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6581A - 운송 수단에 내장된 무선 주파수 판독 시스템 - Google Patents

운송 수단에 내장된 무선 주파수 판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6581A
KR20240036581A KR1020247002959A KR20247002959A KR20240036581A KR 20240036581 A KR20240036581 A KR 20240036581A KR 1020247002959 A KR1020247002959 A KR 1020247002959A KR 20247002959 A KR20247002959 A KR 20247002959A KR 20240036581 A KR20240036581 A KR 20240036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movable assembly
vehicle
deformabl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2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줄리앙 데스트라브
로랑 쿠투리에
피에르 귀놀
Original Assignee
꽁빠니 제네날 드 에따블리세망 미쉘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꽁빠니 제네날 드 에따블리세망 미쉘린 filed Critical 꽁빠니 제네날 드 에따블리세망 미쉘린
Publication of KR20240036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65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B60C23/042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transmission means
    • B60C23/0433Radio signals
    • B60C23/0435Vehicle body mounted circuits, e.g. transceiver or antenna fixed to central console, door, roof, mirror or fender
    • B60C23/0444Antenna structures, control or arrangements thereof, e.g. for directional antennas, diversity antenna, antenna multiplexing or antennas integrated in fe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B60C23/042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transmission means
    • B60C23/0433Radio signals
    • B60C23/0447Wheel or tyre mounted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B60C23/042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transmission means
    • B60C23/0433Radio signals
    • B60C23/0447Wheel or tyre mounted circuits
    • B60C23/0452Antenna structure, control or arran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H01Q1/2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used in or for vehicle ty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H01Q1/3291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mounted in or on other locations inside the vehicle or vehicle body

Abstract

이동 가능한 조립체(1)가 장착된 운송 수단(2)은 제2 조립체(11)에 의해 회전축(102)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제1 부분(12)을 포함하고, 이동 가능한 조립체(1)는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100) 및 판독 시스템(3)을 구비하며, 판독 시스템은:
- 전기 신호 복조기(31)에 결합된 발생기;
- 발생기(31)에 갈바닉 연결되고, 운송 수단(2)에 고정되며, 방사 부분(342)을 포함하는 케이블(32)을 포함하는, 운송 수단에 있어서,
2개의 인접 회전축(11a, 11b) 사이에 위치된 제1 부분(12)의 평면 상의 투영(P) 및/또는 방사 부분의 제2 조립체(11)와 접촉하는 제1 부분(12)을 둘러싸는, 공전축(102)의 원통(104) 상의 투영(R)은 1 미터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운송 수단에 내장된 무선 주파수 판독 시스템
본 발명은 운송 수단에 내장된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를 판독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는 운송 수단의 이동 가능한 조립체에 연결된다.
연결된 개체의 최근 개발로 인해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가 장착되어야 한다. 이들 트랜스폰더는 일반적으로 UHF(Ultra-High Frequency의 약어) 주파수 범위에서 작동한다. 고무 타이어 차량 또는 컨베이어 벨트와 같은 운송 수단의 경우, 연결된 개체는 이들 운송 수단의 이동 가능한 구성요소이다. 결과적으로, 개체는 작동 중에 이동 가능하며, 운송 수단에 관하여 고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평면에서 이동한다.
문헌 US20210021015A1호는, 육상 차량의 경우, 육상 차량의 장착된 조립체의 타이어 케이싱에 위치된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의 약어) 태그 및 TMS(Tyre Mounted Sensor의 약어) 센서용 내장 판독 시스템의 설치를 제시한다. 시스템은 특정 지리적 영역을 커버하는 무선 주파수 안테나까지 4개의 송신 라인에 갈바닉 연결되는 무선 주파수 판독기/송신기로 형성된다. 무선 주파수 안테나는 육상 차량의 고정 부분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 해결책에는 일반적으로 2차원 및 평탄한, 또는 심지어 3차원인 다중 무선 주파수 안테나가 필요하다. 이는 다른 육상 차량 구성요소의 설치에 유해한 공간적 설치 공간을 육상 차량 내에 생성한다. 또한, 다양한 요소(무선 주파수 판독기, 송신 라인 및 무선 주파수 안테나)의 분리로 인해 다양한 요소 사이의 연결 지점의 개수가 크게 증가되고, 이는 차례로 운송 수단이 일반적으로 받는 진동 및 충격으로 인해 판독 시스템이 고장날 위험을 크게 증가시킨다. 마지막으로, 육상 차량에 다수의 조립체가 장착된다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드는 다수의 송신 라인과 무선 주파수 안테나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운송 수단에서 이동 가능한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를 판독하기 위한 시스템의 신뢰성 및 비용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여기에서 원주방향(S), 축방향(A) 및 반경방향(R)이 의미하는 것은 자연 회전축을 중심으로 이동 가능한 조립체의 회전 기준 프레임에 대해 정의된 방향이다. 반경방향(R)은 자연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게 직교하여 연장되는 방향이다. 축방향(A)은 자연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이다. 마지막으로, 원주방향(S)은 미리 정해진 반경방향 및 축방향을 갖는 직접 삼면체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운송 수단과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 판독 시스템의 배열에 관한 것으로, 운송 수단에는 다른 기계 시스템에 대한 운송 수단의 상대 이동을 보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조립체가 장착되며, 이동 가능한 조립체는 변형 불가능한 조립체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변형 가능한 부분으로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조립체의 자유 이동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조립체와 관련된 기준 프레임의 주로 2차원 평면에서 발생하며,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조립체의 변형 가능한 부분은 하나 이상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정중면을 정의하고,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조립체, 바람직하게는 변형 가능한 부분은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가 장착되며, 판독 시스템은:
- 초고주파 대역에 포함된 주파수(F0)로 방출하는 전기 신호의 발생기로서, F0 근방의 주파수 대역에 맞게 조절된 전기 신호의 복조기에 결합되고, 운송 수단에 장착되는, 전기 신호의 발생기;
- 유전체 재료로 덮인 전도성 코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통신 케이블을 포함하고, 그 자체가 전도성 조립체로 덮여 있으며, 부분적으로 가요성이고, 일 단부가 신호 발생기에 갈바닉 연결되며, 그 길이(lo)는 단위가 주파수(F0)에 의해 정의되는 파장인 메트릭에 따라 분할되고;
-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조립체의 외부에서 운송 수단에 고정되고, 방사 부분을 포함한다.
배열은,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제1 연속 부분의 곡선 가로축은 적어도 케이블 길이의 1 단위보다 크고, 2개의 인접 회전축 사이에 위치되고 이들 2개의 회전축과 동일 선상에 있는 변형 가능한 부분의 평면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제1 연속 부분의 직교 투영(P)의 거리 및/또는 공전축이 적어도 하나의 변형 불가능한 조립체의 회전축과 동축이고, 적어도 하나의 변형 불가능한 조립체와 접촉하는 변형 가능한 부분을 둘러싸는, 원통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제1 연속 부분의 반경방향 투영(R)의 거리는, 1 미터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미터 이하이고, 하나 이상의 회전축 방향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조립체의 변형 가능한 부분의 정중면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제1 연속 부분의 축방향 투영(A)의 거리는 2 미터 이하, 바람직하게는 1 미터 이하, 매우 바람직하게는 0.5 미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유 이동"이라는 용어는 부과된 변위 이동과 동일한 방식으로 변위 구속 없이 이동이 수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회전하는 정적 하중 장착 조립체 세트의 경우, 이는 일반적으로 접촉 영역으로서 알려진 타이어 케이싱과 지면의 접촉 구역 외부에서 장착 조립체의 재료 지점의 이동을 나타낸다. 실제로, 이 구역에서는, 지면과 접촉하는 타이어 케이싱의 재료 지점의 이동이 활주 상태에 도달하지 않는 한 지면에 의해 안내된다; 따라서, 부과된 변위가 달성되며, 이는 자유 이동의 정의에 속하지 않는다.
첫째, 이동 가능한 조립체는 다른 기계 시스템에 대해 운송 수단을 이동하는 데 사용되는 운송 수단의 서브-조립체이다. 이동 가능한 조립체는 변형 불가능한 부분, 즉, 변형 가능한 부분보다 더 강성인 부분에 의해 하나 이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는 변형 가능한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이동 가능한 조립체는, 변형 가능한 부분을 구성하고, 림에 의해 단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타이어 케이싱에 대해 변형 불가능 부분을 구성하는 타이어 케이싱을 포함하는 차량의 장착 조립체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캐터필라 견인의 경우, 이들은 고무 재료로 형성된 트레드 및 트레드의 대체로 원형 형상인 구동 휠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구동 휠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마지막으로, 컨베이어의 컨베이어 벨트는 또한 변형 가능한 부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적어도 2개가 있는 컨베이어 벨트의 구동 롤러는 컨베이어 벨트에 대해 변형 불가능한 부분을 구성한다. 각각의 구동 롤러는 일반적으로 자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는 RFID 태그일 수 있거나 자체 전원을 갖는 능동형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는 운송 수단의 이동 가능한 부분에 고정된다. 이는 타이어 케이싱의 RFID 태그, 휠에 부착된 TPMS(Tyre Pressure Monitoring System의 약어) 센서, 또는 무선 주파수에 의해 통신하고 이동 가능한 조립체에 위치된 무선 주파수 안테나가 장착된 임의의 전자 개체일 수 있다.
이동 가능한 조립체에 연결되어 운송 수단에 이동 연결되는 이러한 전자 개체를 판독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조립체 외부에서, 운송 수단에 내장된 판독 시스템의 배치를 개시한다. 결과적으로, 판독 시스템은 이동 가능한 조립체의 이동에 연결되지 않는다. 이 판독 시스템은 고정 주파수의 전기 신호 송신기와 고정 주파수 근방의 주파수 대역의 전기 신호 복조기를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이 제1 디바이스는 양방향 통신 케이블에 연결된다. 이 케이블은 중공 또는 중실의 대체로 금속인 전도성 코어와, 전도성 코어에 동축인 제2 전도성 중공 튜브로 구성된다. 유전체 재료는 2개의 전도성 구성요소를 분리한다. 케이블의 일 단부는 송신/수신 전자 디바이스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자유이다. 이 케이블은 적어도 하나의 방사 부분을 포함하고, 즉, 다양한 구조 해결책을 통해 중공 전도체 튜브의 외부에서 전파를 기능적으로 송신하거나 수신한다. 예를 들어, 가능한 케이블은 안테나 케이블에 의해 송신되거나 수신되는 전파의 파장과 관련된 적절한 치수의 공간적으로 분포된 구멍을 갖는 외부 중공 튜브가 방사 부분에 제공되는 누설 피드 안테나이다. 방사 구역 외부에서, 동축 케이블이 도파로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무엇보다도 판독 시스템의 특정 배열, 특히 이동 가능한 조립체에 의해 동작이 구동되는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가 따르는 경로에 관하여 양방향 통신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배열에 기초한다. 실제로, 케이블의 방사 부분과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 사이의 공간 거리는 이동 가능한 조립체가 취하는 경로를 나타내는 루프 부분 동안 특정 거리, 바람직하게는 1 미터 미만이어야 한다. 이는 이동 가능한 조립체의 구조와 관련된 세 가지 조건에 의해 보장된다. 실제로, 이동 가능한 조립체는 주로 2차원 이동을 갖기 때문에, 이동 가능한 조립체에 연결된 기준 프레임에서, 부과된 변위의 구역을 벗어나면, 이동 가능한 조립체의 변형 가능한 부분에 대한 정중면을 정의할 수 있고, 이는 이동 가능한 조립체의 회전축에 직교하고 정중면에 대해 이동 가능한 조립체를 2개의 대칭 부분으로 분리하는 특성을 갖는다. "주로 양방향 이동"이라는 용어는 이동 가능한 조립체에 연결된 직교 기준 프레임에서 분해된, 2개의 순간 사이의 이동 가능한 조립체의 재료 지점에 의해 덮인 거리가 다른 2개보다 작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이 구성요소는 이동 가능한 조립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운반되는 구성요소이다. 제1 조건은 통신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연속적인 하위 부분이 이동 가능한 조립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조립체의 변형 가능한 부분에 부착된 정중면으로부터 2 미터를 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당연히,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연속 부분 사이의 거리가 작을수록, 2개의 무선 주파수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주파수 통신이 더 좋아진다.
그런 다음, 이동 가능한 조립체의 변형 가능한 부분은, 예를 들어 차량의 장착 조립체의 경우처럼 단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완전 회전 이동에 의해 구동되거나, 컨베이어의 컨베이어 벨트 또는 육상 차량의 캐터필라 궤도의 경우처럼 여러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부분 회전과 이들 부분 회전 사이의 병진 이동을 결합한 이동에 의해 구동된다. 양방향 통신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연속 부분과 이동 가능한 조립체의 변형 가능한 부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2개의 투영 조건을 준수해야 한다. 제1 조건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부분 회전하는 변형 가능한 부분의 구역에 관한 것으로, 이 회전 이동에 의해 구동되고 따라서 이동 가능한 조립체의 변형 불가능한 부분과 접촉하는 이동 가능한 조립체의 변형 가능한 부분의 가장 가까운 표면 상에서 양방향 통신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연속 부분의 최대 반경방향 투영(R) 거리를 정의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제2 조건은 이동 가능한 조립체의 변형 가능한 부분의 가장 가까운 표면 상에서 양방향 통신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연속 부분의 최대 직교 투영 거리(P)를 정의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 표면은 반드시 변형 가능한 부분의 병진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가능한 조립체의 회전축과 동일 선상에 있어야 한다.
이동 가능한 조립체에 고정된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의 경로를 나타내는 루프의 일부 동안 이 세가지 조건이 동시에 충족되면, 양방향 통신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연속 부분이 루프의 이 부분에 있는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와 잠재적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또한 이 통신은 각각의 루프에서 반복되므로 공간적으로 주기적이라는 것이 보장된다. 당연히, 루프의 이 부분이 클수록, 2개의 구성요소 사이의 통신이 더 좋아진다. 바람직하게는,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의 경로를 나타내는 전체 루프에 걸쳐 조건이 충족된다.
마지막으로, 이동 가능한 조립체에 대해 이 공간 구역에 있는 양방향 통신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연속 부분은 케이블 길이의 1 단위보다 큰 곡선 길이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케이블 길이의 단위는 판독 시스템에 의해 무선 신호가 송신되는 주파수(F0)와 관련된 파장에 의해 정의된다. 이는 세가지 기하학적 조건에 의해 획정된 공간 구역의 안테나 길이가 이동 가능한 조립체에 고정된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데 적합하다는 것을 보장한다. 물론, 양방향 통신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연속 부분의 길이가 길수록, 판독 시스템과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 사이의 통신이 더 좋아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방사 부분은 제1 연속 부분과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연속 부분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2 연속 부분의 곡선 가로축은 적어도 케이블 길이의 1 단위보다 크고, 2개의 인접 회전축 사이에 위치되고 이들 2개의 회전축과 동일 선상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동 가능한 조립체의 변형 가능한 부분의 평면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연속 부분의 직교 투영(P)의 거리 및/또는 공전축이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동 가능한 조립체의 변형 불가능한 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과 동축이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동 가능한 조립체의 변형 불가능한 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는 변형 가능한 부분을 둘러싸는, 원통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연속 부분의 반경방향 투영(R)의 거리는, 1 미터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미터 미만이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동 가능한 조립체의 하나 이상의 회전축 방향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동 가능한 조립체의 변형 가능한 부분의 정중면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연속 부분의 축방향 투영(A)의 거리는 2 미터 미만, 바람직하게는 1 미터 미만, 매우 바람직하게는 0.5 미터 미만이다.
이는, 양방향 통신 케이블이 통신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동일한 연속 부분이 두 이동 가능한 조립체를 모두 조사할 수 없을 정도로 멀리 떨어져 있는 동일한 운송 수단의 이동 가능한 조립체를 조사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러면 종래의 해결책은 제2 양방향 통신 케이블을 추가하고 이 제2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연속 부분을 제2 이동 가능 조립체의 적절한 지리적 영역에 위치 설정하는 것인데, 이는 비용이 많이 든다. 여기서, 해결 방법은 판독 시스템의 전기 신호 송신기/수신기에 대한 갈바닉 연결부의 개수를 제한하는 동일한 양방향 통신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 후, 이 케이블에는 제1 연속 부분과 별개인 제2 연속 방사 부분이 장착된다. 그러나, 이는 케이블의 동일한 방사 부분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일한 케이블은 각각의 경우에 상이한 이동 가능한 조립체와 관련된 각각의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로부터 정보를 조사하고 수신한다. 2개의 강하게 방사되는 공간 구역을 생성하려면, 케이블의 방사 부분을 동일한 공간 구역 위로 단순히 여러 번 통과시켜 연속 부분을 생성해야 한다. 이는 고도 방사 구역을 생성시켜, 공간 구역을 통과하는 운송 수단의 트랜스폰더와 쉽게 통신할 수 있다. 물론, 이 기술을 사용하여, 강하게 방사되는 여러 개의 공간 구역을 서로 별개로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강하게 방사하는 공간 구역 사이에서, 케이블은 방사 거동이 덜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케이블을 따라 무선 신호를 판독기로 송신할 수 있다. 물론, 지리적으로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여러 이동 가능한 조립체와 통신하고 운송 수단의 모든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와 통신하기 위해서는, 운송 수단의 이동 가능한 조립체에 연결되든 아니든, 통신 케이블의 길이를 따라 연속 및 방사 부분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유사하게, 양방향 통신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연속 부분은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연속 부분으로부터 올바른 거리에 위치되는 한 상이한 이동 가능한 조립체와 통신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은, 전도성 코어에 연결되고 제2 유전체 재료로 덮인 전도체가 자유 단부에 장착되고, 그 자체는 전도체 조립체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여 있으며, 그 커넥터의 길이는 용량성 결합 성능을 위해 판독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에 맞게 조절된다.
이러한 유형의 양방향 통신 케이블은 이 반사 디바이스를 통해 표면 전파를 사용한다. 이를 통해 방사 부분 표면 상에 특이성이 없는 양방향 케이블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이 운송 수단에 설치될 때 케이블이 강하게 변형되는 경우, 전도성 튜브를 통과하는 오리피스의 분포와 형상이 양방향 케이블의 변형에 더 민감한 누설 피드 안테나의 경우처럼 케이블의 통신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더욱이, 이 기술 해결책은 동축 케이블 단부에 용량성 결합을 통해 전기 반사 디바이스를 배치하는 것보다 전도체 튜브의 오리피스가 훨씬 더 비싸기 때문에 더 경제적이다.
이러한 유형의 케이블은 특허 출원 US2016/0197408A1호에 설명되어 있으며, 자유 단부에 용량성 결합에 의한 전기 반사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전도성 코어에 연결되고 임의로 용량성 결합을 생성하는 제2 유전체 재료에 의해 전도성 튜브로부터 분리되는 전도성 구성요소로 구성된다. 전도성 구성요소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케이블 안테나에 의해 송신 및 수신되는 전파 파장의 1/4이다. 이 디바이스는 케이블 외부에 축방향으로 장착된 일반적으로 페라이트로 제조된 자화 링에 의해 생성된 표면파 감쇠 구역까지 신호 발생기에 의해 방출된 것과 반대 방향으로 전도성 튜브에 무선 전기 표면 진행파를 생성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케이블의 방사 부분에서, 전도체 조립체는 접지에 연결된 제2 전도체 조립체에 의해 덮인다.
이는 운반 매체의 전자기 적합성에 따라 필요할 수 있는 케이블로부터의 전자기 복사를 운반 매체에서 제한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의 무선 주파수 안테나는 제1 길이방향 축을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스트랜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제1 연속 부분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연속 부분은 중앙선을 획정하며, 제1 길이방향 축 및 중앙선의 방향자 벡터에 의해 형성된 각도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조립체에 의해 나타내진 폐쇄 경로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30도 미만, 바람직하게는 10도 미만이다.
무선 트랜스폰더에 유선 안테나가 장착되는 특별한 경우에, 2개의 전자 조립체에 단방향 안테나가 장착된다. 통신을 위해서는, 2개의 안테나의 축 방향이 서로 직교하지 않아, 2개의 안테나 사이의 전자기 결합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상적으로, 2개의 방향은 결합 효과가 최대화하도록 동일 선상에 있어야 한다. 그러나, 2개의 안테나 사이의 통신 레벨은 2개의 방향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가 30도 미만인 한 완전히 적절하게 유지된다. 이는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가 수동적일 때, 즉, 자체 소스나 전기적 에너지 생성이 없을 때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전자기 결합은 송신하기 전에 에너지를 송신함으로써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를 활성화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판독 시스템이 운송 수단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동안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가 동작하기 때문에,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에 의해 나타내진 전체 경로에 걸쳐 각도 조건이 반드시 충족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2개의 전자 시스템 사이의 무선 주파수 통신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이동 가능한 조립체가 취하는 경로의 일부에 걸쳐 각도 조건이 충족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바람직하게는,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는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이다.
이는 개체의 식별자, 특히 이동 가능한 조립체 또는 그 구성요소 중 하나의 식별자를 전달하는 데 이상적인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태그는 트랜스폰더의 질량과 비용을 최소화하고, 제품 수명 전반에 걸쳐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의 신뢰성, 특히 이동 가능한 조립체 구성요소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수동적이다. 마지막으로, RFID 태그와 엘라스토머 구성요소 모두에 대해 우수한 물리적 무결성을 보장하면서 엘라스토머 화합물 내에 이러한 태그를 통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매우 바람직하게는, 운송 수단은 궤도 육상 차량, 변형 가능 및 탄성 타이어를 갖는 육상 차량, 및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그룹에 포함된다.
또한, 매우 바람직하게는, 이동 가능한 조립체의 변형 가능한 부분은 변형 가능 및 탄성 타이어, 엘라스토머 혼합 컨베이어 벨트 및 엘라스토머 혼합 캐터필라 궤도를 포함하는 그룹에 포함된다.
RFID 태그와, 또한 능동형 무선 주파수 센서의 사용은 개체 식별 또는 모니터링, 물류 서비스의 문을 열고 운송 수단에서 특정 시스템의 개인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점점 더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이는 이러한 시스템의 사용을 개선시킨다. RFID 태그는 현재까지 가장 작은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로서, 부착된 개체에 대해 적어도 식별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운송 수단에는 운송 수단의 마모 부분을 나타내는 트레드, 컨베이어 벨트 또는 공압 타이어 시스템과 같은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이 장착되는 경우가 많다. 운송 수단보다 더 빠르게 노화되는 이러한 제거 가능한 부분을 식별하면 예측 유지 보수가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요소의 노화 또는 마모 상태에 따라, 운송 수단의 설정을 조절하여 작동 성능을 최적화해야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부분은 본질적으로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변형 레벨이 높다. 이러한 이유로, 이들 변형 가능한 부분의 물리적 무결성과 내구성을 모두 보장하려면 소형 RFID 태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우 특정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가능한 조립체는 단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이동을 나타내고,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연속 부분은 단일 회전축에 대한 적어도 30도 초과, 바람직하게는 60도 초과, 매우 바람직하게는 120도 초과의 각도 섹터를 나타낸다.
이동 가능한 조립체의 제1 이동 조건은, 예를 들어 차량용 장착 조립체의 경우를 예시한다. 이 경우, 림 장착형 타이어 케이싱은 단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장착 조립체를 구성한다. 이 경우, 단일 회전축과 관련된 회전 기준 프레임에서, 양방향 통신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연속 부분은 적어도 30도의 각도 섹터에 걸쳐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식으로, 단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이동 가능한 조립체의 회전 속도에 따라, 이동 가능한 조립체와 함께 회전하는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와 운송 수단에 고정된 판독 시스템 사이에 특정 지속 기간의 통신이 보장된다. 물론, 각도 섹터가 클수록, 특정 회전 속도에서 통신 시간이 길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연속 부분은 이동 가능한 조립체를 수용하는 운송 수단의 공동을 획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에 고정된다.
자동차의 타이어 케이싱에 의해 구성된 것과 같이 단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이동 가능한 조립체의 경우, 양방향 통신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연속 부분을 휠 아치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휠 아치는 차량 장착 조립체가 사용 동안 연결될 공동을 획정한다. 일반적으로, 이 구성요소는 비금속이고, 이는 차폐 효과나 무선 간섭이 없음을 의미한다. 통신 케이블과 트랜스폰더 사이에서 전파의 전달은 2개의 안테나 사이에 기계적 구성요소가 없기 때문에 개선된다. 마지막으로, 공동은 차량과 같이 극히 작은 공간에 통신 케이블이 설치될 수 있는 여유 영역을 자연스럽게 제공한다.
매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연속 부분은 이동 가능한 조립체의 단일 회전축으로부터 일정한 반경방향 거리로 연장된다.
이러한 조건은 타이어 케이싱에 있는 RFID 태그와 같은 수동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의 경우 2개의 구성요소 사이의 안정적인 무선 주파수 통신을 보장한다. 실제로, 장착 조립체의 회전축에 대해 주로 원주방향으로 타이어 측벽에 RFID 태그를 위치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허용된다. 또한, 조립체의 장착 공동을 획정하는 벽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기하학적 조건을 따른다. 결과적으로, 2개의 안테나 사이의 통신은 지속 기간과 품질 측면에서 모두 최적화된다.
바람직하게는,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는 부반송파 주파수로 송신한다.
이러한 용례에서,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는 수신한 무선 주파수 송신 신호를 사용하여 조사에 대한 답변을 송신한다. 이러한 작동 모드는 수동형 RFID 태그 유형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 즉, 방출을 위한 자체 에너지원이 없는 트랜스폰더에서 특히 일반적이다. 이러한 통신 모드는 양방향 통신 케이블의 통신 감도를 개선시키는 것이 목적인지 아니면 2개의 무선 주파수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 속도를 개선시키는 것이 목적인지에 따라 다양한 변조를 채용한다. 변조는 주로 이진 상태의 전이 횟수 - 물리적으로, 이것은 예를 들어 복귀 신호의 진폭과 위상의 변화를 유도하는 RFID 태그의 전자 칩의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 임피던스의 상태 변화임 - 및 전이를 관찰하는 단위 기간이라는 2개의 변수를 특징으로 한다. 통신 케이블의 감도를 개선하기 위해, 높은 단위 기간에 걸쳐 이진 상태에 대해 많은 수의 전이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UHF RFID에 적용할 수 있는 Miller 8 코딩은 10 내지 20 dBm의 감도 이득을 제공한다. 다른 한편으로, 짧은 단위 기간에 걸쳐 단위 기간당 단일 전이로 전이 횟수를 제한하면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와 양방향 통신 케이블 사이의 트랜잭션 처리량에 유리하며, 실제로 이를 최대화한다. FMO 변조, 즉, 예를 들어 7.6 μs의 단위 기간당 한 번의 전이는 Miller 8 변조에 비교하여 양방향 통신 케이블의 판독 속도를 10배 증가시킨다.
매우 바람직하게는,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의 부반송파 주파수는 5 미만의 전이 수, 바람직하게는 부반송파 주파수의 단위 기간에 걸쳐 단일 전이를 포함한다.
매우 바람직하게는,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의 부반송파 주파수는 10 μs 미만, 바람직하게는 8 μs 미만의 단위 기간을 갖는다.
짧은 기간과 적은 전이를 선택하는 것은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와 양방향 통신 케이블 사이의 무선 주파수 통신 속도, 즉, 통신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연속 부분의 판독 속도를 선호하며, 이는 예상되는 배열의 문맥에서 유리하다. 실제로, 이 배열은 이동 가능한 조립체에 장착된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의 상대 이동으로 인해 2개의 디바이스 사이의 짧은 결합 시간에 걸쳐 양방향 통신 케이블과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 사이의 판독 거리가 1 미터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자는 이러한 변조 모드가, 통신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연속 부분이 이동 가능한 조립체의 변형 가능한 부분의 정반대에 있는 궤도 또는 공압 운송 차량에 특히 유리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단지 비제한적인 예로서 그리고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진 다음 설명을 읽으면 더 잘 이해될 것이고, 도면 전반에 걸쳐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내며, 도면에서:
- 도 1a 및 도 1b는 2개의 이동 가능한 조립체 용례에 따른 이동 가능한 조립체와 통신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통신 공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판독 시스템의 양방향 통신 케이블을 구현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 도 3은 판독 시스템이 차량에 어떻게 설치되는 지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 도 4는 RFID 태그가 장착된 삽입된 타이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a는 타이어 케이싱(12)을 도시하며, 림에 장착된 상기 타이어 케이싱으로 구성된 이동 가능한 조립체의 변형 가능한 부분을 나타내고, 림은 여기서 도시되어 있지 않다. 타이어 케이싱 또는 변형 가능한 부분(12)은 자연 회전축(10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변형 가능한 부분(12)은 정중면(101)을 정의하고, 정중면은 회전축(102)에 직교하고 변형 가능한 부분(12)을 정중면(101)에 대해 대칭인 2개의 하위 부분으로 분리한다. 이 변형 가능한 부분(12)에는 RFID 센서 유형 전자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압력 센서를 사용하여 이동 가능한 조립체의 팽창 압력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RFID 유형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즉, 자체 에너지원이 없음)가 장착되어 있다. 이 변형 가능한 부분(12)은 또한 림 밸브에 장착된 활성 TPMS 유형 센서를 포함한다. 이러한 무선 주파수 디바이스의 반경방향, 방위각 및 축방향 위치는 일반적으로 이동 가능한 조립체에서 임의적이다.
변형 가능한 부분(12)은 공전축(102)을 갖는 원통(108)으로 둘러싸이며, 회전축(102)에 관하여 타이어 케이싱의 크라운의 반경방향 최외측 위치에 놓인다. 여기서, 변형 가능한 부분은 팽창되지만 정적 하중을 받지는 않으며, 원통(108)은 크라운의 주연부 둘레에 균등하게 분포된 크라운 상의 다수의 지점에 놓인다.
이때, 양방향 통신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연속 부분의 설치 공간(104)은 축(102)과 동축인 공전축을 갖는 원통으로서 정의될 수 있고, 정중면(101)에 나타낸 회색 화살표에 의해 구체화된 거리(R)에서 원통(108)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축(102)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원통(104)은 축(102) 방향으로 정중면(101)으로부터 축방향 거리(A)에 있는 정중면(101)의 양 측면에 위치된 정중면(101)과 동일 선상에 있는 평면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직선이다. 이들 축방향 거리(A)는 축(102)에 표시된 회색 화살표에 의해 시각화된다. 이동 가능한 조립체의 무선 주파수 디바이스가 상기 양방향 통신 케이블을 사용하여 운송 수단에 설치된 판독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도록 판독 시스템의 송신 주파수(F0)에 의해 정의된 케이블 길이의 적어도 하나의 단위의 길이를 갖는 방향성 통신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연속 부분을 직선 원통(104)에 위치 설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도 1b는 이동 가능한 조립체의 변형 불가능한 부분의 역할을 하는 2개의 구동 롤러(11a, 11b)에 의해 움직이는 이동 가능한 조립체의 변형 가능한 부분을 나타내는 컨베이어 벨트(12)를 포함하는 이동 가능한 조립체로서 컨베이어 벨트(1)를 도시한다. 이들 구동 롤러(11a, 11b)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운송 수단의 열 추진 시스템에 의해 구동된다.
컨베이어 벨트 또는 변형 가능한 부분(12)은 2개의 자연 회전축(102a 및 102b)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변형 가능한 부분(12)은 정중면(101)을 정의하고, 정중면은 회전축(102a, 102b)에 직교하고 변형 가능한 부분(12)을 정중면(101)에 대해 대칭인 2개의 하위 부분으로 분리한다. 이 변형 가능한 부분(12)에는 컨베이어 벨트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RFID 유형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즉, 자체 에너지원이 없음)가 장착된다.
변형 가능한 부분(12)은 언제든지 3개의 구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제1 구역은 구동 롤러(11a)에 의한 회전축(102a)을 중심으로 한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에 대응하고, 도면에서 반원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제2 구역은 제2 구동 롤러(11b)에 의한 제2 회전축(102b)을 중심으로 한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에 대응한다. 마지막으로, 제3 구역은 컨베이어 벨트(12)의 나머지 부분에 대응하고, 이 구역에서의 컨베이어 벨트(12)의 이동은 회전축(102a, 102b)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병진 이동에 대응한다. 제1 구역은 공전축(102a)을 갖는 반원통(103a)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회전축(102a)에 대해 제1 구역의 컨베이어 벨트(12)의 반경방향 최외측 위치에 놓인다. 본질적으로, 이 원통은 회전축(102a) 방향으로 무한히 연장된다. 제2 구역은 유사하게 공전축(102b)을 갖는 반원통(103b)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회전축(102b)에 대해 제2 구역의 컨베이어 벨트(12)의 반경방향 최외측 위치에 놓인다.
이때, 양방향 통신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연속 부분의 설치 공간(104)은 여러 개의 기본 기하학적 형상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 형상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첫째로, 그리고 도 1b의 경우, 컨베이어 벨트(12)의 제2 구역에 대해, 기본 형상은 공전축이 축(102b)과 동축인 반원통이며, 반원통(103b)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축(102b)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정중면(101)에 나타낸 회색 화살표(R2 및 R1)의 차이에 의해 구체화되는 거리(R)까지 연장된다. 이 제1 반원통은 축(102b) 방향으로 정중면(101)으로부터 축방향 거리(A)에 있는 정중면(101)의 양 측면에 위치된 정중면(101)과 동일 선상에 있는 평면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직선이다. 이들 축방향 거리(A)는 축(102b)과 동일 선상에 있는 회색 화살표에 의해 시각화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컨베이어 벨트(12)의 제1 구역에 대해, 기본 형상은 또한 공전축이 축(102a)과 동축인 반원통형이며, 제1 반원통과 동일한 거리(R)에서 반원통(103a)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축(102a)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롤러(11a 및 11b)는 동일한 반경(R1)을 갖지만, 일반적으로 이들 롤러는 상이할 수 있다. 그러나, 컨베이어 벨트(12)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거리(R)는 반원통 사이에서 항상 동일하다.
일반적인 경우, 제1 및 제2 구역은 이동 가능한 조립체(1)의 회전축의 개수에 반비례하는 원통 부분이다. 예를 들어, 이동 가능한 조립체(1)가 3개의 유형의 회전축(102)을 갖는 경우, 원통 부분은 전체 원통의 1/3에 대응한다.
이 제2 반원통은 축(102a) 방향으로 정중면(101)으로부터 동일한 축방향 거리(A)에 있는 정중면(101)의 양 측면에 위치된 정중면(101)과 동일 선상에 있는 평면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직선이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정중면(101)과 동일 선상에 있는 평면에 의해 획정되므로 항상 직선 원통의 부분이다.
마지막으로, 설치 공간(104)의 제3 기본 형태는 정중면(101)에 평행한 2개의 면을 포함하는 다면체(도 1b의 경우 육면체)이며, 각각은 정중면(101)의 양 측면에서 축방향 거리(A)만큼 이격되어 있다. 다면체는 컨베이어 벨트(12)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거리(R)로 구성된 원통 부분의 폐쇄 평면에 의해 완료된다. 도 1b의 경우, 이동 가능한 조립체(1)의 회전축이 2개이므로, 폐쇄 평면은 2개이며 서로 평행하다. 그러나, 폐쇄 평면의 개수에 무관하게, 정중면(101)에 직교하므로 다면체의 초기 평면에 직교한다. 이동 가능한 조립체(1)의 회전축의 개수가 2보다 큰 일반적인 경우에, 각각의 원통 부분은 원통 부분과 동일한 각도를 사이에 형성하는 2개의 폐쇄 평면을 획정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이동 가능한 조립체가 3개의 회전축을 포함하는 경우, 원통의 각각의 1/3은 사이에 120도의 각도를 형성하는 2개의 폐쇄 평면을 포함한다. 필연적으로, 원통 부분의 각각의 폐쇄 평면은 제1 회전축에 인접한 회전축의 원통 부분에서 이에 평행한 폐쇄 평면을 찾는다. 마지막으로, 다면체는 정중면(101)에 직교하는 이동 가능한 조립체(1)의 회전축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평면에 의해 폐쇄된다. 여기서, 컨베이어의 이동 가능한 조립체(1)는 2개의 회전축을 갖고, 육면체인 다면체는 반원통의 자유 에지를 쌍으로 결합하는 2개의 평면에 의해 폐쇄된다. 이들 평면은 이동 가능한 조립체(1)의 변형 불가능한 조립체(11a 및 11b)가 동일한 반경을 갖는다는 유일한 이유 때문에 평행하다.
물론, 양방향 통신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연속 부분의 설치 평면(104)의 정의는 동일 선상에 있는 회전축을 갖는 2개 이상의 구동 휠을 갖는 궤도 이동 가능한 조립체의 경우에 매우 유사하다.
이동 가능한 조립체(1)의 무선 주파수 디바이스가 운송 수단에 설치된 판독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도록 판독 시스템의 송신 주파수(F0)에 의해 정의된 케이블 길이의 적어도 하나의 단위의 길이를 갖는 방향성 통신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연속 부분을 다면체(104)에 위치 설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도 2는 누설 피드 안테나와는 상이한 구성의 양방향 통신 케이블(32)을 도시하며, 이는 RFID 태그 용례에 대해 완벽하게 잘 작동하지만 배타적인 것은 아니다.
케이블(32)은 전기 전도성 내부 전도체(314) 및 내부 전도체(314)를 동축으로 둘러싸는 전기 전도성 외장 전도체(316)를 갖는 세장형 바이폴라 동축 전도체 구조(312)를 포함한다. 예시된 예에서, 내부 전도체(314)는 원통형이고 외장 전도체(316)는 중공 원통형이다.
내부 전도체(314)와 외장 전도체(316)는 모두 금속 재료로 제조되고, 전기 절연 중간층(예를 들어, 플라스틱)이 유리하게는 전도성 구조(312)의 전체 길이에 걸쳐 내부 전도체(314)와 외장 전도체(316)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존재한다.
전도성 구조(312)의 제1 단부(318)는 각각 케이블(32)을 사용하여 송신될 안테나 신호 또는 케이블(32)에 의해 수신될 안테나 신호에 대한 판독 시스템의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다. 케이블(32)에는 예시된 예에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종래의 동축 플러그(320)가 제공되며, 이 동축 플러그는 내부 전도체(314) 및 이 제1 단부(318)의 외장 전도체(316)를 위한 전기 커넥터를 종래의 방식으로 실현한다.
예시된 예에서 내부 전도체(314)와 일체로 형성되고 따라서 내부 전도체(3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내부 전도체(314)의 연장부(324)는 전도체 구조(312)의 제2 반대쪽 단부(322)에 제공된다. 이 연장부(424)는 전도성 구조(312)의 제2 단부(322)로부터 시작하여 외장 전도체(316)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며, 제2 단부(322) 바로 앞의 외장 전도체(316) 및 내부 전도체(314)의 경로까지 직선 및 동축으로 연장된다.
내부 전도체 연장부(324)는 내부 전도체 연장부(324)의 자유 단부(326)까지 직선으로 연장되며, 자유 단부(326) 또는 내부 전도체 연장부(324)와 외장 전도체(316)의 일부 용량성 결합은 내부 전도체 연장부(324)의 길이에 따라 그 제2 단부(322)의 영역에 존재한다.
케이블(32)의 하나의 송신 모드에서, 즉, 송신될 안테나 신호가 제1 단부(318)의 동축 플러그(320)에 도입되면, 이 안테나 신호는 전도성 구조(312)를 통해 단부(322)로 이동하고 그곳에서 어느 정도 반사되어, 제2 단부(322)로부터 외장 전도체(316)를 따라 제1 단부(318)를 향해 발산되는 경계 진행파로서 역류하게 된다.
예를 들어, 주입된 안테나 신호의 주파수 및 전력과 관련하여 그에 따라 선택된 작동 모드의 경우, 케이블(32)이 자체 둘레에 교번 전자기장을 생성하지만, 상대적으로 적게 방사하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이 케이블(32)은 "결합 모드"에서 진행파 안테나처럼 작동하여, 케이블(32)의 범위가 잘 제어된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표면파 감쇠 디바이스(330)는 2개의 단부(318, 322) 사이의 지점에서 제2 단부(322)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외장 전도체(316)의 외주에 배열된다. 도시된 예에서, 이 디바이스는 복수의 페라이트 링(332, 334, 336 및 338)에 의해 형성되며, 이들 각각은 외장 전도체(316)의 외주를 둘러싼다.
페라이트 링(332 내지 338)은 전도성 구조(312)의 길이방향에서 볼 때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배열되며, 이러한 진행파가 감쇠 디바이스(330)의 위치에 도달할 때 전도성 구조(312)의 제2 단부(322)로부터 상승하는 상기 진행파를 유리하게 감쇠시킨다.
페라이트 링(332 내지 338) 또는 동축 전도체 구조(312) 경로에서의 이들의 배열 위치에 의해 형성된 감쇠 디바이스(330)는 전도체 구조(312)의 전체 길이를 신호 전도 섹션(340)과 방사 섹션(342)으로 분할하고, 케이블(32)의 작동 동안, 섹션(340)은 제1 단부(318)로부터 또는 제1 단부를 향해 발산하는 안테나 신호를 전도하는 데 사용되고, 섹션(342)은 케이블(32)로부터 또는 케이블(32)을 향해 발산하는 정보 및/또는 전력을 송신하는 데 사용된다.
페라이트 링의 개수와 페라이트 링 사이의 개별 거리는 각각의 용례 또는 케이블(32)의 작동 파라미터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
복수의 페라이트 링의 경우 적어도 하나의 페라이트 링,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제2 단부(322)에 가장 가까운 "제1" 페라이트 링, 즉, 예시된 예에서는 페라이트 링(332)은 전도성 구조(31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배열되는 것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렇게 형성된 감쇠 디바이스의 특성은 실제 용례에 영향을 미치거나 그 용례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페라이트 링(332 내지 338)에 추가하여, 감쇠 디바이스(330)는, 예시된 예와는 다르게, 전도체 구조(312)의 경로를 따라 관련 지점에 배열되고 제1 단부(318) 및 제2 단부(322)로 이어지는 전도체 구조(312)의 섹션(340, 342)에 양 측면이 연결되는, 용량성 구성요소 및/또는 유도성 및/또는 저항성 요소로 구성된 전기 네트워크 구조와 같은 다양한 감쇠 구성요소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주 케이블 구성요소(32)는 가요성 또는 반강성 케이블일 수 있는 동축 전도성 구조(312), 또는 "개방 단부" 또는 전술한 내부 전도체 연장부(324)를 갖는 강성 구조에 의해 형성된다.
내부 전도체 연장부(324) 영역에서, 전도체 구조의 나머지 부분에서 차폐부를 형성하는 외장 전도체(316)가 어느 정도 제거되어, 쌍극자 안테나가 생성되며, 그 중 한쪽 아암은 내부 전도체 연장부(324)에 의해 형성되고 다른 쪽 아암은 외장 전도체(316)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에 제시되지 않은 용량성 결합을 구현하는 다른 방법이 있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페라이트 링에 의해 형성된 표면파 감쇠 디바이스(330)는 섹션(342)에 대한 송신/수신을 위한 유효 안테나 길이를 제한한다.
이 안테나 길이를 조절하는 것에 추가하여, 감쇠 디바이스(330)의 위치, 이 경우 특히 제1 페라이트 링(332)의 위치는 또한 감쇠 디바이스(330)의 특성 및 따라서 복귀 진행파의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내부 전도체 연장부(324)가 적어도 대략적으로 관련 안테나 신호의 1/4 파장을 나타내는 길이를 갖는 경우, 원하는 복귀 진행파의 생성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유리하다.
케이블(32)의 적절한 기하형상과 대응 작동 모드에 대해, 방출 신호의 대부분이 외장 전류로서 "신호 송신기/수신기 섹션"(342)을 따라 이동하고, 상대적으로 적은 고주파 에너지가 방출되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결합 모드").
내부 전도체 연장부(324)의 길이는 원하는 임피던스가 제1 페라이트 링(332)의 위치와 조합하여 정의되어 케이블(32)의 반사 손실을 가능한 한 높게 달성하는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케이블(32)의 길이와 전술한 개별 섹션의 길이는 해당 용례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
요약하면, 케이블(32)의 구조, 기능 및 이점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 주 케이블 구성요소(32)는 가요성 또는 반강성 케이블일 수 있는 동축 전도성 구조(312), 또는 "개방 단부" 또는 전술한 내부 전도체 연장부(324)를 갖는 강성 구조에 의해 형성된다.
- 내부 전도체 연장부(324) 영역에서, 전도체 구조의 나머지 부분에서 차폐부를 형성하는 외장 전도체(316)가 어느 정도 제거되어, 쌍극자 안테나가 생성되며, 그 중 한쪽 아암은 내부 전도체 연장부(324)에 의해 형성되고 다른 쪽 아암은 외장 전도체(316)에 의해 형성된다.
- 여기서 하나 이상의 페라이트 링에 의해 형성된 표면파 감쇠 디바이스(330)는 섹션(342)에 대한 송신/수신을 위한 유효 안테나 길이를 제한한다.
- 이 안테나 길이를 조절하는 것에 추가하여, 감쇠 디바이스(330)의 위치, 이 경우 특히 제1 페라이트 링(332)의 위치는 또한 감쇠 디바이스(330)의 특성 및 따라서 복귀 진행파의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 내부 전도체 연장부(324)가 적어도 대략적으로 관련 안테나 신호의 1/4 파장을 나타내는 길이를 갖는 경우, 원하는 복귀 진행파의 생성이 필요하다.
- 케이블(32)의 적절한 기하형상과 대응 작동 모드에 대해, 방출 신호의 대부분이 외장 전류로서 "신호 송신기/수신기 섹션"(342)을 따라 이동하고, 상대적으로 적은 고주파 에너지가 방출되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결합 모드").
- 내부 전도체 연장부(324)의 길이는 원하는 임피던스가 제1 페라이트 링(332)의 위치와 조합하여 정의되어 케이블(32)의 반사 손실을 가능한 한 높게 달성하는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l1은 신호 전도체 섹션(340)의 길이이고, l2는 표면파 감쇠 디바이스(330)의 길이이며, l3은 신호 송신기/수신기 섹션(342)의 길이이고, l4는 내부 전도체 연장부의 길이이다.
거리(d1)는 페라이트 링(332, 334)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이 거리(d1)는, 예를 들어 5 mm 내지 20 mm이다.
동축 전도체 구조(312)의 외장 전도체(316)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가지며, 이 개구는 예로서 점선으로 작성되고 339로 마킹된다. 감쇠 디바이스(330)로부터 개구(339)의 거리는 d2로 마킹되고 1 내지 5 m 범위에 있다. 그러나, 복수의 개구(339)는 또한 신호 파장의 0.1 내지 5배의 상호 간격으로 신호 송신기/수신기 섹션(342)의 길이를 따라 분포되어 배열될 수 있다.
도 3은 판독 시스템(3)이 차량과 같은 운송 수단(2)에 어떻게 설치되는 지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차량(2)은 액슬과 구동 트레인이 제거된 전체 차량에 대응하는 폐쇄된 장착 차체를 나타내는 투명한 체적에 의해 나타낸다. 그러나, 이 차량(2)은 4개의 공동(21a-1, 21a-2, 21b-1 및 21b-2)을 나타내며, 각각은 차량의 장착 조립체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장착 조립체는 타이어 케이싱에 있는 RFID 태그와 TMS 센서를 포함한다.
이 차량(2)은 또한 장착 조립체의 무선 주파수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는 판독 시스템(3)을 포함한다. 이러한 판독 시스템(3)은 차량(2)의 에이프런에 위치된 전기 신호를 송신 및 판독하기 위한 제1 디바이스(31)를 포함하는데, 에이프런은 차량이 주행하는 지면에 대해 주로 수직인 벽으로서 여기서는 승객 격실로부터 차량(2)의 전방에 위치된 차량의 엔진 격실을 획정한다. 따라서, 이 디바이스(31)는 전기 신호 송신기와 전기 신호 복조기 모두를 포함한다.
이 디바이스(31)로부터, 2개의 양방향 통신 케이블(32a, 32b)이 차량(2)의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연장된다. 이들 통신 케이블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진행파 케이블이며, 갈바닉 연결을 형성하도록 디바이스(31)에 장착된다. 각각의 케이블(32a, 32b)은 차량(2)의 구조를 통과하여 장착 조립체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동 근방에 도달한다. 각각의 케이블은 디바이스(31)에서 시작하여 방사되는 신호 송신 부분을 갖는다.
실제로,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케이블(32a, 32b)은 차량(2)의 전방 및 후방 액슬에 각각 대응하는 장착 조립체를 수용하기 위한 2개의 공동 근방에 도달한다. 제1 공동(21a-1)에서, 케이블(32a)은 휠 아치 레벨에 위치되는 연속 부분(32a-1)을 가지며, 이는 전방 액슬 축 둘레의 120도 각도 섹터를 나타낸다. 통신 케이블(32a)의 이 부분(32a-1)은 공동(21a-1)에 수용되도록 장착 조립체의 무선 주파수 디바이스의 통신 구역에 위치된다. 따라서, 통신 케이블(32a)의 이 부분은 수용 공동(21a-1)에 존재하는 장착 조립체의 무선 주파수 디바이스와 통신할 것이다.
그러나, 동일한 케이블(32a)은 후방 액슬 레벨에서 차량(2)의 좌측에 위치된 제2 수용 공동(21a-2)을 향해 연장된다. 이 공동(21a-2)에서, 케이블(32a)은 공동(21a-2)에 수용되도록 장착 조립체의 무선 주파수 디바이스의 통신 구역에 위치된 연속 방사 제2 부분(32a-2)을 갖는다. 제2 연속 방사 부분(32a-2)은 90도 각도 섹터에 걸쳐 후방 액슬의 회전축 둘레로 각지게 연장된다. 여기서, 후방 액슬에 방향성이 없으므로, 조립체는 주행 단계 동안 각지게 거의 움직이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양방향 통신 케이블(32a)의 연속 및 방사 부분(32a-2) 사이의 무선 주파수 통신은, 예를 들어 코너링 시 장착 조립체의 각도 이동을 발생시키는 액슬이 방향성을 갖는 부분(32a-1)의 무선 주파수 통신과 비교하여 용이해진다. 이들 2개의 연속 및 방사 부분(32a-1과 32a-2)은 별개이며 서로만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견인 모드에서 상업용 차량의 경우와 같이 쌍륜 액슬의 경우, 공동(21a-2)에 가깝게 위치된 연속 부분(32a-2)은 차량(2)의 동일한 액슬 및 동일한 측면에 위치된 다양한 이중 장착 조립체와 통신 가능하게 된다.
유사하게, 차량(2)의 대칭성으로 인해, 통신 케이블(32b)은 각각 전방 및 후방 액슬에 각각 위치된 장착 조립체와 통신하는 2개의 별개의 연속 부분을 갖는 방사 부분을 포함한다. 양방향 통신 케이블(32a, 32b)의 전체 길이는 5 미터를 초과하지 않는다. 연속 방사 부분(32a-1, 32a-2, 32b-1, 32b-2)의 길이는 50 cm보다 크고, 승용차 타이어 케이싱 개발의 1/4에 대응한다. 이 길이는 920 MHz 또는 2.4 GHz의 UHF 무선 주파수 통신용 케이블 길이 단위를 초과한다.
도 4는 림에 장착된 팽창된 상태의 타이어 케이싱으로 형성된 장착 조립체에 의해 나타내는 이동 가능한 조립체(1)의 변형 가능한 부분(12)을 형성하는 타이어 케이싱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림은 이동 가능한 조립체의 변형 불가능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면은 타이어 케이싱의 비드(84)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도면은 카카스 플라이(87)에 대해 타이어 케이싱의 외부 구역에 있는 RFID 태그 유형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100)의 위치를 예시한다.
비드(84)는 카카스 플라이(87)가 권취되어 있는 비드 와이어(85)로 구성되고, 절첩된 부분(88)이 타이어 케이싱의 외부 구역에 위치된다. 카카스 플라이(87)의 절첩된 부분(88)은 자유 에지(881)로 종결된다. 비드 와이어 필러라고 명명되는 고무 질량체(91)는 비드 와이어(85)에 인접하여 반경방향 외부에 위치된다. 고무 질량체는 카카스 플라이(87)의 면에 지지되는 반경방향 외부 자유 에지(911)를 갖는다(보다 정확하게는 카카스 플라이의 외부 캘린더링에 지지되고, 카카스 플라이의 코드와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100) 사이에 직접 접촉음 없음). "보강 필러"라고 명명되는 제2 고무 질량체(92)가 고무 질량체에 인접해 있다. 제2 고무 질량체는 2개의 자유 에지를 갖는다. 제1 자유 에지(921)는 반경방향 내부에 위치되고 카카스 플라이의 절첩된 부분(88) 상에 지지된다. 다른 자유 에지(922)는 반경방향 외부에 위치되고 카카스 플라이(87)의 면에서 종결된다. 마지막으로, 측벽(83)은 보강 필러(92)와 카카스 플라이(87)를 모두 덮는다. 측벽은 반경방향 내부에 위치되고 카카스 플라이의 절첩된 부분(88)에서 종결되는 자유 에지(831)를 갖는다.
이 구성에서 카카스 플라이(87)에 인접한 기밀 내부 라이너(90)는 공압 타이어의 내부 구역에 위치된다. 내부 라이너는 카카스 플라이(87)에 인접한 자유 에지(901)로 종결된다. 마지막으로, 보호 비드(93)는 카카스 플라이(87) 및 기밀 내부 라이너(90), 보강 필러 고무(92) 및 측벽(83)의 반경방향 내부 단부(901, 921, 831)를 각각 보호한다. 이 보호 비드(93)의 외부면은 타이어 케이싱을 휠에 장착할 때 림 플랜지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이 보호 비드(93)는 2개의 반경방향 외부 자유 에지를 갖는다. 제1 자유 에지(931)는 타이어 케이싱(1)의 내부 구역에 위치된다. 제2 자유 에지(932)는 타이어 케이싱(1)의 외부 구역에 위치된다.
이 타이어 케이싱의 비드(84)에는 타이어 케이싱의 외부 구역에 위치되는 2개의 RFID 태그(100 및 100bis)가 장착되어 있다. 전기 절연 캡슐화 고무에 미리 캡슐화된 제1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100)는 비드 와이어 필러(91)의 외부면에 위치 설정된다.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는 기계적 특이점을 구성하는 카카스 플라이의 절첩된 부분(88)의 자유 에지(881)로부터 20 mm의 거리에 위치 설정된다. 이 위치는 기계적 내구성에 유리한 전자 디바이스(100)에 대한 기계적 안정성 구역을 보장한다. 또한, 기계적 케이싱의 구조 내에 내장하면 타이어 외부에서 오는 기계적 공격에 대해 우수한 보호를 제공한다.
측벽(83)의 재료와 양립 가능하거나 유사한 전기 절연 캡슐화 고무에 미리 캡슐화된 제2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100bis)는 측벽의 외부면에 위치 설정된다. 측벽(83)과 캡슐화 고무 사이의 재료 유사성은 경화 프로세스 동안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100bis)가 측벽(83)의 내부 및 주연부에 설치되는 것을 보장한다. RFID 태그(100bis)는 타이어 케이싱을 생산하는 동안 측벽(83)의 경화되지 않은 외부면에 간단히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경화 몰드 내 미가공체를 가압하면 RFID 태그(100bis)가 경화된 상태로 위치 설정되는 것이 보장된다. 이 RFID 트랜스폰더(100bis)는 타이어 케이싱의 고무 구성요소의 임의의 자유 에지로부터 멀리 위치된다. 특히, 이 트랜스폰더는 보호 비드의 자유 에지(932), 카카스 플라이의 자유 에지(881) 및 필러 고무의 자유 에지(911 및 922)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비드의 상부 부분에서의 그 위치는 외부 무선 주파수 판독기와의 개선된 통신 성능을 보장한다.

Claims (14)

  1. 다른 기계 시스템에 대한 운송 수단의 상대 이동을 보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조립체(1)가 장착된 운송 수단(2)이며, 이동 가능한 조립체는 변형 불가능한 조립체(11a, 11b)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102, 102a, 102b)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변형 가능한 부분(12)으로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조립체(1)의 자유 이동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조립체와 관련된 기준 프레임의 주로 2차원 평면에서 발생하며,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조립체(1)의 변형 가능한 부분(12)은 하나 이상의 회전축(102, 102a, 102b)에 직교하는 정중면(101)을 정의하고,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조립체(1), 바람직하게는 변형 가능한 부분(12)에는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 판독 시스템(3)을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100, 100bis)가 장착되며, 판독 시스템(3)은:
    - 초고주파 대역에 포함된 주파수(F0)로 방출하는 전기 신호의 발생기(31)로서, F0 근방의 주파수 대역에 맞게 조절된 전기 신호의 복조기(31)에 결합되고, 운송 수단에 장착되는, 전기 신호의 발생기;
    - 유전체 재료로 덮인 전도성 코어(314)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통신 케이블(32)을 포함하고, 그 자체가 전도성 조립체(316)로 덮여 있으며, 부분적으로 가요성이고, 일 단부(318)가 신호 발생기(31)에 갈바닉 연결되며, 그 길이(lo)는 단위가 주파수(F0)에 의해 정의되는 파장인 메트릭에 따라 분할되고;
    -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32)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조립체(1)의 외부에서 운송 수단(2)에 고정되고, 방사 부분(342)을 포함하는, 운송 수단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32)의 방사 부분(342)의 제1 연속 부분(32a-1, 32b-1)의 곡선 가로축은 적어도 케이블 길이의 1 단위보다 크고, 2개의 인접 회전축(11a, 11b) 사이에 위치되고 이들 2개의 회전축(11a, 11b)과 동일 선상에 있는 변형 가능한 부분(12)의 평면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32)의 방사 부분의 제1 연속 부분(32a-1, 32b-1)의 직교 투영(P)의 거리 및/또는 공전축이 적어도 하나의 변형 불가능한 조립체(11a, 11b)의 회전축(102, 102a, 102b)과 동축이고, 적어도 하나의 변형 불가능한 조립체(11a, 11b)와 접촉하는 변형 가능한 부분(12)을 둘러싸는, 원통(104)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제1 연속 부분(32a-1, 32b-1)의 반경방향 투영(R)의 거리는, 1 미터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미터 이하이고, 하나 이상의 회전축(102, 102a, 102b) 방향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조립체(1)의 변형 가능한 부분(12)의 정중면(101)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제1 연속 부분(32a-1, 32b-1)의 축방향 투영(A)의 거리는 2 미터 이하, 바람직하게는 1 미터 이하, 매우 바람직하게는 0.5 미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수단.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32)의 방사 부분은 제1 연속 부분(32a-1, 32b-1)과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연속 부분(32a-2, 32b-2)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2 연속 부분(32a-2, 32b-2)의 곡선 가로축은 적어도 케이블 길이의 1 단위보다 크고, 2개의 인접 회전축(102a, 102b) 사이에 위치되고 이들 2개의 회전축(102a, 102b)과 동일 선상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동 가능한 조립체(1)의 변형 가능한 부분(12)의 평면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연속 부분(32a-2, 32b-2)의 직교 투영(P)의 거리 및/또는 공전축이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동 가능한 조립체(1)의 변형 불가능한 조립체(11a, 11b)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102, 102a, 102b)과 동축이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동 가능한 조립체(1)의 변형 불가능한 조립체(11a, 11b)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는 변형 가능한 부분(12)을 둘러싸는, 원통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연속 부분(32a-2, 32b-2)의 반경방향 투영(R)의 거리는, 1 미터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미터 미만이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동 가능한 조립체(1)의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102, 102a, 102b) 방향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동 가능한 조립체(1)의 변형 가능한 부분(12)의 정중면(101)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연속 부분(32a-2, 32b-2)의 축방향 투영(A)의 거리는 2 미터 미만, 바람직하게는 1 미터 미만, 매우 바람직하게는 0.5 미터 미만인, 운송 수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32)은, 전도성 코어(314)에 연결되고 제2 유전체 재료로 덮인 전도체(324)가 자유 단부(322)에 장착되고, 그 자체는 전도체 조립체(316)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여 있으며, 그 커넥터(324)의 길이는 용량성 결합 성능을 위해 판독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에 맞게 조절되는, 운송 수단.
  4. 제3항에 있어서, 케이블(32)의 방사 부분(342)에서, 전도체 조립체(316)는 접지에 연결된 제2 전도체 조립체에 의해 덮이는, 운송 수단.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100, 100bis)의 무선 주파수 안테나는 제1 길이방향 축을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스트랜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32)의 방사 부분의 제1 연속 부분(32a-1, 32b-1)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연속 부분(32a-2, 32b-2)은 중앙선을 획정하며, 제1 길이방향 축 및 중앙선의 방향자 벡터에 의해 형성된 각도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조립체(1)에 의해 나타내진 폐쇄 경로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30도 미만, 바람직하게는 10도 미만인, 운송 수단.
  6. 제5항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는 RFID 태그(100, 100bis)인, 운송 수단.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운송 수단(2)은 궤도 육상 차량, 변형 가능 및 탄성 타이어를 갖는 육상 차량, 및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그룹에 포함되는, 운송 수단.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 가능한 조립체(1)의 변형 가능한 부분(12)은 변형 가능 및 탄성 타이어, 엘라스토머 혼합 컨베이어 벨트 및 엘라스토머 혼합 캐터필라 궤도를 포함하는 그룹에 포함되는, 운송 수단.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 가능한 조립체는 단일 회전축(102)을 중심으로 한 회전 이동을 나타내고,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연속 부분은 단일 회전축(102)에 대한 적어도 30도 초과, 바람직하게는 60도 초과, 매우 바람직하게는 120도 초과의 각도 섹터를 나타내는, 운송 수단.
  10. 제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연속 부분은 이동 가능한 조립체를 수용하는 운송 수단(2)의 공동(21a-1, 21a-2, 21b-1, 21b-2)을 획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에 고정되는, 운송 수단.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방사 부분의 제1 연속 부분(32a-1, 32B-1)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연속 부분(32a-2, 32b-2)은 이동 가능한 조립체의 단일 회전축(102)으로부터 일정한 반경방향 거리로 연장되는, 운송 수단.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100, 100bis)는 부반송파 주파수로 송신하는, 운송 수단.
  13. 제12항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의 부반송파 주파수는 5 미만의 전이 수, 바람직하게는 부반송파 주파수의 단위 기간에 걸쳐 단일 전이를 포함하는, 운송 수단.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트랜스폰더의 부반송파 주파수는 10 μs 미만, 바람직하게는 8 μs 미만의 단위 기간을 갖는, 운송 수단.
KR1020247002959A 2021-07-30 2022-07-25 운송 수단에 내장된 무선 주파수 판독 시스템 KR202400365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FR2108303 2021-07-30
FR2108303A FR3125765A1 (fr) 2021-07-30 2021-07-30 système de lecture radiofréquence embarqué sur un moyen de transport
PCT/FR2022/051481 WO2023007079A1 (fr) 2021-07-30 2022-07-25 Systeme de lecture radiofrequence embarque sur un moyen de transpo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6581A true KR20240036581A (ko) 2024-03-20

Family

ID=81328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2959A KR20240036581A (ko) 2021-07-30 2022-07-25 운송 수단에 내장된 무선 주파수 판독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240036581A (ko)
CN (1) CN117715770A (ko)
FR (1) FR3125765A1 (ko)
WO (1) WO202300707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18806A1 (de) * 1995-05-26 1996-11-28 Duerrwaechter E Dr Doduco Einrichtung an Fahrzeugen zum Überwachen des Luftdrucks in dessen Reifen
US6304172B1 (en) * 1998-11-27 2001-10-16 Pacific Industrial Co., Ltd. Receiver of tire inflation pressure monitor
AR060657A1 (es) * 2006-04-25 2008-07-02 Bridgestone Firestone North Am Articulo elastomerico con sistema micro y nano sensor inalambrico
DE102013016116A1 (de) 2013-09-26 2015-03-26 Dieter Kilian Antenne für Nahbereichsanwendungen sowie Verwendung einer derartigen Antenne
US11641053B2 (en) 2019-07-19 2023-05-0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Reader system for tire with an integrated RFID and TPMS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125765A1 (fr) 2023-02-03
WO2023007079A1 (fr) 2023-02-02
CN117715770A (zh) 2024-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323529B2 (en) Tyre comprising a passive transponder and method for reading the data
CN110072713B (zh) 配备有电子构件的充气轮胎
US6474380B1 (en) Pneumatic tire and monitoring device including dipole antenna
US8593357B2 (en) Tyre having a member with an offset antenna
CN110035912A (zh) 配备电子元件的适于漏气行驶的轮胎
CN110035914B (zh) 用于轮胎的射频通信模块
US6991013B2 (en) Tire with a receiving antenna
AU2009202461B2 (en) Non-attached tire monitoring device
CN111741858B (zh) 设置有射频通信模块的轮胎
CN112154059B (zh) 生产设置有射频通信模块的轮胎的方法
CN110770050B (zh) 设置有电子单元的适用于失压续跑的轮胎
CN114514533B (zh) 包括射频转发器的轮胎
CN114423627B (zh) 包括射频转发器的轮胎
KR20240036581A (ko) 운송 수단에 내장된 무선 주파수 판독 시스템
CN114829158A (zh) 包括射频转发器的轮胎
CN114829159B (zh) 具有射频转发器的轮胎
US20220339976A1 (en) Tire comprising a radiofrequency transponder
AU2011247846B2 (en) Non-attached tire monitoring device
JP5028773B2 (ja) 空気入りタイヤ及びタイヤ・ホイール組立体
WO2024083636A1 (fr) Systeme de lecture radiofrequence embarque sur un vehicule de trans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