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2809A - 의류처리장치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42809A KR20240042809A KR1020220121552A KR20220121552A KR20240042809A KR 20240042809 A KR20240042809 A KR 20240042809A KR 1020220121552 A KR1020220121552 A KR 1020220121552A KR 20220121552 A KR20220121552 A KR 20220121552A KR 20240042809 A KR20240042809 A KR 202400428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rse
- unit
- display
- laundry
- display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65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0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4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4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7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6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8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5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6010020751 Hypersensitiv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6935 allerg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815 allerg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268 woo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3 anti-wrink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5 discol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6 heat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53 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30 wrinkle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4—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e.g. reduction of overall operating tim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70—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e.g. reduction of overall operating tim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0—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buttons or rotary dial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4—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ounting or attachment features, e.g. detachable control panels or detachable display panel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스 시작 전 포량감지를 미리수행하여, 포량에 대한 정보와, 상기 포량과 연계된 코스의 정보를 안내하는 기능이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의류처리장치와 사용자가 서로 통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및 그 활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라 함은 의류 등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이나 건조 기능만을 수행하거나, 세탁이나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하기 위한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수행시간은 의류의 포량을 기초로 산정된다. 예를들어, 의류의 포량이 많으면 상기 수행시간은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되고, 의류의 포량이 적으면 상기 수행시간은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될 것이다.
도1은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을 수행하는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한국공개공보특허 제10-2009-0077097호 및 10-2008-0102611호 등 참조)
도1(a)는 종래 의류처리장치가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을 수행하는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1(a)를 참조하면,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전원 버튼을 입력(on) 함으로써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단계(s1)와, 의류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에서 적절한 코스 또는 옵션을 선택하는 선택단계(s2)와,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을 실행하는 수행 버튼을 입력하는 시작단계(s3)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 의류처리장치가 캐비닛의 전방에 의류가 투입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프론트 로드(front load type) 세탁기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시작단계(s3)가 수행되면, 상기 개구부를 캐비닛에 고정하는 도어잠금단계(s4)가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등을 회전하면서 인가되는 전류값을 통해 의류의 포량을 감지하는 포량감지단계(S5)를 수행한다. 상기 의류의 포량이 연산되면,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코스 또는 옵션의 예상수행시간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시간표시단계(S6)를 수행하고, 자동으로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을 실행하는 실행단계(S7)를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포량감지단계(S5)와 시간표시단계(S6)는 상기 사용자가 코스 또는 옵션을 실행시키는 시작단계(S3) 이후에 수행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의류의 포량이나 예상되는 수행시간에 대한 정보를 받지 못한 상태에서 코스 또는 옵션의 실행을 입력하는 것이 강제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코스 또는 옵션의 수행시간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없고, 시간표시단계(s6)는 단순하게 사용자에게 서비스 차원에서 단순정보만을 표시하는 이상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종래의류처리장치는 시간표시단계(s6)에서 표시되는 수행시간이 사용자의 현재 의도 또는 상황에 맞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의류를 추가하거나 감소시키는 등의 능동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여지를 주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선택된 코스 또는 옵션의 수행시간이 의도에 맞지 않더라도, 이를 변경하러면 임의로 다시 세탁기의 전원을 off 해야 하는 등의 능동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는 한, 코스 또는 옵션을 취소하거나 변경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은, 상기 종래의류처리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할 경우에 더욱 극대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도1(b)는 종래 의류처리장치가 포량을 감지할 때 드럼의 회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1(b)를 참조하면,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L)의 포량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드럼(D)을 I방향으로 회전하였다.
구체적으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D)을 I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에 인가되거나 출력되는 전류값을 측정하여 의류(L)의 무게를 연산하였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포량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드럼(D)을 회전시킬 때, 드럼의 바닥면에 있는 의류(L)는 드럼(D) 내부에서 상승한 뒤 중력에 의해 II방향으로 낙하면서 드럼의 내벽에서 분리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L)의 정확한 무게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드럼(D)을 I방향으로 1회전 이상 연속하여 회전시키면서 인가되거나 출력되는 전류값을 정렬해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
그 결과,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포량을 감지하는 시간이 드럼을 연속하여 회전시키는 시간 보다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포량감지단계(S5)의 소요시간이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되므로 코스 또는 옵션의 수행시간을 표시하는 시간표시단계(S6)도 빠르게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코스 또는 옵션을 선택하고 수행버튼을 입력하는 시작단계(s3)가 수행되어야 포량감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사용자는 포량을 미리 확인하여 코스 또는 옵션을 선택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고, 포량을 감지한 시점에는 사용자가 이미 의류처리장치를 떠나 있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가 포량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거나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없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표시부가 액정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표시부에 코스에 대한 정보, 안내 사항에 대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었다.
그런데, 상기 표시부에 코스에 관한 정보를 강도, 시간, 온도 등의 코스가 수행되는 조건으로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코스에 관한 정보를 이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표시부에 코스에 관한 정보를 기능 및 효과 등을 담은 구체적인 설명문으로 기재하는 경우, 사용자가 코스에 관한 정보를 이해하긴 쉽지만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내용이 복잡해지고 너무 많은 정보가 기재되어, 상기 정보를 직관적으로 인식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코스에 대한 기능과 효과 및 정보를 이해했음에도 매번 긴 문장의 설명문이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가 코스에 관한 세부적인 조건을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제한된 면적으로 인해 표시되는 내용에 대한 종류, 개수의 제약이 있어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부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표시부에 포량에 대한 정보와 코스에 대한 정보를 코스 수행 전에 표시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표시부에 표시되는 내용을 픽토그램, 문자, 숫자, 구절 또는 문구를 선택하여 다양하게 표시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황에 따라 적절한 표현방식과 내용을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고, 표시되는 내용을 시간에 따라 변경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표시부의 표시면적을 극복하며 필요한 정보를 전부 표시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코스 시작 전 즉시 포량감지로 시간/세제량을 안내하는 기능이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Wi_Fi 등 시각 정보를 외부에서 수신할 수 있는 경우, 즉시 포량감지 연계하여 모든 코스에서 예상 종료시각을 안내해줄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예약시각/시간 설정시 포량을 미리 감할 수 있고, 설정시각/시간에 예약시간을 설정하는 제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세탁기와 건조기가 함께 구비될 때, 세탁기의 컨트롤패널에서 건조기를 사용할 때의 예상종료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본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세탁기에서 세탁코스 시작시 건조기의 건조코스 예상시간도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택된 상기 포량과 상기 코스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가 상기 수행부가 입력되기 전에 상기 포량과 상기 코스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코스에 관한 정보는 선택된 상기 코스의 명칭, 상기 코스를 수행할 때 필요한 세제량, 상기 코스의 예상수행시간, 상기 코스가 수행되는 조건, 상기 코스의 설명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코스에 관한 정보 중 선택된 상기 코스의 명칭, 상기 코스를 수행할 때 필요한 세제량, 상기 코스의 예상수행시간, 상기 코스가 수행되는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코스의 설명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선택된 상기 코스의 명칭, 상기 코스를 수행할 때 필요한 세제량, 상기 코스의 예상수행시간, 상기 코스가 수행되는 조건은 픽토그램, 숫자, 단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코스의 설명은 구절 또는 문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선택된 상기 코스의 명칭, 상기 코스를 수행할 때 필요한 세제량, 상기 코스의 예상수행시간, 상기 코스가 수행되는 조건 중 하나 이상을 먼저 표시하고, 상기 코스의 설명은 나중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도어가 개방되기 전 선택된 상기 코스의 명칭, 상기 코스를 수행할 때 필요한 세제량, 상기 코스의 예상수행시간, 상기 코스가 수행되는 조건 중 하나 이상을 먼저 표시하고,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코스의 설명을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코스의 설명을 일정기간 또는 일정횟수 표시하고, 상기 일정기간 또는 일정횟수가 경과되면, 상기 코스의 설명은 표시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선택된 상기 코스의 명칭, 상기 코스를 수행할 때 필요한 세제량, 상기 코스의 예상수행시간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코스가 수행되는 조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행부가 입력되기 전에 선택된 상기 코스의 명칭, 상기 코스를 수행할 때 필요한 세제량, 상기 코스의 예상수행시간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고, 상기 수행부가 입력되면 상기 코스가 수행되는 조건을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외부단말과 서버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어부를 통신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시각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포량과 상기 코스에 관한 정보는 상기 코스의 종료시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현재시각과 상기 코스의 종료시각을 교번하여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스의 수행시간 또는 종료시간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예약명령을 입력받는 예약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예약설정부가 입력되기 전에 상기 포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포량에 따라 설정가능한 상기 코스의 수행시간 또는 종료시간이 달라지도록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포량이 무거울수록 설정가능한 상기 코스의 수행시간 또는 종료시간이 늦어지도록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예약설정부가 입력되면 상기 코스의 수행시각 또는 종료시각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의류가 수분을 건조하는 건조코스를 수행할 때 예상시간도 표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건조코스는 상기 드럼의 외부에 배치되는 별도의 건조드럼에서 수행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드럼에서 상기 건조코스가 수행되는 예상시간을 연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코스선택부로 선택된 코스의 수행시간 또는 잔여시간과, 상기 건조코스를 수행할 때의 예상시간을 교차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건조코스를 준비하는 건조명령을 입력받도록 구비되는 준비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준비부가 입력되면 상기 건조코스를 수행할 때 예상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표시부에 포량에 대한 정보와 코스에 대한 정보를 코스 수행 전에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표시부에 표시되는 내용을 픽토그램, 문자, 숫자, 구절 또는 문구를 선택하여 다양하게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황에 따라 적절한 표현방식과 내용을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고, 표시되는 내용을 시간에 따라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표시부의 표시면적을 극복하며 필요한 정보를 전부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2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3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세탁기로 구비되었을 때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4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건조기로 구비되었을 때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세탁기(10) 및 건조기(20)가 함께 구비된 복합장치로 구비되었을 때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6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P)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제1컨트롤패널(P)의 인터페이스(I)로 구분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제2컨트롤패널(P2)의 인터페이스(I)로 구분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9은 제3컨트롤패널(P)의 인터페이스(I)로 구분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0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포량감지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포량감지 연산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12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서 상기 제어부(P)가 상기 구동부(32)의 전류값을 측정할 수 있는 기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3는 상기 제어부(P)가 드럼의 가감속을 통해 포량을 감지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4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포량감지방식을 활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 활용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6은 상기 표시부가 픽토그램을 사용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7 내지 20는 상기 코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1은 상기 표시부가 표시할 수 있는 추가적인 정보를 도시한 것이다.
도2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3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세탁기로 구비되었을 때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4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건조기로 구비되었을 때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세탁기(10) 및 건조기(20)가 함께 구비된 복합장치로 구비되었을 때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6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P)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제1컨트롤패널(P)의 인터페이스(I)로 구분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제2컨트롤패널(P2)의 인터페이스(I)로 구분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9은 제3컨트롤패널(P)의 인터페이스(I)로 구분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0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포량감지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포량감지 연산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12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서 상기 제어부(P)가 상기 구동부(32)의 전류값을 측정할 수 있는 기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3는 상기 제어부(P)가 드럼의 가감속을 통해 포량을 감지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4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포량감지방식을 활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 활용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6은 상기 표시부가 픽토그램을 사용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7 내지 20는 상기 코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1은 상기 표시부가 표시할 수 있는 추가적인 정보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2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세탁기(10) 또는 건조기(20) 하나로 구비될 수도 있고, 복수의 세탁기(10) 또는 복수의 건조기(20)가 적층되거나 하나의 캐비닛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세탁기(10) 및 건조기(20)가 적층되거나 하나의 캐비닛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처리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과 어떠한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2(a)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기(10) 또는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기(20)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1(b)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기(10)와, 상기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기(20)가 함께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이물질을 물과 세제로 제거하는 세탁행정, 상기 의류의 이물질과 세제를 제거하는 헹굼행정, 원심력 등을 이용하여 상기 의류의 물을 제거하는 탈수행정, 상기 의류에 공기와 스팀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행정, 상기 의류의 공기와 스팀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의류의 탈취, 구김제거, 살균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리프레쉬 행정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알고리즘을 제공하는 제1컨트롤패널(P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트롤패널(P1)은 사용자와 의류처리장치(의류처리장치를 비롯한 기타의 전자기기를 포함)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와 의류처리장치 간의 통신은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에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과정, 및 의류처리장치가 사용자에게 제어명령에 대한 반응(Feed back) 또는 의류처리장치에서 발생한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도2(a)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1컨트롤패널(P1)은 상기 캐비닛(1)에 구비되어 하나의 세탁기(10) 또는 하나의 건조기(20)를 제어할 수 있는 제1컨트롤패널(P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트롤패널(P1)은 사용자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전원명령, 의류를 처리하는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을 선택하는 선택명령, 상기 선택된 코스 또는 옵션을 수행하는 실행명령, 수행되는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을 중단하는 중단명령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를 처리하는 것은 의류의 이물질을 물과 세제를 통하여 제거하는 세탁행정이나, 상기 의류에 함유된 물을 건조하는 건조행정, 상기 의류를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여 탈취 및 구김을 제거하는 리프레쉬 행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트롤패널(P1)은 사용자에게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상태 또는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부(P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면부(P8)는 상기 전원명령, 선택명령, 실행명령, 수행명령, 중단명령 중 하나 이상이 입력된 상태를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부(P8)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에서 발생한 문제상황을 표시하는 에러정보나, 사용자가 취해야 될 조치를 안내하는 안내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화면부(P8)는 상기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화면부(P8)는 빛을 외부에 조사하는 액정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컨트롤패널(P1)은 음성신호 및 음향의 출력이 가능한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서, 상기 캐비닛(1)은 전방을 형성하는 전방패널(13)과, 상기 전방패널(13)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패널(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3)과 상기 상부패널(11)은 금속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강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1컨트롤패널(P1)은 전방패널(13)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트롤패널(P1)은 별도의 지지패널로 구비되어 상기 전방패널(13)에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전방패널(13)의 배면에 직접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트롤패널(P)은 상기 전방패널(13)의 전면으로 일부만 노출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전방패널(13)에서 상기 제1컨트롤패널(P1)이 차지하는 영역 비율이 최소화 될 수 있고, 상기 전방패널(13)의 일체감이 강화되어 심미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패널(13)을 제작하는 과정이 간소화되며, 상기 전방패널(13)과 상기 제1컨트롤패널(P1)을 조립하거나 설치하는 공정이 간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컨트롤패널(P1)을 상기 전방패널(13)에 안착시키기 위한 별도의 프레임 등의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1컨트롤패널(P1)은 상기 화면부(P8) 뿐 만 아니라 사용자로부터 코스 등을 선택할 수 있는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로터리 놉(P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놉(P7)는 로터리 놉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화면부(P8)는 액정표시장치 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D)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화면부(P8)와 후술하는 선택부(R)가 상기 로터리 놉(P7) 내부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화면부(P8)은 전체가 터치패널로 구비될 수도 있고, 적어도 일부가 터치패널로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화면부(P8)는 단순한 액정으로 구비되어 별도의 명령을 수신하지 못하고 정보만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로터리 놉(P7)는 상기 전방패널(13)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처리할 수 있는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을 선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화면부(P8)는 상기 로터리 놉(P7)가 회전할 때마다 대응되는 코스 또는 옵션을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후술하는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는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이 문자, 안내문구 등으로 전방패널(13)에 기재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컨트롤패널(P1)이 상기 전방패널(13)에서 차지하는 면적 또는 면적비율을 크게 축소할 수 있고, 상기 전방패널(13)에는 별도의 문자 등이나 안내문구가 부착되지 않아 심미감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를 언어권이 다른 각종 다른 나라에 판매하더라도, 상기 전방패널(13)이나 제1컨트롤패널(P1)을 다르게 생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놉(P7)와 화면부(P8)는 전원이 공급되어야 작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1컨트롤패널(P1)은 상기 로터리 놉(P7) 및 표시부 뿐만 아니라,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전원명령을 입력하는 전원버튼(P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전원버튼(P46)를 입력하여 상기 로터리 놉(P7)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컨트롤패널(P1)은 상기 선택된 코스 또는 옵션을 수행하거나 중단하는 수행명령이 입력되는 수행버튼(P4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행버튼(P47)은 상기 로터리 놉(P7) 및 상기 화면부(P8)와 별도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확실한 수행 또는 중단의사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버튼(P46) 및 수행버튼(P47)는 상기 로터리 놉(P7)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로터리 놉(P7) 및 상기 화면부(P8)의 기능이 과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컨트롤패널(P1)은 상기 전방패널(13)에 상기 코스에 옵션을 부가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설정영역(P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설정영역(P19)를 통해 상기 코스가 수행되는 강도, 지속시간 등을 변경할 수 있는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설정영역(P19)는 상기 화면부(P8)와 별도의 액정표시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설정영역(P19)는 상기 옵션을 기입할 수 있는 터치패널 이나 물리버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컨트롤패널(P1)은 의류처리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부와 통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트롤패널(P)에 설치된 PCB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방패널(13)에는 캐비닛(1)에 수용된 드럼에 연통하도록 구비된 투입구(111) 및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투입구(111)를 개폐하는 도어(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트롤패널(P1)은 상기 도어(14) 보다 상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접근성을 강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방패널(13)은 상기 도어(14)를 상기 전방패널(13)에 고정시키는 잠금부(L)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드럼이 회전하는 등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작동하면 상기 잠금부(L)는 상기 도어(14)를 상기 전방패널(13)에 잠금(lock)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L)는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작동이 종료되면 상기 도어(14)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L)는 상기 도어(14)를 상기 캐비닛(1)에 고정시킬 수 있다면 어떤 구성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도어에서 돌출된 후크를 체결하는 체결부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후크를 파지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도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척하는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박스(24)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전방패널(13)은 상기 세제박스(243)가 인출되는 세제홀(1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3)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필터 등을 교체할 수 있는 필터홀(24)이 구비될 수 있다.
도2(b)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세탁기(10)와 건조기(20)가 적층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세탁기(10)는 세탁캐비닛(1)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건조기(20)는 상기 세탁캐비닛(1)에 안착되거나 지지할 수 있는 건조캐비닛(1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기(10)와 건조기(20)는 하나의 캐비닛(1)을 공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P)은 상기 세탁기(10)와 건조기(20)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제2컨트롤패널(P2)을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세탁기(10)와 상기 건조기(20)는 제2컨트롤패널(P2)을 공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세탁기(10)와 건조기(20)를 별도의 컨트롤패널(P)로 제어하거나, 복수의 컨트롤패널(P)이 설치되는 번거로움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2컨트롤패널(P2)은 별도의 물리적인 버튼 없이 사용자의 터치 등을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트롤패널(P2)은 상기 세탁기(10) 및 건조기(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전원영역(P25)과, 상기 세탁기(10) 및 건조기(20)의 표시상태를 표시하는 제어영역(P22)과, 상기 세탁기(10) 및 건조기(20)를 작동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수행영역(P2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영역(P22)은 상기 제2컨트롤패널(P2)은 상기 세탁기(10) 및 건조기(20)를 작동시키는 임의의 코스를 선택하는 명령이나, 상기 코스와 관련된 기능, 강도을 조절하는 옵션을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터치패널로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어영역(P22)은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터치로 인해 필요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영역(P22)은 상기 세탁기(10) 및 건조기(20)의 정보 중 하나만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을 상기 세탁기(10) 및 건조기(20) 중 하나만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컨트롤패널(P2)은 상기 세탁기(10) 및 건조기(20) 중 상기 제어영역(P22)에 표시되는 주체를 변환하거나, 상기 제어영역(P22)에 입력된 정보를 상기 세탁기(10) 및 건조기(20) 어느 하나에 전달하도록 변환하는 전환영역(P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공통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도어(14)와 상기 캐비닛(10)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도어(14)의 개폐를 감지하는 감지부(M)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M)는 상기 도어(14)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예를들어, 상기 감지부(M)는 상기 도어(14)에 구비되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마그넷과, 상기 캐비닛(10)에 구비되어 상기 마그넷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홀 센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3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세탁기(10)로 구비되었을 때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3(a)는 본 발명 세탁기(10)의 사시도이며, 도3(b)는 본 발명 세탁기(1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세탁기(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과, 캐비닛(1)에 수용되어 물을 저장하는 터브(2), 상기 터브(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물을 저장하는 드럼(3)과, 상기 터브(2)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3)을 회전시키는 구동부(32), 상기 터브(2)에 물을 급수하도록 구비되는 급수부(23)와, 상기 터브(2)의 물을 배수하도록 구비되는 배수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2)는 상기 터브(2)의 후방에 결합되는 스테이터(321)와, 상기 스테이터(321)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322)와, 상기 로터(322)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3)을 회전시키는 회전축(3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23)는 외부급수원과 터브(2)를 연통하는 급수관(231)과, 상기 급수관(231)을 개폐하는 급수밸브(233)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급수부(23)는 상기 캐비닛(1)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터브(2)에 세제를 투입하도록 구비되는 세제박스(234)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급수관(231)은 세제박스(234)와 연통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세제박스(234)는 상기 터브(2)와 공급관(232)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25)는 상기 터브(2)의 하부에 구비되는 배수관(251)과, 상기 배수관(252)에 결합되어 물을 배출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배수펌프(252)와, 상기 배수펌프(252)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25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터브(2) 및 드럼(3)을 상기 캐비닛(1)에 지지하는 지지부(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2)는 상기 터브(2)를 지지하는 댐퍼(222) 또는 스프링과, 상기 드럼(3)과 구동부(32)의 하중을 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 모듈(22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배수부(25)로 배출된 물을 다시 터브(2)로 순환시키는 순환부(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부(26)는 상기 배수관(251)과 연통되는 순환펌프(261)와, 상기 순환펌프(261)의 물을 상기 터브(2)의 상부로 공급하는 순환관(2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펌프(261)와 상기 배수펌프(252)는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2)에 열풍을 별도로 공급할 수 있는 열풍공급부(H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풍은 상기 의류를 건조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2)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H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H1)는 터브의 하부면과 드럼의 하부면 사이에 배치되어 소량의 물이 급수되어도 터브 내부의 공기 중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소량의 물도 가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세탁기(10)는 상기 제1컨트롤패널(P1)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구동부(32), 급수밸브(232), 배수펌프(2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동하여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임의의 세탁코스 및 세탁옵션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탁코스 및 세탁옵션은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일련의 제어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4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건조기(20)로 구비되었을 때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4(a)는 본 발명 건조기(20)의 사시도이며, 도4(b)는 본 발명 건조기(2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건조기(20)는 건조캐비닛(1A),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3A), 상기 드럼(3A)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3A)으로 재공급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순환유로(4), 상기 순환유로(4)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한 뒤 상기 드럼(3A)으로 재공급하는 열교환부(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캐비닛(1A)은 상기 캐비닛(1)과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캐비닛(1)과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드럼(3A)은 전술한 세탁기의 드럼(3)과 구별하기 위해 건조드럼(3A)으로 명명할 수 있다.
상기 건조드럼(3A) 또는 상기 캐비닛(1A)에는 상기 의류의 건조도를 감지하는 건조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건조드럼(3A)이 전방면과 후방면이 각각 개방된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31)로 구비될 경우, 상기 캐비닛(1A) 내부에는 상기 건조드럼(3A)의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부(17), 및 상기 건조드럼(3A)의 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부(1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17)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 제1고정바디(171), 상기 제1고정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111)와 상기 드럼 바디(31) 내부를 연통시키는 드럼 투입구(173), 상기 제1고정바디(171)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21)의 전방면(제1개방면)에 삽입되는 제1지지바디(17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바디(171)는 상기 드럼 투입구(173) 및 상기 제1지지바디(175)가 구비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바디(175)는 상기 제1고정바디(171)에서 상기 드럼 바디(31)를 향해 돌출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지지바디(175)의 지름은 상기 드럼 투입구(173)의 지름보다 크고, 상기 드럼 바디(31)의 전방면 지름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드럼 투입구(173)는 상기 제1지지바디(175)가 형성하는 공간 내부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1지지부(17)는 상기 투입구(111)와 상기 드럼 투입구를 연결하는 연결바디(177)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디(177)는 상기 드럼 투입구(173)에서 상기 투입구(111)를 향해 연장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디(177)에는 상기 순환유로(4)에 연통하는 공기 배출구(17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구(178)는 상기 드럼바디(31) 내부의 공기가 상기 순환유로(4)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통로이며, 상기 연결바디(177)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19A)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 제2고정바디(191), 상기 제2고정바디(191)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바디(31)의 후방면(제2개방면)에 삽입되는 제2지지바디(19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19A)에는 상기 제2고정바디(19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바디(31) 내부를 상기 건조캐비닛(1A) 내부와 연통시키는 공기 유입구(198)가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순환유로(4)는 공기가 이동하는 덕트(4)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공기 배출구(178) 및 상기 공기 유입구(198)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드럼바디(31)는 다양한 형태의 구동부를 통해 회전할 수 있는데, 상기 건조구동부(32A)가 캐비닛(1A) 내부에 고정된 모터(321),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풀리(322), 상기 풀리(232)의 원주면과 상기 드럼 바디(31)의 원주면을 연결하는 벨트(323)를 포함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건조구동부(32A)는 상기 건조드럼(3A)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건조드럼(3A)을 직접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건조구동부(32A)의 회전축이 상기 건조드럼(3A)에 직접 결합되어 상기 건조드럼(3A)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지지부(19A)에는 상기 건조구동부(32A)를 상기 건조드럼(3A)의 배면 또는 중심에 위치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는 상기 건조드럼(3A) 사이에는 별도의 감속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감속기에서 나온 회전축이 상기 건조드럼(3A)의 배면 중앙에 직접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감속기가 상기 제2지지부(19A)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건조구동부(32A)가 상기 건조드럼(3A)의 회전속도와 회전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17)에는 상기 드럼바디(31)의 원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롤러(179)가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부(19A)에는 상기 드럼 바디의 원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롤러(19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4)는 상기 건조드럼(3A)에 연통되어 구비되는 덕트(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4)는 상기 건조드럼(3A)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에서 토출된 공기가 열교환부(5)를 지나 상기 건조드럼(3A)에 재유입되는 순환유로를 형성한다고 볼 수도 있다.
상기 덕트(4)는 상기 공기 배출구(178)에 연결된 배기덕트(41), 상기 공기 유입구(198)에 연결된 공급덕트(43), 상기 배기덕트와 공급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덕트(4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5)는 상기 덕트(4)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 가능한 한 다양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열교환부(5)는 히트펌프 시스템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5)는 상기 덕트(4)를 따라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59), 상기 덕트(4)로 유입된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제1열교환기(흡열부, 51), 및 상기 덕트(4)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51)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발열부, 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열부(51)는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발열부(53)는 열을 방출하는 응축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팬(59)은 상기 덕트(4)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591), 상기 임펠러(591)를 회전시키는 임펠러 모터(59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591)는 상기 배기덕트(41), 연결덕트(45), 및 공급덕트(43) 중 어디에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591)는 상기 공급덕트(43)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열부(51)는 상기 연결덕트(45)의 너비 방향(Y축 방향) 또는 상기 연결덕트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금속판으로 구비되고, 상기 발열부(53)는 상기 연결덕트의 너비 방향 또는 상기 연결덕트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금속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열부(51)와 상기 발열부(53)는 상기 연결덕트(45) 내부에 상기 배기덕트(41)에서 상기 공급덕트(43)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냉매의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58)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냉매는 상기 덕트(4)의 외부에 위치된 압축기(55)에 의해 상기 냉매관(58)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냉매관(58)에는 상기 발열부(53)를 통과한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57)가 구비된다.
상기 흡열부(51)는 상기 배기덕트(41)로 유입된 공기의 열을 냉매로 전달함으로써 공기는 냉각시키고, 냉매는 증발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발열부(53)는 상기 압축기(55)를 통과한 냉매가 가진 열을 공기에 전달함으로써, 공기는 가열하고, 냉매는 응축시키는 수단이다. 이 경우, 공기에 포함된 수분은 상기 흡열부(51)를 통과할 때 상기 흡열부(51)의 표면을 따라 상기 연결덕트(45)의 바닥면에 모이게 될 것이다.
상기 흡열부(51)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제거된 물을 수집하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집수부가 구비된다.
상기 집수부에 수집되는 물은 상기 저수부(9)에 수집되어 추후에 일괄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수부(9)는 상기 캐비닛(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수탱크(92), 상기 저수탱크(92)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저수부 공급관(633)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저수탱크(92)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구(92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수탱크(92)는 상기 캐비닛(1A)에서 인출되는 드로워 형태의 탱크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캐비닛의 전방패널(13A)에는 상기 저수탱크(92)가 삽입되는 저수부 장착홀 또는 탱크홀(131)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저수탱크(92)의 전방면에는 저수패널(91)이 고정되는데, 상기 저수패널(91)은 상기 저수부 장착홀 또는 탱크홀(11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전방패널(13A)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수패널(91)에는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는 홈(91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수패널(91)은 상기 저수탱크(92)를 캐비닛에서 인출하거나 캐비닛으로 삽입하는 핸들의 기능도 수행하게 될 것이다.
상기 유입구(922)는 상기 캐비닛(1A)에 고정된 노즐(823A)에서 배출되는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823A)은 상기 저장바디(92)가 캐비닛(1)에 삽입된 때 상기 유입구(72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캐비닛의 상부패널(11)에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저수부(9)는 사용자가 상기 저수탱크(92)를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한 뒤 상기 저수탱크(92)를 상기 유입구(922)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뒤집거나 기울임으로써 상기 저수탱크(92) 내부의 물을 버릴 수 있다. 상기 저수탱크(92) 내부의 물이 상기 유입구(922)를 통해 쉽게 배출되도록, 상기 저수탱크(92)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연통홀(92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저수부(9)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내부급수부(400)와 상기 외부급수부(500)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외부급수부(500)는 상기 배면패널(13)에 인접하거나 상기 배면패널(13)에 고정되는 직수밸브(520)와, 상기 직수밸브(520)에서 전달되는 물을 상기 스팀부(200)로 공급하는 직수관(5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수밸브(520)는 외부급수원과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직수밸브(520)는 상기 캐비닛 배면으로 연장되는 급수관과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직수밸브(520)를 통해 직접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급수부(400)가 생략되거거나, 상기 내부급수부(400)에 물이 저장되어 있지 않더라도, 상기 스팀부(200)는 필요할 때마다 상기 직수밸브(520)를 통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직수밸브(520)는 스팀제어부(800)에 의해 직접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직수밸브(520)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지만, 상기 전방패널(13)과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드럼의 전방으로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 전체에 스팀을 고르게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내부급수부(400)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420)와 상기 물탱크(420)에 물을 공급받아 상기 스팀부(20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물펌프(430)와, 상기 물탱크(420)와 상기 물펌프(430)을 안착시키는 공간을 제공하는 탱크하우징(4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펌프(430)와 상기 물탱크(420)는 상기 스팀부(200)와 대응되는 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탱크인출홀(131)은 상기 상부패널(11) 중 상기 물탱크(420)가 설치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탱크인출홀(131)로 상기 물펌프(430)가 불필요하게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인출커버(132)는 상기 탱크인출홀(131)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물탱크(420)가 불필요하게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건조드럼(3A) 또는 상기 순환유로(4)와 연통하여 상기 건조드럼(3A)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물공급부(300)를 통해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한 뒤 상기 스팀배출관(213)을 통해 상기 건조드럼(3A) 또는 덕트(4)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스팀배출관(213)은 상기 건조드럼(3A)과 바로 연통하여 상기 스팀을 상기 건조드럼(3A) 내부로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덕트(4) 또는 상기 제2지지부(19)에 연통하여 상기 건조드럼(3A) 내부로 스팀을 간접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스팀배출관(213)이 상기 덕트(4)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공급덕트(33)에 연통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지지부(19A)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공기유입구(19)에 연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송풍팬(59)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스팀이 상기 건조드럼(3A) 내부로 더 원활하게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부(200)는 건조행정 중에 스팀을 사용하는 스팀공급모드가 수행되면 스팀을 생성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모드는 상기 의류를 살균하거나, 상기 의류의 건조행정 중 상기 드럼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상기 의류의 건조행정 말미에 상기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일련의 건조코스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스팀부(200)는 필요에 따라 상기 내부급수부(400) 뿐만 아니라 상기 외부급수부(500)를 통해 물을 공급받아 상기 건조드럼(3A) 내부 등으로 스팀을 공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교환부(5)는 상기 흡열부(51)에서 순환하는 공기의 수분을 응축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는 상기 건조드럼(3A)을 순환하더라도 상기 흡열부(51)에서 수분이 제거됨으로써, 상기 건조드럼(3A) 내부의 의류를 지속적으로 건조할 수 있다.
상기 흡열부(51)에서 응축된 수분은 집수부(47)에 1차 수집된 후 상기 저수부(9)로 2차 수집될 수 있다. 상기 집수부(47)는 상기 연결덕트(45)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덕트(45)와 이격된 공간에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건조드럼(3A)의 회전중심은 상기 스팀부(200)와 상기 열교환부(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열교환부(5)는 상기 건조드럼(3A)의 회전중심 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건조드럼의 회전중심 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집수부(47)는 상기 연결덕트(45)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덕트의 내부와 연통하는 집수바디(471A)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열부(51)와 발열부(53)가 상기 집수바디(471A)에 저장된 물(응축수)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집수바디(471A) 내부에는 열교환기 지지부(473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지지부(473A)는 상기 흡열부(51)와 발열부(53)가 접촉하는 지지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지 지지부(473A)는 상기 지지판과 상기 집수바디(471A)의 바닥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475), 및 상기 지지판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지지판 관통홀(476)을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 관통홀(476)은 상기 지지판이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흡열부(51)가 지지되는 공간에만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흡열부가 지지되는 공간 및 상기 발열부가 지지되는 공간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발열부(53)의 하부에도 지지판 관통홀(476)이 구비되면, 상기 지지판(373)을 따라 상기 발열부(53)로 이동한 물을 상기 집수바디(471)로 배출 가능할 것이다.
상기 드럼바디(31)에서 배출되는 이물질(린트 등)이 상기 흡열부(51) 및 발열부(53)에 적층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공기를 여과하는 여과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여과부(7)는 상기 드럼바디(31)에서 상기 배기덕트(41)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수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여과부(6)는 상기 제2여과부(7)와 상기 흡열부(51)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여과부(7)를 통과한 공기를 여과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여과부(6)에 구비된 여과홀의 직경은 상기 제2여과부(7)에 구비된 여과홀의 직경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여과부(6)는 상기 연결덕트(45)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캐비닛의 전방패널(13)에는 상기 제1여과부(6)가 인출되는 필터장착홀 및 상기 필터장착홀을 개폐하는 장착홀 도어(14)가 구비되고, 상기 덕트(4)에는 상기 제1여과부(6)가 삽입되는 덕트 관통홀(44)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제1여과부(6)를 의류처리장치에서 분리한 뒤 제1여과부(6)에 잔류하는 이물질의 제거 및 제1여과부의 세척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집수바디(471)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상기 제1여과부(6)를 세척하는 세척부(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집수바디(4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저수부(9)로 따로 수집될 수도 있고, 상기 세척부(8)로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상기 세척부(8)는 상기 집수바디(4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제1여과부(6)에 분사하여 세척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척부(8)는 상기 덕트(4)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여과부(6)로 물을 공급하는 분사부(85), 상기 집수바디(4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분사부(85)로 이동시키는 세척펌프(8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척펌프(81)는 제1연결관(811)을 통해 상기 집수바디(471)에 연결되고, 제2연결관(813)을 통해 상기 분사부(85)에 연결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가 하나의 세척펌프(81)만으로 상기 분사부(85) 및 상기 저수부(9)로 상기 집수바디(471)의 물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된다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유로전환부(8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로전환부(83)는 상기 제2연결관(813)을 통해 상기 세척펌프(81)에 연결되고, 상기 분사부(85)는 분사부 공급관(831)을 통해 상기 유로전환부(83)에 연결되며, 상기 저수부(9)는 저수부 공급관(833)을 통해 상기 유로전환부(83)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부(83)는 상기 분사부 공급관(831)의 개폐 및 상기 저수부 공급관(833)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유로전환부(83)에 구비된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집수바디(4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분사부(85)로 공급할 수도 있고, 상기 저수부(9)로 공급할 수도 있다.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함으로써 열교환부(5)의 작동 중단 시점을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건조도 감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건조드럼(3A)의 배면에는 상기 건조구동부(32A)가 직접 체결될 수 있다.상기 건조구동부(32A)는 상기 제2지지부(19A)에 배치되어 상기 건조드럼(3A)을 직접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건조구동부(32A)는 상기 제2지지부(19)에 지지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 및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구동부(32A)는 감속기(28A)에 따로 결합되고, 상기 감속기(28A)가 상기 건조드럼(3A)의 배면 중앙(회전중심)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3A)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감속기(28A)는 상기 회전축의 RPM은 감소시키면서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스팀부(200)는 공간활용도를 위해, 상기 전방패널(13) 또는 상기 건조드럼(3A)을 지지하는 상기 제1지지부(17)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캐비닛(1)의 모서리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급부(400)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420)와, 상기 물탱크(420)에 저장된 물을 상기 스팀부(200)로 공급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물펌프(430)와, 상기 물펌프(430)와 상기 물탱크(42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탱크하우징(4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물펌프(430)가 상기 캐비닛(1A)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물펌프(430)가 상기 캐비닛(1A)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1)의 전후방을 따라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물탱크(420)가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는 탱크장착부(411)와, 상기 물펌프(430)가 장착될 수 있는 펌프장착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탱크장착부(411)와 상기 펌프장착부(412)는 리세스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물탱크(420) 또는 상기 물펌프(430)에서 누수된 물이 상기 드럼(2) 등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상기 탱크장착부(411)와 상기 펌프장착부(412)를 구획하는 격벽(4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탱크하우징(410)이 상기 물탱크(420)가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격벽(413)은 상기 탱크장착부(411)에 잔수나, 상기 펌프장착부(412) 상의 잔수가 다른 곳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수집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격벽(413)에는 상기 물탱크(420)와 상기 물펌프(430)를 서로 연통시키는 연장관(41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장관(416)에는 밸브 구조가 설치될 수 있어, 상기 물탱크(420)가 상기 탱크장착부(411)에서 분리되더라도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연장관(416)는 상기 격벽(413)에서 상기 물펌프(430) 또는 상기 물탱크(420)를 향하여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상기 탱크장착부(411)보다 상기 펌프장착부(412)가 상기 스팀부(200)와 더 가깝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물탱크(420)에서 상기 스팀부(200)로 공급되는 유로가 단순해질 수 있다.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상기 탱크장착부(411)와 상기 펌프장착부(412)가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300)는 상기 탱크하우징(410)을 상기 지지바(440)와 상기 캐비닛의 일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A) 내부에 배치된 구성은 상기 건조드럼(3A)과 이격되어 배치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 물공급부(300)와,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드럼(2)과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필요가 있다. 예를들어, 상기 스팀부(200)에서 스팀을 드럼(2)에 공급하는 스팀안내관(230) 또는 상기 스팀부(200)에 물을 공급하는 상기 직수관(510) 등은 상기 드럼(2)에 접촉되는 것이 차단될 필요가 있다.
한편, 물탱크(420) 및 물펌프(430) 뿐만 아니라 상기 물탱크(420)에 수용된 물의 하중까지 지지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스팀부(200)와 상기 물공급부(300)를 지지하여 상기 스팀부(200)와 상기 물공급부(300)가 상기 드럼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스팀부(200)와 상기 물공급부(300)을 상기 캐비닛 내부에 지지하는 지지바(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440)는 상기 스팀부(200)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물공급부(30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440)는 상기 탱크하우징(410)을 상기 캐비닛에 고정 또는 지지할 수 도 있다.
상기 지지바(440)는 양단이 상기 전방패널(13)과 상기 배면패널(12)에 결합되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바(440)는 상기 탱크하우징(410)의 하중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전방패널(13)과 상기 배면패널(12)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440)는 상기 측면패널(14)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전방패널(13) 및 상기 배면패널(12)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바(440)는 양단이 캐비닛(1A)에 결합되되 그 외 부분은 상기 캐비닛(1A)의 측면 상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바(440)가 상기 상부패널(11)과 이격되어 상기 상부패널(11)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440)와 상기 상부패널(11) 사이에 상기 물공급부(300) 및 상기 스팀부(200)의 일부 구성을 지지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440)로 인해 상기 탱크하우징(410)의 너비가 과도하게 연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도시되진 않았지만 내면에 상기 물탱크(420)의 장착을 감지할 수 있는 장착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센서는 무게센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무게의 경중 까지 분별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센서는 상기 컨트롤패널(P)에 연결되어 상기 물탱크(420)의 장착여부 및 상기 물탱크(420)에 수용된 수량에 대한 정보까지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급부(400)는 상기 펌프하우징(430)에서 상기 스팀부(200)로 물을 배출하는 펌프배출관(4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공급부(500)는 상기 제2지지부(19A) 또는 상기 배면패널(12) 상에 안착되는 직수밸브(520)와, 상기 직수밸브(520)에서 스팀부(200)로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직수관(5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수관(510)이 상기 배면패널(12)에서 상기 스팀부(200)까지 연장되고, 상기 직수밸브(520)는 상기 직수관(510)을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직수관(510)은 상기 직수밸브(520)에서 지지바(440)를 가로질러 상기 스팀발생기(210)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직수관(51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지지바(440)에 지지되어 건조드럼(3A)과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440)는 상기 직수밸브(520)와 상기 물탱크(4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수밸브(520)는 상기 배면패널(12) 또는 제2지지부(19)에 안착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직수관(510)이 상기 직수밸브(520)에서 상기 스팀부(200)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외부공급부(500)는 외부급수원에서 직수방식으로 상기 스팀부(2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외부공급부(500)와 상기 내부공급부(400)에서 물을 각각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스팀부(200)가 각각의 관으로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되면, 별도의 스팀부(200) 형상이 제조되어야 하며, 유로 및 제어방법이 복잡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직수관(510)과 상기 펌프배출관(433)이 합지되도록 결합시키는 합지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합지부(600)는 상기 내부공급부(400)에 저장된 물과 상기 외부공급부(500)에서 직수방식으로 공급되는 물이 모두 수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지부(600)는 상기 공급된 물을 상기 스팀부(200)로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합지부(600)는 3방밸브로 구비될 수 있고, 3개의 관이 결합된 합지관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합지부(600)가 관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외부공급부(500)와 상기 내부공급부(400)는 역류가 방지될 수 있도록 체크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직수관(510)에는 상기 직수관(510)을 일방향으로 개방하도록 구비되는 직수체크밸브(511)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펌프배출관(433)에는 상기 펌프배출관(433)을 일방향으로 개방하도록 구비되는 배출체크밸브(434)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배출관(433)과 상기 직수관(510)에 각각 체크밸브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외부공급부(500)는 외부체크밸브를 구비하고, 내부공급부(400)는 내부체크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직수관(510)으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물펌프(430)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펌프배출관(433)으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직수밸브(510)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합지부(600)는 밸브 또는 합지관으로 구비되면 상당한 자중을 갖는다. 또한, 상기 합지부(600)에 물이 통과되면 상기 합지부(600)에 상당한 무게가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합지부(600)는 상기 지지바(440) 상에 안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합지부(600)와 상기 지지바(400)는 별도의 고정부재로 서로 결합되어 상기 합지부(600)가 상기 지지바(400)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합지부(600)가 상기 지지바(400)에 안착됨으로 인해, 상기 직수관(510)과 상기 펌프배출관(433)의 위치도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합지부(600)에 연결되어 물공급부(300)의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되는 물안내관(220)과, 상기 물안내관(220)에서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기(210)와, 상기 스팀발생기(210)에서 발생된 스팀을 상기 건조드럼(3A)또는 덕트(4)로 안내할 수 있는 스팀안내관(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기(210)는 상기 건조드럼(3A) 보다 하부에 구비되어 물공급부(300)로부터 물을 중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생성된 스팀을 밀도 차이에 의해 상기 건조드럼(3A)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스팀안내관(230)은 상기 건조드럼(3A)의 전방에 구비되는 가스켓이나, 상기 제1지지부(17)에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안내관(230)이 상기 건조드럼(3A)에 접촉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상기 건조드럼(3A) 내부에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상기 물탱크(420)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장착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장착센서는 압력센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탱크(420)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수위센서는 무게센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장착센서 또는 상기 수위센서도 상기 제어패널(8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제어패널(820)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패널(P)은 상기 물펌프(430)를 일시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물펌프(430)에 부가되는 부하를 감지함을 통해, 상기 물탱크(420)의 수위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
상기 저수탱크(72)는 상기 물탱크(430) 보다 상당히 부피가 더 크게 구비되고, 상기 물탱크(430)와 사용자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물탱크(43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430)와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지지바(440)와 상기 캐비닛의 일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저수탱크(72)는 상기 지지바(440)와 상기 캐비닛의 타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430)는 상기 탱크장착부(411)에 결합되므로, 상기 탱크장착부(411)도 상기 지지바(440와 상기 캐비닛의 일측면 사이에 배치된다고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지지바(440)는 상기 저수탱크(92)와 상기 스팀발생기(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저수탱크(92)와 상기 물탱크(4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3)은 패널 지지부(12)를 통해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패널 지지부(12)는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고정되고, 상기 전방패널(13)은 상기 패널 지지부(12)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컨트롤패널(P)는 상기 패널 지지부(12)를 통해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지지부(12)에는 상기 컨트롤패널(P)가 고정되는 인터페이스 장착홈이 구비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세탁기(10) 및 건조기(20)가 함께 구비된 복합장치로 구비되었을 때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5를 참조하면, 상기 세탁기(10)는 건조기(20) 보다 터브(2)가 추가로 배치되고, 구동부(32)가 더 무겁게 구비된다. 따라서, 세탁기(10)는 건조기(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탁기(10)와 상기 건조기(20)의 구성은 전술한 세탁기(10)와 상기 건조기(20)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은 상기 세탁기(10)의 캐비닛(1)과 상기 건조기의 캐비닛(1A)이 통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P)은 제2컨트롤패널(P2)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트롤패널(P2)은 상기 터브(2)와 상기 건조기의 건조드럼(3A) 사이에 해당하는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6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P)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6(a)는 제1컨트롤패널(P1)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6(b)는 제2컨트롤패널(P2)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6(a)를 참조하면, 상기 제1컨트롤패널(P1)는 상기 패널 지지부(12)에 고정되어 캐비닛(1) 내부에 위치하는 회로기판(P4), 상기 회로기판에 고정되어 상기 캐비닛(1) 내부에 위치하는 인코더(P5, encoder), 상기 전방패널(13)을 관통하여 상기 인코더(P5)에 연결된 로터리 놉(P7), 상기 전방패널(13)을 관통하여 상기 인코더(P5) 또는 상기 제1회로기판(P4)에 고정되는 화면부(P8)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회로기판(P4)은 상기 구동부(32), 상기 스팀부(200), 상기 물공급부(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어(전력 제어, 작동 제어)에 필요한 제어회로가 구비된 기판으로, 케이스(P41)를 통해 상기 패널 지지부(1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P41)는 상기 제1회로기판(P4)을 상기 패널 지지부(12)에 고정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P41)는 일면(패널 지지부를 향하는 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P41)에는 상기 제1회로기판(P4)의 위치를 설정하는 보스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스는 제1보스(411) 및 제2보스(412)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회로기판(P4)에는 상기 제1보스(411)가 관통하는 기판 관통홀(P42), 및 상기 제2보스(412)가 관통하는 보스 삽입홀(P4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보스(412)는 상기 제1보스(411)의 좌우공간 각각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보스(411)의 상하공간 각각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P8)에는 와이어(822)가 연결되는데, 상기 와이어(822)는 상기 표시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표시부(P8)가 상기 제1회로기판(P4)을 비롯한 상기 캐비닛 내부의 장치들과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선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보스(411)에는 제1보스 관통홀(413)이 구비되고, 상기 패널 지지부(12)에는 와이어 관통홀(123)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822)는 상기 제1보스 관통홀(413) 및 상기 와이어 관통홀(12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캐비닛(1)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회로기판(P4)에는 상기 전원버튼(P46)와 상기 수행버튼(P47)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버튼(P46)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수행버튼(P47)는 상기 표시부(P8)에 표시된 제어명령을 실행을 요청하는 명령, 또는 의류처리장치(10)가 실행 중인 제어명령의 일시적 중단을 요청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버튼(P46)와 수행버튼(P47)는 사용자 신체의 정전기를 감지함으로써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버튼(P46)는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노출된 제1버튼(461), 상기 제1회로기판(P4)에 고정된 제1감지센서(464), 및 상기 제1버튼과 상기 제1감지센서를 연결하는 전도체(463, 제1터치 스프링)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수행버튼(P47)는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노출된 제2버튼(471), 상기 제1회로기판(P4)에 고정된 제2감지센서(474), 및 상기 제2버튼과 상기 제2감지센서를 연결하는 전도체(미도시, 제2터치 스프링)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3)에는 제1버튼 장착부(136) 및 제2버튼 장착부(117)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버튼(461)은 상기 제1버튼 장착부(116)를 통해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제2버튼(471)은 상기 제2버튼 장착부(117)를 통해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전원버튼(P46)와 상기 수행버튼(P47)는 상기 화면부(P8)의 좌측 공간과 우측 공간에 나뉘어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표시부의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에 나뉘어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표시부의 좌측공간이나 우측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 상하 또는 좌우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터치 스프링(463)과 제2터치 스프링은 코일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제1버튼(461)과 제2버튼(471)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상기 제1버튼(461)과 제2버튼(471)이 각 버튼 장착부(116, 117)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전원버튼(46)에는 제1버튼의 운동범위를 제한하는 제1스토퍼(462)가 구비되고, 상기 수행버튼(47)에는 제2버튼의 운동범위를 제한하는 제2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코더(P5)는 상기 조작부(P7)를 상기 제1회로기판(P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수단이면서, 상기 로터리 놉(P7)의 회전 시 전기적 신호를 발생(또는, 액추에이터의 회전각도에 따라 달리 설정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인코더(P5)는 상기 제1회로기판(P4)에 고정되어 상기 화면부(P8)가 고정되는 고정부(P51), 상기 고정부(P5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로터리 놉(P7)가 고정되는 회전부(P52), 및 상기 회전부(P52)의 회전 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P5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코더(P5)가 조립된 상기 제1회로기판(P4)은 절연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제1회로기판(P4)으로 물이 공급되어 회로가 단락될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절연물질이 상기 제1회로기판(P4)의 일면(프론트 패널을 향하는 면)에 코팅될 때 상기 절연물질에 의해 상기 회전부(P52)가 상기 고정부(P51)에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패널(P)에는 인코더 커버(P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코더 커버(P7)는 상기 제1회로기판(P4)에 고정되어 상기 인코더(P5)를 감싸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코더 커버(P6)는 상기 제1회로기판(P4)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바디(512)를 감싸는 고정바디 커버(P61), 및 상기 고정바디 커버(P6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인코더(5)가 삽입되는 커버 관통홀(P6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 커버(P61)에는 기판 체결부(611)가 구비되고, 상기 제1회로기판(P4)에는 상기 기판 체결부(611)가 고정되는 인코더 커버 고정홀(P4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코더 커버(P6)는 상기 고정바디 커버(P61)에서 연장되어 상기 회전부(P52)를 감싸는(지지바디를 감싸는) 지지바디 커버(P63)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 커버(P63)는 상기 로터리 놉(P7)가 상기 커버 관통홀(62)의 지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상기 지지바디 커버(63)는 상기 로터리 놉(P7)가 상기 회전부(P52)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6(b)를 참조하면, 상기 제2컨트롤패널(P2)은 상기 캐비닛(1)에 결합되는 커버패널(P21)과, 커버패널(P21)의 후방에서 배치되는 제어기판(P24)과, 상기 제어기판(P24)과 상기 커버패널(P21) 사이에 구비되어 제어기판(P24)에서 전달된 정보를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액정(P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패널(P21)은 상기 캐비닛(1)에 결합되어 상기 제어기판(P24)과, 상기 표시액정(P22)이 수분에 노출되거나 외부 물체 등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패널(P21)은 강화 수지 계열 또는 금속판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어기판(P24) 또는 표시액정(P22)과 대응되는 영역은 빛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패널(P21)은 사용자의 신체에서 발생한 전류에 의해 대전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재질이나, 상기 표시액정(P22)로 전류를 통과시킬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액정(P22)이 터치패널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터치필름(P2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필름(P23)은 사용자의 신체에서 수신되는 전류를 감지할 뿐만 아니라, 전류가 도달한 좌표까지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투과성 박막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판(P24)은 상기 표시액정(P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제어부(P241)와, 상기 터치필름(P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치수신부(P2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액정(P22)은 상기 표시제어부(P241)와 전선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필름(P23)의 입력과 대응되는 좌표에 다양한 터치정보를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필름(P23)은 상기 표시액정(P22)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터치정보에 표시되는 좌표와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하거나 가까워졌는지 여부를 상기 터치수신부(P242)에 전달할 수 있다.
이로써, 표시액정(P22)는 터치패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기판(P24)은 상기 전원영역(P25)과 수행영역(P26)을 사용자가 터치하는 것을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 제2컨트롤패널(P2)은 전원영역(P25)과 수행영역(P26)의 터치와 상기 표시액정(P22)의 터치를 명확히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전원영역(P25)과 상기 수행영역(P26)은 상기 제어기판(P24)과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영역(P25)은 상기 제어기판(P24)과 별도로 배치되어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PCB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영역(P25)은 상기 커버패널(P21)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행영역(P26)은 상기 제어기판(P24)과 별도로 배치되어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PCB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행영역(P26)은 상기 커버패널(P21)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원영역(P25)과 상기 수행영역(P26)은 액정으로 구비되지 않고 전류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회로기판으로 구비되되, 터치 영역을 안내하기 위한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제2컨트롤패널(P2)은 상기 전원영역(P25)과 수행영역(P26) 및 제어기판(P24)을 지지하며, 상기 표시액정(P22)과 터치필름(P23)을 안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지지패널(P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패널(P28)은 수지계열로 구비되어 상기 전원영역(P25)과 수행영역(P26) 및 제어기판(P24)을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패널(P28)은 상기 표시액정(P22)과 터치필름(P23)의 외주면을 수용하며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패널(P28)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전원영역(P25)과 수행영역(P26), 제어기판(P24), 상기 표시액정(P22)과 터치필름(P23)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패널(P2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패널(P29)은 상기 지지패널(P28)과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P28)은 상기 캐비닛(1)을 형성하는 프레임 등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커버패널(P21)의 외주면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면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커버패널(P21)과 상기 고정패널(P29) 사이에 상기 제2컨트롤패널(P2)의 다른 구성품이 모두 수용되어 안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 컨트롤패널(P)은 의류처리장치의 형태에 따라, 로터리놉과 화면부를 포함하는 제1컨트롤패널(P1)과, 터치패널 방식으로 구비되는 제2컨트롤패널(P2)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구조와 달리, 본 발명 컨트롤패널(P)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모든 구성이 물리적인 버튼으로 구비되고, 시각적인 정보표시는 단순한 전구와 같은 발광부로 구비되는 후술하는 제3컨트롤패널(P3)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 컨트롤패널(P)은 다양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지만, 본 발명 컨트롤패널(P)은 의류처리장치(100)에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며, 사용자와 통신 또는 소통하는 인터페이스(I)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컨트롤패널(P)이 다양한 구조로 구비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 컨트롤패널(P)을 구조 중심이 아닌 인터페이스(I)의 역할 또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중심으로 구성을 구분할 수 있다.
도7은 제1컨트롤패널(P)의 인터페이스(I)로 구분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제1컨트롤패널(P)은 의류처리장치 또는 컨트롤패널(P)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명령을 입력받는 전원부(710)와, 의류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코스를 선택하는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코스선택부(710)와, 상기 코스의 조건을 선택하는 임의의 옵션의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옵션선택부(730)와, 선택된 상기 코스 및 옵션을 수행하는 수행명령을 입력받는 수행부(740)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를 처리하는 코스라 함은 의류의 이물질을 물과 세제로 제거하는 세탁행정, 상기 의류의 이물질과 세제를 제거하는 헹굼행정, 원심력 등을 이용하여 상기 의류의 물을 제거하는 탈수행정, 상기 의류에 공기와 스팀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행정, 상기 의류의 공기와 스팀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의류의 탈취, 구김제거, 살균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리프레쉬 행정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는 일련의 제어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상기 코스의 옵션이라 함은 상기 코스를 수행하는 각종 조건, 반복횟수, 지속시간, 수행강도, 부가할 수 있는 추가기능을 포함하는 일련의 알고리즘이라고 볼 수 있다.
상기 제1컨트롤패널(P)에서 상기 전원버튼(P46)을 상기 전원부(710)라고 정의할 수 있고, 상기 수행버튼(P47)을 상기 수행부(740)라고 정의할 수 있고, 상기 로터리 놉(P7)을 코스선택부(710)로 정의할 수 있고, 상기 설정영역(P19)을 옵션선택부(730)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옵션선택부(730)는 상기 임의의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터치 디스플레이로 구비될 수도 있고, 복수의 램프 및 사용자의 신체를 감지할 수 있는 복수의 전도체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옵션선택부(730)은 상기 코스가 헹굼행정을 수행할 때 드럼의 회전속도 및 지속시간, 물의 양, 헹굼횟수와 관련된 헹굼강도를 조절하는 헹굼조절부(731)와, 상기 코스가 탈수행정을 수행할 때 드럼의 회전속도, 지속시간과 관련된 탈수강도를 조절하는 탈수조절부(732)와, 상기 코스가 세탁행정을 수행할때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73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옵션선택부(730)는 상기 코스의 부가적인 기능을 입려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옵션선택부(730) 중 세탁조절부(734), 헹굼조절부(731), 탈수조절부(732), 온도조절부(733)는 상기 코스를 수행하는 행정조건에 관련된 옵션을 선택하는 조건 설정부과, 코스가 수행되거나 종료되는 시간의 예약, 스팀공급여부, 드럼(3) 및 터브(2)의 살균, 구김방지와 같이 상기 코스의 행정조건 이외의 부가 기능을 기능설정부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옵션선택부(730)의 기능설정부로는 기능성의류, 연질의 의류, 통세척과 같은 특수세탁행정을 수행하는 세탁옵션을 입력할 수 있는 세탁부(736)와, 특정 시간에 세탁코스를 수행하는 예약명령을 입력하는 예약부(737)와, 상기 코스 행정 중의류에 스팀을 부가하여 살균을 도모할 수 있는 살균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살균부(738)와, 서버에서 수신한 코스를 수행하거나, 그 외 추가적인 옵션을 부가하는 것을 선택하는 부가기능부(739)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컨트롤패널(P)이 다른 의류처리장치를 장치를 제어하거나 외부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환명령을 입력받는 전환버튼(E)는 전환부(750)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710), 코스선택부(720), 옵션선택부(730), 수행부(740), 전환부(75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입력부(700)로 통칭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트롤패널(P)은 사용자에게 상기 입력부(700)의 입력에 대응되는 정보를 표시하거나, 사용자에게 안내할 안내정보, 의류처리장치의 상태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트롤패널(P)에서 상기 표시화면(P8)을 상기 표시부(800)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800)는 기능에 따라 상태표시부(810), 내용표시부(820), 입력표시부(830)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상태표시부(810)는 도어(14)의 잠금여부, 통신모듈의 활성화 여부, 코스 또는 옵션의 동작 여부, 안내문구 발생여부 등이 아이콘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표시부(810)에는 표시할 정보의 개수가 아이콘 또는 심볼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들어, 복수의 점이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점 중 하나가 빛을 발산하면서 상기 내용표시부(820)에서 확인할 수 있는 총 정보의 개수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내용표시부(820)에는 감지된 의류 또는 포량에 관한 정보, 선택된 코스 또는 옵션의 구체적인 내용,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이 수행되는 상태, 사용자에게 필요한 안내정보가 텍스트 또는 영상(821)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내용표시부(820)에 표시되는 의류 또는 포량에 관한 정보는 의류의 무게, 상기 의류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세제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용표시부(820)에 표시되는 선택된 코스의 내용은 특정 재질 또는 특정 하중의 의류를 처리하기에 적합한 코스의 종류(what to wash), 상기 코스의 지속시간, 상기 코스의 잔여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용표시부(820)는 코스표시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용표시부(820)에 표시되는 선택된 옵션의 내용은 상기 코스에서 수행되는 세탁,헹굼, 탈수 등의 행정의 반복횟수, 상기 행정의 강도, 상기 행정을 수행하는 온도 등 상기 코스를 어떻게 수행할 것인지(how to wash)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내용표시부(820)는 옵션표시부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내용표시부(820)은 의류처리장치의 상태와 기능을 세부적, 가변적으로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용표시부(820)는 상기 상태표시부(810) 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표시부(830)에는 사용자가 입력부(810)를 입력하거나 상기 표시부(800)에 구비된 터치영역 등의 입력을 요구하도록 빛을 발산할 수 있고, 어떤 내용을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지에 관한 안내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800)는 전체가 터치패널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내용표시부(820)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액정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상태표시부(810)는 빛을 선택적으로 발광할 수 있는 복수의 전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입력표시부(830)는 사용자의 터치를 입력할 수 있는 각종 수단 및 빛을 선택적으로 발광할 수 있는 전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800)는 옵션에 관한 선택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옵션표시부(8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옵션표시부(840)는 상기 옵션선택부(730)와 대응되는 옵션정보가 표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옵션표시부(840)는 상기 옵션선택부(730)로 선택한 코스의 조건이 표시되는 영역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옵션표시부(840)는 상기 헹굼력, 탈수력, 온도를 객관화, 단위화하여 보여주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옵션표시부(840)는 상기 옵션선택부(730)로 선택한 헹굼강도, 탈수강도, 물온도가 단계별로 구획될 수 있고, 설정된 단계에 해당되는 영역이 점등되는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옵션표시부(840)는 현재 선택된 옵션이 어떤 수준에 해당하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내용표시부(820)는 확정된 옵션의 구체적인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면, 상기 옵션표시부(840)는 특정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전체 범위와, 상기 특정 옵션이 선택된 강도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옵션표시부(840) 및 옵션선택부(730)는 현 시점에서 활용 가능한 기능이나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은 점등되고, 실행될 수 없거나 사용자가 선택하지 않는 기능은 소등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8은 제2컨트롤패널(P2)의 인터페이스(I)로 구분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제2컨트롤패널(P2)은 의류처리장치 또는 컨트롤패널(P)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명령을 입력받는 전원부(710)와, 의류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코스를 선택하는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코스선택부(710)와, 상기 코스의 조건을 선택하는 임의의 옵션의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옵션선택부(730)와, 선택된 상기 코스 및 옵션을 수행하는 수행명령을 입력받는 수행부(740)를 포함하는 입력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컨트롤패널(P2)의 상기 입력부(700)의 각 구성들에 대한 기능은 제1컨트롤패널(P1)의 입력부(700)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컨트롤패널(P2)은 사용자에게 상기 입력부(700)의 입력에 대응되는 정보를 표시하거나, 사용자에게 안내할 안내정보, 의류처리장치의 상태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컨트롤패널(P2)의 상기 표시부(800)의 기능은 제1컨트롤패널(P1)의 표시부(800)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2컨트롤패널(P2)에서, 상기 전원영역(P25)는 전원부(710)로 정의할 수 있고, 상기 수행영역(P26)은 수행부(740)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전환영역(P27)은 전환부(750)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2컨트롤패널(P2)에서 상기 터치필름(P23)으로 코스와 옵션을 선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필름(P23)을 코스선택부(720)와 옵션선택부(730)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액정(P22)은 상기 표시부(800)로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컨트롤패널(P2)에서 상기 전원부(710)는 상기 세탁기(10)의 전원명령을 입력받는 제1전원부(711)와, 상기 건조기(20)의 전원명령을 입력받는 제2전원부(7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행부(740)는 상기 세탁기(10)의 수행명령을 입력받는 제1수행부(741)와, 상기 건조기(20)의 수행명령을 입력받는 제2수행부(7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환부(750)는 상기 전원부(710)와 상기 표시부(8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액정(P22)과 상기 터치필름(P23)은 서로 중첩되어 배치된다. 그 결과, 상기 표시액정(P22)의 표시 영역에 따라, 표시부(800)와 입력부(710)가 구획된다고 볼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표시액정(P22)에서 하부 영역은 코스와 옵션을 선택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부영역 및 중앙 영역은 각종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액정(P22)에서 상부영역은 상태표시부(81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중앙영역은 내용표시부(82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내용표시부(820)에는 감지된 의류 또는 포량에 관한 정보, 선택된 코스 또는 옵션의 구체적인 내용,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이 수행되는 상태, 사용자에게 필요한 안내정보가 텍스트 또는 영상(821)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내용표시부(820)에 표시되는 의류 또는 포량에 관한 정보는 의류의 무게, 상기 의류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세제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용표시부(820)에 표시되는 선택된 코스의 내용은 특정 재질 또는 특정 하중의 의류를 처리하기에 적합한 코스의 종류(what to wash), 상기 코스의 지속시간, 상기 코스의 잔여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용표시부(820)는 코스표시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용표시부(820)에 표시되는 선택된 옵션의 내용은 상기 코스에서 수행되는 세탁,헹굼, 탈수 등의 행정의 반복횟수, 상기 행정의 강도, 상기 행정을 수행하는 온도 등 상기 코스를 어떻게 수행할 것인지(how to wash)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내용표시부(820)는 옵션표시부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800)에서 하부영역은 코스/ 옵션의 선택을 받을 수 있는 코스선택부(720)와 옵션선택부(7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800)의 하부영역은 코스/ 옵션의 선택을 받도록 구비되므로, 입력표시부(830)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도 있다.
상기 표시액정(P22)에서 왼쪽 하단에 코스선택부(720)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코스선택부(720)가 입력되면, 상기 표시액정(P22)에서 내용표시부(820) 또는 상태표시부(810), 입력표시부(830) 중 하나 이상에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제공하는 각종 코스가 산개되어 표시되도록 전환될 수 있고, 터치필름(P23)의 특정영역이 가압되는 것을 감지하여, 특정 코스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표시액정(P22)에서 코스선택부(720)의 일측에는 옵션선택부(73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헹굼조절부(731), 상기 탈수조절부(732), 상기 온도조절부(733)가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헹굼조절부(731), 상기 탈수조절부(732), 상기 온도조절부(733)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면, 상기 표시액정(P22)에서 내용표시부(820) 또는 상태표시부(810), 입력표시부(830) 중 하나 이상에는 변경될 수 있는 옵션 조건들이 산개되어 표시되고, 터치필름(P23)의 특정영역이 가압되는 것을 감지하여, 옵션이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영역(830)은 상기 옵션에 대응되는 내용이 표시되므로, 옵션표시부(840)의 역할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부가기능부(739)는 별도의 입력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가기능부(739)가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800)에 상기 세탁부(736), 상기 예약부(737), 상기 살균부(738)가 함께 표시되어, 상기 터치필름(P23)으로 코스의 부가적인 기능이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800)는 현재 표시부(800)에 표시되는 정보가 세탁기(10)와 건조기(20) 중 어느 것과 관련된 정보인지를 표시하는 전환표시부(8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하부에 발광하는 것이 표시되면, 상기 표시부(800)는 하부에 배치되는 세탁기(10)와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도9은 제3컨트롤패널(P)의 인터페이스(I)로 구분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제3컨트롤패널(P3)은 의류처리장치 또는 컨트롤패널(P)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명령을 입력받는 전원부(710)와, 의류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코스를 선택하는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코스선택부(710)와, 상기 코스의 조건을 선택하는 임의의 옵션의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옵션선택부(730)와, 선택된 상기 코스 및 옵션을 수행하는 수행명령을 입력받는 수행부(740)를 포함하는 입력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컨트롤패널(P3)의 상기 입력부(700)의 각 구성들에 대한 기능은 제1컨트롤패널(P1)의 입력부(700)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컨트롤패널(P3)은 사용자에게 상기 입력부(700)의 입력에 대응되는 정보를 표시하거나, 사용자에게 안내할 안내정보, 의류처리장치의 상태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컨트롤패널(P3)의 상기 표시부(800)의 기능은 제1컨트롤패널(P1)의 표시부(800)와 동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컨트롤패널(P3)은 전원부(710)와 수행부(740)가 별도의 버튼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P3)은 코스선택부(720)가 로터리 놉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스선택부(720)는 전원부(710)와 수행부(7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로터리 놉의 외부에 상기 로터리 놉이 단계별로 회전하는 1틱 마다 대응되는 코스의 명칭이 제3컨트롤패널(P3)의 표면에 인쇄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코스선택부(720)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옵션선택부(730)는 상기 코스선택부(720)와 이격되어 별도의 버튼 조합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80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스선택부(720)는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이 처리하는 전체 의류의 평균적인 재질을 선정하여 적정강도와 적정온도조건 등으로 의류를 처리하는 표준코스를 선택하는 표준코스부(7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균적인 재질은 면 또는 티셔츠 소재일 수 있으며, 적정강도는 의류처리장치가 제공하는 강도 중 중간에 해당하는 강도, 적정온도 조건은 냉수조건 일 수 있다.
상기 코스선택부(720)는 상기 표준 코스보다 더 강한 강도와 더 높은 온도 조건으로 의류를 처리하는 찌든때 코스를 선택하는 강화코스부(722)와, 상기 표준 코스보다 연한재질의 의류를 처리하는 아이옷 코스를 선택하는 아기옷코스부(723), 상기 온수 또는 히터부(H1)를 사용하며 상기 표준코스 보다 장시간 의류를 처리하는 삶은 코스를 선택하는 삶은코스부(724), 방수의류 또는 고어텍스와 같은 기능성의류를 처리하는 기능성코스를 선택하는 기능성 코스부(725), 의류를 50도 이상의 고온 조건에서 10분 이상의 살균시간에 노출시켜 살균을 수행하는 알러지케어코스를 선택하는 알러지코스부(726), 히터부(H1) 등을 통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의류에 공급하는 스팀코스를 선택하는 스팀코스부(727), 상기 표준코스 보다 더 적은 수행시간으로 의류를 처리하는 신속코스를 선택하는 스피드코스부(728), 상기 표준코스 보다 드럼의 평균 회전속도를 낮추어 의류를 처리하는 정숙코스를 선택하는 정숙코스부(729), 의류의 이염을 방지하고 탈색을 방지하기 위해 표준코스 보다 저온으로 수행하거나, 더 낮은 평균속도로 드럼을 회전시키는 컬러코스를 선택하는 컬러코스부(720a), 표준코스에 적합한 의류의 재질보다 보다 더 수분흡수도가 높은 재질이면서 다 중량의 의류를 처리하는 이불코스를 선택하는 이불코스부(720b), 상기 표준코스에 적합한 의류의 재질 보다 연질의 재질인 의류를 처리하기 위해 드럼의 회전속도를 최소화하거나, 드럼의 구동시간을 최소화하여 의류를 처리하는 울코스를 선택하는 울코스부(720c), 세제를 사용하지 않고 물 만으로 의류를 처리하는 헹굼코스를 선택하는 헹굼코스부(720d), 기타 서버가 제공하는 코스이거나 사용자가 코스의 수행시간을 결정하는 시간 코스 등 특수 코스를 선택할 수 있는 다운로드코스부(720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컨트롤패널(P3)의 표면에는 상기 코스선택부(720)와 대응되는 코스의 종류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3컨트롤패널(P3)은 상기 코스의 종류가 프린트 되어 표시되거나, 상기 코스선택부(720)로 지정된 상기 코스의 종류가 전구 등의 방식으로 점등되어 표시될 수 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3컨트롤패널(P3)의 표면은 상기 코스표시부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옵션선택부(730)는 조건설정부로서 의류의 세탁강도를 선택할 수 있는 세탁조절부(734), 의류의 헹굼강도를 선택할 수 있는 헹굼조절부(731), 의류의 탈수강도를 선택할 수 있는 탈수조절부(732), 의류의 온도조건을 선택할 수 있는 온도조절부(7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800) 중 옵션표시부(840)는 세탁조절부(734), 헹굼조절부(731), 탈수조절부(732), 온도조절부(733)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옵션선택부(730)로 선택된 행정조건을 외부에 표시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옵션선택부(730)는 기능설정부(739)로서 드럼(3)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옵션을 선택하는 스팀부(7395), 외부단말로 상기 코스를 수행하는 원격제어 옵션을 선택하는 스마트케어부(7396), 상기 코스의 시작시간 또는 종료시간을 설정하는 옵션을 선택하는 예약부(7397), 상기 드럼(3)과 터브(2)를 고온의 물과 드럼의 회전력을 통해 세척 및 살균하는 옵션을 선택하는 통살균부(7398), 세탁행정 및 헹굼행정에서 드럼을 더 빨리 회전시켜 내부에 강한 수류를 형성하는 옵션을 선택하는 터보샷부(7391), 사용자가 지정한 세탁강도, 헹굼강도, 탈수강도로 의류를 처리하는 옵션을 선택하는 사용자지정부(7392), 코스 종료 후 드럼을 간헐적으로 회전하여 의류의 구김을 방지하는 옵션을 선택하는 구김방지부(7393), 코스 진행 중 의류의 추가를 위해 도어의 열림을 허용하는 옵션을 선택하는 빨래추가부(739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800)는 전술한 상태표시부(810)와 상기 내용표시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표시부(810)는 전술한 것과 동일하게 다양한 아이콘으로 현재 의류처리자치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내용표시부(820)는 상기 코스의 진행시간 또는 예상시간, 예약시간 등이 텍스트 또는 숫자, 영상 등 정보(821)를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3컨트롤패널(P3)의 내용표시부(810)는 화면을 가변하여 표시하는 액정이 아니라, 각 해당영역을 점등하거나 소등하는 복수의 전구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10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전술한 구성을 바탕으로 포량을 감지하는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수행부(740)의 입력전에 포량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전원부(710)가 입력되거나, 상기 도어(14)의 개폐가 감지되면, 상기 드럼(3)을 회전하여 상기 의류의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3)의 의류가 투입되어 상기 구동부(80)로 진동 등이 전달되면 그 즉시 드럼(3)을 1회전 미만으로 회전시켜 상기 의류의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드럼(3)을 1회전 미만으로 회전시키기 때문에 사용자가 도어(132)를 개방한 상태에서 의류를 투입하더라도 사용자가 다치거나, 의류가 손상되는 가능성 없이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코스선택부(720)로 코스 또는 옵션을 선택하기 전 또는 수행부(740)로 코스 또는 옵션을 실행하기 전에 포량을 감지할 수 있고, 이에 대해 적절한 세제량을 추천하거나, 적합한 코스를 추천하거나, 사용자가 표시부(800)를 직시하는 상태에서 바로 코스의 예상수행시간 또는 완료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의류처리장치의 활용도를 높이도록 유도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의류의 회수시점을 정확히 안내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2), 상기 드럼(3) 또는 상기 구동부(80)에 하중센서가 구비되어 곧바로 의류의 포량을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드럼(3)의 회전을 통하여 포량을 감지하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0(a)를 참조하면, 의류가 자중에 의해 상기 의류는 상기 드럼(3)의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10(b)를 참조하면, 포량을 감지할 때,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3)을 1회전 미만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가 상기 드럼 내벽에서 분리되거나 배치가 가변되는 각도 이하 까지 상기 드럼(3)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드럼(3) 내부에서 의류의 위치가 가변되면서 상기 구동부(32)에 불필요한 부하나 충격이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제어부(C)에 상기 구동부(32)에 인가되거나 출력되는 전류값을 통하여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의류의 포량을 정확하게 연산할 수 있다.
예를들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포량을 감지할 때 0도에서 90도 이하의 범위에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럼(3)은 회전되는 각도가 작을수록 상기 제어부(C)가 상기 의류의 포량을 감지하는 시간이 짧아질 수 있고, 상기 의류의 무게를 감지하는 오차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포량을 감지할 때 10도에서 45도 이하의 범위에서 상기 드럼(3)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포량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수행부(740)의 입력전에 전원부(710) 또는 도어(14)의 개폐를 감지하면 즉시 포량을 감지하여 표시부(800)에 포량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1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포량감지 연산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11(a)와 도11(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드럼(3)을 1회전 미만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그 과정에서 상기 구동부(32)에 인가되거나 출력된 전류값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전류값을 바탕으로 상기 의류의 포량을 연산(프로세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C)는 포량을 감지하기 위해, Te= Jdw/dt+Bw+mgrsinΘ의 수식을 사용할 수 있다.
Te는 구동부(32)에 가해지는 토크 값으로 I(전류값) X K(구동부 상수)에 해당한다.
즉, 상기 구동부 상수(k)는 구동부(32) 자체의 고유값이므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전류값(I)을 감지하면 상기 구동부(32)에 가해지는 토크값을 연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mgrsinΘ에서 sinΘ의 경우, 드럼의 회전각도가 작아지면 작아질수록 그 값이 기하급수적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회전각도가 15도 내지 90도 사이 또는 10도 내지 45도 사이 정도이면 sinΘ을 충분히 무시할 수 있다.
또한, Bw는 마찰토크로서 드럼(3)이 회전하면 B는 매우 작아지게 때문에 무시할 수 있다.
그 결과, Te = Jdw/dt 수식만 남을 수 있다.
이때, dw/dt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각 가속도 이므로, 상기 제어부(C)는 포량을 감지할때 드럼을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각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각가속도는 상기 구동부(32)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통해 바로 연산할 수 있다. 상기 각가속도를 상기 전류값으로 연산하는 방법은 후술한다.
그러므로, 전류값 측정하면 구동부(32)에 가해지는 토크값(Te)과 각가속도(dw/dt)를 모두 연산할 수 있으므로, 관성모멘트(J)를 연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관성모멘트(J)를 파악하여, 이를 통해 상기 의류의 포량을 즉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도12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서 상기 제어부(C)가 상기 구동부(32)의 전류값을 측정할 수 있는 기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2(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C)는 구동부(32)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구동부(32)를 제어하고, 상기 구동부(32)에서 토출되는 전류까지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기설정된 코스 또는 옵션에 따라 상기 구동부(32)를 제어하고, 상기 구동부(32)는 상기 제어부(C)의 명령에 따라 드럼(3)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제어부(C)는 코스선택부(720) 또는 수행부(740), 옵션선택부(730)로부터 동작 신호 또는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동작을 한다. 상기 코스선택부(720) 또는 상기 옵션선택부(730)로 세탁, 헹굼, 탈수 행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세탁코스와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 헹굼, 탈수 행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C)는 표시부(800)를 통해 세탁 코스, 세탁 시간, 탈수 시간, 헹굼 시간 등, 또는 현재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구동부(32)를 제어하여 드럼(3)을 회전시킬 뿐더러 상기 드럼(3)의 회전속도를 가변시킬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구동부(32)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225)와 구동부(32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32)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구동부(32)에서 검출된 전류 또는 감지된 위치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제어부(C)에 피드백 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C)는 상기 피드백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32)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전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위치감지부(235)를 생략하고, 별도의 알고리즘의 구현을 통하여 상기 구동부(32)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일명, 센서리스 구동부) 상기 센서리스 구동부(32)는 제어부(C)가 상기 구동부(32)에서 출력된 전류나 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구동부(32)에서 상기 로터나 스테이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어부(C)가 상기 구동부(32)를 제어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구동부(P)는 회전속도가 제어될 수 있도록 3상 모터로 구비될 수 있고, 예를들어, BLDC 모터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12(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C)는 전술한 로터와 스테이터를 제어하기 위해, 인버터(420) 및 인버터 제어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C)는 인버터(420)에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컨버터(41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인버터 제어부(430)의 역할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인버터제어부(430)는 상기 제어부(C)와 별도로 구비될 수 도 있다. 상기 인버터 제어부(430)가 펄스폭 변조(PWM) 방식의 스위칭 제어 신호(Sic)를 인버터(420)로 출력하면, 인버터(420)는 고속 스위칭 동작을 하여, 소정 주파수의 교류 전원을 로터(913)와 스테이터(911)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컨버터(410), 인버터(420), 인버터 제어부(430) 뿐만 아니라, DC단 전압 검출부(B), 평활 커패시터(C), 및 출력전류 검출부(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입력 전류 검출부(A), 리액터(L)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리액터(L)는 상용 교류 전원(405, vs)과 컨버터(410) 사이에 배치되어, 역률 보정 또는 승압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리액터(L)는 컨버터(410)의 고속 스위칭에 의한 고조파 전류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입력 전류 검출부(A)는, 상용 교류 전원(405)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전류(is)를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입력 전류 검출부(A)로, CT(current trnasformer), 션트 저항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검출되는 입력 전류(is)는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인버터 제어부(430)에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컨버터(410)는, 리액터(L)를 거친 상용 교류 전원(405)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면에서는 상용 교류 전원(405)을 단상 교류 전원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삼상 교류 전원일 수도 있다. 상용 교류 전원(405)의 종류에 따라 컨버터(410)의 내부 구조도 달라진다.
한편, 컨버터(410)는 스위칭 소자 없이 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져, 별도의 스위칭 동작 없이 정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상 교류 전원인 경우, 4개의 다이오드가 브릿지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삼상 교류 전원인 경우, 6개의 다이오드가 브릿지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컨버터(410)는 2개의 스위칭 소자 및 4개의 다이오드가 연결된 하프 브릿지형의 컨버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삼상 교류 전원의 경우, 6개의 스위칭 소자 및 6개의 다이오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컨버터(410)가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경우, 해당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승압 동작, 역률 개선 및 직류전원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평활 커패시터(C)는 입력되는 전원을 평활하고 이를 저장한다. 도면에서는, 평활 커패시터(C)로 하나의 소자를 예시하나, 복수개가 구비되어, 소자 안정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상기 컨버터(410)는 출력단에 접속될 수 있으나, 직류 전원이 바로 입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태양 전지로부터의 직류 전원이 평활 커패시터(C)에 바로 입력되거나 직류/직류 변환되어 입력될 수도 있다. 상기 평활 커패시터(C) 양단은, 직류 전원이 저장되므로, 이를 dc 단 또는 dc 링크단이라 명명할 수도 있다.
상기 dc 단 전압 검출부(B)는 평활 커패시터(C)의 양단인 dc 단 전압(Vdc)을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dc 단 전압 검출부(B)는 저항 소자, 증폭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되는 dc 단 전압(Vdc)은,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인버터 제어부(430)에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인버터(420)는, 복수개의 인버터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평활된 직류 전원(Vdc)을 소정 주파수의 삼상 교류 전원(va,vb,vc)으로 변환하여 구동부(32)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420)는 각각 서로 직렬 연결되는 상암 스위칭 소자(Sa,Sb,Sc) 및 하암 스위칭 소자(S'a,S'b,S'c)가 한쌍이 되며, 총 세 쌍의 상,하암 스위칭 소자가 서로 병렬(Sa&S'a,Sb&S'b,Sc&S'c)로 연결될 수 있다.
각 스위칭 소자(Sa,S'a,Sb,S'b,Sc,S'c)에는 다이오드가 역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인버터(420) 내의 스위칭 소자들은 인버터 제어부(430)로부터의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에 기초하여 각 스위칭 소자들의 온/오프 동작을 하게 된다. 이에 의해, 소정 주파수를 갖는 삼상 교류 전원이 구동부(32)에 출력되게 된다.
상기 인버터 제어부(430)는 인버터(4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버터 제어부(430)는 출력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되는 출력전류(io)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인버터 제어부(430)는 인버터(4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를 인버터(420)에 출력한다.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는 펄스폭 변조 방식(PWM)의 스위칭 제어신호로서, 출력전류 검출부(E)로부터 검출되는 출력전류값(io)을 기초로 생성되어 출력된다.
상기 제어부(C)는 전류 검출부(220)에서 검출된 출력전류값(io)를 감지하여 드럼 내부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위치 감지부(235)에서 감지된 위치 신호(H)에 기초하여 드럼 내부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럼(3)가 회전하는 동안에, 구동부(32)의 출력전류값 전류값(io)에 기초하여 포량, 탈수율, 함수율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드럼(4)의 편심량 즉 드럼(3)의 언밸런스(unbalance; UB)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편심량 감지는 전류 검출부(220)에서 검출된 전류(io)의 리플 성분 또는 드럼(4)의 회전 속도 변화량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인버터제어부에 입력되는 입력전류값(is)을 감지하여 드럼 내부의 상태를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전류값을 통해 드럼 내부의 상태를 감지하는 과정 및 연산방법은 후술한다.
상기 출력전류 검출부(E)는 인버터(420)와 삼상 구동부(32) 사이에 흐르는 출력전류(io)를 검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력전류 검출부(E)는 구동부(32)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한다. 출력전류 검출부(E)는 각 상의 출력 전류(ia,ib,ic)를 모두 검출할 수 있으며, 삼상 평형을 이용하여 두 상의 출력 전류를 검출할 수도 있다.
상기 출력전류 검출부(E)는 인버터(420)와 구동부(32)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전류 검출을 위해, CT(currenttrnasformer), 션트 저항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션트 저항이 사용되는 경우, 3개의 션트 저항이, 인버터(420)와 구동부(32) 사이에 위치하거나, 인버터(420)의 3개의 하암 스위칭 소자(S'a,S'b,S'c)에 일단이 각각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삼상 평형을 이용하여, 2개의 션트 저항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1개의 션트 저항이 사용되는 경우, 상술한 커패시터(C)와 인버터(420) 사이에서 해당 션트 저항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검출된 출력전류(io)는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인버터 제어부(430)에 인가될 수 있으며, 검출된 출력전류(io)에 기초하여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가 생성된다. 이하에서는 검출된 출력전류(io)가 삼상의 출력 전류(ia,ib,ic)인 것으로하여 기술한다.
한편, 삼상 구동부(32)는 고정자(stator)와 회전자(rotar)를 구비하며, 각상(a,b,c 상)의 고정자의 코일에 소정주파수의 각상 교류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자가 회전을 하게 된다.
이러한 구동부(32)는 표면 부착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Surface-Mounted Permanent-Magnet, Synchronous Motor; SMPMSM),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IPMSM), 및 동기 릴럭턴스 전동기(Synchronous Reluctance Motor; Synr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SMPMSM과 IPMSM은 영구자석을 적용한 동기 전동기(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PMSM)이며, Synrm은 영구자석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인버터 제어부(430)는 컨버터(410)가 스위치 소자를 구비하는 경우, 컨버터(410) 내의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버터 제어부(430)는, 입력 전류 검출부(A)에서 검출되는 입력 전류(is)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인버터 제어부(430)는, 컨버터(41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컨버터스위칭 제어신호(Scc)를 컨버터(41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컨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cc)는 펄스폭 변조(PWM) 방식의 스위칭 제어신호로서, 입력 전류 검출부(A)로부터 검출되는 입력 전류(is)를 기초로 생성되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위치 감지부(235)는, 구동부(32)의 로터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위치 감지부(235)는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된 로터 위치(H)는, 인버터 제어부(430)에 입력 되어 속도 연산등에 기초로 사용되게 된다.
도12(c)는 상기 인버터제어부(430)가 구동부(32)를 제어하는 구체적인 회로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인버터 제어부(430)는 축변환부(510), 속도 연산부(520), 전류 지령 생성부(530), 전압 지령생성부(540), 축변환부(550), 및 스위칭 제어신호 출력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변환부(510)는 출력 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된 삼상 출력 전류(ia,ib,ic)를 입력받아, 정지좌표계의 2상 전류(iα,iβ로 변환한다. 상기 축변환부(510)는 정지좌표계의 2상 전류(iα,iβ를 회전좌표계의 2상 전류(id,iq)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속도 연산부(520)는, 위치 감지부(235)로 부터 입력되는 회전자의 위치 신호(H)에 기초하여, 속도를 연산할 수 있다. 즉, 위치 신호에 기반하여, 시간에 대해, 나누면, 속도를 연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속도 연산부(520)는, 입력되는 회전자의 위치 신호(H)에 기초하여 연산된 위치와 연산된 속도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류 지령 생성부(530)는, 연산 속도()와 속도 지령치(ω*r)에 기초하여, 전류 지령치(i*q)를 생성한 다. 예를 들어, 전류 지령 생성부(530)는, 연산 속도( )와 속도 지령치(ω*r)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535)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전류 지령치(iq)를 생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전류 지령치로, q축 전류 지령치(i*q)를 예시하나, 도면과 달리, d축 전류 지령치(i*d)를 함께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d축 전류 지령치(i*d)의 값은 0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전류 지령 생성부(530)는, 전류 지령치(i*q)가 허용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그 레벨을 제한하는 리미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다음, 전압 지령 생성부(540)는, 축변환부에서 2상 회전 좌표계로 축변환된 d축, q축 전류(id,iq)와, 전류 지령생성부(530) 등에서의 전류 지령치(i*d,i*q)에 기초하여, d축, q축 전압 지령치(v*d,v*q)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전압 지령 생성부(540)는, q축 전류(iq)와, q축 전류 지령치(i*q)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544)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q축 전압 지령치(v*q)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압 지령 생성부(540)는, d축 전류(id)와, d축전류 지령치(i*d)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548)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d축 전압 지령치(v*d)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d축 전압 지령치(v*d)의 값은, d축 전류 지령치(i*d)의 값은 0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0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전압 지령 생성부(540)는, d 축, q축 전압 지령치(v*d,v* q)가 허용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그 레벨을 제한하는 리미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생성된 d축, q축 전압 지령치(v*d,v* q)는, 축변환부(550)에 입력된다.
축변환부(550)는, 속도 연산부(520)에서 연산된 위치()와, d축, q축 전압 지령치(v*d,v*q)를 입력받아, 축변환을 수행한다. 먼저, 축변환부(550)는, 2상 회전 좌표계에서 2상 정지 좌표계로 변환을 수행한다. 이때, 속도 연산부(520)에서 연산된 위치( )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축변환부(550)는, 2상 정지 좌표계에서 3상 정지 좌표계로 변환을 수행한다. 이러한 변환을 통해, 축변환부(1050)는, 3상 출력 전압 지령치(v*a,v*b,v*c)를 출력하게 된다.
스위칭 제어 신호 출력부(560)는, 3상 출력 전압 지령치(v*a,v*b,v* c)에 기초하여 펄스폭 변조(PWM) 방식에 따른 인버터용 스위칭 제어 신호(Sic)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출력되는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ic)는, 게이트 구동부(미도시)에서 게이트 구동 신호로 변환되어, 인버터(420) 내의 각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에 입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인버터(420) 내의 각 스위칭 소자들(Sa,S'a,Sb,S'b,Sc,S'c)이 스위칭 동작을 하게 된다.
한편, 스위칭 제어 신호 출력부(56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2상 펄스폭 변조 방식과 3상 펄스폭 변조 방식을 혼합한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ic)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가속 회전 구간에서는 3상 펄스폭 변조 방식에 의한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ic)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등속 회전 구간에서는 역기전력을 검출하기 위해, 2상 펄스폭 변조 방식에 의한 인버터 스위칭제어 신호(Sic)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13는 상기 제어부(C)가 드럼의 가감속을 통해 포량을 감지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세탁행정 수행 전, 헹굼행정 수행 전, 탈수행정 수행 전에 상기 드럼(3) 내부에 의류의 포량을 감지하는 감지단계(F)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드럼(3)을 가속하는 가속단계(F1)와, 상기 드럼(3)을 감속하는 감속단계(F2)와, 상기 가속단계 중 상기 구동부(32)의 가속측정값과, 상기 감속단계 중 상기 구동부의 감속측정값을 통하여 상기 드럼에 수용된 의류의 포량을 감지하는 포량감지단계(F3)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구동부(32)를 가속하면서 상기 구동부(32)에서 측정되거나 상기 구동부(32)로 인가된 가속측정값을 감지하고, 상기 구동부(32)를 감속하면서 상기 구동부(32)에서 측정되거나 상기 구동부(32)로 인가된 감속측정값을 감지한다. 이후, 상기 가속측정값과 상기 감속측정값을 연산하여 상기 드럼(3)에 수용된 의류의 포량을 감지한다.
상기 가속측정값과 상기 감속측정값은 상기 구동부(32)를 구동하면서 상기 구동부(32)에 가해지는 지령값일 수 있고, 상기 구동부(32)를 구동하면서 상기 구동부(32)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령값은 상기 구동부(32)를 구동하기 위해 인가되는 PI제어기(535)에서 도출된 전류지령값이나 전압지령값일 수 있고, 상기 측정값은 상기 위치감지부(235)나 전류감지부(225)에서 측정된 상기 구동부(32)의 전류값이나 전압값 그 자체 일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구동부(32)를 등속으로 구동하는 것을 유지하는 단계를 생략함으로써 상기 포량을 감지할 때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구동부(32)를 등속으로 유지하는 과정 뿐만 아니라, 등속을 유지하는 필요한 에너지 및 시간까지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구동부(32)를 등속으로 유지할 때 극복되야 하는 상기 구동부(32) 자체의 마찰력도 연산과정에서 완전히 무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가 상기 포량을 감지할 때 상기 지령값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C)는 상기 구동부(32)에 실제상황을 피드백(feed back)하거나 상기 구동부(32)의 실제 구동상황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C)가 포량값을 연산하는 것이 간단하고 쉬워질 수 있다. 또한, 포량을 연산하는 연산식이 간단해지므로 포량값을 신속하게 얻어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속측정값은 상기 구동부(32)에서 측정된 가속전류값(Iq_Acc)을 포함하고, 상기 감속측정값은 상기 구동부(32)에서 측정된 감속전류값(Iq_De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속전류값은 상기 가속단계 중 상기 구동부(32)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류 지령치값(Iq*_Acc)을 포함하고, 상기 감속전류값은 상기 감속단계 중 상기 구동부(32)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류지령치값(Iq*_Dec)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C)가 상기 포량을 감지할 때 상기 측정값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부(32)에 실제적인 상황을 그대로 반영하게 되므로 포량값을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지령값은 상기 구동부(32)가 구동하거나 전원이 인가되어 능동적으로 제어되는 경우에만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측정값을 이용하게 되면 상기 구동부(32)에 전원이 차단되거나, 상기 구동부(32)가 능동적으로 제어되지 않을 때에도 상기 포량을 감지하기 위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감속단계(F2)에서 전원을 차단하여 발전제동 방식 등으로 상기 구동부(32)를 감속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속단계(F2)를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생략하고, 상기 감속단계(F2)를 위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감속단계(F2)에서 전원을 차단하므로 전압지령치값이 O일 수 있다. 그러므로, 본원발명은 전압을 제외하고 전류만으로 연산하여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전압지령치나, 전압값 자체를 무시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수 있고, 전류값만을 사용하므로 포량감지를 위한 연산식을 매우 간단하게 구비할 수 있다. 연산식이 간단하여지므로 연산이 신속하고 정확해질 수 있어 포량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속측정값과 상기 감속측정값을 연산하는 데이터 및 알고리즘(이하, 연산식)은 상기 제어부(C)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연산식은 애초부터 전압값을 이용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인해, 역기전력을 계산할 필요도 없으므로 본원발명은 구동부(32)의 등속회전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연산식은 다음과 같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량값(관성,Jm, Load_data)
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연산될 수 있다. 상기 P와 Ke는 구동부(32) 자체의 상수값으로 상기 제어부(C)가 측정할 수 있으며, 분모는 가속단계의 속도변화량과 감속단계의 속도변화량의 차이에 해당한다.
상기 속도변화량은 위치감지부(235)로 인해 상기 제어부(C)가 측정하거나, 상기 가속하거나 감속할 때까지 도달한 시간을 측정하여 연산하거나, 전류 등을 측정하여 즉시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상기 가속할 때의 가속출력전류값(Iq_Acc)과, 감속할때의 가속출력전류값(Iq_Dec)값을 측정하는 것만으로 포량값을 즉시 연산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속전류값은 상기 가속단계 중 상기 구동부에서 출력된 가속출력전류값(Iq_Acc)을 포함하고, 상기 감속전류값은 상기 감속단계 중 상기 구동부에서 출력된 감속출력전류값(Iq_Dec)을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가속출력전류값에는 상기 가속단계 중 상기 구동부에서 측정된 전류값의 평균값(Iqe_Acc)이 적용될 수 있고, 상기 감속출력전류값은 상기 감속단계 중 상기 구동부에서 측정된 전류값의 평균값(Iqe_Dec)이 적용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든, 상기 포량은 오직 전류값이란 인자 하나만으로 연산될 수 있고, 전압값의 인자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포량연산이 단순해지고, 포량값의 신속과 정확도를 향상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속단계의 시간이 매우 짧거나, 상기 가속단계의 시간이 매우 짧아도 상기 포량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므로 포량감지에 소요되는 시간 자체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포량감지는 가속한 뒤 바로 감속하여 포량을 측정한다. 따라서, 상기 포량을 측정하는 시간자체는 매우 짧고, 상기 시간동안 상기 드럼(3) 내부의 의류가 움직이거나 유동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의류의 상태가 변하지 않는 짧은시간에 포량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포량연산에 정확도가 더 상승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포량감지에 적용되는 연산식은 가속단계의 전류값에서 감속단계의 전류값의 차이를 이용한다. 따라서, 가속단계에서 구동부의 마찰력과 감속단계에서 구동부의 마찰력은 서로 같게 되므로 상기 마찰력을 고려한 전류의 보상식은 서로 상쇄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포량감지 제어방법은 상기 구동부(32)의 마찰력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마찰력을 보정하거나 튜닝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포량감지는 전압값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전압값의 오차를 보상하거나 튜닝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고, 등속과정을 생략하므로 의류의 이동, 구동부(32)의 마찰력을 보상하거나 튜닝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포량감지 제어방법은 전류값을 대입한 즉시 포량이 도출되고, 상기 포량을 보상하거나 튜닝하는 절차가 없으므로 매우 신속하고 정확하게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C)에 소요되는 부하량을 낮출 수 있고, 상기 제어부(C)를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대체하거나, 상기 제어부(C)의 성능을 다른 방면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산식에도 알 수 있듯, 상기 가속측정값은 상기 가속단계(F1)의 속도변화량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감속측정값은 상기 감속단계(F2)의 속도변화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속단계(F1)의 속도변화량과 상기 감속단계(F2)의 속도변화량은 상기 가속단계(F1)의 관성과 감속단계(F2)의 관성의 차이를 구하기 위해 필요한 것일 뿐, 별도의 전압값 등의 측정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고, 나아가 보상이나 튜닝과정이 필요하지 않는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산식은 다음과 같은 연산식에 의해서 도출된다.
이때, 가속관성과 감속관성의 차이를 통해 포량을 연산하므로 상기 속도에 변화량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가속측정값과 상기 감속측정값은 상기 드럼의 같은 RPM구간에서 측정되면, 상기 속도변화의 폭은 동일하기 때문에 연산이 더욱 간단해질 수 있다. 즉, 상기 가속단계(F1) 상기 감속단계(F2)는 같은 속도 대역을 공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가속단계(F1)와 감속단계(F2)를 수행하여 전류지령치값이나, 구동부(32)에서 측정된 전류값을 이용하여 포량을 감지한다.
이때, 상기 연산식은 전류값을 이용하므로 감속단계(F2)를 먼저 수행하고, 가속단계(Bb)를 수행함으로써 전류값을 측정하여 동일한 연산식을 통해 포량을 감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감지단계(F3)는 상기 가속단계(F1)와 상기 감속단계(F2)를 수행할 수 있는 기준값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32)의 위치를 점검하는 준비단계(F0)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준비단계(F0)에서는 드럼(4)은 정지상태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속단계(F1)는 상기 준비단계(FO)에서 정지하고 있는 드럼에서 추가적으로 제 1 rpm까지 가속시키고, 상기 감속단계(F2)는 상기 드럼을 제1 rpm에서 감속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가속단계(F1)와 상기 감속단계(F2)는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감속단계(F2)는 상기 가속단계(F1)에서 상기 구동부(32)를 향한 전류지령치를 낮추거나, 상기 구동부(32)에 인가되는 전압을 차단하면 되므로 상기 제어부(C)나 회로의 소손 염려가 없다.
이때, 상기 가속측정값과 상기 감속측정값은 상기 제1 rpm과, 상기 제1 rpm보다 낮은 제2 rpm 사이에서 측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속도그래프에서 꼭지점을 포함하는 구간 대역에서 전류값을 측정하여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이는 연속적인 상황에서 전류값을 측정하여 포량을 감지하게 되므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가속측정값과 상기 감속측정값은 상기 제1 rpm보다 낮은 제2 rpm과, 상기 제2 rpm보다 높고 상기 제1 rpm보다 낮은 제3 rpm 사이에서 측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꼭지점을 포함하는 구간은 아니지만 같은 속도 구간 대역에서 전류값을 측정하여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이는 꼭지점에서 속도변화가 가장 크므로 안정화된 전류값을 측정하여 포량연산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1 rpm은 상기 드럼(3) 내부에 수용된 의류가 드럼(3) 내벽에 부착되는 고정 rpm보다는 낮은 rpm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rpm은 상대적으로 세탁, 헹굼, 탈수행정에서 적용되는 rpm보다는 낮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C)가 관성모멘트를 직접 연산하는 과정이나, 상기 관성모멘트를 저장부(S)에 저장되어 있는 의류의 포량 데이터와 비교하고 추출하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상기 가속단계(F1)에서 인가되는 전류량을 제1전류량으로 정의할 수 있고, 상기 감속단계(F2)에서 인가되는 전류량을 제2전류량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1전류량과 상기 제2전류량을 통해 상기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도14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전술한 구조와 방식을 바탕으로 포량감지방식을 활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4(a)는 전술한 포량감지 방식을 기본적으로 활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전원부(710)가 입력되면 상기 급수부(23)와 구동부(32), 상기 배수부(25) 등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C)에도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전원부(710)가 입력되어 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의류의 포량을 감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의 포량을 감지하는 필수조건이 전원부(710)의 입력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전원부(710)를 입력하기 이전에 상기 도어(14)를 개방한 다음 상기 드럼(3)에 의류를 투입하고 상기 도어(14)를 닫은 경우에도,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의 포량을 즉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의 포량에 따라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을 수행하는 예상시간을 연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의 포량과 대응되는 상기 예상시간을 대응시켜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의 포량을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을 수행할 때 필요한 세제량도 데이터로 정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를 상기 코스 또는 옵션으로 세탁을 수행할 때 필요한 세제량을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부(710)를 입력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단계(A1)와, 상기 전원공급단계(A1)가 수행되면 상기 드럼(3)에 수용된 의류의 포량을 감지하는 포량감지단계(A2)를 수행할 수 있다.
다시말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수행부(740)가 입력되어야 포량을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수행부(740)가 입력되기 전에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포량감지단계(A2)에서 의류의 포량이 감지되면 상기 표시부(800)에 상기 의류의 포량, 상기 의류의 세탁을 수행하는 코스 또는 옵션의 예상수행시간, 상기 코스 또는 옵션에 필요한 세제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표시되는 정보표시단계(A3)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정보표시단계(A3)에서 상기 의류의 표량과 대응되는 기설정된 표준코스 또는 표준옵션에 해당하는 수행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정보표시단계(A3)에서 표시된 의류의 포량, 기설정된 코스 또는 옵션의 수행시간을 확인하여 자신의 스케쥴과 비교할 수 있고, 상기 세제량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말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수행부(740)가 입력되기 전에 포량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고, 원하는 코스와 옵션을 선택하여 수행부(740)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정보표시단계(A3)에서 표시된 정보가 만족스러우면, 상기 수행부(740)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수행부(740)가 입력되는 것을 감지하는 실행입력단계(A6)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행입력단계(A6)가 수행되면, 상기 제어부(C)는 잠금부를 제어하여 도어(14)를 상기 캐비닛(10)에 잠금(LOCK)시켜 상기 도어(14)가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행입력단계(A6)가 수행되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설정대로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정보표시단계(A3)에서 의류의 포량, 기설정된 코스 또는 옵션의 수행시간, 세제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확인한 후에, 코스선택부(720)와 옵션선택부(730)를 통해 코스와 옵션을 선택하는 코스설정단계(A4)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기본으로 수행되는 표준코스가 아니라,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는 상기 코스설정단계(A4)를 통해 상기 의류의 포량을 확인한 다음 코스선택부(720)와 옵션선택부(730) 중 하나 이상을 입력할 수 있고, 포량과 연계된 수행시간을 확인한 다음 코스선택부(720)와 옵션선택부(730) 중 하나 이상을 입력하여 코스 또는 옵션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코스설정단계(A4)가 수행되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의 포량과 대응되는 변경된 코스 또는 옵션의 예상수행시간 또는 세제량을 재연산하여 상기 표시부(P8)에 전달하는 변경표시단계(A5)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변경표시단계(A5)에서 상기 표시부(P8)에는 상기 변경된 코스 또는 옵션의 예상수행시간과 변경된 세제량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예상수행시간 또는 세제량이 적합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수행부(740)를 입력할 수 있고, 상기 예상수행시간 또는 세제량이 적합하지 않는 경우 코스선택부(720)와 옵션선택부(730) 중 하나 이상을 재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수행부(740)의 입력을 감지하는 실행입력단계(A6)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코스선택부(720)와 옵션선택부(730) 중 하나 이상의 재입력을 감지하면 코스설정단계(A4)와 변경표시단계(A5)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최종 코스와 옵션을 선택하여 수행하기 이전에 포량감지를 완료할 수 있다. 더욱이, 드럼을 1회전 미만으로 회전하여 3초 이내에 포량을 연산함으로써 코스선택부(720)와 옵션선택부(730) 중 하나 이상을 입력하기 전에 이미 포량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전원부(710)가 입력되어 표시부(800)가 부팅되는 시점에 이미 포량감지가 완료되어 사용자에게 포량에 대응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포량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면서 현재 시점에 가장 적합한 코스 및 옵션의 예상시간 등을 확인하며 최적의 코스 및 옵션을 설정하거나, 최적의 세제량을 투입할 수 있다.
도14(b)는 도14(a)의 제어방법의 확장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전원부(P46)의 명령을 입력받으면 상기 제어부(C) 및 상기 구동부(32), 상기 급수부(23), 상기 배수부(25), 상기 컨트롤패널(16) 중 하나 이상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입력단계(A1)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원입력단계(A1)가 수행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의 포량을 감지하는 포량감지단계(A2)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포량감지단계(A2)에서 포량을 감지하는 방식은 전술한 것처럼 드럼을 1회전 미만으로 회전시키는 방식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드럼(3)에 상기 의류가 수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의류감지단계(A2-1)를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의류감지단계(A2-1)에서 드럼(3)에 의류가 있다면 도13(a)의 제어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드럼(3)에 상기 의류가 수용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도어(132)가 열리고 닫힐 때 까지 대기하는 도어개폐감지단계(A2-2)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의류의 포량을 미감지하면 상기 도어의 개패를 감지하기 까지 대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개폐감지단계(A2-2)가 수행되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포량감지단계(A2)를 다시 수행하여 의류의 포량을 추가로 감지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전원부(710)의 입력전에 드럼(3)에 의류가 수용된 상태인 경우에는 포량을 즉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전원부(710)의 입력전에 상기 드럼(3)에 의류가 수용되지 않는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드럼(3)에 의류가 투입될 때를 기다려 상기 의류의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다시말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전원부(710)가 입력되어 상기 제어부(C)에 전력이 공급되면 원칙적으로 포량감지를 바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원부(710) 입력전에 의류를 드럼(3)에 먼저 투입하고 상기 전원부(P46)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C)는 포량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전원부(710)의 입력 전에 드럼(3) 내부에 의류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C)는 도어의 개폐를 기다려 포량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의류가 있는지 없는지 여부는 포량감지 방식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때, 감지된 포량이 없을 때는 표시부(800)에 포량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전원부(710)의 입력 후 도어(14)의 개패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C) 의류가 투입되었다고 판단하여 포량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감지된 포량이 없는 경우에는 표시부(800)에 포량을 표시하지 않거나, 의류가 내부에 없다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감지된 포량이 있을 경우,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무게 정보, 또는 포량과 대응되는 코스 및 옵션의 수행시간, 필요한 세제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부(800)에 표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수행부(740)의 입력전에 상기 의류의 포량을 감지하여 코스 또는 옵션의 수행시간, 필요세제량 등의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1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 활용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제1컨트롤패널(P1)과 제2컨트롤패널(P2)의 경우 상기 표시부(800)는 표시되는 내용을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는 LCD, LED와 같은 액정 화면을 구비한다.
또한, 제3컨트롤패널(P3)도 상기 표시부(800)에 표시되는 정보는 제한적이지만 변경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표시부(800)가 표시되는 내용이 자유롭게 가변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언어를 표시할 수 있어 여러 국가 및 지역에서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표시부(800) 외에 상기 캐비닛(10)의 전방패널 등에 코스 명칭등의 문구를 프린트하는 것을 생략하거나 최소화 할 수 있어 심미감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표시부(800)에서 표시되는 내용도 항상 업데이트 될 수 있어 상황에 맞는 맞춤형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현 시점에서 필요한 내용을 집중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는 여러 내용을 한번에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순차적으로 표시하거나,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에게 현 시점에 필요한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도 상기 표시부(800)를 통해 의류처리장치와 소통하며 의류처리장치를 제어한다는 인상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수행부(740)의 입력 전 또는 코스의 수행 전에 상기 의류의 포량을 미리 감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표시부(800)를 통해 상기 코스의 수행 전부터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적절한 방식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의 기능을 이해하고 올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수행부(740)가 입력되기 전에 상기 표시부(800)에 상기 포량과 상기 코스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량에 관한 정보는 상기 포량에 해당하는 무게, 상기 포량을 단계적으로 도식화한 단위(LV1,LV2.. 등), 상기 포량을 처리하기 위한 필수 세제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스에 대한 정보는 상기 코스에 대한 명칭, 상기 코스를 수행할 때 필요한 세제량, 상기 코스의 예상수행시간, 상기 코스가 수행되는 조건, 상기 코스의 설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스가 수행되는 조건은 상기 코스를 형성하는 행정들의 반복횟수, 행정들의 수행강도, 행정들을 수행할 때의 수위, 행정들을 수행할 때의 온도 등의 옵션에 해당하는 조건일 수 있다.
상기 코스의 설명은 상기 코스에 대한 기능, 상기 코스에 대한 효과, 상기 코스가 다른 코스와 비교하여 더 적합한 장점, 상기 코스에 적합한 의류에 표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정보를 실제 표시부(800)가 표시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5(a)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전원부(710)가 입력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명령이 상기 제어부(C)에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C)는 전력을 공급받아 부팅을 시작하며,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제어부(C)가 부팅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내용표시부(820)에 “안녕하세요”와 같은 문구와, 부팅의 잔여시간 또는 부팅 되는 정도가 막대 그래프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15(b)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코스에 관한 정보를 문구 또는 구절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내용표시부(820)에 상기 표준 코스에 대한 명칭을 표시하고, 상기 코스에 관한 설명(821)을 “일반적인 의류를 깨끗하게”와 같은 구절 또는 문구, 단어의 조합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15(c)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제어부(C)가 포량을 감지하는 상태(822)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포량감지 중”과 같은 구절 또는 문구, 단어의 조합으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코스에 대한 설명(821)과, 제어부(C)의 상태(822)를 구절 또는 문구와 같이 문자를 통하여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15(d)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포량에 대한 정보와 상기 코스에 대한 정보를 모두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표시부(800)에는 상기 표준 코스에 대한 명칭과 함께, 상기 코스를 수행할 때 필요한 세제량 및 상기 코스의 예상수행시간(823)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필요한 세제량 및 예상수행시간(823)은 모두 상기 제어부(C)가 포량에 따라 연산한 값으로, 포량에 따라 그 표시되는 양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필요한 세제량 및 예상수행시간(823)은 픽토그램, 숫자, 단어 중 하나 이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15(e)를 참조하면, 상기 수행부(740)가 입력되었거나, 상기 코스가 수행될 경우,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코스의 조건(824)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코스는 헹굼행정의 반복횟수인 2회, 탈수행정의 강도는 강, 상기 코스를 수행하는 온도인 섭씨 40도를 단어와 숫자의 조합으로 표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표시부(800)로 선택된 상기 코스의 명칭, 상기 코스를 수행할 때 필요한 세제량, 상기 코스의 예상수행시간, 상기 코스가 수행되는 조건, 상기 코스의 설명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상기 코스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택된 상기 코스의 명칭, 상기 코스를 수행할 때 필요한 세제량, 상기 코스의 예상수행시간, 상기 코스가 수행되는 조건은 픽토그램, 숫자, 단어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코스의 설명을 제외한 상기 코스에 대한 정보는 사회적으로 통용되거나, 직관적인 의미가 인지될 수 있는 픽토그램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부(800)는 제한적인 화면에 상기 코스에 대한 정보를 복수개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도 직관적으로 상기 표시부(800)에 표시된 상기 코스에 대한 정보를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코스의 설명은 구절 또는 문장을 사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코스에 대한 기능과 효과, 적합한 의류 등을 상세하고 세부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도15(b)와 도15(d), 도15(e)와 같이, 상기 표시부(800)는 선택된 상기 코스의 명칭, 상기 코스를 수행할 때 필요한 세제량, 상기 코스의 예상수행시간, 상기 코스가 수행되는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코스의 설명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표시부(800)는 직관적으로 안내할 픽토그램, 숫자, 단어의 조합으로 안내할 코스에 관한 정보와, 상세하게 안내할 문구 또는 구절의 조합으로 안내할 코스에 관한 정보를 나누어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표시부(800)에 표시되는 내용을 카테고리화 하여 사용자에게 쉽게 인지시킬 수 있고, 상기 표시부(800)의 제한된 액정 화면의 면적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800)는 선택된 상기 코스의 명칭, 상기 코스를 수행할 때 필요한 세제량, 상기 코스의 예상수행시간, 상기 코스가 수행되는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코스의 설명을 일정시간 교차하면서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코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확인하면서, 상기 코스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도15(d)와 도15(e)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800)는 선택된 상기 코스의 명칭, 상기 코스를 수행할 때 필요한 세제량, 상기 코스의 예상수행시간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코스가 수행되는 조건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코스의 명칭, 세제량, 예상수행시간은 상기 코스를 선택할 때 필요한 정보이며, 상기 코스가 수행되는 조건은 실제 코스를 수행할 때 필요한 조건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수행부가 입력되기 전에 선택된 상기 코스의 명칭, 상기 코스를 수행할 때 필요한 세제량, 상기 코스의 예상수행시간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고, 상기 수행부(740)가 입력되면 상기 코스가 수행되는 조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행부(740)의 입력과 관계 없이 상기 표시부(800)는 선택된 상기 코스의 명칭, 상기 코스를 수행할 때 필요한 세제량, 상기 코스의 예상수행시간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코스가 수행되는 조건을 교차하여 표시할 수 도 있다.
이로써, 상기 표시부(800)에 표시되는 정보를 세분화하여 더 큰 표시로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코스에 대한 정보를 확실하고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도16은 상기 표시부가 픽토그램을 사용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수행부(740)가 입력되기 전에 상기 드럼(3)을 회전하여 상기 의류의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수행부(740)가 입력되기 전에 상기 표시부(800)에 상기 포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포량에 관한 정보(828)를 직접적인 포량값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상기 포량이 3kg인 경우,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포량을 3kg으로 직접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의류의 포량에 관한 정보를 숫자와 포량의 단위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의류의 포량은 상기 의류를 세탁할 때 필요한 세제량과, 상기 의류를 세탁하는 임의의 코스를 수행할 때 필요한 물의 양, 상기 코스의 지속시간 등을 결정하기 위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의 포량의 변화에 따라 임계적인 변화가 필요한 세제량, 물의 양, 임의의 코스 수행 시간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상기 의류의 포량을 구분하여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가 감지하고 대응시킨 포량의 구간으로 상기 포량을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의 포량을 코스를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의 특성을 기준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 결과, 포량의 감지오차를 상기 포량의 구간보다 적게 설정하여 포량감지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의류의 포량에 적합한 세제량을 투입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포량에 관한 정보(828)를 상기 제어부(C)가 구획한 구간 중 어느 하나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드럼으로 임의의 코스를 수행할 수 있는 최대 용량을 N 등분하고, 상기 포량을 상기 구간 중 어느 하나와 대응시켜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세탁용량이 12KG인 경우 상기 제어부(C)는 6등분 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포량을 대응시킬 수 있다. 0~2KG 포량구간을 1단계, 2~4KG 포량구간을 2단계, 4~6KG 포량구간을 3단계, 6~8KG 포량구간을 4단계, 8~10KG 포량구간을 5단계, 10~12KG 포량구간을 6단계로 구분하고, 감지된 포량과 상기 포량구간 중 어느 하나를 대응시킬 수 있다.
도16(a)는 감지된 포량이 1단계일 경우를 나타낸 것이며, 도16(b)는 감지된 포량이 2단계 일 경우를 나타낸 것이며, 도16(c)는 감지된 포량이 3단계 일 경우, 도16(d)는 감지된 포량이 4단계일 경우, 도16(e)는 감지된 포량이 5단계 일 경우, 도16(f)는 감지된 포량이 6단계 일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16(a)내지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수행부(740)가 입력되기 전에 상기 포량에 관한 정보(828)과 상기 코스에 관한 정보(823)을 상기 제어부가 임의로 구획한 구간 중 어느 하나와 대응시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의류의 포량에 관한 정보(828)와, 상기 코스에 관한 정보를 픽토그램(A) 또는 아이콘/ 이미지를 사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표시부(800)에 상기 포량에 관한 정보(828)와, 상기 코스에 관한 정보를 숫자, 문자를 조합하여 표시한 것 보다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포량에 관한 정보를 포량과 관련된 픽토그램(A1) 자체로만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포량 픽토그램(A1)을 숫자, 문자, 단위 등을 조합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포량 픽토드램(A1)은 상기 포량의 무게를 암시하는 아이콘 일수도 있고, 상기 포량과 관련된 세제량과 관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표시부(800)는 감지된 포량이 달라질 때 마다 상기 아이콘 또는 상기 포량 픽토그램(A1)과 코스 픽토그램(A2) 중 하나 이상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800)는 감지된 포량이 상기 제어부가 설정한 포량구간을 벗어날 때 마다 상기 포량 픽토그램(A1)과 코스 픽토그램(A2) 중 하나 이상을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상기 감지된 포량에 관한 정보(828)와 코스에 관한정보 중 하나 이상을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감지된 포량과 대응되는 세제량을 상기 아이콘 또는 픽토그램(A1)을 사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어부(C)가 감지한 포량이 무거워지거나 대응되는 포량구간이 높아질수록 상기 포량 픽토그램(A1)이 점점 무거워지는 것과 대응되거나 세제량이 더 많아지는 것으로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C)가 감지한 포량이 무거워지거나 대응되는 포량구간이 높아질수록 상기 포량 픽토그램(A1)은 세제컵에 수용된 세제가 점점 많아지는 것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포량 픽토그램(A1)이 표시하는 정보의 종류 뿐만 아니라, 표시하는 내용 자체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코스에 관한 정보를 코스와 관련된 픽토그램(A2) 자체로만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코스 픽토그램(A2)을 숫자, 문자, 단위 등을 조합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코스 픽토그램(A2) 도 포량에 따라 달라지게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코스와 관련된 정보가 예상수행시간(823)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시간 픽토드램(A2)은 상기 수행시간을 암시하는 아이콘 일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어부(C)가 감지한 포량이 무거워지거나 대응되는 포량구간이 높아질수록 상기 세제 픽토그램(A2)의 시계가 점점 큰 시간을 표시하는 것으로 대응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C)가 감지한 포량이 무거워지거나 대응되는 포량구간이 높아질수록 상기 세제픽토그램(A2)은 시계만을 표시하고, 함께 조합된 시간을 표시하는 숫자가 커지는 것으로 수행시간이 증가하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표시부(800)는 감지한 포량과 선택된 코스에 관한 정보를 픽토그램(A)을 사용하여 표시함으로써, 상기 표시되는 정보의 종류를 문자 등으로 표시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800)는 선택된 코스에 관한 정보와 대응되는 다수의 픽토그램(A)을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부(800)가 작은 면적이라도 상기 포량에 관한 정보와 상기 코스에 관한 정보를 모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800)에 너무 많은 문자, 숫자가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표시부(800)에 표시되는 상기 포량에 관한 정보와 상기 코스에 관한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도17은 상기 코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7(a)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코스의 설명을 먼저 표시하고, 상기 코스가 선택되면 상기 코스에 대한 조건들을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코스에 대한 설명을 상기 표시부(800)에 표시된 문구나 구절 등으로 정확히 이해한 다음, 사용자가 코스선택부(720) 등으로 상기 코스를 최종 선택하면,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코스가 수행되는 구체적인 조건을 표시하여 상기 의류가 어떻게 처리되는지를 안내할 수 있다.
물론,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표시부(800)는 선택된 상기 코스의 명칭, 상기 코스를 수행할 때 필요한 세제량, 상기 코스의 예상수행시간, 상기 코스가 수행되는 조건 중 하나 이상을 먼저 표시하고, 상기 코스의 설명은 나중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도어(14)가 개방되기 전 선택된 상기 코스의 명칭, 상기 코스를 수행할 때 필요한 세제량, 상기 코스의 예상수행시간, 상기 코스가 수행되는 조건 중 하나 이상을 먼저 표시하고, 상기 도어(14)가 개방되면 상기 코스의 설명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개방되었다는 것은 사용자가 상기 코스를 실제로 사용하기 위해 의류를 투입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상기 코스를 상세하게 안내해주기 위함이다.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기 코스를 이해한 다음 상기 코스를 실제로 실행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
도17(b)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코스에 대한 설명을 더 이상 안내하는 것을 중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코스에 대한 설명을 일정기간 또는 일정횟수 표시하였다면, 상기 표시부(800)는 더 이상 상기 코스에 대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코스에 대한 설명은 몇몇 단어의 조합으로 되어 있는 문구 또는 구절로 표시되기 때문에, 상기 표시부(800)에 상기 코스에 대한 설명이 표시되면, 상기 표시부(800)에는 다른 코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공간이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코스에 대한 설명을 사용자가 충분히 인식하고 인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코스에 대한 설명을 지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은 상기 표시부(800)의 활용도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정보를 계속 제공하거나, 상기 표시부(800)의 심미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에게 충분히 상기 코스에 대한 설명을 표시하였다고 판단하면, 상기 코스에 대한 설명의 표시는 생략할 수 있다.
예를들어, 3개월 동안 상기 코스에 대한 설명을 표시하였거나,100 회 정도 상기 코스에 대한 설명을 표시하였다면,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코스에 대한 설명을 더 이상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선택된 상기 코스의 명칭, 상기 코스를 수행할 때 필요한 세제량, 상기 코스의 예상수행시간 중 하나 이상(823)을 먼저 표시하고, 상기 코스가 수행되는 조건(824)을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18은 상기 코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외부단말 또는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제어부(C)에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은 컨트롤패널(P)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을 상기 외부단말 또는 서버와 직접 통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AP와 같은 공유가와 통신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상기 통신모듈은 WIFI 모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외부단말 또는 서버 등에서 현재 시각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시각정보를 수신하고, 감지한 상기 포량에 따라 상기 코스가 수행되어 종료되는 시각을 정확히 연산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코스의 종료시각을 표시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표시부(800)에 표시되는 상기 포량과 상기 코스에 관한 정보가 상기 코스의 종료시각을 포함할 수 있다.
도18(a)를 참조하면, 상기 전원부(710)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C)는 부팅될 수 있고, 상기 내용표시부(820)에 부팅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18(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C)는 포량을 감지하여 상기 코스에 대한 정보(821)를 연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코스 명칭(821) 뿐만 아니라, 상기 포량에 대한 정보와, 상기 포량에 따른 상기 코스의 예상수행시간(823)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포량이 3단계로 인식되어 표시되고, 상기 예상수행시간이 2시간 20분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18(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C)는 현재시각을 인식하여 상기 표시부(800)에 현재시간(824)을 표시할 수 있다.
도18(d)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C)는 현재시각 정보와 연산한 상기 코스의 예상시간을 합하여 상기 코스의 예상 종료시각(825)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현재 오전 9시 10분인 경우, 상기 2시간 20분의 소요시간을 연산하여 11시 30분을 종료시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예상수행시간을 직접 연산하지 않아도, 상기 예상종료시각(825)을 확인하여 상기 코스의 종료시점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표시부(800)는 현재시각(824)과 상기 코스의 종료시각(823)을 교번하여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현재 상기 표시부(800)에 표시되는 시각이 어떠한 시각인지 더 집중하여 바라볼 수 있다.
도19은 상기 코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9(a)를 참조하면, 전술한 것처럼 상기 컨트롤패널(P)은 상기 코스의 수행시간 또는 종료시간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예약명령을 입력받는 예약설정부(73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컨트롤패널(P2)이나 제3컨트롤패널(P3)도 상기 예약명령을 입력받는 상기 예약설정부가 구비되나,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상기 제1컨트롤패널(P1)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예약설정부(737)가 입력되기 전에 상기 포량에 관한 정보와 상기 코스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코스명칭(821)과, 상기 포량과 관련하여 상기 코스의 수행조건(824) 등이 표시될 수 있고, 상기 포량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도 “LV2” 등과 같이 표시될 수 있따.
도19(b)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예약설정부(737)이 입력되면 상기 코스의 수행시각 또는 종료시각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표시부(800)는 현재시각(825)도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예약설정부(737)가 입력되면 앞으로 상기 코스가 종료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는 종료시각(826)도 표시될 수 있다.
예를들어, 현재시각이 20시 25분이고, 코스의 예상 수행시간이 1시간 10분이라면, 상기 예약설정부(737)가 입력되면 21시 35분의 종료시각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예약설정부(737)가 입력되었을 때 가장 빨리 코스가 종료될 수 있는 시각이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코스선택부(720), 옵션선택부(730), 상기 예약설정부(737)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상기 종료시각을 이보다 더 뒤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수행부(740)가 입력되면, 상기 종료시각에 코스가 종료되도록 상기 코스가 설정된 시간에 수행될 수 있다.
도19(c)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800)는 잔여시간(827)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현재시간(825)도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20시 25분에 1시간 10분 뒤에 종료되는 코스를 예약하고, 현재 21시 34분이라면, 상기 자연시간은 1분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예약시간을 설정하였을 때, 코스가 수행되는 시간 외에 코스가 정확히 종료되는 시각을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코스가 종료되는 시각은 상기 포량에 따라 결정되고 허용되므로, 상기 예약기능의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다.
도20는 도19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예약설정부(737)가 입력되어 예약기능을 구현할 때, 상기 예약시간을 포량에 따라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예약허용시간을 단순하게 현 시점에서 30분 뒤로 설정하도록 허용하였다가, 코스가 수행되었을 때 상기 포량이 무거우면 설정된 시간 보다 더 지난 시간에 코스가 종료되도록 안내하지 않는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예약설정부(737)가 입력되어 예약 기능을 수행할 때, 상기 표시부(800)에 상기 포량에 따라 설정가능한 상기 코스의 수행시간 또는 종료시간이 달라지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20는 도19과 달리 상기 투입된 포량만 다를 수 있다.
도20(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드럼(3)에 수용된 의류의 포량이 LV5로 과량 이라는 것을 인지할 수 있고,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코스에 대한 정보(824) 외에 상기 포량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20(b)를 참조하면, 상기 예약설정부(737)이 입력되었을 때,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예약이 가능한 시간을 포량이 가벼울 때 보다 훨씬 더 뒤의 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800)는 감지된 상기 포량이 무거울수록 설정가능한 상기 코스의 수행시간 또는 종료시간이 늦어지도록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예약설정부(737) 입력 전에 포량을 감지하여 포량에 관한 데이터를 갖고 있으므로, 상기 예약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포량에 따라 상기 예약된 코스의 예상 수행시간을 정확하게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통신모듈에서 수신한 시각정보에서 상기 수행시간을 더한 시간 또는 그 시간보다 더 뒤의 시간으로 예약시간 설정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그 보다 빠른 시간은 예약시간 설정이 불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부(800)에는 선택된 표준코스로 예약할 수 있는 종료시각으로 22시 25분이 표시되어, 포량이 가벼울 때의 표준코스로 예약할 수 있는 종료시각 21시 35분 보다 늦은 시각이 표시될 수 있다.
도20(c)를 참조하면, 상기 예약시간이 설정되어 예약된 코스가 수행되었을 때, 상기 잔여시간(827)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잔여시간(827)은 최초에 표시된 시간에서 차감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코스가 수행된 이후에 늘어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잔여시간(827)은 차감된 시간 보다 더 빠르게 감소하는 것도 방지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제어부(c)가 상기 포량에 따라 정확하게 상기 예상시간을 결정하기 때문에, 상기 종료시간을 예약 설정하였다면, 종료시각에 상기 코스가 비교적 정확하게 종료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20시 25분에 코스설정부(720)로 선택된 코스로 예약설정부(737)를 입력하여 종료시각을 상기 22시 25분으로 설정한 뒤, 수행부(740)를 입력하여 예약을 완전히 설정할 수 있다.
이후, 21시 25분에 상기 표시부(800)를 확인하면 상기 잔여시간은 1시간으로 정확하게 표시될 수 있다.
도21은 상기 표시부(800)가 표시할 수 있는 추가적인 정보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세탁기로 구비될 수도 있고, 건조기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세탁기와 건조기가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
상기 세탁기는 상기 의류를 세탁, 헹굼, 탈수할 수 있는 임의의 세탁코스를 수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건조기는 상기 의류에서 수분을 증발시키는 임의 건조코스를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건조코스는 상기 세탁기의 드럼(3)의 외부에 배치되는 별도의 건조드럼(3a)에서 수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탁기의 제어부(c)는 상기 건조기의 건조성능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미리 저장해둘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탁기의 제어부(c)는 포량을 감지할 때 상기 건조기의 상기 건조드럼에서 상기 건조코스가 수행되는 예상시간도 연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탁기의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의류가 수분을 건조하는 건조코스를 수행할 때 예상시간(826)도 표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탁기의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코스선택부(720)로 선택된 코스의 수행시간 또는 잔여시간(823)과, 상기 건조코스를 수행할 때의 예상시간(826)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세탁기의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코스선택부(720)로 선택된 코스의 수행시간 또는 잔여시간(823)과, 상기 건조코스를 수행할 때의 예상시간(826)을 교차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세탁기의 컨트롤패널(P)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건조코스를 준비하는 건조명령을 입력받도록 구비되는 준비부(73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준비부(730a)가 입력되면 상기 건조코스를 수행할 때 예상시간(826)을 표시할 수 있다.
도21(a)는 상기 제2컨트롤패널(P2)에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왼쪽 그림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내용표시부에 선택된 코스명칭과, 상기 선택된 코스에 대한 정보(821)를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옵션표시부(840)에 선택된 상기 코스에 대한 조건(824) 또는 상기 옵션의 내용이 구체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가운데 그림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C)가 포량감지를 완료하면 상기 표시부(800)에는 상기 포량에 관한 정보와 상기 코스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용표시부(820)에는 상기 포량에 관한 정보와 상기 코스의 예상수행시간 및 상기 코스에 필요한 세제량(823)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옵션표시부(840)에는 상기 코스가 수행되는 조건(824)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트롤패널(P2)에 별도로 구비되거나, 상기 표시부(800)를 가압하여 상기 옵션선택부(730)에서 활성화 될 수 있는 상기 준비부(730a)가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건조코스를 수행하는 예상 건조시간(826)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800)는 상기 코스에 대한 정보 또는 코스가 수행되는 잔여시간과, 상기 예상건조시간(826)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일정시간마다 교차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세탁코스를 수행할 때 건조코스의 종료시간까지 파악하여 스케줄을 조정할 수 있다.
도21(b)는 상기 제3컨트롤패널(P3)에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왼쪽 그림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800)에는 선택된 코스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코스를 수행하는 예상수행시간(823)이 표시될 수 있다.
오른쪽 그림을 참조하면, 상기 준비부(730a)가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800)는 건조코스를 수행할 때 예상건조시간(826)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800)는 사용자가 예상건조시간(826)을 세탁코스의 예상수행시간으로 오해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세탁코스의 상기 예상수행시간(823) 또는 잔여시간(827)과 예상건조시간(826)을 교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예상건조시간은 표준건조코스에서 현재 감지된 포량에 연계된 수행시간일 수 있고, 수행되는 세탁코스와 연계된 건조코스에서 감지된 포량과 연계된 수행시간일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건조컨트롤패널에 전원이 off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세탁 컨트롤패널(P)만으로 충분히 상기 건조기의 예상수행시간까지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의류처리장치
20 세탁기
30 건조기
700 입력부
800 표시부
C 제어부
P 컨트롤패널
20 세탁기
30 건조기
700 입력부
800 표시부
C 제어부
P 컨트롤패널
Claims (20)
-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수용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의류의 포량을 감지하거나, 상기 의류를 처리하는 임의의 코스를 수행하는 명령을 제공하는 제어부;
상기 임의의 코스 중 어느 하나의 코스를 선택하는 선택명령을 입력받도록 구비되는 코스선택부;
선택된 상기 코스를 수행하는 수행명령을 입력받도록 구비되는 수행부;
감지된 상기 포량과 선택된 상기 코스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행부가 입력되기 전에 감지된 상기 포량을 아이콘 또는 픽토그램(pictogram)을 사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감지된 포량이 달라질 때 마다 상기 아이콘 또는 상기 픽토그램을 다르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감지된 포량이 상기 제어부가 설정한 포량구간을 벗어날 때 마다 상기 아이콘 또는 상기 픽토그램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감지된 포량과 대응되는 세제량을 상기 아이콘 또는 픽토그램을 사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행부가 입력되기 전에 선택된 상기 코스의 종료시각을 표시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감지된 상기 포량이 무거워지거나, 감지된 상기 포량이 상기 제어부가 설정한 포량구간을 넘어갈 때마다,
선택된 상기 코스의 종료시각이 늦춰지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외부단말과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현재시간을 전달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현재시각과 상기 코스의 종료시각을 교번하여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스의 수행시간 또는 종료시간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예약명령을 입력받는 예약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예약설정부가 입력되기 전에 상기 포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감지된 상기 포량에 따라 설정가능한 상기 코스의 수행시간 또는 종료시간이 달라지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감지된 상기 포량이 무거워지거나, 감지된 상기 포량이 상기 제어부가 설정한 포량구간을 넘어갈 때마다,
설정가능한 상기 코스의 수행시간이 증가하거나, 상기 코스의 종료시간이 늦춰지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의류가 수분을 건조하는 건조코스를 수행할 경우, 상기 건조코스의 예상 수행시간도 표시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코스는 다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행부가 입력되기 전에 선택된 상기 코스의 명칭, 상기 코스를 수행할 때 필요한 세제량, 상기 코스의 예상수행시간, 상기 코스가 수행되는 조건, 상기 코스의 설명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선택된 상기 코스의 명칭, 상기 코스를 수행할 때 필요한 세제량, 상기 코스의 예상수행시간, 상기 코스가 수행되는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코스의 설명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선택된 상기 코스의 명칭, 상기 코스를 수행할 때 필요한 세제량, 상기 코스의 예상수행시간, 상기 코스가 수행되는 조건을 픽토그램, 숫자, 단어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포함하고,
상기 코스의 설명은 단어가 조합된 구절 또는 문장을 사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선택된 상기 코스의 명칭, 상기 코스를 수행할 때 필요한 세제량, 상기 코스의 예상수행시간, 상기 코스가 수행되는 조건 중 하나 이상을 먼저 표시하고,
상기 코스의 설명은 나중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도어가 개방되기 전 선택된 상기 코스의 명칭, 상기 코스를 수행할 때 필요한 세제량, 상기 코스의 예상수행시간, 상기 코스가 수행되는 조건 중 하나 이상을 먼저 표시하고,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코스의 설명을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코스의 설명을 일정기간 또는 일정횟수 표시하되,
상기 일정기간 또는 일정횟수가 경과되면 상기 코스의 설명을 표시하는 것을 생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행부가 입력되기 전에 선택된 상기 코스의 명칭, 상기 코스를 수행할 때 필요한 세제량, 상기 코스의 예상수행시간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고,
상기 수행부가 입력되면 상기 코스가 수행되는 조건을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1552A KR20240042809A (ko) | 2022-09-26 | 2022-09-26 | 의류처리장치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PCT/KR2023/014781 WO2024071971A1 (ko) | 2022-09-26 | 2023-09-26 | 의류처리장치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1552A KR20240042809A (ko) | 2022-09-26 | 2022-09-26 | 의류처리장치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42809A true KR20240042809A (ko) | 2024-04-02 |
Family
ID=90478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21552A KR20240042809A (ko) | 2022-09-26 | 2022-09-26 | 의류처리장치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42809A (ko) |
WO (1) | WO2024071971A1 (ko)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9804B1 (ko) * | 2006-02-14 | 2013-04-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드럼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
KR101276857B1 (ko) * | 2011-07-27 | 2013-06-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
JP6416458B2 (ja) * | 2013-02-08 | 2018-10-31 |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 洗濯機 |
KR20150075464A (ko) * | 2013-12-26 | 2015-07-06 |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 세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 |
JP7302807B2 (ja) * | 2018-12-19 | 2023-07-04 |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 | コインランドリー利用支援システム |
-
2022
- 2022-09-26 KR KR1020220121552A patent/KR2024004280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3
- 2023-09-26 WO PCT/KR2023/014781 patent/WO2024071971A1/ko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4071971A1 (ko) | 2024-04-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719812B1 (en) | Laundry treatment machin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US9528212B2 (en) |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20240052542A1 (en)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clothes treatment apparatus | |
KR20240042809A (ko) | 의류처리장치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KR102709017B1 (ko) | 의류처리장치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KR20240043183A (ko) | 의류처리장치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KR20240042810A (ko)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KR20240043083A (ko)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KR20240042816A (ko) | 의류처리장치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KR20240043678A (ko) | 의류처리장치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US20190352835A1 (en) | Clothing treatmen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KR20190063254A (ko) |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
KR102573394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210136697A (ko)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KR102572464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572468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573396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573393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573395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190063253A (ko) |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
EP4411049A1 (en) | Method for controlling clothing treatment device, and clothing treatment device | |
KR20180085277A (ko) | 세탁물 처리기기 | |
KR20240017758A (ko)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