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5464A - 세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5464A
KR20150075464A KR1020130163455A KR20130163455A KR20150075464A KR 20150075464 A KR20150075464 A KR 20150075464A KR 1020130163455 A KR1020130163455 A KR 1020130163455A KR 20130163455 A KR20130163455 A KR 20130163455A KR 20150075464 A KR20150075464 A KR 20150075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laundry
wireless terminal
washing machine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3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슬혜
이상미
Original Assignee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3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5464A/ko
Publication of KR20150075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4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7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metering of detergents or additi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세탁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무선 단말에서 선택된 세제 종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세제 종류 데이터와 기 저장된 세제 종류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세제 종류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에 내장된 세탁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단계, 추출된 세제 종류 데이터 및 측정된 세탁물의 무게에 매핑된 세제량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세제량에 대응하도록 세탁물로 세제를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METHOD FOR PROVIDING LAUNDRY SERVICE AND WASHING MACHINE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세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세탁물의 무게에 대응하는 세제량을 정확히 투입할 수 있는 방법 및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제의 종류가 다양화됨에 따라 세제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어느 세제를 얼마나 넣어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확립하지 못한 채, 대강의 짐작으로 세제를 투입하는 것이 현 실정이다.
이때, 적정 세제량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권장 세제량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세제량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06-0024579호(2006.03.17 공개)에는, 포량 감지를 실시하고, 포량에 따른 권장 세제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권장 세제량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적정 세제량을 인지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세탁물의 무게가 동일하더라도 세제의 종류에 따라 세제의 양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보유한 세제의 종류는 다양하기 때문에 권장 세제량을 산출한다고 할지라도 산출된 권장 세제량은 세제의 종류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6-0024579호(2006.03.17 공개)에는 "권장 세제량 표시 기능을 갖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선 단말에서 세제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세제 종류 데이터를 파악하고, 파악된 세제 종류 데이터를 세탁기로 전송함으로써, 세탁물의 무게와 세제의 종류를 모두 고려하여 적절한 세제량을 산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설정한 물의 양, 온도, 세탁 횟수, 헹굼 횟수 및 탈수 횟수의 조건이 더 설정된 경우, 해당 조건을 모두 고려하여 적절한 세제량을 산출할 수 있는 세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선 단말에서 선택된 세제 종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세제 종류 데이터와 기 저장된 세제 종류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세제 종류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에 내장된 세탁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단계, 추출된 세제 종류 데이터 및 측정된 세탁물의 무게에 매핑된 세제량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세제량에 대응하도록 세탁물로 세제를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무선 단말에서 선택된 세제 종류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세제 종류 데이터와 기 저장된 세제 종류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세제 종류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 1 추출부,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에 내장된 세탁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측정부, 추출된 세제 종류 데이터 및 측정된 세탁물의 무게에 매핑된 세제량을 추출하는 제 2 추출부, 추출된 세제량에 대응하도록 세탁물로 세제를 투입하는 투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세제의 종류와 세탁물의 무게에 대응하는 세제를 투입할 수 있고, 세탁 코스의 세부 조정을 무선 단말에서 입력할 수 있으므로 세탁기의 조작이 어려운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선 단말에서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와 연동되어 구동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무선 단말(100),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무선 단말(100)과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300)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0)의 일 예는, 인터넷(Internet), 블루투스, NFC, 지그비, UWB 및 IrDA를 포함한 근거리 무선 통신,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W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1에 개시된 무선 단말(100) 및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300)는 도 1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 단말(100)은, 세제 종류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100)은, 무선 단말(100)에 구비된 촬영 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세제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와 무선 단말(100)에 기 저장된 세제 종류 데이터를 비교하여 촬영된 세제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단말(100)은, 파악된 세제의 종류를 리스트 업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무선 단말(100)은, 세탁 코스를 설정하는 설정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세탁 코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은 경우, 해당 세탁 코스에 포함된 설정 데이터를 조절가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단말(100)은, 선택된 세제의 종류, 세탁 코스, 설정 데이터를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카메라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300)는, 무선 단말(100)에서 선택한 세제의 종류, 세탁 코스, 설정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300)는, 세탁기에 내장된 세탁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300)는, 세탁물의 무게에 매핑된 세제량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300)는 세제의 종류와 세탁물에 무게에 따라 투입되는 세제의 양을 기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300)는, 디폴트로 설정된 세탁 코스 이외에도, 무선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세탁 코스 및 설정 데이터에 대응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300)는 세탁이 완료된 경우, 무선 단말(100)로 완료 알람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선 단말에서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와 연동되어 구동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300)는, 수신부(310), 제 1 추출부(320), 측정부(330), 제 2 추출부(340), 투입부(350), 사용자 제어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 서비스 제공 서버(미도시)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세탁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무선 단말(100)로 전송하면, 무선 단말(100)은 해당 서비스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세탁 서비스 프로그램이 무선 단말(1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앱(app)은 모바일 콘텐츠를 자유롭게 사고 파는 가상의 장터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200) 연결은 무선 단말(100)과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300)가 통신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하며, 네트워크(200) 연결을 생성하는 것은 무선 단말(100) 또는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300)가 네트워크(200)로 연결되어 있는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통신 접점에 통신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300)는 통신 객체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수신부(310)는, 무선 단말(100)에서 선택된 세제 종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무선 단말(100)은 세제의 이미지 또는 입력된 텍스트로부터 세제 종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세제의 이미지는 바코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보유한 세제가 B, C라면, B, C라는 텍스트를 직접 무선 단말(100)에 입력하여 자신이 보유한 세제를 리스트 업할 수도 있지만, B, C의 이미지, 예를 들어 바코드를 촬영하는 것에 의해 자신이 보유한 세제를 무선 단말(100)에 리스트 업할 수도 있다. 여기서, 바코드가 촬영되는 경우에는, 바코드의 이미지, 식별번호, 세제의 종류가 무선 단말(100)에 기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무선 단말(100)로부터 세제의 종류를 입력받는 이유는, 세제의 종류마다 투입되어야 할 세제의 양이 각각 다르기 때문이며, 사용자들은 어느 정도의 세탁물에 어느 종류의 세제를 어느 정도의 양으로 넣는지에 대하여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신부(310)는 무선 단말(100)에서 선택된 세제 종류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느 종류의 세제를 사용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 1 추출부(320)는, 수신된 세제 종류 데이터와, 기 저장된 세제 종류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세제 종류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수신된 세제 종류가 어느 종류인지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기준값이 요구되는데, 이 기준값은 기 저장되어 무선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다.
측정부(330)는,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300)에 내장된 세탁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동일한 종류의 세제라도 세탁물의 무게에 따라 투입되는 세제의 양이 다르기 때문에, 측정부(330)에서는 세탁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제 2 추출부(340)는, 추출된 세제 종류 데이터 및 측정된 세탁물의 무게에 매핑된 세제량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무게의 세탁물이라고 할지라도 세제 종류에 따라 세제량이 달라질 수 있고, 동일한 세제라고 할지라도 세탁물의 무게에 따라 세제량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세탁 종류 데이터와 세탁물의 무게를 모두 고려하여 세제량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세제 종류 데이터와 세탁물의 무게에 따른 세제량은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300)에 기 저장될 수 있다. 기 저장된 테이블은 예를 들면 이하 표 1과 같을 수 있다. 또한, 세제 종류 데이터 및 세탁물의 무게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설정한 물 온도, 세탁 횟수, 헹굼 횟수, 물의 양, 탈수 횟수 등과 같은 다른 조건에 의해서도 세제량은 조절될 수 있다.
세제 종류 데이터 세탁물의 무게 세제량


A 세제
7.5KG 초과 45ml
5kg~7.5kg 36ml
3kg~5kg 23ml
3kg 미만 14ml
투입부(350)는, 추출된 세제량에 대응하도록 세탁물로 세제를 투입할 수 있다.
사용자 제어부(360)는, 무선 단말(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세탁 코스를 설정하는 설정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설정 데이터에 대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바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이는, 물 온도, 세탁 횟수, 물의 양, 탈수 횟수 등을 조절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바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우측으로 클릭, 터치, 드래그하는 경우 양, 온도, 횟수 등이 증가할 수 있고, 좌측으로 클릭, 터치, 드래그 하는 경우, 양, 온도, 횟수 등이 감소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바는 드래그 또는 터치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제어부(360)는,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300)에 디폴트로 저장된 세탁 코스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세부적으로 조정하고 싶은 사항들을 수신하여 사용자의 설정대로 세탁을 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세탁 코스를 선택하는 선택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선택된 선택 코스에 대한 설명이 오버레이(Overlay)되도록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무선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세탁 코스가 선택되고, 도움말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세탁 코스에 대한 설명이 오버레이되면서, 설명을 제외한 화면이 블랙아웃(Blackout)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세탁 코스가 원주를 따라 플리핑(Flipping)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세탁 코스는 메뉴 아이콘 휠(Wheel)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세탁 코스를 선택하여 중앙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상술한 슬라이드 바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세부 사항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단말(100)과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300)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페이스는 근거리 통신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블루투스, NFC 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세탁 서비스가 무선 단말(100)에서 실행되는 일 실시예를 도 3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3a을 참조하면, (a) 사용자가 세제 아이콘(A)을 선택하고, (b) 무선 단말(100)에 구비된 촬영 수단(미도시)을 통하여 세제의 바코드를 스캔하거나, 텍스트 입력으로 세제를 검색하여 선택하면, (c) 자신이 보유한 세제(B)(내 세제)로 리스트 업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a) 도움말 메뉴(A)를 클릭하거나 터치하고, (b) 적어도 하나의 세탁 코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세탁 코스에 대한 도움말(B)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되는 방식은 도움말(B)을 제외한 나머지 화면은 블랙아웃 처리되는 방식일 수도 있고, 도움말(B)이 화면상에 오버레이되는 방식일 수도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a) 적어도 하나의 세탁 코스는 휠(W)을 드래그하여 회전하는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드래그하는 속도에 비례하여 휠(W)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세탁 코스 아이콘은 이동될 수 있다. (b) 적어도 하나의 세탁 코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중앙의 세탁조 아이콘(S)으로 드래그하면, (c) 선택된 세탁 코스를 상세히 조정할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될 수 있다. (d) 선택된 세탁 코스에 대한 상세 조정 화면은 슬라이드 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터치 또는 드래그에 의해 각각의 슬라이드 바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의 양을 증가시키는 경우, 하단 세탁조 아이콘도 대응되도록 변할 수 있다. (e) 세탁 시작 아이콘(S)을 터치하고, (f)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300)에 NFC 태그하는 경우, 무선 단말(100)에서 설정한 데이터가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300)에 입력될 수 있다. 이 이후에는,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300)는 입력된 세제 종류 데이터, 설정 데이터에 기반하여 세제의 양을 조절하여 투입하고, 물의 양, 물의 온도, 탈수 횟수, 헹굼 횟수, 세탁 횟수 등을 사용자가 설정한 데이터에 대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300)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세탁이 모두 완료된 경우에는, (g) 무선 단말(100)로 알람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무선 단말(100)에 세탁 서비스가 구현되는 실제 화면을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a) 바코드 스캔으로 세제를 검색할 수 있고, (b)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300)에 투입된 세제를 선택할 수 있으며, (c) 적어도 하나의 세탁 코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드래그하면, (d) 선택된 세탁 코스를 상세 조정할 수 있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e) 해당 세탁 코스에 대한 설명이 필요한 경우, 상단에 구비된 도움말(정보박사)을 터치 또는 클릭하면, (f) 해당 세탁 코스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은 도 2 및 3의 세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세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세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단말(100)은 세제의 이미지로부터 세제 종류 데이터를 추출한다(S4100). 그리고 나서, 무선 단말(100)은 세제 종류 데이터를 저장하고(S4200), 어느 하나의 세제 종류 데이터를 선택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S4300), 세탁 코스를 선택받고(S4400), 선택된 세제 종류 데이터와 세탁 코스 데이터를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300)로 전송한다(S4500).
이때,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300)는, 세탁물의 무게를 측정하고(S4600), 세제 종류 데이터 및 세탁물의 무게에 매핑된 세제량을 추출한 후(S4700), 추출된 세제량에 대응하도록 세제를 투입하고(S4800), 수신된 세탁 코스에 따라 세탁을 제어한다(S4900).
그리고 나서,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300)는, 세탁이 완료된 경우 무선 단말(100)로 알람 메세지를 전송하여(S4930), 무선 단말(100)에서 세탁이 완료되었다는 알람을 울리도록 할 수 있다(S4950).
이와 같은 도 4의 구성 프로파일 세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3을 통해 세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단계들(S4100~S495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5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는, 무선 단말에서 선택된 세제 종류 데이터를 수신한다(S5100).
그리고 나서,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는, 수신된 세제 종류 데이터와 기 저장된 세제 종류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세제 종류 데이터를 추출한다(S5200).
여기서,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는,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에 내장된 세탁물의 무게를 측정하고(S5300), 추출된 세제 종류 데이터 및 측정된 세탁물의 무게에 매핑된 세제량을 추출한다(S5400).
그리고,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는, 추출된 세제량에 대응하도록 세탁물로 세제를 투입한다(S5500).
이와 같은 도 5의 세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세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에서 실행되는 세탁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무선 단말에서 선택된 세제 종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세제 종류 데이터와 기 저장된 세제 종류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세제 종류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에 내장된 세탁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세제 종류 데이터 및 상기 측정된 세탁물의 무게에 매핑된 세제량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세제량에 대응하도록 상기 세탁물로 세제를 투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세탁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은 세제의 이미지 또는 입력된 텍스트로부터 세제 종류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인, 세탁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세탁 코스를 설정하는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설정 데이터에 대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세탁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과 상기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되는 것인, 세탁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바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바는 드래그 또는 터치에 의해 조정되는 것인, 세탁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세탁 코스를 선택하는 선택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선택된 세탁 코스에 대한 설명이 오버레이(Overlay)되도록 출력하는 것인, 세탁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세탁 코스가 선택되고, 도움말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세탁 코스에 대한 설명이 오버레이(Overlay)되면서, 상기 설명을 제외한 화면이 블랙아웃(Blackout) 처리되는 것인, 세탁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세탁 코스가 원주를 따라 플리핑(Flipping)되도록 제어하는 것인, 세탁 서비스 제공 방법.
  9. 무선 단말과 연동되는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에 있어서,
    무선 단말에서 선택된 세제 종류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세제 종류 데이터와 기 저장된 세제 종류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세제 종류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 1 추출부;
    상기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에 내장된 세탁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추출된 세제 종류 데이터 및 상기 측정된 세탁물의 무게에 매핑된 세제량을 추출하는 제 2 추출부;
    상기 추출된 세제량에 대응하도록 상기 세탁물로 세제를 투입하는 투입부
    를 포함하는, 세탁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30163455A 2013-12-26 2013-12-26 세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 KR201500754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455A KR20150075464A (ko) 2013-12-26 2013-12-26 세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455A KR20150075464A (ko) 2013-12-26 2013-12-26 세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464A true KR20150075464A (ko) 2015-07-06

Family

ID=53788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455A KR20150075464A (ko) 2013-12-26 2013-12-26 세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5464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4480A (ko) * 2019-08-21 2019-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의 세제량 조절 방법 및 그 장치
US20210189627A1 (en) * 2019-12-19 2021-06-24 Lg Electronics Inc. Washing apparatus capable of adjusting operation based on additional laundr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3605058A (zh) * 2021-08-23 2021-11-05 徐铎秩 一种洗衣添加剂添加控制方法
CN114059265A (zh) * 2020-07-31 2022-02-1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衣程序的共享方法、终端及存储介质
CN114592319A (zh) * 2022-03-11 2022-06-07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洗涤剂投放的控制方法、装置、洗衣机及存储介质
CN114687124A (zh) * 2020-12-31 2022-07-0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智能终端推荐外置投放模块配置方法及外置投放模块
US11946183B2 (en) 2016-12-21 2024-04-02 Henkel Ag & Co. Kgaa Method for determining treatment parameters via an information carrier
WO2024071971A1 (ko) * 2022-09-26 202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46183B2 (en) 2016-12-21 2024-04-02 Henkel Ag & Co. Kgaa Method for determining treatment parameters via an information carrier
KR20190104480A (ko) * 2019-08-21 2019-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의 세제량 조절 방법 및 그 장치
US20210189627A1 (en) * 2019-12-19 2021-06-24 Lg Electronics Inc. Washing apparatus capable of adjusting operation based on additional laundr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795597B2 (en) * 2019-12-19 2023-10-24 Lg Electronics Inc. Washing apparatus capable of adjusting operation based on additional laundr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4059265A (zh) * 2020-07-31 2022-02-1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衣程序的共享方法、终端及存储介质
CN114059265B (zh) * 2020-07-31 2024-01-0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衣程序的共享方法、终端及存储介质
CN114687124A (zh) * 2020-12-31 2022-07-0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智能终端推荐外置投放模块配置方法及外置投放模块
CN113605058A (zh) * 2021-08-23 2021-11-05 徐铎秩 一种洗衣添加剂添加控制方法
CN114592319A (zh) * 2022-03-11 2022-06-07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洗涤剂投放的控制方法、装置、洗衣机及存储介质
CN114592319B (zh) * 2022-03-11 2023-11-21 海信冰箱有限公司 洗涤剂投放的控制方法、装置、洗衣机及存储介质
WO2024071971A1 (ko) * 2022-09-26 202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75464A (ko) 세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무선 통신 기반 세탁기
CN108052365B (zh) 用户界面的组件生成方法及装置
US20220301041A1 (en) Virtual fitting provision device and provision method therefor
JP6130335B2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配信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情報表示装置
JP2017520042A (ja) ボディスキャン情報を使用する衣料品フィルタリングおよび提示方法
CN104115106B (zh) 用于本地应用和网络应用的混合移动交互
US10089680B2 (en) Automatically fitting a wearable object
CN111259284B (zh) 页面懒加载的方法和装置、存储介质和处理器
CN106339436B (zh) 一种基于图片的购物方法及移动终端
CN105005439A (zh) 图标管理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101409009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CN106878361A (zh) 一种终端应用页面的调试方法、装置及客户端
KR102295628B1 (ko) 식품 보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5657445A (zh) 电视购物系统及其实现方法
CN104423839A (zh) 浏览器资源显示方法和装置
CN109074543A (zh) 促进购物的系统和方法
CN103414628A (zh) 一种会话记录查阅方法及装置
KR101397181B1 (ko) 통합 비지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
CN108905203A (zh) 信息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13128244A (zh) 扫描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4765564B (zh) 一种截图方法及装置
CN105022734A (zh) 一种背景色设置方法及装置
KR20120078290A (ko) 의류 착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1796736B (zh) 应用程序的分享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08376173A (zh) 企业门户页面的显示方法、装置和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