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3396A - 생분해성 필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필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3396A
KR20240043396A KR1020220122435A KR20220122435A KR20240043396A KR 20240043396 A KR20240043396 A KR 20240043396A KR 1020220122435 A KR1020220122435 A KR 1020220122435A KR 20220122435 A KR20220122435 A KR 20220122435A KR 20240043396 A KR20240043396 A KR 20240043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
lactic acid
paradioxanone
phase solution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2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찬영
남중혁
Original Assignee
리란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란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리란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2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3396A/ko
Publication of KR20240043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33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18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05Methods of mixing liquids with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06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C08G63/08Lactones or lac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88Post-polymerisation treatment
    • C08G63/90Purification; Dr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6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 A61L2300/602Type of release, e.g. controlled, sustained, slow
    • A61L2300/604Biodegrad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06Flowable or injectable impl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34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soft tissue reconstru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rmat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생분해성 필러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필러 제조 방법은 생분해성 고분자가 포함된 분산상 용액을 다공성 막으로 통과시켜 미세입자를 제조하는 미세입자 제조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L-락트산과 파라디옥사논이 공중합된 폴리-L-락트산-파라디옥사논 블록공중합체일 수 있다.

Description

생분해성 필러 및 그 제조 방법{BIODEGRADABLE FILL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개시는 생분해성 필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생분해성 필러는 체내에 주입된 이후, 수개월에서 수년에 걸쳐 생분해되며, 체내에 존재하는 기간 동안 주름개선 효과를 보이기 때문에 피부 미용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93951호에는 필러용 생분해성 고분자 미세입자를 제조하는 기술에 대해 제시된 바 있다. 기존에는 생분해성 필러를 제조하기 위해 여러 가지 고분자들이 사용되어 왔다. 그 중에서 폴리-L-락트산은 소수성이어서 가수분해가 잘 일어나지 않으며, 생분해되는데 약 2년의 기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폴리-L-락트산이 체내에서 생분해되는 속도를 적절하게 제어하지 못한다면, 시술부위 조직의 재생속도와 생분해 소재의 속도가 서로 달라지면서 조직의 재생이 원활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폴리-L-락트산은 높은 취성으로 인해 유연성이 낮고 물성이 딱딱한 편이어서 시술후 주입부위에서 뭉치게 되면 미관상 피부가 부자연스럽고 어색한 느낌을 줄 우려가 있었다. 그렇기에 종래에는 폴리-L-락트산 소재의 필러를 시술할 때, 시술부위에 투여된 필러제가 잘 퍼지거나 형태가 잘 잡히도록 의료진이 시술부위를 마사지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마사지 과정이 번거롭고 환자에게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생분해 속도의 조절이 용이하고, 유연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필러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 생분해성 필러 제조 방법은 생분해성 고분자가 포함된 분산상 용액을 다공성 막으로 통과시켜 미세입자를 제조하는 미세입자 제조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L-락트산과 파라디옥사논이 공중합된 폴리-L-락트산-파라디옥사논 블록공중합체일 수 있다.
또한, 미세입자 제조 단계에서는 상기 분산상 용액을 1~3kPa의 압력으로 상기 다공성 막에 통과시키며, 상기 다공성 막은 SPG(Shirasu porous glass) 막일 수 있다.
아울러, 미세입자 제조 단계에서 상기 다공성 막을 통과한 분산상 용액은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연속상 용액 내에서 미세입자를 형성하며, 상기 연속상 용액은 일정한 속도로 교반될 수 있다.
그리고, 미세입자의 평균입도는 20~80㎛일 수 있다.
또한, 폴리-L-락트산-파라디옥사논 블록공중합체는 폴리-L-락트산과 파라디옥사논의 몰비가 8:1 내지 10:1로 공중합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폴리-L-락트산-파라디옥사논 블록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0g/mol 내지 150,000g/mol이고, 유리전이온도는 100℃ 내지 110℃일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 생분해성 필러는 전술한 생분해성 필러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폴리-L-락트산과 파라디옥사논의 몰비가 8:1 내지 10:1로 공중합된 블록공중합체를 이용하여 생분해성 필러를 제조함으로써, 기존의 폴리-L-락트산 필러에 비해 생분해 속도의 조절이 용이하고 유연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며, 뭉침 현상을 최소화하여 미관상 자연스러움을 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필러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필러 제조 방법에서 사용되는 막유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필러의 시간별 잔류 무게를 측정하여 도식화한 그래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필러의 시간별 잔류 무게를 측정하여 도식화한 그래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필러의 시간별 잔류 무게를 측정하여 도식화한 그래프이다.
도6은 제1비교예에 따른 생분해성 필러의 시간별 잔류 무게를 측정하여 도식화한 그래프이다.
도7은 제2비교예에 따른 생분해성 필러의 시간별 잔류 무게를 측정하여 도식화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일" 또는 "하나의" 실시예에 대한 언급들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에 대한 것은 아니며, 이들은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른 의미를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즉, 본원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의 각 단계는 명세서 상에서 달리 언급되거나 문맥상 명백히 상충되지 않는 한 임의의 순서로 적절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러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1에 도시된 흐름도를 따라 설명하고, 도2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편의상 순서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1. 원료 준비 단계<S101>
본 단계에서는 생분해성 고분자를 준비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L-락트산과 파라디옥사논이 공중합된 폴리-L-락트산-파라디옥사논 블록공중합체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L-락트산-파라디옥사논 블록공중합체는 아래 화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1]
(여기서, m은 400 내지 1000의 유리수이고, n은 50 내지 400의 유리수임)
일 구체예에서 폴리-L-락트산-파라디옥사논 블록공중합체는 폴리-L-락트산과 파라디옥사논의 몰비가 8:1 내지 10:1(예를 들어, 8:1, 8.5:1, 9:1, 9.5:1 또는 10:1)의 범위 내에서 설정되어 공중합된 것으로 마련될 수 있다.
만일, 폴리-L-락트산과 파라디옥사논의 공중합시 폴리-L-락트산이 파라디옥사논에 비해 몰비가 너무 크게 설정될 경우(예를 들어, 11:1)에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유연성이 저하되어 필러 시술시 주입부위의 피부가 울퉁불퉁하게 보이거나 부자연스럽고 어색한 느낌을 줄 우려가 있고, 공중합시 폴리-L-락트산이 파라디옥사논에 비해 몰비가 너무 작게 설정될 경우(예를 들어, 7:1)에는 필러의 생분해 속도가 너무 빨라지면서 체내에서 충분한 기간동안 유지되기가 어렵고 조직 재생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폴리-L-락트산과 파라디옥사논의 공중합시 폴리-L-락트산과 파라디옥사논 간의 몰비는 전술한 범위 이내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 구체예에 따른 폴리-L-락트산-파라디옥사논 블록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0g/mol 내지 150,000g/mol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폴리-L-락트산-파라디옥사논 블록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0g/mol, 110,000g/mol, 120,000g/mol, 130,000g/mol, 140,000g/mol 또는 150,000g/mol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폴리-L-락트산-파라디옥사논 블록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상기 수치 중 하나 이상 및 상기 수치 중 하나 이하의 범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L-락트산-파라디옥사논 블록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0g/mol 내지 130,000g/mol, 100,000g/mol 내지 140,000g/mol, 120,000g/mol 내지 150,000g/mol, 130,000g/mol 내지 150,000g/mol 또는 100,000g/mol 내지 150,000g/mol의 범위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L-락트산-파라디옥사논 블록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상기의 범위에서 생분해성 필러의 유연성과 충분한 생분해 기간을 확보할 수 있다. 만일, 폴리-L-락트산-파라디옥사논 블록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g/mol 내지 150,000g/mol의 범위를 벗어나면 생분해성 고분자의 유연성이 저하되어 시술 후 피부 미관이 부자연스럽거나, 필러의 생분해 속도 조절이 어려워지면서 조직 재생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폴리-L-락트산-파라디옥사논 블록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는 100℃ 내지 110℃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폴리-L-락트산-파라디옥사논 블록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는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또는 110℃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폴리-L-락트산-파라디옥사논 블록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는 상기 수치 중 하나 이상 및 상기 수치 중 하나 이하의 범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L-락트산-파라디옥사논 블록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는 100℃ 내지 105℃, 102℃ 내지 106℃, 103℃ 내지 107℃, 104℃ 내지 108℃, 105℃ 내지 110℃ 또는 100℃ 내지 110℃의 범위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L-락트산-파라디옥사논 블록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는 상기의 범위에서 생분해성 필러의 유연성과 충분한 생분해 기간을 확보할 수 있다. 만일, 폴리-L-락트산-파라디옥사논 블록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가 100℃ 내지 110℃의 범위를 벗어나면 생분해성 고분자의 유연성이 저하되어 시술 후 피부 미관이 부자연스럽거나, 필러의 생분해 속도 조절이 어려워지면서 조직 재생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2. 분산상 용액 제조 단계<S102>
본 단계에서는 분산상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분산상 용액은 분산상 용매와 단계 S101에서 준비된 생분해성 고분자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분산상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디클로로메탄 또는 클로로포름을 들 수 있으나, 생분해성 고분자를 용해시킬 수 있는 종류라면 전술한 예에만 국한되지 않고 다른 종류의 용매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분산상 용매로서 디클로로메탄은 끓는점이 낮은 편이기 때문에 휘발이 용이하여 미세입자를 제조한 이후에 미세입자로부터 디클로로메탄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을 별도로 수행하지 않아도 용매의 분리가 쉬운 장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분해성 고분자의 농도가 2~10w/w%(예를 들어, 2w/w%, 3w/w%, 4w/w%, 5w/w%, 6w/w%, 7w/w%, 8w/w%, 9w/w% 또는 10w/w%)가 되도록 분산상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3. 미세입자 제조 단계<S103>
본 단계에서는 생분해성 고분자가 포함된 분산상 용액을 막유화장치의 다공성 막으로 통과시켜 미세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필러 제조 방법에서 사용되는 막유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2에 도시된 막유화장치는 일 예시일 뿐이므로 막유화법을 수행하는 막유화장치의 구조가 도2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막유화장치(10)는 압력장치(100), 분산상 용액 저장부(200), 연속상 용액 저장부(300) 및 교반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장치(100)는 분산상 용액 저장부(200)의 내에 있던 분산상 용액(210)이 다공성 막(330)으로 이동하도록 분산상 용액 저장부(200)의 내부로 일정한 압력(예를 들어, 1~3kPa)을 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압력장치(100)는 소정 압력의 질소 가스를 분산상 용액 저장부(200)의 내부로 주입시켜 분산상 용액(210)이 다공성 막(33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분산상 용액 저장부(200)는 분산상 용액(210)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이며, 분산상 용액 저장부(200)의 일측은 압력장치(100)와 결합되고 타측은 다공성 막(330)과 결합될 수 있다. 연속상 용액 저장부(300)는 연속상 용액(310)과 다공성 막(33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연속상 용액(310)은 계면활성제(일 예로, 폴리비닐알코올)와 물이 혼합된 것으로서,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1.5w/v%로 설정될 수 있으나, 상황에 따라 계면활성제의 종류와 농도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다공성 막(330)은 SPG 막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다공성 막(330)에는 복수개의 미세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공성 막(330)에 형성된 미세기공의 크기는 10~50㎛(예를 들어, 10㎛, 20㎛, 30㎛, 40㎛ 또는 5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분해성 고분자가 포함된 분산상 용액(210)이 다공성 막(330)의 미세기공을 통과하는 과정을 통해 미세입자(320)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교반장치(400)는 연속상 용액(310)을 일정한 속도(예를 들어, 100rpm, 200rpm 또는 300rpm)로 교반하는 장치이며, 임펠러형 교반기 또는 마그네틱 바가 회전하는 마그네틱 교반기 등 다양한 방식의 교반장치로서 적용이 가능하다. 일 구체예에서 교반장치(400)는 마그네틱 교반기이며, 연속상 용액 저장부(300)의 바닥에는 자성을 갖는 교반막대(410)가 배치될 수 있다. 교반장치(400) 내부에 설치된 자석이 회전하면 교반막대(410)가 같이 회전하게 되며, 그로 인해 연속상 용액(310)의 교반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단계에서는 분산상 용액(210)을 1~3kPa의 압력으로 상기 다공성 막(330)에 통과시키며, 다공성 막(330)을 통과한 분산상 용액(210)은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연속상 용액(310) 내에서 미세입자(320)를 형성하게 된다. 본 단계에서 형성된 미세입자(320)의 평균입도는 20~80㎛(예를 들어, 20㎛, 30㎛, 40㎛, 50㎛, 60㎛, 70㎛ 또는 80㎛)일 수 있다.
4. 후처리 단계<S104>
본 단계에서는 단계 S103에서 수득된 미세입자(320)를 후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단계에서는 세척, 멸균 및 건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공정을 통해 미세입자(320)를 후처리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
건조된 250ml의 둥근 3구 유리 플라스크의 중앙구에 교반기를 장착하고, 오일 배스에 위치시켰다. 정제된 폴리-L-락트산(중량평균분자량 12000g/mol)을 아래 표1에 기재된 몰비에 따라 정량하고, 이를 캐뉼라를 통해 질소 하에서 투입한 후에 촉매인 Sn(Oct)2 0.2ml와 개시제인 1-도데카놀 0.2ml을 질소 하에서 주사기로 천천히 가하였다. 그 후, 오일 배스의 온도의 온도를 약 2시간에 걸쳐 150℃까지 상승시키고, 150℃에서 3시간동안 중합하였다. 그 후, 오일 배스의 온도를 120℃로 낮추고, 정제된 파라디옥사논(중량평균분자량 102g/mol)을 아래 표1에 기재된 몰비에 따라 정량하고, 이를 캐뉼라를 이용하여 가하였다. 폴리-L-락트산과 파라디옥사논이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110℃에서 10분간 교반한 후에 온도를 80℃로 낮추고 120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에 얻어진 블록공중합체 덩어리를 분쇄하고 50℃로 유지된 진공 오븐에서 72시간동안 건조하여 폴리-L-락트산-파라디옥사논 블록공중합체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투입시 몰비
실시예 1 8 1
실시예 2 9 1
실시예 3 10 1
비교예 1 7 1
비교예 2 11 1
생분해성 고분자의 입도 측정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미세입자의 형상 및 평균 직경(D50)을 레이저 회절 산란식 입도 분석기(Particle Size Analyzer, P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입도 분포도로부터 측정되는 누적 부피 기준 메디안 직경(median diameter, D50)을 계산하고, 이를 평균 직경으로 하였다. 입도 측정 결과,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미세입자의 형상은 구형이었으며, 20um의 평균 직경(D50)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생분해성 필러의 제조
각 실시예 및 비교예별로 제조된 폴리-L-락트산-파라디옥사논 블록공중합체를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되, 분산상 용액에서 블록공중합체의 농도가 2w/w%가 되도록 분산상 용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폴리비닐알코올을 1.5w/v%의 농도로 물과 혼합하여 연속상 용액을 제조하였다. 분산상 용액을 막유화장치의 분산상 용액 저장부에 투입시키고, 분산상 용액이 다공성 막을 통과하도록 압력장치로 1~3kPa의 압력을 가하였다. 분산상 용액이 다공성 막의 미세기공(미세기공의 크기는 20㎛)을 통과하면서 미세입자가 형성되었고, 연속상 용액은 교반장치에 의해 100rpm의 속도로 3시간 동안 교반되었다. 수득된 미세입자를 세척하고 건조한 후에 미세입자 3g,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2g, 인산완충생리식염수 95g을 혼합하고 상온에서 120RPM으로 2~3시간 동안 교반하여 생분해성 필러를 제조하였다.
생분해성 필러의 시간별 생분해도 평가
생분해성 필러의 사용기한 및 생분해성을 알아보기 위해 의료기기의 안정성시험 기준(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6-70호)과 ASTM F 1980에 따라 가속노화시험을 실시하였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생분해성 필러의 시간별 생분해도를 평가하기 위해, 총 24개월간 생분해성 필러의 무게 변화를 측정하였다. 시료는 유리바이알에 넣고 5ml의 분해용매(생리식염수)를 담아 보관하였으며, 시료보관은 항온항습챔버에 60% 습도, 50℃로 설정한 후 보관하여, 가속노화 기간 산정 식에 넣어 0.5, 1, 2, 3, 4, 5, 7, 8, 10, 12, 18, 24 개월에 해당하는 날에 수거하여 생분해성 필러를 회수하여 정제수로 세척하고 생분해성 필러를 건조한 후에 무게를 측정하였다. 기간별 생분해성 필러의 잔류 무게를 백분율로 도출하여 생분해도를 평가하였다.
● 가속노화시험 기간 산정(24개월, 2년 기준)
AAF = 가속노화계수 = Q10 [(TAA-TRT)/10]
TAA ≡ 가속노화온도(℃) = 50℃
TRT ≡ 주변 온도(℃) = 22℃
(∴) AAF = Q10 [(TAA-TRT)/10] = 2[(50-22)/10] = 6.96 (Q10=2)
가속노화시간(AAT)= 설정된(RT)/AAF
= 730일(2년)/6.96 = 104.89 ≒ 105 (day)
도3 내지 도7을 참조하면, 폴리-L-락트산과 파라디옥사논의 몰비가 8:1 내지 10:1로 설정되어 공중합된 실시예 1 내지 3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점진적으로 생분해가 진행되었으며, 생분해성 필러가 약 18개월 이상 지속된 반면, 폴리-L-락트산과 파라디옥사논의 몰비가 7:1로 설정되어 공중합된 비교예 1은 생분해 속도가 너무 빨라지면서 5개월 내에 신속하게 분해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 1은 생분해 속도가 너무 빨라서 체내 유지 시간이 짧고 조직 재생을 유도하는 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생분해성 필러의 압출력 평가
만능재료시험기(Universal Testing Machine, UTM)를 이용하여 필러 조성물의 압출력을 측정하였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별 필러 조성물을 주사기에 충진하고, 주사기에 27G 1/2인치 주사바늘을 장착한 후에 50mm/min의 속도로 주사기 밀대를 밀어낼 때 그 값을 측정하여 아래 표2에 결과를 기재하였다.
압출력(Mpa)
실시예 1 7.21
실시예 2 7.95
실시예 3 8.53
비교예 1 6.81
비교예 2 11.34
표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는 7.21~8.53Mpa 범위의 압출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고, 비교예 2는 압출력이 너무 높아서 필러 조성물로 사용되기에 부적합함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 2는 실시예들에 비해 유연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필러의 미세입자들이 주사바늘을 통과할 때 상대적으로 과도한 힘을 가하는 과정에서 압출력이 증가되었고, 유연성이 부족하여 시술시 피부가 울퉁불퉁하게 보이거나 부자연스럽고 어색한 느낌을 주는 등 피부 미관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L-락트산과 파라디옥사논의 몰비가 8:1 내지 10:1로 공중합된 폴리-L-락트산-폴리파라디옥사논 블록공중합체를 이용하여 생분해성 필러를 제조함으로써, 기존의 폴리-L-락트산 필러에 비해 생분해 속도의 조절이 용이하고 유연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며, 뭉침 현상을 최소화하여 미관상 자연스러움을 연출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특정 몰비로 투입량이 설정되어 공중합된 폴리-L-락트산-폴리디옥사논 블록공중합체는 유연성이 우수하고 압출력이 작아서 적은 힘으로도 주입이 가능하여 시술이 용이하고, 환자에게 통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적고 체내에서 약 18개월 이상 지속되면서 조직 재생을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생분해성 소재들은 막유화장치의 다공성 막에 형성된 미세기공을 통과하면서 만들어지는 미세입자의 직경이 다공성 막의 미세기공 크기보다 통상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미세입자를 원하는 직경으로 조절하려면 막유화공정시 다른 변수들(예를 들어, 다공성 막의 미세기공 크기, 분산상 용액의 농도와 점도, 연속상 용액의 농도, 교반장치의 교반속도 등)을 더 제어해야만 하는 상황이었다. 즉, 기존의 생분해성 소재들을 미세입자로 만들기 위해 막유화법을 사용할 경우에는 미세입자의 크기를 제어하기가 공정상 까다로운 면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미세입자들은 다공성 막의 미세기공의 크기와 유사한 평균입도를 가지므로 미세입자의 크기를 제어하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막유화장치
100 : 압력장치
200 : 분산상 용액 저장부
210 : 분산상 용액
300 : 연속상 용액 저장부
310 : 연속상 용액
320 : 미세입자
330 : 다공성 막
400 : 교반장치
410 : 교반막대

Claims (7)

  1. 생분해성 고분자가 포함된 분산상 용액을 다공성 막으로 통과시켜 미세입자를 제조하는 미세입자 제조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L-락트산과 파라디옥사논이 공중합된 폴리-L-락트산-파라디옥사논 블록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필러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입자 제조 단계에서는 상기 분산상 용액을 1~3kPa의 압력으로 상기 다공성 막에 통과시키며, 상기 다공성 막은 SPG(Shirasu porous glass) 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필러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입자 제조 단계에서 상기 다공성 막을 통과한 분산상 용액은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연속상 용액 내에서 미세입자를 형성하며, 상기 연속상 용액은 일정한 속도로 교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필러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입자의 평균입도는 20~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필러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L-락트산-파라디옥사논 블록공중합체는 폴리-L-락트산과 파라디옥사논의 몰비가 8:1 내지 10:1로 공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필러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L-락트산-파라디옥사논 블록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0g/mol 내지 150,000g/mol이고, 유리전이온도는 100℃ 내지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필러 제조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생분해성 필러.
KR1020220122435A 2022-09-27 2022-09-27 생분해성 필러 및 그 제조 방법 KR202400433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2435A KR20240043396A (ko) 2022-09-27 2022-09-27 생분해성 필러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2435A KR20240043396A (ko) 2022-09-27 2022-09-27 생분해성 필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3396A true KR20240043396A (ko) 2024-04-03

Family

ID=90662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2435A KR20240043396A (ko) 2022-09-27 2022-09-27 생분해성 필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339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64509A (ko) 안전성 및 저장 안정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Liu et al. Nano-fibrous and ladder-like multi-channel nerve conduits: Degradation and modification by gelatin
KR101929661B1 (ko) 다공성의 생분해성 미세입자 및 수용성 천연고분자를 포함하는 성형 필러용 주사제 조성물
TWI795423B (zh) 用於調節至少一種活性成份之藥物釋放動力學的可生物降解之藥物傳遞之組合物混合物
KR20190085498A (ko) 다공성의 균일한 폴리카프로락톤 미립구 필러 및 그 제조방법
CN1958074B (zh) 可注射温敏性聚(ε-己内酯-对二氧六环酮)-聚乙二醇嵌段共聚物水凝胶
KR102181033B1 (ko)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자,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필러 및 이의 제조방법
EP3660078A1 (en) Method for preparing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and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prepared thereby
KR101706254B1 (ko) 생체조직 수복 또는 재생용 고분자 미세입자의 제조방법
KR101531091B1 (ko)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중합시킨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 주입제
JP6886518B2 (ja) 生分解性高分子の多孔性微粒子、及びそれを含む高分子フィラー
Favatela et al. Gelatin/Cellulose nanowhiskers hydrogels intended for the administration of drugs in dental treatments: Study of lidocaine as model case
KR101726559B1 (ko)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파티클의 제조방법
KR102404093B1 (ko) 중공형 다공성 미립구를 포함하는 피부 조직 재생 또는 피부 조직 볼륨 증진 주사용 조성물
CN112354018A (zh) 一种用于医疗美容的软组织填充水凝胶及其制备方法
WO2017190115A1 (en) Sustained release formulation and use thereof
Hadizadeh et al. Preparation of porous PCL-PEG-PCL scaffolds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KR20240043396A (ko) 생분해성 필러 및 그 제조 방법
Emerine et al. Fast delivery of melatonin from electrospun blend polyvinyl alcohol and polyethylene oxide (PVA/PEO) fibers.
CN112121230B (zh) 一种注射用聚左旋乳酸填充剂及其制备方法
KR102500398B1 (ko) 조직 수복용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3117142B (zh) 可生物降解的注射填充物及其制备方法和其应用
CN116672498A (zh) 一种注射用复合材料及其用途
Wang et al. In situ photo‐crosslinked hydrogels prepared from acrylated 4‐arm‐poly (ethylene glycol)‐poly (ε‐caprolactone) block copolymers for local cancer therapy
Monou et al. Fabrication and Preliminary In Vitro Evaluation of 3D-Printed Alginate Films with Cannabidiol (CBD) and Cannabigerol (CBG) Nanoparticles for Potential Wound-Healing Applications. Pharmaceutics 2022, 14, 1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