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2026A -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방법, 장치, 기기 및 판독 가능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방법, 장치, 기기 및 판독 가능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2026A
KR20240042026A KR1020247007397A KR20247007397A KR20240042026A KR 20240042026 A KR20240042026 A KR 20240042026A KR 1020247007397 A KR1020247007397 A KR 1020247007397A KR 20247007397 A KR20247007397 A KR 20247007397A KR 20240042026 A KR20240042026 A KR 20240042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target relay
switching
target
serving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7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씽 이양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42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202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1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neighbour cel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7Determination of triggering parameters for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3Reselecting a link using a direct mode connection
    • H04W36/033Reselecting a link using a direct mode connection in pre-organis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 적용되는 중계 UE 전환 방법, 장치, 통신 기기 및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중계 UE 전환 방법은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원격 UE가 하나의 타겟 중계 UE로 전환할 필요가 있음을 인지한 경우, 원격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즉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을 전환을 수행할 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파라미터로 사용하여, 중계 UE의 서빙 셀의 변경으로 인한 원격 UE의 전환 실패를 방지하고, 무선 통신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방법, 장치, 기기 및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본 개시는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계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전환 방법, 장치, 통신 기기 및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에서, 사용자 기기 사이의 직접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사이드링크(SideLink) 통신 방식을 도입하였다. 사이드링크는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의 세가지 전송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두개의 UE가 직접 통신을 진행하는 경우, 하나의 UE는 기지국과 직접 연결하지 않고, 다른 하나의 UE를 중계로 사용하여 기지국과의 링크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두 개의 UE에서, 중계 기능을 제공하는 UE는 중계 UE(relayUE)이고, 중계 UE를 통해 기지국과 연결되는 UE는 원격 UE(remote UE)이다. 중계 UE와 원격 UE 사이에는 사이드링크를 통해 통신을 진행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는 중계 UE 전환 방법, 장치, 통신 기기 및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원격 사용자 기기(UE)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방법은,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전환 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전환 조건에 부합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방법은,
전환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트리거 조건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원격 사용자 기기(UE)가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전환 명령이 수신된 것; 및
상기 원격 사용자 기기(UE)와 상기 타겟 중계 UE 사이의 사이드링크의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기설정 조건을 충족한다고 결정된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원격 UE와 상기 타겟 중계 UE 사이의 사이드링크의 파라미터는, 상기 원격 UE와 상기 타겟 중계 UE 사이의 사이드링크의 채널 품질을 포함하고;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기설정 조건은,
상기 원격 UE와 상기 타겟 중계 UE 사이의 사이드링크의 채널 품질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전환 조건에 부합된다는 것은,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과 상기 원격 UE의 서빙 셀이 동일한 것;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과 상기 원격 UE가 이미 기지국에 보고한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동일한 것; 및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셀 리스트에 속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타겟 중계 UE에 대응하는 상기 셀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원격 UE에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타겟 중계 UE에 대해 무선 자원 제어 링크의 재구축을 시작하는 단계;
무선 자원 제어 링크의 재구축 요청을 트리거하는 단계;
상기 타겟 중계 UE에 대응하는 전환 명령을 삭제하는 단계;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기설정 조건을 삭제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중계 UE에 대응하는 전환 명령과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기설정 조건을 삭제하는 단계 중 하나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원격 UE에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타겟 중계 UE 이외의 다른 중계 UE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전환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방법은,
원격 사용자 기기(UE)로부터 송신된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는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을 기반으로 원격 UE에 의해 결정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는 원격 UE가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전환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때에 결정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원격 UE로 셀 리스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셀 리스트는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셀 리스트에 속할 때, 상기 원격 UE가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전환 조건에 부합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타겟 중계 UE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원격 UE에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전환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장치는 원격 사용자 기기(UE)에 적용되며, 상기 장치는,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판단 모듈은,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전환 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판단 유닛; 및
전환 조건에 부합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전환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트리거 조건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원격 사용자 기기(UE)가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전환 명령이 수신된 것; 및
상기 원격 사용자 기기(UE)와 상기 타겟 중계 UE 사이의 사이드링크의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기설정 조건을 충족한다고 결정된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원격 UE와 상기 타겟 중계 UE 사이의 사이드링크의 파라미터는, 상기 원격 UE와 상기 타겟 중계 UE 사이의 사이드링크의 채널 품질을 포함하고;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기설정 조건은,
상기 원격 UE와 상기 타겟 중계 UE 사이의 사이드링크의 채널 품질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전환 조건에 부합된다는 것은,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과 상기 원격 UE의 서빙 셀이 동일한 것;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과 상기 원격 UE가 이미 기지국에 보고한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동일한 것; 및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셀 리스트에 속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타겟 중계 UE에 대응하는 상기 셀 리스트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장치는, 송신 모듈 및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것; 및
상기 타겟 중계 UE에 대해 무선 자원 제어 링크의 재구축을 시작하는 것; 중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처리 모듈은,
무선 자원 제어 링크의 재구축 요청을 트리거하는 것;
상기 타겟 중계 UE에 대응하는 전환 명령을 삭제하는 것;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기설정 조건을 삭제하는 것; 및
상기 타겟 중계 UE에 대응하는 전환 명령과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기설정 조건을 삭제하는 것; 중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타겟 중계 UE 이외의 다른 중계 UE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전환 명령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4 양태에 따르면,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장치는 기지국에 적용되며, 상기 장치는,
원격 사용자 기기(UE)로부터 송신된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는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을 기반으로 원격 UE에 의해 결정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는 원격 UE가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전환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때에 결정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원격 사용자 기기(UE)로 셀 리스트를 송신하는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셀 리스트는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셀 리스트에 속할 때, 상기 원격 UE가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전환 조건에 부합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타겟 중계 UE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원격 UE에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전환 명령을 송신하는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5 양태에 따르면, 통신 기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통신 기기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의 실행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6 양태에 따르면, 통신 기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통신 기기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의 실행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7 양태에 따르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저장 매체에는 실행 가능한 명령이 저장되며, 여기서, 상기 실행 가능한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중계 UE 전환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8 양태에 따르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저장 매체에는 실행 가능한 명령이 저장되며, 여기서, 상기 실행 가능한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중계 UE 전환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방안은 다음과 같은 기술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 UE가 하나의 타겟 중계 UE로 전환할 필요가 있음을 인지한 경우, 원격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즉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을 전환을 수행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 파라미터로 사용하여, 중계 UE의 서빙 셀의 변경으로 인한 원격 UE의 전환 실패를 방지하고, 무선 통신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위의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할 세부적인 설명은 예시적이고 해석적일 뿐, 본 개시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여기서 설명된 도면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한 추가 이해를 제공하고 본 출원의 일부를 구성하는데 사용되며, 본 개시의 실시예의 예시적 실시예 및 설명은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며, 본 개시의 실시예의 부적절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기서 도면은 명세서에 통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로 구성되며, 본 개시의 실시예에 부합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며, 명세서와 함께 본 개시의 실시예의 원리를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도 1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중계 UE 전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중계 UE 전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중계 UE 전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중계 UE 전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중계 UE 전환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7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중계 UE 전환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8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중계 UE 전환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9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중계 UE 전환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면과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결합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해 추가로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고 설명하고, 그 예시는 도면에 되시되어 있다. 다음의 설명이 도면에 관한 경우,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상이한 도면에서 동일한 숫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다음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실시형태는 본 개시의 실시예와 일치하는 모든 실시형태를 대표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이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상세하게 설명된 본 개시의 일부 양태와 일치한 장치 및 방법의 예일 뿐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개시의 실시예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문맥상 다른 의미를 명확하게 나타내지 않는 한, 본 개시의 실시예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수 형태의 "하나" 및 "상기"는 복수 형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및/또는"은 나열된 항목의 하나 또는 복수의 연관되게 나열된 항목의 임의의 또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제3" 등 용어를 사용하여 여러가지 정보를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정보는 이러한 용어로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용어는 동일한 유형의 정보를 서로 구별하는 것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실시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제1 정보는 제2 정보라고 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정보도 제1 정보라고 할 수 있다. 언어 환경에 따라 여기서 사용된 단어 "만약"은 "...할 경우" 또는 "...할 때" 또는 "결정에 응답하여,"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셀룰러 이동통신 기술에 기반한 통신 시스템으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여러 개의 사용자 기기(110) 및 여러 개의 기지국(1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기기(110)는 사용자에게 음성 및/또는 데이터 연결을 제공하는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110)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를 통해 하나 또는 복수의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기기(110)는 예를 들면 센서 기기, 휴대폰(또는 "셀룰러" 전화기) 및 사물 인터넷 사용자 기기를 구비한 컴퓨터(예를 들면, 고정형, 휴대형, 포켓형, 핸드홀드형, 컴퓨터 내장형 또는 차량용 장치)와 같은 사물 인터넷 사용자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테이션(station, STA),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station), 이동 스테이션(mobile station), 이동국(mobile), 원격 스테이션(remote station), 액세스 포인트, 원격 사용자 기기(remote terminal), 액세스 사용자 기기(access terminal), 사용자 장치(userterminal),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 사용자 기기(user device) 또는 사용자 기기(userequipment)일 수 있다. 또는, 사용자 기기(110)는 무인 항공기의 기기일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 기기(110)는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트립 컴퓨터 또는 외부 트립 컴퓨터에 연결된 무선 사용자 기기와 같은 차량용 기기일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 기기(110)는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가로등, 신호등 또는 다른 도로변 기기 등과 같은 도로변 기기일 수도 있다.
기지국(120)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측 기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이라고도 불리는 4세대 이동 통신 기술(the 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4G) 시스템일 수 있고; 또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뉴 라디오 시스템 또는 5G NR 시스템이라고도 불리는 5G 시스템일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5G 시스템의 차세대 시스템일 수도 있다. 여기서, 5G 시스템의 접속망은 차세대 무선 접속망(New Generation-Radio Access Network, NG-RAN)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120)은 4G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진화형 기지국(eNB)일 수 있다. 또는, 기지국(120)은 5G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중앙 분산형 구조의 기지국(gNB)일 수도 있다. 기지국(120)이 중앙 분산형 구조일 경우, 일반적으로 중앙 유닛(central unit, CU) 및 적어도 두 개의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 DU)을 포함한다. 중앙 유닛에는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층, RLC (Radio Link Control)층, MAC(Medium Access Control)층의 프로토콜 스택이 설치되어 있고; 분산 유닛에는 물리(Physical, PHY)층 프로토콜 스택이 설치되어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기지국(120)의 구체적인 구현형태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기지국(120)과 사용자 기기(110) 사이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는 4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 기술(4G)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이거나; 또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는 뉴 라디오와 같은 5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 기술(5G)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이거나; 또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는 5G의 차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 기술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기기(110) 간에 E2E(End to End, 엔드 투 엔드) 연결을 구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차량 대 사물 통신(vehicle to everything, V2X)의 차량 대 차량(vehicle to vehicle, V2V) 통신, 차량 대 도로변 기기(vehicle to Infrastructure, V2I) 통신 및 차량 대 사람(vehicle topedestrian, V2P) 통신 등 시나리오이다.
여기서, 상술한 사용자 기기는 다음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로 간주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또한 네트워크 관리 기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러 기지국(120)은 각각 네트워크 관리 기기(130)와 연결된다. 여기서, 네트워크 관리 기기(130)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핵심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네트워크 관리 기기(130)는 진화된 패킷 핵심망(Evolved Packet Core, EPC)의 이동성 관리 장비(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네트워크 관리 기기는 서비스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 퍼블릭 데이터 게이트웨이(Public Data Network GateWay, PGW),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 또는 홈 가입자 서버(HomeSubscriber Server, HSS) 등과 같은 다른 핵심 네트워크 기기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관리 기기(130)의 구현 형태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원격 UE가 기지국 간 이동 과정에서 중계 UE 전환을 진행하게 되면, 서비스의 불연속을 초래하므로 원격 UE는 기지국 간 이동 과정에서 전환 조작을 진행할 수 없다. 기지국은 원격 UE가 보고한 측정 보고서에 따라 적합한 중계 UE를 선택하고, 원격 UE로 전송하는 전환 명령에 선택된 중계 UE의 식별자를 적재시킨다. 그러나, 원격 UE가 측정 보고서를 전송한 후, 중계 UE는 서빙 셀을 변경할 수 있고, 원격 UE가 전환 명령을 수신한 후, 중계 UE의 서빙 셀이 변경되면(예를 들면, 원격 UE가 속한 기지국을 제외한 다른 기지국 하의 셀로 변경), 전환 실패될 수 있다.
중계 UE의 서빙 셀의 변경으로 인한 원격 UE 전환 실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예는 원격 UE에 의해 수행되는 중계 UE 전환 방법을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중계 UE 전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 UE 전환 방법은,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에 기반하여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1)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원격 UE와 중계 UE는 모두 다양한 유형의 사용자 기기일 있다. 예를 들면, 원격 UE와 중계 UE는 모두 휴대폰, 스마트 단말기, 컴퓨터, 서버, 송수신 기기, 태블릿 장치 또는 의료 기기 등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게임 콘솔, 멀티미디어 기기 또는 웨어러블 기기 등일 수 있다. 여기의 원격 UE와 중계 UE는 SL 연결을 통해 통신을 진행하는 것만 만족하면 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 UE는 중계 기능을 제공하는 UE이고, 원격 UE는 중계 UE를 통해 기지국과 연결되는 UE이다.
여기서 기지국은 UE가 인터넷에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기기이고; 기지국은 예를 들면 3G기지국, 4G기지국, 5G기지국 또는 다른 진화형 기지국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기지국일 수 있으며; 상기 기지국은 지상망 기지국 또는 비지상망 기지국의 기지국일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단계(S21) 전에 원격 UE가 중계 UE로부터 디스커버리 신호를 수신하고, 디스커버리 신호로부터 중계 UE의 서빙 셀의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중계 UE와 원격 UE는 서로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하고, 디스커버리 신호를 통해 서로를 발견한다. 중계 UE가 송신한 디스커버리 신호는 중계 UE의 서빙 셀의 식별자를 적재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원격 UE가 하나의 타겟 중계 UE로 전환할 필요가 있음을 알게 된 경우, 단계(S21)를 수행한다.
원격 UE가 하나의 타겟 중계 UE로 전환할 필요가 있음을 인지하는 방식은 다음의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방식 1,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원격 UE가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전환 명령이 수신된 것; 및
방식 2, 원격 UE가 전환 조건을 충족하는 것을 검출한다.
여기서, 방식 2는 기지국이 원격 UE를 위한 자동 전환 메커니즘을 구성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즉, 기지국은 원격 UE에게 자동 전환 메커니즘을 구성하고, 즉 기지국은 전환 조건과 타겟 중계 UE에 대응하는 전환 명령을 원격 UE로 송신하고, 원격 UE는 실시간으로 전환 조건을 충족하는 여부를 검출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원격 UE에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전환 명령을 수신하고, 단계(S21)를 수행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원격 UE는 전환 조건을 충족하는 것을 검출하면, 단계(S21)를 수행한다.
여기서, 단계(S21)는 원격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에 기반하여 타겟 중계 UE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을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는, 단계(S21)는 원격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지 않는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을 개시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원격 UE가 하나의 타겟 중계 UE로 전환할 필요가 있음을 인지한 경우, 원격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에 기반하여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즉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을 전환을 수행할 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파라미터로 사용하여, 중계 UE의 서빙 셀의 변경으로 인한 원격 UE의 전환 실패를 방지하고, 무선 통신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원격 UE에 의해 수행되는 중계 UE 전환 방법을 제공한다. 도 3를 참조하면, 도 3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중계 UE 전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 UE 전환 방법은,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전환 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1); 및
전환 조건에 부합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S32)를 포함한다.
또는, 전환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는다.
또는, 전환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로의 전환을 금지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단계(S31)에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트리거 조건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1.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원격 UE에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전환 명령이 수신된 것;
일 예시에서, 전환 명령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재구성 메시지이고, 이러한 재구성 메시지는 원격 UE에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2. 원격 UE와 상기 타겟 중계 UE 사이의 사이드링크의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로의 전환을 만족하는 기설정 조건을 결정하는 것; 여기서, 상기 기설정 조건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다.
일 예시에서,
상기 원격 UE와 상기 타겟 중계 UE 사이의 사이드링크의 파라미터는, 상기 원격 UE와 상기 타겟 중계 UE 사이의 사이드링크의 채널 품질을 포함한다.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기설정 조건은, 상기 원격 UE와 상기 타겟 중계 UE 사이의 사이드링크의 채널 품질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단계(S31)에서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은 전환 조건에 부합되고, 여기서 전환 조건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1.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과 원격 UE의 서빙 셀이 동일하다.
2.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과 상기 원격 UE가 이미 기지국에 보고한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동일하다.
일 예시에서, 원격 UE에는 기지국에 보고된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저장된다.
3.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은 셀 리스트에 속한다.
일 예시에서, 단계(S31) 전에,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셀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셀 리스트는 상기 타겟 중계 UE에 대응하며, 상이한 타겟 중계 UE는 상이한 셀 리스트에 대응된다. 여기서, 셀 리스트는 하나 또는 복수의 셀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원격 UE에 대해 상기 타겟 중계 UE로의 전환 트리거 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전환 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전환 조건에 부합되어야 상기 타겟 중계 UE로의 전환을 수행함으로써, 중계 UE의 서빙 셀의 변경으로 인한 원격 UE의 전환 실패를 방지하고, 무선 통신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원격 UE에 의해 수행되는 중계 UE 전환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중계 UE 전환 방법은,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전환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타겟 중계 UE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S1-1); 및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원격 UE에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는 상기 타겟 중계 UE의 식별자,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의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서, 원격 UE에 대해 상기 타겟 중계 UE로의 전환 트리거 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전환 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전환 조건에 부합되지 않으면 상기 타겟 중계 UE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으며,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송신하여 기지국이 원격 UE에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상태를 적시에 인식하도록 하여 기지국이 이 상태에 따라 합리적인 후속 제어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원격 UE에 의해 수행되는 중계 UE 전환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중계 UE 전환 방법은,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전환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타겟 중계 UE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S1);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2);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타겟 중계 UE 이외의 다른 중계 UE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전환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S3);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는 상기 타겟 중계 UE의 식별자,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의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서, 원격 UE에 대해 상기 타겟 중계 UE로의 전환 트리거 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전환 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전환 조건에 부합되지 않으면 상기 타겟 중계 UE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으며,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송신하여 기지국이 원격 UE에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상태를 적시에 인식하도록 하여 기지국이 이 상태에 따라 원격 UE에 다른 중계 UE를 합리적으로 할당하고, 원격 UE에 새로운 전환 명령을 송신하여 원격 UE이 필요한 중계 UE로 전환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원격 UE에 의해 수행되는 중계 UE 전환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중계 UE 전환 방법은,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전환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타겟 중계 UE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S1);
상기 타겟 중계 UE에게 무선 자원 제어(RRC) 링크 재구축을 개시하는 단계(S2); 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원격 UE에 의해 수행되는 중계 UE 전환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중계 UE 전환 방법은,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전환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타겟 중계 UE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S1);
무선 자원 제어 링크의 재구축 요청을 트리거하는 단계(S2); 를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 자원 제어 링크의 재구축 요청을 트리거한다는 것은 원격 UE를 트리거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에 무선 자원 제어(RRC) 링크의 재구축을 개시하는 프로세스를 개시하도록 하거나, 타겟 중계 UE에 트리거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원격 UE에게 무선 자원 제어(RRC) 링크의 재구축을 개시하도록 타겟 중계 UE를 트리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원격 UE에 의해 수행되는 중계 UE 전환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중계 UE 전환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1),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전환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타겟 중계 UE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는다.
단계(S2)에서는,
상기 타겟 중계 UE에 대응하는 전환 명령을 삭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기설정 조건을 삭제;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전환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 후, 상기 타겟 중계 UE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고, 관련된 전환 명령 및/또는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기설정 조건을 삭제하며, 즉 원격 UE가 타겟 중계로 독립적으로 전환하는 메커니즘을 포기하고, 기지국에서 전환 명령을 송신하는 메커니즘을 사용함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중계 UE 전환 방법을 제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중계 UE 전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 UE 전환 방법은,
원격 UE로부터 송신된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41)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는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을 기반으로 원격 UE에 의해 결정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는 원격 UE가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전환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때에 결정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는 상기 타겟 중계 UE의 식별자,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의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원격 UE가 하나의 타겟 중계 UE로 전환할 필요가 있음을 알게 된 경우, 원격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에 기반하여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즉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을 전환을 수행할 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파라미터로 사용하여, 중계 UE의 서빙 셀의 변경으로 인한 원격 UE의 전환 실패를 방지하고, 원격 UE에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지 않는 것을 결정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중계 UE 전환 방법을 제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중계 UE 전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 UE 전환 방법은,
원격 UE로부터 송신된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51); 및
상기 원격 UE로 상기 타겟 중계 UE 이외의 다른 중계 UE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전환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S52)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는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을 기반으로 원격 UE에 의해 결정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는 원격 UE가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전환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때에 결정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중계 UE 전환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원격 UE로 셀 리스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셀 리스트는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셀 리스트에 속할 때, 상기 원격 UE가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전환 조건에 부합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타겟 중계 UE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방법은, 원격 UE로부터 송신된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타겟 중계 UE가 독립적인 전환을 독립적으로 판단하게 하는 메커니즘을 구성하고, 원격 UE가 전환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면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중계 UE 전환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원격 UE로부터 송신된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UE에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전환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가 원격 UE로부터 송신된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원격 UE가 원격 UE의 타겟 중계 UE를 독립적으로 전환하는 메커니즘을 포기함을 결정하고, 나아가 기지국으로부터 전환 명령을 송신하는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원격 UE에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전환 명령을 원격 UE로 송신하여 원격 UE가 원활하게 전환을 완료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원격 UE에 적용되는 중계 UE 전환 장치를 제공한다. 도 6를 참조하면, 도 6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중계 UE 전환 장치의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 UE 전환 장치는,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모듈(61)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판단 모듈(61)은,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전환 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판단 유닛; 및
전환 조건에 부합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전환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트리거 조건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원격 사용자 기기(UE)가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전환 명령이 수신된 것; 및
상기 원격 사용자 기기(UE)와 상기 타겟 중계 UE 사이의 사이드링크의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기설정 조건을 충족한다고 결정된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원격 UE와 상기 타겟 중계 UE 사이의 사이드링크의 파라미터는, 상기 원격 UE와 상기 타겟 중계 UE 사이의 사이드링크의 채널 품질을 포함하고;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기설정 조건은, 상기 원격 UE와 상기 타겟 중계 UE 사이의 사이드링크의 채널 품질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전환 조건에 부합된다는 것은,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과 상기 원격 UE의 서빙 셀이 동일한 것;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과 상기 원격 UE가 이미 기지국에 보고한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동일한 것; 및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셀 리스트에 속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타겟 중계 UE에 대응하는 상기 셀 리스트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장치는, 송신 모듈 및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원격 UE에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것; 및
상기 타겟 중계 UE에 대해 무선 자원 제어 링크의 재구축을 시작하는 것; 중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처리 모듈은,
무선 자원 제어 링크의 재구축 요청을 트리거하는 것;
상기 타겟 중계 UE에 대응하는 전환 명령을 삭제하는 것;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기설정 조건을 삭제하는 것; 및
상기 타겟 중계 UE에 대응하는 전환 명령과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기설정 조건을 삭제하는 것; 중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타겟 중계 UE 이외의 다른 중계 UE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전환 명령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되는 중계 UE 전환 장치를 제공한다. 도 7를 참조하면, 도 7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중계 UE 전환 장치의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 UE 전환 장치는,
사용자 기기(UE)로부터 송신된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71)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는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을 기반으로 원격 UE에 의해 결정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는 원격 UE가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전환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때에 결정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원격 사용자 기기(UE)로 셀 리스트를 송신하는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셀 리스트는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셀 리스트에 속할 때, 상기 원격 UE가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전환 조건에 부합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타겟 중계 UE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원격 UE에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전환 명령을 송신하는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사용자 기기를 제공하고, 여기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의 실행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중계 UE 전환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고,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의 실행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중계 UE 전환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실행 가능한 명령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여기서, 상기 실행 가능한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중계 UE 전환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실행 가능한 명령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여기서, 상기 실행 가능한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중계 UE 전환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도 8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800)의 블록도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 기기(800)는 휴대폰, 컴퓨터, 디지털 브로드캐스트 사용자 기기, 메지시 송수신 기기, 게임 콘솔, 태블릿 장치, 의료 기기, 피트니스 기기, PDA 등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기기(800)는 처리 컴포넌트(802), 메모리(804), 전원 컴포넌트(806), 멀티미디어 컴포넌트(808), 오디오 컴포넌트(810), 입력/출력(I/O)의 인터페이스(812), 센서 컴포넌트(814) 및 통신 컴포넌트(816) 중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 컴포넌트(802)는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전화 통화, 데이터 통신, 카메라 작동 및 기록 작동과 관련된 작동과 같은 사용자 기기(800)의 전체 작동을 제어한다. 처리 컴포넌트(802)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820)를 포함하여 명령을 실행하여 상술한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컴포넌트(802)는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여 처리 컴포넌트(802)와 다른 컴포넌트 사이의 상호 작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처리 컴포넌트(802)는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하여 멀티미디어 컴포넌트(808)와 처리 컴포넌트(802) 사이의 상호 작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메모리(804)는 사용자 기기(800)에서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데이터의 예시는 사용자 기기(800)에서 작동하는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방법의 명령, 연락처 데이터, 전화부 데이터, 메시지, 도면, 비디오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804)는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EEP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EPROM),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PROM), 읽기 전용 메모리(ROM),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또는 CD와 같은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 컴포넌트(806)는 사용자 기기(800)의 다양한 컴포넌트에 전력을 제공한다. 전원 컴포넌트(806)는 전원 관리 시스템, 하나 또는 복수의 전원 및 다른 사용자 기기(800)에 대한 전력을 생성, 관리, 분배와 관련된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컴포넌트(808)는 상기 사용자 기기(800)와 사용자 사이에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크린은 액정 디스플레이(LCD)와 터치 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이 터치 패널을 포함하면,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하나 또는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여 터치, 슬라이딩 및 터치 패널 상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 또는 슬라이딩 동작의 경계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 또는 슬라이딩 동작과 관련된 지속 시간 및 압력도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멀티미디어 컴포넌트(808)는 하나의 전면 카메라 및/또는 후면 카메라를 포함한다. 사용자 기기(800)가 작동 모드에 있고, 촬영 모드 또는 비디오 모드에 있을 때, 전면 카메라 및/또는 후면 카메라는 외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전면 카메라와 후면 카메라는 하나의 고정된 광학 렌즈 시스템이거나 초점 거리 및 광학 줌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오디오 컴포넌트(8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오디오 컴포넌트(810)는 하나의 마이크(MIC)를 포함하고, 사용자 기기(800)가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와 같은 작동 모드에 있을 때, 마이크는 외부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추가로 메모리(804)에 저장되거나 통신 컴포넌트(816)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컴포넌트(8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I/O 인터페이스(812)는 처리 컴포넌트(802)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은 키보드, 클릭 휠,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홈 버튼, 볼륨 버튼, 시작 버튼 및 잠금 버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컴포넌트(814)는 사용자 기기(800)에 대해 다양한 측면의 상태 평가를 제공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센서 컴포넌트(814)는 기기(800)의 온/오프 상태, 컴포넌트의 상대적 위치를 검출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상기 컴포넌트는 사용자 기기(800)의 디스플레이 및 키패드이며, 센서 컴포넌트(814)는 또한 사용자 기기(800) 또는 사용자 기기(800)의 하나의 컴포넌트의 위치 변화, 사용자와 사용자 기기(800)의 접촉 유무, 사용자 기기(800)의 방위 또는 가속/감속 및 사용자 기기(8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컴포넌트(814)는 물리적 접촉이 없을 때 주변 물체의 존재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컴포넌트(814)는 이미징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와 같은 광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컴포넌트(814)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자기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컴포넌트(816)는 사용자 기기(800)와 다른 기기 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기기(800)는 WiFi, 2G 또는 3G, 이들의 조합과 같은 통신 표준에 기반한 무선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통신 컴포넌트(816)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외부 브로드캐스트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트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트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컴포넌트(816)는 근거리 통신(NFC) 모듈을 더 포함하여 근거리 통신을 촉진한다. 예를 들면, NFC 모듈은 무선 주파수 식별(RFID) 기술, 적외선 데이터 협회(IrDA) 기술, 초광대역(UWB) 기술, 블루투스(BT) 기술 및 다른 기술을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사용자 기기(8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전용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SPD),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다른 전자 소자에 의해 구현되 상술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명령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는데, 예를 들면 명령을 포함하는 메모리(804)이고, 상기 명령은 사용자 기기(800)의 프로세서(820)에 의해 상술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CD-ROM,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및 광 데이터 저장 장치일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기지국의 구조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기지국(900)은 네트워크 측 기기로 제공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기지국(900)은 처리 컴포넌트(922)를 포함하고, 추가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 및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처리 컴포넌트(92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932)로 표시되는 메모리 자원을 포함한다. 메모리(932)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은 각각 일련의 명령에 대응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컴포넌트(922)는 상기 기지국에 적용되는 임의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기지국(900)은 기지국(900)의 전원 관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전원 컴포넌트(926); 기지국(900)을 네트워크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50) 및 하나의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9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900)은 예를 들면 Windows Server TM, Mac OS XTM, UnixTM, LinuxTM, FreeBSDTM 또는 이들과 유사한 메모리(932)에 저장된 작동 시스템을 기반으로 작동할 수 있다.
본 분야의 기술자는 명세서를 고려하고 여기에 개시된 발명의 실습을 한 후,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다른 실시형태를 쉽게 생각해낼 수 있다. 본 출원의 목적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모든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함하는 것이며,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일반 원리를 따르고 본 개시에 개시되지 않은 본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상식 또는 통상적인 관용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 및 실시예는 예시로만 간주되며, 본 개시의 실시예의 진정한 범위와 정신은 이하 청구범위에 명시되어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위에서 설명한 정확한 구조에 국한되지 않으며,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원격 UE가 하나의 타겟 중계 UE로 전환할 필요가 있음을 인지한 경우, 원격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즉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을 전환을 수행할 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파라미터로 사용하여, 중계 UE의 서빙 셀의 변경으로 인한 원격 UE의 전환 실패를 방지하고, 무선 통신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2)

  1. 원격 사용자 기기(UE)에 의해 수행되는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방법에 있어서,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전환 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전환 조건에 부합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전환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트리거 조건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원격 사용자 기기(UE)가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전환 명령이 수신된 것; 및
    상기 원격 사용자 기기(UE)와 상기 타겟 중계 UE 사이의 사이드링크의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기설정 조건을 충족한다고 결정된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기설정 조건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사용자 기기(UE)와 상기 타겟 중계 UE 사이의 사이드링크의 파라미터는, 상기 원격 사용자 기기(UE)와 상기 타겟 중계 UE 사이의 사이드링크의 채널 품질을 포함하고;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기설정 조건은,
    상기 원격 사용자 기기(UE)와 상기 타겟 중계 UE 사이의 사이드링크의 채널 품질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전환 조건에 부합된다는 것은,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과 상기 원격 사용자 기기(UE)의 서빙 셀이 동일한 것;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과 상기 원격 사용자 기기(UE)가 이미 기지국에 보고한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동일한 것; 및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셀 리스트에 속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셀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셀 리스트는 상기 타겟 중계 UE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원격 사용자 기기(UE)가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타겟 중계 UE에 대해 무선 자원 제어 링크의 재구축을 시작하는 단계;
    무선 자원 제어 링크의 재구축 요청을 트리거하는 단계;
    상기 타겟 중계 UE에 대응하는 전환 명령을 삭제하는 단계;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기설정 조건을 삭제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중계 UE에 대응하는 전환 명령과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기설정 조건을 삭제하는 단계; 중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원격 사용자 기기(UE)가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타겟 중계 UE 이외의 다른 중계 UE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전환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방법.
  10.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방법에 있어서,
    원격 사용자 기기(UE)로부터 송신된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는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을 기반으로 원격 사용자 기기(UE)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는 원격 사용자 기기(UE)가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전환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때에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원격 사용자 기기(UE)로 셀 리스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셀 리스트는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셀 리스트에 속할 때, 상기 원격 사용자 기기(UE)가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전환 조건에 부합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타겟 중계 UE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원격 사용자 기기(UE)가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전환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방법.
  15. 원격 사용자 기기(UE)에 적용되는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장치에 있어서,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모듈은,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전환 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판단 유닛; 및
    전환 조건에 부합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전환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로의 전환을 수행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트리거 조건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원격 사용자 기기(UE)가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전환 명령이 수신된 것; 및
    상기 원격 사용자 기기(UE)와 상기 타겟 중계 UE 사이의 사이드링크의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기설정 조건을 충족한다고 결정된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기설정 조건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사용자 기기(UE)와 상기 타겟 중계 UE 사이의 사이드링크의 파라미터는, 상기 원격 사용자 기기(UE)와 상기 타겟 중계 UE 사이의 사이드링크의 채널 품질을 포함하고;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기설정 조건은,
    상기 원격 사용자 기기(UE)와 상기 타겟 중계 UE 사이의 사이드링크의 채널 품질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전환 조건에 부합된다는 것은,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과 상기 원격 사용자 기기(UE)의 서빙 셀이 동일한 것;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과 상기 원격 사용자 기기(UE)가 이미 기지국에 보고한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동일한 것; 및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셀 리스트에 속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셀 리스트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셀 리스트는 상기 타겟 중계 UE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송신 모듈 및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원격 사용자 기기(UE)가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것; 및
    상기 타겟 중계 UE에 대해 무선 자원 제어 링크의 재구축을 시작하는 것; 중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처리 모듈은,
    무선 자원 제어 링크의 재구축 요청을 트리거하는 것;
    상기 타겟 중계 UE에 대응하는 전환 명령을 삭제하는 것;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기설정 조건을 삭제하는 것; 및
    상기 타겟 중계 UE에 대응하는 전환 명령과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기설정 조건을 삭제하는 것; 중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타겟 중계 UE 이외의 다른 중계 UE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전환 명령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장치.
  24.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되는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장치에 있어서,
    원격 사용자 기기(UE)로부터 송신된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는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을 기반으로 원격 사용자 기기(UE)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는 원격 사용자 기기(UE)가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는 트리거 조건을 충족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전환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때에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장치.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원격 사용자 기기(UE)로 셀 리스트를 송신하는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셀 리스트는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셀 리스트에 속할 때, 상기 원격 사용자 기기(UE)가 상기 타겟 중계 UE의 서빙 셀이 전환 조건에 부합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타겟 중계 UE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장치.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원격 사용자 기기(UE)가 상기 타겟 중계 UE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전환 명령을 송신하는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장치.
  29. 통신 기기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의 실행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여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30. 통신 기기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의 실행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여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31. 실행 가능한 명령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실행 가능한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계 UE 전환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32. 실행 가능한 명령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실행 가능한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계 UE 전환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47007397A 2021-08-05 2021-08-05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방법, 장치, 기기 및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202400420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1/110818 WO2023010400A1 (zh) 2021-08-05 2021-08-05 一种切换中继用户设备的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2026A true KR20240042026A (ko) 2024-04-01

Family

ID=78877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7397A KR20240042026A (ko) 2021-08-05 2021-08-05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방법, 장치, 기기 및 판독 가능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40042026A (ko)
CN (2) CN117377009A (ko)
WO (1) WO20230104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0182A1 (en) * 2021-09-29 2023-04-06 Lenovo (Beijing)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WO2023151044A1 (zh) * 2022-02-11 2023-08-1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路径切换方法及装置
CN115176505A (zh) * 2022-05-31 2022-10-1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道发现的控制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芯片
WO2024011375A1 (en) * 2022-07-11 2024-01-18 Apple Inc. METHODS FOR INTER-gNB HANDOVER WITH L2 U2N RELAY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50840B (zh) * 2006-09-20 2010-08-11 上海贝尔阿尔卡特股份有限公司 用于切换移动中继站及其下属移动终端的方法及装置
CN101998551A (zh) * 2009-08-20 2011-03-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中继网络中小区的切换方法及系统
GB2503942A (en) * 2012-07-13 2014-01-15 Nec Corp Mobile relay node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888506B2 (en) * 2013-08-22 2018-02-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ntention-based integration of device to device (D2D) networks with wireless infrastructure
WO2017028013A1 (zh) * 2015-08-14 2017-02-23 富士通株式会社 中继选择方法、装置和系统
CN105188099B (zh) * 2015-08-21 2019-01-11 北京邮电大学 基于d2d通信的中继设备重选方法
CN106572514A (zh) * 2015-10-09 2017-04-19 北京信威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d2d通信中选择中继ue的方法
CN106888494B (zh) * 2015-12-15 2020-10-27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选择中继ue的方法、装置和系统
CN105657643B (zh) * 2016-01-07 2019-03-08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D2d中继通信的方法、装置和终端
US11470518B2 (en) * 2016-09-30 2022-10-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laying between a user equipment and a network
JP6567706B2 (ja) * 2018-01-19 2019-08-28 ソフトバンク株式会社 移動判定システム及び移動判定方法
WO2022094809A1 (zh) * 2020-11-04 2022-05-1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中继ue的重选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10400A1 (zh) 2023-02-09
CN113796122B (zh) 2023-11-14
CN113796122A (zh) 2021-12-14
CN117377009A (zh) 202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86727B (zh) 小区重选、信息传输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2042224B (zh) 切换小区的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KR20240042026A (ko) 중계 사용자 기기 전환 방법, 장치, 기기 및 판독 가능 저장 매체
EP4096305A1 (en) Cell reselection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s and apparatuses,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23012335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US202300077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radio link failur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10637478A (zh) 切换处理方法及装置
CN111771406A (zh) 发送寻呼消息的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EP3863330B1 (en) Network switching to a target wireless access network capable of 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an ims network
CN111345068B (zh) 数据通信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7676918A (zh) 连接建立方法、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CN112075099A (zh) 定时器的控制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WO2022147662A1 (zh) 测量间隙调度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WO2022032540A1 (zh) Uav飞行控制、管控策略处理方法及装置、设备及介质
WO2021227081A1 (zh) 转移业务的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09565710B (zh) 传输数据的方法、装置和系统
WO2022204872A1 (zh) 确定寻呼分组的方法及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WO2022205341A1 (zh) 测量间隔预配置处理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WO2022178728A1 (zh) Drx周期的处理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1096046B (zh) 接入方式确定方法、装置及通信设备
RU281786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й конфигурации промежутка измер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и носитель информации
WO2022011557A1 (zh) 激活资源切换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WO2024031288A1 (zh) 一种信息传输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WO2024000124A1 (zh) 寻呼协商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WO2022246845A1 (zh) 终端能力信息的上报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