의 원위 단부에 부착될 수 있다. 노즈콘(317)은 가이드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중앙 개구부(319)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가이드와이어의 근위 단부는 중앙 개구부(319) 내로 그리고 내부 샤프트(305)를 통해 삽입될 수 있고, 전달 장치(300)의 원위 단부는 환자의 혈관계를 통해 가이드와이어를 지나 이식 위치로 전진될 수 있다. 가이드와이어는 환자의 혈관계를 통해 전달 장치를 전진시키는 동안 노즈콘(317)을 통해 내부 샤프트(305) 내로 통과할 수 있다.
핸들(302)은 대체적으로 연장된 위치와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내부 샤프트(305)에 대해 외부 샤프트(309)를 이동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핸들(302)은 외부 샤프트(309)를 프레임 커넥터(400) 위로 그리고 프레임 커넥터(400)에 커플링된 도킹 스테이션 중 어느 하나에 위로 슬라이딩시키도록 연장되어 외부 샤프트(309) 내에 도킹 스테이션을 캡슐화할 수 있다. 외부 샤프트(309)가 도킹 스테이션(136) 위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도킹 스테이션이 압축된 상태에서 외부 샤프트(309) 내에서 캡슐화되도록, 외부 샤프트(309)는 도킹 스테이션(136)을 압축할 수 있다.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서, 외부 샤프트(309)의 원위 단부는 전달 어셈블리 내에 갭이 없도록, 노즈콘(317)의 근위 단부와 접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압착 장치는, 전달 장치의 외부 샤프트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도킹 스테이션을 반경 방향으로 압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7d는 해부학적 구조 내의 이식 위치에서 도킹 스테이션을 전개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예시의 목적으로,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는 생략된다. 도 6a에서, 방법은, 내부 샤프트(305) 상으로의 도킹 스테이션(136)의 로딩이 가능하도록, 전달 장치의 핸들에 의해 외부 샤프트(309)를 후퇴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6b에서, 방법은 도킹 스테이션(136)을 내부 샤프트(305) 주위에 배치하는 단계 및 도킹 스테이션(136)의 각각의 커넥터 탭(132)을 프레임 커넥터(400)와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도킹 스테이션이 그 안에 캡슐화되도록 도킹 스테이션 위에 외부 샤프트(309)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전달 장치의 핸들을 조작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샤프트(309)의 원위 단부는 노즈콘(317)의 근위 단부와 접한다. 방법은, 노즈콘(317) 단부로부터, 전달 장치를 환자의 혈관계 내로 삽입하는 단계, 및 전달 장치를 환자의 혈관계를 통해 이식 위치로 전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식 위치에서, 방법은, 도킹 스테이션(136)을 노출시키기 위해 전달 장치의 핸들에 의해 외부 샤프트(309)를 후퇴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6c 내지 도 6f는 외부 샤프트(309)를 후퇴시키는 상이한 단계들을 도시한다. 나타낸 바와 같이, 도킹 스테이션(136)이 자가 확장하는 경우, 도킹 스테이션(136)은 외부 샤프트(309)로부터 점진적으로 출현하고, 외부 샤프트(309)가 후퇴됨에 따라 압축된 상태로부터 점진적으로 확장된다. 외부 샤프트(309)가 충분히 후퇴될 때, 커넥터 탭(132)은 프레임 커넥터(400)로부터 분리된다. 일단 도킹 스테이션(136)이 프레임 커넥터(400)로부터 분리되면, 도킹 스테이션(136)은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어 해부학적 구조와 체결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전달 장치의 핸들(302)의 예시적인 구현예를 도시한다. 핸들(302)은 핸들 몸체(304) 및 핸들 몸체에 커플링되고 그 내부에 부분적으로 배치된 전개 메커니즘(306)을 포함한다. 핸들 몸체(304)는 근위 단부(308), 원위 단부(312), 및 근위 단부(308)로부터 원위 단부(312)로 연장되는 공동(316)을 포함한다. 핸들(302)은 근위 단부(308)로부터 원위 단부(312)로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315)을 포함한다. 길이방향 축(315)은 핸들의 축 방향을 정의한다.
핸들 몸체(304)는 공동(316)을 갖는 단일 피스 몸체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핸들 몸체(304)는 공동(316)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조립될 수 있는 2개의 몸체(304a, 304b)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몸체 피스(304b)는 제2 몸체 피스(304a)의 상보적인 오목부 내로 스냅하는 스냅 후크(307)를 가질 수 있다.
핸들(302)의 전개 메커니즘(306)은 캐리지 부재(500) 및 드라이브 부재(320)를 포함한다. 캐리지 부재(500)는 공동(316) 내에 배치되고, 핸들 몸체(304)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드라이브 부재(320)는 캐리지 부재(500)와 체결되고, 핸들 몸체(304)에 대한 캐리지 부재(500)의 축 위치를 조정하도록, 핸들 몸체(304)에 대해 이동(예를 들어, 회전) 가능하다.
샤프트(305, 309)의 근위 부분은 핸들 몸체(304)의 공동 내에 삽입된다. 샤프트 어셈블리(303)의 외부 샤프트(309)의 근위 단부는, 핸들 몸체(304)에 대한 캐리지 부재(500)의 이동이 연장된 위치와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의 외부 샤프트(309)의 이동을 야기하도록, (예를 들어, 패스너, 접착제 및/또는 커플링을 위한 다른 수단에 의해) 캐리지 부재(500)에 커플링될 수 있다.
내부 샤프트(305)의 근위 부분은 외부 샤프트(309)의 루멘(313)을 통해 공동(316)의 근위 부분 내로 연장되고 핸들 몸체(304)에 커플링된다. 내부 샤프트(305)는, 외부 샤프트(309)가 핸들 몸체(304)에 대해 이동하는 동안 내부 샤프트(305)는 정지 상태에 있도록, 핸들 몸체(304)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에 예시된 구현예에서, 주입 포트(324)는 핸들 몸체(304)의 근위 단부(308)에서의 개구부에 장착된다. 주입 포트(324)는, 예를 들어 루어(Luer) 피팅일 수 있다. 내부 샤프트(305)의 근위 단부는 주입 포트(324) 내에 삽입될 수 있고(도 11a에 도시됨), (예를 들어, 접합에 의해) 주입 포트(324)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경우, 주입 포트(324)에 대한 내부 샤프트(305)의 부착은 내부 샤프트(305)를 핸들 몸체(304)에 대해 고정시키는 목적을 제공할 수 있다.
주입 포트(324)는 내부 샤프트(305)의 루멘 내로, 식염수와 같은 플러싱 유체를 주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경우, 내부 샤프트(305)는 주입된 유체가 내부 샤프트(305)를 빠져나와 외부 샤프트(309)의 루멘(313)으로 진입하는 하나 이상의 유체 포트(3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일 주입 포트로부터 내부 샤프트(305) 및 외부 샤프트(309)의 루멘의 플러싱을 가능하게 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캐리지 부재(500)의 예시적인 구현예를 도시한다. 캐리지 부재(500)는 원위 단부(506) 및 근위 단부(510)를 갖는 캐리지 몸체(504)를 포함한다. 캐리지 몸체(504)는 원위 단부(506)와 근위 단부(510) 사이에 헤드 부분(508) 및 줄기 부분(512)을 갖는다. 캐리지 몸체(504)는 단일의, 일체형 구성요소로서 형성(예를 들어, 몰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캐리지 몸체(504)는 핸들 몸체(304) 내에 수용되는 샤프트 어셈블리의 일 부분을 지지하기 위해 충분히 강성이다(도 7b 및 도 7c에 도시됨).
캐리지 몸체(504)의 헤드 부분(508)은 외부 표면부(516)를 갖는다. 외부 나사산(518)은 헤드 부분(508)의 대향면에서 외부 표면부(516)의 부분 상에 형성된다. 외부 나사산(518)은 핸들의 드라이브 부재(320)의 상보적인 내부 나사산(도 7a 및 도 7c에 도시됨)과 체결될 수 있다. 헤드 부분(508)은 샤프트 어셈블리의 일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내부 보어(524)를 정의하는 내부 표면부(520)를 갖는다.
줄기 부분(512)은, 헤드 부분(508)의 내부 보어(524)와 길이방향으로 정렬되고 연결되어, 캐리지 몸체(504)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중앙 개구부(532)를 포함한다. 길이방향 슬롯(536a, 536b)(또는 가이드 부재)가 줄기 부분(512)의 대향면 상에 형성된다. 길이방향 슬롯(536a)은 도 8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중앙 개구부(532)(또는 보어(524) 및 중앙 개구부(532)에 의해 형성된 통로)에 연결될 수 있다. 길이방향 슬롯(536a, 536b)은 핸들 몸체의 세장형 공동 내에서 상보적인 가이드 부재(348a, 348b)(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됨)를 수용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위치설정 숄더부(540)가 헤드 부분(508)의 내부 표면부(520) 상에 형성된다. 위치설정 숄더부(540)는 내부 보어(524) 내에 제1 스텝다운 전이부를 정의한다. 예를 들어, 위치설정 숄더부(540)는 내부 보어(524)의 직경을 직경(d1)에서 직경(d2)까지 스텝 다운시키며, 여기에서 직경(d1)은 직경(d2)보다 크다. 위치설정 숄더부(540)는 캐리지 몸체(504)의 원위 단부(506)로부터 거리(L1)만큼 오프셋된다. 위치설정 숄더부(540)는 원위 단부(506)를 향해 배향되는 환형 면부를 가지며, 일부 경우, 이는 "원위로 향하는 환형 숄더부"로서 지칭될 수 있다.
글랜드 숄더부(544)는 헤드 부분(508)의 내부 표면부(520) 상에 형성된다. 글랜드 숄더부(544)는 내부 보어(524) 내에 제2 스텝다운 전이부를 정의한다. 예를 들어, 글랜드 숄더부(544)는 내부 보어(524)의 직경을 직경(d2)에서 직경(d3)까지 스텝 다운시키며, 여기에서 직경(d2)은 직경(d3)보다 크다. 글랜드 숄더부(544)는 캐리지 몸체(504)의 원위 단부(506)로부터, 거리(L1)보다 큰 거리(L2)만큼 오프셋되며, 이는 글랜드 숄더부(544)가 위치설정 숄더부(540)에 근위에 위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글랜드 숄더부(544)는 원위 단부(506)를 향해 배향되는 환형 면부를 가지며, 일부 경우, 이는 "원위로 향하는 환형 숄더부"로서 지칭될 수 있다.
도 10은 외부 샤프트(309)의 근위 단부(또는 근위 면부)가 내부 보어(524) 내에 위치되도록, 내부 보어(524) 및 중앙 개구부(532)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통해 연장되는 샤프트 어셈블리(303)를 도시한다. 외부 샤프트(309)의 근위 단부는 글랜드 숄더부(544)에 대해 대향하는 관계에 있고 이에 원위에 있는 숄더부(546)를 형성한다. 외부 샤프트(309)는 이 위치에서 (예를 들어, 패스너, 접착제 및/또는 커플링을 위한 다른 수단을 통해) 캐리지 부재(500)의 헤드 부분(508)에 고정될 수 있다. 환형 홈(548)(또는 글랜드)은 대향하는 숄더부(544, 546) 및 대향하는 숄더부(544, 546) 사이의 내부 표면부(520)의 부분에 의해 내부 보어(524) 내에 정의된다. 환형 홈(548)은 밀봉 부재(552)를 수용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위치설정 숄더부(540)는 외부 샤프트(309)의 근위 단부에 대한 정지 표면부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설정 숄더부(540)의 내경에 상응하는 직경(d2)(도 9에 도시됨)은, 외부 샤프트(309)의 근위 단부가 위치설정 숄더부(540)에 접할 때, 외부 샤프트(309)의 근위 단부의 일 부분이 제1 스텝다운 전이부에서 숄더부(546)를 형성하도록, 외부 샤프트(309)의 근위 단부에서 외부 샤프트(309)의 내경보다 더 크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샤프트(309)의 근위 단부에 의해 형성된 숄더부(546)는 제1 스텝다운 전이부에서 위치설정 숄더부(540)의 반경 방향 내측에 있을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캐리지 몸체(504)는 위치설정 숄더부(540) 없이 형성될 수 있고, 외부 샤프트(309)는 외부 샤프트(309)의 근위 면부가 밀봉 부재(522)의 원위 면부와 접하는 지점까지 내부 보어(524) 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는 동시에 환형 홈(548)의 원위 단부를 형성한다.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외부 샤프트(309)의 루멘을 통해 연장되는 내부 샤프트(305)는 대향하는 글랜드 숄더부(544, 546) 사이의 내부 보어(524)의 부분을 통과하며, 이는 환형 홈(548)이 내부 샤프트(305)의 원주 주위에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환형 홈(548)에 배치된 밀봉 부재(552)는 내부 샤프트(305)와 내부 표면부(520) 사이 및 외부 샤프트(309)의 근위 단부에서 밀봉부를 형성할 수 있다. 밀봉 부재(552)는 동적 밀봉과 정적 밀봉 사이에서 교차할 수 있다. 동적 밀봉은 캐리지 부재(500)가 핸들 몸체(304)에 대해 이동함에 따라 밀봉 부재(552)가 내부 샤프트(305)를 따라 슬라이딩할 때 발생한다(도 7b 및 도 7c에 도시됨). 이러한 방식으로, 밀봉 부재(552)는 또한 "와이퍼 밀봉부"로 지칭될 수 있다. 밀봉 부재(552)는 임의의 적절한 밀봉부(예를 들어, O-링)일 수 있다.
글랜드 숄더부(544)는 환형 홈(548)의 근위 단부(또는 근위 글랜드 숄더)를 형성하고, 외부 샤프트(309)의 근위 단부(또는 근위 면부)는 환형 홈(548)의 원위 단부(또는 원위 글랜드 숄더부)를 형성한다. 일부 경우, 위치설정 숄더부(540)는 외부 샤프트(309)에 대한 정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단차형 숄더로서 캐리지 몸체의 숄더부를 형성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캐리지 몸체(504)(또는 캐리지 부재(500))가 단일 피스로서 몰딩될 수 있게 한다. 몰딩 프로세스는, 위치설정 및 글랜드 숄더부(540, 544)를 포함하는 내부 보어를 형성하기 위해 캐리지 몸체를 위한 몰드 공동, 및 코어 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핀은 몰드 공동 내에 고정되고, 용융된 열가소성 재료가 몰드 공동 내로 주입되어 몰딩된 몸체를 형성한다. 단차형 숄더부는, 예를 들어 코어 핀이 몰딩된 부품의 원위 단부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개시된 구성은, 예시적인 하나의 이점으로서 핸들의 제조 및 조립을 단순화한다.
도 7c로 돌아가면, 캐리지 부재(500)는 드라이브 부재(320)의 회전에 의해 공동(316) 내에서 그리고 핸들 몸체(304)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11a에 예시된 구현예에서, 드라이브 부재(320)는 핸들 몸체(304)의 원위 단부(312)로부터 공동(316) 내로 연장되는 배럴 부분(320a), 및 핸들 몸체(304)의 원위 단부(312)로부터 돌출하는 노브 부분(320b)을 갖는다. 배럴 부분(320a)은 핸들 몸체(304) 내의 오목부(336) 내로 연장되는 링 부재(332)를 갖는다. 링 부재(332)의 원위 면부는 원위 방향으로의 드라이버 부재(32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오목부(336)의 근위 면부와 접한다.
드라이브 부재(320)는 내부 보어(340)를 정의하는 내부 표면부(328)를 포함한다. 내부 표면부(328)는 캐리지 부재(500)의 헤드 부분 상의 외부 나사산(518)에 상보적인 내부 나사산(344)을 포함한다(도 8a 및 도 8b에 도시됨).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 부재(500)는 캐리지 부재(500)의 헤드 부분 상의 외부 나사산(518)이 드라이브 부재(320)의 내부 나사산(344)과 체결되도록, 내부 보어(340) 내로 연장된다.
노브 부분(320b)의 회전은 핸들 몸체(304)에 대한 드라이브 부재(320)의 회전을 야기하며, 이는 캐리지 부재(500)가 드라이브 부재(320)의 내부 보어(340)를 따라 이동하게 한다. 나사산(344, 518)은 드라이브 부재(320)의 회전 운동을 캐리지 부재(500)의 선형 운동으로 전환시킨다. 그러나, 리드 스크류 메커니즘 이외의 다른 메커니즘이 핸들 몸체(304)에 대해 캐리지 부재(500)를 축 방향으로 병진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핸들 몸체(304)는 공동(316) 내로 연장되는 평탄화된 돌출부(348a, 348b)(또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평탄화된 돌출부(348a)는 캐리지 부재(500)의 길이방향 슬롯(536a)에 수용된다. 평탄화된 돌출부(348b)는 길이방향 슬롯(536b)에 수용된다. 길이방향 슬롯(536a, 536b)은 캐리지 부재(500)가 공동(316) 내에서 그리고 핸들 몸체(304)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각각의 평탄화된 돌출부(348a, 348b)를 따라 이동한다. 평탄화된 돌출부(348a, 348b)는 핸들 몸체(304)와 길이방향으로 정렬되고, 길이방향 슬롯(536a, 536b)과 공조하여 드라이브 부재(320)가 회전할 때의 캐리지 부재(500)의 회전을 방지한다.
도 12a는 샤프트 어셈블리(303)의 근위 부분(즉, 핸들에 커플링된 직후의 샤프트 어셈블리(303)의 부분)을 도시한다. 샤프트 어셈블리(303)의 근위 부분은 외부 샤프트(309)의 근위 부분 및 외부 샤프트(309)의 루멘(313)을 통해 연장되는 내부 샤프트(305)의 근위 부분을 포함한다. 도 11a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샤프트(309)의 근위 단부는 캐리지 부재(500) 내에 수용되고, 내부 샤프트(305)는 외부 샤프트(309)를 통해 그리고 캐리지 부재를 통해 연장된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샤프트(305)의 근위 단부 부분은 주입 포트(324)에 유체 연결될 수 있는 근위 단부(305a)(도 7a 내지 도 7c 및 도 11a에 도시됨), 및 주입 포트에서 내부 샤프트(305) 내로 주입된 유체가 내부 샤프트(305)를 빠져나가고 외부 샤프트(309)의 루멘(313)으로 진입할 수 있게 하는 유체 포트(311)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내부 샤프트(305)는 보강된 튜브(321)를 포함한다. 도 12b에 예시된 구현예에서, 보강된 튜브(321)는 내부층(325), 내부층(325) 위에 배치된 보강층(329), 및 보강층(329) 위에 배치된 외부층(333)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층(325), 보강층(329), 및 외부층(333)은 실질적으로 내부 샤프트(305)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튜브의 형태일 수 있다.
보강된 튜브(321)는 환자의 혈관계를 통한 튜브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가요성 튜브로서 구성될 수 있다. 보강층(329)은, 예를 들어, 금속 와이어(예컨대, 스테인리스 스틸 와이어 또는 니티놀 와이어) 또는 합성 섬유로 제조될 수 있는 편조된 튜브일 수 있다. 내부층(325) 및 외부층(333)은 중합체 재료로 제조된 튜브일 수 있다. 적절한 중합체 재료의 예는 PEBAX® 탄성중합체, 나일론 및 폴리우레탄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내부층(325)과 외부층(333)은 동일한 재료 또는 상이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경우, 보강된 튜브(321)는 압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내부 샤프트(305)는 하나 이상의 유체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포트는 보강된 튜브의 벽부 내에 형성되고, 플러싱 유체가 내부 샤프트의 내부 루멘으로부터 외부 샤프트(309)의 루멘 내로 흐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체 포트(311)는 샤프트가 별도로 플러싱될 것을 요구하지 않고, 단일 주입 포트로부터의 내부 샤프트(305) 및 외부 샤프트(309)의 플러싱을 가능하게 한다. 도 12b 및 도 12c를 참조하면, 각각의 유체 포트(311)는 내부층(325)의 제1 개구부(325a), 제1 개구와 반경 방향으로 정렬된, 외부층(333)의 제2 개구부(333a), 및 2개의 개구부(325a, 333a) 사이의 보강층(329)의 부분(329a)에 있는 구멍(또는 개구부)을 포함한다. 개구부(325a, 333a)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예를 들어, 도 12a 및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타원형, 원형,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임의의 수의 유체 포트(311)가 보강된 튜브(321)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시된 보강된 튜브(321)는 4개의 포트(311)를 포함한다(도 12b에 도시됨). 다수의 유체 포트(311)가 있는 경우, 보강된 튜브(321) 상의 유체 포트(311)의 다양한 배열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2a 내지 도 12c는 보강된 튜브(321)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정렬되고 축 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유체 포트(311)를 도시한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된 튜브(321)는 또한, 도 12c에 도시된 유체 포트로부터 축 방향으로 정렬되고 원주방향으로 이격된(예를 들어, 180도만큼 이격된) 2개의 추가의 유체 포트(311)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체 포트(311)는 보강된 튜브(321) 주위로 이격되고/되거나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 포트(311)는 나선형 패턴을 형성하도록 보강된 튜브(321) 주위로 이격되고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체 포트는, 튜브의 제1 측면부가 복수의 포트(예를 들어, 제1 근위 포트 및 제1 원위 포트)를 포함하고, 튜브의 제2 측면부(예를 들어, 제1 측면부로부터 180도에 위치함)가 복수의 포트(예를 들어, 제2 근위 포트 및 제2 원위 포트)를 포함하고, 포트는 근위에서 원위로, 즉 제1 근위 포트, 제2 근위 포트, 제1 원위 포트, 제2 원위 포트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축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교차-형식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내부 샤프트(305)는, 일부 경우, 보강된 튜브(321)의 근위 부분에 대해 연장되는 커버 튜브(337)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튜브(337)는 유체 포트(311)를 노출시키도록 위치된 하나 이상의 윈도우(341)를 포함한다. 커버 튜브(337)는, 내부 샤프트(305)가 캐리지 부재(500)를 통해 연장될 때(도 11a에 도시됨), 밀봉 부재(552)와 접촉하는 내부 샤프트(305)의 부분이다(도 11a에 도시됨). 커버 튜브(337)는 바람직하게는 밀봉 부재의 슬라이딩을 지지할 수 있는 강성 부재이다. 커버 튜브(337)는 바람직하게는 밀봉 부재(552)에 적절한 밀봉 표면부를 제공하기 위한 표면 마감을 갖는다. 커버 튜브(337)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튜브(337)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조될 수 있다. 커버 튜브(337)는 압착, 접착제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보강된 튜브(321)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2a를 참조하면, 유체(예를 들어, 식염수)는 내부 샤프트를 플러싱하기 위한 목적으로 주입 포트(324)를 통해 내부 샤프트(305) 내로 주입될 수 있다. 유체는 내부 샤프트(305)의 루멘을 통해 이동하게 된다. 내부 샤프트(305)의 루멘을 통해 이동하는 유체의 일 부분은 유체 포트(311)를 통해 빠져 나와 외부 샤프트(309)의 루멘(313)으로 진입하여, 외부 샤프트의 플러싱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내부 샤프트(305) 및 외부 샤프트(309) 둘 모두는 단일 주입 포트를 사용하여 플러싱될 수 있다. 밀봉 부재(552)는 외부 샤프트(309)의 근위 단부에 밀봉부를 형성하고, 외부 샤프트의 근위 단부로부터의 유체의 누출을 방지한다. 나중에, 전달 장치를 사용하는 동안, 밀봉 부재(552)는 또한 외측 샤프트의 근위 단부로부터의 혈액의 누출을 방지함으로써, 지혈을 유지하게 된다.
도 6a 내지 도 6f를 참조하면, 도킹 스테이션(136)은, 도킹 스테이션(136) 및 커넥터 탭(132)이 확장된 구성을 향해 자연적으로 편향되는 자가 확장형 도킹 스테이션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136)이 전달 시스템에 부착된 동안, 혈관계를 통한 삽입 및 트래킹을 위해, 도킹 스테이션(136)은 보다 작은 구성(도 6b에 도시됨)으로 압축된다. 도킹 스테이션의 압축된 구성은 (내부 샤프트(305)에 대해 고정된) 프레임 커넥터(400)에 의해 축 방향으로 제 위치에 유지되고, 외부 샤프트(309)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제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도킹 스테이션(136)은 프레임 커넥터(400) 및 외부 샤프트(309)에 의해, 조기 전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일단 도킹 스테이션(136)이 해부학적 구조 내의 이식 위치에 도달하면, 외부 샤프트(309)는 도킹 스테이션(136)을 노출시키고 전개하기 위해 후퇴될 수 있다.
외부 샤프트(309)가 도킹 스테이션(136)을 노출시키도록 후퇴됨에 따라, 도킹 스테이션(136)의 원위 부분은 확장된다(예를 들어, 도 6c 및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음). 일부 경우, 외부 샤프트(309)의 후퇴를 완료하기 전, 도킹 스테이션(136)을 재배치하고/하거나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경우, 도킹 스테이션(136)을 재배치 및/또는 회수할 수 있도록 외부 샤프트(309)는 도킹 스테이션(136)을 재포착하고 재압축하도록 다시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확장된 구성을 향한 편향은 도킹 스테이션과 프레임 커넥터 사이에 축 방향 장력을 생성할 수 있다. 외부 샤프트가 재포착을 위해 도킹 스테이션 위로 원위로 연장될 때, 축 방향 장력은 도킹 스테이션의 커넥터 탭의 플랜지에 집중될 수 있다. 재포착 및/또는 회수 동안의 상대적으로 높은 힘으로 인해, 도킹 스테이션의 커넥터 탭은 프레임 커넥터(400)로부터 분리를 시도하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도킹 스테이션을 재포착하는 데 필요한 힘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극단적인 경우, 커넥터 탭은 커넥터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이는 도킹 스테이션의 재압축 및/또는 회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7b는 도킹 스테이션의 재압축/회수 동안 반경 방향으로 압축된 구성에서 커넥터 탭을 보유하는 것을 도울 수 있는 프레임 커넥터(400)의 예시적인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프레임 커넥터(400)는 커넥터 몸체(404), 커넥터 몸체(404)의 일 단부에 부착된 플랜지(408), 및 커넥터 몸체(404)의 다른 단부에 부착된 플랜지(412)를 포함한다. 플랜지(408)는 커넥터의 근위 단부(410)를 제공하고, 플랜지(412)는 커넥터의 원위 단부(414)를 제공한다. 프레임 커넥터(400)는 근위 단부(410)로부터 원위 단부(414)까지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415)(또는 중심 축)을 갖는다. 길이방향 축(415)은 커넥터의 축 방향을 정의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커넥터(400)는 플랜지(408, 412) 및 커넥터 몸체(404)를 통해, 그리고 길이방향 축(도 13b의 415)을 따라 연장되는 내부 보어(413)를 갖는다. 내부 보어(413)는 전달 장치의 샤프트 어셈블리의 내부 샤프트의 근위 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플랜지(408)는 내부 보어(413)에 연결되는 반경 방향 구멍(406)을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반경 방향 구멍(406)은 (예를 들어, 오버-몰딩 프로세스에 의해) 프레임 커넥터(400)가 샤프트 어셈블리의 내부 샤프트에 고정될 때 그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로 돌아가면, 커넥터 몸체(404)는 외부 표면부(416) 및 하나 이상의 오목부(420)를 갖는 외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오목부(420)는 도킹 스테이션의 커넥터 탭 중 하나를 수용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7b에 예시된 구현예에서, 2개의 오목부(420)는 커넥터 몸체(404)의 외부에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대체적으로, 복수의 오목부(420)가 커넥터 몸체(404)의 외부에 형성될 경우, 오목부(420)는 커넥터 몸체(404)의 외부를 따라 이격된 위치(즉, 커넥터 몸체(404)의 원주를 따라 분포됨)에 각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이는 또한 "원주형"으로 지칭될 수 있음).
도 13a 및 도 13b를 추가로 참조하면, 각각의 오목부(420)는 "T" 형상을 형성하도록 배열된 제1 슬롯 부분(420a) 및 제2 슬롯 부분(420b)을 갖는 오목형 슬롯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롯 부분(420a)은 커넥터의 길이방향 축(415)과 대체적으로 정렬되고 제2 슬롯 부분(420b)에 대체적으로 수직이다. 제1 슬롯 부분(420a)은 제1 폭(W1)을 가지고, 제2 슬롯 부분(420b)은 제2 폭(W2)을 갖는다. 제2 폭(W2)은 제1 폭(W1)보다 더 크며, 이는 오목부(420)가 더 큰 폭의 슬롯 부분(420b)으로부터 더 작은 폭의 슬롯 부분(420a)으로 전이됨을 의미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부분(132a)을 갖는 커넥터 탭(132)이 외부 표면부(416)로부터 오목부 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오목부(420)는 외부 표면부(416)에서 개방된다.
도 13a 및 도 16a을 참조하면, 각각의 오목부(420)는 오목부 바닥(424), 대향 측벽부(428, 429) 및 단부 벽부(430)를 갖는다. 측벽부(428, 429)는 오목부 바닥(424)의 대향 면부로부터 돌출한다. 측벽부(428)는 외부 표면부(416)의 일 부분(417)에 연결된다. 측벽부(429)는 외부 표면부(416)의 일 부분(418)에 연결된다. 단부 벽부(430)는 오목부 바닥(424)의 단부로부터 돌출하고, 외부 표면부(416)의 일 부분(419)에 연결된다. 오목부 바닥(424)은 표면 부분(417, 418, 419)과 비교하여 상이한 평면 상에 있다. 특히, 오목부 바닥(424)은 도 16a에 보다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 부분(417, 418, 419)에 대해 오목하다(또는 반경 방향으로 내측임).
일 구현예에서, 표면 부분(417, 418)은 동일한 평면 상에 있지만 표면 부분(419)과 비교시 상이한 평면 상에 있다. 예를 들어,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표면 부분(417, 418)은 오프셋 거리(d)만큼 표면 부분(419)의 반경 방향 외측에 있을 수 있다. 다르게 언급하자면, 오목부 바닥(424)에 대한 측벽부(428, 429)의 높이(h1)는 오목부 바닥(424)에 대한 단부 벽부(430)의 높이(h2)보다 클 수 있다. 오목부(420) 내에 수용되는 커넥터 탭이 측벽부(428, 429)와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측벽부(428, 429)의 높이는 커넥터 탭에 대한 충분한 결합 표면부를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측벽부(428)의 제1 부분(428a) 및 측벽부(429)의 제1 부분(429a)은 오목부(420)의 제1 슬롯 부분(420a)의 대향 면부(도 13a에 도시됨)를 형성한다. 단부 벽부(430)는 제1 및 제2 벽부(428, 429)로부터 오목부(420)의 제2 슬롯 부분(420b)의 높이(도 13a에 도시됨)를 결정하는 거리만큼 길이방향으로 변위된다. 측벽부(428)의 제2 부분(428b) 및 측벽부(429)의 제2 부분(429b)은 단부 벽부(430)와 대향하는 관계에 있다. 단부 벽부(430) 및 측벽부(428, 429)의 제2 부분(428b, 429b)은 오목부(420)의 제2 슬롯 부분(420b)의 대향 단부를 형성한다.
도 15는 삽입 위치에서의 도킹 스테이션의 전개 이전에 프레임 커넥터(400)의 오목부(420) 내에 위치된 도킹 스테이션의 커넥터 탭(132)을 도시한다. 커넥터 탭(132)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도킹 스테이션의 프레임의 스트럿(120)의 정점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5에 예시된 구현예에서, 커넥터 탭(132)은 제2 슬롯 부분(420b)에 안착하고 측벽부(428, 429)와 체결되는 펼쳐진 부분(132a)을 갖는다. 펼쳐진 부분(132a)은 제1 슬롯 부분(420a)보다 더 넓기 때문에, 펼쳐진 부분(132a)은 측벽부(428, 429)와 체결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부분(132a)이 측벽부(428, 429)와 체결될 경우, 커넥터 탭(132)은 제1 슬롯 부분(420a)을 통해 축 방향으로 당겨지는 것이 방지된다.
커넥터 탭(132)을 반경 방향으로 압축된 구성으로 보유하고, 이에 따라 축 방향 장력이 도킹 스테이션과 프레임 커넥터 사이에 생성될 때 프레임 커넥터(400)와의 연결을 돕기 위해, 측벽부(428, 429)의 제2 부분(428b, 429b)은 언더컷 벽부로서 형성되며, 이는 각각의 제2 부분(428b, 429b) 아래에 공간부 또는 오목부(또는 각각의 제2 부분(428b, 429b)과 오목부 바닥(424) 사이에 공간부 또는 오목부)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더컷 벽부로서 형성되는 제2 부분(428b, 429b)은 오목부 바닥(424)에 대해 기울어져 있다(즉, 제2 부분(428b, 429b)은 오목부 바닥(424)에 대해 수직이 아님). 제2 부분(428b)과 오목부 바닥(424) 사이의 각도(α)는 90도 미만이고, 제2 부분(429b)과 오목부 바닥(424) 사이의 각도(θ)는 90도 미만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각각의 각도(α 및 θ)는 45도 내지 89.9도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각각의 각도(α 및 θ)는 75도 내지 89.9도의 범위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각각의 각도(α 및 θ)는 81도 내지 86도의 범위일 수 있다. 각도(α 및 θ)는 동일할 수 있거나 상이할 수 있다.
도 17a 및 도 17b에 예시된 바와 같은 프레임 커넥터(400)가 도킹 스테이션(136)을 축 방향으로 구속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도킹 스테이션의 편향에 의해 확장된 구성으로 생성된 인장력은 제2 부분(428b, 429b)에 대해 축 방향으로 커넥터 탭의 펼쳐진 부분(도 15의 132a)을 당긴다. 제2 부분(428b, 429b)의 언더컷은, 인장력의 일부를 프레임 커넥터(400)의 중심 축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내측으로 밀어내는 반경 방향 힘으로 전환함으로써, 도킹 스테이션의 전개 전 도킹 스테이션의 보유 특성을 개선한다. (특정 경우) 81 내지 86도 범위의 제2 부분(428b, 429b)과 오목부 바닥(424) 사이의 각각의 각도(α, θ)는, 도킹 스테이션의 재포착 동안 외부 샤프트가 연장될 때, 도킹 스테이션의 전달 시스템에 대한 고정을 개선한다는 것을 발견되었다.
도 13a 및 도 16a으로 돌아가면, 제1 부분(428a, 429a)은 언더컷 벽부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각각의 제1 부분(428a, 429a)의 아래에 공간부 또는 오목부(또는 각각의 제1 부분(428a, 429a)과 오목부 바닥(424) 사이에 공간부 또는 오목부)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더컷 벽부로서의 제1 부분(428a, 428b)은 오목부 바닥(424)에 대해 기울어져 있다(즉, 제1 부분(428a, 429b)은 오목부 바닥(424)에 대해 수직이 아님). 제1 부분(428a)과 오목부 바닥(424) 사이의 각도(β)는 90도 미만이고, 제1 부분(429a)과 오목부 바닥(424) 사이의 각도(φ)는 90도 미만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각각의 각도(β 및 φ)는 45도 내지 89.9도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각각의 각도(β 및 φ)는 75도 내지 89.9도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각각의 각도(β 및 φ)는 81도 내지 86도의 범위일 수 있다. 각도(β 및 φ)는 동일할 수 있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각도(β 및/또는 φ)는 각도(α 및/또는 θ)와 동일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각도(β 및/또는 φ)는 각도(α 및/또는 θ)와 상이할 수 있다.
도 13a를 참조하면, 각각의 측벽부(428, 429)는 제1 슬롯 부분(420a)이 제2 슬롯 부분(420b)에 연결되는 모서리를 포함한다. 이들 모서리는 둥근 모양일 수 있고, 언더컷이 각각의 측벽부(428, 429)의 전체 길이 아래로 연장되도록 언더컷을 가질 수 있다. 측벽부(428, 429)가 외부 표면 부분(417, 418)과 만나는 에지는 유사하게 둥글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프레임 커넥터(400)를 내부 샤프트(305)의 원위 부분에 커플링시키는 하나의 바람직한 방법(도 5a에 도시됨)은 오버-몰딩 프로세스에 의한 것이다. 오버-몰딩 프로세스 동안, 플랜지(408) 내의 반경 방향 구멍(406)은 주입된 재료의 흐름을 수용할 수 있다. 반경 방향 구멍(406) 내의 재료는, 고형화될 때, 프레임 커넥터(400)를 내부 샤프트(305)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8은 외부 샤프트(309)의 루멘을 통해 연장되는 내부 샤프트(305)를 도시한다. 프레임 커넥터(400)는 외부 샤프트(309)가 프레임 커넥터(400) 위로 그리고 프레임 커넥터(400)의 원위에 있는 내부 샤프트(305)의 일 부분 주위에 배치된 도킹 스테이션 위로 연장될 수 있도록, 외부 샤프트(309)에 대해 크기가 정해진다.
도 19 및 도 20은 압축된 구성에서 도킹 스테이션(136)을 포함하는 전달 장치(300)의 일 부분을 도시한다. 외부 샤프트(309)는 도킹 스테이션(136)을 캡슐화하도록 연장된다. 도킹 스테이션(136)의 각각의 커넥터 탭(132)은 프레임 커넥터(400)의 각각의 오목부(420)에 배치되고 오목부(420)의 측벽부와 체결된다. 도킹 스테이션(136)은 프레임 커넥터(400)에 의해 축 방향으로 그리고 외부 샤프트(309)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제자리에 유지된다. 도 19 및 도 20에는 전달 장치의 일 부분만이 도시되어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전달 장치의 나머지 부분(예를 들어, 노즈콘까지 연장되는 부분, 핸들, 노즈콘, 및 핸들에 커플링되는 부분)은 도 5a에서 도시된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전달 어셈블리는 환자의 신체 내에 삽입될 수 있고 환자의 혈관계를 통해 이식 위치로 전진될 수 있다. 이식 위치에서, 외부 샤프트(309)는 도킹 스테이션(136)을 노출시키고 도킹 스테이션을 전개하기 위해 후퇴될 수 있다(도 6c 내지 도 6f에 도시됨). 도킹 스테이션(136)의 재포착 중, 외부 샤프트(309)가 도킹 스테이션(136)을 덮도록 연장되는 동안 내부 샤프트(305)는 높은 인장 하중 하에 있을 수 있다. 오목부(420)의 측벽부의 언더컷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커넥터 탭(132)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커넥터 탭(132)을 프레임 커넥터(400)의 중심 축을 향해 내측으로 밀어내는 반경 방향 힘으로 전환할 수 있음으로써, 전달 장치와 도킹 스테이션 사이의 연결을 유지한다.
도 22-43은 구동 부재 어셈블리(600) 및 이의 구성요소의 일례를 도시한다. 구동 부재 어셈블리(600)는 전달 장치(300)의 구동 부재(320)와 기능적으로 유사하다. 이와 같이, 일부 경우, 구동 부재 어셈블리(600)는 구동 부재(320)를 대신하여 전달 장치(300)에 사용될 수 있다. 구동 부재 어셈블리(600)는 또한 "작동 노브 어셈블리" 또는 "전개 휠 어셈블리"로 지칭될 수 있다.
도 22-23을 참조하면, 구동 부재 어셈블리(600)는 3개의 주요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노브(602), 제1 몸체 부재(604a), 및 제2 몸체 부재(604b). 제1 몸체 부재(604a) 및 제2 몸체 부재(604b)는 집합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본원에서 "몸체 부재(604)"로 지칭된다. (구동 부재(320)와 같은 하나의 단일 구성요소와 반대로) 함께 커플링될 수 있는 복수의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구동 부재 어셈블리(600)를 형성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구성요소는 몰딩을 통해 그리고 (예를 들어, 나사식 보어를 형성하기 위한) 추가의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고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부재 어셈블리(600)의 모듈식 설계는 제조 시간 및/또는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제1 몸체 부재(604a) 및 제2 몸체 부재(604b)는 두 피스가 함께 커플링될 수 있게 하는 정합 특징부를 갖는 동일한 부품이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몸체 부재는 또한 "몸체 절반부"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구동 부재 어셈블리는 3개 이상의 몸체 부재(예를 들어, 3개 또는 4개의 몸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한 부품(예를 들어, 추가 비용/시간 절감을 제공할 수 있는 설계, 제조 및/또는 보관에 대한 더 적은 부품)으로서 몸체 부재를 형성하는 것은 이점을 갖지만, 몸체 부재는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몸체 부재는, 일부 경우, (예를 들어, 정합 특징부, 패스너, 접착제, 및/또는 커플링를 위한 다른 수단을 통해) 함께 커플링될 수 있는 동일하지 않은 부품(예를 들어, 2 내지 4개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시된 구현예는 구동 부재 어셈블리의 구성요소 사이에 " 스냅 피팅" 연결부를 포함하지만, 일부 구현예는 패스너(예를 들어, 나사), 접착제 등과 같은 추가적이거나 대안적인 커플링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도 22 및 도 23을 계속 참조하면, 구동 부재 어셈블리(600)의 노브(602)는 대체적으로 외부 표면부, 내부 표면부, 및 개구부(606)를 갖는다(도 26). 노브(602)의 외부 표면부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고 구동 부재 어셈블리(600)가 커플링되는 핸들의 몸체(예를 들어, 핸들(302) - 도 7a 내지 7c 참조)에 대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노브(602)는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외부 표면부 상에 하나 이상의 특징부를 가질 수 있다.
노브(602)의 내부 표면부는 노브(602)를 몸체 부재(604)에 고정시키고 노브(602)와 몸체 부재(604) 사이의 상대적 회전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몸체 부재(604)와 정합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노브(602) 및 몸체 부재(604)는 함께 커플링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노브(602) 및 몸체 부재(604)는 (예를 들어, 축 방향 및 회전방향으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상대적으로 적은 범위의 "유격"은 제외됨). 노브(602)와 몸체 부재(604)를 이러한 방식으로 함께 커플링시키는 예시적인 방법에 대한 추가적인 세부 사항이 아래에 제공된다.
도 26을 참조하면, 노브(602)의 개구부(606)는 전달 장치의 샤프트가 노브를 통해 연장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노브(602)는 전달 장치의 샤프트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도 22 및 도 23을 다시 참조하면, 구동 부재 어셈블리(600)의 몸체 부재(604)는 또한, 조립될 때 대체적으로 환형(및 개별 구성요소로서 반-환형)이며, 따라서 외부 표면부, 내부 표면부, 및 내부 표면부에 의해 정의된 루멘을 포함한다. 각각의 몸체 부재의 외부 표면부는 몸체 부재(604)를 다른 몸체 부재, 노브(602), 및/또는 핸들의 몸체에 커플링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특징부(예를 들어, 탭, 플랜지, 슬롯, 오목부, 개구부 등)를 포함한다. 이들 외부 특징부는 아래에 추가로 설명된다.
각각의 몸체 부재(604)의 내부 표면부의 일 부분은 캐리지 부재의 상응하는 나사산(예를 들어, 캐리지 부재(500)의 나사산(518))과 나사식으로 정합되도록 구성된 나사산(608)을 포함한다. 따라서, 조립될 때(예를 들어, 도 22), 몸체 부재는 캐리지 부재를 그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나사식 보어를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몸체 부재(604)가 캐리지 부재에 대해 회전될 때, 캐리지 부재는 몸체 부재(604)에 의해 형성된 나사식 보어를 따라 축방향으로(예를 들어, 근위 및 원위로) 병진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핸들(302)의 몸체(304)에 대해 노브(602)를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전달 장치(300)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캐리지 부재의 축방향 이동은 전달 장치의 내부 샤프트에 대해 전달 장치의 외부 샤프트를 이동시키며, 이는 전달 장치의 외부 샤프트로부터/내에서 도킹 장치를 전개 및/또는 재포착할 수 있게 한다.
몸체 부재(604)의 루멘은 전달 장치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전달 장치의 캐리지 부재 및 샤프트는 루멘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단 구동 부재 어셈블리(600)가 조립되면, 이는 구동 부재(320)가 핸들 본체 및 전달 장치의 다른 구성요소에 커플링되는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핸들 본체 및 전달 장치의 다른 구성요소에 커플링된다. 일단 핸들 몸체에 커플링되면, 구동 부재 어셈블리(600)를 포함하는 핸들의 기능은 구동 부재(320)를 포함하는 핸들의 기능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이와 같이, 다음의 설명은 구동 부재 어셈블리가 개별 구성요소(예를 들어, 도 23)로부터 조립된 구성(예를 들어, 도 22)으로 조립될 수 있는 방법 및 구동 부재 어셈블리를 조립된 구성으로 유지하는 다양한 특징부에 중점을 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 부재는 몸체 부재를 함께 커플링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특징부는 자체 정합 특징부(추가의 패스너, 접착제, 및/또는 커플링을 위한 다른 외부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음) 및/또는 다른 정합 특징부(예를 들어, 나사를 수용하기 위한 나사식 보어 및/또는 탭)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몸체 부재(604)는 "스냅-피팅" 연결부를 통해 몸체 부재(604)를 함께 정렬 및/또는 고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정합 특징부를 포함한다. 도시된 구현예는 복수의 정합 특징부를 포함하지만, 일부 구현예에서, 정합 특징부 중 하나 이상은 생략될 수 있다.
각각의 몸체 부재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보스 및 하나 이상의 가이드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로서, 각각의 몸체 부재(604)는 가이드 보스(610) 및 가이드 오목부(612)를 포함한다. 구동 부재 어셈블리(600)에 관한 본 개시의 적어도 일 부분에서, 식별자 "a" 및 "b"(예를 들어, "610a" 및 "612b")는 정합 특징부가 어느 몸체 부재의 일부인지를 나타낸다(또는 노브(602)의 경우, 해당 정합 특징부가 어떤 몸체 부재와 체결되도록 의도되는지를 나타냄). 예를 들어, 가이드 보스(610a)는 제1 몸체 부재(604a)의 일 부분이고, 가이드 오목부(612b)는 제2 몸체 부재(604b)의 일 부분이다.
각각의 몸체 부재(604)의 가이드 보스(610)는 몸체 부재(604)의 에지 표면부로부터 멀리 연장되고, 다른 몸체 부재(604)의 가이드 오목부(612)와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각각의 몸체 부재(604)의 가이드 오목부(612)는 다른 몸체 부재(604)의 가이드 보스(61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31은 가이드 보스(610)와 가이드 오목부(612) 사이의 체결을 도시한다. 도 31은 도 30에 도시된 라인 31-31을 따라 취해진 단면 사시도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이드 보스(610) 및 가이드 오목부(612)는 조립 동안 서로 함께 몸체 부재(604)를 정렬하는 것을 돕는다. 몸체 부재의 가이드 보스(610) 및 가이드 오목부(612)는 또한 몸체 부재(604) 간의 상대적인 축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각각의 몸체 부재(604)는 하나 이상의 스냅 후크 및 하나 이상의 스냅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몸체 부재는 2개의 스냅 후크(614) 및 2개의 스냅 개구부(616)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각각의 몸체 부재는 2개 이상 또는 초과의 스냅 후크 및/또는 스냅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몸체 부재(604)는 몸체 부재의 각각의 측면부에 하나의 스냅 후크(614) 및 하나의 스냅 개구부(616)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각각의 몸체 부재는 일 측면부 상에 복수의 스냅 후크 및 다른 측면부 상에 복수의 스냅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9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부재(604)의 스냅 후크(614)는 다른 몸체 부재(604)의 스냅 개구부(616)를 통해 연장되고 다른 몸체 부재(604)와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냅 후크(614) 및 스냅 개구부(616)는 몸체 부재(604)가 서로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각각의 몸체 부재(604)는 하나 이상의 정렬 탭 및 하나 이상의 정렬 노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몸체 부재는 2개의 정렬 탭(618) 및 2개의 정렬 노치(620)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각각의 몸체 부재는 2개 미만 또는 초과의 정렬 탭 및/또는 정렬 노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몸체 부재(604)는 몸체 부재의 각각의 측면부 상에 하나의 정렬 탭(618) 및 하나의 정렬 노치(620)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각각의 몸체 부재는 일 측면부 상에 복수의 정렬 탭 및 다른 측면부 상에 복수의 정렬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9 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부재(604)의 정렬 탭(618)은 다른 몸체 부재(604)의 정렬 노치(6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정렬 탭(618) 및 정렬 노치(620)는 (예를 들어, 조립 동안) 몸체 부재를 정렬시키고, (예를 들어, 조립 후 및/또는 사용 동안) 몸체 부재(604) 간의 이동(예를 들어, 측방향 및/또는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돕는다.
몸체 부재의 다양한 정합 및/또는 정렬 특징부의 위치는 일부 구현예에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냅 후크 및 스냅 개구부는 도시된 구현예에 도시된 위치에 대해 근위 또는 원위(각각 도 30에 도시된 배향으로 우측 또는 좌측)로 이동될 수 있다.
몸체 부재(604)가 조립된 상태에서(예를 들어, 도 29), 노브(602)가 이에 커플링될 수 있다. 노브(602) 및 몸체 부재(604)는, 노브(602) 및 몸체 부재(604)가 함께(예를 들어, 축방향 및/또는 회전식으로) 이동하도록, 구성요소를 함께 고정시키고/시키거나 구성요소가 함께 고정(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함께 고정)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4 및 도 35를 참조하면, 각각의 몸체 부재(604)는 토크 키(6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노브(602)는 토크 키(622)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토크 슬롯(624)을 포함할 수 있다(또한, 도 27 참조). 노브(602)와 몸체 부재(604) 사이의 이러한 "키형" 연결부는, 예를 들어(예를 들어, 도킹 스테이션을 전개 및/또는 재포착할 때), 구성요소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키형 연결부는 또한 조립 중 구성요소를 정렬시켜 구성요소가 적절히 조립되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토크 키 및/또는 토크 키 슬롯은 (예를 들어, 축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램핑형(ramped) 표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램핑형 표면부는 노브와 몸체 부재가 함께 더 가깝게 이동함에 따라 이들 사이의 체결을 증가시킬 수 있다.
노브(602) 및 몸체 부재(604)는 또한 노브(602)와 몸체 부재(604) 사이의 축방향의 상대적인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시된 구현예에서, 각각의 몸체 부재(604)는 램핑형 돌출부(626)를 포함하고, 노브(602)는 복수의 램핑형 오목부(628)를 포함한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부재(604)의 램핑형 돌출부(626)는, 몸체 부재(604)의 램핑형 돌출부(626)의 근위 단부가, 램핑형 오목부(628)의 근위 벽부를 정의하는 노브(602)의 숄더부(630)에 대하여 원위에 배치될 때까지 램핑형 오목부(628) 내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노브(602)와 몸체 부재(604)는 스냅-피팅 유형 연결부를 형성한다.
스냅-피팅 유형 연결부 대신 또는 이에 더하여, 일부 구현예에서, 노브와 몸체 부재 사이의 상대적인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다른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 부재는 노브를 통해, 그리고 오목부 내로, 플랜지 사이에서, 및/또는 보어 내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 나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오목부, 플랜지, 및/또는 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노브 및/또는 몸체 부재는 몸체 부재 사이의 적어도 소량의 축방향 유격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몸체 부재가 서로에 대해 적어도 약간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예를 들어 몸체 부재(604)의 나사산(608)이 캐리지 부재의 나사산과 자기 정렬될 수 있게 한다. 이는, 예를 들어(예를 들어, 도킹 스테이션을 전개 및/또는 재포착할 때), 핸들 몸체에 대해 노브(602)를 회전시키는 데 필요한 결합 및/또는 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602) 및 몸체 부재(604)는 몸체 부재(604)의 원위 단부와 노브(602) 사이에 작은 소량의 축방향 갭(632)이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몸체 부재(604)는 노브(602)에 대해 적어도 약간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축방향 이동은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634a) 및 화살표(634b)로 표시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노브(602) 및/또는 몸체 부재(604)는 노브(602)에 대한 몸체 부재(604)의 약간의 축방향 이동을 여전히 허용하면서, 노브가 몸체 부재(604)에 대해 느슨해지고/느슨해지거나 덜거덕거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특징부(예를 들어, 편향 메커니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38 내지 도 41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각각의 몸체 부재(604)는 2개의 스프링 탭(636)을 포함하고, 노브(602)는 4개의 스프링 탭 정지부(638)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각각의 몸체 부재는 2개 초과 또는 미만(예를 들어, 0, 1, 3, 4, 5, 6개 등)의 스프링 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노브는 4개 이상 또는 미만(예를 들어, 0 내지 3개, 4 내지 12개 등)의 스프링 탭 정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2 및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부재(604)의 스프링 탭(636)은 노브(602)의 스프링 탭 정지부(638)와 원주방향으로 정렬되고 축방향으로 접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스프링 탭(636)을 약간 편향시킨다. 따라서, 스프링 탭(636)과 스프링 탭 정지부(638) 사이의 체결은 노브(602)의 숄더부(630)(도 36)에 대해 몸체 부재를 근위로(예를 들어, 도 43에 도시된 배향으로 우측으로)로 편향시킨다. 그 결과, 노브(602)는 몸체 부재에 대해 고정되고/되거나 덜거덕거리지 않게 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다양한 다른 유형의 편향 부재 및/또는 편향 메커니즘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브 및 몸체 부재 둘 모두는 정지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스프링(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 리프 스프링, 캔틸레버 스프링 등)이 정지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웨이브 와셔는 노브와 몸체 부재 사이에 (예를 들어, 갭(63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편향 메커니즘(예를 들어, 탭/정지부, 스프링 등)은 제1 몸체 부재에 제1 편향력(예를 들어, 더 적은 힘)을 인가하고 제2 몸체 부재에 제2 편향력(예를 들어, 더 큰 힘)을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불균일한 편향력은, 예를 들어, 하나의 몸체 부재(예를 들어, 제1 몸체 부재)가 다른 몸체 부재(예를 들어, 제2 몸체 부재)보다 노브에 대해 축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약간의 축방향 이동은, 무엇보다도, 몸체 부재의 나사산이 캐리지의 나사산과 자가 정렬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도킹 스테이션의 전개 및/또는 재포착 동안) 결합을 감소시키고/시키거나 노브를 회전시키는 데 필요한 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노브의 하나 이상의 스프링 탭 정지부는 근위 방향으로의 편향력이 다른 몸체 부재보다 몸체 부재 중 하나에 더 크도록 하나 이상의 다른 스프링 탭 정지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노브를 고정시키고, 노브가 덜거덕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 부재 중 하나가 다른 몸체 부재에 대해 약간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몸체 부재의 나사산을 캐리지의 나사산과 자가 정렬시킬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도 42 및 도 43을 참조하면, 노브(602)의 스프링 탭 정지부(638b)는 스프링 탭 정지부(638a)에 대해 약간 근위에서 축방향으로 오프셋되고, 제1 몸체 부재(604a)의 스프링 탭(636a) 및 제2 몸체 부재(604b)의 스프링 탭(636b)은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이와 같이, 노브(602)의 스프링 탭 정지부(638b)는, 노브(602)의 스프링 탭 정지부(638a)가 제1 몸체 부재(604a)의 스프링 탭(636a)를 편향시키는 것보다 더 크게 제2 몸체 부재(604b)의 스프링 탭(636b)을 편향시킨다. 이러한 더 큰 편향으로 인해, 제2 몸체 부재(604b)의 스프링 탭(636b)은 제1 몸체 부재(604a)의 스프링 탭(636a)보다 노브(602)에 더 큰 편향력을 가한다. 따라서, 화살표(634a 및 634b)의 각각의 길이로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 부재(604a)는 제2 몸체 부재(604b)보다 상대적으로 보다 용이하게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축방향 오프셋 스프링 탭 정지부 대신 또는 이에 더하여, 스프링 탭 자체는 상이한 편향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몸체 부재의 스프링 탭은 다른 몸체 부재의 스프링 탭에 대해 축방향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대한 대안으로서 조합되거나 사용될 수 있는 일례로서, 스프링 탭 중 하나 이상은 보다 탄성적일 수 있다(따라서 더 큰 편향력을 제공함). 이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다른 스프링 탭과 비교하여 상이한 크기 및/또는 형상을 갖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탭을 형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이한 스프링 비율을 갖는 스프링이 불균일한 편향력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프링 비율을 갖는 하나 이상의 제1 스프링이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제1 몸체 부재와 노브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스프링 비율을 갖는 하나 이상의 제2 스프링이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제2 몸체 부재와 노브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프링 비율은 제2 스프링 비율과 상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몸체 부재 중 하나는 다른 몸체 부재보다 노브에 대해 축방향으로 적게 구속된다.
도 38 및 도 39를 다시 참조하면, 각각의 몸체 부재는 2개의 스프링 탭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 탭의 수는 다양할 수 있거나(예를 들어, 각각의 몸체 부재 상에 하나의 스프링 탭)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스프링 탭은 토크 키(622)의 각 측면부에 하나의 스프링 탭이 있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스프링 탭은 몸체 부재의 다양한 다른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도 38을 참조하면, 각각의 몸체 부재는 플랜지 부분(640)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 부재(604)의 플랜지 부분(640)은, 노브(602)가 핸들 몸체에 대해 회전됨에 따라 핸들 몸체와 구동 부재 어셈블리(600) 사이의 상대적인 축방향을 제한하도록 핸들 몸체의 2개의 플랜지 사이 및/또는 오목부 내에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몸체 부재는, 구동 부재 어셈블리와 핸들 몸체 사이의 상대적인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돌출부 및/또는 나사 세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부재 어셈블리의 모듈화로 인해, 다양한 구성요소는 비교적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 부재 어셈블리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제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표시(예를 들어, 색상, 스탬핑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경우, 예를 들어, 구동 부재 어셈블리의 노브는 이의 크기, 제품, 전달 절차(경대퇴, 경치 등), 및/또는 다른 정보에 대한 비교적 쉬운 표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색상 코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단 구동 부재 어셈블리(600)가 조립되면, 구동 부재 어셈블리(600)는, 예를 들어 구동 부재(320)가 전달 장치(300)의 다른 구성요소에 커플링되는 방식과 유사한 전달 장치의 다양한 다른 구성요소에 커플링될 수 있다. 구동 부재 어셈블리(600)는, 전달 장치의 다른 구성요소와 함께, 도킹 스테이션을 전달, 전개 및/또는 재포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전달 장치 및/또는 이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예를 들어, 구동 부재 어셈블리(600))는 다양한 다른 유형의 인공 이식물(예를 들어, 스텐트 및/또는 인공 심장 판막)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다양한 시스템, 장치, 기구 등 중 어느 하나는 환자에게 사용하기에 안전한지 보장하기 위해 (예를 들어, 열, 방사선, 에틸렌 옥사이드, 과산화수소 등으로) 멸균될 수 있고, 본원의 방법은 연관된 시스템, 장치, 기구 등의 (예를 들어, 열, 방사선, 에틸렌 옥사이드, 과산화수소 등으로의) 멸균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 또는 본원에 통합되는 참조에서 설명되거나 제시된 치료 기술, 방법, 단계 등은 살아있는 동물 또는 사체, 사체 심장, 인체형태 고스트, 시뮬레이터 등과 같은, 비-생존 시뮬레이션(예를 들어, 신체 부위, 조직 등이 시뮬레이션됨)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의 추가적인 구현예
개시된 주제의 전술한 구현예를 고려하여, 본 출원은 아래에 열거된 추가의 구현예를 개시한다. 하나 이상의 추가 예의 하나 이상의 특징과 조합하여 취해진 예의 하나의 특징 또는 하나 이상의 특징이 또한 본 출원의 개시에 포함되는 추가 예임을 주목해야 한다.
구현예 1. 핸들 몸체, 캐리지 부재, 제1 샤프트, 제2 샤프트, 및 구동 부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달 장치로서, 상기 핸들 몸체는 근위 단부, 원위 단부, 상기 근위 단부와 상기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 및 상기 근위 단부와 상기 원위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공동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지 부재는 상기 공동 내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 몸체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핸들 몸체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 샤프트는 상기 캐리지 부재에 대해 고정된 근위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샤프트는 상기 제1 샤프트의 루멘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핸들 몸체에 대해 고정되고, 상기 구동 부재 어셈블리는 노브 및 복수의 몸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노브 및 상기 복수의 몸체 부재의 각각의 몸체 부재는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형성되고, 상기 구동 부재 어셈블리는, 상기 핸들 몸체에 대해 제1 회전 방향으로 상기 구동 부재의 노브를 회전시키는 단계가 상기 캐리지 부재 및 상기 제1 샤프트를 상기 핸들 몸체 및 상기 제2 샤프트에 대해 근위로 이동시키고, 상기 구동 부재의 노브를 상기 핸들 몸체에 대해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가 상기 캐리지 부재 및 상기 제1 샤프트를 상기 핸들 몸체 및 상기 제2 샤프트에 대해 원위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캐리지 부재 및 상기 핸들 몸체에 커플링되는, 전달 장치.
구현예 2.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1에 있어서, 캐리지 부재는 나사산 부분을 포함하되, 구동 부재 어셈블리의 복수의 몸체 부재는, 상기 캐리지 부재의 나사산 부분을 나사식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나사식 루멘을 형성하는, 전달 장치.
구현예 3.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1 또는 구현예 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구동 부재 어셈블리는, 구동 부재 어셈블리가 핸들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축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핸들 몸체에 커플링되는, 전달 장치.
구현예 4.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1 내지 구현예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구동 부재 어셈블리의 복수의 몸체 부재는, 구동 부재 어셈블리가 핸들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축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핸들 몸체와 체결하도록 구성된 플랜지를 형성하는, 전달 장치.
구현예 5.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1 내지 구현예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캐리지 부재는, 캐리지 부재가 핸들 본체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이에 회전식으로 고정되도록, 핸들 본체에 커플링되는, 전달 장치.
구현예 6.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1 내지 구현예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핸들 몸체는, 캐리지 부재가 핸들 몸체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이에 회전식으로 고정되도록, 핸들 몸체로부터 연장되고 캐리지 부재와 체결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전달 장치.
구현예 7.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1 내지 구현예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복수의 몸체 부재는 정확히 2개의 몸체 부재를 포함하는, 전달 장치.
구현예 8.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1 내지 구현예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복수의 몸체 부재는 정확히 3개의 몸체 부재를 포함하는, 전달 장치.
구현예 9.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1 내지 구현예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복수의 몸체 부재는 정확히 4개의 몸체 부재를 포함하는, 전달 장치.
구현예 10.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1 내지 구현예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복수의 몸체 부재의 각각의 몸체 부재는 동일한, 전달 장치.
구현예 11.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1 내지 구현예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복수의 몸체 부재 중 하나 이상의 몸체 부재는 복수의 몸체 부재를 함께 커플링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정합 특징부를 포함하는, 전달 장치.
구현예 12.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11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정합 특징부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보스 및 하나 이상의 가이드 오목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 오목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 보스를 그 안에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전달 장치.
구현예 13.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11 또는 구현예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정합 특징부는 하나 이상의 스냅 후크 및 하나 이상의 스냅 후크 개구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스냅 후크 개구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스냅 후크를 그 안에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전달 장치.
구현예 14.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11 내지 구현예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정합 특징부는 하나 이상의 정렬 탭 및 하나 이상의 정렬 노치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정렬 노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정렬 탭을 그 한에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전달 장치.
구현예 15.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1 내지 구현예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노브 및 복수의 몸체 부재 중 하나 이상의 몸체 부재는 노브 및 복수의 몸체 부재를 함께 커플링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정합 특징부를 포함하는, 전달 장치.
구현예 16.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15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정합 특징부는 하나 이상의 토크 키 및 하나 이상의 토크 슬롯을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토크 슬롯은 상기 하나 이상의 토크 키를 그 안에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전달 장치.
구현예 17.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16에 있어서, 복수의 몸체 부재는 하나 이상의 토크 키 중 적어도 하나의 토크 키를 포함하고, 노브는 하나 이상의 토크 슬롯 중 적어도 하나의 토크 슬롯을 포함하는, 전달 장치.
구현예 18.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16 또는 구현예 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복수의 몸체 부재는 하나 이상의 토크 슬롯 중 적어도 하나의 토크 술롯을 포함하고, 노브는 하나 이상의 토크 키 중 적어도 하나의 토크 키를 포함하는, 전달 장치.
구현예 19.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15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정합 특징부는 하나 이상의 램핑형 표면부 및 하나 이상의 숄더부를 정의하는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램핑형 표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오목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숄더부와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전달 장치.
구현예 20.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19에 있어서, 복수의 몸체 부재의 몸체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하나 이상의 램핑형 표면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노브는 하나 이상의 오목부 중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의 숄더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달 장치.
구현예 21.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19 또는 구현예 2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복수의 몸체 부재의 몸체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하나 이상의 오목부 중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의 숄더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노브는 하나 이상의 램핑형 표면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달 장치.
구현예 22.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1 내지 구현예 2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노브 및 복수의 몸체 부재는 노브에 대해, 복수의 몸체 부재 중 하나 이상의 몸체 부재의 위치를 편향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편향 부재를 포함하는, 전달 장치.
구현예 23.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1 내지 구현예 2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노브 및 복수의 몸체 부재는 노브에 대해, 복수의 몸체 부재 중 하나 이상의 몸체 부재의 위치를 편향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편향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전달 장치.
구현예 24.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22 또는 구현예 2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편향 부재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탭 및 하나 이상의 스프링 탭 정지부를 포함하는, 전달 장치.
구현예 25.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24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스프링 탭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몸체 부재 중 하나의 몸체 부재 상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스프링 탭 정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노브 상에 배치되는, 전달 장치.
구현예 26.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24 또는 구현예 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스프링 탭은 복수의 스프링 탭이되, 상기 복수의 스프링 탭은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전달 장치.
구현예 27.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24 또는 구현예 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스프링 탭은 복수의 스프링 탭이되, 상기 복수의 스프링 탭은 축방향으로 오프셋되는, 전달 장치.
구현예 28.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24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스프링 탭 정지부는 복수의 스프링 탭 정지부이되, 상기 복수의 스프링 탭 정지부는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전달 장치.
구현예 29.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24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스프링 탭 정지부는 복수의 스프링 탭 정지부이되, 상기 복수의 스프링 탭 정지부는 축방향으로 오프셋되는, 전달 장치.
구현예 30. 노브 및 복수의 몸체 부재를 포함하는, 전달 장치를 위한 구동 부재 어셈블리로서, 상기 복수의 몸체 부재의 각각의 몸체 부재는 상기 노브 및 상기 복수의 몸체 부재의 다른 몸체 부재와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형성되는, 구동 부재 어셈블리.
구현예 31.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30에 있어서, 노브 및 복수의 몸체 부재의 각각의 몸체 부재는 몰딩을 통해 형성되는, 구동 부재 어셈블리.
구현예 32.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30 또는 구현예 3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복수의 몸체 부재의 각각의 몸체 부재는 몰딩을 통해 형성된 나사산 부분을 포함하는, 구동 부재 어셈블리.
구현예 33.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30 내지 구현예 3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복수의 몸체 부재는 복수의 몸체 부재를 함께 커플링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정합 특징부를 포함하는, 구동 부재 어셈블리.
구현예 34.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30 내지 구현예 3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노브 및 복수의 몸체 부재는 노브 및 복수의 몸체 부재를 함께 커플링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정합 특징부를 포함하는, 구동 부재 어셈블리.
구현예 35. 전달 장치를 위한 구동 부재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제1 몰드 형상의 노브를 형성하는 단계, 제2 몰드 형상의 제1 몸체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제2 몰드 형상의 제2 몸체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구현예 36.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35에 있어서, 노브를 형성하는 단계의 수행은 제1 몸체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의 수행 또는 제2 몸체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의 수행 이전에 이루어지는, 방법.
구현예 37.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35에 있어서, 노브를 형성하는 단계의 수행은 제1 몸체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의 수행 또는 제2 몸체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의 수행 이후에 이루어지는, 방법.
구현예 38.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35에 있어서, 노브를 형성하는 단계의 수행은 제1 몸체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의 수행 또는 제2 몸체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의 수행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방법.
구현예 39.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35에 있어서, 노브를 형성하는 단계의 수행은 제1 몸체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의 수행 및 제2 몸체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의 수행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방법.
구현예 40.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35 내지 3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노브를 제1 몸체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의 수행은 제2 몸체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의 수행 이전에 이루어지는, 방법.
구현예 41.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35 내지 3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노브를 제1 몸체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의 수행은 제2 몸체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의 수행 전에 이루어지는, 방법.
구현예 42.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35 내지 3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몸체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의 수행은 제2 몸체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의 수행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방법.
구현예 43. 본원의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장치, 특히 구현예 1 내지 34 중 어느 하나의 장치를 멸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구현예 44. 본원에 개시된 인공 장치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1 내지 34 중 어느 하나의 인공 장치를 이식하는, 방법.
구현예 45. 본원에 개시된 인공 장치 중 어느 하나, 특히 구현예 1 내지 34 중 어느 하나의 인공 장치에 대한 이식 절차를 시뮬레이션하는, 방법.
임의의 구현예와 관련하여 본원에 기술된 특징부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 중 임의의 하나 이상에 기술된 다른 특징부와 조합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의 원리가 적용될 수 있는 많은 가능한 방법을 고려할 때, 예시된 구성은 개시된 기술의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의 범위 또는 청구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오히려, 청구된 주제의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 및 그의 균등물에 의해 정의된다.

Claims (15)

  1. 전달 장치로서:
    핸들 몸체이되, 근위 단부, 원위 단부, 상기 근위 단부와 상기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 및 상기 근위 단부와 상기 원위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공동을 포함하는, 핸들 몸체;
    상기 공동 내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 몸체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핸들 몸체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캐리어 부재;
    상기 캐리지 부재에 대해 고정된 근위 단부를 갖는 제1 샤프트;
    상기 제1 샤프트의 루멘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핸들 몸체에 대해 고정된 제2 샤프트; 및
    노브 및 복수의 몸체 부재를 포함하는 구동 부재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노브 및 상기 복수의 몸체 부재의 각각의 몸체 부재는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형성되고, 상기 구동 부재 어셈블리는, 상기 핸들 몸체에 대해 제1 회전 방향으로 상기 구동 부재의 노브를 회전시키는 단계가 상기 캐리지 부재 및 상기 제1 샤프트를 상기 핸들 몸체 및 상기 제2 샤프트에 대해 근위로 이동시키고, 상기 구동 부재의 노브를 상기 핸들 몸체에 대해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가 상기 캐리지 부재 및 상기 제1 샤프트를 상기 핸들 몸체 및 상기 제2 샤프트에 대해 원위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캐리지 부재 및 상기 핸들 몸체에 커플링되는, 전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캐리지 부재는 나사산 부분을 포함하되, 구동 부재 어셈블리의 복수의 몸체 부재는, 상기 캐리지 부재의 나사산 부분을 나사식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나사식 루멘을 형성하는, 전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구동 부재 어셈블리는, 구동 부재 어셈블리가 핸들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축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핸들 몸체에 커플링되는, 전달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 부재 어셈블리의 복수의 몸체 부재는, 구동 부재 어셈블리가 핸들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축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핸들 몸체와 체결하도록 구성된 플랜지를 형성하는, 전달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리지 부재는, 캐리지 부재가 핸들 본체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이에 회전식으로 고정되도록, 핸들 본체에 커플링되는, 전달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핸들 몸체는, 캐리지 부재가 핸들 몸체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이에 회전식으로 고정되도록, 핸들 몸체로부터 연장되고 캐리지 부재와 체결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전달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몸체 부재는 정확히 2개의 몸체 부재를 포함하는, 전달 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몸체 부재는 정확히 3개의 몸체 부재를 포함하는, 전달 장치.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몸체 부재는 정확히 4개의 몸체 부재를 포함하는, 전달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몸체 부재의 각각의 몸체 부재는 동일한, 전달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몸체 부재 중 하나 이상의 몸체 부재는 복수의 몸체 부재를 함께 커플링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정합 특징부를 포함하는, 전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정합 특징부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보스 및 하나 이상의 가이드 오목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 오목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 보스를 그 안에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전달 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정합 특징부는 하나 이상의 스냅 후크 및 하나 이상의 스냅 후크 개구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스냅 후크 개구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스냅 후크를 그 안에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전달 장치.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정합 특징부는 하나 이상의 정렬 탭 및 하나 이상의 정렬 노치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정렬 노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정렬 탭을 그 한에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전달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브 및 복수의 몸체 부재 중 하나 이상의 몸체 부재는 노브 및 복수의 몸체 부재를 함께 커플링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정합 특징부를 포함하는, 전달 장치.
KR1020247010086A 2021-08-30 2022-08-29 인공 장치를 이식하기 위한 전달 장치 및 방법 KR202400485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238599P 2021-08-30 2021-08-30
US63/238,599 2021-08-30
PCT/US2022/041833 WO2023034189A1 (en) 2021-08-30 2022-08-29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s for implanting prosthetic devi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8554A true KR20240048554A (ko) 2024-04-15

Family

ID=83439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0086A KR20240048554A (ko) 2021-08-30 2022-08-29 인공 장치를 이식하기 위한 전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KR (1) KR20240048554A (ko)
CN (2) CN219557675U (ko)
AU (1) AU2022340469A1 (ko)
CA (1) CA3230150A1 (ko)
IL (1) IL311068A (ko)
WO (1) WO2023034189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6619A (en) * 1997-07-24 1999-05-25 Medtronic, Inc. Disposable delivery device for endoluminal prostheses
US9339384B2 (en) * 2011-07-27 2016-05-17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Delivery systems for prosthetic heart valve
US9717595B2 (en) * 2012-09-05 2017-08-01 Medtronic Vascular Galway Trans-aortic delivery system with containment capsule centering device
US9308349B2 (en) * 2013-02-08 2016-04-12 Vention Medical Advanced Components, Inc. Universal catheter handle
US10603165B2 (en) 2016-12-06 2020-03-31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Mechanically expanding heart valve and delivery apparatus therefor
US10806573B2 (en) 2017-08-22 2020-10-20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Gear drive mechanism for heart valve delivery apparatus
WO2020263742A1 (en) * 2019-06-24 2020-12-30 Medtronic, Inc. Catheter handle with torque mechanism and valve relief component
CN213993861U (zh) * 2020-11-02 2021-08-20 罗斯巴什生物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带有锁定机构的输送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2340469A1 (en) 2024-03-14
CN219557675U (zh) 2023-08-22
IL311068A (en) 2024-04-01
CA3230150A1 (en) 2023-03-09
WO2023034189A1 (en) 2023-03-09
CN115721451A (zh) 202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1265B2 (en) Percutaneous valve prosthesis and system and method for implanting the same
KR102628810B1 (ko) 인공 심장 판막용 밀봉 부재
US8709077B2 (en) Methods of implanting minimally-invasive prosthetic heart valves
EP3466373B1 (en) Replacement prosthetic heart valve system
US6951571B1 (en) Valve implanting device
US20090287290A1 (en)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of Implantation for Prosthetic Heart Valves
JP7457040B2 (ja) 人工心臓弁およびそのための送達装置
US20220409410A1 (en) Delivery apparatus having nosecone with a ball joint
KR20240048554A (ko) 인공 장치를 이식하기 위한 전달 장치 및 방법
KR20240049675A (ko) 인공 장치를 이식하기 위한 전달 장치 및 방법
US20230390060A1 (en)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s for implanting prosthetic devices
CN113499168B (zh) 瓣膜假体和瓣膜假体系统
CN118019558A (en)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s for implanting prosthetic devices
KR20240048553A (ko) 인공 이식물을 위한 도킹 스테이션
WO2023183270A1 (en) Mechanically expandable prosthetic heart valve
AU2001256985A1 (en) Minimally-invasive heart valves and methods of 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