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0309A -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0309A
KR20240040309A KR1020220119154A KR20220119154A KR20240040309A KR 20240040309 A KR20240040309 A KR 20240040309A KR 1020220119154 A KR1020220119154 A KR 1020220119154A KR 20220119154 A KR20220119154 A KR 20220119154A KR 20240040309 A KR20240040309 A KR 20240040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face plate
connection
overhead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9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진욱
정헌수
권철현
Original Assignee
세명전기공업 (주)
주식회사 티엔디엔지니어링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명전기공업 (주), 주식회사 티엔디엔지니어링,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세명전기공업 (주)
Priority to KR1020220119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0309A/ko
Publication of KR20240040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030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는 가공 선로와 지중 선로의 연결을 위한 연결금구로서, 상기 가공 선로와 연결되는 2개의 송전인하선에 각각 결합되는 2개의 인하선 분기클램프, 상기 2개의 인하선 분기클램프에 결합된 것으로 복수의 면판 부재가 상호 결합되어 폐쇄된 구조를 이루는 면판 조립체 및 상기 복수의 면판 부재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면판 조립체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지중 선로와 연결되는 복수의 종단접속함에 연결된 복수의 송전연결선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용 압축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Electric track connection bracket assembly}
본 발명은 송전 선로용 금구류 및 관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공 선로와 지중 선로의 연결을 위한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 송전 선로(즉, 지중 선로)는 지하에 포설한 송전선을 사용하여 전력을 수송하는 선로이며, 특히, 지중 고압 송전 선로는 발전소에서 변전소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도시를 통과하여 송전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가공 송전 선로(즉, 가공 선로)는 철탑과 철탑 사이에 연결되어 전원을 전달하는 선로이다.
지중 선로와 가공 선로는 종전/종단 케이블 타워에서 상호 연결시킬 필요가 있다. 해당 연결을 위해서는 종단접속함(End Box-Air)(EB-A)과 금구류, 전선 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그런데, 연결을 위한 전선 및 지중선 등이 물리적, 환경적 요인에 의하여 고장, 단선, 단락 등으로 전원 공급이 불가능할 경우, 일부 장치에 대한 접지 후 고장기기에 대한 수리를 진행하여야 한다. 이때,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다른 종단접속함(EB-A)에 연결되는 도체는 지속적으로 전원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선로 연결금구의 경우, 고장 발생시 수리 과정이 비교적 복잡하고 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선로 연결금구에서는 종단접속함들에 연결되는 도체의 수가 비교적 적기 때문에, 고장 발생과 같은 유사시에 안정성 및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케이블 타워 지상기기 등의 고장 발생시 고장기기에 대한 수리를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단접속함들에 연결되는 도체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안정성 및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는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공 선로로부터 연결되는 도체의 수(즉, 가공인하선의 수)를 가변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공 선로와 지중 선로의 연결을 위한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로서, 상기 가공 선로와 연결되는 2개의 송전인하선에 각각 결합되는 2개의 인하선 분기클램프; 상기 2개의 인하선 분기클램프에 결합된 것으로, 복수의 면판 부재가 상호 결합되어 폐쇄된 구조를 이루는 면판 조립체; 및 상기 복수의 면판 부재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면판 조립체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지중 선로와 연결되는 복수의 종단접속함에 연결된 복수의 송전연결선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용 압축단자;를 포함하는 가공 선로와 지중 선로의 연결을 위한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상기 면판 조립체는 4개의 상기 면판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4개의 면판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폐쇄된 구조는 적어도 사각틀 모양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4개의 면판 부재에 각각 결합되는 4개의 상기 연결용 압축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는 2도체-4도체 연결 타입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면판 부재 각각은 주어진 방향으로 연장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부에서 상기 본체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본체부의 양단부에 다른 면판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제1 및 제2 체결영역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연장부에 상기 연결용 압축단자와의 결합을 위한 제3 체결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공 선로에 포함된 1개 또는 2개의 가공인하선이 상기 2개의 송전인하선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공 선로에 포함된 상기 1개의 가공인하선이 상기 2개의 송전인하선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1개의 가공인하선과 상기 2개의 송전인하선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구조체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연결 구조체는 점퍼터미널 및 상기 점퍼터미널에 결합된 연결 면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1개의 가공인하선은 상기 점퍼터미널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2개의 송전인하선은 상기 연결 면판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공 선로에 포함된 상기 2개의 가공인하선이 상기 2개의 송전인하선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2개의 가공인하선은 2개의 점퍼터미널을 통해서 상기 2개의 송전인하선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는 상기 2개의 송전인하선 사이에 배치되는 복도체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는, 예를 들어, 154 kV 선로용 연결금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케이블 타워 지상기기 등의 고장 발생시 고장기기에 대한 수리를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를 이용하면, 전선의 단선 등 고장 발생시 해당 압축단자만을 제거한 후, 추가적인 면판 작업 없이 고장기기에 대한 수리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종단접속함들에 연결되는 도체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안정성 및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는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에서는, 예컨대, 4도체 타입의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3도체 타입 보다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공 선로로부터 연결되는 도체의 수(즉, 가공인하선의 수)를 가변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를 이용하면, 가공인하선 1도체와 송전인하선 2도체를 연결하거나 가공인하선 2도체와 송전인하선 2도체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공사 없이 접속 변경이 가능할 수 있고, 이와 관련해서, 사용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가공 선로와 지중 선로의 연결을 위한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가공 선로와 지중 선로의 연결을 위한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를 적용한 송전 설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에 적용될 수 있는 인하선 분기클램프와 면판 부재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면판 부재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면판 부재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에 적용될 수 있는 제1 연결용 압축단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에 적용될 수 있는 점퍼터미널과 연결 면판이 결합된 연결 구조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연결 면판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점퍼터미널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비교예에 따른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를 적용한 송전 설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설명한 비교예에 따른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를 적용한 송전 설비의 수리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의 용어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한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연결"이라는 용어는 어떤 부재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부재들 사이에 다른 부재가 더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아울러, 본원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약", "실질적으로" 등의 정도의 용어는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 오차를 감안하여, 그 수치나 정도의 범주 또는 이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이나 파트들의 사이즈나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 및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다소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가공 선로와 지중 선로의 연결을 위한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는 가공 선로(가공 송전 선로)와 지중 선로(지중 송전 선로)의 연결을 위한 연결금구 어셈블리, 즉, '가공-지중 연결금구 어셈블리'일 수 있다. 상기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는 상기 가공 선로와 연결되는 2개의 송전인하선(105a, 105b)에 각각 결합되는 2개의 인하선 분기클램프(107a, 107b)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송전인하선(105a, 105b)은 상호 이격하여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수직하게 또는 대체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2개의 송전인하선(105a, 105b) 각각의 하부에 인하선 분기클램프(107a, 107b)가 결합될 수 있다. 인하선 분기클램프(107a, 107b)는 'L/P 인하선 분기클램프'일 수 있고, 여기서, L/P는 케이블 타워의 지지애자(line post insulation)를 의미한다. 즉, 인하선 분기클램프(107a, 107b)는 지지애자(L/P)를 사용하는 송전인하선에 대한 분기클램프일 수 있다.
상기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는 2개의 인하선 분기클램프(107a, 107b)에 결합된 면판 조립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면판 조립체(110)는 복수의 면판 부재(108a∼108d)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면판 부재(108a∼108d)는 상호 결합되어 폐쇄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는 복수의 면판 부재(108a∼108d)에 각각 결합되어 면판 조립체(11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연결용 압축단자(11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연결용 압축단자(111)는 상기 지중 선로와 연결되는 복수의 종단접속함(120)에 연결된 복수의 송전연결선(11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면판 부재(108a∼108d) 각각에 제1 연결용 압축단자(111)가 결합될 수 있고, 복수의 제1 연결용 압축단자(111) 각각에 송전연결선(112)이 결합될 수 있으며, 복수의 송전연결선(112) 각각은 종단접속함(120)에 연결될 수 있다. 면판 부재(108a∼108d) 하나 당 하나의 제1 연결용 압축단자(111)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용 압축단자(111) 하나 당 하나의 종단접속함(120)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종단접속함(120)에 대한 제1 연결용 압축단자(111)의 도체수는 '단도체'라고 할 수 있다. 종단접속함(120)은 상기 지중 선로의 지중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종단접속함(120)은 EB-A(End Box-Air) 타입일 수 있다. 제1 연결용 압축단자(111)는 'L/P측 연결용 압축단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면판 조립체(110)는 4개의 면판 부재(108a∼108d)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4개의 면판 부재(108a∼108d)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폐쇄된 구조는 적어도 사각틀 모양을 가질 수 있다. 4개의 면판 부재(108a∼108d)에 각각 결합되는 4개의 제1 연결용 압축단자(11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4개의 제1 연결용 압축단자(111)에 각각 연결되는 4개의 종단접속함(120)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는 2도체-4도체 연결 타입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는 2도체 → 4도체 전환 구조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2개의 송전인하선(105a, 105b)이 4개의 제1 연결용 압축단자(111)를 통해서 4개의 종단접속함(120)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는 상기 가공 선로에 포함된 1개 또는 2개의 가공인하선이 상기 2개의 송전인하선(105a, 105b)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가공 선로에 포함된 1개의 가공인하선(101)이 상기 2개의 송전인하선(105a, 105b)에 연결된 경우를 보여준다. 이 경우, 1개의 가공인하선(101)과 2개의 송전인하선(105a, 105b)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구조체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연결 구조체는 점퍼터미널(102) 및 점퍼터미널(102)에 결합된 연결 면판(103)을 포함할 수 있다. 1개의 가공인하선(101)은 점퍼터미널(102)에 연결/결합될 수 있고, 2개의 송전인하선(105a, 105b)은 연결 면판(103)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점퍼터미널(102)과 연결 면판(103)을 포함하는 상기 연결 구조체를 이용해서, 1개의 가공인하선(101)으로부터 송전된 전기를 2개의 송전인하선(105a, 105b)으로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가공인하선과 송전인하선 사이의 관계에서, 상기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는 1도체-2도체 연결 타입, 즉, 1도체 → 2도체 전환 구조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2개의 송전인하선(105a, 105b) 각각의 상부는 인류클램프(deadend clamp)(104a, 104b)에 연결/결합될 수 있다. 인류클램프(104a, 104b)는 인장력이 필요한 전선의 연결을 위해 사용하는 전선 연결용 클램프일 수 있다. 인류클램프(104a, 104b)는 전선이 끝나는 부분(즉, deadend)에서 전선을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인류클램프(104a, 104b)는 소정의 압축기 구조를 통해 압축 방식으로 전선, 여기서는, 송전인하선(105a, 105b)을 클램핑하여 고정할 수 있다. 연결 면판(103)의 양단부는 2개의 인류클램프(104a, 104b)에 각각 연결/결합될 수 있다.
2개의 송전인하선(105a, 105b) 사이에는 복도체 스페이서(106)가 배치될 수 있다. 복도체 스페이서(106)는 2개의 송전인하선(105a, 105b)을 지지하면서 이들을 상호 이격시키는 스페이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복도체 스페이서(106)는 일자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복도체 스페이서(106)에 의해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송전 설비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복수의 송전연결선(112) 각각의 바깥쪽 단부에는 제2 연결용 압축단자(113)가 연결/결합될 수 있고, 제2 연결용 압축단자(113)는 종단접속함(120)에 연결/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용 압축단자(113)에 연결/결합된 스터드 커넥터(114)가 구비될 수 있고, 스터드 커넥터(114)에 연결/결합된 접지금구(115)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연결용 압축단자(113)는 'EB-A 연결용 압축단자'라고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가공 선로와 지중 선로의 연결을 위한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에서는 상기 가공 선로에 포함된 2개의 가공인하선(101a, 101b)이 2개의 송전인하선(105a, 105b)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2개의 송전인하선(105a, 105b)은 2개의 점퍼터미널(102a, 102b)을 통해서 2개의 송전인하선(105a, 105b)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2개의 점퍼터미널(102a, 102b)은 2개의 인류클램프(104a, 104b)에 연결/결합될 수 있다. 2개의 가공인하선(101a, 101b)으로부터 송전된 전기를 2개의 송전인하선(105a, 105b)으로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가공인하선과 송전인하선 사이의 관계에서, 상기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는 2도체-2도체 연결 타입, 즉, 2도체 → 2도체 전환 구조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그 밖에 나머지 구성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공인하선과 송전인하선 사이의 관계에서,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1도체-2도체 연결 타입을 구성하거나 또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2도체-2도체 연결 타입을 구성할 수 있다. 즉, 가공인하선 1도체와 송전인하선 2도체를 연결하거나 가공인하선 2도체와 송전인하선 2도체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공 선로로부터 연결되는 도체의 수(즉, 가공인하선의 수)를 가변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가공인하선과 송전인하선 사이의 연결 관계에서, 추가적인 공사 없이 용이하게 접속 변경을 수행할 수 있고, 이와 관련해서, 편의성 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를 적용한 송전 설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2개의 송전인하선(105a, 105b) 아래에 애자장치(1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2개의 인하선 분기클램프(107a, 107b) 각각의 하단에 애자장치(130)가 연결/결합될 수 있다. 애자장치(130)는 일종의 지지애자(line post insulation)일 수 있다. 애자장치(130)의 구체적인 구성은 일반적인 애자장치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도 3에서 애자장치(13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는, 예컨대, 154 kV 선로용 연결금구일 수 있다. 여기서, 154 kV는 154,000 V로 통전시키는 전압의 크기를 나타내며, 한국의 경우, 송전 선로의 안정성 측면에서 용도에 따라 154 kV, 345 kV 및 765 kV로 선로가 설치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는 154 kV 선로용 연결금구일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통전 전압의 크기는 달라질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에 적용될 수 있는 인하선 분기클램프(107a, 107b)와 면판 부재(108a∼108d)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는 2개의 인하선 분기클램프(107a, 107b)에 결합된 면판 조립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면판 조립체(110)는 복수의 면판 부재(108a∼108d)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면판 부재(108a∼108d)는 상호 결합되어 폐쇄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면판 조립체(110)는 4개의 면판 부재(108a∼108d)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4개의 면판 부재(108a∼108d)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폐쇄된 구조는 적어도 사각틀 모양이나 그와 유사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인하선 분기클램프(107a, 107b)는 클램프 방식으로 전선, 여기서는, 송전인하선(도 1 내지 도 3의 105a, 105b)을 고정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인하선 분기클램프(107a, 107b)는 전선이 인입되는 인입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입부로 인입된 전선을 클램핑하는 클램프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면판 부재(108a)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top-view)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면판 부재(108a)는 주어진 방향으로 연장된 본체부(11a) 및 본체부(11a)의 일측부에서 본체부(11a)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12a)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a)는 직선형 구조 또는 대략적인 직선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본체부(11a)는 직사각형 모양 또는 대략적인 직사각형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본체부(11a)의 중앙부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12a)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면판 부재(108a)는 ㅜ 자형 구조 또는 그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본체부(11a)의 중심부에는 인하선 분기클램프(107a)가 결합될 수 있다. 인하선 분기클램프(107a)는 본체부(11a)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체부(11a)의 양단부에는 다른 면판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제1 및 제2 체결영역(R11, R21)이 구비될 수 있고, 연장부(12a)에는 상기한 제1 연결용 압축단자(도 1 내지 도 3의 111)와의 결합을 위한 제3 체결영역(R31)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체결영역(R11∼R31) 각각에는 체결을 위한 복수의 체결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홀을 통해서 볼트/너트 등을 이용해서 구성요소 간 체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면판 부재(108b)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면판 부재(108b)는 도 5의 면판 부재(108a)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면판 부재(108b)는 주어진 방향으로 연장된 본체부(11b) 및 본체부(11b)의 일측부에서 본체부(11b)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12b)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b)는 직선형 구조 또는 대략적인 직선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본체부(11b)는 직사각형 모양 또는 대략적인 직사각형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본체부(11b)의 중앙부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12b)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면판 부재(108b)는 ㅜ 자형 구조 또는 그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본체부(11b)의 양단부에는 다른 면판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제1 및 제2 체결영역(R12, R22)이 구비될 수 있고, 연장부(12b)에는 상기한 제1 연결용 압축단자(도 1 내지 도 3의 111)와의 결합을 위한 제3 체결영역(R32)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체결영역(R12∼R32) 각각에는 체결을 위한 복수의 체결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홀을 통해서 볼트/너트 등을 이용해서 구성요소 간 체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서 면판 부재(108c)는 도 5의 면판 부재(108a)와 대응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도 4에서 면판 부재(108d)는 도 6의 면판 부재(108b)와 대응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에서 복수의 면판 부재(108a, 108b, 108c, 108d)를 순서대로 제1 면판 부재(108a), 제2 면판 부재(108b), 제3 면판 부재(108c) 및 제4 면판 부재(108d)라 하면, 제1 면판 부재(108a)와 제3 면판 부재(108c)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2 면판 부재(108b)와 제4 면판 부재(108d)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면판 부재(108a)와 제3 면판 부재(108c)가 상호 이격하여 나란히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면판 부재(108a)의 일단과 제3 면판 부재(108c)의 일단 상에 제2 면판 부재(108b)를 배치하고, 제1 면판 부재(108a)의 타단과 제3 면판 부재(108c)의 타단 상에 제4 면판 부재(108d)를 배치한 다음, 볼트 및 너트 등을 이용해서 면판 부재들(108a, 108b, 108c, 108d)을 상호 체결할 수 있다. 제1 면판 부재(108a)의 일단과 제2 면판 부재(108b)의 일단이 체결될 수 있고, 제2 면판 부재(108b)의 타단과 제3 면판 부재(108c)의 일단이 체결될 수 있고, 제3 면판 부재(108c)의 타단과 제4 면판 부재(108d)의 일단이 체결될 수 있고, 제4 면판 부재(108d)의 타단과 제1 면판 부재(108a)의 타단이 체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에 적용될 수 있는 제1 연결용 압축단자(111)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연결용 압축단자(111)는 그 일단부에 마련된 체결부(21) 및 체결부(21)에서 연장된 전선삽입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21)는 대략 사각형의 판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복수의 체결홀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21)는 상기한 면판 부재의 연장부(예컨대, 도 5의 12a 및 도 6의 12b)와 겹치게 배치한 후, 볼트 및 너트 등을 이용해서 상기 연장부에 체결될 수 있다. 전선삽입부(22)의 내부에는 상기한 송전연결선(도 1 내지 도 3의 112)이 삽입되어 압축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에 적용될 수 있는 점퍼터미널(102)과 연결 면판(103)이 결합된 연결 구조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 구조체는 점퍼터미널(102) 및 점퍼터미널(102)에 결합된 연결 면판(103)을 포함할 수 있다. 1개의 가공인하선이 점퍼터미널(102)에 연결/결합될 수 있고, 2개의 송전인하선이 연결 면판(103)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연결 면판(103)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연결 면판(103)은 도 6의 면판 부재(108b)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연결 면판(103)은 주어진 방향으로 연장된 본체부(31) 및 본체부(31)의 일측부에서 본체부(31)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31)는 직선형 구조 또는 대략적인 직선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본체부(31)는 직사각형 모양 또는 대략적인 직사각형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본체부(31)의 중앙부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32)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면판(103)은 ㅜ 자형 구조 또는 그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본체부(31)의 양단부에는 다른 구성요소와의 결합을 위한 제1 및 제2 체결영역(R13, R23)이 구비될 수 있고, 연장부(32)에는 상기한 점퍼터미널(도 8의 102)와의 결합을 위한 제3 체결영역(R33)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체결영역(R13∼R33) 각각에는 체결을 위한 복수의 체결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홀을 통해서 볼트/너트 등을 이용해서 구성요소 간 체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도 8의 점퍼터미널(102)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점퍼터미널(102)은 그 일단부에 마련된 체결부(41) 및 체결부(41)에서 연장된 전선삽입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41)는 대략 사각형의 판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복수의 체결홀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41)는 상기한 연결 면판의 연장부(도 9의 32)와 겹치게 배치한 후, 볼트 및 너트 등을 이용해서 상기 연장부에 체결될 수 있다. 전선삽입부(42)의 내부에는 상기한 가공인하선(도 1의 101)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케이블 타워 지상기기 등의 고장 발생시 고장기기에 대한 수리를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를 이용하면, 전선의 단선 등 고장 발생시 해당 압축단자(제1 연결용 압축단자)만을 제거한 후, 추가적인 면판 작업 없이 고장기기에 대한 수리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때, 면판 조립체(110)는 패쇄된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면판 작업 없이도,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나머지 3개의 종단접속함(120)으로는 균등하게 계속해서 송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종단접속함들에 연결되는 도체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안정성 및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는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에서는, 예컨대, 4도체 타입의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3도체 타입 보다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고장 발생 시 또는 수리 시에는,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종단접속함들에 연결된 도체가 지속적으로 전원을 전달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도체의 수가 많을수록 안정성 및 신뢰성이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4도체 타입의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기존 3도체 타입의 연결금구 보다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공 선로로부터 연결되는 도체의 수(즉, 가공인하선의 수)를 가변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를 이용하면, 가공인하선 1도체와 송전인하선 2도체를 연결하거나 가공인하선 2도체와 송전인하선 2도체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공사 없이 접속 변경이 가능할 수 있고, 이와 관련해서, 편의성 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11은 비교예에 따른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를 적용한 송전 설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에서는 4개의 송전인하선(205)에 각각 연결된 4개의 인하선 클램프(207)가 구비될 수 있고, 인하선 클램프(207)에 압축단자(211)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비교예에 따른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는 4도체-3도체 연결 타입을 갖는다. 다시 말해, 상기 비교예에 따른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는 4개의 송전인하선(205)을 3개의 종단접속함(220)에 연결하는 구성, 즉, 4도체 → 3도체 전환 구조를 갖는다. 또한, 4개의 인하선 클램프(207) 중에서 서로 인접한 2개의 인하선 클램프(207)를 상호 연결하는 면판 요소(208)가 더 구비된다. 각각의 종단접속함(220)에 연결되는 송전연결선(212)의 도체수는 2도체이다. 미설명된 참조번호 215는 접지금구를 나타내고, 230은 애자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비교예에 따른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는 345 kV 가공-지중 연결금구일 수 있다.
도 12는 도 11에서 설명한 비교예에 따른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를 적용한 송전 설비의 수리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비교예에 따른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를 적용한 송전 설비의 수리 시에는, 고장부에 해당하는 압축단자(도 11의 211)를 분리한 후(도면 A, B), 2장으로 겹쳐서 체결되어 있던 면판 요소(도 11의 208) 중 하나를 분리하여(도면 C) 상기 압축단자를 제거한 부분에 전기적으로 연결을 위한 체결 작업을 추가적으로 진행해야 한다(도면 D). 이와 같이 추가적인 면판 조립 작업을 진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킨 다음, 고장부에 대한 수리를 진행하고, 수리가 완료된 후에 역과정으로 앞서 분리했던 압축단자를 다시 체결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한 추가적인 면판 조립 작업이 요구되기 때문에, 작업이 어려워지고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비교예에 따른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는 4도체 → 3도체 전환 구조를 갖기 때문에, 안정성 및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를 이용하면, 케이블 타워 지상기기 등의 고장 발생시 고장기기에 대한 수리를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에서는 면판 조립체(110)가 패쇄된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고장 발생시 해당 압축단자(제1 연결용 압축단자)만을 제거한 후, 추가적인 면판 작업 없이 고장기기에 대한 수리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에서는 4도체 타입의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3도체 타입 보다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부가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를 이용하면, 가공 선로로부터 연결되는 도체의 수(즉, 가공인하선의 수)를 가변적으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관련해서, 편의성 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공 선로로부터 연결되는 도체의 수(즉, 가공인하선의 수)를 가변적으로 변경할 수 있고, 종단접속함들로 연결되는 도체의 수(즉, 단도체에 해당하는 송전연결선의 수)를 늘려 신뢰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신속한 고장 대처 등 최적의 유지보수 기능 및 접지 기능을 갖는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는, 예를 들어, 송전 선로의 환경친화형 케이블헤드 타워에서 지중화 해저케이블 연결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예들 들어,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 및 이를 적용한 송전 설비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인 예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가 2도체-4도체 연결 구조를 갖는 경우를 주로 설명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른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는 2도체-4도체 연결 구조가 아닌 2도체-3도체 연결 구조 또는 2도체-2도체 연결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상기한 4도체를 3도체나 2도체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면판 부재의 개수 및 면판 조립체의 형태 등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때문에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1 : 가공인하선 101a, 101b : 가공인하선
102 : 점퍼터미널 102a, 102b : 점퍼터미널
103 : 연결 면판 104a, 104b : 인류클램프
105a, 105b : 송전인하선 106 : 복도체 스페이서
107a, 107b : 인하선 분기클램프 108a∼108d : 면판 부재
110 : 면판 조립체 111 : 제1 연결용 압축단자
112 : 송전연결선 113 : 제2 연결용 압축단자
114 : 스터드 커넥터 115 : 접지금구
120 : 종단접속함 130 : 애자장치

Claims (9)

  1. 가공 선로와 지중 선로의 연결을 위한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로서,
    상기 가공 선로와 연결되는 2개의 송전인하선에 각각 결합되는 2개의 인하선 분기클램프;
    상기 2개의 인하선 분기클램프에 결합된 것으로, 복수의 면판 부재가 상호 결합되어 폐쇄된 구조를 이루는 면판 조립체; 및
    상기 복수의 면판 부재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면판 조립체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지중 선로와 연결되는 복수의 종단접속함에 연결된 복수의 송전연결선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용 압축단자;를 포함하는, 가공 선로와 지중 선로의 연결을 위한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면판 조립체는 4개의 상기 면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4개의 면판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폐쇄된 구조는 적어도 사각틀 모양을 가지며,
    상기 4개의 면판 부재에 각각 결합되는 4개의 상기 연결용 압축단자가 구비되는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는 2도체-4도체 연결 타입을 갖는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면판 부재 각각은 주어진 방향으로 연장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부에서 상기 본체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양단부에 다른 면판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제1 및 제2 체결영역이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에 상기 연결용 압축단자와의 결합을 위한 제3 체결영역이 구비된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선로에 포함된 1개 또는 2개의 가공인하선이 상기 2개의 송전인하선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선로에 포함된 상기 1개의 가공인하선이 상기 2개의 송전인하선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1개의 가공인하선과 상기 2개의 송전인하선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구조체가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 구조체는 점퍼터미널 및 상기 점퍼터미널에 결합된 연결 면판을 포함하며,
    상기 1개의 가공인하선은 상기 점퍼터미널에 연결되고, 상기 2개의 송전인하선은 상기 연결 면판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선로에 포함된 상기 2개의 가공인하선이 상기 2개의 송전인하선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2개의 가공인하선은 2개의 점퍼터미널을 통해서 상기 2개의 송전인하선에 각각 연결되는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는 상기 2개의 송전인하선 사이에 배치되는 복도체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는 154 kV 선로용 연결금구인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
KR1020220119154A 2022-09-21 2022-09-21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 KR202400403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154A KR20240040309A (ko) 2022-09-21 2022-09-21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154A KR20240040309A (ko) 2022-09-21 2022-09-21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0309A true KR20240040309A (ko) 2024-03-28

Family

ID=90482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9154A KR20240040309A (ko) 2022-09-21 2022-09-21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030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15376B2 (en) Lead assembly for connecting solar panel arrays to inverter
US7883247B2 (en) Truss with lighting track
US20170338633A1 (en) Quick connect and disconnect cable junction box
US116502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a submarine high voltage cable system
US10003137B2 (en) Electrical connector box
CN204809180U (zh) 跌落式熔断器
KR20240040309A (ko) 선로 연결금구 어셈블리
US3538237A (en) Universal guy attachment device
KR200490136Y1 (ko) 가공선로와 지중선로의 연결장치
JP5794902B2 (ja) 鉄塔周辺の工事ユニット及び工事方法
CN107394451A (zh) 一种直插式一次汇流模块
CN205377507U (zh) 电机线缆模组及具有该电机线缆模组的电机
KR20210113001A (ko)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 및 이의 제조방법
JP7256060B2 (ja) リッツ線の分岐接続部及び分岐接続方法
KR20220168016A (ko) 집합 단자대
KR0129597Y1 (ko) 배전 선로용 파이분기 접속재
US5077450A (en) High-voltage electrical test terminal
EP4044375A1 (en) High power photovoltaic connector
KR20230093717A (ko) 티분기용 클램프 구조체
KR101093284B1 (ko) 초고압 케이블 접속함의 클램프형 접지단자
KR200458046Y1 (ko) 티분기용 클램프
CN113363921B (zh) 同塔多回架空输电线路单侧π接的连接结构和连接方法
CN107123965A (zh) 一种35kV预制式电缆中间接头
KR200259419Y1 (ko) 지중 저압 분전함
KR20220152743A (ko) 분기슬리브 커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