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5658A -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 - Google Patents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5658A
KR20240045658A KR1020220125247A KR20220125247A KR20240045658A KR 20240045658 A KR20240045658 A KR 20240045658A KR 1020220125247 A KR1020220125247 A KR 1020220125247A KR 20220125247 A KR20220125247 A KR 20220125247A KR 20240045658 A KR20240045658 A KR 20240045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eficial
disposable
application
beneficial substance
application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5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배남
박천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220125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5658A/ko
Publication of KR20240045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565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36Surgical swabs, e.g. for absorbency or packing body cavities during surg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 B65D81/3266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separated by a common rupturable seal, a clip or other removable fasten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544Plasters form or structure
    • A61F2013/00646Medication patches, e.g. transcutaneo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실시예들은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익 물질과 적용 매개체를 분리하여 장기간 보관할 수 있고, 그 적용 시에는 편리하게 혼합하여, 위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의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는, 유익 물질, 유익 물질을 흡수하여 목표 위치에 적용하기 용이하게 하는 적용 매개체, 적용 매개체와 유익 물질을 분리하는 분리막 및 적용 매개체를 고정하는 강성 있는 재질의 베이스를 포함하고, 분리막은 외력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파손되어 유익 물질이 적용 매개체로 스며들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DISPOSABLE BENEFICIAL SUBSTANCE APPLICATOR}
실시예들은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익 물질과 적용 매개체를 분리하여 장기간 보관할 수 있고, 그 적용 시에는 편리하게 혼합하여, 위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상이나 찰과상 등을 입은 상처를 소독하려면 소독약은 물론이고 이 소독약을 묻힐 수 있는 소독된 탈지면과 핀셋 등의 위생기구가 필요하다. 가정이나 야외 등지에서는 이와 같은 소독약과 위생기구를 제대로 갖추기가 힘들다.
심지어 이런 위생기구를 자주 사용하는 병원에서도, 소독약을 대형 용기에 보관하며, 필요할 때마다 핀셋으로 탈지면을 집고, 소독약을 묻혀서 환부에 적용해야 하므로, 그 준비에 시간이 걸리고, 2차 감염의 문제에서도 자유롭지 못하다. 미리 소독약을 묻힌 탈지면을 대량으로 준비할 수도 있지만, 소독약의 성분과 탈지면의 성분이 서로 영향을 미쳐 재료를 변질시킬 위험이 있어, 장기 보관에는 한계가 있다.
실시예들은 유익 물질과 적용 매개체를 분리하여 보관하고, 그 사용 시에는 손쉽게 혼합할 수 있어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고 적용이 용이한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들은 파지가 용이하여, 인체 등의 목표 위치에 유익 물질을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어느 실시예의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는, 외기와의 접촉이 차단된 유익 물질, 유익 물질을 흡수하여 목표 위치에 적용하기 용이하게 하는 적용 매개체, 적용 매개체와 유익 물질을 분리하는 분리막 및 적용 매개체를 고정하는 강성 있는 재질의 베이스를 포함하고, 분리막은 외력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파손되어 유익 물질이 적용 매개체로 스며들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어느 실시예의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는, 베이스는 적용 매개체가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의 타측으로 길게 연장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어느 실시예의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는, 유익 물질의 상단에는 외기 접촉을 차단하기 위한 돔형의 상단 커버가 형성되고, 베이스는 판 형상으로, 적용 매개체는 베이스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되고, 분리막은 적용 매개체의 상단에 위치하는 돔형의 금속 호일이며, 베이스와 적용 매개체, 분리막, 유익 물질, 상단 커버 순서의 적층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어느 실시예의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는, 상단 커버의 상면의 중심부에는 내측으로 돌출하여, 외력에 의해 분리막을 용이하게 파손하기 위한 바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어느 실시예의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는, 상단 커버와 분리막은 각각 파지부까지 연장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어느 실시예의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는, 베이스의 하단에 부착되는 차단막을 추가로 포함하고, 베이스는 중앙부 일부가 삭제된 고정구를 포함하고, 적용 매개체는 고정구에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고정되며, 차단막에 의해 하단 방향으로 적용 매개체의 기밀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어느 실시예의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는, 베이스는, 고정부와 파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고정부와 연결부의 주변 영역인 잉여 영역을 포함하고, 잉여 영역은 고정부 및 연결부와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어느 실시예의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는, 잉여 영역은 고정부 및 연결부와 분리되며 상단 방향으로 파지부를 향해 절곡되며, 잉여 영역의 절곡이 용이하도록 잉여 영역 중 연결부와 파지부의 경계에는 취약부가 형성되고, 잉여 영역과 고정부 및 연결부와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잉여 영역과 고정부 및 연결부의 경계는 적어도 일부가 미리 파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어느 실시예의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는, 잉여 영역이 고정부 및 연결부와 분리되며 파지부를 향해 절곡되면, 그 하단에 부착된 차단막도 각 영역의 윤곽대로 파단되어 함께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어느 실시예의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는, 차단막은 각 영역의 윤곽대로의 파단이 용이하도록 차단막의 잉여 영역과 고정부 및 연결부의 경계에 형성되는 파단 취약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어느 실시예의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는, 고정구는 적용 매개체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톱니 형상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어느 실시예의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는, 분리막은 캡슐 형태로 유익 물질을 포장하는 기밀 포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어느 실시예의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는, 유익 물질은 다수이며, 각 유익 물질은 다수의 분리막에 의해 서로 분리되며, 외력에 의해 다수의 분리막이 파손되어 다수의 유익 물질이 서로 혼합되어 적용 매개체로 스며들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어느 실시예의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는, 유익 물질은 액체 또는 겔(gel) 또는 분말 상태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어느 실시예의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는, 적용 매개체는 위생 재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어느 실시예의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는, 유익 물질은 액체 상태의 소독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어느 실시예의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는, 유익 물질은 포비돈 요오드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어느 실시예의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는, 적용 매개체는 탈지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분리막에 의해 분리되는 유익 물질과 적용 매개체를 기밀한 포장 내에서 외력으로 손쉽게 혼합할 수 있어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면서도, 그 적용이 용이하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고정부의 타측으로 연장하는 파지부를 구비하고 있어, 위생적으로, 또한 편리하게 목표 위치에 정확히 유익 물질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적용 매개체가 고정된 고정부 외의 잉여 영역을 손쉽게 제거하거나 절곡할 수 있어, 유익 물질의 적용 시 시야가 확보되고 더욱 정확한 위치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하단의 차단막의 구성으로 적용 매개체에 스며든 유익 물질이 하단으로 유출되지 않아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1)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1)를 나타낸 분해조립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베이스(300)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사용자에 의해 절곡된 상태의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1)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1)를 상단과 하단을 바꿔 나타낸 분해조립도,
도 6은 사용자에 의해 절곡된 상태의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1)의 차단막(600)의 변형 모습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단 커버(500) 중 특히 돔부(510)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1)의 제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개념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1)의 측단면도이다. 도 1의 (a)는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1)의 최초 실시 상태, 도 1의 (b)는 그 사용을 위해 변형을 가한 형태이다.
일 실시예의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1)는, 외기와의 접촉이 차단된 유익 물질(100), 유익 물질(100)을 흡수하여 목표 위치에 적용하기 용이하게 하는 적용 매개체(200), 적용 매개체(200)와 유익 물질(100)을 분리하는 분리막(400), 적용 매개체(200)를 고정하는 강성 있는 재질의 베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익 물질(100)은 외부 누출을 막고 장기간의 보관을 위하여 외기와의 접촉이 차단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유익 물질(100)은 돔 형상의 상단 커버(500)와 분리막(400) 사이에 포함되어, 외기와의 접촉이 차단된다.
유익 물질(100)은 유익한 효과를 발휘하는 물질로서, 특히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발휘하는 물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물 또는 화장품 또는 식품일 수 있다. 또한 유익 물질(100)의 상태는 액체 또는 겔(gel) 또는 분말 상태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유익 물질(100)은 포비돈 요오드액과 같은 액체 상태의 소독제일 수 있다.
적용 매개체(200)는, 유익 물질(100)을 흡수하여 인체에 도포하는 등의 유익 물질(100)의 적용을 돕는 매개체이다. 적용 매개체(200)는 인체 안전성을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거즈나 코튼롤, 탈지면, 코튼 펠렛, 소독솜, 화장솜과 같은 위생 재료일 수 있다. 특히 적용 매개체(200)는 탈지면일 수 있다. 적용 매개체(200)로는 유익 물질(100)이 스며들거나 흡수되어 담지될 수 있다.
베이스(300)는 바람직하게는 판 형상으로, 적용 매개체(200)를 고정하는 역할이다. 특히 베이스(300)는 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며, 이 경우 사용자는 베이스(300)의 일측을 잡고 유익 물질(100)을 목표 위치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유익 물질(100) 내지 적용 매개체(200)와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유익 물질(100)을 목표 위치에 적용할 수 있어, 위생적이고, 그 적용이 편리해진다.
적용 매개체(200)는 예를 들어, 종래 기술에서도 찾을 수 있는 고정 방식으로 베이스(300)에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300)는 집게와 같은 탄성을 이용하는 고정 요소, 억지 끼움방식을 이용하는 고정 요소, 다수의 첨예부가 적용 매개체(200)에 침투하여 고정하는 방식의 고정 요소 등을 포함하여 적용 매개체(200)를 고정할 수 있다. 적용 매개체는 분리막(400)과 유익 물질(100)을 향해, 즉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베이스(30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리막(400)은 유익 물질(100)과 적용 매개체(200)를 분리할 수 있는 요소이며, 외력에 의해 파손되어 유익 물질(100)이 적용 매개체(200)로 스며들 수 있다. 따라서 분리막(400)은 외력에 의해 적어도 그 일측이 비교적 손쉽게 파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1)의 사용자는 그 사용이 필요 시에, 분리막(400)을 외력으로 파손하여, 유익 물질(100)이 적용 매개체(200)로 흡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베이스(300)의 일측을 잡고 유익 물질(100)을 담지한 적용 매개체(200)를 목표 위치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그 사용 전에는 유익 물질(100)과 적용 매개체(200)가 분리되어 서로 간의 물리적, 화학적 영향을 주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장기간 보관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분리막(400)은 금속 호일(foil)이다. 금속 호일은 반응성이 적고, 기밀하게 유익 물질(100)을 분리할 수 있으며, 외력이 작용할 경우, 쉽게 찢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의 (a)와 같이,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1)는 상기의 요소들이 소정의 순서로 적층되는 적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하단에 적용 매개체(200)를 고정하고 있는 베이스(300)가 위치하고, 그 상측으로, 특히 적용 매개체(200)를 덮도록 돔형으로 분리막(400)이 위치할 수 있다. 분리막(400)의 상단으로 유익 물질(100)이 위치할 수 있으며, 그 상단으로 돔형의 상단 커버(500)가 위치하여 유익 물질(100)을 기밀하게 포장한다.
도 1의 (a)와 같은 적층 구조에 있어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상단 커버(500)를 아래로 누르는 외력을 작용하여, 분리막(400)을 파손하고, 유익 물질(100)이 적용 매개체(200)로 흡수되거나 스며들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단 커버(500)는 외력에 의해 변형이 될 수 있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유익 물질(100)의 적용 매개체(200)로의 흡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투명한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단 커버(500)는 연질의 투명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적용 매개체(200)는 베이스(30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되므로, 도 1의 (a)와 같은 적층 구조에 있어서, 분리막(400)은 적용 매개체(200)의 상단에서 돔형이다. 또한 상단 커버(500)는 내측에 유익 물질(100)을 포함하므로, 역시 유익 물질(100)의 상단에서 돔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리막(400)과 상단 커버(500)는 상기 돔형이 아닌 타측에서 판 형의 베이스(300)에 접착되며 결합할 수 있다.
외력에 의해 분리막(400)이 파손되면 유익 물질(100)이 적용 매개체(200)로 흡수될 수 있다. 이 때 분리막(400)의 파손에도 불구하고 상단 커버(500)가 상단 방향으로의 기밀성을 유지하므로, 여전히 유익 물질(100)은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며, 사용자는 외력을 가하는 과정에서 유익 물질(100)과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다.
이 후, 도 1의 (b)와 같이 분리막(400)과 상단 커버(500)의 돔형 부위를 적용 매개체(200)로부터 벗겨내는 것으로, 유익 물질(100)을 담지한 적용 매개체(200)가 완전히 노출되며, 사용자는 베이스(300)의 타측을 잡고 목표로 하는 위치에 유익 물질(100)이 담지된 적용 매개체(200)를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1)를 나타낸 분해조립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구성요소들이 소정의 순서로 적층된 적층 구조를 갖는다. 최상단에는 상단 커버(500)가 형성되는데, 상단 커버(500)는 앞서 설명한대로, 돔부(510)와 그 타측으로 연장하는 연장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하단으로는 역시 돔부(410)와 그 타측으로 연장하는 연장부(420)를 포함하는 분리막(400)이 적층될 수 있다. 상단 커버(500)의 돔부(510)와 분리막(400)의 돔부(410) 사이의 공간에는 유익 물질(100)이 포함될 수 있다.
베이스(300)는 적용 매개체(200)가 고정되는 영역인 고정부(310)와, 고정부(310)의 타측으로 길게 연장하는 파지부(320)로 영역이 구분될 수 있다. 고정부(310)의 중심에 적용 매개체(200)가 고정될 수 있드며, 그 상단으로는 분리막(400)의 돔부(410)가 위치할 수 있다. 상단 커버(500)의 연장부(520)와 분리막(400)의 연장부(420)는 각각 파지부(320)까지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부(320)의 상단으로 각 연장부(520, 420)가 차례로 적층되어 접착될 수 있다. 반면, 고정부(310)의 상단으로는 적용 매개체(200)와 분리막의 돔부(410)와 유익 물질(100)과 상단 커버의 돔부(510)가 차례로 적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300)의 하단에는 차단막(600)이 부착될 수 있다. 차단막(600)은 하단 방향으로 적용 매개체(200)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베이스(300)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베이스(300)는 전술한 고정부(310)와 파지부(320)로 영역이 구분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고정부(310)와 파지부(320)를 연결하는 영역인 연결부(330)와, 고정부(310)와 연결부(330)의 주변 영역인 잉여 영역(340)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310)는 그 중앙부 일부가 삭제된 고정구(3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용 매개체(200)는 고정구(311)에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만 고정구(311)의 구성으로, 적용 매개체(200)의 하단 방향으로의 기밀이 해제되므로, 분리막(400)이 파손되어 유익 물질(100)이 흡수되는 과정에서 하단 방향으로 유익 물질(100)이 샐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차단막(600)을 베이스(300)의 하단에 부착하는 것으로, 고정구(311)의 구성에도 불구하고, 하단 방향으로의 기밀이 계속 유지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고정구(311)는 그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톱니 형상(3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정구(311)는 적용 매개체(20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베이스(300)의 잉여 영역(340)은 고정부(310)와 파지부(320)와 연결부(330)를 제외한 영역이며, 외력에 의해 베이스(3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영역이다. 잉여 영역(340)은 특히 고정부(310)와 연결부(330)의 주변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잉여 영역(340)이 외력에 의해 고정부(310)와 연결부(330)로부터 분리되면, 적용 매개체(200)의 목표 부위로의 적용에 있어 시야가 더욱 확보되어, 정확한 위치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잉여 영역(340)과, 고정부(310) 및 연결부(330)와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잉여 영역(340)과 고정부(310) 및 연결부(330)의 경계에는 적어도 일부가 미리 파단된 파단부(C)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잉여 영역(340)은 고정부(310) 및 연결부(330)와 분리되며 도 1의 (b)와 같이 상단 방향으로 파지부(320)를 향해 절곡된다. 베이스(300)로부터 분리된 잉여 영역(340)이 상단 방향으로 용이하게 절곡될 수 있도록, 잉여 영역(340) 중 연결부(330)와 파지부(320)의 경계에는 취약부(W)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용이하게, 상기 취약부(W)를 축으로 잉여 영역(340)을 절곡하여, 파지부(320)와 포개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사용자에 의해 변형된, 즉 분리막(400)의 적어도 일측이 파손되고, 잉여 영역(340)이 고정부(310) 및 연결부(330)와 분리되며 절곡된 상태의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1)를 도시한 사시도(도 4의 (a))와 측면도(도 4의 (b))이다. 분리막(400)이 사용자가 가한 외력에 의해 파손되면, 그 상단에 위치한 유익 물질(100)이 그 하단에 위치한 적용 매개체(200)로 스며들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베이스(300)의 잉여 영역(340)을 잡고 취약부(W)를 축으로 상단 방향으로 절곡하여, 잉여 영역(340)을 고정부(310) 및 연결부(330)로부터 분리함과 동시에, 분리막(400)과 상단 커버(500)의 돔형 부위를 적용 매개체(200)로부터 벗겨낼 수 있다. 이로써 유익 물질(100)을 담지한 적용 매개체(200)가 완전히 노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베이스(300)와 분리막(400)의 적층 구조에 있어서, 분리막(400)과 베이스(300)의 접합 부위는 고정부(310) 및 연결부(330)를 제외한, 잉여 영역(340)과 파지부(32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2와 동일한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1)를 상단과 하단을 바꿔 나타낸 분해조립도이다. 전술한 대로, 차단막(600)이, 특히 고정구(311)를 통한 유익 물질(100)의 누출을 막기 위하여 베이스(300)의 하단에 부착될 수 있다. 이 때, 도 4에서 설명한 베이스(300)의 변형에 있어서, 차단막(600) 역시 각 영역의 윤곽대로 파단되어 함께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차단막(600)이 전체 영역에 걸쳐 베이스(300)에 접합된 경우, 각 영역의 윤곽대로의 파단이 용이하도록 차단막(600) 중 잉여 영역(340)과 고정부(310) 및 연결부(330)의 경계에 파단 취약선(P)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단 취약선(P)은 해당 윤곽대로 미리 프레싱하여, 두께를 줄여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사용자에 의해 변형된,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1)의 차단막(600)의 변형 모습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도 6의 (a))와 측면도(도 6의 (b))이다. 전술한 대로 베이스(300)의 각 영역의 분리와 마찬가지로, 차단막(600)의 각 대응되는 영역도 역시 동일하게 분리된다. 차단막(600)은 금속 호일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도 6과 같은 변형 이후에도, 차단막(600)은 하단 방향으로의 적용 매개체(200)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단 커버(500) 중 특히 돔부(510)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단 커버(500)의 상면의 중심부에는 내측으로 돌출하여, 외력에 의해 분리막(400)을 용이하게 파손하기 위한 바늘부(511)가 형성될 수 있다. 바늘부(511)를 충분히 첨예하게, 또한 분리막(400)보다 강성있게 형성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하단 방향으로 상단 커버(500)에 외력을 가할 시, 분리막(400)을 용이하게 파손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1)에 유익 물질(100)이 다수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이나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1)의 적층 구조에 있어서, 분리막(400)을 다층으로 구성하고, 각 층에 다수의 유익 물질(100)을 분리하여 적층할 수 있다. 이 때 외력으로 상기 다수의 분리막(400)을 모두 파손하여 다수의 유익 물질(100)이 서로 혼합되며, 적용 매개체(200)로 흡수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분리막(400)은 도 1이나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적층 구조가 아닌, 캡슐 형태로 유익 물질(100)을 포장하는 기밀 포장일 수 있다. 이 경우, 캡슐 형태로 포장된 유익 물질(100)이 추가적인 분리층 없이, 적용 매개체(20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상단 커버(500)를 통해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캡슐 형태의 분리막(400)이 파손되어, 유익 물질(100)이 적용 매개체(200)로 스며들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1)의 제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개념도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어느 실시예의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1)는 아래와 같은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상단 커버(500)를 가공하여, 특히 돔부(510)를 형성하고, 상기 돔부(510)에 유익 물질(100)을 주입한다. 다음으로, 분리막(400)과, 별개로 가공한 베이스(300)를 상단 커버(500)에 접합하고, 베이스(300)의 하면을 통하여 적용 매개체(200)를 고정구(311)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삽입하고, 잔여 부분을 커팅한다. 마지막으로, 차단막(600)을 베이스(300)의 하면에 접합하는 것으로,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1)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 100: 유익 물질
200: 적용 매개체 300: 베이스
400: 분리막 500: 상단 커버
600: 차단막

Claims (18)

  1. 외기와의 접촉이 차단된 유익 물질;
    유익 물질을 흡수하여 목표 위치에 적용하기 용이하게 하는 적용 매개체;
    적용 매개체와 유익 물질을 분리하는 분리막; 및
    적용 매개체를 고정하는 강성 있는 재질의 베이스;를 포함하고,
    분리막은 외력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파손되어 유익 물질이 적용 매개체로 스며들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
  2.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는 적용 매개체가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의 타측으로 길게 연장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
  3. 제2항에 있어서,
    유익 물질의 상단에는 외기 접촉을 차단하기 위한 돔형의 상단 커버가 형성되고,
    베이스는 판 형상으로, 적용 매개체는 베이스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되고,
    분리막은 적용 매개체의 상단에 위치하는 돔형의 금속 호일이며,
    베이스와 적용 매개체, 분리막, 유익 물질, 상단 커버 순서의 적층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단 커버의 상면의 중심부에는 내측으로 돌출하여, 외력에 의해 분리막을 용이하게 파손하기 위한 바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단 커버와 분리막은 각각 파지부까지 연장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
  6. 제3항에 있어서,
    베이스의 하단에 부착되는 차단막;을 추가로 포함하고,
    베이스는 중앙부 일부가 삭제된 고정구를 포함하고, 적용 매개체는 고정구에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고정되며, 차단막에 의해 하단 방향으로 적용 매개체의 기밀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
  7. 제6항에 있어서,
    베이스는,
    고정부와 파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고정부와 연결부의 주변 영역인 잉여 영역을 포함하고,
    잉여 영역은 고정부 및 연결부와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
  8. 제7항에 있어서,
    잉여 영역은 고정부 및 연결부와 분리되며 상단 방향으로 파지부를 향해 절곡되며,
    잉여 영역의 절곡이 용이하도록 잉여 영역 중 연결부와 파지부의 경계에는 취약부가 형성되고,
    잉여 영역과 고정부 및 연결부와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잉여 영역과 고정부 및 연결부의 경계는 적어도 일부가 미리 파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
  9. 제8항에 있어서,
    잉여 영역이 고정부 및 연결부와 분리되며 파지부를 향해 절곡되면, 그 하단에 부착된 차단막도 각 영역의 윤곽대로 파단되어 함께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
  10. 제9항에 있어서,
    차단막은 각 영역의 윤곽대로의 파단이 용이하도록 차단막의 잉여 영역과 고정부 및 연결부의 경계에 형성되는 파단 취약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
  11. 제6항에 있어서,
    고정구는 적용 매개체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톱니 형상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
  12. 제1항에 있어서,
    분리막은 캡슐 형태로 유익 물질을 포장하는 기밀 포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
  13. 제1항에 있어서,
    유익 물질은 다수이며, 각 유익 물질은 다수의 분리막에 의해 서로 분리되며, 외력에 의해 다수의 분리막이 파손되어 다수의 유익 물질이 서로 혼합되어 적용 매개체로 스며들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
  14. 제1항에 있어서,
    유익 물질은 액체 또는 겔(gel) 또는 분말 상태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
  15. 제1항에 있어서,
    적용 매개체는 위생 재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
  16. 제14항에 있어서,
    유익 물질은 액체 상태의 소독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
  17. 제16항에 있어서,
    유익 물질은 포비돈 요오드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
  18. 제15항에 있어서,
    적용 매개체는 탈지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
KR1020220125247A 2022-09-30 2022-09-30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 KR202400456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247A KR20240045658A (ko) 2022-09-30 2022-09-30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247A KR20240045658A (ko) 2022-09-30 2022-09-30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5658A true KR20240045658A (ko) 2024-04-08

Family

ID=90715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5247A KR20240045658A (ko) 2022-09-30 2022-09-30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565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6896B1 (ko) 외과용 프렙 용액 어플리케이터 시스템 및 방법
US4291697A (en) Cleaning and application device for medical purposes
JP5687170B2 (ja) マイクロニードルパッチ収納容器
RU2535767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нанесения жидкости
WO2013125443A1 (ja) 医療用具梱包体
JP2014513569A (ja) 医療機器清浄化システム
US7012170B1 (en) Puncture wound bandage
NZ525518A (en) Liquid applicator with diametrically opposed wings
JP5719005B2 (ja) マイクロニードルパッチ収納容器2
JP4230278B2 (ja) 包装体および流動物の付着方法
US20120022474A1 (en) Plaster with medication dispenser
KR100681276B1 (ko) 구급용 반창고
AU2015336915B2 (en) Blister strip
KR20240045658A (ko) 일회용 유익 물질 적용구
JP2001328666A (ja) 密閉容器
KR20140008875A (ko) 일회용 소독용구
US20140031768A1 (en) Liquid dispensing container
JP2014094135A (ja) 液剤塗布具
JP2004344389A (ja) 創傷保護剤の製造方法
JPH04842Y2 (ko)
KR200174530Y1 (ko) 소독용 약솜 포장대
KR102501178B1 (ko) 저장용기를 갖는 다목적 무접촉 도포기
JP3199436U (ja) 消毒液塗布器具
KR200250077Y1 (ko) 소독용 약솜 포장대
JP2000271150A (ja) 医療用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