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0517A - 가스 부품성 직물 - Google Patents

가스 부품성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0517A
KR20240040517A KR1020220119559A KR20220119559A KR20240040517A KR 20240040517 A KR20240040517 A KR 20240040517A KR 1020220119559 A KR1020220119559 A KR 1020220119559A KR 20220119559 A KR20220119559 A KR 20220119559A KR 20240040517 A KR20240040517 A KR 20240040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tether
fabric
strength
ya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9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은
정일
이영수
김기정
허진욱
박지훈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9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0517A/ko
Priority to PCT/KR2023/011616 priority patent/WO2024063331A1/ko
Publication of KR20240040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0517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2Inflatable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42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inorganic, e.g. basalt
    • D03D15/275Carbon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04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material
    • B60R2021/23509Fabr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 D10B2505/124Ai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에어백용 이중 직물,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를 뇌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에어백 원단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구체예에 따르면, 에어백 전개 시 테더와 직물층의 연결부에 스트레스가 가해지는 경우, 저강도 사가 끊어지면서 상기 스트레스가 분산될 수 있고, 그 결과 테더 사의 끊어짐이 방지되며, 직물의 전개 형상을 제어할 수 있는 에어백용 이중 직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가스 부품성 직물{Gas inflatable fabric}
본 출원은 가스 부품성 직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은 사용자를 뇌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OPW(One-piece woven) 에어백 원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스 부품성 직물에 관한 것이다.
차량 이동 중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에어백이 장착된다. 예를 들어, 자동차 측면 프레임과 같은 위치에 커튼형 에어백이 장착될 수 있다. 커튼형 에어백은 차량의 전복 상황에 대비하여 내압 유지율이 우수해야 하므로, 봉제가 없는 (Non-woven) 쟈카드로 직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이 제조된 에어백을 OPW(One-piece woven)라고 호칭한다.
OPW는 봉제가 없이 직조 단계에서 바로 포켓이 형성되는 직조 방식을 이용한 것이기 때문에, 팽창을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과도한 팽창은 사용자의 뇌 손상(Brain injury)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종래 기술에서는 쿠션의 팽창 속도와 팽창하는 쿠션의 볼륨 정도를 적절하게 제어하고자, 에어백 원단 직조상에서 내부에 테더(tether)를 형성하였다. 테더의 적용으로 에어백의 팽창은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나, 팽창시 테더 부분에 스트레스가 가해져 쉽게 끊어지고, 테더 적용에 따른 효과를 충분히 얻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출원의 일 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에어백 원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를 뇌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에어백 원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은 아래 상세히 설명되는 본 출원 발명에 의해 모두 해결될 수 있다.
본 출원에 관한 구체예에서, 본 출원은 저강도 사와 고강도 사가 반복하여 교대 배열된 제 1 방향의 사, 상기 제 1 방향의 사와 교차할 수 있는 제 2 방향의 사, 및 상기 제 1 방향의 사와 교차할 수 있는 테더 사를 함께 직조하여 제조되는 에어백용 직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이중 직물은,
서로 마주하는 2 개의 직물층(L1, L2)을 포함하고, 상기 2 개의 직물층(L1, L2)이 테더 사(tether yarn)(T)사에 의해 서로 연결된 부품성 이중 직물이고,
상기 2개의 직물층(L1, L2) 각각은, 복수의 제 1 방향 실(Y1) 및 복수의 제 2 방향 실(Y2)이 교차하여 직조되며,
상기 테더 사(T)는 상기 제 2 방향의 일측 단부(E)와 타측 단부(E’) 사이에 위치하는 테더 영역(AT) 내에서 상기 2개의 직물층(L1, L2)을 연결하고,
상기 테더 영역(AT) 내에서 상기 제 1 방향의 실(Y1)은 제 2 방향에서 반복하여 교대 배열되는 제 1 방향의 저강도 사(Y11)와 제 1 방향의 고강도 사(Y12)로 이루어지며,
상기 테더 영역(AT) 내에서 상기 테더 사(T)는,
제 2 방향 일측 단부(E)에서 타측 단부(E’) 방향으로 상기 직물층(L1)의 제 1 방향 실(Y1)과 교차하여 직조되면서, 상기 테더 영역(AT)의 상기 직물층(L1)에 위치한 저강도 사(Y11L1’)와 고강도 사(Y12L1’) 사이를 관통하여 상기 직물층(L1, L2) 사이 공간을 경유한 후 상기 직물층(L2)으로 직조되는 테더 사(T1)를 포함하고,
이중 직물의 팽창시 상기 테더 사(T1)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저강도 사(Y11L1’)가 파열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테더 사(T1)는, 서로 직접 인접함과 동시에 상기 직물층(L1)의 제 2 방향 일측 단부(E)에서부터 타측 단부(E’) 방향으로 순차 위치하는 저강도 사(Y11L1’)와 고강도 사(Y12L1’) 사이를 관통한다.
본 출원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직물층(L2)으로 직조되는 상기 테더사(T1)는, 상기 테더 영역(AT) 내에서 상기 직물층(L2)에 위치한 고강도 사(Y12L2’)와 저강도 사(Y11L2’) 사이를 관통하여 상기 직물층(L2)에 혼입한 후, 제 2 방향의 타측 단부(E’) 방향을 향하여 상기 직물층(L2)으로 직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테더 사(T1)는, 서로 직접 인접함과 동시에 상기 직물층(L2)의 제 2 방향 일측 단부(E)에서부터 타측 단부(E’) 방향으로 순차 위치하는 고강도 사(Y12L2’)와 저강도 사(Y11L2’)와 사이를 관통한다.
본 출원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테더 영역(AT) 내에서 상기 테더 사(T)는 테더 사(T2)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테더 사(T2)는 제 2 방향 타측 단부(E’)에서부터 일측 단부(E) 방향으로 상기 직물층(L1)의 제 1 방향 실(Y1)과 교차하여 직조되면서, 상기 테더 영역(AT)의 상기 직물층(L1)에 위치한 저강도 사(Y11L1”)와 고강도 사(Y12L1”) 사이를 관통하여 상기 직물층(L1, L2) 사이의 공간을 경유한 후 상기 직물층(L2)으로 직조될 수 있다. 이때, 이중 직물의 팽창시 상기 테더 사(T2)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저강도 사(Y11L1”)가 파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테더 사(T2)는, 서로 직접 인접함과 동시에 상기 직물층(L1)의 제 2 방향 타측 단부(E’)에서부터 일측 단부(E) 방향으로 순차 위치하는 저강도 사(Y11L1”)와 고강도 사(Y12L1”) 사이를 관통한다.
본 출원의 다른 구체예예서, 상기 직물층(L2)으로 직조되는 상기 테더사(T2)는, 상기 테더 영역(AT) 내에서 상기 직물층(L2)에 위치한 고강도 사(Y12L2”)와 저강도 사(Y11L2”) 사이를 관통하여 상기 직물층(L2)에 혼입한 후, 제 2 방향의 일측 단부(E) 방향을 향하여 상기 직물층(L2)으로 직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테더 사(T2)는 서로 직접 인접함과 동시에 상기 직물층(L2)의 제 2 방향 타측 단부(E’)에서부터 일측 단부(E) 방향으로 순차 위치하는 고강도 사(Y12L2”)와 저강도 사(Y11L2”)와 사이를 관통한다
본 출원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저강도 사(Y11), 고강도 사(Y12), 제 2 방향 실(Y2) 및 테더 사(T) 각각은 독립적으로,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아라미드 섬유, 폴리케톤 섬유, 탄소 섬유 및 셀룰로오스 섬유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저강도 사(Y11)는 상기 고강도 사(Y12) 보다 작은 섬도(fineness) 또는 낮은 강력(N)을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고강도 사(Y12)와 상기 제 2 방향 실(Y2)은 동일한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출원의 이중 직물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출원에 따르면, 테더(tether)의 파손 가능성이 감소한 것과 같이,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개선된 에어백 직물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구체예에 따르면, 에어백 전개 시 테더와 직물층의 연결부에 스트레스가 가해지는 경우, 저강도 사가 끊어지면서 상기 스트레스가 분산될 수 있고, 그 결과 테더 사의 끊어짐이 방지되며, 직물의 전개 형상을 (설계한 것에 보다 가깝게) 제어할 수 있는 에어백용 이중 직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출원은 사용자를 뇌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에어백 원단을 제공하는발명의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테더가 적용된 이중직물을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a)는 종래 기술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더 에어백용 이중 직물 내에서 테더가 결합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b)는 가스 주입 이후 이중 직물이 팽창 또는 전개되는 동안, 테더에 스트레스가 가해지면서 테더가 쉽게 끊어지는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구체예에 따라, 저강도 사(Y11)와 고강도 사(Y12)로 이루어진 한 쌍의 실(YP)이 제 1 방향 사(Y1)를 구성하는 이중 직물을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2(a)은 이중 직물의 팽창 영역 내로 가스가 주입되기 전(팽창 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b)는 가스 주입 이후 팽창 영역의 부피가 커지면서, 테더 사(T1, T2)가 관통하는 한 쌍의 실(YP) 중 고강도 사(Y12)사에 팽창에 따른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2(c)는 그러한 충격의 결과로 고강도 사(Y12)는 끊어진 반면, 테더는 끊어지지 않고 저강도 사(Y11)에 체결된 상태로 여전히 직물층(L1, L2)을 상호 연결시킬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다른 구체예예 따라, 제 1 방향 사(Y1) 중에서도 이중 직물 일측과 타측 사이에 형성된 테더 영역(AT) 내의 제 1 방향 사(Y1)에 대해서만 저강도 사(Y11)와 고강도 사(Y12)로 이루어진 한 쌍의 실(YP)이 적용된 이중 직물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이중 직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작용과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발명의 예시로서 제시된 것으로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어떠한 의미로든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 관한 일례에서, 본 출원은 에어백용 부품성 이중 직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중 직물은 서로 마주하는 2 개의 직물층(L1, L2)을 포함하고, 상기 2 개의 직물층(L1, L2)이 테더 사(tether yarn)(T)사에 의해 서로 연결된 부품성 이중 직물이다. 그리고, 상기 2개의 직물층(L1, L2) 각각은, 복수의 제 1 방향 실(Y1) 및 복수의 제 2 방향 실(Y2)이 교차하여 직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방향의 실(Y1)은 경사 또는 위사일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상기 제 2 방향의 실(Y2)은 위사 또는 경사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이중 직물은 가스 부품성 또는 팽창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이중 직물은 서로 대향하는 2개 직물층(L1, L2) 간 접합을 통해 가스 부품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중 직물은 상술한 부품성 또는 팽창성을 가질 수 있을 정도의 밀폐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대향하는 2개 직물층(L1, L2) 간 접합을 통해 가스부품을 발생시키는 기체를 두 개의 분리된 직물층 사이에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고, 동시에 팽창하는 기체의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이중 직물이 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가스 유입시 상기 팽창부는 부풀게 되고, 사용자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2개 직물층(직물층(L1) 또는 제 1 직물층; 직물층(L2) 또는 제 2 직물층) 간 접합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직물층과 제 1 직물층은 일체형 직조 방식(one piece woven)에 의해 제조된 것으로 분리된 두 개의 직물(층)이 동시에 직조된 것일 수 있고, 이들 직물층이 접결점(또는 접결부)에서 접합된 것일 수 있다. 접결점(또는 접결부)은 예를 들어 도 4에서, 2개 직물층 각각의 일측 단부(E)와 타측 단부(E’) 방향에 대응하는 지점이 서로 상기와 같은 팽창성을 가질 수 있도록 연결된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미도시).
에어백에는 팽창시 직물의 전개 형상을 제어하고자 팽창부부분에 심(seam)이 형성되기도 하는데, 본 출원 구체예에 따르면, 자캬드 직기를 이용하여 봉제 없이 풍선형태로 부풀 수 있는 에어백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것과 같이 본 출원에서는 이너 테더(innter tether)를 포함하는 직물 패턴이 형성되므로, 팽창시 직물의 전개 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심(seam)이 형성되지 않은 논-우븐 에어백(non-woven aribag)이 제공될 수 있다.
본 출원의 구체예에서, 상기 2 개의 직물층(L1, L2)이 테더 사(tether yarn)(T)사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테더 사(T)는 상기 제 2 방향의 일측 단부(E)와 타측 단부(E’) 사이에 위치하는 테더 영역(AT) 내에서 상기 2개의 직물층(L1, L2)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중 직물이나 이를 구성하는 직물층(L1, L2) 중 상기 테더 영역(AT)의 구체적인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테더 사(T)가 직물층(L1, L2)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테더 영역은, 이중 직물이 실제 팽창하는 경우에 가장 많은 힘(스트레스)을 받는 이중 직물의 일부 부분(영역) 또는 직물층(L1, L2)의 일부 부분(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테더 사는 (제 2 방향 실과 마찬가지로) 제 1 방향 실과 교차하여 직조되는데, 이중 직물의 단면에서 관찰시 상기 2 개 직물층(L1, L2)이 테더 사에 의해 연결되는 직물층(L1, L2)의 영역을 테더 영역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것과 같이 직물층(L1, L2) 각각을 관통하면서 테더 사(T1, T2)가 직조될 때, ‘X 자로 교차된 테더 사(T1, T2)가 2개 직물층 사이에서 차지하는 공간’과 ‘테더 사(T1, T2)가 직물층을 관통하는 지점’을 포함한 영역이 테더 영역일 수 있다. 다만, 본 출원에서는 이중 직물 팽창시 테더 사가 끊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테더 영역의 크기는 테더 사의 파열에 따라 다소 달라질 수 있다(도 2(a) 와 2(c) 참조).
발명 구체예에 관한 설명 편의를 위해 테더 사(T)와 제 2 방향 실(Y2)을 구별하고, 관련 도면에서는 그 색을 달리 표현였으나, 테더 사(T) 역시 (제 2 방향 실과 마찬가지로) 제 1 방향 실과 교차하여 직조되기 때문에 제 2 방향 실 중 하나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 방향 실(Y2)이 경사인 경우 테더 사(T) 역시 경사일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상기 테더 사(T)를 Y2’로 표현할 수도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에어백용 이중 직물에 내부 테더(inner tether) 적용시, 경사와 위사에 특별한 차이를 두지 않고 이중 직물을 제조하였다.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의 이중 직물에 사용되는 위사와 경사로는, 통상의 필라멘트 사나 트위스트 사가 위사와 경사 모두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과 같이, 단일사가 사용되었다. 이러한 단일사는 통상 400 내지 600 데니어 수준의 섬도를 갖는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도 1에서 설명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이중 직물의 팽창시 테더가 형성되는 부분(또는 테더에 의해 상부 및 하부 직물층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테더 사가 직접적인 힘(팽창력)을 받게 되면서 끊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테더가 직물층과 접하는 부분에서 테더나 다른 실(테더 외의 경사 또는 위사)이 본래 위치에서 밀려나면서 핀 홀(pin hole)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에어백의 내압 유지 정도를 악화시킨다.
본 출원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에서는 테더 사와 함께 이중 직물 직조에 사용될 수 있는 위사 또는 경사 중 하나 이상이 서로 강도가 상이한 이종의 원사를 나란하게 교대 배열하고, 테더 사가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은 원사에 걸쳐 배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은, 이중 직물이 팽창하여 테더에 외력(장력 또는 팽창력)이 작용하는 경우, 내부 테더(innter tether) 영역, 즉 후술하는 테더 영역에서만 서로 강도가 상이한 이종 원사가 갈라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강도가 약한 원사에 테더가 걸쳐 있으므로, 이중 직물의 팽창 또는 전개 상황에서 저강도 사만 끊어질 수 있고, 테더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은 테더의 끊어짐을 방지하고, 핀 홀에 따른 공기 유출(air leakage)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저강도 사가 끊어지더라도, 그 옆에 위치하는 고강도 사에 테더가 걸리기 때문에, 내부 테더 설계를 통해 의도한 테더의 길이를 유지하면서, 이중 직물의 팽창 속도 및/또는 팽창 부피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이중 직물에서, 상기 테더 영역(AT) 내에서 상기 제 1 방향의 실(Y1)은 제 2 방향에서 반복하여 교대 배열되는 제 1 방향의 저강도 사(Y11)와 제 1 방향의 고강도 사(Y12)로 이루어진다. 본 출원의 구체예에서, 저강도 사(Y11)와 고강도 사(Y12)가 서로 직접 인접하면서(즉, 저강도 사(Y11)와 고강도 사(Y12) 사이에 다른 섬유가 존재하지 않음), 반복적으로 교대 배열되면서 제 1 방향의 실(Y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저강도 사(Y11)란, 고강도 사(Y12) 보다 작은 섬도(fineness) 또는 낮은 강력(N)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테더 영역(AT) 내에서 상기 테더 사(T)는 상기 직물층(L1)의 일측 단부(E)에서부터 테더 영역(AT) 이르는 영역과 상기 직물층(L2)의 테더 영역(AT) 부터 타측 단부(E’)에 이르는 영역을 연결하는 테더 사(T1)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테더 사(T1)는 제 2 방향 일측 단부(E)에서 타측 단부(E’) 방향으로 상기 직물층(L1)의 제 1 방향 실(Y1)과 교차하여 직조되면서, 상기 테더 영역(AT)의 상기 직물층(L1)에 위치한 저강도 사(Y11L1’)와 고강도 사(Y12L1’) 사이를 관통하여 상기 직물층(L1, L2) 사이 공간을 경유한 후 상기 직물층(L2)으로 직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배열, 배치 및/또는 직조)된 테더 사(T1)를 포함하는 경우, 이중 직물의 팽창시 상기 테더 사(T1)에 가해지는 힘(가스에 의한 팽창력 또는 가스로 인한 팽창에 의해 테더 사(T1)에 가해지는 장력)에 의해 상기 저강도 사(Y11L1’)가 파열(끊어짐)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테더 사(T1)는, 서로 직접 인접함과 동시에 상기 직물층(L1)의 제 2 방향 일측 단부(E)에서부터 타측 단부(E’) 방향으로 순차 위치하는 저강도 사(Y11L1’)와 고강도 사(Y12L1’) 사이를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직물층(L2)으로 직조되는 상기 테더사(T1)는, 상기 테더 영역(AT) 내에서 상기 직물층(L2)에 위치한 고강도 사(Y12L2’)와 저강도 사(Y11L2’) 사이를 관통하여 상기 직물층(L2)에 혼입한 후, 제 2 방향의 타측 단부(E’) 방향을 향하여 상기 직물층(L2)으로 직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테더 사(T1)는, 서로 직접 인접함과 동시에 상기 직물층(L2)의 제 2 방향 일측 단부(E)에서부터 타측 단부(E’) 방향으로 순차 위치하는 고강도 사(Y12L2’)와 저강도 사(Y11L2’)와 사이를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이중 직물은 복수의 테더 사(T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제 1 방향 실이 있는 경우, 제 1 방향에서의 위치를 달리하는 복수의 테더 사(T1)가, 상기 제 1 방향 실과 함께 직조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테더 영역(AT) 내에서 상기 테더 사(T)는 상기 직물층(L1)의 타측 단부(E’)에서부터 테더 영역(AT) 이르는 영역과 상기 직물층(L2)의 테더 영역(AT) 부터 일측 단부(E)에 이르는 영역을 연결하는 테더 사(T2)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테더 사(T2)는 상기 제 2 방향 타측 단부(E’)에서부터 일측 단부(E) 방향으로 상기 직물층(L1)의 제 1 방향 실(Y1)과 교차하여 직조되면서, 상기 테더 영역(AT)의 상기 직물층(L1)에 위치한 저강도 사(Y11L1”)와 고강도 사(Y12L1”) 사이를 관통하여 상기 직물층(L1, L2) 사이의 공간을 경유한 후 상기 직물층(L2)으로 직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배열, 배치 및/또는 직조)된 테더 사(T2)를 포함하는 경우, 이중 직물의 팽창시 상기 테더 사(T1)에 가해지는 힘(가스에 의한 팽창력 또는 가스로 인한 팽창에 의해 테더 사(T1)에 가해지는 장력)에 의해 상기 저강도 사(Y11 L1”)가 파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테더 사(T2)는, 서로 직접 인접함과 동시에 상기 직물층(L1)의 제 2 방향 타측 단부(E’)에서부터 일측 단부(E) 방향으로 순차 위치하는 저강도 사(Y11L1”)와 고강도 사(Y12L1”) 사이를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직물층(L2)으로 직조되는 상기 테더사(T2)는, 상기 테더 영역(AT) 내에서 상기 직물층(L2)에 위치한 고강도 사(Y12L2”)와 저강도 사(Y11L2”) 사이를 관통하여 상기 직물층(L2)에 혼입한 후, 제 2 방향의 일측 단부(E) 방향을 향하여 상기 직물층(L2)으로 직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테더 사(T2)는, 서로 직접 인접함과 동시에 상기 직물층(L2)의 제 2 방향 타측 단부(E’)에서부터 일측 단부(E) 방향으로 순차 위치하는 고강도 사(Y12L2”)와 저강도 사(Y11L2”)와 사이를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이중 직물은 복수의 테더 사(T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제 1 방향 실이 있는 경우, 제 1 방향에서의 위치를 달리하는 복수의 테더 사(T1)가 상기 제 1 방향 실과 함께 직조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부품성 이중 직물의 어느 일 단면에서 관찰시에, 상기 테더 사(T1)와 상기 테더 사(T2) 상기 직물층(L1, L2) 사이에서 X 모양으로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2(a) 참조).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테더 영역(AT) 내에서, 제 1 방향 실(Y1)을 이루는 고강도 사(Y12)의 개수가 n인 경우, 제 1 방향 실(Y1)을 이루는 저강도 사(Y11)의 개수는 n+1 이거나 그 보다 클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2개의 직물층(L1, L2) 각각은, 상기 제 2 방향의 일측 단부(E) 부터 상기 테더 영역(AT)에 이르기까지, 제 2 방향에서 반복하여 교대 배열되는 제 1 방향의 저강도 사(Y11)와 제 1 방향의 고강도 사(Y12)로 이루어진 제 1 방향 실(Y1)과 복수의 제 2 방향 실(Y2)이 교차하여 직조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강도 사(Y11)와 상기 고강도 사(Y12)는 제 2 방향 일측 단부(E)에서부터 타측 단부(E’) 방향으로 반복하여 순차 배열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2개의 직물층 각각은, 상기 제 2 방향의 타측 단부(E’) 부터 상기 테더 영역(AT)에 이르기까지, 제 2 방향에서 반복하여 교대 배열되는 제 1 방향의 저강도 사(Y11)와 제 1 방향의 고강도 사(Y12)로 이루어진 제 1 방향 실(Y1)과 복수의 제 2 방향 실(Y2)이 교차하여 직조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강도 사(Y11)와 상기 고강도 사(Y12)는 제 2 방향 타측 단부(E’)에서부터 일측 단부(E) 방향으로 순차 배열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2 방향 실(Y2)은 상기 제 2 방향의 일측 단부(E) 부터 상기 테더 영역(AT)에 이르기까지, 상기 저강도 사(Y11)와 상기 고강도 사(Y12)로 이루어진 한 쌍의 실(YP)을 기준으로 제 1 방향 실(Y1)과 교차하면서 직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저강도 사(Y11)와 상기 고강도 사(Y12)는 제 2 방향 일측 단부(E)에서부터 타측 단부(E’) 방향으로(또는 상기 테더 영역(AT) 방향으로) 순차 배열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2 방향 실(Y2)은 상기 제 2 방향의 타측 단부(E’) 부터 상기 테더 영역(AT)에 이르기까지, 상기 저강도 사(Y11)와 상기 고강도 사(Y12)로 이루어진 한 쌍의 실(YP)을 기준으로 제 1 방향 실(Y1)과 교차하면서 직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저강도 사(Y11)와 상기 고강도 사(Y12)는 제 2 방향 타측 단부(E’)에서부터 일측 단부(E) 방향으로(또는 상기 테더 영역(AT) 방향으로) 순차 배열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테더 사(T, T1, T2)는 상기 제 2 방향의 일측 단부(E) 부터 상기 테더 영역(AT)에 이르기까지, 상기 제 2 방향 실(Y2)과 함께 상기 제 1 방향 실(Y1)과 교차하여 직조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테더 사(T, T1, T2)는 상기 제 2 방향의 타측 단부(E’) 부터 상기 테더 영역(AT)에 이르기까지, 상기 제 2 방향 실(Y2)과 함께 상기 제 1 방향 실(Y1)과 교차하여 직조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상술한 이중 직물을 직조하는데 사용되는 섬유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저강도 사(Y11), 고강도 사(Y12), 제 2 방향 실(Y2) 및 테더 사(T, T1, T2) 각각은 독립적으로, 폴리에스테르 섬유(예: PET), 폴리아미드 섬유(예: 나일론), 폴리아라미드 섬유, 폴리케톤 섬유, 탄소 섬유 및 셀룰로오스 섬유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저강도 사(Y11)는 10 내지 400 데니어 범위의 섬도를 갖는 섬유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강도 사(Y11)는 그 섬도가 예를 들어, 50 데니어 이상, 150 데니어 이상, 200 데니어 이상, 250 데니어 이상, 300 데니어 이상 또는 350 데니어 이상이고, 그리고, 그 상한이 350 데니어 이하, 300 데니어 이하, 250 데니어 이하, 200 데니어 이하, 150 데니어 이하, 100 데니어 이하 또는 50 데니어 이하인 섬유를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고강도 사(Y12)는 상술한 저강도 사(Y11)의 섬도 보다 상대적으로 큰 섬도를 갖는 섬유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강도 사(Y12)와 저강도 사(Y11) 간 섬도 차이는 예를 들어, 적어도 50 데니어 이상, 100 데니어 이상, 150 . 데니어 이상, 200 데니어 이상, 250 데니어 이상, 300 데니어 이상, 350 데니어 이상, 400 데니어 이상, 450 데니어 이상, 500 데니어 이상, 550 데니어 이상 또는 600 데니어 이상일 수 있다. 고강도 사(Y12)와 저강도 사(Y11) 간 섬도 차이 상한은 예를 들어, 900 데니어 이하, 800 데니어 이하, 700 데니어 이하, 600 데니어 이하, 500 데니어 이하, 400 데니어 이하, 300 데니어 이하, 200 데니어 이하 또는 100 데니어 이하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고강도 사(Y12)는 상술한 저강도 사(Y11)의 강력 보다 상대적으로 큰 강력을 갖는 섬유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강도 사는 고강도 사의 강량 대비 50 % 이하의 강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강도사가 30 내지 50 N의 강력를 갖는다면, 저강도 사는 고강도 사 대비 약 50 % 이하의 강력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강도 사는 약 25 N 이하, 20 N 이하 또는 15 이하의 강력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고강도 사(Y12)와 상기 제 2 방향 실(Y2)은 동일한 섬유이거나 동일한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이중 직물에서 고강도 사(Y12)와 상기 제 2 방향 실(Y2)은 동일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상기 고강도 사(Y12), 상기 제 2 방향 실(Y2), 및 테더 사(T)는 동일한 섬유이거나 동일한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이중 직물에서 고강도 사(Y12), 상기 제 2 방향 실(Y2) 및 , 및 테더 사(T)는 동일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이들 고강도 사와 그 보다 강도가 작은 저강도 사(Y11)가 상술한 것과 같이 직조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이중 직물 팽창시, 강도가 약한 저강도 사가 테더 형성부에 가해지는 스트레스에 의해 먼저 끊어지면서 스트레스가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테더에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L1, L2: 직물층
1: 제 1 방향
2: 제 2 방향
E: 제 2 방향 일측 단부
E’: 제 2 방향 타측 단부
V: 이중 직물의 단면 방향
AT: 테더 영역
Y1: 제 1 방향 실
YP: 제 1 방향 실 또는 한 쌍의 실
Y11: 저강도 사
Y12: 고강도 사
Y2: 제 2 방향 실
Y11L1’ 및 Y12L1’ : 직물층(L1)에서 테더 사에 의해 관통되는 저강도 사 및 고강도 사
Y11L2” 및 Y12L2” : 직물층(L2)에서 테더 사에 의해 관통되는 저강도 사 및 고강도 사

Claims (15)

  1. 서로 마주하는 2 개의 직물층(L1, L2)을 포함하고, 상기 2 개의 직물층(L1, L2)이 테더 사(tether yarn)(T)사에 의해 서로 연결된 가스 부품성 이중 직물이고,
    상기 2개의 직물층(L1, L2) 각각은, 복수의 제 1 방향 실(Y1) 및 복수의 제 2 방향 실(Y2)이 교차하여 직조되며,
    상기 테더 사(T)는 상기 제 2 방향의 일측 단부(E)와 타측 단부(E’) 사이에 위치하는 테더 영역(AT) 내에서 상기 2개의 직물층(L1, L2)을 연결하고,
    상기 테더 영역(AT) 내에서 상기 제 1 방향의 실(Y1)은 제 2 방향에서 반복하여 교대 배열되는 제 1 방향의 저강도 사(Y11)와 제 1 방향의 고강도 사(Y12)로 이루어지며,
    상기 테더 영역(AT) 내에서 상기 테더 사(T)는,
    제 2 방향 일측 단부(E)에서 타측 단부(E’) 방향으로 상기 직물층(L1)의 제 1 방향 실(Y1)과 교차하여 직조되면서, 상기 테더 영역(AT)의 상기 직물층(L1)에 위치한 저강도 사(Y11L1’)와 고강도 사(Y12L1’) 사이를 관통하여 상기 직물층(L1, L2) 사이 공간을 경유한 후 상기 직물층(L2)으로 직조되는 테더 사(T1)를 포함하고,
    이중 직물의 팽창시 상기 테더 사(T1)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저강도 사(Y11L1’)가 파열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가스 부품성 이중 직물(이때, 상기 테더 사(T1)는, 서로 직접 인접함과 동시에 상기 직물층(L1)의 제 2 방향 일측 단부(E)에서부터 타측 단부(E’) 방향으로 순차 위치하는 저강도 사(Y11L1’)와 고강도 사(Y12L1’) 사이를 관통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층(L2)으로 직조되는 상기 테더사(T1)는,
    상기 테더 영역(AT) 내에서 상기 직물층(L2)에 위치한 고강도 사(Y12L2’)와 저강도 사(Y11L2’) 사이를 관통하여 상기 직물층(L2)에 혼입한 후, 제 2 방향의 타측 단부(E’) 방향을 향하여 상기 직물층(L2)으로 직조되는,
    가스 부품성 이중 직물(이때, 상기 테더 사(T1)는, 서로 직접 인접함과 동시에 상기 직물층(L2)의 제 2 방향 일측 단부(E)에서부터 타측 단부(E’) 방향으로 순차 위치하는 고강도 사(Y12L2’)와 저강도 사(Y11L2’)와 사이를 관통한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의 테더 사(T1)를 포함하는,
    가스 부품성 이중 직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 영역(AT) 내에서 상기 테더 사(T)는,
    제 2 방향 타측 단부(E’)에서부터 일측 단부(E) 방향으로 상기 직물층(L1)의 제 1 방향 실(Y1)과 교차하여 직조되면서, 상기 테더 영역(AT)의 상기 직물층(L1)에 위치한 저강도 사(Y11L1”)와 고강도 사(Y12L1”) 사이를 관통하여 상기 직물층(L1, L2) 사이의 공간을 경유한 후 상기 직물층(L2)으로 직조되는 테더 사(T2)를 더 포함하고,
    이중 직물의 팽창시 상기 테더 사(T2)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저강도 사(Y11L1”)가 파열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가스 부품성 이중 직물(이때, 상기 테더 사(T2)는, 서로 직접 인접함과 동시에 상기 직물층(L1)의 제 2 방향 타측 단부(E’)에서부터 일측 단부(E) 방향으로 순차 위치하는 저강도 사(Y11L1”)와 고강도 사(Y12L1”) 사이를 관통한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층(L2)으로 직조되는 상기 테더사(T2)는,
    상기 테더 영역(AT) 내에서 상기 직물층(L2)에 위치한 고강도 사(Y12L2”)와 저강도 사(Y11L2”) 사이를 관통하여 상기 직물층(L2)에 혼입한 후, 제 2 방향의 일측 단부(E) 방향을 향하여 상기 직물층(L2)으로 직조되는,
    가스 부품성 이중 직물(이때, 상기 테더 사(T2)는 서로 직접 인접함과 동시에 상기 직물층(L2)의 제 2 방향 타측 단부(E’)에서부터 일측 단부(E) 방향으로 순차 위치하는 고강도 사(Y12L2”)와 저강도 사(Y11L2”)와 사이를 관통한다).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복수의 테더 사(T2)를 포함하는,
    가스 부품성 이중 직물.
  7. 제 4 항에 있어서,
    가스 부품성 이중 직물의 어느 일 단면에서 관찰시, 상기 테더 사(T1)와 상기 테더 사(T2)가 상기 직물층(L1, L2) 사이에서 X 모양으로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된,
    가스 부품성 이중 직물.
  8.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 영역(AT) 내에서, 제 1 방향 실(Y1)을 이루는 고강도 사(Y12)의 개수가 n인 경우, 제 1 방향 실(Y1)을 이루는 저강도 사(Y11)의 개수는 n+1 인,
    가스 부품성 이중 직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직물층(L1, L2) 각각은,
    상기 제 2 방향의 일측 단부(E) 부터 상기 테더 영역(AT)에 이르기까지, 제 2 방향에서 반복하여 교대 배열되는 제 1 방향의 저강도 사(Y11)와 제 1 방향의 고강도 사(Y12)로 이루어진 제 1 방향 실(Y1)과 복수의 제 2 방향 실(Y2)이 교차하여 직조된 구조를 포함하는,
    가스 부품성 이중 직물(이때, 상기 저강도 사(Y11)와 상기 고강도 사(Y12)는 제 2 방향 일측 단부(E)에서부터 타측 단부(E’) 방향으로 반복하여 순차 배열된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직물층 각각은,
    상기 제 2 방향의 타측 단부(E’) 부터 상기 테더 영역(AT)에 이르기까지, 제 2 방향에서 반복하여 교대 배열되는 제 1 방향의 저강도 사(Y11)와 제 1 방향의 고강도 사(Y12)로 이루어진 제 1 방향 실(Y1)과 복수의 제 2 방향 실(Y2)이 교차하여 직조된 구조를 포함하는,
    가스 부품성 이중 직물(이때, 상기 저강도 사(Y11)와 상기 고강도 사(Y12)는 제 2 방향 타측 단부(E’)에서부터 일측 단부(E) 방향으로 순차 배열된다).
  11.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 사(T)는,
    상기 제 2 방향의 일측 단부(E) 부터 상기 테더 영역(AT)에 이르기까지, 상기 제 2 방향 실(Y2)과 함께 상기 제 1 방향 실(Y1)과 교차하여 직조되는,
    가스 부품성 이중 직물.
  12. 제 1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 사(T)는,
    상기 제 2 방향의 타측 단부(E’) 부터 상기 테더 영역(AT)에 이르기까지, 상기 제 2 방향 실(Y2)과 함께 상기 제 1 방향 실(Y1)과 교차하여 직조되는,
    가스 부품성 이중 직물.
  13.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강도 사(Y11), 고강도 사(Y12), 제 2 방향 실(Y2) 및 테더 사(T) 각각은 독립적으로,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아라미드 섬유, 폴리케톤 섬유, 탄소 섬유 및 셀룰로오스 섬유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섬유를 포함하는,
    가스 부품성 이중 직물.
  14.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강도 사(Y11)는 상기 고강도 사(Y12) 보다 작은 섬도(fineness) 또는 낮은 강력(N)을 갖는,
    가스 부품성 이중 직물.
  1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사(Y12)와 상기 제 2 방향 실(Y2)은 동일한 섬유를 포함하는,
    가스 부품성 이중 직물.
KR1020220119559A 2022-09-21 2022-09-21 가스 부품성 직물 KR2024004051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559A KR20240040517A (ko) 2022-09-21 2022-09-21 가스 부품성 직물
PCT/KR2023/011616 WO2024063331A1 (ko) 2022-09-21 2023-08-07 이중 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559A KR20240040517A (ko) 2022-09-21 2022-09-21 가스 부품성 직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0517A true KR20240040517A (ko) 2024-03-28

Family

ID=90454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9559A KR20240040517A (ko) 2022-09-21 2022-09-21 가스 부품성 직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40517A (ko)
WO (1) WO202406333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02940A1 (de) * 1989-02-01 1990-08-02 Parabeam Bv Doppelplueschgewebe
US7770607B2 (en) * 2006-08-21 2010-08-10 Autoliv Asp, Inc. Double weft/warp airbag fabric and related airbags and manufacturing methods
EP2407353B1 (en) * 2010-07-16 2013-03-27 Autoliv Development AB A motor vehicle safety device
JP2019182117A (ja) * 2018-04-06 2019-10-2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エアバッグ
DE102020108396B3 (de) * 2020-03-26 2021-08-12 Global Safety Textiles Gmbh OPW-Lufts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63331A1 (ko) 202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97746B2 (ja) フローバリアを備えた織られたエアーバッグ
US11007969B2 (en) One-piece woven airbag
US11752968B2 (en) Non-coated air bag fabric and air bag
WO2007100377A1 (en) Woven airbag with integrally woven tethers
CN101094948A (zh) 安全气囊织物及由其形成的充气型元件
KR100252556B1 (ko) 파열강도가높은에어백
US7413214B2 (en) Airbag made from low tenacity yarns
JP7284704B2 (ja) ノンコートエアバッグ用織物およびエアバッグ
EP1557324A2 (en) Curtain airbag
EP2769885A1 (en) An air-bag
KR20240040517A (ko) 가스 부품성 직물
JPH02158442A (ja) エアバック
JP4451068B2 (ja) エアバッグ製織方法
JP2006016707A (ja) エアバッグ用基布およびエアバッグ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WO2004085210A1 (en) An air-bag
JPH07309186A (ja) エアーバッグ
JPH05124480A (ja) ストラツプを具備したエアーバツグ用二層織地
JP7296752B2 (ja) エアバッグ
JP2006248521A (ja) アンコートエアーバッグ
JP5014826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
JP2019182117A (ja) エアバッグ
JP2019119363A (ja) エアバッグ
US20230144245A1 (en) Non-coated air bag fabric and air bag
KR102473618B1 (ko) 다중직물
JP2020142694A (ja) エアバッ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