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0521A - 스터드 조립체 - Google Patents

스터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0521A
KR20240040521A KR1020220119565A KR20220119565A KR20240040521A KR 20240040521 A KR20240040521 A KR 20240040521A KR 1020220119565 A KR1020220119565 A KR 1020220119565A KR 20220119565 A KR20220119565 A KR 20220119565A KR 20240040521 A KR20240040521 A KR 20240040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
unit
reference direction
alo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9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민
김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220119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0521A/ko
Publication of KR20240040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05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58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터드 조립체는, 서로 기준방향을 따라 이격된 벽체의 한 쌍의 외장재 중 어느 하나의 내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제1 스터드 유닛; 상기 한 쌍의 외장재 중 다른 하나의 내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 스터드 유닛으로부터 기준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스터드 유닛; 및 상기 제1 스터드 유닛과 상기 제2 스터드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터드 조립체 {STUD ASSEMBLY}
본 발명은 벽체에 사용되는 스터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벽체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벽체의 제작을 위한 내장재(M) 및 외장재(W) 시공 시, 내장재(M) 및 외장재(W)를 고정하는 틀을 형성하기 위해 경량철골로 된 스터드(Stud, S)와 러너(Runner, R)가 사용된다. 스터드(S)와 러너(R) 등을 이용해 내장재(M) 및 외장재(W)가 배치될 틀을 잡은 뒤 내장재(M)를 러너(R)와 스터드(S)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틀의 내부에 배치하고, 외장재(W)를 러너(R)와 스터드(S)를 바깥으로부터 둘러싸도록 고정하는 식으로 벽체의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 러너(R)와 스터드(S)의 기준방향(D1)측 양단에 외장재(W)가 하나씩 배치되어, 한 쌍의 외장재(W)가 서로 기준방향(D1)을 따라 이격되고, 그 내면이 스터드(S)에 접촉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도면에서 러너(R)가 수평하게 연장되고, 연직방향으로 연장된 스터드(S)가 이러한 러너(R)에 결합되어 직사각형의 틀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이러한 스터드(S)에는 내장재(M) 및 외장재(S)를 고정하며 적절한 강성을 벽체에 부여하는 역할이 요구된다. 특히 비구조요소의 내진설계에 대한 기준이 강화되면서, 기존의 스터드가 제공할 수 있는 강성 이상의 내진설계가 된 스터드의 사용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벽체는 공간을 구분하는 역할을 하므로, 벽체에 사용되는 스터드에는 벽체를 가로질러 전달되는 소음에 대한 차음 역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높은 강성과 높은 차음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스터드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스터드 조립체는, 서로 기준방향을 따라 이격된 벽체의 한 쌍의 외장재 중 어느 하나의 내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제1 스터드 유닛; 상기 한 쌍의 외장재 중 다른 하나의 내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 스터드 유닛으로부터 기준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스터드 유닛; 및 상기 제1 스터드 유닛과 상기 제2 스터드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스터드 조립체가 평상시에는 높은 차음 성능을 유지하다가, 외력이 가해지면 높은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벽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조립체를 상하방향을 따라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조립체가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조립체(1)를 상하방향을 따라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조립체(1)가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조립체(1)는 제1 스터드 유닛(10), 제2 스터드 유닛(20) 및 연결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유닛(30)과 스터드 유닛은 스터드 조립체(1)를 구성하기 위한 각각의 유닛을 의미하는 것으로, 경량철골로 구성될 수 있다. 스터드 조립체(1)는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상하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에서 기준방향(D1)과 돌출방향(D2)을 따라 연장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기준방향(D1)은 상하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벽체의 한 쌍의 외장재가 서로 이격된 방향이다. 돌출방향(D2)은 기준방향(D1)과 상하방향에 직교하는 일 방향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상하방향은 스터드 조립체(1)가 연장되고 배치되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스터드 조립체(1)의 배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반드시 연직 방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제1 스터드 유닛(10)과 제2 스터드 유닛(20)은 서로 상이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특징에 대해 특화된 상이한 스터드 유닛들이 결합되어 복합적인 특성을 가지는 스터드 조립체(1)를 형성할 수 있다. 기준방향(D1)을 따라 제1 스터드 몸체(11)가 가지는 길이는, 제2 스터드 몸체(21)가 가지는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다만 어느 하나의 스터드 유닛(10, 20)이 가지는 길이가 너무 작을 경우 시공시 작용되는 힘을 견딜 수 없어 차음성능 저하가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터드 몸체(11)가 가지는 길이는, 제2 스터드 몸체(21)가 가지는 길이의 1배 이상 1.9배 이하일 수 있다.
제1 스터드 유닛(10)
제1 스터드 유닛(10)은 서로 기준방향(D1)을 따라 이격된 벽체의 한 쌍의 외장재 중 어느 하나의 내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1 스터드 유닛(10)은 접촉하는 외장재로부터 기준방향(D1)을 따라 외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1 스터드 유닛(10)은 제1 스터드 몸체(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터드 몸체(11)는 기준방향(D1)을 따라 연장된다. 제1 스터드 몸체(11)는 내장재와 접촉할 수 있다. 제1 스터드 몸체(11)는 복수의 제1 스터드 조각(111, 11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스터드 조각(111, 112)은 기준방향(D1)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지되 기준방향(D1)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스터드 조각(111, 112)이 외측 제1 스터드 조각(111)과 내측 제1 스터드 조각(112)의 총 2개의 조각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개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1 스터드 몸체(11)는 복수의 제1 스터드 조각(111, 112)을 서로 연결하되 복수의 제1 스터드 조각(111, 112)을 연결한 직선으로부터 돌출방향(D2)을 따라 'U'자 형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제1 돌출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각진 'U'자 형, 즉 'ㄷ'자 형으로 제1 돌출부(113)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형상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1 돌출부(113)가 형성되어, 제1 스터드 유닛(10)이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돌출부(113)는 스터드 유닛의 국부좌굴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국부좌굴은 응력이 부분적으로 과도하게 집중되어 부분적으로 좌굴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좌굴에 취약한 중심부에 미리 상술한 형상의 제1 돌출부(113)를 두어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후술할 제2 돌출부(213)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스터드 유닛(10)은 제1 결합연장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연장부(12)는 기준방향(D1)을 기준으로 제2 스터드 유닛(20)과 인접한 제1 스터드 몸체(11)의 일 단부로부터 기준방향(D1)을 가로지르며 연결유닛(3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결합연장부(12)는 돌출방향(D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스터드 유닛(10)은 제1 결합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3)는 제1 결합연장부(12)의 돌출방향(D2)측 단부에서 제2 스터드 유닛(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3)는 기준방향(D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3)가 체결구(40)를 통해 연결유닛(3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3)와 연결유닛(30)이 돌출방향(D2)과 직교하는 면을 가지고 이러한 면이 서로 접촉하면서 체결구(40)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연결유닛(30)과 제1 결합부(13)가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스터드 유닛(10)은 제1 접촉연장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연장부(14)는 기준방향(D1)을 기준으로 제2 스터드 유닛(20)과 먼 제1 스터드 몸체(11)의 타 단부로부터 기준방향(D1)을 가로지르며 연장될 수 있다. 제1 접촉연장부(14)는 돌출방향(D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접촉연장부(14)가 돌출방향(D2)을 따라 가지는 길이는, 제1 결합연장부(12)가 돌출방향(D2)을 따라 가지는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제1 접촉연장부(14)는 외장재의 내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1 스터드 유닛(10)은 제1 마감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감부(15)는 제1 접촉연장부(14)의 돌출방향(D2)측 단부에서 제2 스터드 유닛(2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마감부(15)는 기준방향(D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마감부(15)는 내장재와 접촉할 수 있다.
제2 스터드 유닛(20)
제2 스터드 유닛(20)은 한 쌍의 외장재 중 제1 스터드 유닛(10)과 접촉하지 않은 다른 하나의 내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2 스터드 유닛(20)은 접촉하는 외장재로부터 기준방향(D1)을 따라 외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2 스터드 유닛(20)은 제1 스터드 유닛(10)으로부터 기준방향(D1)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2 스터드 유닛(20)은 제2 스터드 몸체(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터드 몸체(21)는 기준방향(D1)을 따라 연장된다. 제2 스터드 몸체(21)는 내장재와 접촉할 수 있다. 제2 스터드 몸체(21)는 복수의 제2 스터드 조각(211, 21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스터드 조각(211, 212)은 기준방향(D1)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지되 기준방향(D1)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2 스터드 조각(211, 212)이 외측 제2 스터드 조각(212)과 내측 제2 스터드 조각(211)의 총 2개의 조각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개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2 스터드 몸체(21)는 복수의 제2 스터드 조각(211, 212)을 서로 연결하되 복수의 제2 스터드 조각(211, 212)을 연결한 직선으로부터 돌출방향(D2)을 따라 'V'자 형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제2 돌출부(213)를 포함할 수 있으나, 그 형상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2 돌출부(213)가 형성되어, 제2 스터드 유닛(20)이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돌출부(113)가 'U'자 형으로 형성되고 제2 돌출부(213)가 'V'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V'자 형의 돌출부가 'U'자 형에 비해서 더 쉽게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차음성능에 있어 서로 다른 형태의 돌출부가 차이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서 각 돌출부에 대해 다른 형상이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스터드 유닛(20)은 제2 결합연장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연장부(22)는 기준방향(D1)을 기준으로 제1 스터드 유닛(10)과 인접한 제2 스터드 몸체(21)의 일 단부로부터 기준방향(D1)을 가로지르며 연결유닛(3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결합연장부(22)는 돌출방향(D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결합연장부(12)와 제2 결합연장부(22)는 서로 평행하고 기준방향(D1)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제1 결합연장부(12)의 길이와 제2 결합연장부(22)의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 제1 결합연장부(12)와 제2 결합연장부(22)가 기준방향(D1)을 따라 서로 이격된 거리는, 제1 결합연장부(12)의 길이 및 제2 결합연장부(22)의 길이를 더한 값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스터드 조립체(1)에 대해 기준방향(D1)을 따라 외력이 가해질 때, 연결유닛(30)을 기준으로 제1 결합연장부(12)와 제2 결합연장부(22) 중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인 변형이 일어나, 제1 스터드 몸체(11)와 제2 스터드 몸체(21)가 만날 수 있다. 즉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에는 전체적으로 'S'자 형의 스터드 조립체(1)가 형성되어 차음 성능과 함께 벽체에 탄성을 부여하고, 가압이 이루어지는 경우 전체적으로 'C' 내지는 'E'자 형의 스터드 조립체(1)가 형성되어 벽체에 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제1 결합연장부(12)와 제2 결합연장부(22)가 이격되어 제1 스터드 유닛(10)과 제2 스터드 유닛(20)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층에 의해 전체 스터드 조립체(1)는 차음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공기층이 벽체를 통과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층을 형성하여 제1 스터드 유닛(10)과 제2 스터드 유닛(20)을 이격시키고, 제1 결합연장부(12)와 제2 결합연장부(22) 및 연결유닛(30)을 통해서 진동이 전달되게 함에 따라, 상술한 구성요소들의 길이만큼 진동의 전달경로가 증가해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제2 스터드 유닛(20)은 제2 결합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부(23)는 제2 결합연장부(22)의 돌출방향(D2)측 단부에서 제1 스터드 유닛(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결합부(23)는 기준방향(D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결합부(23)가 체결구(40)를 통해 연결유닛(3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부(23)와 연결유닛(30)이 돌출방향(D2)과 직교하는 면을 가지고 이러한 면이 서로 접촉하면서 체결구(40)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연결유닛(30)과 제2 결합부(23)가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스터드 유닛(20)은 제2 접촉연장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촉연장부(24)는 기준방향(D1)을 기준으로 제1 스터드 유닛(10)과 먼 제2 스터드 몸체(21)의 타 단부로부터 기준방향(D1)을 가로지르며 연장될 수 있다. 제2 접촉연장부(24)는 돌출방향(D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접촉연장부(24)가 돌출방향(D2)을 따라 가지는 길이는, 제2 결합연장부(22)가 돌출방향(D2)을 따라 가지는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제2 접촉연장부(24)는 외장재의 내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1 접촉연장부(14)의 길이와 제2 접촉연장부(24)의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
제2 스터드 유닛(20)은 제2 마감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마감부(25)는 제2 접촉연장부(24)의 돌출방향(D2)측 단부에서 제1 스터드 유닛(1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마감부(15)와 제2 마감부(25)는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제2 마감부(25)는 기준방향(D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마감부(25)는 내장재와 접촉할 수 있다.
연결유닛(30)
연결유닛(30)은 제1 스터드 유닛(10)과 제2 스터드 유닛(20)을 연결한다. 연결유닛(30)은 기준방향(D1)을 따라 연장되어, 일측은 제1 스터드 유닛(10)과 결합되고, 타측은 제2 스터드 유닛(20)과 결합될 수 있다.
연결유닛(30)은 제1 스터드 유닛(10) 및 제2 스터드 유닛(20)과 나사, 볼트 등의 체결구(40)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체결구(40)는 돌출방향(D2) 또는 그 반대방향을 따라 각 스터드 유닛(10, 20)과 연결유닛(30)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구(40)를 통해 결합이 이루어져, 클립을 이용해 스터드 유닛들(10, 20)을 결합하는 경우 기준방향(D1)을 따라 유닛과 클립 간에 생기는 미세한 유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유격이 저감되어, 전체 스터드 조립체(1)의 강성이 높게 유지될 수 있다.
제1 스터드 유닛(10)과 제2 스터드 유닛(20)은 기준방향(D1)을 따라 이격된다. 기준방향(D1)을 따라 스터드 조립체(1)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거나 소정 크기 이하의 외력이 가해질 경우, 제1 스터드 유닛(10)과 제2 스터드 유닛(20)은 기준방향(D1)을 따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소정 크기 초과의 외력이 기준방향(D1)을 따라 제1 스터디 유닛과 제2 스터드 유닛(20)이 가까워지도록 가해질 경우, 스터드 유닛(10, 20)이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연결유닛(30)으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제1 스터드 몸체(11)와 제2 스터드 몸체(21)가 도 3에서와 같이 만날 수 있다. 제1 스터드 몸체(11)와 제2 스터드 몸체(21)가 서로 접촉하여, 마치 기준방향(D1)을 따라 연장된 일체의 스터드 몸체와 같이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스터드 조립체(1) 전체적으로 'C'자 또는 'E'자 형의 스터드와 같은 형상을 가지게 되어, 강한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스터드 유닛(10)과 제2 스터드 유닛(20)이 서로 이격된 거리는 1mm 이상 4mm 이하일 수 있다. 이격된 거리가 4mm를 초과할 경우, 세대간벽 기준으로 고차음벽체에 대한 수평하중저항의 기준수치를 만족하기 어려울 수 있다. KS F 2613에서는 세대간벽 기준으로 수평하중 3000N에 대해서 최대변위를 기준으로 평가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최대변위는 일반적으로 mm단위의 벽체높이를 150으로 나눈 값을 사용하는데, KOLAS 실험틀의 높이가 2400mm로, 최대변위의 기준수치는 16mm가 될 수 있고, 이보다 높은 최대변위를 가지게 될 경우 수평하중저항을 충분히 견디지 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터드 유닛들(10, 20)을 하나로 붙여 만든 단일스터드 구조에서 3000N 가력 시 최대변위가 10~12mm가 발생할 수 있어, 4mm를 넘는 이격거리를 가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 스터드 유닛(10)과 제2 스터드 유닛(20)이 서로 이격된 거리가 1mm 미만일 시, 현장 시공 과정에서 두 스터드 유닛(10, 20)이 맞대어질 수 있다. 스터드 조립체(1)를 운반 및 설치하는 과정에서 스터드 조립체(1)가 휘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두 스터드 유닛(10, 20)이 맞붙을 수 있다. 두 스터드 유닛(10, 20)이 맞대어지게 되면 음진동 전달 경로를 추가적으로 형성하게 되어 차음성능 저하가 생길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스터드 조립체
10 : 제1 스터드 유닛
11 : 제1 스터드 몸체
12 : 제1 결합연장부
13 : 제1 결합부
14 : 제1 접촉연장부
15 : 제1 마감부
20 : 제2 스터드 유닛
21 : 제2 스터드 몸체
22 : 제2 결합연장부
23 : 제2 결합부
24 : 제2 접촉연장부
25 : 제2 마감부
30 : 연결유닛
40 : 체결구
111 : 외측 제1 스터드 조각
112 : 내측 제1 스터드 조각
113 : 제1 돌출부
211 : 내측 제2 스터드 조각
212 : 외측 제2 스터드 조각
213 : 제2 돌출부
D1 : 기준방향
D2 : 돌출방향
M : 내장재
R : 러너
S : 스터드
W : 외장재

Claims (7)

  1. 서로 기준방향을 따라 이격된 벽체의 한 쌍의 외장재 중 어느 하나의 내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제1 스터드 유닛;
    상기 한 쌍의 외장재 중 다른 하나의 내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 스터드 유닛으로부터 기준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스터드 유닛; 및
    상기 제1 스터드 유닛과 상기 제2 스터드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스터드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터드 유닛은,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스터드 몸체 및 상기 제2 스터드 유닛과 인접한 상기 제1 스터드 몸체의 단부로부터 기준방향을 가로지르며 상기 연결유닛을 향해 연장되는 제1 결합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터드 유닛은,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스터드 몸체 및 상기 제1 스터드 유닛과 인접한 상기 제2 스터드 몸체의 단부로부터 기준방향을 가로지르며 상기 연결유닛을 향해 연장되는 제2 결합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연장부와 상기 제2 결합연장부는 서로 평행하며, 기준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거리는, 상기 제1 결합연장부의 길이 및 상기 제2 결합연장부의 길이를 더한 값보다 작은, 스터드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터드 유닛은, 상기 제1 결합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2 스터드 유닛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터드 유닛은, 상기 제2 결합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1 스터드 유닛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연결유닛에 체결구를 통해 각각 결합되는, 스터드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터드 유닛과 상기 제2 스터드 유닛은 서로 상이한 형태를 가지며,
    기준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스터드 몸체가 가지는 길이는, 상기 제2 스터드 몸체가 가지는 길이보다 긴, 스터드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터드 몸체는,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지되 기준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1 스터드 조각과, 상기 복수의 제1 스터드 조각을 서로 연결하되 상기 복수의 제1 스터드 조각을 연결한 직선으로부터 기준방향에 직교하는 일 방향을 따라 'U'자 형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스터드 조립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터드 몸체는,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지되 기준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2 스터드 조각과, 상기 복수의 제2 스터드 조각을 서로 연결하되 상기 복수의 제2 스터드 조각을 연결한 직선으로부터 기준방향에 직교하는 일 방향을 따라 'V'자 형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스터드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터드 유닛과 상기 제2 스터드 유닛이 서로 이격된 거리는 1mm 이상 4mm 이하인, 스터드 조립체.
KR1020220119565A 2022-09-21 2022-09-21 스터드 조립체 KR202400405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565A KR20240040521A (ko) 2022-09-21 2022-09-21 스터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565A KR20240040521A (ko) 2022-09-21 2022-09-21 스터드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0521A true KR20240040521A (ko) 2024-03-28

Family

ID=90482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9565A KR20240040521A (ko) 2022-09-21 2022-09-21 스터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052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414055B2 (en) Buckle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CN111945920B (zh) 一种分级屈服阻尼器
TW201700850A (zh) 門框構造體及門框構造體的安裝方法
KR101847524B1 (ko) 외부패널의 횡방향 조립에 의한 모듈러 건축물의 외벽, 및 이를 이용하여 구축되는 모듈러 건축물
KR102085478B1 (ko) 고차변형 모드형 비좌굴 가새
KR100866971B1 (ko) 선택적 방향으로의 단면강성이 우수한 투명 방음판의프레임 구조
KR20240040521A (ko) 스터드 조립체
KR101729968B1 (ko) 조립식 건축자재용 샌드위치패널
KR102151961B1 (ko) 커튼월
KR20160140961A (ko) 반장치용 케이스
KR102375708B1 (ko) 강화된 구조를 갖는 에이치 빔
KR101551194B1 (ko) 단위 내진 패드를 이용한 내진형 배전반
KR102346929B1 (ko) 방화 도어
JP2014118777A (ja) 乾式壁構造
KR20170142594A (ko) 건물외장 구조물
KR102261879B1 (ko) 단열, 내화, 결로 및 방음이 개선된 방화문 구조체
KR102216669B1 (ko) 창호 설치용 브라켓
KR102002310B1 (ko) 창호 설치용 브라켓
JP7254838B2 (ja) 壁構造用のスタッド
CN113062475A (zh) 一种分段式齿状约束耗能节点
KR101753112B1 (ko) 내진기능을 가지도록 이루어진 배전반
KR20160113846A (ko) 커튼월의 틀의 가로변에 구비되는 단열바아 파손방지구조
KR102444790B1 (ko) 패널조립체
FI12778Y1 (fi) Jousielementti
KR102623250B1 (ko) 저중량 고강도 기능성 프로파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