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7237A - Tlr4 수용체의 신규 합성 효능제 - Google Patents

Tlr4 수용체의 신규 합성 효능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7237A
KR20240037237A KR1020247001870A KR20247001870A KR20240037237A KR 20240037237 A KR20240037237 A KR 20240037237A KR 1020247001870 A KR1020247001870 A KR 1020247001870A KR 20247001870 A KR20247001870 A KR 20247001870A KR 20240037237 A KR20240037237 A KR 20240037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reaction
saturated
alkyl chain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1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란체스코 페리
알레시오 로메리오
시모나 다마토
Original Assignee
유니베르시타 데글리 스투디 디 밀라노-비코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IT102021000019544A external-priority patent/IT202100019544A1/it
Application filed by 유니베르시타 데글리 스투디 디 밀라노-비코카 filed Critical 유니베르시타 데글리 스투디 디 밀라노-비코카
Publication of KR20240037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72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3/00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 C07H13/02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by carboxylic acids
    • C07H13/04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by carboxylic acids having the esterifying carboxyl radicals attache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H13/06Fatty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C07F7/1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as well as one or more C—O—Si linkages
    • C07F7/1804Compounds having Si-O-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4Esters of 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immunostimulating additives, e.g. chemical adjuv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C07F7/1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as well as one or more C—O—Si linkages
    • C07F7/1804Compounds having Si-O-C linkages
    • C07F7/1872Preparation; Treatments not provided for in C07F7/20
    • C07F7/188Preparation; Treatments not provided for in C07F7/20 by reactions involving the formation of Si-O link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547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 C07F9/655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oxygen atoms, with or without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F9/6552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oxygen atoms, with or without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the oxygen atom being part of a six-membered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00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sugar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00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sugar derivatives
    • C07H1/02Phosphory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23/00Compounds containing boron, silicon, or a metal, e.g. chelates, vitamin B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mmu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 톨-유사 수용체 4 (TLR4)의 효능제 활성을 갖는 신규 합성 분자, 그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면역 반응을 유도하거나 증가시키는 것이 유용한 질환의 치료를 위한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들 새로운 합성 분자는 화학식의 단순성, 제조의 용이성 및 저렴함, 및 물리화학적 특성을 변형시키고 다른 분자 (예를 들어 단백질 항원)에의 접합을 가능하게 하는 추가의 화학적 가공의 가능성으로 인해 다른 유사한 효능제와 구별된다.

Description

TLR4 수용체의 신규 합성 효능제
본 발명은 인간 톨-유사 수용체 4 (TLR4)의 효능제 활성을 갖는 신규 합성 분자, 그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특히 면역 반응을 유도하거나 증가시키는 것이 유용한 질환의 치료를 위한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선천성 면역은 병원체 및 세포 손상에 대한 고등 유기체의 1차 방어이다. 이는 특이적 단백질 수용체에 의한 병원체 또는 세포 손상과 연관된 특이적 분자 구조 (각각 PAMP 및 DAMP)의 인지에 기초한다. 이러한 수용체는 패턴 인지 수용체 (PRR)로 공지되어 있고, 세포내에서, 시토졸에서 또는 막 상에서의 그의 국재화, 및 그의 기능에 따라 다양한 유형일 수 있다.
특히 가장 많이 연구된 수용체는 톨-유사 수용체 (TLR) 패밀리의 수용체이며, 그의 주요 역할은 상이한 PAMP를 인지하고, 염증을 통해 병원체의 존재에 대해 신체를 경계하게 하고, 감염과 싸우기 위해 다른 면역 세포를 동원하고, 이에 따라 이러한 위협에 대해 가장 적절하고 특이적인 방어인 적응 면역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개시하는 것이다.
실제로, 병원체에 대한 선천성 면역 반응은 적응 면역 반응의 성질 및 강도 둘 다를 결정하는 데 결정적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TLR 활성화제 (효능제)의 개발은 염증성 자극이 치료적 관점에서 유익한 것인 제약 관련성을 갖는다: 예는 암 면역요법을 위한 약물 및 백신 아주반트이다. 첫 번째 경우에, 염증유발 활성은 종양 환경에서 면역계의 재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고, 따라서 이는 종양을 파괴할 수 있다 (Bhatia S, Miller NJ, Lu H, et al. Intratumoral G100, a TLR4 agonist, induces antitumor immune responses and tumor regression in patients with Merkel cell carcinoma. Clin Cancer Res. 2019;25(4):1185-1195. doi:10.1158/1078-0432.CCR-18-0469).
두 번째 경우에, 현대 백신은 더 이상 전체 불활성화된 병원체를 사용하지 않으며 이는 아주반트 없이 정확한 염증 반응을 자극할 수 없는 그의 서브유닛을 사용하기 때문에, 염증유발 활성이 유리하다. 현재까지, TLR 수용체에 결합하고 활성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소분자가 존재하고, 이들 중 일부는 아주반트, 예컨대 이미다조퀴놀린 TLR7/8 효능제, 예컨대 이미퀴모드 및 레시퀴모드, 뿐만 아니라 Pam2CS-유형 TLR2/TLR6 효능제 및 TLR4 효능제, 예컨대 모노포스포릴 지질 A (MPL) 및 아미노알킬 글루코사미니드-4-포스페이트 (AGP, 또한 코릭사(Corixa) 화합물, CRX로도 지칭됨)로서 사용된다.
TLR 중에서, TLR4는 높은 약리학적 관심사이다: 그의 활성화는 선천성 면역 및 적응 면역을 자극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식이다. 실제로, TLR4는 2종의 상이한 별개의 세포 기능 메카니즘을 나타내며, 이는 보다 큰 보다 불균질한 세트의 염증유발 시토카인의 방출로 이어져 보다 완전한 면역 반응을 유발한다.
TLR4의 천연 효능제는 그람-음성 박테리아의 외막의 주요 성분인 리포폴리사카라이드 (LPS)이다. 이는 3개의 부분: O-항원으로 불리는 긴 폴리사카라이드 쇄, 코어로 불리는 보다 짧은 올리고사카라이드, 및 마지막으로 통상적으로 2개의 포스페이트 및 다양한 수의 아실 쇄와 연결된 2개의 글루코사민에 의해 형성되는 분자의 면역원성 부분인 지질 A (lpd A)으로 나뉠 수 있다.
지질 A 효능작용 활성은 선천성 면역 세포, 즉 대식세포 및 수지상 세포의 표면 상에서의 (TLR4/MD-2/LPS)2 복합체의 형성을 수반하는 TLR4 보조-수용체, 골수 분화 인자 2 (MD-2)에 대한 그의 결합 친화도 (결합 능력)에 기초한다.
LPS에 의한 TLR4 수용체의 활성화 과정은 용액 중 개별 LPS 분자 또는 응집체와 지질 결합 단백질 (LBP)과의 상호작용으로, LPS 분자와 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 후에, LPS 분자는 LBP로부터 보조-수용체 CD14로 전달되고, 이는 다시 MD-2에서 옮겨진다.
그러나, lpd A는 심지어 대략 피코그램의 양에서도 독성이고, 결과적으로 약리학적으로 사용될 수 없다 (Molinaro A, Holst O, Lorenzo F Di, et al. Chemistry of lipid a: At the heart of innate immunity. Chem - A Eur J. 2015;21(2):500-519. doi:10.1002/chem.201403923).
지질 A와 유사한 구조를 갖지만 약화된 내독성을 갖는 합성 및 천연 분자는 독성 효과를 제거하면서 면역자극 활성을 유지한다는 점에서 백신 아주반트로서 흥미로운 후보이다.
모노포스포릴 지질 A (MPL)는 C1 포스페이트 기의 부재를 제외하고는 지질 A와 동일한 분자이다. 매우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염증 활성은 천연 분자의 염증 활성의 단지 0.1%이고, 그의 약리학적 프로파일은 매우 우수하여 백신 아주반트로서 사용하기 위해 FDA에 의해 승인되었다. 상기 분자는 현재 서바릭스(Cervarix) 및 펜드릭스(Fendrix) 백신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오늘날 사용되는 MPL 아주반트는 천연 LPS로부터 직접 생성되는 것과 같이 화학적으로 불균질하다.
또한, 이들 디사카라이드 화합물의 합성은 매우 길고 복잡하여, 약 200 eur/mg의 최종 가격을 초래한다. 이러한 이유로, 바람직하게는 보다 간단한 합성 경로를 통해 수득가능한, 공지된 유사체의 동일한 유리한 특징을 공유하거나 또는 심지어 개선된, 모노사카라이드 구조를 갖는 추가의 지질 A 유사체를 개발하는 것이 관심을 끈다.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모노사카라이드 지질 A 유사체의 예는 AGP (CRX 아주반트, 코릭사로도 공지됨)로 명명된 합성 화합물에 의해 나타내어지며, 아미노알킬 아글리콘 N-아실레이트의 단위에 글리코시드화에 의해 연결된 모노사카라이드 단위를 포함한다.
AGP는 TLR4의 강력한 효능제이고, 화학적 합성에 의해 생성되고, 화학적으로 균질하다.
추가로, TLR4의 활성화에 여전히 효과적인 지질 A의 보다 단순한 유사체는 지질 A의 환원 부분 또는 비-환원 부분을 모방하는 모노인산화 모노사카라이드 유도체를 포함한다 (하기 식).
Figure pct00001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화합물의 다른 예는 화합물 GLA 63 및 GLA60 (상기 식)에 의해 나타내어지며, 위치 C4에서의 인산화된 글루코피라노시드 골격, C2에서의 14-탄소 선형 쇄 및 C3에서의 분지형 쇄 (GLA 63에서 14 + 14 또는 GLA 60에서 14 + 12개 탄소)를 포함한다 (Motohiro Matsuura, Makoto Kiso 및 Akira Hasegawa Infect. Immun. 1999, 67(12), 6286-6292). 지질 A를 부분적으로 모방하고 지질 A의 생합성 전구체인 모노사카라이드 지질 X를 모방하는 이들 모노사카라이드는 뮤린 및 인간 세포 둘 다에서 시토카인 TNF-α 및 IL-6의 TLR4-의존성 생산을 자극하는 데 활성을 갖는다.
또한,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화합물 SDZ MRL 953은 뮤린 대식세포 및 호중구 과립구에서 염증성 시토카인, 예컨대 인터류킨-6 (IL-6), 인터류킨-8 (IL-8) 및 TNF-α 인자의 방출을 자극하는 데 있어서 강력한 활성을 나타내었고, 동시에 모 내독소 (살모넬라 아보르투스 에퀴(Salmonella abortus equi))와 비교하여 갈락토사민-감작 마우스에서 적어도 104배 만큼 감소된 독성을 나타내었다.
실험적 미생물 감염 모델에서, 화합물은 골수-억제 또는 면역적격 마우스에서 예방적으로 1회 또는 3회 투여되는 경우에 고도로 보호 효과를 갖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SDZ MRL 953으로 반응의 50%에 도달하는 데 효과적인 용량은 감염원 및 투여 경로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모든 경우에, 얻어진 EC50은 내독소 살모넬라 아보르투스 에쿠이로 얻어진 것보다 약 103배 더 크다.
그러나, 낮은 독성 덕분에, 예를 들어 LD25/ED75로 표현되는 상기 분자의 치료 지수는 내독소에 비해 유의하게 개선되었고, 감염원 및 투여 경로에 따라 약 5 내지 >500의 범위였다.
화합물은 또한 내독소에 대한 내성을 유도하는 데 효율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화합물의 반복된 투여량은 내독소-관련 치사 위험에 대한 일시적 내성 (≥1주)을 유도한다.
모든 이들 긍정적인 결과는 또한, 항생제 요법이 이미 비효율적인 것으로 입증되었었던 에스케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에 의해 유발된 진행성 패혈증의 모델에서 확인되었다: 미생물 접종 1일 전에 SDZ MRL 953의 1회 용량을 사용한 전처리는 투여된 항생제의 치유 효과를 극적으로 증가시켰다. 이러한 이유로, 조합 요법에서 면역자극제의 증분 용량으로 장기 생존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동물 및 시험관내에서 SDZ MRL 953에 의해 입증된 내약성으로 인해, 이 화합물을 후속적으로 인간 모델에서 시험하였다.
그의 면역자극 특성과 연관된 살모넬라 아보르투스 에퀴 내독소의 공지된 항종양 활성에 기초하여, 키아니(Kiani) 등 (A. Kiani, A. Tschiersch, E. Gaboriau, F. Otto, A. Seiz, H.-P. Knopf, P. Stuetz, L. Faerber, U. Haus, C. Galanos, R. Mertelsmann, and R. Engelhardt, Blood, 1997, 1673-1683)은 첫째로 인간에서의 그의 생물학적 효과 및 그의 투여 안전성, 및 둘째로 후속 내독소 (LPS) 첨가에 대한 반응에 대한 그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종양-이환된 환자에서 SDZ MRL 953을 투여하는, 대조 배지와 함께 무작위화 이중-맹검 I상 시험을 수행하였다.
SDZ MRL 953 투여는 안전하고 우수한 내약성을 입증하였다. 동일한 SDZ MRL 953은 G-CSF 및 인터류킨-6 (IL-6)의 과립구 카운트 및 혈청 수준을 증가시키지만, 염증유발 시토카인 TNF-α, IL-1b, 및 IL-8은 그렇지 않다.
따라서, SDZ MRL 953은 3가지 관련 특색, 즉 1) 높은 내약성 및 낮은 독성, 2) G-CSF 생산을 유도하는 능력, 및 그에 따른 3) 세포에서의 1차 방어의 증가된 군에 의해 발현되는 비특이적 면역 저항성을 자극하는 능력을 갖는다.
SDZ MRL 953의 임상적 사용에 있어서 고무적인 이들 긍정적인 결과에도 불구하고, 상기 분자의 작용 메카니즘은 아직 분자적 세부사항에 대해 연구되지 않았다.
SDZ MRL 953의 합성은 글루코사민 코어가 위치 C2, C3 및 C4에서 순수한 거울상이성질체로서 3(R)-히드록시미리스트산의 쇄에 결합한다는 점에서 복잡하다. 3-히드록시미리스트산은 라세미체로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지만, SDZ MRL 953의 합성에 사용하기 전에 라세미체로부터 순수한 거울상이성질체 3(R)-히드록시미리스트산을 단리할 필요가 있다.
WO2019/092572는 트리아실화 모노포스포릴 글루코사민 코어 및 위치 C1 상의 1개의 포스페이트 기, 특히 FP112를 갖는 화합물의 추가의 부류를 개시한다.
Figure pct00002
FP112는 lpd A의 환원 말단 및 SDZ MRL 953과 유사하지만, 3개의 완전 포화 및 비치환된 아실 쇄를 갖는 화합물이다. 광학적으로 순수한 아실 쇄의 생성이 그의 합성에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이 화합물은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보다 합성하기에 유의하게 더 용이하다.
FP112는 수많은 염증유발 시토카인의 방출을 자극할 수 있기 때문에 탁월한 약리학적 프로파일을 가지며, 이들 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IL-1α, IL-1β, IL-6, TNF-α 및 IFNβ이다.
FP112는 Hek-블루(Blue), Raw-블루, THP-1 세포 상에서 시험관내에서 광범위하게 시험되었고, 항상 이미 10 μM의 농도에서 낮은 독성 및 우수한 염증유발 활성을 입증하였다.
본 발명의 저자는 TLR4 수용체의 효과적인 효능제인,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과 상이한 트리아실화 모노포스포릴 글루코사민 코어를 갖는 신규 화합물의 군을 확인하였다. 유리하게는, 상기 신규 화합물은 다양한 관심 기로 관능화될 수 있기 때문에 관련 기술분야에 기재된 것들보다 더 다용도이다. 본 발명의 저자는 또한 상기 신규 화합물 뿐만 아니라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다른 화합물의 신규 합성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이는 관련 기술분야에 개시된 방법보다 더 간단하고, 더 빠르고, 덜 비싸다.
본 발명의 저자는 본원에서 하기 화학식 1의 신규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3
여기서 R1은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2는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3은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4는 C6과 적합한 원자 사이의 결합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치환기 및/또는 C6에 결합할 수 있는 산소 또는 질소 원자를 갖는 임의의 치환기이다.
상기 화합물은 명백하게 WO2019/092572에 개시된 화합물과 유사하지만, 그에 비해 여러 이점을 갖는다. 첫번째 이점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분자 구조가 이들을 보다 안정하게 만든다는 사실에 의해 나타난다: 실제로, 유기 화학에서 최상의 이탈기 중 하나인 것으로 공지된 포스페이트 기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위치 C4에서, 상기 논의된 선행 기술의 화합물에 존재하는 C1에서의 포스페이트 기보다 훨씬 더 안정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예로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탈실릴화 반응 (FP20 합성의 반응 5 및 FP11 합성의 반응 6)에서 보다 안정하다.
FP112의 합성 동안 C1 포스페이트의 불안정성은 주요 문제였으며, 포스페이트 분해는 또한 온화한 조건에서 진행되어 2종의 주요 탈인산화된 부산물의 형성과 함께 관찰되었다 (실험 섹션에 제시됨). 또한, FP11의 경우에 정제 수율은 보다 낮았고, 평균 50%였다.
FP20에서, 아노머 포스페이트 절단의 문제 없이 90% 수율 및 무시할만한 정도의 부산물 형성으로 탈실릴화가 우수한 수율로 진행되었다.
두 번째 이점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화학적 합성을 위해 제공되는, 최종 화합물을 수득하기 위해 단지 6개의 합성 단계를 필요로 하는 보다 간단한 방법이고; 더욱이, 크로마토그래피 칼럼에 의한 단지 3회의 정제가 본 발명의 방법에서 충분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다량의 정제 용매의 낭비를 피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합성은 보다 저렴하고, 따라서 실험실 수준에서 보다 많은 양을 합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정의 산업적 확장성에 용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의 큰 이점은 위치 C6에서 다양한 관능기로 염기 분자를 변형시킴으로써, TLR4 효능제 및 추가의 기능이 조합될 수 있는 분자를 제공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다.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의 상이한 구조는 화합물에 보다 높은 안정성을 제공하고, 관능화를 위한 위치 C6을 제공한다. FP11에서 C6 관능화는 도전과제이다: 관능화를 위한 대부분의 화학적 시약은 탈실릴화 동안 발생하는 것과 유사하게 C1 포스페이트를 절단한다. FP20 화합물 및 유도체의 경우, 아노머 포스페이트는 부족하고, C6 관능화는 실현가능하다. 이는 통상의 기술자가 C6에서 관능기를 변형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그의 용해도 및/또는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킴으로써, 표적-특이적 치환기를 첨가함으로써, 분자를 다른 관능성 치환기와 접합시킴으로써 특정한 목적하는 활성에 대해 화합물을 맞춤화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와 같다:
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Figure pct00004
(여기서 R1은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2는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3은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4는 C6과 적합한 원자 사이의 결합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임의의 치환기 및/또는 C6에 결합할 수 있는 산소 또는 질소 원자를 보유하는 임의의 치환기임)
및 그의 용도;
화학식 1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백신 아주반트;
화학식 1의 화합물, 적어도 1종의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및 적어도 1종의 제약상 허용되는 면역원성 항원을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적어도 1종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 및/또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하기 화학식 1i의 중간체:
Figure pct00005
(여기서 R1은 포화 C5-C15 알킬 쇄임);
R1이 포화 C5-C15 알킬 쇄인 화학식 1i의 중간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Figure pct00006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 중탄산나트륨의 존재 하에 아실 클로라이드와의 반응에 의한 글루코사민 히드로클로라이드의 C2 위치에서의 아미노 기의 선택적 아실화,
2) 이미다졸의 존재 하에 tert-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 (TBDMSCl)와의 반응에 의한 위치 C6에서의 히드록실의 선택적 실릴화에 의한 보호;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Figure pct00007
(여기서 R1은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2는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3은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4는 C6과 적합한 원자 사이의 결합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임의의 치환기 및/또는 C6에 결합할 수 있는 산소 또는 질소 원자를 보유하는 임의의 치환기임),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 중탄산나트륨의 존재 하에 아실 클로라이드와의 반응에 의한 글루코사민 히드로클로라이드의 C2 위치에서의 아미노 기의 선택적 아실화,
2) 이미다졸의 존재 하에 tert-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 (TBDMSCl)와의 반응에 의한 위치 C6에서의 히드록실의 선택적 실릴화에 의한 보호, 그에 따른 제20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중간체의 수득,
3) 트리에틸아민 및 N,N-디메틸 아미노피리딘 (DMAP)의 존재 하에 아실 클로라이드와의 반응에 의한 위치 C1 및 C3에서의 히드록실의 선택적 아실화,
4) 트리플레이트 이미다졸륨의 존재 하에 디벤질 N,N-디이소프로필포스파라미다이트와의 반응에 의한 C4 위치에서의 히드록실의 인산화, 이어서 메타클로로퍼벤조산을 통한 포스파이트의 포스페이트로의 산화,
5) 촉매량의 황산의 존재를 통한 위치 C6에서의 실란으로부터의 히드록실의 탈보호, 및
6) 탄소 상 팔라듐 (Pd / C)에 의해 촉매된 수소화를 통한 위치 C4 및 임의로 위치 C6에서의 벤질로부터의 포스페이트의 탈보호;
하기 화학식 X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
Figure pct00008
(여기서 R1은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2는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3은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4는 OH이고, 여기서 각각의 R1, R2 및 R3은 위치 C2에서 -OH 치환기를 함유하지 않음),
1) 중탄산나트륨의 존재 하에 아실 클로라이드와의 반응에 의한 글루코사민 히드로클로라이드의 C2 위치에서의 아미노 기의 선택적 아실화,
2) 이미다졸의 존재 하에 tert-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 (TBDMSCl)와의 반응에 의한 위치 C6에서의 히드록실의 선택적 실릴화에 의한 보호, 그에 따른 제20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중간체의 수득,
3) 트리에틸아민 및 N,N-디메틸 아미노피리딘 (DMAP)의 존재 하에 아실 클로라이드와의 반응에 의한 위치 C1, C3 및 C4에서의 히드록실의 완전 아실화,
4) 아세트산의 존재 하에 에틸렌디아민과의 반응에 의한 위치 C1의 선택적 탈아실화,
5) 트리플레이트 이미다졸륨의 존재 하에 디벤질 N,N-디이소프로필포스파라미다이트와의 반응에 의한 C1 위치에서의 히드록실의 인산화, 이어서 메타클로로퍼벤조산을 통한 포스파이트의 포스페이트로의 산화,
6) 촉매량의 황산의 존재를 통한 위치 C6에서의 실란으로부터의 히드록실의 탈보호,
7) 탄소 상 팔라듐 (Pd / C)에 의해 촉매된 수소화를 통한 위치 C1 및 임의로 위치 C6에서의 벤질로부터의 포스페이트의 탈보호;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합성을 위한 제22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중간체 화합물의 용도:
Figure pct00009
(여기서 R1은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2는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3은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4는 C6과 적합한 원자 사이의 결합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임의의 치환기 및/또는 C6에 결합할 수 있는 산소 또는 질소 원자를 보유하는 임의의 치환기임);
화학식 X의 화합물의 합성을 위한, 본원에 개시된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1i의 중간체의 용도:
Figure pct00010
(여기서 R1은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2는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3은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4는 OH이고, 여기서 각각의 R1, R2 및 R3은 위치 C2에서 -OH 치환기를 함유하지 않음).
도 1 TLR4 및 TLR2에 대한 FP 화합물의 활성. HEK-블루TM hTLR4 (A) 및 HEK-블루TM TLR2 (B) 세포를 지시된 농도의 화합물 FP20, FP21, FP22, FP23 및 FP24, MPLA, LPS (100 ng /mL) 및 Pam2CSK4 (1 ng /mL)로 처리하고, 16-18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결과를 LPS 단독 (A) 또는 Pam2CSK4 (B)로의 자극에 대해 정규화하고, 적어도 3회의 독립적 실험의 평균 ± SEM의 백분율로서 표현하였다. (처리 대 비처리: * P <0.05; ** P <0.01; *** P <0.001; **** P <0.0001).
도 2 인간 및 뮤린 대식세포에 대한 FP 화합물의 활성. THP-1-X 블루TM (A) 및 RAW-블루TM (B) 세포를 지시된 농도의 화합물 FP20, FP21, FP22, FP23 및 FP24, MPLA 및 LPS (100 ng /mL)로 처리하고, 16-18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결과를 LPS 단독으로의 자극에 대해 정규화하고, 적어도 3회의 독립적 실험의 평균 ± SEM의 백분율로서 표현하였다. (처리 대 비처리: * P <0.05; ** P <0.01; *** P <0.001; **** P <0.0001).
도 3 세포 생존율. 대식세포로 분화된 THP-1 세포를 증가하는 농도의 FP20, FP21, FP22, FP23 및 FP24 (0.1-50 μM) 및 LPS (100 ng /mL)로 처리하였다. 동일한 농도 (0.1-50 μM)의 비히클 (DMSO)을 삽입하여 용매의 독성을 평가하였다. 데이터를 (비처리) 대조군에 대해 정규화하고, 적어도 3회의 독립적 실험의 평균 ± SEM의 백분율로서 표현하였다 (처리 대 비처리: * P <0.05; ** P <0.01; *** P <0.001; **** P <0.0001).
도 4 세포 생존율. RAW-블루 세포를 증가하는 농도의 FP20, FP21, FP22, FP23 및 FP24 (0.1, 1, 10, 25, 50 μM) 및 LPS (100 ng /mL)로 처리하였다. 동일한 농도 (0.1, 1, 10, 25, 50 μM)의 비히클 (DMSO)을 삽입하여 용매의 독성을 평가하였다. 데이터를 (비처리) 대조군에 대해 정규화하고, 적어도 3회의 독립적 실험의 평균 ± SEM의 백분율로서 표현하였다. (처리 대 비처리: * P <0.05; ** P <0.01; *** P <0.001; **** P <0.0001)
도 5 HEK-블루 hTLR4, HEK-블루 널 및 HEK-블루 hTLR2 세포를 지시된 바와 같이 처리하고, 18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상청액을 수집하고, SEAP 수준을 퀀티(QUANTI)-블루 방법에 의해 정량화하였다. 데이터를 S-LPS (A, B), IL-1β (C) 또는 PAM2CSK4 (D)로의 자극에 대해 정규화하고, 3회의 독립적 실험의 평균 백분율 ± SD로 표현하였다. (처리 대 비처리: **p<0.01; ***p<0.001).
도 6 A) 아주반트의 투여 후 7일에 걸친 마우스의 체중 (처리당 n=4). B) 프라이밍 (면역화후 22일) 및 부스터 면역화 (19일 후) 후 아주반트로서 MPLA, FP112 및 FP11을 사용한 OVA 면역화에 대한 항체 반응 (처리당 n=8). 통계적 비교를 위해, 각각의 곡선하 면적을 0.05의 알파로 브라운-포르시테 및 웰치(Brown-Forsythe and Welch) 일원 ANOVA 시험에 의해 검사하였다.
도 7 화합물 25 (FP11 합성에서의 단계 6의 불순물 1)의 1H NMR, 여기서 6.04 ppm에서의 신호의 다중도 (d)에 의해 C-1에서의 포스페이트의 절단을 관찰할 수 있다. C-1에서의 포스페이트의 존재 하에, H-1은 H-P 커플링으로 인해 dd 다중도를 가질 것이다.
도 8 화합물 26 (FP11 합성의 단계 6의 불순물 2)의 1H NMR, 여기서 6.01 ppm에서의 신호의 다중도 (d)에 의해 C-1에서의 포스페이트의 절단을 관찰할 수 있다. C-1에서의 포스페이트의 존재 하에, H-1은 H-P 커플링으로 인해 dd 다중도를 가질 것이다. 이 경우에, 또한 0 ppm 및 0.85 ppm에서의 그의 신호의 결여에 의해 관찰되는 바와 같이 실란이 절단되었다.
도 9 화합물 26 (FP11 합성에서의 반응 6의 불순물 2)의 13C NMR, 이는 도 8에서 관찰된 바와 같은 화합물 26의 구조를 확인시켜 준다.
도 10 인간 대식세포에 대한 FP200 디포스페이트 화합물의 활성. 분화된 THP-1-X 블루TM 세포를 지시된 농도의 화합물 FP11, FP112, FP20, FP200, FP21, MPLA 및 LPS (100 ng /mL)로 처리하고, 16-18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결과를 LPS 단독으로의 자극에 대해 정규화하고, 적어도 3회의 독립적 실험의 평균 ± SEM의 백분율로서 표현하였다. (처리 대 비처리: * P <0.05; ** P <0.01; *** P <0.001; **** P <0.0001).
도 11 - 인간 대식세포에 대한 FP207의 활성
분화된 THP1-X블루TM를 지시된 농도의 FP20, FP207, MPLA 및 LPS (100 ng/mL)로 처리하고, 16-18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결과를 LPS 단독으로의 자극에 대해 정규화하고, 적어도 3회의 독립적 실험의 평균 ± SEM의 백분율로서 표현하였다. (처리 대 비처리: * P <0.05; ** P <0.01; *** P <0.001; **** P <0.0001).
도 12 - 세포 생존율
분화된 THP1-X블루TM 세포를 증가하는 농도의 FP20 및 FP207 (0.1-25 μM), MPLA 및 LPS (100 ng/mL)로 처리하였다. 데이터를 (비처리) 대조군에 대해 정규화하고, 적어도 3회의 독립적 실험의 평균 ± SEM의 백분율로서 표현하였다.
용어
본 명세서에서, 용어 "TLR4 수용체 효능제"는 TLR4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수용체의 입체형태적 변화를 유도하고, 이어서 상기 수용체의 천연 리간드에 의해 유도된 것과 유사한 반응을 촉발함으로써 세포내 자극을 생성하는 화합물을 나타낸다. TLR4의 경우에, 효능제로서 기재된 물질은 보조-수용체 MD-2에 결합하고, 다시 TLR4에 비-공유 결합함으로써, 수용 복합체 (TLR4/MD-2/효능제)2를 생성하고, 이는 세포 표면으로부터 핵 전사 인자의 활성화 및 염증유발 시토카인 (주로 TNF-α 및 다양한 인터류킨 유형)의 합성으로 이어지는 신호 캐스케이드를 개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FP112로서 확인되는 화합물은 하기 나타낸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Figure pct00011
여기서 R1 = R2 = R3 = C=OC11H23 및 R4 = H (WO2019/092572에서 FP112로서 개시된 바와 같음).
본 명세서에서, 하기 화학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C1에서의 결합은 유기 화학에서 통상적으로 의도되는 의미를 가지며:
Figure pct00012
화합물이 α 또는 β 아노머 입체형태일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하기 화학식 1α에 나타낸 바와 같은 C1에서의 결합은 유기 화학에서 통상적으로 의도되는 의미를 가지며:
Figure pct00013
화합물이 α 아노머 입체형태로 존재함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하기 화학식 1α에 나타낸 바와 같은 C1에서의 결합은 유기 화학에서 통상적으로 의도되는 의미를 가지며:
Figure pct00014
화합물이 β 아노머 입체형태로 존재함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촉매량"은 촉매 효과를 얻기 위해 화학 반응에 사용되는 물질의 양 또는 농도를 의미한다. 특히, 명세서에서 용어 "촉매량"은 "0.5% 내지 1%의 부피/부피 농도의 범위"로 치환될 수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15
여기서 R1은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2는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3은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4는 C6과 적합한 원자 사이의 결합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치환기 및/또는 C6에 결합할 수 있는 산소 또는 질소 원자를 갖는 임의의 치환기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따르면, 각각의 알킬 쇄, R1, R2, 또는 R3은 C5, C6, C7, C8, C9, C10, C11, C12, C13, C14, C15 알킬 쇄일 수 있다.
명세서에 따르면, 각각의 R1, R2 및 R3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상이하거나 동일한 알킬 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R1, R2 및 R3 중 적어도 2개는 동일하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R1, R2 및 R3 쇄는 위치 C2 상에 -OH 치환기를 함유하지 않는다. 위치 C2에서의 히드록실의 부재는 유리하게는 보다 짧고 보다 효율적인 합성 경로를 가능하게 하여, 히드록실 기의 다양한 보호 및 탈보호 단계를 제거함으로써, 합성 비용을 감소시키고, 이러한 합성 공정을 약물 생산을 위해 확장가능하고 산업화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R1, R2 및 R3 쇄는 임의의 치환기를 함유하지 않는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위치 C6에서의 R4 쇄는 TLR4 효능제 활성이 파괴되지 않는 한 임의의 관심 관능화 치환기일 수 있다.
비제한적 예에 따르면, R4는 히드록실 기 (OH), 포스페이트 기 (PO4 2-), 아지드 기 (N3), 아민 기 (NH2), 아실 기 (O(C=O)R), 알킬 기 (OR) 또는 글리코실 기일 수 있다.
관능화에 대한 위치 C6에서의 R4의 적합성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매우 유리한 특징이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TLR4의 효능제 기능 및 R4의 선택된 치환기에 따른 임의의 다른 관심 기능이 조합될 수 있는 분자를 제공하는 것이 실제로 가능하다. 예를 들어, 놀랍게도 포스페이트 기 (PO4 2-)를 사용하여 용해도 및 생체이용률의 증가를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제로, 관련 기술분야의 교시 (WO2019/092572)에 따르면, 그에 기재된 효능제 중 2개의 포스페이트 기의 존재는 TLR4 효능제 활성의 부재를 유발하였다. 반대로,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은 놀랍게도 또한 제2 포스페이트 기를 갖는 TRL4 효능제 활성을 보유함으로써 화합물 자체의 용해도를 개선시킨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개선된 용해도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전달, 생체이용률 및 안정성을 개선시키기 때문에 중요한 이점이다. 따라서, C6에서 추가의 포스페이트의 단순한 존재로 제약 또는 백신 조성물의 효율을 유의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C6에서의 가능한 관능화의 또 다른 중요한 이점은, 백신 아주반트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이를 항원 또는 항원 에피토프에 접합시키거나, 또는 이를 상이한 아주반트에 접합시켜 그의 활성을 개선 및 확장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화합물은 표적-특이적 분자에 접합되어 바람직한 부위에서의 그의 전달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항종양 조성물에 사용되는 경우에, 본 발명의 화합물은 그의 유효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이를 추가의 상이한 약물에 연결시킴으로써 관능화될 수 있다.
예로서, 친지성 효과를 개선시키기 위해 수소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수소 원자가 없는 치환기, 또는 친지성과 반비례 관계인 물 중 용해도를 개선시키기 위해 수소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수소 원자의 존재를 특징으로 하는 치환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R4와 같이 매우 다양한 치환기를 이용하는 가능성으로부터 유래하는 추가의 이점은, 예를 들어 단순 결합 주위의 자유 회전을 제한하는 경향이 있는 치환기를 사용함으로써 유래될 수 있는 입체 효과이며, 이에 따라 에너지 접근가능한 입체형태의 수를 감소시킨다.
생물활성인 것이 이들 입체형태 중에 존재하는 경우에, "강화" 효과는 수용체에 대한 분자의 친화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중요한 예는 위치 C6에서 링커로의 관능화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다. 적합한 링커 si의 비제한적 예는 디술피드 (R-S-S-R'), 히드라존 (R'R"C=N-NH2), 펩티드 또는 티오에테르 (R'-S-R") 등으로 나타내어진다.
상기 기재된 것들과 같은 링커는 생물학적 활성 항암 페이로드 또는 약물 (예컨대 본 발명의 화합물)에 연결된 항체를 포함하는 복합 분자인 항체-약물-접합체 (ADC)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여, 항체와 본 발명의 화합물 사이의 조합 효과를 수득하게 한다.
추가의 흥미로운 예는 C6에 글리코실 기를 삽입할 수 있는 가능성인데, 이는 생성된 화합물이 2가지 이점: 친수성 글리코실 기의 존재로 인한 개선된 수용해도 및 이론적으로 LPS의 코어 부분의 모방으로 인한 수용체에 대한 보다 우수한 친화도를 가질 것이기 때문이다.
목적하는 특성에 따라 적합한 치환기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화학식 1α를 갖는 α-아노머 또는 화학식 1β를 갖는 β-아노머일 수 있다.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일부 가능한 비제한적 실시양태에 따르면, 화학식 1의 화합물은
R1 = R2 = R3 = C11H23 및 R4 = OH, 또는
R1 = R3 = C13H27; R2 = C11H23 및 R4 = OH, 또는
R1 = R2 = R3 = C9H19 및 R4 = OH, 또는
R1 = R2 = R3 = C13H27 및 R4 = OH, 또는
R1 = R3 = C9H19; R2 = C11H23 및 R4 = OH, 또는
R1 = R2 = R3 = C11H23 및 R4 = PO4 2-, 또는
R1 = R2 = R3 = C9H19 및 R4 = PO4 2-, 또는
R1 = R2 = R3 = C13H27 및 R4 = PO4 2-, 또는
R1 = R2 = R3 = C11H23 및 R4 = OC3H7, 또는
R1 = R2 = R3 = C11H23 및 R4 = O(C=O)C6H8(OH)3, 또는
R1 = R2 = R3 = C11H23 및 R4 = NH2
R1 = R2 = R3 = C11H23 및 R4 = O(C=O)CCH3(CH2OH)2
R1 = R2 = R3 = C11H23 및 R4 = OCH(CHOH)3CH(CH3)O
R1 = R2 = R3 = C11H23 및 R4 = OCH(CHOH)3CH(CH2OH)O
R1 = R2 = R3 = C11H23 및 R4 = OCH(CHOH)3(CH2)O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의 α-아노머 또는 β-아노머 형태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의 β-아노머, 예컨대 하기이다:
화합물 FP20: 여기서 R1 = R2 = R3 = C11H23 R4 = OH
Figure pct00018
화합물 FP21: 여기서 R1 = R3 = C13H27 R2 = C11H23 R4 = OH
Figure pct00019
화합물 FP22: 여기서 R1 = R2 = R3 = C9H19 R4 = OH
Figure pct00020
화합물 FP23: 여기서 R1 = R2 = R3 = C13H27 R4 = OH
Figure pct00021
화합물 FP24: 여기서 R1 = R3 = C9H19 R2 = C11H23 R4 = OH
Figure pct00022
화합물 FP200: 여기서 R1 = R2 = R3 = C11H23 R4 = PO4 2-
Figure pct00023
화합물 FP202: 여기서 R1 = R2 = R3 = C9H19 R4 = PO4 2-
Figure pct00024
화합물 FP203: 여기서 R1 = R2 = R3 = C13H27 R4 = PO4 2-
Figure pct00025
.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양태에서, 위치 C6에 추가의 치환기를 갖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화합물 FP204: 여기서 R1 = R2 = R3 = C11H23 R4 = OC3H7
Figure pct00026
화합물 FP205: 여기서 R1 = R2 = R3 = C11H23 R4 = O(C=O)C6H8(OH)3
Figure pct00027
화합물 FP206: 여기서 R1 = R2 = R3 = C11H23 R4 = NH2
Figure pct00028
화합물 FP207: 여기서 R1 = R2 = R3 = C11H23 R4 = O(C=O)CCH3(CH2OH)2
Figure pct00029
화합물 FP20Rha: 여기서 R1 = R2 = R3 = C11H23 R4 = OCH(CHOH)3CH(CH3)O
Figure pct00030
화합물 FP20Glc: 여기서 R1 = R2 = R3 = C11H23 R4 = OCH(CHOH)3CH(CH2OH)O
Figure pct00031
화합물 FP20Man: 여기서 R1 = R2 = R3 = C11H23 R4 = OCH(CHOH)3CH(CH2OH)O
Figure pct00032
화합물 FP20Gal-α: 여기서 R1 = R2 = R3 = C11H23 R4 = OCH(CHOH)3CH(CH2OH)O
Figure pct00033
화합물 FP20Gal-β: 여기서 R1 = R2 = R3 = C11H23 R4 = OCH(CHOH)3CH(CH2OH)O
Figure pct00034
화합물 FP20Lyx: 여기서 R1 = R2 = R3 = C11H23 R4 = OCH(CHOH)3CH2O
Figure pct00035
.
화학식 14, 15, 16 또는 19를 갖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C6에 결합된 당의 아노머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이다.
화학식 17 또는 18을 갖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각각 C6에 결합된 글루코스의 순수한 알파 및 베타 아노머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2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이러한 화합물은 또한 R1, R2 및 R3이 -C11H23이고 R4가 -OH인 화합물 FP20으로서 지칭된다.
실시예 섹션에 보고된 데이터는 상기-나타낸 화합물의 특히 유리한 특징을 보여준다.
본 명세서에 따라, 수득된 실험 데이터에 기초하면, 기재되고 청구된 바와 같은 화합물이 TLR4 수용체의 효과적인 효능제라는 것이 명백하다. "수용체의 효능제" (수용체 효능제)는 문헌에 통상적으로 정의된 바와 같이, 즉 내인성 리간드에 대한 결합 부위에서 특이적 수용체에 결합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따라서, 명칭이 시사하는 바와 같이, 전자는 상기 부위와의 결합에 대해 후자와 경쟁한다.
천연 리간드와의 결합 후, 수용체는 세포 수준에서 그의 생물학적 활성을 매개하는 입체형태적 변화를 겪는다. 효능제는 리간드 효과를 모방할 수 있는 고유 활성을 갖는 분자이다. 수용체에 결합할 때, 이들은 내인성 리간드와의 결합에 의해 유발되는 것과 유사한 정도의 입체형태적 변화를 유발한다.
본 명세서의 경우에, 개시되고 청구된 각각의 효능제는 TLR4 수용체에 대해 선택적인 효능제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1의 화합물에 대해 관찰된 기술적 특색을 고려하면, 상기 화합물은 TLR4 수용체 활성화로부터 이익을 얻는 질환의 치료에서, 즉 면역계, 특히 선천성 활성의 활성화가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갖는 질환에서 활성 성분으로서 또는 아주반트로서 유용하다.
따라서, TLR4 수용체 활성화를 필요로 하거나 또는 그로부터 이익을 얻는 질환 중에, 그의 치료 또는 그의 예방이 TLR4 수용체 활성화에 의해 및 상기 수용체의 활성화에 의해 촉발되는 선천성 면역 반응에 의해 개선되는 모든 질환이 포함된다.
이러한 질환의 비제한적 예는 종양, 알레르기, 감염성 질환 예컨대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심혈관 질환, 비만-의존성 대사 질환, 뉴런 변성, 아폽토시스, 자가면역 장애, 박테리아 감염 자가면역 질환에 의해 대표된다. 자가면역 질환의 예는 IBD, 크론병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에 의해 대표된다.
본원에서 또한 화합물 FP20으로서 확인되는 화학식 2의 화합물은 하기 제시된 화학식을 갖는 화학식 FP112의 화합물:
Figure pct00036
(여기서 R1 = R2 = R3 = C=OC11H23 R4 = H, WO2019/092572에 개시되며, FP112로 명명됨)과 동일하게 R1, R2, R3 및 R4 치환기를 갖지만, 포스페이트 기가 FP112의 경우에는 위치 C1 상에 있고, FP20의 경우에는 위치 C4 상에 있다는 사실로 인해 비교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 간략하게 보고된 세포 Hek-블루, Raw-블루 및 THP-1 상에서 FP112에 대해 수행된 시험관내 실험은 10 μM의 농도에서 낮은 독성 및 우수한 염증유발 활성을 입증하였다. 또한, 백신 아주반트로서의 그의 내약성 및 유효성을 시험하기 위해 FP112로 수행된 생체내 실험은 10 μg의 FP112의 투여로부터 부수적 손상이 없었고, MPLA와 대등한 백신 아주반트로서의 유효성이 있음을 입증하였다. 실시예 섹션에 보고된 데이터는 Hek-블루, Raw-블루 및 THP-1 세포 상에서 수행된 실험에 대해, 본 발명의 화합물의 활성이 생체내에서 또한 비세포독성이고 백신 아주반트로서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된 WO2019/092572에 개시된 효능제 화합물의 활성과 대등하다는 것을 제시한다.
추가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WO2019/092572에 개시된 화합물에 비해 개선되며, 이는 선행 기술에서의 C1에서의 포스페이트 기의 본 발명에서의 위치 C4로의 재배치에 의한 것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화합물에서 C4보다는 C1에 알킬 쇄의 배치가 가능하며, 이는 C6에서의 치환기의 증진된 활성 유발한다. 실제로, WO2019/092572는 실험 2에서 FP111로서 명명된, 위치 C1에 1개 및 위치 C6에 다른 1개의 2개의 포스페이트 기를 갖는 화합물로 HEK-블루TM hTLR4 세포에 대해 수행된 시험에서 TLR4 효능제로서 완전히 불활성인 것으로 입증되었음을 개시한다. WO2019/092572에서, 활성의 부재는 분자 내 2종의 포스페이트의 존재로 인한 것일 수 있으며, 분자 내 포스페이트의 수는 그의 TLR4 효능제 활성을 유지하기 위해 1개 이하여야 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놀랍게도, 본 발명의 저자는 본 출원에 개시되고 청구된 화합물, 예컨대 예로서 위치 C4에 1개 및 위치 C6에 또 다른 1개의 2개의 포스페이트 기를 보유하는 화학식 7, 8 및 9의 화합물이, 놀랍게도 WO2019/092572에 개시된 화합물 FP111이 완전히 불활성을 나타낸 동일한 시험에서 TLR4 효능제 활성을 유지하였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발견은 예상치 못한 것이었으며, 트리아실화 모노포스포릴 글루코사민 코어에서의 포스페이트 기의 위치가 이러한 화합물의 활성을 유의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함으로써 선행 기술에 비해 본 발명의 화합물의 관련 이점을 입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명세서 또는 청구범위에 개시된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서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백신 아주반트로서 제공한다.
백신 조성물에서의 면역 반응 아주반트의 관련성은 공지되어 있다. 실제로, 백신 아주반트는 치료되는 대상체에서 백신에 존재하는 항원에 대한 백신 유효성 및 면역 발생을 실질적으로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명세서 또는 청구범위의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백신 조성물은 상기-열거된 실시양태들 중 어느 하나에서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혼합물, 적어도 1종의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및 원하는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적어도 1종의 항원성 화합물, 예컨대 면역원성 항원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백신 담체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제약 담체는 연장된 기간에 걸쳐 조성물로부터 항원 성분(들)의 방출을 보조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담체는 수용성 또는 수불용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성 물질은 약물 분산액의 간극으로의 물의 침윤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물질이다.
1종의 수용성 물질, 또는 2종 이상의 수용성 물질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수용성 물질은 구체적으로 합성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당 (예를 들어 수크로스, 만니톨, 글루코스, 소듐 콘드로이틴 술페이트),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란), 아미노산 (예를 들어 글리신 및 알라닌), 무기 염 (예를 들어 염화나트륨), 유기 염 (예를 들어 시트르산나트륨) 및 단백질 (예를 들어 젤라틴 및 콜라겐 및 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수용성 물질이 유기 용매 및 물 둘 다에 용해되는 친양쪽성 물질인 경우, 이는 예를 들어 친지성 약물의 용해도를 변경시킴으로써 그의 방출을 제어하는 효과를 갖는다. 친양쪽성 물질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그의 유도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그의 유도체, 당의 지방산 에스테르 및 소듐 알킬술페이트, 보다 구체적으로, 평균 분자량이 1500 초과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옥시 스테아레이트 40,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의 수크로스 에스테르, 소듐 라우릴 술페이트, 소듐 올레에이트, 염화나트륨, 소듐 데스옥시콜산 (또는 소듐 데옥시콜산 (DC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수용성 물질은 약물, 펩티드, 단백질, 당단백질,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백신으로서 사용되는 항원성 물질로 이루어진 군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수불용성 담체는, 존재하는 경우에, 약물 분산액의 간극으로의 물의 침윤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1종의 수불용성 물질, 또는 2종 이상의 수불용성 물질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수불용성 물질은 구체적으로 수불용성 중합체, 수지 및 라텍스, 예컨대 수불용성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및 다른 카르복시 중합체, 왁스, 지질 예컨대 인지질 및 지단백질의 군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제약 또는 백신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 및 임의적인 추가의 부형제의 양을 알고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제약 담체는 백신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대략 1 중량%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대략 10 중량% 내지 20 중량%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본원에 정의되고 청구된 바와 같은 화합물 중 하나, 또는 그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주반트 및 항원의 단일 혼합물의 형태로 또는 성분들의 동시 또는 순차적 투여를 위한 상이한 혼합물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기재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백신 조성물에 존재하는 단독 아주반트이다.
본 발명은 또한 명세서 또는 청구범위에 제공된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혼합물 및 적어도 1종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 및/또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추가의 치료 활성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약 조성물은 또한 복수의 활성 성분의 회합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유일한 활성 성분으로서 명세서 또는 청구범위에 제공된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학식 1의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추가의 활성 성분, 예컨대 항종양 활성 성분, 키나제 억제제, 세포독성 화합물 및 적어도 1종의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제약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비강, 에어로졸, 설하, 직장, 질, 국소, 정맥내 또는 전신 투여를 위해 제제화될 수 있다.
현탁액, 에멀젼, 연고, 크림, 스프레이, 과립, 분말, 용액, 캡슐, 환제, 정제, 동결건조 제품, 로젠지, 에어로졸, 연무화, 주사 등에 적합한 통상의 담체 및/또는 부형제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TLR4 수용체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거나 그로부터 이익을 얻는 질환의 치료에서, 또는 치료에서 아주반트로서 사용하기 위한 본원에 개시된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약 조성물이다.
TLR4 수용체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거나 그로부터 이익을 얻는 질환은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암, 알레르기, 감염성 질환, 심혈관 질환, 비만-의존성 대사 질환, 뉴런 변성, 아폽토시스성 질환, 자가면역 장애, 바이러스 감염, 박테리아 감염, 자가면역 질환을 포함한다. 자가면역 질환의 예는 IBD, 크론병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에 의해 대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성물은 1일 투여량당 0.01 내지 50 mg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혼합물, 예로서 체중 Kg당 0.01 내지 50 mg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동물에 대한 시험).
본 발명은 또한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합성, 뿐만 아니라 WO2019/092572에 개시된 화학식 X의 화합물의 합성:
Figure pct00037
(여기서 R1은 포화 C7-C15 알킬 쇄이고,
R2는 포화 C7-C15 알킬 쇄이고,
R3은 포화 C7-C15 알킬 쇄이고,
R4는 OH이고, 각각의 R1, R2 및 R3은 위치 C2에서 -OH 치환기를 함유하지 않음),
및 화학식 1i의 중간체의 합성을 위한 신규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38
(여기서 R1은 포화 C5-C15 알킬 쇄임).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R1은 임의의 치환기를 갖지 않는다.
화학식 1의 화합물, 뿐만 아니라 WO2019/092572에 개시된 화합물은, WO2019/092572의 화합물 뿐만 아니라 SDZ MRL953에 대해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합성 방법과 비교하여 보다 간단하고 산업적으로 확장가능한 방식으로 합성될 수 있다. 후자는 (R)-3-히드록시미리스트산의 3개의 아실 쇄의 삽입을 필요로 한다. 단지 라세미 혼합물로 시판되고 있기 때문에, 광학적으로 순수한 화합물 (R-거울상이성질체)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지 않다. 더욱이, (R)-3-히드록시미리스트산은 당과의 축합 반응 전에 3 위치에서 히드록실 기의 보호 반응을 필요로 한다.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X의 화합물의 합성에 대한 WO2019/092572에 개시된 방법은, 아실 쇄 상의 치환기의 부재로 인해, SDZ MRL953에 대해 개시된 합성 방법에 비해 이미 단순화되었지만, 여전히 10개의 단계; 크로마토그래피 칼럼에 의한 다수의 정제 및 일부 중요한 단계, 예컨대 저분자량 아지드의 형성을 포함한다. 추가로, WO2019/092572에 개시된 방법은 매우 낮은 수율 (약 8-9%)을 가지며, 이는 전체 공정을 비경제적으로 만든다.
본 발명에 제공된 화합물은 관련 기술분야의 화합물에 대해 보다 더 우수하지는 않을 지라도 필적할만한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고, 훨씬 더 간단하고 산업적으로 확장가능한 방식으로 합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학식 1i의 중간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Figure pct00039
(여기서 R1은 포화 C5-C15 알킬 쇄임),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다:
1) 중탄산나트륨의 존재 하에 아실 클로라이드와의 반응에 의한 글루코사민 히드로클로라이드의 C2 위치에서의 아미노 기의 선택적 아실화,
2) 이미다졸의 존재 하에 tert-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 (TBDMSCl)와의 반응에 의한 위치 C6에서의 히드록실의 선택적 실릴화에 의한 보호.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 1i의 중간체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40
여기서 R1은 포화 C5-C15 알킬 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R1은 임의의 치환기를 갖지 않는다.
추가로, 본 발명은 상기 임의의 실시양태 및 청구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Figure pct00041
여기서 R1은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2는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3은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4는 C6과 적합한 원자 사이의 결합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치환기 및/또는 C6에 결합할 수 있는 산소 또는 질소 원자를 갖는 임의의 치환기임),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1) 중탄산나트륨의 존재 하에 아실 클로라이드와의 반응에 의한 글루코사민 히드로클로라이드의 C2 위치에서의 아미노 기의 선택적 아실화,
2) 이미다졸의 존재 하에 tert-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 (TBDMSCl)와의 반응에 의한 위치 C6에서의 히드록실의 선택적 실릴화에 의한 보호에 따른 상기 기재된 실시양태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1i의 중간체의 수득,
3) 트리에틸아민 및 N,N-디메틸 아미노피리딘 (DMAP)의 존재 하에 아실 클로라이드와의 반응에 의한 위치 C1 및 C3에서의 히드록실의 선택적 아실화,
4) 트리플레이트 이미다졸륨의 존재 하에 디벤질 N,N-디이소프로필포스파라미다이트와의 반응에 의한 C4 위치에서의 히드록실의 인산화, 이어서 메타클로로퍼벤조산을 통한 포스파이트의 포스페이트로의 산화,
5) 촉매량의 황산의 존재를 통한 위치 C6에서의 실란으로부터의 히드록실의 탈보호,
6) 탄소 상 팔라듐 (Pd / C)에 의해 촉매된 수소화를 통한 위치 C4에서의 벤질로부터의 포스페이트의 탈보호 및 임의로 위치 C6에서의 임의의 치환기 상의 벤질의 탈보호.
방법은 대안적으로 상기 및 청구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1i의 중간체로부터 출발할 수 있고, 단계 3 - 6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기재된 합성 방법은 단계 5) 후 및 단계 6) 전에 추가의 단계 5i):
5i) 트리플레이트 이미다졸륨의 존재 하에 디벤질 N,N-디이소프로필포스파르아미다이트와의 반응에 의한 위치 C6에서의 히드록실의 인산화, 이어서 메타클로로퍼벤조산을 통한 포스파이트의 포스페이트로의 산화
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생성된 R4는 포스페이트 기 (PO4 2-)이다.
수행되는 경우에, 이 방법은 R4가 포스페이트 기인 화학식 1의 화합물, 예컨대 화학식 7, 8 및 9의 화합물을 생성한다.
대안적으로, 합성 방법은 단계 5) 후 및 단계 6) 전에 단계 5i) 대신에 단계 5ii):
5ii) 적합한 축합제 및 촉매, 예컨대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르보디이미드 (EDC) 및 N,N-디메틸 아미노피리딘 (DMAP)의 존재 하에 카르복실산과의 반응에 의한, 또는 적합한 촉매, 예컨대 N,N-디메틸 아미노피리딘 (DMAP)의 존재 하에 아실 클로라이드와의 반응에 의한 C6 위치에서의 히드록실의 아실화
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생성된 R4는 아실 기이다. 수행되는 경우에, 이 방법은 R4가 아실 기인 화학식 1의 화합물, 예컨대 화학식 10 및 11의 화합물을 생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적합한 축합제 및 촉매는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르보디이미드 (EDC) 및 N,N-디메틸 아미노피리딘 (DMAP)이다.
대안적으로, 합성 방법은 단계 5) 후 및 단계 6) 전에 단계 5i) 및 5ii) 대신에 단계 5iii):
5iii) 활성화제로서의 산화은 (I), 촉매로서의 트리플산 및 물 스캐빈저로서의 분자체의 존재 하에서의 글리코실 클로라이드 공여자의 반응에 의한 C6 위치에서의 히드록실의 글리코실화
또는
활성화제로서의 NIS (N-아이오도숙신이미드) 및 촉매로서의 HOFox (3,3-디플루오로옥스인돌) 및 물 스캐빈저로서의 분자체의 존재 하에 글리코실 티오에틸 (Set) 공여자의 반응에 의한 C6 위치에서의 히드록실의 글리코실화
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생성된 R4는 글리코실 기이다.
대안적으로, 합성 방법은 단계 5) 후 및 단계 6) 전에 단계 5i), 5ii) 및 5iii) 대신에 단계 5iv):
5iv) 활성화제로서의 산화은 (I), 촉매로서의 트리플산 및 물 스캐빈저로서의 분자체의 존재 하에 안정화된 알킬 클로라이드의 반응에 의한 C6에서의 히드록실의 알킬화
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생성된 R4는 n 알킬 기이다.
대안적으로, 합성 방법은 단계 5) 후 및 단계 6) 전에 단계 5i), 5ii), 5iii) 및 5iv) 대신에 단계 5v) 및 단계 5vi):
5v) 염기로서 트리에틸아민 및 촉매로서 DMAP의 존재 하에 토실 클로라이드의 반응에 의한 위치 C6의 토실화
5vi) 테트라부틸암모늄 아이오다이드의 존재 하에 아지드화나트륨과의 반응에 의한 위치 C6에서의 아지드 삽입
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생성된 R4는 아지드 기이다.
대안적으로, 합성 방법은 단계 5) 후 및 단계 6) 전에 단계 5i), 5ii), 5iii) 및 5iv) 대신에 단계 5vii) 및 단계 5viii):
5vii) 단독 활성화제로서의 Bi(OTf)3의 존재 하에 피콜로일 기를 보유하는 글리코실 클로라이드 공여자의 반응에 의한 C6 위치에서의 히드록실의 글리코실화
(여기서 생성된 R4는 글리코실 기임)
5viii) Cu(OAc)2와의 반응에 의한 피콜로일 기 제거
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반응 1), 3), 5ii)에 기재된 아실화는 화학 분야의 기술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로서, 아실화는 다른 통상의 축합제, 예컨대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르보디이미드 (EDC) 또는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DCC)의 존재 하에 아실 클로라이드 또는 카르복실산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반응 1) 및 3)에서 언급된 축합은 5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의 상이한 길이의 알킬 쇄를 사용하여 수행되어, 화학식 1에 의해 기재된 분자의 상이한 유도체를 수득할 수 있다.
반응 2)에 의해 기재된 C6의 보호는 화학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가장 통상적인 기술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일반적인 기술 중 하나는 다양한 비친핵성 염기, 예컨대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또는 중탄산나트륨 및 촉매, 예컨대 N,N-디메틸 아미노피리딘 (DMAP)의 존재 하에서의 실릴화이다.
반응 4)에 의해 기재된 C4의 인산화는 화학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가장 통상적인 기술, 예컨대 상이한 산성 pH 완충제, 예컨대 비제한적으로 테트라졸 또는 4,5-디시아노이미다졸의 존재 하에 포스파이트 삽입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후속 산화는 상이한 온화한 산화제, 예컨대 비제한적으로 디메틸디옥시란 (DMDO) 또는 tert-부틸 퍼옥시드 (tBuOOH)와의 반응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반응 5)에 의해 기재된 C6의 탈보호는 화학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가장 통상적인 기술, 예컨대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TBAF), 아세트산 (AcOH) 또는 다양한 유형의 산성 수지, 즉 IRA 120 H+, IRC 120 H+ 또는 도웩스(Dowex)® 50W의 존재 하의 탈실릴화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 방법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용이하고 산업적으로 확장가능한 방식으로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의 α 뿐만 아니라 β 아노머 둘 다를 포괄한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아실화 단계 3의 적합한 촉매의 온도 및 양에 따라, α 또는 β 아노머가 수득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β 아노머가 바람직한 경우에, 아실화 단계 3)은 -78℃ 내지 0℃ 범위의 온도에서 0.05 내지 0.2 당량 범위의 DMAP의 양으로 수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β 아노머를 합성하기 위해 아실화 단계 3은 -20℃에서 0.1 당량의 DMAP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α 아노머가 바람직한 경우에, 아실화 단계 3)은 20℃ 내지 50℃ 범위의 온도에서 2 내지 2.5 당량 범위의 DMAP의 양으로 수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α 아노머 아실화를 합성하기 위해 단계 3은 약 30℃의 온도에서 2.02 당량의 DMAP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방법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화학식 1의 화합물 (예컨대 화학식 2-12의 화합물)의 실시양태 중 각각의 하나의 합성을 가능하게 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유기 화학에서의 통상의 지식에 기초하여 사용되는 치환기를 알 것이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 X의 화합물의 합성 방법으로서:
Figure pct00042
(여기서 R1은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2는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3은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4는 OH이고, 여기서 각각의 R1, R2 및 R3는 위치 C2에서 -OH 치환기를 함유하지 않음)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1) 중탄산나트륨의 존재 하에 아실 클로라이드와의 반응에 의한 글루코사민 히드로클로라이드의 C2 위치에서의 아미노 기의 선택적 아실화,
2) 이미다졸의 존재 하에 tert-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 (TBDMSCl)와의 반응에 의한 위치 C6에서의 히드록실의 선택적 실릴화에 의한 보호에 따른 상기 기재된 실시양태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1i의 중간체의 수득,
3) 트리에틸아민 및 N,N-디메틸 아미노피리딘 (DMAP)의 존재 하에 아실 클로라이드와의 반응에 의한 위치 C1, C3 및 C4에서의 히드록실의 완전한 아실화,
4) 아세트산의 존재 하에 에틸렌디아민과의 반응에 의한 위치 C1의 선택적 디아실화,
5) 트리플레이트 이미다졸륨의 존재 하에 디벤질 N,N-디이소프로필포스파라미다이트와의 반응에 의한 C1 위치에서의 히드록실의 인산화, 이어서 메타클로로퍼벤조산을 통한 포스파이트의 포스페이트로의 산화,
6) 촉매량의 물 중 황산의 5% 용액의 존재를 통한 위치 C6에서의 실란으로부터의 히드록실의 탈보호,
7) 탄소 상 팔라듐 (Pd / C)에 의해 촉매된 수소화를 통한 위치 C4에서의 벤질로부터의 포스페이트의 탈보호 및 임의로 위치 C6에서의 임의의 치환기 상의 벤질의 탈보호.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R1, R2 및 R3은 임의의 치환기를 갖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합성을 위한, 본원에 개시된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1i의 중간체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43
여기서 R1은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2는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3은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4는 C6과 적합한 원자 사이의 결합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임의의 치환기 및/또는 C6에 결합할 수 있는 산소 또는 질소 원자를 보유하는 임의의 치환기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R1, R2 및 R3은 임의의 치환기를 갖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X의 화합물의 합성을 위한, 본원에 개시된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1i의 중간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44
여기서 R1은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2는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3은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4는 OH이고, 여기서 각각의 R1, R2 및 R3은 위치 C2에서 -OH 치환기를 함유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R1, R2 및 R3은 임의의 치환기를 갖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상기 방법의 단계들, 및 6)에서 제약상 허용되는 등급으로 수득된 생성물을 적어도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와 혼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는, 제약 제제 또는 백신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임의의 부분에서, 용어 "포함하는"은 용어 "이루어진"으로 치환될 수 있다.
이탈리아 특허법의 Art. 170bis에 따라, 본원에서 다음과 같이 선언된다:
세포를 수반하는 모든 실험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세포로 수행하였으며, 기재된 실험에 사용된 모델 마우스와 관련하여, 국가 또는 EU 규정, 및 특히, 2001년 4월 12일 및 2003년 7월 8일 no. 224의 입법 법령 번호 206의 단락 6에서 언급된 조항으로부터 파생된 의무를 충족하였다.
실시예
화학
모든 시약 및 용매는 상업적 공급원으로부터 구입하였고,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반응을 실리카겔 60 F254 플레이트 (머크(Merck)®) 상에서 수행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TLC)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를 상업적 공급원으로부터의 실리카 겔 60 60-75 μm 상에서 수행하였다.
1H 및 13C NMR 스펙트럼은 탑스핀(TopSpin)® 소프트웨어, 또는 NMR 배리안(Varian) 400과 Vnmrj 소프트웨어를 갖는 브루커 어드밴스(Bruker Advance) 400으로 기록하였다. 화학적 이동은 Me4Si에 대해 ppm으로 나타내고; 커플링 상수는 Hz로 나타내었다. 13C 스펙트럼에서의 다중도를 APT 실험에 의해 추정하였다.
13의 합성
글루코사민 히드로클로라이드 12 (10 g, 46.5 mmol, 1 당량) 및 NaHCO3 (10.54 g, 126 mmol, 2.7 당량)를 물 (120 ml)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THF (120 ml) 중 사전에 용해시킨 라우로일 클로라이드 (11.20 g, 51.2 mmol, 1.1 당량)를 용액에 0℃에서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용액을 여과하였다. 백색 고체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4℃ 물 및 THF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과량의 물을 감압 하에 톨루엔과 공증발시켜 목적 생성물 13을 백색 분말로서 60% 수율 (10.10 g)로 수득하였다. 화합물을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δ 7.68 (d, J = 8.1 Hz, 1H), 7.52 (d, J = 7.7 Hz, 3H), 6.46 (d, J = 6.3 Hz, 1H), 6.37 (d, J = 4.0 Hz, 3H), 4.97 - 4.86 (m, 7H), 4.81 (d, J = 4.7 Hz, 1H), 4.62 (d, J = 5.0 Hz, 3H), 4.53 (t, J = 5.7 Hz, 1H), 4.43 (dd, J = 9.5, 4.3 Hz, 4H), 3.73 - 3.42 (m, 18H), 3.34 - 3.22 (m, 2H), 3.16 - 3.09 (m, 3H), 3.04 (d, J = 14.1 Hz, 2H), 2.13 - 2.03 (m, 8H), 1.56 - 1.37 (m, 9H), 1.26 (d, J = 14.5 Hz, 67H), 0.86 (t, J = 6.8 Hz, 13H).
13C NMR (101 MHz, DMSO) δ 173.31, 172.82, 96.11, 91.05, 77.21, 74.74, 72.49, 71.59, 71.32, 70.83, 61.58, 57.57, 54.73, 40.59, 40.38, 40.17, 39.96, 39.75, 39.54, 39.33, 36.18, 35.74, 31.77, 29.53, 29.49, 29.43, 29.37, 29.23, 29.18, 29.14, 25.78, 22.56, 14.42.
14의 합성
디메틸술폭시드 (166 ml, 0.05 M) 중 13 (3 g, 8.3 mmol, 1 당량) 및 이미다졸 (850 mg, 12.4 mmol, 1.5 당량)의 용액에 DCM (15 ml) 중 TBDMSCl (1.4 g, 9.1 mmol, 1.1 당량)의 용액을 불활성 분위기 하에 빙조에서 적가하였다. 후속적으로, 용액을 실온에서 복귀되도록 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TLC (DCM/MeOH 9:1)에 의해 모니터링하고, 정지시키고,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이어서 이를 AcOEt로 희석하고, NH4Cl로 3회 세척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유기 상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회전증발기에 의해 제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수득한 조 생성물 (3.65 g)을 EtPet 중에 0℃에서 30분 동안 재현탁시켰다. 이어서 현탁액을 진공 하에 여과하고, 목적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회수하였다. 정제 후에, 3.5 g의 화합물 14를 백색 고체로서 85%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δ 7.62 (d, J = 7.9 Hz, 1H), 6.43 (d, J = 6.4 Hz, 1H), 4.90 (t, J = 6.5 Hz, 1H), 4.77 (t, J = 9.1 Hz, 1H), 4.42 (t, J = 7.0 Hz, 1H), 3.86 (d, J = 10.8 Hz, 1H), 3.66 (dd, J = 11.0, 4.6 Hz, 1H), 3.30 (d, J = 7.9 Hz, 1H), 3.14 - 2.98 (m, 1H), 2.06 (t, J = 7.4 Hz, 1H), 1.48 (s, 1H), 1.24 (s, 3H), 0.94 - 0.74 (m, 2H), 0.05 (d, J = 3.0 Hz, 1H).
13C NMR (101 MHz, DMSO) δ 173.21, 95.93, 77.09, 74.83, 70.82, 63.61, 57.54, 40.61, 40.40, 40.20, 39.99, 39.78, 39.57, 39.36, 36.20, 31.78, 29.54, 29.51, 29.45, 29.39, 29.20, 29.14, 26.41, 25.76, 22.57, 18.64, 14.41, -4.66, -4.67.
15의 합성
화합물 14 (2.0 g, 4.2 mmol, 1 당량)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26 mg, 0.2 mmol, 0.05 당량)을 Ar 분위기 하에 무수 THF (84 ml, 0.05 M) 중에 용해시켰다. 트리에틸아민 (2.4 ml, 17.2 mmol, 4.1 당량) 및 라우로일 클로라이드 (2.10 ml, 8.5 mmol, 2.0 당량)를 용액에 -20℃에서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2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TLC (EtPet/AcOEt 6:4)에 의해 제어하였다. 후속적으로, 용액을 AcOEt로 희석하고, 1M HCl로 세척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수득한 유기 상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회전증발기에 의해 제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수득한 조 생성물 (4 g)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Tol/AcOEt 9:1)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정제 후, 2.1 g의 화합물 15를 5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 δ 7.80 (d, J = 9.5 Hz, 1H), 5.56 (d, J = 8.9 Hz, 1H), 5.38 (d, J = 5.9 Hz, 1H), 4.92 (dd, J = 10.6, 8.6 Hz, 1H), 3.83 (dd, J = 10.4, 5.8 Hz, 2H), 3.76 - 3.70 (m, 1H), 3.38 (dd, J = 14.3, 8.5 Hz, 2H), 2.30 - 2.14 (m, 7H), 1.94 (t, J = 7.3 Hz, 2H), 1.44 (dd, J = 25.9, 6.4 Hz, 10H), 1.24 (d, J = 2.4 Hz, 75H), 0.90 - 0.81 (m, 24H), 0.07 - -0.01 (m, 6H).
13C NMR (101 MHz, DMSO) δ 174.93, 172.72, 172.34, 171.74, 92.49, 77.48, 75.66, 67.73, 62.54, 52.26, 40.65, 40.44, 40.23, 40.02, 39.82, 39.61, 39.40, 36.08, 34.13, 33.94, 31.78, 31.74, 29.59, 29.52, 29.50, 29.44, 29.39, 29.35, 29.30, 29.19, 29.00, 28.93, 28.75, 26.26, 25.70, 24.95, 24.77, 22.55, 18.54, 14.39, 14.36, -4.71, -4.78.
16의 합성
화합물 15 (2.12 g, 2.4 mmol, 1 당량) 및 이미다졸 트리플레이트 (1.4 g, 5.4 mmol, 2.25 당량)를 불활성 분위기 하에 DCM (121 mL, 0.02 M) 중에 용해시켰다. 디벤질 N,N-디이소프로필포스포르아미다이트 (1.83 g, 5.3 mmol, 2.2 당량)를 용액에 0℃에서 첨가하였다. 반응을 TLC (EtPet/아세톤 9:1)에 의해 모니터링하였으며; 30분 후, 기질 고갈이 검출되었다. 이어서 용액을 -20℃에서 냉각시키고, DCM 17 ml 중에 용해시킨 메타-클로로퍼벤조산 (1.66 g, 9.7 mmol, 4 당량)을 적가하였다. 30분 후, 반응물을 실온으로 되돌리고, 밤새 교반되도록 하였다. TLC 분석 후, 반응물을 포화 NaHCO3 용액 15 ml로 켄칭하고, 회전증발기에 의해 농축시켰다. 이어서 혼합물을 AcOEt로 희석하고, 포화 NaHCO3 용액으로 3회 및 1 M HCl 용액으로 3회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회수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회전증발기에 의해 제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수득한 조 물질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EtPet/아세톤 9:1)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화합물 16 2.41 g를 황색 오일로서 91%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34 - 7.25 (m, 10H), 5.61 (d, J = 8.7 Hz, 1H), 5.44 (d, J = 9.6 Hz, 1H), 5.16 (dd, J = 10.8, 9.1 Hz, 1H), 5.00 (dd, J = 8.1, 2.8 Hz, 2H), 4.96 - 4.91 (m, 2H), 4.53 (q, J = 9.2 Hz, 1H), 4.23 (dt, J = 10.8, 9.5 Hz, 1H), 3.91 (dd, J = 11.9, 1.8 Hz, 1H), 3.78 (dd, J = 11.9, 4.6 Hz, 1H), 3.56 (ddd, J = 9.6, 4.4, 1.7 Hz, 1H), 2.31 (td, J = 7.5, 3.5 Hz, 2H), 2.19 (t, J = 7.7 Hz, 2H), 2.07 - 2.01 (m, 2H), 1.61 - 1.37 (m, 6H), 1.33 - 1.10 (m, 50H), 0.92 - 0.83 (m, 19H), 0.03 - -0.03 (m, 6H).
13C NMR (101 MHz, CDCl3) δ 174.43, 172.75, 172.40, 135.52, 128.60, 128.56, 127.88, 127.83, 92.59, 77.31, 77.00, 76.68, 76.23, 76.16, 72.94, 72.89, 69.56, 69.51, 69.46, 61.63, 52.79, 36.76, 34.08, 33.94, 31.89, 29.65, 29.60, 29.49, 29.47, 29.43, 29.37, 29.33, 29.25, 29.11, 29.01, 25.82, 25.58, 24.63, 24.58, 22.66, 18.32, 14.07, -5.19, -5.32.
17의 합성
화합물 16 (2.41 g, 2.4 mmol, 1 당량)을 아세톤 (48 mL) 중에 용해시키고, H2O 중 H2SO4의 5% v/v 용액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480 μL, 1% v/v). 용액을 8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고, TLC (EtPet/아세톤 8:2)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액을 AcOEt로 희석하고, 포화 NaHCO3 용액으로 3회 세척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수득한 유기 상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회전증발기에 의해 제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수득한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EtPet/아세톤 85:15)에 의해 정제하였다. 정제 후 화합물 17 (2.1 g)을 백색 고체로서 9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40 - 7.27 (m, 1H), 5.63 (d, J = 8.8 Hz, 1H), 5.45 (d, J = 9.6 Hz, 1H), 5.18 (dd, J = 10.7, 9.3 Hz, 1H), 5.08 - 4.91 (m, 1H), 4.54 (q, J = 9.5 Hz, 1H), 4.26 (dd, J = 19.9, 9.3 Hz, 1H), 3.87 - 3.74 (m, 1H), 3.47 (d, J = 9.7 Hz, 1H), 2.40 - 2.24 (m, 1H), 2.10 - 1.91 (m, 1H), 1.61 - 1.46 (m, 1H), 1.46 - 1.33 (m, 1H), 1.33 - 1.01 (m, 5H), 0.92 - 0.83 (m, 1H).
13C NMR (101 MHz, CDCl3) δ 174.11, 172.77, 172.49, 128.94, 128.84, 128.72, 128.66, 128.26, 127.95, 92.61, 77.33, 77.01, 76.69, 75.90, 75.87, 72.46, 72.42, 72.15, 72.10, 70.23, 70.17, 70.10, 60.23, 52.78, 36.71, 34.03, 33.71, 31.90, 29.67, 29.62, 29.49, 29.44, 29.38, 29.34, 29.32, 29.26, 29.23, 29.04, 29.01, 25.56, 24.59, 24.48, 22.66, 14.09.
1의 합성
화합물 17 (50 mg, 0.05 mmol, 1 당량)을 DCM (2.5 mL) 및 MeOH (2.5 mL)의 혼합물 중에 용해시키고, Ar 분위기 하에 두었다. 이어서 Pd/C 촉매 (10 mg, 20% m/m)를 용액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기체를 반응 환경에서 제거하고, 이를 후속적으로 H2 분위기 하에 두었다. 용액을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한 다음, H2를 제거하고, 반응을 TLC (EtPet/아세톤 8:2)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100 μL)을 반응물에 첨가하고, 이를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후속적으로 용액을 GF/0.45 μm 나일론을 사용하여 시린지 필터 PALL 4549T 아크로디스크 25 mm 상에서 여과하여 Pd/C 촉매를 제거하고, 용매를 회전증발기에 의해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DCM/MeOH 용액 중에 재현탁시키고, IRA 120 H+를 첨가하였다. 30분 동안 교반한 후, IRA 120 H+를 여과하고, 용매를 회전증발기에 의해 제거하고, 조 물질을 DCM/MeOH 중에 재현탁시키고, IRA 120 Na+를 첨가하였다. 30분 동안 교반한 후, IRA 120 Na+를 여과하고, 용매를 회전증발기에 의해 제거하였다.
1 (45 mg)을 백색 분말로서 정량적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5.75 (d, J = 8.9 Hz, 1H), 5.28 (t, J = 9.8 Hz, 1H), 4.28 (q, J = 9.7 Hz, 1H), 4.06 (t, J = 9.6 Hz, 1H), 3.89 - 3.74 (m, 2H), 3.62 (t, J = 9.2 Hz, 1H), 2.42 - 2.25 (m, 5H), 2.09 (t, J = 7.6 Hz, 2H), 1.56 (d, J = 6.4 Hz, 7H), 1.29 (s, 53H), 0.90 (t, J = 6.6 Hz, 9H).
13C NMR (101 MHz, MeOD) δ 174.69, 173.32, 172.00, 92.16, 76.22, 76.17, 72.81, 72.78, 72.20, 72.14, 60.30, 52.82, 48.23, 48.02, 47.81, 47.59, 47.38, 47.17, 46.96, 36.05, 33.64, 33.55, 31.67, 31.66, 29.45, 29.39, 29.38, 29.35, 29.26, 29.20, 29.19, 29.14, 29.07, 29.05, 29.02, 28.92, 28.74, 25.58, 24.38, 22.31, 13.00.
18의 합성
화합물 17 (2.36 g, 2.4 mmol, 1 당량) 및 이미다졸 트리플레이트 (1.4 g, 5.4 mmol, 2.25 당량)를 불활성 분위기 하에 DCM (121 mL, 0.02 M) 중에 용해시켰다. 디벤질 N,N-디이소프로필포스포르아미다이트 (1.83 g, 5.3 mmol, 2.2 당량)를 용액에 0℃에서 첨가하였다. 반응을 TLC (EtPet/아세톤 9:1)에 의해 모니터링하였으며; 30분 후, 기질 고갈이 검출되었다. 이어서 용액을 -20℃에서 냉각시키고, DCM 17 ml 중에 용해시킨 메타-클로로퍼벤조산 (1.66 g, 9.7 mmol, 4 당량)을 적가하였다. 30분 후, 반응물을 실온으로 되돌리고, 밤새 교반되도록 하였다. TLC 분석 후, 반응물을 포화 NaHCO3 용액 15 ml로 켄칭하고, 회전증발기에 의해 농축시켰다. 이어서 혼합물을 AcOEt로 희석하고, 포화 NaHCO3 용액으로 3회 및 1 M HCl 용액으로 3회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회수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회전증발기에 의해 제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수득한 조 물질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EtPet/아세톤 9:1)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화합물 18 2.41 g를 황색 오일로서 91%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33 - 7.18 (m, 21H), 5.66 (d, J = 8.8 Hz, 1H), 5.51 (d, J = 9.5 Hz, 1H), 5.18 (dd, J = 10.6, 9.2 Hz, 1H), 5.02 (dd, J = 10.8, 3.3 Hz, 4H), 5.00 - 4.95 (m, 2H), 4.94 - 4.88 (m, 2H), 4.49 - 4.43 (m, 1H), 4.42 - 4.36 (m, 1H), 4.25 (dd, J = 19.8, 9.3 Hz, 1H), 4.16 (ddd, J = 11.8, 7.1, 5.0 Hz, 1H), 3.74 (dd, J = 9.5, 4.2 Hz, 1H), 2.19 (dt, J = 15.9, 7.0 Hz, 5H), 2.07 - 2.01 (m, 2H), 1.49 (dt, J = 14.0, 7.1 Hz, 4H), 1.45 - 1.36 (m, 2H), 1.34 - 1.11 (m, 54H), 0.88 (t, J = 6.8 Hz, 10H).
13C NMR (101 MHz, CDCl3) δ 174.22, 172.82, 172.18, 135.79, 135.72, 135.33, 128.62, 128.58, 128.52, 128.05, 128.00, 127.96, 92.44, 74.11, 72.59, 72.39, 69.38, 65.25, 52.68.
6의 합성
화합물 18 (57 mg, 0.05 mmol, 1Eq)을 DCM (2.5 mL) 및 MeOH (2.5 mL)의 혼합물 중에 용해시키고, Ar 분위기 하에 두었다. 이어서 Pd/C 촉매 (10 mg, 20% m/m)를 용액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기체를 반응 환경에서 제거하고, 이를 후속적으로 H2 분위기 하에 두었다. 용액을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한 다음; H2를 제거하고, 반응을 TLC (EtPet/아세톤 8:2)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100 μL)을 반응물에 첨가하고, 이를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후속적으로 용액을 GF/0.45 μm 나일론을 사용하여 시린지 필터 PALL 4549T 아크로디스크 25 mm 상에서 여과하여 Pd/C 촉매를 제거하고, 용매를 회전증발기에 의해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DCM/MeOH 용액 중에 재현탁시키고, IRA 120 H+를 첨가하였다. 30분 동안 교반한 후, IRA 120 H+를 여과하고, 용매를 회전증발기에 의해 제거하고, 조 물질을 DCM/MeOH 중에 재현탁시키고, IRA 120 Na+를 첨가하였다. 30분 동안 교반한 후, IRA 120 Na+를 여과하고, 용매를 회전증발기에 의해 제거하였다. 6 (45 mg)을 백색 분말로서 정량적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5.77 (d, J = 8.8 Hz, 1H), 5.32 - 5.23 (m, 1H), 4.39 (dd, J = 18.9, 9.5 Hz, 1H), 4.21 (d, J = 9.7 Hz, 3H), 4.10 - 4.00 (m, 1H), 3.80 (d, J = 9.2 Hz, 1H), 2.44 - 2.24 (m, 6H), 2.09 (t, J = 7.6 Hz, 2H), 1.55 (dd, J = 13.5, 6.9 Hz, 10H), 1.39 - 1.24 (m, 79H), 0.96 - 0.82 (m, 33H).
13C NMR (101 MHz, MeOD) δ 174.87, 173.81, 91.22, 72.86, 72.80, 71.25, 68.94, 68.86, 68.80, 64.65, 64.61, 52.10, 48.24, 48.03, 47.82, 47.61, 47.39, 47.18, 46.97, 36.10, 35.63, 33.76, 33.64, 33.55, 33.40, 31.69, 31.63, 29.26, 29.22, 29.18, 29.15, 29.11, 29.06, 29.03, 28.98, 28.84, 28.78, 25.68, 25.62, 24.69, 24.63, 24.38, 22.35, 22.32, 13.06, 13.03, 7.82.
19의 합성
화합물 17 (100 mg, 0.1 mmol, 1 당량) 및 산화은 (I) (140 mg, 0.6 mmol, 6 당량)을 불활성 분위기 하에 톨루엔 (1 mL, 0.1 M) 중에 용해시켰다. 알릴 브로마이드 (51 μL, 0.6 mmol, 6 당량)를 실온에서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밤새 교반되도록 하였다. TLC 분석 (EtPet/아세톤 8:2) 후, 반응을 중지시키고, 용액을 셀라이트 패드 상에서 여과하였다. 유기 액체 상을 회수하고, 용매를 회전증발기에 의해 제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수득한 조 물질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EtPet/아세톤 8:2)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화합물 19 50 mg을 황색 오일로서 5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38 - 7.22 (m, 10H), 5.91 - 5.77 (m, 1H), 5.64 (d, J = 8.8 Hz, 1H), 5.25 - 5.07 (m, 3H), 5.04 - 4.91 (m, 4H), 4.56 (q, J = 9.3 Hz, 1H), 4.26 (dd, J = 19.8, 9.3 Hz, 1H), 3.99 - 3.90 (m, 2H), 3.73 (dd, J = 11.0, 1.5 Hz, 1H), 3.69 (dd, J = 9.6, 4.4 Hz, 1H), 3.60 (dd, J = 11.0, 4.4 Hz, 1H), 2.40 - 2.24 (m, 2H), 2.18 (dd, J = 16.1, 8.4 Hz, 2H), 2.03 (dd, J = 15.1, 7.1 Hz, 2H), 1.62 - 1.53 (m, 2H), 1.49 (dd, J = 14.2, 7.2 Hz, 2H), 1.41 (dt, J = 13.2, 6.8 Hz, 2H), 1.34 - 1.10 (m, 51H), 0.88 (t, J = 6.8 Hz, 9H).
13C NMR (101 MHz, CDCl3) δ 174.33, 172.77, 172.41, 135.48, 134.43, 128.64, 128.59, 127.92, 117.20, 92.70, 77.32, 77.00, 76.68, 75.29, 75.23, 73.21, 73.15, 72.83, 72.47, 69.67, 69.63, 67.81, 52.83, 36.74, 34.05, 33.93, 31.89, 29.65, 29.62, 29.60, 29.49, 29.44, 29.36, 29.33, 29.31, 29.27, 29.23, 29.10, 29.00, 25.55, 24.57, 24.50, 22.65, 14.07.
21의 합성
화합물 17 (100 mg, 0.1 mmol, 1 당량) 및 화합물 20 (48 mg, 0.11 mmol, 1.1 당량)을 불활성 분위기 하에 DCM (1 mL, 0.1 M) 중에 용해시켰다.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EDC) (192 mg, 0.12 mmol, 1.2 당량) 및 디메틸 N,N 아미노피리딘 (DMAP)을 용액에 0℃에서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되돌리고, 밤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 완결 후, 용액을 AcOEt로 희석하고, 포화 NaHCO3 용액으로 3회 세척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수득한 유기 상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회전증발기에 의해 제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수득한 조 물질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EtPet/아세톤 85:15)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화합물 21 100 mg을 백색 분말로서 65% 수율로 수득하였다.
23의 합성
화합물 17 (100 mg, 0.1 mmol, 1 당량), 화합물 22 (57 mg, 0.13 mmol, 1.25 당량) 및 분말화된 3 a 분자체 (50 mg)를 톨루엔 (1 mL, 0.1 M) 중에 불활성 분위기 하에 용해시키고, 1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이어서 산화은 (I) (46 mg, 0.2 mmol, 2 당량)을 실온에서 용액에 첨가하고, 이어서 이를 0℃로 냉각시키고, 트리플산 (4,4 μL, 0.05 mmol, 0.5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되도록 하였다. TLC 분석 (EtPet/아세톤 8:2) 후, 반응을 중지시키고, 용액을 셀라이트 패드 상에서 여과하였다. 유기 액체 상을 회수하고, AcOEt로 희석하고, NaHCO3으로 3회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회수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수득한 조 물질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톨루엔/아세톤 85:15)에 의해 정제하였다. 화합물 23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50 mg을 황색 오일로서 4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40 - 7.20 (m, 38H), 5.65 (d, J = 8.8 Hz, 1H), 5.61 (s, 1H), 5.40 (s, 1H), 5.24 - 5.18 (m, 1H), 5.14 (s, 1H), 4.91 (d, J = 11.6 Hz, 9H), 4.69 (s, 2H), 4.62 (d, J = 2.2 Hz, 4H), 4.57 - 4.37 (m, 2H), 4.23 (s, 1H), 2.40 - 2.26 (m, 3H), 2.13 (ddd, J = 13.7, 7.6, 4.4 Hz, 3H), 2.05 (s, 3H), 1.57 (s, 6H), 1.47 - 1.36 (m, 3H), 1.29 (s, 79H), 0.88 (t, J = 6.8 Hz, 14H).
13C NMR (101 MHz, CDCl3) δ 174.23, 172.81, 172.43, 138.66, 138.63, 135.24, 128.75, 128.69, 128.67, 128.62, 128.50, 128.40, 128.31, 128.27, 128.20, 128.06, 127.92, 127.88, 127.71, 127.64, 127.56, 127.41, 127.39, 98.55, 92.54, 80.36, 79.72, 77.32, 77.00, 76.68, 75.36, 74.99, 72.76, 72.51, 71.93, 69.72, 69.66, 69.63, 69.58, 68.09, 64.99, 52.74, 36.77, 34.03, 33.89, 31.89, 30.90, 29.66, 29.60, 29.49, 29.46, 29.36, 29.34, 29.22, 29.09, 29.02, 25.59, 24.58, 24.46, 22.66, 17.97, 14.09.
24의 합성
화합물 23 (70 mg, 0.05 mmol, 1 당량)을 DCM (2.5 mL) 및 MeOH (2.5 mL)의 혼합물 중에 용해시키고, Ar 분위기 하에 두었다. 이어서 Pd/C 촉매 (10 mg, 20% m/m)를 용액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기체를 반응 환경에서 제거하고, 이를 후속적으로 H2 분위기 하에 두었다. 용액을 2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한 다음, H2를 제거하고, 반응을 TLC (EtPet/아세톤 8:2)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100 μL)을 반응물에 첨가하고, 이를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후속적으로 용액을 GF/0.45 μm 나일론을 사용하여 시린지 필터 PALL 4549T 아크로디스크 25 mm 상에서 여과하여 Pd/C 촉매를 제거하고, 용매를 회전증발기에 의해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DCM/MeOH 용액 중에 재현탁시키고, IRA 120 H+를 첨가하였다. 30분 동안 교반한 후, IRA 120 H+를 여과하고, 용매를 회전증발기에 의해 제거하고, 조 물질을 DCM/MeOH 중에 재현탁시키고, IRA 120 Na+를 첨가하였다. 30분 동안 교반한 후, IRA 120 Na+를 여과하고, 용매를 회전증발기에 의해 제거하였다. 24 (50 mg)를 백색 분말로서 정량적 수율로,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δ 5.76 (dd, J = 8.8, 4.7 Hz, 1H), 5.29 (dd, J = 10.5, 9.1 Hz, 1H), 4.76 (d, J = 1.2 Hz, 1H), 4.36 (dd, J = 18.8, 9.4 Hz, 1H), 4.08 (ddt, J = 19.6, 14.2, 5.9 Hz, 4H), 3.91 (dd, J = 3.4, 1.6 Hz, 2H), 3.83 - 3.75 (m, 2H), 3.75 - 3.62 (m, 5H), 3.44 - 3.34 (m, 3H), 2.48 - 2.27 (m, 7H), 2.14 - 2.08 (m, 2H), 1.60 (s, 11H), 1.40 - 1.21 (m, 96H), 0.92 (t, J = 6.8 Hz, 17H).
13C NMR (101 MHz, MeOD) δ 174.68, 173.39, 171.99, 101.03, 92.10, 75.14, 72.96, 72.66, 72.32, 70.90, 70.57, 68.47, 65.71, 52.71, 48.23, 48.02, 47.81, 47.59, 47.38, 47.17, 46.96, 36.06, 33.66, 33.57, 31.69, 29.39, 29.30, 29.09, 28.95, 28.76, 28.44, 25.59, 24.42, 22.33, 16.62, 13.03.
29의 합성
화합물 17 (100 mg, 0.11 mmol, 1 당량) 및 화합물 28 (24 mg, 0.11 mmol, 1.1 당량)을 건조 DCM (1 ml, 0.1 M) 중에 Ar 분위기 하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EDC (23 mg, 0.12 mmol, 1.2 당량) 및 DMAP (0.112 mg, 0.01 mmol, 0.1 당량)를 용액에 0℃에서 첨가하였다. 후속적으로, 용액을 실온에서 복귀되도록 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을 TLC (EtPet/아세톤 8:2)에 의해 모니터링하고, 정지시키고,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이어서 이를 AcOEt로 희석하고, HCl로 3회 세척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수득한 유기 상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용매를 회전증발기에 의해 제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수득한 조 생성물 (550 mg)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EtPet/아세톤 85:15)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정제 후에, 화합물 29 17 mg을 40%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43 (dd, J = 6.8, 2.9 Hz, 1H), 7.36 - 7.19 (m, 10H), 5.60 (d, J = 8.7 Hz, 1H), 5.45 (s, 1H), 5.36 (d, J = 9.7 Hz, 1H), 5.15 (dd, J = 10.7, 9.1 Hz, 1H), 4.97 (t, J = 9.9 Hz, 1H), 4.93 - 4.80 (m, 1H), 4.67 (ddd, J = 18.4, 12.5, 2.3 Hz, 2H), 4.51 (q, J = 9.3 Hz, 1H), 4.22 (td, J = 12.5, 7.2 Hz, 1H), 3.79 (dd, J = 9.5, 3.1 Hz, 1H), 3.64 (d, J = 10.2 Hz, 1H), 2.36 - 2.23 (m, 1H), 2.21 - 2.09 (m, 1H), 2.09 - 1.99 (m, 1H), 1.04 (s, 2H), 0.98 - 0.75 (m, 5H).
13C NMR (101 MHz, CDCl3) δ 172.86, 134.44, 129.73, 128.98, 128.68, 128.27, 128.08, 127.97, 127.89, 126.22, 126.09, 101.61, 92.55, 77.31, 76.99, 76.67, 73.09, 72.47, 72.27, 69.82, 67.34, 61.47, 52.67, 50.48, 42.54, 36.74, 34.02, 31.89, 29.60, 29.44, 29.33, 28.99, 25.57, 24.50, 22.66, 19.14, 17.39, 14.08.
30의 합성
화합물 29 (30 mg, 0.03 mmol, 1 당량)를 건조 DCM 및 건조 MeOH의 1:1 혼합물 (3 ml, 0.01 M) 중에 Ar 분위기 하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Pd/C 촉매 (6 mg, 20% m/m)를 항상 불활성 분위기 하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진공 하에 몇 분 동안 두었다. 이어서 수소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 (톨루엔/아세톤 85:15)에 의해 모니터링하고, 이어서 정지시켰다. 수소를 완전히 제거하고, Ar 분위기를 회복시켰다. 트리에틸아민 (60 μl)을 용액에 첨가하고, 이를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촉매를 GF/0.45 μm 나일론을 사용하여 시린지 필터 PALL 4549T 아크로디스크 25 mm 상에서 여과에 의해 제거하여 Pd/C 촉매를 제거하고, 용매를 회전증발기에 의해 증발시켰다. 미가공 화합물을 DCM/MeoH 1:1 중에 재현탁시키고, IRA 120 H+를 용액에 첨가하였다. 30분 후, 산 수지를 제거하고, 대신에 나트륨 수지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다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용매를 회전증발기에 의해 제거하여, 화합물 30 52.9 mg을 >99%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MeOD) δ 5.76 (d, J = 8.9 Hz, 1H), 5.33 - 5.24 (m, 1H), 4.54 - 4.38 (m, 2H), 4.37 - 4.29 (m, 1H), 4.14 - 4.05 (m, 1H), 3.89 (d, J = 7.3 Hz, 1H), 3.78 (q, J = 9.0 Hz, 1H), 3.67 (dd, J = 16.4, 11.6 Hz, 4H), 3.56 (t, J = 6.6 Hz, 1H), 2.49 - 2.27 (m, 5H), 2.23 - 2.08 (m, 2H), 1.59 (d, J = 6.4 Hz, 7H), 1.22 - 1.15 (m, 3H).
32의 합성
화합물 17 (100 mg, 0.1 mmol, 1 당량), 화합물 31 (110 mg, 0.2 mmol, 2 당량) 및 분말화된 3a 분자체 (330 mg)를 DCM (2 mL, 0.2 M) 중에 불활성 분위기 하에 용해시키고, 1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이어서 NIS (45 mg, 0.2 mmol, 2 당량) 및 HOFox (8.5 mg, 0.5 mmol, 0.5 당량)를 실온에서 용액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실온에서 약 1.5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TLC 분석 (EtPet/아세톤 8:2) 후, 반응을 정지시키고, 용액을 면 패드 상에서 여과하였다. 유기 액체 상을 회수하고, AcOEt로 희석하고, Na2S2O3으로 3회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회수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수득한 조 물질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EtPet/아세톤 80:20)에 의해 정제하였다. 화합물 32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120 mg을 황색 오일로서 84%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40 - 7.20 (m, 32H), 7.11 (ddd, J = 13.3, 6.8, 2.7 Hz, 2H), 5.62 (dd, J = 8.8, 3.8 Hz, 1H), 5.34 (d, J = 9.5 Hz, 1H), 5.27 (d, J = 9.6 Hz, 0H), 5.13 (td, J = 10.9, 8.9 Hz, 1H), 5.00 - 4.85 (m, 6H), 4.79 (dd, J = 10.9, 2.5 Hz, 1H), 4.73 (d, J = 11.0 Hz, 1H), 4.70 - 4.64 (m, 2H), 4.63 - 4.54 (m, 2H), 4.53 - 4.45 (m, 1H), 4.44 - 4.21 (m, 4H), 3.93 (t, J = 9.3 Hz, 1H), 3.87 - 3.75 (m, 3H), 3.70 - 3.51 (m, 5H), 3.46 - 3.33 (m, 1H), 2.22 (t, J = 7.6 Hz, 1H), 2.13 (dt, J = 17.2, 7.7 Hz, 3H), 2.03 (q, J = 7.3 Hz, 3H), 1.50 (s, 3H), 1.40 (p, J = 7.1 Hz, 3H), 1.22 (d, J = 16.1 Hz, 52H), 0.88 (t, J = 6.7 Hz, 10H).
13C NMR (101 MHz, CDCl3) δ 174.35, 172.75, 172.22, 138.97, 138.22, 138.03, 128.74, 128.69, 128.67, 128.59, 128.45, 128.35, 128.29, 128.22, 128.12, 128.02, 127.91, 127.89, 127.83, 127.80, 127.73, 127.69, 127.63, 127.48, 127.43, 103.88, 97.27, 92.65, 92.54, 84.49, 81.90, 79.78, 77.61, 77.50, 77.34, 77.02, 76.70, 75.58, 74.95, 74.64, 73.43, 73.33, 73.27, 72.80, 72.71, 70.19, 69.73, 68.41, 52.92, 36.83, 34.03, 33.94, 31.93, 29.69, 29.64, 29.51, 29.47, 29.39, 29.37, 29.33, 29.26, 29.14, 29.04, 25.64, 24.60, 24.53, 24.36, 22.69, 14.12.
34의 합성
화합물 17 (100 mg, 0.1 mmol, 1 당량), 화합물 33 (110 mg, 0.2 mmol, 2 당량) 및 분말화된 3a 분자체 (330 mg)를 DCM (2 mL, 0.2 M) 중에 불활성 분위기 하에 용해시키고, 1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냉각시킨 다음, Bi(OTf)3 (50 mg, 0.075 mmol, 0.75 당량)를 용액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되도록 하였다. TLC 분석 (EtPet/아세톤 7:3) 후, 반응을 정지시키고, 용액을 셀라이트 패드 상에서 여과하였다. 유기 액체 상을 회수하고, AcOEt로 희석하고, NaHCO3으로 3회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회수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수득한 조 물질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EtPet/아세톤 70:30)에 의해 정제하고, 이는 2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를 분리되도록 하였다. 총 화합물 34 (α+β) 125 mg을 황색 오일로서 94% 수율로 수득하였다.
34α
1H NMR (400 MHz, CDCl3) δ 8.75 (dt, J = 4.6, 1.4 Hz, 1H), 8.06 (d, J = 7.8 Hz, 1H), 7.89 (td, J = 7.7, 1.8 Hz, 1H), 7.47 (ddd, J = 7.6, 4.7, 1.2 Hz, 1H), 7.40 - 7.13 (m, 30H), 5.53 (d, J = 8.8 Hz, 1H), 5.32 (d, J = 9.7 Hz, 1H), 5.10 (dd, J = 10.8, 8.9 Hz, 1H), 4.99 - 4.90 (m, 5H), 4.89 (d, J = 3.5 Hz, 1H), 4.83 (d, J = 11.7 Hz, 1H), 4.75 (d, J = 11.8 Hz, 1H), 4.68 (dd, J = 11.7, 6.1 Hz, 2H), 4.61 (d, J = 11.4 Hz, 1H), 4.40 - 4.30 (m, 2H), 4.30 - 4.25 (m, 1H), 4.16 - 4.09 (m, 1H), 4.05 (dd, J = 10.2, 2.9 Hz, 2H), 3.98 (dd, J = 10.1, 2.7 Hz, 1H), 3.90 (d, J = 2.5 Hz, 1H), 3.78 (td, J = 9.5, 5.4 Hz, 3H), 2.26 (q, J = 7.4 Hz, 2H), 2.15 (d, J = 7.8 Hz, 2H), 2.06 - 1.99 (m, 3H), 1.49 (q, J = 7.4 Hz, 4H), 1.41 (p, J = 7.3 Hz, 1H), 1.23 (d, J = 7.7 Hz, 61H), 0.88 (qt, J = 3.8, 1.8 Hz, 12H).
13C NMR (101 MHz, CDCl3) δ 174.24, 172.55, 172.30, 164.62, 149.93, 147.89, 138.46, 138.29, 137.14, 128.66, 128.39, 128.30, 128.07, 127.87, 127.69, 127.63, 127.46, 126.92, 125.40, 97.29, 92.61, 79.00, 76.34, 75.16, 74.57, 73.59, 73.19, 72.81, 69.70, 68.80, 65.18, 65.03, 52.82, 36.82, 33.97, 31.92, 29.64, 29.52, 29.36, 29.30, 29.14, 29.06, 25.63, 24.60, 22.69, 14.11.
34β
1H NMR (400 MHz, CDCl3) δ 8.73 (dd, J = 4.9, 1.7 Hz, 1H), 7.95 (d, J = 7.8 Hz, 1H), 7.78 (td, J = 7.8, 1.8 Hz, 1H), 7.46 - 7.41 (m, 1H), 7.29 (ddddd, J = 21.3, 16.3, 13.5, 8.4, 4.4 Hz, 27H), 5.63 (d, J = 8.8 Hz, 1H), 5.36 (d, J = 9.6 Hz, 1H), 5.12 (dd, J = 10.8, 8.9 Hz, 1H), 4.97 (d, J = 11.7 Hz, 1H), 4.95 - 4.86 (m, 5H), 4.81 (d, J = 11.8 Hz, 1H), 4.71 (d, J = 11.9 Hz, 1H), 4.65 (dd, J = 11.2, 5.6 Hz, 2H), 4.39 (d, J = 8.0 Hz, 1H), 4.48 - 4.34 (m, 2H), 4.34 - 4.22 (m, 2H), 3.90 - 3.82 (m, 3H), 3.68 (t, J = 4.6 Hz, 1H), 3.64 (dd, J = 9.2, 5.7 Hz, 1H), 3.51 (dd, J = 9.8, 2.9 Hz, 1H), 2.19 - 2.06 (m, 3H), 2.02 (t, J = 7.7 Hz, 2H), 1.49 (t, J = 7.3 Hz, 2H), 1.40 (p, J = 7.2 Hz, 1H), 1.35 - 1.04 (m, 55H), 0.88 (td, J = 6.8, 2.1 Hz, 10H).
13C NMR (101 MHz, CDCl3) δ 174.24, 172.75, 172.16, 164.53, 149.91, 147.67, 138.78, 138.53, 138.20, 137.00, 128.65, 128.62, 128.51, 128.36, 128.28, 128.25, 128.04, 127.98, 127.62, 127.57, 127.51, 126.90, 125.35, 104.08, 92.54, 81.88, 79.16, 74.41, 73.25, 72.85, 72.11, 69.77, 68.46, 64.19, 52.87, 36.77, 33.89, 31.92, 29.69, 29.63, 29.36, 29.34, 29.22, 29.12, 28.99, 25.59, 24.60, 24.34, 22.69, 14.12.
35의 합성
불활성 분위기 하에 DCM/MeOH의 3:1 혼합물 (5 mL, 0.1 M) 중 34 (75 mg, 0.5 mmol, 0.5 당량)의 용액에, Cu(OAc)2 (15 mg, 0.75 mmol, 1.5 당량)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용액을 약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TLC (EtPet/AcOEt 6:4)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용매를 회전증발기에 의해 증발시키고, 용액을 추가의 정제 없이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EtPet/AcOEt 6:4)에 의해 정제하였다. 화합물 35 55 mg을 80% 수율로 회수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40 - 7.22 (m, 29H), 5.62 (d, J = 8.7 Hz, 1H), 5.38 (d, J = 9.6 Hz, 1H), 5.12 (dd, J = 10.8, 8.9 Hz, 1H), 4.97 - 4.88 (m, 6H), 4.80 (d, J = 11.9 Hz, 1H), 4.71 (d, J = 11.9 Hz, 1H), 4.65 (dd, J = 13.1, 11.3 Hz, 2H), 4.39 - 4.36 (m, 1H), 4.35 (d, J = 5.5 Hz, 1H), 4.33 (d, J = 7.4 Hz, 1H), 4.27 (dt, J = 10.8, 7.4 Hz, 1H), 3.86 - 3.80 (m, 2H), 3.72 (d, J = 3.3 Hz, 2H), 3.72 - 3.63 (m, 2H), 3.47 (dd, J = 9.7, 2.9 Hz, 1H), 3.39 (dd, J = 11.5, 4.8 Hz, 1H), 3.31 (dd, J = 7.2, 4.9 Hz, 1H), 2.16 (dd, J = 8.8, 7.1 Hz, 2H), 2.09 (ddd, J = 8.7, 7.2, 5.1 Hz, 2H), 2.03 (t, J = 7.7 Hz, 2H), 1.51 (q, J = 7.3 Hz, 2H), 1.41 (dq, J = 14.9, 7.0 Hz, 4H), 1.33 - 1.09 (m, 55H), 0.88 (td, J = 6.9, 2.0 Hz, 10H).
13C NMR (101 MHz, CDCl3) δ 174.21, 172.80, 172.24, 138.79, 138.52, 138.27, 135.34, 128.72, 128.66, 128.64, 128.53, 128.40, 128.26, 128.10, 128.06, 127.89, 127.64, 127.59, 127.51, 103.82, 92.52, 82.12, 79.15, 75.18, 75.09, 74.94, 74.20, 73.75, 73.69, 73.44, 73.24, 72.79, 69.87, 69.81, 67.94, 62.16, 52.74, 36.77, 33.91, 33.86, 31.93, 29.69, 29.64, 29.51, 29.47, 29.36, 29.33, 29.29, 29.23, 29.11, 29.00, 25.59, 24.59, 24.39, 22.70, 14.12.
생물학
TLR4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화합물 FP20, FP21, FP22, FP23 및 FP24의 능력을 특정 HEK 리포터 세포주 상에서 초기에 조사하였다. HEK-블루TM hTLR4 및 HEK-블루TM hTLR2 (인비보젠(InvivoGen))는 전사 인자 NF-κB 및 AP-1의 활성화를 모니터링함으로써 각각 인간 TLR4 및 TLR2 수용체의 활성화를 연구하도록 설계된 세포주이다. TLR4 리간드 (HEK-블루 hTLR4의 경우) 또는 TLR2 리간드 (HEK-블루 hTLR2의 경우)에 의한 자극은 NF-κB 및 AP-1을 활성화시켜, 세포외 환경에서 SEAP (분비된 배아 알칼리성 포스파타제) 리포터 유전자의 생산 및 방출을 유도한다. 리포터 유전자의 분석은 흡광도가 630 nm에서 판독되는 발색 생성물을 생성하는 SEAP의 기질에 대하여 퀀티-블루TM 비색 검정 (인비보젠)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분자의 효능제 활성을, HEK-블루 hTLR4 세포를 18시간 동안 증가하는 농도의 화합물 (0.1-1-10-25 μM)로 처리하고, MPLA (0.1-1-10 μM) 및 S-LPS (100 ng /mL)를 각각 참조 및 양성 수용체 활성화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수득된 결과는 분자 FP20, FP21, FP22, FP23 및 FP24가 용량-의존성 방식으로 TLR4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1a). 후속적으로, 분자를 HEK-블루 hTLR2 세포주 상에서 이 수용체의 활성화를 배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험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HEK-블루 hTLR2 세포를 이전에 수행된 시험과 동일한 화합물 및 동일한 농도로 처리하고, 화합물 PAM2CSK4를 TLR2 활성화에 대한 양성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예상된 바와 같이, PAM2CSK4로의 자극은 TLR2의 강한 활성화를 유도한 반면, 화합물 FP20, FP21, FP22, FP23 및 FP24로의 처리는 어떠한 활성화도 생성하지 않았다 (도 1b).
HEK 세포에 대한 스크리닝 시험으로부터 수득된 결과에 따라, 화합물 FP20, FP21, FP22, FP23 및 FP24의 생물학적 활성을 인간 및 마우스 대식세포 세포주에서 조사하였다. THP-1-X 블루TM 세포주, PMA 100 ng /mL로 처리한 후 대식세포로 분화된 단핵구, 및 RAW-블루TM을 사용하였다. HEK-블루 세포와 유사하게, THP-1 X-블루 및 RAW-Ox는 전사 인자 NF-κB 및 AP-1의 제어 하에 SEAP 리포터 유전자를 안정하게 발현한다. 세포를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이 처리하였다. 결과는 모든 화합물이 인간 (도 2a) 및 뮤린 대식세포 (도 2b) 둘 다에서 NF-κB의 활성화를 유도한다는 것을 보여주며; FP23 화합물은 인간 대식세포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유일한 것이었다. 또한, RAW-블루 세포주 상에서 화합물은 시험된 최저 농도 (0.1 μM)에서 활성인 반면, THP-1-X-블루 상에서 화합물은 100배 더 높은 농도 (10 μM)로부터 출발하여 유의하게 활성화된다.
화합물 FP20, FP21, FP22, FP23 및 FP24의 세포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대식세포로 분화된 THP-1-X-블루 세포 (도 3) 및 RAW-블루 (도 4)를 증가하는 농도의 시험 화합물 (0.1, 1, 10, 25, 50 μM)로 처리하였다. 화합물의 독성을 MTT 생존율 검정 (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에 의해 평가하였다. 수득된 결과는 화합물이 THP-1-X-블루 세포주에 대해 비-독성이지만, 시험된 최고 농도 (50 μM)에서 FP20 및 FP23으로의 처리 후 세포 생존율의 감소가 존재함을 나타낸다 (도 3). 마우스 대식세포주에 대한 결과는 50 μM의 농도에서 화합물들의 독성의 증가를 나타내는 한면, 화합물 FP23은 25 μM의 농도에서 독성을 나타내는 유일한 것이다.
이어서 FP200 활성을 상기 기재된 인간 단핵구 세포주 THP-1-X-블루에 대해 평가하였다. 세포를 증가하는 농도 (0.1, 1, 10, 20 μM)의 화합물 FP11, FP112, FP20, FP200 및 FP21로 처리하고, 각각 참조 및 양성 수용체 활성화 대조군으로서 MPLA (0.1-1-10 μM) 및 S-LPS (100 ng /mL)를 사용하였다. 결과는 모든 화합물이 용량 의존적 방식으로 NF-κB의 활성화를 유도함을 나타낸다.
MPA로 관능화된 화합물 FP207을 인간 THP-1-X블루 세포 상에서 시험관내 시험하여 NF-kB 활성화를 평가하였다. 분자를 FP22 및 FP23에 대해 사용된 동일한 농도에서 시험하였다.
또한 이 경우에, 결과는 화합물 FP207이 TLR4에 대해 활성이고 전사 인자의 생산을 유도한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그의 효능제 활성은 이전 경우와 같이 농도-의존성 방식을 갖는다. 놀랍게도, 이는 FP20보다 더 활성이고, 또한 25 μM에서 LPS와 대등하다. 이는 FP20과 비교하여 동일한 염증 효과를 얻기 위해 더 적은 양의 생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기 때문에 우수한 결과이며, 이는 2가지 방식으로 유리할 것이다: 약리학적으로 임의의 가능한 부차적인 효과가 감소되며; 한편 경제적으로 이는 보다 우수한 결과 및 보다 큰 대중성을 달성하기 위해 더 적은 비용이 요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능화된 화합물의 독성을 조사하기 위한 예비 시험을 3중 시험 없이 수행하였다. 그러나, 예비 데이터는 분자가 1 내지 25 mM의 농도 범위에서 비-독성임을 시사한다.
WO2019/092572에 개시된 화합물에 관한 시험관내 및 생체내 데이터가 하기에 제공된다.
합성 효능제에 의한 TLR4 활성화
인간 TLR4를 활성화시키는 FP 분자의 능력을 HEK-블루 hTLR4 세포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이들은 LPS 수용체 CD14, TLR4 및 MD-2, 및 2종의 TLR4-의존성 전사 인자 (NF-κB 및 AP-1)의 제어 하에 있는 리포터 유전자인 분비된 배아 알칼리성 포스파타제 (SEAP)로 안정하게 형질감염된 HEK293-유래 세포주이다. HEK-블루 hTLR4 세포를 증가하는 농도 (0.1-25 μM)의 FP11, FP112 및 FP111로 18시간에 걸쳐 처리하였다. LPS의 평활 화학형 (smooth chemotype of LPS: S-LPS)으로의 자극은 TLR4-매개 경로의 활성화에 대한 양성 대조군으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분자 FP11 및 FP112는 배지에서 SEAP 리포터 단백질의 방출을 농도-의존성 방식으로 유도하였으며, 이는 화합물 둘 다가 NF-κB 및 AP-1을 활성화시키는 반면, FP111은 불활성임을 나타낸다 (도 5A). 3종의 화합물은 LPS-유도된 SEAP 생산을 억제하지 않았으며, 이는 이들이 TLR4 길항 활성이 결여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도 5B). 동일한 SEAP 리포터 유전자를 보유하지만 LPS 수용체가 결여된 HEK-블루 널 세포에 대한 활성의 결여는 FP11 및 FP112 둘 다가 TLR4를 통해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시켜주었다 (도 5C). TLR2에 대비한 TLR4에 대한 선택성을 확인하기 위해, 분자를 또한 인간 톨-유사 수용체 2 (hTLR2)를 발현하는 HEK-블루 세포 상에서 시험하였으며, 이는 효능제 활성을 유발하지 않았다 (도 5D). 이들 데이터는 시험관내 결합 결과와 일치하고, FP11 및 FP112가 공-수용체 MD-2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특이적 TLR4 효능제임을 시사한다.
FP11 및 FP112의 아주반트 활성 및 생체내 독성: OVA 면역화 실험
생체내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FP11 및 FP112의 능력을 모델 항원으로서 닭 오브알부민 (OVA)으로 면역화된 C57Bl/6 마우스에서 항체 생산을 평가함으로써 MPLA와 비교하였다. 마우스에게 10 μg의 FP11 및 FP112를 피하 주사한 파일럿 실험에서 FP의 독성을 먼저 평가하였다. 결과는, 7일에 걸친 주사 부위에서의 국부 반응에 의해 및 동물 체중 및 각성 상태를 결정함으로써 평가된 바와 같이, 2종의 시험 아주반트가 마우스에 대해 어떠한 명백한 유해 효과도 갖지 않았음을 나타내었다 (도 6A). 이어서 마우스를 오브알부민 (OVA)과 혼합된 시험된 아주반트로 면역화시켰다. 항체의 유도를 면역화 21일 후에 평가하였다. 결과는 시험 아주반트로 면역화된 마우스가 프라임 면역화 후에 항-OVA 총 IgG에 대해 OVA-면역화 대조군과 비교하여 약간 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고, MPLA-OVA 면역화 동물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더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음을 보여준다 (도 6B, 프라임 면역화). 대조적으로, 제22일에 주어진 부스트 면역화 후 14일 후에 ova-특이적 항체 역가에 대해 검사하였으며, FP112-면역화된 마우스에서의 IgG 수준은 FP11-면역화된 군에서의 것보다 더 높았다 (도 6B, 부스터 면역화). 이들 데이터는 시험관내 및 세포에서의 결과와 일치하게, FP112가 FP11보다 생체내에서 더 효과적인 아주반트이고, MPLA와 대등하거나 또는 심지어 그보다 더 큰 효력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FP11 합성의 단계 6의 불순물 1, 참조 도 7
Figure pct00062
1H NMR (400 MHz, CDCl3) δ 6.04 (d, J = 9.7 Hz, 1H), 5.63 (dd, J = 9.7, 7.3 Hz, 1H), 3.87 (dt, J = 7.5, 3.9 Hz, 1H), 3.77 - 3.70 (m, 3H), 3.68 (dd, J = 10.5, 4.3 Hz, 1H), 2.36 (dd, J = 14.7, 6.9 Hz, 2H), 2.32 - 2.26 (m, 3H), 1.67 (dt, J = 15.3, 7.7 Hz, 2H), 1.59 (dt, J = 20.5, 7.1 Hz, 4H), 1.27 (d, J = 16.5 Hz, 62H), 0.91 - 0.84 (m, 20H), 0.05 (d, J = 8.4 Hz, 7H).
FP11 합성의 단계 6의 불순물 2, 참조 도 8 (1H NMR) 및 9 (13C NMR)
Figure pct00063
1H NMR (400 MHz, CDCl3) δ 6.01 (d, J = 9.1 Hz, 1H), 5.40 - 5.30 (m, 1H), 5.21 (t, J = 6.7 Hz, 1H), 5.10 - 4.99 (m, 2H), 4.22 (td, J = 10.7, 3.4 Hz, 1H), 4.04 (ddd, J = 10.2, 4.3, 2.0 Hz, 1H), 3.68 (d, J = 11.7 Hz, 1H), 3.61 - 3.53 (m, 1H), 2.32 - 2.19 (m, 5H), 2.18 - 2.06 (m, 3H), 1.62 - 1.46 (m, 8H), 1.34 - 1.18 (m, 62H), 0.87 (t, J = 6.8 Hz, 11H).
13C NMR (101 MHz, CDCl3) δ 174.14, 173.65, 173.12, 91.40, 77.32, 77.01, 76.69, 70.37, 69.67, 68.54, 61.19, 52.49, 36.68, 34.19, 34.13, 31.90, 29.66, 29.63, 29.60, 29.54, 29.52, 29.46, 29.39, 29.34, 29.33, 29.29, 29.27, 29.19, 29.15, 25.60, 24.92, 23.82, 22.66, 14.08.

Claims (38)

  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여기서 R1은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2는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3은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4는 C6과 적합한 원자 사이의 결합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임의의 치환기 및/또는 C6에 결합할 수 있는 산소 또는 질소 원자를 보유하는 임의의 치환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R4 쇄가 히드록실 기 (OH), 포스페이트 기 (PO4 2-), 아지드 기 (N3), 아민 기 (NH2), 아실 기 (O(C=O)R) 또는 알킬 기 (OR) 또는 글리코실 기인 화합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1, R2, R3이 서로 상이한 것인 화합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1, R2 및 R3 중 적어도 2개가 동일한 것인 화합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 R2 및 R3 중 적어도 1개가 위치 2에서 -OH 치환기를 갖지 않는 것인 화합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 R2 또는 R3 중 적어도 1개가 임의의 치환기를 갖지 않는 것인 화합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 = R2 = R3 = C11H23 및 R4 = OH, 또는
    R1 = R3 = C13H27; R2 = C11H23 및 R4 = OH, 또는
    R1 = R2 = R3 = C9H19 및 R4 = OH, 또는
    R1 = R2 = R3 = C13H27 및 R4 = OH, 또는
    R1 = R3 = C9H19; R2 = C11H23 및 R4 = OH, 또는
    R1 = R2 = R3 = C11H23 및 R4 = PO4 2-, 또는
    R1 = R2 = R3 = C9H19 및 R4 = PO4 2-, 또는
    R1 = R2 = R3 = C13H27 및 R4 = PO4 2-, 또는
    R1 = R2 = R3 = C11H23 및 R4 = OC3H7, 또는
    R1 = R2 = R3 = C11H23 및 R4 = O(C=O)C6H8(OH)3, 또는
    R1 = R2 = R3 = C11H23 및 R4 = NH2
    R1 = R2 = R3 = C11H23 및 R4 = O(C=O)CCH3(CH2OH)2
    R1 = R2 = R3 = C11H23 및 R4 = OCH(CHOH)3CH(CH3)O
    R1 = R2 = R3 = C11H23 및 R4 = OCH(CHOH)3CH(CH2OH)O
    R1 = R2 = R3 = C11H23 및 R4 = OCH(CHOH)3(CH2)O인 화합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α 아노머인 화합물.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β 아노머인 화합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LR4 수용체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거나 또는 그로부터 이익을 얻는 질환의 치료에서 활성 성분으로서 또는 아주반트로서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이 암, 알레르기, 감염성 질환, 심혈관 질환, 비만-의존성 대사 질환, 뉴런 변성, 아폽토시스, 자가면역 장애, 바이러스 감염, 박테리아 감염, 자가면역 질환인 화합물.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합물로 이루어진 백신 아주반트.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합물, 적어도 1종의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및 적어도 1종의 제약상 허용되는 면역원성 항원을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상기 조성물에 존재하는 단독 아주반트인 백신 조성물.
  15.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합물 및 적어도 1종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 및/또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추가의 활성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경구, 비경구, 비강, 에어로졸, 설하, 직장, 질, 국소 또는 전신 투여를 위한 형태인 제약 조성물.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현탁액, 에멀젼, 연고, 크림, 스프레이, 과립, 분말, 용액, 캡슐, 환제, 정제, 동결건조 제품, 로젠지, 에어로졸, 연무화, 또는 주사의 형태인 제약 조성물.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LR4 수용체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면역자극을 필요로 하거나 또는 그로부터 이익을 얻는 질환의 치료에서 활성 성분으로서 또는 아주반트로서 사용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이 암, 알레르기, 감염성 질환, 심혈관 질환, 비만-의존성 대사 질환, 뉴런 변성, 아폽토시스, 자가면역 장애, 바이러스 감염, 박테리아 감염, 자가면역 질환인 제약 조성물.
  21. 하기 화학식 1i의 중간체:

    여기서 R1은 포화 C5-C15 알킬 쇄이다.
  22. 하기 화학식 1i의 중간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 중탄산나트륨의 존재 하에 아실 클로라이드와의 반응에 의한 글루코사민 히드로클로라이드의 C2 위치에서의 아미노 기의 선택적 아실화,
    2) 이미다졸의 존재 하에 tert-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 (TBDMSCl)와의 반응에 의한 위치 C6에서의 히드록실의 선택적 실릴화에 의한 보호.
  23.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여기서 R1은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2는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3은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4는 C6과 적합한 원자 사이의 결합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임의의 치환기 및/또는 C6에 결합할 수 있는 산소 또는 질소 원자를 보유하는 임의의 치환기임),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 중탄산나트륨의 존재 하에 아실 클로라이드와의 반응에 의한 글루코사민 히드로클로라이드의 C2 위치에서의 아미노 기의 선택적 아실화,
    2) 이미다졸의 존재 하에 tert-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 (TBDMSCl)와의 반응에 의한 위치 C6에서의 히드록실의 선택적 실릴화에 의한 보호, 그에 따른 제22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중간체의 수득,
    3) 트리에틸아민 및 N,N-디메틸 아미노피리딘 (DMAP)의 존재 하에 아실 클로라이드와의 반응에 의한 위치 C1 및 C3에서의 히드록실의 선택적 아실화,
    4) 트리플레이트 이미다졸륨의 존재 하에 디벤질 N,N-디이소프로필포스파라미다이트와의 반응에 의한 C4 위치에서의 히드록실의 인산화, 이어서 메타클로로퍼벤조산을 통한 포스파이트의 포스페이트로의 산화,
    5) 촉매량의 황산의 존재를 통한 위치 C6에서의 실란으로부터의 히드록실의 탈보호, 및
    6) 탄소 상 팔라듐 (Pd / C)에 의해 촉매된 수소화를 통한 위치 C4에서의 벤질로부터의 포스페이트의 탈보호 및 임의로 위치 C6에서의 임의의 치환기 상의 벤질의 탈보호.
  24. 제23항에 있어서, 단계 5) 후 및 단계 6) 전에 단계 5i):
    5i) 트리플레이트 이미다졸륨의 존재 하에 디벤질 N,N-디이소프로필포스파르아미다이트와의 반응에 의한 위치 C6에서의 히드록실의 인산화, 이어서 메타클로로퍼벤조산을 통한 포스파이트의 포스페이트로의 산화
    를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탈보호 단계 6)은 위치 C4 및 C6에서 수행되고,
    생성된 R4는 포스페이트 기 (PO4 2-)인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이
    R1 = R2 = R3 = C11H23 및 R4 = PO4 2, 또는
    R1 = R2 = R3 = C9H19 및 R4 = PO4 2, 또는
    R1 = R2 = R3 = C13H27 및 R4 = PO4 2인 것 중 하나인 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단계 5) 후 및 단계 6) 전에 단계 5ii):
    5ii) 적합한 축합제 및 촉매의 존재 하에 카르복실산과의, 또는 적합한 촉매의 존재 하에 아실 클로라이드와의 반응에 의한 C6 위치에서의 히드록시의 아실화
    를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탈보호 단계 6)은 위치 C4에서 수행되고,
    여기서 생성된 R4는 아실 기인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아실화 단계 5ii)에서 상기 적합한 축합제 및 촉매가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르보디이미드 (EDC) 및 N,N-디메틸 아미노피리딘 (DMAP)인 방법.
  28. 제23항에 있어서, 단계 5) 후 및 단계 6) 전에 단계 5iii):
    5iii) 적합한 활성화제, 촉매 및 분자체의 존재 하에 글리코실 클로라이드 공여자 또는 글리코시드 티오에틸 (Set) 공여자의 반응에 의한 C6 위치에서의 히드록실의 글리코실화
    를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서 생성된 R4는 글리코실 기인 방법.
  29. 제23항에 있어서, 단계 5) 후 및 단계 6) 전에 단계 5iv):
    5iv) 적합한 활성화제, 촉매 및 분자체의 존재 하에 안정화된 알킬 클로라이드의 반응에 의한 C6에서의 히드록실의 알킬화
    를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서 생성된 R4는 n 알킬 기인 방법.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코실화 단계 5iii) 및 알킬화 단계 5iv)에서, 상기 적합한 활성화제가 산화은 (I) 또는 NIS (N-아이오도숙신이미드)이고, 상기 적합한 촉매가 트리필산 또는 HOFox (3,3-디플루오로옥스인돌)이고, 상기 적합한 분자체가 물 스캐빈저인 방법.
  31. 제23항에 있어서, 단계 5) 후 및 단계 6) 전에 단계 5v) 및 단계 5vi):
    5v) 염기로서의 트리에틸아민 및 적합한 촉매의 존재 하에 토실 클로라이드의 반응에 의한 위치 C6의 토실화
    5vi) 테트라부틸암모늄 아이오다이드의 존재 하에 아지드화나트륨과의 반응에 의한 위치 C6에서의 아지드 삽입
    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토실화 단계 5v)에서 상기 적합한 촉매가 N,N-디메틸 아미노피리딘 (DMAP)인 방법.
  33. 제23항에 있어서, 단계 5) 후 및 단계 6) 전에 단계 5vii) 및 단계 5viii):
    5vii) 단독 활성화제로서의 Bi(OTf)3의 존재 하에 피콜로일 기를 보유하는 글리코실 클로라이드 공여자의 반응에 의한 C6 위치에서의 히드록실의 글리코실화
    (여기서 생성된 R4는 글리코실 기임)
    5viii) Cu(OAc)2와의 반응에 의한 피콜로일 기 제거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4. 제24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실화 단계 3)을 -78℃ 내지 0℃ 범위의 온도 및 0.05 내지 0.2 당량 범위의 촉매의 양, 바람직하게는 -20℃의 온도 및 0.1 당량의 촉매의 양에서 수행하여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β-아노머를 수득하는 것인 방법.
  35. 제24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실화 단계 3)을 20℃ 내지 50℃ 범위의 온도 및 2 내지 2.5 당량 범위의 촉매의 양, 바람직하게는 30℃의 온도 및 2.02 당량의 촉매의 양에서 수행하여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α-아노머를 수득하는 것인 방법.
  36.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합성을 위한 제21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중간체 화합물의 용도:

    여기서 R1은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2는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3은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4는 C6과 적합한 원자 사이의 결합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임의의 치환기 및/또는 C6에 결합할 수 있는 산소 또는 질소 원자를 보유하는 임의의 치환기이다.
  37. 하기 화학식 X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여기서 R1은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2는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3은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4는 OH이고, 여기서 각각의 R1, R2 및 R3는 위치 C2에서 -OH 치환기를 함유하지 않음)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 중탄산나트륨의 존재 하에 아실 클로라이드와의 반응에 의한 글루코사민 히드로클로라이드의 C2 위치에서의 아미노 기의 선택적 아실화,
    2) 이미다졸의 존재 하에 tert-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 (TBDMSCl)와의 반응에 의한 위치 C6에서의 히드록실의 선택적 실릴화에 의한 보호에 따른 제21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1i의 중간체의 수득,
    3) 트리에틸아민 및 N,N-디메틸 아미노피리딘 (DMAP)의 존재 하에 아실 클로라이드와의 반응에 의한 위치 C1, C3 및 C4에서의 히드록실의 완전한 아실화,
    4) 아세트산의 존재 하에 에틸렌디아민과의 반응에 의한 위치 C1의 선택적 디아실화,
    5) 트리플레이트 이미다졸륨의 존재 하에 디벤질 N,N-디이소프로필포스파라미다이트와의 반응에 의한 C1 위치에서의 히드록실의 인산화, 이어서 메타클로로퍼벤조산을 통한 포스파이트의 포스페이트로의 산화,
    6) 촉매량의 황산의 존재를 통한 위치 C6에서의 실란으로부터의 히드록실의 탈보호,
    7) 탄소 상 팔라듐 (Pd/C)에 의해 촉매된 수소화를 통한 위치 C4에서의 벤질로부터의 포스페이트의 탈보호 및 임의로 위치 C6에서의 임의의 치환기 상의 벤질의 탈보호.
  38. 하기 화학식 X의 화합물의 합성을 위한 제21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중간체 화합물의 용도:

    여기서 R1은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2는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3은 포화 C5-C15 알킬 쇄이고,
    R4는 OH이고, 여기서 각각의 R1, R2 및 R3은 위치 C2에서 -OH 치환기를 함유하지 않는다.
KR1020247001870A 2021-07-22 2022-07-19 Tlr4 수용체의 신규 합성 효능제 KR202400372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21000019544 2021-07-22
IT102021000019544A IT202100019544A1 (it) 2021-07-22 2021-07-22 Nuovi agonisti sintetici del recettore tlr 4 - new synthetic agonists of tlr4 receptor
IT202200006149 2022-03-29
IT102022000006149 2022-03-29
PCT/IB2022/056615 WO2023002354A1 (en) 2021-07-22 2022-07-19 New synthetic agonists of tlr4 recep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7237A true KR20240037237A (ko) 2024-03-21

Family

ID=82701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1870A KR20240037237A (ko) 2021-07-22 2022-07-19 Tlr4 수용체의 신규 합성 효능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73828A1 (ko)
KR (1) KR20240037237A (ko)
CA (1) CA3225105A1 (ko)
WO (1) WO2023002354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2083A (ja) * 1992-01-24 1993-08-10 Japan Tobacco Inc 新規4,6−o−ヒドロキシホスホリル−グルコサミン誘導体
JPH05202082A (ja) * 1992-01-24 1993-08-10 Japan Tobacco Inc 1位置換リピッドa類縁体
JPH06247994A (ja) * 1993-02-23 1994-09-06 Sankyo Co Ltd 4−ホスホノグルコサミン類
WO2019092572A1 (en) 2017-11-07 2019-05-16 Università Degli Studi Di Milano - Bicocca New synthetic agonists of tlr4 recep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73828A1 (en) 2024-05-29
WO2023002354A1 (en) 2023-01-26
CA3225105A1 (en)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0714B1 (en) α-O-linked glycoconjugates, methods of preparation and uses thereof
EP2928902B1 (en) Conjugate compounds
AU758097B2 (en) Trimeric antigenic O-linked glycopeptide conjugates, methods of preparation and uses thereof
EP3197907B1 (en) Vaccines against streptococcus pneumoniae serotype 8
EP2877481B1 (en) Organic compounds
CA3140411C (en) Saponin conjugate and vaccine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EP0003833B2 (de) Antigenderiva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iese enthaltende pharmazeutische Präparate
JP2021504439A (ja) クレブシエラ ニューモニエ(Klebsiella pneumoniae)に対するワクチン
US10206988B2 (en) Xenoantigen-displaying anti-cancer vaccines and method of making
EP3274358B1 (en) Vaccine against carbapenem-resistantklebsiella pneumoniae
US7550146B2 (en) Glycopeptide conjugates and uses thereof
EP2581380B1 (en) SIALIC ACID (alpha-(2-6))-D-AMINOPYRANOSE DERIVATIVES, SYNTHESIS METHODS AND USES THEREOF
KR20240037237A (ko) Tlr4 수용체의 신규 합성 효능제
CN117651707A (zh) 新的合成的tlr4受体激动剂
WO2022106703A1 (en) Protected disaccharides, their process of preparation and their use in the synthesis of zwitterionic oligosaccharides, and conjugates thereof
IT202100019544A1 (it) Nuovi agonisti sintetici del recettore tlr 4 - new synthetic agonists of tlr4 receptor
KR102517641B1 (ko) 당지질 화합물 및 종양의 치료에서의 그의 용도
Santi Synthesis of carbohydrate antigens and their structural analogues for vaccines development
EP3000820A1 (en) Synthetic vaccines against Streptococcus pneumoniae serotype 8
NZ613614B2 (en) Sphingoglycolipid compounds and u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