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2440A - Bracket for inflator and curtain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racket for inflator and curtain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2440A
KR20240032440A KR1020220111414A KR20220111414A KR20240032440A KR 20240032440 A KR20240032440 A KR 20240032440A KR 1020220111414 A KR1020220111414 A KR 1020220111414A KR 20220111414 A KR20220111414 A KR 20220111414A KR 20240032440 A KR20240032440 A KR 20240032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tor
bracket
fixing protrusion
protrusion
curtain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14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명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1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2440A/en
Publication of KR20240032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244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1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specially adapted for elongated cylindrical or bottle-like inflators with a symmetry axis perpendicular to the main direction of bag deployment, e.g. extruded reaction cani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 비용,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개선된 인플레이터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플레이터용 브라켓은 커튼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인플레이터와 결합되며, 차체에 고정되는 브라켓 본체 및 브라켓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인플레이터를 둘러싸는 고정돌기 및 인플레이터가 고정돌기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고정돌기에 배치되어 인플레이터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inflator bracket to reduce parts cost, manufacturing cost, and manufacturing time, and to a curtain airbag device for a vehicle including the same.
The inflator bracket is combined with the inflator that deploys the curtain airbag, has a bracket body fixed to the vehicle body, a fix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from the bracket body and surrounds the inflator, and is arranged on the fixing protrusion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flator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rotrusion. Includes a stopper to secure the position.

Figure P1020220111414
Figure P1020220111414

Description

인플레이터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장치{BRACKET FOR INFLATOR AND CURTAIN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COMPRISING THE SAME}Bracket for inflator and curtain airbag device for vehicle including same {BRACKET FOR INFLATOR AND CURTAIN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플레이터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lator bracket and a curtain airbag device for a vehicle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사고 발생시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에어백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그 중에서 커튼 에어백 장치는 차체의 사이드패널에 장착되어서 차량의 전복 및 측면 충돌사고 발생시 에어백 쿠션이 아래로 펼쳐지면서 전개됨에 따라 승객을 보호하는 장치이다.Generally, vehicles are equipped with various types of airbag devices to protect passengers in the event of an accident. Among them, the curtain airbag device is mounted on the side panel of the vehicle body and protects passengers by deploying the airbag cushion downward in the event of a vehicle rollover or side collision.

이러한 커튼 에어백 장치는 통상 차체 필러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램프브라켓의 내부에 원형으로 말려진 형태의 폴딩된 커튼 에어백이 고정되고, 인플레이터에서 발생한 가스의 압력으로 폴딩된 커튼 에어백이 펼쳐지면서 전개될 때에 램프브라켓은 에어백쿠션의 전개방향을 가이드하여, 에어백쿠션과 차체 트림류의 간섭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In this curtain airbag device, a folded curtain airbag in a circular shape is fixed to the inside of a lamp bracket that is usually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r body pillar, and when the folded curtain airbag is unfolded and deployed by the pressure of the gas generated from the inflator, the lamp is activated. The bracket guides the direction of deployment of the airbag cushion and serves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airbag cushion and vehicle body trim.

이 때, 가스를 생성하는 인플레이터는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차체에 고정되는 브라켓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인플레이터용 브라켓은 별도의 고정부재를 통해 인플레이터를 인플레이터용 브라켓에 고정해야 하므로, 부품 비용 및 제조 비용이 상승하며, 제조 시간이 증가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At this time, the inflator that generates gas may be coupled to a bracket fixed to the vehicle body to prevent shaking. However, in the conventional inflator bracket, the inflator must be fixed to the inflator bracket through a separate fixing member, which increases component costs and manufacturing costs, and increases manufacturing time, thereby reducing productivity.

또한, 종래의 인플레이터용 브라켓은 인플레이터의 길이 방향을 움직임을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인플레이터의 작동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bracket for an inflator does not include a 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flato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perational stability of the inflator is not secu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부품 비용,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개선된 인플레이터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roved inflator bracket and a vehicle curtain airbag device including the same to reduce parts cost, manufacturing cost, and manufacturing time. It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인플레이터의 길이 방향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개선된 인플레이터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roved bracket for an inflator to control the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inflator and a curtain airbag device for a vehic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플레이터용 브라켓은 커튼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인플레이터와 결합되며, 차체에 고정되는 브라켓 본체; 및 상기 브라켓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인플레이터를 둘러싸는 고정돌기; 및 상기 인플레이터가 상기 고정돌기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돌기에 배치되어 상기 인플레이터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 를 포함한다.A bracket for an inf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n inflator that deploys a curtain airbag, and includes a bracket body fixed to the vehicle body; and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bracket body and surrounding the inflator. and a stopper disposed on the fixing protrusion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inflator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rotrusion to fix the position of the inflator. Includes.

상기 고정돌기의 내주면은 상기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고정돌기의 내주면의 직경은 상기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외주면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ing protrusion is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inflator, and the diameter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ing protrusion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inflator.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인플레이터의 본체 중 가스가 배출되는 배출부에 가깝게 배치되는 제1 고정돌기; 및 상기 인플레이터의 본체 중 연결부에 가깝게 배치되는 제2 고정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고정돌기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xing protrusion includes: a first fixing protrusion disposed close to an outlet portion of the body of the inflator through which gas is discharged; and a second fixing protrusion disposed close to a connection part of the main body of the inflator; It includes, and the stopper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고정돌기에서 상기 제1 고정돌기와 마주보지 않는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의 단부에서 밴딩된 형상을 가지도록 돌출되며, 상기 인플레이터의 본체에 접촉되는 제2 돌출부; 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pper includes: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side of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that does not face the first fixing protrusion;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end of the first protrusion to have a bent shape and contacting the main body of the inflator. may include.

상기 제1 돌출부의 내주면은 상기 제2 고정돌기의 내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튼 에어백 장치는 커튼 에어백; 상기 커튼 에어백에 결합되어 상기 커튼 에어백 내부에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 및 상기 인플레이터를 차체에 연결하는 인플레이터용 브라켓; 을 포함하고, 상기 인플레이터용 브라켓은, 상기 커튼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상기 인플레이터와 결합되며, 차체에 고정되는 브라켓 본체; 및 상기 브라켓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인플레이터를 둘러싸는 고정돌기; 및 상기 인플레이터가 상기 고정돌기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돌기에 배치되어 상기 인플레이터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 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curtain airba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rtain airbag; an inflator coupled to the curtain airbag to supply gas into the curtain airbag; and an inflator bracket connecting the inflator to the vehicle body. It includes a bracket for the inflator, a bracket body coupled to the inflator that deploys the curtain airbag and fixed to the vehicle body; and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bracket body and surrounding the inflator. and a stopper disposed on the fixing protrusion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inflator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rotrusion to fix the position of the inflator. may include.

상기 고정돌기의 내주면은 상기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고정돌기의 내주면의 직경은 상기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외주면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ing protrusion is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inflator, and the diameter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ing protrusion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inflator.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인플레이터의 본체 중 가스가 배출되는 배출부에 가깝게 배치되는 제1 고정돌기; 및 상기 인플레이터의 본체 중 연결부에 가깝게 배치되는 제2 고정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고정돌기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xing protrusion includes: a first fixing protrusion disposed close to an outlet portion of the body of the inflator through which gas is discharged; and a second fixing protrusion disposed close to a connection part of the main body of the inflator; It includes, and the stopper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고정돌기에서 상기 제1 고정돌기와 마주보지 않는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의 단부에서 밴딩된 형상을 가지도록 돌출되며, 상기 인플레이터의 본체에 접촉되는 제2 돌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고정돌기에 배치될 수 있다.The stopper includes: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side of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that does not face the first fixing protrusion;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end of the first protrusion to have a bent shape and contacting the main body of the inflator. It includes, and the stopper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상기 인플레이터의 본체에는 상기 커튼 에어백과 결합되지 않는 측 단부에 배치되며,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와 결합되는 연결부를 노출시키는 노출홀; 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돌출부의 단부는 상기 노출홀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In the body of the inflator, an exposed hole disposed at an end of a side that is not coupled to the curtain airbag and exposing a connection portion coupled to a connector that supplies power; is formed, and an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may be disposed outside the exposure hole.

상기 커튼 에어백과 상기 인플레이터용 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커튼 에어백과 상기 인플레이터의 결합 상태 및 상기 커튼 에어백과 상기 인플레이터용 브라켓의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결합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플레이터용 브라켓은 상기 인플레이터와 접촉되지 않는 면에 배치되어 상기 인플레이터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결합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a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curtain airbag and the inflator bracket, and maintaining the coupled state of the curtain airbag and the inflator and the coupled state of the curtain airbag and the inflator bracket; It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that is disposed on a surface that is not in contact with the inflator and prevents the coupling member from being separ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flat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돌기가 브라켓 본체에 일체로 마련되어 별도의 고정부재가 필요하지 않게 됨으로써, 별도의 고정부재를 마련하기 위한 부품 비용,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이 절감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rotrusion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bracket body, eliminating the need for a separate fixing member, thereby reducing the parts cost, manufacturing cost, and manufacturing time for providing a separate fixing memb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토퍼를 통해 인플레이터의 길이 방향 움직임에 제어됨으로써, 인플레이터의 작동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stability of the inflator can be ensured by controlling the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inflator through the stopp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튼 에어백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인플레이터가 인플레이터용 브라켓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인플레이터용 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인플레이터가 인플레이터용 브라켓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인플레이터용 브라켓의 이탈방지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rtain airba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flator is separated from the inflator bracket.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bracket for an inflator.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flator is coupled to the inflator bracket.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ure 4.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of the bracket for the inflator.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ject to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상기 두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one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or under” another component, (on or under) includes both components that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or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that are formed (indirectly) between the two components. Additionally, when expressed as 'on or under', it can include not only the upward direction but also the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인플레이터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inflator bracket and a vehicle curtain airbag device includ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regardless of the drawing number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ber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Do thi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튼 에어백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인플레이터가 인플레이터용 브라켓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인플레이터용 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인플레이터가 인플레이터용 브라켓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6은 인플레이터용 브라켓의 이탈방지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rtain airba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inflator separated from the inflator bracket, and FIG. 3 is a view showing the inflator bracket. , FIG. 4 is a view showing the inflator coupled to the inflator bracket,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4, and FIG. 6 is a view showing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of the inflator bracket.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튼 에어백 장치(100)는 커튼 에어백(120), 커튼 에어백(120)에 결합되어 커튼 에어백(120) 내부에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140), 인플레이터(140)를 차체에 연결하는 인플레이터용 브라켓(160), 커튼 에어백(120)의 일측을 홀딩하는 제1 램프브라켓(180a) 및 커튼 에어백(120)의 타측을 홀딩하는 제2 램프브라켓(180b)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to 6, the curtain airbag device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curtain airbag 120 and the curtain airbag 120 to supply gas inside the curtain airbag 120. The inflator 140, the inflator bracket 160 connecting the inflator 140 to the vehicle body, the first lamp bracket 180a holding one side of the curtain airbag 120, and the first lamp bracket 180a holding the other side of the curtain airbag 120. 2 May include a lamp bracket (180b).

커튼 에어백(120)은 차량(미도시)의 전방 도어(미도시)와 후방 도어(미도시)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튼 에어백(120)은 가스 주입부(121)와 전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urtain airbag 12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ont door (not shown) and the rear door (not shown) of the vehicle (not shown). The curtain airbag 120 may include a gas injection unit 121 and a deployment unit 122.

가스 주입부(121)는 인플레이터(140)의 후술할 배출부(142)와 연결될 수 있다. 가스 주입부(121)는 인플레이터(140)에서 생성되는 가스가 통과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가스 주입부(121)는 인플레이터(140)의 배출부(142)를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The gas injection unit 121 may 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unit 142 of the inflator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gas injection unit 121 may be used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gas generated by the inflator 140 passes. The gas injection part 121 may be provided in a form surrounding the discharge part 142 of the inflator 140.

전개부(122)는 가스 주입부(121)와 연결될 수 있다. 전개부(122)는 롤 형상의 말려진 형태로 폴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전개부(122)는 인플레이터(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전개부(122)는 가스 주입부(121)를 통과하는 가스에 의해 차량(미도시)의 전방 도어(미도시) 또는 후방 도어(미도시)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다. The deployment unit 122 may be connected to the gas injection unit 121. The deployment unit 122 may be provided folded into a rolled roll shape. The deployment unit 122 may be provided in a shape having a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flator 140. The deployment unit 122 may be deployed in a direction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front door (not shown) or rear door (not shown) of the vehicle (not shown) by the gas passing through the gas injection unit 121.

인플레이터(140)는 커튼 에어백(120)과 연결될 수 있다. 인플레이터(140)는 가스를 생성하는 물질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The inflator 140 may be connected to the curtain airbag 120. The inflator 140 may be provided with an empty interior to accommodate a substance that generates gas.

인플레이터(140)는 인플레이터 본체(141), 배출부(142), 노출홀(143) 및 연결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flator 140 may include an inflator body 141, a discharge part 142, an exposure hole 143, and a connection part 144.

인플레이터 본체(141)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인플레이터 본체(141)는 인플레이터용 브라켓(160)에 결합될 수 있다. 인플레이터 본체(141)의 내부에는 가스를 생성하기 위한 물질을 포함하는 생성유닛(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인플레이터 본체(141)는 인플레이터용 브라켓(160)의 후술할 제1 고정돌기(163a)에서 제2 고정돌기(163b)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인플레이터용 브라켓(160)에 결합될 수 있다. The inflator body 141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inflator body 141 may be coupled to the inflator bracket 160. A generating unit (not shown) containing a material for generating gas may be disposed inside the inflator body 141. The inflator body 141 may be coupled to the inflator bracket 160 by moving in a direction from the first fixing protrusion 163a,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ward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163b of the inflator bracket 160.

배출부(142)는 인플레이터 본체(141)의 일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출부(142)는 인플레이터 본체(141)의 내부에서 생성되는 가스가 인플레이터 본체(14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복수의 홀이 배치될 수 있다. 배출부(142)는 커튼 에어백(120)의 가스 주입부(121)와 연결될 수 있다. 배출부(142)를 통해 배출된 가스는 커튼 에어백(120)의 가스 주입부(121)를 통과하여 전개부(122)의 내부에 이동될 수 있다. The discharge unit 142 may be disposed at one end of the inflator body 141. The discharge unit 142 may have a plurality of holes arranged so that gas generated inside the inflator body 141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inflator body 141. The discharge unit 142 may be connected to the gas injection unit 121 of the curtain airbag 120. The ga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142 may pass through the gas injection unit 121 of the curtain airbag 120 and move inside the deployment unit 122.

노출홀(143)은 인플레이터 본체(141)에서 배출부(142)가 배치된 단부, 즉, 커튼 에어백(120)과 결합되지 않는 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노출홀(143)은 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노출홀(143)은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미도시)와 결합되는 연결부(144)를 노출시킬 수 있다. The exposed hole 143 may be disposed at an end of the inflator body 141 where the discharge portion 142 is disposed, that is, at an end on a side that is not coupled to the curtain airbag 120. The exposure hole 143 may be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exposure hole 143 may expose the connection portion 144 that is coupled to a connector (not shown) that supplies power.

연결부(144)는 노출홀(143)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연결부(144)는 노출홀(14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144)는 외부 장치(예: 전원 공급 장치)의 커넥터(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44)는 외부 장치의 커넥터(미도시)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인플레이터(140)의 내부의 수용된 가스를 생성하는 생성유닛(미도시)을 작동시키는 신호를 생성유닛(미도시)에 전달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portion 144 may be exposed through the exposure hole 143. The connection portion 144 may be disposed inside the exposure hole 143. The connection unit 144 may be connected to a connector (not shown) of an external device (eg, a power supply). The connection unit 144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a connector (not shown) of an external device and sends a signal to the generating unit (not shown) to operate a generating unit (not shown) that generates the gas contained inside the inflator 140. It can be delivered.

인플레이터용 브라켓(160)은 브라켓 본체(161), 연결프레임(162), 고정돌기(163), 스토퍼(164) 및 이탈방지돌기(16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flator bracket 160 may include a bracket body 161, a connection frame 162, a fixing protrusion 163, a stopper 164, and a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165.

브라켓 본체(161)는 커튼 에어백(120)을 전개시키는 인플레이터(140)와 결합되며, 차체(미도시)에 고정될 수 있다. 브라켓 본체(161)의 내주면은 인플레이터 본체(141)의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브라켓 본체(161)의 일단부에는 이탈방지돌기(165)가 배치되며, 타단부에는 제1 램프브라켓(180a)과 결합되는 결합부가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는 브라켓 본체(161)의 타단부로부터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되며, 일부분이 밴딩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bracket body 161 is coupled to the inflator 140 that deploys the curtain airbag 120, and may be fixed to the vehicle body (not show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racket body 161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flator main body 141. A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165 may be disposed on one end of the bracket body 161, and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lamp bracket 180a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end. The coupling portion is provided in a shape that protrudes from the other end of the bracket body 161, and a portion of it may be provided in a bent shape.

브라켓 본체(161)는 결합부재(F)를 통해 커튼 에어백(120)에 고정될 수 있다. 결합부재(F)는 브라켓 본체(161)와 커튼 에어백(120)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재(F)는 클램프 또는 케이블 타이 등의 물체를 조일 수 있는 장치 또는 유닛일 수 있다. 결합부재(F)를 통해 커튼 에어백(120)과 인플레이터(140)의 결합 상태 및 커튼 에어백(120)과 인플레이터용 브라켓(16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The bracket body 161 may be fixed to the curtain airbag 120 through a coupling member (F). The coupling member (F)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bracket body 161 and the curtain airbag 120. The coupling member (F) may be a device or unit that can tighten an object, such as a clamp or cable tie. Through the coupling member F, the coupled state of the curtain airbag 120 and the inflator 140 and the coupled state of the curtain airbag 120 and the inflator bracket 160 can be maintained stably.

연결프레임(162)은 브라켓 본체(161)의 일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162)은 고정돌기(163) 중 후술할 제1 고정돌기(163a)와 이탈방지돌기(16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162)에는 제1 결합홀과 제2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frame 162 may be disposed on a portion of the bracket body 161. The connection frame 16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xing protrusion 163a,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165 among the fixing protrusions 163. A first coupling hole and a second coupling hole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on frame 162.

제1 결합홀에는 푸쉬핀(P)의 일부분이 통과될 수 있다. 제1 결합홀을 통과한 푸쉬핀(P)은 가결합 형식으로 차체에 결합될 수 있다. 푸쉬핀(P)은 브라켓 본체(161)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제1 결합홀을 통과하여 연결프레임(162)과 차체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결합홀에는 볼트(미도시)가 통과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push pin (P) may pass through the first coupling hole. The push pin (P)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coupling hole may be coupled to the vehicle body in a temporary coupling format. The push pin (P) can connect the connection frame 162 and the car body by passing through the first coupling hole to fix the position of the bracket body 161. A bolt (not shown) may pass through the second coupling hole.

푸쉬핀(P)이 제1 결합홀을 통과하여 연결프레임(162)과 차체가 연결된 상태에서 볼트(미도시)가 제1 결합홀을 통과하여 연결프레임(162)이 차체에 고정되면, 브라켓 본체(161)가 차체가 결합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가결합 형식으로 결합된 푸쉬핀(P)은 볼트(미도시)와 함께 연결프레임(162)을 차체에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When the push pin (P) passes through the first coupling hole and the connecting frame 162 is connected to the car body, a bolt (not shown) passes through the first coupling hole and the connecting frame 162 is fixed to the car body, the bracket body (161) The position where the car body is coupled can be fixed. At this time, the push pin (P) coupled in a temporary coupling type may serve to secure the connection frame 162 to the vehicle body together with a bolt (not shown).

고정돌기(163)는 브라켓 본체(161)로부터 돌출되어 인플레이터(140)를 둘러쌀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고정돌기(163)는 브라켓 본체(161)의 외면과 내면을 연결하는 연결면으로부터 브라켓 본체(161)의 외면에서 내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돌기(163)는 브라켓 본체(161)와 함께 하나의 내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고정돌기(163)는 브라켓 본체(161)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The fixing protrusion 163 may protrude from the bracket body 161 and surround the inflator 140. More specifically, the fixing protrusion 163 may protrude from the connecting surface connecting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racket body 161 in a direction from the outer surfac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racket body 161. The fixing protrusion 163 may form one inner peripheral surface together with the bracket body 161. The fixing protrusion 163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bracket body 161.

고정돌기(163)의 내주면은 인플레이터 본체(141)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인플레이터 본체(141)가 고정돌기(163)에 결합될 경우, 고정돌기(163)가 인플레이터(140)를 안정적으로 홀딩할 수 있다.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ing protrusion 163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flator body 141. Therefore, when the inflator body 141 is coupled to the fixing protrusion 163, the fixing protrusion 163 can stably hold the inflator 140.

또한, 고정돌기(163)의 내주면의 직경은 인플레이터 본체(141)의 외주면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인플레이터 본체(141)가 고정돌기(163)에 결합될 경우, 인플레이터 본체(141)가 억지끼움 형식으로 고정돌기(163)에 끼워지게 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돌기(163)는 강한 고정력으로 인플레이터 본체(141)를 고정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iameter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ing protrusion 163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flator body 141. Accordingly, when the inflator body 141 is coupled to the fixing protrusion 163, the inflator main body 141 may be fitted into the fixing protrusion 163 in an interference fit format. Therefore, the fixing protrusion 163 can fix the inflator body 141 with strong fixing force.

고정돌기(163)는 제1 고정돌기(163a) 및 제2 고정돌기(16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돌기(163a)와 제2 고정돌기(163b)는 각각 일측이 절개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고정돌기(163a)와 제2 고정돌기(163b)의 내면은 브라켓 본체(161)의 내주면의 곡률값에 대응되는 곡률값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fixing protrusion 163 may include a first fixing protrusion 163a and a second fixing protrusion 163b. The first fixing protrusion 163a and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163b may each be provided in a shape with one side cut out.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fixing protrusions 163a and the second fixing protrusions 163b may be formed to have a curvature valu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valu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racket body 161.

제1 고정돌기(163a)는 인플레이터 본체(141)가 고정돌기(163)에 결합되면, 인플레이터 본체(141) 중 배출부(142)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고정돌기(163b)는 인플레이터 본체(141)가 고정돌기(163)에 결합되면, 인플레이터 본체(141) 중 연결부(144)에 가깝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고정돌기(163b)는 브라켓 본체(16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고정돌기(163a)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fixing protrusion 163a may be disposed close to the discharge portion 142 of the inflator main body 141 when the inflator main body 141 is coupled to the fixing protrusion 163.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163b may be disposed close to the connection portion 144 of the inflator main body 141 when the inflator main body 141 is coupled to the fixing protrusion 163.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163b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ixing protrusion 163a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acket body 161.

스토퍼(164)는 인플레이터(140)가 고정돌기(163)에 삽입되는 방향(제1 고정돌기(163a)에서 제2 고정돌기(163b)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고정돌기(163)에 배치되어 인플레이터(14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스토퍼(164)는 제2 고정돌기(163b)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topper 164 is disposed on the fixing protrusion 163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flator 14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rotrusion 163 (the direction from the first fixing protrusion 163a to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163b) to secure the inflator. The position of (140) can be fixed. In more detail, the stopper 164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163b.

스토퍼(164)는 제1 돌출부(164a) 및 제2 돌출부(164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opper 164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164a and a second protrusion 164b.

제1 돌출부(164a)는 제2 고정돌기(163b) 중 제1 고정돌기(163a)와 마주보지 않는 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64a)는 브라켓 본체(16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고정돌기(163b)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돌출부(164a)는 제2 고정돌기(163b)의 단부에 수직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돌출부(164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 본체(141)의 단부에 접촉되어 인플레이터 본체(141)의 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The first protrusion 164a may protrude from a side of the second fixing protrusions 163b that does not face the first fixing protrusion 163a. The first protrusion 164a may have a shape that protrudes from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163b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acket body 161. The first protrusion 164a may have a shape that protrud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nd of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163b,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shown in FIG. 4, the first protrusion 164a may contact the end of the inflator body 141 and support the end of the inflator body 141.

제1 돌출부(164a)는 제2 고정돌기(163b)의 내면의 곡률값에 대응되는 곡률값을 가지는 내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돌출부(164a)를 통해 인플레이터(140)가 인플레이터용 브라켓(160)에 지지되는 지지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The first protrusion 164a may have an inner surface having a curvature valu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valu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163b. Accordingly, the support stability of the inflator 140 supported by the inflator bracket 160 through the first protrusion 164a can be improved.

제2 돌출부(164b)는 제1 돌출부(164a)의 단부에서 밴딩된 형상을 가지도록 돌출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2 돌출부(164b)는 제1 돌출부(164a)의 단부에서 제2 고정돌기(163b)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돌출부(164b)는 인플레이터 본체(141)에서 노출홀(143)이 배치되는 면에 접촉될 수 있다. The second protrusion 164b may protrude from an end of the first protrusion 164a to have a bent shape.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protrusion 164b may protrude from the end of the first protrusion 164a in a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163b. The second protrusion 164b may contact the surface of the inflator body 141 where the exposure hole 143 is locate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돌출부(164b)의 단부는 노출홀(143)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돌출부(164b)의 단부의 형상은 노출홀(143)의 테두리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장치의 커넥터(미도시)가 인플레이터(140)의 연결부(144)에 결합될 때, 제2 돌출부(164b)가 커넥터(미도시)와 접촉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됨으로써, 인플레이터(140)의 연결부(144)와 외부 장치의 커넥터(미도시) 간의 안정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164b may be disposed outside the exposure hole 143. Additionally, the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164b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dge shape of the exposure hole 143. Accordingly, when the connector (not shown) of the external device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ion 144 of the inflator 140, the second protrusion 164b is prevented from contacting the connector (not shown), thereby preventing the inflator 140 A stable connection can be made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144 of and the connector (not shown) of the external device.

이탈방지돌기(165)는 브라켓 본체(161) 중 인플레이터 본체(141)와 접촉되지 않는 면, 즉, 브라켓 본체(161)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탈방지돌기(165)는 브라켓 본체(161)의 길이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탈방지돌기(165)는 브라켓 본체(161) 중 제2 고정돌기(163b)가 배치된 측의 단부와 반대되는 측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165 may be disposed on a surface of the bracket body 161 that is not in contact with the inflator body 141, that i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racket body 161.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165 may be provided in a shape having a length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acket body 161.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165 may be disposed at an end of the bracket body 161 opposite to the end of the bracket body 161 on which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163b is dispos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돌기(165)는 브라켓 본체(161)의 외면에서 브라켓 본체(161)의 내면에서 외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탈방지돌기(165)는 인플레이터용 브라켓(160)과 커튼 에어백(120)을 홀딩하는 결합부재(F)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이탈방지돌기(165)는 인플레이터(140)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부재(F)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탈방지돌기(165)를 통해 커튼 에어백(120)과 인플레이터(140)의 결합 상태 및 커튼 에어백(120)과 인플레이터용 브라켓(16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165 may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racket body 161 in a direction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racket body 161 toward the outer surface. Accordingly,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165 can prevent the coupling member F holding the inflator bracket 160 and the curtain airbag 120 from being separated. More specifically,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165 can prevent the coupling member (F) from being separ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flator 140. Therefore, the coupled state of the curtain airbag 120 and the inflator 140 and the coupled state of the curtain airbag 120 and the inflator bracket 160 can be stably maintained through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165.

제1 램프브라켓(180a)과 제2 램프브라켓(180b)은 커튼 에어백(120)의 롤 형상의 전개부(122)를 고정할 수 있다. 제1 램프브라켓(180a)과 제2 램프브라켓(180b)은 일측이 개방된 형상의 사각 바(Bar)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램프브라켓(180a)과 제2 램프브라켓(180b)은 커튼 에어백(120)의 전개부(122)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램프브라켓(180a)과 제2 램프브라켓(180b)은 커튼 에어백(120)의 전개부(122)가 전개될 경우, 전개부(122)의 전개방향을 가이드하여 커튼 에어백(120)과 차체 트림류(미도시)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램프브라켓(180a)과 제2 램프브라켓(180b)은 볼트(미도시)를 통해 차체(미도시)에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lamp bracket 180a and the second lamp bracket 180b can fix the roll-shaped deployment portion 122 of the curtain airbag 120. The first lamp bracket 180a and the second lamp bracket 180b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square bar with one side open. The first lamp bracket 180a and the second lamp bracket 180b may be provided with an empty interior so as to accommodate the deployment portion 122 of the curtain airbag 120. Therefore, when the deployment portion 122 of the curtain airbag 120 is deployed, the first lamp bracket 180a and the second lamp bracket 180b guide the deployment direction of the deployment portion 122 to support the curtain airbag 120 and the vehicle body. Interference from trims (not shown) can be prevented. The first lamp bracket 180a and the second lamp bracket 180b may be fixed to the vehicle body (not shown) through bolts (not shown).

제1 램프브라켓(180a)과 제2 램프브라켓(180b)의 내부에 커튼 에어백(120)의 전개부(122)가 수용된 상태에서 스트랩(S)을 통해 커튼 에어백(120)의 전개부(122)가 제1 램프브라켓(180a)과 제2 램프브라켓(180b)의 내부에서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스트랩(S)은 제1 램프브라켓(180a)과 제2 램프브라켓(180b)을 둘러쌀 수 있다. 스트랩(S)은 내구성이 약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스트랩(S)은 커튼 에어백(120)의 전개부(122)가 전개되는 힘에 의해 파단될 수 있다. With the deployment portion 122 of the curtain airbag 120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lamp bracket 180a and the second lamp bracket 180b, the deployment portion 122 of the curtain airbag 120 is secured through the strap S. Separation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lamp bracket (180a) and the second lamp bracket (180b) can be prevented. The strap (S) may surround the first lamp bracket (180a) and the second lamp bracket (180b). The strap S may be made of a material with low durability. Accordingly, the strap S may be broken by the force with which the deployment portion 122 of the curtain airbag 120 is deploy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튼 에어백 장치(100)는 인플레이터용 브라켓(160)에 배치되는 고정돌기(163)가 브라켓 본체(161)에 일체로 마련됨으로써, 인플레이터(140)를 브라켓 본체(161)에 고정시키는 별도의 고정부재를 체결하는 공정을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커튼 에어백 장치(100)의 제조 공정이 간소화되어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제조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In the vehicle curtain airba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rotrusion 163 disposed on the inflator bracket 160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bracket body 161, thereby attaching the inflator 140 to the bracket body ( 161), the process of fastening a separate fixing member can be deleted. Accordingly,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urtain airbag device 100 for a vehicle can be simplified,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and shortening manufacturing tim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튼 에어백 장치(100)는 스토퍼(164)가 제2 고정돌기(163b)에 배치됨으로써, 인플레이터(140)가 브라켓 본체(161)에 배치되는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 본체(161)의 길이 방향으로 인플레이터(140)가 브라켓 본체(161)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됨으로써, 인플레이터(140)의 작동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urtain airbag device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pper 164 is disposed on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163b, so that the position at which the inflator 140 is placed on the bracket body 161 is fixed. It can be. Accordingly, by preventing the inflator 14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racket body 16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acket body 161, the operational safety of the inflator 140 can be improv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정과 변경에 관계된 차이점들을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change it. And, the differences related to these modifications and change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0: 차량용 커튼 에어백 장치 120: 커튼 에어백
121: 가스 주입부 122: 전개부
140: 인플레이터 141: 인플레이터 본체
142: 배출부 143: 노출홀
144: 연결부 160: 인플레이터용 브라켓
161: 브라켓 본체 162: 연결프레임
163: 고정돌기 163a: 제1 고정돌기
163b: 제2 고정돌기 164: 스토퍼
164a: 제1 돌출부 164b: 제2 돌출부
165: 이탈방지돌기 180a: 제1 램프브라켓
180b: 제2 램프브라켓 F: 결합부재
P: 푸쉬핀 S: 스트랩
100: Curtain airbag device for vehicle 120: Curtain airbag
121: gas injection part 122: development part
140: Inflator 141: Inflator body
142: discharge unit 143: exposure hole
144: Connection 160: Bracket for inflator
161: Bracket body 162: Connection frame
163: fixing protrusion 163a: first fixing protrusion
163b: Second fixing protrusion 164: Stopper
164a: first protrusion 164b: second protrusion
165: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180a: First lamp bracket
180b: Second lamp bracket F: Coupling member
P: Push pin S: Strap

Claims (11)

커튼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인플레이터와 결합되며, 차체에 고정되는 브라켓 본체; 및
상기 브라켓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인플레이터를 둘러싸는 고정돌기; 및
상기 인플레이터가 상기 고정돌기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돌기에 배치되어 상기 인플레이터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 를 포함하는 인플레이터용 브라켓.
A bracket body that is coupled to the inflator that deploys the curtain airbag and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and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bracket body and surrounding the inflator; and
A stopper disposed on the fixing protrusion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inflator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rotrusion to fix the position of the inflator; Bracket for inflator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의 내주면은 상기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고정돌기의 내주면의 직경은 상기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외주면 직경보다 작은, 인플레이터용 브라켓.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ing protrusion is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inflator,
A bracket for an inflator, wherein the diameter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ing protrusion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infla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인플레이터의 본체 중 가스가 배출되는 배출부에 가깝게 배치되는 제1 고정돌기; 및
상기 인플레이터의 본체 중 연결부에 가깝게 배치되는 제2 고정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고정돌기에 배치되는, 인플레이터용 브라켓.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fixing protrusions are,
a first fixing protrusion disposed close to an outlet portion of the body of the inflator through which gas is discharged; and
a second fixing protrusion disposed close to a connection portion of the main body of the inflator; Including,
A bracket for an inflator, wherein the stopper is disposed on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고정돌기에서 상기 제1 고정돌기와 마주보지 않는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의 단부에서 밴딩된 형상을 가지도록 돌출되며, 상기 인플레이터의 본체에 접촉되는 제2 돌출부; 를 포함하는 인플레이터용 브라켓.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stopper is,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side of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that does not face the first fixing protrusion;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end of the first protrusion to have a bent shape and contacting the main body of the inflator; Bracket for inflator includ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의 내주면은 상기 제2 고정돌기의 내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인플레이터용 브라켓.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is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커튼 에어백;
상기 커튼 에어백에 결합되어 상기 커튼 에어백 내부에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 및
상기 인플레이터를 차체에 연결하는 인플레이터용 브라켓; 을 포함하고,
상기 인플레이터용 브라켓은,
상기 커튼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상기 인플레이터와 결합되며, 차체에 고정되는 브라켓 본체; 및
상기 브라켓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인플레이터를 둘러싸는 고정돌기; 및
상기 인플레이터가 상기 고정돌기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돌기에 배치되어 상기 인플레이터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 를 포함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장치.
curtain airbags;
an inflator coupled to the curtain airbag to supply gas into the curtain airbag; and
An inflator bracket connecting the inflator to the vehicle body; Including,
The bracket for the inflator is,
a bracket body coupled to the inflator that deploys the curtain airbag and fixed to the vehicle body; and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bracket body and surrounding the inflator; and
A stopper disposed on the fixing protrusion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inflator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rotrusion to fix the position of the inflator; A curtain airbag device for a vehicle includ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의 내주면은 상기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고정돌기의 내주면의 직경은 상기 인플레이터의 본체의 외주면 직경보다 작은, 차량용 커튼 에어백 장치.
According to clause 6,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ing protrusion is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inflator,
A curtain airbag device for a vehicle, wherein the diameter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ing protrusion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inflato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인플레이터의 본체 중 가스가 배출되는 배출부에 가깝게 배치되는 제1 고정돌기; 및
상기 인플레이터의 본체 중 연결부에 가깝게 배치되는 제2 고정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고정돌기에 배치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장치.
In clause 7,
The fixing protrusions are,
a first fixing protrusion disposed close to an outlet portion of the body of the inflator through which gas is discharged; and
a second fixing protrusion disposed close to a connection portion of the main body of the inflator; Including,
The stopper is disposed on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a curtain airbag device for a vehic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고정돌기에서 상기 제1 고정돌기와 마주보지 않는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의 단부에서 밴딩된 형상을 가지도록 돌출되며, 상기 인플레이터의 본체에 접촉되는 제2 돌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고정돌기에 배치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The stopper is,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side of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that does not face the first fixing protrusion;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end of the first protrusion to have a bent shape and contacting the main body of the inflator; Including,
The stopper is disposed on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a curtain airbag device for a vehic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의 본체에는 상기 커튼 에어백과 결합되지 않는 측 단부에 배치되며,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와 결합되는 연결부를 노출시키는 노출홀; 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돌출부의 단부는 상기 노출홀의 외측에 배치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장치.
According to clause 9,
An exposed hole disposed in the main body of the inflator at an end of the side that is not coupled to the curtain airbag and exposing a connection portion coupled to a connector that supplies power; is formed,
An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is disposed outside the exposure ho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 에어백과 상기 인플레이터용 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커튼 에어백과 상기 인플레이터의 결합 상태 및 상기 커튼 에어백과 상기 인플레이터용 브라켓의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결합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플레이터용 브라켓은 상기 인플레이터와 접촉되지 않는 면에 배치되어 상기 인플레이터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결합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커튼 에어백 장치.
According to clause 6,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curtain airbag and the inflator bracket, and maintaining the coupled state of the curtain airbag and the inflator and the coupled state of the curtain airbag and the inflator bracket; It further includes,
The inflator bracket is disposed on a surface not in contact with the inflator and includes a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that prevents the coupling member from being separ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flator.
KR1020220111414A 2022-09-02 2022-09-02 Bracket for inflator and curtain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comprising the same KR2024003244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414A KR20240032440A (en) 2022-09-02 2022-09-02 Bracket for inflator and curtain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414A KR20240032440A (en) 2022-09-02 2022-09-02 Bracket for inflator and curtain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2440A true KR20240032440A (en) 2024-03-12

Family

ID=90299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414A KR20240032440A (en) 2022-09-02 2022-09-02 Bracket for inflator and curtain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244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7697B2 (en) Air bag device for knee protection
US11214215B2 (en) Side airbag apparatus
US8465049B2 (en) Airbag and airbag device
EP3705351A1 (en) Side airbag device
JP5495367B2 (en) Side airbag unit for vehicles
EP2495136A1 (en) Airbag device
EP3357765A1 (en) Side airbag device
US8585084B1 (en) Belt integrated airbag
KR20220100036A (en) side airbag device
EP3521109A1 (en) Side airbag apparatus
US11590918B2 (en) Side airbag device
US20060202451A1 (en) Curtain airbag device
KR20140012284A (en) Mounting apparatus for curtatin airbag
JP2004161141A (en) Airbag cover mounting structure
EP3363689B1 (en) Side airbag device
KR20240032440A (en) Bracket for inflator and curtain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comprising the same
JP2023014147A (en) Vehicular seat
KR20210136959A (en) Side airbag device
KR20230015720A (en) Tether clip and pillar connection structure provided with the same
KR20210144907A (en) side airbag device
US20090091104A1 (en) Airbag module mounting structure for passenger seat of car
JP2004098894A (en) Knee protective airbag device
KR101482221B1 (en) Mounting structure of curtain air bag
KR20240057826A (en) Side airbag device
KR100745636B1 (en) A holder for side airbag of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