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335B1 - 조립식 패널 함체용 벽체 연결고정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패널 함체용 벽체 연결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335B1
KR102146335B1 KR1020190141148A KR20190141148A KR102146335B1 KR 102146335 B1 KR102146335 B1 KR 102146335B1 KR 1020190141148 A KR1020190141148 A KR 1020190141148A KR 20190141148 A KR20190141148 A KR 20190141148A KR 102146335 B1 KR102146335 B1 KR 102146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nnection
connection module
cover
locking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피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피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피엠
Priority to KR1020190141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을 이용하여 조립 설치되는 다양한 함체의 패널 연결구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함체의 벽체를 조립 시공하기 위한 패널 간 연결고정구를 연결모듈과 커버모듈로 구분 형성하여, 상기 연결모듈에 의해서는 평면상 연속하여 배치된 패널에 대한 상호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커버모듈은 상기 연결모듈의 외측에 간편하게 장착 고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연결모듈에 의해 함체의 벽체를 구성하기 위한 패널 상호 간의 밀착 및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어 함체 자체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연결모듈에 대한 커버모듈의 간편한 결합을 통해 패널 상호 간의 연결부에 대한 미려한 마감 및 간결한 외장이 연출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연결모듈과 커버모듈은 패널 상호 간의 틈새를 통해 함체 외부로부터 빗물이나 분진 혹은 해충 등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함체 내부가 빗물이 이물질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패널 함체용 벽체 연결고정구 {Wall connectors for panel prefabricated structures}
본 발명은 패널을 이용하여 조립 설치되는 다양한 함체의 패널 연결구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태로 조립 설치되는 함체의 벽체패널을 연이어 연결 고정하기 위한 연결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모듈의 외측에는 별도 구비의 커버모듈을 간편하게 조립 고정시켜, 상기 벽체패널을 서로 손쉽게 연결 고정시키는 것은 물론 상기 커버모듈에 의해 연결모듈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커버모듈에 의해 벽체패널의 상호 연결부에 대하여 매끄럽고 미려한 외장이 연출되게 한 조립식 패널 함체용 벽체 연결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함체의 경우 각종 전기 전자 장비를 안치 및 운용하기 위한 경우에 사용되거나, 간이 창고의 용도 혹은 각종 시설물을 설치 및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시공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조립식 패널 함체의 경우 다양한 형태의 패널을 기초 바닥부로부터 세워 설치한 후 역시 다양한 형태의 천정 혹은 지붕을 얹어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의 패널은 함체의 목적이나 형태에 따라 단열 및 방음 혹은 난연성을 갖게 된다. 이어, 구외(構外)로부터 보내오는 전기의 전압을 높이거나 낮추어서 다시 구외로 보내는 수,배전반을 구성할 때 사용되는 함체의 경우에도 소정 두께를 갖는 판체들을 이용하여 함체 형상으로 조립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함체를 구성하기 위한 패널은 등록특허 제10-0705284호와 같이, 발전소나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및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스위치와 계기 및 릴레이(계전기) 등을 함체 내에 설치하여 외부에서 유입되는 특고압을 저압으로 다운시켜 구내의 각종 부하에 공급시켜 주는 수전반 및 배전반용 함체를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패널을 제조할 때 아연 분체 도장된 외측 강판과 내측의 타공 강판 사이에 소음과 단열효과를 구비함과 동시에 환경 친화적인 소재인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로 형성한 복합판재를 설치하여 형성하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복합판재의 형성시 그 내부 또는 외부에 탄소 섬유를 부착시켜 수,배전반의 단열성 및 흡음성을 향상시켜 온도변화에 따른 전기기기의 열화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아크 등에 의한 화재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함체의 내외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고주파를 패널 자체를 통해 흡수하여 접지봉을 통해 지면으로 바이패스시킬 수 있고, 특히 단열 및 흡음을 위해 설치되는 복합판재를 구성하고 있는 소재들에 의한 환경오염과 작업자의 신체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수배전반 함체용 패널이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이어, 등록특허 제10-1081578호와 같이 외부에서 발생되는 낙뢰, 노이즈, 전자파의 유도 전자장을 금속성 외함의 이중 구조에 의해 적극적으로 차폐할 수 있고, 이중 구조의 제1 외함 및 제2 외함을 상호 절연시킴으로써 제1 외함 및 제2 외함의 내부 및 외부에서 순환되는 순환전류를 근본적으로 상쇄시킬 수 있는, 낙뢰 및 전자파 보호를 위한 이중 차폐 구조의 전기설비 패널이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569405호와 같이 외단열 벽체패널을 적용한 모듈러 건축물은 기둥, 보, 슬래브로 이루어진 직육면체의 다수개의 모듈의 적층된 층간의 외벽에 설치하여 층간 단열패널이 결합되는 외단열 벽체패널을 적용한 모듈러건축물에 있어서, 상층기둥, 상기 상층기둥 사이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상층스터드 및 상기 상층기둥의 상하부에 결합되는 상층프레임을 포함하는 상층모듈; 하층기둥, 상기 하층기둥 사이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하층스터드와 상기 하층기둥의 상하부에 결합되는 하층프레임을 포함하는 하층모듈; 상기 상층모듈 및 상기 하층모듈에 부착되는 합판부재; 상기 다수개의 상층스터드 사이에 결합되는 상층단열패널과 상기 다수개의 하층스터드 사이에 결합되는 하층단열패널을 포함하는 단열패널; 및 상기 하층단열패널이 설치된 상기 하층모듈과 상기 하층모듈 상부에 적층되어 상기 상층단열패널이 설치된 상기 상층모듈 층간 외벽에 설치되는 층간단열패널에 의해 결합되게 한 모듈러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이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974269호와 같이 내부공간에 전기장치가 설치되는 외함본체와, 외함본체의 전면에 결합되어 외함본체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와, 외함본체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주입기와, 본체 내부로 주입되는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한 레귤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내측면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 제1패킹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제1패킹부재가 결합되는 도어 내측면 돌출부에 대응하는 외함본체 가장자리에는 상기 외함본체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도어 내측면의 제1패킹부재가 상기 요홈의 바닥면에 밀착하여 밀폐하게 되며, 상기 외함본체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패킹부재의 내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밀착하는 제2패킹부재가 구비된 전기패널 외함이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전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함체를 구성하기 위한 패널의 경우 함체의 벽체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규격의 패널을 연속하여 연결 시공하게 되고, 평면상 일자 형태로 연이어 패널이 연결 고정되는 경우 각 패널 연결부는 패널 간의 상호 끝단부가 그대로 노출되므로 패널 간 틈새를 통해 외부로부터 빗물이나 분진 등이 함체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각 패널 간의 연결부가 그대로 노출되므로 함체의 외관이 불량한 것은 물론 패널 간의 연결 및 고정이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으로, 기존의 패널 연결 작업은 통상적으로 나사 못 등을 일측 패널 끝단으로부터 타측 패널의 끝단을 향하여 경사지게 나사 결합하여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연결용 판재를 덧댄 상태에서 상기 연결 판재를 이용하여 상호 이웃의 패널을 연결 고정하게 되므로 작업이 번거로운 동시에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것이다.
특히, 각 패널의 대향 끝단을 서로 연결 및 고정하는 작업은 매우 긴 형태의 나사 못을 사용하거나 금속재 밴드 혹은 갈바륨 강판 등을 절단하여 강판을 관통하는 나사 못이 패널에 결합됨에 따라 고정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오랜 시간을 요하는 동시에 시공 품질 역시 고급스럽지 못한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00705284 (2007.04.03.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081578 (2011.11.02.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569405 (2015.11.10.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974269 (2019.04.24. 등록)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다양한 함체의 벽체를 조립 시공하기 위한 패널 간 연결고정구를 연결모듈과 커버모듈로 구분 형성하여, 상기 연결모듈에 의해서는 평면상 연속하여 배치된 패널에 대한 상호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커버모듈은 상기 연결모듈의 외측에 간편하게 장착 고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연결모듈을 통해 패널 간의 상호 견고한 고정 및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커버모듈에 의해서는 연결모듈에 대한 은폐 및 상기 패널 상호 간의 연결부에 대한 간결하고 미려한 외장이 연출되도록 한 특징을 갖는 조립식 패널 함체용 벽체 연결고정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직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부에는 좌,우로 이격된 체결공이 상,하 연속하여 반복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양측 끝단에는 수직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의 걸림편이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연결모듈과; 수직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커버부의 양측 끝단에는 일측 방향으로 형성된 절곡수용부를 구성하고, 상기 절곡수용부의 각 끝단에는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계지편을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하여 된 커버모듈;을 각기 구비하여, 상기 연결모듈의 체결공을 통해 연속하여 배치된 벽체패널의 상호 대향 끝단을 나사 못에 의해 서로 연결 고정하고, 상기 커버모듈의 계지편은 연결모듈의 걸림편과 벽체패널의 외면 사이로 삽입되면서 상기 걸림편과 계지편 간의 상호 교차 계지력에 의해 상기 연결모듈에 대한 커버모듈의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연결모듈에 의해 함체의 벽체를 구성하기 위한 패널 상호 간의 밀착 및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어 함체 자체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연결모듈에 대한 커버모듈의 간편한 결합을 통해 패널 상호 간의 연결부에 대한 미려한 마감 및 간결한 외장이 연출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연결모듈과 커버모듈은 패널 상호 간의 틈새를 통해 함체 외부로부터 빗물이나 분진 혹은 해충 등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함체 내부가 빗물이 이물질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고정구가 적용되는 함체의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고정구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고정구의 또 다른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고정구의 연결모듈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고정구의 커버모듈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고정구를 이용한 패널 연결 과정을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고정구를 이용한 패널 연결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고정구를 이용한 패널 연결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고정구를 이용한 패널 연결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고정구의 연결모듈에 대한 다른 실시예도
도 11은 도 10에 따른 연결모듈을 이용한 평면 결합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고정구의 커버모듈에 대한 다른 실시예도
도 13은 도 12에 따른 커버모듈을 이용한 평면 결합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고정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고정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사시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고정구가 적용되는 함체의 전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고정구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고정구의 또 다른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고정구의 연결모듈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고정구의 커버모듈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함체용 패널의 연결고정구는, 함체를 구성하기 위한 벽체패널(100)(100')에 직접 고정되는 연결모듈(10)과 상기 연결모듈(10)에 결합되는 커버모듈(20)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상기의 연결모듈(10)은 함체의 전면 및 측면과 배면을 구성하기 위한 다수의 벽체패널(100)(100')을 평면상 일자 형태로 연속되게 연결 및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의 커버모듈(20)은 상기 연결모듈(10)을 은폐하는 동시에 벽체패널(100)(100') 간 연결부를 미려하게 장식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연결고정구에 있어 상기의 연결모듈(10)은 금속판재를 절단 및 절곡하여 충분한 강성을 갖고 벽체패널(100)(100')을 연결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의 커버모듈(20)은 금속재 혹은 합성수지재 모두 가능한 것으로 소정의 강성과 장식성이 모두 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이상적일 것이다.
또한, 상기의 연결모듈(10)은 수직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부(11)에 좌,우로 이격된 한 쌍의 체결공(13)(13')이 상,하 일정 간격으로 연속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연결모듈(10)은 함체의 높이 또는 벽체패널(100)(100')의 높이에 따라 일정 길이 절단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상기 지지부(11)의 양측 끝단에는 각기 외향 절곡의 경사부(12)(1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경사부(12)(12')의 끝단에는 수직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걸림편(14)(14')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어, 상기의 커버모듈(20) 역시 수직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커버부(2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커버부(21)의 양측 끝단에는 내측 방향인 벽체패널(100)(100')을 향하는 절곡수용부(22)(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곡수용부(22)(22')의 끝단에는 수직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갖고 연속하여 돌출된 계지편(23)(2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함체를 조립 설치하기 위해 벽체패널(100)(100')을 평면상 일자 형태로 연이어 배치한 상태에서, 이들 벽체패널(100)(100')의 상호 대향 끝단 사이에 본 발명의 연결모듈(10)을 밀착시키게 되는 것이고, 상기 지지부(11)에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체결공(13)(13')을 이용하여 별도의 나사 못 등을 상기 벽체패널(100)(100')에 박아 고정하면,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벽체패널(100)(100')은 평면상 일자 형태를 유지하면서 견고하게 연결 및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연결모듈(10)의 고정 상태에서 상기 연결모듈(10)의 걸림편(14)(14')은 지지부(11)의 경사부(12)(12')로 인해 상기 벽체패널(100)(100')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갖고 이격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연결모듈(10)의 고정 상태에서 상기 연결모듈(10)의 외측으로부터 전기한 커버모듈(20)을 도 7 및 도 8의 도시와 같이 근접 체결하면 되는 것으로, 연결모듈(10)의 걸림편(14)과 걸림편(14')의 사이 공간으로 커버모듈(20)의 계지편(23)(23')이 각기 위치하도록 상호 대응하여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커버모듈(20)을 하강시키면 도 9의 도시와 같이 커버모듈(20)의 계지편(23)(23')이 벽체패널(100)(100')의 외면과 연결모듈(10)의 걸림편(14)(14') 사이 틈새로 끼어 들어가게 되는 것이고, 상기 계지편(23)(23')과 걸림편(14)(14')이 서로 겹쳐짐에 따라 상기 연결모듈(10)에 대한 커버모듈(20)의 장착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커버모듈(20)의 절곡수용부(22)(22') 내측으로는 연결모듈(10)의 각 걸림편(14)(14')이 삽입되면서, 커버모듈(20)의 내측으로 연결모듈(10)의 전체가 삽입되는 형태를 갖게 되므로 결국 상기의 연결모듈(10)은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는 상호 결합 상태를 연출하게 된다.
이에, 상기의 연결모듈(10)을 이용해서는 연속하여 일자 형태로 배치되는 벽체패널(100)(100')을 서로 견고하게 연결 및 고정하는 것이고, 상기 연결모듈(10)에 장착되는 커버모듈(20)은 연결모듈(10)을 완전히 은폐시키는 동시에 상기 벽체패널(100)(100')의 상호 연결부에 대한 은폐 및 연결부에 대한 장식이 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커버모듈(20)은 다양한 재질로 선택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표면 색상의 다양화 및 표면 질감 등의 표현이 가능한 것이고, 필요에 따라 커버모듈(20)의 외표면에 다양한 문구나 도형 등을 인쇄하여 조립된 함체의 설치 목적이나 용도 혹은 다양한 정보 등을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어, 본 발명의 연결고정구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10 및 도 11의 도시와 같이 연결모듈(10)의 각 걸림편(14)(14')에 대하여, 상기 벽체패널(100)(100')을 향하여 절개 돌출된 아치 형태의 탄력밀착구(15)(15')를 형성함으로써 커버모듈(20)과의 상호 밀착 고정력이 증대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의 연결모듈(10)에 대한 커버모듈(20)의 결합 과정에서 상기 커버모듈(20)의 계지편(23)(23')은 벽체패널(100)(100')과 연결모듈(10)의 걸림편(14)(14') 사이로 삽입되는 것으로, 경사부(12)(12')에 의한 벽체패널(100)(100')과 걸림편(14)(14')과의 상호 이격 공간은 계지편(23)(23')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틈새를 갖게 되는 것이고, 상기의 틈새는 계지편(23)(23')의 두께보다 넓어야 계지편(23)(23')의 용이한 삽입이 이루어지므로 결국 상기의 커버모듈(20)은 연결모듈(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어느 정도의 유격을 갖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유격으로 인해 커버모듈(20)의 흔들림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유격 및 흔들림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거나 커버모듈(20)이 상,하로 유동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연결모듈(10)의 각 걸림편(14)(14')에 아치 형태의 탄력밀착구(15)(15')를 절개 절곡에 의해 형성함에 따라 연결모듈(10)의 걸림편(14)(14') 후측으로 커버모듈(20)의 계지편(23)(23')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계지편(23)(23')과 탄력밀착구(15)(15')가 서로 간섭되면서 연결모듈(10)에 대한 커버모듈(20)의 강력한 밀착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반대로 상기 커버모듈(20)의 계지편(23)(23')에 대하여 도 12 및 도 13의 도시와 같이 커버부(21)를 향하여 절개 돌출된 아치 형태의 가압밀착구(24)(24')를 형성함에 따라 연결모듈(10)의 걸림편(14)(14')과 상기 가압밀착구(24)(24')가 서로 간섭하면서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밀착 고정력이 더욱 증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연결모듈(10)의 걸림편(14)(14')에 형성된 탄력밀착구(15)(15') 혹은 커버모듈(20)의 계지편(23)(23')에 형성된 가압밀착구(24)(24')는 연결모듈(10)과 커버모듈(20)의 상호 결합에는 방해를 주지 않는 반면 상호 강력한 밀착 고정 상태가 연출되게 하므로, 상기 커버모듈(20)의 유동이나 유격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탄력밀착구(15)(15') 혹은 가압밀착구(24)(24')는 이들의 절개 절곡 과정에서 탄력밀착구(15)(15') 혹은 가압밀착구(24)(24')의 일측 끝단이 걸림편(14)(14') 혹은 계지편(23)(23')으로부터 절단된 형태의 아치형 밀착구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이들 탄력밀착구(15)(15') 혹은 가압밀착구(24)(24')의 탄성 유동력이 더욱 향상되어 연결모듈(10)에 대한 커버모듈(20)의 상호 결합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어, 본 발명 연결고정구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4의 도시와 같이 연결모듈(10)의 지지부(11)에 대하여 좌,우로 이격된 한 쌍의 탄성빗물홈(16)(16')을 수직 길이 방향으로 형성함에 따라 상기 탄성빗물홈(16)(16')에 의해 연결모듈(10)의 걸림편(14)(14')에 대한 유동성을 증대시켜 커버모듈(20)의 결합과정에서 상호 간섭으로 인해 연결모듈(10)의 지지부(11)가 벽체패널(100)(100') 표면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지지부(11)의 들뜸으로 인해 틈새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고, 함체 외부로부터 유입되고자 하는 빗물은 탄성빗물홈(16)(16') 내에서 머물며 함체 하측으로 빠져나가게 되므로 패널 연결 틈새를 통한 함체 내부로의 빗물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도 겸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탄성빗물홈(16)(16')에 의해 각 걸림편(14)(14')에는 탄력 유동성이 생겨 상기의 커버모듈(20)을 연결모듈(10)에 대한 억지 끼움 형태로 결합되도록 설계하는 경우 상기의 탄력 유동성으로 인해 걸림편(14)(14')이 커버모듈(20)의 계지편(23)(23')을 탄력적으로 압박하며 결합되므로 상호 간의 견고한 밀착 고정 상태가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5의 도시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로서 연결모듈(10)의 지지부(11) 외측으로 절개 절곡에 의한 멈춤편(17)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멈춤편(17)과 대응하는 위치의 커버모듈(20) 내면에는 커버부(21)의 내면에 용접 고정되는 끼움편(25)을 대향 형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연결모듈(10)이 벽체패널(100)(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커버모듈(20)을 하강시켜 상기 연결모듈(10)과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커버모듈(20)의 끼움편(25)이 연결모듈(10)의 멈춤편(17)과 간섭을 일으키거나 상호 계지 결합되면서 더 이상 커버모듈(20)이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연결모듈(10)에 대하여 커버모듈(20)의 결합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의 커버모듈(20)에 대한 불필요한 하강 상태로의 결합 또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커버모듈(20)이 연결모듈(10)로부터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연결고정구는 함체를 구성하기 위한 벽체패널을 연속하여 연결 고정하는 작업이 빠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우수한 결합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고, 이들 벽체패널을 연결 고정하기 위한 연결모듈(10)은 커버모듈(20)에 의해 은폐되므로 함체 외부로 지저분한 패널 연결수단이 드러나지 않는 동시에 커버모듈(20) 만이 매끄럽게 노출되어 함체 외장을 더욱 간결하고 고급스럽게 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연결모듈 11 : 지지부
12,12' : 경사부 13,13' : 체결공
14,14' : 걸림편 15,15' : 탄력밀착구
16,16' : 탄성빗물홈 17 : 멈춤편
20 : 커버모듈 21 : 커버부
22 : 절곡수용부 23,23' : 계지편
24,24' : 가압밀착구 25 : 끼움편
100,100' : 벽체패널

Claims (6)

  1. 수직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부(11)에는 좌,우로 이격된 체결공(13)(13')이 상,하 연속하여 반복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1)의 양측 끝단에는 수직 길이 방향으로 걸림편(14)(14')이 돌출 형성된 연결모듈(10)과; 수직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커버부(21)의 양측 끝단에는 일측 방향으로 형성된 절곡수용부(22)(22')를 구성된 커버모듈(20);을 각기 구비하여, 연속 배치된 벽체패널(100)(100')의 상호 대향 끝단을 상기 연결모듈(10)의 체결공(12)(12')으로 삽입되는 나사 못에 의해 서로 연결 고정되도록 한 조립식 패널 함체용 벽체 연결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14)(14')은 지지부(11)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수직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 돌출 형성되게 하고, 상기 절곡수용부(22)(22')의 각 끝단에는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계지편(23)(23')을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하여, 상기 계지편(23)(23')은 연결모듈(10)의 걸림편(14)(14')과 벽체패널(100)(100')의 외면 사이로 삽입되면서 상기 걸림편(14)(14')과 계지편(23)(23') 간의 상호 교차 계지력에 의해 상기 연결모듈(10)에 대한 커버모듈(20)의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되,
    연결모듈(10)의 지지부(11) 양측 끝단부에는 외향 절곡의 경사부(12)(12')를 형성하고 전기한 걸림편(14)(14')은 상기 경사부(12)(12')의 끝단으로부터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경사부(12)(12')에 의해 형성된 벽체패널(100)(100')과 걸림편(14)(14')의 틈새를 통해 상기 커버모듈(20)의 계지편(23)(23')이 삽입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연결모듈(10)의 걸림편(14)(14')에는 벽체패널(100)(100')을 향하여 절개 돌출된 아치 형태의 탄력밀착구(15)(15')를 형성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모듈(10)의 지지부(11)에는 외향 절곡의 탄성빗물홈(16)(16')을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패널 함체용 벽체 연결고정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141148A 2019-11-06 2019-11-06 조립식 패널 함체용 벽체 연결고정구 KR102146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148A KR102146335B1 (ko) 2019-11-06 2019-11-06 조립식 패널 함체용 벽체 연결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148A KR102146335B1 (ko) 2019-11-06 2019-11-06 조립식 패널 함체용 벽체 연결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6335B1 true KR102146335B1 (ko) 2020-08-21

Family

ID=72235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148A KR102146335B1 (ko) 2019-11-06 2019-11-06 조립식 패널 함체용 벽체 연결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33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3755Y2 (ja) * 1989-06-22 1996-07-03 株式会社アイジー技術研究所 目地カバ―取付具
JP2001081908A (ja) * 1999-09-09 2001-03-27 Tsutomu Sugiyama 横葺き外装パネルの接続構造およびジョイント部品
KR200241864Y1 (ko) * 2001-05-25 2001-10-29 삼목정공주식회사 거푸집용 합판 고정구
KR100705284B1 (ko) 2007-01-22 2007-04-13 주식회사 삼진전기 수/배전반 함체용 패널
KR100740254B1 (ko) * 2005-07-15 2007-07-16 김순호 브라켓의 걸어맞춤을 이용한 실내벽의 패널 설치구조
KR101081578B1 (ko) 2011-08-25 2011-11-08 썬덴코리아 주식회사 낙뢰 및 전자파 보호를 위한 이중 차폐 구조의 전기설비 패널
KR101569405B1 (ko) 2013-01-31 2015-11-16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외단열 벽체패널을 적용한 모듈러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974269B1 (ko) 2017-05-16 2019-04-30 장보경 에어퍼지가 적용된 이중방진구조의 전기패널 외함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3755Y2 (ja) * 1989-06-22 1996-07-03 株式会社アイジー技術研究所 目地カバ―取付具
JP2001081908A (ja) * 1999-09-09 2001-03-27 Tsutomu Sugiyama 横葺き外装パネルの接続構造およびジョイント部品
KR200241864Y1 (ko) * 2001-05-25 2001-10-29 삼목정공주식회사 거푸집용 합판 고정구
KR100740254B1 (ko) * 2005-07-15 2007-07-16 김순호 브라켓의 걸어맞춤을 이용한 실내벽의 패널 설치구조
KR100705284B1 (ko) 2007-01-22 2007-04-13 주식회사 삼진전기 수/배전반 함체용 패널
KR101081578B1 (ko) 2011-08-25 2011-11-08 썬덴코리아 주식회사 낙뢰 및 전자파 보호를 위한 이중 차폐 구조의 전기설비 패널
KR101569405B1 (ko) 2013-01-31 2015-11-16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외단열 벽체패널을 적용한 모듈러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974269B1 (ko) 2017-05-16 2019-04-30 장보경 에어퍼지가 적용된 이중방진구조의 전기패널 외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74213B1 (en) Telecommunications enclosures
JP3664416B2 (ja) 建物の柵構造
KR20160056662A (ko) 주거형 컨테이너 구조물의 조립구조
US8458961B2 (en) Modular work station with air collector
KR102146335B1 (ko) 조립식 패널 함체용 벽체 연결고정구
JP6611879B2 (ja) ユニットハウスの壁面構造
KR101880188B1 (ko) 다단 슬라이드 도어 타입 이동통신 옥외형 안테나의 환경친화 및 슬림형 가림막 구조물
KR102179400B1 (ko) 조립식 패널 함체용 벽체 코너연결구
KR101101156B1 (ko) 방음벽
KR101917280B1 (ko) 건물외장 구조물
JP5123685B2 (ja) 建物の軒先構造
KR101042127B1 (ko) 수배전반
KR101057766B1 (ko) 건축물용 패널
US10619349B2 (en) Fastening device for fastening lighting devices to a false ceiling
KR200148890Y1 (ko) 조립식 칸막이
CN108474208B (zh) 简易房的墙面构造
JP4723404B2 (ja) 簡易構築物の天井形成方法
KR20090102112A (ko) 투시 겸용 조립식 방음판
JP2018035668A (ja) ユニットハウス用の壁面パネル
JP7070853B2 (ja) 建物の天井構造
KR101613694B1 (ko) 지지기둥이 내설된 조립식 벽체패널
KR100966173B1 (ko) 공동주택용 조립형 분전박스
CN215732169U (zh) 美化天线
JP3044171B2 (ja) ゲート
KR20180077457A (ko) 조립식 외장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