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8356A - 기지국장치 및 대역폭 파트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장치 및 대역폭 파트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8356A
KR20240038356A KR1020220117075A KR20220117075A KR20240038356A KR 20240038356 A KR20240038356 A KR 20240038356A KR 1020220117075 A KR1020220117075 A KR 1020220117075A KR 20220117075 A KR20220117075 A KR 20220117075A KR 20240038356 A KR20240038356 A KR 20240038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width part
dedicated
bandwidth
terminal
bw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7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훈
최치영
손정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7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8356A/ko
Publication of KR20240038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83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5G 시스템 환경에서 지원하는 대역폭 파트(BWP, Bandwidth Part)의 동적 운용을 기반으로 기지국장치의 전력 소모를 절감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지국장치 및 대역폭 파트 운용 방법{BASE STATION APPRATUS, BANDWIDTH PART OPERATION METHOD}
본 발명은, 5G 시스템 환경에서 지원하는 대역폭 파트(BWP, Bandwidth Part)의 동적 운용을 기반으로 기지국장치의 전력 소모를 절감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대용량 데이터/고속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망 발전에 따라, 기존의 LTE 시스템으로부터 초고속, 초연결, 저지연, 연결밀도, 및 에너지 효율 등을 핵심 기술로 하는 5G 시스템으로 발전하였다.
이처럼 5G 시스템은 LTE 시스템 대비 고속 및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계된 관계로, 하나의 셀에서 사용 가능한 대역폭이 증가하게 되었다.
특히, 5G 시스템에서는 Massive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를 활용하여 가입자 별 빔을 형성하여 주는 빔 포밍(Beam Forming) 기술이 사용됨에 따라, 전력 사용량 또한 LTE 시스템 대비 크게 증가하였다.
한편, 이와 관련하여 이동통신 사업자들의 에너지 사용량을 보면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차지하는 비율이 상당히 크며, 이러한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전력 사용은 대부분 기지국에서 발생한다.
이처럼, 기지국에서의 전력 사용이 큰 것은, 기지국의 경우 데이터 사용량 증가 시 그에 따라 전력 사용량도 함께 증가하며, 그리고 항상 최대(Max) 전력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나 아이들(Idle) 상태에서도 에너지 사용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기지국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미 사용 중인 일부 소자에 대해서 평소 소모 전력을 줄이는 방안을 적용하고 있으나, 이처럼 일부 소자의 평소 소모 전력을 줄이는 것만으로는 전력 소모 절감의 효과가 미비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야간 등에는 셀을 오프(Off)시키는 방안 또한 고려해볼 수 있겠으나, 이 경우 이동통신 서비스 자체가 불가해지기 때문에 시간 및 장소에 따라 제한적인 적용만이 가능하다는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5G 시스템 환경에서 지원하는 대역폭 파트(BWP, Bandwidth Part)의 동적 운용을 기반으로 기지국장치의 전력 소모를 절감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는, 셀에서 지원하는 최대 대역폭 한도 내에서, 대역폭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결정된 2 이상의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 중 하나를, 상기 셀로 초기 접속된 단말의 기본 대역폭 파트(Default BWP)로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기본 대역폭 파트의 설정 이후, 상기 셀에 접속중인 단말들의 데이터 사용량 변화에 따라, 상기 단말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를 기존과 대역폭 크기가 다른 전용 대역폭 파트로 갱신하는 갱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셀에 대한 단말의 초기 접속 과정에서, 상기 최대 대역폭 기준의 초기 대역폭 파트(Initial BWP)가 상기 단말에 설정되면, 상기 단말에 설정된 초기 대역폭 파트를 상기 기본 대역폭 파트로 변경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본 대역폭 파트는, 상기 2 이상의 전용 대역폭 파트 중, 대역폭의 크기가 가장 작은 특정 전용 대역폭 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전용 대역폭 파트는,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의 할당 위치를 포함하는 연속된 자원(RB)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갱신부는, 상기 셀에서 요구되는 슬롯 당 단말 수가 상기 단말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에서 지원하는 슬롯 당 단말 수보다 많거나, 또는 상기 셀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사용량이 단말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에서 지원하는 데이터 사용량보다 많은 경우에 대해서, 상기 단말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를 기존보다 대역폭 크기가 큰 전용 대역폭 파트로 갱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갱신부는, 상기 셀에서 요구되는 슬롯 당 단말 수가 상기 단말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에서 지원하는 슬롯 당 단말 수보다 적거나, 또는 상기 셀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사용량이 단말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에서 지원하는 데이터 사용량보다 적은 경우에 대해서, 단말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를 기존보다 대역폭의 크기가 작은 전용 대역폭 파트로 갱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2 이상의 전용 대역폭 파트 중 적어도 일부는, PCI(Physical Cell Identity)와 관련된 홀수 전용 대역폭 파트, 및 상기 홀수 전용 대역폭 파트와 동일한 크기의 대역폭을 가지되, 대역폭을 구성하는 연속된 자원(RB)의 할당 구역이 상기 홀수 전용 대역폭과는 다른 짝수 전용 대역폭 파트를 포함하도록 정의되며, 상기 갱신부는, 상기 단말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를 갱신하기 위해서, 상기 셀의 PCI를 기준으로 상기 홀수 전용 대역폭 파트, 또는 상기 짝수 전용 대역폭 파트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에서 수행되는 대역폭 파트 운용 방법은, 셀에서 지원하는 최대 대역폭 한도 내에서, 대역폭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결정된 2 이상의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 중 하나를, 상기 셀로 초기 접속된 단말의 기본 대역폭 파트(Default BWP)로 설정하는 설정단계; 및 상기 기본 대역폭 파트의 설정 이후, 상기 셀에 접속중인 단말들의 데이터 사용량 변화에 따라, 상기 단말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를 기존과 대역폭 크기가 다른 전용 대역폭 파트로 갱신하는 갱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셀에 대한 단말의 초기 접속 과정에서, 상기 최대 대역폭 기준의 초기 대역폭 파트(Initial BWP)가 상기 단말에 설정되면, 상기 단말에 설정된 초기 대역폭 파트를 상기 기본 대역폭 파트로 변경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본 대역폭 파트는, 상기 2 이상의 전용 대역폭 파트 중, 대역폭의 크기가 가장 작은 특정 전용 대역폭 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전용 대역폭 파트는,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의 할당 위치를 포함하는 연속된 자원(RB)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갱신단계는, 상기 셀에서 요구되는 슬롯 당 단말 수가 상기 단말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에서 지원하는 슬롯 당 단말 수보다 많거나, 또는 상기 셀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사용량이 단말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에서 지원하는 데이터 사용량보다 많은 경우에 대해서, 상기 단말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를 기존보다 대역폭 크기가 큰 전용 대역폭 파트로 갱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갱신단계는, 상기 셀에서 요구되는 슬롯 당 단말 수가 상기 단말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에서 지원하는 슬롯 당 단말 수보다 적거나, 또는 상기 셀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사용량이 단말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에서 지원하는 데이터 사용량보다 적은 경우에 대해서, 단말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를 기존보다 대역폭의 크기가 작은 전용 대역폭 파트로 갱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2 이상의 전용 대역폭 파트 중 적어도 일부는, PCI(Physical Cell Identity)와 관련된 홀수 전용 대역폭 파트, 및 상기 홀수 전용 대역폭 파트와 동일한 크기의 대역폭을 가지되, 대역폭을 구성하는 연속된 자원(RB)의 할당 구역이 상기 홀수 전용 대역폭과는 다른 짝수 전용 대역폭 파트를 포함하도록 정의되며, 상기 갱신단계는, 상기 단말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를 갱신하기 위해서, 상기 셀의 PCI를 기준으로 상기 홀수 전용 대역폭 파트, 또는 상기 짝수 전용 대역폭 파트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 및 대역폭 파트 운용 방법에 따르면, 5G 시스템 환경에서 지원하는 서로 다른 대역폭 크기의 대역폭 파트(BWP, Bandwidth Part)를 셀에 접속중인 단말들의 데이터 사용량 변화에 따라 동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최소한으로 조절하여 기지국장치의 전력 소모를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통신 사업자들의 에너지 사용량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역폭 파트(BWP, Bandwidth Part)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5G 시스템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의 갱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역폭 파트의 간섭 제거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역폭 파트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5G 시스템 기반의 대역폭 파트(BWP, Bandwidth Part) 기능을 다룬다.
대용량 데이터/고속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망 발전에 따라, 기존의 LTE 시스템으로부터 초고속, 초연결, 저지연, 연결밀도, 및 에너지 효율 등을 핵심 기술로 하는 5G 시스템으로 발전하였다.
이처럼 5G 시스템은 LTE 시스템 대비 고속 및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계된 관계로, 하나의 셀에서 사용 가능한 대역폭이 증가하게 되었다.
특히, 5G 시스템에서는 Massive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를 활용하여 가입자 별 빔을 형성하여 주는 빔 포밍(Beam Forming) 기술이 사용됨에 따라, 전력 사용량 또한 LTE 시스템 대비 크게 증가하였다.
한편, 이와 관련하여 이동통신 사업자들의 에너지 사용량을 살펴보면 예컨대, 도 1에서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Radio Network)에서의 차지하는 비율이 73%에 육박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전력 사용은 대부분 기지국에서 발생한다.
이처럼, 기지국에서의 전력 사용이 큰 것은, 기지국의 경우 데이터 사용량 증가 시 그에 따라 전력 사용량도 함께 증가하며, 그리고 항상 최대(Max) 전력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나 아이들(Idle) 상태에서도 에너지 사용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한편, 기지국에서는, 지원 가능한 최대 대역폭 한도 내에서 주파수 대역 별로 최대(Max) 전력을 나누어 사용하게 되는데, 만약 이에 대해서 대역폭을 제한하여 사용할 수 있다면, 제한된 대역폭만큼 기지국의 전력 소모 절감을 기대해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5G 시스템에서는, 주파수 대역 전체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대역을 분할하고, 분할된 대역 별로 그 쓰임에 맞게 혹은 서비스에 맞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기능인 대역폭 파트(BWP, Bandwidth Part)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대역폭 파트 기능에서는, 예컨대, 도 2에서와 같이 셀에서 지원 가능한 지원 가능한 최대 대역폭(Carrier bandwidth) 안에서 최대 4개까지의 대역폭 파트(BWP#1, BWP#2, BWP#3, BWP#4)를 서로 다른 대역폭 크기로 결정하여 사용하는 것을 지원한다.
참고로, 위 예에서는 BWP#1이 가지는 대역폭의 크기가 가장 작으므로, 전력 소모가 가장 적으며, BWP#2 내지 BWP#4의 경우, BWP#1 대비 상대적으로 큰 대역폭을 가지므로, 반대로 대역폭의 크기가 가장 큰 BWP#4에서의 전력 소모가 가장 큰 것임을 알 수 있다.
결국, 5G 시스템에서는 대역폭 파트 별로 대역폭 크기에 상응하는 전력 소모가 가능해지므로, 이를 활용하는 경우 기지국에서의 전력 소모를 효율적으로 절감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5G 시스템 환경에서 지원하는 대역폭 파트의 동적 운용을 기반으로 기지국의 전력 소모를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5G 시스템 환경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5G 시스템 환경에서는, 셀(c) 내 단말(UE)에 대해서 대역폭 파트(BWP, Bandwidth Part)를 설정하는 기지국(100, 이하, '기지국장치'라 칭함)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기지국장치(100)는 대역폭 파트 기능의 지원에 따라, 앞서 예시한 도 2에서와 같이 대역폭의 크기가 서로 다른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 BWP#1, BWP#2, BWP#3, BWP#4)를 셀(C)에 접속된 단말(UE)들의 데이터 사용량 변화에 따라서 동적으로 운용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5G 시스템 환경에서는, 전술한 구성을 기반으로 기지국장치(100)의 전력 소모를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기지국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결정부(110), 설정부(120), 및 갱신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기지국장치(1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기지국장치(100)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기지국장치(10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 대역폭 사용에 따른 전력 소모를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기지국장치(10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이어 가기로 한다.
결정부(110)는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를 결정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정부(110)는 셀(c)에서 지원하는 최대 대역폭 한도 내에서 대역폭의 크기가 서로 다른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를 결정하게 된다.
이때, 결정부(110)는 최대 4개까지의 대역폭 파트의 사용을 지원하는 대역폭 파트 기능에 따라, 앞서 예시한 도 2에서와 같이 제1 전용 대역폭 파트(BWP#1) 내지 제4 전용 대역폭 파트(BWP#4)를 포함하는 총 4개의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를 서로 다른 대역폭 크기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1 전용 대역폭 파트(BWP#1)는 셀(C)에서 가장 작은 대역폭 크기인 예컨대, 20MHz 대역폭으로,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의 할당 위치를 포함하는 연속된 자원(RB)으로 결정될 수 있고, 그리고 제2 전용 대역폭 파트(BWP#2)는 셀(C)에서 두 번째로 작은 대역폭 크기(Max RBs/3)를 가지며, 제1 전용 대역폭 파트(BWP#1)의 대역폭을 포함하는 형태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3 전용 대역폭 파트(BWP#3)는 셀(C)에서 두 번째로 큰 대역폭 크기(Max RBs/2)를 가지며, 제2 전용 대역폭 파트(BWP#2)의 대역폭을 포함하는 형태로 결정될 수 있고, 그리고, 제4 전용 대역폭 파트(BWP#4)는 셀(C)에서 지원하는 최대 대역폭 크기(Max RBs)를 가지며, 제2 전용 대역폭 파트(BWP#2)의 대역폭을 포함하는 형태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결정부(110)는 셀(c)에서 지원하는 최대 대역폭 한도 내에서 대역폭의 크기가 서로 다른 제1 전용 대역폭 파트(BWP#1) 내지 제4 전용 대역폭 파트(BWP#4)가 결정되면, 셀(C)에서 가장 작은 대역폭 크기를 가지는 제1 전용 대역폭 파트(BWP#1)를 기본 대역폭 파트(Default BWP)로 정의한다.
이처럼 셀(C)에서 가장 작은 대역폭 크기를 가지는 제1 전용 대역폭 파트(BWP#1)를 기본 대역폭 파트(Default BWP)로 정의하는 것은, 셀(C) 초기 접속 시 또는 평소에 기본 대역폭 파트(Default BWP)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최소한으로 조절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최소한으로 제한하기 위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기본 대역폭 파트(Default BWP)는, 관련 규격 TS38.212 Table 5.4.2.1-1에 준하여 정의될 수 있다.
설정부(120)는 기본 대역폭 파트(Default BWP)를 설정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정부(120)는 셀(C)로 단말(UE)이 초기 접속되는 경우, 초기 접속된 단말(UE)에 대해서 기본 대역폭 파트(Default BWP)를 설정하게 된다.
이때, 설정부(120)는 셀(C)로 초기 접속되는 단말(UE)에 대해 최대 대역폭 기준의 초기 대역폭 파트(Initial BWP)가 설정되면, 단말(UE)에 설정된 초기 대역폭 파트(Initial BWP)를 기본 대역폭 파트(Default BWP)로 변경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예컨대, 도 5에서와 같이, 셀(C)로 초기 접속되는 단말(UE)에 대해서는, RRC config 절차를 통해서, 초기 대역폭 파트(Initial BWP)가 설정되는데(a), 이에 대해 도 5 (b)에서와 같이,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단말(UE)로 전송함으로써, 단말(UE)에 설정된 초기 대역폭 파트(Initial BWP)를 기본 대역폭 파트(Default BWP)로 변경 설정(Activate)할 수 있는 것이다(b).
갱신부(130)는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를 갱신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갱신부(130)는 셀(C)로 초기 접속된 단말(UE)에 대해서 기본 대역폭 파트(Default BWP)가 설정된 이후, 단말(UE)에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를 대역폭 크기가 다른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로 갱신하게 된다.
이때, 갱신부(130)는 슬롯(Slot) 단위로 변동되는 셀에 접속중인 단말(UE)들의 데이터 사용량 변화에 따라,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를 대역폭 크기가 다른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로 갱신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갱신부(130)는 예컨대, 아래 [수식 1]에서와 같이, 셀(C)에서 요구되는 슬롯 당 단말 수(Active UE/Slot)가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에서 지원하는 슬롯 당 단말 수(Max Active BWP UE/Slot)보다 많거나, 또는 셀(C)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사용량(Cell required data volume)이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가 지원하는 데이터 사용량(Max Active BWP throughput)보다 많은 경우에 대해서,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를 기존보다 대역폭 크기가 큰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로 갱신한다(Active BWP + #1).
[수식 1]
여기서, 셀(C)에서 요구되는 슬롯 당 단말 수(Active UE/Slot)가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에서 지원하는 슬롯 당 단말 수(Max Active BWP UE/Slot)보다 많거나, 또는 셀(C)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사용량(Cell required data volume)이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가 지원하는 데이터 사용량(Max Active BWP throughput)보다 많은 경우란,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의 대역폭 크기가 셀(C)에 접속중인 단말(UE)들의 데이터 사용량을 감당하기에 부족한 상태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갱신부(130)는, 앞서 예시한 도 5에서와 같이,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단말(UE)로 전송함으로써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를 기존보다 대역폭 크기가 큰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로 갱신함으로써, 셀(C)에 접속중인 단말(UE)들의 데이터 사용량을 감당할 수 있는 최소한의 대역폭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c, d).
예를 들어,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가 기본 대역폭 파트(Default BWP)인 제1 전용 대역폭 파트(BWP#1)인 경우, 제1 전용 대역폭 파트(BWP#1)보다 대역폭 크기가 큰 제2 전용 대역폭 파트(BWP#2)로 변경 설정할 수 있으며, 만약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가 제2 전용 대역폭 파트(BWP#2)인 경우, 제2 전용 대역폭 파트(BWP#2)보다 대역폭 크기가 큰 제3 전용 대역폭 파트(BWP#3)로 변경 설정할 수 있다.
참고로, 위 내용에서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에서 지원하는 슬롯 당 단말 수(Max Active BWP UE/ Slot)는, 관련 규격인 TS38.211을 따를 수 있다.
참고로, 아래 [표 1]에서와 같이, 대역폭의 크기에 따라 이용 가능한 자원(Max RB)의 수가 결정되며, 이에 대해서는, Aggregation Level에 따라 CCE(Control Channel Element) 수가 결정되어 표준에 따라 슬롯 당 단말 수(UE/ Slot)가 결정될 수 있는 것이다.
Max RBs Aggregation Level Aggregation Level에 따른 RB 수 UE/ Slot
273 1 6 46
273 2 12 23
273 4 24 11
273 8 48 6
273 1 6 36
273 2 12 18
273 4 24 9
273 8 48 5
반면, 갱신부(130)는 예컨대, 아래 [수식 2]에서와 같이, 셀(C)에서 요구되는 슬롯 당 단말 수(Active UE/Slot)가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에서 지원하는 슬롯 당 단말 수(Max Active BWP UE/Slot)보다 적거나, 또는 셀(C)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사용량(Cell required data volume)이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가 지원하는 데이터 사용량(Max Active BWP throughput)보다 적은 경우에 대해서,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를 기존보다 대역폭 크기가 작은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로 갱신한다(Active BWP - #1).
[수식 2]
여기서, 셀(C)에서 요구되는 슬롯 당 단말 수(Active UE/Slot)가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에서 지원하는 슬롯 당 단말 수(Max Active BWP UE/Slot)보다 적거나, 또는 셀(C)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사용량(Cell required data volume)이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가 지원하는 데이터 사용량(Max Active BWP throughput)보다 적은 경우란,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의 대역폭 크기가 셀(C)에 접속중인 단말(UE)들의 데이터 사용량을 감당하기에 충분한 여력이 있는 상태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갱신부(130)는, 앞서 예시한 도 5에서와 같이,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단말(UE)로 전송함으로써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를 기존보다 대역폭 크기가 작은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로 갱신함으로써, 셀(C)에 접속중인 단말(UE)들의 데이터 사용량을 감당할 수 있는 최소한의 대역폭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e).
예를 들어,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가 제4 전용 대역폭 파트(BWP#4)인 경우, 제4 전용 대역폭 파트(BWP#4)보다 대역폭 크기가 작은 제3 전용 대역폭 파트(BWP#3)로 변경 설정할 수 있으며, 만약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가 제2 전용 대역폭 파트(BWP#2)인 경우, 제2 전용 대역폭 파트(BWP#2)보다 대역폭 크기가 작은 제1 전용 대역폭 파트(BWP#1)로 변경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를 대역폭 크기가 다른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로 갱신함에 있어서, 갱신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로 인한 타 셀과의 간섭을 고려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도 6에서와 같이, 기본 대역폭 파트(Default BWP)로 정의된 제1 전용 대역폭 파트(BWP#1)와 셀(c)에서 지원하는 최대 대역폭과 같은 대역폭 크기인 제4 전용 대역폭 파트(BWP#4)를 제외한 제2 전용 대역폭 파트(BWP#2)와 제3 전용 대역폭 파트(BWP#3)에 대해서, PCI(Physical Cell Identity)와 관련된 홀수 전용 대역폭 파트(a), 및 홀수 전용 대역폭 파트(a)와 동일한 크기의 대역폭을 가지되, 대역폭을 구성하는 연속된 자원(RB)의 할당 구역이 홀수 전용 대역폭(a)과는 다른 짝수 전용 대역폭 파트(b)를 정의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갱신부(130)는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를 홀수 전용 대역폭 파트(a)와 짝수 전용 대역폭 파트(b)가 정의된 제2 전용 대역폭 파트(BWP#2) 또는 제3 전용 대역폭 파트(BWP#3)로 갱신하고자 하는 경우, 기지국장치(100)의 PCI를 기준으로 홀수 전용 대역폭 파트(a), 또는 짝수 전용 대역폭 파트(b)를 선택하여,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장치(100)의 PCI가 홀수인 경우, 홀수 전용 대역폭 파트(a)를 선택하여, 선택된 홀수 전용 대역폭 파트(a)로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를 갱신할 수 있으며, 반대로 기지국장치(100)의 PCI가 짝수인 경우, 짝수 전용 대역폭 파트(b)를 선택하여, 선택된 짝수 전용 대역폭 파트(b)로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를 갱신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인접한 셀 간 홀수 전용 대역폭 파트(a)와 짝수 전용 대역폭 파트(b)가 정의된 제2 전용 대역폭 파트(BWP#2) 또는 제3 전용 대역폭 파트(BWP#3)를 함께 사용하더라도, PCI를 기준으로 대역폭이 서로 분리될 수 있으므로, 셀 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100)의 구성에 따르면, 5G 시스템 환경에서 지원하는 서로 다른 대역폭 크기의 대역폭 파트를 셀에 접속중인 단말들의 데이터 사용량 변화에 따라 동적으로 운용하는 방식을 통해서 셀 초기 접속 시 또는 평소에는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최소한으로 조절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한으로 제한하고 셀에 접속된 단말 수의 증가 및 대용량 데이터 사용시에만 대역폭을 늘려주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기지국장치(100)와 단말에서의 전력 소모를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역폭 파트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아래의 설명에서는 대역폭 파트 운용 방법의 수행 주체로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기지국장치(100)를 언급하기로 한다.
먼저, 결정부(110)는 셀(c)에서 지원하는 최대 대역폭 한도 내에서 대역폭의 크기가 서로 다른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를 결정한다(S110).
이때, 결정부(110)는 최대 4개까지의 대역폭 파트의 사용을 지원하는 대역폭 파트 기능에 따라, 앞서 예시한 도 2에서와 같이 제1 전용 대역폭 파트(BWP#1) 내지 제4 전용 대역폭 파트(BWP#4)를 포함하는 총 4개의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를 서로 다른 대역폭 크기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용 대역폭 파트(BWP#1)는 셀(C)에서 가장 작은 대역폭 크기인 예컨대, 20MHz 대역폭으로,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의 할당 위치를 포함하는 연속된 자원(RB)으로 결정될 수 있고, 그리고 제2 전용 대역폭 파트(BWP#2)는 셀(C)에서 두 번째로 작은 대역폭 크기(Max RBs/3)를 가지며, 제1 전용 대역폭 파트(BWP#1)의 대역폭을 포함하는 형태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3 전용 대역폭 파트(BWP#3)는 셀(C)에서 두 번째로 큰 대역폭 크기(Max RBs/2)를 가지며, 제2 전용 대역폭 파트(BWP#2)의 대역폭을 포함하는 형태로 결정될 수 있고, 그리고, 제4 전용 대역폭 파트(BWP#4)는 셀(C)에서 지원하는 최대 대역폭 크기(Max RBs)를 가지며, 제2 전용 대역폭 파트(BWP#2)의 대역폭을 포함하는 형태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결정부(110)는 셀(c)에서 지원하는 최대 대역폭 한도 내에서 대역폭의 크기가 서로 다른 제1 전용 대역폭 파트(BWP#1) 내지 제4 전용 대역폭 파트(BWP#4)가 결정되면, 셀(C)에서 가장 작은 대역폭 크기를 가지는 제1 전용 대역폭 파트(BWP#1)를 기본 대역폭 파트(Default BWP)로 정의한다.
이처럼 셀(C)에서 가장 작은 대역폭 크기를 가지는 제1 전용 대역폭 파트(BWP#1)를 기본 대역폭 파트(Default BWP)로 정의하는 것은, 셀(C) 초기 접속 시 또는 평소에 기본 대역폭 파트(Default BWP)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최소한으로 조절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최소한으로 제한하기 위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기본 대역폭 파트(Default BWP)는, 관련 규격 TS38.212 Table 5.4.2.1-1에 준하여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설정부(120)는 셀(C)로 단말(UE)이 초기 접속되는 경우, 초기 접속된 단말(UE)에 대해서 기본 대역폭 파트(Default BWP)를 설정한다(S120-S130).
이때, 설정부(120)는 셀(C)로 초기 접속되는 단말(UE)에 대해 최대 대역폭 기준의 초기 대역폭 파트(Initial BWP)가 설정되면, 단말(UE)에 설정된 초기 대역폭 파트(Initial BWP)를 기본 대역폭 파트(Default BWP)로 변경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앞서 예시한, 도 5에서와 같이, 셀(C)로 초기 접속되는 단말(UE)에 대해서는, RRC config 절차를 통해서, 초기 대역폭 파트(Initial BWP)가 설정되는데(a), 이에 대해 도 5 (b)에서와 같이,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단말(UE)로 전송함으로써, 단말(UE)에 설정된 초기 대역폭 파트(Initial BWP)를 기본 대역폭 파트(Default BWP)로 변경 설정(Activate)할 수 있는 것이다(b).
나아가, 갱신부(130)는 셀(C)로 초기 접속된 단말(UE)에 대해서 기본 대역폭 파트(Default BWP)가 설정된 이후, 단말(UE)에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를 대역폭 크기가 다른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로 갱신하게 된다.
이때, 갱신부(130)는 슬롯(Slot) 단위로 변동되는 셀에 접속중인 단말(UE)들의 데이터 사용량 변화에 따라,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를 대역폭 크기가 다른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로 갱신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갱신부(130)는 셀(C)에서 요구되는 슬롯 당 단말 수(Active UE/Slot)가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에서 지원하는 슬롯 당 단말 수(Max Active BWP UE/Slot)보다 많거나, 또는 셀(C)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사용량(Cell required data volume)이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가 지원하는 데이터 사용량(Max Active BWP throughput)보다 많은 경우에 대해서,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를 기존보다 대역폭 크기가 큰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로 갱신한다(Active BWP + #1, S140-S150).
여기서, 셀(C)에서 요구되는 슬롯 당 단말 수(Active UE/Slot)가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에서 지원하는 슬롯 당 단말 수(Max Active BWP UE/Slot)보다 많거나, 또는 셀(C)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사용량(Cell required data volume)이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가 지원하는 데이터 사용량(Max Active BWP throughput)보다 많은 경우란,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의 대역폭 크기가 셀(C)에 접속중인 단말(UE)들의 데이터 사용량을 감당하기에 부족한 상태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갱신부(130)는, 앞서 예시한 도 5에서와 같이,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단말(UE)로 전송함으로써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를 기존보다 대역폭 크기가 큰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로 갱신함으로써, 셀(C)에 접속중인 단말(UE)들의 데이터 사용량을 감당할 수 있는 최소한의 대역폭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c, d).
예를 들어,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가 기본 대역폭 파트(Default BWP)인 제1 전용 대역폭 파트(BWP#1)인 경우, 제1 전용 대역폭 파트(BWP#1)보다 대역폭 크기가 큰 제2 전용 대역폭 파트(BWP#2)로 변경 설정할 수 있으며, 만약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가 제2 전용 대역폭 파트(BWP#2)인 경우, 제2 전용 대역폭 파트(BWP#2)보다 대역폭 크기가 큰 제3 전용 대역폭 파트(BWP#3)로 변경 설정할 수 있다.
반면, 갱신부(130)는 셀(C)에서 요구되는 슬롯 당 단말 수(Active UE/Slot)가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에서 지원하는 슬롯 당 단말 수(Max Active BWP UE/Slot)보다 적거나, 또는 셀(C)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사용량(Cell required data volume)이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가 지원하는 데이터 사용량(Max Active BWP throughput)보다 적은 경우에 대해서,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를 기존보다 대역폭 크기가 작은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로 갱신한다(Active BWP - #1, S150-S160).
여기서, 셀(C)에서 요구되는 슬롯 당 단말 수(Active UE/Slot)가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에서 지원하는 슬롯 당 단말 수(Max Active BWP UE/Slot)보다 적거나, 또는 셀(C)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사용량(Cell required data volume)이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가 지원하는 데이터 사용량(Max Active BWP throughput)보다 적은 경우란,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의 대역폭 크기가 셀(C)에 접속중인 단말(UE)들의 데이터 사용량을 감당하기에 충분한 여력이 있는 상태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갱신부(130)는, 앞서 예시한 도 5에서와 같이,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단말(UE)로 전송함으로써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를 기존보다 대역폭 크기가 작은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로 갱신함으로써, 셀(C)에 접속중인 단말(UE)들의 데이터 사용량을 감당할 수 있는 최소한의 대역폭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e).
예를 들어,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가 제4 전용 대역폭 파트(BWP#4)인 경우, 제4 전용 대역폭 파트(BWP#4)보다 대역폭 크기가 작은 제3 전용 대역폭 파트(BWP#3)로 변경 설정할 수 있으며, 만약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가 제2 전용 대역폭 파트(BWP#2)인 경우, 제2 전용 대역폭 파트(BWP#2)보다 대역폭 크기가 작은 제1 전용 대역폭 파트(BWP#1)로 변경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를 대역폭 크기가 다른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로 갱신함에 있어서, 갱신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로 인한 타 셀과의 간섭을 고려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앞서 예시한, 도 6에서와 같이, 기본 대역폭 파트(Default BWP)로 정의된 제1 전용 대역폭 파트(BWP#1)와 셀(c)에서 지원하는 최대 대역폭과 같은 대역폭 크기인 제4 전용 대역폭 파트(BWP#4)를 제외한 제2 전용 대역폭 파트(BWP#2)와 제3 전용 대역폭 파트(BWP#3)에 대해서, PCI(Physical Cell Identity)와 관련된 홀수 전용 대역폭 파트(a), 및 홀수 전용 대역폭 파트(a)와 동일한 크기의 대역폭을 가지되, 대역폭을 구성하는 연속된 자원(RB)의 할당 구역이 홀수 전용 대역폭(a)과는 다른 짝수 전용 대역폭 파트(b)를 정의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갱신부(130)는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를 홀수 전용 대역폭 파트(a)와 짝수 전용 대역폭 파트(b)가 정의된 제2 전용 대역폭 파트(BWP#2) 또는 제3 전용 대역폭 파트(BWP#3)로 갱신하고자 하는 경우, 기지국장치(100)의 PCI를 기준으로 홀수 전용 대역폭 파트(a), 또는 짝수 전용 대역폭 파트(b)를 선택하여,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장치(100)의 PCI가 홀수인 경우, 홀수 전용 대역폭 파트(a)를 선택하여, 선택된 홀수 전용 대역폭 파트(a)로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를 갱신할 수 있으며, 반대로 기지국장치(100)의 PCI가 짝수인 경우, 짝수 전용 대역폭 파트(b)를 선택하여, 선택된 짝수 전용 대역폭 파트(b)로 단말(UE)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를 갱신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인접한 셀 간 홀수 전용 대역폭 파트(a)와 짝수 전용 대역폭 파트(b)가 정의된 제2 전용 대역폭 파트(BWP#2) 또는 제3 전용 대역폭 파트(BWP#3)를 함께 사용하더라도, PCI를 기준으로 대역폭이 서로 분리될 수 있으므로, 셀 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역폭 파트 운용 방법에 따르면, 5G 시스템 환경에서 지원하는 서로 다른 대역폭 크기의 대역폭 파트를 셀에 접속중인 단말들의 데이터 사용량 변화에 따라 동적으로 운용하는 방식을 통해서 셀 초기 접속 시 또는 평소에는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최소한으로 조절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한으로 제한하고 셀에 접속된 단말 수의 증가 및 대용량 데이터 사용시에만 대역폭을 늘려주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기지국장치(100)와 단말에서의 전력 소모를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역폭 파트 운용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 및 대역폭 파트 운용 방법에 따르면, 5G 시스템 환경에서 지원하는 대역폭 파트(BWP, Bandwidth Part)의 동적 운용을 기반으로 기지국장치의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기지국장치
110: 결정부 120: 설정부
130: 갱신부

Claims (14)

  1. 셀에서 지원하는 최대 대역폭 한도 내에서, 대역폭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결정된 2 이상의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 중 하나를, 상기 셀로 초기 접속된 단말의 기본 대역폭 파트(Default BWP)로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기본 대역폭 파트의 설정 이후, 상기 셀에 접속중인 단말들의 데이터 사용량 변화에 따라, 상기 단말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를 기존과 대역폭 크기가 다른 전용 대역폭 파트로 갱신하는 갱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셀에 대한 단말의 초기 접속 과정에서, 상기 최대 대역폭 기준의 초기 대역폭 파트(Initial BWP)가 상기 단말에 설정되면, 상기 단말에 설정된 초기 대역폭 파트를 상기 기본 대역폭 파트로 변경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대역폭 파트는,
    상기 2 이상의 전용 대역폭 파트 중, 대역폭의 크기가 가장 작은 특정 전용 대역폭 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전용 대역폭 파트는,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의 할당 위치를 포함하는 연속된 자원(R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부는,
    상기 셀에서 요구되는 슬롯 당 단말 수가 상기 단말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에서 지원하는 슬롯 당 단말 수보다 많거나, 또는 상기 셀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사용량이 단말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에서 지원하는 데이터 사용량보다 많은 경우에 대해서, 상기 단말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를 기존보다 대역폭 크기가 큰 전용 대역폭 파트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부는,
    상기 셀에서 요구되는 슬롯 당 단말 수가 상기 단말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에서 지원하는 슬롯 당 단말 수보다 적거나, 또는 상기 셀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사용량이 단말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에서 지원하는 데이터 사용량보다 적은 경우에 대해서, 단말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를 기존보다 대역폭의 크기가 작은 전용 대역폭 파트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전용 대역폭 파트 중 적어도 일부는,
    PCI(Physical Cell Identity)와 관련된 홀수 전용 대역폭 파트, 및 상기 홀수 전용 대역폭 파트와 동일한 크기의 대역폭을 가지되, 대역폭을 구성하는 연속된 자원(RB)의 할당 구역이 상기 홀수 전용 대역폭과는 다른 짝수 전용 대역폭 파트를 포함하도록 정의되며,
    상기 갱신부는,
    상기 단말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를 갱신하기 위해서, 상기 셀의 PCI를 기준으로 상기 홀수 전용 대역폭 파트, 또는 상기 짝수 전용 대역폭 파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7. 기지국장치에서 수행되는 대역폭 파트 운용 방법에 있어서,
    셀에서 지원하는 최대 대역폭 한도 내에서, 대역폭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결정된 2 이상의 전용 대역폭 파트(Dedicated BWP) 중 하나를, 상기 셀로 초기 접속된 단말의 기본 대역폭 파트(Default BWP)로 설정하는 설정단계; 및
    상기 기본 대역폭 파트의 설정 이후, 상기 셀에 접속중인 단말들의 데이터 사용량 변화에 따라, 상기 단말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를 기존과 대역폭 크기가 다른 전용 대역폭 파트로 갱신하는 갱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폭 파트 운용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셀에 대한 단말의 초기 접속 과정에서, 상기 최대 대역폭 기준의 초기 대역폭 파트(Initial BWP)가 상기 단말에 설정되면, 상기 단말에 설정된 초기 대역폭 파트를 상기 기본 대역폭 파트로 변경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폭 파트 운용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대역폭 파트는,
    상기 2 이상의 전용 대역폭 파트 중, 대역폭의 크기가 가장 작은 특정 전용 대역폭 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전용 대역폭 파트는,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의 할당 위치를 포함하는 연속된 자원(R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폭 파트 운용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단계는,
    상기 셀에서 요구되는 슬롯 당 단말 수가 상기 단말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에서 지원하는 슬롯 당 단말 수보다 많거나, 또는 상기 셀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사용량이 단말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에서 지원하는 데이터 사용량보다 많은 경우에 대해서, 상기 단말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를 기존보다 대역폭 크기가 큰 전용 대역폭 파트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폭 파트 운용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단계는,
    상기 셀에서 요구되는 슬롯 당 단말 수가 상기 단말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에서 지원하는 슬롯 당 단말 수보다 적거나, 또는 상기 셀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사용량이 단말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에서 지원하는 데이터 사용량보다 적은 경우에 대해서, 단말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를 기존보다 대역폭의 크기가 작은 전용 대역폭 파트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폭 파트 운용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전용 대역폭 파트 중 적어도 일부는,
    PCI(Physical Cell Identity)와 관련된 홀수 전용 대역폭 파트, 및 상기 홀수 전용 대역폭 파트와 동일한 크기의 대역폭을 가지되, 대역폭을 구성하는 연속된 자원(RB)의 할당 구역이 상기 홀수 전용 대역폭과는 다른 짝수 전용 대역폭 파트를 포함하도록 정의되며,
    상기 갱신단계는,
    상기 단말에 기 설정된 전용 대역폭 파트를 갱신하기 위해서, 상기 셀의 PCI를 기준으로 상기 홀수 전용 대역폭 파트, 또는 상기 짝수 전용 대역폭 파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폭 파트 운용 방법.
  13. 제 7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14.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 7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117075A 2022-09-16 2022-09-16 기지국장치 및 대역폭 파트 운용 방법 KR202400383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075A KR20240038356A (ko) 2022-09-16 2022-09-16 기지국장치 및 대역폭 파트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075A KR20240038356A (ko) 2022-09-16 2022-09-16 기지국장치 및 대역폭 파트 운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8356A true KR20240038356A (ko) 2024-03-25

Family

ID=90473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075A KR20240038356A (ko) 2022-09-16 2022-09-16 기지국장치 및 대역폭 파트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835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44633B (zh) 无线资源管理器装置和无线通信装置
JP5809261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ップリンクデータ送受信方法及び装置
US981321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CN108111253B (zh) 信号配置、发送方法及装置
EP3277032B1 (en) Power sharing method and base station
CN101874370A (zh) 无线通信系统、无线发送装置、无线通信方法以及程序
JP2011244462A (ja) Sc−fdmaシステムにおける隣接セル干渉の管理
CN105187184A (zh) 用于信道状态信息参考信号的静音方案及其信令
CN102754506A (zh) 基站装置、移动站装置以及集成电路
JPWO2014109136A1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2022029545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resource configuration
CN110971349B (zh) 一种重复传输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EP3175669B1 (en) Adaptive communication resource allocation in a wireless network
US9674828B2 (en) Terminal apparatus
US20240031210A1 (en) Configuration method for tone reservation
US20230291621A1 (en) Terminal
US20180035428A1 (en) Method for configuring frame structure, user equipment and network equipment
US87748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cell-edge performa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20240038356A (ko) 기지국장치 및 대역폭 파트 운용 방법
KR20230165882A (ko) Pucch 전송 방법, 사용자 장비 및 장치
CN113170396B (zh) 物联网应用中的非连续接收方法
EP291812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hannel measurements and reporting
US20220263698A1 (en) Terminal
KR20200061298A (ko) Tdd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저지연 통신 방법 및 장치
JP5528179B2 (ja) 基地局装置、基地局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集積回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