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5499A - 광합성 미생물 배양기 - Google Patents

광합성 미생물 배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5499A
KR20240045499A KR1020220124883A KR20220124883A KR20240045499A KR 20240045499 A KR20240045499 A KR 20240045499A KR 1020220124883 A KR1020220124883 A KR 1020220124883A KR 20220124883 A KR20220124883 A KR 20220124883A KR 20240045499 A KR20240045499 A KR 20240045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ure tank
transparent
plate
light source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4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현진
Original Assignee
전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현진 filed Critical 전현진
Priority to KR1020220124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5499A/ko
Publication of KR20240045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549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1/00Means for providing, directing, scattering or concentrating light
    • C12M31/02Means for providing, directing, scattering or concentrating light located outside the react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22Transparent or translucent par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48Holding appliances; Racks; Suppor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20Degassing; Venting; Bubble trap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3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oncentration
    • C12M41/34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oncentration of ga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편한 구성으로 게다가 장치의 대량생산이 용이하며, 내부의 배양 과정을 투명하게 살펴볼 수 있고, 밀폐된 배양조의 계폐조작이 용이하며, 광원의 교체와 부재들의 분리 결합 및 교체가 매우 용이하여 유지보수가 쉬운 광합성 미생물 배양기구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4면과 저면이 빛을 투과하는 투명판재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상의 투명 배양조와; 상기 투명 배양조의 상부 개방부를 밀폐하여 덮도록 투명판재로 형성되는 밀폐형 뚜껑과; 상기 투명 배양조의 하부에서 투명 배양조를 지지하며, 4면이 빛이 투과하지 못하도록 불투명 처리되고, 상부가 개방된 배양조 받침대와; 상기 배양조 받침대 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투명 배양조의 저면 투명판재를 통해 투명 배양조의 내부 공간으로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광원과; 상기 배양조의 4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개의 측면 투명판재 내측에 형성되는 가스팩 거치대와; 상기 저면 투명판재 위에 적재되어 접종한 광합성 미생물의 성장을 돕는 1개 이상의 평판배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광합성 미생물 배양기{Photosynthetic microorganism incubator}
본 발명은 광합성 미생물 배양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광합성을 위한 이산화탄소와 광원의 효율적 공급이 가능하고, 배양 진행과정을 파악하기 용이하며, 부재들의 조립과 분해 및 부품의 교체가 쉬워 유지보수기 용이하고 장치의 제작비용이 저렴한 광합성 미생물 배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생물은 농업, 축산, 수산업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미생물을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광합성균이나 유산균, 바실러스균, 호모균, 남조균 등을 배양하여 물에 희석한 다음, 종자소독, 토양에 살포, 작물에 관주, 또는 엽면 살포하거나 가축에게 먹이게 된다.
이와 같은 미생물을 통해 작물의 생산을 촉진시키고 병충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가축의 경우 성장을 촉진시키고 질병을 예방하거나 육질을 좋게 하고, 배설물의 악취와 오염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병원균의 증식을 억제하거나 유익균을 돕고 유해균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얻는데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미생물은 환경분야에서는 수질정화, 유기성 폐기물 발효제, 각종 공업 폐기물 정화에도 이용될 수 있고, 수산 양식업에 사용할 경우 수질정화, 병원균의 발생억제, 내병성 제고 등의 효과를 볼 수 있다.
이 같은 광합성 단세포 미생물은 그밖에도 광합성을 통하여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등 다양한 유기물을 생산이 가능하다. 특히 최근에는 기능성 다당류, 카로테노이드, 비타민, 불포화 지방산등 고부가가치 산물의 생산뿐만 아니라 지구 온난화의 주범이 이산화탄소 제거의 목적에 최적 생물체로 평가 받고 있다. 또한, 유한한 에너지원인 화석연료 를 대체할 생물학적 에너지 생산에도 큰 관심을 받고 있는데, 이는 미세조류가 이산화탄소를 고정하여 생체에 지질로 축적 하는 것이 가능한데 따른 것이다. 이렇게 축적된 지질을 이용한 바이오 디젤 등 바이오에너지 생산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미세조류를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제거 또는 바이오 에너지의 제조와 같은 유용한 산물을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광합성 미생물의 고농도 배양, 대량배양, 또는
고농도 대량배양이 필요하다. 따라서 규모가 큰 배양설비의 구축과 관련된 기술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종래부터 실내 또는 육상에 설치되는 여러 형태의 광생물 반응기가 광합성 미생물을 배양하기 위한 배양설비로 사용되었으나, 조명수단, 배지 및 가스의 공급, 및 혼합수단 등과 같은 광합성 미생물 배양설비 제작 및 유지 보수, 운영에 많은 비용이 요구되어, 상업화에 필요한 대규모의 설비를 구축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았다. 따라서, 광합성 미생물의 상업적인 규모의 대량배양을 위해서는 경제성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한 선결과제이며, 저비용으로도 고농도의 배양이 가능하면서도 규모의 확대가 용이한 배양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바다나 호수와 같은 수상 또는 수중에서 반투과막을 이용하여 광합성 미생물을 배양하려는 시도가 등장하였으며, 이러한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제991373호, 한국 등록특허 10-0490641호, 한국 등록특허 10-1727632호 등이 있다.
이러한 미생물의 배양은 일정한 영양분과 온도, 경우에 따라 빛을 이용하여 배양시키게 되는데, 종래 미생물 배양기는 광원 충족을 위해 다수의 발열램프 등을 주로 사용하여 장시간에 걸친 관리를 하게 되는 과정에서, 이때 미생물을 오랜 시간 배양하다 보면 발열램프 등과 같은 조사램프에 의해 광원은 충족되지만 배양조 내의 온도는 계속 상승하여 적정한 온도로의 제어가 원활하지 못하고, 조사되는 빛이 사방으로 확산되어 전력 소모가 많고 광원과 부재들의 교체 작업이 어려워 유지보수의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양조의 내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배양 진행상황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파악하기 어려우며, 배양조 내의 밀폐계 구성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다수의 고체 배지를 사용하여 동시에 배양하기 어려운 구조적 문제 및 광합성을 위한 이산화탄소를 외부에서 공급해 주기 위한 복잡한 기구적 구성을 요하며, 배양기의 상부나 측면에 설치되는 광원으로 인해 배양기 관찰에 지장을 초래하는 등 미생물 배양에 최적의 조건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991373호(2010. 11. 02. 공고) 한국 등록특허 10-0490641호(2005. 05. 19. 공고) 한국 등록특허 10-1727632호(2017. 04. 17.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간편한 구성으로 게다가 장치의 대량생산이 용이하며, 내부의 배양 과정을 투명하게 살펴볼 수 있고, 밀폐된 배양조의 계폐조작이 용이하며, 광원의 교체와 부재들의 분리 결합 및 교체가 매우 용이하여 유지보수가 쉬운 광합성 미생물 배양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합성 미생물 배양기는, 4면과 저면이 빛을 투과하는 투명판재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상의 투명 배양조와; 상기 투명 배양조의 상부 개방부를 밀폐하여 덮도록 투명판재로 형성되는 밀폐형 뚜껑과; 상기 투명 배양조의 하부에서 투명 배양조를 지지하며, 4면이 빛이 투과하지 못하도록 불투명 처리되고, 상부가 개방된 배양조 받침대와; 상기 배양조 받침대 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투명 배양조의 저면 투명판재를 통해 투명 배양조의 내부 공간으로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광원과; 상기 배양조의 4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개의 측면 투명판재 내측에 형성되는 가스팩 거치대와; 상기 저면 투명판재 위에 적재되어 접종한 광합성 미생물의 성장을 돕는 1개 이상의 평판배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명 배양조는 그 내부에 상기 저면 투명판재와 소정 거리 상향 이격된 위치에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도록 설치되어 1개 이상의 평판배지를 적재하게 되는 중간 평판배지 받침대와; 상기 중간 평판배지 받침대에 상하 공간을 연통하여 공기가 순환하도록 형성되는 1개 이상의 구멍;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배양조 받침대의 일측면판재에는 상기 광원을 삽입시켜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양조 받침대의 바닥판부재에는 광원으로부터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배양조 받침대의 저면에는 지지다리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배양조 받침대의 바닥판부재와 지면과의 사이가 통풍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가스팩 거치대는 상측을 향해 개방된 입구를 가진 포켓 형상이며, 상기 밀폐형 뚜껑을 개방 후 상부에서 상기 가스팩 거치대에 CO2 가스 발생 가스팩을 수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투명 배양조와 상기 밀폐용 뚜껑은 사면 결착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투명 배양조의 상단 테두리에 밀폐용 가스켓이 장착되어 상기 밀폐용 뚜껑을 닫고 사면 결착하였을 때 내부 공간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배양조 받침대의 상부에는 상기 투명 배양조의 하부 테두리를 수용하여 지지하도록 안치용 턱부재가 확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투명한 배양조의 내부에 고체배지를 적재할 수 있으며, 적재된 고체 배지 등에는 이산화탄소 가스팩 등을 이용하여 일정량 이상의 이산화탄소와 광을 공급하여 고체 배지에 접종한 광합성 미생물이 성장할 수 있게 도와주며, 배양조가 투명하여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배양과정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다단으로 많은 고체배지를 수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배양조와 뚜껑이 4면 결착되어 용기 내부 공간이 확실히 밀폐되므로 혐기성 조건을 완벽히 충족하며, 가스팩 거치대에 거치된 CO2 가스팩으로부터 발산되는 CO2 가스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아 혐기성 미생물의 성장에 호적하다.
또, 본 발명의 경우 미생물 배양 시 평판배지를 뒤집어 놓게 되므로 광원을 아래 쪽에 설치하는 데, 배양조를 지지하는 받침대가 광원을 장착하는 기능을 함께 하므로 광원 설치를 위한 별도 부재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발생하는 열도 보이지 않는 하부를 통해 배출되므로 장치의 컴팩트화가 가능하고 미관을 해치지 않는다.
또, 배양조를 받침대에 지지하는 구조가 단순하고 장착과 분리가 쉽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광합성 미생물 배양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광합성 미생물 배양기의 투명 배양조 내에 평판배지들을 수용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광합성 미생물 배양기에 있어 투명 배양조와 배양조 받침대를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투명 배양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투명 배양조를 용기본체와 밀폐형 뚜껑을 결착 해제하여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광합성 미생물 배양기를 단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광합성 미생물 배양기를 단면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광합성 미생물 배양기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광합성 미생물 배양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광합성 미생물 배양기의 투명 배양조 내에 평판배지들을 수용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광합성 미생물 배양기에 있어 투명 배양조와 배양조 받침대를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 전체를 부호 10으로 나타낸 본 발명의 광합성 미생물 배양기(10)는 4면(측면)과 저면이 빛을 투과하는 투명판재(14,14a,16)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상의 투명 배양조(18)와, 상기 투명 배양조(18)의 상부 개방부를 밀폐하여 덮도록 투명판재(20)를 구비한 밀폐형 뚜껑(22)과, 상기 투명 배양조(18)의 하부에서 투명 배양조(18)를 지지하며, 4면(24)이 빛이 투과하지 못하도록 불투명 처리되고, 상부가 개방된 배양조 받침대(26)와, 상기 배양조 받침대 (26)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투명 배양조(18 )의 저면 투명판재(16)를 통해 투명 배양조(18)의 내부 공간(28)으로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광원(30)과, 상기 배양조(18)의 4면(14,14a) 중 적어도 어느 한 개의 측면 투명판재(14a) 내측에 형성되는 가스팩 거치대(32)와, 상기 저면 투명판재(16) 위에 적재되어 접종한 광합성 미생물의 성장을 돕는 1개 이상의 평판배지(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양조(18)는 배양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제작되며,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및 유리 등 빛을 투과하는 다양한 소재가 적용 가능하며, 내부를 어느 정도 투시 가능한 한 반투명재료의 사용도 가능하다.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투명 배양조(18)는 그 내부에 상기 저면 투명판재(16)와 소정 높이(h) 상향 이격된 위치에 내부 공간(28)을 상하로 구획(28a,28b)하도록 설치되어 1개 이상의 평판배지(34)를 적재하게 되는 중간 평판배지 받침대((36)가 수평으로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어, 평판배지(34)를 적재하기 위하여 다단 구조를 취하고 있다. 본 발명은 다단 구조의 형성이 매우 용이하여 다량의 평판배지(34)를 다단으로 동시에 배양하는데 유리하며, 용기의 투명판부재들을 통해 내부의 모든 상황의 확인 관찰이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중간 평판배지 받침대(36)에 상하로 구획된 내부 공간(28a,28b, 전체 공간은 부호 28로 나타냄)을 연통하여 공기가 상하로 순환하도록 형성되는 1개 이상의 구멍(38)을 구비하고 있다. 이 구멍(38)은 다단 배양 구조를 취할 때 모든 공간에 이산화탄소(CO2)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하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평판배지(34)는 사용시 하부를 향해 뒤집어져 배치되므로, 광합성을 위해 빛을 공급하는 광원(30)은 하부에 배치하여 상측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는데, 광원(30)을 하부에 배치하는 것은 여러 가지 이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배양조 받침대(26)의 일측면판재(24)에는 상기 광원(30)을 삽입시켜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40)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양조 받침대(26)의 바닥판부재(42)에는 광원(30)으로부터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공(44)이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공(40)은 측면으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광원(30)을 슬라이드식으로 끼고 빼내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배양조 받침대(26)는 광원(3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상부측으로만 조사되도록 상부측을 뺀 나머지 부분들은 빛을 반사할 수 있도록 광원(30)의 주변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광원(30)을 상부에 설치하는 경우 별도 유지 기구로 인해 배양조의 관찰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나 본 발명은 광원(30)이 하부의 불투명한 배양조 받침대(26)에 설치되므로 외부에서 눈에 잘 띄지 않고, 특히 상부 및 측면 사방에서 배양조 관찰에 아무런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며, 받침대(26)를 그대로 이용하는 관계로 별도로 광원(30)을 설치하기 위한 기구 구성이 생략되어 장치 구조가 매우 콤팩트화된다.
그리고, 상기 배양조 받침대(26)의 저면(42a)의 네 코너에는 지지다리(46)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배양조 받침대(26)의 바닥판부재(42)와 지면(48)과의 사이가 통풍 공간(50)이 형성되어 상기 광원(30)에서 발산되는 열은 상기 바닥판부재(42)의 방열공(44)을 거쳐 통풍 공간(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장공의 방열공(44)과 함께 작은 원형공(52)들을 병행하여 천공하는 경우, 장공의 방열공(44)들을 통해 열기가 신속히 배출되는 동안 대류 현상에 의해 작은 원형공(52)들을 통해 외부의 신선 공기가 유입 순환되어 배양조 받침대(26) 내부의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대류 현상의 촉진을 위해 상기 장공의 방열공(44)을 측면판부재(24)의 상측 가까이에 형성하고, 상기 작은 원형공(52)들은 바닥판부재(42)에 형성함으로써, 배양조 받침대(26) 내부에서 뜨거워진 공기는 상승하여 상부측에 형성한 방열공(44)을 통해 배출되고, 이 같은 배출 흐름에 연동하여 내부 기압 강하 효과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작은 원형공(52)들을 통해 외부의 신선 공기가 내부로 도입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스팩 거치대(32)는 투명판재(14,14a,16)와 같은 재질을 사용하여 상측을 향해 또는 측방을 향해 개방된 입구를 가진 포켓 형상으로 설치하며, 상기 밀폐형 뚜껑(22)을 개방 후 상부에서 상기 가스팩 거치대(32)의 상측 개방부를 통해 CO2 가스 발생 가스팩(52)을 수납하게 되어 수납과 회수 및 교체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벽면에 형성한 포켓 형상이어서 가스팩(52)을 수용시 평판배지(34)들과 간섭하지 않고 안전하게 보관 유지된다.
상기 이산화탄소 발생 가스팩(52)은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다양한 제품이 사용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혐기성 미생물 배양시 사용하는 JAR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는 상품명 "Anaero Pack"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회용 혐기성 가스 발생 시스템인 "Anaero Pack"은 포장체인 알루미늄 봉투를 개봉하여 용기에 넣으면, 이산화탄소(CO2)의 발생과 함께 용기 안에 있던 공기 중의 산소가 신속하게 흡수되면서 물과 촉매를 첨가하지 않고 혐기성 미생물의 배양에 접합한 환경으로 만들어 주게 되며, Jar에 가스팩을 넣은 즉시 반응이 일어나 30~45분 내에 혐기 또는 비호기 배양 환경을 조성하며, 발생한 이산화탄소(CO2)는 배양조의 밀봉 시스템에 의해 외부로 누출되지 않고 광합성에 전적으로 이용된다.
이를 위해 상기 투명 배양조(18)와 상기 밀폐용 뚜껑(22)은, 음식용 밀폐용기를 통해 잘 알려진 뚜껑의 사면 결착구조(54)를 구비하며, 상기 투명 배양조(18)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서 또는 뚜껑(22)의 저면 테두리를 따라서 요홈을 형성하고, 그 요홈에 밀폐용 가스켓(56)을 끼워 장착하여서 상기 밀폐용 뚜껑(22)을 닫고 사면 결착하였을 때 배양조(18)의 내부 공간(28)이 완전 밀폐되어 혐기 조건을 조성하게 되며, 혐기성 미생물의 생장에 필요한 이산화탄소(CO2)의 외부 누출이 없게 된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배양조 받침대(26)의 상부에는 상기 투명 배양조(18)의 하부 테두리를 수용하여 지지하도록 안치용 턱부재(58)가 확장되어 있어, 상기 배양조(18)를 상기 배양조 받침대(26)에 의해 지지토록 설치 시, 배양조 받침대(26)의 상부 측에서 안치용 턱부재(58)의 내면인 안치면(58a)을 향해 배양조(18)를 내려 놓으면, 안치면(58a)에 의해 지지되면서 배양조(18)의 하부를 안치용 턱부재(58)가 둘러싸서 수용하게 되어 부재의 결합이 가볍게 완성되며 또 결합이 매우 안정적으며, 양측 부재를 분리 시에는 상기 투명 배양조(18)를 상부측으로 들어 올리는 것만으로 간단히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추가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예를 들면 기능, 방법 및 결과가 동일한 구성, 혹은 목적 및 효과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의 본질적이지 않은 부분을 대체한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작용 효과가 있는 구성 또는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한다.또,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에 공지기술을 부가한 구성을 포함한다.

Claims (7)

  1. 광합성 미생물 배양기에 있어서, 4면과 저면이 빛을 투과하는 투명판재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상의 투명 배양조와; 상기 투명 배양조의 상부 개방부를 밀폐하여 덮도록 투명판재로 형성되는 밀폐형 뚜껑과; 상기 투명 배양조의 하부에서 투명 배양조를 지지하며, 4면이 빛이 투과하지 못하도록 불투명 처리되고, 상부가 개방된 배양조 받침대와; 상기 배양조 받침대 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투명 배양조의 저면 투명판재를 통해 투명 배양조의 내부 공간으로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광원과; 상기 배양조의 4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개의 측면 투명판재 내측에 형성되는 가스팩 거치대와; 상기 저면 투명판재 위에 적재되어 접종한 광합성 미생물의 성장을 돕는 1개 이상의 평판배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합성 미생물 배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배양조는 그 내부에 상기 저면 투명판재와 소정 거리 상향 이격된 위치에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도록 설치되어 1개 이상의 평판배지를 적재하게 되는 중간 평판배지 받침대와; 상기 중간 평판배지 받침대에 상하 공간을 연통하여 공기가 순환하도록 형성되는 1개 이상의 구멍;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합성 미생물 배양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조 받침대의 일측면판재에는 상기 광원을 삽입시켜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양조 받침대의 바닥판부재에는 광원으로부터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합성 미생물 배양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조 받침대의 저면에는 지지다리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배양조 받침대의 바닥판부재와 지면과의 사이가 통풍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합성 미생물 배양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팩 거치대는 상측을 향해 개방된 입구를 가진 포켓 형상이며, 상기 밀폐형 뚜껑을 개방 후 상부에서 상기 가스팩 거치대에 CO2 가스 발생 가스팩을 수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합성 미생물 배양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배양조와 상기 밀폐용 뚜껑은 사면 결착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투명 배양조의 상단 테두리에 밀폐용 가스켓이 장착되어 상기 밀폐용 뚜껑을 닫고 사면 결착하였을 때 내부 공간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합성 미생물 배양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조 받침대의 상부에는 상기 투명 배양조의 하부 테두리를 수용하여 지지하도록 안치용 턱부재가 확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합성 미생물 배양기.

KR1020220124883A 2022-09-30 2022-09-30 광합성 미생물 배양기 KR202400454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883A KR20240045499A (ko) 2022-09-30 2022-09-30 광합성 미생물 배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883A KR20240045499A (ko) 2022-09-30 2022-09-30 광합성 미생물 배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5499A true KR20240045499A (ko) 2024-04-08

Family

ID=90715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4883A KR20240045499A (ko) 2022-09-30 2022-09-30 광합성 미생물 배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5499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641B1 (ko) 2003-12-16 2005-05-1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광생물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광합성 미생물 배양방법
KR100991373B1 (ko) 2008-12-03 2010-11-0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반투과막을 이용한 해양 미세조류 대량배양을 위한 광생물 반응기
KR101727632B1 (ko) 2013-04-05 2017-04-1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광합성 미생물 대량배양을 위한 광생물 반응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641B1 (ko) 2003-12-16 2005-05-1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광생물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광합성 미생물 배양방법
KR100991373B1 (ko) 2008-12-03 2010-11-0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반투과막을 이용한 해양 미세조류 대량배양을 위한 광생물 반응기
KR101727632B1 (ko) 2013-04-05 2017-04-1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광합성 미생물 대량배양을 위한 광생물 반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02339B2 (ja) 発光ダイオード光バイオリアクタ及び使用方法
US20140065687A1 (en) Bioreactor System and Related Bio-Stimulation Methods
Pulz Photobioreactors: production systems for phototrophic microorganisms
JP2018526024A5 (ko)
KR101905084B1 (ko) 자체 순환형 미세조류 광 배양장치
CN202595126U (zh) 一种微藻的一级培养装置
US20110300624A1 (en) Photobioreactor
US20120309081A1 (en) System and plant for cultivation of aquatic organisms
MX2008010770A (es) Fotobiorreactor y usos para el mismo.
WO2009134114A1 (en) An apparatus for mass cultivation of micro algae and a method for cultivating the same
EP2667963A1 (en) A fluid agitator device for facilitating development of algae or micro-algae in trays or photobioreactors
CN114606103B (zh) 一种杂合式光生物反应器
MX2008010831A (es) Dispositivo de enfriamiento para uso en un horno de arco electrico.
WO2017028018A1 (zh) 层叠式薄板光生物反应器
KR101670129B1 (ko) 광 반응 미세조류 배양장치 및 배양방법
KR20240045499A (ko) 광합성 미생물 배양기
JP5909757B1 (ja) ミジンコの培養セットおよびミジンコの連続培養方法
KR101721448B1 (ko) 미세조류 배양장치
US20210002595A1 (en) Culture tank
KR100226128B1 (ko) 광을 필요로 하는 미생물의 광조사 면적을 넓힌 배양기
KR101889410B1 (ko) 에어포켓 순환기를 이용한 미세조류 광배양기
RU2644261C2 (ru) Способ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микроводоросли Chlorella
KR200363052Y1 (ko) 착탈식 미생물 배양기
KR20150057350A (ko) 내부에 경사진 반사장치를 갖는 led 미세조류 클로렐라 배양장치
KR101394216B1 (ko) 해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