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6957A - 상부덮개를 이용한 플래시 방사 장치 - Google Patents

상부덮개를 이용한 플래시 방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6957A
KR20240036957A KR1020220115650A KR20220115650A KR20240036957A KR 20240036957 A KR20240036957 A KR 20240036957A KR 1020220115650 A KR1020220115650 A KR 1020220115650A KR 20220115650 A KR20220115650 A KR 20220115650A KR 20240036957 A KR20240036957 A KR 20240036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cover
reflector
nozzle
emission device
flash e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5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춘욱
조성욱
김오승
박정훈
Original Assignee
(주)씨앤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앤투스 filed Critical (주)씨앤투스
Priority to KR1020220115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6957A/ko
Priority to PCT/KR2023/008611 priority patent/WO2024058366A1/ko
Publication of KR20240036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69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11Flash-spinn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4/00Spinnerette packs; Cleaning thereof
    • D01D4/02Spinnerett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 D04H3/03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at random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 D04H3/16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the filaments being flash-spu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2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ultrasonic or sonic; Corona dischar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2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ultrasonic or sonic; Corona discharge
    • D06M10/025Corona discharge or low temperature plas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사판에 충돌되는 필라멘트의 충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상부덮개를 이용한 플래시 방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반사판의 상부에 상부덮개가 구비되므로, 필라멘트의 충돌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상부덮개를 이용한 플래시 방사 장치{Flash―Spun Apparatus using Upper Cover}
본 발명은 상부덮개를 이용한 플래시 방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사판의 상부에 상부덮개를 구비하도록 하여 필라멘트의 충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상부덮개를 이용한 플래시 방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래시 방사는 스펀본드 기술의 변형 형태로서, 폴리에틸렌과 같은 고분자를 녹여 압출한 후 용매를 구금 직후 증발시킴으로써 개개의 섬유가 피브릴 형태로 하부의 컨베이어벨트(이동 스크린)에 포집되어 망상 구조를 형성하는 기술이다. 플래시 방사는 극세사로 구성된 플랙시필라멘트 필름-피브릴 스트랜드를 생산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도 1은 종래 플래시 방사 장치의 일 예로서, 종래 플래시 방사를 통한 부직포 제조 장치는 주요 구성으로서 노즐(16), 회전반사판(26), 코로나방전장치(28), 웹포머, 컨베이어밸트(32) 및 롤링부(29)를 포함한다.
초임계유체 상태의 고분자와 용매의 혼합물이 노즐(16)을 통해 대기로 방사된 순간 용매는 기화 증발하고 고분자는 필라멘트화되며, 필라멘트는 회전반사판(26)과의 충돌 및 요동에 의해 망상의 웹(web)으로 형성된다. 플래시 방사에서는 방사액이 회전반사판(26)에 충돌한 후, 웹과 용매가 하부에 위치하는 코로나방전장치(28)의 접지전극과 니들전극 사이를 통과하면서 정전기에 의한 웹의 개섬 효과를 얻는다. 즉, 여러 가닥의 필라멘트에 (+) 또는 (-)중 하나의 전하를 강제적으로 주입하여, 주입된 전하의 척력에 의하여 각각의 필라멘트가 엉키지 않고 고르게 펴지는 것이다.
한편, 필라멘트는 회전반사판(26)에 충돌되면서 망상의 웹 형태로 형성된다. 그런데 필라멘트의 충돌 각도에 따라 회전반사판(26)의 크기 및 회전반사판(26)과 컨베이어밸트(32) 간의 이격 거리가 결정되므로, 이는 전체 크기를 커지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등록특허공보 제10,337,123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사판의 상부에 상부덮개를 구비하도록 하여 필라멘트의 충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상부덮개를 이용한 플래시 방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매와 고분자 중합체가 혼합된 초임계 유체를 압출 방사하여 필라멘트를 형성하는 노즐; 일측이 상기 노즐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며 상기 노즐에서 방사되는 필라멘트와 충돌하여 웹을 형성하는 반사판; 상기 노즐과 마주보지 않는 상기 반사판의 타측 상방을 커버하도록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반사판에 충돌되면서 진행 경로가 상방으로 변경된 웹의 진행 방향을 하방으로 유도하는 상부덮개; 상기 상부덮개의 내표면에 형성되며 정전기를 부여하여 웹을 개섬하는 코로나방전부재; 및 상기 반사판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상부덮개에 충돌되어 진행 경로가 하방으로 변경된 웹이 적층되어 시트를 형성하는 컨베이어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덮개를 이용한 플래시 방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부덮개는 상기 반사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덮개를 이용한 플래시 방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반사판의 길이방향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측벽부와,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측벽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상부덮개의 양측에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덮개를 이용한 플래시 방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노즐에서 방사되는 필라멘트가 상기 반사판에 1차 충돌된 후 상기 상부덮개에 2차 충돌될 때, 상기 코로나방전부재가 부여하는 정전기의 강도를 조절하여 상기 상부덮개에 충돌되는 필라멘트의 충돌 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덮개를 이용한 플래시 방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코로나방전부재는 상기 상부덮개의 표면에 형성되는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의 단부는 완곡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덮개를 이용한 플래시 방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부덮개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덮개를 이용한 플래시 방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부덮개의 일단부는 상기 반사판과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상기 상부덮개의 타단부는 상기 반사판의 외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상부덮개의 타단부에는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덮개를 이용한 플래시 방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노즐 또는 상기 반사판은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덮개를 이용한 플래시 방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반사판을 상하 이동시키는 프레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재는, 일측은 상기 컨베이어밸트 또는 지면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반사판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의 상측에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안내홈과, 일측은 상기 안내홈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반사판에 연결되는 제 2 프레임과, 상기 안내홈의 저부에 안착되며 상기 제 2 프레임을 상하 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가 상기 제 2 프레임을 상하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반사판의 높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덮개를 이용한 플래시 방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반사판의 상부에 상부덮개가 구비되므로, 필라멘트의 충돌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덮개의 단부에는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부가 형성되므로, 상부덮개에 충돌되는 웹의 진행 경로를 더욱 하방으로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덮개의 위치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적절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상황에 따라 상부덮개에 충돌되는 필라멘트의 충돌 위치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반사판에 충돌된 웹이 코로나방전부재 사이를 지나갈 때, 코로나방전부재의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이 웹에 코로나 방전에 의한 정전기를 부여하므로, 웹이 정전기의 반발력에 의해 폭 방향으로 서로 고르게 분리되어 넓은 개섬 폭을 갖도록 하고, 개섬율이 크게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2 전극의 단부가 완곡하게 형성되므로, 제 2 전극의 단부에 오염성분이 부착 또는 퇴적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반사판의 높낮이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반사판과 노즐 간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어, 노즐에서 반사판으로 낙하되는 위치값 설정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반사판 및 상부덮개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반사판 및 상부덮개에 충돌되는 웹의 각도 조절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플래시 방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부덮개를 이용한 플래시 방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부덮개를 이용한 플래시 방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부덮개가 슬라이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부덮개가 슬라이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부덮개를 이용한 플래시 방사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부덮개를 이용한 플래시 방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부덮개를 이용한 플래시 방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부덮개를 이용한 플래시 방사 장치는 노즐(100), 반사판(200), 상부덮개(300), 코로나방전부재(400) 및 컨베이어밸트(600)를 포함한다.
노즐(100)은 용매와 고분자 중합체의 초임계 유체가 압출 방사된다. 고분자 중합체는 압출부(미도시)에서 용융이 이루어지고, 압출부는 예를 들면 스크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압출부는 고분자 중합체를 용융시킨 후 일정한 유량으로 노즐로 공급한다. 그리고 용매와 고분자의 초임계 유체는 노즐(100)에서 고속 기류 형태로 방사되어 저온/저압에서 상온/상압으로 노출되며, 용매는 순간적으로 증발되고, 고분자 중합체는 필라멘트로 형성된다.
반사판(200)은 노즐(100)과 마주보도록 노즐(100)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반사판(200)의 일측은 노즐(100)과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반사판(200)의 타측은 반사판(200)의 일측보다 약간 하부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위치된다. 그리고 노즐(100)에서 필라멘트 형태로 방사되는 섬유가 금속 재질의 반사판(200)의 일측에 충돌되면서 기류 확산 및 마찰 대전이 발생하여 일정한 폭을 가진 망상의 웹(web)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펼쳐진 망상의 웹에 후술하는 코로나방전부재(400)에 의한 코로나 방전을 실시하여 필라멘트가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 가지 않도록 방지한다.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부덮개(300)는 노즐(100)과 마주보지 않는 반사판(200)의 타측 상방을 커버하도록 판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덮개(300)는 반사판(200)의 일측에 충돌되면서 진행경로가 상방으로 변경된 웹이 충돌되도록 구성되어, 웹의 진행방향을 하방으로 유도한다. 이처럼 반사판(200)의 상부에 상부덮개(300)가 구비되므로, 필라멘트의 충돌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부덮개(300)의 일단부는 반사판(200)과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상부덮개(300)의 타단부는 반사판(200)의 외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부덮개(300)의 타단부에는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부(302)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302)는 상부덮개(300)에 충돌되는 웹의 진행 경로를 더욱 하방으로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부덮개(300)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코로나방전부재(400)는 제 1 전극(미도시)과 제 2 전극(410)을 포힘한다. 제 1 전극은 예를 들면 반사판(200)의 내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전극(410)은 예를 들면 반사판(200)과 마주보는 상부덮개(300)의 내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반사판(200)에 충돌된 웹이 고압의 제 1 전극과 제 2 전극(410) 사이를 지나갈 때, 제 1 전극과 제 2 전극(410)이 여러 가닥의 가느다란 웹에 코로나 방전에 의한 정전기를 부여한다. 그러면 여러 가닥의 가느다란 웹이 정전기의 반발력에 의해 (+) 전하 또는 (-) 전하가 강제적으로 주입되며, 주입된 전하의 척력에 의하여 각각의 필라멘트가 폭 방향으로 서로 고르게 퍼지게 되어, 넓은 개섬 폭을 갖도록 하고, 개섬율이 크게 향상되도록 한다. 이처럼 망상의 웹에 코로나 방전에 의한 정전기를 부여하므로, 각각의 필라멘트는 전기적 반발력을 이용하여 개섬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노즐(100)에서 방사되는 필라멘트가 반사판(200)에 1차 충돌 후 상부덮개(300)에 2차 충돌되는데, 이때, 플라멘트의 손상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제 1 전극과 제 2 전극(410)의 전압을 조절하여 정전기의 강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그러면 필라멘트가 상부덮개(300)에 충돌되는 강도를 조절할 수 있어, 필라멘트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제 2 전극(410)의 단부가 첨예하게 형성되면, 제 2 전극(410)의 단부에 오염성분이 부착 또는 퇴적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2 전극(410)의 단부를 완곡하게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처럼 제 2 전극(410)의 단부가 완곡하게 형성되므로, 제 2 전극(410)의 단부에 오염성분이 부착 또는 퇴적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온도 및 습도가 코로나 방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면, 온도를 상승시키면, 일정 전류흐름에 필요한 전압이 정,부 방전의 경우 모두 하강된다. 즉 코로나 방전이 촉진된다는 것이다. 전자의 자유행정거리가 증가하고 다음번 충돌할 때까지의 전자 에너지가 커지며 이온화가 촉진됨에 따라 방전이 촉진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일정한 온도의 경우 상대습도의 증가에 따라 방전이 억제된다. 상대습도가 증가하면 이온 활동성이 억제됨에 따라 방전이 억제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한 환경이면 일수로 더 강한 정전하를 띠게 된다. 반대로 습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정전하는 낮게 된다. 상대적으로 물은 대부분의 플라스틱 보다 좋은 전도체다. 대기중의 습기 중의 물 분자가 표면에 놓이게 되면, 물질의 정전하는 지면으로 그 분자들을 없애려는 성질을 띠게 된다.
그리고 반사판(200)과 컨베이어밸트(600) 사이에 제전수단(500)이 구비될 수 있다. 제전수단(500)은 코로나방전부재(400)에 의하여 개섬된 웹에 부여된 정전기를 중성화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전수단(500)은 이온을 생성하며, 제전수단(500)이 생성한 이온이 컨베이어밸트(600) 방향으로 이동되는 웹으로 방출되므로, 웹에 부여된 정전기가 중성화되어, 전기적인 반발력이 발생되지 않아, 컨베이어밸트(600)로 이동되는 웹은 적절한 폭으로 개섬이 진행된 상태로 컨베이어밸트(600)에 용이하게 적층되는 효과가 있다.
컨베이어밸트(600)는 상부덮개(300)에 충돌되어 진행 경로가 하방으로 변경된 웹이 적층되어 시트를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컨베이어밸트(600)에 적층된 시트를 롤링부(610)가 롤 형태로 권출시켜서 부직포를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부직포는 소정의 공정을 추가하여 유연성, 통수성, 통기성 등을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부덮개가 슬라이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부덮개가 슬라이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부덮개(300)는 반사판(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반사판(200)의 길이방향 양측에 한 쌍의 측벽부(210)가 돌출 형성되고,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부(210)의 내측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가이드레일(2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덮개(300)의 양측에 가이드레일(220)에 삽입된 상태로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부(310)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이동수단(230)이 가이드부(310)를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동수단(230)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체인(232), 스프로킷(234), 회전모터(미도시) 및 회전롤러(236)를 포함할 수 있다. 체인(232)은 가이드레일(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무한궤도 형태로 형성된다. 스프로킷(234)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가이드레일(220)의 양 단부에 지지된 상태로 체인(232)의 양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회전모터는 한 쌍의 스프로킷(234) 중 일 스프로킷(234)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회전롤러(236)는 가이드부(31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때, 회전롤러(236)의 외주연은 체인(232)에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회전모터가 스프로킷(234)을 회전시키면 체인(232)이 회전되면서 회전롤러(236)를 회전시키고, 회전롤러(236)는 체인(232)을 따라 회전되면서 전진 또는 후진되면서 가이드부(310)를 전후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부덮개(300)가 가이드부(310)를 따라 방사부의 전측 또는 후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처럼 상부덮개(30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므로, 반사판(200)에 충돌되면서 진행 경로가 상방으로 변경된 필라멘트의 충돌 위치를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노즐(100)에서 압출 방사되는 필라멘트의 속도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낮거나 높은 경우, 상부덮개(300)에 충돌되는 필라멘트의 충돌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이동수단(230)을 작동시켜서 상부덮개(300)의 위치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적절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상황에 따라 상부덮개(300)에 충돌되는 필라멘트의 충돌 위치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프레임부재(700)는 예를 들면 반사판(200)이 상하 이동되도록 하여 노즐(100)과 반사판(200) 사이의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제 1 프레임(710), 제 2 프레임(720) 및 실린더(730)를 포함한다.
제 1 프레임(710)은 일측은 컨베이어밸트(600) 또는 지면에 지지되고, 타측은 반사판(20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프레임(710)의 상측에 하방으로 오목하게 안내홈(712)이 형성된다. 제 2 프레임(720)은 일측은 안내홈(712)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타측은 반사판(200)에 연결된다. 실린더(730)는 안내홈(712)의 저부에 안착되며 제 2 프레임(720)을 상하 이동시킨다. 그리고 실린더(730)는 유압실린더(730)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실린더(730)가 제 2 프레임(720)을 상하 이동시킴에 따라 반사판(200)의 높이가 가변된다.
이처럼 반사판(200)의 높낮이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반사판(200)과 노즐(100) 간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어, 노즐(100)에서 반사판(200)으로 낙하되는 위치값 설정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반사판(20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경우에 따라 노즐(10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제 2 프레임(720)의 타측은 회전축(722)에 의하여 측벽부(2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측벽부(210)는 반사판(200) 및 상부덮개(300)와 연결되므로, 측벽부(210)의 회전에 의하여 반사판(200) 및 상부덮개(30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처럼 반사판(200) 및 상부덮개(300)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반사판(200)에 충돌되어 상부덮개(300) 방향으로 반사되는 웹의 각도 조절 및 상부덮개(300)에 충돌되어 컨베이어밸트(600) 방향으로 반사되는 웹의 각도 조절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노즐
200: 반사판
210: 측벽부 220: 가이드레일
230: 이동수단 232: 체인
234: 스프로킷 236: 회전롤러
300: 상부덮개
302: 경사부 310: 가이드부
400: 코로나방전부재
410: 제 2 전극
500: 제전수단
600: 컨베이어밸트
610: 롤링부
700: 프레임부재
710: 제 1 프레임 712: 안내홈
720: 제 2 프레임 722: 회전축
730: 실린더

Claims (9)

  1. 용매와 고분자 중합체가 혼합된 초임계 유체를 압출 방사하여 필라멘트를 형성하는 노즐;
    일측이 상기 노즐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며 상기 노즐에서 방사되는 필라멘트와 충돌하여 웹을 형성하는 반사판;
    상기 노즐과 마주보지 않는 상기 반사판의 타측 상방을 커버하도록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반사판에 충돌되면서 진행 경로가 상방으로 변경된 웹의 진행 방향을 하방으로 유도하는 상부덮개;
    상기 상부덮개의 내표면에 형성되며 정전기를 부여하여 웹을 개섬하는 코로나방전부재; 및
    상기 반사판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상부덮개에 충돌되어 진행 경로가 하방으로 변경된 웹이 적층되어 시트를 형성하는 컨베이어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덮개를 이용한 플래시 방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는 상기 반사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덮개를 이용한 플래시 방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의 길이방향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측벽부와,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측벽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상부덮개의 양측에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덮개를 이용한 플래시 방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에서 방사되는 필라멘트가 상기 반사판에 1차 충돌된 후 상기 상부덮개에 2차 충돌될 때, 상기 코로나방전부재가 부여하는 정전기의 강도를 조절하여 상기 상부덮개에 충돌되는 필라멘트의 충돌 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덮개를 이용한 플래시 방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방전부재는 상기 상부덮개의 표면에 형성되는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의 단부는 완곡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덮개를 이용한 플래시 방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덮개를 이용한 플래시 방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의 일단부는 상기 반사판과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상기 상부덮개의 타단부는 상기 반사판의 외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상부덮개의 타단부에는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덮개를 이용한 플래시 방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또는 상기 반사판은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덮개를 이용한 플래시 방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을 상하 이동시키는 프레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재는, 일측은 상기 컨베이어밸트 또는 지면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반사판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의 상측에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안내홈과, 일측은 상기 안내홈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반사판에 연결되는 제 2 프레임과, 상기 안내홈의 저부에 안착되며 상기 제 2 프레임을 상하 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가 상기 제 2 프레임을 상하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반사판의 높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덮개를 이용한 플래시 방사 장치.
KR1020220115650A 2022-09-14 2022-09-14 상부덮개를 이용한 플래시 방사 장치 KR2024003695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650A KR20240036957A (ko) 2022-09-14 2022-09-14 상부덮개를 이용한 플래시 방사 장치
PCT/KR2023/008611 WO2024058366A1 (ko) 2022-09-14 2023-06-21 상부덮개를 이용한 플래시 방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650A KR20240036957A (ko) 2022-09-14 2022-09-14 상부덮개를 이용한 플래시 방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6957A true KR20240036957A (ko) 2024-03-21

Family

ID=90275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5650A KR20240036957A (ko) 2022-09-14 2022-09-14 상부덮개를 이용한 플래시 방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36957A (ko)
WO (1) WO202405836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123B1 (ko) 1998-02-02 2002-09-19 김종근 동력단속용에어클러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7801A (en) * 1997-03-27 2000-09-1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perties for flash-spun products
KR100514572B1 (ko) * 2001-06-07 2005-09-14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초극세 단섬유의 제조방법
JP2004339653A (ja) * 2003-05-16 2004-12-02 Araco Corp 繊維集合体の製造方法および繊維堆積装置
DE102005008926A1 (de) * 2005-02-24 2006-11-16 Philipps-Universität Marbur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ano- und Mesofasern durch Elektrospinning von kolloidalen Dispersionen
DE602006019413D1 (de) * 2005-05-03 2011-02-17 Univ Akro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elektrogesponnenen fasern und damit hergestellte faser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123B1 (ko) 1998-02-02 2002-09-19 김종근 동력단속용에어클러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58366A1 (ko) 202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9396B1 (ko) 열가소성 필라멘트 웨브의 제조 장치 및 제조방법
US3860369A (en) Apparatus for making non-woven fibrous sheet
US3851023A (en) Process for forming a web
JP2895960B2 (ja) スパンフィラメント束から等分散フィラメントを提供する方法及び装置並びに得られるスパン接着ファブリック
EP1637637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oducing fibrous aggregate
EP1544329B1 (en) Spunbonding method and apparatus
US5296172A (en) Electrostatic field enhancing process and apparatus for improved web pinning
CA2626560A1 (en) A method and device for production of nanofibres through electrostatic spinning of solutions or melts of polymers
JP2005534828A (ja) 電気紡糸法を用いたナノ繊維製造装置及びこれに採用される紡糸ノズルパック
JP4549541B2 (ja) 不織布ウェブの製造中に繊維束を開繊し分配する装置
GB2462112A (en) Producing fibres and droplets, using an electric field and moving band
KR20240036957A (ko) 상부덮개를 이용한 플래시 방사 장치
JP4446748B2 (ja) 繊維集合体の製造方法
ES2295400T5 (es) Aparato y procedimiento para producir una tela de filamentos no tejidos.
US3593074A (en) Apparatus and process
RU203182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кладки волокнистых лент
US4120713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a fibrous web-like pile product
KR20240036958A (ko) 제전수단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장치
JP4079772B2 (ja) ディフューザがスロット・アテニュエータから一定の距離を置いて配置される不織布製造プラント
KR102650274B1 (ko) 에어커튼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장치 및 방법
KR102650276B1 (ko)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장치
US3655305A (en) Electrostatic repelling cylinders for filament flyback control
JP3518607B2 (ja) 繊維質シートを形成する装置及び方法
KR102241152B1 (ko) 밀도의 분포가 균일함과 동시에 종방향과 횡방향의 인장강도가 유사한 장섬유 부직포를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
JPH059535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