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5996A - 셀룰로오스 복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셀룰로오스 복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5996A
KR20240045996A KR1020230100605A KR20230100605A KR20240045996A KR 20240045996 A KR20240045996 A KR 20240045996A KR 1020230100605 A KR1020230100605 A KR 1020230100605A KR 20230100605 A KR20230100605 A KR 20230100605A KR 20240045996 A KR20240045996 A KR 20240045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ulose
weight
parts
sodium hyaluronate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0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지
윤지은
김민지
최재환
윤혜정
이학명
이건희
강승현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00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5996A/ko
Publication of KR20240045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599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61K31/717Cellul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61K31/728Hyalur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4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 A61K31/785Polymer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83Matrix 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8Poly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끈적이는 사용감을 개선하고, 보습감이 증진되는 바 피부 상태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셀룰로오스 복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cellulose complex}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셀룰로오스는 수백에서 수천 개의 D-포도당 단위체들이 β(1→4)글리코사이드 결합으로 연결된 선형 사슬이 중첩된 격자형의 다당류로, 화학식이 (C6H10O5)n 인 유기 화합물이다. 셀룰로오스는 녹색 식물, 다양한 형태의 조류 및 난균류의 1차 세포벽의 중요한 구조적인 구성 요소로서, 수분을 유지하고 녹색 식물 등의 생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지구상에서 가장 풍부한 천연 고분자로서, 점도가 높아 점착력을 증대시키며 값이 저렴하여 지속 가능한 화장품의 원료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많다.
그러나, 상기 셀룰로오스는 긴 종횡비에 의한 섬유 간 응집 현상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비균질성으로 인해 사용감이 떨어지며, 뭉침 현상으로 점도, 분산력, 투과율과 같은 제형 안정성이 떨어진다. 또한, 피부에 발랐을 때 때밀림 현상으로 인해 범용적으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듐히알루로네이트 및 폴리글루탐산과의 복합 제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일 양상은 셀룰로오스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셀룰로오스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셀룰로오스 복합물은 셀룰로오스(cellulose), 소듐히알루로네이트 (sodium hyaluronate) 및 폴리글루탐산(polygultamic aci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cellulose)는 화학적으로 개질되지 않은 무처리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untreated cellulose nanofibrils, UCNF), 카르복시메틸화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Carboxymethylated cellulose nanofibrils, CMCNF), TEMPO 촉매 산화 처리된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TEMPO-oxidized cellulose nanofibrils, TOCN), 4차 암모늄을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quaternized ammonium cellulose nano fibrils, QCNF) 및 셀룰로오스 나노크리스탈(Cellulose nanocrystals, CNC)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은 약 3 내지 10 ㎚의 초극세의 균일한 직경을 갖고, 길이가 300 ㎚ 이상의 높은 종횡비(Aspect ratio)를 갖는다. 또한, 상기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은 강도적 성질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생분해가 가능한 친환경적 천연 고분자 물질이다. 그러나, 상기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은 헤미셀룰로오스로부터 유래되거나 펄핑 및 표백 과정을 통해 도입되는 작용기들로 인해 수계에서 음이온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 표면의 전기화학적 성질은 표면 개질을 통해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는 표면이 개질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표면 개질은 예를 들어, LbL (Layer-by-Layer) 다층화(multilayering) 방법, 카르복시메틸화(carboxymethylation) 방법 또는 TEMPO(2,2,6,6-tetramethyl piperidin-1-oxyl radical) 촉매 산화 처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표면 개질된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은 응집과 분산, 유변성 및 탈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바, 이로 인해 최종 제품의 특성이 변화될 수 있다.
상기 LbL (Layer-by-Layer) 다층화 방법은 다층 흡착 조건에 따라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의 이온성을 변화시키고, 이로 인해 현탁액의 탈수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르복시메틸화(carboxymethylation) 방법은 셀룰로오스 표면에 존재하는 다수의 수산화기(-OH) 위치에 카르복시메틸기(-CH2COOH)를 도입하는 것이다. 클로로아세트산(chloroacetic acid)과의 반응을 통해 치환된 카르복시메틸기는 수계에서 이온화하여 -CH2COO-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의 표면에 음이온성을 부여하고, 카르복시메틸기가 치환된 정도에 따라 물에 대한 음이온성 및 점도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TEMPO 촉매 산화 처리에 의한 표면 개질 방법은 TEMPO 촉매가 일정 조건에서 나이트로소늄 이온(nitrosonium ion)이 산화되어 6번 탄소의 수산기(-OH)가 카르복실기(-COOH)로 치환되는 특성을 이용한 것이다. 상기 TEMPO 촉매를 처리하여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의 표면을 개질하는 경우,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의 표면에 카르복실기 이온이 다수 존재하여 음이온성을 더욱 크게 할 수 있는바, 히알루론산 및 폴리글루탐산과의 네트워크(network)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히알루론산은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히알루론산 유도체는 소듐히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일 수 있다.
상기 소듐히알루로네이트는 인간의 다양한 결합 조직에서 발견되는 글리코사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s, GAGs)인 히알루론산의 나트륨염이다. 구체적으로, 히알루론산은 피부에 많이 존재하는 생체 합성 천연 물질로, 수산기(-OH)가 많기 때문에 친수성 물질이며, 피부에서 보습 작용의 역할을 하는 바, 천연보습인자로 분류된다. 또한, 상기 히알루론산은 피부 진피에 존재하는 콜라겐과 엘라스틴 섬유에 탄력을 부여한다. 그러나, 소듐히알루로네이트는 높은 점도로 인하여 피부에 적용 시 잔여감을 주거나 끈적이는 사용감을 부여한다는 단점이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소듐히알루로네이트는 셀룰로오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소듐히알루로네이트는 셀룰로오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1 내지 50 중량부, 1 내지 40 중량부, 1 내지 30 중량부, 1 내지 20 중량부, 5 내지 40 중량부, 5 내지 25 중량부, 10 내지 20 중량부, 또는 15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듐히알루로네이트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셀룰로오스와의 시너지 활성에 의한 보습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점도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셀룰로오스의 분자 간 네트워크 형성을 방해하여 기계적 강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보습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폴리글루탐산은 감마폴리글루탐산(Ⅴ- poly-glutamic acid, Ⅴ-PGA)와 혼용되어 사용되며, 고초균(Bacillus subtilis) 및 고초균의 일종인 고초균 청국장(Bacillus subtilis chungkookjang)을 배양한 다음 배양 여액을 막 분리 및 정제하여 수득한다. 상기 감마폴리글루탐산은 청국장과 낫토 같은 콩 발효식품의 끈적끈적한 물질 속에 많이 포함되어 있는 천연 보습 성분으로 아미노산의 일종인 글루탐산의 중합체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폴리글루탐산은 내부와 외부 피부에 우수한 보습효과와 지속적으로 영양물을 흡수시키고 멜라닌 발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소듐히알루로네이트, 콜라겐보다 우수한 보습효과를 가지고 있어 오랜 시간동안 습윤 효과로 건성 피부의 보습 효과를 강화시키고 건조한 환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한다. 더불어 피부 탄력을 유지시키고 복원해 주름완화 기능과 함께 피부의 건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물 분자를 자신의 분자량의 5000배 이상까지 흡수할 수 있으며 피부 내 천연 보습인자(NMF)를 생산해 피부에 보습력을 향상시킨다. 또 피부의 pH값을 효과적으로 안정시켜 병원성 미생물의 활동을 억제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글루탐산은 셀룰로오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글루탐산은 셀룰로오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1 내지 50 중량부, 1 내지 40 중량부, 1 내지 30 중량부, 1 내지 20 중량부, 5 내지 40 중량부, 5 내지 25 중량부, 10 내지 20 중량부, 또는 15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글루탐산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셀룰로오스와의 시너지 활성에 의한 피부 보습 및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셀룰로오스 복합물의 점도가 크게 감소하는 바,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은 셀룰로오스의 사용감 및 제형 안정성 저하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표면 개질한 셀룰로오스와 소듐히알루로네이트 및 폴리글루탐산을 포함함으로써, 사용감, 제형 안정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피부 상태 개선의 시너지 활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용도는 피부 상태 개선, 피부 미용 개선, 피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피부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상태 개선 또는 피부 미용 개선은 피부 노화 억제 또는 개선, 항 주름, 피부 미백, 피부 장벽 강화, 또는 피부 보습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피부 노화"란 나이가 들어가면서 피부에 나타나게 되는 유형과 무형상의 변화를 통틀어 말하는 것으로, 예컨대 표피 두께가 얇아지는 현상, 진피의 세포 수나 혈관 수, DNA 손상복구 능력, 세포교체주기, 상처 회복, 피부장벽기능, 표피의 수분 유지, 땀분비, 피지분비, 비타민D 생산, 물리적 손상방어, 화학물질 제거능력, 면역반응, 감각 기능, 체온조절의 감소를 말한다.
상기 조성물은 외인성 요인 또는 내인성 요인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노화 개선용일 수 있다. 상기 외인성 요인은 여러 가지 외부 요인, 예컨대 자외선(광)을 말하고 내인성 요인은 연대기적 요인이라고도 지칭되며 주로 시간의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요인을 말한다. 즉, 상기 피부 노화는 구체적으로는 자외선, 공해, 담배연기, 화학물질 등에 의한 외부 자극에 의해 유도되는 조기 노화 증상 뿐만 아니라, 나이가 들어감에 의해 피부세포의 증식이 감소함에 따라 발생하는 자연노화 현상을 포함하며 주름, 탄력 감소, 피부 처짐 및 건조 현상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주름은 내ㆍ외부 요인의 변화에 의한 자극이 피부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을 변화시켜 주름을 유발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노화는 광노화일 수 있다. 용어 "광노화(Photoaging)"는 외부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유발되는 현상으로, 가장 대표적인 인자로는 자외선이 있다. 자외선은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화와 기질단백질의 사슬절단 및 비정상적인 교차결합 등의 생체 구성 성분들의 손상을 가져오고, 이러한 메커니즘의 반복은 외관상으로도 확연한 피부노화를 초래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주름"은 피부의 탄력성이 상실되어 느슨해진 상태를 의미하며, 예를 들면 피부가 접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이란 주름과 관련된 인자의 발현을 억제하여 주름을 방지 또는 개선하거나, 콜라겐 총량을 증가시키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장벽 강화"는 피부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여 수분과 영양 손실을 막아주는 피부 장벽의 기능이 증진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피부 보습"은 피부 수분을 유지하거나 수분 손실을 방지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용어, "항염증"이란 "염증 억제 또는 개선"과 혼용될 수 있으며, 면역 반응이 완화되어 질소산화물 생성이 억제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질환"은 피부 장벽 기능 손상에 의한 질환, 피부 노화, 피부 상처, 피부 흉터, 또는 피부 염증일 수 있다. 용어, "예방"은 질병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용어, "치료"는 질병의 발전의 억제, 경감, 또는 제거를 포함한다.
상기 피부 장벽 기능 손상은 피부 장벽의 기능이 저하되거나 손상되어 피부에 나타나는 모든 변화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 주름 증가, 건조, 피부염,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성 피부염, 여드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염증성 질환은 피부 상처, 피부염, 아토피 피부염, 소양증, 습진성 피부질환, 건성 습진, 홍반, 두드러기, 건선, 약발진, 및 여드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히알루론산 및 폴리글루탐산의 혼합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내지 80 중량%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히알루론산 및 폴리글루탐산의 혼합물은, 예를 들어, 0.1 중량% 내지 60 중량%, 0.1 중량% 내지 40 중량%, 0.1 중량% 내지 30 중량%, 0.1 중량% 내지 20 중량%, 0.1 중량% 내지 10 중량%, 0.1 중량% 내지 5 중량%, 0.5 중량% 내지 60 중량%, 0.5 중량% 내지 40 중량%, 0.5 중량% 내지 30 중량%, 0.5 중량% 내지 20 중량%, 0.5 중량% 내지 10 중량%, 0.5 중량% 내지 5 중량%, 1 중량% 내지 60 중량%, 1 중량% 내지 40 중량%, 1 중량% 내지 30 중량%, 1 중량% 내지 20 중량%, 1 중량% 내지 10 중량%, 또는 1 중량% 내지 5 중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혼합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피부 상태 개선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은 셀룰로오스, 소듐히알루로네이트 및 폴리글루탐산이 혼합됨에 따라 상기 물질 간 그물망 구조의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은 매트릭스를 형성함으로써, 매트릭스 내 미세 공극 사이에 수분을 구조적으로 담지할 수 있는 바, 수분 보유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매트릭스 형성을 위하여, 상기 소듐히알루로네이트 및 폴리글루탐산은 1:0.001 내지 10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소듐히알루로네이트 및 폴리글루탐산은 예를 들어, 1:0.001 내지 10, 1:0.001 내지 8, 1:0.001 내지 5, 1:0.01 내지 10, 1:0.01 내지 6, 1:0.05 내지 7, 1:0.05 내지 3, 1:0.1 내지 10, 1:0.1 내지 4, 1:0.1 내지 1 또는 1:0.5 내지 4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히알루론산 및 폴리글루탐산의 혼합 비율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셀룰로오스가 균일한 공극의 그물망 구조를 형성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히알루론산 및 폴리글루탐산의 효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혼화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셀룰로오스가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지 못하므로 점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은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정도로 본 명세서의 셀룰로오스, 히알루론산 및 폴리글루탐산의 혼합물이 첨가되는 것을 의미하고, 약물전달 및 안정화 등을 위하여 다양한 성분을 부성분으로 첨가하여 다양한 형태로 포뮬레이션(formulation)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에센스, 팩, 젤, 앰플 또는 피부 점착 타입의 화장료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조성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피부외용제용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피부외용제는 크림, 겔, 연고, 피부 유화제, 피부 현탁액, 경피전달성 패치, 약물 함유 붕대, 로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의 피부외용제에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면 수성성분, 유성성분, 분말성분, 알코올류, 보습제, 증점제, 자외선흡수제, 미백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향료, 색제, 각종 피부 영양제, 또는 이들의 조합과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배합될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에데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삼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글루콘산 등의 금속봉쇄제, 카페인, 탄닌, 벨라파밀, 감초추출물, 글라블리딘, 칼린의 과실의 열수추출물, 각종생약, 아세트산토코페롤, 글리틸리틴산, 트라넥삼산 및 그 유도체 또는 그 염 등의 약제, 비타민 C, 아스코르브산인산마그네슘, 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알부틴, 코지산, 글루코스, 프룩토스, 트레할로스 등의 당류등도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 또는 담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희석제는 유당, 옥수수 전분, 대두유, 미정질 셀룰로오스, 또는 만니톨,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부형제, 붕해제, 결합제, 활택제,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미결정 셀룰로오즈, 유당, 저치환도 히드록시셀룰로오즈,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붕해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전분글리콜산 나트륨, 무수인산일수소 칼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결합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활택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이산화규소, 탈크,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경구 투여 제형은 과립제, 산제, 액제, 정제, 캡슐제, 건조시럽제,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비경구 투여 제형은 주사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일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단독 또는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 양은 사용 목적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본 명세서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건강기능식품의 종류 중 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또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또는 그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또한,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 또는 그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양상은 유효한 양의 상기한 조성물을 그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처리 또는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의 상태를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개체의 상태는 피부와 관련된 상태, 또는 염증과 관련된 상태일 수 있다.
용어, "투여하는", "도입하는", 및 "이식하는"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고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의 원하는 부위로의 적어도 부분적 국소화를 초래하는 방법 또는 경로에 의한 개체 내로의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의 배치를 의미할 수 있다.
투여는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다. 투여는 예를 들면, 정맥내, 근육내, 경구, 경피(transdermal), 점막, 코안(intranasal), 기관내(intratracheal) 또는 피하 투여와 같은 경로로, 임의의 수단에 의하여 개체로 직접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는 전신적으로 또는 국부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개체는 포유동물, 예를 들면, 사람, 소, 말, 돼지, 개, 양, 염소, 또는 고양이일 수 있다. 상기 개체는 피부미용 개선, 예를 들어 피부 보습, 피부 장벽 강화, 피부 염증 억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필요로 하는 개체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을 개체당 일당 0.1 mg 내지 1,000 mg, 예를 들면, 0.1 mg 내지 500 mg, 0.1 mg 내지 100 mg, 0.1 mg 내지 50 mg, 0.1 mg 내지 25 mg, 1 mg 내지 1,000 mg, 1 mg 내지 500 mg, 1 mg 내지 100 mg, 1 mg 내지 50 mg, 1 mg 내지 25 mg, 5mg 내지 1,000 mg, 5 mg 내지 500 mg, 5 mg 내지 100 mg, 5 mg 내지 50 mg, 5 mg 내지 25 mg, 10mg 내지 1,000 mg, 10 mg 내지 500 mg, 10 mg 내지 100 mg, 10 mg 내지 50 mg, 또는 10 mg 내지 25 mg을 투여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고, 당업자라면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투여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투여 횟수는 1일 1회 또는 임상적으로 용인가능한 부작용의 범위 내에서 2회 이상이 가능하고, 투여 부위에 대해서도 1개소 또는 2개소 이상에 투여할 수 있으며, 매일 또는 2 내지 5일 간격으로 총 투여 일수는 한번 치료 시 1일에서 30일까지 투여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적정 시기 이후에 동일한 치료를 반복할 수 있다. 인간 이외의 동물에 대해서도, kg당 인간과 동일한 투여량으로 하거나, 또는 예를 들면 목적의 동물과 인간과의 기관(심장 등)의 용적비(예를 들면, 평균값) 등으로 상기의 투여량을 환산한 양을 투여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셀룰로오스 현탁액에, 소듐히알루로네이트 및 폴리글루탐산을 혼합하여 복합 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현탁액을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복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셀룰로오스, 히알루론산 및 폴리글루탐산의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현탁액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현탁액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0.1 내지 10 중량%, 0.1 내지 8 중량%, 0.1 내지 6 중량%, 0.1 내지 3 중량%, 0.5 내지 10 중량%, 0.5 내지 5 중량%, 1 내지 10 중량%, 1 내지 4 중량% 또는 2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셀룰로오스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셀룰로오스에 의한 네트워크가 충분히 형성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표면에 존재하는 다수의 작용기가 전기적 반발력을 일으키는 바, 현탁액의 점도를 향상시키거나 또는 수분 보유력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셀룰로오스의 네트워크화가 과도하게 발생하므로 조성물의 점도가 증가하는 바, 화장료 조성물 내 포함되는 다른 성분과의 균일한 혼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는 현탁액 고형분 총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현탁액 고형분은 현탁액 중 용매를 제외한 나머지 성분의 총합을 의미한다. 상기 셀룰로오스는 현탁액 고형분 총 중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50 내지 90 중량%, 50 내지 85 중량%, 50 내지 80 중량%, 50 내지 70 중량%, 60 내지 90 중량%, 60 내지 80 중량%, 70 내지 90 중량% 또는 65 내지 7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셀룰로오스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셀룰로오스의 네트워크 형성이 원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보습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셀룰로오스와 복합화된 물질, 예를 들어 소듐히알루로네이트, 폴리글루탐산과의 피부 개선 활성의 시너지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현탁액을 분산시키는 단계는 상기 현탁액을 100 내지 1,000 bar의 압력에서 고압 균질기로 처리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압 균질기 처리 압력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셀룰로오스, 히알루론산 및 폴리글루탐산이 충분히 분산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과도한 에너지 사용으로 인하여 제조 공정이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최종 수득된 셀룰로오스 복합물의 분자량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분산시키는 단계는, 셀룰로오스 현탁액의 분산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셀룰로오스, 히알루론산 및 폴리글루탐산 간에 그물망 구조의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바, 매트릭스 사이에 활성 성분이 고르게 분포하여 피부 보습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은 셀룰로오스, 소듐히알루로네이트 및 폴리글루탐산을 특정 혼합 비율로 포함함으로써, 끈적이는 사용감을 개선하고, 보습감이 증진되는 바 피부 상태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구체예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의 수분손실율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일 구체예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의 압력에 따른 점도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일 구체예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의 고압 균질기 처리 횟수에 따른 점도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일 구체예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의 그물망 형성 여부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일 구체예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의 분산성 여부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6은 일 구체예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에서 셀룰로오스 종류에 따른 히알루론산과의 복합 특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7a는 일 구체예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에서 화학적으로 개질되지 않은 무처리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untreated cellulose nanofibrils, UCNF)의 함량에 따른 점도 특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7b는 일 구체예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에서 카르복시메틸화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Carboxymethylated cellulose nanofibrils, CMCNF)의 함량에 따른 점도 특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7c는 일 구체예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에서 TEMPO 촉매 산화 처리된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TEMPO-oxidized cellulose nanofibril, TOCN)의 함량에 따른 점도 특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7d는 일 구체예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에서 양이온성 셀룰로오스인 4차 암모늄을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quaternary ammonium cellulose nano fibrils, QCNF)의 함량에 따른 점도 특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7e는 일 구체예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에서 셀룰로오스 나노크리스탈(Cellulose nanocrystals, CNC)의 함량에 따른 점도 특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8은 일 구체예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에서 셀룰로오스의 종류에 따른 수분 보유력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9a는 일 구체예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이 AQP3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9b는 일 구체예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이 HAS3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10는 일 구체예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의 사용감 개선 효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9. 셀룰로오스 복합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을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복합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1 중량% 농도의 셀룰로오스(분말 상태의 TEMPO 촉매 산화 처리된 셀룰로오스) 현탁액 400 g에 소듐히알루로네이트 및 폴리글루탐산을 첨가하고, 증류수를 이용하여 현탁액 중 고형분의 농도가 1%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현탁액을 2,000 rpm으로 10분 동안 교반하여 분산시킨 후, 600 bar에서 고압 균질기를 처리하였다.
건조 중량, pph
셀룰로오스 소듐히알루로네이트 폴리글루탐산
실시예 1 100 5 5
실시예 2 100 10 0
실시예 3 100 0 10
실시예 4 100 10 10
실시예 5 100 20 0
실시예 6 100 0 20
실시예 7 100 20 20
실시예 8 100 40 0
실시예 9 100 0 40
[실험예]
실험예 1. 수분 손실율 평가
일 양상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의 수분 손실율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9의 셀룰로오스 복합물을 23℃, 50% 항온 항습 조건에서 보관하였다. 이후, 시간에 따른 무게 변화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수분 손실율을 계산하였다.
여기서, W0는 초기 질량을, Wt는 이의 시간 후 질량을 의미한다.
도 1은 일 구체예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의 수분손실율을 확인한 결과이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9는 셀룰로오스, 소듐히알루로네이트 또는 폴리글루탐산 각각과 비교하여 수분 손실률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소듐히알루로네이트 및 폴리글루탐산을 각각 20 pph로 포함하는 실시예 7에서 수분 손실률이 가장 낮은 수분 손실률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일 양상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은 셀룰로오스, 소듐히알루로네이트 및 폴리글루탐산을 모두 포함함으로써 수분 손실률이 낮출 수 있는 바, 피부 장벽 기능을 개선 또는 강화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험예 2. 분산 및 점도 특성 확인
일 양상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이 고압 균질기 처리에 의하여 분산 및 점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고압균질기 처리 시의 압력 및 처리 횟수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의 저전단 점도 및 회전 점도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4 및 7의 셀룰로오스 복합물을 브룩필드 점도계를 이용하여 64번 spindle로 60 rpm 조건에서 2분간 전단을 준 뒤, 저전단 점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Cone-plate 타입의 Bohlin 점도계를 이용하여 0.1~1,000 (1/s) 범위의 전단 속도에 따른 점도와 0.1~200 Pa의 전단 세기에 따른 점탄성 특성을 측정하여 회전 점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고압 균질기의 압력을 300 bar(Low), 600 bar(Medium) 및 900 bar(High)로 조절하여 1회 처리하여 실시예 4 및 7의 점도 변화를 측정하고, 실시예 7을 600 bar 조건에서 고압 균질기에 0~4회 통과시킨 후, 점도를 측정하였다.
도 2a 내지 도 2c는 일 구체예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의 압력에 따른 점도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일 구체예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의 고압 균질기 처리 횟수에 따른 점도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그 결과,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4 및 실시예 7은 고압 균질기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고압 균질기 처리 시 점도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고압 균질기의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점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2b 및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4 및 실시예 7은 고압 균질기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고압 균질기 처리 시 전단에 따른 점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모든 압력 조건에서 전단 박하(shear thinning) 현상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고압 균질기의 압력 증가에 따른 점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7은 고압 균질기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고압 균질기를 처리함으로써 저전단 점도가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고압 균질기의 처리 횟수에 따른 저전단 점도의 크기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7은 고압 균질기의 전단 세기가 증가함에 따라 점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동일한 전단 조건에서는 고압 균질기의 처리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점도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7은 고압 균질기 1회 처리에 의하여 저장 탄성 계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고압 균질기의 반복 처리에 의한 감소폭은 크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고압 균질기 처리에 의하여 셀룰로오스 복합물의 분산성은 향상되었으나, 전단 세기가 높거나 또는 과도하게 반복 처리할 경우, 셀룰로오스 복합물의 분자량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셀룰로오스 복합물 간의 네트워크 강성을 약하게 하므로 점도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점도 차이는 고압 균질기 처리 조건 보다는 고압 균질기의 처리 유무에 따른 영향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그물망 형성 및 분산성 여부 확인
일 양상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의 그물망 형성 및 분산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7의 셀룰로오스 복합물을 액체 질소로 급속 동결한 후, 얼음을 승화시켜 수분을 제거하였다. 이후,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상기 복합물의 그물망 형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7의 셀룰로오스를 Rhodamine B로 염색한 뒤,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산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셀룰로오스, 소듐히알루로네이트 및 폴리글루탐산 단일 물질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분산성 여부 확인 시 소듐히알루로네이트 및 폴리글루탐산을 각각 Nile blue, 및 Acridine orange로 염색하였다.
도 4는 일 구체예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의 그물망 형성 여부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일 구체예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의 분산성 여부를 확인한 결과이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셀룰로오스, 소듐히알루로네이트 또는 폴리글루탐산은 분산 시, 균일하지 못한 그물망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실시예 7은 단일 원료와 비교하여 더욱 촘촘하고 균일한 그물망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도 5에서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셀룰로오스, 소듐히알루로네이트 및 폴리글루탐산 각각의 단일 물질과 비교하여 셀룰로오스, 소듐히알루로네이트 및 폴리글루탐산을 모두 포함하는 복합물의 분산성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따라서, 일 양상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은 셀룰로오스, 소듐히알루로네이트 및 폴리글루탐산을 포함함으로써 촘촘한 그물망과 같은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바, 매트릭스 사이에 활성 성분이 고르게 분포할 수 있으므로 피부 보습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실험예 4. 셀룰로오스의 종류에 따른 소듐히알루로네이트와의 복합화 특성 확인
일 양상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에서, 셀룰로오스의 종류에 따른 소듐히알루로네이트와의 복합 특성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소듐히알루로네이트 (분자량 1.5 Mda, 84.5% 고체함량)과 5가지 종류의 나노셀룰로오스(UCNF, CMCNF, TOCN, QCNF, CNC)를 각각 3:1, 1:1 및 1: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현탁액의 농도가 1%가 되도록 하였다. 이후, 2,000 rpm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여 셀룰로오스 복합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제조된 셀룰로오스 복합물을 15 ㎖ 바이알(vial) 또는 투명 페트리디쉬에 담은 뒤, 1일 동안의 경시 변화에 따른 응집 여부를 확인하였다.
도 6은 일 구체예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에서 셀룰로오스 종류에 따른 소듐히알루로네이트와의 복합 특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적으로 개질되지 않은 무처리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untreated cellulose nanofibrils, UCNF)의 경우, 섬유의 나노화 수준이 크지 못하므로, 소듐히알루로네이트와의 중량비에 관계 없이 불투명한 제형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음이온성이 높은 카르복시메틸화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Carboxymethylated cellulose nanofibrils, CMCNF), 및 TEMPO 촉매 산화 처리된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TEMPO-oxidized cellulose nanofibrils, TOCN) 의 경우, 소듐히알루로네이트와 적절하게 혼화되어 비교적 반투명한 제형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양이온성 셀룰론오스인 4차 암모늄을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quaternary ammonium cellulose nanofibrils, QCNF)은 소듐히알루로네이트와 응집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셀룰로오스 나노크리스탈(Cellulose nanocrystals, CNC)의 경우, 소듐히알루로네이트와 적절하게 혼화되었으나, 나노 수준으로 충분히 분산되지 못하여 불투명한 제형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나노셀룰로오스와 히알루론산을 적절하게 혼합하기 위해서는 나노셀룰로오스는 음이온성을 가져야 한다. 또한, 나노 수준의 섬유를 갖는 투명한 제형으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나노셀룰로오스의 음이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표면을 개질시켜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일 구체예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은 표면이 개질된 셀룰로오스를 포함함으로써 소듐히알루로네이트와 복합화 특성이 증가할 수 있다.
실험예 5. 셀룰로오스의 종류 및 함량에 따른 점도 특성 확인
일 양상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에서, 셀룰로오스의 종류 및 함량에 따른 저전단 점도 및 회전 점도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4와 동일한 종류 및 함량으로 셀룰로오스 복합물을 제조한 후,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저전단 점도 및 회전 점도를 측정하였다.
도 7a는 일 구체예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에서 화학적으로 개질되지 않은 무처리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untreated cellulose nanofibril, UCNF)의 함량에 따른 점도 특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7b는 일 구체예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에서 카르복시메틸화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Carboxymethylated cellulose nanofibrils, CMCNF)의 함량에 따른 점도 특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7c는 일 구체예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에서 TEMPO 촉매 산화 처리된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TEMPO-oxidized cellulose nanofibrils, TOCN)의 함량에 따른 점도 특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7d는 일 구체예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에서 양이온성 셀룰론오스인 4차 암모늄을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quaternary ammonium cellulose nanofibrils, QCNF)의 함량에 따른 점도 특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7e는 일 구체예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에서 셀룰로오스 나노크리스탈(Cellulose nanocrystals, CNC)의 함량에 따른 점도 특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그 결과, 도 7a 및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UCNF 및 TOCN은 셀룰로오스의 혼합비가 증가함에 따라 저전단 점도가 감소하였으나, 특정 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저장탄성 계수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CMCNF는 특정 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점도 및 저장 탄성계수가 모두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QCNF는 셀룰로오스의 혼합비가 증가함에 따라 저전단 점도가 감소하였으나, 저장탄성계수는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응집체에 의하여 오차가 발생하는 바, 정확한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반면, 도 7e에 나타낸 바와 같이, CNC는 저전단 점도에 영향을 거의 끼치지 못하였으며, 소듐히알루로네이트를 희석한 정도의 점도를 갖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험예 6. 셀룰로오스의 종류에 따른 수분 보유력 확인
일 양상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에서, 셀룰로오스의 함량에 따른 수분 보유력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4와 동일한 종류의 소듐히알루로네이트 및 셀룰로오스를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하여 셀룰로오스 복합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Halogen moisture analyzer (A&D Co. Ltd., Japan)를 이용하여 상기 복합물이 완전히 건조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도 7은 일 구체예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에서 셀룰로오스의 종류에 따른 수분 보유력을 측정한 결과이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QCNF를 제외한 모든 셀룰로오스 복합물에서 소듐히알루로네이트 단독과 비교하여 완전 건조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더 긴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UCNF, CMCNF, TOCN, 또는 CNC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복합물은 소듐히알루로네이트와 비교하여 수분 보유력이 우수한 바, 피부 보습 개선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실험예 7. 피부 보습 효과 확인
일 양상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의 소듐히알루로네이트 합성 및 피부 세포의 수분 흡수 증가를 통한 피부 보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각질형성세포(human keratinocyte)인 HaCaT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5x105의 밀도로 접종한 후,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하기 표 2의 구성 및 함량으로 제조된 실시예 8 및 비교예 1~3(함량: 중량%)을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한 후, 세포를 회수하여 트리졸 (RNA iso, DAKARA, 일본) 1 ㎖을 첨가하여 RNA를 분리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레티논산(Retionic acid)를 사용하였다. Nanodrop 2000 (Thermo, USA)를 이용해 RNA를 정량한 후, 42 ℃에서 55 min, 70 ℃에서 15 min 동안 반응시켜 cDNA를 합성하였다 (Reverse Transcriptase Mix, ELPIS biotech, 한국). RT-PCR은 PCR 기계 (Step One Plus, Applied Biosystems, 미국)를 이용하였고 사이버그린 (SYBRGreen supermix, Applied Biosystems, 미국)을 히알루론산합성효소3(hyaluronic acid synthase3, HAS3) 및 아쿠아포린3(AQP3) cDNA와 함께 첨가한 뒤, 각각의 프라이머 서열을 이용하여 PCR을 수행(94℃ 5분, 95℃ 30초, 54℃ 1분, 72℃ 1분간 40 사이클)하였다.
  실시예 8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탈이온수 99.0 99.8 99.8 99.4
소듐히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0.2 0.2 -  
폴리글루탐산(Poly-γ-glutamic acid) 0.2 - 0.2  
셀룰로오스(TOCNF) 0.6 - - 0.6
Total 100 100 100 100
도 8a는 일 구체예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이 AQP3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8b는 일 구체예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이 HAS3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결과이다.
그 결과,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8은 비교예 1~3과 비교하여 AQP 및 HAS3의 발현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일 구체예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은 셀룰로오스, 소듐히알루로네이트 및 폴리글루탐산을 모두 포함함으로써 각각의 성분과 비교하여 피부 보습 개선의 시너지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실험예 8. 사용감 개선 확인
일 양상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의 사용감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가로 2㎝ x 세로 2㎝ 크기의 정사각형을 손등 위에 표시하고, 하기 표 3의 성분 및 함량을 포함하는 에센스(함량: 중량%) 10 ㎕를 도포하여 흡수시켰다. 이후, 도포 부위에 가로 0.5 ㎝ x 세로 0.5 ㎝ 크기로 자른 색종이를 일정한 양으로 올려놓고, 반대쪽 손을 이용하여 동일한 압력으로 1회 눌러주었다. 시료가 도포된 손을 뒤집고 주먹을 쥔 반대쪽 손으로 시료가 도포된 손의 손바닥을 일정한 세기로 3회 반복하여 힘을 가하였다. 이후, 시료가 도포된 손등 위에 남겨진 종이의 개수를 세어 끈적임 여부를 확인하였다.
원료명 제형예 1 제형예 2 비교 제형예 1 비교 제형예 2 비교 제형예 3
정제수1 89.370 89.370 87.370 87.370 89.370
카보머 0.3 0.3 0.3 0.3 0.3
EDTA-2Na 0.030 0.030 0.030 0.030 0.030
Glycerin 3.0 - 3.0 3.0
1,3-Butylene glycol 5.0 - 5.0 5.0
Sodium Hyaluronate (1%) - - - - -
나노셀룰로오스(2%) - 5.0- 5.0 -
셀룰로오스 복합물 5.0 5.0 - -
Hydrolite 6 O 2.000 2.000 2.000 2.000 2.000
Tris amino ultra PC 0.3 0.3 0.3 0.3 0.3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도 9는 일 구체예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의 사용감 개선 효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그 결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형예 1~2는 비교 제형예 1~2와 비교하여 손등 위에 남겨진 종이의 개수가 현저히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일 구체예에 따른 셀룰로오스 복합물은 끈적이는 사용감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7)

  1. 셀룰로오스(cellulose), 소듐히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및 폴리글루탐산(polyglutam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소듐히알루로네이트는 셀룰로오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며,
    상기 폴리글루탐산은 셀룰로오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고,
    상기 셀룰로오스는 TEMPO 촉매 산화 처리된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TEMPO-oxidized cellulose nanofibrils, TOCN)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는 표면 개질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소듐히알루로네이트 및 폴리글루탐산은 그물망의 매트릭스 구조를 형성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셀룰로오스(cellulose), 소듐히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및 폴리글루탐산(polyglutam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상기 소듐히알루로네이트는 셀룰로오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며,
    상기 폴리글루탐산은 셀룰로오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고,
    상기 셀룰로오스는 TEMPO 촉매 산화 처리된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TEMPO-oxidized cellulose nanofibrils, TOCN)인 것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
  5. 셀룰로오스(cellulose), 소듐히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및 폴리글루탐산(polyglutam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소듐히알루로네이트는 셀룰로오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며,
    상기 폴리글루탐산은 셀룰로오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고,
    상기 셀룰로오스는 TEMPO 촉매 산화 처리된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TEMPO-oxidized cellulose nanofibrils, TOCN)인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6. 셀룰로오스(cellulose) 현탁액에 소듐히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및 폴리글루탐산(polyglutamic acid)을 혼합하여 복합 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현탁액을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복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소듐히알루로네이트는 셀룰로오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며,
    상기 폴리글루탐산은 셀룰로오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고,
    상기 셀룰로오스는 TEMPO 촉매 산화 처리된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TEMPO-oxidized cellulose nanofibrils, TOCN)인 것인,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현탁액을 분산시키는 단계는 상기 현탁액을 100 내지 1,000bar의 압력에서 고압균질기로 처리하는 것인, 방법.
KR1020230100605A 2022-09-29 2023-08-01 셀룰로오스 복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2400459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0605A KR20240045996A (ko) 2022-09-29 2023-08-01 셀룰로오스 복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647 2022-09-29
KR1020230100605A KR20240045996A (ko) 2022-09-29 2023-08-01 셀룰로오스 복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4647 Division 2022-09-29 2022-09-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5996A true KR20240045996A (ko) 2024-04-08

Family

ID=90715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0605A KR20240045996A (ko) 2022-09-29 2023-08-01 셀룰로오스 복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599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09296B (zh) 一种保湿精华水及其制备方法
AU2018315055B2 (en) Use of polyphenol containing sugar cane extracts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a skin condition
US10675313B2 (en) HAS2-stimulating plant extracts
US20080226740A1 (en) Marine algal extracts comprising marine algal polysaccharides of low degree polymerizaton, and the preparation processes and uses thereof
KR102015857B1 (ko) 가교 히알루론산과 프리바이오틱스를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Fernandes et al. The role of bacterial cellulose loaded with plant phenolics in prevention of UV-induced skin damage
KR102413205B1 (ko) 자소엽, 유칼립투스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 피부진정, 항염, 세포재생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95397B1 (ko) 당 확산 추출공법으로 추출한 생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장벽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142977B1 (ko) 백련오행차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하는 화장료
KR20220111000A (ko) 병풀, 어성초, 산삼, 녹차, 커피, 감나무잎, 카카오, 포도로 구성된 식물 복합체의 에멀젼 추출물을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5025129A (zh) 含乳酸杆菌的组合物及其预防及/或改善皮肤老化的用途
KR20240045996A (ko) 셀룰로오스 복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93575B1 (ko) 테트라데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피부보습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102371360B1 (ko)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 원적외선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4856A (ko) 비타민 c 유도체를 고정화한 폴리감마 글루탐산계 진피 충전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21581B1 (ko) 히알루론산 및 콜라겐이 결합하여 형성된 하이브리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44725A (ko) 항노화제, 항산화제, 항염증제 및 미백제, 그리고 화장료
KR102586125B1 (ko) 복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및 피부 항노화 조성물
KR102488136B1 (ko) 살구 추출물 및 수용성 콜라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166686A (zh) 一种玻尿酸爽肤水
KR102466455B1 (ko) 선인장오일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416653B1 (ko)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69532B1 (ko) 스타필로코커스 속, 스트렙토코커스 속, 쿠티박테리움 속, 인하이드로박터 균주 및 dna 단편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34451B1 (ko) 코리네박테리움 아페르멘탄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CN114376932B (zh) 一种用于改善γ-氨基丁酸刺激性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