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6934A - 화재발생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버스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 Google Patents
화재발생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버스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46934A KR20240046934A KR1020220125944A KR20220125944A KR20240046934A KR 20240046934 A KR20240046934 A KR 20240046934A KR 1020220125944 A KR1020220125944 A KR 1020220125944A KR 20220125944 A KR20220125944 A KR 20220125944A KR 20240046934 A KR20240046934 A KR 202400469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s bar
- cover member
- bar assembly
- fire
- assembly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9970 fire resista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1038 ethylene co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445 mica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618 mica group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10293 ceram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3022 ve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1—Co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2—Inorganic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88—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outside the batteries, e.g. incorrect connections of terminals or busba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발생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버스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구리소재로 이루어진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의 일부를 감싸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버스바는 상기 커버부재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제1 버스바 및 상기 커버부재에 의해 감싸지는 제2 버스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버스바의 폭은 상기 제1 버스바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재발생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버스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전지 모듈 중 하나의 전지 모듈에 수납된 전지 셀에서 화재발생 시 화재가 버스바 어셈블리 방향을 통해 인근 전지 모듈로 화재가 전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재발생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버스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연료의 사용에 따른 대기오염, 에너지 고갈로 인한 대체에너지 개발로 인해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이차전지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모바일 기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등 일상생활에 밀접하게 사용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필수불가결하게 사용되고 있는 각종 전자기기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차전지는 모바일 기기의 사용량 증가 및 복잡화, 전기 자동차 등의 개발로 인해 요구되는 용량이 증가되고 있다. 사용자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소형 기기에는 다수의 전지 셀을 배치하고 있으나, 자동차 등에는 다수개의 전지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지 모듈 또는 이러한 전지 모듈을 다수 구비한 전지 팩이 사용된다.
한편, 전지 모듈에 수납된 전지 셀을 외부의 충격, 단락 및 과전류 등에 의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화재는 인접하는 전지 모듈을 서로 연결하는 버스바를 따라 2차 피해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도 1는 종래기술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어셈블리는 전기적으로 인접한 전지 모듈을 연결하는 버스바(10) 및 버스바(10)를 감싸는 커버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종래기술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어셈블리는 필요한 부분을 구부리는 등 변형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만들어 경로가 복잡한 곳에 구비된 전지 모듈들을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하지만, 전지 모듈 내의 전지 셀에서 화재가 발생 시 커버부재(20)가 녹아 노출된 버스바(10)가 인전하는 금속과 접촉하여 단락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또한 화재 및 벤팅가스가 버스바(10)와 커버부재(20) 사이를 통해 인접한 전지 모듈로 전이되어 화재 전이 등의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화재로 인해 커버부재가 소실되어 버스바와 인접한 금속이 접촉하여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화재발생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버스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벤팅가스가 발생한 압력에 의해 버스바와 커버부재 사이가 이격되어 인근 전지모듈로 화재전이 및 벤팅가스 유출로 인한 2차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화재발생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버스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는 구리소재로 이루어진 버스바(100) 및 상기 버스바(100)의 일부를 감싸는 커버부재(200)를 포함하되, 상기 버스바(100)는 상기 커버부재(200)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제1 버스바(110) 및 상기 커버부재(200)에 의해 감싸지는 제2 버스바(120)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버스바(120)의 폭(W2)은 상기 제1 버스바(110)의 폭(W1)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에서, 상기 제2 버스바(120)의 높이(L2)는 상기 제1 버스바(110)의 높이(L1)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에서, 상기 제2 버스바(120)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 버스바(110)와 이격된 위치에 하나 이상의 돌기부(1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에서, 상기 돌기부(121)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에서, 상기 돌기부(121)는 복수개 형성되어 요철부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에서, 상기 돌기부(121)의 단면은 직각삼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에서, 상기 직각삼각형 형상은 경사면이 상기 제2 버스바(120)의 중앙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에서, 상기 제1 버스바(11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일정 두께의 금속층(111)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에서, 상기 금속층(111)은 CCA(Copper Clad Aluminum) 용접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에서, 상기 커버부재(200)는 내화성을 갖는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에서, 상기 내화성을 갖는 소재는 세라믹화된 실리콘, 폴리에틸렌과 에틸렌 공중합체의 혼용 수지 및 운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특징을 가진 버스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지 팩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는 제1 버스바와 제2 버스바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어 화재 및 벤팅가스 등이 버스바와 커버부재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는 제2 버스바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어, 버스바와 커버부재 사이로 유입된 화재 및 벤팅가스 등이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는 화재에 의해 커버부재가 소실되지 않아 버스바와 인접한 금속 간 접촉을 차단하여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는 종래기술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를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각각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를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각각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를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각각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를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각각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를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각각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를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각각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를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각각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를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각각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재발생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버스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에 관하여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를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각각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는 버스바(100) 및 버스바(100)의 일부를 감싸는 커버부재(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버스바(100)는 평판 형상의 구리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양끝단부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버스바(110) 및 커버부재(200)에 감싸지고 양끝단부의 제1 버스바(110)를 연결하는 제2 버스바(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버스바(110)는 인접하는 전지 모듈의 단자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버스바(120)는 커버부재(200)에 감싸진 채로 전지 모듈을 수납하는 케이스에서 각각 전지 모듈의 구역을 구획하는 벽을 관통하여 양측의 제1 버스바(110)를 연결한다.
제2 버스바(120)의 폭(W2)은 제1 버스바(110)의 폭(W1)보다 작고, 제2 버스바(120)의 높이(L2)는 제1 버스바(110)의 높이(L1)보다 낮도록 형성되어 제1 버스바(110)와 제2 버스바(120) 사이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버스바(120)의 둘레에는 커버부재(200)가 감싸져 있어 제1 버스바(110) 방향에서 화재 또는 벤팅가스가 발생하여도 제1 버스바(110)와 제2 버스바(120)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에 의해 벤팅가스가 제2 버스바(120)와 커버부재 사이로 유입되는 것이 어려워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커버부재(200)는 제2 버스바(120)를 감싸 제2 버스바(120)와 인접하는 금속과 접촉하여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절연성을 가진 소재일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200)는 화재 및 고온 발생 시 녹지 않는 내화성을 갖는 소재일 수 있고, 일 예로, 세라믹화된 실리콘, 세라믹 소재, 폴리에틸렌과 에틸렌 공중합체의 혼용 수지, 운모, 유리섬유 직조물(Glass fiber) 및 mPPO와 GF20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소재일 수 있다.
커버부재(200)는 제1 버스바(110)와 제2 버스바(120) 사이의 단차 형상에 의해 길이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를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각각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는 제2 버스바(120)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2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에서 제2 버스바(120)는 외측면에 제2 버스바(120)의 둘레에 따라 띠 형상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부(121)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돌기부(121)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돌기부(121)는 복수개가 형성되고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요철부 형상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돌기부(121)가 복수개 형성될 경우 각각의 돌기부(121)가 제2 버스바(120)와 커버부재(200) 사이로 유입된 벤팅가스를 차단할 수 있어 돌기부(121)가 하나 형성된 경우 대비 벤팅가스의 이동을 차단하는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이 때, 최외각에 위치하는 돌기부(121)는 제1 버스바(110)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돌기부(121)가 제1 버스바(110)와 밀착되도록 형성될 경우 제1 버스바(110)와 제2 버스바(120)의 단차가 사라져 단차로 인한 벤팅 가스 유입을 억제하는 효과가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를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각각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는 제2 버스바(120)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2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에서 제2 버스바(120)는 외측면에 제2 버스바(120)의 둘레를 따라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돌기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121)는 단면 형상이 직각삼각형 형상일 수 있으며, 직각삼각형 형상에서 일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은 제2 버스바(120)의 중앙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부(121)는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부(121)가 복수개 형성될 경우 각각의 돌기부(121)가 제2 버스바(120)와 커버부재(200) 사이로 유입된 벤팅가스를 차단할 수 있어 돌기부(121)가 하나 형성된 경우 대비 벤팅가스의 이동을 차단하는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이 때, 최외각에 위치하는 돌기부(121)는 제1 버스바(110)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돌기부(121)가 제1 버스바(110)와 밀착되도록 형성될 경우 제1 버스바(110)와 제2 버스바(120)의 단차가 사라져 단차로 인한 벤팅 가스 유입을 억제하는 효과가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를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각각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는 제1 버스바(110)에 금속층(111)이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2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에서 양끝단부의 제1 버스바(11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일정 두께의 금속층(11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금속층(111)은 일예로 알루미늄 소재일 수 있으며, CCA(Copper Clad Alunminum) 용접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버스바(110)의 상면 및 하면에 금속층(111)이 형성되면서 제1 버스바(110)와 제2 버스바(120) 사이의 단차가 발생하여 벤팅가스가 제1 버스바(120)와 커버부재(200)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비록 도면에서는 금속층(111)이 제외한 제1 버스바(110)의 높이가 제2 버스바(120)의 높이보다 크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제1 버스바(110)에 금속층(111)이 형성되어 단차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금속층(111)이 제외한 제1 버스바(110)의 높이와 제2 버스바(120)의 높이가 동일하여도 무방하다.
또 본 발명은 전술한 버스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지 팩일 수 있으며, 상기 기재된 전지 팩이 장착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00: 버스바
110: 제1 버스바
111: 금속층
120: 제2 버스바
121: 돌기부
200: 커버부재
W1: 제1 버스바의 폭
W2: 제2 버스바의 폭
L1: 제1 버스바의 높이
L2: 제2 버스바의 높이
110: 제1 버스바
111: 금속층
120: 제2 버스바
121: 돌기부
200: 커버부재
W1: 제1 버스바의 폭
W2: 제2 버스바의 폭
L1: 제1 버스바의 높이
L2: 제2 버스바의 높이
Claims (12)
- 구리소재로 이루어진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의 일부를 감싸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버스바는 상기 커버부재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제1 버스바 및 상기 커버부재에 의해 감싸지는 제2 버스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버스바의 폭은 상기 제1 버스바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스바의 높이는 상기 제1 버스바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스바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 버스바와 이격된 위치에 하나 이상의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복수개 형성되어 요철부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단면은 직각삼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직각삼각형 형상은 경사면이 상기 제2 버스바의 중앙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스바의 상면 및 하면에는 일정 두께의 금속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CCA(Copper Clad Aluminum) 용접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내화성을 갖는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성을 갖는 소재는 세라믹화된 실리콘, 세라믹 소재, 폴리에틸렌과 에틸렌 공중합체의 혼용 수지, 운모, 유리섬유 직조물(Glass fiber) 및 mPPO와 GF20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소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버스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지 팩.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5944A KR20240046934A (ko) | 2022-10-04 | 2022-10-04 | 화재발생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버스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
PCT/KR2023/013785 WO2024076032A1 (ko) | 2022-10-04 | 2023-09-14 | 화재발생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버스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
EP23875100.2A EP4404370A1 (en) | 2022-10-04 | 2023-09-14 | Busbar assembly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due to occurrence of fir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
CN202380013963.2A CN118202516A (zh) | 2022-10-04 | 2023-09-14 | 能够防止火灾造成的损坏的汇流条组件和包括该汇流条组件的电池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5944A KR20240046934A (ko) | 2022-10-04 | 2022-10-04 | 화재발생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버스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46934A true KR20240046934A (ko) | 2024-04-12 |
Family
ID=90608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25944A KR20240046934A (ko) | 2022-10-04 | 2022-10-04 | 화재발생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버스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EP (1) | EP4404370A1 (ko) |
KR (1) | KR20240046934A (ko) |
CN (1) | CN118202516A (ko) |
WO (1) | WO2024076032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01154A (ko) | 2014-02-26 | 2015-09-03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플렉서블 버스바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6579B1 (ko) * | 2005-10-21 | 2010-03-0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중대형 전지팩용 유연성 버스 바 |
KR20190009120A (ko) * | 2017-07-18 | 2019-01-28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버스바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
KR102382386B1 (ko) * | 2018-02-09 | 2022-04-01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전류 차단부를 구비한 버스바 및 그것을 포함한 배터리 모듈 |
KR101996444B1 (ko) * | 2018-04-25 | 2019-10-01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버스바 어셈블리 |
KR20210019296A (ko) * | 2019-08-12 | 2021-02-2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부분 인서트 사출을 적용한 플랙서블 버스바 |
KR102567783B1 (ko) | 2021-03-08 | 2023-08-16 | 손정훈 | 어구 인양기용 구동 제어 장치 |
-
2022
- 2022-10-04 KR KR1020220125944A patent/KR20240046934A/ko unknown
-
2023
- 2023-09-14 CN CN202380013963.2A patent/CN118202516A/zh active Pending
- 2023-09-14 WO PCT/KR2023/013785 patent/WO2024076032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3-09-14 EP EP23875100.2A patent/EP4404370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01154A (ko) | 2014-02-26 | 2015-09-03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플렉서블 버스바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4076032A1 (ko) | 2024-04-11 |
CN118202516A (zh) | 2024-06-14 |
EP4404370A1 (en) | 2024-07-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98844B1 (ko) | 전지팩 | |
JP2023519400A (ja) | 火災抑制のための隔壁及び断熱層を備えた電池モジュール | |
CN113853710B (zh) | 具有提高的安全性的电池组 | |
US20220021060A1 (en) | Battery module including base plate having gas discharge passage, and battery pack and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same | |
CN113826270B (zh) | 电池组、电子装置及车辆 | |
KR20210074779A (ko) | 인근 모듈로의 가스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전지 모듈 | |
EP4187700A1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 |
KR20220126441A (ko) |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
JP2023537750A (ja) |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 |
CN116250120A (zh) | 包括热扩散抑制结构的电池组 | |
KR20240046934A (ko) | 화재발생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버스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 |
JP7451020B2 (ja) | 短絡防止用ヒューズボックスブラケットを備えたバッテ | |
CN116636073A (zh) | 具有用于在热传播期间阻挡氧气流入的结构的电池模块 | |
JP7391453B2 (ja) |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 |
KR102284774B1 (ko) | 단락 방지를 위한 배터리팩 장치 | |
KR20220005221A (ko) | 접착부재에 의해 전극 리드와 버스바가 연결된 전지 모듈 | |
KR102674209B1 (ko) |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
KR20240075493A (ko) | 파우치형 이차전지, 이차전지 모듈 및 이차전지팩 | |
US20240347851A1 (en) | Battery device and battery system including the same | |
EP4421964A1 (en) | Intermodule bus bar capable of delaying thermal runaway transition,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 |
EP4322287A1 (en) | Secondary battery | |
KR20240035365A (ko) | 내화염성이 향상된 버스바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
KR20230131112A (ko) |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
JP2024534486A (ja) | 端子構造が改善された二次電池 | |
KR20220103509A (ko) | 화재 발생 및 폭발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es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