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8929A - 설포라판 또는 설포라판 전구체 및 모링가 식물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설포라판 또는 설포라판 전구체 및 모링가 식물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8929A
KR20240038929A KR1020237044360A KR20237044360A KR20240038929A KR 20240038929 A KR20240038929 A KR 20240038929A KR 1020237044360 A KR1020237044360 A KR 1020237044360A KR 20237044360 A KR20237044360 A KR 20237044360A KR 20240038929 A KR20240038929 A KR 20240038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oraphane
composition
powder
extract
moring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4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라이언 콘브랫
로버트 허드슨
Original Assignee
뉴트라맥스 래보러토리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트라맥스 래보러토리즈, 인크. filed Critical 뉴트라맥스 래보러토리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240038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892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6Cyanate or isocyanate esters; Thiocyanate or isothiocyanate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4Ganoder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4Hydrolases (3)
    • C12N9/24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 C12N9/2402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hydrolysing O- and S- glycosyl compounds (3.2.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2/00Hydrolases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i.e. glycosylases (3.2)
    • C12Y302/01Glycosidases, i.e. enzymes hydrolysing O- and S-glycosyl compounds (3.2.1)
    • C12Y302/01147Thioglucosidase (3.2.1.147), i.e. myrosin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otan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대상체의 암을 치료, 예방, 발생 감소, 관련 증상 감소, 및/또는 이차 재발을 감소시키기 위한 모링가 식물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조성물은 1 mg 내지 1750 mg의 양으로 모링가 식물 성분, 및 1 mg 내지 50 mg의 양으로 설포라판 또는 설포라판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조성물은 150 mg 내지 1500 mg의 양으로 모링가 식물 성분과 1 mg 내지 50 mg의 양으로 설포라판 전구체를 포함할 수 있다. 모링가 식물 성분은 모링가 잎 추출물 1000 mg당 모링인 10 mg을 함유하는 모링가 잎 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조성물은 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 및 브로콜리 추출물 또는 분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설포라판 또는 설포라판 전구체 및 모링가 식물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
본 국제(PCT) 특허 출원은 2021년 5월 26일에 출원한 미국 가출원 제63/193254호 및 2021년 5월 26일에 출원한 미국 가출원 제63/193270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들 출원의 전문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설포라판 또는 설포라판 전구체 및 하나 이상의 모링가 식물(Moringa plant)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함께, 이들 조성물에 관련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천연 생성물의 사용은 인간과 인간이 아닌 동물에게 점점 더 인기를 얻고 있다. 이러한 천연 생성물 중 일부는 건강 보조 식품 및 의료 식품에 혼입되고 있다. 화학보호제, 화학요법제, 항종양제 및/또는 항산화제로서 유용한 보충제가 당업계에 요구되고 있다.
천연 생성물 사용을 통한 화학보호는 인간과 동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상태(conditions)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저렴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실용적인 수단으로 발전하고 있다. 분자 수준에서 세포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발암물질은 무독성 전구체로서 종종 섭취되고 흡입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무독성 전구체는 이후 체내에서 발암성 물질로 전환될 수 있다. 해독 효소 또는 이들의 보조 인자를 활성화할 수 있는 천연 물질과 같은, 화학보호제는 상쇄작용하고 제거를 가능케하거나 면역 체계와 같은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다른 방어 체계를 강화할 수 있다.
일부 천연 생성물은 항산화 활성이 있다. 산화 스트레스는 노화, 신경퇴행성 질환의 진행뿐만 아니라 허혈과 같은 생리적 트라우마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항산화제는 중요한 생체분자의 산화를 감소시키거나 억제할 수 있으며, 산화 스트레스에 의해 영향을 받는 상태의 일예인 암, 관상동맥 심장 질환, 뇌졸중, 신경퇴행성 질환, 알츠하이머병, 치매, 및 뇌졸중의 발생을 치료, 예방, 또는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암은, 내부적으로든(즉,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호르몬) 외부적으로든(즉, 플라스틱의 비스페놀 A(BPA)), 환경 문제에 대한 노출과 만성 염증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다행스럽게도, 환경 문제로 인한 피해는 우리 몸의 많은 세포 유형에서 발견되는 II 단계 화학보호 효소의 복잡한 네트워크를 통해 무력화될 수 있다. 에스트로겐과 이들의 대사물질이 유방 조직과 종양의 증식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더 나쁘게는 퀴논 에스트로겐 대사산물이 유방 조직에 들어가 관 및 선 상피 세포의 핵으로 이동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것이다. 거기에서, 이들은 하류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퀴논 에스트로겐 DNA 부가물(adducts)을 형성하는 DNA에 결합한다. 이러한 돌연변이는 종양의 기초, 즉 암 발생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행스럽게도, 특정 II 단계(Phase) 효소인 NAD(P)H: 퀴논 산화환원효소(NQO1)는 위험하고 반응성이 높은 퀴논 에스트로겐을 데려와 이들을 불활성 화학물질로 대사하여 신체에서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암 발병률을 감소시키는 주요 메커니즘은 NQO1을 포함한 보호성 II 단계 효소를 유도하는 것이다. NQO1의 수준 증가는 높은 수준의 퀴논 에스트로겐으로 인해 발생하는 임의의 병태와 관련된 증상을 치료, 예방, 복구, 발생 감소,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 퀴논 에스트로겐의 예에는 에스트로겐의 카테콜 퀴논이 포함되지만, 이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퀴논 에스트로겐은 다음 참고문헌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은 그 전문이 참조로 통합된다: Nutter et al. Chem Res Toxicol, 1994, 7:23-28; Cavalieri et al. Ann N Y Acad Sci, 2006; 1089:286-301; Bolton et al. Chem Res Toxicol, 2008, 21(1):93-101; 및 Cavalieri et al., Biochimica etBiophysica Acta, 2006, 1766:63-78.
화학보호 및 항산화 특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 천연 생성물의 예로는 설포라판이 있다. 설포라판은 1-이소티오시아나토-4-메틸설피닐부탄으로도 알려진 유기황 화합물이다. 설포라판 전구체인 글루코라파닌은 브로콜리, 브뤼셀 콩나물, 및 양배추와 같은 유채과 야채에서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화학보호에 적합한 수준을 얻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야채를 섭취해야 한다. 글루코라파닌은 미로시나제(myrosinase)라고 불리는 β-티오글루코시다제 효소에 의해 설포라판으로 전환되며, 이 효소는 브라시카과(Brassicaceae) 야채, 모링가(Moringa) 나무와 같은 다양한 외인성 소스와 장내 마이크로플로라(microflora)에서 내인성으로 발생한다. 그러나, 글루코라파닌 섭취시, 모든 동물에서 설포라판으로의 전환이 달성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이는 아마도 마이크로플로라 개체군과 전반적인 건강 상태의 변화로 인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위와 같은 산성 환경에서는 글루코라파닌이 불활성 대사산물로 전환될 수 있다. 활성 대사물질인 설포라판은 핵 적혈구-2 관련 인자(Nrf2)를 유도하며, 이는 차례로 II 단계 해독 효소와 글루타티온 S-트랜스퍼라제, NAD(P)H:퀴논 산화환원효소(NQO1), 및 헴-옥시게나제-1(HO-1)와 같은 세포보호 효소의 생산을 상향조절한다. 설포라판은 P-450 시토크롬 효소의 합성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이러한 효소의 생산을 유도하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II 단계 효소의 상향조절은 세포 독성으로부터 뇌를 보호하고, 지방 축적으로 인한 독성 효과로부터 간을 보호하며, 다양한 기타 조직의 해독을 비롯한, 다양한 생물학적 활동에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설포라판과 이의 전구체인 글루코라파닌은 광범위하게 연구되었다. Shapiro 등(Nutrition and Cancer, (2006), Vol. 55(1), pp. 53-62)은 브로콜리 새싹 글루코시놀레이트 및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안전성, 내약성 및 대사작용을 결정하는 임상 1상 연구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샤피로 등은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글루코라파닌과 같은 글루코시놀레이트 또는 설포라판과 같은 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함유한 새싹 추출물에 대한 위약 대조, 이중 맹검, 무작위 임상 연구에 대해 논의한다. 연구에서는 이들 물질의 투여가 체계적이고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부작용을 초래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Ye 등(Clinica Chimica Acta, 200, 316:43-53)은 인간에서 브로콜리 새싹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약동학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모링가세애 두모르트(Moringaceae Dumort)는 13종의 알려진 종이 있는 단일속 식물과이다: 모링가 아르보레아(Moringa arborea), 모링가 보르지아나(Moringa borziana), 모링가 콘카넨시스(Moringa concanensis), 모링가 드루하디(Moringa drouhardii), 모링가 힐데브란트티(Moringa hildebrandtii), 모링가 롱기투바(Moringa longituba), 모링가 올레이페라(Moringa oleifera), 모링가 오발리폴리아(Moringa ovalifolia), 모링가 페레그리나(Moringa peregrina), 모링가 피그마에아(Moringa pygmaea), 모링가 리브애(Moringa rivae), 모링가 루스폴리아나(Moringa ruspoliana) 및 모링가 스테노페탈라(Moringa stenopetala). 이들 13종 중에서 모링가 올레이페라(Moringa oleifera)(모링가 프테리고스퍼마(Moringa pterygosperma)와 동의어)가 가장 널리 알려지고 활용되는 종이다. 모링가과의 나무 속은 양고추냉이 나무 또는 드럼스틱 나무로도 알려져 있으며, 세계 일부 지역에서는 벤 오일 나무, 벤조라이브, 켈로르, 마랑고, 밀롱게, 물랑가이, 네베데이(nbday), 사이잔, 사즈나로 알려져 있고, 또 다른 많은 지역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모링가 나무의 잎, 씨앗, 과일, 과일 꼬투리, 뿌리, 꽃, 및 껍질은 오랫동안 영양 및 치료 특성으로 알려져 왔다. 의학적으로, 모링가의 다양한 부분은 일반적으로 항종양, 항고혈당증, 및 항염증 효과를 포함한 다양한 약리학적 효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최근 연구에서는 모링가가 항종양 활동의 잠재적 원천인 것으로 나타났다. 모링가에서 모두 발견된, 4(α-L-람노실옥시)-벤질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니아지미신 및 3-0-(6'-0-올레오일-β-D-글루코피라노실)-β-시토스테롤과 함께 O-에틸-4-(α-L-람노실옥시)벤질 카바메이트는,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초기 항원에 대한 유의한 억제 효과를 보여준 시험관 내 분석을 사용하여 잠재적인 항종양 촉진 활성에 대해 테스트되었다. 글루코모링인(glucomoringin)은 모링가 잎 추출물에 함유된 주요 글루코시노이에이트이다. 가수분해 변환 반응을 통해, 효소 미로시나아제는 글루오모린진을 생리활성 이소티오시아네이트 4-[(α-람노실옥시)벤질]이소티오시아네이트(모링인)로 전환한다. 이소티오시아네이트는 1.) 독소의 대사 및 배설을 촉진하고 2.) 항산화 활성을 제공하는 Nrf-2 조절 II 단계 효소의 생성을 유도할 수 있는 화학 물질이다. 또한, 이소티오시아네이트는 NFk-B 경로의 억제를 통해 항염증 활성을 발휘한다.
니아지미신은 화학적 발암에 대한 강력한 화학보호제로 제안되었다. 모링가 종자 추출물은 또한 마우스에서 간 발암물질 대사 효소, 항산화 파라미터 및 피부 유두종발생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종자 연고는 마우스의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농피증에 대해 네오마이신과 유사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M 올레이페라(M. oleifera) 잎의 티오카르바메이트인 니아지미닌이 종양 촉진제에 의해 유발된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활성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많은 버섯이 약용 효과로 사용되거나 연구되었다. 이러한 "약용 버섯(medicinal mushrooms)"은 항바이러스, 항균, 항암, 항고혈당 및/또는 항염증 활동과 같은 유익한 특성을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약용 버섯의 예로는 잎새버섯(maitake), 표고버섯(shiitake), 영지버섯(reishi), 크레미니 버섯(cremini), 알몬드(almond) 버섯, 체스트넛(chestnut) 버섯, 목이버섯(wood ear), 구름버섯(cloud ear), 그물버섯(porcini), 먹물버섯(ink cap), 야차굼바(yarta gunbu), 팽이버섯(enokitake), 만가닥버섯(shemeji), 타이거 밀크 버섯(tiger milk), 곰보버섯(morel), 망태버섯(bamboo), 노랑느타리버섯(golden oyster), 핑크느타리버섯(pink oyster), 큰 느타리버섯(king oyster), 느타리버섯(hiratake), 꽃송이버섯(cauliflower), 흰목이버섯(white jelly), 황금목이버섯(golden jelly), 송이버섯(matsutake), 멕시칸 송로버섯(Mexican truffle), 및 밀짚 버섯(straw mushrooms)이 있다.
잎새버섯(Grifola frondosa)은 식용 버섯으로 식품으로 널리 소비되며 전통 의학에서 면역 기능을 강화하고 암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글루칸을 함유한 잎새버섯은 항종양 및 면역 조절 효과와 같은 유익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단백질 결합 베타글루칸과 같은 글루칸을 활성 성분으로 함유하는 표준화된 잎새버섯 추출물이 존재한다. 단백질 결합 다당류인 베타 1,6-글루칸은 잎새버섯의 활성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잎새버섯은 항종양 효과가 있어 시험관 내에서 종양 전이를 억제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한 연구에서는 잎새버섯 추출물을 사용한 피험자의 절반에서 종양 퇴행 또는 증상의 상당한 개선이 관찰되었다. 폐경 후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잎새버섯 추출물을 경구 투여하면 면역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고버섯(Lentinula edodes)은 동아시아가 원산지인 식용 버섯이다. 표고버섯에는 항바이러스, 항생제, 항염증, 항고혈압 및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마이코케미컬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주로 알파 글루칸과 베타 글루칸 모두 글루칸의 결과인 것으로 생각된다. 일부 표고버섯 추출물에는 알파글루칸 함량이 40% 이상이다. 또한, 표고버섯에서 분리된 다당류인 렌티난(1,3 베타-D-글루칸)이 잘 연구되어 왔으며 표고버섯의 유익한 효과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대장암 세포에서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발암 물질을 활성 형태로 대사하는 것으로 알려진 시토크롬 P450 1A 효소를 억제하는 능력 때문일 수 있다. 단백질 성분인 렌틴은 강력한 항진균 특성을 갖고 있으며 백혈병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1 역전사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은 링즈키(lingzki) 버섯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동아시아에서 발견되는 식용 버섯이다. 영지버섯에는 항종양, 항암, 면역조절 및 면역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영지버섯에는 베타-글루칸, 칸타크산틴, 스테롤, 쿠마린, 가노데르산, 및 만니톨과 같은 글루칸을 포함하여 이의 활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많은 성분이 있다.
베이커 효모(Saccaromyces cerevisiae)는 글루칸, 특히 베타-글루칸의 공급원이 될 수 있다. 베이커 효모의 활성 성분은 다수의 방법, 예컨대, 각각 그 전문이 참조로 통합되는, 다음 문헌에 기재된 방법으로 추출될 수 있다: Bacon et al. Biochem J, 1969, 114(3): 557-567], 미국 특허 제7,803,605호; 미국 특허 제5,702,719호; 및 미국 특허 제8,323,644호.
글루칸은, 각각 그 전문이 참조로 통합되는 다음 참고문헌에 기술되어 있다: Vetvicka et al. Endocr Metab Immun Disord Drug Targets, 2009, 9(l):67-75 및 Vetvicka et al. J Med Food, 2008: 11(4): 615-622.
Zhang 등(Proc. Natl. Acad. Sci., (1994), Vol. 91, pp. 3147-3150)은 설포라판 및 구조적으로 관련된 합성 노르보르닐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항암 활성을 결정하기 위해 Sprague-Dawley 랫트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설포라판 투여가 유방 종양 형성을 차단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Cornblatt 등(Carcinogenesis, (2007), Vol. 38(7): pp. 1485-1490)에서는 Sprague-Dawley 랫트를 대상으로 유방의 화학적 예방에 대한 설포라판의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설포라판을 경구 투여하면 유방 상피에서 NAD(P)H:퀴논 산화환원효소(NQO1) 효소 활성이 3배 증가하고 헴 옥시게나제-1(HO-1) 효소의 면역염색이 4배 증가하는 것을 밝혀냈다.
Munday 등(Cancer Res, (2008), Vol. 68(5): pp. 1593-1600)은 랫트의 방광암 발병에 대한 동결건조 브로콜리 새싹 수성 추출물의 효과에 관한 연구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브로콜리 새싹 추출물을 투여하면 방광에서 산화제와 발암 물질에 대한 보호 활성을 갖는 효소인 글루타티온 S-트랜스퍼라제와 NAD(P)H:퀴논 산화환원효소 1이 유의하게 유도됨을 밝혀냈다.
Fang 등(J Altern Complem Med, (2006), Vol. 12(2): pp. 125-132)은 인간 유방암종 세포주(MDA-MB-453 및 MCF-7), 인간 비악성 유방 상피 세포주(MCF-1OF) 및 2종의 골수종 세포주(RPMI08226 및 IM-9)에 대한 표고버섯의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의 항증식 효과를 결정하는 연구를 개시한다. 이 연구에서는 표고버섯의 성분이 종양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은 세포자멸사 유도로 인한 것일 수 있음을 밝혀냈다.
Kim 등(J Med Food, (2007), Vol. 10(1): pp. 25-31)은 표고버섯(Lentinus edodes)에서 배양한 쌀겨로부터 추출한 엑소-바이오폴리머의 자연살해(NK) 세포 활성화 및 항암 효과를 조사한 연구를 개시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엑소바이오폴리머가 자연살해세포 활성화를 통해 암 예방 및/또는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밝혀냈다.
Louie 등(BJUI, (2009), Vol. 153(9): pp. 1215-1221)은 시험관 내 방광암 T24 세포에서 인터페론-알파의 항암 활성에 관한 생리활성 버섯 추출물인 잎새버섯 D-분획(PDF)과 인터페론-알파의 조합의 시너지 효과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Masuda 등(Biol. Pharm. Bull. (2008), Vol. 31(6): pp. 1104-1108)은 폐 전이의 뮤린 모델에서 잎새버섯 일부의 항전이 활성을 평가하는 연구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연구 결과, 해당 분획이 자연살해세포와 항원제시세포(APC)를 활성화하고 ICAM-1과 같은 접착 분자를 억제해 종양 세포가 혈관 내피 세포에 접착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종양 전이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 특허 출원 제2 213 280호는 글루코라파닌과 같은 글루코시놀레이트 및 미로시나제를 포함하는 제제를 개시하며, 여기서 제제는 캡슐화되거나 코팅된다.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참고문헌은 그 전문이 참조로 통합된다.
요약
본 발명의 한 양태는 1 mg 내지 1750 mg의 양으로 모링가 식물 성분; 및 1 mg 내지 50 mg의 양으로 설포라판 또는 설포라판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150 mg 내지 1500 mg의 양으로 모링가 식물 성분; 및 1 mg 내지 50 mg의 양으로 설포라판 전구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모링가 식물 성분; 설포라판, 설포라판 유도체 또는 설포라판 전구체; 및 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 브로콜리 추출물 또는 분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여러 양태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서:
도 l은 실시예 5에 기술된 바와 같이, 모의 장액에서 글루코라파닌이 설포라판으로 전환되는 것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6에 기재된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7에 기재된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a-4c는 실시예 8에 기재된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a-5c는 실시예 11에 기재된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설포라판 또는 설포라판 전구체와 하나 이상의 모링가 식물 성분의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모링가 식물 성분은 설포라판 전구체를 설포라판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효소를 포함한다. 조성물은 또한 효소 강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조합에는 버섯(예컨대, 잎새버섯, 표고버섯, 또는 영지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이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식물화학물질의 공급원으로서 브로콜리 추출물 또는 분말, 설포라판 또는 이의 유도체와 하나 이상의 모링가 식물 성분의 조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설포라모레판 전구체, 설포라판 또는 이의 유도체, 및 브로콜리 추출물 또는 분말 중 하나 이상의 혼합물과 함께 하나 이상의 모링가 식물 성분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설포라판 또는 설포라판 전구체, 하나 이상의 모링가 식물 성분 및 하나 이상의 글루칸의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들 조합에 관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들 조합물을 형성, 제조, 가공 및/또는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합물은,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대상체에서 유방암, 전립선암, 결장암, 폐암 및 방광암을 비롯한 암을 치료, 예방, 발생 감소, 관련 증상 감소 및/또는 이차 재발을 감소시키기 위해 투여될 수 있다.
설포라판은 1-이소티오시아네이토-4-메틸설피닐부탄으로도 알려져 있다. 설포라판의 유도체에는 설포라판의 설폭시티오카바메이트 유사체, 6-메틸 설피닐헥실 이소티오시아네이트(6-HITC), 및 이소티오시아네이토와 설폭사이드 그룹 사이에 다양한 길이의 스페이서 및/또는 다양한 측쇄를 갖는 설포라판의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포함되나, 이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설포라판 유도체의 예에는 다음 참고문헌에 기술된 것들이 포함되며, 이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Hu et al., Eur J Med Chem, 2013, 64:529-539; Ah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2010, 107(21):9590-9595; 및 Morimistu et al., J. Biol. Chem. 2002, 277:3456-3463, 및 Baird et al., Arch Toxicol, 2011, 85(4):241-272.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설포라판 또는 이의 설포라판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설포라판을 약 1 ㎍ 내지 약 10 g, 바람직하게는 약 3 ㎍ 내지 약 5 g, 바람직하게는 약 5 ㎍ 내지 약 1000 mg, 바람직하게는 약 7 ㎍ 내지 약 750 mg,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 ㎍ 내지 약 500 mg,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0 ㎍ 내지 약 100 mg의 양으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인간 사용에 적합한 조성물은 약 1 mg 내지 약 20 mg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조성물은 약 1 mg 내지 약 50 mg, 15 mg 내지 35 mg, 1 mg 내지 15 mg, 또는 1 mg 내지 12 mg의 설포라판 또는 설포라판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설포라판 또는 이의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설포라판을 대상체에게 약 1 ㎍ 내지 약 10 g, 바람직하게는 약 3 ㎍ 내지 약 5 g, 바람직하게는 약 5 ㎍ 내지 약 1000 mg, 바람직하게는 약 7 ㎍ 내지 약 750 mg,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 ㎍ 내지 약 500mg,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0 ㎍ 내지 약 100 mg의 양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대상체가 인간인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약 1 mg 내지 약 20 mg의 투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방법은 설포라판 또는 이의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설포라판을 약 1 mg 내지 약 50 mg 또는 1 mg 내지 15 mg의 양으로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설포라판 또는 이의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설포라판을 대상체에게 약 0.01 ㎍/kg 내지 약 0.2 g/kg, 바람직하게는 약 0.05 ㎍/kg 내지 약 0.07 g/kg, 더 바람직하게는 약 0.07 ㎍/kg 내지 약 15 mg/kg, 더 바람직하게는 약 0.1 ㎍/kg 내지 약 11 mg/kg,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2 ㎍/kg 내지 약 7 mg/kg의 양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대상체가 인간인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약 2 ㎍/kg 내지 약 2 mg/kg,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1 mg/kg 내지 약 0.3 mg/kg의 투여를 포함한다. 상기 양은 각 투여량 투여 또는 1일 총 투여량을 의미할 수 있다. 총 일일 투여량은 24시간 동안 대상에게 투여되는 화합물 또는 성분의 총량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설포라판 또는 이의 유도체 중 하나 이상의 투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설포라판 또는 이의 유도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방법 또는 조성물은 설포라판 및 이의 하나 이상의 유도체, 또는 둘 이상의 유도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방법 또는 조성물이 하나 이상의 설포라판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양은 각각의 설포라판 또는 이의 유도체의 양, 또는 하나 이상의 설포라판 또는 이의 유도체의 총량을 의미할 수 있다.
"설포라판 전구체(sulforaphane precursor)"라는 용어는 설포라판을 생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모든 화합물, 물질 또는 재료를 의미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설포라판 전구체는 바람직하게는 효소에 의해 설포라판으로 전환되거나 대사될 수 있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설포라판 전구체는 글루코라파닌을 포함한다. 글루코라파닌은 4-메틸 설피닐부틸 글루코시놀레이트 및 1-S-[(1E)-5-(메틸설피닐)-N-(설포나토옥시)펜탄이미도일]-1-티오-.β.--D-글루코피라노스로도 알려진 글루코시놀레이트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약 1 ㎍ 내지 약 10 g, 바람직하게는 약 250 ㎍ 내지 약 5 g, 더 바람직하게는 약 500 ㎍ 내지 약 2000 mg,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1 mg 내지 약 750 mg,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1.5 mg 내지 약 250 mg,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2 mg 내지 약 100 mg,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 mg 내지 약 75 mg의 설포라판 전구체, 바람직하게는 글루코라파닌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인간 사용에 적합한 조성물은 약 1 mg 내지 약 50 mg, 1.2 mg 내지 12 mg, 15 mg 내지 35 mg, 또는 3.5 mg 내지 50 mg의 설포라판 전구체, 바람직하게는 글루코라파닌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설포라판 전구체, 바람직하게는 글루코라파닌을 대상체에게 약 1 ㎍ 내지 약 10 g, 바람직하게는 약 250 ㎍ 내지 약 5 g, 더 바람직하게는 약 500 ㎍ 내지 약 2000 mg,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1 mg 내지 약 750 mg,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1.5 mg 내지 약 250 mg,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2 mg 내지 약 100 mg,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 mg 내지 약 75 mg의 양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대상체가 인간인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약 1 mg 내지 약 50 mg, 1.2 mg 내지 12 mg, 15 mg 내지 35 mg, 또는 3.5 mg 내지 50 mg의 설포라판 전구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약 1 ㎍/kg 내지 약 1000 mg/kg, 바람직하게는 약 5 ㎍/kg 내지 약 500 mg/kg,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5 ㎍/kg 내지 약 100 mg/kg,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kg 내지 약 25 mg/kg,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5 ㎍/kg 내지 약 10 mg/kg의 양으로 대상체에게 설포라판 전구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대상체가 인간인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약 50 ㎍/kg 내지 약 800 ㎍/kg의 투여를 포함한다. 상기 양은 각 투여량 투여 또는 1일 총 투여량을 의미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하나 이상의 설포라판 전구체의 투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설포라판 전구체를 포함한다. 방법 또는 조성물이 하나 초과의 설포라판 전구체를 포함하는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양은 각각의 설포라판 전구체의 양, 또는 설포라판 전구체의 총량을 의미할 수 있다.
설포라판 전구체는 설포라판으로 전환되거나 대사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설포판 전구체는 효소에 의해 설포라판으로 전환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설포라판 전구체를 설포라판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효소는 글루코시다제 효소, 바람직하게는 티오글루코시다제 효소, 더욱 바람직하게는 미로시나제를 포함한다. 미로시나아제는 티오글루코사이드 글루코하이드롤라아제로도 알려져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약 1 pg 내지 약 1 ㎍, 바람직하게는 약 50 pg내지 약 500 ng,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 ng 내지 약 150 ng의 양으로 효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인간 사용에 적합한 조성물은 약 5 ng 내지 약 75 ng의 효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효소, 바람직하게는 미로시나제를 약 1 pg 내지 약 1 ㎍, 바람직하게는 약 50 pg 내지 약 500 ng,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 ng 내지 약 150 ng의 양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대상체가 인간인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약 5 ng 내지 약 75 ng의 효소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대상체에게 효소를 약 0.02 ㎍/kg 내지 약 0.02 ug/kg, 바람직하게는 약 0.7 ㎍/kg 내지 약 7 ng/kg,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02 ng/kg 내지 약 2 ng/kg의 양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대상체가 인간인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약 0.1 ng/kg 내지 약 1 ng/kg의 투여를 포함한다. 상기 양은 각 투여 투여량 또는 1일 총 투여량을 의미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설포라판 전구체를 설포라판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효소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설포라판 전구체를 설포라판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효소를 포함한다. 방법 또는 조성물이 하나 이상의 효소를 포함하는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양은 각 효소의 양, 또는 효소의 총량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브로콜리 종자 및 새싹 추출물 및 분말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브로콜리 추출물 및/또는 분말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브로콜리 추출물 및/또는 분말의 투여 방법, 및 브로콜리 추출물 및/또는 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브로콜리 추출물 또는 분말은 약 1% 내지 약 75% w/w, 더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50%,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25%,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20%의 설포라판 전구체, 바람직하게는 글루코라파닌를 함유하도록 표준화된다. 브로콜리 추출물 및 분말의 예에는, 각각 그 전문이 참조로 통합되는, 미국 특허 제5,411,986호; 제5,725,895호; 제5,968,505호; 제5,968,567호; 제6,177,122호; 제6,242,018호; 제6,521,818호; 제7,303,770호, 및 제8,124,135호에 기술된 것들이 포함되나, 이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브로콜리 분말은, 예를 들어, 공기 건조, 동결건조, 드럼 건조, 분무 건조, 열 건조 및/또는 부분 진공 건조에 의해 브로콜리, 바람직하게는 브로콜리 새싹을 얻을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성물 및 방법은 약 1 ㎍ 내지 약 1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50 ㎍ 내지 약 5 g,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약 500 ㎍ 내지 약 1 g, 바람직하게는 약 600 ㎍ 내지 약 500 mg, 더 바람직하게는 약 750 ㎍ 내지 약 400 mg,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 mg 내지 약 300 mg의 브로콜리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브로콜리 추출물 또는 분말은 위에 기술된 양의 설포라판 전구체 또는 설포라판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조성물에 존재하거나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효소 강화제, 바람직하게는 아스코르브산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효소 강화제, 바람직하게는 아스코르브산의 투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설포라판 또는 이의 유도체, 설포라판 전구체, 및/또는 설포라판 전구체를 설포라판으로 전환할 수 있는 효소는 유채과(Brassicaceae)(십자화과(Cruciferae)로도 알려짐)의 하나 이상의 식물 또는 모링가과(Moringaceae) 속의 하나 이상의 식물을 포함하나, 이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닌 임의의 공급원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유채과 식물의 예로는 브로콜리, 방울양배추, 콜리플라워, 양배추, 고추냉이, 파스닙, 무, 와사비, 물냉이 및 흰 겨자를 포함하나, 이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설포라판 전구체, 바람직하게는 글루코라파닌 및 효소, 바람직하게는 미로시나제는 브로콜리, 브로콜리 새싹 또는 브로콜리 종자로부터 획득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효소, 바람직하게는 미로시나아제는 모링가 식물 성분으로부터 획득된다. 설포라판 전구체와 효소는 동일한 공급원 또는 다른 공급원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설포라판 전구체 및 효소 둘 다는 브로콜리 종자 또는 새싹 추출물 또는 분말로부터의 추출물 또는 분말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효소는 모링가 식물 성분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효소 강화제의 용도를 제공한다. 설포라판 전구체를 설포라판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효소의 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효소 강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효소 강화제는 효소 보조인자, 바람직하게는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한다. 아스코르베이트 또는 비타민 C로도 알려진 아스코르브산은 미로시나제의 활성을 강화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효소 강화제가 없으면 설포라판으로의 전환 반응이 너무 느려서 최고 흡수에 필요한 위치에서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효소 강화제는 천연 공급원에서 얻을 수도 있고 합성으로 생산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약 1 mg 내지 약 500 mg, 바람직하게는 약 1 mg 내지 약 250 mg,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 mg 내지 약 125 mg의 효소 강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인간 사용에 적합한 조성물은 약 1 mg 내지 약 50 mg의 효소 강화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효소 강화제, 바람직하게는 아스코르브산을 약 1 mg 내지 약 500 mg, 바람직하게는 1 mg 내지 약 250 mg,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 mg 내지 약 125 mg의 양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대상체가 인간인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약 1 mg 내지 약 50 mg의 투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약 0.01 mg/kg 내지 약 3 mg/kg, 대부분 약 0.02 mg/kg 내지 약 2 mg/kg의 양으로 효소 강화제, 바람직하게는 아스코르브산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대상체가 인간인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약 0.02 mg/kg 내지 약 0.7 mg/kg의 효소 강화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양은 각 투여량 투여 또는 1일 총 투여량을 의미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하나 이상의 효소 강화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효소 강화제를 포함한다. 방법 또는 조성물이 하나 이상의 효소 강화제를 포함하는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양은 각 효소 강화제의 양, 또는 효소 강화제의 총량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설포라판, 설포라판 전구체, 및/또는 하나 이상의 모링가 식물 성분과 함께 설포라판 유도체를 포함한다. 다른 이점 중에서도 모링가 식물 성분은 O-에틸-4-(α-L-람노실옥시)벤질 카바메이트, 4(α-L-람노실옥시)-벤질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니아지미신, 3-0-(6'-O-올레오일-β-D)-글루코피라노실)-β-시토스테롤, 및 니아지미닌의 공급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모링가 식물 성분은 모링가 잎, 씨앗, 과일, 과일 꼬투리, 뿌리, 꽃 및/또는 껍질, 그리고 이들의 추출물, 분말, 주스 또는 기타 파생물로부터 유래되거나 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링가 식물 성분 또는 각각의 유도체의 혼합물 또는 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모링가 잎, 씨앗, 과일, 과일 꼬투리, 뿌리, 꽃 및/또는 나무껍질은 위생적인 장소에서 공기 건조, 동결건조, 드럼 건조, 분무 건조, 열 건조 및/또는 부분 진공 건조된 후 건조될 수 있다. 저온(cold) 상업 분쇄 공정을 포함하여 분말로 분쇄된다. 이 저온 상업 공정은 식물 재료를 극저온으로 분쇄하여 산소, 빛 및 열로부터 식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특성을 보호한다. 잎, 과일, 과일 꼬투리, 씨앗, 뿌리, 꽃 및/또는 나무껍질의 추출물은 적합한 용매 및/또는 온도 체계를 포함한 기존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업적인 착즙 또는 압착 공정과 같은 방법을 포함하여 과일, 과일 꼬투리 또는 잎을 착즙하여 과일 주스를 얻을 수도 있다. 씨앗은 성숙되면 나무에서 수확할 수 있으며 비타민, 미네랄, 항산화제 및 항염증 특성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열, 빛 및 산소를 피하는 상업적인 압착 또는 추출 방법을 포함한 전통적인 방법을 통해 오일을 제거할 수 있다. 냉간 압착 추출 방법을 포함한 종자 고형물에서 발견된다. 본 발명은 또한 종자유를 추출하기 위한 종자 압착 공정의 부산물인 모링가 종의 종자 케이크를 활용할 수도 있다. 이 과정을 통해 가공 중에 비타민, 미네랄 및 기타 활성 성분이 화학적으로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위에서 설명한 모링가 식물 성분은 혼합을 통해 추가로 가공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모링가 식물 성분과 이들의 조합 및 혼합물은 모두 본 발명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 및/또는 방법은 Q 모링가 식물 성분의 사용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 및/또는 방법은 하나 이상의 모링가 식물 성분의 사용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 및/또는 방법은 분말, 추출물, 주스, 오일, 종자 케이크,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조합물의 사용을 포함한다.
글루코모링인은 모링가 잎 추출물에 함유된 주요 글루코시놀레이트인 것으로 밝혀졌다. 가수분해 변형 반응을 통해 효소 미로시나제는 글루코모링인을 생리활성 이소티오시아네이트 4-[(α-1-람노실옥시)벤질]이소티오시아네이트(모링인)로 전환한다. 이소티오시아네이트는 1.) 독소의 대사 및 배설을 촉진하고 2.) 항산화 활성을 제공하는 Nrf-2 조절 2단계 효소의 생성을 유도할 수 있는 화학 물질이다. 또한, 이소티오시아네이트는 NFK-B 경로의 억제를 통해 항염증 활성을 발휘한다. 모링가 잎 추출물(MLE)에는 일반적으로 그램당 10mg의 모링인이 함유되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약 0.5 mg 내지 약 2000 mg, 약 1 mg 내지 약 1000 mg, 바람직하게는 약 1 mg 내지 약 500 mg의 하나의 모링가 식물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약 1 mg 내지 약 1750 mg, 바람직하게는 약 100 mg 내지 약 1000 mg, 또는 150 mg 내지 1500 mg의 하나 이상의 모링가 식물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은 각 투여량 투여 또는 1일 총 투여량을 의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상기 양의 모링가 잎 추출물을 포함하고, 모링가 잎 추출물은 모링가 잎 추출물 1000 mg당 10 mg 또는 14 mg의 모링인을 함유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또한 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버섯은 잎새버섯, 표고버섯, 영지버섯, 크레미니 버섯, 알몬드버섯, 체스트넛섯, 목이버섯, 구름버섯, 그물버섯, 먹물버섯, 야차굼바, 팽이버섯, 만가닥버섯, 타이거 밀크 버섯, 곰보버섯, 망태버섯, 노랑느타리버섯, 핑크느타리버섯, 큰 느타리버섯, 느타리버섯, 꽃송이버섯), 흰목이버섯, 황금목이버섯, 송이버섯, 멕시칸 송로버섯, 및 밀짚 버섯을 포함하나, 이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닌 "약용 버섯(medicinal mushrooms)"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버섯은 잎새버섯, 표고버섯, 영지버섯, 및/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비제한적이지만 적합한 제제의 예시적인 예는 Cornblatt 등의 미국 공개특허 제2015/0147352호 및 Cornblatt 등의 제2015/0110872호에 제시되어 있으며, 각각은 그 전문이 참조로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잎새버섯은 그리포라 프론도사(Grifola frondosa) 종에 속한다. 잎새버섯에는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다수의 분획물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다. 잎새버섯에서 발견되는 성분의 예로는 글루칸(예컨대, 알파-글루칸 및 베타-글루칸); 지질(예컨대, 옥타데칸산 및 옥타데카디엔산); 인지질(예컨대,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이노시톨, 포스파티딜세린 및 포스파티드산)을 포함하나, 이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고버섯은 렌티눌라 에도데스(Lentinula edodes) 종에 속한다. 표고버섯에는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다수의 분획물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다. 표고버섯에서 발견되는 성분의 예로는 글루칸(예컨대, 알파-글루칸 및 베타-글루칸), 단백질(예컨대, 렌틴(Ientin)); 지질(예컨대, 리놀레산); 그리고 리그닌을 포함하나, 이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영지버섯은 가노더마 루시둠(Ganoderma lucidum) 종에 속한다. 영지버섯에는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여러 분획이 포함될 수 있다. 영지버섯에서 발견되는 성분의 예로는 글루칸(예컨대, 알파-글루칸 및 베타-글루칸), 칸타잔틴, 스테롤, 쿠마린, 영지산 및 만니톨이 포함되나, 이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은 하나 이상의 글루칸을 포함한다. 글루칸은 글리코시드 결합으로 연결된 D-글루코스 단량체의 다당류이며 알파 또는 베타 형태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글루칸은 하나 이상의 알파-글루칸 및/또는 베타-글루칸을 포함한다. 알파-글루칸에는, 이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1,4-알파-글루칸과 1,6-알파-글루칸을 포함하고, 베타-글루칸에는, 이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1,3-.베타.-글루칸, 1,4-.베타.-글루칸 및 1,6-.베타-글루칸을 포함한다. 글루칸은 다양한 중합체 구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잎새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은 1,3-베타.-글루칸 및/또는 1,6-베타-글루칸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표고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은 1,4-알파-글루칸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영지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은 1,3-β-글루칸 및/또는 1,6-.베타.-글루칸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은 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 대신 정제된 형태의 글루칸 또는 합성 생산된 글루칸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잎새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잎새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은 약 1% 내지 약 75%, 더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50%,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30%,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20%의 하나 이상의 글루칸, 바람직하게는 베타-글루칸, 더욱 바람직하게는 1,3-베타-글루칸 및/또는 1,6-베타-글루칸를 함유하도록 표준화된다. 잎새버섯 추출물 및 분말의 예에는, 각각 그 전문이 참조로 통합되는, 미국 특허 제5,854,404호; WO 2007142130, EP 0893449; W02009063885; W02006107208; W02007024496; 및 W02001054673에 기술된 것들이 포함되나, 이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잎새버섯 분말은, 예를 들어, 공기 건조, 동결건조, 드럼 건조, 분무 건조, 열 건조 및/또는 부분 진공 건조에 의해 잎새버섯을 얻을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약 250 ㎍ 내지 약 100 mg, 바람직하게는 약 500 ㎍ 내지 약 75 mg,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750 ㎍ 내지 약 50 mg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인간에게 적합한 조성물은 약 1 mg 내지 약 20 mg의 잎새버섯 추출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약 250 ㎍ 내지 약 100 mg, 바람직하게는 약 500 ㎍ 내지 약 75 mg,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750 ㎍ 내지 약 50 mg의 투여를 포함한다. 대상체가 인간인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약 1 mg 내지 약 20 mg의 잎새버섯 추출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양은 각 투여량 투여 또는 1일 총 투여량을 의미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표고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표고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은 약 1% 내지 약 75%,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6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50%,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약 40%의 하나 이상의 글루칸, 바람직하게는 알파-글루칸, 더욱 바람직하게는 1,4-알파-글루칸를 함유하도록 표준화된다. 표고버섯 추출물의 예는, 그의 전문이 각각 참조로 통합되는, 미국특허 제5,780,097호; 미국 특허 제6,582,723호; W02005107496, W02007024496 및 W02000033069호에 기재된 것들을 포함하나, 이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고버섯 분말은, 예를 들어, 공기 건조, 동결건조, 드럼 건조, 분무 건조, 열 건조 및/또는 표고버섯 부분 진공 건조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약 1 mg 내지 약 1 g, 바람직하게는 약 10 mg 내지 약 500 mg,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5 mg 내지 약 300 mg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인간에게 적합한 조성물은 약 50 mg 내지 약 250 mg의 표고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약 1 mg 내지 약 1 g, 바람직하게는 약 10 mg 내지 약 500 mg,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5 mg 내지 약 300 mg의 투여를 포함한다.
대상체가 인간인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약 50 mg 내지 약 250 mg의 표고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양은 각 투여량 투여 또는 1일 총 투여량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양은 각 투여량 투여 또는 1일 총 투여량을 의미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영지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영지버섯 추출물은 약 1% 내지 약 75%, 더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5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30%,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20%의 하나 이상의 글루칸, 바람직하게는 베타-글루칸, 더욱 바람직하게는 1,3-베타-글루칸 및/또는 1,6-베타-글루칸을 포함한다. 영지버섯 분말은 예를 들어 공기 건조, 동결건조, 드럼 건조, 분무 건조, 열 건조 및/또는 부분 진공 건조에 의해 영지버섯을 얻을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성물 및/또는 방법은 잎새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 표고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 또는 영지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과 같은 한 가지 유형의 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의 사용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성물 및/또는 방법은 하나 이상의 유형의 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의 혼합물의 사용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성물 및/또는 방법은 잎새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 표고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 영지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 중 하나 이상의 혼합물의 사용을 포함한다. 조성물 및 방법은 추출물 또는 분말, 또는 추출물과 분말의 혼합물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을 대신하거나 이에 더하여 임의의 글루칸이 풍부한 성분의 사용을 제공한다. 어떠한 제한도 의도하지 않고, 글루칸이 풍부한 성분의 예로는 베이커 효모가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효모 제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효모 제제는 약 0.1% 내지 약 50%,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25%,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10%의 하나 이상의 글루칸을 포함한다. 효모 제제의 예에는, 각각 그 전문이 참조로 통합되는, 미국 특허 제5,223,491호 및 미국 특허 제5,576,015호에 논의된 것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하나 이상의 추가 성분의 투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추가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성분에는 활성 제약 성분, 영양 보충제 및 영양 추출물이 포함될 수 있다. 추가 성분의 예로는 우르솔산, 퀘르세틴 또는 그의 유도체, 글루코사민과 같은 아미노당, 콘드로이틴과 같은 글리코사미노글리칸, 아보카도/대두 불검화물, 비타민 K2와 같은 비타민, 커피 과일, 마그네슘, 우르솔산, 프로안토시아니딘, 알파- 및 베타-글루칸, 커큐민, 피토스테롤, 피토스타놀 및 S-아데노실메티오닌(SAMe)이 포함되나, 이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추가 성분은 밀크시슬(Silybum marianum) 추출물(silymarin), 강황(Curcuma longa)에 존재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베타-글루칸 대 설포라판 또는 이의 유도체(베타-글루칸:설포라판 또는 이의 유도체)의 비율은 약 50:1 내지 약 1:50, 바람직하게는 약 25:1 내지 약 1:25,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1 내지 약 1:20, 더 바람직하게는 약 5:1 내지 약 1:10,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약 1:1 내지 약 1:8,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3 내지 약 1:5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알파-글루칸 대 설포라판 또는 이의 유도체(알파-글루칸:설포라판 또는 이의 유도체)의 비율은 약 1:50 내지 약 50:1, 바람직하게는 약 1:10 내지 약 25:1, 더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20:1, 더 바람직하게는 약 1:1 내지 약 15:1,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2:1 내지 약 10:1,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1 내지 약 8:1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베타-글루칸 대 설포라판 전구체(베타-글루칸:설포라판 전구체)의 비율은 약 50:1 내지 약 1:50, 바람직하게는 약 30:1 내지 약 1:35, 더 바람직하게는 약 20:1 내지 약 1:25,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1 내지 약 1:2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5:1 내지 약 1:15,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1 내지 약 1:10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알파-글루칸 대 전구체(알파-글루칸:전구체)의 비율은 약 1:50 내지 약 100:1, 바람직하게는 약 1:25 내지 약 75:1,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10 내지 약 50:1,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40:1,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1:1 내지 약 30:1,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1 내지 약 20:1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경구, 직장, 정맥내, 피하, 근육내, 경피, 경점막 및 국소에 적합한 제약 투여 형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단위 투여 형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경구 투여가능한 투여 형태 또는 직장 투여 가능한 투여 형태를 포함한다. 경구 투여가능한 투여 형태의 예에는 정제, 캡슐, 음료에 분산될 수 있는 분말, 용액, 현탁액 또는 에멀젼과 같은 액체, 연질 젤/츄어블 캡슐, 츄어블 바,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편리한 투여 형태를 포함하나, 이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정제, 캡슐 또는 소프트 츄어블 간식을 포함한다. 경구 투여가능한 투여 형태는 즉시 방출, 연장 방출 또는 지연 방출용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설포라판 전구체, 효소, 및 효소 강화제는 pH가 적어도 4,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인 위장관 영역, 예컨대, 소장, 바람직하게는 십이지장에서 방출을 허용하는 투여 형태로 제공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설포라판 또는 이의 유도체 및/또는 브로콜리 추출물 또는 분말은 pH가 적어도 4,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인 위장관 영역, 예컨대 소장, 바람직하게는 십이지장에서 방출을 허용하는 투여 형태로 제공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 및/또는 임의의 선택적인 추가 성분은 또한 pH가 적어도 4,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인 위장관 부위, 예컨대 소장, 바람직하게는 십이지장에서 방출된다. 소장에는 십이지장, 공장, 및 회장이 포함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들 성분 각각(즉, 설포라판 전구체, 효소, 효소 강화제, 설포라판 또는 이의 유도체, 브로콜리 추출물 또는 분말, 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 및/또는 추가 성분)은 동시에((simultaneously) 또는 부수적으로 (concomitantly)(즉, 서로 짧은 시간 기간 이내)에 방출된다. 이는 위와 같이 pH가 4 미만인 위장관 영역에서 글루코라파닌을 방출하도록 제제화된 글루코라파닌 함유 조성물에 비해 이점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낮은 pH 환경에서 산성 환경은 설포라판 전구체를 설포라판 니트릴 및 에피티오니트릴과 같은 생리학적으로 비활성인 다른 최종 생성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성물은 장용 코팅된 투여 형태 또는 위와 같이 pH가 4 미만인 위장관 영역에서 분해에 저항하는 임의의 투여 형태를 포함하는 경구 투여 가능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투여가능한 조성물은 장용 코팅을 포함하는 정제 또는 캡슐을 포함할 수 있다. 장용 코팅은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프탈레이트,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아크릴 에스테르 공중합체,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트리멜리테이트, 셸락,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트리멜리테이트, 카르복시메틸에틸셀룰로오스,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나, 이로만 제한되는 것인 아닌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장용 코팅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장용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성물 중 하나 이상의 성분은 장용성 중합체의 매트릭스에 매립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경구 투여가능한 조성물은 CAPSUGEL®에서 시판되는 DRCAPS® 내산성 캡슐, 또는 임의의 다른 내산성 캡슐과 같이 위산에 천천히 용해되어 소장으로 이동하는 캡슐을 포함한다.
한 형태에서, 경구 투여가능한 조성물은 주변 매질의 pH가 적어도 4,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가 아니면 용해되지 않는 코팅으로 둘러싸여 있다. 대안적으로, 시간에 따라 방출을 조절하는 코팅이 사용될 수 있으며, pH와 반대로, 위장관의 pH가 적어도 4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로 상승할 때까지 성분이 방출되지 않도록 속도가 조정된다. 따라서, 시간 방출 제제를 사용하여 설포라판 전구체, 설포라판 전구체를 설포라판으로 전환할 수 있는 효소, 효소 강화제 또는 설포라판이 위(gastric)에 존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코팅층(들)은 표준 코팅 기술을 사용하여 경구 투여 가능한 조성물 위에 도포될 수 있다. 장용성 코팅물질은 유기용매 또는 수성용매에 용해되거나 분산될 수 있다. 장용 코팅이 용해되는 pH는 중합체 또는 중합체의 조합, 선택된 및/또는 펜던트 그룹의 비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합체 필름의 용해 특성은 유리 카르복실기 대 에스테르기의 비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장용 코팅층은 또한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디부틸 프탈레이트, 트리아세틴,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소르베이트 또는 기타 가소제와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가소제를 함유한다. 분산제, 착색제, 부착방지제 및 소포제와 같은 첨가제도 포함될 수 있다.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비활성 제약 성분(일반적으로 "부형제"로도 알려짐)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활성 성분은 활성 성분을 안전하고 편리하며 달리 사용하는데 허용가능한 적용가능하고 효과적인 제제로 용해, 현탁, 농축, 희석, 유화, 안정화, 보존, 보호, 착색, 향미 및 성형하는 역할을 한다. 부형제는 바람직하게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이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부류의 예에는 윤활제, 완충제, 안정제, 발포제, 안료, 착색제, 향미제, 충전제, 증량제, 향료, 방출 조절제, 보조제, 가소제, 유동 촉진제, 이형제, 폴리올, 과립화제, 희석제, 결합제, 완충제, 흡수제, 활택제, 접착제, 접착방지제, 산미료, 연화제, 수지, 완화제, 용매, 계면활성제, 유화제, 엘라스토머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i) 설포라판 전구체, 바람직하게는 글루코라파닌, (ii) 설포라판 전구체를 설포라판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효소, 바람직하게는 글루코시다제 효소, 더욱 바람직하게는 티오글루코시다제 효소,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미로시나제, (iii) 효소 강화제, 바람직하게는 효소 보조 인자,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스코르브산, 및 (iv) 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글루칸 함유)은 시너지 효과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설포라판(또는 이의 유도체)과 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글루칸 함유)의 조합은 시너지 효과를 나타낸다. 시너지란 두 가지 이상의 성분을 조합하여 단독으로 사용할 때 각 제제의 효과를 합한 것보다 더 큰 결과를 나타내는 효과를 지칭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시너지 효과는 상가 효과보다 더 크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설포라판 전구체, 설포라판 전구체를 설포라판으로 전환할 수 있는 효소, 효소 강화제, 및 잎새버섯, 표고버섯 또는 영지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의 조합은 다음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더 큰 효과를 나타낸다: (i) 각 성분 단독, (ii) 설포라판 전구체와 효소 단독의 조합; 및/또는 (iii) 설포라판 전구체, 효소 및 효소 강화제 단독의 조합.
일부 실시형태에서, 설포라판 전구체, 효소, 효소 강화제 및 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글루칸 함유)의 조합은 설포라판 전구체 단독 및 버섯추출물이나 분말만을 사용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글루코라파닌, 미로시나제, 아스코르브산 및 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의 조합은 글루코라파닌, 미로시나제, 아스코르브산 단독의 조합에 비해; 그리고 글루칸 단독과 비해 시너지 효과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설포라판(또는 이의 유도체)과 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의 조합은 (i) 설포라판(또는 이의 유도체) 단독 및/또는 (ii) 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 단독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고/하거나 더 큰 상가 효과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설포라판과 글루칸의 조합은 설포라판 단독 및 글루칸 단독에 비해 시너지 효과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브로콜리 추출물 또는 분말과 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의 조합은 (i) 브로콜리 추출물 또는 분말 단독 및/또는 (ii) 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 단독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고/하거나 더 큰 상가 효과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브로콜리 추출물 또는 분말과 글루칸의 조합은 브로콜리 추출물 또는 분말 단독 및 글루칸 단독에 비해 시너지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설포라판 전구체, 설포라판 전구체를 설포라판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효소, 효소 강화제, 및 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의 조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설포라판 또는 이의 유도체와 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의 조합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브로콜리 추출물 또는 분말과 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의 조합물의 투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대상체의 암, 특히 유방암, 전립선암, 결장암, 폐암, 간암 및 방광암의 치료, 예방, 발생 감소, 관련 증상의 감소 및/또는 이차 재발의 감소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유방, 전립선, 결장, 폐, 간 및 방광과 같은 조직 및 기관의 손상을 줄이거나 손상을 늦추는 데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생식계(유방 및 전립선을 포함하나, 이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님), 결장, 간, 방광, 신장, 중추 신경계, 심혈관 시스템, 폐 시스템, 비뇨 생식기 시스템, 조혈 시스템, 및 관절과 관련된 질병 및 상태와 관련된 증상을 치료, 예방, 감소 및/또는 이차 재발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양성 낭종과 같은 낭종의 이차 재발을 치료, 예방, 감소 및/또는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대상체에서 NAD(P)H:퀴논 산화환원효소 1(NQO-1)의 수준을 증가시키거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또한 유전자 발현 또는 NQO-1 수준의 증가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질병 및 상태와 관련된 증상을 치료, 예방, 감소 및/또는 이차 재발을 감소시키는 데 유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질병 및 상태의 예로는 암, 골수이형성증후군, 심혈관 질환, 및 지발성 운동이상증(tardive dyskinesia)이 포함되나, 이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상승된 수준의 퀴논 에스트로겐과 연관된 질병 또는 상태의 치료, 예방, 발생 감소, 연관된 증상의 감소 및/또는 이차 재발의 감소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질병 및 상태의 예로는 암, 골수이형성증후군, 심혈관 질환, 및 지발성 운동이상증이 포함되나, 이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바이오마커에 대한 유익한 효과를 제공하고, 이들 바이오마커의 비정상적인 수준과 연관된 증상을 치료, 예방, 발생 감소, 감소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바이오마커의 예에는 NADPH 의존 효소, 티오레독신(TXN), 티오레독신 환원효소-1(Txnrd-1), 글루타메이트-시스테인 리가제 서브유닛(GCLC), 설포트랜스퍼라제 1A1(SULT1A1), 헴 옥시게나제-1(HMOX1), 글루타티온 과산화효소-3(GPx-3), 글루타티온 S-전이효소 세타 2(GSTT2), 마이크로좀 글루타티온 S-전이효소 1(MGST1), 알데히드 산화효소(AOX1), 알도-케토 환원효소 1 B8(Akrl b8), 플라빈 함유 모노옥시게나제 2(FM02), Fc 수용체 영역 수용체 III(Fcgr3), 트립타제 베타 1(TPSB1), 비만 세포 프로테아제-6(Mcpt6), 뉴렉신-1-알파(NRXN-1), 소안구증(microphthalmia) 관련 전사 인자(MITF), 유형 II 요오드티로닌 탈요오드효소(DI02), 안지오포이에틴-14(Angptl4), 분화 클러스터(CD36), 및 Ntel이 포함되나, 이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바이오마커의 상승 또는 비정상적인 수준과 관련된 질병 또는 상태에는 암, 폐 및 중추 신경계 결핵, 다발성 경화증, 크론병, 죽상동맥경화증, 골관절염, 천식, 뇌졸중, 폐기종, 당뇨병성 신장병, 태반의 만성 조직구간막염, 고혈압, 복부대동맥류, 염증성 장질환, 만성 비부비동염, 관상동맥질환, 및 신장질환이 포함되나, 이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 방법은 설포라판과 버섯 추출물 또는 글루칸 함유 분말의 조합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브로콜리 추출물 또는 분말과 버섯 추출물 또는 글루칸 함유 분말의 조합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글루코라파닌, 미로시나제, 아스코르브산, 및 버섯 추출물 또는 글루칸 함유 분말의 조합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합은 본 발명의 방법에서 시너지 효과를 입증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 방법은 설포라판, 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 그리고 하나 이상의 모링가 식물 성분의 조합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브로콜리 추출물 또는 분말, 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 및 하나 이상의 모링가 식물 성분의 조합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글루코라파닌, 미로시나제, 아스코르브산, 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 및 하나 이상의 모링가 식물 성분의 조합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합의 하나 이상의 성분(예를 들어, 설포라판 전구체, 설포라판 전구체를 설포라판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효소, 효소 강화제, 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 또는 설포라판 또는 이의 유도체와 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 또는 브로콜리 추출물 또는 분말 및 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 하나 이상의 모링가 식물 성분은 하나의 조성물 또는 투여 형태로 함께 투여되거나, 바람직하게는 치료 특성이 겹치는 기간 내에 별도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합물의 성분은 2개 이상의 경구 투여가능한 조성물 또는 투여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설포라판 전구체, 설포라판 전구체를 설포라판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효소, 및 효소 강화제는 하나의 경구 투여 가능한 투여 형태로 투여되는 반면, 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은 하나 이상의 별개 또는 추가의 경구 투여가능한 투여 형태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합의 성분은 하나의 투여 형태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합물은 1일 1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1일 1 내지 5회, 더욱 바람직하게는 1일 1 내지 3회,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일 1회의 빈도로 투여될 수 있다.
본 출원에 개시된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인간에게 적합한 투여량을 지칭한다. 투여량 계산은 체중, 표면적, 대사율 및 종의 차이를 평가함으로써 당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더욱이, 본원에 개시되거나 이로부터 유도된 임의의 형태의 조성물의 임의의 원하는 투여량은 임의의 인간 또는 인간이 아닌 동물에게 주어질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대상체(subject)"라는 용어는 포유동물 및 조류를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포유류에는 인간, 개, 고양이, 말, 소, 낙타, 코끼리, 사자, 호랑이, 곰, 물개 및 토끼가 포함되나, 이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인간, 고양이 및 개와 같이 일반적으로 음식으로 소비되지 않는 포유동물을 포함한다.
실시예
실시예 1
제제
다음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제이다.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조성물의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모링가 식물 성분과 함께 설포라판 또는 설포라판 전구체를 포함한다.
제제 A
글루코라파닌 함유 브로콜리 종자 추출물(약 12% w/w), 50 mg 내지 5 g 미로시나제 함유 동결건조 브로콜리 새싹 분말, 25 mg 내지 500 mg 아스코르브산, 1 mg 내지 50mg 알파 글루칸 함유 표고버섯 추출물(약 40% w/w), 1 mg 내지 약 1 g 모링가 식물 성분.
제제 B
글루코라파닌 함유 브로콜리 종자 추출물(약 12% w/w), 50 mg 내지 5 g, 미로시나제 함유 동결건조 브로콜리 새싹 분말, 25 mg 내지 500 mg 아스코르브산, 1 mg 내지 50 mg 베타 글루칸 함유 잎새버섯 추출물(약 20% w/w), 1 mg 내지 약 1 g 모링가 식물 성분.
제형 C
글루코라파닌 함유 브로콜리 종자 추출물(약 12% w/w), 50 mg 내지 5 g 미로시나제 함유 동결건조 브로콜리 새싹 분말, 25 mg 내지 500 mg 아스코르브산, 1 mg 내지 50 mg 알파글루칸 함유 표고버섯 추출물(약 40% w/w), 1 mg 내지 약 500 mg 모링가 식물 성분.
제형 D
글루코라파닌 함유 브로콜리 종자 추출물(약 12% w/w), 50 mg 내지 5 g 미로시나제 함유 동결건조 브로콜리 새싹 분말, 25 mg 내지 500 mg 아스코르브산, 1 mg 내지 50 mg 베타 글루칸 함유 잎새버섯 추출물(약 20% w/w), 1 mg 내지 약 500 mg 모링가 식물 성분.
제제 E
다음을 포함하는 경구 투여 가능한 조성물:
브로콜리 종자 추출물
브로콜리 새싹 추출물
잎새버섯 추출물
모링가 식물 성분
아스코르브산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미결정셀룰로오스
옥수수 전분
에틸셀룰로오스
크로스카르멜로스나트륨
전분글리콜산나트륨
크로스포비돈
이산화규소
알긴산나트륨
중쇄 트리글리세리드
말토덱스트린
올레산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실시예 2
다음 조건을 포함하는, 소수성 상호작용 크로마토그래피(HILIC) 방법을 개발하였다:
컬럼: 워터스 BEH 아미드, 1.7-μm 입자 크기; 2.1mm×100mm;
이동상: 20% 10 mM 아세트산암모늄, pH 5.0; 80% 아세토니트릴;
분리 모드: 등용매;
컬럼 온도: 70℃;
유속: 0.7mL/분.
위의 조건을 이용하면 설포라판 전구체인 글루코라파닌을 포함하여 5가지 일반적인 브라시카세 글루코시놀레이트를 분리할 수 있다.
실시예 3
아스코르브산 농도에 따른 글루코라파닌 소비
약 12%(w/w) 글루코라파닌을 함유하는 약 250 mg의 브로콜리 종자 추출물을 0 내지 600 μmoles/Liter 범위의 다양한 농도의 아스코르브산 존재 하에서 고정된 농도의 브로콜리 새싹 유래 미로시나제로 가수분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38℃로 온도조절하고; 분취량을 60분 동안 15분마다 회수하고, 글루코라파닌의 농도를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하였다. 글루코라파닌 소비율을 설포라판으로의 전환율로 해석하였다. 아스코르브산 농도 증가에 따른 글루코라파닌 함량 감소를 그래픽으로 표현하면 일련의 선형 플롯이 생성된다. 선형 회귀선의 기울기는 글루코라파닌 소비율(μmoles/분)을 반영한다. 600 μmoles/Liter 농도의 아스코르브산이 있을 때 반응 속도는 아스코르브산의 조절 효과가 없을 때 진행된 반응 속도에 비해 13배 증가한 것이 분명하다.
실시예 4
글루코라파닌의 설포라판으로의 등몰 전환
미로시나제 활성을 조절하는 데 있어서 아스코르브산의 역할을 더 명확히 밝히기 위해 두 부분으로 구성된 실험을 수행하였다. 모든 용액을 이전에 미로시나제 활성에 대한 최적으로 확인된 pH 7.5의 20 mM Tris 완충 식염수에서 제조하였다. 각 샘플 튜브에는 미로시나제 공급원으로 정확하게 계량된 동결건조 브로콜리 분말 100 mg이 들어 있었다. 실험은 38℃에서 2시간 동안 수행되었으며, 샘플 분취량을 30분 간격으로 제거하고 글루코라파닌과 설포라판 함량을 모두 HPLC로 평가하였다. 제거된 부분표본에서 추가 미로시나제 활성을 즉시 억제하기 위해 강산성 "정지(stop)" 용액을 사용하였다. 대조군 샘플에는 아스코르브산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으며 효소 전환은 보조 인자의 도움 없이 진행되었다.
파트 1. 아스코르브산의 농도가 1 mmol/리터로 고정된 상태에서 브로콜리 종자 추출물(약 12% 글루코라파닌, w/w)을 250 mg에서 500mg 범위로 첨가하였다.
파트 2. 브로콜리 종자 추출물의 양을 250 mg으로 고정하고, 아스코르브산의 농도를 0.4 mmol/Liter에서 3.8 mmol/Liter까지 변화시켰다.
아래 표 1은 μmole로 표현된 글루코라파닌과 설포라판을 나타낸다. 거의 모든 반응 혼합물에서 처음 30분 이내에 글루코라파닌에서 설포라판으로의 전환이 완료된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아스코르브산의 자극 효과 없이 대조 샘플에서 발생하는 효소 전환을 면밀히 조사하면 글루코라파닌이 설포라판으로 등몰 전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즉, 소비된 글루코라파닌의 양은 생산된 설포라판의 양과 동일하다.
실험의 파트 2에서는 미로시나제 활성에 대한 아스코르브산 농도 증가의 조절 효과를 평가하였다. 미로시나제에 의해 촉진된 글루코라파닌의 설포라판으로의 초기의, 명백히 선형적인 증가는 약 2 mmol/L의 아스코르브산 농도로 관찰된 후 이어서 상당한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마지막으로, 실험 파트 1에서 30분 후의 설포라판 수율을 조사한 결과, 1 mmol/Liter의 아스코르브산 존재 하에서 동결건조 브로콜리새싹 분말 100 mg에 함유된 고정된 양의 미로시나아제가 예측가능한 선형 방식으로 적어도 200 μmole의 설포라판을 생성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도 1, 2, 3, 4는 본 연구의 결과를 보여준다.
실시예 5
모의 장액 존재 하에서 글루코라파닌의 설포라판으로의 전환
모의 장액(SIF, Simulated Intestinal Fluid) 분말로 조성, pH 및 이온 강도 측면에서 인간 장내 함량과 거의 유사한 상업적으로 공급되는 농축액을 사용하였다. 실험에서는 USP Dissolution Apparatus 2(패들)를 사용했으며, 미로시나제 공급원인 150 mg의 동결건조된 브로콜리 새싹 분말과 함께, 6개의 용해 용기에 500 mL의 모조 장액을 분배하였다. 용기 1 내지 4에서 아스코르브산의 농도는 0.25에서 1.00 mmol/Liter까지 다양하였다. 용기 5에는 1 mmol/리터의 아스코르브산 외에 판크레아틴(8배 USP) 3.125 g을 현탁시켰다. 용기 6에는 1 mmol/리터의 아스코르브산과 3.125 g의 판크레아틴(8배 USP) 외에 두 배의 양의 동결건조 브로콜리 새싹 분말(300 mg)을 첨가하였다. 용기를 38℃로 올린 후, 글루코라파닌이 풍부한(12%, w/w) 브로콜리 종자 추출물 250 mg을 각각에 첨가하고 생성된 현탁액을 75 RPM으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5분마다 분취량을 채취하여 설포라판에 대해 분석하였다. 도 1은 특히 실험 초기 단계에서 더 많은 설포라판 수율과 더 높은 농도의 아스코르브산 사이의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실시예 6
설포라판과 20% b-글루칸을 함유한 잎새버섯 추출물의 조합이 NAD(P)H:퀴논 산화환원효소 1(NQO1)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 연구를 수행하였다. NQO1은 에스트로겐 퀴논을 대사할 수 있는 단백질을 암호화하여 돌연변이 및 궁극적으로 발암을 유발하는 DNA 부가물 형성을 방지한다. NQO1 발현의 증가는 유방, 결장, 간, 폐, 피부 및 전립선 건강에 유리한다. 또한, NQO1 단백질은 퀴논의 2전자 환원을 촉매하여 세포 건강을 촉진하는 2단계 효소이다. 이 화학 반응은 벤젠 해독을 포함한 세포 과정에 중요하다. 벤젠 해독 과정에서 1단계 효소는 벤젠을 DNA에 결합하여 암을 유발하는 돌연변이를 일으킬 수 있는 반응성 에폭사이드로 전환시킨다. NQO1은 벤젠 중간체를 독성이 덜하고 신체에서 제거되기 전에 추가로 대사될 수 있는 하이드로퀴논으로 전환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대식세포 세포주 RAW 264.7을 디메틸설폭사이드(DMSO)(비히클 컨트롤), 설포라판(SFN), 베타글루칸 함량이 약 20%인 잎새버섯 추출물(Maitake), 또는 설포라판과 잎새버섯 추출물의 조합으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특히, 세포를 다음 중 하나로 처리하였다: (i) DMSO(비히클 대조군), (ii) 0.5 μM SFN, (iii) 250 ㎍/㎖ 잎새버섯, (iv) 500 ㎍/㎖ 잎새버섯, (v) 750 ㎍/㎖ 잎새버섯, (vi) 0.5 μM SFN 및 250 ㎍/㎖ 잎새버섯, (vii) 0.5 μM SFN 및 500 ㎍/㎖ 잎새버섯, (viii) 0.5 μM SFN 및 750 ㎍/㎖ 잎새버섯. NQO-1의 유전자 발현을 정량적 RT-PCR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다음을 보여준다:
결과는 설포라판과 잎새버섯 추출물의 조합이 각 성분 단독에 비해 시너지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다. 이 효과는 단순히 상가적인 것 이상인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7
설포라판과 40% 알파 글루칸을 함유한 표고버섯 추출물의 조합이 NAD(P)H:퀴논 산화환원효소 1(NQO1)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식세포주 RAW 264.7을 DMSO(비히클 컨트롤), 설포라판(SFN), 알파글루칸 함량이 20% 이상인 표고버섯 추출물(표고), 또는 설포라판과 표고버섯 추출물의 조합으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특히, 세포를 다음 중 하나로 처리하였다: (i) DMSO(비히클 대조군), (ii) 0.5 μM SFN, (iii) 100 ㎍/㎖ 표고버섯, (iv) 250 ㎍/㎖ 표고버섯, (v) 500 ㎍/㎖ 표고버섯, (vi) 0.5 μM SFN 및 100 ㎍/㎖ 표고버섯, (vii) 0.5 μM SFN 및 250 ㎍/㎖ 표고버섯, (viii) 0.5μM SFN 및 500 ㎍/㎖ 표고버섯. NQO1의 유전자 발현을 정량적 RT-PCR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도 3에 도시되어 있으며, 다음을 보여준다:
결과는 설포라판과 표고버섯 추출물의 조합이 각 성분 단독에 비해 시너지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다. 이 효과는 단순히 상가적인 것 이상인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8
모링가 잎 추출물(MOR)과 설포라판(SFN)의 조합이 헴 옥시게나제-1(HMOX1) 유전자 발현 유도에 시너지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음 연구를 수행하였다.
모델 시스템에는 배양된 HepG2 간세포 암종 세포가 포함되었다. 헴 옥시게나제 1(HO-1)/HSP32는 산화제를 해독하고 염증을 최소화함으로써 세포 건강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O-1은 헴의 분해를 촉진하여 철(Fe2+), 일산화탄소(CO) 및 빌리버딘을 방출한다. 빌리버딘은 다시 빌리루빈으로 분해된다. 이러한 부산물은 항산화, 항염증, 항세포사멸, 항증식 및 면역조절 특성을 지닌 HO-1을 제공한다.
이 시험관 내 연구에서는 인간 간세포 암종 HepG2 세포를 설포라판(SFN), 모링가 식물 성분(MOR) 또는 SFN과 MOR의 조합으로, 6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특히, 세포를 다음 중 하나로 처리하였다: (i) 0 ㎍/㎖ MOR 및 0 μM SFN(대조군), (ii) 1.375 ㎍/㎖ MOR, (iii) 0.1 μM SFN, (iv) 0.25 μM SFN, (v) 0.5 μM SFN, (vi) 1.375 ㎍/㎖ MOR 및 0.1 μM SFN, (vii) 1.375 ㎍/㎖ MOR 및 0.25 μM SFN, (viii) 1.375 ㎍/㎖ MOR 및 0.5 μM SFN, (ix) ) 2.75 ㎍/㎖ MOR, (x) 2.75 ㎍/㎖ MOR 및 0.1 μM SFN, (xi) 2.75 ㎍/㎖ MOR 및 0.25 μM SFN, (xii) 2.75 ㎍/㎖ MOR 및 0.5 μM SFN, (xiii) 5.5 ㎍/㎖ MOR, (xiv) 5.5 ㎍/㎖ MOR 및 0.1 μM SFN, (xv) 5.5 ㎍/㎖ MOR 및 0.25 μM SFN, (xvi) 5.5 ㎍/㎖ MOR 및 0.5 μM SFN. 세포를 수집하고, RNA를 추출하고, HMOX1 유전자 발현을 RT-PCR을 통해 평가하였다.
MOR과 SFN의 모든 조합은 개별 구성 요소 단독보다 HMOX1의 발현을 더 많이 유도하였다. 이러한 조합으로 시너지 효과가 달성되었다.
실시예 9
피험자는 유방암을 앓고 있으며 손상된 유방 조직 및 유방 통증을 포함한 증상을 겪고 있었다. 그녀에게 글루코라파닌, 미로시나제, 아스코르브산, 잎새버섯 추출물이 함유된 정제를 투여하였다. 이 정제는 소장의 내용물을 방출하는 장용성 코팅 제제이다. 정제를 매일 투여한 지 1개월 후, 피험자는 증상 개선과 상관관계가 있는 NQO1을 포함한 대리 바이오마커의 조절을 경험하였다.
실시예 10
피험자는 유방암을 앓고 있으며 손상된 유방 조직 및 유방 통증을 포함한 증상을 겪고 있었다. 그녀에게 글루코라파닌, 미로시나제, 아스코르브산, 표고버섯 추출물이 함유된 정제를 투여하였다. 이 정제는 소장의 내용물을 방출하는 장용성 코팅 제제이다. 매일 정제를 1개월 투여한 후, 피험자는 증상 개선과 상관관계가 있는 NQO1을 포함한 대리 바이오마커의 조절을 경험하였다.
실시예 11
설포라판과 모링가 식물 성분의 조합이 Nrf2 조절 NAD(P)H:퀴논 탈수소효소 1(NQO1)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 연구를 수행하였다. Nrf2 경로는 관절 연골의 산화 스트레스와 싸우는 역할을 한다. 골관절염이 진행되는 동안 과도한 활성산소종(ROS)이 생성되어 세포외기질(ECM) 합성을 감소시키고 연골세포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2차 전달자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NQO1 유전자 발현의 유도는 ROS를 중화하는데 유익할 것이고 ECM의 분해 및 연골세포 사멸에 대한 방어를 제공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대식세포 세포주 RAW 264.7을 설포라판(SFN), 모링가 식물 성분(MOR) 또는 SFN과 MOR의 조합으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특히, 세포를 다음 중 하나로 처리하였다: (i) 0 ㎍/㎖ MOR 및 0 μM SFN(대조군), (ii) 1.375 ㎍/㎖ MOR, (iii) 0.1 μM SFN, (iv) 0.25 μM SFN, (v) 0.5μM SFN, (vi) 1.375 ㎍/㎖ MOR 및 0.1 μM SFN, (vii) 1.375 ㎍/㎖ MOR 및 0.25μM SFN, (viii) 1.375 ㎍/㎖ MOR 및 0.5 μM SFN, (ix) 2.75 ㎍/㎖ MOR, (x) 2.75 ㎍/㎖ MOR 및 0.1 μM SFN, (xi) 2.75 ㎍/㎖ MOR 및 0.25 μM SFN, (xii) 2.75 ㎍/㎖ MOR 및 0.5 μM SFN, (xiii) 5.5 ㎍/㎖ MOR, (xiv) 5.5 ㎍/㎖ MOR 및 0.1 μM SFN, (xv) 5.5 ㎍/㎖ MOR 및 0.25 μM SFN, (xvi) 5.5 ㎍/㎖ MOR 및 0.5 μM SFN. NQO1의 유전자 발현을 정량적 RT-PCR을 통해 분석하엿다. 그 결과는 도 5a 내지 5c에 도시되어 있으며, 다음을 보여준다:
결과는 각 성분 단독과 비교하여 설포라판과 모링가 식물 성분의 조합이 NQO1의 유전자 발현에 시너지 효과를 나타냄을 보여준다. 특히, 세포를 2.75 ㎍/㎖ MOR과 세 가지 농도의 SFN(즉, 0.1 μM SFN, 0.25 μM SFN 및 0.5 μM SFN)의 조합으로 처리했을 때 시너지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세포를 5.5 ㎍/㎖ MOR과 세 가지 농도의 SFN(즉, 0.1 μM SFN, 0.25 μM SFN 및 0.5 μM SFN)의 조합으로 처리한 경우 시너지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대한 전술한 설명은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되며, 총망라하거나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위의 교시에 비추어 수정이나 변형도 가능하다. 조성물에는 비타민(특히 비타민 E), 셀레늄, 프로바이오틱스, D-만노스 등과 같은 기타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에는 미로시나제 없이 글루코라파닌, 글루코라파닌 없이 미로시나제, 또는 임의의 조합 또는 이 둘 다가 포함될 수 있다. 위에 설명된 실시형태는 최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당업자가 개시된 발명을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그리고 고려되는 특정 용도에 적합한 다양한 수정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선택되었다. 이러한 모든 수정 및 변형은 본 개시 및 첨부된 도면 도 1-5에 기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으며, 이는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된다.

Claims (23)

1 밀리그램(mg) 내지 1750 mg의 양으로 모링가 식물(Moringa plant) 성분; 및
1 mg 내지 50 mg의 양으로 설포라판 또는 설포라판 유도체
를 포함하는, 조성물.
청구항 1에 있어서,
100 mg 내지 1000 mg의 양으로 모링가 식물 성분; 및 1 mg 내지 15 mg의 양으로 설포라판 또는 설포라판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링가 식물 성분이 모링가 잎 추출물 1000 mg당 모링인(moringin) 10 mg을 함유하는 모링가 잎 추출물인, 조성물.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포라판 유도체가 포함된, 조성물.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설포라판 유도체가 설포라판의 설폭시티오카바메이트 유사체 및 6-메틸 설피닐헥실 이소티오시아네이트(6-HIT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성물.
청구항 1에 있어서,
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청구항 1에 있어서,
브로콜리 추출물 또는 분말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150 내지 1500 mg의 양으로 모링가 식물 성분; 및
1 내지 100 mg의 양으로 설포라판 전구체,
를 포함하는 조성물.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모링가 식물 성분이 모링가 잎 추출물 1000 mg당 모링인 10 mg을 함유하는 모링가 잎 추출물인, 조성물.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설포라판 전구체가 글루코라파닌을 포함하는, 조성물.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모링가 식물 성분이 설포라판 전구체를 설포라판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효소를 포함하는, 조성물.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효소가 티오글루코시다제 효소를 포함하는, 조성물.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티오글루코시다제 효소가 미로시나제인, 조성물.
청구항 8에 있어서,
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청구항 8에 있어서,
브로콜리 추출물 또는 분말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모링가 식물 성분;
설포라판, 설포라판 유도체, 또는 설포라판 전구체; 및
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 및 브로콜리 추출물 또는 분말 중 적어도 하나,
를 포함하는 조성물.
청구항 16에 있어서,
브로콜리 추출물 또는 분말, 및 설포라판 전구체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브로콜리 추출물 또는 분말이 설포라판 전구체를 제공하는, 조성물.
청구항 16에 있어서,
브로콜리 추출물 또는 분말, 및 설포라판 전구체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브로콜리 추출물 또는 분말이 설포라판 전구체를 설포라판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효소를 제공하는, 조성물.
청구항 18에 있어서,
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이 잎새버섯, 표고버섯, 및 영지버섯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성물.
모링가 식물 성분;
설포라판, 설포라판 유도체, 또는 설포라판 전구체; 및
적어도 하나의 글루칸,
을 포함하는, 조성물.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글루칸이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조성물.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글루칸이 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에 의해 제공되는, 조성물.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글루칸이 효모에 의해 제공되는, 조성물.
KR1020237044360A 2021-05-26 2022-05-26 설포라판 또는 설포라판 전구체 및 모링가 식물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2400389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193254P 2021-05-26 2021-05-26
US202163193270P 2021-05-26 2021-05-26
US63/193,254 2021-05-26
US63/193,270 2021-05-26
PCT/US2022/031168 WO2022251524A1 (en) 2021-05-26 2022-05-26 Compositions comprising sulforaphane or a sulforaphane precursor and moringa plant compon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8929A true KR20240038929A (ko) 2024-03-26

Family

ID=82483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4360A KR20240038929A (ko) 2021-05-26 2022-05-26 설포라판 또는 설포라판 전구체 및 모링가 식물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87535A1 (ko)
EP (1) EP4346861A1 (ko)
KR (1) KR20240038929A (ko)
CA (1) CA3220362A1 (ko)
WO (1) WO2022251524A1 (ko)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3491A (en) 1989-11-09 1993-06-29 Donzis Byron A Method for revitalizing skin by applying topically water insoluble glucan
US5411986A (en) 1993-03-12 1995-05-02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Chemoprotective isothiocyanates
US5576015A (en) 1995-03-02 1996-11-19 Donzis; Byron A. Substantially purified beta (1,3) finely ground yeast cell wall glucan composition with dermatological and nutritional uses
US5725895B1 (en) 1995-09-15 2000-10-10 Hopkins J School Of Medicine Method of preparing food product from cruciferous seeds
JP2918834B2 (ja) 1995-12-25 1999-07-12 美穂 田中 シイタケエキス粉末の製造法
JP2859843B2 (ja) 1996-03-08 1999-02-24 株式会社雪国まいたけ マイタケから抽出した抗腫瘍物質
US6242018B1 (en) 1997-04-11 2001-06-05 Johns Hopkins School Of Medicine Cancer Chemoprotective food products
US6521818B1 (en) 1998-07-01 2003-02-18 John Hopkins School Of Medicine Development of novel highly chemoprotectant crucifer germplasm
JP4308350B2 (ja) 1998-11-27 2009-08-05 小林製薬株式会社 シイタケ菌糸体抽出物を含有するlak活性スクリーニング物質およびそれを用いたlak活性スクリーニング法
AU2992901A (en) 2000-01-31 2001-08-07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The Method for preparing and administering medicinal plant material
US6582723B2 (en) 2001-05-03 2003-06-24 Wayne F. Gorsek Cancer immune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dividuals
WO2005107496A1 (ja) 2004-05-06 2005-11-17 Maruasaen Corporation 生キノコエキス製造方法、エキス及びエキス配合物
EP1709969A1 (en) 2005-04-07 2006-10-11 Praktijkonderzoek Plant en Omgeving B.V. Health promoting dairy and food products containing mushroom glucan produced through fermentation of Grifola frondosa
US8124135B2 (en) 2005-05-24 2012-02-28 Vdf Futureceutical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tion of LDL oxidation
US7597910B2 (en) 2005-08-20 2009-10-06 Slgm Medical Research Institut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prostate disorders
US8323644B2 (en) 2006-01-17 2012-12-04 Sloan-Kettering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Therapy-enhancing glucan
WO2007142130A1 (ja) 2006-06-02 2007-12-13 Heimat Co., Ltd. マイタケ抽出物及びこれを含む皮脂産生を促進するための組成物
US7803605B2 (en) 2006-07-14 2010-09-28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Breeding method for yeast, yeast and a production method for glycoprotein or beta-glucan
JP4583501B2 (ja) 2007-11-13 2010-11-17 株式会社ハイマート マイタケ抽出物及びこれを含むヒアルロン酸(ヒアルロナン)産生を促進するための組成物
EP2213280A1 (en) 2009-01-30 2010-08-04 DSM IP Assets B.V. Formulations comprising glucosinolate and myrosinase
US20150174093A1 (en) 2012-07-05 2015-06-25 Nutramax Laboratories, Inc. Compositions comprising sulforaphane or a sulforaphane precursor and magnesium
KR101949105B1 (ko) * 2018-11-14 2019-02-15 김정민 닭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210369753A1 (en) * 2020-05-27 2021-12-02 Brilliant Lab LLC Nutrient composition able to inhibit quorum sensing
CN113197929A (zh) * 2021-05-11 2021-08-03 深圳市老年医学研究所 一种用于防治恶性肿瘤的中药组合物、制备方法及其制剂
CN114009777A (zh) * 2021-11-04 2022-02-08 浙江科技学院 一种萝卜硫苷、辣木提取物组合物含片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220362A1 (en) 2022-12-01
EP4346861A1 (en) 2024-04-10
WO2022251524A1 (en) 2022-12-01
US20220387535A1 (en)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17440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sulforaphane or a sulforaphane precursor and a mushroom extract or powder
US20220387535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sulforaphane or a sulforaphane precursor and moringa plant components
JP2024520409A (ja) スルホラファン、スルホラファン前駆体およびモリンガ植物成分を含有する組成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