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8699A - 회전 커넥터 장치 및 회전 커넥터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회전 커넥터 장치 및 회전 커넥터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8699A
KR20240038699A KR1020247001669A KR20247001669A KR20240038699A KR 20240038699 A KR20240038699 A KR 20240038699A KR 1020247001669 A KR1020247001669 A KR 1020247001669A KR 20247001669 A KR20247001669 A KR 20247001669A KR 20240038699 A KR20240038699 A KR 20240038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connector
electrical connector
disposed
connec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1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또시 기따오
도모히로 기따무라
겐지 요시무라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38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86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64Devices for uninterrupted current coll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01R35/025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having a flexible conductor wound around a rotation ax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01R13/501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comprising an integral hinge or a frangible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회전 커넥터 장치(2)는 스테이터(10), 로테이터(20), 전기 케이블(60), 전기 커넥터(30), 및 커넥터 연결부(70)를 포함한다. 스테이터(10)는, 제1 스테이터(11) 및 제2 스테이터(12)를 포함한다. 커넥터 연결부(70)는 전기 커넥터(30)를 제1 스테이터(11)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커넥터 연결부(70)는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 또한 제2 스테이터(12)가 제1 스테이터(11)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제2 면(30B)이 자유단부가 되도록, 제1 스테이터(11)에 대하여 전기 커넥터(30)를 외팔보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회전 커넥터 장치 및 회전 커넥터 장치의 제조 방법
본원에 개시되는 기술은, 회전 커넥터 장치 및 회전 커넥터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회전 커넥터 장치의 조립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국제 공개 제2020/075559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조립 방법에서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권취한 로테이터가 서브 스테이터에 조립되고, 커넥터가 서브 스테이터에 임시 고정된다. 그 상태에서, 스테이터 본체가 서브 스테이터에 조립되고, 커넥터가 스테이터 본체에 조립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조립 방법을 더욱 향상시켜, 소형화와 양립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되는 기술의 과제는, 조립성의 향상 및 소형화를 양립시킬 수 있는 회전 커넥터 장치 및 회전 커넥터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제1 특징에 의하면, 회전 커넥터 장치는 스테이터, 로테이터, 전기 케이블,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 연결부를 포함한다. 스테이터는, 제1 스테이터와, 제1 스테이터에 설치되는 제2 스테이터를 포함한다. 로테이터는 스테이터에 대하여 제1 회전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1 회전 축선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케이블 수용 공간을 스테이터와 함께 형성한다. 전기 케이블은 케이블 수용 공간 내에 마련된다. 전기 커넥터는 전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커넥터 연결부는 전기 커넥터를 제1 스테이터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전기 커넥터가 제1 스테이터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기 커넥터는, 제1 스테이터에 대하여 제1 위치에 배치 가능하다. 전기 커넥터는, 제1 면과, 제1 면의 이측에 마련되는 제2 면을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가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 면은, 제1 회전 축선과 제1 면 사이에 배치된다. 커넥터 연결부는 전기 커넥터가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 또한 제2 스테이터가 제1 스테이터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제2 면이 자유단부가 되도록, 제1 스테이터에 대하여 전기 커넥터를 외팔보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전기 커넥터가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 또한 제2 스테이터가 제1 스테이터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2 스테이터는, 제1 회전 축선을 따라서 정의되는 축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스테이터와 전기 커넥터 사이에 배치된다.
제1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커넥터 연결부는 전기 커넥터가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 또한 제2 스테이터가 제1 스테이터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제2 면이 자유단부가 되도록, 제1 스테이터에 대하여 전기 커넥터를 외팔보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1 스테이터에 제2 스테이터를 설치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 전기 커넥터의 위치를 제1 회전 축선에 접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립성의 향상 및 소형화를 양립시킬 수 있는 회전 커넥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특징에 의하면, 제1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로테이터는, 케이블 수용 공간의 직경 방향 내측에 마련되는 내주벽과, 내주벽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제1 스테이터는 케이블 수용 공간의 직경 방향 외측에 마련되는 외주벽을 포함한다. 제2 스테이터는 외주벽에 설치되고 축방향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가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 또한 제2 스테이터가 제1 스테이터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2 플레이트는 축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스테이터와 전기 커넥터 사이에 배치된다.
제2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축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스테이터와 전기 커넥터 사이에 제2 플레이트를 배치함으로써, 조립성이 향상되기 쉬워진다.
제3 특징에 의하면, 제1 또는 제2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커넥터 연결부는, 제2 회전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전기 커넥터를 제1 스테이터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제3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제1 스테이터에 대한 전기 커넥터의 위치 안정화를 도모하면서, 제1 스테이터에 대한 전기 커넥터의 위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제4 특징에 의하면, 제3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전기 커넥터가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회전 축선을 따라서 본 경우에, 제1 면과 제2 회전 축선 사이의 제1 거리는, 제2 면과 제2 회전 축선 사이의 제2 거리보다도 짧다.
제4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전기 커넥터를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하기 쉬워져, 회전 커넥터 장치를 소형화하기 쉬워진다.
제5 특징에 의하면, 제3 또는 제4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전기 커넥터가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회전 축선을 따라서 본 경우에, 제2 회전 축선은, 제1 회전 축선에 대하여 전기 커넥터의 직경 방향 외측에 마련된다.
제5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전기 커넥터를 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하기 쉬워져, 회전 커넥터 장치를 보다 소형화하기 쉬워진다.
제6 특징에 의하면, 제3 내지 제5 특징 중 어느 하나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전기 커넥터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 있어서 제2 회전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다. 제1 위치에 배치되는 전기 커넥터는, 제2 위치에 배치되는 전기 커넥터보다도 제1 회전 축선에 가깝다.
제6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제1 스테이터에 제2 스테이터를 설치할 때에 전기 커넥터를 제2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제1 스테이터에 제2 스테이터를 설치하기 쉬워진다.
제7 특징에 의하면, 제6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전기 커넥터가 제2 위치에 배치된 상태 또한 제2 스테이터가 제1 스테이터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1 회전 축선을 따라서 본 경우에, 전기 커넥터는, 제2 플레이트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제7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제1 스테이터에 제2 스테이터를 설치할 때에 전기 커넥터를 제2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제1 스테이터에 제2 스테이터를 보다 설치하기 쉬워진다.
제8 특징에 의하면, 제6 또는 제7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2 스테이터가 제1 스테이터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기 커넥터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를 제2 회전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다.
제8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제1 스테이터에 제2 스테이터를 설치한 후에 전기 커넥터를 제1 위치에 배치할 수 있고, 제1 스테이터에 제2 스테이터를 보다 설치하기 쉬워진다.
제9 특징에 의하면, 제3 내지 제8 특징 중 어느 하나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전기 커넥터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커넥터 케이스와, 내부 공간 내에 마련되고 전기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드 블록을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가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 또한 제2 스테이터가 제1 스테이터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2 스테이터는 축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스테이터와 커넥터 케이스 및 리드 블록 중 적어도 한쪽 사이에 배치된다.
제9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전기 커넥터를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하기 쉬워져, 회전 커넥터 장치를 소형화하기 쉬워진다.
제10 특징에 의하면, 제9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전기 커넥터가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회전 축선을 따라서 본 경우에, 제2 회전 축선은, 제1 회전 축선에 대하여 리드 블록의 직경 방향 외측에 마련된다.
제10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전기 커넥터를 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하기 쉬워져, 회전 커넥터 장치를 보다 소형화하기 쉬워진다.
제11 특징에 의하면, 제1 내지 제10 특징 중 어느 하나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1 스테이터 및 커넥터 연결부 중 한쪽은, 지지 구멍을 포함한다. 제1 스테이터 및 커넥터 연결부의 다른 쪽은, 지지 구멍 내에 마련되는 핀을 포함한다.
제11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간소한 구조에 의해 커넥터 연결부를 실현할 수 있다.
제12 특징에 의하면, 제11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지지 구멍은, 제1 지지 구멍과, 제2 지지 구멍을 포함한다. 핀은, 제1 지지 구멍 내에 마련되는 제1 핀과, 제2 지지 구멍 내에 마련되는 제2 핀을 포함한다.
제12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커넥터 연결부에 의한 제1 스테이터 및 전기 커넥터의 연결 강도가 향상된다.
제13 특징에 의하면, 제1 내지 제12 중 특징 어느 하나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커넥터 연결부는 전기 커넥터를 분리 가능하게 제1 스테이터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제13 특징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제1 스테이터에 제2 스테이터를 설치할 때에 전기 커넥터를 분리함으로써, 제1 스테이터에 제2 스테이터를 설치하기 쉬워진다.
제14 특징에 의하면, 회전 커넥터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제1 스테이터의 외주벽의 직경 방향 내측에 전기 케이블을 세트하는 공정과, 전기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를, 커넥터 연결부를 통해 제1 스테이터에 연결하는 공정과, 제2 스테이터를 제1 스테이터에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커넥터 연결부를 통해 전기 커넥터를 제1 스테이터에 연결하는 공정은, 전기 커넥터가 제1 스테이터에 대하여 제1 위치에 배치 가능하도록, 커넥터 연결부를 통해 전기 커넥터를 제1 스테이터에 연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는, 제1 면과, 제1 면의 이측에 마련되는 제2 면을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가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 면은, 제1 회전 축선과 제1 면 사이에 배치된다. 커넥터 연결부를 통해 전기 커넥터를 제1 스테이터에 연결하는 공정은, 전기 커넥터가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 또한 제2 스테이터가 제1 스테이터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제2 면이 자유단부가 되도록, 커넥터 연결부를 통해 제1 스테이터에 전기 커넥터를 외팔보로 연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제2 스테이터를 제1 스테이터에 설치하는 공정은, 제1 회전 축선을 따라서 정의되는 축방향에 있어서 제2 스테이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스테이터와 전기 커넥터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2 스테이터를 제1 스테이터에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제14 특징에 관한 제조 방법에서는, 커넥터 연결부를 통해 전기 커넥터를 제1 스테이터에 연결하는 공정은, 전기 커넥터가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 또한 제2 스테이터가 제1 스테이터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제2 면이 자유단부가 되도록, 커넥터 연결부를 통해 제1 스테이터에 전기 커넥터를 외팔보로 연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 스테이터에 제2 스테이터를 설치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 전기 커넥터의 위치를 제1 회전 축선에 접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립성의 향상 및 소형화를 양립시킬 수 있는 회전 커넥터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제15 특징에 의하면, 제14 특징에 관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 커넥터 연결부를 통해 전기 커넥터를 제1 스테이터에 연결하는 공정은, 전기 커넥터를 제2 회전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제1 스테이터에 연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제15 특징에 관한 제조 방법에서는, 제1 스테이터에 대한 전기 커넥터의 위치 안정화를 도모하면서, 제1 스테이터에 대한 전기 커넥터의 위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되는 기술이면, 조립성의 향상 및 소형화를 양립시킬 수 있는 회전 커넥터 장치 및 회전 커넥터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라인 II-II에 있어서의 회전 커넥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8의 라인 IV-IV에 있어서의 회전 커넥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의 제1 스테이터, 로테이터, 전기 케이블,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 연결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의 제1 스테이터,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 연결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의 제1 스테이터,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 연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라인 VIII-VIII에 있어서의 회전 커넥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의 제1 스테이터, 제2 스테이터, 로테이터, 전기 케이블,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 연결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라인 X-X에 있어서의 회전 커넥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의 제1 스테이터 및 제2 스테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의 제1 스테이터, 로테이터, 전기 케이블,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 연결부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의 제1 스테이터,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 연결부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3에 도시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의 제1 스테이터,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 연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3에 도시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의 제1 스테이터, 제2 스테이터, 로테이터, 전기 케이블,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 연결부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3에 도시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면 중에 있어서 동일 부호는, 대응하거나 또는 동일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제1 실시 형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커넥터 장치(2)는 스테이터(10) 및 로테이터(20)를 포함한다. 스테이터(10)는 차체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로테이터(20)는 스테이터(10)에 대하여 제1 회전 축선(A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로테이터(20)는 스티어링 휠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로테이터(20)는 스티어링 휠과 함께 제1 회전 축선(A1) 주위로 회전 가능하다.
회전 커넥터 장치(2)는 전기 커넥터(30)를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30)는 스테이터(10)에 연결된다. 전기 커넥터(30)는 제1 전기 커넥터(30)라고도 칭할 수 있다. 회전 커넥터 장치(2)는 제2 전기 커넥터(40)를 포함한다. 제2 전기 커넥터(40)는 로테이터(20)에 연결된다. 제1 전기 커넥터(30)는 차체측 커넥터가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제1 전기 커넥터(30)는 차체측 커넥터가 제1 방향(D31)을 따라서 삽입 및 분리되도록 배치된다. 차체측 커넥터는 제어 장치 등의 전기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2 전기 커넥터(40)는 스티어링측 커넥터가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제2 전기 커넥터(40)는 스티어링측 커넥터가 제2 방향(D32)을 따라서 삽입 및 분리되도록 배치된다. 스티어링측 커넥터는 스티어링 휠의 스위치류 및 에어백 장치 등의 전기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차체측 커넥터 및 스티어링측 커넥터는 외부 커넥터라고도 칭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방향(D31) 및 제2 방향(D32)은, 제1 회전 축선(A1)에 평행하게 정의된다. 그러나, 제1 방향(D31) 및 제2 방향(D32)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회전 축선(A1)에 비평행하게 정의되어도 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테이터(20)는, 제1 회전 축선(A1)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케이블 수용 공간(50)을 스테이터(10)와 함께 형성한다. 스테이터(10) 및 로테이터(20)는, 제1 회전 축선(A1)을 둘러싸도록 마련된 케이블 수용 공간(50)을 스테이터(10) 및 로테이터(20) 사이에 형성한다. 예를 들어, 케이블 수용 공간(50)은 환상이고, 제1 회전 축선(A1)에 대하여 둘레 방향(D2)으로 연장된다.
회전 커넥터 장치(2)는 케이블 수용 공간(50) 내에 마련되는 전기 케이블(60)을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30)(예를 들어, 도 1 참조)는 전기 케이블(6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2 전기 커넥터(40)(예를 들어, 도 1 참조)는 전기 케이블(6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전기 케이블(60)은, 제1 전기 커넥터(30)를 제2 전기 커넥터(40)(예를 들어, 도 1 참조)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전기 케이블(60)은 케이블 수용 공간(50) 내에 배치된다. 전기 케이블(60)은 가요성을 갖고, 평탄한 형상을 갖는다. 전기 케이블(60)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60)이라고도 칭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테이터(20)는 내주벽(22) 및 제1 플레이트(24)를 포함한다. 내주벽(22)은 케이블 수용 공간(50)(예를 들어, 도 2 참조)의 직경 방향 내측에 마련된다. 제1 플레이트(24)는 내주벽(22)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회전 커넥터 장치(2)는 슬리브(65)를 포함한다. 슬리브(65)는 로테이터(20)의 내주벽(22)에 연결된다.
스테이터(10)는, 제1 스테이터(11) 및 제2 스테이터(12)를 포함한다. 제2 스테이터(12)는, 제1 스테이터(11)와는 별도의 부재이다. 제2 스테이터(12)는, 제1 스테이터(11)에 설치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스테이터(12)는, 제1 스테이터(11)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 스테이터(12)는, 제1 스테이터(11)로부터 분리 가능, 또한 제1 스테이터(11)에 재설치 가능하다. 여기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란, 실질적인 대미지 없이 반복해서 분리 가능 또한 재설치 가능한 구성을 포함한다. 그러나, 제2 스테이터(12)가 분리 및 재설치를 할 수 없도록 제1 스테이터(11)에 설치되어도 된다.
제1 스테이터(11)는 외주벽(13)을 포함한다. 외주벽(13)은 케이블 수용 공간(50)(예를 들어, 도 2 참조)의 직경 방향 외측에 마련된다. 제2 스테이터(12)는, 제2 플레이트(14)를 포함한다. 제2 플레이트(14)는 외주벽(13)에 설치된다.
회전 커넥터 장치(2)는 커넥터 연결부(70)를 포함한다. 커넥터 연결부(70)는 전기 커넥터(30)를 제1 스테이터(11)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제1 스테이터(11)는 커넥터 서포트(18)를 포함한다. 커넥터 서포트(18)는 외주벽(13)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커넥터 연결부(70)는 전기 커넥터(30)를 커넥터 서포트(18)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전기 커넥터(30)는 커넥터 케이스(31) 및 리드 블록(32)을 포함한다. 리드 블록(32)은 전기 케이블(6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리드 블록(32)은 커넥터 케이스(31)에 설치된다. 커넥터 연결부(70)는 커넥터 케이스(31)를 제1 스테이터(11)에 연결한다. 커넥터 연결부(70)는 커넥터 케이스(31)를 커넥터 서포트(18)에 연결한다.
제2 스테이터(12)는, 제1 커넥터 커버(15)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 커버(15)는, 제1 회전 축선(A1)을 따라서 정의되는 축방향(D1)에 있어서 제2 플레이트(14)로부터 연장된다. 제1 커넥터 커버(15)는, 제1 벽(15A), 제2 벽(15B), 및 제3 벽(15C)을 포함한다. 제1 벽(15A), 제2 벽(15B), 및 제3 벽(15C)은, 제2 플레이트(14)로부터 축방향(D1)으로 연장된다. 제2 벽(15B) 및 제3 벽(15C)은, 제1 벽(15A)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2 벽(15B)은, 제3 벽(15C)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2 플레이트(14)는, 제2 플레이트 본체(14A) 및 삽입부(14B)를 포함한다. 제2 플레이트 본체(14A)는 둘레 방향(D2)으로 연장된다. 삽입부(14B)는, 제2 플레이트 본체(14A)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2 벽(15B) 및 제3 벽(15C)은 삽입부(14B)로부터 축방향(D1)으로 연장된다. 제1 벽(15A), 제2 벽(15B), 제3 벽(15C), 및 삽입부(14B)는 커넥터 수용 공간(15D)을 형성한다. 회전 커넥터 장치(2)의 제조가 완료된 상태에서, 전기 커넥터(30)는 커넥터 수용 공간(15D) 내에 배치된다.
회전 커넥터 장치(2)는, 제2 커넥터 커버(16)를 포함한다. 제2 커넥터 커버(16)는, 제2 스테이터(12)와는 별도의 부재이고, 제2 스테이터(12)에 설치된다. 제2 커넥터 커버(16)는, 제1 커넥터 커버(15)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커넥터 커버(15) 및 제2 커넥터 커버(16)는 전기 커넥터(30)를 보유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14)는 축방향(D1)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24)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삽입부(14B)는 축방향(D1)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24)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커넥터 케이스(31)는 내부 공간(31A)을 포함한다. 리드 블록(32)은 내부 공간(31A) 내에 마련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리드 블록(32)은, 제1 리드 블록(33) 및 제2 리드 블록(34)을 포함한다.
리드 블록(32)은 리드 블록 본체 및 복수의 버스 바를 포함한다. 복수의 버스 바는 전기 케이블(6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리드 블록(33)은, 제1 리드 블록 본체(33A) 및 복수의 제1 버스 바(33B)를 포함한다. 제2 리드 블록(34)은, 제2 리드 블록 본체(34A) 및 복수의 제2 버스 바(34B)를 포함한다. 전기 케이블(60)은, 제1 전기 케이블(61) 및 제2 전기 케이블(62)을 포함한다. 제1 전기 케이블(61)은, 복수의 제1 버스 바(33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2 전기 케이블(62)은, 복수의 제2 버스 바(34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1 버스 바(33B)는, 제1 핀 단자(33C)를 포함한다. 제1 핀 단자(33C)는, 제1 리드 블록 본체(33A)로부터 제1 방향(D31)으로 연장된다. 제1 핀 단자(33C)는 차체측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 가능하다.
제2 버스 바(34B)는, 제2 핀 단자(34C)를 포함한다. 제2 핀 단자(34C)는, 제2 리드 블록 본체(34A)로부터 제1 방향(D31)으로 연장된다. 제2 핀 단자(34C)는 스티어링측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 가능하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핀 단자(33C)는, 제1 리드 블록 본체(33A)로부터 축방향(D1)으로 연장된다. 제2 핀 단자(34C)는, 제2 리드 블록 본체(34A)로부터 축방향(D1)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제1 핀 단자(33C)는, 제1 리드 블록 본체(33A)로부터 축방향(D1)과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제2 핀 단자(34C)는, 제2 리드 블록 본체(34A)로부터 축방향(D1)과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전기 커넥터(40)는 커넥터 케이스(41) 및 리드 블록(42)을 포함한다. 리드 블록(42)은 전기 케이블(6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리드 블록(42)은 커넥터 케이스(41)에 설치된다. 리드 블록(42)은, 제3 리드 블록(43) 및 제4 리드 블록(44)을 포함한다. 제3 리드 블록(43)은, 제1 전기 케이블(61)을 통해 전기 커넥터(30)의 제1 리드 블록(3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4 리드 블록(44)은, 제2 전기 케이블(62)을 통해 전기 커넥터(30)의 제2 리드 블록(34)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1 스테이터(11)는 케이블 안내 홈(19)을 포함한다. 케이블 안내 홈(19)은 케이블 수용 공간(50)과 연통한다(예를 들어, 도 7 참조). 전기 케이블(60)은 케이블 안내 홈(19)을 통과하여 케이블 수용 공간(50)으로부터 전기 커넥터(30)까지 연장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30)가 제1 스테이터(11)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기 커넥터(30)는, 제1 스테이터(11)에 대하여 제1 위치(P1)에 배치 가능하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커넥터 연결부(70)는, 제1 회전 축선(A1)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기 커넥터(30)의 직경 방향 외측에 마련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커넥터 연결부(70)는, 제1 회전 축선(A1)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전기 커넥터(30)의 직경 방향 외측에 마련된다. 그러나,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커넥터 연결부(70)는, 제1 회전 축선(A1)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전기 커넥터(30)의 직경 방향 외측에 마련되어도 된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 또한 제2 스테이터(12)가 제1 스테이터(11)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2 스테이터(12)는, 제1 회전 축선(A1)을 따라서 정의되는 축방향(D1)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스테이터(11)와 전기 커넥터(30) 사이에 배치된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 또한 제2 스테이터(12)가 제1 스테이터(11)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2 플레이트(14)는 축방향(D1)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스테이터(11)와 전기 커넥터(30)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 또한 제2 스테이터(12)가 제1 스테이터(11)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2 스테이터(12)는 축방향(D1)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제1 스테이터(11)와 전기 커넥터(30) 사이에 배치된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 또한 제2 스테이터(12)가 제1 스테이터(11)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2 플레이트(14)는 축방향(D1)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제1 스테이터(11)와 전기 커넥터(30) 사이에 배치된다. 그러나,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 또한 제2 스테이터(12)가 제1 스테이터(11)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2 스테이터(12)는 축방향(D1)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제1 스테이터(11)와 전기 커넥터(30) 사이에 배치되어도 된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 또한 제2 스테이터(12)가 제1 스테이터(11)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2 플레이트(14)는 축방향(D1)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제1 스테이터(11)와 전기 커넥터(30) 사이에 배치되어도 된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 또한 제2 스테이터(12)가 제1 스테이터(11)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2 스테이터(12)는 축방향(D1)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스테이터(11)와 커넥터 케이스(31) 및 리드 블록(32) 중 적어도 한쪽 사이에 배치된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 또한 제2 스테이터(12)가 제1 스테이터(11)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2 플레이트(14)는 축방향(D1)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스테이터(11)와 커넥터 케이스(31) 및 리드 블록(32) 중 적어도 한쪽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 또한 제2 스테이터(12)가 제1 스테이터(11)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2 스테이터(12)는 축방향(D1)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제1 스테이터(11)와 커넥터 케이스(31) 사이 및 제1 스테이터(11)와 리드 블록(32) 사이에 배치된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 또한 제2 스테이터(12)가 제1 스테이터(11)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2 플레이트(14)는 축방향(D1)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제1 스테이터(11)와 커넥터 케이스(31) 사이 및 제1 스테이터(11)와 리드 블록(32) 사이에 배치된다. 그러나,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 또한 제2 스테이터(12)가 제1 스테이터(11)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2 스테이터(12)가 축방향(D1)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스테이터(11)와 커넥터 케이스(31) 및 리드 블록(32) 중 한쪽 사이에 배치되어도 된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 또한 제2 스테이터(12)가 제1 스테이터(11)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2 플레이트(14)가 축방향(D1)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스테이터(11)와 커넥터 케이스(31) 및 리드 블록(32) 중 한쪽 사이에 배치되어도 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30)는, 제1 면(30A) 및 제2 면(30B)을 포함한다. 제2 면(30B)은, 제1 면(30A)의 이측에 마련된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 면(30B)은, 제1 회전 축선(A1)과 제1 면(30A) 사이에 마련된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 면(30B)은, 제1 회전 축선(A1)의 쪽을 향한다. 제1 면(30A)은, 제2 면(30B)보다도 커넥터 연결부(70)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 또한 제2 스테이터(12)가 제1 스테이터(11)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커넥터 연결부(70)는 제2 면(30B)이 자유단부가 되도록 제1 스테이터(11)에 대하여 전기 커넥터(30)를 외팔보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 또한 제2 스테이터(12)가 제1 스테이터(11)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커넥터 연결부(70)는, 제1 스테이터(11)에 대하여 전기 커넥터(30)를 외팔보로 지지하도록 제2 면(30B)보다도 제1 면(30A)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전기 커넥터(30)는, 제1 회전 축선(A1)을 따라서 정의되는 축방향(D1)에 있어서 제1 스테이터(11)와 전기 커넥터(30) 사이에 공간(SP)이 형성되도록 제1 스테이터(11)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커넥터 케이스(31) 및 리드 블록(32) 중 적어도 하나는, 축방향(D1)에 있어서 제1 스테이터(11)와 전기 커넥터(30) 사이에 공간(SP)이 형성되도록 제1 스테이터(11)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커넥터 케이스(31) 및 리드 블록(32)은 축방향(D1)에 있어서 제1 스테이터(11)와 전기 커넥터(30) 사이에 공간(SP)이 형성되도록 제1 스테이터(11)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그러나,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커넥터 케이스(31) 및 리드 블록(32)의 한쪽만이, 축방향(D1)에 있어서 제1 스테이터(11)와 전기 커넥터(30) 사이에 공간(SP)이 형성되도록 제1 스테이터(11)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커넥터 연결부(70)는, 제2 회전 축선(A2)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전기 커넥터(30)를 제1 스테이터(11)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스테이터(11)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기 커넥터(30)는, 제1 스테이터(11)에 대하여 제1 위치(P1)와 다른 제2 위치(P2)에 배치 가능하다. 전기 커넥터(30)는, 제1 위치(P1)와 제2 위치(P2) 사이에 있어서 제2 회전 축선(A2) 주위로 회전 가능하다. 제1 위치(P1)에 배치되는 전기 커넥터(30)는, 제2 위치(P2)에 배치되는 전기 커넥터(30)보다도 제1 회전 축선(A1)에 가깝다. 그러나, 전기 커넥터(30)가 제2 위치(P2)에 배치되지 않도록 제1 스테이터(11)에 대한 전기 커넥터(30)의 제2 회전 축선(A2) 주위의 회전이 제한되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위치(P1) 및 제2 위치(P2) 사이의 각도는, 약 90도이다. 그러나, 제2 위치(P2)는, 도시되는 위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회전 축선(A1)을 따라서 본 경우에, 제1 면(30A)과 제2 회전 축선(A2) 사이의 제1 거리(DS1)는, 제2 면(30B)과 제2 회전 축선(A2) 사이의 제2 거리(DS2)보다도 짧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회전 축선(A1)을 따라서 본 경우에, 제2 회전 축선(A2)은, 제1 회전 축선(A1)에 대하여 전기 커넥터(30)의 직경 방향 외측에 마련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회전 축선(A1)을 따라서 본 경우에, 제2 회전 축선(A2)은, 제1 회전 축선(A1)에 대하여 리드 블록(32)의 직경 방향 외측에 마련된다. 제2 회전 축선(A2)은, 제1 회전 축선(A1)에 대하여 비틀림의 위치에 배치된다. 그러나, 제2 회전 축선(A2)의 배치는, 제1 실시 형태에 개시되는 배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회전 축선(A1)을 따라서 본 경우에, 전기 커넥터(30)는, 제1 스테이터(11)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회전 축선(A1)을 따라서 본 경우에, 전기 커넥터(30)는, 제1 스테이터(11)와 전체적으로 중첩된다. 그러나,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회전 축선(A1)을 따라서 본 경우에, 전기 커넥터(30)가 제1 스테이터(11)와 부분적으로 중첩되어도 되고, 제1 스테이터(11)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연결부(70)는 전기 커넥터(30)를 분리 가능하게 제1 스테이터(11)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제1 스테이터(11) 및 커넥터 연결부(70)의 한쪽은, 지지 구멍(71)을 포함한다. 제1 스테이터(11) 및 커넥터 연결부(70)의 다른 쪽은, 지지 구멍(71) 내에 마련되는 핀(72)을 포함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스테이터(11)는 지지 구멍(71)을 포함한다. 커넥터 연결부(70)는 핀(72)을 포함한다. 그러나, 제1 스테이터(11)가 핀(72)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커넥터 연결부(70)가 지지 구멍(71)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지지 구멍(71)은, 제1 지지 구멍(71A)과, 제2 지지 구멍(71B)을 포함한다. 핀(72)은, 제1 지지 구멍(71A) 내에 마련되는 제1 핀(72A)과, 제2 지지 구멍(71B) 내에 마련되는 제2 핀(72B)을 포함한다. 그러나, 지지 구멍(71)에 포함되는 지지 구멍의 총수는, 제1 실시 형태에 개시되는 총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핀(72)에 포함되는 핀의 총수는, 제1 실시 형태에 개시되는 총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커넥터 연결부(70)는, 제1 연결 암(73A) 및 제2 연결 암(73B)을 포함한다. 제1 연결 암(73A) 및 제2 연결 암(73B)은 전기 커넥터(30)로부터 축방향(D1)으로 돌출된다. 제1 연결 암(73A) 및 제2 연결 암(73B)은 커넥터 케이스(31)로부터 축방향(D1)으로 돌출된다. 제1 연결 암(73A) 및 제2 연결 암(73B)은, 제1 면(30A)으로부터 축방향(D1)으로 돌출된다.
제1 핀(72A)은, 제1 연결 암(73A)에 마련된다. 제2 핀(72B)은, 제2 연결 암(73B)에 마련된다. 제1 연결 암(73A)은, 제2 연결 암(73B)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1 핀(72A)은, 제1 연결 암(73A)으로부터 제2 핀(72B)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돌출된다. 제2 핀(72B)은, 제2 연결 암(73B)으로부터 제1 핀(72A)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돌출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 및 제2 위치(P2) 중 적어도 한쪽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 스테이터(12)는, 제1 스테이터(11)에 설치 가능하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 및 제2 위치(P2) 중 적어도 한쪽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 플레이트(14)는, 제1 스테이터(11)에 설치 가능하다. 제2 스테이터(12)가 제1 스테이터(11)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기 커넥터(30)는, 제1 위치(P1) 및 제2 위치(P2) 사이를 제2 회전 축선(A2) 주위로 회전 가능하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 및 제2 위치(P2)의 각각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 스테이터(12)는, 제1 스테이터(11)에 설치 가능하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 및 제2 위치(P2)의 각각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 플레이트(14)는, 제1 스테이터(11)에 설치 가능하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 스테이터(12)는 공간(SP)에 삽입 가능하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 플레이트(14)는 공간(SP)에 삽입 가능하다. 그러나, 전기 커넥터(30)가 제2 위치(P2)에 배치된 상태에서만, 제2 스테이터(12)가 제1 스테이터(11)에 설치 가능해도 된다. 전기 커넥터(30)가 제2 위치(P2)에 배치된 상태에서만, 제2 플레이트(14)가 제1 스테이터(11)에 설치 가능해도 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커넥터 커버(15)는 전기 커넥터(3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커넥터 커버(15) 및 제2 커넥터 커버(16)는 전기 커넥터(3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커넥터 커버(15)는 전기 커넥터(30)를 부분적으로 덮는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커넥터 커버(15) 및 제2 커넥터 커버(16)는 전기 커넥터(30)를 부분적으로 덮는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30)가 제2 위치(P2)에 배치된 상태 또한 제2 스테이터(12)가 제1 스테이터(11)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1 회전 축선(A1)을 따라서 본 경우에, 전기 커넥터(30)는, 제1 회전 축선(A1)을 따라서 본 경우에 제2 플레이트(14)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그러나, 전기 커넥터(30)가 제2 위치(P2)에 배치된 상태 또한 제2 스테이터(12)가 제1 스테이터(11)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기 커넥터(30)가 제1 회전 축선(A1)을 따라서 본 경우에 제2 플레이트(14)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도 12를 사용하여, 회전 커넥터 장치(2)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전기 커넥터(30) 및 제2 전기 커넥터(40)가 전기 케이블(60)에 접속된다(스텝 S1). 구체적으로는, 제1 전기 커넥터(30)의 리드 블록(32)(예를 들어, 도 4 참조) 및 제2 전기 커넥터(40)의 리드 블록(42)(예를 들어, 도 4 참조)이 전기 케이블(6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리드 블록(32)이 커넥터 케이스(31)에 설치된다. 리드 블록(42)이 커넥터 케이스(41)에 설치된다.
제2 전기 커넥터(40)가 로테이터(20)에 설치된다(스텝 S2). 전기 케이블(60)이 로테이터(20)에 권취된다(스텝 S3). 로테이터(20)가 제1 스테이터(11)에 설치된다(스텝 S4).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테이터(20)의 내주벽(22)이 제1 스테이터(11)의 외주벽(13)의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스텝 S3 및 S4는, 순서가 반대여도 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전기 커넥터(30)가 커넥터 연결부(70)를 통해 제1 스테이터(11)에 연결된다(스텝 S5). 즉, 회전 커넥터 장치(2)의 제조 방법은, 전기 케이블(6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전기 커넥터(30)를, 커넥터 연결부(70)를 통해 제1 스테이터(11)에 연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 또한 제2 스테이터(12)가 제1 스테이터(11)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커넥터 연결부(70)는, 제2 면(30B)이 자유단부가 되도록 제1 스테이터(11)에 대하여 제1 전기 커넥터(30)를 외팔보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커넥터 연결부(70)를 통해 제1 전기 커넥터(30)를 제1 스테이터(11)에 연결하는 공정은, 제1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 또한 제2 스테이터(12)가 제1 스테이터(11)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제2 면(30B)이 자유단부가 되도록, 커넥터 연결부(70)를 통해 제1 스테이터(11)에 제1 전기 커넥터(30)를 외팔보로 연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때,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전기 커넥터(30)는, 제1 위치(P1)에 배치 가능하다. 즉, 커넥터 연결부(70)를 통해 제1 전기 커넥터(30)를 제1 스테이터(11)에 연결하는 공정은, 제1 전기 커넥터(30)가 제1 스테이터(11)에 대하여 제1 위치(P1)에 배치 가능하도록, 커넥터 연결부(70)를 통해 제1 전기 커넥터(30)를 제1 스테이터(11)에 연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연결부(70)를 통해 제1 전기 커넥터(30)를 제1 스테이터(11)에 연결할 때, 핀(72)이 지지 구멍(71)에 감입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핀(72A)이 제1 지지 구멍(71A)에 감입되고, 제2 핀(72B)이 제2 지지 구멍(71B)에 감입된다. 즉, 커넥터 연결부(70)를 통해 제1 전기 커넥터(30)를 제1 스테이터(11)에 연결하는 공정은, 제1 전기 커넥터(30)를 제2 회전 축선(A2)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제1 스테이터(11)에 연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 케이블(60)이 제1 스테이터(11)에 설치된다(스텝 S6).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스테이터(11)의 외주벽(13)의 직경 방향 내측에 전기 케이블(60)이 세트된다. 즉, 회전 커넥터 장치(2)의 제조 방법은, 제1 스테이터(11)의 외주벽(13)의 직경 방향 내측에 전기 케이블(60)을 세트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커넥터 장치(2)의 제조 방법은, 제2 스테이터(12)를 제1 스테이터(11)에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전기 커넥터(30)가 제1 스테이터(11)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전기 커넥터(30)가 제2 위치(P2)에 배치된다(스텝 S7).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전기 커넥터(30)가 제2 위치(P2)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 스테이터(12)가 제1 스테이터(11)에 설치된다(스텝 S8).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다(스텝 S9).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스테이터(12)가 제1 스테이터(11)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1 전기 커넥터(30)가 제2 위치(P2)로부터 제1 위치(P1)로 제2 회전 축선(A2) 주위로 회전된다. 이때, 제1 전기 커넥터(30)는, 제1 커넥터 커버(15)의 커넥터 수용 공간(15D)에 삽입된다. 제1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 스테이터(12)는 축방향(D1)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스테이터(11)와 제1 전기 커넥터(30) 사이에 배치된다. 즉, 제2 스테이터(12)를 제1 스테이터(11)에 설치하는 공정은, 제1 회전 축선(A1)을 따라서 정의되는 축방향(D1)에 있어서 제2 스테이터(12)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스테이터(11)와 제1 전기 커넥터(30)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2 스테이터(12)를 제1 스테이터(11)에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커넥터 커버(16)가 제1 스테이터(11)에 설치된다(스텝 S10).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 커넥터 커버(16)가 제1 커넥터 커버(15)에 설치된다. 따라서, 제1 전기 커넥터(30)의 위치가 제1 위치(P1)에서 안정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제조 방법에서는, 제1 전기 커넥터(30)를 제2 위치(P2)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 스테이터(12)가 제1 스테이터(11)에 설치된다. 그러나, 제1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 스테이터(12)가 제1 스테이터(11)에 설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스텝 S7에 있어서, 제1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되고, 스텝 S9는 생략된다.
〔제2 실시 형태〕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서,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202)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전기 커넥터(30)를 제외하고, 회전 커넥터 장치(20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회전 커넥터 장치(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의 구성 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구성 요소에는, 여기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간략화를 위해, 이들에 대해서 다시 상세하게 기재 및/또는 도시하지 않는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커넥터 장치(202)는 스테이터(10), 로테이터(20), 전기 케이블(60), 전기 커넥터(30), 및 커넥터 연결부(270)를 포함한다. 스테이터(10)는, 제1 실시 형태의 스테이터(10)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로테이터(20)는, 제1 실시 형태의 로테이터(20)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전기 커넥터(30)는, 제1 실시 형태의 전기 커넥터(30)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커넥터 연결부(270)는, 제1 실시 형태의 커넥터 연결부(70)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스테이터(10)는, 제1 스테이터(211) 및 제2 스테이터(12)를 포함한다. 제1 스테이터(211)는 외주벽(13) 및 커넥터 서포트(218)를 포함한다. 커넥터 서포트(218)는 외주벽(13)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커넥터 연결부(270)는 전기 커넥터(30)를 제1 스테이터(211)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커넥터 연결부(270)는 전기 커넥터(30)를 커넥터 서포트(218)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커넥터 연결부(270)는 커넥터 케이스(31)를 제1 스테이터(211)에 연결한다. 커넥터 연결부(270)는 커넥터 케이스(31)를 커넥터 서포트(218)에 연결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커넥터 연결부(270)는, 제1 회전 축선(A1)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기 커넥터(30)의 직경 방향 외측에 마련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커넥터 연결부(270)는, 제1 회전 축선(A1)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전기 커넥터(30)의 직경 방향 외측에 마련된다. 그러나,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커넥터 연결부(270)는, 제1 회전 축선(A1)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전기 커넥터(30)의 직경 방향 외측에 마련되어도 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연결부(270)는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 또한 제2 스테이터(12)가 제1 스테이터(211)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제2 면(30B)이 자유단부가 되도록, 제1 스테이터(211)에 대하여 전기 커넥터(30)를 외팔보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 또한 제2 스테이터(12)가 제1 스테이터(211)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커넥터 연결부(270)는, 제1 스테이터(211)에 대하여 전기 커넥터(30)를 외팔보로 지지하도록 제2 면(30B)보다도 제1 면(30A)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커넥터 연결부(270)는 전기 커넥터(30)를 제1 위치(P1)에 보유 지지하도록 전기 커넥터(30)를 제1 스테이터(211)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커넥터 연결부(270)는 전기 커넥터(30)가 제2 위치(P2)에 배치되지 않도록 제1 스테이터(211)에 대한 전기 커넥터(30)의 제2 회전 축선(A2) 주위의 회전을 제한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연결부(270)는 전기 커넥터(30)를 분리 가능하게 제1 스테이터(211)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커넥터 연결부(270)는 커넥터 케이스(31)를 제1 스테이터(211)에 고정한다. 커넥터 연결부(270)는, 제1 커넥터 연결부(271) 및 제2 커넥터 연결부(272)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 연결부(271)는, 제2 커넥터 연결부(272)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1 커넥터 연결부(271)는, 제1 연결부(271A) 및 제1 핀(271B)을 포함한다. 제1 연결부(271A)는 커넥터 케이스(31)로부터 축방향(D1)으로 돌출된다. 제1 핀(271B)은, 제1 연결부(271A)로부터 축방향(D1)과는 다른 방향으로 돌출된다. 제2 커넥터 연결부(272)는, 제2 연결부(272A) 및 제2 핀(272B)을 포함한다. 제2 연결부(272A)는 커넥터 케이스(31)로부터 축방향(D1)으로 돌출된다. 제2 핀(272B)은, 제2 연결부(272A)로부터 축방향(D1)과는 다른 방향으로 돌출된다.
커넥터 서포트(218)는 연결 홈(219)을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스테이터(211)에 연결된 상태에서, 커넥터 연결부(27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 홈(219) 내에 배치된다. 연결 홈(219)은, 제1 홈(219A), 제2 홈(219B), 및 제3 홈(219C)을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스테이터(211)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1 핀(271B)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홈(219A) 내에 배치된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스테이터(211)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2 핀(272B)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홈(219B) 내에 배치된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스테이터(211)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연결부(271A)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3 홈(219C) 내에 배치된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스테이터(211)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2 연결부(272A)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3 홈(219C) 내에 배치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홈(219C)은, 제1 내면(219D), 제2 내면(219E), 및 저면(219F)을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커넥터 연결부(270)는 저면(219F)과 접촉한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커넥터 연결부(27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내면(219D) 및 제2 내면(219E) 사이에 배치된다. 커넥터 연결부(270)는, 제1 내면(219D) 및 제2 내면(219E)과 접촉 가능하다. 따라서, 제3 홈(219C)은 커넥터 연결부(270)의 회전을 제한한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30)가 제1 스테이터(211)로부터 분리된 상태(커넥터 연결부(270)가 전기 커넥터(30)를 제1 스테이터(211)에 연결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제2 스테이터(12)는, 제1 스테이터(211)에 설치 가능하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스테이터(211)로부터 분리된 상태(커넥터 연결부(270)가 전기 커넥터(30)를 제1 스테이터(211)에 연결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제2 플레이트(14)는, 제1 스테이터(211)에 설치 가능하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 스테이터(12)는, 제1 스테이터(211)에 설치 가능하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 플레이트(14)는, 제1 스테이터(211)에 설치 가능하다. 그러나,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 스테이터(12)가 제1 스테이터(211)에 설치 가능하지 않아도 된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 플레이트(14)가 제1 스테이터(211)에 설치 가능하지 않아도 된다.
도 18을 사용하여, 회전 커넥터 장치(202)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커넥터 장치(202)의 제조 방법은, 도 12에 도시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2)의 제조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도 12에 도시하는 스텝 S5, S7 및 S9가 스텝 S25, S27 및 S29로 치환된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전기 커넥터(30)는 제1 스테이터(211)에 임시 설치된다(스텝 S25). 구체적으로는, 제1 전기 커넥터(30)가 커넥터 연결부(270)를 통해 제1 스테이터(211)에 연결된다. 즉, 회전 커넥터 장치(202)의 제조 방법은 전기 케이블(6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전기 커넥터(30)를 커넥터 연결부(270)를 통해 제1 스테이터(211)에 연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연결부(270)는 제1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 또한 제2 스테이터(12)가 제1 스테이터(211)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제2 면(30B)이 자유단부가 되도록, 제1 스테이터(211)에 대하여 제1 전기 커넥터(30)를 외팔보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커넥터 연결부(270)를 통해 제1 전기 커넥터(30)를 제1 스테이터(211)에 연결하는 공정은, 제1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 또한 제2 스테이터(12)가 제1 스테이터(211)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제2 면(30B)이 자유단부가 되도록, 커넥터 연결부(270)를 통해 제1 스테이터(211)에 제1 전기 커넥터(30)를 외팔보로 연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때,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전기 커넥터(30)는 제1 위치(P1)에 배치 가능하다. 즉, 커넥터 연결부(270)를 통해 제1 전기 커넥터(30)를 제1 스테이터(211)에 연결하는 공정은, 제1 전기 커넥터(30)가 제1 스테이터(211)에 대하여 제1 위치(P1)에 배치 가능하도록, 커넥터 연결부(270)를 통해 제1 전기 커넥터(30)를 제1 스테이터(211)에 연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 케이블(60)이 제1 스테이터(211)에 설치된다(스텝 S5). 구체적으로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스테이터(211)의 외주벽(13)의 직경 방향 내측에 전기 케이블(60)이 세트된다. 즉, 회전 커넥터 장치(202)의 제조 방법은, 제1 스테이터(211)의 외주벽(13)의 직경 방향 내측에 전기 케이블(60)을 세트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전기 케이블(60)이 제1 스테이터(211)에 설치된 후, 제1 전기 커넥터(30)가 제1 스테이터(211)로부터 분리된다(스텝 S27).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커넥터 장치(202)의 제조 방법은, 제2 스테이터(12)를 제1 스테이터(211)에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전기 커넥터(30)가 제1 스테이터(211)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제2 스테이터(12)가 제1 스테이터(211)에 설치된다(스텝 S8).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 스테이터(12)는 축방향(D1)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스테이터(211)와 제1 전기 커넥터(30) 사이에 배치된다. 즉, 제2 스테이터(12)를 제1 스테이터(211)에 설치하는 공정은, 제1 회전 축선(A1)을 따라서 정의되는 축방향(D1)에 있어서 제2 스테이터(12)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스테이터(211)와 제1 전기 커넥터(30)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2 스테이터(12)를 제1 스테이터(211)에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제2 스테이터(12)를 제1 스테이터(211)에 설치된 후, 제1 전기 커넥터(30)가 다시, 제1 스테이터(211)에 연결된다(스텝 S29).
또한, 도 18에 도시하는 제조 방법에서는, 제1 전기 커넥터(30)가 제1 스테이터(211)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제2 스테이터(12)가 제1 스테이터(211)에 설치된다. 그러나, 제1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 스테이터(12)가 제1 스테이터(211)에 설치되어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 커넥터 장치(2 또는 202)는 스테이터(10), 로테이터(20), 전기 케이블(60), 전기 커넥터(30), 및 커넥터 연결부(70 또는 270)를 포함한다. 스테이터(10)는, 제1 스테이터(11 또는 211)와, 제1 스테이터(11 또는 211)에 설치되는 제2 스테이터(12)를 포함한다. 로테이터(20)는 스테이터(10)에 대하여 제1 회전 축선(A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1 회전 축선(A1)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케이블 수용 공간(50)을 스테이터(10)와 함께 형성한다. 전기 케이블(60)은 케이블 수용 공간(50) 내에 마련된다. 전기 커넥터(30)는 전기 케이블(6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커넥터 연결부(70 또는 270)는 전기 커넥터(30)를 제1 스테이터(11 또는 211)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스테이터(11 또는 211)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기 커넥터(30)는 제1 스테이터(11 또는 211)에 대하여 제1 위치(P1)에 배치 가능하다. 전기 커넥터(30)는 제1 면(30A)과, 제1 면(30A)의 이측에 마련되는 제2 면(30B)을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 면(30B)은, 제1 회전 축선(A1)과 제1 면(30A) 사이에 배치된다. 커넥터 연결부(70 또는 270)는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 또한 제2 스테이터(12)가 제1 스테이터(11 또는 211)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제2 면(30B)이 자유단부가 되도록, 제1 스테이터(11 또는 211)에 대하여 전기 커넥터(30)를 외팔보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 또한 제2 스테이터(12)가 제1 스테이터(11 또는 211)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2 스테이터(12)는 제1 회전 축선(A1)을 따라서 정의되는 축방향(D1)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스테이터(11 또는 211)와 전기 커넥터(30) 사이에 배치된다.
회전 커넥터 장치(2 또는 202)에서는, 커넥터 연결부(70 또는 270)는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 또한 제2 스테이터(12)가 제1 스테이터(11 또는 211)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제2 면(30B)이 자유단부가 되도록, 제1 스테이터(11 또는 211)에 대하여 전기 커넥터(30)를 외팔보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1 스테이터(11 또는 211)에 제2 스테이터(12)를 설치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 전기 커넥터(30)의 위치를 제1 회전 축선(A1)에 접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립성의 향상 및 소형화를 양립시킬 수 있는 회전 커넥터 장치(2 또는 202)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커넥터 장치(2 또는 202)의 제조 방법은, 제1 스테이터(11 또는 211)의 외주벽의 직경 방향 내측에 전기 케이블(60)을 세트하는 공정과, 전기 케이블(6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30)를 커넥터 연결부(70 또는 270)를 통해 제1 스테이터(11 또는 211)에 연결하는 공정과, 제2 스테이터를 제1 스테이터(11 또는 211)에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커넥터 연결부(70 또는 270)를 통해 전기 커넥터(30)를 제1 스테이터(11 또는 211)에 연결하는 공정은, 전기 커넥터(30)가 제1 스테이터(11 또는 211)에 대하여 제1 위치(P1)에 배치 가능하도록, 커넥터 연결부(70 또는 270)를 통해 전기 커넥터(30)를 제1 스테이터(11 또는 211)에 연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30)는, 제1 면(30A)과, 제1 면(30A)의 이측에 마련되는 제2 면(30B)을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 면(30B)은, 제1 회전 축선과 제1 면(30A) 사이에 배치된다. 커넥터 연결부(70 또는 270)를 통해 전기 커넥터(30)를 제1 스테이터(11 또는 211)에 연결하는 공정은,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 또한 제2 스테이터가 제1 스테이터(11 또는 211)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제2 면(30B)이 자유단부가 되도록, 커넥터 연결부(70 또는 270)를 통해 제1 스테이터(11 또는 211)에 전기 커넥터(30)를 외팔보로 연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제2 스테이터를 제1 스테이터(11 또는 211)에 설치하는 공정은, 제1 회전 축선을 따라서 정의되는 축방향에 있어서 제2 스테이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스테이터(11 또는 211)와 전기 커넥터(30)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2 스테이터를 제1 스테이터(11 또는 211)에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회전 커넥터 장치(2 또는 202)의 제조 방법에서는, 커넥터 연결부(70 또는 270)를 통해 전기 커넥터(30)를 제1 스테이터(11 또는 211)에 연결하는 공정은, 전기 커넥터(30)가 제1 위치(P1)에 배치된 상태 또한 제2 스테이터가 제1 스테이터(11 또는 211)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제2 면(30B)이 자유단부가 되도록, 커넥터 연결부(70 또는 270)를 통해 제1 스테이터(11 또는 211)에 전기 커넥터(30)를 외팔보로 연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 스테이터(11 또는 211)에 제2 스테이터를 설치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 전기 커넥터(30)의 위치를 제1 회전 축선에 접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립성의 향상 및 소형화를 양립시킬 수 있는 회전 커넥터 장치(2 또는 202)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는, 「구비한다」 및 그 파생어는, 구성 요소의 존재를 설명하는 비제한 용어이고, 기재되어 있지 않은 다른 구성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것은, 「갖는다」, 「포함한다」 및 그들의 파생어에도 적용된다.
본원에 있어서, 「제1」이나 「제2」 등의 서수는, 단순히 구성을 식별하기 위한 용어이며, 다른 의미(예를 들어 특정한 순서 등)는 갖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요소」가 있다고 해서 「제2 요소」가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암암리에 의미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또한 「제2 요소」가 있다고 해서 「제1 요소」가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암암리에 의미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의 「평행」, 「직교」, 및 「일치」의 표현은, 엄밀하게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실질적으로 평행」, 「실질적으로 직교」, 및 「실질적으로 일치」의 의미를 각각 포함한다. 또한, 그 밖의 배치에 관한 표현도, 엄밀하게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의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라고 하는 표현은, 예를 들어 (1) A만, (2) B만, 및 (3) A 및 B의 양쪽 모두 포함하고 있다.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라고 하는 표현은, 예를 들어 (1) A만, (2) B만, (3) C만, (4) A 및 B, (5) B 및 C, (6) A 및 C, (7) A, B 및 C 모두 포함하고 있다. 본 개시에서는,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라고 하는 표현은, 「A 중 적어도 하나 및 B 중 적어도 하나」라고는 해석되지 않는다.
상기의 개시 내용으로부터 고려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이 가능한 것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본원의 구체적인 개시 내용과는 다른 방법으로 본 발명이 실시되어도 된다.
2: 회전 커넥터 장치
10: 스테이터
11: 제1 스테이터
12: 제2 스테이터
13: 외주벽
14: 제2 플레이트
18: 커넥터 서포트
20: 로테이터
22: 내주벽
24: 제1 플레이트
30: 전기 커넥터
30A: 제1 면
30B: 제2 면
31: 커넥터 케이스
31A: 내부 공간
32: 리드 블록
50: 케이블 수용 공간
60: 전기 케이블
70: 커넥터 연결부
71: 지지 구멍
71A: 제1 지지 구멍
71B: 제2 지지 구멍
72: 핀
72A: 제1 핀
72B: 제2 핀
73A: 제1 연결 암
73B: 제2 연결 암
202: 회전 커넥터 장치
211: 제1 스테이터
218: 커넥터 서포트
219: 연결 홈
219A: 제1 홈
219B: 제2 홈
219C: 제3 홈
219D: 제1 내면
219E: 제2 내면
219F: 저면
270: 커넥터 연결부
271: 제1 커넥터 연결부
271A: 제1 연결부
271B: 제1 핀
272: 제2 커넥터 연결부
272A: 제2 연결부
272B: 제2 핀
A1: 제1 회전 축선
A2: 제2 회전 축선
D1: 축방향
DS1: 제1 거리
DS2: 제2 거리
P1: 제1 위치
P2: 제2 위치

Claims (15)

  1. 제1 스테이터와, 상기 제1 스테이터에 설치되는 제2 스테이터를 포함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대하여 제1 회전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 회전 축선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케이블 수용 공간을 상기 스테이터와 함께 형성하는 로테이터와,
    상기 케이블 수용 공간 내에 마련되는 전기 케이블과,
    상기 전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와,
    상기 전기 커넥터를 상기 제1 스테이터에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 커넥터가 상기 제1 스테이터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제1 스테이터에 대하여 제1 위치에 배치 가능하고,
    상기 전기 커넥터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이측에 마련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 커넥터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회전 축선과 상기 제1 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 연결부는, 상기 전기 커넥터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 또한 상기 제2 스테이터가 상기 제1 스테이터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면이 자유단부가 되도록, 상기 제1 스테이터에 대하여 상기 전기 커넥터를 외팔보로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기 커넥터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 또한 상기 제2 스테이터가 상기 제1 스테이터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스테이터는, 상기 제1 회전 축선을 따라서 정의되는 축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스테이터와 상기 전기 커넥터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는, 상기 케이블 수용 공간의 직경 방향 내측에 마련되는 내주벽과, 상기 내주벽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테이터는, 상기 케이블 수용 공간의 직경 방향 외측에 마련되는 외주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테이터는, 상기 외주벽에 설치되고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커넥터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 또한 상기 제2 스테이터가 상기 제1 스테이터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스테이터와 상기 전기 커넥터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연결부는, 제2 회전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전기 커넥터를 상기 제1 스테이터에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회전 축선을 따라서 본 경우에,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회전 축선 사이의 제1 거리는, 상기 제2 면과 상기 제2 회전 축선 사이의 제2 거리보다도 짧은,
    회전 커넥터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회전 축선을 따라서 본 경우에, 상기 제2 회전 축선은, 상기 제1 회전 축선에 대하여 상기 전기 커넥터의 직경 방향 외측에 마련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되는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되는 상기 전기 커넥터보다도 상기 제1 회전 축선에 가까운,
    회전 커넥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가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된 상태 또한 상기 제2 스테이터가 상기 제1 스테이터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회전 축선을 따라서 본 경우에,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테이터가 상기 제1 스테이터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사이를 상기 제2 회전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한,
    회전 커넥터 장치.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커넥터 케이스와, 상기 내부 공간 내에 마련되고 상기 전기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드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 커넥터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 또한 상기 제2 스테이터가 상기 제1 스테이터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스테이터는,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스테이터와 상기 커넥터 케이스 및 상기 리드 블록 중 적어도 한쪽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회전 축선을 따라서 본 경우에, 상기 제2 회전 축선은, 상기 제1 회전 축선에 대하여 상기 리드 블록의 직경 방향 외측에 마련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이터 및 상기 커넥터 연결부의 한쪽은, 지지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테이터 및 상기 커넥터 연결부의 다른 쪽은, 상기 지지 구멍 내에 마련되는 핀을 포함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멍은, 제1 지지 구멍과, 제2 지지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핀은, 상기 제1 지지 구멍 내에 마련되는 제1 핀과, 상기 제2 지지 구멍 내에 마련되는 제2 핀을 포함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연결부는, 상기 전기 커넥터를 분리 가능하게 상기 제1 스테이터에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
  14. 제1 스테이터의 외주벽의 직경 방향 내측에 전기 케이블을 세트하는 공정과,
    상기 전기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를, 커넥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1 스테이터에 연결하는 공정과,
    제2 스테이터를 상기 제1 스테이터에 설치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전기 커넥터를 상기 제1 스테이터에 연결하는 공정은, 상기 전기 커넥터가 상기 제1 스테이터에 대하여 제1 위치에 배치 가능하도록, 상기 커넥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전기 커넥터를 상기 제1 스테이터에 연결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 커넥터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이측에 마련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 커넥터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회전 축선과 상기 제1 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전기 커넥터를 상기 제1 스테이터에 연결하는 공정은, 상기 전기 커넥터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 또한 상기 제2 스테이터가 상기 제1 스테이터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면이 자유단부가 되도록, 상기 커넥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1 스테이터에 상기 전기 커넥터를 외팔보로 연결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테이터를 상기 제1 스테이터에 설치하는 공정은, 상기 제1 회전 축선을 따라서 정의되는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테이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스테이터와 상기 전기 커넥터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 스테이터를 상기 제1 스테이터에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전기 커넥터를 상기 제1 스테이터에 연결하는 공정은, 상기 전기 커넥터를 제2 회전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1 스테이터에 연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KR1020247001669A 2021-07-28 2022-07-26 회전 커넥터 장치 및 회전 커넥터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400386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23327 2021-07-28
JPJP-P-2021-123327 2021-07-28
PCT/JP2022/028743 WO2023008414A1 (ja) 2021-07-28 2022-07-26 回転コネクタ装置および回転コネクタ装置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8699A true KR20240038699A (ko) 2024-03-25

Family

ID=85087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1669A KR20240038699A (ko) 2021-07-28 2022-07-26 회전 커넥터 장치 및 회전 커넥터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113485A1 (ko)
EP (1) EP4379974A1 (ko)
JP (1) JPWO2023008414A1 (ko)
KR (1) KR20240038699A (ko)
CN (1) CN117716588A (ko)
WO (1) WO202300841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5559A1 (ja) 2018-10-11 2020-04-1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及び回転コネクタ装置の組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92414B (zh) * 2016-01-21 2019-06-14 阿尔卑斯阿尔派株式会社 旋转连接器以及组装方法
DE112020002937T5 (de) * 2019-06-19 2022-03-03 Alps Alpine Co., Ltd. Drehverbind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5559A1 (ja) 2018-10-11 2020-04-1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及び回転コネクタ装置の組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13485A1 (en) 2024-04-04
JPWO2023008414A1 (ko) 2023-02-02
CN117716588A (zh) 2024-03-15
WO2023008414A1 (ja) 2023-02-02
EP4379974A1 (en) 202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4470B2 (en) Resolver and brushless motor
CN108039787B (zh) 定子单元以及马达
CN108155762B (zh) 分解器及电机
CN107660322B (zh) 控制装置
CN111327142B (zh) 马达
EP2631998A1 (en) Rotating connector device
JP7457892B2 (ja) モータユニット及び移動体
CN108352758B (zh) 电动机
CN108702055B (zh) 马达
EP1385254A2 (en) Electric motor
CN109769403B (zh) 后保持件和包括该后保持件的马达
JP4667887B2 (ja) モータ
JPWO2020255564A5 (ko)
KR20240038699A (ko) 회전 커넥터 장치 및 회전 커넥터 장치의 제조 방법
CN113273059B (zh) 电动机
CN108352756B (zh) 电动机
US11031839B2 (en) Mo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otor
KR20170045663A (ko) 버스바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CN110870178B (zh) 电机
CN112236909B (zh) 旋转连接器装置以及旋转连接器装置的固定体
US20230307983A1 (en) Motor
US11095185B2 (en) Motor assembly
EP4131672A1 (en) Rotating connector device
JP7182254B2 (ja) モータアクチュエータ
WO2023140310A1 (ja) 回転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