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2141A - 편평한 가요성 케이블용 스프링 클립 및 커넥터 - Google Patents
편평한 가요성 케이블용 스프링 클립 및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42141A KR20240042141A KR1020247008891A KR20247008891A KR20240042141A KR 20240042141 A KR20240042141 A KR 20240042141A KR 1020247008891 A KR1020247008891 A KR 1020247008891A KR 20247008891 A KR20247008891 A KR 20247008891A KR 20240042141 A KR20240042141 A KR 202400421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tch
- section
- cover
- spring
- spring clip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799 BoPET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41 Myl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9 copper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23 plastic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8—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unter-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 H01R12/67—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스프링 클립(100)은 제1 빔(110) 및 제1 빔(110)에 연결되며 제1 빔(110)으로부터 멀리 있는 이완 포지션(R)으로부터 제1 빔(110)에 가까운 압축 포지션(P)으로 제1 빔(110)을 향해 탄성적으로 편향 가능한 제2 빔(150)을 포함한다. 제2 빔(150)은 제2 빔(150)의 단부(154)에 배치되며 제1 빔(110)을 향해 연장되는 스프링 래치(170)를 갖는다. 스프링 래치(170)는 압축 포지션(P)에서 제1 빔(110)과 맞물린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35 U.S.C. §119 하에서, 2021년 8월 20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번호 제63/235,354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편평한 가요성 케이블(flat flexible cable)에 연결하기 위한 스프링 클립을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편평한 가요성 케이블(flat flexible cable; FFC) 또는 편평한 가요성 회로는 절연체의 얇은 가요성 스트립 내에 임베딩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체(예를 들면, 금속 포일 도체)로 구성되는 전기 컴포넌트이다. 편평한 가요성 케이블은 그들의 전통적인 "원형 와이어" 카운터 부품에 비해 제공되는 이점에 기인하여 많은 산업에 걸쳐 인기를 얻고 있다. 구체적으로, 더 낮은 프로파일 및 더 가벼운 중량을 갖는 것 외에도, FFC는 원형 와이어 기반의 아키텍쳐와 비교하여 훨씬 더 큰 용이성을 가지고 대규모 회로 통로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FFC는 배선 하니스(wiring harness), 예컨대 자동차 제조에서 사용되는 것들을 비롯하여, 많은 복잡한 및/또는 대용량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고려되고 있다.
현존하는 배선 환경으로의 FFC의 구현 또는 통합은 상당한 어려움 없이는 없다.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에서, 단지 예로서, FFC 기반의 배선 하니스가, 서브 하니스 및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예를 들면, 조명, 센서, 등등)를 비롯하여, 각각이 확립된, 그리고 몇몇 경우에, 표준화된 커넥터 또는 인터페이스 타입을 갖는 아마도 수백 개의 현존하는 컴포넌트와 짝을 이룰 필요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들 애플리케이션으로의 FFC의 구현을 방해하는 중요한 장애물은, FFC가 이들 현존하는 연결과 짝을 이루기 위해 커넥터화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빠르고, 견고하며 낮은 저항의 종단 기술을 개발할 필요성을 포함한다.
현재의 FFC 단자는 피어싱 스타일의 압착 단자(piercing-style crimp terminal)를 포함하는데, 임베딩된 도체와의 확실한 전기적 연결을 확립하려고 시도하기 위해 단자의 날카로운 살(tine)이 사용되어 FFC의 절연체를 관통한다. 그러나, 열악한 환경 조건에서, 그러한 연결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소성 크리프(plastic creep) 및 응력 완화의 문제를 겪게 되어, 단자와 도체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신뢰성 있게 유지하지 못한다.
스프링 클립은 제1 빔 및 제1 빔에 연결되는 제2 빔을 구비한다. 제2 빔은 제1 빔으로부터 멀리 있는 이완 포지션으로부터 제1 빔에 가까운 압축 포지션으로 제1 빔을 향해 탄성적으로 편향 가능할 수 있다. 제2 빔은 제2 빔의 단부에 배치되며 제1 빔을 향해 연장되는 스프링 래치를 갖는다. 스프링 래치는 제1 빔과 맞물려 제2 빔을 압축 포지션에 고정한다.
이제, 본 발명은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설명될 것인데, 첨부의 도면 중:
도 1은 한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perspective view)이다;
도 2는 커넥터의 스프링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스프링 클립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커넥터의 하우징의 커버가 개방 포지션에 있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한 실시형태에 따른 편평한 가요성 케이블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유지 플레이트(retention plate)를 갖는 편평한 가요성 케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커버가 폐쇄 포지션에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일부의 상세 측단면도이다;
도 9는 커버가 폐쇄 포지션에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커버가 폐쇄 포지션에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커버가 폐쇄 포지션에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 단부도(sectional end view)이다; 그리고
도 12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스프링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1은 한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perspective view)이다;
도 2는 커넥터의 스프링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스프링 클립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커넥터의 하우징의 커버가 개방 포지션에 있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한 실시형태에 따른 편평한 가요성 케이블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유지 플레이트(retention plate)를 갖는 편평한 가요성 케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커버가 폐쇄 포지션에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일부의 상세 측단면도이다;
도 9는 커버가 폐쇄 포지션에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커버가 폐쇄 포지션에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커버가 폐쇄 포지션에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 단부도(sectional end view)이다; 그리고
도 12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스프링 클립의 사시도이다.
한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10)가 도 1에서 도시되어 있다. 커넥터(10)는 복수의 스프링 클립(100) 및 복수의 스프링 클립(100)이 배치되는 하우징(200)을 포함한다. 도 4, 도 7, 및 도 9 내지 도 1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넥터(10)는 편평한 가요성 케이블(FFC)(20)에 연결되어 커넥터 어셈블리(1)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스프링 클립(100) 중 하나가 참조되어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지만, 그러나 설명은 커넥터 어셈블리(1) 및 커넥터(10)의 스프링 클립(100) 각각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프링 클립(100)은, 각각이 연결 섹션(180)에 연결되고 연결 섹션(180)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빔(110) 및 제2 빔(150)을 갖는다. 스프링 클립(100)은 전도성 재료, 예컨대 구리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된다. 한 실시형태에서, 제1 빔(110), 제2 빔(150), 및 연결 섹션(180)은 전도성 재료로부터 단일의 조각으로 단일체로(monolithically) 형성된다. 제2 빔(150)은 제1 빔(110)을 향해 탄성적으로 편향 가능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빔(110)은 연결 섹션(180)에 연결되는 제1 단부(112)로부터 제1 단부(112) 반대편의 제2 단부(114)까지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된다. 제1 빔(110)은 제1 단부(112)로부터 연장되는 콘택 섹션(120), 콘택 섹션(120)으로부터 연장되는 래치 섹션(130), 및 래치 섹션(130)으로부터 연장되는 단부 섹션(140)을 갖는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빔(110)은 제1 단부(112)로부터 제2 단부(114)까지 연장되고 길이 방향(L)에 수직인 수직 방향(V)에서 제1 빔(110)의 저부 표면(118)을 형성하는 베이스 빔(122)을 갖는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되는 실시형태에서, 베이스 빔(122)에 의해 형성되는 저부 표면(118)은 평면의 표면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빔(110)의 콘택 섹션(120)은 베이스 빔(122)으로부터 연장되며 베이스 빔(122) 위로 접혀지는 접힌 구조물(folded structure; 124)을 갖는다. 접힌 구조물(124)은 제2 빔(150)과 마주하는 콘택 섹션(120)에서 콘택 표면(116)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접힌 구조물(124)은, 예를 들면 스탬핑에 의해, 베이스 빔(122)과 단일의 조각으로 형성되고, 그 다음,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되는 접힌 구조물(124)의 형상으로 굴곡된다.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한 실시형태에서, 콘택 표면(116)을 형성하는 접힌 구조물(124)의 일부는 수직 방향(V)에서 베이스 빔(122)으로부터 분리된다.
래치 섹션(130)에서,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접힌 연장부(134)가 접힌 구조물(124)로부터 베이스 빔(122) 위로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접힌 연장부(134)는 접힌 구조물(124)과 단일의 조각으로 단일체로 형성된다. 접힌 연장부(134)는 수직 방향(V)에서 베이스 빔(122) 위에 배치된다. 접힌 연장부(134)는 접힌 구조물(124)과 결합되는 수직 방향(V)에서 베이스 빔(122)으로부터 분리되고,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접힌 구조물(124) 반대편의 접힌 연장부(134)의 단부에서 베이스 빔(122)을 향해 굴곡된다.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접힌 연장부(134)는 길이 방향(L) 및 수직 방향(V)에 수직인 폭 방향(W)에서 접힌 연장부(134)의 대향하는 측면 상에서 경사진 표면(136)을 갖는다. 경사진 표면(136)은 제2 빔(150)과 마주하며, 접힌 연장부(134)의 중심으로부터 폭 방향(W)에서 바깥쪽으로 경사진다. 경사진 표면(136)의 저부 및 경사진 표면(136)의 영역의 접힌 연장부(134)의 저부는 수직 방향(V)에서 베이스 빔(122)의 저부 표면(118) 위로 래치 높이(132)에서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경사진 표면(136)에서의 접힌 연장부(134)는 폭 방향(W)에서 베이스 빔(122)보다 더 넓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되는 실시형태에서, 제1 빔(110)의 베이스 빔(122)만이 단부 섹션(140)에서 연장된다. 베이스 빔(122)은 단부 섹션(140)에서 평면의 저부 표면(118)을 이어가며,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폭 방향(W)에서 래치 섹션(130)보다 단부 섹션(140)에서 더 넓다.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빔(150)은 길이 방향(L)을 따라 제1 단부(152)로부터 반대편의 제2 단부(154)까지 연장된다. 제2 빔(150)은 외부 표면(156) 및 수직 방향(V)에서 외부 표면(156) 반대편의 내부 표면(157)을 갖는다. 내부 표면(157)은 제1 빔(110)을 향한다. 제2 빔(150)은 제1 단부(152)와 제2 단부(154) 사이에서 제1 빔(110)을 향해 연장되는 콘택 굴곡부(contact bend; 158)를 갖는다. 콘택 굴곡부(158)는 수직 방향(V)에서 제1 빔(110)의 콘택 표면(116)과 정렬된다.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콘택 굴곡부(158)는 곡률 반경(159)을 갖는다. 도 2에서 도시되는 실시형태에서, 제2 빔(150)은 콘택 굴곡부(158)에서 제2 빔(150)을 따라 연장되는 굴곡 엠보싱부(bend embossment; 160)를 갖는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빔(150)은 제2 단부(154)에서 배치되며 제1 빔(110)을 향해 연장되는 스프링 래치(170)를 갖는다. 스프링 래치(170)는 폭 방향(W)에서 제2 빔(150)의 대향하는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래치 암(172)을 갖는다. 래치 암(172) 각각은 제1 빔(110)을 향해 수직 방향(V)으로 연장되고, 제2 빔(150) 반대편에서 날카로운 자유 단부(174)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래치 암(172) 각각은 L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래치 암(172)의 반대쪽 암을 향해 기울어지는 래치 팁(176)을 갖는다. 도 2 및 도 3의 실시형태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프링 래치(170)는 제2 빔(150)과, 그리고 한 실시형태에서 스프링 클립(100) 전체와 단일의 조각으로 단일체로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되는 실시형태에서, 제2 빔(150)은 외부 표면(156) 상에 배치되며 외부 표면(156)으로부터 돌출되는 비드(bead; 162)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비드(162)는 제2 단부(154)에서 스프링 래치(170)에 인접해 있다.
도 2에서 도시되는 실시형태에서, 연결 섹션(180)은 제1 빔(110)과 제2 빔(150)을 연결하는 핀 인터페이스(182)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핀 인터페이스(182)는 콘택 핀에 탄력적으로 접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적응되는 박스 및 스프링 인터페이스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핀 인터페이스(182)는 제1 빔(110) 및 제2 빔(150)에 연결되고 제1 빔(110)을 향하는 제2 빔(150)의 탄성 편향을 허용하는 콘택 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적응되는 임의의 타입의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연결 섹션(180)에는 수직 방향(V)으로 돌출되는 클립 래치(184)를 갖는다. 클립 래치(184)는 연결 섹션(180)을 향해 탄성적으로 편향 가능할 수 있다.
도 1, 도 4, 도 7, 및 도 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200)은 베이스(210) 및 도 1 및 도 4에서 도시되는 개방 포지션(O)과 도 7 및 도 9에서 도시되는 폐쇄 포지션(C) 사이에서 베이스(210)에 대해 이동 가능한 커버(250)를 갖는다.
도 1, 도 4, 도 7, 및 도 9에서 도시되는 실시형태에서, 베이스(210)는 힌지(280)에 의해 커버(250)에 부착되고, 커버(250)는 개방 포지션(O)과 폐쇄 포지션(C) 사이에서 힌지(28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베이스(210) 및 커버(250)는 단일의 조각으로 단일체로 형성되고 힌지(280)는 필름 힌지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베이스(210) 및 커버(250)는 별개의 조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힌지(280)에서 부착되어 힌지(28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거나, 또는 베이스(210) 및 커버(250)는 힌지(280) 없이 완전히 별개의 조각일 수 있다. 하우징(200)은 절연성 재료, 예컨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210)는 폐쇄 섹션(212)과 폐쇄 섹션(212)으로부터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개방 섹션(220)을 갖는다. 폐쇄 섹션(212)은 길이 방향(L)을 따라 폐쇄 섹션(212)을 통해 연장되는 수용 통로(214)를 둘러싼다. 스프링 래치 통로(216)가 폐쇄 섹션(212)을 통해 수직 방향(V)으로 연장되고 수용 통로(214)와 연통한다.
도 1 및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개방 섹션(220)은 저부 벽(222) 및 저부 벽(222)으로부터 수직 방향(V)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230)을 갖는다. 저부 벽(222) 및 측벽(230)은 개방 섹션(220)에서 내부 수용 공간(240)을 정의한다. 저부 벽(222)은 내부 표면(224) 및 수직 방향(V)에서 내부 표면(224) 반대편의 외부 표면(226)을 갖는다. 도 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저부 벽(222)은 길이 방향(L)으로 저부 벽(222)의 단부에서 걸쇠(catch; 228)를 갖는다. 걸쇠(228)는 저부 벽(222)으로부터 길이 방향(L)으로 그리고 수직 방향(V)으로 돌출된다.
도 1 및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측벽(230) 각각은 길이 방향(L)으로 측벽(230)의 단부에서 배치되고 측벽(230)으로부터 수직 방향(V)으로 연장되는 위치 결정 탭(positioning tab; 232)을 갖는다.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210)는 폐쇄 섹션(212)으로부터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베이스 웨지(base wedge; 242)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베이스 웨지(242)는 수용 통로(214)를 향해 경사지는 대략 삼각형 형상을 갖는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210)는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유지 암(244)을 갖는다. 유지 암(244)은 폐쇄 섹션(212) 반대편의 개방 섹션(220)의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유지 암(244) 각각은 유지 암(244)의 단부에서 유지 리세스(retention recess; 246)를 갖는다.
도 1 및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버(250)는 제1 단부(254) 및 반대편의 제2 단부(256)를 갖는 본체(main body; 252)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본체(252)의 제1 단부(254)는 힌지(280)에 부착된다. 본체(252)는 개방 포지션(O)에서 베이스(210)를 향하는 복수의 가압 표면(258) 및 가압 표면(258) 반대편의 외부 표면(266)을 갖는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개방 포지션(O)에서 베이스(210)를 향하는 본체(252)의 측면 상에서, 본체(252)는, 폭 방향(W)에서, 복수의 가압 표면(258) 및 가압 표면(258)과 교대하는 복수의 분리 표면(260)을 갖는다. 분리 표면(260)은, 도 1 및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압 표면(258)을 넘어 본체(252)로부터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분리 표면(260) 각각은 분리 표면(260) 상에 배치되고 분리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리브(rib)(262)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분리 표면(260) 각각은 세 개의 리브(262)를 가지며; 다른 실시형태에서, 분리 표면(260) 각각은 하나의 리브(262), 두 개의 리브(262), 또는 세 개보다 더 많은 리브(262)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리브(262)는 분리 표면(260)으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버(250)는 커버(250)를 통해 가압 표면(258)으로부터 외부 표면(266)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윈도우(268)를 갖는다. 윈도우(268)는 길이 방향(L) 및 수직 방향(V)에 수직인 폭 방향(W)을 따라 분리 표면(260)과 번갈아 나타난다.
도 1 및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버(250)는 본체(252)의 제2 단부(256)에서 본체(252)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래치(270)를 갖는다. 도 1에서 도시되는 실시형태는 폭 방향(W)에서 본체(252)를 따라 분포되는 다섯 개의 래치(270)를 갖는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래치(270)의 수는, 하나의 래치(270)를 비롯하여, 임의의 다른 수의 래치(270)일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버(250)는 본체(252)의 제1 단부(254)에서 배치되는 복수의 커버 웨지(272)를 갖는다. 커버 웨지(272)는 본체(252)로부터 길이 방향(L) 및 수직 방향(V)으로 연장되며,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대략 삼각형 형상을 갖는다. 커버 웨지(272)의 수가 베이스 웨지(242)의 수에 대응한다면, 커버 웨지(272)의 수는 도 1에서 도시되는 실시형태에서의 수와는 상이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버(250)의 본체(252)는 래치(270)와 윈도우(268) 사이에서 배치되는 래치 빔(274)을 갖는다. 래치 빔(274)은 커버(250)와 단일의 조각으로 단일체로 형성되지만 그러나 탄력적으로 유연하여, 본체(252)의 제1 단부(254)에 대해 래치(270)의 일부 편향을 허용한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버(250)는 본체(252)의 제2 단부(256)로부터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플랜지(276)를 가지며, 본체(252)의 제2 단부(256)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유지 페그(retention peg)(278)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유지 페그(278) 각각은 본체(252) 반대편에서 뾰족한 단부(279)를 갖는 대략 원통형 부재이다. 유지 페그(278)의 수가 유지 리세스(246)의 수에 대응한다면, 유지 페그(278)의 수는 도시된 실시형태에서의 수와는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유지 페그(278)의 형상이 보유 리세스(246)의 형상에 대응한다면, 유지 페그(278)의 외부 형상은 도시된 실시형태의 원통형 형상과는 상이할 수 있다.
커넥터 어셈블리(1)를 형성하기 위해 커넥터(10)에 연결되는 FFC(20)는 도 5에서 도시되어 있다. FFC(20)는 길이 방향(L)을 따라 제1 단부(22)로부터 제2 단부(24)까지 연장된다. FFC(20)는 절연 재료(30) 및 절연 재료(30)에 임베딩되는 복수의 편평한 도체(40)를 포함한다. 한 실시형태에서, 편평한 도체(40) 각각은 금속 포일, 예컨대, 단지 예로서 임의의 바람직한 구성으로 패턴화되는 구리 포일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편평한 도체(40) 각각은 알루미늄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 재료(30), 예컨대 폴리머 절연 재료는 접착성 재료를 통해 편평한 도체(40)의 어느 한 쪽 또는 양쪽에 도포될 수도 있거나 또는 편평한 도체(40) 바로 위로 압출될 수도 있다. 편평한 도체(40)는 본원에서 도체(40)로서 또한 지칭될 수도 있다.
절연 재료(30)는,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 측면(upper side; 31) 및 수직 방향(V)에서 상부 측면(31) 반대편의 하부 측면(lower side; 32)을 갖는다. 도체(40)는 상부 측면(31)과 하부 측면(32) 사이의 절연 재료(30)에 임베딩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FFC(20)는 절연 재료(30)의 상부 측면(31)이 제거되어 도체(40)의 한 측면을 노출시키는 제1 단부(22)에서 스트립 섹션(stripped section; 33)을 갖는다.
도 5의 실시형태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FFC(20)는 절연 재료(30)를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페그 개구(36) 및 복수의 래치 개구(34)를 갖는다. 래치 개구(34) 및 페그 개구(36)는 도체(40) 사이에서 배치되고 도체(40)를 노출시키지 않는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FFC(20)는 다섯 개의 제1 래치 개구(34) 및 네 개의 페그 개구(36)를 갖는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래치 개구(34)의 수가 래치(270)의 수에 대응하고 페그 개구(36)의 수가 유지 페그(278)의 수에 대응한다면, FFC(20)는 임의의 수의 래치 개구(34) 및 페그 개구(36)를 가질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되는 실시형태에서, FFC(20)는 스트립 섹션(33)에서 FFC(20)의 제1 단부(22) 안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키 슬롯(37)을 갖는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키 슬롯(37)의 위치 결정 및 개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다른 실시형태에서 FFC(20)의 제1 단부(22)에서 임의의 수의 키 슬롯(37)이 임의의 배열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유지 플레이트(50)가 FFC(20)에 부착된다. 유지 플레이트(50) 각각은 절연성 플라스틱 재료, 예컨대 마일라(mylar)로부터 단일의 조각으로 단일체로 형성되는 탄력적으로 유연한 부재이다. 유지 플레이트(50) 각각은 수직 방향(V)을 따라 유지 플레이트(50)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유지 개구(56) 및 복수의 래치 개구(55)를 갖는다. 유지 플레이트(50)에서의 래치 개구(55)의 수는 FFC(20)에서의 래치 개구(34)의 수에 대응하고, 유지 플레이트(50)에서의 유지 개구(56)의 수는 FFC(20)에서의 페그 개구(36)의 수에 대응한다.
도 6의 실시형태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지 플레이트(50) 중 하나는 FFC(20)의 상부 측면(31) 상에서 배치되고, 유지 플레이트(50) 중 다른 것은 FFC(20)의 하부 측면(32) 상에서 배치된다. 래치 개구(55)는 수직 방향(V)을 따라 래치 개구(34)와 정렬되고, 유지 개구(56)는 수직 방향(V)을 따라 페그 개구(36)와 정렬된다. 유지 플레이트(50)에서의 개구(55, 56)는 FFC(20)에서의 대응하는 개구(34, 36)와 동일한 사이즈일 수도 있거나 또는 그보다 더 클 수도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유지 플레이트(50)는,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접착제(58)에 의해 FFC(20)에 부착된다. 접착제(58)는 FFC(20)의 도체(40) 주위에서 절연 재료(30)의 상부 측면(31) 및 하부 측면(32)을 서로 부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타입의 접착제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접착제(58)는 사용되지 않으며, 유지 플레이트(50)는 상부 측면(31) 및 하부 측면(32) 상에서 배치되고 하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200)의 엘리먼트에 의해 유지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단지 하나의 유지 플레이트(50)만이 FFC(20)의 상부 측면(31) 또는 하부 측면(32) 중 어느 하나 상에서 배치되고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정렬되며, 다른 유지 플레이트(50)는 생략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유지 플레이트(50) 둘 모두가 생략될 수 있다.
이제, 커넥터(1)의 어셈블리가 주로 도 1, 도 4, 및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스프링 클립(100)은,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버(250)가 개방 포지션(O)에 있는 상태에서 하우징(200)에 삽입된다. 스프링 클립(100) 각각은 길이 방향(L)을 따라 도 4에서 도시되는 수용 통로(214) 중 하나에 삽입된다. 하우징(200) 안으로의 스프링 클립(100)의 삽입은 커넥터(10)를 형성한다. 커넥터(10)는 운송 및 핸들링 동안 스프링 클립(100)을 보호하기 위해 스프링 클립(100)이 하우징(200)에서 사전 로딩된 상태에서 운송될 수 있다.
스프링 클립(100)이 삽입되면, 클립 래치(184)는 길이 방향(L)을 따라 삽입 동안 하우징(200)과 접촉한다. 클립 래치(184)는, 클립 래치(184)가 연결 섹션(180)으로부터 멀어지게 그리고 스프링 래치 통로(216) 안으로 탄성적으로 편향될 때까지, 하우징(200)에 의해 편향된다. 클립 래치(184)는,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프링 래치 통로(216)에서 하우징(200)과 맞물려 스프링 래치(100)를 수용 통로(214)에서 고정시킨다.
스프링 클립(100)의 제2 빔(150)이 제1 빔(110)으로부터 멀리 있는 이완 포지션(R)에 있는 상태에서, FFC(20)는,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200)의 내부 수용 공간(240) 안으로 그리고 제1 빔(110)과 제2 빔(150) 사이의 스프링 클립(100) 안으로 삽입된다. 콘택 굴곡부(158)는, FFC(20)가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 스트립 섹션(33)에서 노출되는 도체(40)와 접한다. 한 실시형태에서, FFC(20)의 삽입은 제2 빔(150)을 제1 빔(110)으로부터 멀어지게 그리고 개방 포지션(O)에 남아 있는 커버(250)를 향해 편향시킨다. 절연 재료(30)의 하부 측면(32)은 제1 빔(110)의 콘택 표면(116)을 따라 배치된다. 키 슬롯(37)은 FFC(20)가 적절한 방위에서 커넥터(10) 안으로 삽입되는 것을 보장한다.
FFC(20)가 도 4에서 도시되는 포지션에서 삽입되고, 커버(250)가 개방 포지션(O)에 있고 제2 빔(150)이 이완 포지션(R)에 있는 상태에서, 도체(40)는 스프링 클립(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콘택 굴곡부(158)는 FFC(20)에 대해 제1 굴곡 접촉력(FB1)을 인가하여, 도체(40)를 제1 빔(110)의 콘택 표면(116)을 향해 가압한다. 스프링 래치(170)는 FFC(20)를 향해 연장되지만, 그러나 도 4에서 도시되는 포지션에서 FFC(20)와 접하지 않는다.
그 다음, 커버(250)는 도 4에서 도시되는 개방 포지션(O)으로부터 도 7 및 도 9에서 도시되는 폐쇄 포지션(C)으로 이동된다. 커버(250)는 개방 포지션(O)에서 개방 섹션(220)을 노출시키고 폐쇄 포지션(C)에서 개방 섹션(220)을 둘러싼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커버(250)는 개방 포지션(O)으로부터 폐쇄 포지션(C)으로 힌지(280)를 중심으로 선회한다.
커버(250)가, 도 4에서 도시되는 포지션으로부터 도 7 및 도 9에서 도시되는 포지션으로, 폐쇄 포지션(C)을 향해 이동하기 시작함에 따라, 커버 웨지(272)는 베이스 웨지(242)에 접하고 커버(250)가 힌지(280)를 중심으로 선회됨에 따라 베이스 웨지(242)를 따라 이동한다. 폐쇄 포지션(C)에서, 커버 웨지(272)는 연결 섹션(180)에 접할 수 있고 스프링 클립(100)이 수용 통로(214)에서 안착되어, 수용 통로(214)에서 스프링 클립(100)을 고정시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래치(270) 각각은, 커버(250)가 폐쇄 포지션(C)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FFC(20)의 래치 개구(34) 중 하나 및 유지 플레이트(50) 각각의 래치 개구(55) 중 하나를 통해 진입하고 이동하여, FFC(20)를 커넥터(10)에서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커버(250)가 도 4에서 도시되는 개방 포지션(O)으로부터 도 7 및 도 9 내지 도 11에서 도시되는 폐쇄 포지션(C)으로 이동함에 따라, 가압 표면(258)은 제2 빔(150)과 접촉하고 제2 빔(150)을 이완 포지션(R)으로부터 제1 빔(110)에 가까운 압축 포지션(P)으로 제1 빔(110)을 향해 제2 빔(150)을 편향시킨다. 한 실시형태에서, 커버(250)가 폐쇄 포지션(C)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가압 표면(158)은 제2 빔(150)의 비드(162)와 접촉한다.
제2 빔(150)이 제1 빔(110)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콘택 굴곡부(158)는 도체(40)에 대해 가압되고, 콘택 섹션(120)의 접힌 구조물(124)의 강성에 의해 저항을 받아, 스프링 래치(170)가 제1 빔(110)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편평해지기 시작한다. 콘택 굴곡부(158)는 스프링 래치(170)가 제1 빔(110)의 래치 섹션(130)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 편평해진다. 래치 암(172)의 날카로운 자유 단부(174)는 스프링 클립(100)에 배치되는 도체(40)의 대향하는 측면 상에서 FFC(20)의 절연 재료(30)를 관통하고 래치 암(172)은 절연 재료(30)를 통해 연장된다. 스프링 래치(170)가 래치 섹션(130)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래치 팁(176)은 접힌 연장부(134)의 경사진 표면(136)과 맞물리고 그들이 경사진 표면(136)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폭 방향(W)에서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탄성적으로 편향된다. 스프링 래치(170)가 도 7에서 그리고 도 8에서 도시되는 도 7의 세부 사항(400)에서 도시되는 압축 포지션(P)에 도달하는 경우, 래치 팁(176)은 탄성적으로 복귀하여 래치 섹션(130)의 접힌 연장부(134)와 맞물려 제2 빔(150)을 압축 포지션(P)에서 고정시킨다.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래치 높이(132)는 래치 암(172)이 접힌 연장부(134)를 넘어 수직 방향(V)으로 이동하고 저부 벽(222)과 접촉하지 않으면서 제1 빔(110)과 맞물리기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한다.
한 실시형태에서, 도 3에서 도시되는 콘택 굴곡부(158)의 곡률 반경(159)은, 콘택 굴곡부(158)가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빔(150)의 압축 포지션(P)에서 편평하게 될 때, 제2 빔(150)의 내부 표면(157)이 구부러지지 않고 도체(40)와 최대 콘택 면적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제2 빔(150)은 곡률 반경(159)에 기인하여 압축 포지션(P)에서 도체(40)에 대해 편평하게 될 때 탄성 상태를 유지하여, 편평화 조건을 영구적으로 설정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8 및 도 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빔(150)의 압축 포지션(P) 및 커버(250)의 폐쇄 포지션(C)에서, 콘택 굴곡부(158)는 도체(40)에 대해 그리고 제1 빔(110)을 향해 제2 굴곡 접촉력(FB2)을 인가한다. 접힌 구조물(124)에 의해 제공되는 강성 및 콘택 굴곡부(158)의 만곡(flexure)은 이완 포지션(R)에서 제1 굴곡 접촉력(FB1)보다 더 높은 제2 굴곡 접촉력(FB2)을 초래한다. 한 실시형태에서, 콘택 굴곡부(158)의 굴곡 엠보싱부(160)는 제2 굴곡 접촉력(FB2)을 추가로 증가시킨다.
압축 포지션(P)에서 증가된 제2 굴곡 접촉력(FB2)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견고하고 진동에 더 잘 견디는 콘택 스프링 클립(100)과의 도체(40)의 더 나은 접촉을 초래한다. 제1 빔(110)과의 스프링 래치(170)의 맞물림에 의한 압축 포지션(P)에서의 제2 빔(150)의 고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접촉력을 유지하기 위해 하우징(200)의 플라스틱 컴포넌트에 의존하지 않고도, 스프링 클립(100) 그 자체의 엘리먼트를 통해 제2 굴곡 접촉력(FB2)을 유지한다. 게다가, 도체(40)와 스프링 클립(10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FFC(20)에 단자를 압착할 필요 없이 형성되고 유지된다.
한 실시형태에서, 가압 표면(258)은, 래치 빔(274)의 탄성 만곡에 기인하여 래치(270)가 걸쇠(228)와 완전히 맞물리기 이전에 제2 빔(150)을 압축 포지션(P)으로 이동시킨다. 커버(250)가 도 9에서 도시되는 폐쇄 포지션(C)으로 이동함에 따라, 래치(270)는, 래치 빔(274)의 탄성 복원 하에서, 걸쇠(228)와 맞물려 베이스(210)에 대해 커버(250)를 고정시킨다.
유지 페그(278) 각각은, 도 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FFC(20)의 페그 개구(36) 중 하나 및 유지 플레이트(50)의 유지 개구(56) 중 하나를 통해 이동하고 폐쇄 포지션(C)에서 유지 암(244) 중 하나의 유지 암의 유지 리세스(246)에서 배치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FFC(20)는 페그 개구(36)를 갖지 않으며, 커버(250)가 폐쇄 포지션(C)으로 이동함에 따라 유지 페그(278)의 뾰족한 단부(279)는 도체(40) 사이의 절연 재료(30)를 관통한다. 유지 페그(278)는 FFC(20)를 유지하고, 한편, 유지 리세스(246)에서의 페그(278)의 배치는 커버(250)가 폐쇄 포지션(C)에 도달하였다는 시각적 확인을 허용한다.
추가적으로, 폐쇄 포지션(C)에서, 플랜지(276) 각각은,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L)을 따라 위치 결정 탭(232) 중 하나와 접한다. 위치 결정 탭(232)과의 플랜지(276)의 접합(abutment)은 길이 방향(L)을 따른 폐쇄 포지션(C) 밖으로의 커버(250)의 이동을 추가적으로 제한한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폐쇄 포지션(C)으로부터의 커버(250)의 이동에 대한 제약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프링 클립(100)을 FFC(20)의 도체(40)와 전기적으로 접촉한 상태로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상기에서 설명되는 폐쇄 포지션(C)에서 하우징(200)의 컴포넌트의 래칭 및 유지는 FFC(20)를 기계적으로 유지하고 스프링 클립(100)의 압축 포지션(P)을 지지한다.
폐쇄 포지션(C)에서, 도 9 및 도 1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분리 표면(260)은 스트립 섹션(33)의 FFC(20)의 절연 재료(30)와 접한다. 분리 표면(260) 각각은 도체(40) 중 두 개의 도체 사이의 절연 재료(30)와 접한다. 분리 표면(260)의 리브(262)는 하우징(200)의 저부 벽(222)에 대해 수직 방향(V)에서 절연 재료(30)를 가압한다. 절연 재료(30)와의 분리 표면(260)의 접합은 도 9 내지 도 11에서 도시되는 복수의 윈도우(268)를 서로 격리시킨다.
도 8, 도 10, 및 도 1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폐쇄 포지션(C)에서, 윈도우(268) 각각은 FFC(20)의 하나의 도체(40)가 하나의 스프링 클립(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수직 방향(V)으로 정렬되고, 도체(40)는, 제2 빔(150)이 압축 포지션(P)에 있는 상태에서, 스프링 클립(100)의 제1 빔(110)과 제2 빔(150) 사이에서 유지된다. 윈도우(268) 각각은 제2 빔(150)의 콘택 굴곡부(158)를 커넥터(10) 외부의 그리고 커넥터 어셈블리(1) 외부의 영역에 노출시킨다.
한 실시형태에서, 제2 빔(150) 각각은, 예를 들면, 레이저 용접에 의해, 윈도우(268) 중 대응하는 윈도우를 통해 도체(40) 중 하나에 용접된다. 용접은,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윈도우(268)를 통해 제2 빔(150)과 도체(40) 사이에서 전도성 용접 접합부(42)를 형성한다. 전도성 용접 접합부(42)는 제2 빔(150)과 도체(4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고, 동시에, 스프링 클립(100) 및 FFC(20)의 연결을 기계적으로 더 고정한다.
도 8 및 도 10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윈도우(268) 및 압축 포지션(P)에서 제2 빔(150)의 평탄화는 길이 방향(L)을 따라 도체(40)에 제2 빔(150)을 용접하기 위한 길고 편평한 영역을 제공한다. 분리 표면(160)은, 도 11에서 도시되고 상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윈도우(268)에 대한 용접 동안 발생할 수도 있는 임의의 스플래터를 포함하는 스프링 클립(100)을 서로 격리하여, 인접한 스프링 클립(100)과 도체(40) 사이에서 의도되지 않은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의해 하나의 회로를 다른 회로로부터 격리한다. 압축 포지션(P)에서 도체(40)와 제2 빔(150) 사이에서 인가되는 제2 굴곡 접촉력(FB2)은 용접 갭을 제거하여, 스프링 클립(100)과 FFC(20) 사이의 연결의 장기간의 안정성을 더욱 증가시킨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용접은 윈도우(268)를 통해 수행되지 않으며 제2 빔(150)과 도체(40) 사이에서 어떠한 전도성 용접 접합부(42)도 형성되지 않는다. 이 실시형태에서, 제2 굴곡 접촉력(FB2)은 제2 빔(150)과 도체(40) 사이의 전기적 연결 및 스프링 클립(100)과 FFC(20) 사이의 기계적 연결 둘 모두를 유지하기에 충분하다.
한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면 도 10에서 도시되는 커버(250)의 폐쇄 포지션(C)에서, 플라스틱 용접이 수행되어 플라스틱 용접 접합부(plastic weld joint; 39)에 의해 FFC(20)의 절연 재료(30)를 하우징(200)에 연결하고, FFC(20)를 하우징(200)에 기계적으로 추가로 연결한다. 한 실시형태에서, 플라스틱 용접 접합부(39)는 도 10에서 나타내어지는 영역에서 절연 재료(30)와 하우징(200)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길이 방향(L)을 따라 윈도우(268)에 인접한 하우징(200)의 개구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플라스틱 용접 접합부(39)는 절연 재료(30)가 하우징(200)과 접하는 커넥터 어셈블리(1)의 임의의 영역에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스프링 클립(100)이 도 12에서 도시되어 있다. 유사한 참조 번호는 도 2에서 도시되는 스프링 클립(100)과 비교하여 유사한 엘리먼트를 가리키며, 주로 도 12에서 도시되는 실시형태의 차이가 본원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2에서 도시되는 실시형태의 스프링 클립(100)은 제1 빔(110)의 구조물에서만 상이하다. 콘택 섹션(120)에서, 베이스 빔(122) 및 접힌 구조물(124) 대신, 제1 빔(110)은 저부 표면(118) 및 수직 방향(V)에서 저부 표면(118) 반대편의 측면 상의 콘택 표면(116)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제1 빔(110)은 콘택 섹션(120)에서 콘택 엠보싱부(126)를 갖는다.
도 1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빔(110)은 길이 방향(L)을 따라 콘택 섹션(120)과 래치 섹션(130) 사이의 전이부에서 램프(128)를 갖는다. 램프(128)는 제1 빔(110)의 저부 표면(118)을 래치 섹션(130)의 래치 높이(132)까지 상승시켜, 래치 섹션(130)을 수직 방향(V)에서 콘택 섹션(120) 위에 배치한다. 래치 섹션(130)의 래치 높이(132)에서 제1 빔(110)을 지지하기 위해, 제1 빔(110)은 제1 빔(110)과 단일체로 형성되고 폭 방향(W)에서 제1 빔(110)의 대향하는 측면으로부터 굴곡되는 한 쌍의 지지 레그(support leg)(138)를 갖는다. 지지 레그(138)는 수직 방향(V)에서 제1 빔(110)으로부터 래치 높이(132)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도 1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빔(110)은 길이 방향(L)을 따라 지지 레그(138)에 인접한 래치 섹션(130)에서 경사진 표면(136)을 갖는다.
도 1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빔(110)은 래치 섹션(130)으로부터 다시 하방으로 굴곡되어 단부 섹션(140)을 형성하는데, 단부 섹션(140)에서의 저부 표면(118)은 콘택 섹션(120)에서의 저부 표면(118)과 동일 평면에 있다.
커넥터 어셈블리(1) 및 커넥터(10)의 도 12에서 도시되는 실시형태에서의 스프링 클립(100)의 기능은 도 2에서 도시되고 상기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서의 스프링 클립(100)에 대한 것과 동일하다. 제2 빔(150)은 제1 빔(110)을 향해 편향되고, 스프링 래치(170)는 래치 섹션(130)과 래치된다. 도 12에서 도시되는 실시형태에서, 콘택 엠보싱부(126)는 제2 빔(150)의 압축 포지션(P)에서 제2 굴곡 접촉력(FB2)의 증가에 기여하고, 한편 램프(128)는 제2 빔(150)이 압축 포지션(P)으로 이동함에 따라 그것의 과도한 편향을 방지하는 것에 의해 과도한 응력 보호를 제공한다.
Claims (15)
- 스프링 클립(100)으로서,
제1 빔(110); 및
상기 제1 빔(110)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빔(110)으로부터 멀리 있는 이완 포지션(R)로부터 상기 제1 빔(110)에 가까운 압축 포지션(P)으로 상기 제1 빔(110)을 향해 탄성적으로 편향 가능한 제2 빔(150) 빔(110) - 상기 제2 빔(150)은 상기 제2 빔(150)의 단부(154)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빔(110)을 향해 연장되는 스프링 래치(170)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 래치(170)는 상기 압축 포지션(P)에서 상기 제1 빔(110)과 맞물림 - 을 포함하는, 스프링 클립(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110)은 콘택 섹션(120) 및 길이 방향(L)을 따라 상기 콘택 섹션(120)으로부터 연장되는 래치 섹션(130)을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 래치(170)는 상기 래치 섹션(130)에서 상기 제1 빔(110)과 맞물리는, 스프링 클립(100).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 섹션(120)은 베이스 빔(122) 및 상기 베이스 빔(122)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 빔(122) 위로 접혀지는 접힌 구조물(124)을 구비하고, 상기 접힌 구조물(124)은 상기 콘택 섹션(120)에서 상기 제2 빔(150)을 향하는 콘택 표면(116)을 형성하는, 스프링 클립(100).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섹션(130)은 상기 길이 방향(L)에 수직인 수직 방향(V)에서 상기 콘택 섹션(120) 위에 배치되고, 상기 래치 섹션(130)은 상기 수직 방향(V)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 레그(138)를 구비하는, 스프링 클립(100).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빔(150)은 제1 빔(110)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콘택 섹션(120)과 정렬되는 콘택 굴곡부(contact bend; 158)를 가지며, 상기 제1 빔(110)과 맞물리는 상기 스프링 래치(170)는 상기 압축 포지션(P)에서 상기 콘택 섹션(120)을 향하는 상기 콘택 굴곡부(158)의 접촉력(FB1, FB2)을 유지하는, 스프링 클립(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래치(170)는 상기 제2 빔(150)의 대향하는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래치 암(172)을 구비하고, 상기 래치 암(172) 각각은 상기 래치 암(172)의 반대편 래치 암을 향해 기울어지는 래치 팁(176)을 갖는, 스프링 클립(100).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암(172) 각각의 상기 래치 팁(176)은 상기 압축 포지션(P)에서 상기 제1 빔(110)과 맞물리도록 탄성적으로 편향되는, 스프링 클립(100).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암(172) 각각은 상기 제2 빔(150) 반대편에서 날카로운 자유 단부(174)를 갖는, 스프링 클립(100). - 편평한 가요성 케이블(20)용 커넥터(10)로서,
베이스(210) 및 커버(250)를 갖는 하우징(200) - 상기 베이스(210)는 수용 통로(214)를 갖는 폐쇄 섹션(212) 및 상기 폐쇄 섹션(212)으로부터 연장되는 개방 섹션(220)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250)는 상기 개방 섹션(220)을 노출시키는 개방 포지션(O)과 상기 개방 섹션(220)을 둘러싸는 폐쇄 포지션(C)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210)에 대해 이동 가능하며, 상기 커버(250)는 가압 표면(258)을 갖는 본체(252)를 구비함 - ; 및
상기 수용 통로(214)에 배치되는 스프링 클립(100) - 상기 스프링 클립(100)은 제1 빔(110) 및 상기 제1 빔(110)에 연결되는 제2 빔(150)을 구비하고, 상기 가압 표면(258)은 상기 커버(250)가 상기 개방 포지션(O)으로부터 상기 폐쇄 포지션(C)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 빔(150)과 접촉하고 상기 제2 빔(150)을 상기 제1 빔(110)을 향해 압축 포지션(P)로 편향시키고, 상기 제2 빔(150)은 상기 제1 빔(110)을 향해 연장되는 스프링 래치(170)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 래치(170)는 상기 압축 포지션(P)에서 상기 제1 빔(110)과 맞물림 - 을 포함하는, 편평한 가요성 케이블(20)용 커넥터(10). - 커넥터 어셈블리(1)로서,
절연 재료(30) 및 상기 절연 재료(30)에 임베딩되는 도체(40)를 구비하는 편평한 가요성 케이블(20) - 상기 도체(40)는 상기 절연 재료(30)의 일부를 통해 노출됨 - ; 및
하우징(200) 및 상기 하우징(200)에 배치되는 스프링 클립(100)을 포함하는 커넥터(10) - 상기 스프링 클립(100)은 제1 빔(110) 및 상기 제1 빔(110)이 연결되는 제2 빔(150)을 구비하고, 상기 편평한 가요성 케이블(20)은 상기 제1 빔(110)과 상기 제2 빔(150) 사이에서 배치되고, 상기 제2 빔(150)은 상기 도체(40)가 상기 스프링 클립(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압축 포지션(P)으로 상기 제1 빔(110)을 향해 탄성적으로 편향 가능하고, 상기 제2 빔(150)은 상기 압축 포지션(P)에서 상기 제1 빔(110)과 맞물리는 스프링 래치(170)를 구비함 - 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1).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래치(170)는 상기 압축 포지션(P)에서 상기 절연 재료(30)를 통해 연장되는 래치 암(172)을 구비하는, 커넥터 어셈블리(1).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0)은 베이스(210) 및 커버(250)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250)는 상기 베이스의 개방 섹션(220)을 노출시키는 개방 포지션(O)과 상기 개방 섹션(220)을 둘러싸는 폐쇄 포지션(C)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210)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커버(250)는 상기 커버(250)가 상기 개방 포지션(O)으로부터 상기 폐쇄 포지션(C)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 빔(150)과 접촉하며 상기 제2 빔(150)을 상기 압축 포지션(P)으로 이동시키는 가압 표면(258)을 구비하는, 커넥터 어셈블리(1).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50)는 상기 가압 표면(258)으로부터 상기 가압 표면(258) 반대편의 상기 커버(250)의 외부 표면(266)까지 상기 커버(250)를 통해 연장되는 윈도우(268)을 구비하고, 상기 윈도우(268)을 통해 상기 제2 빔(150)과 상기 도체(40) 사이에서 전도성 용접 접합부(conductive weld joint; 42)가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1).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50)는 상기 가압 표면(258)에 인접한 분리 표면(260)을 구비하고, 상기 분리 표면(260)은 상기 폐쇄 포지션(C)에서 상기 편평한 가요성 케이블(20)의 상기 절연 재료(30)에 접하는, 커넥터 어셈블리(1).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빔(150)은 상기 압축 포지션(P)에서 상기 도체(40)에 대해 편평하게 되고 탄성 상태에서 유지되는, 커넥터 어셈블리(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2163235354P | 2021-08-20 | 2021-08-20 | |
US63/235,354 | 2021-08-20 | ||
US17/880,296 | 2022-08-03 | ||
US17/880,296 US20230056567A1 (en) | 2021-08-20 | 2022-08-03 | Spring Clip and Connector For a Flat Flexible Cable |
PCT/IB2022/057837 WO2023021491A1 (en) | 2021-08-20 | 2022-08-22 | Spring clip and connector for flat flexible cab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42141A true KR20240042141A (ko) | 2024-04-01 |
Family
ID=83228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7008891A KR20240042141A (ko) | 2021-08-20 | 2022-08-22 | 편평한 가요성 케이블용 스프링 클립 및 커넥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42141A (ko) |
DE (1) | DE112022004058T5 (ko) |
WO (1) | WO2023021491A1 (ko)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19209Y2 (ja) * | 1991-10-22 | 1996-12-04 | 矢崎総業株式会社 | フラット回路体の端子接続構造 |
JP3311641B2 (ja) * | 1997-05-30 | 2002-08-05 | 矢崎総業株式会社 | 端子及び端子と電線との接続構造 |
JP2001126796A (ja) * | 1999-10-22 | 2001-05-11 | Sumitomo Wiring Syst Ltd | 平形導体用端子金具 |
-
2022
- 2022-08-22 KR KR1020247008891A patent/KR20240042141A/ko unknown
- 2022-08-22 DE DE112022004058.0T patent/DE112022004058T5/de active Pending
- 2022-08-22 WO PCT/IB2022/057837 patent/WO202302149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3021491A1 (en) | 2023-02-23 |
DE112022004058T5 (de) | 2024-08-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557858B2 (en) | Spring clip and connector for a flat flexible cable | |
JP2017054808A (ja) | ブレードコネクタを有するコネクタアセンブリ | |
JPH11162556A (ja) | ケーブルコネクタ | |
JP2002198112A (ja) | 電気コネクタ | |
US6000951A (en) | Electrical ribbon wire connectors | |
US11843193B2 (en)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
US11527845B2 (en) | Spring clip and connector for a flat flexible cable | |
JP7339018B2 (ja) | 圧接端子、端子付き電線、及び、コネクタ | |
US8475193B2 (en) | Electrical cable connector and electrical cable connector assembled member | |
US11855374B2 (en) | Housing and connector for a flat flexible cable | |
US11909137B2 (en) | Spring clip header for flat flexible cable | |
KR20240042141A (ko) | 편평한 가요성 케이블용 스프링 클립 및 커넥터 | |
US20230056567A1 (en) | Spring Clip and Connector For a Flat Flexible Cable | |
US12113309B2 (en) | Connector for a flat flexible cable | |
EP3952029A2 (en) | Housing for a connector of a connector system | |
US20230056542A1 (en) | Connector For A Flat Flexible Cable | |
CN117981178A (zh) | 用于扁平柔性电缆的弹簧夹和连接器 | |
US20230299519A1 (en) | Cable Housing and Connector For A Flat Flexible Cable | |
WO2023021490A1 (en) | Connector for a flat flexible cable | |
WO1998049751A1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resilient insulation piercing terminals | |
US11296446B2 (en) | Connector for a flat flexible cable | |
CN115189180A (zh) | 电连接器组件 | |
JP2020074341A (ja) | 分岐コネクタ | |
JP2016018716A (ja) | 電線保持構造 | |
CN117335176A (zh) | 直接线接触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