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5609A - 위치보정형 와이어링 프로텍터 - Google Patents

위치보정형 와이어링 프로텍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5609A
KR20240045609A KR1020220125127A KR20220125127A KR20240045609A KR 20240045609 A KR20240045609 A KR 20240045609A KR 1020220125127 A KR1020220125127 A KR 1020220125127A KR 20220125127 A KR20220125127 A KR 20220125127A KR 20240045609 A KR20240045609 A KR 20240045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topping protrusion
wire harness
type wiring
mount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5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20125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5609A/ko
Publication of KR20240045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56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5Electric wiring; Electric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위치보정형 와이어링 프로텍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위치보정형 와이어링 프로텍터는: 와이어 하네스를 감싸거나 축 삽입하여 정렬 안내하는 바디, 및 차체에 고정된 채 바디를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구속하는 가변마운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위치보정형 와이어링 프로텍터{MOUNTING POSITION CORRECTABLE WIRING-PROTECTOR}
본 발명은 위치보정형 와이어링 프로텍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텍터의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드마운팅브라켓을 차체에 결속하고, 바디를 슬라이드마운팅브라켓에 대해 소정 위치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바디의 마운팅 위치를 작업자가 조절 가능하게 함에 따라 배선 궤적에 따른 프로텍터의 체결 어려움을 개선하고자 하는 위치보정형 와이어링 프로텍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에는 각종 센서를 비롯한 많은 전장 부품이 포함되어 있다. 엔진룸 내에 있는 대부분의 센서는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에 부착되어 있어서, 와이어 하네스가 각각의 위치에 도달하기까지는 각종의 밴드 케이블, 와이어 하네스 고정판 등의 서포트(support)부재를 사용하여 와이어 하네스를 정렬 고정한다.
또한, 와이어 하네스는 다른 부품들과의 접촉 등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프로텍터에 의해 보호된다. 프로텍터는 와이어 하네스의 주요 부위에 구비되어 외부 위험 요소들로부터 와이어 하네스를 보호하여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는 몸체와, 고정가이드부로 크게 구성된다.
여기서, 몸체는 볼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체결부가 구비된다. 또한, 몸체는 와이어 하네스를 삽입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가이드부는 몸체에 와이어 하네스를 삽입하여 밴드 케이블로 감아 고정할 수 있도록 몸체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돌출 형성된다. 몸체에 와이어 하네스를 삽입한 후 밴드 케이블로 고정가이드부와 와이어 하네스를 동시에 감아서 와이어 하네스를 몸체에 고정시킨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3657호(등록일: 2009.02.26., 고안의 명칭 :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가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는 체결부의 홀과 차체의 홀을 일치시킨 후 볼트를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차체에 고정되는데, 와이어 하네스의 배선 위치에 따라 체결부의 홀과 차체의 홀이 불일치할 경우, 볼팅 고정이 불가하거나 별도의 홀을 뚫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는, 기존의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는 배선 위치에 따라 차체의 체결 부위와 언매칭시 매칭을 위해 신규 개발해야 함에 따라 개발비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프로텍터의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드마운팅브라켓을 차체에 결속하고, 바디를 슬라이드마운팅브라켓에 대해 소정 위치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바디의 마운팅 위치를 작업자가 조절 가능하게 함에 따라 배선 궤적에 따른 프로텍터의 체결 어려움을 개선하고자 하는 위치보정형 와이어링 프로텍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보정형 와이어링 프로텍터는: 와이어 하네스를 감싸거나 축 삽입하여 정렬 안내하는 바디; 및 차체에 고정된 채, 상기 바디를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구속하는 가변마운팅부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배선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수용하기 위해 일측으로 개방되는 로어커버; 및 상기 로어커버의 개방측을 덮은 채 상기 로어커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보호하는 어퍼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가변마운팅부는, 상기 바디에 돌출 형성되는 스토핑돌기; 축 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개방된 채 상기 스토핑돌기의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싸고, 상기 차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속되며, 상기 스토핑돌기의 가로너비보다 큰 가로너비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바디를 축 방향으로 소정 이동 허용하는 슬라이드마운팅브라켓; 및 상기 슬라이드마운팅브라켓의 개방된 일측에 해당되는 가장자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스토핑돌기의 축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드마운팅브라켓과 상기 스토핑돌기의 분리를 방지하는 마운팅캡을 포함한다.
상기 가변마운팅부는, 상기 스토핑돌기의 세로너비 방향으로 일측면 또는 양측면의 하부에 함몰 형성되는 엣지홈부; 및 상기 엣지홈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슬라이드마운팅브라켓, 또는 상기 슬라이드마운팅브라켓과 상기 마운팅캡에 구비되어, 대응되는 상기 엣지홈부에 삽입되는 엣지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마운팅브라켓은, 상기 바디의 상면에 접하고, 상기 스토핑돌기를 감싸는 어퍼브라켓; 상기 어퍼브라켓에서 연장되고, 상기 바디의 일측면을 접하여 지지하는 사이드브라켓; 및 상기 사이드브라켓에서 연장되고, 상기 차체에 면접된 채 상기 차체와 직접적으로 결속되는 로어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는 타측면에 구비된 채 상기 차체에 직접적으로 결속되는 픽스브라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보정형 와이어링 프로텍터는 종래 기술과 달리 프로텍터의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드마운팅브라켓을 차체에 결속하고, 바디를 슬라이드마운팅브라켓에 대해 소정 위치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바디의 마운팅 위치를 작업자가 조절 가능하게 함에 따라 배선 궤적에 따른 프로텍터의 체결 어려움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보정형 와이어링 프로텍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보정형 와이어링 프로텍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보정형 와이어링 프로텍터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보정형 와이어링 프로텍터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치보정형 와이어링 프로텍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보정형 와이어링 프로텍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보정형 와이어링 프로텍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보정형 와이어링 프로텍터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보정형 와이어링 프로텍터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1의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보정형 와이어링 프로텍터(100)는 바디(200) 및 가변마운팅부(300)를 포함한다.
바디(200)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프로텍터(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그리고, 바디(200)는 와이어 하네스를 감싸거나 또는 와이어를 축 삽입하여 정렬 안내한다. 그래서, 바디(200)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특히, 바디(200)는 로어커버(210) 및 어퍼커버(220)를 포함한다.
로어커버(210)는 와이어 하네스의 배선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되고, 와이어 하네스를 수용하기 위해 일측으로 개방된다. 편의상, 로어커버(210)는 판재 형상인 것으로 도시한다. 물론, 로어커버(21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어퍼커버(220)는 로어커버(210)의 개방된 상측을 덮은 채, 로어커버(2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래서, 어퍼커버(220)는 와이어 하네스가 바디(20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와이어 하네스를 보호한다.
이때, 어퍼커버(220)는 내부가 빈 공간을 갖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축 방향을 따라 양측 및 로어커버(210)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어퍼커버(220)는 축 방향을 따라 하부 양측 가장자리 또는 하부 양측 단부가 다양한 방식으로 로어커버(2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어퍼커버(2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로어커버(210)와 어퍼커버(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차체(10)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한편, 가변마운팅부(300)는 차체(10)에 고정된 채, 바디(200)를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즉, 가변마운팅부(300)는 차체(10)에 위치 고정되고, 바디(200)를 설정 범위 내에서 위치 이동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가변마운팅부(300)는 스토핑돌기(310), 슬라이드마운팅브라켓(320), 마운팅캡(330), 엣지홈부(340) 및 엣지돌기(350)를 포함한다.
스토핑돌기(310)는 바디(200)에 돌출 형성된다. 특히, 스토핑돌기(310)는 어퍼커버(220)의 상측면에 돌출되는 것으로 한다. 아울러, 스토핑돌기(310)는 축 방향이 바디(200)의 축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더욱이, 스토핑돌기(310)는 축 방향이 바디(200)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슬라이드마운팅브라켓(320)은 축 방향을 따라 일측이 개방되어 스토핑돌기(310)를 축 삽입함으로써 스토핑돌기(310)의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즉, 슬라이드마운팅브라켓(320)은 어퍼커버(220)의 상측면에 접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며 스토핑돌기(310)를 축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슬라이드마운팅브라켓(320)은 차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속되어 위치 고정된다. 특히, 슬라이드마운팅브라켓(320)은 스토핑돌기(310)의 가로너비(b)보다 큰 가로너비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바디(200)를 축 방향으로 즉 세로너비(a) 방향으로 소정 이동 허용한다.
또한, 마운팅캡(330)은 슬라이드마운팅브라켓(320)의 개방된 일측에 해당되는 가장자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스토핑돌기(310)의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마운팅브라켓(320)과 스토핑돌기(310)의 분리를 방지한다.
상세히, 슬라이드마운팅브라켓(320)은 어퍼브라켓(322), 사이드브라켓(324) 및 로어브라켓(326)을 포함한다.
어퍼브라켓(322)은 바디(200) 특히 어퍼커버(220)의 상면에 접하고, 스토핑돌기(310)를 감싸서 바디(20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사이드브라켓(324)은 어퍼브라켓(322)에서 하향 연장되고, 바디(200)의 일측면을 접하여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로어브라켓(326)은 사이드브라켓(324)에서 연장되고, 차체(10)에 면접된 채 차체(10)와 직접적으로 결속된다. 즉, 체결부재(328)가 로어브라켓(326)과 차체(10)를 직접적으로 결속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마운팅브라켓(320)은 차체(10)에 위치 고정된다. 아울러, 바디(200)는 슬라이드마운팅브라켓(320) 특히 어퍼브라켓(322)에 대해 설정 거리만큼 축 방향으로 소정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어퍼브라켓(322)과 사이드브라켓(324) 및 로어브라켓(326)은 일체로 제작되거나 또는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마운팅캡(330)은 다양한 방식으로 슬라이드마운팅브라켓(320)의 어퍼브라켓(32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로서, 어퍼브라켓(322)은 축 방향으로 일측 일부가 마운팅캡(330)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때, 마운팅캡(330)은 어퍼브라켓(322)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허용하기 위해 절개부(335)를 형성한다.
그리고, 어퍼브라켓(322)은 일측 둘레면에 하나 이상의 후크돌기(327)를 형성한다. 후크돌기(327)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마운팅캡(330)은 후크돌기(327)를 일대일 수용하도록 후크홀(337)을 형성한다. 이때, 후크홀(337)은 홀 또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절개부(335)에 의해 마운팅캡(330)의 입구측이 탄성적으로 벌어짐으로써, 어퍼브라켓(322)과 후크돌기(327)가 마운팅캡(330)의 내부로 삽입된다. 그리고, 후크돌기(327)가 대응되는 후크홀(337)에 수용시, 마운팅캡(330)은 탄성 복원된다.
한편, 어퍼브라켓(322)이 스토핑돌기(310)의 높이 방향으로 스토핑돌기(3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엣지홈부(340)와 엣지돌기(350)가 구비된다.
엣지홈부(340)는 스토핑돌기(310)의 축 방향으로 일측면 또는 양측면의 하부에 함몰 형성된다. 엣지홈부(340)는 축 방향으로 스토핑돌기(310)의 양측면 하부에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엣지돌기(350)는 엣지홈부(340)에 대응되도록 슬라이드마운팅브라켓(320), 또는 슬라이드마운팅브라켓(320)과 마운팅캡(330)에 구비되어, 대응되는 엣지홈부(340)에 삽입된다. 엣지돌기(350)가 대응되는 엣지홈부(340)의 내측면에 걸림으로써, 어퍼브라켓(322)과 마운팅캡(330)은 임의적으로 스토핑돌기(310)에서 상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바디(200)는 차체(1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해 타측면에 픽스브라켓(230)을 구비한다. 다른 체결부재(328)가 픽스브라켓(230)과 차체(10)를 결속한다.
그래서, 바디(200)는 축 방향에 대해 일측이 슬라이드마운팅브라켓(320)과 체결부재(328)에 의해 차체(10)에 결속되고, 타측이 픽스브라켓(230)과 다른 체결부재(328)에 의해 차체(10)에 결속된다.
물론, 픽스브라켓(230)은 로어커버(210) 또는 어퍼커버(220)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로어커버(210) 또는 어퍼커버(220)에 분리 가능하게 결속될 수도 있다.
따라서, 와이어링 프로텍터(100)의 바디(200)는 가변마운팅부(300)의 스토핑돌기(310)와 슬라이드마운팅브라켓(320)에 의해 상관부품간 조립편차에 의한 차체(10)와의 체결 부위를 소정 조정할 수 있음에 따라 설치 작업성이 증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차체 100: 와이어링 프로텍터
200: 바디 210: 로어커버
220: 어퍼커버 230: 픽스브라켓
300: 가변마운팅부 310: 스토핑돌기
320: 슬라이드마운팅브라켓 322: 어퍼브라켓
324: 사이드브라켓 326: 로어브라켓
327: 후크돌기 328: 체결부재
330: 마운팅캡 335: 절개부
337: 후크홀 340: 엣지홈부
350: 엣지돌기

Claims (6)

  1. 와이어 하네스를 감싸거나 축 삽입하여 정렬 안내하는 바디; 및
    차체에 고정된 채, 상기 바디를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구속하는 가변마운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보정형 와이어링 프로텍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배선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수용하기 위해 일측으로 개방되는 로어커버; 및
    상기 로어커버의 개방측을 덮은 채 상기 로어커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보호하는 어퍼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보정형 와이어링 프로텍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마운팅부는,
    상기 바디에 돌출 형성되는 스토핑돌기;
    축 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개방된 채 상기 스토핑돌기의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싸고, 상기 차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속되며, 상기 스토핑돌기의 가로너비보다 큰 가로너비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바디를 축 방향으로 소정 이동 허용하는 슬라이드마운팅브라켓; 및
    상기 슬라이드마운팅브라켓의 개방된 일측에 해당되는 가장자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스토핑돌기의 축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드마운팅브라켓과 상기 스토핑돌기의 분리를 방지하는 마운팅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보정형 와이어링 프로텍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마운팅부는,
    상기 스토핑돌기의 세로너비 방향으로 일측면 또는 양측면의 하부에 함몰 형성되는 엣지홈부; 및
    상기 엣지홈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슬라이드마운팅브라켓, 또는 상기 슬라이드마운팅브라켓과 상기 마운팅캡에 구비되어, 대응되는 상기 엣지홈부에 삽입되는 엣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보정형 와이어링 프로텍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마운팅브라켓은,
    상기 바디의 상면에 접하고, 상기 스토핑돌기를 감싸는 어퍼브라켓;
    상기 어퍼브라켓에서 연장되고, 상기 바디의 일측면을 접하여 지지하는 사이드브라켓; 및
    상기 사이드브라켓에서 연장되고, 상기 차체에 면접된 채 상기 차체와 직접적으로 결속되는 로어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보정형 와이어링 프로텍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타측면에 구비된 채 상기 차체에 직접적으로 결속되는 픽스브라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보정형 와이어링 프로텍터.
KR1020220125127A 2022-09-30 2022-09-30 위치보정형 와이어링 프로텍터 KR202400456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127A KR20240045609A (ko) 2022-09-30 2022-09-30 위치보정형 와이어링 프로텍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127A KR20240045609A (ko) 2022-09-30 2022-09-30 위치보정형 와이어링 프로텍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5609A true KR20240045609A (ko) 2024-04-08

Family

ID=90715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5127A KR20240045609A (ko) 2022-09-30 2022-09-30 위치보정형 와이어링 프로텍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560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5339B2 (en) Protector
JP5560949B2 (ja) 端子カバー
US8071877B2 (en) Box for accommodating electric connection box
US20030159846A1 (en) Protector for wire harnesses and mounting mechanism
US20050241715A1 (en) Protector
US10737642B2 (en) Protector
KR20130069030A (ko)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US20120100016A1 (en) Fuel pump module for damping vibration
KR102192228B1 (ko) 길이 가변식 와이어링 프로텍터
US9694763B2 (en) Wire harness protector having grounding function
CN101023555A (zh) 用于固定汽车天线的装置
KR20240045609A (ko) 위치보정형 와이어링 프로텍터
US9227578B2 (en) Washer-retaining bracket configuration
KR200467192Y1 (ko) 차량용 안테나 체결 장치
US9954310B2 (en) Fixing structure for fuse holder and fuse cover
KR102550190B1 (ko) 정션블록
KR102644881B1 (ko)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KR101996459B1 (ko)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구조
KR102507034B1 (ko) 차량용 와이어링 프로텍터
CN112751290A (zh) 保护器及布线单元
KR102474334B1 (ko) 길이 가변식 와이어링 프로텍터
JP6556638B2 (ja) 樹脂成形体
KR20240041592A (ko) 차량의 와이어링용 프로텍터
JP2007112376A (ja) 自動車用スライドドアの給電装置
US11171471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