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2815A -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2815A
KR20240042815A KR1020220121571A KR20220121571A KR20240042815A KR 20240042815 A KR20240042815 A KR 20240042815A KR 1020220121571 A KR1020220121571 A KR 1020220121571A KR 20220121571 A KR20220121571 A KR 20220121571A KR 20240042815 A KR20240042815 A KR 20240042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 return
unit
monitoring
cctv
crime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1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호
김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딕스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딕스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딕스시스템
Priority to KR1020220121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2815A/ko
Publication of KR20240042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281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2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triangulation other than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8Attachment of child unit to child/art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회적 약자인 안심귀가 대상자의 안심귀가를 돕기 위한 안심귀가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고화질의 전방향 영상 및 오디오를 수집 및 분석하여 범죄 발생 이벤트 및 위험상황을 인지하는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을 착용하고 폐쇄회로텔레비전(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 방범 모듈이 설치된 도로의 지주에 근접하는 안심귀가 대상자의 위치를 지주의 위치 및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의 위치추적 모듈에 의한 자체 측정 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측정하여 상기 안심귀가 대상자가 집에 도착할 때까지 위치를 추적하고, 획득되는 영상 및 오디오를 통해 범죄 발생 이벤트 및 위험 상황 인지 시 음성 이머전시 영상 및 오디오를 통해 안심귀가 대상자의 주변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Proximity location-based safe returning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회적 약자인 안심귀가 대상자의 안심귀가를 돕기 위한 안심귀가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고화질의 전방향(360°) 영상 및 오디오를 수집 및 분석하여 범죄 발생 이벤트 및 위험상황을 인지하는 웨어러블 기기인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을 착용하고 폐쇄회로텔레비전(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 방범 모듈이 설치된 도로의 지주에 근접하는 안심귀가 대상자의 위치를 지주의 위치 및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의 위치추적 모듈에 의한 자체 측정 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측정하여 상기 안심귀가 대상자가 집에 도착할 때까지 위치를 추적하고, 획득되는 영상 및 오디오를 통해 범죄 발생, 위험 상황 발생 등과 같은 위험 감지 이벤트의 발생 시 음성 이머전시(emergency) 영상 및 오디오를 통해 안심귀가 대상자의 주변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적이 드문 길거리에서 묻지마 폭행 등과 같은 범죄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여성을 대상으로 한 강력범죄가 증가하고 있다.
여성을 대상으로 한 강력범죄가 발생하는 장소는 범죄 유형별로 다양한 패턴을 보이고 있으며, 여성이 강력범죄를 피할 수 있는 안전지대는 생각만큼 많지 않으며, 경찰들만으로 이러한 장소에서 발생하는 강력범죄를 단속하기는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범죄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장소의 지주에 폐쇄회로텔레비전(CCTV) 및 안심귀가 음성인식 음성 이머전시 비상벨을 설치하고 원격지에서 CCTV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모니터링하여 범죄 발생 가능성이 존재할 경우 또는 귀가 안심 비상벨이 눌리는 경우, 즉각 해당 지주가 설치된 장소로 경찰을 파견할 수 있는 CCTV 방범 보안 시스템 등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지주에 설치된 CCTV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촬영 거리가 멀어, 실질적으로 폭행 등의 범죄가 발생하기 전까지는 영상에 의한 안심귀가 대상자 주변 상황을 정확하게 인지하기 어려워 범죄를 예방하거나 빠르게 대처하는 데 한계가 있다.
또한, CCTV가 지주에 설치되므로 CCTV가 설치된 지주의 거리가 멀거나 사각지대가 존재하는 경우 안심귀가 대상자를 모니터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CCTV 방범 보안 시스템은 위험상황에서 안심귀가 대상자가 안심귀가 비상벨까지 갈 수 없거나 누를 수 없는 경우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8359호(2016.09.21.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029034호(2022.03.08.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초고화질의 전방향 영상 및 오디오를 수집 및 분석하여 범죄 발생 이벤트 및 위험상황을 인지하는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을 착용하고 폐쇄회로텔레비전(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 방범 모듈이 설치된 도로의 지주에 근접하는 안심귀가 대상자의 위치를 지주의 위치 및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의 위치추적 모듈에 의한 자체 측정 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측정하여 상기 안심귀가 대상자가 집에 도착할 때까지 위치를 추적하고, 획득되는 영상 및 오디오를 통해 범죄 발생 이벤트 및 위험 상황 인지 시 음성 이머전시 영상 및 오디오를 통해 안심귀가 대상자의 주변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시스템은: CCTV를 포함하여 도로의 지주에 설치되어 무선통신으로 수신되는 안심귀가 정보에 자신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방범 모듈 식별정보를 더 포함하여 전송하는 다수의 CCTV 방범 모듈; 안심귀가 대상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상기 CCTV 방범 모듈의 무선통신 범위 내에 진입 시 상기 CCTV 방범 모듈과 무선으로 자동 연결하고, 안심귀가 대상자의 주변 전방향을 촬영한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을 저장하고, 단말 식별정보 및 위험상황 발생 여부에 따른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안심귀가 정보를 무선 연결된 상기 CCTV 방범 모듈로 전송하는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 및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이 송신한 안심귀가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CCTV 방범 모듈로부터 수신받고, 수신된 안심귀가 정보의 방범 모듈 식별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을 착용한 상기 안심귀가 대상자의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안심귀가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을 관리자 단말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안심귀가 관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은, 무선송수신 거리 이내로 들어오는 CCTV 방범 모듈과 미리 설정된 무선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링크를 설정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로를 형성하는 무선통신부; 전방향을 촬영할 수 있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여 상기 각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촬영부; 및 상기 영상을 저장하는 단말 저장부; 안심귀가 모니터링 이벤트의 발생 시 상기 영상 촬영부를 통해 촬영되는 상기 영상을 결합하여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 및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안심귀가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CCTV 방범 모듈로 전송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 및 스피커를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마이크를 통해 상기 안심귀가 대상자 주변의 오디오를 수집하여 상기 단말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스피커를 통해 비상벨을 발생시키는 음성 이머전시 콜을 형성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를 상기 안심귀가 정보에 더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 제어부는, 무선통신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CCTV 방범 모듈로부터 무선신호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미리 설정된 무선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통신부를 통해 무선설정을 수행하는 무선통신 설정부; 상기 영상 촬영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들을 획득하여 상기 단말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영상을 결합하여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획득부; 및 상기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 및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안심귀가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무선 연결된 CCTV 방범 모듈로 전송하는 안심귀가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 제어부는, 무선통신부를 통해 CCTV 방범 모듈로부터 무선신호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미리 설정된 무선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통신부를 통해 무선설정을 수행하는 무선통신 설정부; 상기 영상 촬영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들을 획득하여 상기 단말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영상을 결합하여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오디오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디오를 획득하여 상기 단말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오디오들을 결합한 전방향 모니터링 오디오를 생성하는 음성 획득부; 및 상기 영상 및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 상기 오디오 및 전방향 모니터링 오디오 중 어느 하나 이상 및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안심귀가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CCTV 방범 모듈로 전송하는 안심귀가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영상 및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석하여 위험상황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하고, 분석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영상 분석부; 상기 오디오 및 전방향 모니터링 오디오 중 어느 하나를 분석하여 위험상황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하고, 분석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음성 분석부; 및 상기 영상 분석부 및 음성 분석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위험상황이 발생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위험상황 발생 감지 시 위험상황이 발생했음을 무선연결된 CCTV 방범 모듈을 통해 안심귀가 관제부로 전송하는 위험 발생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 제어부는, 안심귀가 모니터링 이벤트의 감지를 위한 전력만을 사용하는 대기모드로 동작하고, 대기모드 동작 중 안심귀가 모니터링 이벤트의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영상획득, 오디오 획득 및 통신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여 전체 동작을 활성화하는 풀 전력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드 전환부는, 대기모드에서 무선통신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안심귀가 구간의 CCTV 방범 모듈이 감지되면 상기 안심귀가 모니터링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방법은: 안심귀가 대상자의 신체에 착용된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이 CCTV 방범 모듈의 무선통신 범위 내에 진입 시 상기 CCTV 방범 모듈과 무선으로 자동 연결하고, 안심귀가 대상자의 주변 전방향을 촬영한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을 포함하는 상기 안심귀가 정보를 무선 연결된 상기 CCTV 방범 모듈로 전송하는 안심귀가 정보 전송 과정; CCTV를 포함하여 도로의 지주에 설치되는 CCTV 방범 모듈이 무선통신으로 수신되는 안심귀가 정보에 자신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방범 모듈 식별정보를 더 포함하여 안심귀가 관제부로 전송하는 안심귀가 정보 중계 과정; 및 상기 안심귀가 관제부가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이 송신한 안심귀가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CCTV 방범 모듈로부터 수신받고, 수신된 안심귀가 정보의 방범 모듈 식별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을 착용한 상기 안심귀가 대상자의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안심귀가 정보에 포함된 영상을 관리자 단말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안심귀가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심귀가 정보 전송 과정은, 상기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의 단말 제어부가 무선통신부를 통해 CCTV 방범 모듈로부터 무선신호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미리 설정된 무선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통신부를 통해 무선설정을 수행하는 무선통신 설정 단계; 상기 단말 제어부가 영상 촬영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들을 획득하여 상기 단말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영상을 결합하여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획득 단계; 및 상기 단말 제어부가 상기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 및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안심귀가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무선 연결된 CCTV 방범 모듈로 전송하는 안심귀가 정보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심귀가 정보 전송 과정은, 상기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의 단말 제어부가 무선통신부를 통해 CCTV 방범 모듈로부터 무선신호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미리 설정된 무선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통신부를 통해 무선설정을 수행하는 무선통신 설정 단계; 상기 단말 제어부가 영상 촬영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들을 획득하여 상기 단말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영상을 결합하여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획득 단계; 상기 단말 제어부가 오디오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디오를 획득하여 상기 단말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오디오들을 결합한 전방향 모니터링 오디오를 생성하는 음성 획득 단계; 및 상기 단말 제어부가 상기 영상 및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 상기 오디오 및 전방향 모니터링 오디오 중 어느 하나 이상 및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안심귀가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CCTV 방범 모듈로 전송하는 안심귀가 정보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심귀가 정보 전송 과정은, 상기 단말 제어부가 상기 영상 및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석하여 위험상황이 발생되는지를 판단하고, 분석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영상 분석 단계; 상기 단말 제어부가 상기 오디오 및 전방향 모니터링 오디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석하여 위험상황이 발생되는지를 판단하고, 분석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음성 분석 단계; 및 상기 단말 제어부가 상기 영상 분석부 및 음성 분석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위험상황이 발생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위험상황 발생 감지 시 위험상황이 발생했음을 무선연결된 CCTV 방범 모듈을 통해 안심귀가 관제부로 전송하는 위험 발생 모니터링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심귀가 정보 전송 과정은, 상기 단말 제어부가 안심귀가 모니터링 이벤트의 감지를 위한 전력만을 사용하는 대기모드로 동작하고, 대기모드 동작 중 안심귀가 모니터링 이벤트의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영상획득, 오디오 획득 및 통신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여 전체 동작을 활성화하는 풀 전력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심귀가 모니터링 이벤트는 대기모드에서 무선통신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안심귀가 구간의 CCTV 방범 모듈이 감지되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안심귀가 대상자의 신체에 착용되고 안심귀가 대상자의 주변 360도를 촬영하므로 사각지대 없이 안심귀가 대상자의 주변을 촬영 및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심귀가 대상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지주의 CCTV 방범 모듈과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CCTV 방범 모듈이 실시 예에 따라 설치된 지주의 위치에 기반하여 안심귀가 대상자의 위치를 추적하므로, 별도의 위치추적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모듈 없이도 안심귀가 대상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으면서도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이 지주와 떨어져 있어도 안심귀가 대상자의 주변 영상을 관제센터로 전송하므로 지주들 사이의 사각지대에 제한없이 안심귀가 대상자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은 자체적인 영상 및 음성 분석을 통해 위험상황을 감지하여 비상벨을 울리고 관제센터로 통지하므로 위험상황에 놓인 안심귀가 대상자를 주변 사람들에게 빨리 노출시켜 위험상황에서 최대한 빠르게 벗어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시스템의 지주에 설치되는 CCTV 방범 모듈 및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 간의 상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시스템의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시스템의 안심귀가 관제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 간 송수신되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방법 중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방법 중 안심귀가 관제부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고, 상기 시스템에서의 안심귀가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지주란 통신폴(Pole), 가로등 폴, 교통 신호등 폴 등과 같이 본 발명의 CCTV 방범 모듈이 설치될 수 있는 모든 지주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시스템의 통신지주에 설치되는 CCTV 방범 모듈 및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 간의 상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시스템은 CCTV 방범 모듈(100),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 및 안심귀가 관제부(400)를 포함하고, 실시 예에 따라 관리자 단말부(500), 보호자 단말기(610), 경찰 단말기(620) 및 통합 플랫폼(800)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CCTV 방범 모듈(100),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 안심귀가 관제부(400), 관리자 단말부(500), 보호자 단말기(610), 경찰 단말기(620) 및 통합 플랫폼(800)은 유무선 데이터통신망(700)에 무선 및 유선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유무선 데이터통신망(700)은 와이파이(WiFi)망 및 로컬망(LAN)을 포함하는 인터넷망, 3세대(3 Generation: 3G), 4G, 5G 등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와이브로망, 장거리 무선통신망인 장거리(Long Range: LoRa) 센서기반 광역망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결합되어 있는 데이터통신망일 수 있을 것이다.
CCTV 방범 모듈(100)은 CCTV(10), 게이트웨이인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 AP)(20), AI 스피커(30) 및 제어모듈(40)을 포함하여 도로상의 지주(3)에 설치되어, CCTV(1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안심귀가 관제부(400)로 전송하고, 본 발명에 따라 AP(20)를 통해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로부터 수신되는 안심귀가 정보에 자신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방범 모듈 식별정보를 더 포함하여 안심귀가 관제부(400)로 전송한다.
CCTV(10)는 지주(3) 주변을 촬영한 영상을 제어모듈(40)로 제공한다.
제어모듈(40)은 방범 모듈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CCTV(1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및 안심귀가 정보를 AP(20)를 통해 안심귀가 관제부(400)로 전송한다.
제어모듈(40)은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로부터 구조 요청 정보의 수신 시 CCTV(10)를 회전하여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의 위치 방향으로 회전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안심귀가 관제부(400)로 전송한다. 상기 구조 요청 정보에는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에 구성된 GPS 모듈에 의해 측정된 GPS 위치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자신의 위치정보와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의 위치정보에 의해 상기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 위치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모듈(40)은 감시영역(1)으로 진입하여 무선통신이 형성된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로부터 안심귀가 정보를 수신하고, 자신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안심귀가 정보를 안심귀가 관제부(4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로부터 수신되는 안심귀가 정보는 GPS 위치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제어모듈(40)은 상기 GPS 위치정보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주의 위치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안심귀가 정보를 안심귀가 관제부(4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AP(20)는 일정 반경을 가지는 무선 송수신영역(1)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과 미리 설정된 무선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 송수신영역(1)은 AP(20) 송신전력 및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의 송신전력 및 수신 민감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무선 송수신영역(1) 안심귀가 대상자의 정확한 위치추적을 위해서 작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른 무선 송수신영역(1)과 중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AP(20)는 50m를 전후하여 무선 송수신영역(1)을 결정할 수 있는 와이파이(WiFi) AP이거나, 수 Km의 통신영역을 형성할 수 있는 LoRa AP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유무선 데이터통신망(700)은 와이파이망 LoRa 센서 기반 광역망을 형성하는 AP(20)를 포함하나,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고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AP(20)를 별도로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AP(20)는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신호전계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를 측정하고, 측정된 RSSI를 제어모듈(4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AI 스피커(30)는 제어모듈(40)의 제어를 받아 구조음성, 구조 비상벨 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제어모듈(40)은 본 발명에 따라 AP(20)를 통해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로부터 수신되는 안심귀가 정보에 자신의 방범 모듈 식별정보를 더 포함하고, 실시 예에 따라 상기 RSSI를 더 포함하여 AP(20) 및 유무선 데이터통신망(700)을 통해 안심귀가 관제부(400)로 전송한다.
상기 방범 모듈 식별정보로 상기 AP(20)의 맥어드레스(MAC Adress)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AP(20)를 통한 전송 시 안심귀가 정보를 포함하는 해당 통신 프로토콜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될 것이다.
상기 제어모듈(40)은 CCTV(10) 및 AP(20)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은 안심귀가 대상자(2)에게 지급되는 웨어러블 기기로 목에 목걸이와 같이 착용될 수 있는 목걸이(Necklace)형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은 목걸이형으로 구성되되,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고 카메라 및 마이크 등이 구성되는 목걸이부와, 상기 목걸이부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배터리 및 제어수단 등을 포함하여, 상기 목걸이부와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본체부는 사용자가 여성인 경우 가방 등에 구비될 수 있고, 남성인 경우, 허리띠에 착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은 안심귀가 대상자(2) 주변의 360도 방향을 촬영하여 SD(Secure Digital) 메모리 등과 같은 내부 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고, 360도 방향의 오디오를 녹음할 수 있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카메라 및 마이크가 안심귀가 대상자(2)의 목을 기준으로 앞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영상 및 오디오는 암호화되어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은 무선 송수신영역(1)에 진입 시 동작 모드에 따라 무선 송수신영역(1)을 식별하고, 해당 AP(20)와 미리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 연결되어 안심귀가 정보를 CCTV 방범 모듈(100)로 전송한다.
상기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은 상기 둘 이상의 카메라 및 둘 이상의 마이크를 통해 획득되는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 및 전방향 모니터링 오디오를 포함하는 안심귀가 정보를 CCTV 방범 모듈(100)로 전송한다. 상기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은 안전상태에서는 CCTV 감시부 식별정보만을 포함하는 안심귀가 정보만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범죄 발생, 위험 상황 발생 등과 같은 위험 감지 이벤트의 발생 시에만 암호화되어 저장된 영상 및 오디오와, 실시간 촬영되는 영상 및 오디오를 안심귀가 정보에 포함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암호화된 영상 및 오디오는 상기 안심귀가 대상자가 회원으로 등록 시 설정한 암호와 공공기관이 알고 있는 암호에 의해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은 유무선 데이터통신망(700)망의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영상 및 오디오를 안심귀가 관제부(400)로 직접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은 자체적으로 획득된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 및 전방향 모니터링 오디오 각각을 분석하여 주변에서 안심귀가 대상자(2)에게 위협을 가하거나 생명을 위태롭게 할 수 있는 구조상황(또는 "위험상황"이라 함)의 발생에 의한 위험 감지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구조상황 발생 시 구조 요청 정보를 CCTV 방범 모듈(100)을 통해 또는 직접 안심귀가 관제부(400)로 전송하고, 자체적으로 비상벨을 울린다. 이때 상기 구조 요청 정보를 수신한 CCTV 방범 모듈(100)은 AI 스피커(30)를 통해 구조음성, 구조 비상벨 등을 발생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은 안심귀가 대상자(2)가 발화한 음성을 인식하여 비상벨을 발생시키거나 구조 요청 정보를 CCTV 감시부(100)로 발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은 후술할 도 3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안심귀가 관제부(400)는 관제센터 등에 구성될 수 있으며, CCTV 방범 모듈(100)의 방범 모듈 식별정보에 지주의 지리적인 위치정보를 맵핑하여 CCTV 방범 모듈(100)의 위치를 관리하며,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을 지급한 안심귀가 대상자(2)에 대한 대상자 정보 및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의 단말 식별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며, 실시 예에 따라 안심귀가 대상자(2)별로 신청한 안심귀가 구간을 저장하여 관리한다. 상기 안심귀가 구간은 안심귀가 대상자가 안심귀가 구간 시작 지점부터 집까지의 경로상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CCTV 방법 모듈(100)의 순차적인 방범 모듈 식별정보로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CCTV 방범 모듈(100-1)은 안심귀가 구간의 시작점일 수 있고, CCTV 방범 모듈(100-n)은 도착지로 집 근처의 CCTV 방범 모듈(100)일 수 있을 것이다.
안심귀가 관제부(400)는 상기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에 대한 안심귀가 정보의 수신 시 안심귀가 정보에 포함된 CCTV 방범 모듈(100)의 방범 모듈 식별정보에 의해 CCTV 방범 모듈(100)이 설치된 지주(3)의 위치를 판단하고,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에 대해 판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CCTV 방범 모듈(100)이 설치된 지주(3)의 위치들에 의해 상기 지주(3)에 근접 위치한 안심귀가 대상자(2)의 위치를 추정한다. 이때 각 CCTV 방범 모듈(100)에서 수신한 안심귀가 정보의 RSSI를 이용하여 위치추적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안심귀가 관제부(400)는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로부터 구조 요청 정보가 수신되거나, 안심귀가 대상자(2)의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 및 전방향 모니터링 오디오를 모니터링 중인 관리자에 의해 관리자 단말부(500)로부터 구조 요청 정보가 수신되거나, 상기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 및 전방향 모니터링 오디오의 자체 분석에 의한 구조상황이 발생하면 상기 안심귀가 대상자(2)에 대해 미리 등록된 보호자의 보호자 단말기(610)로 안심귀가 대상자 구조 요청 안내 정보를 전송하고, 소방서, 경찰서 등을 포함하는 공공기관과 연동되는 국토부의 통합플랫폼(800)을 통해 경찰 단말기(620)로 구조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구조 요청 안내 정보는 상기 안심귀가 대상자(2)의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실시 예에 따라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 및 전방향 모니터링 오디오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시스템의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은 단말 저장부(210), 무선통신부(240), 영상 촬영부(250), 오디오 처리부(260) 및 단말 제어부(270)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20), 입력부(230), 위치추적모듈(300), 초광원모듈(310)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단말 저장부(210)는 본 발명에 따른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 및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영역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어 동작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20)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입력부(230)는 전원버튼, 비상버튼 등을 포함하여 눌린 버튼에 대한 버튼 신호를 단말 제어부(270)로 출력한다.
무선통신부(240)는 AP(20)와 미리 설정된 무선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연결되어, 단말 제어부(270)와 CCTV 방범 모듈(100)의 제어모듈(40)이 상호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241)를 포함하고, 실시 예에 따라 유무선 데이터통신망(700)의 이동통신망에 직접 무선으로 연결되어 유무선 데이터통신망(700)에 연결된 안심귀가 관제부(400), 국가통합플랫폼 등과 같은 장치들과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부(242)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이동통신부(242)는 이동통신망의 LTE 망에 무선으로 연결하여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LTE(Long Term Evolution) 모듈, 5G(5 Generation)망에 연결되어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5G 모듈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상 촬영부(25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초고해상도의 카메라(251)를 포함하여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을 착용한 안심귀가 대상자(2)의 주변 360도 전방향을 촬영하고, 촬영된 둘 이상의 영상을 단말 제어부(270)로 출력한다. 상기 카메라(251)는 최소한 안심귀가 대상자(2)의 목을 기준으로 전방에 한 개, 후방에 한 개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오디오 처리부(260)는 스피커 및 하나 이상의 마이크를 포함하고, 단말 제어부(270)의 제어를 받아 스피커를 통해 비상벨, 구조요청 음성 등을 출력하고, 하나 이상의 마이크를 통해 전방향의 오디오를 수집하여 단말 제어부(270)로 출력한다.
단말 제어부(270)는 무선통신 설정부(272), 영상 획득부(273), 음성 획득부(275), 안심귀가 정보 생성부(278) 및 구조 요청부(279)를 포함하고, 실시 예에 따라 모드 전환부(271), 영상 분석부(274), 음성 분석부(276), 위험 발생 모니터링부(277) 및 단말 위치 추적부(280)를 더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모드 전환부(271)는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로 이용하는 대기모드 및 최대 전력을 이용하는 풀 전력 모드를 설정한다. 상기 대기모드는 기본 모드로 안심귀가 모니터링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데만 전력을 사용하는 모드이다. 상기 안심귀가 모니터링 이벤트는 입력부(230)의 전원버튼 및 비상버튼 중 어느 하나가 눌리는 경우 발생될 수도 있고, 무선통신부(24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안심귀가 구간의 CCTV 방범 모듈(100)이 식별되는 경우 발생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안심귀가 구간의 다수의 CCTV 방범 모듈(100)의 방범 모듈 식별정보는 단말 저장부(210)에 저장되어 있을 것이다.
무선통신 설정부(27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송수신영역(1)에 진입 시 진입한 무선 송수신영역(1)의 CCTV 방범 모듈(100)의 AP(20)와 미리 설정된 무선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통신 설정을 수행한다.
영상 획득부(273)는 영상 촬영부(250)를 구동하여, 영상 촬영부(25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또는 상기 영상들을 합성하여 전방향(360°) 모니터링 영상을 생성한 후, 단말 저장부(210)에 저장한다. 상기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은 상기 영상들을 단순히 포함하는 영상을 의미할 수도 있고, 상기 영상들을 하나의 영상으로 합성하거나 360도 회전 영상으로 합성된 영상일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영상 획득부(273)는 풀 전력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영상 분석부(274)는 위험상황 분석부(281) 및 쓰러짐 분석부(282)를 포함하여, 영상 분석에 의한 범죄, 위험 상황 등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험상황 분석부(281)는 상기 영상 및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을 분석하여 안심귀가 대상자(2) 주변에 상기 안심귀가 대상자(2)를 위험하게 할 구조상황이 발생되는지를 분석하고, 그에 대한 결과 정보를 위험 발생 모니터링부(277)로 출력한다. 상기 구조상황은 모르는 사람이 갑자기 빠르게 근접하거나, 특히 칼, 몽둥이 등의 위험 물건을 소지한 사람이 접근하는 상황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영상 분석부(274)는 구조상황을 초래하는 다수의 사진(칼을 들고 달려드는 사진) 등에 의해 구조상황을 학습한 인공지능모델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쓰러짐 분석부(282)는 상기 영상 및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을 분석하여 안심귀가 대상자(2)가 바닥에 쓰러지는지를 분석하고, 그에 대한 결과 정보를 위험 발생 모니터링부(277)로 출력한다.
음성 획득부(275)는 오디오 처리부(260)로부터 오디오를 입력받고, 전방향 모니터링 오디오를 생성한 후, 오디오 및 전방향 모니터링 오디오를 단말 저장부(210)에 저장한다. 상기 전방향 모니터링 오디오는 입력되는 오디오를 하나의 오디오로 합성한 오디오일 수도 있고, 오디오 별로 방향성 정보(전방, 후방, 우측방, 좌측방 등)를 포함하여 합성된 오디오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음성 분석부(276)는 오디오 및 전방향 모니터링 오디오를 분석하여 구조상황이 발생하는지를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위험 발생 모니터링부(277)로 출력한다. 상기 음성 분석부(276)는 획득되는 오디오의 음성인식 및 음성 인식된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조상황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음성 분석부(276)는 "도와주세요", "살려주세요" 등과 같은 오디오를 음성 인식한 텍스트 [도와주세요], [살려주세요]를 분석하여 안심귀가 대상자가 위험상황에 처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위험 발생 모니터링부(277)는 영상 분석부(274) 및 음성 분석부(276)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구조상황 발생 여부 결과 정보를 입력받고, 구조상황 발생 여부 결과 정보에 따른 안심귀가 대상자(2)에게 위험상황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
안심귀가 정보 생성부(278)는 상기 영상 획득부(273)에서 생성된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 및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실시 예에 따라 음성 획득부(275)에서 생성된 전방향 모니터링 오디오를 더 포함하는 안심귀가 정보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240)를 통해 CCTV 방범 모듈(100)로 전송한다. 상기 안심귀가 정보 생성부(278)는 안전모드, 즉 위험 발생 모니터링부(277)에서 구조상황 발생 여부 결과 정보에 의한 안전상황으로 판단된 상태에서는 영상 및 오디오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단말 식별정보만을 포함하여 CCTV 방범 모듈(1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구조 요청부(279)는 위험 발생 모니터링부(277), 입력부(230), CCTV 방범모듈(100) 및 무선통신부(240)를 통해 안심귀가 관제부(400)로부터 위험 통지 정보의 수신에 의해 구조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오디오 처리부(260)의 스피커를 통해 비상벨, 비상음성 등을 출력하고, 상기 위험 발생 모니터링부(277), 입력부(230)에 의한 구조상황 발생 시 구조 요청 정보를 무선 통신부(240)를 통해 CCTV 방범 모듈(100)로 전송한다.
상기 구조 요청부(279)는 구조상황 발생 시 근거리 무선통신부(241)를 통해 안심귀가 관제부(400)의 관리자 단말부(500) 또는 안심귀가 관제부(400) 및 국가통합플랫폼을 통해 경찰서로 긴급 호를 발신하여 오디오 처리부(260) 및 관리자 단말부(500), 또는 오디오 처리부(260) 및 경찰서 통신 수단 간 통화로를 형성하여 안심귀가 대상자 주변의 소리가 관리자 또는 경찰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단말 위치 추적부(280)는 위치추적 모듈(300)을 통한 실외 위치추적 및 근거리 무선통신부(240) 및 이동 통신부(240)를 통한 실내 위치추적을 수행하고, 추적되는 위치정보를 구조 요청부(279)로 제공하여 안심귀가 관제부(400)로 안심귀가 대상자의 위치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240)를 통한 위치 추적 방식은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한 블루투스 비콘 방식 및 와이파이 비콘을 이용한 와이파이 비콘 방식, 와이파이 AP의 위치를 이용한 와이파이 AP 이용 방식, 이동통신망 기지국에 의한 삼각법 측위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위치추적모듈(300)은 위성위치확인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및 와이파이(WiFi) 기반의 실시간 이동 측위(Real-Time Kinematic: RTK) 위치 보정을 지원하여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의 위치를 측정하여 단말 제어부(270)로 출력한다. 위치추적모듈(300)은 GPS 및 WiFi 기반의 RTK를 지원하므로 수 cm 이내의 위치추적 정확도를 갖는다.
위치추적모듈(300)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안심귀가 정보 생성부(278)는 상기 위치추적모듈(300)로부터 입력되는 GPS 위치정보를 안심귀가 정보에 더 포함시킬 것이다.
초 광원모듈(310)은 초광원 LED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카메라(251)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성되어, 상기 위험 발생 모니터링부(277)를 통해 위험 상황이 감지된 경우, 상기 위험 발생 모니터링부(277) 또는 영상 획득부(273)에 의해 구동되어 안심귀가 대상자(2) 주변을 환하게 밝혀 위험상황을 주변에 알리고 영상 촬영부(25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향상시키거나, 후레쉬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시스템의 안심귀가 관제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안심귀가 관제부(400)는 서버 저장부(410), 통신부(420) 및 서버 제어부(430)를 포함한다.
서버 저장부(410)는 본 발명에 따른 안심귀가 관제부(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 및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영역에는 본 발명에 따라 안심귀가 회원 DB(411), 장비 DB(412), 영상 DB(413), 위치 DB(414)가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안심귀가 회원 DB(411)는 안심귀가 모니터링 서비스를 신청한 안심귀가 대상자(2)에 대한 대상자 이름, 주소, 모바일 전화번호, 적어도 한 명 이상의 보호자 이름, 보호자 모바일 전환번호 등을 포함하는 대상자 정보 및 상기 안심귀가 대상자(2)에게 지급된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의 단말 식별정보 등을 포함하는 안심귀가 대상자별 회원 등록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안심귀가 회원 DB(411)는 안심귀가 대상자(2)별 안심귀가 구간이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안심귀가 구간에 대한 안심귀가 구간 정보는 인적이 드문 구간으로 상기 안심귀가 대상자가 위험 시작 위치부터 집까지의 경로상에 설치된 CCTV 방범 모듈(100)의 방범 모듈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장비 DB(412)는 CCTV 방범 모듈(100)에 대한 방범 모듈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장비 정보 및 CCTV 방범 모듈(100)이 설치된 지주의 지리적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장비 등록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장비 등록 정보는 CCTV 방범 모듈(100)을 구성하는 CCTV(10), AP(20), AI 스피커(30)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것이다.
영상 DB(413)는 CCTV 방범 모듈(100)별로 해당 CCTV 방범 모듈(100)에서 촬영된 영상 및 안심귀가 대상자(2)별로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을 통해 촬영된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을 저장한다.
위치 DB(414)는 서비스 회원으로 등록된 안심귀가 대상자(2)의 안심귀가 구간에 대한 날짜 및 시간별 위치정보를 저장한다.
통신부(420)는 유무선 데이터통신망(700)에 연결되어 유무선 데이터통신망(700)에 유선 및 무선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장치들과 서버 제어부(430)가 상호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서버 제어부(430)는 장비 등록부(431), 회원 등록부(432), 안심귀가 정보 수집부(433), 구조요청 모니터링부(434), 구조 요청자 정보 추출부(435), 위치 추적부(436) 및 보호자 통지부(437)를 포함하고, 실시 예에 따라 경찰 통지부(438), 구조 요청자 영상 추적부(439) 및 비상 해제부(440)를 더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심귀가 관제부(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장비 등록부(431)는 지주(3)에 CCTV 방범 모듈(100)의 설치 시 지주(3)의 지리적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 및 CCTV 방범 모듈(100)의 장비정보를 포함하는 장비 등록 정보를 장비 DB(412)에 저장하여 등록한다.
회원 등록부(432)는 상기 안심귀가 모니터링 서비스에 가입할 안심귀가 대상자(2)에 대한 대상자 정보 및 상기 안심귀가 대상자(2)에게 지급된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의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회원 등록 정보를 안심귀가 회원 DB(411)에 저장하여 회원으로 등록한다.
안심귀가 정보 수집부(433)는 통신부(420)를 통해 CCTV 방범 모듈(100)로부터 상기 안심귀가 모니터링 서비스의 회원으로 등록된 안심귀가 대상자(2)에게 지급된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이 송신한 안심귀가 정보를 수집하고, 안심귀가 정보에 포함된 방범 모듈 식별정보 및 실시 예에 따른 RSSI를 위치 추적부(436)로 출력하고,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 및 전방향 모니터링 오디오를 해당 안심귀가 대상자의 대상자 식별정보에 맵핑하여 영상 DB(413)에 저장한다.
구조요청 모니터링부(434)는 CCTV 방범 모듈(100)을 통해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로부터 구조 요청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구조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구조 요청 정보에 포함된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의 단말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구조 요청자 정보 추출부(435)로 출력하고, 상기 구조 요청 정보에 위치 추적부(436)에서 추적되는 상기 안심귀가 대상자(2)의 위치정보 및 안심귀가 정보에 포함되는 GPS 위치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경찰 통지부(438)로 출력한다.
구조 요청자 정보 추출부(435)는 구조요청 모니터링부(434)로부터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의 단말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안심귀가 회원 DB(411)로부터 구조 요청자인 안심귀가 대상자(2)에 대한 대상자 정보와 상기 안심귀가 대상자(2)의 보호자 모바일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보호자 정보를 추출하여 보호자 통지부(437)로 출력한다.
위치 추적부(436)는 상기 안심귀가 대상자(2)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심귀가 정보 수집부(433)로부터 입력되는 방범 모듈 식별정보 및 RSSI에 근거하여 안심귀가 대상자(2)의 위치를 추적하거나, 실시 예에 따라 안심귀가 정보에 GPS 위치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GPS 위치정보에 의해 위치를 추적하고, 위치 DB(414)에 저장한다.
보호자 통지부(437)는 구조 요청자 정보 추출부(435)로부터 대상자 정보 및 보호자 정보가 입력되면 대상자의 현재 위치 및 구조상황에 놓였음을 알리는 내용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보호자 정보에 포함된 모바일 전화번호의 보호자 단말기(610)로 전송한다. 상기 메시지는 단문메시지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장문메시지서비스(Long Message Service: LMS), 멀티미디어메시지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및 리치커뮤니케이션서비스(Rich Communication Service: RCS)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카카오톡, 라인, 네이트온 등의 메신저를 통해 전송되는 인스턴트 메시지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어플리케이션(또는 "앱"이라 함)을 통한 푸시 메시지일 수도 있을 것이다.
경찰 통지부(438)는 구조요청 모니터링부(434)로부터 구조 요청 정보를 입력받고, 직접 또는 국가통합플랫폼과 연동하여 경찰 서버(미도시)를 통해 상기 구조 요청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안심귀가 대상자(2)의 위치정보의 위치에서 가까운 경찰 단말기(620)로 상기 구조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
구조 요청자 영상 추적부(439)는 구조 요청 후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의 망실 가능성에 대응하여 최근 파악된 위치의 CCTV 방범 모듈(100)에서 해당 안심귀가 대상자(2)가 존재할 것으로 판단되는 CCTV 방범 모듈(100)을 연속적으로 추적하는 영상 추적을 개시하고, 추적되는 영상을 영상 DB(413)에 저장하고, 경찰 단말기(620)로 제공한다.
비상 해제부(440)는 경찰 단말기(620)의 비상 해제 요청에 따른 비상 해제 정보를 경찰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되면 CCTV 방범 모듈(100) 및 CCTV 방범 모듈(100)을 통해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로 비상 해제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비상 해제 정보에는 비상 해제를 하고자 하는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의 단말 식별정보 및 인증 코드 등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CCTV 방범 모듈(100) 및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은 비상벨 울림을 종료하여 비상모드를 해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 간 송수신되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CCTV 방범 모듈(100)은 설치 시부터 CCTV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과 방범 모듈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방범 모듈 영상 정보를 안심귀가 관제부(400)로 전송한다(S01).
그러면 안심귀가 관제부(400)는 수신되는 방범 모듈 영상 정보를 포함된 방범 모듈 식별정보에 맵핑하여 방범 모듈 영상을 영상 DB(413)에 저장한다(S02).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은 동작이 개시되면 적어도 둘 이상의 카메라 및 마이크를 통해 획득된 영상 및 오디오에 의해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 및 전방향 모니터링 오디오를 생성하고(S10), 상기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 전방향 모니터링 오디오 및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안심귀가 정보를 생성한다(S20).
안심귀가 정보가 생성되면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은 무선 연결된 CCTV 방범 모듈(100)로 상기 안심귀가 정보를 전송한다(S30).
상기 안심귀가 정보를 수신한 CCTV 방범 모듈(100)은 안심귀가 정보에 방범 모듈 식별정보를 더 포함하여 안심귀가 관제부(400)로 전송한다(S40).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은 상기 안심귀가 정보 전송 중에 구조 요청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S50), 구조요청 이벤트가 발생되면 구조요청 정보를 CCTV 방범 모듈(100)로 전송한다(S60).
상기 구조 요청 정보를 수신한 CCTV 방범 모듈(100)은 상기 구조 요청 정보에 방범 모듈 식별정보를 포함하여(S70) 안심귀가 관제부(400)로 전송한다(S80).
안심귀가 관제부(400)는 CCTV 방범 모듈(100)로부터 안심귀가 정보가 수신되면 저장하고, 안심귀가 정보에 포함된 방범 모듈 식별정보 및 RSSI에 근거하여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 즉 안심귀가 대상자(2)의 위치를 추적하고, 포함된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 및 전방향 모니터링 오디오를 관리자 단말부(500)로 전송하여 안심귀가 모니터링을 개시한다.
또한, 구조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안심귀가 관제부(400)는 상기 안심귀가 대상자(2)에게 구조상황이 발생했음을 보호자 및 경찰에게 알린다(S90).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방법 중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웽러블 비상벨(200)의 동작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의 단말 제어부(270)는 초기 대기모드를 설정하여(S111) 안심귀가 모니터링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한다(S113). 상기 안심귀가 모니터링 이벤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230)의 전원버튼, 비상버튼 등의 눌림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고, 단말 저장부(210)에 미리 설정된 안심귀가 구간의 CCTV 방범 모듈(100) 중 어느 하나의 감지 시 발생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안심귀가 모니터링 이벤트가 발생되면 단말 제어부(270)는 풀 전력 모드로 전환하여 설정하고(S115), 인근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CCTV 방범 모듈(100)과 무선통신 연결을 수행한다(S117). 상기 단말 제어부(270)는 두 개의 CCTV 방범 모듈(100) 간을 핸드오버 및 핸드오프 시 최소한 어느 한쪽에 연결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두 CCTV 방범 모듈(100) 간의 부득이하게 먼 경우는 어쩔 수 없으나, CCTV 방범 모듈(100) 간의 거리는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 간의 연결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무선통신이 연결되면 단말 제어부(270)는 카메라 촬영부(250) 및 오디오 처리부(260)를 구동하여(S119), 360도 영상인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 및 360도 오디오인 전방향 모니터링 오디오를 생성하여 저장한다(S121).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 및 전방향 모니터링 오디오가 생성되면 단말 제어부(270)는 상기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 전방향 모니터링 오디오 및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안심귀가 정보를 생성하여 접속된 하나 이상의 CCTV 방범 모듈(100)로 전송한다(S123).
상기 안심귀가 정보의 전송과 함께 단말 제어부(270)는 영상 촬영부(25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및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 오디오 및 전방향 모니터링 오디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석하여(S125), 안심귀가 대상자(2)에게 구조상황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한다(S127).
상기 구조상황 이벤트 발생 모니터링은 귀가 시까지 반복 수행된다(S137).
상기 구조상황 이벤트의 발생 시 단말 제어부(270)는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구조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CCTV 방범 모듈(100)로 전송하고(S129), 오디오 처리부(260) 및 스피커를 통해 비상벨을 발생시킨다(S131).
비상벨 발생 후 단말 제어부(270)는 비상해제가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S133), 비상 해제 시 비상벨의 출력을 종료한다(S135). 상기 비상해제는 경찰 단말기(620)로부터 구조상황이 발생한 상기 안심귀가 대상자(2)에 대한 비상 해제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비상 해제 정보가 안심귀가 관제부(400) 및 무선 연결된 CCTV 방범 모듈(100)을 통해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로 수신되는 경우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비상해제는 상기 안심귀가 대상자가 음성으로 비상벨 해제 코드를 음성으로 입력하는 경우 음성인증 및 코드 인증을 수행하여 성공 시 이루어질 수도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방법 중 안심귀가 관제부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버 제어부(430)는 CCTV 방범 모듈(100)의 설치 시, 설치된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 및 CCTV 방범 모듈(100)의 방범 모듈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장비정보를 장비 DB(412)에 저장하여 등록한다(S211).
서버 제어부(430)는 안심귀가 모니터링 서비스 회원 등록 요청 시 안심귀가 모니터링 서비스에 가입하고자 하는 회원의 회원정보를 관리자 단말부(500)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회원을 안심귀가 대상자로 선정하고, 상기 안심귀가 대상자에게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을 할당하고, 할당된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의 단말 식별정보를 회원정보에 맵핑하여 저장하여 회원 등록 및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 등록을 수행한다(S213).
상기 회원에게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이 지급 및 등록되어 상기 회원이 안심귀가 대상자로 지정되면 서버 제어부(430)는 상기 안심귀가 대상자에 대한 안심귀가 모니터링 서비스를 개시한다(S215).
상기 안심귀가 모니터링 서비스가 개시되면 서버 제어부(430)는 CCTV 방범 모듈(100)로부터 안심귀가 정보가 수신되는지(S217), 구조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한다(S223).
안심귀가 정보가 수신되면 서버 제어부(430)는 안심귀가 정보에 포함된 단말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안심귀가 대상자를 식별하고, CCTV 방범 모듈(100)이 설치된 지주(3)의 위치(근접 위치)에 기반한 안심귀가 대상자의 위치를 추적하며,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 및 전방향 모니터링 오디오를 관리자 단말부(500)로 제공하여 안심귀가 모니터링을 개시하고(S219), 상기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 및 전방향 모니터링 오디오를 분석하여, 상기 안심귀가 대상자에 대한 구조상황(위험상황)이 발생되는지를 분석한다(S221).
반면, 구조 이벤트가 발생되면 서버 제어부(430)는 CCTV 방범 모듈(100)의 CCTV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통한 상기 안심귀가 대상자에 대한 영상 추적을 개시하고 관리자 단말부(500)에 표시한다(S225). 상기 구조 요청 이벤트는 CCTV 방범 모듈(100)로부터 상기 안심귀가 대상자의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에 의해 발생한 구조 요청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발생될 수도 있고, 상기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 및 전방향 모니터링 오디오의 분석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 및 전방향 모니터링 오디오를 모니터링하는 관리자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조 요청 이벤트가 발생되면 서버 제어부(430)는 상기 안심귀가 대상자의 보호자 정보로부터 보호자의 모바일 전화번호를 로딩하여 안심귀가 대상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구조 요청 문자 메시지를 보호자 단말기(610)로 전송한다(S227).
또한, 서버 제어부(430)는 상기 안심귀가 대상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구조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경찰 서버(미도시)를 통해 상기 구조 요청 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의 위치에서 가까운 경찰의 경찰 단말기(620)로 전송한다(S229).
상기 메시지의 전송 후 서버 제어부(430)는 구조 상황이 해결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S231), 구조 상황이 해결되었으면 보호자 단말기(610)로 비상 종료 문자를 전송하고, CCTV 방범 모듈(100)로 상기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200)로 비상해제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안심귀가 대상자에 대한 구조상황을 해제한다(S233).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무선 송수신영역 2: 안심귀가 대상자
3: 지주 10: CCTV
20: 액세스포인트(AP) 30: AI 스피커
40: 제어모듈 100: CCTV 방범 모듈
200: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
210: 단말 저장부
220: 디스플레이부 230: 입력부
240: 무선통신부 250: 영상 촬영부
251: 카메라 260: 오디오 처리부
270: 단말 제어부 271: 모드 전환부
272: 무선통신 설정부 273: 영상 획득부
274: 영상 분석부 275: 음성 획득부
276: 음성 분석부 277: 위험 발생 모니터링부
278: 안심귀가 정보 생성부 279: 구조 요청부
280: 단말 위치 추적부 281: 위험상황 분석부
282: 쓰러짐 분석부
400: 안심귀가 관제부 410: 서버 저장부
411: 안심귀가 회원 DB 412: 장비 DB
413: 영상 DB 414: 위치 DB
420: 통신부 430: 서버 제어부
431: 장비 등록부 432: 회원 등록부
433: 안심귀가 정보 수집부 434: 구조요청 모니터링부
435: 구조 요청자 정보 추출부
436: 위치 추적부 437: 보호자 통지부
438: 경찰 통지부 439: 구조 요청자 영상 추적부
340: 비상 해제부 500: 관리자 단말부
610: 보호자 단말기 620: 경찰 단말기

Claims (14)

  1. CCTV를 포함하여 도로의 지주에 설치되어 무선통신으로 수신되는 안심귀가 정보에 자신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방범 모듈 식별정보를 더 포함하여 전송하는 다수의 CCTV 방범 모듈;
    안심귀가 대상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상기 CCTV 방범 모듈의 무선통신 범위 내에 진입 시 상기 CCTV 방범 모듈과 무선으로 자동 연결하고, 안심귀가 대상자의 주변 전방향을 촬영한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을 저장하고, 단말 식별정보 및 위험상황 발생 여부에 따른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안심귀가 정보를 무선 연결된 상기 CCTV 방범 모듈로 전송하는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 및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이 송신한 안심귀가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CCTV 방범 모듈로부터 수신받고, 수신된 안심귀가 정보의 방범 모듈 식별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을 착용한 상기 안심귀가 대상자의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안심귀가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을 관리자 단말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안심귀가 관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은,
    무선송수신 거리 이내로 들어오는 CCTV 방범 모듈과 미리 설정된 무선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링크를 설정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로를 형성하는 무선통신부;
    전방향을 촬영할 수 있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여 상기 각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촬영부; 및
    상기 영상을 저장하는 단말 저장부;
    안심귀가 모니터링 이벤트의 발생 시 상기 영상 촬영부를 통해 촬영되는 상기 영상을 결합하여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 및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안심귀가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CCTV 방범 모듈로 전송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 및 스피커를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마이크를 통해 상기 안심귀가 대상자 주변의 오디오를 수집하여 상기 단말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스피커를 통해 비상벨을 발생시키는 는 오디오 처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를 상기 안심귀가 정보에 더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는,
    무선통신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CCTV 방범 모듈로부터 무선신호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미리 설정된 무선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통신부를 통해 무선설정을 수행하는 무선통신 설정부;
    상기 영상 촬영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들을 획득하여 상기 단말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영상을 결합하여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획득부; 및
    상기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 및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안심귀가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무선 연결된 CCTV 방범 모듈로 전송하는 안심귀가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는,
    무선통신부를 통해 CCTV 방범 모듈로부터 무선신호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미리 설정된 무선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통신부를 통해 무선설정을 수행하는 무선통신 설정부;
    상기 영상 촬영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들을 획득하여 상기 단말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영상을 결합하여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오디오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디오를 획득하여 상기 단말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오디오들을 결합한 전방향 모니터링 오디오를 생성하는 음성 획득부; 및
    상기 영상 및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 상기 오디오 및 전방향 모니터링 오디오 중 어느 하나 이상 및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안심귀가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CCTV 방범 모듈로 전송하는 안심귀가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영상 및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석하여 위험상황이 발생되는지를 판단하고, 분석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영상 분석부;
    상기 오디오 및 전방향 모니터링 오디오 중 어느 하나를 분석하여 위험상황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하고, 분석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음성 분석부; 및
    상기 영상 분석부 및 음성 분석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위험상황이 발생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위험상황 발생 감지 시 위험상황이 발생했음을 무선연결된 CCTV 방범 모듈을 통해 안심귀가 관제부로 전송하는 위험 발생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시스템.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는,
    안심귀가 모니터링 이벤트의 감지를 위한 전력만을 사용하는 대기모드로 동작하고, 대기모드 동작 중 안심귀가 모니터링 이벤트의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영상획득, 오디오 획득 및 통신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여 전체 동작을 활성화하는 풀 전력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부는,
    대기모드에서 무선통신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안심귀가 구간의 CCTV 방범 모듈이 감지되면 상기 안심귀가 모니터링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시스템.
  9. 안심귀가 대상자의 신체에 착용된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이 CCTV 방범 모듈의 무선통신 범위 내에 진입 시 상기 CCTV 방범 모듈과 무선으로 자동 연결하고, 안심귀가 대상자의 주변 전방향을 촬영한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을 포함하는 상기 안심귀가 정보를 무선 연결된 상기 CCTV 방범 모듈로 전송하는 안심귀가 정보 전송 과정;
    CCTV를 포함하여 도로의 지주에 설치되는 CCTV 방범 모듈이 무선통신으로 수신되는 안심귀가 정보에 자신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방범 모듈 식별정보를 더 포함하여 안심귀가 관제부로 전송하는 안심귀가 정보 중계 과정; 및
    상기 안심귀가 관제부가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이 송신한 안심귀가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CCTV 방범 모듈로부터 수신받고, 수신된 안심귀가 정보의 방범 모듈 식별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을 착용한 상기 안심귀가 대상자의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안심귀가 정보에 포함된 영상을 관리자 단말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안심귀가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심귀가 정보 전송 과정은,
    상기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의 단말 제어부가 무선통신부를 통해 CCTV 방범 모듈로부터 무선신호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미리 설정된 무선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통신부를 통해 무선설정을 수행하는 무선통신 설정 단계;
    상기 단말 제어부가 영상 촬영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들을 획득하여 상기 단말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영상을 결합하여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획득 단계; 및
    상기 단말 제어부가 상기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 및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안심귀가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무선 연결된 CCTV 방범 모듈로 전송하는 안심귀가 정보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심귀가 정보 전송 과정은,
    상기 안심귀가 음성인식 이머전시 비상벨의 단말 제어부가 무선통신부를 통해 CCTV 방범 모듈로부터 무선신호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미리 설정된 무선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통신부를 통해 무선설정을 수행하는 무선통신 설정 단계;
    상기 단말 제어부가 영상 촬영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들을 획득하여 상기 단말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영상을 결합하여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획득 단계;
    상기 단말 제어부가 오디오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디오를 획득하여 상기 단말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오디오들을 결합한 전방향 모니터링 오디오를 생성하는 음성 획득 단계; 및
    상기 단말 제어부가 상기 영상 및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 상기 오디오 및 전방향 모니터링 오디오 중 어느 하나 이상 및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안심귀가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CCTV 방범 모듈로 전송하는 안심귀가 정보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심귀가 정보 전송 과정은,
    상기 단말 제어부가 상기 영상 및 전방향 모니터링 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석하여 위험상황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하고, 분석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영상 분석 단계;
    상기 단말 제어부가 상기 오디오 및 전방향 모니터링 오디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석하여 위험상황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하고, 분석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음성 분석 단계; 및
    상기 단말 제어부가 상기 영상 분석부 및 음성 분석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위험상황이 발생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위험상황 발생 감지 시 위험상황이 발생했음을 무선연결된 CCTV 방범 모듈을 통해 안심귀가 관제부로 전송하는 위험 발생 모니터링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방법.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심귀가 정보 전송 과정은,
    상기 단말 제어부가 안심귀가 모니터링 이벤트의 감지를 위한 전력만을 사용하는 대기모드로 동작하고, 대기모드 동작 중 안심귀가 모니터링 이벤트의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영상획득, 오디오 획득 및 통신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여 전체 동작을 활성화하는 풀 전력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안심귀가 모니터링 이벤트는 대기모드에서 무선통신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안심귀가 구간의 CCTV 방범 모듈이 감지되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방법.
KR1020220121571A 2022-09-26 2022-09-26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428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571A KR20240042815A (ko) 2022-09-26 2022-09-26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571A KR20240042815A (ko) 2022-09-26 2022-09-26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2815A true KR20240042815A (ko) 2024-04-02

Family

ID=90714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1571A KR20240042815A (ko) 2022-09-26 2022-09-26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281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359B1 (ko) 2015-06-03 2016-09-21 차보영 방범용 cctv 다기능 비상벨
KR20220029034A (ko) 2020-09-01 2022-03-08 주식회사 한길커뮤니티 감시 대상을 음원 인식방법으로 추적할 수 있는 방범용 cctv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359B1 (ko) 2015-06-03 2016-09-21 차보영 방범용 cctv 다기능 비상벨
KR20220029034A (ko) 2020-09-01 2022-03-08 주식회사 한길커뮤니티 감시 대상을 음원 인식방법으로 추적할 수 있는 방범용 cctv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2333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emergency call system and emergency call system
KR101700395B1 (ko) 경호용 드론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경호 시스템
US10142814B2 (en)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therefor
KR101245165B1 (ko) 범죄 예방 방범 시스템
US20150366166A1 (en) Pet monitoring devices
KR101875377B1 (ko)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KR20100106049A (ko) 방범시스템
KR101481051B1 (ko) 개인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459104B1 (ko) 동작분석을 통하여 위급상황을 감지하는 지능형 cctv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급상황 감지방법
US11557014B2 (en) Real-time managing evacuation of a building
KR20100010548A (ko) 아동 범죄 예방 시스템
KR101654181B1 (ko) 스마트폰 앱과 스마트태그를 이용한 방범용 cctv 비상벨 호출 시스템
CN110047246A (zh) 告警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426732B1 (ko) 유괴 및 미아방지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알림시스템
JP5235698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その通信端末装置を用いた防犯システム
KR20240042815A (ko) 근접위치 기반 안심귀가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509924B1 (ko) 범죄 예방 휴대장치, 이를 포함한 범죄 감시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JP6713502B2 (ja) 警備システム及び警備方法
KR101707906B1 (ko) 비상호출장치 및 비상호출시스템
KR102466554B1 (ko) 지능형 바닷가 재난경보관리장치, 재난경보관리방법 및 재난경보관리시스템
EP3440647B1 (en) Method for the remote monitoring of persons through smart mobile terminals and web services
US11087609B2 (en) Emergency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device for emergency calls
KR101416076B1 (ko) 감시카메라 비상호출 시스템
KR20170064918A (ko) 비콘과 스마트cctv를 이용한 전자수갑착용 범법자 도주방지시스템 및 도주자 위치추적 및 영상감시시스템
KR20110095531A (ko) 이동로봇의 인물탐색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