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2893A - 와이어 집합체로 구성되는 버스바 본체를 포함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와이어 집합체로 구성되는 버스바 본체를 포함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2893A
KR20240042893A KR1020220121727A KR20220121727A KR20240042893A KR 20240042893 A KR20240042893 A KR 20240042893A KR 1020220121727 A KR1020220121727 A KR 1020220121727A KR 20220121727 A KR20220121727 A KR 20220121727A KR 20240042893 A KR20240042893 A KR 20240042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coupling portion
wires
assembly
b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1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121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2893A/ko
Priority to PCT/KR2023/014397 priority patent/WO2024071835A1/ko
Publication of KR20240042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289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7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복수의 와이어들로 구성되는 와이어 집합체 형태의 버스바 본체, 및 상기 버스바 본체의 양 끝단 각각에서 와이어들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버스바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버스바 본체가 유연하여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고 냉각 기능이 향상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와이어 집합체로 구성되는 버스바 본체를 포함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Bus Bar Assembly Comprising Bus Bar Body Having Wire Assembly}
본원발명은 와이어 집합체로 구성되는 버스바 본체를 포함하는 버스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발열 현상에 의해 전지모듈이나 전장부품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냉각 기능이 향상된 와이어 집합체로 구성되는 버스바 본체를 포함하는 버스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리튬 이차전지는 BDU(battery disconnect unit) 어셈블리 및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등과 함께 조립되어 전지모듈 또는 전지팩을 구성한다. 이러한 개별 부품들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하여 릴레이(Relay) 또는 버스바와 같은 연결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충방전 과정에서 열이 발생한다. 이러한 발열로 인해 버스바와 같은 연결부재가 가열되는 경우, 도전재의 저항이 증가하여 통전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도전재 저항의 증가에 의한 온도 상승과 이에 다른 저항 증가의 악순환이 발생할 수 있으며, 최악의 경우에는 연결부재가 동작불능 상태가 될 수도 있다.
전기적인 연결 수단으로 사용되는 버스바가 오히려 열전달 통로로 이용되는 점도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버스바를 통해서 주위의 열이 전원분배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원분배장치 내부의 릴레이와 같은 전장부품의 통전성능이 저하되어, 전체적인 전지팩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전지모듈이나 전지팩의 발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전원분배장치에 냉매를 이용한 냉각 시스템을 적용하거나, 릴레이 등의 개별 부품을 냉각하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 전지팩의 온도 변화를 시뮬레이션하는 예측 기술도 발달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버스바 자체에 대한 냉각은 여전히 고려되지 않고 있다. 버스바 개별 부품을 냉각시키기 보다는, 전지팩에 필요한 전류보다 용량이 큰 즉 면적이 넓은 버스바를 도입하는 소극적인 방법만이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버스바의 구조 변경은 제조비용의 증가는 물론 더 넓은 공간을 요구하게 된다. 전장부품의 크기 증가가 필요하기 때문에 부피당 용량을 늘리거나, 전지팩의 크기를 줄이는 현재의 요구와는 부합하지 않는다.
특허문헌 1은 차량용 플렉시블 버스바에 관한 것으로, 가요성 및 신축성을 갖는 편조선(braided wire)의 양 끝단에 접속 단자가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접속 단자의 두께 방향으로 3개의 편조선이 적층되고, 상기 3개의 편조선들 전체의 외측 둘레를 열수축 튜브가 피복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의 플렉시블 버스바는 편조선들의 길이를 다르게 하여 길이가 짧은 쪽에서 긴 쪽으로 가압하면 긴 쪽으로 과대한 장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편조선들 전체가 하나의 열수축 튜브 안에 위치하기 때문에, 편조선들의 온도 증가시 빠른 열 배출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형태이다.
특허문헌 2는 자동차 산업용 축전지 또는 배터리에 대한 전기 전지 연결기, 또는 전기 모듈 연결기에 대한 전기 고전류 연결기에 관한 것으로, 스트랜디드 와이어(stranded wire) 및 고체 전기 연결 피스를 가지며, 상기 스트랜디드 와이어의 단부 섹션은 상기 고체 전기 연결 피스의 일부에 임베딩(embedding)되도록 구성된다.
특허문헌 2의 상기 스트랜디드 와이어는 편평한 스트랜드(편조된 와이어), 둥근 스트랜드(편조된 케이블, 스트랜디드 와이어) 또는 편조된 슬리빙으로서 형성되며, 상기 스트랜디드 와이어는 구리 재료 또는 알루미늄 재료를 가질 수 있음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고전류 연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발열 및 냉각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을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이 버스바 어셈블리에서 면적을 확대하지 않고 별도의 냉각 부재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방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주위 열원에 의해 통전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8-041330호 (2008.02.21) ('특허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8-0135809호 (2018.12.21) ('특허문헌 2')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버스바 본체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방열성이 향상되고, 주위 열원에서 발생한 열이 버스바 본체를 통해 전달되어 전장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버스바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는, 복수의 와이어들로 구성되는 와이어 집합체 형태의 버스바 본체, 및 상기 버스바 본체의 양 끝단 각각에서 와이어들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들 각각은 선형의 도전부재를 절연성 튜브가 피복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들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격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와이어들이 삽입되기 위한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홀에는 한 개 이상의 와이어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다각형 또는 원형 일 수 있으며, 그 측면에는 상기 와이어들과 결합할 수 있는 상기 복수의 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와 와이어는 단순 끼움, 전도성 접착체, 및 용가제의 용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전기적 접촉과 물리적 고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결합수단이 부가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결합부재 체결용 관통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볼트와 너트, 볼트, 핀, 및 리벳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버스바 본체의 제1측 끝단은 1개의 제1결합부와 결합하고, 상기 버스바 본체의 제2측 끝단은 1개의 제2결합부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스바 본체를 구성하는 와이어들은 길이가 일정할 수 있다.
상기 버스바 본체는 2개 이상의 소단위 와이어 집합체로 구성되고, 상기 버스바 본체 제1측 끝단은 1개의 제1결합부와 결합하고, 상기 버스바 본체 제2측 끝단은 상기 소단위 와이어 집합체 별로 제3결합부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단위 와이어 집합체들의 길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버스바 어셈블리 제조방법으로서, 내부에 복수의 홀이 있는 결합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홀에 버스바 본체를 구성하는 와이어들을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와이어들을 상기 결합부와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들과 상기 결합부가 결합하는 것은 용가제의 용해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 버스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을 포함한다.
본원발명은 또한,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을 다양하게 조합한 형태로도 제공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는 복수의 와이어들로 버스바 본체를 구성하기 때문에 버스바 본체의 표면적이 증가되어 방열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버스바 본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와이어들은 서로 밀착되지 않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와이어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공기의 대류가 일어날 수 있는 바, 냉각 효과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집합체의 길이를 다르게 구성하거나 복수의 소단위 와이어 집합체를 구비함으로써, 연결 거리와 위치 설정에 대한 자유도가 높고, 1대 다(多)의 부품들에 대한 연결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발명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원발명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 제1실시예의 결합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원발명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원발명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의 제조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버스바 어셈블리 일부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원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원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구성요소를 한정하거나 부가하여 구체화하는 설명은, 특별한 제한이 없는 한 모든 발명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정한 발명에 대한 설명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원의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서 단수로 표시된 것은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인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원의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서 "또는"은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및"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A 또는 B를 포함하는"은 A를 포함하거나, B를 포함하거나, A 및 B를 포함하는 상기 3가지 경우를 모두 의미한다.
본원발명을 도면에 따라 상세한 실시예와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원발명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본원발명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 제1실시예의 결합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원발명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는 복수의 와이어들(110)로 구성되는 와이어 집합체 형태의 버스바 본체(100), 및 버스바 본체(100)의 양 끝단 각각에서 와이어들(110)과 결합하는 결합부(200)를 포함한다.
본원발명은 버스바 본체를 복수의 와이어들로 구성하기 때문에 종래에 막대 형태의 메탈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것과 비교할 때, 버스바 본체의 표면적이 증가하여 방열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외부 열원으로부터 발생한 열전달이 메탈 플레이트를 통해 이루어진 것과 비교할 때, 메탈 플레이트 보다 방열성이 향상된 와이어 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열전달 효과가 감소될 수 있으므로, 온도 증가로 인해 통전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들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상태로 결합부에 결합되기 때문에 와이어들 사이에서 공기의 대류로 인한 냉각이 일어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원발명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는 별도의 냉각 부재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버스바 어셈블리의 구조적 장점으로 인한 냉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버스바 본체(100)를 구성하는 와이어들(110)은 길이가 일정한 것들로 구성되며, 버스바 본체(100)의 제1측 끝단은 1개의 제1결합부(200)와 결합하고, 버스바 본체(100)의 제2측 끝단은 1개의 제2결합부(200)와 결합하고 있다.
와이어들(110)은 단면이 원형, 타원형, 다각형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전체적으로 동일한 형태, 및 일정한 크기를 갖는 것들로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들(110)은 서로 간에 밀착되지 않고 서로 간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면서 결합부의 폭 방향을 따라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된다. 도면에는 도식화되지 않았으나, 일부 와이어들(110)은 서로 간에 밀착할 수 있으나, 소규모 단위로서 밀착할 뿐이며 전체적으로 와이어들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마련된다.
결합부(200)는 상기 와이어들(110)이 삽입되기 위한 복수의 홀(210)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홀(210)에는 한 개 이상의 와이어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에는 각각의 홀(210)에 한 개의 와이어(110)가 삽입되도록 나타나 있다.
결합부(20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다각형 또는 원형 일 수 있으며, 그 측면에 와이어들(110)과 결합할 수 있는 복수의 홀(210)이 마련되어 있다. 결합부(200)는 전도성 재질로서, 금속이 바람직하다.
결합부(200)는 와이어들(110)이 삽입되기 위한 복수의 홀(210)이 형성되어 있는 바, 홀(210)은 결합부(200)의 두께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2열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들(110)은 결합부(2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2층 이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의 표면적이 증가할수록 방열성이 향상되는 점을 고려할 때, 와이어가 가늘어질수록 방열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와이어들 각각은 선형의 도전부재(111)가 내부에 있고, 도전부재(111)를 절연성 튜브(112)가 피복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도전부재에 절연 물질이 코팅된 형태일 수 있다. 방열성능을 위해서 절연 물질이면서 방열성능이 높은 세라믹 등을 포함하는 피복 재료가 바람직하다. 다만, 와이어의 끝단으로서 결합부에 삽입되는 부분은 절연성 튜브가 피복되지 않고 노출되도록 구성하여, 버스바 본체(100)와 결합부(200) 간의 통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는 미도시 되었지만, 버스바가 통상적으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와이어를 피복이 없는 선형의 도전부재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개별 와이어의 표면적은 감소할 수 있다. 피복되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서 방열 성능이 오히려 높아지거나 떨어질 수 있다.
결합부(200)에 있는 각각의 홀(210)에는 한 개의 와이어(110)가 개별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부(2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및/또는 복수의 와이어들(110)이 한 개의 홀(210)에 함께 삽입되어 결합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들 간에 이격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목적에서는 결합부(200)의 홀(210) 마다 한 개의 와이어(11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결합부(200)의 홀(210)에 대한 와이어(110)의 결합 방법으로는, 단순 끼움, 전도성 접착제 부가, 및 용가제의 용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가제의 용해 방법을 사용하여 결합부의 홀에 와이어를 결합하는 경우, 각각의 와이어들의 끝 부분에 용가제를 부가한 후 결합부의 홀에 상기 용가제가 부가된 와이어를 삽입하고 브레이징 용접하는 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는, 결합부의 홀 내부에 용가제를 부가한 후 상기 홀에 와이어를 삽입한 후 브레이징 용접하는 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결합부(200)의 크기 및 결합부에 형성된 홀의 개수 및 홀의 크기(D)는 버스바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전장부재의 전류 사양, 필요한 와이어의 개수 및 와이어의 굵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결합부의 홀 중 일부에만 와이어가 결합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와이어들(110)이 전체적으로 이격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버스바 본체의 중간부에 두께가 얇으면서 측면에 도 3의 홀(210)이 배치된 형태와 동일한 홀이 마련된 중간 고정부가 더 부가될 수 있다. 상기 중간 고정부 각각의 홀에는 결합부(200)의 홀(210)에 결합된 와이어들(110)이 동일한 형태로 관통할 수 있다.
결합부(200)는 전기적 접촉과 물리적 고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결합수단이 부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200)는 두께 방향을 관통하는 결합부재 체결용 관통구(220)가 형성될 수 있는 바, 결합부(200)의 일측면에 이와 결합하기 위한 부품을 배치하되 상호 간의 결합부재 체결용 관통구가 서로 일치하도록 배치하고, 관통구(220)를 통해 볼트, 핀, 리벳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삽입한 후 너트나 고정부재로 고정하거나 리벳팅 작업을 진행하여 결합부와 부품 간의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결합부(200)에 관통구가 없는 경우로서, 결합부의 결합면에 전도성 접착제를 부가하거나, 결합부에 체결용 후크나 걸쇠를 마련하여 다른 부품에 체결하거나, 결합부 전체가 다른 부품에 있는 홈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원발명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a)는 제2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를 도시하고, 도 4의 (b)는 제3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를 도시하고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 및 제3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에서 버스바 본체(100)는 2개의 소단위 와이어 집합체로 구성된다. 버스바 본체(100)의 제1측 끝단은 1개의 제1결합부(200)와 결합하고, 버스바 본체(100)의 제2측 끝단은 소단위 와이어 집합체 별로 각각 제3결합부(200)와 결합한다.
단일 소단위 와이어 집합체에서 와이어들은 동일 평면 상에서 서로 간에 이격 간격이 형성되도록 제2결합부(200) 및 제3결합부(200)와 결합하되, 제1결합부에 결합된 서로 다른 소단위 집합체들이 모두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또는 소단위 집합체 별로 서로 다른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3결합부의 크기는 제1결합부 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제3결합부로 제1결합부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단위 와이어 집합체로 버스바 본체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부품을 복수의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이 가능하기 때문에 버스바 어셈블리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줄어든 버스바 어셈블리의 개수 만큼 전장부품에서 버스바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커넥터의 개수를 줄일 수 있는 바, 전기적 연결을 위해 필요한 면적을 다른 기능을 위한 면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전기적 연결 회로 구성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는 소단위 와이어 집합체들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제3결합부가 결합되는 제3-1전장부품과 제1결합부가 결합되는 제1전장부품 간의 거리가 제3결합부가 결합되는 제3-2전장부품과 제1결합부가 결합되는 제1전장부품 간의 거리와 다른 경우에도 한 개의 버스바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서로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원발명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의 제조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버스바 어셈블리 일부의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내부에 복수의 홀(210)이 형성된 결합부(200)를 준비하는 단계(도 5의 (a)), 홀(210)에 버스바 본체(100)를 구성하는 와이어들을 삽입하는 단계(도 5의 (c)), 및 와이어들을 결합부(200)와 결합하는 단계(도 5의 (d))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와이어들과 결합부가 결합하는 방법으로서 용가제(300)의 용해에 의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 바, 버스바 본체(100)를 구성하는 와이어들을 결합부(200)와 결합하기 이전에 도 5의 (b)와 같이 결합부(200)의 홀(210)에 용가제(300)를 부가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결합부(200)의 홀(210)에 삽입될 와이어들의 끝단에 용가제를 부가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c)와 같이, 결합부(200)의 홀(210)에 버스바 본체(100)를 삽입한 후, 결합부의 홀(210) 주변부(400)를 가열하는 블레이징 용접을 진행하여 버스바 본체(100)를 결합부(200)과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가제로서 은(Ag)을 사용할 수 있는 바, 주변부(400)의 가열 온도는 은이 용융되는 온도 보다는 높고 와이어와 결합부가 용융되는 온도 보다는 낮은 온도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버스바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전지모듈 내부에서 전장부품들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한 전지모듈을 제조할 수 있으며, 또는 전지모듈과 그 외부에 있는 주변 부품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별도의 냉각 부재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버스바 본체의 넓은 표면 및 이격 공간을 통해서 뛰어난 냉각 효과를 발휘하는 버스바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원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원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00: 버스바 본체
110: 와이어
111: 도전부재
112: 절연성 튜브
200: 결합부, 제1결합부, 제2결합부, 제3결합부
210: 홀
220: 관통구
300: 용가제
400: 홀 주변부

Claims (15)

  1. 복수의 와이어들로 구성되는 와이어 집합체 형태의 버스바 본체; 및
    상기 버스바 본체의 양 끝단 각각에서 와이어들과 결합하는 결합부;
    를 포함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들 각각은 선형의 도전부재를 절연성 튜브가 피복한 형태로 구성되는 버스바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들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격 공간이 마련된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와이어들이 삽입되기 위한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홀에는 한 개 이상의 와이어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버스바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와 와이어는 단순 끼움, 전도성 접착체, 및 용가제의 용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서 결합되는 버스바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전기적 접촉과 물리적 고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결합수단이 부가되는 버스바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결합부재 체결용 관통구를 포함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볼트와 너트, 볼트, 핀, 및 리벳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버스바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본체의 제1측 끝단은 1개의 제1결합부와 결합하고, 상기 버스바 본체의 제2측 끝단은 1개의 제2결합부와 결합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본체를 구성하는 와이어들은 길이가 일정한 버스바 어셈블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본체는 2개 이상의 소단위 와이어 집합체로 구성되고,
    상기 버스바 본체 제1측 끝단은 1개의 제1결합부와 결합하고, 상기 버스바 본체 제2측 끝단은 상기 소단위 와이어 집합체 별로 제3결합부와 결합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단위 와이어 집합체들의 길이는 서로 상이한 버스바 어셈블리.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 제조방법으로서,
    내부에 복수의 홀이 있는 결합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홀에 버스바 본체를 구성하는 와이어들을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와이어들을 상기 결합부와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들과 상기 결합부가 결합하는 것은 용가제의 용해에 의한 것인 버스바 어셈블리 제조방법.
  15.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20220121727A 2022-09-26 2022-09-26 와이어 집합체로 구성되는 버스바 본체를 포함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KR2024004289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727A KR20240042893A (ko) 2022-09-26 2022-09-26 와이어 집합체로 구성되는 버스바 본체를 포함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PCT/KR2023/014397 WO2024071835A1 (ko) 2022-09-26 2023-09-21 와이어 집합체로 구성되는 버스바 본체를 포함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727A KR20240042893A (ko) 2022-09-26 2022-09-26 와이어 집합체로 구성되는 버스바 본체를 포함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2893A true KR20240042893A (ko) 2024-04-02

Family

ID=90478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1727A KR20240042893A (ko) 2022-09-26 2022-09-26 와이어 집합체로 구성되는 버스바 본체를 포함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42893A (ko)
WO (1) WO202407183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1330A (ja) 2006-08-02 2008-02-21 Sumiden Asahi Industries Ltd 車両用フレキシブルバスバ
KR20180135809A (ko) 2017-06-13 2018-12-21 티이 커넥티버티 저머니 게엠베하 전기 고전류 연결기 및 전기 고전류 연결기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51476B2 (ja) * 2011-10-19 2017-06-21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源装置
KR102059612B1 (ko) * 2016-08-24 2019-1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 내에서 공간을 적게 점유하는 상호 연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JP6539623B2 (ja) * 2016-09-13 2019-07-03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及び電池パック
KR20210044098A (ko) * 2019-10-14 2021-04-22 주식회사 엘지화학 Ffc 케이블 조립체
KR20210131156A (ko) * 2020-04-23 2021-11-02 진영글로벌 주식회사 열방출능력이 향상된 중공형 구조의 플렉시블 버스바, 이를 포함하는 전력공급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1330A (ja) 2006-08-02 2008-02-21 Sumiden Asahi Industries Ltd 車両用フレキシブルバスバ
KR20180135809A (ko) 2017-06-13 2018-12-21 티이 커넥티버티 저머니 게엠베하 전기 고전류 연결기 및 전기 고전류 연결기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71835A1 (ko) 202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56373B2 (ja) 電池モジュール内に占める空間が少ない相互連結部材及びこれを備える電池モジュール
US10381633B2 (en) Busbar
JP6682481B2 (ja) 導体モジュール
CN101997099B (zh) 具有提高的散热效率的电池组
JP5504979B2 (ja) 電池接続アセンブリ
US9806441B2 (en) Connecting structure for bus bar and electrical wire
JP6439710B2 (ja) バスバーモジュール
JP6717788B2 (ja) 導体モジュール
US10727655B2 (en) Conduction path
WO2018021084A1 (ja) 冷却機能付き導電部材
JP2011040332A (ja) バスバ
JP2004127698A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CN110048066B (zh) 外部连接汇流条的连接构造及外部连接汇流条的连接方法
US20190221817A1 (en) Battery module
JP2012169129A (ja) 電池接続アセンブリ及び電池モジュール
US20230253685A1 (en) FFC Bus Bar
KR20240042893A (ko) 와이어 집합체로 구성되는 버스바 본체를 포함하는 버스바 어셈블리
CN116648026A (zh) 汇流条冷却构造
CN109326931B (zh) 分布式小型配电器、导线系统和制造方法
JP2004119187A (ja) バッテリ構成方法
US20220109132A1 (en) Battery module support beam
CN215070191U (zh) 电芯支撑架、电芯模组以及电池包
KR102509627B1 (ko)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
EP4297149A1 (en) Busbar assembly
EP3771592B1 (en) Passive device for cooling electrical c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