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2008A - 슬라브 거푸집틀용 격자 빔 시스템 - Google Patents
슬라브 거푸집틀용 격자 빔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42008A KR20240042008A KR1020247007163A KR20247007163A KR20240042008A KR 20240042008 A KR20240042008 A KR 20240042008A KR 1020247007163 A KR1020247007163 A KR 1020247007163A KR 20247007163 A KR20247007163 A KR 20247007163A KR 20240042008 A KR20240042008 A KR 202400420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vel
- drophead
- unit
- primary beam
- primar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4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8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1120 ply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0000002028 prem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9416 shut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1122767 The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30 eli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79 elim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486—Dropheads supporting the concrete after removal of the shuttering; Connecting means on beams specially adapted for drophead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5—Strips for covering joints between form sections, e.g. to avoid burring or spilling of laitanc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2009/023—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edge protection
- E04G2009/02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edge protection by a flange of the board's fram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04G2011/505—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with nailable or screwable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개시는, 1차 빔(104), 2차 빔(106),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 및 받침대(prop)(118)를 포함하는 격자 빔 슬라브 거푸집틀(100)에 관한 것이다.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은 1차 빔(104)과 2차 빔(106)에 대해 최대 6개 또는 6개보다 많은 연결 지점을 제공한다.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은, 그렇지 않았다면 별도의 드롭헤드나 어댑터를 필요로 하는 추가 구조의 구성을 허용하여, 거푸집틀과 연관된 전체 비용을 감소시킨다. 게다가,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은 필요한 곳에는 플랫폼의 생성을 가능케 한다. 다른 한편, 어댑터(116, 301)는 외장 부재(sheathing member)의 인트랩먼트(entrapment)를 방지하여, 빔은, 콘크리트가 필요한 강도를 달성하였을 때 제거될 수 있어서 하중이 받침대(118)에 의해 받아질 수 있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1차 빔, 2차 빔, 드롭헤드(drophead), 드롭헤드 어댑터, 2차 빔에 고정된 어댑터, 클로져 빔 및 받침대를 포함하는 격자 빔 슬라브 거푸집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거푸집틀 또는 셔터링(shuttering)은 콘크리트가 기둥, 벽 또는 지붕과 같은 미리 규정된 구조를 생성하도록 하기 위한 일시적 금형이다. 지붕과 같은 수평 구조 요소의 제조를 위한 일 거푸집틀 타입은 슬라브 거푸집틀로서 알려져 있다. 슬라브 거푸집틀(slab formwork)은 4개의 주연부 빔을 결합함으로써 격자로서 형성되며, 이들 주연부 빔은, 함께 결합되어 격자의 주연부를 형성하며 받침대에 고정된 드롭헤드 상에서 지지되는 1차 또는 2차 빔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받침대는 필수요건으로서 충분히 아래에서 지탱하게 된다. 격자는 또한 대향하는 주연부 빔에 결합되는 다수의 2차 빔을 포함한다. 플라이우드(plywood)가 정상에서 고정되어 편평 구조(flat structure)를 형성하며, 편평 구조 상에 콘크리트가 타설(pour)될 수 도 있다. 동작 동안, 거푸집틀은 필요한 콘크리트 강도를 달성할 때까지 계속 조립되어 있다.
종래에, 드롭헤드는 4개의 주연부 빔과 연결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드롭헤드는 격자에 대한 접합부(juncture)로서 동작한다. 현재의 드롭헤드 연결기와 연관된 여러 제한이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드롭헤드는 장착된 4개의 빔을 동일 레벨에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생성될 수 있는 구조의 타입을 제한한다. 다른 한편, 작업자를 위한 플랫폼과 같은 별도의 구조가 작업 공간으로서 있거나; 또는 외팔보 섹션이 동일한 타입의 드롭헤드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경우에, 그 후 추가 드롭헤드와 특수 2차 빔 중 어느 하나가 별도의 격자를 형성해야 하거나, 특수 2차 빔과 함께 드롭헤드 부착부가 레벨 차를 관리해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거푸집틀의 하부구조 비용을 증가시킨다. 나아가, 추가 거푸집틀의 사용은 거푸집틀을 조립하도록 더 많은 시간을 보장하여, 콘크리트 구조의 구성을 지연한다. 게다가, 복수의 드롭헤드의 사용은 거푸집틀의 복잡도를 증가시켜 이것이 고장이 나는 경향이 더 있게 한다.
본 시스템의 다른 제한은, 외팔보 및 표준 격자가 상이한 거푸집틀 요소의 사용을 보장한다는 점이다.
다른 제한은, 플라이우드가 이 구조가 거푸집틀을 디셔터(de-shutter)하게 할 때까지 조기 충격 시나리오에서 완료되는 기간 동안 트래핑되게 된다(get trapped)는 점이다.
또 다른 제한은, 1차 빔과 2차 빔이 수행 동안 제거되지 않도록 들어올림에 대항하여 고정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또 다른 제한은, 1차 빔과 2차 빔이, 그러한 인벤토리를 제조하며 유지하는 전체 비용을 증가시키는 별도의 잠금 메커니즘을 보장하는 상이한 래칭 메커니즘을 갖는다는 점이다. 게다가, 2차 빔을 1차 빔에 설치하는 것은 시간-소비적인 공정이며, 이때 특수한 툴이 1차 빔을 2차 빔에 연결하는데 필요하다.
본 부분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더 기재될 개념의 선택을 간략한 형태로 도입하도록 제공된다. 본 부분은 본 발명의 핵심 또는 필수 발명의 개념을 알게 하고자 하거나 본 발명의 범위를 결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는, 조기 디-셔터링에 사용될 수 있는 1차 빔, 2차 빔 및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을 포함하는 격자 빔 슬라브 거푸집틀 시스템의 양상에 관한 것이다. 1차 및 2차 빔은 드롭헤드 상에 래칭하기 위해 그 사이에 공동이 있는 이중 벽 구조의 단부 후크가 구비된다. 드롭헤드는, 1차 및/또는 2차 빔의 이중 벽 단부 후크의 공동 내로 가는 부착부를 포함하는 여러 레벨에서의 다수의 플라이플레이트를 갖는다. 이로 인해, 1차 및 2차 빔의 장착과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 드롭헤드 플라이플레이트의 후크는 1차 빔과 2차 빔이 설치될 때 경사지는 것을 방지한다. 게다가, 드롭헤드는 스태빌라이저(stabilizer) 튜브를 가지며, 스태빌라이저 튜브는 단부 후크에 대항하여 부딪쳐 1차 빔 및 2차 빔으로 구성되는 격자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실시예에서, 1차 빔과 2차 빔을 결합함으로써 형성되는 외팔보 격자와 표준 격자를 갖는 거푸집틀용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은 베이스 판; 베이스 판에 직각으로 부착되는 스템; 및 스템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플라이플레이트를 포함한다. 플라이플레이트는 1차 빔과 2차 빔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제1 부착부 쌍을 포함한다. 나아가, 플라이플레이트는, 1차 빔과 2차 빔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제2 부착부 및 제3 부착부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제1 부착부 및 제2 부착부 쌍은 제1 레벨에서 동일 평면이며, 제3 부착부는 제2 레벨에 위치지정된다.
실시예에서, 다수의 받침대, 다수의 1차 빔 및 다수의 2차 빔을 포함하는 거푸집틀이 개시된다. 거푸집틀은, 또한 다수의 받침대 상에 장착되며 다수의 1차 빔과 다수의 2차 빔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하도록 되어 제1 격자와 제2 격자를 형성하는 다수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을 포함하며, 각각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은 받침대에 결합되는 베이스 판, 베이스 판에 직각으로 부착되는 스템, 스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플라이플레이트를 포함한다. 플라이플레이트는 1차 빔과 2차 빔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제1 부착부 쌍, 1차 빔과 2차 빔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제2 부착부와 제3 부착부를 갖는 플랜지 쌍을 포함하며, 제1 부착부 쌍과 제2 부착부 쌍은 제1 레벨에서 동일 평면이며, 제3 부착부 쌍은 제2 레벨에 위치지정된다.
실시예에서,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이 개시된다. 종래의 드롭헤드와 달리, 드롭헤드의 6개의 연결점으로 인해 상이한 레벨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표준 격자와 외팔보 격자 모두를 형성하게 한다. 드롭헤드 플라이플레이트는, 1차 빔이 2개의 상이한 레벨에서 연결될 수 있어서, 표준 및 외팔보 격자 모두에서 동일한 2차 빔의 사용을 가능케 하도록 설계된다. 일 실시예에서, 2개의 레벨 사이의 간격은 2차 빔의 깊이와 같을 수 도 있다. 드롭헤드 유닛은 6개의 부착부를 가지며, 4개는 정상 플라이플레이트 상에 있으며, 나머지 2개는 하위 레벨 플라이플레이트 상에 있다. 나아가, 후크는 그에 부착되는 1차 빔과 2차 빔의 경사짐을 방지하도록 간섭 영역을 제공한다. 게다가, 드롭헤드 유닛은 스태빌라이저 튜브를 가지며, 스태빌라이저 튜브는 1차 빔이나 2차 빔의 단부 후크에 대항하여 부딪쳐 1차 빔과 2차 빔이 드롭헤드 유닛에 대해 흔들림을 방지하여, 격자를 안정화시킨다.
일예에서, 1차 빔의 본체는 2개의 하향 립과 2개의 바닥 상향 립을 그 측면 생성 공동 상에서 갖는 정상 표면을 가져, 이들 립이 2차 빔의 자체-회전 잠금 후크의 연결을 수용하게 하며 제거 및 들어올림과 다른 1차 빔의 이중 벽 단부 후크에 대하여 고정하게 한다. 1차 빔은, 다른 1차 빔의 립이나 드롭헤드에 고정될 수 있으며, 드롭헤드나 다른 1차 빔에 걺으로써 아래 레벨로부터 안전하게 세워질 수 있는 이중 벽 단부 후크를 가진 특수하게 설계된 단부 연결을 갖는다. 또한, 이중 벽 단부 후크는 드롭헤드의 후크를 그 공동 내에 편안하게(snugly) 끼우며 빔을 격자 축과 정렬하여 1차 빔의 측방향 경사짐을 방지하도록 선회한다. 후크는, 세우는 동안 쓰러지지 않으며 아래 레벨로부터 안전하게 세우는 동안 기울어진 포지션으로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빔이 포지션으로 위로 선회하면, 이중 벽 단부 후크의 전방벽이, 흔들림에 대항하여 격자에 대한 안정성을 제공하는 드롭헤드의 안정화 튜브에 대하여 인접할 것이다. 1차 빔은 또한 t-볼트 등과 같은 다른 보조장치로 연결을 수용하기 위한 바닥 그루브를 갖는다.
실시예에서, 2차 빔은 특수하게 설계된 단부 후크를 갖는 알루미늄 압출 프로파일로 만들 수 있다. 이것은 또한 프로파일 형상으로 구부려진 강 시트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 특수한 기하학적 모양으로 인해 동일 단부 연결을 손상되지 않게 유지하여, 2차 빔은 알루미늄 압출 프로파일을 필요에 따라 임의의 주문화된 길이로 교체함으로써 중합체 또는 목재(timber) 거더(girder)로 또한 형성될 수 있다. 2차 빔은 일반적으로 양 측면 상에 특수하게 설계된 단부 후크를 가지며, 이들 후크는, 1차 빔의 립 내에 걸릴 때 빔이 잠금 포지션 내로 자체-회전되게 한다. 2차 빔은, 그 포지션으로부터 경사지거나 토플링(toppling) 없이 셔터링 보조기(shuttering aid)를 사용하여 아래 레벨로부터 안전하게 세워질 수 있다. 특수하게 설계된 단부 후크는 2차 빔이 1차 빔의 립에 걸리는 것을 돕는다. 2차 빔은 반대편 1차 빔에 수평으로 선회할 때, 빔은 그 자체-중량으로 인해 수평 포지션으로부터 수직 포지션으로 자동으로 아래로 회전한다. 빔이 수직 포지션에 있으면, 단부 후크는 1차 빔의 공공 내에 걸리며, 돌발적 제거 및 들어 올림이 억제된다. 2차 빔은 또한 드롭헤드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단부 후크는 드롭헤드의 플라이플레이트의 후크 판 내에 편하게 끼워지는 이중 벽 공동을 또한 갖고 있다. 또한, 이들 프로파일 섹션은 그 측면 상에 강제 맞춤(press-fit) 중합체 캡으로 플러깅된 슬롯을 가져, 용이한 취급을 가능케 하며, 슬롯을 통한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한다. 또한, 프로파일 섹션은 네일링을 위한 목재나 중합체 인서트를 위해 정상부에 설비와, t-볼트 등과 같은 시스템의 다른 보조 장치와의 연결을 수용하도록 바닥의 그루브를 갖는다. 단부 후크가 없는 2차 빔은 또한 여러 응용에 사용될 수 있는 정상적인 거푸집틀 거더로서 동작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거푸집틀의 조기 충돌 동안 플라이우드 트래핑(trapping)을 회피하도록 강 또는 알루미늄 또는 중합체 중 어느 하나로 될 수 있는 드롭헤드 어댑터 및 추가 어댑터가 개시된다. 일예에서, 드롭헤드 어댑터는, 플라이우드 트래핑이 회피될 필요가 있는 조기 충돌 시나리오 중 하나에 사용된다. 다른 빔 어댑터는 2개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 구성에서, 어댑터는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빈 직육면체-형상 본체로서 형성된다. 어댑터는 또한 양 측 상에 플랜지를 포함한다. 나아가, 각각의 플랜지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외장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플랜지는, 외장 부재가 플랜지에 결합되거나 지지될 때, 외장 부재의 정상 표면, 어댑터의 정상 측면 및 드롭헤드 유닛의 정상 표면이 드롭헤드 어댑터와 함께 동일 평면이 되도록 설계된다. 나아가, 받침대가 있는 드롭헤드에 고정된 드롭헤드 어댑터는 받침대의 제거까지 남아 있을 것인 반면, 2차 빔에 고정된 2차 빔 어댑터는 디-셔터링 동안 제거될 수 있다. 게다가, 빔 어댑터는 그라운드 자체 상에 드롭헤드 유닛과 2차 빔의 조립체에 각각 고정될 수 있으며, 시스템의 세움 동안 아래로부터 선회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거푸집틀의 세움 후 2개의 외장 부재 사이에 접합부에서 1차 빔의 정상에 자리할 클로져 빔이 개시된다. 클로져 빔의 정상은 외장 부재의 정상의 동일 레벨에 있다. 클로져 빔의 단부는 드롭헤드의 정상 상에 자리할 것이며 받침대의 제거까지 슬라브 아랫면(soffit)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것인 반면, 거푸집틀의 나머지는 제거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본 개시에 따라, 멀티-레벨 드롭헤드를 가진 시스템은, 드롭헤드나 임의의 다른 수단에의 일부 부착과 함께 그렇지 않았으면 별도의 외팔보 요소 세트를 필요로 했을 동일한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표준 및 외팔보 격자 모두의 구성을 허용하여, 거푸집틀과 연관된 전체 비용을 감소시킨다. 다른 한편으로, 어댑터는 플라이우드와 함께 1차 및 2차 빔을 해체하게 하며 조기 충돌 동안 플라이우드 트래핑을 회피하게 하는 반면, 받침대는 후방 받침으로서 포지션을 유지한다. 이점은 순환 시간과 생산성을 보장하며, 이는 동일한 요소가 그 다음 슬라브 타설을 위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장점과 특성을 더 명확히 하기 위해, 본 발명의 더 특정한 기재는 첨부 도면에서 예시한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주어질 것이다. 이들 도면은 본 발명의 통상의 실시예를 단지 도시하며,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의 제한으로 간주되지는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수반하는 도면에 의해 추가 특수성 및 상세로 기재 및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이들 및 기타 특성, 양상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이 수반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읽게 될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며, 이들 도면에서, 유사한 특성이 도면 전반에서 유사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 1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조기 충돌이 있는 정상 시나리오에서의 거푸집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조기 충돌이 있는 정상 시나리오에서의 거푸집틀의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2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1차 빔의 절단 섹션 및 1차 빔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어댑터에의 장착을 예시한다.
도 2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이중 벽 단부 후크가 있는 다른 1차 빔의 절단 섹션, 1차 빔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어댑터에의 장착, 및 2차 빔의 절단 섹션을 예시한다.
도 2c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이중 벽 단부 후크가 있는 또 다른 1차 빔의 절단 섹션, 1차 빔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어댑터에의 장착, 및 다른 2차 빔의 절단 섹션을 예시한다.
도 2d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2차 빔을 예시한다.
도 3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도 2a의 1차 빔에 결합하는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을 예시한다.
도 3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드롭헤드 어댑터가 있는 도 3a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을 예시한다.
도 3c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도 2b의 1차 빔에 결합하는 후크 부착부가 있는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을 예시한다.
도 3d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드롭헤드 어댑터가 있는 도 3c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을 예시한다.
도 3e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도 2b의 1차 빔과 도 3c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의 장착을 예시한다.
도 3f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도 2b의 1차 빔의 이중 혼(horn)과 도 3c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의 부착부를 보여주는 부분('AA')의 확대의 정면도를 예시한다.
도 3g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도 2c의 1차 빔에 결합되는 이중 벽 후크 부착부가 있는 다른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을 조립된 및 해체된 도면으로 예시한다.
도 3h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드롭헤드 어댑터가 있는 도 3g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을 예시한다.
도 3i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최대 8개의 부착부가 있는 도 3g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을 예시한다.
도 3j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도 3g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과 도 2c의 1차 빔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3k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도 3g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과 도 2c의 1차 빔의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4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2차 빔 어댑터를 사용한 플라이우드 트래핑없는 조기 충돌 시나리오에서의 거푸집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2차 빔 어댑터를 사용한 플라이우드 트래핑 없는 조기 충돌 시나리오에서의 거푸집틀의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4c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2차 빔 어댑터의 배치와 2차 빔 어댑터의 횡단면을 예시한다.
도 5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클로져 빔을 사용한 플라이우드 트래핑 없는 조기 충돌 시나리오에서의 거푸집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클로져 빔의 배치와 클로져 빔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6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도 3d의 2차 빔의 일 단부의 도 2c의 1차 빔에의 장착을 예시한다.
도 6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도 3d의 2차 빔의 다른 단부의 도 2c의 1차 빔에의 장착을 예시한다.
도 6c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중력 하에서 도 3d의 2차 빔의 회전을 예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목재 2차 빔을 사용하여 구성된 제1 격자를 예시한다.
도 8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벽에 대한 오버행이 있는 표준 격자와 외팔보 격자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8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벽에 대한 오버행이 있는 표준 격자와 외팔보 격자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표준 격자와 외팔보 격자가 있는 다른 거푸집틀을 예시한다.
도 10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수평 브레이스가 있는 도 9의 거푸집틀의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10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수평 브레이스가 있는 도 10의 거푸집틀의 상이한 도면을 예시한다.
도 11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을 받침대에 고정하는 퀵 픽스 클램프(1100)를 도시하는 도면에서의 확대를 도시한다.
도 11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조립된 퀵 픽스 클램프의 여러 도면을 도시한다.
도 11c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퀵 픽스 클램프의 구성요소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11d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퀵 픽스 클램프를 사용한 다른 타입의 드롭헤드 유닛과 받침대 사이의 결합을 상이한 도면으로 도시한다.
도 11e 내지 도 11g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퀵 픽스 클램프를 동작하여 드롭헤드 유닛을 받침대에 고정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1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조기 충돌이 있는 정상 시나리오에서의 거푸집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조기 충돌이 있는 정상 시나리오에서의 거푸집틀의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2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1차 빔의 절단 섹션 및 1차 빔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어댑터에의 장착을 예시한다.
도 2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이중 벽 단부 후크가 있는 다른 1차 빔의 절단 섹션, 1차 빔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어댑터에의 장착, 및 2차 빔의 절단 섹션을 예시한다.
도 2c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이중 벽 단부 후크가 있는 또 다른 1차 빔의 절단 섹션, 1차 빔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어댑터에의 장착, 및 다른 2차 빔의 절단 섹션을 예시한다.
도 2d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2차 빔을 예시한다.
도 3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도 2a의 1차 빔에 결합하는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을 예시한다.
도 3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드롭헤드 어댑터가 있는 도 3a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을 예시한다.
도 3c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도 2b의 1차 빔에 결합하는 후크 부착부가 있는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을 예시한다.
도 3d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드롭헤드 어댑터가 있는 도 3c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을 예시한다.
도 3e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도 2b의 1차 빔과 도 3c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의 장착을 예시한다.
도 3f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도 2b의 1차 빔의 이중 혼(horn)과 도 3c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의 부착부를 보여주는 부분('AA')의 확대의 정면도를 예시한다.
도 3g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도 2c의 1차 빔에 결합되는 이중 벽 후크 부착부가 있는 다른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을 조립된 및 해체된 도면으로 예시한다.
도 3h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드롭헤드 어댑터가 있는 도 3g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을 예시한다.
도 3i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최대 8개의 부착부가 있는 도 3g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을 예시한다.
도 3j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도 3g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과 도 2c의 1차 빔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3k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도 3g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과 도 2c의 1차 빔의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4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2차 빔 어댑터를 사용한 플라이우드 트래핑없는 조기 충돌 시나리오에서의 거푸집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2차 빔 어댑터를 사용한 플라이우드 트래핑 없는 조기 충돌 시나리오에서의 거푸집틀의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4c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2차 빔 어댑터의 배치와 2차 빔 어댑터의 횡단면을 예시한다.
도 5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클로져 빔을 사용한 플라이우드 트래핑 없는 조기 충돌 시나리오에서의 거푸집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클로져 빔의 배치와 클로져 빔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6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도 3d의 2차 빔의 일 단부의 도 2c의 1차 빔에의 장착을 예시한다.
도 6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도 3d의 2차 빔의 다른 단부의 도 2c의 1차 빔에의 장착을 예시한다.
도 6c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중력 하에서 도 3d의 2차 빔의 회전을 예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목재 2차 빔을 사용하여 구성된 제1 격자를 예시한다.
도 8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벽에 대한 오버행이 있는 표준 격자와 외팔보 격자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8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벽에 대한 오버행이 있는 표준 격자와 외팔보 격자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표준 격자와 외팔보 격자가 있는 다른 거푸집틀을 예시한다.
도 10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수평 브레이스가 있는 도 9의 거푸집틀의 평면도를 예시한다.
도 10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수평 브레이스가 있는 도 10의 거푸집틀의 상이한 도면을 예시한다.
도 11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을 받침대에 고정하는 퀵 픽스 클램프(1100)를 도시하는 도면에서의 확대를 도시한다.
도 11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조립된 퀵 픽스 클램프의 여러 도면을 도시한다.
도 11c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퀵 픽스 클램프의 구성요소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11d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퀵 픽스 클램프를 사용한 다른 타입의 드롭헤드 유닛과 받침대 사이의 결합을 상이한 도면으로 도시한다.
도 11e 내지 도 11g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퀵 픽스 클램프를 동작하여 드롭헤드 유닛을 받침대에 고정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나아가, 당업자는 도면의 요소가 간략화를 위해 예시되며 반드시 실제 축적대로 되어 있지는 않을 수 도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예컨대, 흐름도는 본 개시의 양상의 이해를 개선하는 것을 돕기 위해 수반되는 가장 유망한 단계 면에서 방법을 예시한다. 더 나아가, 디바이스의 구성 면에서,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종래의 부호에 의해 도면에서 나타내었을 수 도 있으며, 도면은, 상세한 설명의 장점이 있는 당업자에게 쉽게 자명할 상세가 있는 도면을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 것에 속한 특정 상세만을 도시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원리를 촉진하며 이해할 목적으로, 도면에 예시한 실시예를 이제 참조하게 될 것이며, 특정 용어가 이 실시예를 기재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그럼에도, 본 발명의 범위의 제한은 의도한 것은 아니며, 예시한 시스템에서의 그러한 변경 및 추가 수정과, 거기서 예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원리의 그러한 추가 적용은 본 발명에 관련된 당업자에게 보통 발생할 것으로서 생각될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달리 규정되지 않는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한 당업자에 의해 공통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시스템, 방법 및 예는 오직 예시적이며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일부"는 "없음" 또는 "하나" 또는 "하나보다 많음" 또는 "모두"로서 이해될 수 도 있다. 그러므로 용어, "없음", "하나", "하나보다 많음", "하나보다 많지만 모두는 아님" 또는 "모두"가 "일부"의 정의 아래 속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와 구조는 일부 실시예 및 그 특정 특성과 요소를 기재하고, 교훈하며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그러므로 본 개시의 사상과 범위를 어떤 식으로든 제한하거나, 한정하거나 감소시키도록 해석되지는 않아야 함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포함하다", "갖는다", "구성된다" 및 유사한 문법적 파생어와 같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임의의 용어는 정확한 제한이나 한정을 명시하지는 않으며,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의 특성이나 요소의 가능한 추가를 확실히 배제하지 않는다. 나아가, 그러한 용어는, 예컨대 "포함해야 한다" 또는 "포함할 필요가 있다"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제한어를 사용함으로써, 달리 언급하지 않는다면, 나열한 특성과 요소 중 하나 이상의 가능한 제거를 배제하기 위해 사용하지는 않아야 한다.
특정 특성이나 요소가 한 번만 사용되는 것으로 제한되었는지에 상관없이, 이것은 여전히 "하나 이상의 특성" 또는 "하나 이상의 요소" 또는 "적어도 하나의 특성" 또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로서 지칭될 수 도 있다. 더 나아가, 용어, "하나 이상의" 또는 "적어도 하나의" 특성 또는 요소의 사용은, "하나 이상의...이 있을 필요가 있다" 또는 "하나 이상의 요소가 필요하다"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제한어에 의해 달리 명시되지 않는다면, 이 특성 또는 요소 중 어느 것도 없음을 배제하지 않는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모든 용어 및 특히 임의의 기술적 및/또는 과학적 용어는 당업자에 의해 공통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도록 받아들여질 수 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일부 "실시예"를 참조한다. 실시예는, 본 개시의 임의의 특성 및/또는 요소의 가능한 구현의 예임을 이해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는, 제시한 개시의 특정 특성 및/또는 요소가 고유성, 효용성 및 비자명성의 요건을 충족하는 잠재적인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설명할 목적으로 기재되었다.
"제1 실시예", "추가 실시예", "대안적인 실시예", "일실시예", "실시예", "복수의 실시예", "일부 실시예", "다른 실시예", "추가 실시예", "또다른 실시예", "추가적인 실시예" 또는 그 다른 파생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 문구 및/또는 용어의 사용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지는 않는다. 달리 명시하지 않는다면, 하나 이상의 실시예와 연계하여 기재한 하나 이상의 특정 특성 및/또는 요소는 일 실시예에서 볼 수 도 있거나, 하나보다 많은 실시예에서 볼 수 도 있거나, 모든 실시예에서 볼 수 도 있거나, 어떤 실시예에서도 볼 수 없을 수 도 있다. 하나 이상의 특성 및/또는 요소가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만의 환경에서 또는 하나보다 많은 실시예의 환경에서 또는 모든 실시예의 환경에서 기재될 수 도 있지만, 특성 및/또는 요소는 대신 별도로 또는 임의의 적절한 조합으로 제공될 수 도 있거나 전혀 제공되지 않을 수 도 있다. 역으로, 별도의 실시예의 환경에서 기재한 임의의 특성 및/또는 요소는 대안적으로 단일 실시예의 환경에서 함께 존재하는 것으로서 실현될 수 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시한 임의의 특정 및 모든 상세는 일부 실시예의 환경에서 사용되며, 그러므로 제안된 개시의 제한 요인으로서 반드시 받아들여질 필요는 없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하에서 수반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제1 거푸집 틀(100)과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상이한 도면과 상세를 예시한다. 상세하게, 도 1a는 조기 충격이 있는 정상 시나리오에서의 제1 거푸집틀(100)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반면, 도 1b는 도 1a의 제1 거푸집틀(100)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제1 거푸집틀(100)은 다수의 1차 빔(104)과 2차 빔(106), 다수의 받침대(118) 및 다수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을 포함할 수 도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1 거푸집틀(100)은 다수의 기둥 또는 받침대(118A, 118B, 118C, 118D, 118E, 118F)(공통적으로 118로 지칭됨)와 다수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을 포함할 수 도 있으며, 이 드롭헤드 유닛(102)은 1차 빔(104)과 2차 빔(106)에 지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도 있다. 받침대(118)는, 격자의 하중, 타설된 콘크리트 및 운영자(들)의 하중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갖는 소재로 만들어질 수 도 있다. 이해할 수 도 있는 바와 같이,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은 또한 격자, 타설된 콘크리트 및 운영자(들)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도 있다.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은 상이한 설계를 가질 수 도 있다. 상이한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상세는 도 3a, 도 3c 및 도 3g와 연계하여 설명될 수 도 있다.
제1 거푸집틀(100)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다수의 1차 빔(104)과 2차 빔(106)으로 만들어진 격자로서 형성될 수 도 있다. 이들 빔은 104A, 104B & 104C와 106A 및 106B로 표시되어 이들이 사용된 여러 위치 사이를 구별할 수 도 있다. 나아가, 격자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또는 표준 격자(108)와 제2 또는 외팔보 격자(110)를 포함할 수 도 있다. 제1 또는 표준 격자(108)는 건물의 내부에서 구조를 건설하는 플랫폼으로서 사용될 수 도 있으며, 제1 외장 부재(112)를 포함할 수 도 있으며, 제2 또는 외팔보 격자(110)는 이를 콘크리트용 플랫폼이나 작업자용 작업 플랫폼과 같은 임의의 다른 목적으로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여 건물의 주연부나 내부에서 구조를 건설하는데 사용될 수 도 있다. 표준 격자(108)는 제1 외장 부재(112)를 포함할 수 도 있다. 일예로, 외장 부재(112)는 플라이우드로 만들어질 수 도 있다. 도 1a에 명확히 도시한 바와 같이, 1차 빔(104)은, 이제 받침대(118)에 고정되어 다수의 2차 빔(106)을 그 위에서 지지하여 격자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도 있는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 상에서 지지될 수 도 있다.
나아가, 외팔보 격자(110)는 또한 1차 빔(104)과 2차 빔(106)을 결합함으로써 형성될 수 도 있으며, 제2 외장 부재(114)를 포함할 수 도 있다. 나아가, 외팔보 격자(110)의 1차 빔(104)과 2차 빔(106)은 제2 외장 부재(114)가 제1 외장 부재(112)와 같은 높이이며 편평한 수평 표면이 달성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외팔보 격자(110)는, 각 2차 빔(106A)의 일 단부가 1차 빔(104B)의 측면에 부착되는 반면 타 단부은 1차 빔(104A)에 부착되지 않아 외팔보 격자를 형성하기 때문에 그렇게 부를 수 도 있다. 대신, 2차 빔(106A)은 1차 빔(104A) 상에 정착하여 1차 빔(104A) 상에서의 2차 빔(106A)의 타 단부의 오버헹(overhang)을 야기한다.
일예로, 1차 빔(104)과 2차 빔(106)은 압출 공정에 의해 형성된 단일 금속체로 만들어진다. 나아가, 1차 빔(104)과 2차 빔(106)은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상세하게, 단일 알루미늄 압출 프로파일로 만들어질 수 있는 1차 빔(104)이 개시되어 있다. 이것은 또한, 백-투-백으로 연결되는 2개의 독립적인 섹션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게다가, 1차 빔은 또한, 알루미늄 압출 프로파일을 필요에 따라 임의의 주문화된 길이로 교체함으로써 강 또는 임의의 다른 소재, 중합체 또는 복합 소재 또는 목재 거더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라, 1차 빔(104)은 여러 설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빔(104)은 측면을 따라 공동과 단일 후크 형상 연결 부재가 있는 프로파일을 가질 수 도 있다. 그러한 예가 도 2a에 도시되어 있다.
이제 도 2a의 (A)를 참조하면, 1차 빔(104) 각각은 도 2a의 뷰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차 빔(106)의 단부 상에 연결 부재(106-1)를 수용하도록 립(104-1) 쌍을 포함하여, 연결 부재(106-1)는 립(104-1) 상에 또는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 상에 정착할 수 도 있다. 1차 빔(104)은 또한, 도 2a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에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연결 부재(104-3)를 상이한 설계와 구성으로 가질 수 도 있다. 1차 빔(104)은 또한, 공동(104-4)을 갖는 정상 표면(104-2)과, 정상 표면(104-2)에 모두 인접하며 각각 립(104-1)을 갖는 제1 측 및 제2 측을 포함할 수 도 있다. 2차 빔(106)이 충격 공정 동안 1차 빔(104)이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2차 빔(106)은 1차 빔(104)이나 드롭헤드 유닛(102)에 고정될 수 도 있다. 충격 공정은, 콘크리트가 경화되어 그 자체의 중량을 운반하기에 필요한 압축 강도를 달성한 후 외장 부재, 1차 빔(104) 및 2차 빔(106)을 제거하는 공정으로서 이해될 수 도 있다.
도 2a의 1차 빔은 짧고 슬림한 프로파일을 가지며 슬롯 형상의 연결 부재(104-3)을 갖지만, 1차 빔(104)은 이중 후크 설계를 가질 수 도 있다. 그러한 예시적인 1차 빔(104)이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이제 도 2b의 (A)를 참조하면, 1차 빔(104) 각각은, 도 2b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차 빔(106)의 단부에 고정된 자체-회전 잠금 후크(106-11)를 수용하도록 양 측 상에서 공동(104-4)을 형성하는 정상 하향 립(104-6) 쌍과 바닥 상향 립(104-1) 쌍을 포함한다. 2차 빔(106)의 자체-회전 잠금 후크(106-11)는 공동(104-4)에 또는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에 잠기기 전 립(104-1) 상에 정착할 수 도 있다. 1차 빔(104)은 또한, 드롭헤드 유닛(102)에 래칭되는 이중벽 후크(104-7)를 포함할 수 도 있다.
1차 빔(104)은 또한 정상 표면을 포함할 수 도 있으며, 이때 정상 표면에 모두 인접한 1차 측과 2차 측 상에는 하향 립(104-6)이 있으며, 각각의 측은 또한 바닥 상향 립(104-1)을 갖는다. 1차 빔(104)은 또한 바닥 상향 립(104-1)과 하향 립(104-6)이 있는 정상 표면 사이에 형성된 래칭 공동(104-4)을 포함한다. 래칭 공동(104-4)은 자체-회전 잠금 후크(106-11)를 잠그도록 구성되며, 자체-회전 잠금 후크(106-11)의 1차 빔(104)의 래칭 공동(104-4)으로부터의 부주의한 제거를 방지한다. 더 나아가, 1차 빔(104)은 볼트, T-볼트 또는 임의의 다른 구성요소를 수용하도록 바닥 그루브(104-5)를 포함할 수 도 있다. 그에 따라, 1차 빔(104)은 패스너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 패스너는 그러한 패스너를 운반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의 필요를 없게 한다.
또 다른 타입의 1차 빔(104)이 도 2c에 관해 설명된다. 나아가, 각각의 1차 빔(104)은 이중벽 단부-후크(104-3)를 포함할 수 도 있으며, 각각의 2차 빔(106)은 또한 특수하게 설계된 이중벽 단부 후크(106-12)를 포함할 수 도 있으며, 이 후크의 상세는 도 2c 및 도 2d에 관해 이후에 제공될 것이다.
이제 도 2c의 (A)를 참조하면, 1차 빔(104) 각각은, 뷰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차 빔(106)이나 도 1b의 다른 1차 빔(104)의 단부에 고정된 특수하게 설계된 이중벽 단부 후크(106-12)를 수용하도록 양 측 상에 공동(104-4)을 형성하는 정상 항향 립(104-6) 쌍과 바닥 상향 립(104-1) 쌍을 포함한다. 2차 빔(106)의 특수하게 설계된 이중벽 단부 후크(106-12)는, 공동(104-4) 또는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임의의 부착부에 잠기기 전 립(104-1) 상에 정착할 수 도 있다. 1차 빔(104)은 또한 바닥 상향 립(104-1)과 하향 립(104-6)이 있는 정상 표면 사이에 형성된 공동(104-4)을 포함한다. 공동(104-4)은 그 특수하게 설계된 이중벽 단부 후크(106-12)의 도움으로 2차 빔(106)을 잠그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단부 후크(106-12)는 빔을 자체-회전하게 하며 빔이 1차 빔(104)의 공동(104-4)으로부터 부주의하게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2차 빔(106)은 수동으로 설치할 수 있다. 2차 빔(106)이 충격 공정 동안 1차 빔(104)이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2차 빔(106)은 1차 빔(104)이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에 고정될 수 도 있다. 충격 공정은, 콘크리트가 경화되어 그 자체의 중량을 운반하기에 필요한 압축 강도를 달성한 후 외장 부재, 1차 빔(104) 및 2차 빔(106)을 제거하는 공정으로서 이해될 수 도 있다.
이제, 도 2d와 도 2c의 (B)를 참조하면, 2차 빔(106)은 알루미늄으로 만든 단일체 압출 구성요소로서 형성될 수 도 있다. 2차 빔(106)은 면(106-9)을 갖는 자체-회전 후크(106-1)를 포함한다. 일예로, 2차 빔(106)의 단부 후크(106-1)의 면(106-9)은 1차 빔(104)의 공동(104-4)의 상부 표면과 잠긴다. 게다가, 2차 빔(106)은 회전 로크(106-1)에 인접하며 1차 빔(104)의 공동(104-4)의 립(104-1)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는 후크(106-10)를 갖는다.
나아가, 2차 빔(106)은, 도 2d의 뷰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장 부재(112)를 수용하도록 중앙에 위치한 네일링 인서트(106-3) 양 측 상에 정상 플랜지(106-2)가 있는 알루미늄 압축 프로파일일 수 도 있는 본체를 포함한다. 2차 빔(106)은 또한 바닥 그루브(106-4)를 포함하며, 이 바닥 그루브(106-4)는 t-볼트 등과 같은 임의의 부가 부속장치의 고정을 허용한다. 2차 빔(106)은 또한 도 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롯 위에서 중합체 캡(106-6)이 끼워진 슬롯(106-5)을 포함한다. 게다가, 2차 빔(106)은 립(106-8)에 의해 형성되는 공동(106-7)을 갖는다. 공동(106-7)은 공동(104-4)에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교차 트러스 또는 수평 트러스 또는 임의의 다른 요소를 부착하도록 구성된다. 결국, 공동(106-7)으로 인해, 운영자는, 추가 또는 전용 장비나 장착부의 사용 없이, 다른 요소를 2차 빔(106)에 장착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1차 빔(104)과 2차 빔(106)은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에 연결되어 격자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은, 1차 빔(104)과 2차 빔(106)의 세트가 연결될 수 있는 접합부로서 동작할 수 도 있다.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은 1차 빔(104)과 2차 빔(106)의 타입을 기반으로 하여 상이한 설계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을 도 3a 내지 도 3k에 관해 예시한다.
도 3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도 2a의 1차 빔에 결합하는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을 예시한다.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은,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을 기둥 또는 받침대(118)에 결합할 수 도 있는 베이스 판(120)을 포함할 수 도 있다. 일예로, 베이스 판(120)은,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을 기둥 또는 받침대(118)에 결합하도록 체결 부재를 수용하는 다수의 구멍(122)을 포함할 수 도 있다.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을 받침대(118)에 결합하는 다른 방식으로는 퀵 픽스 클램프(1100)를 사용하는 것이 있으며, 그 상세는 이후에 논의할 것이다.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은, 스템(124)이 베이스 판(120)에 직각이 도록, 베이스 판(120)에 부착된 스템(124)을 또한 포함할 수 도 있으며, 스템(124)은 그 위에서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다른 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도 있다. 일예로,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은 또한 스템(124)의 길이에 부착될 수 도 있는 플라이플레이트(flyplate)(126)를 포함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플라이플레이트(126)는, 스템(124)이 플라이플레이트(126)로부터 돌출하도록, 스템(124)의 중간 섹션에 부착될 수 도 있다. 플라이플레이트(126)는 스템(124)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도 있다.
플라이플레이트(126)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의 빈 횡단면을 가질 수 도 있으며, 제1 벽(126-1), 제2 벽(126-2), 제3 벽(볼 수 없음) 및 제4 벽(볼 수 없음)을 포함할 수 도 있다. 플라이플레이트(126)는 제1 벽(126-1)과 제3 벽 상에서 제1 부착부(128) 쌍을 포함할 수 도 있다. 제1 부착부(128)는, 그 위에 2차 빔(106)의 연결 부재(106-1)(도 2a에 도시됨)와 1차 빔(104)의 연결 부재(104-3)를 수용하여 고정하도록 미리 규정된 형상의 절단부를 포함한다. 명확히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부착부(128)는 플라이플레이트(126)의 주연부 상에 형성된다.
플라이플레이트(126)는 제2 벽(126-2)과 제4 벽(볼 수 없음)에 부착된 플랜지(130) 쌍을 또한 포함할 수 도 있다. 플랜지(130) 쌍은 그 각각의 벽으로부터 돌출할 수 도 있다. 나아가, 각각의 플랜지(130)는 제2 부착부(128)와 제3 부착부(134)를 포함하며, 이들 부착부는 규정된 거리로 수직으로 이격되어 있다. 일예로, 2개의 레벨 사이의 간격은 2차 빔(106)의 깊이와 같을 수 도 있다. 제2 부착부(128)와 제3 부착부(134)는 또한 표준 또는 외팔보 격자에서 필요에 따라 2개의 상이한 레벨에서 연결 부재(104-3)를 수용하고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부착부들은 세우는 동안 1차 빔(104)의 경사짐을 회피할 방식으로 설계된다. 나아가, 제2 부착부(128) 및 제3 부착부(134)는 또한 2차 빔(106)의 연결 부재(106-1)를 수용할 수 있다.
일예로, 제1 부착부(128), 제2 부착부(128) 및 제3 부착부(134)로 인해,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은 현재 알려진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에서의 4개의 부착 지점에 비해 6개의 부착 지점을 가질 수 있어서, 제1 거푸짐틀(100)을 만드는 데 있어서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다용성을 가능케 한다. 상세하게, 제1 부착부(128) 쌍과 제2 부착부(128) 쌍은 제1 레벨 또는 정상 레벨에서 4개의 부착 지점을 제공하는 반면, 제3 부착부(134) 쌍은 제1 레벨 또는 정상 레벨과 상이한 제2 레벨 또는 바닥 레벨에서 2개의 부착 지점을 제공한다. 일예로, 제1 레벨과 제2 레벨은, 2차 빔(106)의 깊이와 또한 같을 수 있는 규정된 거리로 수직으로 이격될 수 있다.
게다가, 제2 부착부(128)와 제3 부착부(134)는 외팔보 격자(110)의 정상이 표준 격자(108)의 정상에 관하여 동일한 고도에 있도록 할 수 있다. 외팔보 격자(110)에 대한 동일한 고도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 빔(104A)을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제3 부착부에 결합하고, 2차 빔(106A)을 1차 빔(104A) 상에 놓음으로써 달성된다. 나아가, 연결 부재(106-1)를 포함하는 2차 빔(106A)의 타 단부는 1차 빔(104B)의 립(104-1)에 결합될 수 있다.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은 그에 따라, 현재 알려진 거푸집틀에서는 그렇지 않을 경우 필요하게 되는 특수한 장비의 사용 없이도 동일한 1차 빔(104)과 2차 빔(106)이 제2 격자(110)를 건설하는데 사용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표준 격자(108)가 외팔보 격자(110)를 지지하는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은 제2 격자(110)를 구성하도록 추가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 또는 임의의 드롭헤드 부착부 및 빔에 대한 필요를 제거한다.
앞선 실시예 중 하나가 도 3a에서와 같은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정상 튜브(129)를 도시하지만, 다른 설계를 상정할 수 도 있다. 상이한 드롭헤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후속 실시예에서 도시한다.
이제 도 3b를 참조하면,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은, 베이스 판(120)에 부착된 스템(124)의 단부 반대편의 스템(124)의 단부에서 정상 튜브(129)에 부착될 수 도 있는 드롭헤드 어댑터(136)를 포함할 수 도 있다. 드롭헤드 어댑터(136)는 제1 외장 부재(112)와 같은 높이가 되도록 구성될 수 도 있다. 드롭헤드 어댑터(136)는, 드롭헤드 어댑터(136)가 2차 빔 어댑터와 같은 높이가 되도록, 또는 다시 말해 2차 빔 어댑터와 동일 평면에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배치로 인해, 제1 외장 부재(112)에 대해 그리고 결국 경화되지 않은 콘크리트에 대해 편평한 표면을 허용한다.
앞선 실시예가 단일 판-기반 부착부에 관한 것이지만,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은 후크 설계를 가질 수 도 있다. 그러한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3c 내지 도 3f에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 3c는, 도 2b의 1차 빔에 결합되는 후크 부착부가 있는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을 예시하는 반면, 도 3d는 드롭헤드 어댑터가 있는 도 3c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을 예시한다. 나아가, 도 3e는 도 2b의 1차 빔과 도 3c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의 장착을 예시하는 반면, 도 3f는 도 2b의 1차 빔의 이중벽 후크와 도 3c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의 부착부의 설치를 도시하는 부분('AA')의 확대의 정면도를 예시한다.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은, 스템(124)이 베이스 판(120)에 직각이도록, 베이스 판(120)에 부착되는 스템(124)을 포함한다. 스템(124)은 그 위에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다른 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도 있다. 일예로,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은, 스템(124)의 길이에 부착될 수 도 있는 플라이플레이트 튜브(126)를 또한 포함할 수 도 있다. 플라이플레이트 튜브(126)는, 스토퍼 판(133) 레벨까지 스템(124)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도 있으며 더는 위로 움직일 수 없으며, 이는 플라이플레이트 튜브(126)의 정상 판(130)이 스토퍼 판(133)과 부딪치기 때문이다. 웨지(121)는 잠긴 포지션에서 적재 판(125) 위에 있는 반면, 충격 공정 동안 두들겨지면 베이스 판(120)까지 아래로 슬라이딩한다.
플라이플레이트 튜브(126)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의 빈 횡단면을 가질 수 도 있으며, 제1 벽(126-1), 제2 벽(126-2), 제3 벽(볼 수 없음) 및 제4 벽(볼 수 없음)을 포함할 수 도 있다. 플라이플레이트 튜브(126)는, 정상 튜브(129)에 평행한 제1 벽(126-1)과 제3 벽(볼 수 없음)의 측 상에서 제1 후크(128) 쌍을 포함할 수 도 있는 정상 판(130)을 포함할 수 도 있다. 제1 후크(128)는, 그 위에 2차 빔(106)의 자체-회전 잠금 후크(106-11)(도 2b에 도시됨)를 수용하여 고정하도록 미리 규정된 형상의 절단부를 포함한다.
플라이플레이트 튜브(126)는, 정상 튜브(129)에 수직 방향으로 제2 벽(126-2)과 제4 벽(볼 수 없음)의 측 상의 정상 판(130) 상의 제2 후크(128) 쌍과, 제1 후크(128) 쌍과 제2 후크(128) 쌍으로부터 수직으로 이격되는 플라이플레이트 튜브(126)의 바닥 판(135) 상의 제3 후크(134) 쌍을 포함할 수 도 있다. 일예로, 2개의 레벨 사이의 간격은 2차 빔(106)의 깊이와 같을 수 도 있다. 제2 후크(128) 쌍과 제3 후크(134) 쌍은 또한 표준 또는 외팔보 격자에서 필요한 바에 따라 2개의 상이한 레벨에서 이중벽 후크(104-7)를 수용하고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후크는 세우는 동안 1차 빔(104)의 경사짐을 회피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조립 동안, 제2 후크(128) 쌍과 제3 후크(134) 쌍은 이중벽 후크(104-7)에 결합된다.
일예로, 제1 후크(128), 제2 후크(128) 및 제3 후크(134)로 인해,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은 현재 알려진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에서의 4개의 부착 지점에 비해 6개의 부착 지점을 가질 수 있어서, 제1 거푸짐틀(100)을 만드는 데 있어서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다용성을 가능케 한다. 상세하게, 제1 후크(128) 쌍과 제2 후크(138) 쌍은 제1 레벨 또는 정상 레벨에서 4개의 부착 지점을 제공하는 반면, 제3 부착부(134) 쌍은 제1 레벨 또는 정상 레벨과 상이한 제2 레벨 또는 바닥 레벨에서 2개의 부착 지점을 제공한다. 일예로, 제1 레벨과 제2 레벨은 서로 수직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2차 빔(106)의 깊이와 또한 같을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제3 후크(134)의 개수를 2로서 도시하지만, 제3 레벨이 제2 레벨 초과이지만 제1 레벨 미만이도록 제3 레벨 상에서 형성되는 추가 개수/쌍의 제5 부착 지점 및 제6 부착부나 후크가 또한 사용될 수 도 있다. 추가 부착부는, 도 3c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또 다른 후크 층을 그 사이에 추가함으로써 총 결합의 계수를 8 또는 심지어 12까지로 증가시킨다.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레벨 또는 임의의 방향에서의 추가 또는 더 적은 수의 후크를 상정할 수 있다.
게다가, 제2 후크(128)와 제3 후크(134)로 인해, 제2 또는 외팔보 격자(110)의 정상은 제1 또는 표준 격자(108)의 정상에 관해 동일 고도에 있을 수 있다. 제2 또는 외팔보 격자(110)에 대한 동일한 고도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제3 후크에 1차 빔(104A)을 결합하며 2차 빔(106A)을 1차 빔(104A) 상에 놓음으로써 달성된다. 나아가, 자체-회전 잠금 후크(106-11)를 포함하는 2차 빔(106A)의 타 단부는 1차 빔(104B)의 립(104-1)에 결합될 수 있다.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은 그에 따라, 현재 알려진 거푸집틀에서는 그렇지 않을 경우 필요하게 되는 특수한 장비의 사용 없이도 동일한 1차 빔(104)과 2차 빔(106)이 제2 또는 외팔보 격자(110)를 건설하는데 사용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제1 또는 표준 격자(108)가 제2 또는 외팔보 격자(110)를 지지하는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은 제2 또는 외팔보 격자(110)를 구성하도록 추가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 또는 임의의 드롭헤드 부착부 및 빔에 대한 필요를 제거한다. 게다가,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필(infill) 영역(703)이 동일한 2차 빔(106)에 의해 벽(705)으로 형성될 수 도 있으며, 벽(705)은 표준 격자(108)와 외팔보 격자(110)를 형성한다.
일예로, 정상 판(130)은,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가 구성요소, 예컨대 수평 브레이싱(701)을 부착하는데 사용될 수 도 있는 다수의 구멍(131)을 포함할 수 도 있다. 수평 브레이싱(701)은 받침대(118) 사이에 이용되어 시스템에 안정성을 더 준다.
이중벽 후크(104-7) 및 자체-회전 잠금 후크(106-14), 제1 후크(128), 제2 후크(128) 및 제3 후크(134)의 상세가 이제 도 3e 및 도 3f에 관해 설명될 것이다. 이중벽 후크(104-7) 및 제1 후크(128)의 래칭과 구조적 및 기능적 상세를 예시하는 현재의 실시예가 제2 후크(128)와 제3 후크(134)에 적용될 수 있다.
이제 도 3f를 참조하면, 이중벽 후크(104-7)는, 장착 후크(128)를 수용하도록 될 수 도 있고 갭을 가질 수 도 있는 혼(702) 쌍을 포함할 수 도 있다. 일예로, 혼(702)은, 혼(702)의 바닥부가 더 큰 갭(G1)을 갖는 반면, 혼(702)의 정상부가 더 작은 갭(G2)을 갖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더 큰 갭(G1)은 후크(128)가 더 용이하게 삽입되게 할 수 있는 반면, 더 작은 갭(G2)은 후크(128)와 이중벽 후크(104-7) 사이의 측방향 유격을 제한한다. 나아가, 각각의 혼(702)은 정상부에서 더 넓고, 바닥부에서 더 좁다. 더 나아가, 각각의 혼(702)은, 후크(128)를 테이퍼링된 표면 사이에 형성된 밸리(valley)를 통해 안내하는 이 테이퍼링된 표면을 더 큰 갭(G1)과 더 작은 갭(G2) 사이에 형성하도록 프로파일링된다.
이제 도 3e를 참조하면, 각각의 혼(702)은, 정상부로부터 연장할 수 도 있는 레그(704)를 포함할 수 도 있다. 나아가, 각각의 레그(704)는, 후크(128)에 래칭될 때 정상 판(130) 상에 정착하도록 구성될 수 도 있다. 나아가, 이중벽 후크(104-7)는 패스너를 사용하여 1차 빔(104)에 부착될 수 도 있다. 이중벽 후크(104-7)를 후크(128)에 래칭하기 위해, 1차 빔(104)은, 도 1e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중 후크(104-2)의 바닥부가 후크(128) 주위에서 삽입될 수 도 있도록 드롭헤드 유닛(102)에 관해 경사진다. 이중벽 후크(104-7)가 후크(128) 주위에 삽입됨에 따라, 더 큰 갭(G1)으로부터 시작한 테이퍼링된 표면은 그로부터 후크(128)를 안내한다. 삽입되면, 레그(704)는 정상 판(130)과 접촉한다. 그 후, 1차 빔(104)은, 도 3e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져 1차 빔(104)을 드롭헤드 유닛(102)에 수직이게 배향할 수 도 있다. 1차 빔(104)을 배향시키면, 레그(704)를 정상 판(130) 상에 완전히 정착시킨다. 유사한 공정이 다른 드롭헤드 유닛(102)과 1차 빔(104)의 타 단부에 대해 반복된다.
앞선 실시예는 1차 빔(104)의 이중벽 후크(104-7)를 수용하는 단단한 후크 설계를 도시할지라도, 후크는, 도 2c에 도시한 1차 빔의 이중벽 후크와 래칭할 수 있는 이중벽 후크 설계를 가질 수 있다. 그러한 예시적인 설계와 방식은 도 3g 내지 도 3k에 관해 설명될 것이다.
상세하게도, 도 3g는, 도 2c의 1차 빔(104)에 결합되는 이중 벽 후크 부착부가 있는 다른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을 조립된 및 해체된 도면으로 예시한 반면, 도 3h는, 드롭헤드 어댑터가 있는 도 3g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을 예시한다. 나아가, 도 3i는, 최대 8개의 부착부가 있는 도 3g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을 예시하며, 도 3j는, 도 3g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과 도 2c의 1차 빔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더 나아가, 도 3k는, 도 3g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과 도 2c의 1차 빔(104)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은,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을 기둥 또는 받침대(118)에 결합할 수 도 있는 베이스 판(120)을 포함할 수 도 있다. 일예로, 베이스 판(120)은,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을 기둥 또는 받침대(118)에 결합하도록 체결 부재를 수용하는 다수의 구멍(122)을 포함할 수 도 있다.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은, 스템(124)이 베이스 판(120)에 직각이 도록, 베이스 판(120)에 부착된 스템(124)을 또한 포함할 수 도 있다. 스템(124)은, 직사각형 횡단면을 가지며, 그 위에서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다른 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도 있는 빈 튜브이다. 스템(124)은 스템(124)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스토퍼 판(133)을 갖는다. 스템(124)은 스토퍼 판(133)을 수용하는 슬릿(143)을 갖는다. 일예로,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은 또한 스템(124)의 길이 위에서 슬라이딩할 수 도 있는 플라이플레이트 튜브(126)를 포함할 수 도 있다. 플라이플레이트 튜브(126)는 스토퍼 판(133)의 레벨까지 스템(124)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도 있으며, 더는 위로 움직일 수 없으며, 이는 플라이플레이트 튜브(126)의 스토퍼 메커니즘이 스토퍼 판(133)과 부딪히기 때문이다. 웨지(121)가 잠금 포지션에서 적재 판(125) 위에 위치 지정되어 플라이플레이트(126)를 제자리에 유지한다. 충격 공정 동안 두들겨질 때, 베이스 판(120)으로 아래로 슬라이딩하여 플라이플레이트를 릴리스하며 이를 아래로 하강시킨다. 웨지는, 풀기 위한 두들김 방향을 나타내도록 방향 노우즈(151)를 갖는다. 121, 124 및 126의 전체 조립은 볼트 장치로 탈착 가능한 정산 판(129)과 상호 잠기게 되어 조립의 후-갈바니제이션 용접을 방지한다.
플라이플레이트 튜브(126)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의 빈 횡단면을 가질 수 도 있으며, 격자를 위한 스태빌라이저 튜브(126-1)로서 동작하는 제1 정상부와,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에 필요한 레벨차를 생성하는 제2 바닥부(126-2)를 포함할 수 도 있다. 플라이플레이트 튜브(126)는, 제1 레벨에서 4개의 방향으로 후크(128)를 포함할 수 도 있는 정상 판(130)을 포함할 수 도 있다. 각각의 후크(128)는, 1차 빔 단부 후크(104-8) 또는 2차 빔 연결 부재(106-1)(도 2c에 도시됨)를 수용하여 고정하도록 미리 규정된 형상의 절단부를 포함한다. 일예로, 웨지(121)와 플라이플레이트를 드롭헤드 스템에서 스토퍼 판과 함께 잠궈 플라이플레이트의 포지션을 보장하는 방법이 기재된다. 수직 스템(124) 상에서, 웨지(121)가 스템(124)의 더 긴 측에 평행한 그 더 긴 측이 삽입되어 적재 판(125) 상에 자리한다. 웨지는 푸는 방향을 나타내도록 노우즈(151)가 구비된다. 이 위에서, 플라이플레이트가 웨지(121)의 노우즈(151)의 동일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130A)으로 조립되어 이 포지션에서 걸린 빔이 돌발적으로 웨지(121)를 제거하지 않게 보장한다. 이 조립 후, 스토퍼 판(133)이 수직 스템(124)의 슬롯(143)에 삽입되어 플라이플레이트의 정상 판(130)을 원하는 포지션으로 유지한다. 이후, 전체 조립을 잠그기 위해, 드롭헤드 정상 부재(129)가 조립된다. 드롭헤드 정상 부재(129)는 도 3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 판(137)을 갖는다. 연장 판(137)은 또한 그 단부 중 하나에서 컷-아웃 노치(141)를 갖는다. 노치(141)는 스토퍼 판(133)의 그루브(144) 내에 삽입되어 스토퍼 판(133)을 그 포지션에서 고정한다. 드롭헤드 정상 부재(129)는 패스너(139)를 사용하여 수직 스템(124)에 체결되며, 이 패스너(139)는 연장 판(127)의 구멍(138)과 스템(124)의 구멍(146)을 통과한다.
플라이플레이트 튜브(126)는, 제1 레벨이 제1 레벨과 상이하도록, 제2 레벨에서 플라이플레이트 튜브(126)의 바닥 판(135) 상에서 다른 후크(134) 세트를 포함할 수 도 있다. 바닥 판(135)은 플라이플레이트 튜브의 정상 판(130)에 관해 상이한 레벨에 있어서 다수의 레벨에서의 후크 장치를 용이하게 할 것이다. 일예로, 2개의 레벨 사이의 간격은 2차 빔(106)의 깊이와 같을 수 도 있다. 모든 레벨에서 후크(128 및 134)는, 표준 또는 외팔보 격자에서 필요에 따라 2개의 상이한 레벨에서 1차 빔(104)의 이중벽 단부 후크(104-8)를 수용하며 고정하도록 또한 구성된다. 또한, 후크는, 세우는 동안 1차 빔(104)의 경사짐을 회피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나아가, 후크(128 및 134)는 2차 빔(106)의 회전 로크(106-1)를 또한 수용하고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후크(128 및 134)는 세우는 동안 1차 빔(104)과 2차 빔(106)의 돌발적인 제거를 방지하는 립(145)을 그 팁 상에 포함한다. 립(145)에는 1차 빔(104)과 2차 빔(106)의 이중벽 단부 후크(104-8)의 용이한 진입을 위한 테이퍼링된 단부가 구비된다. 게다가, 후크(128, 134)의 측면 표면은, 1차 빔(104)과 2차 빔(106)이 드롭헤드 유닛(102)에 결합되면 이들의 경사짐을 방지하는 안정화 표면으로서 동작한다.
일예로, 후크(128 및 134)로 인해,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은 현재 알려진 드롭헤드 유닛에서의 4개의 부착 지점에 비해 6개의 부착 지점을 가질 수 있어서, 제1 거푸짐틀(100)을 만드는 데 있어서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다용성을 가능케 한다. 상세하게, 후크(128) 쌍은 제1 레벨 또는 정상 레벨에서 4개의 부착 지점을 제공하는 반면, 후크(134) 쌍은 제1 레벨 또는 정상 레벨과 상이한 제2 레벨 또는 바닥 레벨에서 2개의 부착 지점을 제공한다. 일예로, 제1 레벨과 제2 레벨은, 2차 빔(106)의 깊이와 또한 같은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본 예시는 후크(134)의 개수를 2개로서 예시하지만, 추가 수의 후크(134)가 또한 사용될 수 도 있어서, 도 3i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후크 층을 그 사이에 추가함으로써 총 결합의 계수를 8 또는 심지어 12까지로 증가시킨다.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추가 또는 더 적은 수의 후크를 상정할 수 있다.
게다가, 후크(128) 및 후크(134) 쌍으로 인해, 제2 또는 외팔보 격자(110)의 정상은 제1 또는 표준 격자(108)의 정상에 대해 동일한 고도에 있을 수 있다. 제2 또는 외팔보 격자(110)에 대한 동일한 고도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 빔(104A)을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후크(134)에 결합하며 2차 빔(106A)을 1차 빔(104A) 상에 놓음으로써 달성된다. 나아가, 특수하게 설계된 자체-회전 후크(106-1)를 포함하는 2차 빔(106A)의 타 단부가 1차 빔(104B)의 립(104-1)에 결합될 수 있다.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은 그에 따라 동일한 1차 빔(104)과 2차 빔(106)이 그에 따라, 현재 알려진 거푸집틀에서는 그렇지 않을 경우 필요하게 되는 특수한 구성요소의 사용 없이도 동일한 1차 빔(104)과 2차 빔(106)이 제2 또는 외팔보 격자(110)를 건설하는데 사용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제1 또는 표준 격자(108)가 제2 또는 외팔보 격자(110)를 지지하는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은 제2 또는 외팔보 격자(110)를 구성하도록 추가 드롭헤드 유닛(102) 또는 임의의 드롭헤드 부착부 및 빔에 대한 필요를 제거한다. 게다가, 후크(134)가, 표준 격자(108)와 외팔보 격자(110)를 형성하는 동일한 2차 빔(106)을 갖는 인필 영역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도 있다.
일예로, 후크(128)는,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윈드 클립, 체인 및 수평 브레이싱(701)과 같은 추가 부속장치를 부착하여 격자에 추가 안정성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도 있는 다수의 구멍(131)을 포함할 수 도 있다. 또한, 이들 구멍(131)은 종래의 앵커링 메커니즘을 아래의 플로어 슬라브에 부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3j 및 도 3k는, 드롭헤드에 결합될 때 1차 및 2차 빔을 사용하여 달성되는 안정화 메커니즘을 예시한다. 1차 빔은 이중벽 단부 후크(104-8)를 가지며, 2차 빔(106)은 또한 이중벽인 이중벽 단부 후크(106-12)를 갖는다. 드롭헤드 후크(128 및 134)는 이들 단부 후크(140-3 또는 106-1)의 이중벽 내에 형성되는 공동에 끼워지도록 설계된다. 특히, 도 3j는 이중벽 단부 후크(104-8)의 후크(128)에의 걸림을 보여주는 드롭헤드 유닛(102)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반면, 도 3k는 후크(128) 상에 장착되는 이중벽 단부 후크(104-8)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드롭헤드 유닛(102)은 1차/2차 빔 단부 후크와 조립될 때 2개의 경계 - 흔들림과 경사짐에 대하여 격자에 안정성을 줌 - 를 생성한다. 이중벽 단부 후크(104-8)와 후크(128)의 걸림을 예시하는 현재의 실시예 및 구조와 기능 상세가 또한 후크(134)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중벽 단부 후크(104-8)는 측벽(802) 쌍을 포함할 수 도 있으며, 이들 측벽(802) 쌍은 그 사이에 공동(C)(도 3k에 도시됨)을 가질 수 도 있으며, 후크(128)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을 수 도 있다. 이중벽 단부 후크(104-3)는 측벽(802)의 양 단부 상에서 연장하는 전방 벽(810)을 포함한다. 일예로, 측벽(802)은, 측벽(802)의 내표면(804)이 후크(128)의 외벽(806)의 표면에 편안하게 끼워져 간섭 영역(812)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또한, 전방 벽(810)의 외부 단면(808)은 드롭헤드 플라이플레이트 튜브(126)의 정상부, 즉 스태빌라이저 튜브(126-1)의 외면에 접할 수 도 있어서, 다른 간섭 영역(814)을 생성한다. 도 3j 및 도 3k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중벽 단부(104-3)의 측벽(802)의 부분들과 짝을 이루는 후크(128)의 외벽(806)의 부분들은 제1 접촉 영역(812)을 형성하며, 이러한 영역(812)은 1차 빔(104)의 경사짐에 대하여 안정성을 제공한다. 다른 한편으로, 도 3k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중벽 단부 후크(104-8)의 전방 벽(810)의 외표면(808)은 드롭헤드 플라이플레이트 튜브(126)의 정상부, 즉 스태빌라이저 튜브(126-1)의 외면의 부분들과 접하여, 제2 접촉 영역(814)을 형성한다. 제2 접촉 영역(814)은 1차 빔(104)의 흔들림에 대하여 안정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앞선 시퀀스가 대향하는 1차 빔(104) 쌍을 생성하기 위해 행해지면, 2차 빔(106)이 이 1차 빔(104) 쌍 사이에 결합되어 거푸집틀(10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격자를 완료한다. 제1 접촉 영역(812)과 제2 접촉 영역(814)은 단단한 격자로서 연결되는 2차 빔(106)과 결합될 때 안정적인 1차 빔을 보장하여 거푸집틀(100)에 자체-안정성을 제공한다.
본 개시에 따라, 거푸집틀은, 거푸집틀이 플라이우드 트래핑 없이 조기에 충격을 받을 수 있는 방식으로, 다시 말해, 제1 외장 부재(112)와 제2 외장 부재(114)의 트래핑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그러한 배치로 인해, 2차 빔(106) 및 2차 빔 어댑터(116)의 제거는 받침대(118) 상의 콘크리트 슬라브의 전체 하중을 전달할 수 있다. 그에 따라, 2차 빔 어댑터(116)는, 콘크리트가 부분적으로 경화될 때 운영자가 1차 빔(104), 2차 빔(106) 및 제1 외장 부재(112) 중 일부를 해체하게 하여, 제1 또는 표준 격자(108)가 계속 조립되어야 하는 필요를 경감한다. 제1 또는 표준 격자(108)의 그러한 해체 가능성으로 인해, 동일한 구성요소 세트를 복수회 사용하여 추가 구조를 건설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제1 거푸집틀(100)의 연장인 제2 거푸집틀(200)을 예시하며, 여기서, 제1 거푸집틀(100)에서 사용된 기존의 구성요소 외에 2개의 추가 어댑터가 사용되어 플라이우드 인트랩먼트(entrapment)가 회피된다. 이 장치가 제1 거푸집틀(100)에서처럼 사용될 때, 드롭헤드 (102) 위를 통과할 플라이우드 외장(112)이 콘크리트와 드롭헤드 정상 판 사이에 트래핑될 것이다. 드롭헤드(102) 위에서 플라이우드(112)가 통과하는 이러한 상황을 회피하는 방법 중 하나로 드롭헤드(102)와 2차 빔(106) 위에서 플라이우드가 통과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있다. 이를 위해, 제2 거푸집틀(200)은, 드롭헤드 위치에서 2차 빔(106C)에 결합될 수 도 있는 2차 빔 어댑터(116)와, 2차 빔 어댑터(116)에 인접한 드롭헤드(102) 위의 드롭헤드 어댑터(136)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롭헤드 어댑터(136)와 함께 2차 빔 어댑터(116)는 제2 거푸집틀(200)의 조기 충격 동안 플라이우드 인트랩먼트를 회피하는 것을 도우며, 드롭헤드(102)와 드롭헤드 어댑터(136)를 가진 받침대(118)가 디-셔터링 후에도 제자리에 남게 한다.
2차 빔 어댑터(116)의 상세를 도 4c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이제 도 4c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도 4a의 라인(3-3)을 따라 취한 절단면을 예시한다. 2차 빔 어댑터(116)는 제1 외장 부재(112)와 타설된 콘크리트의 하중을 견디기에 적절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도 있다. 2차 빔 어댑터(116)의 절단면(3-3) 및 상세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2차 빔 어댑터(116)는 정상에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빈 직육면체 형상 본체를 가질 수 도 있으며, 2차 빔 어댑터(116)의 양 측(404) 상에 플랜지(402-1 및 402-2) 쌍을 포함할 수 도 있다. 플랜지(402-1 및 402-2)는 제1 외장 부재(112)의 바닥 표면(112-1)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2차 빔 어댑터(116)는 그 두께를 규정하는 수직 섹션(408)을 포함할 수 도 있으며, 플랜지(402-1, 402-2) 위로 연장하며, 플랜지의 높이는 외장 부재의 두께와 같은 것으로 규정된다. 2차 빔 어댑터(116)의 두께(408)는 임의의 두께의 제1 외장 부재(112)에 맞도록 변경될 수 있으며, 이는 운영자가 이용 가능한 제1 외장 부재(112)의 상이한 두께를 사용하는 융통성을 제공한다. 게다가, (도 3d에 도시한) 드롭헤드 어댑터(136)는 플라이우드 외장(112) 및 2차 빔 어댑터(116)의 정상 표면(406)과 또한 동일 평면이다. 이들 세 개는 드롭헤드 어댑터(136), 플라이우드 외장(112) 및 2차 빔 어댑터(116)와 조합하여 정상에서 연속 편평 표면을 달성하는 것을 돕는다.
일예로, 플랜지(402-1, 402-2)는 2차 빔(106)의 양측 상에 제1 외장 부재(112)를 장착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드롭헤드 위에서 플라이우드 인트랩먼트를 방지한다. 그러한 배치로, 임의의 인트랩먼트 없이도 조기 디-셔터링 동안 2차 빔(106)과 2차 빔 어댑터(116)와 함께 플라이우드(112)의 제거를 가능케 한다. 드롭헤드 어댑터(136)는 드롭헤드 상에 남아 있으며, 콘크리트에 끼워져 남아 있는 반면, 디-셔터링 동안 모든 다른 부재가 제거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라, 드롭헤드 어댑터(136)의 상세를 도 3h에서 설명한다. 드롭헤드 유닛(102)은 도 3h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정상 부재(129) 위에서 추가 어댑터(136)가 끼워질 수 있다. 이제 도 3h를 참조하면,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에는 스템(124) 상의 정상 부재(129) 위에서 드롭헤드 어댑터(136)가 부착될 수 도 있다. 드롭헤드 어댑터(136)의 정상 표면은 제1 외장 부재(112)의 정상 및 제2 빔 어댑터(116)의 정상 표면(406)과 같은 높이가 되도록 구성될 수 도 있다. 그러한 배치로 인해 경화되지 않은 콘크리트는 편평한 표면이 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라, 정상 부재(129)를 갖는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이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상 시나리오에서 사용될 수 도 있으며, 여기서 플라이우드 트래핑이 있는 조기 충격이 허용된다. 그러나 드롭헤드 어댑터(136)가 있는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은 플라이우드 트래핑이 없는 조기 충격 시나리오에서 사용될 수 도 있다. 디-셔터링 동안, 콘크리트가 그 자체의 중량을 지지하도록 필요한 강도를 달성할 때, 1차 빔(104), 2차 빔(106) 및 외장 부재(112, 114)는 제거될 수 도 있는 반면, 받침대(118), 드롭헤드(102) 및 드롭헤드 어댑터(136)는 제자리에 남아 있다.
도 5a는 제1 거푸집틀(100)의 연장인 제3 거푸집틀(300)을 예시하며, 여기서, 제1 거푸집틀(100)에서 사용된 기존의 구성요소 외에 추가 클로져 빔이 사용되어 플라이우드 인트랩먼트가 회피된다. 이 장치가 제1 거푸집틀(100)에서처럼 사용될 때, 드롭헤드(102) 위를 통과할 플라이우드 외장(112)이 콘크리트와 드롭헤드 정상 부재(129) 사이에 트래핑될 것이다. 드롭헤드(102) 위에서 플라이우드(112)가 통과하는 이러한 상황을 회피하는 제2 방법으로 1차 빔 위에 오는 2개의 플라이우드 시트 사이의 연결부에서, 드롭헤드 정상 부재(129)의 치수와 같은 갭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3 거푸집틀(300)은, 1차 빔(104) 위에서 플라이우드 연결부에 놓일 수 도 있는 클로져 빔(301)을 포함할 수 도 있다. 이 클로져 빔은 드롭헤드 정상 부재(129) 위를 통과할 것이다. 클로져 빔(301)은 제3 거푸집틀(200)의 조기 충격 동안 콘크리트와 드롭헤드 정상 부재(129) 사이에 트래핑될 것이며, 드롭헤드(102)와 클로져 빔(301)을 가진 받침대(118)가 디-셔터링 후에도 제자리에 남게 하여, 플라이우드 인트랩먼트를 회피한다.
클로져 빔(301)의 상세를 도 5b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본 개시에 따라, 클로져 빔(301)은 1차 빔(104)과 2차 빔(106)에 의한 외장 부재(112, 114)의 트래핑 없이도 조기 충격을 가능케 한다. 도 3b는 클로져 빔(301)을 예시하기 위해 도 3a에서 라인(4-4)을 따라 취한 절단면을 예시한다. 클로져 빔(301)은 클로져 빔(301)의 양측(504) 상에 직사각형 횡단면과 플랜지(502-1 및 502-2)를 가질 수 도 있다. 또한, 클로져 빔(301)은 인접한 외장 부재(112) 사이에 형성되는 그루브(404-3) 내부에 설치될 수 도 있다. 게다가, 클로져 빔(301)의 측면(504)의 깊이는 제1 외장 부재(112)의 두께 이하일 수 도 있다. 게다가, 플랜지(502-1, 502-2)는 각각 바닥 표면(502-3, 502-4)을 포함할 수 도 있으며, 제1 외장 부재(112)의 정상 표면(112-2)을 수용하여, 경화되지 않은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제1 외장 부재(112)와 1차 빔(104) 사이에 임의의 갭을 방지할 수 도 있다. 나아가, 클로져 빔(301)은 드롭헤드 정상 부재(129) 위에서 걸쳐져 있어서, 외장 부재(112)가 드롭헤드 위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여 인트랩먼트를 회피한다. 게다가, 1차 빔(104), 제1 외장 부재(112) 및 2차 빔(106)은 제거되어, 부분적으로 경화된 콘크리트의 하중의 받침대(118)에의 전달을 야기할 수 있다(도 5a에 도시됨).
본 개시는 거푸집틀을 건설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 단계가 이후에 기재될 순서는 제한으로서 해석되고자 하지 않으며, 기재한 방법 단계 중 임의의 수가 임의의 적절한 순서로 조합될 수 있어서 이 방법 또는 대안적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개별 단계는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요지의 사상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방법으로부터 삭제될 수 도 있다. 다음의 방법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제1 거푸집틀(100)에 대해 설명할 것이며, 동일한 방법이 제2 거푸집틀(200) 및 제3 거푸집틀(300)을 구성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이 방법은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을 받침대(118)에 결합하는 단계로 시작할 수 도 있다.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이 받침대(118)에 결합되면, 이 방법은 받침대(118)를 세우는 단계로 진행할 수 도 있다. 이제 도 1a를 참조하면, 4개의 받침대(118A 내지 118D)의 세트가 세워지며,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패턴을 형성하는 브레이싱 프레임과 같은 세움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안정화된다.
이 방법은 1차 빔(104C)을 제1 받침대(118A) 및 제2 받침대(118B)에 결합하는 단계로 진행할 수 도 있다. 일예로, 1차 빔(104C)의 일 단부에서 이중벽 단부 후크(104-8)는 제1 받침대(118A) 상에서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후크(128)에 결합되며, 타 단부는, 세움 보조기구에 의해 들어 올려질 수도 있으며 제2 받침대(118B) 상에서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후크(128)에 결합될 수 도 있는 다른 이중벽 단부 후크를 가질 수 도 있다. 1차 빔(104C)이 제1 받침대(118A) 및 제2 받침대(118B) 상에서 지지되면, 1차 빔(104B)은, 1차 빔(104C)이 제1 받침대(118A) 및 제2 받침대(118B)에 의해 지지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3 받침대(118C) 및 제4 받침대(118D)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도 있다.
이 방법은 이제 드롭헤드 상에 2차 빔(106C)을 장착하는 단계로 진행할 수 도 있다. 2차 빔(106C)을 장착하기 위해, 이중벽 단부 후크(106-12) 중 하나를 갖는 2차 빔(106C)의 일 단부가 제2 받침대(118B) 상에서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후크(128)에 결합될 수 도 있다. 결합되면, 타 단부가 세움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들어 올려져 타 단부 상의 이중벽 단부 후크(106-12)를 제4 받침대(118D) 상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후크(128)에 결합할 수 도 있다.
앞서 언급한 단계는 도 2c 및 도 2d와 연계하여 도 6a 및 도 6b와 연계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a는 1차 빔(104B)의 공동(104-4) 상에 2차 빔(106)을 장착하는 제1 단계를 설명하며, 여기서 2차 빔(106)은 1차 빔(104B)의 길이와 평행한 깊이로 편평하게 배향될 수도 있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중벽 단부 후크(106-12) 중 하나가, 후크(106-10)가 공동(104-4)의 바닥 립(104-1) 내에 잠기게 되도록 래칭 공동(104-4)에 걸릴 수 도 있다(도 1b 참조). 빔을 편평하게 배향시키는 개념은, 빔을 공동 내로 똑바로 배향시키는 종래의 방식보다 더 고정되며, 이 종래의 방식은 낙하의 위험이 있다. 빔이 지지 없이 돌발적으로 단독으로 남아 있는 경우에, 후크(106-10)의 형상은, 다른 종래의 방법에서 필요에 따라 임의의 특수한 스토퍼 메커니즘을 사용하지 않고도 공동으로부터 이탈(disengagement)의 임의의 기회 없이 빔이 수직으로 아래로 자유롭게 매달리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단부의 후크(106-1)가 제자리에 걸리면, 2차 빔(106)은, 타 단부 상의 후크(106-1)가 이때 반대편 1차 빔(104)의 공동(104-4) 내에 놓일 수 있어서, 2차 빔을 수평이 되게 하도록 위로 선회할 수 있다.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평한 배향으로 놓이는 빔은 이중벽 단부 후크(106-12)에 의해 생성된 중력 중심의 특정 위치지정으로 인해 그 자체의 중량 덕분에 똑바른 포지션으로 아래로 자동으로 선회한다.
2차 빔(106)이 수직 배향을 가지면, 2차 빔(106)의 양 단부 상의 특수하게 설계된 단부 후크(106-1)가, 단부 후크(106-1)의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소 유격으로 잠금 공동(104-4)의 정상 하향 립(104-1)에 의해 제한되도록, 래칭 공동(104-4)에서 잠기게 된다. 이점은 2차 빔(106)의 1차 빔(104)에 대한 돌발적인 제거를 방지한다. 이 특수하게 설계된 단부 후크(106-1)는 2차 빔(106C)을 1차 빔(104)과 유사하게 똑바른 포지션으로 멀티-레벨 드롭헤드의 플라이플레이트 후크(128 또는 134) 내에 직접 설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2차 빔(106)의 웹에 강제 맞춤 되게 하는 돌출부를 갖는 중합체 캡(106-6)에 의해 둘러싸인 다수의 슬롯(106-5)이 있다. 또한, 슬롯은 취급 동안 2차 빔을 홀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또한 세움 보조기구용 후크 지점으로서 동작한다. 캡(106-6)은 슬롯의 날카로운 에지를 회피하는 취급 그립으로서 동작하며, 또한 슬롯을 통한 빔 내로의 이물질의 임의의 진입을 방지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거푸집틀(100)은 또한 특수하게 설계된 단부 후크(106-1)와 조합하여 2차 빔(106)의 압출된 알루미늄 섹션 대신 표준 목재 거푸집틀 빔 또는 목재 조이스트(joist)(707)를 사용하게 한다.
나아가,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거푸집틀(100)은 또한,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하위 레벨 후크에서 유지되는 1차 빔(104) 위를 통과함으로써 동일 2차 빔(106)을 사용하여, 벽 위치(705)에 인접한 외팔보 격자 컨셉(703)의 사용이 인필 배치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거푸집틀(100)은 또한 추가 구성요소의 사용 없이도 비-표준 크기의 격자를 달성하도록 형성될 수 도 있다. 그러한 격자는 1차 빔(104) 위에서 2차 빔(106)의 중첩부를 변경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차 빔(106)은 오버행(overhang)(O1)을 가져 제1 거푸집틀(100)의 미리 규정된 길이를 달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 방법은 세움 보조기기를 사용하여 2차 빔(106B)을 1차 빔(104B 및 104C)에 장착하는 단계로 진행할 수 도 있다. 일예로, 2차 빔(106B)의 이중벽 단부 후크(106-12) 중 하나가 1차 빔(104C)의 립(104-1)에 결합되며, 2차 빔(106B)의 타 단부가 1차 빔(104B)의 립(104-1)에 결합된다. 나아가, 추가적인 2차 빔(106B)이 그 사이의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1차 빔(104B 및 104C)에 결합될 수 도 있다. 2차 빔(106B) 사이의 미리 규정된 간격과 제1 받침대(118A), 제2 받침대(118B), 제3 받침대(118C) 사이의 미리 규정된 거리는 거푸집틀 표나 거푸집틀 챠트에 따를 수 도 있다.
나아가, 제2 또는 외팔보 격자(110)를 생성하기 위해, 이 방법은 1차 빔(104A)을 제5 받침대(118E)와 제6 받침대(118F) 상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하위 레벨 후크(134)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도 있다. 그 후, 2차 빔(106A)의 일 단부는 1차 빔(104A) 상의 정상 표면 상에 놓일 수 도 있고, 2차 빔(106A)의 타 단부는 1차 빔(104B)의 제2 측 상의 립(104-1)에 결합될 수 도 있다. 그 후, 제2 외장 부재(114)는 2차 빔(106A) 상에 놓여 제2 격자를 형성할 수 도 있다.
2차 빔(106B)을 장착하면, 제1 외장 부재(112)가 제1 격자를 생성하도록 놓일 수 도 있다. 이 방법은 임의의 방향으로 추가 격자를 위해 반복될 수 있다.
거푸집틀이 인트랩먼트 없는 조기 충격을 가능케 하도록 구성될 경우에, 방법은 추가 단계를 포함할 수 도 있다. 거푸집틀(200)을 세우기 위한 방법은, 2차 빔 어댑터(116)의 정상 표면(506)이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롭헤드 어댑터(136)와 동일 평면이도록, 2차 빔 어댑터(116)를 2차 빔(106C) 상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도 있다. 그 후, 제1 외장 부재(112)는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502-1 및 502-2) 상에 놓일 수 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거푸집틀(300)을 세우는 방법은 또한, 클로져 빔(301)이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롭헤드(102)의 정상 부재(129) 상에, 이미 놓인 제1 외장 부재(112) 위에 정착하여, 플랜지(602-1, 602-2)가 양 측 상에서 외장 부재 상에 자리하도록,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로져 빔(301)을 그루브(404-3)에 장착하는 추가 단계를 또한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라, 그 대응 후크를 갖는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으로 인해, 상이한 구성요소의 연결을 가능케 하여 임의의 추가 구성요소 없이 각각 표준 및 외팔보 격자(108 및 110) 모두를 달성하며, 이점은, 현재 이용 가능한 종래의 드롭헤드 유닛으로부터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가능하지 않다. 나아가, 2차 빔 어댑터(116)와 클로져 빔(301)에 의한 동일 장비의 복수 회 사용의 증가는 또한 건설 기간을 감소시킨다. 일 경우에, 2차 빔 어댑터(116)와 클로져 빔(301)은 28일의 일반적인 경과 시간 대신 경화하지 않은 콘크리트 타설의 수 일의 경과 후 외장 부재(112)를 트랩하지 않고 표준 격자의 해체를 가능케 할 수 도 있다.
거푸집틀 격자 시스템(100, 200 및 300)은 또한 해체 또는 디-셔터링될 수 있다. 거푸집틀 격자 시스템(100, 200 및 300)을 해체하는 방법을 다음 문단에서 설명할 것이다.
이제 도 1a 및 도 3c를 참조하여, 드롭헤드 유닛(102)의 웨지(121)를 두들겨, 1차 및 2차 빔과 함께 플라이플레이트 튜브(126)를 하강시킨다. 그 후, 외팔보 격자(110)의 다수의 2차 빔(106A) 각각의 단부는 1차 빔(104A)으로부터 분리된다. 유사하게, 2차 빔(106A)의 타 단부가 다른 1차 빔(104B)으로부터 분리되어 외팔보 격자(110)를 해체한다. 그 후, 표준 격자(110)의 다수의 2차 빔(106B) 각각의 단부는 1차 빔(104B)으로부터 분리되며, 단부들은 1차 빔(104C)으로부터 분리되어 표준 격자(110)를 해체한다.
나아가, 1차 빔(104A)의 일 단부는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제3 부착부(134)로부터 분리된다. 동일 공정이 반복되어 1차 빔(104B)의 일 단부가 다른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제1 부착부(134)로부터 분리된다. 더 나아가, 1차 빔(104C)의 일 단부는 다른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제1 부착부(134)로부터 분리된다. 1차 빔(104C)이 해체되면, 2차 빔(106B)의 단부가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제2 부착부로부터 분리된다.
앞선 설명에서,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0)과 받침대(118)는 패스너를 사용하여 연결된다. 패스너의 사용은 시간 소비적이며, 노동 집약적인 작업이며, 결국 거푸집틀(100)을 구성하는 전체 시간을 증가시킨다. 게다가, 패스너는, 패스너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의 렌치와 같은 특수하며 고 정밀도의 기구를 필요로 한다. 결국, 운영자는 패스너와 이 기구의 재고를 유지해야 한다. 그러한 문제는 퀵 픽스 클램프의 사용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퀵 픽스 클램프(1100)의 예시적인 장비는 도 11a 내지 도 11g에 도시되어 있다. 상세하게도, 도 11a는,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100)을 받침대(118)에 고정하는 퀵 픽스 클램프(1100)를 도시하는 도면에서의 확대를 도시한다. 나아가, 도 11b는, 조립된 퀵 픽스 클램프(1100)의 여러 도면을 도시하는 반면, 도 11c는, 퀵 픽스 클램프(1100)의 구성요소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더 나아가, 도 11d는, 퀵 픽스 클램프(1100)를 사용한 드롭헤드 유닛과 받침대 사이의 결합을 상이한 도면으로 도시한다. 나아가, 도 11e 내지 도 11g는, 퀵 픽스 클램프(1100)를 동작하여 드롭헤드 유닛(102)을 받침대(118)에 고정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퀵 픽스 클램프(1100)는 단일체 유닛이나 동일 유닛 쌍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어느 경우에도, 퀵 픽스 클램프(1100)의 각 유닛은 2-피스 구성요소 설계, 즉 고속-맞물림 메커니즘(1102)과 슬라이더(1104)를 갖는다. 고속-맞물림 메커니즘(1102)은 정상부로서 형성될 수 도 있는 반면, 슬라이더(1104)는 바닥부를 형성한다. 고속-맞물림 메커니즘(1102)은, 멀티-레벨 드롭헤드(102)의 베이스 판(120)을 받침대(118)에 연결하는 스터브 핀(1105)의 쌍을 포함할 수 도 있다. 고속-맞물림 메커니즘(1102) 상의 스터브 핀(1105)의 개수는 드롭헤드 유닛(102) 및 받침대(118) 상의 구멍의 개수에 의존할 수 도 있다. 설치될 때, 스터브 핀(1105)은 드롭헤드 유닛(102)과 받침대(118) 사이의 상대 움직임을 방지한다. 고속-맞물림 메커니즘(1102)은 또한 고속-맞물림 메커니즘(1102)의 하부를 따라 형성되는 스터드(1106)를 포함할 수 도 있다. 스터드(1106)는 더 넓은 헤드와 얇은 샤프트를 갖는다. 설치 동안, 스터드(1106)는 슬라이더(1104)에 대해 움직인다.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속-맞물림 메커니즘(1102)은, 스토브 핀(1105)과 스터드(1106)가 서로 직교하도록 L자 형상 프로파일을 가질 수 도 있다.
게다가, 슬라이더(1104)는 스터드(1106)를 수용하는 웨지 프로파일 슬롯(1107)을 포함할 수 도 있다. 본 개시에 따라, 스터드(1106)는 웨지 프로파일 슬롯(1107) 내부에서 슬라이딩하여 상기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과 상기 받침대(118) 모두가 스터드 핀(1105)에 의해 일시적으로 잠길 때 이들 둘 사이의 타우트니스(tautness)를 변경한다. 웨지 프로파일 슬롯(1107)은 상이한 섹션, 즉 제1 섹션(1107A), 제2 섹션(1107B) 및 1107C을 가질 수 도 있다. 제1 섹션(1107A)은 수직일 수 도 있으며 슬라이드(1104)의 높이의 일부를 따라 연장할 수 도 있다. 제1 섹션(1107A)은, 퀵 픽스 클램프(1100)가 설치되지 않을 때 스터드(1106)가 정착할 수 도 있는 부분이다. 나아가, 제1 섹션(1107A)은 정상 단부와 바닥 단부를 갖는다. 정상 단부는, 스터드(1106)가 일주에 갈 수 있으며 퀵 픽스 클램프(1100)가 그 최대 높이를 갖는 단부이다. 다른 한편으로, 바닥 단부는 제1 섹션(1107A)과 제2 섹션(1107B) 사이의 스터드(1106) 통과 단부이다. 제2 섹션(1107B)은 제1 섹션(1107A)과 제3 섹션(1107C) 사이의 내림 기울기를 갖는다. 기울기는 결국, 스터드(1106)가 제2 섹션(1107B)을 통해 일주할 때 퀵 픽스 클램프(1100)의 전체 높이의 변화를 야기한다. 높이의 변화는 결국 퀵 픽스 클램프(1100)를 조이거나 풀 수 있다. 예시한 예에서, 제1 섹션(1107A)과 제2 섹션(1107B)의 폭은, 스터드가 웨지 프로파일 슬롯(1107)으로부터 제거하지 않도록 스터드(1106)의 헤드의 직경 미만이다.
제3 섹션(1107C)은 슬라이더(1104)의 단부 중 하나에서 형성된다. 제3 섹션(1107C)은 제2 섹션(1107B)에 연결되며, 스터드(1106)의 직경보다 큰 폭을 가질 수도 있다. 더 넓은 제3 섹션(1107C)으로 인해 웨지(1107)에서 스터드(1106)를 설치할 수 있다. 제3 섹션(1107C)은 또한 제3 섹션(1107C)에 볼트 연결된 리미터(1109)를 포함한다. 리미터(1109)는 제3 섹션(1107C)의 폭을 감소시켜, 스터드(1106)가 설치되면 제3 섹션(1107C)으로부터의 스터드(1106)의 제거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슬라이더(1104)는 또한 웨지 프로파일 슬롯(1107)의 양 측 상에서 헤더(1110)를 포함할 수 도 있다. 헤더(1110)로 인해 운영자는 슬라이더(1104)를 두들겨 퀵 픽스 클램프(1100)를 조이거나 풀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라, 슬라이더(1104)는, 슬라이더(1104)의 움직임이 고속-맞물림 메커니즘(1102)이 조여지거나 풀리게 하는 방식으로 고속-맞물림 메커니즘(1102)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다. 조이거나 풀림은 슬라이더(1104)를 간단히 슬라이딩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으므로, 받침대(118) 상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102)의 장착이나 분해(demounting)는 신속하게 실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동작은, 볼트와 너트와 같은 패스너를 사용하여 베이스 판(120)을 받침대(118)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가능하지 않았을 것이다.
이제 도 11e를 참조하여, 드롭헤드 유닛(102)은, 베이스 판(120)과 받침대(118)의 구멍이 정렬되도록, 받침대(118) 상에 놓일 수 도 있다. 그 이후, 퀵 픽스 클램프(1100)는, 스터드 핀(1105)이 구멍과 정렬되도록, 정렬될 수 도 있다. 명백히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퀵 픽스 클램프(1100) 쌍이 사용된다. 정렬되면, 스터드 핀(1105)은 도 1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에 삽입된다. 마지막으로, 운영자는 헤더(1110)를 두들겨, 스터드(1106)가 제2 섹션(1107B)에서 슬라이딩하게 할 수 도 있다. 스터드(1106)의 슬라이딩은 퀵 픽스 클램프(1100)의 높이를 감소시켜 결국 퀵 픽스 클램프(1100)를 조인다. 운영자는, 최대 타우트니스가 달성될 때까지 헤더(1110)를 계속 두들겨 스터드(1106)는 더는 슬라이딩하는 것을 정지한다. 스터드(1106)가 슬라이딩하는 것을 정지하면, 도 11g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롭헤드 유닛(102)은 받침대(118)에 고정된다.
동일 공정이 거꾸로 행해져 드롭헤드 유닛(102)을 받침대(118)로부터 분리한다.
특정 언어가 본 개시를 기재하는데 사용되었지만, 그로 인해 발생한 임의의 제한은 의도한 것은 아니다. 당업자에게 자명할 바와 같이, 여러 작업 수정이 이 방법에 이뤄질 수 도 있어서 본 발명의 개념을 본 명세서에서 교시한 대로 구현할 수 도 있다. 도면 및 앞선 설명은 실시예의 구체예를 제공한다. 당업자는 기재한 요소 중 하나 이상이 단일 기능 요소로 잘 조합될 수 도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대안적으로, 특정 요소는 복수의 기능 요소로 분할될 수 도 있다. 일실시예로부터의 요소는 다른 실시예에 추가될 수 도 있다.
Claims (41)
1차 빔(104)과 2차 빔(106)을 동일 레벨에서 결합함으로써 표준 격자(108)를 형성하며; 상기 1차 빔(104)을 상기 2차 빔(106)과 상이한 레벨에서 결합함으로써 외팔보(cantilever) 격자(110)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거푸집틀(100, 200, 300)용 멀티-레벨 드롭헤드(drophead) 유닛(102)으로서,
베이스 판(120);
상기 베이스 판(120)에 직각으로 부착되는 스템(stem)(124); 및
상기 스템(124)의 일부분 상에 장착되는 슬라이딩 가능한 플라이플레이트(flyplate)(126)로서,
상기 플라이플레이트(126)의 주연부 상에 형성되며 1차 빔(104)과 2차 빔(106)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제1 부착부(128) 쌍; 및
상기 플라이플레이트(126)의 주연부 상에 형성되며 상기 1차 빔(104)과 상기 2차 빔(106)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제2 부착부(128) 쌍 및 제3 부착부(134) 쌍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부착부(128) 및 상기 제1 부착부(128) 쌍은 제1 레벨에서 동일 평면이며, 상기 제3 부착부(134)는 제2 레벨에 위치지정되는, 상기 플라이플레이트(126)를 포함하는,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
베이스 판(120);
상기 베이스 판(120)에 직각으로 부착되는 스템(stem)(124); 및
상기 스템(124)의 일부분 상에 장착되는 슬라이딩 가능한 플라이플레이트(flyplate)(126)로서,
상기 플라이플레이트(126)의 주연부 상에 형성되며 1차 빔(104)과 2차 빔(106)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제1 부착부(128) 쌍; 및
상기 플라이플레이트(126)의 주연부 상에 형성되며 상기 1차 빔(104)과 상기 2차 빔(106)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제2 부착부(128) 쌍 및 제3 부착부(134) 쌍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부착부(128) 및 상기 제1 부착부(128) 쌍은 제1 레벨에서 동일 평면이며, 상기 제3 부착부(134)는 제2 레벨에 위치지정되는, 상기 플라이플레이트(126)를 포함하는,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벨은 상위 레벨이고, 상기 제2 레벨은 하위 레벨이며, 상기 상위 레벨은 상기 베이스 판(120)에 관해 상기 하위 레벨보다 상기 베이스 판(120)에 관해 더 높은 고도에 있는,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템(124)에 결합되는 정상 부재(129)를 포함하는,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상 부재(129)에 결합되는 드롭헤드 어댑터(136)를 포함하는,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부(128), 상기 제2 부착부(128) 및 상기 제3 부착부(134) 각각은 후크와 슬롯 중 하나인,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
청구항 4에 있어서, 제3 레벨에서 플라이플레이트 튜브(126) 상에 부착되는 제5 부착부 쌍과 제6 부착부 쌍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레벨은 상기 제2 레벨 위이며 상기 제1 레벨 아래인,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부(128), 상기 제2 부착부(128) 및 상기 제3 부착부(134) 각각은 이중벽 후크인,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중벽 후크는, 상기 1차 빔(104)의 이중벽 후크(104 내지 108)의 측벽 쌍 사이에 형성된 공동에서 끼워지도록 되어 있는 외벽(806) 쌍을 포함하는,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
청구항 1에 있어서, 플라이플레이트 튜브(126)를 상기 스템(124)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웨지(121)를 포함하며, 상기 웨지(121)는, 상기 플라이플레이트(126)를 상기 스템(124)에 관해 푸는 방향(a direction of loosening)을 나타내는 노우즈(nose)(151)를 포함하는,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템(124)은,
상기 스템(124)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스토퍼 판(133); 및
상기 스토퍼 판(133)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슬릿(143)을 포함하는,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
상기 스템(124)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스토퍼 판(133); 및
상기 스토퍼 판(133)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슬릿(143)을 포함하는,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
청구항 1에 있어서, 플라이플레이트 튜브는,
격자용 스테빌라이저 튜브가 되도록 되어 있는 제1 정상부;
상기 제1 레벨과 상기 제2 레벨을 분리하도록 되어 있는 제2 바닥부;
상기 플라이플레이트 튜브(126)의 제1 정상부와 제2 바닥부 사이에 부착되어 상기 제1 레벨을 규정하는 정상 판(130);
상기 정상 판(130)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상기 플라이플레이트 튜브(126)를 둘러싸며 상기 제2 레벨을 규정하는 바닥 판(135)을 포함하는,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
격자용 스테빌라이저 튜브가 되도록 되어 있는 제1 정상부;
상기 제1 레벨과 상기 제2 레벨을 분리하도록 되어 있는 제2 바닥부;
상기 플라이플레이트 튜브(126)의 제1 정상부와 제2 바닥부 사이에 부착되어 상기 제1 레벨을 규정하는 정상 판(130);
상기 정상 판(130)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상기 플라이플레이트 튜브(126)를 둘러싸며 상기 제2 레벨을 규정하는 바닥 판(135)을 포함하는,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
청구항 8에 있어서, 후크 지점(128) 각각은 수평 브레이싱(701), 와인드 클립 및 체인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구멍(131)을 갖는,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
청구항 1에 있어서, 웨지(121), 스템(124) 및 플라이 튜브(126)는 볼트를 사용하여 탈착 가능한 정상 부재(129)에 고정되어 상기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0)의 후-갈바니제이션(galvanization) 용접을 방지하는,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
거푸집틀 격자 시스템(100, 200, 300)으로서,
다수의 받침대(118),
다수의 1차 빔(104),
다수의 2차 빔(106); 및
상기 다수의 받침대(118) 상에 장착되며 상기 다수의 1차 빔(104)과 상기 다수의 2차 빔(106)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표준 격자(108)와 외팔보 격자(110)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다수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으로서, 각각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은,
상기 다수의 받침대(118) 중 하나의 받침대(118)에 결합되는 베이스 판(120);
상기 베이스 판(120)에 직각으로 부착되는 스템(124); 및
상기 스템(124)의 일부분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딩 가능한 플라이플레이트(126)로서,
상기 플라이플레이트(126)의 주연부 상에 형성되며 1차 빔(104)과 2차 빔(106)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제1 부착부(128) 쌍; 및
상기 플라이플레이트(126)의 주연부 상에 형성되며 상기 1차 빔(104)과 상기 2차 빔(106)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제3 부착부(134) 쌍과 제2 부착부(128)를 갖는 플랜지(130) 쌍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착부(128) 쌍과 상기 제2 부착부(128)는 제1 레벨에서 동일 평면이며, 상기 제3 부착부(134)는 제2 레벨에 위치지정되는, 상기 플라이플레이트(126)를 포함하는 상기 다수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을 포함하는, 거푸집틀 격자 시스템(100, 200, 300).
다수의 받침대(118),
다수의 1차 빔(104),
다수의 2차 빔(106); 및
상기 다수의 받침대(118) 상에 장착되며 상기 다수의 1차 빔(104)과 상기 다수의 2차 빔(106)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표준 격자(108)와 외팔보 격자(110)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다수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으로서, 각각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은,
상기 다수의 받침대(118) 중 하나의 받침대(118)에 결합되는 베이스 판(120);
상기 베이스 판(120)에 직각으로 부착되는 스템(124); 및
상기 스템(124)의 일부분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딩 가능한 플라이플레이트(126)로서,
상기 플라이플레이트(126)의 주연부 상에 형성되며 1차 빔(104)과 2차 빔(106)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제1 부착부(128) 쌍; 및
상기 플라이플레이트(126)의 주연부 상에 형성되며 상기 1차 빔(104)과 상기 2차 빔(106)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제3 부착부(134) 쌍과 제2 부착부(128)를 갖는 플랜지(130) 쌍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착부(128) 쌍과 상기 제2 부착부(128)는 제1 레벨에서 동일 평면이며, 상기 제3 부착부(134)는 제2 레벨에 위치지정되는, 상기 플라이플레이트(126)를 포함하는 상기 다수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을 포함하는, 거푸집틀 격자 시스템(100, 200, 300).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표준 격자(108)는 제1 외장 부재(112)를 갖고;
상기 외팔보 격자(110)는 제2 외장 부재(114)를 가지며,
상기 제1 외장 부재(112)와 상기 제2 외장 부재(114)는 상기 1차 빔(104)과 상기 2차 빔(106) 위에서 수평 표면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거푸집틀 격자 시스템(100, 200, 300).
상기 표준 격자(108)는 제1 외장 부재(112)를 갖고;
상기 외팔보 격자(110)는 제2 외장 부재(114)를 가지며,
상기 제1 외장 부재(112)와 상기 제2 외장 부재(114)는 상기 1차 빔(104)과 상기 2차 빔(106) 위에서 수평 표면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거푸집틀 격자 시스템(100, 200, 300).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표준 격자(108)는,
상기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에 상기 제1 레벨에서 결합되는 상기 다수의 1차 빔(104) 중 제1 1차 빔(104-B);
다른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에 상기 제1 레벨에서 결합되는 상기 다수의 2차 빔(106) 중 제2 1차 빔(104-C); 및
상기 1차 빔(106C)의 공동(104-4)에 설치된 2차 빔(106B)의 단부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2차 빔의 타 단부 후크가 상기 1차 빔(106B)의 공동(104-4)에 설치되는, 거푸집틀 격자 시스템(100, 200, 300).
상기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에 상기 제1 레벨에서 결합되는 상기 다수의 1차 빔(104) 중 제1 1차 빔(104-B);
다른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에 상기 제1 레벨에서 결합되는 상기 다수의 2차 빔(106) 중 제2 1차 빔(104-C); 및
상기 1차 빔(106C)의 공동(104-4)에 설치된 2차 빔(106B)의 단부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2차 빔의 타 단부 후크가 상기 1차 빔(106B)의 공동(104-4)에 설치되는, 거푸집틀 격자 시스템(100, 200, 300).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외팔보 격자(110)는,
상기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에 상기 제1 레벨에서 결합되는 1차 빔(104B); 및
다른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에 하위 레벨에서 부착되는 다른 1차 빔(104-A)을 포함하며;
상기 2차 빔(106)의 단부 후크(106-1)가 상기 1차 빔(104-B)의 공동(104-4)에 설치되며, 상기 2차 빔(106)의 타 단부가 하위 1차 빔(104-A) 상에 놓이며,
상기 2차 빔(106)의 오버행(overhang)이 상기 외팔보 격자(110)의 길이를 규정하며, 상기 2차 빔(106)의 단부 후크(106-1)의 면(106-9)이 상기 공동(104-4)의 상부 표면과 잠기는, 거푸집틀 격자 시스템(100, 200, 300).
상기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에 상기 제1 레벨에서 결합되는 1차 빔(104B); 및
다른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에 하위 레벨에서 부착되는 다른 1차 빔(104-A)을 포함하며;
상기 2차 빔(106)의 단부 후크(106-1)가 상기 1차 빔(104-B)의 공동(104-4)에 설치되며, 상기 2차 빔(106)의 타 단부가 하위 1차 빔(104-A) 상에 놓이며,
상기 2차 빔(106)의 오버행(overhang)이 상기 외팔보 격자(110)의 길이를 규정하며, 상기 2차 빔(106)의 단부 후크(106-1)의 면(106-9)이 상기 공동(104-4)의 상부 표면과 잠기는, 거푸집틀 격자 시스템(100, 200, 300).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2차 빔(106) 중 하나의 정상 표면 상에서 드롭헤드 어댑터(136)에 인접하게 위치지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2차 빔 어댑터(116)를 포함하며, 상기 2차 빔 어댑터(116)는 제1 플랜지(502-1), 제2 플랜지(502-2) 및 정상 표면(506)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랜지(402-1) 및 상기 제2 플랜지(402-2)는 제1 외장 부재(112)의 바닥 표면(112-1)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거푸집틀 격자 시스템(200).
상기 2차 빔(106) 중 하나의 정상 표면 상에서 드롭헤드 어댑터(136)에 인접하게 위치지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2차 빔 어댑터(116)를 포함하며, 상기 2차 빔 어댑터(116)는 제1 플랜지(502-1), 제2 플랜지(502-2) 및 정상 표면(506)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랜지(402-1) 및 상기 제2 플랜지(402-2)는 제1 외장 부재(112)의 바닥 표면(112-1)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거푸집틀 격자 시스템(200).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1차 빔(104) 중 하나의 정상에 위치지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로져 빔(301)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로져 빔(116)은, 제1 외장 부재(112)와 제2 외장 부재(114) 중 하나의 정상 표면(112-2) 상에 정착하도록 되어 있는 바닥 표면(502-3, 502-4)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502-1, 502-2)를 포함하는, 거푸집틀 격자 시스템(300).
상기 1차 빔(104) 중 하나의 정상에 위치지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로져 빔(301)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로져 빔(116)은, 제1 외장 부재(112)와 제2 외장 부재(114) 중 하나의 정상 표면(112-2) 상에 정착하도록 되어 있는 바닥 표면(502-3, 502-4)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502-1, 502-2)를 포함하는, 거푸집틀 격자 시스템(30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클로져 빔(301)의 양 측(504) 상의 플랜지(502-1, 502-2)는, 상기 플랜지(502-1, 502-2)의 바닥 표면(502-3, 502-4) 아래에서 상기 제1 외장 부재(112)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외장 부재(112)는 그 위에 타설된(poured) 콘크리트를 홀딩하도록 되어 있는, 거푸집틀 격자 시스템(300).
청구항 13에 있어서, 2차 빔 어댑터(116)의 두께가 제1 외장 부재(112)와 제2 외장 부재(114)의 두께에 따르며, 그리하여 상기 제1 외장 부재(112)와 상기 제2 외장 부재(114)의 상이한 두께의 선택이 가능하게 되는, 거푸집틀 격자 시스템(200).
청구항 13에 있어서, 클로져 빔(301)의 두께가 제1 외장 부재(112)와 제2 외장 부재(114)의 두께를 기반으로 하는, 거푸집틀 격자 시스템(300).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1차 빔(104)은,
상기 1차 빔(104)의 종방향 측을 따르며, 상기 2차 빔(106)의 단부 후크(106-1)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공동(104-4);
상기 1차 빔(104)의 각 종방향 측 상에서 상기 공동(104-4)의 경계를 규정하는 립(104-1); 및
상기 1차 빔(104)의 양 단부 상의 이중 벽 단부 후크(104-8) 쌍을 포함하는, 거푸집틀 격자 시스템(100, 200, 300).
상기 1차 빔(104)의 종방향 측을 따르며, 상기 2차 빔(106)의 단부 후크(106-1)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공동(104-4);
상기 1차 빔(104)의 각 종방향 측 상에서 상기 공동(104-4)의 경계를 규정하는 립(104-1); 및
상기 1차 빔(104)의 양 단부 상의 이중 벽 단부 후크(104-8) 쌍을 포함하는, 거푸집틀 격자 시스템(100, 200, 300).
청구항 23에 있어서, 이중 벽 후크(104-7) 각각은,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그 사이에 테이퍼링된 갭을 형성하여, 상기 제1 부착부(128), 상기 제2 부착부(128) 및 상기 제3 부착부(134) 중 하나를 수용하는 혼(702) 쌍을 포함하며,
상기 혼(702) 쌍의 바닥부에서 상기 갭의 폭(G2)은 상기 혼(702) 쌍의 정상부에서 상기 갭의 폭(G1)보다 큰, 거푸집틀 격자 시스템(100, 200, 300).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그 사이에 테이퍼링된 갭을 형성하여, 상기 제1 부착부(128), 상기 제2 부착부(128) 및 상기 제3 부착부(134) 중 하나를 수용하는 혼(702) 쌍을 포함하며,
상기 혼(702) 쌍의 바닥부에서 상기 갭의 폭(G2)은 상기 혼(702) 쌍의 정상부에서 상기 갭의 폭(G1)보다 큰, 거푸집틀 격자 시스템(100, 200, 300).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이중 벽 단부 후크(104-8) 각각은,
그 사이에 공동을 형성하는 내표면(804)을 가지며, 상기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후크(128, 134)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측벽(802) 쌍으로서, 상기 내표면(804)은 상기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후크(128)의 외벽(806)과 상호동작하여 상기 1차 빔(104)이 상기 드롭헤드 유닛(102)에 대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측벽(802) 쌍; 및
상기 측벽(802)의 단부로부터 연장하며, 상기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스태빌라이저 튜브(126-1)의 외표면과 접하여, 상기 1차 빔(104)이 상기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에 대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전방벽(808)을 포함하는, 거푸집틀 격자 시스템(100, 200, 300).
그 사이에 공동을 형성하는 내표면(804)을 가지며, 상기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후크(128, 134)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측벽(802) 쌍으로서, 상기 내표면(804)은 상기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후크(128)의 외벽(806)과 상호동작하여 상기 1차 빔(104)이 상기 드롭헤드 유닛(102)에 대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측벽(802) 쌍; 및
상기 측벽(802)의 단부로부터 연장하며, 상기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스태빌라이저 튜브(126-1)의 외표면과 접하여, 상기 1차 빔(104)이 상기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에 대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전방벽(808)을 포함하는, 거푸집틀 격자 시스템(100, 200, 300).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2차 빔(106)은,
프로파일의 종방향 측을 따라 연장하며, 제1 외장 부재(112)와 제2 외장 부재(114)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정상 플랜지(106-2) 쌍을 갖는 본체;
상기 프로파일의 종방향 측을 따라 연장하며 상기 정상 플랜지(106-2) 쌍 사이에 개삽되는, 네일링 인서트(106-3);
미리 규정된 배향으로 공동(104-4) 내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는 자체-회전 로크(106-1)로서, 상기 자체-회전 로크(106-11, 106-12)는 상기 공동(104-4) 내부에서 상기 미리 규정된 배향으로부터 회전하여 상기 자체-회전 로크(106-11, 106-12)를 상기 공동(104-4)에서 고정하는, 상기 자체-회전 로크(106-1);
상기 자체-회전 로크(106-1)에 인접하며, 상기 1차 빔(104)의 공동(104-4)의 립(104-1)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는 후크(106-10); 및
상기 2차 빔(106)의 본체를 따라 미리 결정된 갭에서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홀딩하는 다수의 슬롯(106-5)으로서, 각각의 슬롯(106-5)은 돌출부를 갖는 폴리머 캡(106-6)을 포함하는, 상기 다수의 슬롯(106-5)을 포함하는, 거푸집틀 격자 시스템(100, 200, 300).
프로파일의 종방향 측을 따라 연장하며, 제1 외장 부재(112)와 제2 외장 부재(114)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정상 플랜지(106-2) 쌍을 갖는 본체;
상기 프로파일의 종방향 측을 따라 연장하며 상기 정상 플랜지(106-2) 쌍 사이에 개삽되는, 네일링 인서트(106-3);
미리 규정된 배향으로 공동(104-4) 내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는 자체-회전 로크(106-1)로서, 상기 자체-회전 로크(106-11, 106-12)는 상기 공동(104-4) 내부에서 상기 미리 규정된 배향으로부터 회전하여 상기 자체-회전 로크(106-11, 106-12)를 상기 공동(104-4)에서 고정하는, 상기 자체-회전 로크(106-1);
상기 자체-회전 로크(106-1)에 인접하며, 상기 1차 빔(104)의 공동(104-4)의 립(104-1)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는 후크(106-10); 및
상기 2차 빔(106)의 본체를 따라 미리 결정된 갭에서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홀딩하는 다수의 슬롯(106-5)으로서, 각각의 슬롯(106-5)은 돌출부를 갖는 폴리머 캡(106-6)을 포함하는, 상기 다수의 슬롯(106-5)을 포함하는, 거푸집틀 격자 시스템(100, 200, 300).
거푸집틀 격자 시스템(100, 200, 300)을 세우는 방법으로서,
제1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 제2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 및 제3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을 포함하는 다수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을 다수의 받침대 상에 장착하는 단계;
1차 빔(104C)을 상기 제1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제1 부착부(128)에, 1차 빔(104B)을 상기 제2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제1 부착부(128)에, 및 1차 빔(104C)을 상기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제3 부착부(134)에 결합하는 단계; 및
다수의 2차 빔(106B)을 상기 1차 빔(104C)에 결합하여 표준 격자(108)를 형성하며, 다수의 2차 빔(106A)을 상기 1차 빔(104C)에 결합하여 외팔보 격자(11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제1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 제2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 및 제3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을 포함하는 다수의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을 다수의 받침대 상에 장착하는 단계;
1차 빔(104C)을 상기 제1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제1 부착부(128)에, 1차 빔(104B)을 상기 제2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제1 부착부(128)에, 및 1차 빔(104C)을 상기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제3 부착부(134)에 결합하는 단계; 및
다수의 2차 빔(106B)을 상기 1차 빔(104C)에 결합하여 표준 격자(108)를 형성하며, 다수의 2차 빔(106A)을 상기 1차 빔(104C)에 결합하여 외팔보 격자(11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외팔보 격자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1차 빔(104B)을 제1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 쌍의 제1 부착부(128)에, 상기 1차 빔(104A)을 제2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 쌍의 제3 부착부(134)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2차 빔(106)의 일 단부 후크(106-1)를 상기 1차 빔(104B)의 공동(104-4)에 삽입함으로써 다수의 2차 빔(106A)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2차 빔(106A)의 외팔보 단부를 상기 1차 빔(104A)의 정상 표면(104-2) 상에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 쌍 사이에서 다수의 2차 빔(106)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상기 1차 빔(104B)을 제1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 쌍의 제1 부착부(128)에, 상기 1차 빔(104A)을 제2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 쌍의 제3 부착부(134)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2차 빔(106)의 일 단부 후크(106-1)를 상기 1차 빔(104B)의 공동(104-4)에 삽입함으로써 다수의 2차 빔(106A)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2차 빔(106A)의 외팔보 단부를 상기 1차 빔(104A)의 정상 표면(104-2) 상에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 쌍 사이에서 다수의 2차 빔(106)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표준 격자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1차 빔(104B)을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 쌍의 제1 부착부(128)에, 상기 1차 빔(104C)을 제2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 쌍의 제1 부착부(128)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1차 빔(104B 및 104C) 쌍 사이에 다수의 2차 빔(106B)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 쌍 사이에 다수의 2차 빔(106)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상기 1차 빔(104B)을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 쌍의 제1 부착부(128)에, 상기 1차 빔(104C)을 제2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 쌍의 제1 부착부(128)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1차 빔(104B 및 104C) 쌍 사이에 다수의 2차 빔(106B)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 쌍 사이에 다수의 2차 빔(106)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청구항 27에 있어서,
제1 외장 부재(112)를 다수의 2차 빔(106B) 위에, 및 제2 외장 부재(114)를 다수의 2차 빔(106A) 위에 놓는 단계로서, 상기 제1 외장 부재(112)의 고도는 상기 제2 외장 부재(114)의 고도와 동일한, 방법.
제1 외장 부재(112)를 다수의 2차 빔(106B) 위에, 및 제2 외장 부재(114)를 다수의 2차 빔(106A) 위에 놓는 단계로서, 상기 제1 외장 부재(112)의 고도는 상기 제2 외장 부재(114)의 고도와 동일한, 방법.
청구항 27에 있어서,
2차 빔 어댑터(116)를 상기 2차 빔(106C)의 정상 표면 상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2차 빔 어댑터(116)는 제1 플랜지(402-1)와 제2 플랜지(402-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랜지(402-1)와 상기 제2 플랜지(402-2)는 상기 제1 외장 부재(112)의 바닥 표면(112-1)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방법.
2차 빔 어댑터(116)를 상기 2차 빔(106C)의 정상 표면 상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2차 빔 어댑터(116)는 제1 플랜지(402-1)와 제2 플랜지(402-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랜지(402-1)와 상기 제2 플랜지(402-2)는 상기 제1 외장 부재(112)의 바닥 표면(112-1)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방법.
청구항 27에 있어서,
클로져 빔(301)을 상기 1차 빔(104)의 정상 표면(104-3) 상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클로져 빔(301)은 바닥 표면(502-3)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502-1, 502-2)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 표면(502-4)은 제1 외장 부재(112)의 정상 표면(112-2)을 수용하는, 방법.
클로져 빔(301)을 상기 1차 빔(104)의 정상 표면(104-3) 상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클로져 빔(301)은 바닥 표면(502-3)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502-1, 502-2)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 표면(502-4)은 제1 외장 부재(112)의 정상 표면(112-2)을 수용하는, 방법.
그 위의 경화된 콘크리트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표준 격자(108) 및 외팔보 격자(110)를 포함하는 거푸집틀 격자 시스템(100, 200, 300)을 해체하는 방법으로서,
각 드롭헤드 유닛(102)의 웨지(121)를 두들겨 각 드롭헤드 유닛(102)의 플라이프렐이트 튜브(126)를 다수의 1차 빔(104A, 104B, 104C) 및 다수의 2차 빔(106A)과 함께 하강시키는 단계;
상기 외팔보 격자(110)의 다수의 2차 빔(106A) 각각의 일 단부를 1차 빔(104A)으로부터, 다른 단부를 다른 1차 빔(104B)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외팔보 격자(110)를 해체하는 단계;
상기 표준 격자(108)의 다수의 2차 빔(106B) 각각의 일 단부를 1차 빔(104B)으로부터, 다른 단부를 다른 1차 빔(104C)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표준 격자(108)를 해체하는 단계;
1차 빔(104A)의 일 단부를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제3 부착부(134)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1차 빔(104B)의 일 단부를 다른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제1 부착부(134)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1차 빔(104C)의 일 단부를 다른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제1 부착부(134)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2차 빔(106B) 중에서 2차 빔(106B)의 단부를 상기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제2 부착부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 부착부(128)와 제2 부착부(128) 쌍은 제1 레벨에서 동일 평면이며, 상기 제3 부착부(134)는 제2 레벨에서 위치지정되는, 방법.
각 드롭헤드 유닛(102)의 웨지(121)를 두들겨 각 드롭헤드 유닛(102)의 플라이프렐이트 튜브(126)를 다수의 1차 빔(104A, 104B, 104C) 및 다수의 2차 빔(106A)과 함께 하강시키는 단계;
상기 외팔보 격자(110)의 다수의 2차 빔(106A) 각각의 일 단부를 1차 빔(104A)으로부터, 다른 단부를 다른 1차 빔(104B)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외팔보 격자(110)를 해체하는 단계;
상기 표준 격자(108)의 다수의 2차 빔(106B) 각각의 일 단부를 1차 빔(104B)으로부터, 다른 단부를 다른 1차 빔(104C)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표준 격자(108)를 해체하는 단계;
1차 빔(104A)의 일 단부를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제3 부착부(134)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1차 빔(104B)의 일 단부를 다른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제1 부착부(134)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1차 빔(104C)의 일 단부를 다른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제1 부착부(134)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2차 빔(106B) 중에서 2차 빔(106B)의 단부를 상기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제2 부착부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 부착부(128)와 제2 부착부(128) 쌍은 제1 레벨에서 동일 평면이며, 상기 제3 부착부(134)는 제2 레벨에서 위치지정되는, 방법.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을 받침대(118)에 고정하기 위한 거푸집틀 격자 시스템(100, 200, 300)용 퀵 픽스(quick fix) 클램프(1100)로서,
상기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바닥판(120)을 상기 받침대(118)에 연결하도록 되어 있는 스터드 핀(1105) 쌍과 스터드(1106)를 포함하는 고속-맞물림 메커니즘(1102); 및
상기 스터드(1106)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웨지 프로파일 슬롯(1107)을 갖는 슬라이더(1104)로서, 상기 스터드(1106)는 웨지(1107) 내부에서 슬라이딩하여 상기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바닥판(120)과 상기 받침대(118) 사이의 타우트니스(tautness)를 변경하도록 되어 있는, 상기 슬라이더(1104)를 포함하는, 퀵 픽스 클램프(1100).
상기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바닥판(120)을 상기 받침대(118)에 연결하도록 되어 있는 스터드 핀(1105) 쌍과 스터드(1106)를 포함하는 고속-맞물림 메커니즘(1102); 및
상기 스터드(1106)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웨지 프로파일 슬롯(1107)을 갖는 슬라이더(1104)로서, 상기 스터드(1106)는 웨지(1107) 내부에서 슬라이딩하여 상기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의 바닥판(120)과 상기 받침대(118) 사이의 타우트니스(tautness)를 변경하도록 되어 있는, 상기 슬라이더(1104)를 포함하는, 퀵 픽스 클램프(1100).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웨지 프로파일 슬롯(1107)은,
상기 슬라이더(1104)의 높이의 일부를 따라 연장하며 정상 단부와 바닥 단부를 갖는 제1 섹션(1107A);
상기 제1 섹션(1107A)의 바닥 단부로부터 상기 슬라이더(1104)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제2 섹션(1107B)으로서, 상기 제2 섹션(1107B)은 상기 바닥 단부로부터 아래로 기울어진, 상기 제2 섹션(1107B); 및
상기 제2 단부(1107B)로부터 연장하며 상기 스터드(1106)를 상기 웨지 프로파일 슬롯(1107)에 삽입하도록 되어 있는 제3 섹션(1107C)을 포함하는, 퀵 픽스 클램프(1100).
상기 슬라이더(1104)의 높이의 일부를 따라 연장하며 정상 단부와 바닥 단부를 갖는 제1 섹션(1107A);
상기 제1 섹션(1107A)의 바닥 단부로부터 상기 슬라이더(1104)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제2 섹션(1107B)으로서, 상기 제2 섹션(1107B)은 상기 바닥 단부로부터 아래로 기울어진, 상기 제2 섹션(1107B); 및
상기 제2 단부(1107B)로부터 연장하며 상기 스터드(1106)를 상기 웨지 프로파일 슬롯(1107)에 삽입하도록 되어 있는 제3 섹션(1107C)을 포함하는, 퀵 픽스 클램프(1100).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제3 섹션(1107C)은, 상기 웨지 프로파일 슬롯(1107)으로부터 상기 스터드의 제거(dislodgement)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리미터(1109)를 포함하는, 퀵 픽스 클램프(1100).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제1 섹션(1107A)과 상기 제2 섹션(1107B)에서 상기 웨지 프로파일 슬롯(1107)의 폭이 상기 스터드(1106)의 헤드(1111)의 직경 미만인, 퀵 픽스 클램프(1100).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제3 섹션(1107C)에서 상기 웨지 프로파일 슬롯(1107)의 폭이 상기 스터드(1106)의 헤드(1111)의 직경보다 큰, 퀵 픽스 클램프(1100).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104)는 상기 슬라이더(1104)의 양측 상에 헤더(1110)를 포함하여 두들김 충격을 수용하는, 퀵 픽스 클램프(1100).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1106)는 헤드(1111)와 샤프트(1112)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1112)의 직경은 상기 제1 섹션(1107A), 상기 제2 섹션(1107B) 및 상기 제3 섹션(1107C)에서 웨지(1107)의 폭보다 작은, 퀵 픽스 클램프(1100).
청구항 40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 핀(1105)에 의해 상기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을 상기 받침대(118)에 연결하면, 두드림 충격은 상기 헤더(1110)에 의해 수용되며, 상기 두드림 충격은 상기 고속-맞물림 메커니즘(1102)을 상기 멀티-레벨 드롭헤드 유닛(102) 및 상기 받침대(118)에 잠그는, 퀵 픽스 클램프(110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IN202111034969 | 2021-08-03 | ||
IN202111034969 | 2021-08-03 | ||
IN202111049578 | 2021-10-29 | ||
IN202111049578 | 2021-10-29 | ||
IN202211011077 | 2022-03-01 | ||
IN202211011077 | 2022-03-01 | ||
PCT/IB2022/057182 WO2023012675A2 (en) | 2021-08-03 | 2022-08-03 | Grid beam system for slab formwor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42008A true KR20240042008A (ko) | 2024-04-01 |
Family
ID=83149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7007163A KR20240042008A (ko) | 2021-08-03 | 2022-08-03 | 슬라브 거푸집틀용 격자 빔 시스템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344342A1 (ko) |
EP (1) | EP4381151A2 (ko) |
KR (1) | KR20240042008A (ko) |
CA (1) | CA3228107A1 (ko) |
MX (1) | MX2024001686A (ko) |
WO (1) | WO2023012675A2 (ko)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1457136A (en) * | 1973-09-21 | 1976-12-01 | Mills Scaffold Co Ltd | Builders formwork |
GB2262562B (en) * | 1991-12-20 | 1994-10-19 | Sgb Holdings Ltd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horing system |
EP1944430B1 (en) * | 2005-02-23 | 2010-07-21 | ULMA C y E, S. COOP. | Peripheral slab formwork system |
DE102010001042B4 (de) * | 2010-01-20 | 2012-03-01 | Doka Industrie Gmbh | Fallkopf für ein Deckenschalungssystem und Deckenschalungssystem |
ES2561907B1 (es) * | 2014-08-27 | 2016-12-07 | Encofrados J. Alsina, S.A. | Accesorio nivelador para mantener el nivel de un panel horizontal de encofrado y sistema de encofrado que lo comprende |
US10024069B2 (en) * | 2014-09-02 | 2018-07-17 | Concrete Support Systems | Construction prop assembly |
DE102015223772A1 (de) * | 2015-11-30 | 2017-06-01 | Peri Gmbh | Stützenkopf, Deckenstütze mit einem solchen Stützenkopf und Deckenschalung mit einer solchen Deckenstütze |
ES2676603T3 (es) * | 2016-02-02 | 2018-07-23 | ULMA C y E. S. Coop | Encofrado horizontal |
CA3030905A1 (en) * | 2019-01-18 | 2020-07-18 | Brand Shared Services Llc | Formwork system |
EP3719236B1 (de) * | 2019-04-03 | 2022-05-18 | DOKA GmbH | Schalungsstütze, stützeinrichtung und deckenschalung |
ES2978588T3 (es) * | 2019-09-26 | 2024-09-16 | Sist Tecnicos De Encofrados S A | Sistema de soporte para encofrados |
DE102019132222A1 (de) * | 2019-11-27 | 2021-05-27 | Peri Gmbh | Verbindungselement zur Verbindung eines Schalungsunterstützungskopfes mit einer Rohrstütze |
-
2022
- 2022-08-03 MX MX2024001686A patent/MX2024001686A/es unknown
- 2022-08-03 US US18/294,618 patent/US20240344342A1/en active Pending
- 2022-08-03 CA CA3228107A patent/CA3228107A1/en active Pending
- 2022-08-03 WO PCT/IB2022/057182 patent/WO2023012675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08-03 KR KR1020247007163A patent/KR20240042008A/ko unknown
- 2022-08-03 EP EP22761601.8A patent/EP4381151A2/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40344342A1 (en) | 2024-10-17 |
WO2023012675A3 (en) | 2023-04-20 |
MX2024001686A (es) | 2024-03-15 |
WO2023012675A2 (en) | 2023-02-09 |
EP4381151A2 (en) | 2024-06-12 |
CA3228107A1 (en) | 2023-0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12453613U (zh) | 模板支撑系统和用于安装在模板支撑系统中的横梁 | |
US8365484B2 (en) | Connector system for securing an end portion of a steel structural member to a vertical cast concrete member | |
US10407925B2 (en) | Method of installing a formwork support system, formwork support system and longitudinal beam | |
US4211043A (en) | Precast concrete building module form | |
CN111395754B (zh) | 支模支撑系统的实施方法 | |
JP7250712B2 (ja) | バルコニー装置 | |
US20090165408A1 (en) | Construction elements and methods of construction | |
KR20240042008A (ko) | 슬라브 거푸집틀용 격자 빔 시스템 | |
EP3828364A1 (en) | Assembly kit and method for assembling a safety railing, as well as such a safety railing | |
KR102361789B1 (ko) |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가설 지지구 | |
KR102289940B1 (ko) |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 | |
CN117916438A (zh) | 用于平板模板的格栅梁系统 | |
JP2016217126A (ja) | 建設用の地面係合型支持装置 | |
JPH0235951Y2 (ko) | ||
JPH0539155Y2 (ko) | ||
JPH0438039Y2 (ko) | ||
KR20240042939A (ko) | 가설프레임의 작업발판 설치용 지지대 | |
JPS6133173Y2 (ko) | ||
JPH0144867B2 (ko) | ||
US20120079787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Concrete Formwork | |
JPH06167066A (ja) | スラブ形成方法 | |
AU2005254581A1 (en) | Construction elements and methods of construction | |
JPH10121726A (ja) | 建築用根太受金具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