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2594A - 건물외장 구조물 - Google Patents

건물외장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2594A
KR20170142594A KR1020160076330A KR20160076330A KR20170142594A KR 20170142594 A KR20170142594 A KR 20170142594A KR 1020160076330 A KR1020160076330 A KR 1020160076330A KR 20160076330 A KR20160076330 A KR 20160076330A KR 20170142594 A KR20170142594 A KR 20170142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wall
panel
exterior
insul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6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7280B1 (ko
Inventor
현선유
Original Assignee
현선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선유 filed Critical 현선유
Priority to KR1020160076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280B1/ko
Publication of KR20170142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7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7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or particular building parts, e.g. corners or colum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건물을 보호하고 장식하는 건물외장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외벽과 건물 외벽에 형성되는 창틀용 내벽을 간결하게 마무리하고, 설치가 간편하고 효율적인 건물외장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외장 구조물은 건물외벽에 배열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를 덮는 외장패널; 상기 단열재와 외장패널을 건물외벽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 건물의 창틀용 개구부를 형성하는 내벽을 덮고, 인접하는 상기 고정유닛을 은폐하며 상기 외장패널에 결합되 마감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마감패널은 창틀용 내벽을 덮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고정유닛을 은폐하는 은폐부와, 상기 은폐부의 단부에서 2단으로 수직하게 절곡되고, 상기 외장패널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물외장 구조물{Building exterior ornament structure}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건물을 보호하고 장식하는 건물외장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외벽과 건물 외벽에 형성되는 창틀용 내벽을 간결하게 마무리하고, 설치가 간편하고 효율적인 건물외장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건물 외장은 건물 전체의 인상을 결정한다. 그래서 공개특허 제10-2015-0008915호 "다층 건물 상에 외장 부재들을 장착시키는 방법", 등록실용신안 제20-0395531호 "건물외장용 구조물", 등록특허 제10-0817912호 "건물외장용 어셈블리" 등에서 알 수 있듯이, 다양한 종류의 건물외장 구조물이 개발되어 제안되고 있다.
건물외장 구조물에 관한 종래기술에서는 건물외벽을 마감하는데만 집중하고, 건물외벽에 형성되는 창틀용 내벽의 마감에는 소홀하고 있다.
건물외벽과 연결되는 창틀용 내벽도 외부로 노출되어 건물 전체의 인상에 영향을 주무로 이의 마감을 소홀히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처럼 종래기술에 따른 건물외장 구조물이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건물외벽과 연결되는 창틀용 내벽을 마감패널을 통해 간결하게 마감하는 건물외장 구조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건물외벽에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설치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의 건물외벽에도 용이하게 적용 가능하고 간결하게 마감되는 건물외장 구조물을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물외장 구조물은
건물외벽에 배열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를 덮는 외장패널;
상기 단열재와 외장패널을 건물외벽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
건물의 창틀용 개구부를 형성하는 내벽을 덮고, 인접하는 상기 고정유닛을 은폐하며 상기 외장패널에 결합되 마감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마감패널은
창틀용 내벽을 덮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고정유닛을 은폐하는 은폐부와,
상기 은폐부의 단부에서 2단으로 수직하게 절곡되고, 상기 외장패널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마감패널은 상기 덮개부의 단부에서 절곡되어서 인접하는 다른 마감패널의 덮개부에 접촉지지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은폐부의 단부에는 상기 덮개부를 벗어나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외장 구조물은 건물 외벽과, 건물 외벽에 형성되는 창틀용 개구부의 내벽을 간편하고 깔끔하게 마감하고, 건물 외벽과 창틀용 개구부의 내벽에 보다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설치되는 건물외장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외장 구조물이 건물외벽과 창틀용 개부부의 내벽에 설치된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감패널의 사시도.
도 3 은 도2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패널과 고정유닛의 사시도.
도 5 는 도4의 분해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물외장 구조물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외장 구조물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건물외벽과 창틀용 내벽에 설치된 일례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물외장 구조물은 단열재(B), 외장패널(50), 고정유닛, 마감패널(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단열재(B)는 건물의 외벽(C)에 밀착되어 결합되어서, 혹한기에는 건물 내부의 열이 외부로 빼앗기는 것을 줄여주는 방한기능을 수행하고, 혹서기에는 건물 외부의 열이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줄여주는 방서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외장패널(50)은 상기 단열재(B)는 덮으면서 건물외벽(C)을 감싸 건물의 인테리어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고정유닛은 앵커볼트(10), 제1브라켓(20), 제2브라켓(30), 가이드바(40)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B)와 외장패널(50)을 건물외벽에 고정시킨다.
상기 마감패널(60)은 건물의 창틀용 개구부(D)를 형성하는 내벽을 덮고, 창틀용 개구부 주변의 건물외벽에 배치되는 고정유닛과 외장패널(50)을 덮어서 마감한다.
먼저,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상기 마감패널(6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마감패널(60)은 덮개부(61), 은폐부(63), 체결부(65), 지지부(67) 및 연장부(6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부(61)는 건물의 창틀용 개구부를 형성하는 내벽을 덮고, 칼블럭(미도시)을 통해 내벽에 고정된다.
상기 덮개부(61)는 창틀용 개구부의 내벽을 덮어서, 내벽을 간결하고 깔끔하게 마무리하고, 또한 개구부의 내벽 표면이 높낮이차가 없이 평평하도록 하여 그곳에 창틀이 간편하고 틈새없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은폐부(63)는 상기 덮개부(61)의 전방측 단부에서 수직하게 외측으로 절곡되어서 창틀용 개구부(D)에 인접하여서 건물외벽(C)에 배치되는 고정유닛(10, 20, 30, 40)과 외장패널(50)의 가장자리를 덮는다.
상기 체결부(65)는 상기 은폐부(63)의 단부에서 2단으로 수직하게 절곡, 즉, 은폐부(63)의 외측 단부에서 후방으로 수직하게 절곡되고 다시 외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고, 상기 외장패널(50)에 피스(66)를 체결된다.
상기 지지부(67)는 상기 덮개부(61)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서 인접하는 다른 마감패널(60)의 덮개부(61)에 접촉지지되어서 인접하는 마감패널(60) 간의 결합력을 높인다. 상기 지지부(67)는 상기 덮개의 양측 단부에 모두 구비될 수 있고, 일측 단부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연장부(69)는 상기 은폐부(63)의 길이방향 양측에서 덮개부(61)를 벗어나도록 연장되어서, 창틀용 개구부의 모서리 부위에 위치하는 건물외벽을 덮는다.
이하에서는 도4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장패널(50)과 고정유닛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고정유닛은 일단은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은 단열재(B)를 관통하여 건물외벽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앵커볼트(10)와, 상기 앵커볼트(10)가 관통되는 제1관통공(20a)이 형성되고, 상기 단열재(B)에 삽입고정되는 제1브라켓(20)과, 상기 앵커볼트(10)가 관통되는 제2관통공(30a)이 형성되고, 앵커볼트(10)와 나사결합되는 고정너트(13)에 의해 제1브라켓(20)에 고정되는 제2브라켓(30)과, 단열재(B)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열되고 상기 제2브라켓(30)과 결합되고 상기 외장패널(50)이 결합되는 가이드바(40)를 포함한다.
상기 앵커볼트(10)의 단부에는 확장부(11) 및 확장부(11)와 밀착되어 확장부(11)를 가압하는 가압부(12)가 형성된다. 상기 확장부(11)는 가압부(12)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앵커볼트(10)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확장부(11)는 적어도 일부가 절개된 형태로 형성되어 가압부(12)가 내측으로 삽입도면 그에 비례하여 외측으로 확장된다.
상기 제1브라켓(20)은 몸체(21)와, 고정편(22)과, 몸체(21)에 형성된 제1관통공(20a)을 포함한다.
상기 제1브라켓(20)은 앵커볼트(10)가 관통되는 제1관통공(20a)이 형성된 몸체(21)로부터 고정편(22)이 절곡 형성되어 몸체(21)와 고정편(22)이 일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2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브라켓(20)이 단열재(B)에 삽입되면 단열재(B)와 밀착되며, 상기 고정편(22)은 몸체(21)로부터 단열재(B)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몸체(21)가 단열재(B)에 밀착될 때 단열재(B)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고정편(22)은 상기 몸체(21)의 상단부와 하단부로부터 복수 개가 평행하게 돌출된다.
특히, 상기 고정편(22)은 수직방향의 두께는 일정하되 수평방향은 쐐기 형태로 형성되어 말단부를 향해 폭이 점차로 좁아지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단열재(B)에 매우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아울러, 고정편(22)은 수평방향의 폭 중 가장 큰 부분의 수직방향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며 이로 인해 수평방향으로는 수직방향의 두께에 비해 넓은 면이 포함된 형태로 형성된다. 고정편(22)은 수평방향의 넓은 면을 이용하여 단열재(B)에 매우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고정편(22)은 수직방향 두께에 비해 수평방향의 폭이 넓은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단열재(B)에 삽입되면 수평방향으로 보다 넓은 접촉면을 확보하여 중력방향 하중에 보다 강력하게 대항할 수 있다. 고정편(22)은 몸체(21)로부터 복수 개가 돌출되며 각각 몸체(21) 상단부 및 하단부로부터 짝을 이루어 돌출된다. 특히, 고정편(22)은 몸체(21)로부터 절곡되어 몸체(21)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단열재(B)에 삽입된 채 몸체(21)와 이에 결합된 가이드바(40)와 외장패널(50) 전체의 수직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일종의 캔틸레버(cantilever)와 같은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30)은 앵커볼트(10)가 관통되는 제2관통공(30a)을 포함한다. 제2브라켓(30)은 제1브라켓(20)의 몸체(21)에 평행한 부분과 이로부터 절곡되어 몸체(21)에 수직한 부분을 포함한다.
제2관통공(30a)은 상기 몸체(21)와 평행한 부분에 형성되어서 제1브라켓(20)의 몸체(21)에 형성된 제1관통공(20a)과 용이하게 중첩된다. 따라서 앵커볼트(10)가 제1관통공(20a)과 제2관통공(30a)을 통과하여 제1브라켓(20)과 제2브라켓(30)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30)은 앵커볼트(10)와 나사결합되는 고정너트(13)에 의해 제1브라켓(20)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1관통공(20a)과 제2관통공(30a)은 장공형태로 형성되어서 내부를 관통하는 상기 앵커볼트(10)의 위치는 장공의 길이방향을 따라 변경 가능하다. 그래서 앵커볼트(1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제1브라켓(20)과 제2브라켓(30)의 상호 위치는 적절히 변경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건축물의 형태나 외벽형태, 단열재(B)의 배치상태 등에 대응하여 건물외장 구조물의 설치상태를 보다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40)는 상기 단열재(B)와 이격되어 상기 제2브라켓(30)에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1브라켓(20)은 단열재(B)에 삽입되어 단열재(B)에 밀착되고, 상기 제2브라켓(30)은 앵커볼트(10) 및 고정너트(13)에 의해 제1브라켓(20)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바(40)는 단열재(B) 및 제1브라켓(20)과는 이격되어 제2브라켓(30) 일측에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바(40)는 제2브라켓(30)의 결합공(30b)을 관통하여 가이드바(40)에 결합되는 결합볼트(41)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바(40)는 속이 빈 중공형의 각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40)는 복수개의 외주면이 서로 맞물려 연결된 각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중 일면은 제2브라켓(30)에, 타면은 외장패널(50)에 밀착되어 지지된다.
상기 가이드바(40)는 내부에 접착제(A)를 주입하여 채울 수 있다. 접착제(A)가 경화되어 가이드바(40) 내부공간을 채운 상태로 고정되면 결합볼트(41, 54)들이 고정된 접착제(A) 내측으로 삽입된 채 함께 고정되므로 결합력이 강화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고밀도의 접착제(A)를 주입하여 채우고 해당 부분의 밀도를 증가시킬 경우 결합볼트(41, 54)의 고정효과는 더욱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외장패널(50)은 상기 가이드바(40)에 고정되어 단열재(B)의 일부를 덮어 차단한다. 상기 외장패널(50)은 판 형상을 갖고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외장패널(50)은 일측에 외측으로 연장된 결합편(5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51)이 가이드바(4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결합편(51)을 관통하여 가이드바(40)에 형성된 고정홀(40a)에 삽입되는 결합볼트(54)로 외장패널(50)을 가이드바(4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결합볼트(54)는 상기 가이드바(40)의 두께보다 긴 것을 사용하여 각파이이프 형상의 가이드바(40) 양면을 관통하도록 한다.
상기 외장패널(50)은 단부의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52)와 그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수용홈(53)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홈(53)은 고정돌기(52)의 너비와 같거나 크게 형성한다.
외장패널(50)들은 각각에 형성된 고정돌기(52)와 수용홈(53)을 서로 결합하여 보다 견고하게 비열되고 지지된다. 즉, 외장패널(50)은 가이드바(40)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동시에 인접한 다른 외장패널(50)과도 돌기와 홈의 결합으로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건물외장 구조물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앵커볼트 20 : 제1브라켓
30 : 제2브라켓 40 : 가이드바
50 : 외장패널 60 : 마감패널
61 : 덮개부 63 : 은폐부
65 : 체결부 67 : 지지부
69 : 연장부

Claims (4)

  1. 건물외벽에 배열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를 덮는 외장패널;
    상기 단열재와 외장패널을 건물외벽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
    건물의 창틀용 개구부를 형성하는 내벽을 덮고, 인접하는 상기 고정유닛을 은폐하며 상기 외장패널에 결합되 마감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물외장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패널은
    창틀용 내벽을 덮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고정유닛을 은폐하는 은폐부와,
    상기 은폐부의 단부에서 2단으로 수직하게 절곡되고, 상기 외장패널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외장 구조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패널은 상기 덮개부의 단부에서 절곡되어서 인접하는 다른 마감패널의 덮개부에 접촉지지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외장 구조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은폐부의 단부에는 상기 덮개부를 벗어나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외장 구조물.
KR1020160076330A 2016-06-20 2016-06-20 건물외장 구조물 KR101917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330A KR101917280B1 (ko) 2016-06-20 2016-06-20 건물외장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330A KR101917280B1 (ko) 2016-06-20 2016-06-20 건물외장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594A true KR20170142594A (ko) 2017-12-28
KR101917280B1 KR101917280B1 (ko) 2018-11-12

Family

ID=60939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6330A KR101917280B1 (ko) 2016-06-20 2016-06-20 건물외장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2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4918A (zh) * 2019-01-25 2019-06-07 深圳市博大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公共场合墙面的装饰总成
CN111236528A (zh) * 2020-01-14 2020-06-05 山东乾宇建筑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节能保温墙体及其制作装配方法
CN112112377A (zh) * 2020-07-31 2020-12-22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与现浇结构一体化施工的自锁保温薄块及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1272B2 (ko) * 1986-02-12 1992-08-18 Mitsubishi Electric Corp
KR101578860B1 (ko) * 2015-04-21 2015-12-18 (주)지에이에스디 외벽체 창호 시스템 및 그의 설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1272B2 (ja) * 2002-11-26 2008-02-20 ニチハ株式会社 リフォーム時における開口部周り施工方法及び該施工方法に用いる開口部周り化粧部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1272B2 (ko) * 1986-02-12 1992-08-18 Mitsubishi Electric Corp
KR101578860B1 (ko) * 2015-04-21 2015-12-18 (주)지에이에스디 외벽체 창호 시스템 및 그의 설치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4051272호(2008.02.20.) 1부.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4918A (zh) * 2019-01-25 2019-06-07 深圳市博大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公共场合墙面的装饰总成
CN111236528A (zh) * 2020-01-14 2020-06-05 山东乾宇建筑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节能保温墙体及其制作装配方法
CN112112377A (zh) * 2020-07-31 2020-12-22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与现浇结构一体化施工的自锁保温薄块及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280B1 (ko) 2018-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7873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유리판 고정장치
KR101917280B1 (ko) 건물외장 구조물
JPH07177939A (ja) キャビネット用角継手およびこの角継手を含む電気キャビネット
KR102100643B1 (ko) 소음 방지형 커튼월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40134788A (ko) 지붕에 대한 시설물 설치용 조립구조 및 이를 이용한 용마루 시공방법
KR101591862B1 (ko) 커튼월과 스윙도어의 연결구조
KR20190002440U (ko) 배전반용 연결 브라켓
KR101947016B1 (ko) 커튼 월
KR101736805B1 (ko) 샌드위치 패널
KR100753636B1 (ko) 판체 지지용 프레임
KR101891286B1 (ko) 가구 조립구조
JP6050032B2 (ja) 窓接続枠
JP6938148B2 (ja) 建具
KR20200137506A (ko) 메탈 패널 조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메탈 패널
KR102179400B1 (ko) 조립식 패널 함체용 벽체 코너연결구
JP3892328B2 (ja) 部材の結合構造
WO2017122424A1 (ja) ユニットハウス用の壁面パネルおよび壁面構造、ならびに壁面パネル用の連結具
KR102146335B1 (ko) 조립식 패널 함체용 벽체 연결고정구
KR101976804B1 (ko) 조립식 몰딩 유닛 및 이의 제작방법과 시공방법
JPS5811909Y2 (ja) 断熱ドア
CN217872470U (zh) 一种分体式的掩门及安装有掩门的储物柜
CN218024884U (zh) 钢铝复合家用电梯井道
KR101962423B1 (ko) 곡면 커튼월 창호 프레임의 단열 구조
KR20130143329A (ko) 방화문 프레임
CN216405999U (zh) 一种有空腔型快装墙面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