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1240A - 색채활용 도구 - Google Patents

색채활용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1240A
KR20240041240A KR1020230122038A KR20230122038A KR20240041240A KR 20240041240 A KR20240041240 A KR 20240041240A KR 1020230122038 A KR1020230122038 A KR 1020230122038A KR 20230122038 A KR20230122038 A KR 20230122038A KR 20240041240 A KR20240041240 A KR 20240041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color space
representative
cent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2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연선
이지호
Original Assignee
(주)한국색채디자인개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색채디자인개발원 filed Critical (주)한국색채디자인개발원
Priority to PCT/KR2023/01440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063565A1/ko
Publication of KR20240041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124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5/00Means for displaying samples
    • G09F5/04Cards of samples; Books of samples
    • G09F5/042Cards of samples; Books of samples in paper, paperboard,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metry And Color Measurement (AREA)

Abstract

색채활용 도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색채활용 도구는, 하나 이상의 견본판, 및, 페인트들의 조색으로 생성된 대표색의 도료가 상기 하나 이상의 견본판 위에 도장되어 형성되는 색채견본을 포함하고, 상기 대표색은, 한국산업표준에서 지정하는 계통색의 색범위에 포함되며, 상기 계통색의 색범위를 대표하는 색채이다.

Description

색채활용 도구{Tools for using color}
본 발명은, 한국산업표준에서 지정하는 계통색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산업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색채활용 도구에 관한 것이다.
색채는 건축산업, 화학산업, 화장품산업, 도료산업, 제조산업, 디자인 분야, 조명사업 등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폭 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색채에 대한 정확한 소통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기억색, 대비, 연색성 등의 다양한 색채의 특성으로 인하여, 색채에 대하여 작업자간 소통을 할 때에는 물리적으로 색채를 확인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 단순히 관용색 이름 또는 계통색 이름으로 색채에 대한 의사를 전달하는 경우, 실제 결과물에는 오류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한국산업표준에서 지정하는 계통색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산업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색채활용 도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색채활용 도구는, 하나 이상의 견본판, 및, 페인트들의 조색으로 생성된 대표색의 도료가 상기 하나 이상의 견본판 위에 도장되어 형성되는 색채견본을 포함하고, 상기 대표색은, 한국산업표준에서 지정하는 계통색의 색범위에 포함되며, 상기 계통색의 색범위를 대표하는 색채이다.
이 경우 상기 색채활용 도구는, 복수의 색상단계를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견본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견본판은, 상응하는 색상단계에 포함되는 복수의 계통색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색채견본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견본판은, 상응하는 색상단계에 포함되는 복수의 계통색의 색범위들을 나타내는 색공간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색채견본은, 상기 색공간표 상에서, 상응하는 색범위를 나타내는 색공간 내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색공간표는, 국가기술표준원의 KS A 0011에서 제안하는, 색의 3속성에 의한 표시와 계통색 이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색채활용 도구는, 상기 대표색의 먼셀값 및 상기 먼셀값을 다른 색채표기 기준으로 변환한 하나 이상의 색채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색채견본 중 하나 이상의 색채견본의 대표색은, 상응하는 색공간의 중심에 해당하는 색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색채견본 중 하나 이상의 색채견본의 대표색은, 상응하는 색공간이 사각형이 아닌 경우, 상기 사각형이 아닌 색공간을 연장함으로써 생성된 사각형의 제1 중심을 제2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킨 대표지점에 해당하는 색을 가지고, 상기 제2 중심은, 색공간표 내 복수의 중심 중 상기 제1 중심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중심일 수 있다.
한편 제1 색공간의 제1 중심 및 제2 색공간의 제2 중심 간의 제1 거리가, 상기 제1 색공간의 제1 중심 및 제3 색공간의 제3 중심 간의 제2 거리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색공간의 제1 대표색의 제1 대표지점과 상기 제2 색공간의 제2 대표색의 제2 대표지점은 상기 제1 거리보다 더 큰 제2 거리를 가지고, 상기 제1 색공간, 상기 제2 색공간 및 상기 제3 색공간은 색공간표 상에서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색공간은 상기 제1 색공간의 일측에, 상기 제3 색공간은 상기 제1 색공간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색채견본 중 특정 색채견본의 대표색은, 상응하는 색공간이 색공간표 내에서 가장 높은 채도를 가지는 경우, 색공간의 중심에서 좌측으로 이동한 대표지점에 해당하는 색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색채견본 중 특정 색채견본의 대표색은, 상응하는 색공간이, 색공간표 내 가장 낮은 명도를 가지는 색공간들 중에서 가장 높은 채도를 가지는 경우, 색공간의 중심에서 좌측으로 이동한 대표지점에 해당하는 색채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KS A 0011(물체색의 색이름)에서 제안하는, “색의 3속성에 의한 표시와 계통색 이름의 관계”를 나타내는 40개의 부도 중 하나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색채활용 도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색공간표 도구의 견본판, 견본판에 형성되는 색공간표, 색공간표에 형성되는 다수의 색채견본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표색을 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표색의 도료를 생성을 위한 페인트들의 조색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표색의 먼셀값 및 먼셀값을 변환한 색채코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한국산업표준에서는 계통색을 지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국가기술표준원에서 발행한 KS A 0011(물체색의 색이름)에서는, 계통색의 이름을 지정하는 것과 함께, 국가기술표준원에서 발행한 KS A 0062(색의 3속성에 의한 표시방법)에 의한 색의 표시와 계통색의 이름 간의 관계를 규정하고 있다.
도 1은 KS A 0011(물체색의 색이름)에서 제안하는, "색의 3속성에 의한 표시와 계통색 이름의 관계"를 나타내는 40개의 부도 중 하나이다. 도 1에는 총 40개의 색상단계 중 2.5R 색상단계에 대응하는 표가 도시되어 있다.
"색의 3속성에 의한 표시와 계통색 이름의 관계"에는 KS 표준에서 지정하는 계통색들(예를 들어, 빨강, 밝은 빨강, 선명한 빨강, 흰 분홍 등)의 색 범위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도 1의 2.5R의 "선명한 빨강"이라는 계통색은, 2.5R의 색상에서 약 3.5 내지 4.7의 명도와 약 13.6 내지 16.4의 채도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2.5R의 색상과, 약 3.5 내지 4.7의 명도와, 약 13.6 내지 16.4의 채도는, 2.5R 선명한 빨강이라는 계통색의 색범위로 명칭할 수 있다.
다만 한국산업표준에서 계통색의 이름을 규정하고 계통색의 색범위를 수치적으로 규정하고 있을 뿐, 각각의 계통색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게 하는 색 견본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수입 색견본 등의 기성(旣成) 색견본을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나, 기성 색견본은 한국산업표준에 맞게 제작되지 않아 한국산업표준에서 지정하는 계통색을 대표하여 나타낼 수 없는 점, 계통색과 호환이 가능한 색채가 기성 색견본에 있더라도 한국산업표준에서 지정하는 여러 계통색들 중 일부에만 사용 가능한 점, 한국산업표준에서 지정하는 색채표기 기준이 기성 색견본에서 사용하는 색채표기 기준과 상이하기 때문에 KS 기준의 색채값을 확인할 수 없으며, 기성 색견본을 참고하여 만든 색채를 한국산업표준에서 지정하는 색채표기 기준에 따른 먼셀값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색채오차가 발생하는 점 등에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한국산업표준인 KS A 0011(물체색의 색이름)에서 제안하는 계통색들을 대표하는 색채를 개발하고, 해당 색채를 나타내는 색채견본을 생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색채활용 도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색채활용도구는, 색공간표 도구, 단일색 도구, 멀티색 도구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견본판(211)에는 색공간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색공간표에는 다수의 대표색들의 색채견본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견본판들의 집합을 색공간표 도구(210)라 명칭할 수 있다.
하나의 견본판(221)에는 색공간표 없이 하나의 대표색의 하나의 색채견본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견본판들의 집합을 단일색 도구(220)라 명칭할 수 있다.
하나의 견본판에는 색공간표 없이 복수의 대표색들의 색채견본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견본판들의 집합을 멀티색 도구라 명칭할 수 있다.
국가기술표준원의 KS A 0011에서 제안하는 계통색 이름을 본 명세서에서는 "계통색"이라 명칭한다. 국가기술표준원의 KS A 0011에서 제안하는 바와 같이, 계통색은, 기본색(예를 들어 빨강), 수식형용사와 기본색 이름이 결합한 색(예를 들어, 밝은 빨강), 조합색(예를 들어, 회적색), 수식형용사와 조합색 이름이 결합한 색(예를 들어, 어두운 회적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계통색이 색상단계 별 계통색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2.5R 선명한 빨강, 5R 선명한 빨강, 7.5R 선명한 빨강은 모두 별도의 계통색을 의미할 수 있다.
국가기술표준원의 KS A 0011에서는 계통색의 색범위를 먼셀값(색상(H), 명도(V), 채도(C)으로 나타낸다. 면셀표색계에서 색상은 R, YR, Y, GY, G, BG, B, PB, P, RP를 각각 2.5스텝씩 4개로 분할하여, 총 40개의 색상들로 분류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색상들을 "색상단계"로 명칭한다. 예를 들어 2.5R은 제1 색상단계, 5R은 제2 색상단계, 7.5R은 제3 색상단계, 10R은 제4 색상단계, YR은 제5 색상단계 등으로 명칭될 수 있다. 색상단계들은, 2.5R, 5R, 7.5R, 10R, 2.5YR, 5 YR, 7.5 YR, 10 YR, 2.5Y, 5Y, 7.5Y, 10Y, 2.5GY, 5GY, 7.5GY, 10GY, 2.5G, 5G, 7.5G, 10G, 2.5BG, 5BG, 7.5BG, 10 BG, 2.5B, 5B, 7.5B, 10B, 2.5PB, 5PB, 7.5PB, 10PB, 2.5P, 5P, 7.5P, 10P, 2.5RP, 5RP, 7.5RP, 10RP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색공간표 도구의 견본판, 견본판에 형성되는 색공간표, 색공간표에 형성되는 다수의 색채견본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색공간표 도구는, 하나 이상의 견본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견본판에는 색공간표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국가기술표준원의 KS A 0011에서는 KS A 0062(색의 3속성에 의한 표시방법)에 의한 색의 표시와 계통색의 이름 간의 관계를 색상단계 별 색공간표로 규정하고 있으며, 40개의 색상단계에 각각 대응하는 40개의 색공간표를 제안한다.
따라서 색공간표 도구는, 복수의 색상단계를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견본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색공간표 도구는, 40개의 색상단계에 각각 대응하는 40개의 견본판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색공간표 도구는 무채색을 나타내는 하나의 견본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견본판 각각은, 상응하는 색상단계에 포함되는 복수의 계통색의 색범위들을 나타내는 색공간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색공간표는, 국가기술표준원의 KS A 0011의 부도 1 내지 40에서 제안하는, 색의 3속성에 의한 표시와 계통색 이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서는, KS A 0011의 "부도 1 - 색의 3속성에 의한 표시와 계통색이름와 관계 - 2.5R"에서 제안하는 색공간표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3의 제1 견본판(320)에는, 제1 색상단계(2.5R)에 대응하는 색공간표(310)가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견본판에는 제2 색상단계(5R)에 대응하는 색공간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40 견본판에는 제40 색상단계(10RP)에 대응하는 색공간표가 형성될 수 있다.
색공간표의 X축은 먼셀표색계에서의 채도를 나타내고, 색공간표의 Y축은 먼셀표색계에서의 명도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색공간표는 상응하는 색상단계에 포함되는 복수의 계통색의 색범위가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색상단계(2.5R)는, 빨간 검정, 어두운 적회색, 적회색, 분홍빛 회색, 분홍빛 하양, 검은 빨강, 어두운 회적색, 회적색, 회분홍, 밝은 회분홍, 흰 분홍, 어두운 적자색, 탁한 빨강, 흐린 빨강, 탁한 분홍, 흐린 분홍, 연한 분홍, 진한 적자색, 진한 빨강, 분홍, 빨강, 밝은 빨강, 진한 분홍, 선명한 빨강의 계통색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견본판(320)에 형성되는 제1 색공간표(310)는, 이 계통색들의 색범위들을 나타내는 다수의 색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색상단계(2.5R)에 포함되는 선명한 빨강(즉, 2.5R 선명한 빨강)은 2.5R의 색상과, 약 3.5 내지 4.7의 명도와, 약 13.6 내지 16.4의 채도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계통색(더욱 구체적으로 단계별 계통색)이 가지는 색상, 명도 범위와 채도범위를 계통색의 색범위라 명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5R의 색상, 4의 명도, 15의 채도를 가지는 색채는 "2.5R 선명한 빨강"이라는 계통색에 속할 수 있다.
그리고 색공간표(310)는 복수의 계통색의 색범위를 포함하는 복수의 색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는, 2.5R 선명한 빨강의 색범위를 나타내는 색공간(340)이 표시되어 있다.
한편 색공간표 도구의 복수의 견본판은, 상응하는 색상단계에 포함되는 복수의 계통색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색채견본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견본판(320)에 상응하는 색상단계는 제1 색상단계(2.5R)이며, 제1 색상단계(2.5R)는 빨간 검정, 어두운 적회색, 적회색, 분홍빛 회색, 분홍빛 하양, 검은 빨강, 어두운 회적색, 회적색, 회분홍, 밝은 회분홍, 흰 분홍, 어두운 적자색, 탁한 빨강, 흐린 빨강, 탁한 분홍, 흐린 분홍, 연한 분홍, 진한 적자색, 진한 빨강, 분홍, 빨강, 밝은 빨강, 진한 분홍, 선명한 빨강의 계통색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견본판(320)에는 이 계통색들의 색채견본들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색채견본은, 상응하는 계통색의 대표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색채견본(330)은 상응하는 계통색인 "선명한 빨강"의 대표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색채견본(300)은 선명한 빨강이라는 계통색을 대표하여 나타낼 수 있다.
색채견본(330)은, 페인트의 조색으로 생성된 대표색의 도료가 견본판(320) 위에 도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색견본은 여러 색채활용 도구들이 통일된 색채를 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잉크 등의 다른 재료를 이용한 인쇄 방식으로 색견본을 만드는 경우, 저렴한 비용 및 대량생산에 유리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인쇄기계의 종류, 인쇄기계의 사양, 제작 시기 등에 따라 색채의 편차가 크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시간이 흐름에 따라 빛바램 등의 현상이 나타나서 색의 정확성 및 내구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는 잉크의 물성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페인트는 상대적으로 안정된 물성을 가지므로, 색채의 편차가 작게 나타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먼저 대표색을 선정하고, 페인트들의 조색을 통해 대표색을 발현하는 도료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대표색의 도료를 견본판(320) 위에 도장하는 방식으로 색채견본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색채견본은, 색공간표 상에서 상응하는 색범위를 나타내는 색공간 내에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5R 선명한 빨강의 색채견본(330)은, 2.5R 선명한 빨강의 색범위를 나타내는 색공간(340) 내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색채견본이 상응하는 색공간에 표시됨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 계통색의 색범위 및 해당 색범위에서의 대표색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표색을 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대표색은 한국산업표준에서 지정하는 계통색의 색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국가기술표준원에서 발행한 KS A 0011(물체색의 색이름)에서는, 계통색의 이름을 지정하는 것과 함께, 국가기술표준원에서 발행한 KS A 0062(색의 3속성에 의한 표시방법)에 의한 색의 표시와 계통색의 이름 간의 관계를 규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국가기술표준원에서 발행한 KS A 0011(물체색의 색이름)에서는 2.5R 흐린 빨강의 색범위를 색상 2.5R, 명도 4.5 내지 5.5, 채도 3 내지 9로 지정하고 있기 때문에, 도 4의 색공간표에서도 2.5R 흐린 빨강이라는 계통색의 색범위가 색상 2.5R, 명도 4.5 내지 5.5, 채도 3 내지 9로 나타난다. 이 경우 2.5R 흐린 빨강이라는 계통색의 대표색은, 해당 계통색의 색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2.5R 흐린 빨강이라는 계통색의 대표색은 색상 2.5R, 명도 5, 채도 6의 먼셀값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국가기술표준원에서 발행한 KS A 0011(물체색의 색이름)에서는 7.5R 흐린 빨강의 색범위를 색상 7.5R, 명도 4.5 내지 5.5, 채도 3 내지 11로 지정하고 있기 때문에, 7.5R 흐린 빨강이라는 계통색의 대표색은, 해당 계통색의 색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7.5R 흐린 빨강이라는 계통색의 대표색은, 색상 7.5R, 명도 5, 채도 7의 먼셀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대표색은 계통색의 색범위를 대표하는 색채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계통색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색채견본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대표색은 해당 계통색을 대표적으로 나타내야 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표색은 해당 계통색의 색범위에 포함되며, 해당 색범위를 대표하는 하나의 색채일 수 있다.
하나의 색공간표 내 복수의 색채견본 중 하나 이상의 색채견본의 대표색은, 상응하는 색공간의 중심에 해당하는 색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고하면, 2.5R 진한빨강의 색공간(410)의 중심에 점(411)이 표시되어 있으며, 2.5R 진한빨강의 대표색은 이 점(411)에 해당하는 색을 가질 수 있다. 즉 2.5R 진한빨강의 색범위가, 색상: 2.5R, 명도: 제1값 내지 제2값, 채도: 제3값 내지 제4값인 경우, 2.5R 진한빨강의 대표색은 2.5R의 색상, 제1 값 및 제2 값의 평균값의 명도, 제3값 및 제4값의 평균값의 채도를 가질 수 있다.
대표색이 색공간의 중심에 해당하는 색을 가지는 이유는 계통색의 색공간의 중심이 해당 계통색에 대한 가장 큰 대표성을 지니기 때문이다.
또한 대표색이 색공간의 중심에 해당하는 색을 가지는 또 다른 이유는, 대표색들이 해당하는 색공간의 중심 색채를 나타냄으로써, 대표색들이 시각적 등보성을 띄게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시각적 등보성이란 여러 색채들이 시각적으로 같은 간격으로 보이거나 여러 색채들이 시각적으로 일정 간격 이상을 유지하게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홍빛 하양의 색공간 내 우측으로 치우친 제1 지점(421)으로 제1 대표색을 선정하고, 흰 분홍의 색공간 내 좌측으로 치우친 제2 지점(422)으로 제2 대표색을 선정하는 경우, 제1 대표색과 제2 대표색은 약한 시각적 등보성을 띄게 된다. 따라서 색공간의 중심으로 대표색을 선정함으로써, 시각적 등보성이 약화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들 때문에, 계통색들의 대표색들을 선정할 때에는 기본적으로 색공간의 중심을 대표지점으로 지정하게 된다. 다만 색공간의 중심을 대표지점으로 지정하더라도 시각적 등보성이 약화되는 케이스, 색공간의 중심에 해당하는 대표색을 만들 수 없는 케이스, 색공간의 중심이 명확하지 않은 케이스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케이스에 대해서는 대표지점(대표색에 상응하는 지점)을 적절히 이동시킨 후 대표색을 생성할 수 있다.
아래에서 2.5R 회적색, 2.5R 선명한 빨강 등으로 계통색의 이름을 명시한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으로, 해당 계통색에 반드시 아래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아래에서는 2.5R 선명한 빨강의 대표지점이 중심이 아닌 것으로 설명하더라도, 이러한 실시예는 2.5R 선명한 빨강의 색공간에 적용되지 않고 다른 색공간에 적용될 수도 있다.
색공간의 중심 외의 다른 지점을 대표지점으로 선정하는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는 제1 계통색(2.5R 회적색)의 제1 색공간(470)의 제1 중심(471), 제2 계통색(2.5R 어두운 회적색)의 제2 색공간(480)의 제2 중심(481), 제3 계통색((2.5R 회분홍)의 제3 색공간(490)의 제3 중심(491)이 도시되어 있다.
제1 내지 제3 색공간(470, 480, 490)은 색공간표 상에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1 내지 제3 색공간(470, 480, 490)이 수직방향으로 일렬로(즉 명도 단계를 다르게 하며)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내지 제3 색공간은 수평방향으로 일렬로(즉, 채도 단계를 다르게 하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색공간(480)은 제1 색공간(470)의 일측에, 제3 색공간(490)은 제1 색공간(47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색공간(470)의 제1 중심(471) 및 제2 색공간(480)의 제2 중심(481) 간의 제1 거리(d1)가, 제1 색공간(470)의 제1 중심(471) 및 제3 색공간(490)의 제3 중심(491)간의 제2 거리(d2)보다 작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제2 색공간(480)의 명도 범위가 상대적으로 좁다는 것에서 기인한다.
일렬로 배치되는 계통색들의 대표색들이 시각적 등보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대표색들에 대응하는 대표지점들의 간격이 일정하여 대표색들의 명도나 채도가 일정 크기씩 증가(또는 감소)할수록 유리하다. 다만 제1 거리(d1)가 제2 거리(d2)보다 작다는 것은 시각적 등보성을 약화시킨다.
따라서 제1 색공간(470)의 제1 대표지점과 제2 색공간(480)의 제2 대표지점이 제1 거리(d1)보다 더 큰 거리를 가지도록, 제1 대표지점 또는 제2 대표지점 중 적어도 하나가 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색공간(480)의 제2 대표지점은 제2 색공간(480)의 제2 중심(481)으로 선정되되, 제1 색공간(470)의 제1 대표지점(472)은 제1 색공간(470)의 제1 중심(471)로부터 위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대표지점(472)에 대응하는 색채를 제1 색공간(470)의 대표색으로 선정함에 따라 시각적 등보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색공간(470)의 제1 대표지점은 제1 색공간(470)의 제1 중심(471)에 선정되되, 제2 색공간(480)의 제2 대표지점은 제2 색공간(480)의 제2 중심(481)으로부터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대표지점에 대응하는 색채를 제2 색공간(480)의 대표색으로 선정함에 따라 시각적 등보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1 색공간(470)의 제1 대표지점은 제1 색공간(470)의 제1 중심(471)으로부터 위로 이동하고, 제2 색공간(480)의 제2 대표지점은 제2 색공간(480)의 제2 중심(481)으로부터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대표지점에 대응하는 색채를 제1 색공간(470)의 대표색으로 선정하고, 제2 대표지점에 대응하는 색채를 제2 색공간(480)의 대표색으로 선정함에 따라 시각적 등보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색공간의 중심 외의 다른 지점을 대표지점으로 선정하는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복수의 색채견본 중 하나 이상의 색채견본의 대표색은, 상응하는 색공간이 사각형이 아닌 경우, 사각형이 아닌 색공간을 연장함으로써 생성된 사각형의 제1 중심을 제2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킨 대표지점에 해당하는 색을 가지질 수 있다.
도 4에는 제4 계통색(2.5R 흐린 분홍)의 제4 색공간(510)이 도시되어 있다. 다른 색공간들과는 달리, 제4 색공간(510)은 사각형이 아닌 도형이다.
제4 색공간(510)이 사각형이 아닌 경우, 사각형이 아닌 제4 색공간(510)을 연장함으로써 사각형이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색공간(510)의 상변(또는 하변)이 연장되고 제4 색공간(510)의 우변(또는 좌변)이 연장됨으로써 사각형이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색공간(510)을 연장함으로써 생성된 사각형은 제4 중심(511)을 가질 수 있다. 제4 중심(511)은 제4 색공간(510)에 대해 대표성을 띌 수 있는 반면, 제5 중심(521)과 지나치게 가까워지기 때문에 시각적 등보성을 약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5 중심(521)은 색공간표 내 복수의 중심 중 제4 중심(511)과 가장 가까운 중심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제4 중심(511)을 제5 중심(521)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킨 대표지점(512)이 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선정된 대표지점(512)에 대응하는 색채가 제4 색공간(510)의 대표색으로 선정함에 따라 시각적 등보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색공간의 중심 외의 다른 지점을 대표지점으로 선정하는 제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복수의 색채견본 중 특정 색채견본의 대표색은, 상응하는 색공간이 색공간표 내에서 가장 높은 채도를 가지는 경우, 색공간의 중심에서 좌측으로 이동한 지점에 해당하는 색채를 가질 수 있다.
특정 색공간이 색공간표 내에서 가장 높은 채도를 가진다는 것은, 복수의 색공간의 최대채도들 중 특정 색공간의 최대채도가 가장 높거나, 복수의 색공간의 최소채도들 중 특정 색공간의 최소채도가 가장 높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색공간의 최대채도는 해당 색공간의 색범위에서 최대 채도값을 의미하고, 색공간의 최소채도는 해당 색공간의 색범위에서 최소 채도값을 의미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복수의 색공간의 최소채도들 중 제6 계통색(2.5R 선명한 빨강)의 제6 색공간(530)의 최소채도가 가장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페인트들의 조합으로 대표색을 구현하며, 국내 환경오염의 문제로 인하여 일부 고채도 안료의 원재료가 유독물질로 지정되어 있다. 따라서 일정 채도 이상을 가지는 계통색들 중 일부는 페인트들의 조합으로 구현할 수 없다.
따라서 색공간표 내에서 제6 색공간(530)이 가장 높은 채도를 가지는 경우, 제6 색공간(530)의 중심(531)에서 좌측으로 이동한 대표지점(532)이 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선정된 대표지점(532)에 대응하는 색채가 제6 색공간(530)의 대표색으로 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대표지점(532)에 대응하는 대표색은 페인트들의 조합으로 생성이 가능한 색채일 수 있다.
같은 이유로, 저명도 구간에서 가장 높은 채도를 가지는 색공간의 중심을 페인트들의 조합으로 구현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저명도 구간이란 색공간표 내에서 가장 낮은 명도를 가지는 색공간들(도 4에서 빨간 검정, 검은 빨강, 어두운 적자색, 진한 적자색)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색공간표 내에서 가장 낮은 명도를 가지는 색공간들(도 4에서 빨간 검정, 검은 빨강, 어두운 적자색, 진한 적자색) 중에서 제7 계통색(2.5R 진한 적자색)의 제7 색공간(540)이 가장 높은 채도를 가지는 경우, 페인트들의 조합으로 제7 대표색을 구현하기 위해, 제7 색공간(540)의 제7 중심(541)에서 좌측으로 이동한 대표지점(542)이 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선정된 대표지점(542)에 대응하는 색채가 제7 색공간(540)의 대표색으로 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대표지점(542)에 대응하는 대표색은 페인트들의 조합으로 생성이 가능한 색채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표색의 도료를 생성을 위한 페인트들의 조색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표지점 및 대표지점에 상응하는 대표색이 선정되면, CCM(Computer Color Matching) 조색방법을 활용하여 페인트들의 조색비가 산출되고, 조색비에 따라 페인트들을 조색함으로써 대표색의 도료가 생성될 수 있다.
대표색들끼리는 사용되는 페인트 제품(예를 들어, 상표), 페인트의 색채, 페인트의 조색비 등은 상이할 수 있다. 즉 대표색 별로, 페인트 식별자(페인트 제품, 페인트의 색채 등), 페인트들의 조색비가 결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를 조색 레시피 데이터라고 명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계통색을 대표하는 제1 대표색의 도료는, 제1 페인트 식별자(A 제품, 파란색) 0.164%, 제2 페인트 식별자(B 제품, 빨간색) 7.986%, 제3 페인트 식별자(C 제품, 오랜지색) 21.504%, 제4 페인트 식별자(D 제품, 하얀색) 70.345%라는 조색 레시피 데이터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조색 레시피 데이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조색 레시피 데이터는, 여러 색채활용 도구를 제작할 때에 일관된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표색의 먼셀값 및 먼셀값을 변환한 색채코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색채활용 도구는, 대표색의 먼셀값 및 먼셀값을 다른 색채표기 기준으로 변환한 하나 이상의 색채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대표색은 한국산업표준인 KS A 0011(물체색의 색이름)에서 제안하는 계통색을 대표하는 색으로, 기본적으로 면셀표색계에 기반하여 색채가 표현된다. 예를 들어 제1 계통색(선명한 빨강)을 대표하는 제1 대표색(K-001)은 2.5R, 4V, 14C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산업 현장에서 다양한 색채코드를 활용할 수 있도록, 색채활용 도구는 대표색의 먼셀값을 다른 색채표기 기준으로 변환한 하나 이상의 색채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색채활용 도구는, Munsell 색채코드뿐만 아니라, Lab 색채코드, RGB 색채코드, CMYK 색채코드, Pantone 색채코드, NCS 색채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Lab 색채코드는 색채견본을 분광측색기로 측색하는 경우 산출되며, Lab 색채코드를 먼셀컨버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변환함으로써, RGB 색채코드, CMYK 색채코드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Lab 색채코드를 다양한 색채호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변환함으로써, Pantone 색채코드, NCS 색채코드가 생성될 수 있다. 즉 색채코드들 간의 호환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업무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종래에는, 한국산업표준(KS A 0011)에서 계통색의 색범위만 포괄적으로 지정함에 따라, 작업자들끼리 계통색의 통일된 기준을 공유하기가 어려웠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르면 KS 계통색들을 대표하는 776개의 대표색을 정의하고, 페인트들의 조색을 통하여 대표색을 발현하는 색채견본을 제작함에 따라, 색채 사용시 작업자들이 물리적 확인을 통해 계통색을 쉽게 인지하고, 정확히 소통하며, 통일된 기준에 따라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료를 사용하여 색채견본을 제작함으로써 색채의 정확성,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대표색의 도료를 제작하기 위한 페인트들의 조색비를 보유 및 배포함으로써 색채견본들 간에 통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대표색이 상응하는 계통색을 대표하게 하면서도, 대표색들 간의 시각적 등보성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대표색을 선정함에 따라, 대표색들간의 구분을 명확히 하고 대표색들을 단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서버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견본판; 및
    페인트들의 조색으로 생성된 대표색의 도료가 상기 하나 이상의 견본판 위에 도장되어 형성되는 색채견본;을 포함하고,
    상기 대표색은,
    한국산업표준에서 지정하는 계통색의 색범위에 포함되며, 상기 계통색의 색범위를 대표하는 색채인
    색채활용 도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색채활용 도구는,
    복수의 색상단계를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견본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견본판은,
    상응하는 색상단계에 포함되는 복수의 계통색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색채견본을 포함하는
    색채활용 도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견본판은,
    상응하는 색상단계에 포함되는 복수의 계통색의 색범위들을 나타내는 색공간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색채견본은,
    상기 색공간표 상에서, 상응하는 색범위를 나타내는 색공간 내에 표시되는
    색채활용 도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색공간표는,
    국가기술표준원의 KS A 0011에서 제안하는, 색의 3속성에 의한 표시와 계통색 이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인
    색채활용 도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색채활용 도구는,
    상기 대표색의 먼셀값 및 상기 먼셀값을 다른 색채표기 기준으로 변환한 하나 이상의 색채코드를 포함하는
    색채활용 도구.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색채견본 중 하나 이상의 색채견본의 대표색은,
    상응하는 색공간의 중심에 해당하는 색을 가지는
    색채활용 도구.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색채견본 중 하나 이상의 색채견본의 대표색은,
    상응하는 색공간이 사각형이 아닌 경우, 상기 사각형이 아닌 색공간을 연장함으로써 생성된 사각형의 제1 중심을 제2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킨 대표지점에 해당하는 색을 가지고,
    상기 제2 중심은,
    색공간표 내 복수의 중심 중 상기 제1 중심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중심인
    색채활용 도구.
  8. 제 3항에 있어서,
    제1 색공간의 제1 중심 및 제2 색공간의 제2 중심 간의 제1 거리가, 상기 제1 색공간의 제1 중심 및 제3 색공간의 제3 중심 간의 제2 거리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색공간의 제1 대표색의 제1 대표지점과 상기 제2 색공간의 제2 대표색의 제2 대표지점은 상기 제1 거리보다 더 큰 제2 거리를 가지고,
    상기 제1 색공간, 상기 제2 색공간 및 상기 제3 색공간은 색공간표 상에서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색공간은 상기 제1 색공간의 일측에, 상기 제3 색공간은 상기 제1 색공간의 타측에 배치되는
    색채활용 도구.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색채견본 중 특정 색채견본의 대표색은,
    상응하는 색공간이 색공간표 내에서 가장 높은 채도를 가지는 경우, 색공간의 중심에서 좌측으로 이동한 대표지점에 해당하는 색채를 가지는
    색채활용 도구.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색채견본 중 특정 색채견본의 대표색은,
    상응하는 색공간이, 색공간표 내 가장 낮은 명도를 가지는 색공간들 중에서 가장 높은 채도를 가지는 경우, 색공간의 중심에서 좌측으로 이동한 대표지점에 해당하는 색채를 가지는
    색채활용 도구.
KR1020230122038A 2022-09-22 2023-09-13 색채활용 도구 KR202400412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14402 WO2024063565A1 (ko) 2022-09-22 2023-09-21 색채활용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263376661P 2022-09-22 2022-09-22
US63/376,661 2022-09-22
KR20220120999 2022-09-23
KR1020220120999 2022-09-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1240A true KR20240041240A (ko) 2024-03-29

Family

ID=90483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2038A KR20240041240A (ko) 2022-09-22 2023-09-13 색채활용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12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84983A (en) Color apparatus and system
CN104572911A (zh) 一种纺前着色纤维测配色方法
CN102799895B (zh) 基于最小二乘支持向量机的胶印油墨配色方法
US6234801B1 (en) Color comparison list for displaying of the color system
CN104410850A (zh) 一种彩色数字影像色度校正方法及系统
KR20240041240A (ko) 색채활용 도구
US6491750B1 (en) Paint colorant product and method
EP2392475A1 (en) Paint set
CN115115717B (zh) 基于梯度化灰度值构建的七基色聚酯三维网格化混配三维色立体及全色域调配色方法
WO2024063565A1 (ko) 색채활용 도구
US4770534A (en) Color indication comparison method
Hård et al. NCS–The Natural Color System for the Denotation of Colour
GB2296102A (en) Color scales
CN105092040A (zh) 一种新型颜色测量系统及其测量方法
CN117972131A (zh) 白色塑胶配色数据库建立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CN115115716B (zh) 四基色聚酯网格化混配构建的色立体及其全色域数字化方法
KR20010113484A (ko) 씨씨엠 계산시스템, 씨씨엠 계산방법 및 기록매체
CN1301955A (zh) 用以显示色彩体系的色彩比对表
CN112651932B (zh) 标定同色异谱最大灰度等量替代范围的方法
CN113910796B (zh) 一种基于k-m理论的印刷油墨配色方法
US20060190121A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digital colour catalogue
JP3021900U (ja) 色彩測量器材
CN115278192B (zh) 从cie-xyz表色系到din表色系的自动转换方法
CN117523011A (zh) 一种白色塑胶样品快速配色打板方法
US20230291862A1 (en) Fully integrated digital color management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