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7748A - 관광지에 대한 촬영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관광지에 대한 촬영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7748A
KR20240047748A KR1020220127166A KR20220127166A KR20240047748A KR 20240047748 A KR20240047748 A KR 20240047748A KR 1020220127166 A KR1020220127166 A KR 1020220127166A KR 20220127166 A KR20220127166 A KR 20220127166A KR 20240047748 A KR20240047748 A KR 20240047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mmended
information
point
recommended shooting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7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범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27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7748A/ko
Publication of KR20240047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77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7Spatial or temporal dependent retrieval, e.g. spatiotemporal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0Public key, i.e. encryption algorithm being computationally infeasible to invert or user's encryption keys not requiring secre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ryptographic hash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24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광지에 대한 촬영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상기 촬영 추천 정보 제공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들이 관광지에서 보다 편리하게 최적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Description

관광지에 대한 촬영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SERVICE SERVER FOR OPERATING A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THAT PROVIDES SHOOTING RECOMMENDATION INFORMATION FOR TOURIST SPOTS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관광지에 대한 촬영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용 전자 단말이 널리 보급되고, 휴대용 전자 단말에 탑재된 카메라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관광지에 방문한 관광객들은, 자신의 휴대용 전자 단말을 이용하여, 해당 관광지의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최근에는 여행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휴대용 전자 단말을 활용하여, 관광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가 출시되고 있으며,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이를 통해 간편하게 관광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관광지에 대한 정보 제공 서비스에서는, 해당 사용자들에게, 관광지의 위치 정보, 이동 방법, 이용 가능한 교통수단 및 기타 편의시설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기는 하지만, 최적의 관광지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었다.
보통, 유명한 관광지에 방문하여 관광지 사진을 촬영하려는 일반 사용자들은, 최적의 관광지 사진을 촬영하기 위하여, 어느 장소에서 어느 시간대에 촬영해야 하는지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최적의 사진을 촬영하기가 쉽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관광지 사진을 촬영하려는 사용자들에게 최적의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의 도입을 고려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관광지에 방문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위치와 가까운 촬영 추천 지점에 대한 촬영 추천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도입된다면, 이러한 촬영 추천 정보 제공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들이 해당 관광지에서 보다 편리하게 최적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관광지에 대한 촬영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관광지에 대한 촬영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상기 촬영 추천 정보 제공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들이 관광지에서 보다 편리하게 최적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광지에 대한 촬영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는 상기 관광지에서 촬영 추천 지점으로 사전 지정된, 복수의 촬영 추천 지점들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촬영 추천 지점들 각각에 대응되는 촬영 추천 시간대가 기록되어 있는 정보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테이블 유지부, 상기 정보 제공 서비스에 가입된 복수의 회원들 중 어느 한 명인 제1 회원의 제1 전자 단말로부터 상기 관광지에 대한 촬영 추천 정보의 제공 요청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전자 단말로 현재 위치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정보 요청부, 상기 제1 전자 단말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로서 제1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촬영 추천 지점들 중 상기 제1 위치 정보와의 이격 거리가 사전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을 선별하는 선별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이 선별되면, 상기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를 추출하여, 상기 제1 전자 단말로 전송하는 추천 정보 전송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광지에 대한 촬영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은 상기 관광지에서 촬영 추천 지점으로 사전 지정된, 복수의 촬영 추천 지점들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촬영 추천 지점들 각각에 대응되는 촬영 추천 시간대가 기록되어 있는 정보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정보 제공 서비스에 가입된 복수의 회원들 중 어느 한 명인 제1 회원의 제1 전자 단말로부터 상기 관광지에 대한 촬영 추천 정보의 제공 요청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전자 단말로 현재 위치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단말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로서 제1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촬영 추천 지점들 중 상기 제1 위치 정보와의 이격 거리가 사전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을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이 선별되면, 상기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를 추출하여, 상기 제1 전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관광지에 대한 촬영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상기 촬영 추천 정보 제공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들이 관광지에서 보다 편리하게 최적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광지에 대한 촬영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광지에 대한 촬영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으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고,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첨부된 블록도의 블록들이나 흐름도의 단계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등 데이터 프로세싱이 가능한 장비의 프로세서나 메모리에 탑재되어 지정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instructions)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컴퓨터 장치에 구비된 메모리 또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블록도의 블록들 또는 흐름도의 단계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이를 수행하는 명령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물로 생산될 수도 있다. 아울러,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가능한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정해진 순서와 달리 실행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거나, 역순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일부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생략된 채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광지에 대한 촬영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서버(110)는 테이블 유지부(111), 정보 요청부(112), 선별부(113) 및 추천 정보 전송부(114)를 포함한다.
테이블 유지부(111)는 상기 관광지에서 촬영 추천 지점으로 사전 지정된, 복수의 촬영 추천 지점들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촬영 추천 지점들 각각에 대응되는 촬영 추천 시간대가 기록되어 있는 정보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한다.
예컨대, 상기 정보 테이블은 하기의 표 1과 같이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촬영 추천 지점들 위치 정보 촬영 추천 시간대
촬영 추천 지점 1 위치 정보 1 10시~12시
촬영 추천 지점 2 위치 정보 2 13시~15시
촬영 추천 지점 3 위치 정보 3 15시~17시
... ... ...
정보 요청부(112)는 상기 정보 제공 서비스에 가입된 복수의 회원들 중 어느 한 명인 제1 회원의 제1 전자 단말(10)로부터 상기 관광지에 대한 촬영 추천 정보의 제공 요청 명령이 수신되면, 제1 전자 단말(10)로 현재 위치 정보의 전송을 요청한다.
선별부(113)는 제1 전자 단말(10)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로서 제1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촬영 추천 지점들 중 상기 제1 위치 정보와의 이격 거리가 사전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을 선별한다.
예컨대, 상기 정보 테이블이 상기 표 1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고 하고, 상기 복수의 촬영 추천 지점들 중, 제1 전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위치 정보와의 이격 거리가 상기 기준치 이하인 촬영 추천 지점이 '촬영 추천 지점 1'과 '촬영 추천 지점 2'라고 하는 경우, 선별부(113)는 상기 복수의 촬영 추천 지점들 중 '촬영 추천 지점 1'과 '촬영 추천 지점 2'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으로 선별할 수 있다.
추천 정보 전송부(114)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이 선별되면, 상기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를 추출하여, 제1 전자 단말(10)로 전송한다.
예컨대, 전술한 예와 같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으로, '촬영 추천 지점 1'과 '촬영 추천 지점 2'가 선별되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추천 정보 전송부(114)는 상기 표 1과 같은 정보 테이블로부터 '촬영 추천 지점 1'에 대한 위치 정보인 '위치 정보 1'과 촬영 추천 시간대인 '10시~12시'를 추출할 수 있고, '촬영 추천 지점 2'에 대한 위치 정보인 '위치 정보 2'와 촬영 추천 시간대인 '13시~15시'를 추출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추천 정보 전송부(114)는 '촬영 추천 지점 1'과 '촬영 추천 지점 2'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를 제1 전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자 단말(10)은 서비스 서버(110)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와 촬영 추천 시간대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자 단말(1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과 관련해서, 제1 전자 단말(10) 상에 저장되어 있는 지도 데이터를 로드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이 지도 상에 표시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110)는 이미지 저장부(115) 및 이미지 전송부(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저장부(115)에는 상기 복수의 촬영 추천 지점들 각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샘플 촬영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촬영 추천 지점들 각각에 대응되는 샘플 촬영 이미지는, 상기 복수의 촬영 추천 지점들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촬영 추천 지점들 각각에 대한 촬영 추천 시간대에 포함되는 특정 시간에, 전문가에 의해서 촬영된 이미지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소정의 샘플 이미지를 의미한다.
예컨대, '촬영 추천 지점 1'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샘플 촬영 이미지로는, '위치 정보 1'에 따른 위치에서 '10시 30분'에 촬영된 '샘플 촬영 이미지 1'과, '위치 정보 1'에 따른 위치에서 '11시 30분'에 촬영된 '샘플 촬영 이미지 2'가 존재할 수 있다.
관련해서, 이미지 저장부(115)에는, 하기의 표 2와 같이 상기 복수의 촬영 추천 지점들 각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샘플 촬영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촬영 추천 지점들 샘플 촬영 이미지
촬영 추천 지점 1 샘플 촬영 이미지 1
샘플 촬영 이미지 2
촬영 추천 지점 2 샘플 촬영 이미지 3
촬영 추천 지점 3 샘플 촬영 이미지 4
샘플 촬영 이미지 5
... ...
이미지 전송부는(116)는 제1 전자 단말(10)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가 전송된 이후, 제1 전자 단말(10)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중 어느 하나인 제1 촬영 추천 지점에 대응되는 샘플 촬영 이미지의 제공 요청 명령이 수신되면, 이미지 저장부(115)로부터 상기 제1 촬영 추천 지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샘플 촬영 이미지를 추출하여, 제1 전자 단말(10)로 전송한다.
예컨대, 전술한 예와 같이, 추천 정보 전송부(114)가, 제1 전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촬영 추천 정보의 제공 요청 명령에 대응하여, 제1 전자 단말(10)로 '촬영 추천 지점 1'과 '촬영 추천 지점 2'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를 전송하였다고 가정하자.
이러한 상황에서, 제1 전자 단말(10)로부터 '촬영 추천 지점 1'과 '촬영 추천 지점 2' 중 어느 하나인 '촬영 추천 지점 1'에 대응되는 샘플 촬영 이미지의 제공 요청 명령이 서비스 서버(110)에 수신되었다고 하는 경우, 이미지 전송부(116)는 이미지 저장부(115)로부터 '촬영 추천 지점 1'에 대응되는 샘플 촬영 이미지인, '샘플 촬영 이미지 1'과 '샘플 촬영 이미지 2'를 추출하여, 제1 전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자 단말(10)은 서비스 서버(110)로부터 '촬영 추천 지점 1'에 대응되는 '샘플 촬영 이미지 1'과 '샘플 촬영 이미지 2'가 수신되면, '샘플 촬영 이미지 1'과 '샘플 촬영 이미지 2'를 화면 상에 표시해 줌으로써, 상기 제1 회원이 상기 관광지에서 사진을 촬영할 때 참조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110)는 이동 경로 제공부(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경로 제공부(117)는 제1 전자 단말(10)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가 전송된 이후, 제1 전자 단말(10)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중 어느 하나인 제2 촬영 추천 지점에 대한 이동 경로 정보의 제공 요청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제2 촬영 추천 지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제1 위치 정보와 상기 제2 촬영 추천 지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지점에서 상기 제2 촬영 추천 지점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를 산출하여, 제1 전자 단말(10)로 전송한다.
예컨대, 전술한 예와 같이, 추천 정보 전송부(114)가, 제1 전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촬영 추천 정보의 제공 요청 명령에 대응하여, 제1 전자 단말(10)로 '촬영 추천 지점 1'과 '촬영 추천 지점 2'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를 전송하였다고 가정하자.
이러한 상황에서, 제1 전자 단말(10)로부터, '촬영 추천 지점 1'과 '촬영 추천 지점 2' 중 어느 하나인 '촬영 추천 지점 2'에 대한 이동 경로 정보의 제공 요청 명령이 서비스 서버(110)에 수신되었다고 하는 경우, 이동 경로 제공부(117)는 상기 표 1과 같은 정보 테이블로부터 '촬영 추천 지점 2'에 대한 위치 정보인 '위치 정보 2'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이동 경로 제공부(117)는 제1 전자 단말(10)의 현재 위치 정보인 상기 제1 위치 정보와 '촬영 추천 지점 2'에 대한 위치 정보인 '위치 정보 2'를 기초로, 상기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지점에서 '촬영 추천 지점 2'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를 산출하여, 제1 전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자 단말(10)은, 서비스 서버(110)로부터 상기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지점에서 '촬영 추천 지점 2'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이동 경로 정보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자 단말(10)은 상기 이동 경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과 관련해서, 제1 전자 단말(10) 상에 저장되어 있는 지도 데이터를 로드하여, 상기 이동 경로 정보가 지도 상에 표시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제1 회원은, 제1 전자 단말(10)에 표시된 상기 이동 경로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 위치로부터 '촬영 추천 지점 2'까지 정확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110)는 순위 정보 전송부(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순위 정보 전송부(118)는 제1 전자 단말(10)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가 전송된 이후, 제1 전자 단말(10)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에 대한 추천 순위 정보의 제공 요청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추천 순위 정보의 제공 요청 명령이 수신된 제1 시각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시각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응되는 촬영 추천 시간대에 포함되기 위한 최소 잔여 시간을 산출한 후, 상기 최소 잔여 시간이 작게 산출된 순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에 대한 추천 순위를 지정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에 대해 지정된 추천 순위에 대한 정보를 제1 전자 단말(10)로 전송한다.
예컨대, 전술한 예와 같이, 추천 정보 전송부(114)가, 제1 전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촬영 추천 정보의 제공 요청 명령에 대응하여, 제1 전자 단말(10)로 '촬영 추천 지점 1'과 '촬영 추천 지점 2'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를 전송하였다고 가정하자.
그 이후, 제1 전자 단말(10)로부터, '촬영 추천 지점 1'과 '촬영 추천 지점 2'에 대한 추천 순위 정보의 제공 요청 명령이 '9시 33분'에 수신되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순위 정보 전송부(118)는, 상기 표 1과 같은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제1 시각인 '9시 33분'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시각이 '촬영 추천 지점 1'에 대응되는 촬영 추천 시간대인 '10시~12시'에 포함되기 위한 최소 잔여 시간인 '27분'과, 상기 제1 시각이 '촬영 추천 지점 2'에 대응되는 촬영 추천 시간대인 '13시~15시'에 포함되기 위한 최소 잔여 시간인 '3시간 27분'을 각각 산출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순위 정보 전송부(118)는 상기 최소 잔여 시간이 작게 산출된 순을 기준으로, 상기 최소 잔여 시간이 '27분'인 '촬영 추천 지점 1'에 대한 추천 순위를 '1순위'로 지정하고, 상기 최소 잔여 시간이 '3시간 27분'인 '촬영 추천 지점 2'에 대한 추천 순위를 '2순위'로 지정하여, 상기 추천 순위 정보를 제1 전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전자 단말(10)은, '촬영 추천 지점 1'과 '촬영 추천 지점 2'에 대한 상기 추천 순위 정보를 화면 상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제1 회원이, 상기 추천 순위 정보를 바탕으로, '촬영 추천 지점 1'과 '촬영 추천 지점 2'에 대한 방문 순서를 편리하게 정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110)는 소정의 인증된 회원만이 촬영 추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보안 프로세스와 관련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추천 정보 전송부(114)는 해시 테이블 유지부(119), 키 저장부(120), 추출부(121), 이벤트 발생부(122), 해시 값 생성부(123) 및 전송 처리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해시 테이블 유지부(119)는 사전 설정된 복수의 기준 시간대들과, 상기 복수의 기준 시간대들 각각에 대응되는, 사전 지정된 서로 다른 해시 함수가 기록된 해시 함수 테이블(상기 해시 함수 테이블은, 상기 복수의 회원들 각각의 전자 단말에도 사전 저장되어 있음)을 저장하여 유지한다.
예컨대, 상기 해시 함수 테이블은 하기의 표 3과 같이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기준 시간대들 해시 함수
0시~4시 해시 함수 1
4시~8시 해시 함수 2
8시~12시 해시 함수 3
12시~16시 해시 함수 4
16시~20시 해시 함수 5
20시~24시 해시 함수 6
키 저장부(120)는 상기 복수의 회원들 각각에 대한 사전 발급된 공개키(상기 복수의 회원들 각각에 대한 공개키와 키쌍을 이루는 개인키는, 각 회원의 전자 단말에 사전 저장되어 있음)가 저장되어 있다.
추출부(12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이 선별되면, 상기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를 추출한다.
이벤트 발생부(12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가 추출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를 암호화하여 전송하기 위한 암호화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해시 값 생성부(123)는 상기 암호화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해시 함수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기준 시간대들 각각에 대응되는 해시 함수 중, 상기 암호화 이벤트가 발생된 제1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시점을 포함하는 제1 기준 시간대에 대응되는 제1 해시 함수에, 상기 제1 시점에 대한 제1 시간 값을 입력으로 인가하여, 제1 해시 값을 생성한다.
예컨대, 제1 시점이 '9시 10분'이라고 하는 경우, 해시 값 생성부(123)는, '9시 10분'을 포함하는 제1 기준 시간대인 '8시~12시'에 대응되는 제1 해시 함수인 '해시 함수 3'에, 상기 제1 시점에 대한 제1 시간 값인 '9:10'을 입력으로 인가하여, 제1 해시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전송 처리부(124)는 상기 제1 해시 값이 생성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로 구성되는 데이터셋을, 상기 제1 해시 값으로 암호화하여 암호화 데이터셋을 생성하고, 키 저장부(120)로부터 상기 제1 회원에 대한 제1 공개키를 추출하여, 상기 제1 시간 값을 상기 제1 공개키로 암호화한 후, 상기 암호화 데이터셋과 암호화된 상기 제1 시간 값을, 제1 전자 단말(10)로 전송한다.
이때, 제1 전자 단말(10)은 메모리 상에 상기 해시 함수 테이블과, 상기 제1 공개키와 키쌍을 이루는 제1 개인키를 사전 저장하고 있고, 서비스 서버(110)로부터, 상기 암호화 데이터셋과 암호화된 상기 제1 시간 값이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개인키를 기초로, 암호화된 상기 제1 시간 값을 복호화함으로써 상기 제1 시간 값을 복원하고,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해시 함수 테이블을 참조하여, 복원된 상기 제1 시간 값에 따른 시점을 포함하는 상기 제1 기준 시간대를 확인한 후, 상기 해시 함수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기준 시간대에 대응되는 상기 제1 해시 함수를 추출하여, 상기 제1 해시 함수에 상기 제1 시간 값을 입력으로 인가함으로써 상기 제1 해시 값을 생성한 후, 상기 제1 해시 값으로, 상기 암호화 데이터셋을 복호화할 수 있다.
관련해서, 전술한 예와 같이, 상기 제1 시간 값이 '9:10'이라고 하는 경우, 제1 전자 단말(10)은 암호화된 상기 제1 시간 값을 제1 전자 단말(10)의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개인키로 복호화함으로써, 상기 제1 시간 값을 '9:10'으로 복원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제1 전자 단말(10)은, 제1 전자 단말(10)의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표 3과 같은 해시 함수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제1 시간 값인 '9:10'에 따른 시점을 포함하는 제1 기준 시간대인 '8시~12시'를 확인한 후, 상기 해시 함수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기준 시간대인 '8시~12시'에 대응되는 상기 제1 해시 함수인 '해시 함수 3'을 추출할 수 있다.
그 이후, 제1 전자 단말(10)은 상기 제1 해시 함수인 '해시 함수 3'에 상기 제1 시간 값인 '9:10'를 입력으로 인가하여 상기 제1 해시 값을 생성한 후, 상기 제1 해시 값으로, 상기 암호화 데이터셋을 복호화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를 복원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광지에 대한 촬영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계(S210)에서는 상기 관광지에서 촬영 추천 지점으로 사전 지정된, 복수의 촬영 추천 지점들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촬영 추천 지점들 각각에 대응되는 촬영 추천 시간대가 기록되어 있는 정보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한다.
단계(S220)에서는 상기 정보 제공 서비스에 가입된 복수의 회원들 중 어느 한 명인 제1 회원의 제1 전자 단말로부터 상기 관광지에 대한 촬영 추천 정보의 제공 요청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전자 단말로 현재 위치 정보의 전송을 요청한다.
단계(S230)에서는 상기 제1 전자 단말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로서 제1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촬영 추천 지점들 중 상기 제1 위치 정보와의 이격 거리가 사전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을 선별한다.
단계(S240)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이 선별되면, 상기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를 추출하여, 상기 제1 전자 단말로 전송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은 상기 복수의 촬영 추천 지점들 각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샘플 촬영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저장부를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자 단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가 전송된 이후, 상기 제1 전자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중 어느 하나인 제1 촬영 추천 지점에 대응되는 샘플 촬영 이미지의 제공 요청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이미지 저장부로부터 상기 제1 촬영 추천 지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샘플 촬영 이미지를 추출하여, 상기 제1 전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전자 단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가 전송된 이후, 상기 제1 전자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중 어느 하나인 제2 촬영 추천 지점에 대한 이동 경로 정보의 제공 요청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제2 촬영 추천 지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제1 위치 정보와 상기 제2 촬영 추천 지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지점에서 상기 제2 촬영 추천 지점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제1 전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전자 단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가 전송된 이후, 상기 제1 전자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에 대한 추천 순위 정보의 제공 요청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추천 순위 정보의 제공 요청 명령이 수신된 제1 시각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시각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응되는 촬영 추천 시간대에 포함되기 위한 최소 잔여 시간을 산출한 후, 상기 최소 잔여 시간이 작게 산출된 순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에 대한 추천 순위를 지정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에 대해 지정된 추천 순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전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240)에서는 사전 설정된 복수의 기준 시간대들과, 상기 복수의 기준 시간대들 각각에 대응되는, 사전 지정된 서로 다른 해시 함수가 기록된 해시 함수 테이블(상기 해시 함수 테이블은, 상기 복수의 회원들 각각의 전자 단말에도 사전 저장되어 있음)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회원들 각각에 대한 사전 발급된 공개키(상기 복수의 회원들 각각에 대한 공개키와 키쌍을 이루는 개인키는, 각 회원의 전자 단말에 사전 저장되어 있음)가 저장되어 있는 키 저장부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이 선별되면, 상기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가 추출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를 암호화하여 전송하기 위한 암호화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암호화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해시 함수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기준 시간대들 각각에 대응되는 해시 함수 중, 상기 암호화 이벤트가 발생된 제1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시점을 포함하는 제1 기준 시간대에 대응되는 제1 해시 함수에, 상기 제1 시점에 대한 제1 시간 값을 입력으로 인가하여, 제1 해시 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해시 값이 생성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로 구성되는 데이터셋을, 상기 제1 해시 값으로 암호화하여 암호화 데이터셋을 생성하고, 상기 키 저장부로부터 상기 제1 회원에 대한 제1 공개키를 추출하여, 상기 제1 시간 값을 상기 제1 공개키로 암호화한 후, 상기 암호화 데이터셋과 암호화된 상기 제1 시간 값을, 상기 제1 전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전자 단말은 메모리 상에 상기 해시 함수 테이블과, 상기 제1 공개키와 키쌍을 이루는 제1 개인키를 사전 저장하고 있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암호화 데이터셋과 암호화된 상기 제1 시간 값이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개인키를 기초로, 암호화된 상기 제1 시간 값을 복호화함으로써 상기 제1 시간 값을 복원하고,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해시 함수 테이블을 참조하여, 복원된 상기 제1 시간 값에 따른 시점을 포함하는 상기 제1 기준 시간대를 확인한 후, 상기 해시 함수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기준 시간대에 대응되는 상기 제1 해시 함수를 추출하여, 상기 제1 해시 함수에 상기 제1 시간 값을 입력으로 인가함으로써 상기 제1 해시 값을 생성한 후, 상기 제1 해시 값으로, 상기 암호화 데이터셋을 복호화할 수 있다.
이상,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 서비스 서버(110)의 동작에 대한 구성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은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관광지에 대한 촬영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
111: 테이블 유지부 112: 정보 요청부
113: 선별부 114: 추천 정보 전송부
115: 이미지 저장부 116: 이미지 전송부
117: 이동 경로 제공부 118: 순위 정보 전송부
119: 해시 테이블 유지부 120: 키 저장부
121: 추출부 122: 이벤트 발생부
123: 해시 값 생성부 124: 전송 처리부
10: 제1 전자 단말

Claims (12)

  1. 관광지에 대한 촬영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상기 관광지에서 촬영 추천 지점으로 사전 지정된, 복수의 촬영 추천 지점들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촬영 추천 지점들 각각에 대응되는 촬영 추천 시간대가 기록되어 있는 정보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테이블 유지부;
    상기 정보 제공 서비스에 가입된 복수의 회원들 중 어느 한 명인 제1 회원의 제1 전자 단말로부터 상기 관광지에 대한 촬영 추천 정보의 제공 요청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전자 단말로 현재 위치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정보 요청부;
    상기 제1 전자 단말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로서 제1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촬영 추천 지점들 중 상기 제1 위치 정보와의 이격 거리가 사전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을 선별하는 선별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이 선별되면, 상기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를 추출하여, 상기 제1 전자 단말로 전송하는 추천 정보 전송부
    를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촬영 추천 지점들 각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샘플 촬영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저장부; 및
    상기 제1 전자 단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가 전송된 이후, 상기 제1 전자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중 어느 하나인 제1 촬영 추천 지점에 대응되는 샘플 촬영 이미지의 제공 요청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이미지 저장부로부터 상기 제1 촬영 추천 지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샘플 촬영 이미지를 추출하여, 상기 제1 전자 단말로 전송하는 이미지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단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가 전송된 이후, 상기 제1 전자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중 어느 하나인 제2 촬영 추천 지점에 대한 이동 경로 정보의 제공 요청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제2 촬영 추천 지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제1 위치 정보와 상기 제2 촬영 추천 지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지점에서 상기 제2 촬영 추천 지점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제1 전자 단말로 전송하는 이동 경로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단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가 전송된 이후, 상기 제1 전자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에 대한 추천 순위 정보의 제공 요청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추천 순위 정보의 제공 요청 명령이 수신된 제1 시각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시각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응되는 촬영 추천 시간대에 포함되기 위한 최소 잔여 시간을 산출한 후, 상기 최소 잔여 시간이 작게 산출된 순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에 대한 추천 순위를 지정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에 대해 지정된 추천 순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전자 단말로 전송하는 순위 정보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정보 전송부는
    사전 설정된 복수의 기준 시간대들과, 상기 복수의 기준 시간대들 각각에 대응되는, 사전 지정된 서로 다른 해시 함수가 기록된 해시 함수 테이블 - 상기 해시 함수 테이블은, 상기 복수의 회원들 각각의 전자 단말에도 사전 저장되어 있음 - 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해시 테이블 유지부;
    상기 복수의 회원들 각각에 대한 사전 발급된 공개키 - 상기 복수의 회원들 각각에 대한 공개키와 키쌍을 이루는 개인키는, 각 회원의 전자 단말에 사전 저장되어 있음 - 가 저장되어 있는 키 저장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이 선별되면, 상기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가 추출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를 암호화하여 전송하기 위한 암호화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이벤트 발생부;
    상기 암호화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해시 함수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기준 시간대들 각각에 대응되는 해시 함수 중, 상기 암호화 이벤트가 발생된 제1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시점을 포함하는 제1 기준 시간대에 대응되는 제1 해시 함수에, 상기 제1 시점에 대한 제1 시간 값을 입력으로 인가하여, 제1 해시 값을 생성하는 해시 값 생성부; 및
    상기 제1 해시 값이 생성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로 구성되는 데이터셋을, 상기 제1 해시 값으로 암호화하여 암호화 데이터셋을 생성하고, 상기 키 저장부로부터 상기 제1 회원에 대한 제1 공개키를 추출하여, 상기 제1 시간 값을 상기 제1 공개키로 암호화한 후, 상기 암호화 데이터셋과 암호화된 상기 제1 시간 값을, 상기 제1 전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자 단말은
    메모리 상에 상기 해시 함수 테이블과, 상기 제1 공개키와 키쌍을 이루는 제1 개인키를 사전 저장하고 있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암호화 데이터셋과 암호화된 상기 제1 시간 값이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개인키를 기초로, 암호화된 상기 제1 시간 값을 복호화함으로써 상기 제1 시간 값을 복원하고,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해시 함수 테이블을 참조하여, 복원된 상기 제1 시간 값에 따른 시점을 포함하는 상기 제1 기준 시간대를 확인한 후, 상기 해시 함수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기준 시간대에 대응되는 상기 제1 해시 함수를 추출하여, 상기 제1 해시 함수에 상기 제1 시간 값을 입력으로 인가함으로써 상기 제1 해시 값을 생성한 후, 상기 제1 해시 값으로, 상기 암호화 데이터셋을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서버.
  6. 관광지에 대한 촬영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광지에서 촬영 추천 지점으로 사전 지정된, 복수의 촬영 추천 지점들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촬영 추천 지점들 각각에 대응되는 촬영 추천 시간대가 기록되어 있는 정보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정보 제공 서비스에 가입된 복수의 회원들 중 어느 한 명인 제1 회원의 제1 전자 단말로부터 상기 관광지에 대한 촬영 추천 정보의 제공 요청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전자 단말로 현재 위치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단말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로서 제1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촬영 추천 지점들 중 상기 제1 위치 정보와의 이격 거리가 사전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을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이 선별되면, 상기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를 추출하여, 상기 제1 전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촬영 추천 지점들 각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샘플 촬영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저장부를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자 단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가 전송된 이후, 상기 제1 전자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중 어느 하나인 제1 촬영 추천 지점에 대응되는 샘플 촬영 이미지의 제공 요청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이미지 저장부로부터 상기 제1 촬영 추천 지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샘플 촬영 이미지를 추출하여, 상기 제1 전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단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가 전송된 이후, 상기 제1 전자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중 어느 하나인 제2 촬영 추천 지점에 대한 이동 경로 정보의 제공 요청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제2 촬영 추천 지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제1 위치 정보와 상기 제2 촬영 추천 지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지점에서 상기 제2 촬영 추천 지점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제1 전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단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가 전송된 이후, 상기 제1 전자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에 대한 추천 순위 정보의 제공 요청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추천 순위 정보의 제공 요청 명령이 수신된 제1 시각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시각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응되는 촬영 추천 시간대에 포함되기 위한 최소 잔여 시간을 산출한 후, 상기 최소 잔여 시간이 작게 산출된 순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에 대한 추천 순위를 지정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에 대해 지정된 추천 순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전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사전 설정된 복수의 기준 시간대들과, 상기 복수의 기준 시간대들 각각에 대응되는, 사전 지정된 서로 다른 해시 함수가 기록된 해시 함수 테이블 - 상기 해시 함수 테이블은, 상기 복수의 회원들 각각의 전자 단말에도 사전 저장되어 있음 - 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회원들 각각에 대한 사전 발급된 공개키 - 상기 복수의 회원들 각각에 대한 공개키와 키쌍을 이루는 개인키는, 각 회원의 전자 단말에 사전 저장되어 있음 - 가 저장되어 있는 키 저장부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이 선별되면, 상기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가 추출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를 암호화하여 전송하기 위한 암호화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암호화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해시 함수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기준 시간대들 각각에 대응되는 해시 함수 중, 상기 암호화 이벤트가 발생된 제1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시점을 포함하는 제1 기준 시간대에 대응되는 제1 해시 함수에, 상기 제1 시점에 대한 제1 시간 값을 입력으로 인가하여, 제1 해시 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해시 값이 생성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촬영 추천 지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촬영 추천 시간대로 구성되는 데이터셋을, 상기 제1 해시 값으로 암호화하여 암호화 데이터셋을 생성하고, 상기 키 저장부로부터 상기 제1 회원에 대한 제1 공개키를 추출하여, 상기 제1 시간 값을 상기 제1 공개키로 암호화한 후, 상기 암호화 데이터셋과 암호화된 상기 제1 시간 값을, 상기 제1 전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자 단말은
    메모리 상에 상기 해시 함수 테이블과, 상기 제1 공개키와 키쌍을 이루는 제1 개인키를 사전 저장하고 있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암호화 데이터셋과 암호화된 상기 제1 시간 값이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개인키를 기초로, 암호화된 상기 제1 시간 값을 복호화함으로써 상기 제1 시간 값을 복원하고,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해시 함수 테이블을 참조하여, 복원된 상기 제1 시간 값에 따른 시점을 포함하는 상기 제1 기준 시간대를 확인한 후, 상기 해시 함수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기준 시간대에 대응되는 상기 제1 해시 함수를 추출하여, 상기 제1 해시 함수에 상기 제1 시간 값을 입력으로 인가함으로써 상기 제1 해시 값을 생성한 후, 상기 제1 해시 값으로, 상기 암호화 데이터셋을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2.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127166A 2022-10-05 2022-10-05 관광지에 대한 촬영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202400477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166A KR20240047748A (ko) 2022-10-05 2022-10-05 관광지에 대한 촬영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166A KR20240047748A (ko) 2022-10-05 2022-10-05 관광지에 대한 촬영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7748A true KR20240047748A (ko) 2024-04-12

Family

ID=90680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7166A KR20240047748A (ko) 2022-10-05 2022-10-05 관광지에 대한 촬영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774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78700B2 (ja) クロスブロックチェーン認証方法、装置、および電子デバイス
CN109522330B (zh) 基于区块链的云平台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2206950B1 (ko) 워크플로우에 기초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의 비공개 트랜잭션의 관리
KR101523816B1 (ko) 네트워크를 통한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또 하나의 디바이스로의 파일들의 송신
US10083311B2 (en) Cryptographic key
US8301659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media item privacy settings
JP5374209B2 (ja) コンテンツ共有システム、コンテンツ共有サーバー及びプログラム
US8965844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haring contents
KR20070116558A (ko)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컴퓨터프로그램
CN102843366A (zh) 一种网络资源访问权限控制方法及装置
KR20150023406A (ko) 캡쳐된 지리적 메타데이터의 향상 방법
US11720224B2 (en) Data storage using image objects shown in a real-time view
JP6504453B2 (ja) 画像送信装置、画像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40047748A (ko) 관광지에 대한 촬영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1846163B1 (ko) 공유 정보를 보호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331242B1 (ko) 검색가능 이미지 암호화 시스템
JP6269024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164954B2 (ja) 認証サーバ、認証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4430496A (zh) 跨设备视频搜索方法及相关设备
KR102525656B1 (ko) 전자 단말에 대한 태스크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태스크 관리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2517321B1 (ko)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2139246B1 (ko) 캐릭터 단말을 이용한 방문지 관련 서비스 보안 처리 장치 및 방법
US20230319051A1 (en) System,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210334390A1 (en) System for on-demand capture and exchange of media items that are not recorded at the point of capture
JP6179328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