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8500A -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빔 트래킹 및 관리를 위한 동기 신호의 설정 및 전송의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빔 트래킹 및 관리를 위한 동기 신호의 설정 및 전송의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8500A
KR20240048500A KR1020230133053A KR20230133053A KR20240048500A KR 20240048500 A KR20240048500 A KR 20240048500A KR 1020230133053 A KR1020230133053 A KR 1020230133053A KR 20230133053 A KR20230133053 A KR 20230133053A KR 20240048500 A KR20240048500 A KR 20240048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sb
ssbs
psbch
sync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3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의현
손혁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48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85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5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terminals via a wireless link, e.g. side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04B7/06952Selecting one or more beams from a plurality of beams, e.g. beam training, management or swee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Abstract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빔 트래킹 및 관리를 위한 동기 신호의 설정 및 전송의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제1 UE의 방법은, 하나 이상의 BM-S-SSB들을 제2 UE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BM-S-SSB들에 기초하여 측정된 BSI를 상기 제2 UE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BM-S-SSB들 각각은 PSBCH 없이 S-PSS 및 S-SSS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빔 트래킹 및 관리를 위한 동기 신호의 설정 및 전송의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ND TRANSMITTING SYNCHRONIZATION SIGNAL FOR BEAM TRACKING AND MANAGEMENT IN SIDELINK COMMUNICATION}
본 개시는 사이드링크(sidelink)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빔 트래킹 및 관리를 위한 동기 신호의 설정 및 전송 기술에 관한 것이다.
기존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등)보다 향상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5G 통신 네트워크, 6G 통신 네트워크 등)는 개발되고 있다. 5G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NR(new radio) 통신 네트워크)는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5G 통신 네트워크는 FR1 대역 및/또는 FR2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5G 통신 네트워크는 LTE 통신 네트워크에 비해 다양한 통신 서비스 및 시나리오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G 통신 네트워크의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는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URLLC(Ultra 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6G 통신 네트워크는 5G 통신 네트워크에 비해 다양한 통신 서비스 및 시나리오를 지원할 수 있다. 6G 통신 네트워크는 초성능, 초대역, 초공간, 초정밀, 초지능, 및/또는 초신뢰의 요구사항들을 만족할 수 있다. 6G 통신 네트워크는 다양하고 넓은 주파수 대역을 지원할 수 있고, 다양한 사용 시나리오들(예를 들어, 지상(terrestrial) 통신, 비-지상(non-terrestrial) 통신, 사이드링크(sidelink) 통신 등)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빔 트래킹(tracking) 동작 및/또는 빔 관리(management) 동작은 필요할 수 있다. 빔 트래킹/관리 동작은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S-SSB(sidelink-synchronization signal block)를 사용한 빔 트래킹/관리 동작은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 빔 트래킹/관리 동작을 위한 S-SSB의 설정 및 전송 방법들은 필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목적은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빔 트래킹/관리를 위한 동기 신호의 설정 및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1 UE의 방법은, 하나 이상의 BM-S-SSB들을 제2 UE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BM-S-SSB들에 기초하여 측정된 BSI를 상기 제2 UE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BM-S-SSB들 각각은 PSBCH 없이 S-PSS 및 S-SSS를 포함한다.
상기 제1 UE의 방법은, 상기 하나 이상의 BM-S-SSB들을 전송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Sync-S-SSB들을 상기 제2 UE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Sync-S-SSB들은 상기 제1 UE와 상기 제2 UE 간의 동기를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Sync-S-SSB들 각각은 상기 S-PSS, 상기 S-SSS, 및 상기 PSBCH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BM-S-SSB들 각각은 BM RS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BM RS는 시간 도메인에서 상기 PSBCH의 전송 자원에 매핑될 수 있다.
상기 BM RS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UE에 의해 전송되는 Sync-S-SSB에 포함되는 PSBCH DMRS와 중첩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들에 매핑될 수 있다.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BM RS가 매핑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들은 상기 PSBCH DMRS가 매핑되는 서브캐리어에 대한 오프셋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BM-S-SSB는 하나 이상의 추가 S-PSS들 또는 하나 이상의 추가 S-SSS들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 S-PSS들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 S-SSS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는 시간 도메인에서 상기 PSBCH의 전송 자원에 매핑될 수 있다.
상기 제1 UE의 방법은, Sync-S-SSB의 제1 설정 정보 및 BM-S-SSB의 제2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 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Sync-S-SSB들은 상기 제1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BM-S-SSB들은 상기 제2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Sync-S-SSB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BM-S-SSB들은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Sync-S-SSB들의 전송 자원은 상기 하나 이상의 BM-S-SSB들의 전송 자원과 다를 수 있다.
상기 제1 UE의 방법은, 상기 BSI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E와 상기 제2 UE 간의 SL 통신에서 사용되는 빔을 유지 또는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BM-S-SSB들은 빔 패턴에 따른 빔 스위핑 방식에 기초하여 전송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BM-S-SSB들은 n개의 BM-S-SSB들의 단위로 서로 다른 빔들을 통해 전송될 수 있고, n은 자연수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2 UE의 방법은, 하나 이상의 BM-S-SSB들을 제1 UE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BM-S-SSB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E에 대한 빔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빔 정보를 포함하는 BSI를 상기 제1 UE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BM-S-SSB들 각각은 PSBCH 없이 S-PSS 및 S-SSS를 포함한다.
상기 제2 UE의 방법은, 상기 하나 이상의 BM-S-SSB들의 수신 전에, 하나 이상의 Sync-S-SSB들을 상기 제1 UE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Sync-S-SSB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E의 동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Sync-S-SSB들 각각은 상기 S-PSS, 상기 S-SSS, 및 상기 PSBCH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BM-S-SSB들 각각은 BM RS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BM RS는 시간 도메인에서 상기 PSBCH의 전송 자원에 매핑될 수 있다.
상기 BM RS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UE로부터 수신되는 Sync-S-SSB에 포함되는 PSBCH DMRS와 중첩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들에 매핑될 수 있다.
상기 BM-S-SSB는 하나 이상의 추가 S-PSS들 또는 하나 이상의 추가 S-SSS들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 S-PSS들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 S-SSS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는 시간 도메인에서 상기 PSBCH의 전송 자원에 매핑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1 UE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UE가, 하나 이상의 BM-S-SSB들을 제2 UE에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BM-S-SSB들에 기초하여 측정된 BSI를 상기 제2 UE로부터 수신하도록 야기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BM-S-SSB들 각각은 PSBCH 없이 S-PSS 및 S-SSS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UE가, 상기 하나 이상의 BM-S-SSB들을 전송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Sync-S-SSB들을 상기 제2 UE에 전송하도록 더 야기할 수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Sync-S-SSB들은 상기 제1 UE와 상기 제2 UE 간의 동기를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Sync-S-SSB들 각각은 상기 S-PSS, 상기 S-SSS, 및 상기 PSBCH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BM-S-SSB들 각각은 BM RS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BM RS는 시간 도메인에서 상기 PSBCH의 전송 자원에 매핑될 수 있다.
상기 BM RS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UE에 의해 전송되는 Sync-S-SSB에 포함되는 PSBCH DMRS와 중첩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들에 매핑될 수 있다.
상기 BM-S-SSB는 하나 이상의 추가 S-PSS들 또는 하나 이상의 추가 S-SSS들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 S-PSS들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 S-SSS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는 시간 도메인에서 상기 PSBCH의 전송 자원에 매핑될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하면, 송신 단말은 Sync-S(sidelink)-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 및 BM(beam management)-S-SSB를 수신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Sync-S-SSB는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 간의 동기를 위해 사용될 수 있고, BM-S-SSB는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 간의 빔 관리 동작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수신 단말은 BM-S-SSB에 기초하여 송신 단말의 빔 정보를 측정할 수 있고, 빔 정보의 측정 결과를 송신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송신 단말은 수신 단말로부터 빔 정보의 측정 결과를 수신할 수 있고, 빔 정보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송신 단말의 송신 빔을 유지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동작에 의하면, SL(sidelink) 통신에서 빔 관리 동작은 적절히 수행될 수 있고, SL 통신의 성능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V2X 통신의 시나리오들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노드들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a는 송신 경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b는 수신 경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UE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UE의 제어 평면 프로토콜 스택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UE의 제어 평면 프로토콜 스택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S-SSB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S-SSB 구간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동기 신호의 구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동기 신호의 구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3은 동기 신호의 구조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4는 동기 신호의 구조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5는 동기 신호의 구조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6은 동기 신호의 구조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7은 동기 신호의 전송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8은 동기 신호의 전송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9는 동기 신호의 전송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0은 동기 신호의 전송 방법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1은 동기 신호의 전송 방법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2는 동기 신호의 전송 방법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3은 동기 신호의 전송 방법의 제7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4는 동기 신호의 전송 방법의 제8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5는 빔 관리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A 및 B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A 및 B 중 하나 이상의 조합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A 및 B 중에서 하나 이상"은 "A 또는 B 중에서 하나 이상" 또는 "A 및 B 중 하나 이상의 조합들 중에서 하나 이상"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재)전송은 "전송", "재전송", 또는 "전송 및 재전송"을 의미할 수 있고, (재)설정은 "설정", "재설정", 또는 "설정 및 재설정"을 의미할 수 있고, (재)연결은 "연결", "재연결", 또는 "연결 및 재연결"을 의미할 수 있고, (재)접속은 "접속", "재접속", 또는 "접속 및 재접속"을 의미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서 명시적으로 설명되는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실시예들의 조합, 실시예들의 확장, 및/또는 실시예들의 변형에 따른 동작들은 수행될 수 있다. 일부 동작의 수행은 생략될 수 있고, 동작의 수행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통신 노드들 중에서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전송 또는 수신)이 설명되는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노드는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과 상응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수신 또는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UE(user equipment)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기지국은 UE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기지국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UE는 기지국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은 노드B(Node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gNodeB(next generation node B), gNB, 디바이스(device), 장치(apparatus), 노드, 통신 노드, BTS(base transceiver station), RRH(radio remote head), TRP(transmission reception point), RU(radio unit), RSU(road side unit), 무선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액세스 노드(nod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UE는 단말(terminal), 디바이스, 장치, 노드, 통신 노드, 엔드(end) 노드, 액세스 터미널(access terminal), 모바일 터미널(mobile terminal), 스테이션(station),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휴대 가입자 스테이션(portable subscriber station), OBU(on-broad unit)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시그널링(signaling)은 상위계층 시그널링, MAC 시그널링, 또는 PHY(physical) 시그널링 중에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위해 사용되는 메시지는 "상위계층 메시지" 또는 "상위계층 시그널링 메시지"로 지칭될 수 있다. MAC 시그널링을 위해 사용되는 메시지는 "MAC 메시지" 또는 "MAC 시그널링 메시지"로 지칭될 수 있다. PHY 시그널링을 위해 사용되는 메시지는 "PHY 메시지" 또는 "PHY 시그널링 메시지"로 지칭될 수 있다.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MIB(master information block), SIB(system information block)) 및/또는 RRC 메시지의 송수신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MAC 시그널링은 MAC CE(control element)의 송수신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PHY 시그널링은 제어 정보(예를 들어,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 SCI(sidelink control information))의 송수신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시그널링은 기지국과 단말 간의 시그널링 및/또는 단말들 간의 시그널링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동작(예를 들어, 전송 동작)이 설정되는 것"은 "해당 동작을 위한 설정 정보(예를 들어,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 파라미터)" 및/또는 "해당 동작의 수행을 지시하는 정보"가 시그널링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정보 요소(예를 들어, 파라미터)가 설정되는 것"은 해당 정보 요소가 시그널링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신호 및/또는 채널"은 신호, 채널, 또는 "신호 및 채널"을 의미할 수 있고, 신호는 "신호 및/또는 채널"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가 적용되는 통신 네트워크는 아래 설명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는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4G 통신 네트워크, 5G 통신 네트워크, 및/또는 6G 통신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네트워크는 통신 시스템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의 시나리오들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V2X 통신은 V2V(Vehicle to Vehicle) 통신,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통신, V2P(Vehicle to Pedestrian) 통신, V2N(Vehicle to Network)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V2X 통신은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140)에 의해 지원될 수 있으며, 통신 시스템(140)에 의해 지원되는 V2X 통신은 "C-V2X(Cellular-Vehicle to everything) 통신"으로 지칭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40)은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시스템, LTE-A(Advanced) 통신 시스템), 5G(5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NR(New Radio) 통신 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V2V 통신은 차량 #1(100)(예를 들어, 차량 #1(100)에 위치한 통신 노드)과 차량 #2(110)(예를 들어, 차량 #1(100)에 위치한 통신 노드) 간의 통신을 의미할 수 있다. V2V 통신을 통해 차량들(100, 110) 간에 주행 정보(예를 들어, 속도(velocity), 방향(heading), 시간(time), 위치(position) 등)가 교환될 수 있다. V2V 통신을 통해 교환되는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예를 들어, 군집 주행(platooning))이 지원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40)에 의해 지원되는 V2V 통신은 사이드링크(sidlelink) 통신 기술(예를 들어, ProSe(Proximity based Services) 통신 기술, D2D(Device to Device) 통신 기술)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들(100, 110) 간의 통신은 사이드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V2I 통신은 차량 #1(100)과 노변에 위치한 인프라스트럭쳐(예를 들어, RSU(road side unit))(120) 간의 통신을 의미할 수 있다. 인프라스트럭쳐(120)는 노변에 위치한 신호등, 가로등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V2I 통신이 수행되는 경우, 차량 #1(100)에 위치한 통신 노드와 신호등에 위치한 통신 노드 간에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V2I 통신을 통해 차량 #1(100)과 인프라스트럭쳐(120) 간에 주행 정보, 교통 정보 등이 교환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40)에 의해 지원되는 V2I 통신은 사이드링크 통신 기술(예를 들어, ProSe 통신 기술, D2D 통신 기술)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 #1(100)과 인프라스트럭쳐(120) 간의 통신은 사이드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V2P 통신은 차량 #1(100)(예를 들어, 차량 #1(100)에 위치한 통신 노드)과 사람(130)(예를 들어, 사람(130)이 소지한 통신 노드) 간의 통신을 의미할 수 있다. V2P 통신을 통해 차량 #1(100)과 사람(130) 간에 차량 #1(100)의 주행 정보, 사람(130)의 이동 정보(예를 들어, 속도, 방향, 시간, 위치 등) 등이 교환될 수 있으며, 차량 #1(100)에 위치한 통신 노드 또는 사람(130)이 소지한 통신 노드는 획득된 주행 정보 및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위험 상황을 판단함으로써 위험을 지시하는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통신 시스템(140)에 의해 지원되는 V2P 통신은 사이드링크 통신 기술(예를 들어, ProSe 통신 기술, D2D 통신 기술)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 #1(100)에 위치한 통신 노드 또는 사람(130)이 소지한 통신 노드 간의 통신은 사이드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V2N 통신은 차량 #1(100)(예를 들어, 차량 #1(100)에 위치한 통신 노드)과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140) 간의 통신을 의미할 수 있다. V2N 통신은 4G 통신 기술(예를 들어, 3GPP 표준에서 규정된 LTE 통신 기술 및 LTE-A 통신 기술), 5G 통신 기술(예를 들어, 3GPP 표준에서 규정된 NR 통신 기술) 등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V2N 통신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702.11 표준에서 규정된 통신 기술(예를 들어,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 통신 기술,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통신 기술 등), IEEE 702.15 표준에서 규정된 통신 기술(예를 들어,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등) 등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편, V2X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140)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액세스 네트워크(access network),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는 기지국(base station)(210), 릴레이(relay)(220), UE(User Equipment)(231 내지 23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UE(231 내지 236)는 도 1의 차량(100 및 110)에 위치한 통신 노드, 도 1의 인프라스트럭쳐(120)에 위치한 통신 노드, 도 1의 사람(130)이 소지한 통신 노드 등일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이 4G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경우, 코어 네트워크는 S-GW(serving-gateway)(250), P-GW(PDN(packet data network)-gateway)(260),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2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이 5G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경우, 코어 네트워크는 UPF(user plane function)(250),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260),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2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통신 시스템에서 NSA(Non-StandAlone)가 지원되는 경우, S-GW(250), P-GW(260), MME(270) 등으로 구성되는 코어 네트워크는 4G 통신 기술뿐만 아니라 5G 통신 기술도 지원할 수 있고, UPF(250), SMF(260), AMF(270) 등으로 구성되는 코어 네트워크는 5G 통신 기술뿐만 아니라 4G 통신 기술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이 네트워크 슬라이싱(slicing) 기술을 지원하는 경우, 코어 네트워크는 복수의 논리적 네트워크 슬라이스들로 나누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V2X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예를 들어, V2V 네트워크 슬라이스, V2I 네트워크 슬라이스, V2P 네트워크 슬라이스, V2N 네트워크 슬라이스 등)가 설정될 수 있으며, V2X 통신은 코어 네트워크에서 설정된 V2X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의해 지원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들(예를 들어, 기지국, 릴레이, UE, S-GW, P-GW, MME, UPF, SMF, AMF 등)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 WCDMA(wideband CDMA) 기술,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술, Filtered OFDM 기술,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 SC(single carrier)-FDMA 기술,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기술, GFDM(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술, FBMC(filter bank multi-carrier) 기술, UFMC(universal filtered multi-carrier) 기술, 및 SDMA(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들(예를 들어, 기지국, 릴레이, UE, S-GW, P-GW, MME, UPF, SMF, AMF 등)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신 노드(3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10), 메모리(3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3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3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350), 저장 장치(3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3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3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통신 노드(3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공통 버스(370)가 아니라, 프로세서(310)를 중심으로 개별 인터페이스 또는 개별 버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메모리(320), 송수신 장치(33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3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350) 및 저장 장치(3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310)는 메모리(320) 및 저장 장치(3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320) 및 저장 장치(3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3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210)은 매크로 셀(macro cell) 또는 스몰 셀(small cell)을 형성할 수 있고,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기지국(210)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UE(231 내지 236) 및 릴레이(220)에 전송할 수 있고, UE(231 내지 236) 및 릴레이(22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UE #1, #2, #4, #5 및 #6(231, 232, 234, 235, 236)은 기지국(210)의 셀 커버리지(cell coverage) 내에 속할 수 있다. UE #1, #2, #4, #5 및 #6(231, 232, 234, 235, 236)은 기지국(210)과 연결 확립(connection establishment)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기지국(210)에 연결될 수 있다. UE #1, #2, #4, #5 및 #6(231, 232, 234, 235, 236)은 기지국(210)에 연결된 후에 기지국(21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릴레이(220)는 기지국(210)에 연결될 수 있고, 기지국(210)과 UE #3 및 #4(233, 234) 간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릴레이(220)는 기지국(210)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UE #3 및 #4(233, 234)에 전송할 수 있고, UE #3 및 #4(233, 234)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기지국(210)에 전송할 수 있다. UE #4(234)는 기지국(210)의 셀 커버리지와 릴레이(220)의 셀 커버리지에 속할 수 있고, UE #3(233)은 릴레이(220)의 셀 커버리지에 속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UE #3(233)은 기지국(210)의 셀 커버리지 밖에 위치할 수 있다. UE #3 및 #4(233, 234)는 릴레이(220)와 연결 확립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릴레이(220)에 연결될 수 있다. UE #3 및 #4(233, 234)는 릴레이(220)에 연결된 후에 릴레이(2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210) 및 릴레이(220)는 MIMO(예를 들어, SU(single user)-MIMO, MU(multi user)-MIMO, 대규모(massive) MIMO 등) 통신 기술, CoMP(coordinated multipoint) 통신 기술, CA(Carrier Aggregation) 통신 기술,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 통신 기술(예를 들어, LAA(Licensed Assisted Access), eLAA(enhanced LAA)), 사이드링크 통신 기술(예를 들어, ProSe 통신 기술, D2D 통신 기술) 등을 지원할 수 있다. UE #1, #2, #5 및 #6(231, 232, 235, 236)은 기지국(210)과 대응하는 동작, 기지국(210)에 의해 지원되는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다. UE #3 및 #4(233, 234)는 릴레이(220)와 대응하는 동작, 릴레이(220)에 의해 지원되는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210)은 노드B(Node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BTS(base transceiver station), RRH(radio remote head), TRP(transmission reception point), RU(radio unit), RSU(road side unit), 무선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액세스 노드(nod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릴레이(220)는 스몰 기지국, 릴레이 노드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UE(231 내지 236)는 터미널(terminal), 액세스 터미널(access terminal), 모바일 터미널(mobile terminal), 스테이션(station),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휴대 가입자 스테이션(portable subscriber station), 노드(node), 다바이스(device), OBU(on-broad unit)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한편, 통신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노드들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통신 노드는 도 3에 도시된 통신 노드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일 수 있다.
도 4는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노드들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통신 노드(400a) 및 제2 통신 노드(400b) 각각은 기지국 또는 UE일 수 있다. 제1 통신 노드(400a)는 제2 통신 노드(400b)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통신 노드(400a)에 포함된 송신 프로세서(411)는 데이터 소스(410)로부터 데이터(예를 들어, 데이터 유닛)을 수신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411)는 제어기(416)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정보는 시스템 정보, RRC 설정 정보(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되는 정보), MAC 제어 정보(예를 들어, MAC CE), 또는 PHY 제어 정보(예를 들어, DCI, SCI)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411)는 데이터에 대한 처리 동작(예를 들어, 인코딩 동작, 심볼 매핑 동작 등)을 수행하여 데이터 심볼(들)을 생성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411)는 제어 정보에 대한 처리 동작(예를 들어, 인코딩 동작, 심볼 매핑 동작 등)을 수행하여 제어 심볼(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송신 프로세서(411)는 동기 신호 및/또는 참조 신호에 대한 동기/참조 심볼(들)을 생성할 수 있다.
Tx MIMO 프로세서(412)는 데이터 심볼(들), 제어 심볼(들), 및/또는 동기/참조 심볼(들)에 대한 공간 처리 동작(예를 들어, 프리코딩(precoding)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x MIMO 프로세서(412)의 출력(예를 들어, 심볼 스트림)은 트랜시버들(413a 내지 413t)에 포함된 변조기(MOD)들에 제공될 수 있다. 변조기(MOD)는 심볼 스트림에 대한 처리 동작을 수행하여 변조 심볼들을 생성할 수 있고, 변조 심볼들에 대한 추가 처리 동작(예를 들어, 아날로그 변환 동작, 증폭 동작, 필터링 동작, 상향 변환 동작)을 수행하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트랜시버들(413a 내지 413t)의 변조기(MOD)들에 의해 생성된 신호들은 안테나들(414a 내지 414t)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제1 통신 노드(400a)가 전송한 신호들은 제2 통신 노드(400b)의 안테나들(464a 내지 464r)에서 수신될 수 있다. 안테나들(464a 내지 464r)에서 수신된 신호들은 트랜시버들(463a 내지 463r)에 포함된 복조기(DEMOD)들에 제공될 수 있다. 복조기(DEMOD)는 신호에 대한 처리 동작(예를 들어, 필터링 동작, 증폭 동작, 하향 변환 동작, 디지털 변환 동작)을 수행하여 샘플들을 획득할 수 있다. 복조기(DEMOD)는 샘플들에 대한 추가 처리 동작을 수행하여 심볼들을 획득할 수 있다. MIMO 검출기(462)는 심볼들에 대한 MIMO 검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 프로세서(461)는 심볼들에 대한 처리 동작(예를 들어, 디인터리빙 동작, 디코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 프로세서(461)의 출력은 데이터 싱크(460) 및 제어기(466)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는 데이터 싱크(460)에 제공될 수 있고, 제어 정보는 제어기(466)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제2 통신 노드(400b)는 제1 통신 노드(400a)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통신 노드(400b)에 포함된 송신 프로세서(468)는 데이터 소스(467)로부터 데이터(예를 들어, 데이터 유닛)을 수신할 수 있고, 데이터에 대한 처리 동작을 수행하여 데이터 심볼(들)을 생성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468)는 제어기(466)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제어 정보에 대한 처리 동작을 수행하여 제어 심볼(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송신 프로세서(468)는 참조 신호에 대한 처리 동작을 수행하여 참조 심볼(들)을 생성할 수 있다.
Tx MIMO 프로세서(469)는 데이터 심볼(들), 제어 심볼(들), 및/또는 참조 심볼(들)에 대한 공간 처리 동작(예를 들어, 프리코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x MIMO 프로세서(469)의 출력(예를 들어, 심볼 스트림)은 트랜시버들(463a 내지 463t)에 포함된 변조기(MOD)들에 제공될 수 있다. 변조기(MOD)는 심볼 스트림에 대한 처리 동작을 수행하여 변조 심볼들을 생성할 수 있고, 변조 심볼들에 대한 추가 처리 동작(예를 들어, 아날로그 변환 동작, 증폭 동작, 필터링 동작, 상향 변환 동작)을 수행하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트랜시버들(463a 내지 463t)의 변조기(MOD)들에 의해 생성된 신호들은 안테나들(464a 내지 464t)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제2 통신 노드(400b)가 전송한 신호들은 제1 통신 노드(400a)의 안테나들(414a 내지 414r)에서 수신될 수 있다. 안테나들(414a 내지 414r)에서 수신된 신호들은 트랜시버들(413a 내지 413r)에 포함된 복조기(DEMOD)들에 제공될 수 있다. 복조기(DEMOD)는 신호에 대한 처리 동작(예를 들어, 필터링 동작, 증폭 동작, 하향 변환 동작, 디지털 변환 동작)을 수행하여 샘플들을 획득할 수 있다. 복조기(DEMOD)는 샘플들에 대한 추가 처리 동작을 수행하여 심볼들을 획득할 수 있다. MIMO 검출기(420)는 심볼들에 대한 MIMO 검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 프로세서(419)는 심볼들에 대한 처리 동작(예를 들어, 디인터리빙 동작, 디코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 프로세서(419)의 출력은 데이터 싱크(418) 및 제어기(416)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는 데이터 싱크(418)에 제공될 수 있고, 제어 정보는 제어기(416)에 제공될 수 있다.
메모리들(415 및 465)은 데이터, 제어 정보, 및/또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스케줄러(417)는 통신을 위한 스케줄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프로세서(411, 412, 419, 461, 468, 469) 및 제어기(416, 466)는 도 3에 도시된 프로세서(310)일 수 있고,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5a는 송신 경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5b는 수신 경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송신 경로(510)는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노드에서 구현될 수 있고, 수신 경로(520)는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노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송신 경로(510)는 채널 코딩 및 변조 블록(511), S-to-P(serial-to-parallel) 블록(512), N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블록(513), P-to-S(parallel-to-serial) 블록(514), 및 CP(cyclic prefix) 추가 블록(515), 및 UC(up-converter)(UC)(516)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경로(520)는 DC(down-converter)(521), CP 제거 블록(522), S-to-P 블록(523), N FFT 블록(524), P-to-S 블록(525), 및 채널 디코딩 및 복조 블록(52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자연수일 수 있다.
송신 경로(510)에서 정보 비트들은 채널 코딩 및 변조 블록(511)에 입력될 수 있다. 채널 코딩 및 변조 블록(511)은 정보 비트들에 대한 코딩 동작(예를 들어, LDPC(low-density parity check)(LDPC) 코딩 동작, 폴라(polar) 코딩 동작 등) 및 변조 동작(예를 들어,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채널 코딩 및 변조 블록(511)의 출력은 변조 심볼들의 시퀀스일 수 있다.
S-to-P 블록(512)은 N개의 병렬 심볼 스트림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주파수 도메인의 변조 심볼들을 병렬 심볼 스트림들로 변환할 수 있다. N은 IFFT 크기 또는 FFT 크기일 수 있다. N IFFT 블록(513)은 N개의 병렬 심볼 스트림들에 대한 IFFT 동작을 수행하여 시간 도메인의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P-to-S 블록(514)은 직렬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N IFFT 블록(513)의 출력(예를 들어, 병렬 신호들)을 직렬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CP 추가 블록(515)은 CP를 신호에 삽입할 수 있다. UC(516)는 CP 추가 블록(515)의 출력의 주파수를 RF(radio frequency) 주파수로 상향 변환할 수 있다. 또한, CP 추가 블록(515)의 출력은 상향 변환 전에 기저 대역에서 필터링 될 수 있다.
송신 경로(510)에서 전송된 신호는 수신 경로(520)에 입력될 수 있다. 수신 경로(520)에서 동작은 송신 경로(510)에서 동작의 역 동작일 수 있다. DC(521)는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를 기저 대역의 주파수로 하향 변환할 수 있다. CP 제거 블록(522)은 신호에서 CP를 제거할 수 있다. CP 제거 블록(522)의 출력은 직렬 신호일 수 있다. S-to-P 블록(523)은 직렬 신호를 병렬 신호들로 변환할 수 있다. N FFT 블록(524)은 FFT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N개의 병렬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P-to-S 블록(525)은 병렬 신호들을 변조 심볼들의 시퀀스로 변환할 수 있다. 채널 디코딩 및 복조 블록(526)은 변조 심볼들에 대한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복조 동작의 결과에 대한 디코딩 동작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서 FFT 및 IFFT 대신에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및 IDFT(Inverse DFT)는 사용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서 블록들(예를 들어, 컴포넌트) 각각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 및 도 5b에서 일부 블록들은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나머지 블록들은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서, 하나의 블록은 복수의 블록들로 세분화될 수 있고, 복수의 블록들은 하나의 블록으로 통합될 수 있고, 일부 블록은 생략될 수 있고, 다른 기능을 지원하는 블록은 추가될 수 있다.
한편, UE #5(235)와 UE #6(236) 간의 통신은 사이크링크 통신 기술(예를 들어, ProSe 통신 기술, D2D 통신 기술)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통신은 원-투-원(one-to-one) 방식 또는 원-투-매니(one-to-many) 방식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사이크링크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V2V 통신이 수행되는 경우, UE #5(235)는 도 1의 차량 #1(100)에 위치한 통신 노드를 지시할 수 있고, UE #6(236)은 도 1의 차량 #2(110)에 위치한 통신 노드를 지시할 수 있다. 사이크링크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V2I 통신이 수행되는 경우, UE #5(235)는 도 1의 차량 #1(100)에 위치한 통신 노드를 지시할 수 있고, UE #6(236)은 도 1의 인프라스트럭쳐(120)에 위치한 통신 노드를 지시할 수 있다. 사이크링크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V2P 통신이 수행되는 경우, UE #5(235)는 도 1의 차량 #1(100)에 위치한 통신 노드를 지시할 수 있고, UE #6(236)은 도 1의 사람(130)이 소지한 통신 노드를 지시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통신이 적용되는 시나리오들은 사이드링크 통신에 참여하는 UE들(예를 들어, UE #5(235), UE #6(236))의 위치에 따라 아래 표 1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UE #5(235)와 UE #6(236) 간의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시나리오는 사이드링크 통신 시나리오 #C일 수 있다.
한편,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UE들(예를 들어, UE #5(235), UE #6(236))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user plane protocol stack)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UE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UE #5(235)는 도 2에 도시된 UE #5(235)일 수 있고, UE #6(236)은 도 2에 도시된 UE #6(236)일 수 있다. UE #5(235)와 UE #6(236) 간의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시나리오는 표 1의 사이드링크 통신 시나리오 #A 내지 #D 중에서 하나일 수 있다. UE #5(235) 및 UE #6(236) 각각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은 PHY(Physical) 계층,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 RLC(Radio Link Control) 계층,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UE #5(235)와 UE #6(236) 간의 사이드링크 통신은 PC5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PC5-U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해 계층 2-ID(identifier)(예를 들어, 출발지(source) 계층 2-ID, 목적지(destination) 계층 2-ID)가 사용될 수 있으며, 계층 2-ID는 V2X 통신을 위해 설정된 ID일 수 있다. 또한,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HARQ(hybrid ARQ(automatic repeat request)) 피드백 동작은 지원될 수 있고, RLC AM(Acknowledged Mode) 또는 RLC UM(Unacknowledged Mode)은 지원될 수 있다.
한편,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UE들(예를 들어, UE #5(235), UE #6(236))의 제어 평면 프로토콜 스택(control plane protocol stack)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UE의 제어 평면 프로토콜 스택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8은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UE의 제어 평면 프로토콜 스택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UE #5(235)는 도 2에 도시된 UE #5(235)일 수 있고, UE #6(236)은 도 2에 도시된 UE #6(236)일 수 있다. UE #5(235)와 UE #6(236) 간의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시나리오는 표 1의 사이드링크 통신 시나리오 #A 내지 #D 중에서 하나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제어 평면 프로토콜 스택은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정보(예를 들어, PSBCH(Physical Sidelink Broadcast Channel)의 송수신을 위한 제어 평면 프로토콜 스택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제어 평면 프로토콜 스택은 PHY 계층, MAC 계층, RLC 계층,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UE #5(235)와 UE #6(236) 간의 사이드링크 통신은 PC5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PC5-C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제어 평면 프로토콜 스택은 원-투-원 방식의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제어 평면 프로토콜 스택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제어 평면 프로토콜 스택은 PHY 계층, MAC 계층, RLC 계층, PDCP 계층, PC5 시그널링(signaling) 프로토콜 계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UE #5(235)와 UE #6(236) 간의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사용되는 채널은 PSSCH(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 PSDCH(Physical Sidelink Discovery Channel), PSBCH(Physical Sidelink Broadcast Chan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PSSCH는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상위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UE(예를 들어, UE #5(235), UE #6(236))에 설정될 수 있다. PSCCH는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idelink control information; SCI)의 송수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상위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UE(예를 들어, UE #5(235), UE #6(236))에 설정될 수 있다.
PSDCH는 디스커버리 절차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커버리 신호는 PSDCH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PSBCH는 브로드캐스트 정보(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의 송수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UE #5(235)와 UE #6(236) 간의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동기 신호는 PSSS(primary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및 SSSS(secondary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이드링크 전송 모드(transmission mode; TM)는 아래 표 2와 같이 사이드링크 TM #1 내지 #4로 분류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TM #3 또는 #4가 지원되는 경우, UE #5(235) 및 UE #6(236) 각각은 기지국(210)에 의해 설정된 자원 풀(resource pool)을 사용하여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자원 풀은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 또는 사이드링크 데이터 각각을 위해 설정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를 위한 자원 풀은 RRC 시그널링 절차(예를 들어, 전용(dedicated) RRC 시그널링 절차, 브로드캐스트 RRC 시그널링 절차)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의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자원 풀은 브로드캐스트 RRC 시그널링 절차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TM #3이 지원되는 경우,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자원 풀은 전용 RRC 시그널링 절차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는 전용 RRC 시그널링 절차에 의해 설정된 자원 풀 내에서 기지국(210)에 의해 스케줄링된 자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TM #4가 지원되는 경우,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자원 풀은 전용 RRC 시그널링 절차 또는 브로드캐스트 RRC 시그널링 절차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는 전용 RRC 시그널링 절차 또는 브로드캐스트 RRC 시그널링 절차에 의해 설정된 자원 풀 내에서 UE(예를 들어, UE #5(235), UE #6(236))에 의해 자율적으로 선택된 자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TM #3이 지원되는 경우,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자원 풀은 설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이드링크 데이터는 기지국(210)에 의해 스케줄링된 자원을 통해 송수신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TM #4가 지원되는 경우,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자원 풀은 전용 RRC 시그널링 절차 또는 브로드캐스트 RRC 시그널링 절차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이드링크 데이터는 RRC 시그널링 절차 또는 브로드캐스트 RRC 시그널링 절차에 의해 설정된 자원 풀 내에서 UE(예를 들어, UE #5(235), UE #6(236))에 의해 자율적으로 선택된 자원을 통해 송수신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이드링크 통신 방법들이 설명될 것이다. 통신 노드들 중에서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전송 또는 수신)이 설명되는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노드는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과 상응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수신 또는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UE #1(예를 들어, 차량 #1)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UE #2(예를 들어, 차량 #2)는 UE #1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UE #2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UE #1은 UE #2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아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서 차량의 동작은 차량에 위치한 통신 노드의 동작일 수 있다.
사이드링크 신호는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동기 신호 및 참조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 신호는 SS/PBCH(synchronization signal/physical broadcast channel) 블록, SLSS(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PSSS(primary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SSSS(secondary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등일 수 있다. 참조 신호는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DMRS, PT-RS(phase tracking-reference signal), CRS(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DRS(discovery reference signal) 등일 수 있다.
사이드링크 채널은 PSSCH, PSCCH, PSDCH, PSBCH, PSFCH(physical sidelink feedback channel) 등일 수 있다. 또한, 사이드링크 채널은 해당 사이드링크 채널 내의 특정 자원들에 매핑되는 사이드링크 신호를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채널을 의미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통신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multicast) 서비스, 그룹캐스트 서비스, 및 유니캐스트(unicast)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기지국은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설정 정보(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SIB12, SIB13, SIB14) 및 RRC 메시지를 UE(들)에 전송할 수 있다. UE는 시스템 정보 및 RRC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시스템 정보 및 RRC 메시지에 포함된 사이드링크 설정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사이드링크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SIB12는 사이드링크 통신/디스커버리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IB13 및 SIB14는 V2X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통신은 SL BWP(bandwidth part)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기지국은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SL BWP를 UE에 설정할 수 있다.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SL-BWP-Config 및/또는 SL-BWP-ConfigCommon를 포함할 수 있다. SL-BWP-Config는 UE-특정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SL BWP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SL-BWP-ConfigCommon는 셀-특정 설정 정보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자원 풀을 UE에 설정할 수 있다.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SL-BWP-PoolConfig, SL-BWP-PoolConfigCommon, SL-BWP-DiscPoolConfig, 및/또는 SL-BWP-DiscPoolConfigCommon을 포함할 수 있다. SL-BWP-PoolConfig은 사이드링크 통신 자원 풀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SL-BWP-PoolConfigCommon은 셀-특정 사이드링크 통신 자원 풀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SL-BWP-DiscPoolConfig은 UE-특정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전용(dedicated) 자원 풀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SL-BWP-DiscPoolConfigCommon은 셀-특정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전용 자원 풀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UE는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자원 풀 내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통신은 SL DRX(discontinuous reception)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기지국은 SL DRX 관련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상위계층 메시지(예를 들어, SL-DRX-Config)를 UE에 전송할 수 있다. UE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SL-DRX-Config에 기초하여 SL DRX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통신은 인터(inter)-UE 조정(coordination)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기지국은 인터-UE 조정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상위계층 메시지(예를 들어, SL-InterUE-CoordinationConfig)를 UE에 전송할 수 있다. UE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SL-InterUE-CoordinationConfig에 기초하여 인터-UE 조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통신은 단일(single) SCI 방식 또는 다중(multi) SCI 방식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일 SCI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데이터 전송(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데이터 전송, SL-SCH(sidelink-shared channel) 전송)은 하나의 SCI(예를 들어, 1st-stage SCI)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중 SCI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데이터 전송은 두 개의 SCI들(예를 들어, 1st-stage SCI 및 2nd-stage SCI)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SCI는 PSCCH 및/또는 PSS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단일 SCI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SCI(예를 들어, 1st-stage SCI)는 PSCCH에서 전송될 수 있다. 다중 SCI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1st-stage SCI는 PSCCH에서 전송될 수 있고, 2nd-stage SCI는 PSCCH 또는 PSSCH에서 전송될 수 있다. 1st-stage SCI는 "제1 단계 SCI"로 지칭될 수 있고, 2nd-stage SCI는 "제2 단계 SCI"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단계 SCI 포맷은 SCI 포맷 1-A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단계 SCI 포맷은 SCI 포맷 2-A, SCI 포맷 2-B, 및 SCI 포맷 2-C를 포함할 수 있다.
SCI 포맷 1-A는 PSSCH 및 제2 단계 SCI의 스케줄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SCI 포맷 1-A는 우선순위(priority) 정보, 주파수 자원 할당(frequency resource assignment) 정보, 시간 자원 할당 정보, 자원 예약 구간(resource reservation period) 정보,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패턴 정보, 제2 단계 SCI 포맷 정보, 베타_오프셋 지시자(beta_offset indicator), DMRS 포트의 개수,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정보, 추가(additional) MAC 테이블 지시자, PSFCH 오버헤드 지시자, 또는 충돌 정보 수신기 플래그(conflict information receiver flag)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CI 포맷 2-A는 PSSCH의 디코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SCI 포맷 2-A는 HARQ 프로세서 번호(number), NDI(new data indicator), RV(redundancy version), 소스(source) ID, 목적지(destination) ID, HARQ 피드백 인에이블/디세이블(enabled/disabled) 지시자, 캐스트 타입 지시자, 또는 CSI 요청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CI 포맷 2-B는 PSSCH의 디코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SCI 포맷 2-B는 HARQ 프로세서 번호, NDI, RV, 소스 ID, 목적지 ID, HARQ 피드백 인에이블/디세이블 지시자, 존(zone) ID, 또는 통신 범위 요구사항(communication range requirement)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CI 포맷 2-C는 PSSCH의 디코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SCI 포맷 2-C는 인터-UE 조정 정보의 제공 또는 요청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SCI 포맷 2-C는 HARQ 프로세서 번호, NDI, RV, 소스 ID, 목적지 ID, HARQ 피드백 인에이블/디세이블 지시자, CSI 요청, 또는 제공/요청 지시자(providing/requesting indicator)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공/요청 지시자의 값이 0으로 설정된 경우, 이는 SCI 포맷 2-C가 인터-UE 조정 정보의 제공을 위해 사용되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SCI 포맷 2-C는 자원 조합(resource combinations), 제1 자원 위치(first resource location), 참조 슬롯 위치(reference slot location), 자원 집합 타입(resource set type), 또는 가장 낮은 서브채널 인덱스들(lowest subchannel indices)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공/요청 지시자의 값이 1로 설정된 경우, 이는 SCI 포맷 2-C가 인터-UE 조정 정보의 요청을 위해 사용되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SCI 포맷 2-C는 우선순위(priority), 서브채널 개수(number of subchannels), 자원 예약 구간(resource reservation period), 자원 선택 윈도우 위치(resource selection window location), 자원 집합 타입, 또는 패딩 비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SL(sidelink) 통신은 빔 관리(management)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빔 관리 동작은 FR2 대역에서 지원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빔 관리 동작은 빔 트래킹(tracking) 동작을 포함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빔 관리 동작은 비주기적(aperiodic)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보고(reporting), 주기적(periodic) CSI 보고, 또는 준-정적(semi-persistent) CSI 보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SCI(예를 들어, SCI 포맷 2-A 및/또는 2-C)는 CSI 요청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빔 관리 동작은 상기 SCI에 기초한 비주기적 CSI 보고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제1 단말은 SL 슬롯에 속하는 심볼들 각각에서 CSI-RS(예를 들어, 빔 관리를 위한 CSI-RS)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단말은 빔 스위핑(sweeping) 동작에 기초하여 CSI-RS를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단말은 SL 슬롯에 속하는 심볼들 각각에서 서로 다른 빔들(예를 들어, 서로 다른 송신 빔들)을 사용하여 CSI-RS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단말은 제1 단말로부터 CSI-RS를 수신할 수 있다. CSI-RS의 수신 동작은 빔 스위핑 동작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말은 서로 다른 빔들(예를 들어, 서로 다른 수신 빔들)을 사용하여 CSI-RS에 대한 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CSI-RS(예를 들어, 참조 신호)의 송수신 동작이 빔 스위핑 동작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경우, 상기 CSI-RS의 송수신을 위한 자원들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참조 신호에 대한 빔 스위핑 동작을 위한 자원들이 할당되는 경우, SL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심볼들(예를 들어, PSSCH 심볼들)은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SL 통신에서 참조 신호 외의 신호(예를 들어, 동기 신호)에 기초한 빔 관리 동작은 필요할 수 있다.
NR Uu 링크에서 빔 관리 동작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 CSI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신호: CSI-RS 집합 및/또는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
■ 빔에 대한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메트릭(metric): L1-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 단말 별 보고 가능한 CSI의 최대 개수: 4개(예를 들어, 4개의 빔들에 대한 CSI 보고가 가능)
■ 보고 정보: 빔들의 L1-RSRP들 중 가장 큰 L1-RSRP 및/또는 나머지 빔들의 L1-RSRP와 가장 큰 L1-RSRP 간의 차이
■ CSI-RS 전송 타입: CSI 보고 타입 + CSI 보고를 위해 사용되는 채널
- 주기적 타입: 주기적 CSI 보고 +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 준-정적 타입: 주기적 CSI 보고 + PUCCH 또는 준-정적 CSI 보고 +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 비주기적 타입: 비주기적 CSI 보고(예를 들어, CSI 요청 필드를 가지는 DCI에 의해 트리거링 되는 비주기적 CSI 보고) + PUSCH
■ 하향링크의 송수신 빔들 각각에 대한 빔 조정은 수행될 수 있음.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간에 빔 상호성(reciprocity)이 만족하는 경우, 빔 관리 동작(예를 들어, 빔 조정 동작)은 하향링크에 대해서만 수행될 수 있음.
NR SL 링크에서 CSI 관련 동작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 CSI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신호: CSI-RS 집합
■ CQI 메트릭: L1-RSRP
■ 최대 CSI-RS 포트: 2
■ CSI-RS 전송 타입: CSI 보고 타입 + CSI 보고를 위해 사용되는 채널
- 비주기적 타입: 비주기적 CSI 보고(예를 들어, CSI 요청 필드를 가지는 SCI 포맷 2-A 또는 2-C에 의해 트리거링 되는 비주기적 CSI 보고) + PSSCH(예를 들어, MAC CE)
NR 통신에서 S-SSB(sidelink-synchronization signal block) 관련 동작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 NR Uu 링크에서 SSB 전송과 다르게, NR SL 링크에서 S-SSB 전송은 고정된 주기에서 수행될 수 있음. 상기 고정된 주기는 160ms일 수 있음.
■ 아래 표 3을 참조하면, 하나의 S-SSB 구간에서 FR(frequency range) 및/또는 SCS(subcarrier spacing)에 따라 복수의 S-SSB들의 전송은 가능할 수 있음.
SL 통신에서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 간의 빔(예를 들어, 송신 빔 및/또는 수신 빔)에 대한 빔 관리(예를 들어, 빔 품질 측정)를 위해 S-SSB는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빔 관리 동작은 S-SSB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빔에 대한 정보 측정을 위해 S-SSB를 전송하는 단말은 송신 단말(또는, 제1 단말)로 지칭될 수 있고, S-SSB를 수신하는 단말은 수신 단말(또는, 제2 단말)로 지칭될 수 있다. 수신 단말은 S-SSB에 기초하여 빔 정보를 획득(예를 들어, 측정)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에 빔 정보를 송신 단말에 보고할 수 있다. 빔 정보는 송신 단말의 송신 빔의 정보 및/또는 수신 단말의 수신 빔의 정보일 수 있다. 수신 단말이 측정한 빔 정보는 BSI(beam state information)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SI는 특정 빔의 인덱스, 빔 품질 정보(예를 들어, RSRP,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등), 및/또는 빔 품질의 측정 값들(예를 들어, RSRP, RSRQ, RSSI 등)에 대한 연산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S-SSB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S-SSB는 S-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PSBCH를 포함할 수 있다. S-SSB는 PSBCH DMR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SBCH DMRS는 PSBCH의 복조를 위해 사용되는 DMRS일 수 있다. S-SSB는 하나의 슬롯 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S-SSB에서 일반(normal) CP(cyclic prefix)는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도 9에 도시된 S-SSB, 도 9에 도시된 S-SSB에 대해 변형된 S-SSB, 도 9에 도시된 S-SSB에 대한 확장된 S-SSB, 및/또는 도 9에 도시된 S-SSB에 대한 조합된 S-SSB는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은 S-SSB 구간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S-SSB 구간에서 하나 이상의 S-SSB들은 전송될 수 있다. S-SSB 구간의 주기는 160ms일 수 있다. S-SSB 구간의 주기는 고정된 주기일 수 있다. S-SSB 구간의 시작 시간부터 첫 번째 S-SSB의 전송 시간까지의 시간 오프셋 및/또는 S-SSB들 간의 시간 인터벌(interval)은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들)에 설정될 수 있다. 단말은 시간 오프셋 및/또는 시간 인터벌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S-SSB(들)을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도 10에 도시된 S-SSB 구간, 도 10에 도시된 S-SSB 구간에 대해 변형된 S-SSB 구간, 도 10에 도시된 S-SSB 구간에 대한 확장된 S-SSB 구간, 및/또는 도 10에 도시된 S-SSB 구간에 대한 조합된 S-SSB 구간은 사용될 수 있다.
도 11은 동기 신호의 구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PSBCH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자원들(예를 들어, 자원 구간, 자원 영역)은 심볼 #1 내지 #9일 수 있다. 슬롯(예를 들어, 동기 신호가 전송되는 슬롯) 내의 9개의 심볼들(예를 들어, 심볼 #1 내지 #9)은 빔 관리 동작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볼 #1 내지 #9는 PSBCH 전송 대신에 다른 용도(예를 들어, 빔 관리 동작에 관련된 용도)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S-SSB는 BM(beam management)-S-SSB 및 Sync-S-SSB로 분류될 수 있다. BM-S-SSB는 빔 관리 동작(예를 들어, 빔 측정 동작)을 위해 사용되는 S-SSB를 의미할 수 있다. BM-S-SSB가 전송 및/또는 배치되는 슬롯에서 특정 자원들(예를 들어, 심볼 #1 내지 심볼 #9)은 PSBCH 전송 대신에 다른 용도(예를 들어, 빔 관리 동작에 관련된 용도)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BM-S-SSB는 PSBCH 없이 S-PSS 및 S-SSS를 포함할 수 있다. Sync-S-SSB는 동기를 위해 사용되는 S-SSB를 의미할 수 있다. Sync-S-SSB는 도 9에 도시된 S-SSB일 수 있다. Sync-S-SSB는 S-PSS, S-SSS, 및 PSBCH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Sync-S-SSB는 PSBCH DMR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BM-S-SSB의 전송 자원은 Syn-S-SSB의 전송 자원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전송 자원은 시간 자원, 주파수 자원, 공간 자원, 및/또는 전송 주기일 수 있다. 또는, BM-S-SSB의 전송 자원은 Syn-S-SSB의 전송 자원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S-SSB(예를 들어, BM-S-SSB 및/또는 Sync-S-SSB)를 구별하기 위해 SLSS ID(identifier)는 사용될 수 있다. 송신 단말은 SLSS ID의 전체 정보 또는 일부 정보를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 MAC 시그널링, 및/또는 PHY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수신 단말은 송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정보(예를 들어, SLSS ID)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단말이 전송하는 S-SSB(들)을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BM-S-SSB의 구조는 설명될 것이다. BM-S-SSB의 설정 정보(이하, "동기 설정 정보"라 함)는 단말(들)에 시그널링 될 수 있다. 동기 설정 정보는 BM-S-SSB의 설정 정보 및/또는 Sync-S-SSB의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기 설정 정보는 동기 신호(예를 들어, BM-S-SSB)의 전송 자원 정보, 식별 정보(예를 들어, SLSS ID), 빔 패턴 정보, 구조 정보, 또는 타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 자원 정보는 BM-S-SSB의 시간 자원 정보, 주파수 자원 정보, 공간 자원 정보, 또는 전송 주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빔 패턴 정보는 BM-S-SSB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송신 단말의 송신 빔(들)을 지시할 수 있다. 구조 정보는 BM-S-SSB의 구조(예를 들어, BM-S-SSB에 포함되는 신호의 종류)를 지시할 수 있다. 타입 정보는 송신 단말이 전송하는 동기 신호가 BM-S-SSB 또는 Sync-S-SSB인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동기 신호는 BM-S-SSB 및/또는 Sync-S-SSB을 의미할 수 있다.
기지국은 동기 설정 정보를 단말들에 시그널링 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송신 단말은 수신 단말(들)에 동기 설정 정보를 시그널링 할 수 있다. 시그널링은 SI(system information) 시그널링, RRC 시그널링, MAC 시그널링, 또는 PHY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단말들(예를 들어, 송신 단말 및/또는 수신 단말)은 시그널링을 통해 동기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송신 단말은 동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예를 들어, BM-S-SSB 및/또는 Sync-S-SSB)를 수신 단말(들)에 전송할 수 있다. 송신 단말은 BM-S-SSB를 전송함으로써 빔 관리 동작을 수행하는 수신 단말에 동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수신 단말은 동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BM-S-SSB에 대한 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BM-S-SSB에 기초하여 동기 설정 및/또는 빔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수신 단말은 동기 신호(예를 들어, BM-S-SSB 및/또는 Sync-S-SSB)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동기 신호를 전송한 송신 단말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단말이 하나 이상의 송신 단말들과 SL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또는 "수신 단말이 하나 이상의 송신 단말들과 빔 관리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수신 단말은 하나 이상의 송신 단말들로부터 동기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송신 단말들 중 수신 단말에서 수신된 동기 신호를 전송한 송신 단말을 식별할 수 있다. 동기 신호는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 간의 빔을 통해 전송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 단말은 송신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빔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도 12는 동기 신호의 구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BM-S-SSB는 S-PSS 및 S-SSS를 포함할 수 있다. BM-S-SSB는 PSBCH 및 PSBCH DMRS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PSBCH의 전송 자원(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심볼 #1 내지 #9)에서 어떤 신호도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BM-S-SSB(예를 들어, PSBCH를 포함하지 않는 BM-S-SSB)와 Sync-S-SSB가 동일한 자원에서 전송되는 경우, BM-S-SSB는 Sync-S-SSB에 포함되는 PSBCH에 간섭을 야기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초기 접속 단말 및/또는 재접속 단말은 동기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도 13은 동기 신호의 구조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BM-S-SSB는 S-PSS, S-SSS, 및 BM(beam management) RS(reference signal)를 포함할 수 있다. BM RS는 빔 관리 동작(예를 들어, 빔 정보의 측정 동작)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기존 RS는 BM RS로 재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M RS는 CSI-RS일 수 있다. 또는, BM을 위해 새롭게 정의되고 사용되는 RS일 수 있다. BM-S-SSB는 PSBCH 및 PSBCH DMRS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시간 도메인에서 BM RS는 PSBCH의 전송 자원(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심볼 #1 내지 #9)에 배치(예를 들어, 매핑) 될 수 있다. BM RS는 PSBCH 심볼들 중 일부 PSBCH 심볼에 매핑 될 수 있다. PSBCH 심볼은 PSBCH가 전송(예를 들어, 매핑)되는 심볼일 수 있다. 주파수 도메인에서 BM RS는 PSBCH의 주파수 자원들(예를 들어, 주파수 영역) 중 PSBCH DMRS가 매핑되는 서브캐리어들을 제외한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들에 매핑 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주파수 도메인에서 BM RS는 PSBCH DMRS와 중첩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들에 매핑 될 수 있다. 이 경우, BM-S-SSB가 Sync-S-SSB의 PSBCH DMRS에 야기하는 간섭은 최소화될 수 있고, BM-S-SSB 기반의 빔 관리 동작에서 빔 정보(예를 들어, 송신 단말의 송신 빔의 정보 및/또는 수신 단말의 수신 빔의 정보)의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심볼들의 개수는 최대화될 수 있다.
주파수 도메인에서 BM RS는 PSBCH DMRS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주파수 도메인에서 BM RS의 위치와 PSBCH DMRS의 위치 간의 간격은 오프셋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오프셋이 +X로 설정된 경우, 주파수 도메인에서 BM RS는 PSBCH DMRS가 매핑되는 서브캐리어보다 X개의 서브캐리어들 위의 서브캐리어(들)에 매핑될 수 있다. 오프셋이 -X로 설정된 경우, 주파수 도메인에서 BM RS는 PSBCH DMRS가 매핑되는 서브캐리어보다 X개의 서브캐리어들 아래의 서브캐리어(들)에 매핑될 수 있다. 오프셋(X)은 단말(들)에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 설정 정보는 오프셋(X)을 포함할 수 있다. X는 자연수일 수 있다.
송신 단말은 동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BM-S-SSB를 전송할 수 있다. BM-S-SSB에 포함되는 BM RS는 오프셋(X)을 기초로 결정되는 서브캐리어(들)에서 전송될 수 있다. 수신 단말은 동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BM-S-SSB에 대한 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 단말은 오프셋(X)에 기초하여 BM-S-SSB에 포함되는 BM RS가 전송되는 서브캐리어(들)을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서브캐리어(들)에서 BM RS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 단말은 BM RS에 기초하여 빔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BM-S-SSB가 전송되는 주파수 영역에서 가장 낮은 서브캐리어 인덱스(또는, 가장 높은 서브캐리어 인덱스) 및 서브캐리어 오프셋은 단말(들)에 설정될 수 있다. BM RS는 BM-S-SSB의 주파수 영역에서 가장 낮은 서브캐리어(또는, 가장 높은 서브캐리어)부터의 서브캐리어 오프셋에 해당하는 서브캐리어(들)에 매핑 될 수 있다. BM RS는 서브캐리어 오프셋의 간격에 따라 주파수 도메인에 매핑 될 수 있다. 송신 단말 및/또는 수신 단말은 가장 낮은 서브캐리어 인덱스(또는, 가장 높은 서브캐리어 인덱스) 및 서브캐리어 오프셋에 기초하여 BM RS가 매핑되는 서브캐리어(들)을 확인할 수 있다. 송신 단말은 확인된 서브캐리어(들)에서 BM RS를 전송할 수 있고, 수신 단말은 확인된 서브캐리어(들)에서 BM RS를 수신할 수 있다.
BM RS는 다양한 방식들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BM RS의 설정 정보는 동기 설정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BM RS의 설정 정보는 BM RS가 매핑되는 시간 자원(들)을 지시하는 정보, BM RS가 매핑되는 주파수 자원(들)을 지시하는 정보(예를 들어, 가장 낮은 서브캐리어 인덱스, 가장 높은 서브캐리어 인덱스, 및/또는 서브캐리어 오프셋), BM RS의 전송 패턴, 또는 BM RS의 전송 밀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BM RS의 설정 정보는 RRC 시그널링, MAC 시그널링, 또는 PHY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전송될 수 있다. BM RS는 RP(resource pool)-특정적(specific), SL-특정적, 및/또는 UE-특정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4는 동기 신호의 구조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BM-S-SSB는 S-PSS, S-SSS, 및 BM RS를 포함할 수 있다. BM RS는 빔 관리 동작(예를 들어, 빔 정보의 측정 동작)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기존 RS는 BM RS로 재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M RS는 CSI-RS일 수 있다. 또는, BM을 위해 새롭게 정의되고 사용되는 RS일 수 있다. BM-S-SSB는 PSBCH 및 PSBCH DMRS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시간 도메인에서 BM RS가 매핑되는 시간 자원(들)은 Sync-S-SSB에 포함되는 PSBCH가 매핑되는 시간 자원(들)일 수 있다. BM RS는 PSBCH 심볼들 중 일부 PSBCH 심볼에 매핑 될 수 있다. 주파수 도메인에서 BM RS가 매핑되는 주파수 자원(들)은 Sync-S-SSB(예를 들어, PSBCH)가 매핑되는 주파수 자원들 밖의 주파수 자원(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BM RS는 x1개의 서브캐리어들 및 x2개의 서브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캐리어들에 매핑될 수 있다. x1개의 서브캐리어들 및 x2개의 서브캐리어들은 Sync-S-SSB(예를 들어, PSBCH)가 매핑되는 주파수 자원들 밖의 서브캐리어들일 수 있다. x1 및 x2 각각은 자연수일 수 있다. BM RS를 위해 추가 주파수 자원(들)(예를 들어, 추가 서브캐리어(들))은 할당될 수 있다. BM-S-SSB가 전송되는 주파수 영역은 Sync-S-SSB가 전송되는 주파수 영역보다 넓을 수 있다. BM-S-SSB가 Sync-S-SSB의 PSBCH에 야기하는 간섭은 최소화될 수 있고, BM-S-SSB 기반의 빔 관리 동작에서 빔 정보의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심볼들의 개수는 최대화될 수 있다.
BM-S-SSB가 전송되는 주파수 영역에서 가장 낮은 서브캐리어 인덱스(또는, 가장 높은 서브캐리어 인덱스) 및 서브캐리어 오프셋은 단말(들)에 설정될 수 있다. BM RS는 BM-S-SSB의 주파수 영역에서 가장 낮은 서브캐리어(또는, 가장 높은 서브캐리어)부터의 서브캐리어 오프셋에 해당하는 서브캐리어(들)에 매핑 될 수 있다. BM RS는 서브캐리어 오프셋의 간격에 따라 주파수 도메인에 매핑 될 수 있다. 송신 단말 및/또는 수신 단말은 가장 낮은 서브캐리어 인덱스(또는, 가장 높은 서브캐리어 인덱스) 및 서브캐리어 오프셋에 기초하여 BM RS가 매핑되는 서브캐리어(들)을 확인할 수 있다. 송신 단말은 확인된 서브캐리어(들)에서 BM RS를 전송할 수 있고, 수신 단말은 확인된 서브캐리어(들)에서 BM RS를 수신할 수 있다.
BM RS는 다양한 방식들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BM RS의 설정 정보는 동기 설정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BM RS의 설정 정보는 BM RS가 매핑되는 시간 자원(들)을 지시하는 정보, BM RS가 매핑되는 주파수 자원(들)을 지시하는 정보(예를 들어, 가장 낮은 서브캐리어 인덱스, 가장 높은 서브캐리어 인덱스, 및/또는 서브캐리어 오프셋), BM RS의 전송 패턴, 또는 BM RS의 전송 밀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BM RS의 전송을 위해 주파수 자원(들)은 추가로 할당될 수 있다. BM RS의 설정 정보는 RRC 시그널링, MAC 시그널링, 또는 PHY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전송될 수 있다. BM RS는 RP-특정적, SL-특정적, 및/또는 UE-특정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5는 동기 신호의 구조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BM-S-SSB는 S-PSS, S-SSS, 및 S-XSS를 포함할 수 있다. BM-S-SSB는 참조 신호(예를 들어, BM RS)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S-XSS는 S-PSS(예를 들어, 추가 S-PSS) 또는 S-SSS(예를 들어, 추가 S-SSS)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S-PSS 및/또는 S-SSS는 추가로 전송될 수 있다. S-PSS 및/또는 S-SSS는 단말(들)이 알고 있는 신호일 수 있다. S-XSS는 PSBCH의 전송 자원(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심볼 #1 내지 #9)에 배치(예를 들어, 매핑) 될 수 있다. BM-S-SSB의 설정 정보(예를 들어, 동기 설정 정보)는 단말(들)에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송신 단말은 BM-S-SSB를 수신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수신 단말은 BM-S-SSB를 수신할 수 있고, BM-S-SSB에 기초하여 빔 정보(예를 들어, 송신 단말의 송신 빔의 정보 및/또는 수신 단말의 수신 빔의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BM-S-SSB의 S-SSS, S-PSS, 및 S-XSS는 슬롯 내의 전체 심볼들(예를 들어, AGC(automatic gain control) 심볼 및/또는 보호(guard) 심볼을 제외한 심볼들)에 매핑 되므로, 수신 단말은 슬롯 내의 전체 심볼들(예를 들어, AGC 심볼 및/또는 보호 심볼을 제외한 심볼들)에서 빔 정보의 측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6은 동기 신호의 구조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BM-S-SSB는 S-PSS, S-SSS, 및 S-XSS를 포함할 수 있다. BM-S-SSB는 참조 신호(예를 들어, BM RS)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S-XSS는 S-PSS(예를 들어, 추가 S-PSS) 또는 S-SSS(예를 들어, 추가 S-SSS)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S-PSS 및/또는 S-SSS는 추가로 전송될 수 있다. S-PSS 및/또는 S-SSS는 단말(들)이 알고 있는 신호일 수 있다. BM-S-SSB는 S-SSS/S-PSS가 전송되는 기존 심볼들 뿐만 아니라 추가 심볼(들)에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 단말은 상기 기존 심볼들 및 상기 추가 심볼(들)에서 빔 정보의 측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BM-S-SSB가 Sync-S-SSB(예를 들어, Sync-S-SSB에 포함되는 PSBCH)에 야기하는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S-XSS는 PSBCH의 전송 자원들 중 일부 심볼에 매핑 될 수 있다. S-XSS는 전체 PSBCH 심볼들(예를 들어, 9개의 PSBCH 심볼들) 중 5개의 PSBCH 심볼들에 매핑 될 수 있고, S-XSS는 나머지 4개의 PSBCH 심볼들에 매핑 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BM-S-SSB의 S-XSS가 Sync-S-SSB의 PSBCH에 야기하는 간섭은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심볼 #1(예를 들어, 슬롯 내의 첫 번째 심볼)은 AGC 동작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심볼 #1에서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이 알고 있는 시퀀스 또는 신호(예를 들어, S-SSS, P-SSS, 참조 신호, 및/또는 PSBCH)는 전송될 수 있다. 상기 BM-S-SSB에 대한 변형된 BM-S-SSB, 상기 BM-S-SSB에 대한 확장된 BM-S-SSB, 및/또는 상기 BM-S-SSB에 대한 조합된 BM-S-SSB는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BM RS의 위치는 송신 단말 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송신 단말의 제1 BM RS의 위치는 제2 송신 단말의 제2 BM RS의 위치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BM RS들 간의 간섭은 최소화될 수 있다. BM RS의 설정 정보는 동기 설정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수신 단말은 송신 단말이 전송하는 BM-S-SSB에 포함되는 S-PSS 및/또는 S-SSS를 검출함으로써 BM-S-SSB를 전송하는 송신 단말을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송신 단말의 BM RS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BM RS에 대한 수신 동작(예를 들어, 디코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 단말은 BM RS에 기초하여 빔 정보의 측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빔 정보의 측정 결과(예를 들어, BSI)를 송신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송신 단말은 BSI에 기초하여 송신 단말의 송신 빔을 유지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수신 단말은 BM-S-SSB의 설정 정보 및/또는 BM RS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단말로부터 BM-S-SSB를 수신할 수 있고, BM-S-SSB에 포함되는 S-PSS 및/또는 S-SSS를 검출함으로써 BM RS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위치에서 BM RS에 대한 수신 동작(예를 들어, 디코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된 S-PSS 및/또는 검출된 S-SSS에 기초하여 시퀀스의 인덱스, 시퀀스의 종류, 및/또는 SLSS ID는 확인될 수 있고, BM RS의 전송 자원의 위치는 시퀀스의 인덱스, 시퀀스의 종류, 및/또는 SLSS ID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 단말은 시퀀스의 인덱스, 시퀀스의 종류, 및/또는 SLSS ID에 기초하여 BM RS의 전송 자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위치에서 BM RS에 대한 수신 동작(예를 들어, 디코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송신 단말들은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지는 BM-S-SSB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송신 단말은 도 12에 도시된 BM-S-SSB를 전송할 수 있고, 제2 송신 단말은 도 13에 도시된 BM-S-SSB를 전송할 수 있고, 제3 송신 단말은 도 15에 도시된 BM-S-SSB를 전송할 수 있다. BM RS는 CSI-RS에 대한 설정을 통해 빔 정보의 측정을 위한 참조 신호로 사용될 수 있다. 빔 정보의 측정을 위한 새로운 참조 신호는 정의될 수 있다.
BM-S-SSB는 도 10에 도시된 방식에 기초하여 전송될 수 있다. 동기 신호(예를 들어, BM-S-SSB 및/또는 Sync-S-SSB)의 전송을 위한 설정 값(들)은 설정(예를 들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동기 신호의 전송을 위한 설정 값(들)은 고정된 값(들)일 수 있다. 동기 신호의 전송을 위한 설정 값(들)은 S-SSB 구간, S-SSB 구간의 주기, 시간 오프셋, 시간 인터벌, 및/또는 1개의 S-SSB 구간 내에서 전송되는 S-SSB들의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동기 신호의 전송을 위한 설정 값(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시그널링(예를 들어, SI 시그널링, RRC 시그널링, MAC 시그널링, 및/또는 PHY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들)에 설정될 수 있다.
한편, BM-S-SSB 전송은 복수의 슬롯들에서 연속하여 수행될 수 있다. BM-S-SSB 전송이 수행되는 복수의 슬롯들은 특정 주기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동기 슬롯은 동기 신호(예를 들어, BM-S-SSB 및/또는 Sync-S-SSB)가 전송되는 슬롯일 수 있다.
도 17은 동기 신호의 전송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S-SSB 구간 내에서 연속한 BM-S-SSB 전송들은 수행될 수 있다. 연속한 BM-S-SSB 전송들은 연속한 슬롯들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연속한 BM-S-SSB 전송들은 n개의 슬롯(들)의 간격을 가지는 슬롯들에서 수행될 수 있다. n은 자연수일 수 있다. n은 동기 설정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S-SSB 구간 내에서 연속한 BM-S-SSB 그룹들의 전송은 수행될 수 있다. BM-S-SSB 그룹은 하나 이상의 BM-S-SSB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동기 설정 정보는 S-SSB 구간의 정보(예를 들어, S-SSB 구간의 길이 및/또는 주기), S-SSB 구간에 대한 시간 오프셋, S-SSB 구간에 대한 시간 인터벌. S-SSB 구간에서 전송 가능한 BM-S-SSB들(예를 들어, 연속한 BM-S-SSB들)의 개수, BM-S-SSB들이 전송되는 슬롯들 간의 간격, S-SSB 구간에서 전송 가능한 BM-S-SSB 그룹들(예를 들어, 연속한 BM-S-SSB 그룹들)의 개수, 또는 BM-S-SSB 그룹들의 시간 인터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동기 설정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는 SI 시그널링, RRC 시그널링, MAC 시그널링, 또는 PHY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BM-S-SSB는 비주기적(aperiodic) 방식 또는 준-정적(semi-persistent)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 단말은 미리 설정된 구간(예를 들어, 미리 지시된 구간) 동안에 비주기적 방식 또는 준-정적 방식에 기초하여 BM-S-SSB를 전송할 수 있다. BM-S-SSB 전송이 기지국에 의해 인이에블(enable) 되는 경우, 송신 단말은 BM-S-SSB를 전송할 수 있다. BM-S-SSB 전송이 기지국에 의해 디세이블(disable) 되는 경우, 송신 단말은 BM-S-SSB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BM-S-SSB는 주기적(periodic)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 단말은 BM-S-SSB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BM-S-SSB가 비주기적 방식 도는 준-정적 방식으로 전송되는 경우, BM-S-SSB의 전송 구간(예를 들어, 전송 범위)는 SI 시그널링, RRC 시그널링, MAC 시그널링, 또는 PHY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단말(들)에 설정 또는 지시될 수 있다.
동기 신호(예를 들어, BM-S-SSB 및/또는 Sync-S-SSB)의 전송을 위한 빔 패턴은 정의될 수 있다. 빔 패턴은 n개의 동기 신호(들)의 단위, n개의 동기 신호 그룹(들)의 단위, 또는 n개의 S-SSB 구간들의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n은 자연수일 수 있다. n은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들)에 설정될 수 있다. n은 동기 설정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빔 패턴의 설정 단위에 상응하는 구간에서 송신 단말은 빔 패턴에 기초하여 모든 송신 빔들을 사용하여 동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동기 신호는 빔 패턴에 기초하여 빔 스위핑(sweeping)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하나의 BM-S-SSB 또는 하나의 BM-S-SSB 그룹은 하나의 송신 빔을 사용하여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BM-S-SSB 또는 하나의 BM-S-SSB 내에서 빔 정보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S-PSS, S-SSS, 및 BM RS의 모든 전송 심볼들에서 동일한 송신 빔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방식과 달리, 동일한 빔(예를 들어, 동일한 송신 빔)을 사용하는 전송 동작은 n개의 심볼들의 단위로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n은 자연수일 수 있다. n이 1로 설정되는 경우, BM-S-SSB의 전송 절차에서 송신 단말은 심볼들 각각에서 서로 다른 빔들을 사용하여 BM-S-SSB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단말은 심볼 #m에서 송신 빔 #1을 사용하여 S-PSS를 전송할 수 있고, 심볼 #m+1에서 송신 빔 #2를 사용하여 S-SSS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8은 동기 신호의 전송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19는 동기 신호의 전송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송신 단말은 S-SSB 구간 내에서 BM-S-SSB들을 전송할 수 있다. 송신 단말은 S-SSB 구간 내에서 8개의 BM-S-SSB들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단말은 연속한 4개의 BM-S-SSB들(예를 들어, BM-S-SSB #1 내지 #4)을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연속한 4개의 BM-S-SSB들의 전송 시간부터 시간 인터벌 후에 연속한 4개의 BM-S-SSB들(예를 들어, BM-S-SSB #5 내지 #8)을 전송할 수 있다. BM-S-SSB #1 내지 #4는 BM-S-SSB 그룹 #1일 수 있고, BM-S-SSB #5 내지 #8은 BM-S-SSB 그룹 #2일 수 있다. 송신 단말은 빔 스위핑 방식에 기초하여 BM-S-SSB들을 전송할 수 있다. 송신 단말은 4개의 빔들(예를 들어, 4개의 송신 빔들)을 사용하여 BM-S-SSB들을 전송할 수 있다. 4개의 빔들은 빔 #1, 빔 #2, 빔 #3, 및 빔 #4일 수 있다. 송신 단말이 지원 가능한 빔들의 최대 개수는 4일 수 있다.
송신 단말은 하나의 빔을 사용하여 하나의 BM-S-SSB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의 실시예에서 빔 패턴은 빔 #1-빔 #2-빔 #3-빔 #4일 수 있다. 빔 패턴 정보는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들)에 설정 또는 지시될 수 있다. 도 18의 실시예에서 BM-S-SSB 전송 마다 서로 다른 빔들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단말은 빔 #1을 사용하여 BM-S-SSB #1을 전송할 수 있고, 빔 #2를 사용하여 BM-S-SSB #2를 전송할 수 있고, 빔 #3을 사용하여 BM-S-SSB #3을 전송할 수 있고, 빔 #4를 사용하여 BM-S-SSB #4를 전송할 수 있고, 빔 #1을 사용하여 BM-S-SSB #5를 전송할 수 있고, 빔 #2를 사용하여 BM-S-SSB #6을 전송할 수 있고, 빔 #3을 사용하여 BM-S-SSB #7을 전송할 수 있고, 빔 #4를 사용하여 BM-S-SSB #8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9의 실시예에서 2개의 BM-S-SSB 전송들 마다 서로 다른 빔들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단말은 빔 #1을 사용하여 BM-S-SSB #1 및 #2를 전송할 수 있고, 빔 #2를 사용하여 BM-S-SSB #3 및 #4를 전송할 수 있고, 빔 #3을 사용하여 BM-S-SSB #5 및 #6을 전송할 수 있고, 빔 #4를 사용하여 BM-S-SSB #7 및 #8을 전송할 수 있다.
도 20은 동기 신호의 전송 방법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송신 단말은 도 18에 도시된 방식 또는 도 19에 도시된 방식에 기초하여 도 12에 도시된 구조를 가지는 BM-S-SSB를 전송할 수 있다. 하나의 BM-S-SSB 전송을 위해 하나의 빔이 사용되므로, 송신 단말은 하나의 BM-S-SSB에 속하는 S-PSS들 및 S-SSS들을 하나의 빔(예를 들어, 빔 #1)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BM-S-SSB의 전송 절차에서 2개의 심볼들(예를 들어, 연속한 2개의 심볼들 또는 불연속한 2개의 심볼들) 마다 서로 다른 빔들이 사용되는 것은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 단말은 아래 도 21에 도시된 방식 또는 아래 도 22에 도시된 방식에 기초하여 BM-S-SSB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1은 동기 신호의 전송 방법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송신 단말은 도 12에 도시된 구조를 가지는 BM-S-SSB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단말은 빔 #1을 사용하여 BM-S-SSB의 첫 번째 S-PSS를 전송할 수 있고, 빔 #2를 사용하여 BM-S-SSB의 두 번째 S-PSS를 전송할 수 있고, 빔 #1을 사용하여 BM-S-SSB의 첫 번째 S-SSS를 전송할 수 있고, 빔 #2를 사용하여 BM-S-SSB의 두 번째 S-SSS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2는 동기 신호의 전송 방법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송신 단말은 도 12에 도시된 구조를 가지는 BM-S-SSB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단말은 빔 #1을 사용하여 BM-S-SSB의 첫 번째 S-PSS 및 두 번째 S-PSS를 전송할 수 있고, 빔 #2를 사용하여 BM-S-SSB의 첫 번째 S-SSS 및 두 번째 S-SSS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방식 또는 도 22에 도시된 방식에 기초한 BM-S-SSB 전송은 아래 도 23의 실시예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도 23은 동기 신호의 전송 방법의 제7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송신 단말은 2개의 빔들을 사용하여 하나의 BM-S-SSB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단말은 빔 #1 및 #2를 사용하여 BM-S-SSB #1을 전송할 수 있고, 빔 #3 및 #4를 사용하여 BM-S-SSB #2를 전송할 수 있고, 빔 #1 및 #2를 사용하여 BM-S-SSB #3을 전송할 수 있고, 빔 #3 및 #4를 사용하여 BM-S-SSB #4를 전송할 수 있고, 빔 #1 및 #2를 사용하여 BM-S-SSB #5를 전송할 수 있고, 빔 #3 및 #4를 사용하여 BM-S-SSB #6을 전송할 수 있고, 빔 #1 및 #2를 사용하여 BM-S-SSB #7을 전송할 수 있고, 빔 #3 및 #4를 사용하여 BM-S-SSB #8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2개의 BM-S-SSB 전송들에 의해 송신 단말의 전체 빔들(예를 들어, 4개의 빔들)에 대한 스위핑 동작은 가능할 수 있다.
도 23의 예시에서 송신 단말의 빔 패턴(예를 들어, 빔 스위핑 패턴)은 2개의 BM-S-SSB 전송들의 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또는, 송신 단말의 빔 패턴(예를 들어, 빔 스위핑 패턴)은 4개의 BM-S-SSB 전송들의 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송신 단말의 빔 패턴은 n개의 BM-S-SSB 전송들의 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n은 자연수일 수 있다. n은 동기 설정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4는 동기 신호의 전송 방법의 제8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송신 단말은 심볼들 각각에서 서로 다른 빔들을 사용하여 BM-S-SSB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단말은 빔 #1을 사용하여 BM-S-SSB의 첫 번째 S-PSS를 전송할 수 있고, 빔 #2를 사용하여 BM-S-SSB의 두 번째 S-PSS를 전송할 수 있고, 빔 #3을 사용하여 BM-S-SSB의 첫 번째 S-SSS를 전송할 수 있고, 빔 #4를 사용하여 BM-S-SSB의 두 번째 S-SSS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빔 스위핑 동작(예를 들어, 빔 패턴)이 설정되는 경우, 송신 단말은 하나의 BM-S-SSB의 전송 절차에서 전체 빔들을 스위핑 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동기 신호(예를 들어, BM-S-SSB 및/또는 Sync-S-SSB)는 다양한 구조들을 가질 수 있고, 동기 신호의 전송을 위한 자원들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송신 단말(예를 들어, 동기 단말 또는 동기 참조 단말)은 BM-S-SSB와 Sync-S-SSB를 독립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BM-S-SSB 및 Sync-S-SSB는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BM-S-SSB와 Sync-S-SSB 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BM-S-SSB 및 Sync-S-SSB는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BM-S-SSB 전송은 BM-S-SSB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고, Sync-S-SSB 전송은 Sync-S-SSB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BM-S-SSB의 설정 정보 및 Sync-S-SSB의 설정 정보는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들)에 설정될 수 있다.
도 25는 빔 관리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송신 단말이 수신 단말에 대한 동기 단말(예를 들어, Sync-UE)인 경우, Sync-S-SSB 및 BM-S-SSB에 대한 독립적 운용을 통한 빔 관리 방법의 실시예가 도시될 수 있다. 동기 단말은 수신 단말이 초기 동기 설정을 위해 수신하는 S-SSB를 전송하는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기지국은 동기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동기 설정 정보를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들(예를 들어, 송신 단말 및/또는 수신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들은 기지국으로부터 동기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기 설정 정보는 Sync-S-SSB의 설정 정보 및/또는 BM-S-SSB의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ync-S-SSB 및 BM-S-SSB는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송신 단말은 동기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동기 설정 정보를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 단말(들)에 전송할 수 있다. 수신 단말(들)은 송신 단말로부터 동기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송신 단말은 동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Sync-S-SSB(들)을 수신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S2501). Sync-S-SSB는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 간의 동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Sync-S-SSB는 도 9에 도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수신 단말은 동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단말로부터 Sync-S-SSB(들)을 수신할 수 있고, Sync-S-SSB(들)에 기초하여 송신 단말의 동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수신 단말은 동기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단말에 동기 될 수 있다. 그 후에,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 간의 SL 통신은 수행될 수 있다(S2502). SL 통신은 빔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단말의 송신 빔과 수신 단말의 수신 빔 간의 빔 쌍은 설정될 수 있고, SL 통신은 빔 쌍(예를 들어, 송신 빔-수신 빔)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SL 통신에서 빔 관리 동작(예를 들어, 빔 측정 동작)은 필요할 수 있다. 빔 관리 동작이 필요한 경우, 송신 단말은 동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BM-S-SSB(들)을 수신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S2503). 또는, 빔 관리 동작의 필요성과 무관하게, 송신 단말은 BM-S-SSB를 수신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BM-S-SSB 전송이 기지국에 의해 인에이블 또는 활성화된 경우(예를 들어, BM-S-SSB 전송의 인에이블 또는 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경우), 송신 단말은 BM-S-SSB를 수신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BM-S-SSB는 도 12, 도 13, 도 14, 도 15, 또는 도 16에 도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BM-S-SSB 전송은 도 17, 도 18, 도 19, 도 20, 도 21, 도 22, 도 23, 및/또는 도 24에 도시된 방식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BM-S-SSB는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 간의 빔 관리 동작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수신 단말은 동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단말로부터 BM-S-SSB(들)을 수신할 수 있고, BM-S-SSB(들)에 기초하여 빔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수신 단말은 빔 정보의 측정 결과(예를 들어, BSI)를 송신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S2504). BSI는 송신 단말의 빔들(예를 들어, 송신 빔들) 중 가장 좋은 품질을 가지는 빔의 인덱스 및/또는 송신 단말의 빔(들)의 품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단말은 수신 단말로부터 BSI를 수신할 수 있고, BSI에 포함된 정보 요소(들)에 기초하여 송신 빔을 유지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송신 단말은 BM-S-SSB 전송의 디세이블 또는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 단말은 BM-S-SSB 전송을 중지할 수 있다. BM-S-SSB 전송이 디세이블 또는 비활성화 되면, 빔 관리 동작은 중지될 수 있다.
S2502에서 송신 단말은 BM-S-SSB의 전송 이전에 BSI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송신 단말은 BSI에 대한 요청 메시지의 전송 이후에 BM-S-SSB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BSI에 대한 요청 메시지는 "BM-S-SSB 전송과 관련된 설정 정보의 일부 또는 전체" 및/또는"수신 단말로부터 보고 받고자 하는 BSI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5의 실시예는 송신 단말이 동기 단말인 경우의 실시예이지만, 다른 동기 소스(예를 들어, 기지국, 위성 등)에 기초하여 수신 단말의 초기 동기 설정이 수행된 경우, 수신 단말은 송신 단말로부터 Sync-S-SSB(들)을 수신하는 단계(S2501)의 수행 없이 상기에서 설명한 동작들(예를 들어, S2503 내지 S2504 단계)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의 동작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정보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측면들은 장치의 문맥에서 설명되었으나, 그것은 상응하는 방법에 따른 설명 또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블록 또는 장치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상응한다. 유사하게, 방법의 문맥에서 설명된 측면들은 또한 상응하는 블록 또는 아이템 또는 상응하는 장치의 특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의 몇몇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또는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또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단계들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장치(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는 본 개시에서 설명된 방법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는 본 개시에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들은 어떤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개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제1 UE(user equipment)의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BM(beam management)-S(sidelink)-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들을 제2 UE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BM-S-SSB들에 기초하여 측정된 BSI(beam state information)를 상기 제2 UE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BM-S-SSB들 각각은 PSBCH(physical sidelink broadcast channel) 없이 S-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S-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포함하는,
    제1 UE의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UE의 방법은,
    상기 하나 이상의 BM-S-SSB들을 전송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Sync-S-SSB들을 상기 제2 UE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Sync-S-SSB들은 상기 제1 UE와 상기 제2 UE 간의 동기를 위해 사용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Sync-S-SSB들 각각은 상기 S-PSS, 상기 S-SSS, 및 상기 PSBCH를 포함하는,
    제1 UE의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BM-S-SSB들 각각은 BM RS(reference signal)를 더 포함하고, 상기 BM RS는 시간 도메인에서 상기 PSBCH의 전송 자원에 매핑되는,
    제1 UE의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BM RS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UE에 의해 전송되는 Sync-S-SSB에 포함되는 PSBCH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와 중첩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들에 매핑되는,
    제1 UE의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BM RS가 매핑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들은 상기 PSBCH DMRS가 매핑되는 서브캐리어에 대한 오프셋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제1 UE의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M-S-SSB는 하나 이상의 추가 S-PSS들 또는 하나 이상의 추가 S-SSS들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 S-PSS들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 S-SSS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는 시간 도메인에서 상기 PSBCH의 전송 자원에 매핑되는,
    제1 UE의 방법.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UE의 방법은,
    Sync-S-SSB의 제1 설정 정보 및 BM-S-SSB의 제2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 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Sync-S-SSB들은 상기 제1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BM-S-SSB들은 상기 제2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되는,
    제1 UE의 방법.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Sync-S-SSB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BM-S-SSB들은 독립적으로 설정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Sync-S-SSB들의 전송 자원은 상기 하나 이상의 BM-S-SSB들의 전송 자원과 다른,
    제1 UE의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UE의 방법은,
    상기 BSI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E와 상기 제2 UE 간의 SL(sidelink) 통신에서 사용되는 빔을 유지 또는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1 UE의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BM-S-SSB들은 빔 패턴에 따른 빔 스위핑 방식에 기초하여 전송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BM-S-SSB들은 n개의 BM-S-SSB들의 단위로 서로 다른 빔들을 통해 전송되고, n은 자연수인,
    제1 UE의 방법.
  11. 제2 UE(user equipment)의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BM(beam management)-S(sidelink)-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들을 제1 UE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BM-S-SSB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E에 대한 빔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빔 정보를 포함하는 BSI(beam state information)를 상기 제1 UE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BM-S-SSB들 각각은 PSBCH(physical sidelink broadcast channel) 없이 S-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S-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포함하는,
    제2 UE의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UE의 방법은,
    상기 하나 이상의 BM-S-SSB들의 수신 전에, 하나 이상의 Sync-S-SSB들을 상기 제1 UE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Sync-S-SSB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E의 동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Sync-S-SSB들 각각은 상기 S-PSS, 상기 S-SSS, 및 상기 PSBCH를 포함하는,
    제2 UE의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BM-S-SSB들 각각은 BM RS(reference signal)를 더 포함하고, 상기 BM RS는 시간 도메인에서 상기 PSBCH의 전송 자원에 매핑되는,
    제2 UE의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BM RS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UE로부터 수신되는 Sync-S-SSB에 포함되는 PSBCH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와 중첩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들에 매핑되는,
    제2 UE의 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BM-S-SSB는 하나 이상의 추가 S-PSS들 또는 하나 이상의 추가 S-SSS들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 S-PSS들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 S-SSS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는 시간 도메인에서 상기 PSBCH의 전송 자원에 매핑되는,
    제2 UE의 방법.
  16. 제1 UE(user equipment)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UE가,
    하나 이상의 BM(beam management)-S(sidelink)-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들을 제2 UE에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BM-S-SSB들에 기초하여 측정된 BSI(beam state information)를 상기 제2 UE로부터 수신하도록 야기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BM-S-SSB들 각각은 PSBCH(physical sidelink broadcast channel) 없이 S-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S-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포함하는,
    제1 UE.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UE가,
    상기 하나 이상의 BM-S-SSB들을 전송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Sync-S-SSB들을 상기 제2 UE에 전송하도록 더 야기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Sync-S-SSB들은 상기 제1 UE와 상기 제2 UE 간의 동기를 위해 사용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Sync-S-SSB들 각각은 상기 S-PSS, 상기 S-SSS, 및 상기 PSBCH를 포함하는,
    제1 UE.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BM-S-SSB들 각각은 BM RS(reference signal)를 더 포함하고, 상기 BM RS는 시간 도메인에서 상기 PSBCH의 전송 자원에 매핑되는,
    제1 UE.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BM RS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상기 제1 UE에 의해 전송되는 Sync-S-SSB에 포함되는 PSBCH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와 중첩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들에 매핑되는,
    제1 UE.
  20.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BM-S-SSB는 하나 이상의 추가 S-PSS들 또는 하나 이상의 추가 S-SSS들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 S-PSS들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추가 S-SSS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는 시간 도메인에서 상기 PSBCH의 전송 자원에 매핑되는,
    제1 UE.
KR1020230133053A 2022-10-06 2023-10-06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빔 트래킹 및 관리를 위한 동기 신호의 설정 및 전송의 방법 및 장치 KR202400485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913 2022-10-06
KR20220127913 2022-10-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8500A true KR20240048500A (ko) 2024-04-15

Family

ID=90608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3053A KR20240048500A (ko) 2022-10-06 2023-10-06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빔 트래킹 및 관리를 위한 동기 신호의 설정 및 전송의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48500A (ko)
WO (1) WO202407618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7850A1 (en) * 2019-05-10 2020-11-19 Qualcomm Incorporated Beam management for sidelink
US11778641B2 (en) * 2019-11-27 2023-10-03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ations for sidelink beam management
CN115191123A (zh) * 2020-03-12 2022-10-14 华为技术有限公司 侧行链路波束上报
KR20230072478A (ko) * 2020-10-20 2023-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Mmwave v2x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를 위한 사이드링크 csi 보고의 효율적인 전송 방법
KR20230098793A (ko) * 2020-11-03 202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ue 통신 환경에서의 mmwave v2x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76188A1 (ko) 2024-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82867A (ko) 전송 방법, 장치, 제1 통신 노드, 제2 통신 노드, 및 매체
US110512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beam search or beam transmission based on location error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779212B2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CN113302869B (zh) 用于多传输点(trp)的物理下行链路共享信道(pdsch)资源映射
US202203373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harq response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sidelink communication
US108490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A and data associated with congestion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705942B2 (en) Methods for UE-specific RS multiplexing
US20180115925A1 (en) Radio base station,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20180139725A1 (en)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11219025B2 (en) Method by which D2D terminal transmits RS for PDo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20210020783A (ko)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자원의 설정 방법
CN116318587A (zh) 多个无线电接入技术共存场景中的共享信道重映射
CN113424592A (zh) 蜂窝网格网络中的协调波束选择
CN112514303B (zh) 用数据子载波内正交覆盖码的物理上行链路控制信道频分复用
EP4292235A1 (en) Techniques for cross-link interference measurements
WO2023272717A1 (en)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configuration and reporting
CN117426115A (zh) 用于在异步时隙上进行通信的技术
KR20240048500A (ko)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빔 트래킹 및 관리를 위한 동기 신호의 설정 및 전송의 방법 및 장치
KR20240048479A (ko)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동기 신호 기반의 빔 트래킹 및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40034673A (ko)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빔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40062978A (ko)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자원 센싱에 기초한 빔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40060473A (ko)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ra 모드에 따른 빔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991671B2 (en) Feedback designs for multi-user multiple input-multiple output sidelink communication
KR20230160184A (ko)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채널의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20240034149A (ko)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빔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