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7655A - 칸나비디올 및 글리클라자이드를 포함한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Google Patents

칸나비디올 및 글리클라자이드를 포함한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7655A
KR20240037655A KR1020220116435A KR20220116435A KR20240037655A KR 20240037655 A KR20240037655 A KR 20240037655A KR 1020220116435 A KR1020220116435 A KR 1020220116435A KR 20220116435 A KR20220116435 A KR 20220116435A KR 20240037655 A KR20240037655 A KR 20240037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bd
gliclazide
cells
solvate
acceptable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6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정엽
김정국
송중호
정규혁
강기성
이다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켄바이오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켄바이오,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켄바이오
Priority to KR1020220116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7655A/ko
Publication of KR20240037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76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iabet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칸나비디올 및 글리클라자이드를 포함한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칸나비디올 및 글리클라자이드를 포함한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Composition for stimulating insulin secretion in cells comprising cannabidiol and gliclazide and method using the same}
칸나비디올 및 글리클라자이드를 포함한,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대사질환의 일종이다. 당뇨병은 제1형과 제2형으로 구분되는데, 제1형은 인슐린을 생산하지 못하는 것이 원인이 되어 발병한다.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insulin resistance), 즉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 기능이 떨어져 세포가 포도당을 효과적으로 연소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당뇨병의 증상은 체중 감소, 시야 이상, 다뇨, 더딘 상처회복, 구갈, 피로 등이다. 오랜 기간 고혈당 상태가 유지되면 신체에서 망막병증, 신기능 장애, 저림 및 통증과 같은 신경병증 등의 합병증이 유발될 수 있다.
제2형 당뇨병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제로 메트포민(metformin), 로지글리타존(rosiglitazone), 피오글리타존(pioglitazone), 아카보즈(acarbose), 엑세나티드(exenatide), 리라글루티드(liraglutide), 시타글립틴(sitagliptin), 빌다글립틴(vildagliptin), 삭사글립틴(saxagliptin) 등의 약물이 개발된 바 있다. 술포닐우레아는 제2형 당뇨병을 치료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술포닐우레아는 제1형 당뇨병 또는 췌장절제(post-pancreatectomy)와 같이 인슐린 생산이 절대적 결핍(absolute deficiency)인 경우는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술포닐우레아 타입 당뇨 치료 약물에는 아세토헥사미드(acetohexamide), 카르부타미드(carbutamide), 클로로프라미드(chlorpropamide), 글리클라미드(glycyclamide), 메타학사미드(metahexamide), 톨라자미드(tolazamide) 및 톨부타미드(tolbutamide), 글리벤클라미드(glibenclamide), 글리보르누리드(glibornuride), 글리클라자이드(gliclazide), 글리피지드(glipizide), 글리퀴돈(gliquidone), 글리소섹피드(glisoxepide), 글리클로피미드(glyclopyramide), 및 글리메피리드(glimepiride)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약물이 인슐린 분비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지에 대하여는 알려진 바 없다. 더욱이, 이들 약물이 칸나비디올과 조합되어 상승적으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지에 대하여는 알려진 바 없다.
칸나비디올은 대마에 존재하는 화합물이다. 칸나비디올을 함유하는 에피디올렉스(EpidiolexTM)는 한 살 이상의 사람에서 드라베 증후군(Dravet syndrome), 또는 레노-가스토 증후군(Lennox-Gastaut syndrome)과 연관된 발작(seizures)을 치료하는 약물로서 미국 FDA에 의하여 허가되었다.
그러나, 인슐린 분비 세포에서 상승적으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 약물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있다.
일 양상은 칸나비디올 (cannabidiol, CBD),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글리클라자이드 (gliclazide),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칸나비디올 (cannabidiol, CBD),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글리클라자이드 (gliclazide),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세포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칸나비디올 (cannabidiol, CBD),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글리클라자이드 (gliclazide),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칸나비디올은 하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일 수 있다.
칸나비디올, CBD.
상기 칸나비디올은 대마로부터 분리 또는 정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대마 추출물은 대마 줄기, 뿌리, 잎, 꽃, 열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상기 대마 추출물은 대마의 물, 알코올,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로 순차 분획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칸나비디올은 화학적으로 합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칸나비디올은 분리된 것으로 대마 유래 다른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일 있다.
상기 글리클라자이드는 제2형 당뇨병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술포닐우레 타입의 항당뇨 약물이다. 상기 글리클라자이드의 상표명의 일예는 DiamicronTM이다. 상기 글리클라자이드는 하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일 수 있다.
글리클라자이드
용어 "용매화물(solvate)"은 유기 또는 무기 용매에 용매화된 화합물을 말한다. 상기 용매화물은 예를 들어, 수화물이다.
용어 "염"은 화합물의 무기산염, 유기산염, 또는 금속염의 부가염을 말한다. 상기 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일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화합물이 투여되는 유기체에 심각한 자극을 유발하지 않고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과 물성들을 손상시키지 않는 염일 수 있다. 상기 무기산염은 염산염, 브롬산염, 인산염, 황산염, 또는 이황산염일 수 있다. 상기 유기산염은 포름산염, 아세트산염, 프로피온산염, 젖산염, 옥살산염, 주석산염, 말산염, 말레인산염, 구연산염, 푸마르산염, 베실산염, 캠실산염, 에디실염,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벤조산염, 글루콘산염, 메탄술폰산염, 글리콜산염, 숙신산염, 4-톨루엔술폰산염, 갈룩투론산염, 엠본산염, 글루탐산염,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또는 아스파르트산염일 수 있다. 상기 금속염은 칼슘염, 나트륨염, 마그네슘염, 스트론튬염, 또는 칼륨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인슐린 분비 세포일 수 있다. 상기 인슐린 분비 세포는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세포 또는 확립된 세포주일 수 있다. 상기 세포주는 인슐린 분비 종양 세포일 수 있다. 상기 세포는 췌장 세포 및 INS-1 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세포는 췌장 베타 세포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INS-1 세포를 칸나비디올 (cannabidiol, CBD),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글리클라자이드 (gliclazide),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각각 단독으로 접촉시켰을 때에 비하여 상승적으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칸나비디올 (cannabidiol, CBD),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글리클라자이드 (gliclazide),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함량비는 중량 기준으로 (10:1) 내지 (1:10), (8:1) 내지 (1:8), (6:1) 내지 (1:6), (4:1) 내지 (1:4), (3:1) 내지 (1:3), (2.5:1) 내지 (1:2.5), (2:1) 내지 (1:2), (1.5 내지 2.5):1, 1: (1.5 내지 2.5), 또는 약 1: 약 1 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칸나비디올 (cannabidiol, CBD),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함량은 5-500 mg, 10-300 mg, 20-200 mg, 50-150 mg, 50-100 mg, 100-300 mg, 100 mg, 200 mg, 300 mg, 400 mg 또는 500 mg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글리클라자이드 (gliclazide),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함량은 5-500 mg, 10-300 mg, 20-200 mg, 50-150 mg, 50-100 mg, 100-300 mg, 100 mg, 200 mg, 300 mg, 400 mg 또는 500 mg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당뇨병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식품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당뇨병은 제1형 또는 제2형 당뇨병일 수 있다.
용어 "당뇨병(diabetes mellitus)"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대사질환으로, 혈중 포도당 농도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을 말한다. 상기 당뇨병은 제1형 당뇨병 또는 제2형 당뇨병일 수 있다.
용어 "예방"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당뇨병 증상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그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용어 "치료"는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당뇨병 증상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부형제, 희석제 또는 보조제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담체는 예를 들면,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트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기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생리식염수, PBS와 같은 완충액,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미네랄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풍미제, 유화제, 보존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임의의 제형으로 준비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예를 들면, 경구 투여 제형(예를 들면, 분말, 정제, 캡슐, 시럽, 알약, 또는 과립), 또는 비경구 제형(예를 들면, 주사제)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전신 제형, 또는 국부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칸나비디올 (cannabidiol, CBD),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제1 제형으로 제형화되어 있고, 글리클라자이드 (gliclazide),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제2 제형으로 제형화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유효성분을 더 포함하지 않은 것일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은 인슐린 분비 촉진제, 인슐린 감수성 개선제,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은 글리메피리드(glimepiride), 글리벤클라미드(glibenclamide), 레파글리니드(repaglinide), 나테글리니드(nateglinide), 미티글리니드(mitiglinide), 메트포르민(metformin), 로지글리타존(rosiglitazone), 피오글리타존(pioglitazone), 아카보즈(acarbose), 보글리보스(voglibose), 엑세나티드(exenatide), 리라글루티드(liraglutide), 시타글립틴(sitagliptin), 빌다글립틴(vildagliptin), 삭사글립틴(saxagliptin),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은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 생약, 생약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유효성분으로서 글리클라자이드 외의 다른 술로닐우레아 타입 약물을 더 포함하지 않은 것일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상기 식품학적 조성물은 칸나비디올 (cannabidiol, CBD),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글리클라자이드 (gliclazide),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유효한 양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유효한 양"은 예방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투여되는 경우 예방 또는 치료의 효과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상기 유효한 양은 당업자가 선택되는 세포 또는 개체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질환의 중증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환자의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사용된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유효한 양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 당 약 0.5 ㎍ 내지 약 2 g, 약 1 ㎍ 내지 약 1 g, 약 10 ㎍ 내지 약 500 mg, 약 100 ㎍ 내지 약 100 mg, 또는 약 1 mg 내지 약 50 mg일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경피, 피하, 직장,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국소,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예를 들어, 성인 기준으로 약 0.001 ㎎/kg 내지 약 100 ㎎/kg, 약 0.01 ㎎/kg 내지 약 10 ㎎/kg, 또는 약 0.1 ㎎/kg 내지 약 1 ㎎/kg의 범위 내 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1일 1회, 1일 2회 내지 24회, 3일 1회 내지 2회, 1주일에 1회 내지 6회, 2주일에 1회 내지 10회, 3주일에 1회 내지 15회, 4주일에 1회 내지 3회, 또는 1년에 1회 내지 12회 투여될 수 있다.
용어 "개선"은 상기 식품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당뇨병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상기 식품학적 조성물은 칸나비디올 (cannabidiol, CBD),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글리클라자이드 (gliclazide),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단독 또는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상기 조성물은 총 중량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10 중량부 이하, 1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 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또는 0.1 중량부 내지 15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식품학적 조성물은 예를 들어, 우유, 요플레 등의 식품 소재, 식음료,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학적 조성물은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천연 탄수화물은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는 예를 들어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이다.
상기 식품학적 조성물은 또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품학적 조성물은 또한,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칸나비디올 (cannabidiol, CBD),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글리클라자이드 (gliclazide),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세포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접촉시키는 단계는 칸나비디올 (cannabidiol, CBD),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글리클라자이드 (gliclazide),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존재하에서 세포를 배양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접촉시키는 단계는 칸나비디올 (cannabidiol, CBD),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글리클라자이드 (gliclazide),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접촉시키는 단계는 칸나비디올 (cannabidiol, CBD),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개체에 투여하는 제1 투여 단계 및 글리클라자이드 (gliclazide),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개체에 투여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고, 제1 단계 및 제2 단계는 동시, 또는 순차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상기한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당뇨병은 제1형 또는 제2형 당뇨병일 수 있다.
상기 칸나비디올, 글리클라자이드, 용매화물, 염, 약제학적 조성물, 식품학적 조성물, 당뇨병, 예방, 치료, 및 개선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개체는 포유동물, 예를 들면, 인간, 소, 말, 돼지, 개, 양, 염소 또는 고양이일 수 있다.
투여는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일 수 있다. 투여는 예를 들어, 경구, 경피, 피하, 직장,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국소, 코안(intranasal), 기관내(intratracheal), 또는 피내 경로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전신적으로 또는 국부적으로 투여될 수 있고, 단독으로 또는 다른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함께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칸나비디올, 글리클라자이드,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 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예를 들어, 성인 기준으로 약 0.001 ㎎/kg 내지 약 100 ㎎/kg, 약 0.01 ㎎/kg 내지 약 10 ㎎/kg, 또는 약 0.1 ㎎/kg 내지 약 1 ㎎/kg의 범위 내 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1일 1회, 1일 다회, 또는 1주일에 1회, 2주일에 1회, 3주일에 1회, 또는 4주일에 1회 내지 1년에 1회 투여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칸나비디올,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글리클라자이드,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기 위한 조성물은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효과적으로 촉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른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 방법에 의하면,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효과적으로 촉진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CBD 및 각 항당뇨 화합물이 INS-1 세포의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각 화합물이 INS-1 세포에 대한 포도당 자극 지수(GSI)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CBD와 각 화합물의 조합이 INS-1 세포의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CBD 및 각 화합물 조합이 INS-1 세포에 대한 포도당 포도당 자극 지수(GSI)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INS-1 세포에 대한 CBD와 글리클라자이드 (gliclazide)의 조합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CBD 및 글리클라자이드 (gliclazide) 조합의 포도당 자극 지수(GSI)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CBD와 항당뇨 화합물의 혼합 사용을 통한 병용 약물 소재 개발
본 실시예에서는 CBD와 항당뇨 화합물의 병용을 통하여 인슐린 분비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상승적으로 촉진할 수 있는 조합을 확인하였다. 사용된 항당뇨 화합물은 글리클라자이드(gliclazide), 글리메피라이드(glimepiride), 시타글리핀(sitagliptin), 메트포민(metformin), 피오글리타존(pioglitazone), 및 로지글리타존(rosiglitazone)이었다. 인슐린 분비 세포는 INS-1 세포를 사용하였다.
칸나비디올 화합물은 서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의 마약류(대마) 학술연구자 허가(제2083호 및 제721호)를 바탕으로 네오켄바이오㈜에서 대마로부터 분리한 것을 사용하였다. 글리클라자이드(gliclazide), 글리메피라이드(glimepiride), 피오글리타존(pioglitazone), 및 로지글리타존(rosiglitazone)은 시그마 알드리치(Sigma Aldrich, USA)에서 구입하였다. 시타글리핀(sitagliptin)은 이노베이션켐(eNovationChem, USA)에서 구입하였다, 메트포민(metformin)은 수펠코(Supelco, USA)에서 구입하였다. 사용된 화합물 중 글리클라자이드와 글리메피라이드는 동일한 술로닐우레아 타입에 속하는 약물이다.
1. INS-1 세포 배양
세포주 INS-1(Biohermes, China)는 X-선 유도된 쥐(rat) 췌장의 랑게르한스 섬 베타 세포 유래의 인슐린종(insulinoma) 세포로서, 인슐린 분비능을 갖는다. INS-1 세포주는 포도당-자극 인슐린 분비(Glucose-stimulated insulin secretion, GSIS) 능력을 갖는다.
INS-1 세포를 37℃ 90% 공기 및 10% CO2 상태에서 10%(v/v) 소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FBS), 100 unit/mL의 페니실린 G, 100 ㎍/mL의 스트렙토마이신, 10 mM HEPES, 2 mM L-글루타민, 1 mM 소듐 피루베이트, 및 0.05 mM 2-머캅토에탄올이 보충된 RPMI1640 (Cellgro, USA) 배지 10 mL이 포함된 10 cm 배양접시에서 부착 배양하였다. 상기 언급된 성분 중 제조사 언급이 없는 시약은 Gibco BRL, Life Technologies로부터 구입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INS-1세포는 20회 이상 계대 배양된 것을 사용하였다.
2. CBD 및 항당뇨 화합물의 세포 독성 확인
CBD 및 상기 항당뇨 화합물의 INS-1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을 측정하였다.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배지 100 ㎕를 분주하고, 웰 당 1x104 개의 INS-1 세포를 배지에 가하였다. 세포를 37℃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여 세포를 안정화시켰다.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와 CBD 및 상기 화합물의 각각을 혼합하여 CBD 및 상기 화합물의 각각이 최종 농도 0.1%로 용해된 용액을 제조하였다. DMSO는 시그마 알드리치(Sigma Aldrich, USA)에서 구입하였다. 상기 제조된 CBD와 화합물의 각각을 포함하는 용액을 각 웰의 RPMI1640 (Cellgro, USA) 배지에 지정된 농도로 희석하여 첨가하고, 37℃에서 24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상기 지정된 농도는 항당뇨 화합물의 경우 0μM, 6.2 μM, 12.5 μM, 및 18.7 μM이고, CBD의 경우 0μM, 12.5 μM, 25.0 μM, 50.0 μM, 및 100.0 μM이다.
10 ㎕의 EZ-Cytox cell viability assay kit (Dogen, Korea) 시약을 각 웰에 첨가 후, 세포를 37℃에서 1 시간 동안에 배양하였다. 그 후, BIO-TEK(Winooski, USA)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로 450 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cell viability)(%)은 하기 식으로 산출하였다:
세포 생존율(%) = 시료 첨가구의 흡광도/시료 무첨가구의 흡광도 × 100
도 1a 및 도 1b는 CBD 및 각 항당뇨 화합물이 INS-1 세포의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a 및 도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화합물은 세포에 대하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3. CBD와 6개 항당뇨 화합물의 포도당-자극 인슐린 분비능(Glucose-stimulated insulin secretion, GSIS)의 확인
아래와 같이 CBD와 6개 항당뇨 화합물의 포도당-자극 인슐린 분비능(GSIS)을 측정하였다. 12-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상기 RPMI1640 배지 2 mL를 분주하고, 웰 당 5x105 개의 INS-1 세포를 배지에 가하였다. 세포를 37℃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여 세포를 안정화시켰다. 114 mM NaCl, 4.4 mM KCl, 1 mM MgSO4, 1.28 mM CaCl2, 29.5 mM NaHCO3, 10 mM HEPES(Gibco BRL Life Technologies), 및 0.1%(v/v) 소혈청 알부민(BSA)을 혼합한 후 수소 이온 농도를 pH 7.4로 맞춘 2 mL의 크렙스-링거 완충액(Krebs-Ringer buffer)으로 2회 세척하였다. 그 후, 세척된 세포에 2 mL의 크렙스-링거 완충액을 첨가하고 1시간 배양한 후, 각 화합물을 지정된 농도로 함유한 크렙스-링거 완충액 1.8 mL 중에서 세포를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지정된 농도는 0μM, 6.2 μM, 12.5 μM, 및 18.7 μM이다.
각 웰에 33 mM 또는 167 mM 포도당을 함유한 크렙스-링거 완충액(Krebs-Ringer buffer) 0.2 mL를 각각 첨가하고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4 ℃에서 10 분간 12,000 rpm으로 원심분리한 뒤, 상층액을 취하여 Rat insulin RIA kit (Gentaur Molecular Products, Belgium)로 인슐린 양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포도당 자극지수(glucose stimulation index: GSI)는 표 1에 나타내었다. 포도당 자극 지수(glucose stimulation index: GSI)는 하기 식으로 산출하였다:
포도당 자극 지수(GSI) = 16.7 mM 포도당 농도의 자극에 의해 분비된 인슐린의 양 / 3.3 mM 포도당 농도의 자극에 의해 분비된 인슐린의 양
표 1 및 도 2는 각 화합물이 INS-1 세포에 대한 포도당 자극 지수(GSI)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화합물 농도(μM) 포도당 자극 지수(GSI)
CBD 3.1 2.01 ± 0.26
6.2 2.92 ± 0.37
12.5 4.82 ± 0.21
글리클라자이드 6.2 3.11 ± 0.49
12.5 6.15 ± 0.17
18.7 8.09 ± 0.32
글리메피라이드 6.2 5.11 ± 0.34
12.5 7.77 ± 0.14
18.7 9.54 ± 0.28
시타글립틴 6.2 2.04 ± 0.21
12.5 3.51 ± 0.21
18.7 5.85 ± 0.11
피오글리타존 6.2 1.11 ± 0.11
12.5 1.18 ± 0.31
18.7 1.18 ± 0.11
로지글리타존 6.2 1.04 ± 0.02
12.5 1.52 ± 0.14
18.7 1.41 ± 0.22
메트포민 6.2 1.46 ± 0.29
12.5 1.47 ± 0.35
18.7 1.72 ± 0.23
표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CBD (6.2, 및 12.5 μM), 글리클라자이드 (6.2, 12.5, 및 18.7 μM), 글리메피라이드 (6.2, 12.5, 및 18.7 μM), 및 시타글립틴 (12.5, 및 18.7 μM)은 각각 처리 시 농도 의존적으로 인슐린 분비가 증가하였다. 반면, 피오글리타존, 로지글리타존, 및 메트포민은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없었다. 도 2에서, 대조군(0 μM) 대하여, *p < 0.05. 또한, 대조군(0 μM)에서 포도당 자극 지수(GSI)는 1.61 ± 0.11이었다.
4. CBD와 항당뇨 화합물(글리클라자이드, 글리메피라이드, 및 시타글립틴)의 공동처리 시 세포 독성 확인
CBD와 3개 항당뇨 화합물 각각의 INS-1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을 측정하였다.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배지 100 ㎕를 분주하고, 웰 당 1x104 개의 INS-1 세포를 배지에 가하였다. 세포를 37℃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여 세포를 안정화시켰다. 각 웰에 화합물을 지정된 농도로 첨가하고, 37℃에서 24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상기 지정된 농도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10 ㎕의 EZ-Cytox cell viability assay kit (Dogen, Korea) 시약을 각 웰에 첨가 후, 세포를 37℃에서 1 시간 동안에 배양하였다. 그 후, BIO-TEK(Winooski, USA)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로 450 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cell viability)(%)은 하기 식으로 산출하였다:
세포 생존율(%) = 시료 첨가구의 흡광도/시료 무첨가구의 흡광도 × 100
도 3은 CBD와 각 화합물의 조합이 INS-1 세포의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CBD와 각 화합물의 조합은 세포에 대하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5. CBD와 각 3개 항당뇨 화합물의 조합의 포도당-자극 인슐린 분비능(Glucose-stimulated insulin secretion, GSIS)의 확인
아래와 같이 CBD와 각각 3개 항당뇨 화합물의 조합의 포도당-자극 인슐린 분비능(GSIS)을 측정하였다. 12-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상기 RPMI1640 배지 2 mL를 분주하고, 웰 당 5x105 개의 INS-1 세포를 배지에 가하였다. 세포를 37℃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여 세포를 안정화시켰다. 114 mM NaCl, 4.4 mM KCl, 1 mM MgSO4, 1.28 mM CaCl2, 29.5 mM NaHCO3, 10 mM HEPES(Gibco BRL Life Technologies), 및 0.1%(v/v) 소혈청 알부민(BSA)을 혼합한 후 수소 이온 농도를 pH 7.4로 맞춘 2 mL의 크렙스-링거 완충액(Krebs-Ringer buffer)으로 2회 세척하였다. 그 후, 세척된 세포에 2 mL의 크렙스-링거 완충액을 첨가하고 1시간 배양한 후, CBD와 각 항당뇨 화합물을 지정된 농도로 함유한 크렙스-링거 완충액 1.8 mL 중에서 세포를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지정된 농도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각 웰에 33 mM 또는 167 mM 포도당을 함유한 크렙스-링거 완충액(Krebs-Ringer buffer) 0.2 mL를 각각 첨가하고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4 ℃에서 10 분간 12,000 rpm으로 원심분리한 뒤, 상층액을 취하여 Rat insulin RIA kit (Gentaur Molecular Products, Belgium)로 인슐린 양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포도당 자극지수(Stimulation index: GSI)는 표 2에 나타내었다. 포도당 자극 지수(glucose stimulation index: GSI)는 하기 식으로 산출하였다:
포도당 자극 지수(GSI) = 16.7 mM 포도당 농도의 자극에 의해 분비된 인슐린의 양 / 3.3 mM 포도당 농도의 자극에 의해 분비된 인슐린의 양
표 2 및 도 4는 CBD 및 각 화합물 조합이 INS-1 세포에 대한 포도당 포도당 자극 지수(GSI)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화합물1 농도(μM) 화합물2 농도(μM) 포도당 자극 지수(GSI)
CBD 0 글리클라자이드 0 1.61 ± 0.11
CBD 0 글리클라자이드 6.2 3.12 ± 0.11
CBD 0 글리클라자이드 12.5 6.98 ± 0.16
CBD 0 글리클라자이드 18.7 8.12 ± 0.31
CBD 12.5 글리클라자이드 0 4.79 ± 0.15
CBD 12.5 글리메피라이드 6.2 10.23 ± 0.35
CBD 0 글리메피라이드 0 1.61 ± 0.28
CBD 0 글리메피라이드 6.2 5.12 ± 0.19
CBD 0 글리메피라이드 12.5 7.29 ± 0.13
CBD 0 글리메피라이드 18.7 9.54 ± 0.29
CBD 12.5 글리메피라이드 0 4.85 ± 0.15
CBD 12.5 글리메피라이드 6.2 7.34 ± 0.15
CBD 0 시타글립틴 0 1.61 ± 0.18
CBD 0 시타글립틴 6.2 2.51 ± 0.29
CBD 0 시타글립틴 12.5 3.27 ± 0.33
CBD 0 시타글립틴 18.7 5.81 ± 0.29
CBD 12.5 시타글립틴 0 2.98 ± 0.35
CBD 12.5 시타글립틴 12.5 4.34 ± 0.35
표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6.2, 12.5, 및 18.7 μM 글리클라자이드 처리시 세포내 인슐린 분비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12.5 μM CBD와 6.2 μM 글리클라자이드 공동처리 시 인슐린 분비를 상승적으로 증가시켰다. 또한, 12.5 μM CBD와 6.2 μM 글리클라자이드 공동처리한 경우의 포도당 자극지수는 18.7 μM 글리클라자이드를 단독 처리한 경우의 인슐린 자극지수보다 컸다. 즉, CBD와 글리클라자이드의 조합은 예기치 않게 인슐린 분비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상승적으로 증가시켰으며, 이는 통상의 기술자가 예기치 않은 놀라운 효과인 것이다.또한, 6.2, 12.5, 및 18.7 μM 글리메피라이드 처리시 세포내 인슐린 분비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글리메피라이드의 인슐린 분비 촉진 효과는 동일한 농도의 글리클라자이드 보다 우수하였다. 그러나, 12.5 μM CBD와 6.2 μM 글리메피라이드 공동처리한 경우의 포도당 자극지수는 18.7 μM 글리메피라이드를 단독 처리한 경우의 포도당 자극지수보다 작았다. 즉, CBD와 글리메피라이드의 조합은 인슐린 분비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상승적으로 증가시키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단독 처리한 경우 보다 인슐린 분비를 더 감소시켰다.
글리클라자이드와 글리메피라이드는 동일한 술포닐우레아 타입 약물이고 글리메피라이드를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 글리클라자이드를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 촉진 효과가 더 우수하였던 것을 고려하면, CBD와 글리클라자이드의 조합이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상승적으로 촉진하는 효과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예기치 않은 놀라운 효과이다.
또한, 12.5, 및 18.7 μM 시타글립틴 처리시 세포내 인슐린 분비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시타글립틴의 인슐린 분비 촉진 효과는 동일한 농도의 글리클라자이드 또는 글리메피라이드의 경우 보다는 약하였다. 또한, 6.2 μM CBD와 12.5 μM 시타글립틴 공동처리한 경우 인슐린 분비를 상승적으로 증가시키지 않았다. 도 4에서, 대조군(0 μM) 대하여, *p < 0.05.
6. CBD와 항당뇨 화합물 글리클라자이드의 공동처리 시 세포 독성 확인
CBD와 글리클라자이드 (gliclazide) 함량비를 중량 기준으로 (10:1) 내지 (1:10), (8:1) 내지 (1:8), (6:1) 내지 (1:6), (4:1) 내지 (1:4), (2:1) 내지 (1:2), 및 (1:1)로 선정하여, 각각의 INS-1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을 측정하였다.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배지 100 ㎕를 분주하고, 웰 당 1x104 개의 INS-1 세포를 배지에 가하였다. 세포를 37℃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여 세포를 안정화시켰다. 각 웰에 화합물을 지정된 농도로 첨가하고, 37℃에서 24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상기 지정된 농도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10 ㎕의 EZ-Cytox cell viability assay kit (Dogen, Korea) 시약을 각 웰에 첨가 후, 세포를 37℃에서 1 시간 동안에 배양하였다. 그 후, BIO-TEK(Winooski, USA)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로 450 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cell viability)(%)은 하기 식으로 산출하였다:
세포 생존율(%) = 시료 첨가구의 흡광도/시료 무첨가구의 흡광도 × 100
도 5는 INS-1 세포에 대한 CBD와 글리클라자이드 (gliclazide)의 조합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CBD와 글리클라자이드 (gliclazide)의 중량 기준으로 함량비 (2:1) 내지 (1:2), 및 (1:1)조합을 제외한 나머지 조합에서 독성을 나타내었다.
7. CBD와 항당뇨 화합물 글리클라자이드 조합의 포도당-자극 인슐린 분비능(Glucose-stimulated insulin secretion, GSIS)의 확인
아래와 같이 CBD와 글리클라자이드 (gliclazide) 함량비를 중량 기준으로 (10:1) 내지 (1:10), (8:1) 내지 (1:8), (6:1) 내지 (1:6), (4:1) 내지 (1:4), (2:1) 내지 (1:2), 및 1:1로 선정한 후, 각각 조합의 포도당-자극 인슐린 분비능(GSIS)을 측정하였다. 12-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상기 RPMI1640 배지 2 mL를 분주하고, 웰 당 5x105 개의 INS-1 세포를 배지에 가하였다. 세포를 37℃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여 세포를 안정화시켰다. 114 mM NaCl, 4.4 mM KCl, 1 mM MgSO4, 1.28 mM CaCl2, 29.5 mM NaHCO3, 10 mM HEPES(Gibco BRL Life Technologies), 및 0.1%(v/v) 소혈청 알부민(BSA)을 혼합한 후 수소 이온 농도를 pH 7.4로 맞춘 2 mL의 크렙스-링거 완충액(Krebs-Ringer buffer)으로 2회 세척하였다. 그 후, 세척된 세포에 2 mL의 크렙스-링거 완충액을 첨가하고 1시간 배양한 후, CBD와 글리클라자이드 (gliclazide)을 지정된 농도로 함유한 크렙스-링거 완충액 1.8 mL 중에서 세포를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지정된 농도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다.
각 웰에 33 mM 또는 167 mM 포도당을 함유한 크렙스-링거 완충액(Krebs-Ringer buffer) 0.2 mL를 각각 첨가하고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4 ℃에서 10 분간 12,000 rpm으로 원심분리한 뒤, 상층액을 취하여 Rat insulin RIA kit (Gentaur Molecular Products, Belgium)로 인슐린 양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포도당 자극지수(Stimulation index: GSI)는 표 3에 나타내었다. 포도당 자극 지수(glucose stimulation index: GSI)는 하기 식으로 산출하였다:
포도당 자극 지수(GSI) = 16.7 mM 포도당 농도의 자극에 의해 분비된 인슐린의 양 / 3.3 mM 포도당 농도의 자극에 의해 분비된 인슐린의 양
표 3 및 도 6은 CBD 및 글리클라자이드 (gliclazide) 조합의 포도당 자극 지수(GSI)를 나타낸 것이다.
화합물1 농도(μM) 화합물2 농도(μM) 포도당 자극 지수(GSI)
CBD 0 글리클라자이드 0 1.65 ± 0.11
CBD 0 글리클라자이드 6.2 3.11 ± 0.21
CBD 6.2 글리클라자이드 0 3.09 ± 4.84
CBD 6.2 글리클라자이드 6.2 4.84 ± 0.13
CBD 0 글리클라자이드 0 1.49 ± 0.19
CBD 0 글리클라자이드 12.5 6.39 ± 0.19
CBD 6.2 글리클라자이드 0 3.39 ± 0.19
CBD 6.2 글리클라자이드 12.5 7.94 ± 0.55
CBD 0 글리클라자이드 0 1.41 ± 0.21
CBD 0 글리클라자이드 6.2 2.92 ± 0.21
CBD 12.5 글리클라자이드 0 4.29 ± 0.25
CBD 12.5 글리클라자이드 6.2 10.23 ± 0.35
CBD 0 글리클라자이드 0 1.39 ± 0.42
CBD 0 글리클라자이드 24.8 9.91 ± 0.13
CBD 6.2 글리클라자이드 0 3.99 ± 0.29
CBD 6.2 글리클라자이드 24.8 9.94 ± 0.35
CBD 0 글리클라자이드 0 1.55 ± 0.31
CBD 0 글리클라자이드 6.2 3.31 ± 0.22
CBD 24.8 글리클라자이드 0 6.59 ± 0.27
CBD 24.8 글리클라자이드 6.2 10.84 ± 0.25
CBD 0 글리클라자이드 0 1.39 ± 0.23
CBD 0 글리클라자이드 37.2 13.91 ± 0.13
CBD 6.2 글리클라자이드 0 3.29 ± 0.27
CBD 6.2 글리클라자이드 37.2 13.94 ± 0.43
CBD 0 글리클라자이드 0 1.52 ± 0.21
CBD 0 글리클라자이드 6.2 3.31 ± 0.11
CBD 37.2 글리클라자이드 0 7.09 ± 0.27
CBD 37.2 글리클라자이드 6.2 11.34 ± 0.31
CBD 0 글리클라자이드 0 1.33 ± 0.31
CBD 0 글리클라자이드 49.6 13.31 ± 0.31
CBD 6.2 글리클라자이드 0 3.15 ± 0.17
CBD 6.2 글리클라자이드 49.6 13.84 ± 0.13
CBD 0 글리클라자이드 0 1.45 ± 0.11
CBD 0 글리클라자이드 6.2 3.51 ± 0.11
CBD 49.6 글리클라자이드 0 10.04 ± 0.17
CBD 49.6 글리클라자이드 6.2 12.84 ± 0.25
CBD 0 글리클라자이드 0 1.52 ± 0.23
CBD 0 글리클라자이드 62 18.64 ± 0.41
CBD 6.2 글리클라자이드 0 3.51 ± 0.37
CBD 6.2 글리클라자이드 62 18.94 ± 0.51
CBD 0 글리클라자이드 0 1.32 ± 0.15
CBD 0 글리클라자이드 6.2 3.15 ± 0.24
CBD 62 글리클라자이드 0 13.19 ± 0.25
CBD 62 글리클라자이드 6.2 14.74 ± 0.34
표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12.5 μM CBD와 6.2 μM 글리클라자이드 개별 처리시 세포내 인슐린 분비가 증가하였으며, 12.5 μM CBD와 6.2 μM 글리클라자이드 공동처리 시 인슐린 분비를 상승적으로 증가시켰다. CBD와 글리클라자이드 함량비를 중량 기준으로 (2:1)로 조합하여 처리하였을 때, CBD와 글리클라자이드 각각을 단독 처리한 경우의 인슐린 자극지수보다 컸다. 즉, CBD와 글리클라자이드의 조합 (2:1)은 예기치 않게 인슐린 분비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상승적으로 증가시켰으며, 이는 통상의 기술자가 예기치 않은 놀라운 효과인 것이다. 도 6에서, 대조군(0 μM) 대하여, *p < 0.05.

Claims (14)

  1. 칸나비디올 (cannabidiol, CBD),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글리클라자이드 (gliclazide),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기 위한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췌장 세포 및 INS-1 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INS-1 세포를 칸나비디올 (cannabidiol, CBD),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글리클라자이드 (gliclazide),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각각 단독으로 접촉시켰을 때에 비하여 상승적으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 것인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칸나비디올 (cannabidiol, CBD),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글리클라자이드 (gliclazide),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함량비는 중량 기준으로 (3:1) 내지 (1:3), 또는 (1.5 내지 2.5):1인 것인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당뇨병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식품학적 조성물.
  7.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당뇨병은 제1형 당뇨병인 것인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칸나비디올 (cannabidiol, CBD),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제1 제형으로 제형화되어 있고,
    글리클라자이드 (gliclazide),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제2 제형으로 제형화되어 있는 것인 조성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제1 제형과 제2 제형은 서로 다른 것인 조성물.
  10. 칸나비디올 (cannabidiol, CBD),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글리클라자이드 (gliclazide),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세포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접촉시키는 단계는 칸나비디올 (cannabidiol, CBD),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글리클라자이드 (gliclazide),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접촉시키는 단계는 칸나비디올 (cannabidiol, CBD),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개체에 투여하는 제1 투여 단계 및 글리클라자이드 (gliclazide), 이의 용매화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개체에 투여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고, 제1 단계 및 제2 단계는 동시, 또는 순차로 수행되는 것인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것인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당뇨병은 제1형 당뇨병인 것인 방법.
KR1020220116435A 2022-09-15 2022-09-15 칸나비디올 및 글리클라자이드를 포함한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2400376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435A KR20240037655A (ko) 2022-09-15 2022-09-15 칸나비디올 및 글리클라자이드를 포함한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435A KR20240037655A (ko) 2022-09-15 2022-09-15 칸나비디올 및 글리클라자이드를 포함한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7655A true KR20240037655A (ko) 2024-03-22

Family

ID=90481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435A KR20240037655A (ko) 2022-09-15 2022-09-15 칸나비디올 및 글리클라자이드를 포함한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76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566B1 (ko)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74442B1 (ko)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카테킨 생체 이용률 증진제
EP1600155A1 (en) The use of polyols in combating yeast infection and polyol preparations for said use
KR102208559B1 (ko) 서덜취 유래 디카페오일퀴닉산을 포함한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1923153B1 (ko) 갈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분화 촉진용 조성물
US9724320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renal fibrosis comprising dimethylfumarate as active ingredient
KR20240037655A (ko) 칸나비디올 및 글리클라자이드를 포함한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090045721A (ko) 수면장애 개선용 조성물
KR102656187B1 (ko) 배초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780718B1 (ko) 도라지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00129596A (ko) 초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40103A (ko) 틱장애, 뚜렛증후군 또는 강박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93613A (ko) 디하이드로진저론을 함유하는 혈당 강하용 조성물
KR102489829B1 (ko) 흑하랑상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면유도용 조성물
KR102531146B1 (ko) 물대(Arundo donax)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25252A (ko) 웨스트증후군을 포함하는 뇌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0544711B1 (ko) 항암효능을 갖는 비타민 k3 및 퀘르세틴을 포함하는 식품
US20200157031A1 (en) Novel compound hexadecaphlorethol isolated from ishige okamurae and use thereof
KR101886802B1 (ko) 카테킨 생체 이용률 증진제
KR102152182B1 (ko) 큰뱀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 증상 또는 스트레스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06284A (ko) 비파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65499A (ko) 6-디아조-5-옥소-l-노르류신의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치료 용도
KR20200037172A (ko) 큰뱀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06283A (ko) 비파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56426A (ko) 고려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심근 손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