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9671A - 논스톱 탑승이 가능한 레그 폴딩식 전동 휠체어 - Google Patents

논스톱 탑승이 가능한 레그 폴딩식 전동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9671A
KR20240039671A KR1020220118249A KR20220118249A KR20240039671A KR 20240039671 A KR20240039671 A KR 20240039671A KR 1020220118249 A KR1020220118249 A KR 1020220118249A KR 20220118249 A KR20220118249 A KR 20220118249A KR 20240039671 A KR20240039671 A KR 20240039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electric wheelchair
frame
main frame
folding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8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준
유병진
강계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8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9671A/ko
Publication of KR20240039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967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 A61G5/027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by using auxiliary detachabl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8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 A61G5/0808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folding direction
    • A61G5/085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folding direction folding up and down, e.g. reducing or expanding the overall height of the wheel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휠체어를 차량의 탑승공간에 탑승시킬 때, 차량의 탑승공간 바닥면에 레그레스트 휠이 구름 가능하게 안착되는 동시에 차량의 탑승공간의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는 위치까지 전동 휠체어의 프론트 레그 및 리어 레그가 폴딩되는 등의 연속 동작에 의거하여 탑승공간 내로 전동 휠체어의 논스톱 탑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동 휠체어에 앉은 장애인이 혼자 힘으로 차량의 운전공간을 포함하는 탑승공간에 전동 휠체어를 쉽게 탑승시킬 수 있도록 한 논스톱 탑승이 가능한 레그 폴딩식 전동 휠체어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논스톱 탑승이 가능한 레그 폴딩식 전동 휠체어{Nonstop Boarding Available Leg Folding Wheel Chair}
본 발명은 논스톱 탑승이 가능한 레그 폴딩식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 휠체어를 차량의 탑승공간에 탑승시킬 때, 레그가 먼저 폴딩되면서 논스톱 탑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논스톱 탑승이 가능한 레그 폴딩식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전동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이 차량의 탑승공간에 전동 휠체어를 직접 적재시킬 수 없기 때문에 차량에 별도의 리프트가 설치되고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테일 게이트가 개방된 상태에서 리어쪽 탑승공간으로부터 지면 상으로 리프트가 하강 구동된 후, 전동 휠체어가 리프트를 따라 이동하여 리어쪽 탑승공간으로 적재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리프트는 장애인 전용 차량 등에만 설치됨에 따라, 리프트가 없는 일반차량에는 전동 휠체어의 적재가 매우 어렵고, 또한 일반차량에 별도의 리프트를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리프트를 설치할 수 있더라도 리프트의 설치 및 유지 비용이 크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중량 증가 및 구조적 변경으로 인한 차량 성능 저하가 초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트를 통해 차량의 탑승공간에 전동 휠체어를 적재할 때, 건강한 일반인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장애인이 자유롭게 차량의 탑승공간에 전동 휠체어를 적재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이, 전동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의 다수가 일반 차량을 충분히 운전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혼자 힘으로 전동 휠체어를 차량의 탑승공간에 탑승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전동 휠체어를 차량의 탑승공간에 탑승시킬 때, 차량의 탑승공간 바닥면에 레그레스트 휠이 구름 가능하게 안착되는 동시에 차량의 탑승공간의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는 위치까지 전동 휠체어의 프론트 레그 및 리어 레그가 폴딩되는 등의 연속 동작에 의거하여 탑승공간에 대한 전동 휠체어의 논스톱 탑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동 휠체어에 앉은 장애인이 혼자 힘으로 차량의 운전공간을 포함하는 탑승공간에 전동 휠체어를 쉽게 탑승시킬 수 있도록 한 논스톱 탑승이 가능한 레그 폴딩식 전동 휠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착석용 시트가 장착된 시트프레임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단부에 장착되는 프론트 레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단부에 장착되는 리어 레그프레임; 상기 프론트 레그프레임의 양측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프론트 레그; 상기 리어 레그프레임의 양측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리어 레그; 상기 프론트 레그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비구동 휠; 상기 리어 레그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제1구동 휠;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단부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그레스트 프레임; 상기 레그레스트 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는 제2구동 휠;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저부에 장착되는 배터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스톱 탑승이 가능한 레그 폴딩식 전동 휠체어를 제공한다.
상기 프론트 레그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단부에 장착된 프론트 레그프레임의 양측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프론트 레그와, 상기 비구동 휠이 하단부에 장착되는 제2프론트 레그로 구성되고, 상기 제1프론트 레그과 제2프론트 레그 사이에는 프론트 레그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1액츄에이터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론트 레그프레임의 양측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각 제1프론트 레그는 제1레그 연결바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단부와 상기 제1프론트 레그의 상단부 간에는 제1가스스프링이 힌지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론트 레그프레임의 전체 또는 양측부는 제1프론트 레그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한 제1자석 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어 레그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단부에 장착된 리어 레그프레임의 양측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리어 레그와, 상기 제1구동 휠이 하단부에 장착되는 제2리어 레그로 구성되고, 상기 제1리어 레그과 제2리어 레그 사이에는 리어 레그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2액츄에이터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어 레그프레임의 양측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각 제1리어 레그는 제2레그 연결바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단부와 상기 제1리어 레그의 상단부 간에는 제2가스스프링이 힌지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어 레그프레임의 전체 또는 양측부는 제1리어 레그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한 제2자석 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단부에는 레그레스트 프레임의 상하 회전 구동을 위한 제3액츄에이터가 장착되고, 이 제3액츄에이터의 출력축인 피스톤 로드가 레그레스트 프레임의 후부 소정 위치에 힌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구동 휠 및 제2구동 휠에는 각 구동 휠의 전후진 구동을 위한 인휠모터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트프레임의 양측부에는 암레스트가 장착되고, 이 암레스트의 상부에는 조종 콘솔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동 휠체어는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시트프레임 및 착석용 시트를 분리한 후, 메인프레임 상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바구니 용도의 수납 트레이 또는 동물 케이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각각 장애인의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동 휠체어의 기울어짐을 감지하는 제1 및 제2하중감지센서가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 제1 및 제2하중감지센서 하중감지센서의 감지값 차이에 따라 상기 프론트 레그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제1액츄에이터 또는 상기 리어 레그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제2액츄에이터에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전동 휠체어에 앉은 장애인이 혼자 힘으로 차량의 운전공간을 포함하는 탑승공간에 전동 휠체어를 쉽게 탑승시킬 수 있고, 탑승공간으로부터 전동 휠체어를 쉽게 하차시킬 수 있다.
둘째, 평상시에는 전동 휠체어를 지면에서 이동수단으로 사용하고, 차량에 탑승된 전동 휠체어를 운전석 시트 또는 승객용 시트로 대체 사용할 수 있다.
셋째, 차량의 탑승공간 중 운전공간에 전동 휠체어가 탑재된 경우, 전동 휠체어에 앉은 장애인이 직접 차량 운전까지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논스톱 탑승이 가능한 레그 폴딩식 전동 휠체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논스톱 탑승이 가능한 레그 폴딩식 전동 휠체어에 착석용 시트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논스톱 탑승이 가능한 레그 폴딩식 전동 휠체어가 차량의 탑승공간으로 논스톱 탑승되는 동작을 연속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논스톱 탑승이 가능한 레그 폴딩식 전동 휠체어에 장착된 하중감지센서의 센싱에 따라 레그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제1액츄에이터 또는 제2액츄에이터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논스톱 탑승이 가능한 레그 폴딩식 전동 휠체어에 장바구니 용도의 수납 트레이가 장착된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논스톱 탑승이 가능한 레그 폴딩식 전동 휠체어에 동물 케이지가 장착된 예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논스톱 탑승이 가능한 레그 폴딩식 전동 휠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논스톱 탑승이 가능한 레그 폴딩식 전동 휠체어에 착석용 시트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각 도면에서 도면부호 10은 메인프레임을 지시한다.
상기 메인프레임(10)은 전동 휠체어의 골격체로서 직사각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그 상면부에 시트프레임(20)이 장착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시트프레임(20)은 공지된 스트라이커 및 래치 등을 포함하는 잠금장치(28)를 이용하여 메인프레임(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시트프레임(20) 위에는 착석용 시트(22)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프레임(20)의 양측부에는 암레스트(24)가 장착되고, 이 암레스트(24)의 상부에는 전동 휠체어의 조종을 위한 제어반으로서 조종 콘솔(26)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각각 프론트 레그프레임(30)과 리어 레그프레임(40)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전단부에 장착된 프론트 레그프레임(30)의 양측부에는 프론트 레그(50)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후단부 및 리어 레그프레임(40)의 양측부에는 리어 레그(60)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 레그(50)의 하단부에는 비구동 휠(56)이 자유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리어 레그(60)의 하단부에는 인휠모터(67)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1구동 휠(66)이 장착된다.
예를 들어, 상기 리어 레그(60)의 하단부에 인휠모터(67)가 장착되고, 인휠모터(67)의 출력축에 제1구동 휠(66)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론트 레그(50)는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전단부에 장착된 프론트 레그프레임(50)의 양측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프론트 레그(51)와, 상기 비구동 휠(55)이 하단부에 장착되는 제2프론트 레그(52)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제1프론트 레그(51)과 제2프론트 레그(52) 사이에는 프론트 레그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1액츄에이터(53)가 장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액츄에이터(53)의 실린더 부분이 제1프론트 레그(51)의 하단부에 장착되고, 실린더 부분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내설되는 피스톤 로드 부분이 제2프론트 레그(52)의 상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론트 레그프레임(30)의 양측부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프론트 레그(51)는 제1레그 연결바(54)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한 쌍의 제1프론트 레그(51)가 동일한 궤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론트 레그프레임(30)의 전체 또는 양측부는 제1프론트 레그(51)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한 제1자석 바(31)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전단부와 상기 제1프론트 레그(51)의 상단부 간에는 제1가스스프링(55)이 힌지로 연결되어, 제1프론트 레그(51)가 제1자석 바(31)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제1가스스프링(55)에 의하여 메인프레임(10)에 연결되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리어 레그(60)는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후단부에 장착된 리어 레그프레임(40)의 양측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리어 레그(61)와, 상기 제1구동 휠(66)이 하단부에 장착되는 제2리어 레그(62)로 구성되고, 상기 제1리어 레그(61)과 제2리어 레그(62) 사이에는 리어 레그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2액츄에이터(63)가 장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액츄에이터(63)의 실린더 부분이 제1리어 레그(61)의 하단부에 장착되고, 실린더 부분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내설되는 피스톤 로드 부분이 제2리어 레그(62)의 상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어 레그프레임(40)의 양측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각 제1리어 레그(61)는 제2레그 연결바(64)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한 쌍의 제1리어 레그(61)가 동일한 궤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어 레그프레임(40)의 전체 또는 양측부는 제1리어 레그(61)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한 제2자석 바(41)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후단부와 상기 제1리어 레그(61)의 상단부 간에는 제2가스스프링(65)이 힌지로 연결되어, 제1리어 레그(61)가 제2자석 바(41)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제2가스스프링(65)에 의하여 메인프레임(10)에 연결되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전단부에는 전동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이 다리 및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형상의 레그레스트 프레임(70)이 상하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전단부에는 레그레스트 프레임(70)의 상하 회전 구동을 위한 제3액츄에이터(73)가 장착되고, 이 제3액츄에이터(73)의 전후진 출력축인 피스톤 로드(74)가 레그레스트 프레임(70)의 후부 소정 위치에 힌지 연결된다.
이에, 상기 제3액츄에이터(73)의 구동에 따른 피스톤 로드(74)의 전진시 레그레스트 프레임(70)이 밀리면서 상부쪽으로 회전될 수 있고, 반면 피스톤 로드(74)의 후진시 레그레스트 프레임(70)이 당겨지면서 하부쪽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그레스트 프레임(70)의 하단부에는 인휠모터(72)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2구동 휠(71)이 장착된다.
예를 들어, 상기 레그레스트 프레임(70)의 하단부에 인휠모터(72)가 장착되고, 인휠모터(72)의 출력축에 제2구동 휠(71)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저부에는 브라켓 등에 의하여 배터리(80)가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암레스트(24)에 장착된 제어반인 조종 콘솔(26)의 조작에 따라 상기 배터리(80)로부터 인휠모터(67,72), 제1,2,3액츄에이터(53,63,73) 등에 작동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레그 폴딩식 전동 휠체어가 차량의 실내 탑승공간으로 논스톱 탑승되는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그 폴딩식 전동 휠체어가 차량의 탑승공간으로 논스톱 탑승되는 동작을 연속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기 시트프레임(20)에 장착된 착석용 시트(22)에 장애인이 착석한 상태에서 전동 휠체어의 조종을 위한 제어반인 조종 콘솔(26)을 조작함에 따라, 상기 배터리(80)로부터 인휠모터(67)로 전류가 공급되면, 인휠모터(67)와 연결된 제1구동 휠(66)의 회전 구동에 의하여 일반 지면에서 전동 휠체어의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동 휠체어를 차량의 실내 탑승공간으로 진입시킬 때, 상기 제3액츄에이터(73)의 구동에 의하여 레그레스트 프레임(70)이 상부 또는 하부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레그레스트 프레임(70)의 하단부에 제2구동 휠(71)이 차량의 탑승공간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액츄에이터(53) 및 제2액츄에이터(62)의 구동에 의하여 프론트 레그(50) 및 리어 레그(6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차고(탑승공간 높이)에 대응하여 전동 휠체어의 승하차 높이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그레스트 프레임(70)이 먼저 차량의 탑승공간 내로 진입하는 동시에 상기 제2구동 휠(71)이 탑승공간의 바닥면에 구름 가능하게 밀착될 수 있다.
연이어, 상기 조종 콘솔(26)의 조작에 따라 상기 배터리(80)로부터 인휠모터(72)로 전류가 공급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휠모터(72)와 연결된 제2구동 휠(71)의 회전 구동에 의하여 레그레스트 프레임(70)이 차량의 탑승공간 내로 진입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조종 콘솔(26)의 조작에 따라 상기 배터리(80)로부터 리어 레그(60)의 하단부에 장착된 인휠모터(67)에도 전류가 공급되어, 인휠모터(67)와 연결된 제1구동 휠(66)의 회전 구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전동 휠체어의 전체적인 전진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론트 레그(50) 및 리어 레그(60)는 각각 프론트 레그프레임(30)의 제1자석 바(31)와 리어 레그프레임(40)의 제2자석 바(41)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되고, 또한 제1가스스프링(55) 및 제2가스스프링(65)의 장력에 의하여 지지되며 세워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전동 휠체어가 차량의 탑승공간쪽으로 계속 전진 이동할 때, 상기 제1프론트 레그(51)과 제2프론트 레그(52)로 구성된 프론트 레그(50)가 차량의 탑승공간 입구 하단부에 걸리면서 상기 프론트 레그프레임(30)의 제1자석 바(3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프론트 레그(51)가 제1자석 바(31)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제1가스스프링(55)의 지지장력에 의하여 프론트 레그(50)가 메인프레임(10)에 계속 연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연이어, 상기 프론트 레그(50)가 프론트 레그프레임(30)의 제1자석 바(31)로부터 분리될 때 차량의 탑승공간 입구 하단부에 걸리면서 메인프레임(10)과 제1가스스프링(55) 간의 힌지 연결 지점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접혀지게 되고, 도 6에서 보듯이 제2프론트 레그(52)의 하단부에 장착된 비구동 휠(56)이 차량의 탑승공간 바닥면에 구름 가능하게 밀착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전동 휠체어가 차량의 탑승공간쪽으로 전진 이동하면, 상기 제1리어 레그(61)과 제2리어 레그(62)로 구성된 리어 레그(60)가 차량의 탑승공간 입구 하단부가 걸리면서 상기 리어 레그프레임(40)의 제2자석 바(4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리어 레그(61)가 제6자석 바(41)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제2가스스프링(65)의 지지장력에 의하여 리어 레그(60)가 메인프레임(10)에 계속 연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연이어, 상기 리어 레그(50)도 리어 레그프레임(40)의 제2자석 바(41)로부터 분리될 때 차량의 탑승공간 입구 하단부에 걸리면서 메인프레임(10)과 제2가스스프링(65) 간의 힌지 연결 지점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접혀지게 되고, 도 6에서 보듯이 제2리어 레그(62)의 하단부에 장착된 제1구동 휠(66)이 차량의 탑승공간 바닥면에 구름 가능하게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동 휠체어가 차량의 탑승공간 내로 진입되면, 상기 제2리어 레그(62)의 하단부에 장착된 인휠모터(67)에는 전류를 차단하고, 상기 레그레스트 프레임(70)에 장착된 인휠모터(72)에만 전류를 공급하여 제2구동 휠(71)의 회전 구동에 의하여 전동 휠체어가 탑승공간 내에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구동 휠(71)의 회전 구동력만으로 전동 휠체어가 차량의 탑승공간 내에서 운전석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동휠체어가 차량의 탑승공간에서 하차하는 동작은 상기한 탑승 동작의 역순으로 진행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상기 전동 휠체어가 차량의 탑승공간 중 원하는 위치에 이동 완료되어 차량에 탑재된 무선충전모듈(82)의 위에 배터리(80)가 위치되면, 배터리에 대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차량의 탑승공간 중 운전공간으로 전동 휠체어가 이동된 경우, 전동 휠체어에 앉은 장애인이 직접 차량 운전까지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동 휠체어에 앉은 장애인이 혼자 힘으로 차량의 운전공간을 포함하는 탑승공간에 전동 휠체어를 쉽게 탑승시킬 수 있고, 탑승공간으로부터 전동 휠체어를 쉽게 하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련의 승하차 과정이 주변의 도움없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교통약자의 자유로운 이동권 보장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동 휠체어는 드라이빙 모듈과 시트 모듈을 분리하여 다양한 모듈과 조합을 통해 사용 용도의 유연한 확장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전동 휠체어는 상기 잠금장치(28)를 잠금해제시킴과 함께 메인프레임(10)으로부터 시트프레임(20) 및 착석용 시트(22)를 분리한 후, 메인프레임(10) 상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바구니 용도의 수납 트레이(90) 또는 동물 케이지(92)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잠금장치(28)를 잠금해제시킴과 함께 메인프레임(10)으로부터 시트프레임(20) 및 착석용 시트(22)를 분리한 후, 도 6에서 보듯이 메인프레임(10) 상에 장바구니 용도의 수납 트레이(90)를 올려서 잠금장치(28)로 재차 고정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전동 휠체어를 중량물 및 여러가지 수납물을 적재 이송시키기 위한 운송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잠금장치(28)를 잠금해제시킴과 함께 메인프레임(10)으로부터 시트프레임(20) 및 착석용 시트(22)를 분리한 후, 도 7에서 보듯이 메인프레임(10) 상에 동물 케이지(92)를 올려서 잠금장치(28)로 재차 고정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전동 휠체어를 애완동물 등을 적재 이송시키기 위한 운송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전동 휠체어가 경사로 등을 따라 이동할 때 시트프레임(20) 및 착석용 시트(22)가 기울어짐에 따라, 착석용 시트에 착석한 장애인이 넘어질 수 있고, 전동 휠체어도 넘어지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하고자,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각각 장애인의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동 휠체어의 기울어짐을 감지하는 제1 및 제2하중감지센서(11,12)가 더 장착될 수 있다.
도 5의 죄측도면을 참조하면, 전동 휠체어가 경사로 등을 따라 이동할 때 시트프레임(20) 및 착석용 시트(22)가 기울어짐에 따라, 장애인이 앞쪽으로 쏠리게 됨으로써, 상기 제1하중감지센서(11)와 제2하중감지센서(12)의 감지값이 달라지게 된다.
이에, 상기 제1 및 제2하중감지센서(11,12)의 감지값을 상기 조종 콘솔(26)에 내장된 제어기에서 수신한 후, 제어기에서 제1하중감지센서(11)의 감지값과 제2하중감지센서(12)의 감지값이 기준값 이상으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기에서 상기 프론트 레그(50)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제1액츄에이터(53) 또는 상기 리어 레그(60)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제2액츄에이터(63)에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
예를 들어, 도 5의 우측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기의 구동 신호에 의하여 상기 프론트 레그(50)의 제1프론트 레그(51)와 제2프론트 레그(52) 간에 장착된 제1액츄에이터(53)의 피스톤 로드가 직선으로 전진 이동됨으로써, 전체 프론트 레그(50)의 상하 길이가 늘어나는 동시에 시트프레임(20) 및 착석용 시트(22)가 수평 상태로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프론트 레그(50) 또는 리어 레그(60)의 상하 길이 조절을 통한 시트프레임(20) 및 착석용 시트(22)의 수평 조절이 이루어짐으로써, 전동 휠체어의 넘어짐 및 착석자의 낙상 사고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전동 휠체어에 앉은 장애인이 혼자 힘으로 차량의 운전공간을 포함하는 탑승공간에 전동 휠체어를 쉽게 탑승시킬 수 있고, 또한 평상시에는 전동 휠체어를 지면에서 이동수단으로 사용하고, 차량에 탑승된 전동 휠체어를 운전석 시트 또는 승객용 시트로 대체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용도의 운송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다양한 실시예로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 : 메인프레임 11 : 제1하중감지센서
12 : 제2하중감지센서 20 : 시트프레임
22 : 착석용 시트 24 : 암레스트
26 : 조종 콘솔 28 : 잠금장치
30 : 프론트 레그프레임 31 : 제1자석 바
40 : 리어 레그프레임 41 : 제2자석 바
50 : 프론트 레그 51 : 제1프론트 레그
52 : 제2프론트 레그 53 : 제1액츄에이터
54 : 제1레그 연결바 55 : 제1가스스프링
56 : 비구동 휠 60 : 리어 레그
61 : 제1리어 레그 62 : 제2리어 레그
63 : 제2액츄에이터 64 : 제2레그 연결바
65 : 제2가스스프링 66 : 제1구동 휠
67 : 인휠모터 70 : 레그레스트 프레임
71 : 제2구동 휠 72 : 인휠모터
73 : 제3액츄에이터 80 : 배터리
82 : 무선충전모듈 90 : 수납 트레이
92 : 동물 케이지

Claims (15)

  1. 착석용 시트가 장착된 시트프레임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단부에 장착되는 프론트 레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단부에 장착되는 리어 레그프레임;
    상기 프론트 레그프레임의 양측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프론트 레그;
    상기 리어 레그프레임의 양측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리어 레그;
    상기 프론트 레그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비구동 휠;
    상기 리어 레그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제1구동 휠;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단부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그레스트 프레임;
    상기 레그레스트 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는 제2구동 휠;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저부에 장착되는 배터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스톱 탑승이 가능한 레그 폴딩식 전동 휠체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레그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단부에 장착된 프론트 레그프레임의 양측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프론트 레그와, 상기 비구동 휠이 하단부에 장착되는 제2프론트 레그로 구성되고, 상기 제1프론트 레그과 제2프론트 레그 사이에는 프론트 레그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1액츄에이터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스톱 탑승이 가능한 레그 폴딩식 전동 휠체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레그프레임의 양측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각 제1프론트 레그는 제1레그 연결바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스톱 탑승이 가능한 레그 폴딩식 전동 휠체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단부와 상기 제1프론트 레그의 상단부 간에는 제1가스스프링이 힌지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스톱 탑승이 가능한 레그 폴딩식 전동 휠체어.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레그프레임의 전체 또는 양측부는 제1프론트 레그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한 제1자석 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스톱 탑승이 가능한 레그 폴딩식 전동 휠체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 레그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단부에 장착된 리어 레그프레임의 양측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리어 레그와, 상기 제1구동 휠이 하단부에 장착되는 제2리어 레그로 구성되고, 상기 제1리어 레그과 제2리어 레그 사이에는 리어 레그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2액츄에이터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스톱 탑승이 가능한 레그 폴딩식 전동 휠체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리어 레그프레임의 양측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각 제1리어 레그는 제2레그 연결바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스톱 탑승이 가능한 레그 폴딩식 전동 휠체어.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단부와 상기 제1리어 레그의 상단부 간에는 제2가스스프링이 힌지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스톱 탑승이 가능한 레그 폴딩식 전동 휠체어.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리어 레그프레임의 전체 또는 양측부는 제1리어 레그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한 제2자석 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스톱 탑승이 가능한 레그 폴딩식 전동 휠체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단부에는 레그레스트 프레임의 상하 회전 구동을 위한 제3액츄에이터가 장착되고, 이 제3액츄에이터의 출력축인 피스톤 로드가 레그레스트 프레임의 후부 소정 위치에 힌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스톱 탑승이 가능한 레그 폴딩식 전동 휠체어.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 휠 및 제2구동 휠에는 각 구동 휠의 전후진 구동을 위한 인휠모터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스톱 탑승이 가능한 레그 폴딩식 전동 휠체어.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프레임의 양측부에는 암레스트가 장착되고, 이 암레스트의 상부에는 조종 콘솔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스톱 탑승이 가능한 레그 폴딩식 전동 휠체어.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시트프레임 및 착석용 시트를 분리한 후, 메인프레임 상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바구니 용도의 수납 트레이 또는 동물 케이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스톱 탑승이 가능한 레그 폴딩식 전동 휠체어.
  1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각각 장애인의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동 휠체어의 기울어짐을 감지하는 제1 및 제2하중감지센서가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스톱 탑승이 가능한 레그 폴딩식 전동 휠체어.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하중감지센서의 감지값 차이에 따라 제어기에서 상기 프론트 레그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제1액츄에이터 또는 상기 리어 레그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제2액츄에이터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스톱 탑승이 가능한 레그 폴딩식 전동 휠체어.
KR1020220118249A 2022-09-20 2022-09-20 논스톱 탑승이 가능한 레그 폴딩식 전동 휠체어 KR202400396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249A KR20240039671A (ko) 2022-09-20 2022-09-20 논스톱 탑승이 가능한 레그 폴딩식 전동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249A KR20240039671A (ko) 2022-09-20 2022-09-20 논스톱 탑승이 가능한 레그 폴딩식 전동 휠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9671A true KR20240039671A (ko) 2024-03-27

Family

ID=90480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8249A KR20240039671A (ko) 2022-09-20 2022-09-20 논스톱 탑승이 가능한 레그 폴딩식 전동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967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0046B2 (ja) 輸送装置
US8398356B2 (en) Automotive wheelchair mobility system
US6443252B1 (en) Passenger standing platform on a powered wheelchair
RU2538408C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грузов и людей по лестницам и плоской поверхности
JP2013530740A (ja) 移動支援機器
EP2563310A1 (en) Emergency vehicle patient transport systems
WO2008127089A1 (en) Transport aiding device for descending or climbing a staircase
CN107307949A (zh) 载人机器人
JP7303998B2 (ja) 電動車両
KR102235701B1 (ko) 탑승기능을 가지는 휠체어
KR20190066280A (ko) 계단승강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US6508319B1 (en) Automobile ingress/egress system
US6074306A (en) Amusement park vehicle for the physically disabled
US8783403B1 (en) Transfer accessible vehicle for disabled person
KR20240039671A (ko) 논스톱 탑승이 가능한 레그 폴딩식 전동 휠체어
JP2002178930A (ja) 階段走行可能な運搬車
JP4529543B2 (ja) 電動車椅子
US3204716A (en) Stair climbing vehicle
CN220309308U (zh) 一种可移动座椅
CN219614227U (zh) 一种可移动座椅
CN219271372U (zh) 一种可移动座椅
JP3792380B2 (ja) 乗降補助構造付きシートおよびその乗降補助具
JPH07206324A (ja) 階段昇降装置
CN116035813A (zh) 一种可移动座椅
JP4301428B2 (ja) 軌条噛合式運搬車の座席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