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8471A - 축전 모듈 - Google Patents

축전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8471A
KR20240048471A KR1020230117448A KR20230117448A KR20240048471A KR 20240048471 A KR20240048471 A KR 20240048471A KR 1020230117448 A KR1020230117448 A KR 1020230117448A KR 20230117448 A KR20230117448 A KR 20230117448A KR 20240048471 A KR20240048471 A KR 20240048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ve electrode
negative electrode
outermost
bipola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7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고 고무라
유스케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240048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84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14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adjusting or protecting hybrid or EDL capacitors
    • H01G11/18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adjusting or protecting hybrid or EDL capacitors against thermal overloads, e.g.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01M10/0418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with bipolar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10Multiple hybrid or EDL capacitors, e.g. arrays or modules
    • H01G11/12Stacked hybrid or EDL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26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e.g. multi-layered, porosity or surface features
    • H01G11/28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e.g. multi-layered, porosity or surface features arranged or disposed on a current collector; Layers or phases between electrodes and current collectors, e.g. adhes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8Cases; Housings; Encapsulations; Mountings
    • H01G11/80Gaskets; Sea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8Cases; Housings; Encapsulations; Mountings
    • H01G11/82Fixing or assembling a capacitive element in a housing, e.g. mounting electrodes, current collectors or terminals in containers or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01M10/044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with bipolar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52Removing gases inside the secondary cell, e.g. by absorp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71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other than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M50/474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other than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inside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86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inside the batteries, e.g. incorrect connections of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3Spacers; Insulating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14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adjusting or protecting hybrid or EDL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8Positiv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9Bipolar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축전 모듈 (1) 은,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 (100) 과, 최외 정극 전극 (200) 과, 최외 부극 전극 (300) 과, 제 1 봉지부 (410) 와, 제 2 봉지부 (420) 와, 내측 봉지부 (430) 와, 제 1 절연 부재 (500) 와, 제 2 절연 부재 (600) 와, 내측 절연 부재 (710) 를 구비한다. 각 정극 집전박 (111) 의 주연부에는, 정극 미도공부 (111a) 가 형성되어 있고, 각 부극 집전박 (112) 의 주연부에는, 부극 미도공부 (112a)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절연 부재 (500) 는, 제 1 외측 절연부 (515) 를 포함하고, 제 2 절연 부재 (600) 는, 제 2 외측 절연부 (615) 를 포함하고, 내측 절연 부재 (710) 는, 내측 절연부 (712) 를 포함한다. 제 1 외측 절연부 (515) 의 두께 및 제 2 외측 절연부 (615) 의 두께는, 내측 절연부 (712) 의 두께보다 크다.

Description

축전 모듈{POWER STORAGE MODULE}
본 개시는, 축전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21-128898호에는,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과, 서로 인접하는 바이폴러 전극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세퍼레이터와, 서로 인접하는 바이폴러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봉지하는 봉지부와, 그 공간에 배치된 전해액을 구비하는 축전 모듈이 개시되어 있다. 세퍼레이터는, 적층 방향에서 본 경우에, 바이폴러 전극에 있어서의 전극층과 중첩되는 중첩부와, 전극층에 중첩되지 않는 노출부를 갖고 있다. 노출부가 존재하는 영역은, 충방전시에 발생하는 가스를 수용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21-128898호에 기재되는 축전 모듈에서는, 축전 모듈 내가 대기압 미만이 될 때까지 감압되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 적층 방향에 있어서 가장 외측에 배치된 전극은, 축전 모듈의 내부와 외부의 차압에서 기인하여 내측으로 변형되는 경우가 있다. 가장 외측의 전극 중 이 변형되는 영역, 요컨대, 세퍼레이터의 노출부가 존재하는 영역에 금속편 등의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그 이물질이 세퍼레이터를 관통함으로써 노출부를 사이에 두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전극끼리가 서로 접촉할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단락을 회피하기 위해서, 각 세퍼레이터의 두께를 크게 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그와 같이 하면, 노출부가 존재하는 영역 중 충방전시에 발생하는 가스를 수용 가능한 영역의 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당해 영역의 압력이 높아짐으로써 봉지부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 이 영역의 고압하를 회피하기 위해서는, 전극층의 면적을 작게 하는 것이 생각되지만, 그와 같이 하면, 에너지 밀도가 저하된다.
본 개시의 목적은, 에너지 밀도의 저하나 봉지부의 파손을 억제하면서, 그 내부가 대기압보다 저압으로 감압된 경우에 있어서의 단락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축전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국면에 따른 축전 모듈은, 서로 적층된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과, 상기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의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의 외측의 일방에 배치된 최외 정극 전극과, 상기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의 외측의 타방에 배치된 최외 부극 전극과, 상기 최외 정극 전극과 상기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 중 상기 최외 정극 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바이폴러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외측 영역이 대기압보다 저압이 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외측 영역을 봉지하는 제 1 봉지부와, 상기 최외 부극 전극과 상기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 중 상기 최외 부극 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바이폴러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외측 영역이 대기압보다 저압이 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외측 영역을 봉지하는 제 2 봉지부와, 상기 적층 방향에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바이폴러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내측 영역이 대기압보다 저압이 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 영역을 봉지하는 내측 봉지부와, 상기 최외 정극 전극과 상기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 중 상기 최외 정극 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바이폴러 전극 사이를 절연하는 제 1 절연 부재와, 상기 최외 부극 전극과 상기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 중 상기 최외 부극 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바이폴러 전극 사이를 절연하는 제 2 절연 부재와, 상기 적층 방향에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바이폴러 전극 사이를 절연하는 내측 절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의 각각은, 정극 집전박 및 부극 집전박을 포함하는 집전체와, 상기 집전체에 있어서의 상기 정극 집전박에 형성된 정극 활물질층과, 상기 집전체에 있어서의 상기 부극 집전박에 형성된 부극 활물질층을 갖고, 상기 최외 정극 전극은, 정극 집전박과, 상기 정극 집전박에 형성된 정극 활물질층을 갖고, 상기 최외 부극 전극은, 부극 집전박과, 상기 부극 집전박에 형성된 부극 활물질층을 갖고, 각 상기 집전체에 있어서의 상기 정극 집전박의 주연부 및 상기 최외 정극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정극 집전박의 주연부에는, 상기 정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정극 미도공부가 형성되어 있고, 각 상기 집전체에 있어서의 상기 부극 집전박의 주연부 및 상기 최외 부극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부극 집전박의 주연부에는, 상기 적층 방향에 상기 정극 미도공부와 대향하고 있고 상기 부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극 미도공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최외 정극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정극 미도공부와 당해 정극 미도공부와 대향하는 상기 부극 미도공부 사이의 영역이 상기 제 1 외측 영역을 구성하고, 상기 최외 부극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부극 미도공부와 당해 부극 미도공부와 대향하는 상기 정극 미도공부 사이의 영역이 상기 제 2 외측 영역을 구성하고,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바이폴러 전극 중 상기 적층 방향에 대향하는 상기 정극 미도공부와 상기 부극 미도공부 사이의 영역이 상기 내측 영역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절연 부재는, 상기 제 1 외측 영역에 배치된 제 1 외측 절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절연 부재는, 상기 제 2 외측 영역에 배치된 제 2 외측 절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절연 부재는, 상기 내측 영역에 배치된 내측 절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외측 절연부의 두께 및 상기 제 2 외측 절연부의 두께는, 상기 내측 절연부의 두께보다 크다.
이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첨부의 도면과 관련하여 이해되는 이 발명에 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도 1 은,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축전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각 영역이 감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개시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축전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실시예 및 비교예와 그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참조하는 도면에서는, 동일 또는 그것에 상당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축전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전 모듈 (1) 은,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 (100) 과, 최외 정극 전극 (200) 과, 최외 부극 전극 (300) 과, 제 1 봉지부 (410) 와, 제 2 봉지부 (420) 와, 내측 봉지부 (430) 와, 제 1 절연 부재 (500) 와, 제 2 절연 부재 (600) 와, 내측 절연 부재 (710) 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 (100) 은, 서로 적층되어 있다. 각 바이폴러 전극 (100) 은, 집전체 (110) 와, 정극 활물질층 (120) 과, 부극 활물질층 (130) 을 갖고 있다.
집전체 (110) 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집전체 (110) 는, 정극 집전박 (111) 과, 부극 집전박 (112) 을 갖고 있다. 정극 집전박 (111) 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다. 부극 집전박 (112) 은, 예를 들어 동박으로 이루어진다. 부극 집전박 (112) 은, 도전성 접착재에 의해 정극 집전박 (111) 에 접착되어 있다.
정극 활물질층 (120) 은, 집전체 (110) 에 있어서의 일방의 면, 즉, 정극 집전박 (111) 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부극 활물질층 (130) 은, 집전체 (110) 에 있어서의 타방의 면, 즉, 부극 집전박 (112) 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 (100) 은, 하나의 바이폴러 전극 (100) 에 있어서의 정극 활물질층 (120) 과, 상기 하나의 바이폴러 전극 (100) 에 인접하는 바이폴러 전극 (100) 에 있어서의 부극 활물질층 (130) 이 서로 대향하도록 적층되어 있다.
정극 집전박 (111) 의 주연부에는, 정극 활물질층 (120) 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정극 미도공부 (111a) 가 형성되어 있다. 부극 활물질층 (130) 의 주연부에는, 부극 활물질층 (130) 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극 미도공부 (112a) 가 형성되어 있다. 부극 미도공부 (112a) 는,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 (100) 의 적층 방향 (도 1 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으로 정극 미도공부 (111a) 와 대향하고 있다.
최외 정극 전극 (200) 은,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 (100) 의 외측의 일방에 배치되어 있다. 최외 정극 전극 (200) 은, 정극 집전박 (111) 과, 정극 집전박 (111) 에 형성된 정극 활물질층 (120) 을 갖고 있다. 최외 정극 전극 (200) 에 있어서의 정극 집전박 (111) 및 정극 활물질층 (120) 의 구성은, 바이폴러 전극 (100) 에 있어서의 그것과 동일하다.
최외 부극 전극 (300) 은,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 (100) 의 외측의 타방에 배치되어 있다. 최외 부극 전극 (300) 은, 부극 집전박 (112) 과, 부극 집전박 (112) 에 형성된 부극 활물질층 (130) 을 갖고 있다. 최외 부극 전극 (300) 에 있어서의 부극 집전박 (112) 및 부극 활물질층 (130) 의 구성은, 바이폴러 전극 (100) 에 있어서의 그것과 동일하다.
제 1 봉지부 (410) 는, 최외 정극 전극 (200) 과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 (100) 중 최외 정극 전극 (200) 과 대향하는 바이폴러 전극 (100) (이하, 「바이폴러 전극 (102)」이라고 표기한다.)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외측 영역 (R1) (도 1 을 참조) 이 대기압보다 저압이 된 상태에서 제 1 외측 영역 (R1) 을 봉지하고 있다. 제 1 외측 영역 (R1) 은, 최외 정극 전극 (200) 에 있어서의 정극 미도공부 (111a) 와 당해 정극 미도공부 (111a) 와 대향하는 부극 미도공부 (112a) 사이에 형성된 영역이다. 이 제 1 외측 영역 (R1) 은, 전해액으로 채워져 있다. 제 1 외측 영역 (R1) 이 대기압보다 저압이기 때문에,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외 정극 전극 (200) 에 있어서의 정극 미도공부 (111a) 는,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을 향하여 변형되어 있다.
제 1 봉지부 (410) 는, 절연 재료 (수지 등) 로 이루어진다. 제 1 봉지부 (410) 는, 제 1 외측 영역 (R1) 으로부터의 전해액의 누출 및 외부로부터 제 1 외측 영역 (R1) 으로의 수분의 침입을 방지하는 기능이나, 제 1 외측 영역 (R1) 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된 정극 미도공부 (111a) 및 부극 미도공부 (112a)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제 2 봉지부 (420) 는, 최외 부극 전극 (300) 과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 (100) 중 최외 부극 전극 (300) 과 대향하는 바이폴러 전극 (100) (이하, 「바이폴러 전극 (103)」이라고 표기한다.)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외측 영역 (R2) (도 1 을 참조) 이 대기압보다 저압이 된 상태에서 제 2 외측 영역 (R2) 을 봉지하고 있다. 제 2 외측 영역 (R2) 은, 최외 부극 전극 (300) 에 있어서의 부극 미도공부 (112a) 와 당해 부극 미도공부 (112a) 와 대향하는 정극 미도공부 (111a) 사이에 형성된 영역이다. 이 제 2 외측 영역 (R2) 은, 전해액으로 채워져 있다. 제 2 외측 영역 (R2) 의 압력은, 제 1 외측 영역 (R1) 의 압력과 동일하다. 제 2 외측 영역 (R2) 이 대기압보다 저압이기 때문에,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외 부극 전극 (300) 에 있어서의 부극 미도공부 (112a) 는,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을 향하여 변형되어 있다. 제 2 봉지부 (420) 의 구성은, 제 1 봉지부 (410) 의 그것과 동일하다.
내측 봉지부 (430) 는, 적층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바이폴러 전극 (100) 사이에 형성되는 내측 영역 (R3) (도 1 을 참조) 이 대기압보다 저압이 된 상태에서 내측 영역 (R3) 을 봉지하고 있다. 내측 영역 (R3) 은,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바이폴러 전극 (100) 중 적층 방향으로 대향하는 정극 미도공부 (111a) 와 부극 미도공부 (112a) 사이의 영역이다. 이 내측 영역 (R3) 은, 전해액으로 채워져 있다. 내측 봉지부 (430) 의 구성은, 제 1 봉지부 (410) 의 그것과 동일하다. 내측 영역 (R3) 의 압력은, 제 1 외측 영역 (R1) 의 압력과 동일하다.
제 1 절연 부재 (500) 는, 최외 정극 전극 (200) 과 바이폴러 전극 (102) 사이를 절연하고 있다. 제 1 절연 부재 (500) 는, 제 1 세퍼레이터 (510) 와, 제 1 절연막 (520) 을 갖고 있다.
제 1 세퍼레이터 (510) 는, 최외 정극 전극 (200) 과 바이폴러 전극 (10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세퍼레이터 (510) 는,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고, 이온의 투과를 허용한다. 제 1 세퍼레이터 (510) 로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폴리에틸렌의 단층 구조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의 3 층 구조 등) 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세라믹층이 형성되어도 된다. 제 1 세퍼레이터 (510) 는, 제 1 개재부 (511) 와, 제 1 주연부 (512) 를 갖고 있다.
제 1 개재부 (511) 는, 최외 정극 전극 (200) 에 있어서의 정극 활물질층 (120) 과 바이폴러 전극 (102) 에 있어서의 부극 활물질층 (130) 사이에 개재하고 있다.
제 1 주연부 (512) 는, 제 1 개재부 (511) 의 외연에 연결되어 있다. 제 1 주연부 (512) 는, 제 1 외측 영역 (R1) 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주연부 (512) 의 외단부는, 제 1 봉지부 (410) 에 유지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주연부 (512) 는,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을 향하여 변형되어 있는 정극 미도공부 (111a) 에 밀림으로써,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을 향하여 변형되어 있다.
제 1 절연막 (520) 은, 제 1 세퍼레이터 (510) 와는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제 1 절연막 (520) 은, 제 1 외측 영역 (R1) 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절연막 (520) 의 두께는, 예를 들어, 제 1 세퍼레이터 (510) 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크게 설정된다. 제 1 절연막 (520) 은, 제 1 외측 영역 (R1) 중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주연부 (512) 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에서는, 제 1 주연부 (512) 와 제 1 절연막 (520) 사이에 금속편 등의 이물질 (10) 이 나타나 있다.
제 1 주연부 (512) 와 제 1 절연막 (520) 은, 제 1 외측 영역 (R1) 에 배치된 제 1 외측 절연부 (515) 를 구성하고 있다. 제 1 외측 절연부 (515) 는, 제 1 외측 영역 (R1) 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된 정극 미도공부 (111a) 및 부극 미도공부 (112a) 사이를 절연하고 있다.
제 2 절연 부재 (600) 는, 최외 부극 전극 (300) 과 바이폴러 전극 (103) 사이를 절연하고 있다. 제 2 절연 부재 (600) 는, 제 2 세퍼레이터 (610) 와, 제 2 절연막 (620) 을 갖고 있다.
제 2 세퍼레이터 (610) 는, 최외 부극 전극 (300) 과 바이폴러 전극 (10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세퍼레이터 (610) 의 구성은, 제 1 세퍼레이터 (510) 의 구성과 동일하다. 즉, 제 2 세퍼레이터 (610) 의 두께는, 제 1 세퍼레이터 (510) 의 두께와 동일하다. 제 2 세퍼레이터 (610) 는, 제 2 개재부 (611) 와, 제 2 주연부 (612) 를 갖고 있다.
제 2 개재부 (611) 는, 최외 부극 전극 (300) 에 있어서의 부극 활물질층 (130) 과 바이폴러 전극 (103) 에 있어서의 정극 활물질층 (120) 사이에 개재하고 있다.
제 2 주연부 (612) 는, 제 2 개재부 (611) 의 외연에 연결되어 있다. 제 2 주연부 (612) 는, 제 2 외측 영역 (R2) 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주연부 (612) 의 외단부는, 제 2 봉지부 (420) 에 유지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주연부 (612) 는,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을 향하여 변형되어 있는 부극 미도공부 (112a) 에 밀림으로써,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을 향하여 변형되어 있다.
제 2 절연막 (620) 은, 제 2 세퍼레이터 (610) 와는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제 2 절연막 (620) 은, 제 2 외측 영역 (R2) 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절연막 (620) 의 구성은, 제 1 절연막 (520) 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 2 절연막 (620) 은, 제 2 외측 영역 (R2) 중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주연부 (612) 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주연부 (612) 와 제 2 절연막 (620) 은, 제 2 외측 영역 (R2) 에 배치된 제 2 외측 절연부 (615) 를 구성하고 있다. 제 2 외측 절연부 (615) 는, 제 2 외측 영역 (R2) 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된 정극 미도공부 (111a) 및 부극 미도공부 (112a) 사이를 절연하고 있다.
내측 절연 부재 (710) 는, 적층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바이폴러 전극 (100) 사이를 절연하고 있다. 내측 절연 부재 (710) 는, 적층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바이폴러 전극 (100) 사이에 배치된 내측 세퍼레이터 (이하, 「내측 세퍼레이터 (710)」라고 표기한다.) 로 구성되어 있다. 내측 세퍼레이터 (710) 는, 제 1 세퍼레이터 (510) 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갖고 있다. 내측 세퍼레이터 (710) 는, 내측 개재부 (711) 와, 내측 주연부 (712) 를 갖고 있다.
내측 개재부 (711) 는, 하나의 바이폴러 전극 (100) 에 있어서의 정극 활물질층 (120) 과, 상기 하나의 바이폴러 전극 (100) 에 인접하는 바이폴러 전극 (100) 에 있어서의 부극 활물질층 (130) 사이에 개재하고 있다.
내측 주연부 (712) 는, 내측 개재부 (711) 에 연결되어 있다. 내측 주연부 (712) 는, 내측 영역 (R3) 에 배치되어 있다. 내측 주연부 (712) 는, 내측 절연부 (이하, 「내측 절연부 (712)」라고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를 구성하고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외측 절연부 (515) 의 두께 및 제 2 외측 절연부 (615) 의 두께는, 내측 절연부 (712) 의 두께보다 크다. 또한, 「제 1 외측 절연부 (515) 의 두께」는, 제 1 외측 절연부 (515) 의 총두께, 즉, 제 1 주연부 (512) 의 두께와 제 1 절연막 (520) 의 두께의 합을 의미한다. 「제 2 외측 절연부 (615) 의 두께」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다음으로, 축전 모듈 (1) 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각 바이폴러 전극 (100) 과, 최외 정극 전극 (200) 과, 최외 부극 전극 (300) 이 준비되고, 그것들이 세퍼레이터 (510, 610, 710) 를 개재하여 적층됨과 함께, 제 1 외측 영역 (R1) 에 제 1 절연막 (520) 이 배치되고, 제 2 외측 영역 (R2) 에 제 2 절연막 (620) 이 배치된다.
그리고, 각 정극 미도공부 (111a) 및 각 부극 미도공부 (112a) 에 각 봉지부 (410 ∼ 430) 가 열용착되고, 주액구로부터 각 영역 (R1 ∼ R3) 에 전해액이 주입된다. 도 2 는, 예를 들어, 각 영역 (R1 ∼ R3) 에 전해액이 주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어서, 축전 모듈 (1) 이 소정 전압까지 충전되고, 전해액 용매나 첨가물의 분해에 의한 부극에 대한 SEI 피막의 형성이 실시되고, 그 부생성물인 가스가 축전 모듈 (1) 밖으로 배출된다.
그 후, 감압 분위기 (대기압보다 저압의 분위기) 하에 있어서 주액구가 봉지된다 (감압 봉지 공정). 이로써 축전 모듈 (1) 이 완성된다. 이 축전 모듈 (1) 이 감압 분위기하로부터 대기압하로 이동되었을 때,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외 정극 전극 (200) 에 있어서의 정극 미도공부 (111a) 및 최외 부극 전극 (300) 에 있어서의 부극 미도공부 (112a) 가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을 향하여 변형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축전 모듈 (1) 에서는, 제 1 외측 영역 (R1), 제 2 외측 영역 (R2) 및 내측 영역 (R3) 이 대기압보다 저압임으로써, 최외 정극 전극 (200) 에 있어서의 정극 미도공부 (111a) 및 최외 부극 전극 (300) 에 있어서의 부극 미도공부 (112a) 가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을 향하여 변형되지만, 제 1 외측 절연부 (515) 의 두께 및 제 2 외측 절연부 (615) 의 두께가 내측 절연부 (712) 의 두께보다 크기 때문에, 예를 들어 제 1 외측 영역 (R1) 에 금속편 등의 이물질 (10) 이 존재하였다고 해도, 그 이물질 (10) 이 제 1 외측 절연부 (515) 를 관통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 내측 절연부 (712) 의 두께가 제 1 외측 절연부 (515) 의 두께 및 제 2 외측 절연부 (615) 의 두께보다 작음으로써, 충방전시에 발생하는 가스를 수용하는 체적이 내측 영역 (R3) 에 확보되기 때문에, 당해 내측 영역 (R3) 이 고압이 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내측 봉지부 (430) 의 파손이 억제됨과 함께, 내측 영역 (R3) 의 고압하를 회피하기 위해서 바이폴러 전극 (100) 에 있어서의 각 미도공부 (111a, 112a) 를 넓히는 것, 즉, 에너지 밀도의 저하가 억제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절연막 (520) 은, 제 1 봉지부 (410) 를 구성하는 재료와 동일 재료로 이루어짐과 함께, 제 1 봉지부 (410) 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제 2 절연막 (620) 은, 제 2 봉지부 (420) 를 구성하는 재료와 동일 재료로 이루어짐과 함께, 제 2 봉지부 (420) 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 양태에서는, 제 1 외측 영역 (R1) 내에서의 제 1 절연막 (520) 의 위치 어긋남 및 제 2 외측 영역 (R2) 내에서의 제 2 절연막 (620) 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된다.
또, 제 1 절연막 (520) 은,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주연부 (512) 의 외측에 배치되고, 제 2 절연막 (620) 은,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주연부 (612) 의 외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3 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축전 모듈 (1) 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을 실시하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조, 작용 및 효과의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세퍼레이터 (510) 의 두께 및 제 2 세퍼레이터 (610) 의 두께는, 내측 세퍼레이터 (710) 의 두께보다 크다. 또, 제 1 외측 절연부 (515) 는, 내측 주연부 (712) 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는 제 1 주연부 (512) 만으로 구성되어 있고, 제 2 외측 절연부 (615) 는, 내측 주연부 (712) 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는 제 2 주연부 (612) 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축전 모듈 (1) 의 실시예에 대해, 비교예와 함께 설명한다. 실시예 1-1 ∼ 실시예 1-8 은, 제 2 실시형태의 실시예이고, 실시예 2-1 ∼ 실시예 5-3 은, 제 1 실시형태의 실시예이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이하의 구성을 갖는 축전 모듈이 사용되었다.
정극 집전박 : 알루미늄박의 편면에 정극을 형성한 것.
정극 : PVdF 바인더와 도전재를 NMP 또는 수용매로 슬러리화한 것.
부극 집전박 : 동박의 편면에 부극을 형성한 것.
부극 : SBR 과 CMC 와 필요에 따라 도전재를 수용매로 슬러리화한 것.
정극 활물질층 : Li(NixMnyCoz)O2, LiFePO4 등.
부극 활물질층 : 천연 흑연, 인조 흑연 등.
세퍼레이터 :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폴리에틸렌의 단층과 세라믹층을 갖는 막).
제 1 절연막 : 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 HDPE (고밀도 폴리에틸렌), PP (폴리프로필렌), 폴리이미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축전 모듈 (1) 에 있어서의 제 1 외측 영역 (R1) 중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주연부 (512) 의 내측에 5 개의 이물질 (10) 을 배치한 상태에서 축전 모듈 (1) 의 제조시에 있어서의 감압 봉지 공정과 동일한 환경에서 제 1 외측 영역 (R1) 을 감압해 가고, 최외 정극 전극 (200) 및 바이폴러 전극 (102) 사이의 저항값을 측정하면서, 제 1 외측 절연부 (515) 가 깨짐으로써 최외 정극 전극 (200) 의 정극 집전박 (111) 과 바이폴러 전극 (102) 의 부극 집전박 (112) 이 도통하였을 때의 대기압으로부터의 감압도 (대기압으로부터의 차압) 를 평가하였다. 도 4 는, 각 실시예와 비교예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또한, 이물질은, L 자형 (길이 방향 0.6 ㎜, 폭 방향 0.4 ㎜) 의 금속편이다. 또, 제 1 절연막 (520) 에 의한 바이폴러 전극 (102) 의 부극 미도공부 (112a) 의 피복률은, 95 % 이다.
도 4 에 있어서의 실시예 1-1 ∼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외측 절연부 (515) 가 제 1 주연부 (512) 만으로 구성되는 예에서는, 제 1 주연부 (512) 의 두께가 커짐에 따라 감압도가 커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실시예 2-1 ∼ 5-3 에서는, 비교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세퍼레이터와, 서로 두께가 상이한 제 1 절연막 (520) 이 사용되었다. 이들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외측 절연부 (515) 가 제 1 주연부 (512) 와 제 1 절연막 (520) 에 의해 구성되는 예에 있어서도, 제 1 외측 절연부 (515) 의 두께 (제 1 절연막 (520) 의 두께) 가 커짐에 따라 감압도가 커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서술한 예시적인 실시형태 및 실시예는, 이하의 양태의 구체예인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된다.
[양태 1]
서로 적층된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과,
상기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의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의 외측의 일방에 배치된 최외 정극 전극과,
상기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의 외측의 타방에 배치된 최외 부극 전극과,
상기 최외 정극 전극과 상기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 중 상기 최외 정극 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바이폴러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외측 영역이 대기압보다 저압이 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외측 영역을 봉지하는 제 1 봉지부와,
상기 최외 부극 전극과 상기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 중 상기 최외 부극 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바이폴러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외측 영역이 대기압보다 저압이 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외측 영역을 봉지하는 제 2 봉지부와,
상기 적층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바이폴러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내측 영역이 대기압보다 저압이 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 영역을 봉지하는 내측 봉지부와,
상기 최외 정극 전극과 상기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 중 상기 최외 정극 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바이폴러 전극 사이를 절연하는 제 1 절연 부재와,
상기 최외 부극 전극과 상기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 중 상기 최외 부극 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바이폴러 전극 사이를 절연하는 제 2 절연 부재와,
상기 적층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바이폴러 전극 사이를 절연하는 내측 절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의 각각은,
정극 집전박 및 부극 집전박을 포함하는 집전체와,
상기 집전체에 있어서의 상기 정극 집전박에 형성된 정극 활물질층과,
상기 집전체에 있어서의 상기 부극 집전박에 형성된 부극 활물질층을 갖고,
상기 최외 정극 전극은,
정극 집전박과,
상기 정극 집전박에 형성된 정극 활물질층을 갖고,
상기 최외 부극 전극은,
부극 집전박과,
상기 부극 집전박에 형성된 부극 활물질층을 갖고,
각 상기 집전체에 있어서의 상기 정극 집전박의 주연부 및 상기 최외 정극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정극 집전박의 주연부에는, 상기 정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정극 미도공부가 형성되어 있고,
각 상기 집전체에 있어서의 상기 부극 집전박의 주연부 및 상기 최외 부극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부극 집전박의 주연부에는, 상기 적층 방향으로 상기 정극 미도공부와 대향하고 있고 상기 부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극 미도공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최외 정극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정극 미도공부와 당해 정극 미도공부와 대향하는 상기 부극 미도공부 사이의 영역이 상기 제 1 외측 영역을 구성하고,
상기 최외 부극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부극 미도공부와 당해 부극 미도공부와 대향하는 상기 정극 미도공부 사이의 영역이 상기 제 2 외측 영역을 구성하고,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바이폴러 전극 중 상기 적층 방향으로 대향하는 상기 정극 미도공부와 상기 부극 미도공부 사이의 영역이 상기 내측 영역을 구성 하고,
상기 제 1 절연 부재는, 상기 제 1 외측 영역에 배치된 제 1 외측 절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절연 부재는, 상기 제 2 외측 영역에 배치된 제 2 외측 절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절연 부재는, 상기 내측 영역에 배치된 내측 절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외측 절연부의 두께 및 상기 제 2 외측 절연부의 두께는, 상기 내측 절연부의 두께보다 큰, 축전 모듈.
이 축전 모듈에서는, 제 1 외측 영역, 제 2 외측 영역 및 내측 영역이 대기압보다 저압임으로써, 최외 정극 전극에 있어서의 정극 미도공부 및 최외 부극 전극에 있어서의 부극 미도공부가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을 향하여 변형되지만, 제 1 외측 절연부의 두께 및 제 2 외측 절연부의 두께가 내측 절연부의 두께보다 크기 때문에, 예를 들어 제 1 외측 영역에 금속편 등의 이물질이 존재하였다고 해도, 그 이물질이 제 1 외측 절연부를 관통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 내측 절연부의 두께가 제 1 외측 절연부의 두께 및 제 2 외측 절연부의 두께보다 작음으로써, 충방전시에 발생하는 가스를 수용하는 체적이 내측 영역에 확보되기 때문에, 당해 내측 영역이 고압이 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내측 봉지부의 파손이 억제됨과 함께, 내측 영역의 고압하를 회피하기 위해서 바이폴러 전극에 있어서의 각 미도공부를 넓히는 것, 즉, 에너지 밀도의 저하가 억제된다.
[양태 2]
상기 제 1 절연 부재는, 상기 최외 정극 전극과 상기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 중 상기 최외 정극 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바이폴러 전극 사이에 배치된 제 1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세퍼레이터는,
상기 최외 정극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정극 활물질층과 상기 바이폴러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부극 활물질층 사이에 개재하는 제 1 개재부와,
상기 제 1 개재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1 외측 영역에 배치된 제 1 주연부를 갖고,
상기 제 1 외측 절연부는,
상기 제 1 주연부와,
상기 제 1 세퍼레이터와는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외측 영역에 배치된 제 1 절연막을 갖고,
상기 제 2 절연 부재는, 상기 최외 부극 전극과 상기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 중 상기 최외 부극 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바이폴러 전극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세퍼레이터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제 2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세퍼레이터는,
상기 최외 부극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부극 활물질층과 상기 바이폴러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정극 활물질층 사이에 개재하는 제 2 개재부와,
상기 제 2 개재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 외측 영역에 배치된 제 2 주연부를 갖고,
상기 제 2 외측 절연부는,
상기 제 2 주연부와,
상기 제 2 세퍼레이터와는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외측 영역에 배치된 제 2 절연막을 갖고,
상기 내측 절연 부재는, 상기 적층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바이폴러 전극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세퍼레이터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내측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세퍼레이터는, 상기 바이폴러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정극 활물질층과 상기 바이폴러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부극 활물질층 사이에 개재하는 내측 개재부와,
상기 내측 개재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내측 영역에 배치된 내측 주연부를 갖고,
상기 내측 절연부는, 상기 내측 주연부로 구성되어 있는, 양태 1 에 기재된 축전 모듈.
이 양태에서는, 제 1 세퍼레이터, 제 2 세퍼레이터 및 내측 세퍼레이터가 서로 동일한 두께를 갖고 있기 때문에, 서로 동일한 세퍼레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 1 세퍼레이터 전체의 두께 및 제 2 세퍼레이터 전체의 두께가 내측 세퍼레이터의 두께보다 큰 경우에 비해, 제 1 개재부의 두께와 제 2 개재부의 두께가 작아진다.
[양태 3]
상기 제 1 절연막은, 상기 제 1 외측 영역 중 상기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주연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절연막은, 상기 제 2 외측 영역 중 상기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주연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양태 2 에 기재된 축전 모듈.
이 양태에서는, 최외 정극 전극에 있어서의 정극 미도공부 및 최외 부극 전극에 있어서의 부극 미도공부의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으로의 변형에 의해 각 절연막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이 억제된다. 또, 각 절연막이 각 외측 영역 중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각 주연부의 외측에 배치된 경우에 비해, 최외 정극 전극에 있어서의 정극 미도공부 및 최외 부극 전극에 있어서의 부극 미도공부의 상기 변형 에서 기인하는 제 1 주연부 및 제 2 주연부의 파손이 억제된다.
[양태 4]
상기 제 1 절연막은, 상기 제 1 봉지부를 구성하는 재료와 동일 재료로 이루어짐과 함께, 상기 제 1 봉지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절연막은, 상기 제 2 봉지부를 구성하는 재료와 동일 재료로 이루어짐과 함께, 상기 제 2 봉지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양태 3 에 기재된 축전 모듈.
이 양태에서는, 제 1 외측 영역 내에서의 제 1 절연막의 위치 어긋남 및 제 2 외측 영역 내에서의 제 2 절연막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된다.
[양태 5]
상기 제 1 절연 부재는, 상기 최외 정극 전극과 상기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 중 상기 최외 정극 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바이폴러 전극 사이에 배치된 제 1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세퍼레이터는,
상기 최외 정극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정극 활물질층과 상기 바이폴러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부극 활물질층 사이에 개재하는 제 1 개재부와,
상기 제 1 개재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1 외측 영역에 배치된 제 1 주연부를 갖고,
상기 제 1 외측 절연부는, 상기 제 1 주연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절연 부재는, 상기 최외 부극 전극과 상기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 중 상기 최외 부극 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바이폴러 전극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세퍼레이터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제 2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세퍼레이터는,
상기 최외 부극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부극 활물질층과 상기 바이폴러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정극 활물질층 사이에 개재하는 제 2 개재부와,
상기 제 2 개재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 외측 영역에 배치된 제 2 주연부를 갖고,
상기 제 2 외측 절연부는, 상기 제 2 주연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 절연 부재는, 상기 적층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바이폴러 전극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세퍼레이터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내측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세퍼레이터는, 상기 바이폴러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정극 활물질층과 상기 바이폴러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부극 활물질층 사이에 개재하는 내측 개재부와,
상기 내측 개재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내측 영역에 배치된 내측 주연부를 갖고,
상기 내측 절연부는, 상기 내측 주연부로 구성되어 있는, 양태 1 에 기재된 축전 모듈.
이 양태에서는, 각 세퍼레이터의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양태 1 이 발휘하는 효과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닌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내고,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Claims (5)

  1. 서로 적층된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과,
    상기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의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의 외측의 일방에 배치된 최외 정극 전극과,
    상기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의 외측의 타방에 배치된 최외 부극 전극과,
    상기 최외 정극 전극과 상기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 중 상기 최외 정극 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바이폴러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외측 영역이 대기압보다 저압이 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외측 영역을 봉지하는 제 1 봉지부와,
    상기 최외 부극 전극과 상기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 중 상기 최외 부극 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바이폴러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외측 영역이 대기압보다 저압이 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외측 영역을 봉지하는 제 2 봉지부와,
    상기 적층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바이폴러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내측 영역이 대기압보다 저압이 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 영역을 봉지하는 내측 봉지부와,
    상기 최외 정극 전극과 상기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 중 상기 최외 정극 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바이폴러 전극 사이를 절연하는 제 1 절연 부재와,
    상기 최외 부극 전극과 상기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 중 상기 최외 부극 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바이폴러 전극 사이를 절연하는 제 2 절연 부재와,
    상기 적층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바이폴러 전극 사이를 절연하는 내측 절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의 각각은,
    정극 집전박 및 부극 집전박을 포함하는 집전체와,
    상기 집전체에 있어서의 상기 정극 집전박에 형성된 정극 활물질층과,
    상기 집전체에 있어서의 상기 부극 집전박에 형성된 부극 활물질층을 갖고,
    상기 최외 정극 전극은,
    정극 집전박과,
    상기 정극 집전박에 형성된 정극 활물질층을 갖고,
    상기 최외 부극 전극은,
    부극 집전박과,
    상기 부극 집전박에 형성된 부극 활물질층을 갖고,
    각 상기 집전체에 있어서의 상기 정극 집전박의 주연부 및 상기 최외 정극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정극 집전박의 주연부에는, 상기 정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정극 미도공부가 형성되어 있고,
    각 상기 집전체에 있어서의 상기 부극 집전박의 주연부 및 상기 최외 부극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부극 집전박의 주연부에는, 상기 적층 방향으로 상기 정극 미도공부와 대향하고 있고 상기 부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극 미도공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최외 정극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정극 미도공부와 당해 정극 미도공부와 대향하는 상기 부극 미도공부 사이의 영역이 상기 제 1 외측 영역을 구성하고,
    상기 최외 부극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부극 미도공부와 당해 부극 미도공부와 대향하는 상기 정극 미도공부 사이의 영역이 상기 제 2 외측 영역을 구성하고,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바이폴러 전극 중 상기 적층 방향으로 대향하는 상기 정극 미도공부와 상기 부극 미도공부 사이의 영역이 상기 내측 영역을 구성 하고,
    상기 제 1 절연 부재는, 상기 제 1 외측 영역에 배치된 제 1 외측 절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절연 부재는, 상기 제 2 외측 영역에 배치된 제 2 외측 절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절연 부재는, 상기 내측 영역에 배치된 내측 절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외측 절연부의 두께 및 상기 제 2 외측 절연부의 두께는, 상기 내측 절연부의 두께보다 큰, 축전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 부재는, 상기 최외 정극 전극과 상기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 중 상기 최외 정극 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바이폴러 전극 사이에 배치된 제 1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세퍼레이터는,
    상기 최외 정극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정극 활물질층과 상기 바이폴러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부극 활물질층 사이에 개재하는 제 1 개재부와,
    상기 제 1 개재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1 외측 영역에 배치된 제 1 주연부를 갖고,
    상기 제 1 외측 절연부는,
    상기 제 1 주연부와,
    상기 제 1 세퍼레이터와는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외측 영역에 배치된 제 1 절연막을 갖고,
    상기 제 2 절연 부재는, 상기 최외 부극 전극과 상기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 중 상기 최외 부극 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바이폴러 전극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세퍼레이터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제 2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세퍼레이터는,
    상기 최외 부극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부극 활물질층과 상기 바이폴러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정극 활물질층 사이에 개재하는 제 2 개재부와,
    상기 제 2 개재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 외측 영역에 배치된 제 2 주연부를 갖고,
    상기 제 2 외측 절연부는,
    상기 제 2 주연부와,
    상기 제 2 세퍼레이터와는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외측 영역에 배치된 제 2 절연막을 갖고,
    상기 내측 절연 부재는, 상기 적층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바이폴러 전극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세퍼레이터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내측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세퍼레이터는, 상기 바이폴러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정극 활물질층과 상기 바이폴러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부극 활물질층 사이에 개재하는 내측 개재부와,
    상기 내측 개재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내측 영역에 배치된 내측 주연부를 갖고,
    상기 내측 절연부는, 상기 내측 주연부로 구성되어 있는, 축전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막은, 상기 제 1 외측 영역 중 상기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주연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절연막은, 상기 제 2 외측 영역 중 상기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주연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축전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막은, 상기 제 1 봉지부를 구성하는 재료와 동일 재료로 이루어짐과 함께, 상기 제 1 봉지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절연막은, 상기 제 2 봉지부를 구성하는 재료와 동일 재료로 이루어짐과 함께, 상기 제 2 봉지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축전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 부재는, 상기 최외 정극 전극과 상기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 중 상기 최외 정극 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바이폴러 전극 사이에 배치된 제 1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세퍼레이터는,
    상기 최외 정극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정극 활물질층과 상기 바이폴러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부극 활물질층 사이에 개재하는 제 1 개재부와,
    상기 제 1 개재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1 외측 영역에 배치된 제 1 주연부를 갖고,
    상기 제 1 외측 절연부는, 상기 제 1 주연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절연 부재는, 상기 최외 부극 전극과 상기 복수의 바이폴러 전극 중 상기 최외 부극 전극과 대향하는 상기 바이폴러 전극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세퍼레이터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제 2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세퍼레이터는,
    상기 최외 부극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부극 활물질층과 상기 바이폴러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정극 활물질층 사이에 개재하는 제 2 개재부와,
    상기 제 2 개재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 외측 영역에 배치된 제 2 주연부를 갖고,
    상기 제 2 외측 절연부는, 상기 제 2 주연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 절연 부재는, 상기 적층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바이폴러 전극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세퍼레이터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내측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세퍼레이터는, 상기 바이폴러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정극 활물질층과 상기 바이폴러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부극 활물질층 사이에 개재하는 내측 개재부와,
    상기 내측 개재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내측 영역에 배치된 내측 주연부를 갖고,
    상기 내측 절연부는, 상기 내측 주연부로 구성되어 있는, 축전 모듈.
KR1020230117448A 2022-10-06 2023-09-05 축전 모듈 KR202400484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161896A JP2024055180A (ja) 2022-10-06 2022-10-06 蓄電モジュール
JPJP-P-2022-161896 2022-10-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8471A true KR20240048471A (ko) 2024-04-15

Family

ID=88241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7448A KR20240048471A (ko) 2022-10-06 2023-09-05 축전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120619A1 (ko)
EP (1) EP4350727A1 (ko)
JP (1) JP2024055180A (ko)
KR (1) KR20240048471A (ko)
CN (1) CN117855552A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6021B2 (en) * 2004-12-10 2011-12-13 Nissan Motor Co., Ltd. Bipolar battery
JP6780345B2 (ja) * 2016-07-28 2020-11-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装置及び蓄電装置の製造方法
JP6915567B2 (ja) * 2018-02-28 2021-08-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モジュール
JP7359023B2 (ja) 2020-02-17 2023-10-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
DE102020004807A1 (de) * 2020-07-16 2022-01-20 Michael Roscher Endplatten für Bipolarbatteri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055180A (ja) 2024-04-18
US20240120619A1 (en) 2024-04-11
CN117855552A (zh) 2024-04-09
EP4350727A1 (en) 2024-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38029A (ko) 이차전지
US20240030571A1 (en) Electrolyte Reinjection Method and Electrolyte-Reinjectable Secondary Battery
KR101245288B1 (ko) 셀 어셈블리와 파우치형 케이스의 밀착성을 향상시킨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999435B1 (ko) 이차 전지
KR20170058047A (ko) 일회용 가스 포집부를 포함하고 있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KR20190109146A (ko) 이차 전지 테이핑 장치
US20230318101A1 (en)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US20230344043A1 (en)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JP6682203B2 (ja) 二次電池の製造方法
US10673048B2 (en) Secondary battery
US20230170563A1 (en) Battery Cell And Battery Cell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230207987A1 (en)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40048471A (ko) 축전 모듈
KR102186737B1 (ko) 보호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KR20090076278A (ko) 밀봉성이 우수한 이차전지
JP7074614B2 (ja) 蓄電モジュール
US20240194928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power storage module and power storage module
KR102647342B1 (ko)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102657917B1 (ko) 전지셀 및 이를 제조하는 전지셀 제조 장치
US20240106064A1 (en) Secondary Battery, Battery Pack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JP6858630B2 (ja) 二次電池
US20240106043A1 (en) Pouch-Type Secondary Battery
EP4243177A1 (en)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EP4300647A1 (en) Electrode assembly and battery cell including same
KR102256486B1 (ko) 퇴화셀 회생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