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7826A - Side airbag device - Google Patents

Side airba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7826A
KR20240057826A KR1020220138512A KR20220138512A KR20240057826A KR 20240057826 A KR20240057826 A KR 20240057826A KR 1020220138512 A KR1020220138512 A KR 1020220138512A KR 20220138512 A KR20220138512 A KR 20220138512A KR 20240057826 A KR20240057826 A KR 20240057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seatback
rail hole
body portion
seatback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85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창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8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7826A/en
Publication of KR20240057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782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60R2021/23146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seat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시트백 내에 구비되는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되며,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 후단부 하측영역에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는 마운트를 구비하여 상기 인플레이터와 연결되는 쿠션; 및 상기 쿠션의 후단부 상측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측면에 제공되는 레일홀에 연결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쿠션은 상기 가스를 공급받아는 팽창되며 상기 시트백의 측면에서 차량의 전방으로 전개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부재를 통해 상기 레일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레일홀을 따라서 상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 side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lator that is installed on a seatback frame provided in a seatback and generates gas; a cushion connected to the inflator by having a mount installed on a side of the seatback frame in the lower area of the rear end; and a guide member provided in the upper area of the rear end of the cushion and connected to a rail hole provided on a side of the seatback frame. The cushion is expanded when supplied with the gas and may be configured to move upward along the rail hole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rail hole through the guide member in the process of being deployed from the side of the seatback to the front of the vehicle.

Description

사이드 에어백 장치{SIDE AIRBAG DEVICE}Side airbag device {SIDE AIRBAG DEVICE}

본 발명은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석과 동승석 사이에 배치되는 센터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de airba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center side airbag device disposed between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충돌사고 발생 시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에어백 장치가 마련되며, 그 중에서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측면 충돌이 발생한 방향에 전개되어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구성된다.In general, vehicles are equipped with various types of airbag devices to protect occupants in the event of a collision. Among them, the side airbag device is configured to be deploy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ide collision occurred to protect the occupants.

사이드 에어백 장치 중 센터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쿠션이 차량의 센터콘솔이 위치하는 실내측을 향하도록 장착되며, 쿠션은 운전석 탑승자와 동승석 탑승자 사이로 전개되며, 측면 충돌의 반동으로 차량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탑승자의 이동을 제한하여 머리 및 흉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Among the side airbag devices, the center side airbag device is installed with the cushion facing the interior where the vehicle's center console is located. The cushion is deployed between the driver's seat occupant and the passenger seat occupant, and the occupant moves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due to the recoil of a side collision. It serves to protect the head and chest by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body.

그러나, 실제 충돌상황에서 동승석에 탑승자가 없는 경우에는 자체적인 지지력이 없어 운전석 탑승자의 이동을 구속하지 못하고 탑승자의 횡방향 거동에 따라 무너지는 경우가 발생하여 탑승자 보호의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an actual collision situation, when there is no occupant in the passenger seat, the vehicle has no support force of its own, so it cannot restrain the movement of the driver's seat occupant, and sometimes collapses due to the occupant's lateral movement, resulting in a problem of not being effective in protecting the occupants. there is.

또한, 쿠션의 하단영역이 시트백에 고정된 상태에서 쿠션의 전개력을 제어하게 되어 쿠션의 상단영역에서 시트백과의 간격이 벌어짐에 따라 유동성이 커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동승석 탑승자가 있더라도 운전석 탑승자와 동승석 탑승자가 동일 선상에 정렬되지 못하면 쿠션에 지지력을 제공하지 못하여 쿠션이 회전하면서 위치가 자유롭게 변하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 결과 탑승자간의 충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deployment force of the cushion is controlled while the lower area of the cushion is fixed to the seat back, which causes the problem of increased fluidity as the gap between the upper area of the cushion and the seat back increases, and even if there is a passenger in the passenger seat, the driver's seat occupant and If the seat occupants are not aligned on the same line, support cannot be provided to the cushion, causing the cushion to rotate and freely change its position, resulting in a problem of collision between occupants.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시트백에서 쿠션의 전개 시 쿠션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de airbag device that allows the cushion to be stably supported when the cushion is deployed in the seatback.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시트백 내에 구비되는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되며,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 후단부 하측영역에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는 마운트를 구비하여 상기 인플레이터와 연결되는 쿠션; 및 상기 쿠션의 후단부 상측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측면에 제공되는 레일홀에 연결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은 상기 가스를 공급받아는 팽창되며 상기 시트백의 측면에서 차량의 전방으로 전개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부재를 통해 상기 레일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레일홀을 따라서 상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 side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lator that is installed on a seatback frame provided in a seatback and generates gas; a cushion connected to the inflator by having a mount installed on a side of the seatback frame in the lower area of the rear end; and a guide member provided in the upper area of the rear end of the cushion and connected to a rail hole provided on a side of the seatback frame, wherein the cushion is inflated when supplied with the gas and is inflated at the side of the seatback at the front of the vehicle. It may be configured to move upward along the rail hole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rail hole through the guide member in the process of unfolding.

상기 레일홀은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측면을 따라 상하로 길게 연장된 슬릿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쿠션의 상기 시트백과 마주하는 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레일홀에 끼워지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ail hole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lit extending vertically along the side of the seatback frame, and the guide member includes a body portion that protrudes from the surface of the cushion facing the seatback and is inserted into the rail hole, and the body portion. It may include a locking portion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tip.

상기 걸림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거나, 상기 몸체부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locking portion may extend from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or may extend in opposite directions from opposite sides of the body portion.

상기 시트백 프레임은 상기 레일홀의 상단에서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상기 몸체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구비하며, 상기 레일홀을 따라서 상부로 이동한 상기 몸체부가 상기 수용홈 내로 인입됨에 따라 상기 몸체부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eatback frame is bent downwardly from the top of the rail hole toward the front or rear of the seatback frame and has a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body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moving upward along the rail hole is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groove. Accordingly, it may be configured to constrain the movement of the body portion.

상기 쿠션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연장되는 내부 비팽창부 및 전단부 상측영역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외부 비팽창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ushion may include an internal non-expandable portion extending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external non-expandable portion protruding forward from the upper area of the front end.

상기 쿠션은 상기 외부 비팽창부와 상기 내부 비팽창부를 연결하는 테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ushion may further include a tether connecting the external non-expandable part and the internal non-expandable part.

상기 외부 비팽창부와 상기 내부 비팽창부는 각각 상기 테더가 삽입되는 테더홀을 구비할 수 있다.The external non-expandable part and the internal non-expandable part may each have a tether hole into which the tether is inserted.

상기 인플레이터와 함께 상기 쿠션을 롤폴딩 상태로 내부에 수납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cover for storing the cushion inside in a roll-folded state along with the inflat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시트백 내에 구비되며, 측면에 상하로 연장되는 레일홀을 구비하는 시트백 프레임;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며,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 후단부 하측영역에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는 마운트를 구비하여 상기 인플레이터와 연결되는 쿠션; 및 상기 쿠션의 후단부 상측영역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홀에 연결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은 상기 가스를 공급받아는 팽창되며 상기 시트백의 측면에서 차량의 전방으로 전개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부재를 통해 상기 레일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레일홀을 따라서 상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 side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back frame provided in a seatback and having rail holes extending vertically on the side; an inflator installed on a side of the seatback frame and generating gas; a cushion connected to the inflator by having a mount installed on a side of the seatback frame in the lower area of the rear end; and a guide member provided in the upper area of the rear end of the cushion and connected to the rail hole, wherein the cushion is inflated when supplied with the gas and is deployed from the side of the seatback to the front of the vehicle. It may be configured to move upward along the rail hole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rail hole through a guide memb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백에서 쿠션의 전개 시 쿠션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de airbag device can be provided that allows the cushion to be stably supported when deployed in a seatback.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서 인플레이터와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쿠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서 쿠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a는 쿠션과 인플레이터가 커버 내에 수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도 4a에서 I-I선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가이드부재가 레일홀에 연결된 상태로 이동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a 및 도 6b는 가이드부재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이 시트백에서 전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도 7의 정면도.
도 9는 레일홀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9의 레일홀에 가이드부재가 연결된 상태로 이동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ide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ushion including an inflator and a guide member in a side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ushion in Figure 2.
Figure 4a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cushion and an inflator are stored in a cover.
FIG. 4B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along line II in FIG. 4A.
Figure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guide member moving while connected to the rail hole.
6A and 6B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guide member.
Figure 7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cushion is deployed on a seatback in a side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ront view of Figure 7.
Figure 9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rail hole.
FIG. 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guide member moving while connected to the rail hole of FIG. 9.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ject to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상기 두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one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or under” another component, (on or under) includes both components that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or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that are formed (indirectly) between the two components. Additionally, when expressed as 'on or under', it can include not only the upward direction but also the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but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서 인플레이터와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쿠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쿠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a는 쿠션과 인플레이터가 커버 내에 수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는 도 4a에서 I-I선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가이드부재가 레일홀에 연결된 상태로 이동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a 및 도 6b는 가이드부재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ide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ushion including an inflator and a guide member in the side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ushion in FIG. 2, FIG. 4a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ushion and inflator stored in the cover, FIG. 4b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along line I-I in FIG. 4a, and FIG.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guide member moving while connected to a rail hole, and FIGS. 6A and 6B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guide member.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에어백 장치(1)는 인플레이터(10), 쿠션(20), 가이드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이드 에어백 장치(1)는 커버(40) 및 레일홀(51)을 구비하는 시트백 프레임(5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ide airba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flator 10, a cushion 20, and a guide member 30.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ide airbag device 1 may include a seatback frame 50 including a cover 40 and a rail hole 51.

인플레이터(10)와 쿠션(20)은 차량의 시트백(S) 내에 구비되는 시트백 프레임(50)의 일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시트백(S)은 운전석의 시트백일 수 있으며, 시트백 프레임(50)의 측면은 동승석을 향하는 면일 수 있다.The inflator 10 and cushion 20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atback frame 50 provided in the seatback (S) of the vehicle. In an embodiment, the seatback S may be the seatback of the driver's seat, and the side of the seatback frame 50 may be the side facing the passenger seat.

시트백 프레임(50)은 측면에 상하로 연장되는 레일홀(51)을 구비할 수 있다. The seatback frame 50 may be provided with a rail hole 51 extending vertically on the side.

이러한 레일홀(51)은 시트백 프레임(50)의 측면을 따라 상하로 길게 연장된 슬릿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These rail holes 5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slits extending vertically along the side of the seatback frame 50.

레일홀(51)은 인플레이터(10)와 쿠션(20)이 설치되는 위치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rail hole 51 may be located above the location where the inflator 10 and cushion 20 are installed.

인플레이터(10)는 시트백 프레임(50)의 측면에 설치되며, 미도시된 에어백 제어기(ACU)에서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inflator 10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eatback frame 50 and can generate gas accor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an airbag controller (ACU), not shown.

인플레이터(10)는 환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가스 발생제와 점화장치 등이 내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인플레이터(10)는 일단부에 가스를 토출하는 토출구(11)를 구비하는 실린더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inflator 10 may be formed in a round bar shape, and a gas generator and an ignition device may be installed inside. In an embodiment, the inflator 10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utlet 11 at one end discharging gas.

인플레이터(10)에는 한 쌍의 고정볼트(12)가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인플레이터(10)는 고정볼트(12)를 통해서 시트백 프레임(50)에 고정될 수 있다.The inflator 10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fixing bolts 12 protruding, and the inflator 10 may be fixed to the seatback frame 50 through the fixing bolts 12.

쿠션(20)은 인플레이터(10)와 함께 시트백 프레임(50)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The cushion 20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eatback frame 50 together with the inflator 10.

쿠션(20)은 인플레이터(10)에서 토출된 가스에 의해 팽창되면서 시트백(S)의 측면으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전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쿠션(20)은 운전석과 동승석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운전석의 탑승자와 동승석의 탑승자 상호간의 충격을 흡수하여 탑승자들을 보호할 수 있다.The cushion 20 may expand from the side of the seatback S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while being expanded by the gas discharged from the inflator 10. Accordingly, the cushion 20 is disposed between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to protect the occupants by absorbing shock between the driver's seat occupant and the passenger seat occupant.

쿠션(20)은 후단부 하측영역에 시트백 프레임(50)의 측면에 설치되는 마운트(21)를 구비하여 인플레이터(1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쿠션(20)은 후단부 상측영역에 추후 설명하는 가이드부재(40)를 구비할 수 있다.The cushion 20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inflator 10 by having a mount 21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eatback frame 50 in the lower area of the rear end. In addition, the cushion 20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member 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upper area of the rear end.

쿠션(20)은 마운트(21)를 통해서 시트백 프레임(50)에 고정될 수 있다.The cushion 20 may be fixed to the seatback frame 50 through the mount 21.

실시예에서, 마운트(21)에는 인플레이터(10)의 고정볼트(12)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조립홀(21a)이 구비되어 인플레이터(10)가 체결될 수 있으며, 인플레이터(10)는 쿠션(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mount 21 is provided with an assembly hole 21a through which the fixing bolt 12 of the inflator 10 is inserted so that the inflator 10 can be fastened, and the inflator 10 is connected to the cushion 20. ) can be placed within.

마운트(21)의 위치에 따라 인플레이터(10)는 쿠션(20)의 하측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mount 21, the inflator 10 may be located in the lower area of the cushion 20.

도 3에서와 같이, 쿠션(20)은 운전석을 향하는 제1 패널(22)과 동승석을 향하는 제2 패널(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널(22)과 제2 패널(23)은 유연성을 갖는 직물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s shown in FIG. 3 , the cushion 20 may include a first panel 22 facing the driver's seat and a second panel 23 facing the passenger seat. The first panel 22 and the second panel 23 may be made of a flexible fabric material,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쿠션(20)은 중앙의 접힘라인(L)을 기준으로 제1 패널(22)과 제2 패널(23)이 좌우 대칭을 이루며 연결된 단일 패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접힘라인(L)을 따라서 접혀져 제1 패널(22)과 제2 패널(23)이 포개진 상태에서, 제1 패널(22)의 테두리와 제2 패널(23)의 테두리를 봉제함을 통해서 쿠션(20)을 형성할 수 있다.This cushion 20 may have a single panel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panel 22 and the second panel 23 are symmetrically connect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fold line L. Then, in a state where the first panel 22 and the second panel 23 are folded along the fold line L and overlapped, the edge of the first panel 22 and the edge of the second panel 23 are sewn. Through it, the cushion 20 can be formed.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패널(22)과 제2 패널(23)이 일체로 연결된 단일 패널 구조로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anel 22 and the second panel 23 are provided as a single panel structure integrally connec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쿠션(20)은 상호 별개로 재단되어 분리된 상태로 제공되는 제1 패널(22)과 제2 패널(23)이 포개진 상태에서 맞대어진 제1 패널(22)의 테두리와 제2 패널(23)의 테두리를 봉제하여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cushion 20 is formed by separately cutting the first panel 22 and the second panel 23, which are provided in a separated state, and overlap the edge of the first panel 22 and the second panel 23. 2 It may be formed by sewing the edge of the panel 23.

쿠션(20)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연장되는 내부 비팽창부(24)를 구비할 수 있다. 내부 비팽창부(24)는 가스에 의해 팽창하지 않는 부위에 해당하며, 쿠션(20)의 대략 중앙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The cushion 20 may be provided with an internal non-expandable portion 24 extending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internal non-expandable portion 24 corresponds to a portion that is not expanded by gas and may be located approximately in the central area of the cushion 20.

내부 비팽창부(24)는 상호 맞대어진 제1 패널(22)과 제2 패널(23)이 일체로 봉제되어 형성됨으로써 쿠션(20)의 팽창두께를 제한할 수 있다. The internal non-expandable portion 24 can limit the expansion thickness of the cushion 20 by being formed by sewing the first panel 22 and the second panel 23 butted against each other.

또한, 쿠션(20)은 전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외부 비팽창부(25)를 구비할 수 있다. 외부 비팽창부(25)는 쿠션(20)의 상측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ushion 20 may be provided with an external non-expandable portion 25 that protrudes forward from the front end. The external non-expandable portion 25 may be located in the upper area of the cushion 20.

실시예에서, 쿠션(20)은 외부 비팽창부(25)와 내부 비팽창부(24)를 연결하는 테더(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 비팽창부(24)와 외부 비팽창부(25)에는 각각 테더(26)가 삽입되는 테더홀(24a, 25a)이 구비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ushion 20 may include a tether 26 connecting the outer non-expandable portion 25 and the inner non-expandable portion 24. In this case, the inner non-expandable portion 24 and the outer non-expandable portion 25 may be provided with tether holes 24a and 25a into which the tether 26 is inserted, respectively.

테더(26)는 전개된 쿠션(20)의 상측팽창부를 감싸서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쿠션(20)에 탑승자가 로딩될 때 쿠션(20)이 회전하는 현상이 감소되어 탑승자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구속할 수 있게 된다.The tether 26 is configured to surround and support the upper expansion portion of the deployed cushion 20. Accordingly, the rotation of the cushion 20 is reduced when a rider is loaded onto the cushion 20, thereby stably holding the rider's head. can be redeemed.

도 4에서와 같이, 쿠션(20)은 돌돌 말려서 타이트하게 폴딩될 수 있으며, 롤폴딩된 상태로 인플레이터(10)와 함께 커버(40)에 감싸여서 수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cushion 20 can be rolled up and folded tightly, and can be wrapped and stored in the cover 40 together with the inflator 10 in the rolled-folded state.

커버(40)는 쿠션(20)이 롤폴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외부 환경으로부터 쿠션(20)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40)는 쿠션(20)의 팽창력에 의해 찢어지거나 분리되어 쿠션(20)이 전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ver 40 maintains the cushion 20 in a rolled-folded state and can protect the cushion 20 from damage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Additionally, the cover 40 may be torn or separated by the expansion force of the cushion 20 so that the cushion 20 can be deployed.

한편, 가이드부재(30)는 쿠션(20)의 후단부 상측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guide member 30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area of the rear end of the cushion 20.

가이드부재(30)는 쿠션(20)에서 돌출되어 시트백 프레임(50)의 측면에 제공되는 레일홀(51)에 연결되며, 레일홀(51)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guide member 30 protrudes from the cushion 20 and is connected to the rail hole 51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eatback frame 50, and may be configured to move along the rail hole 51.

가이드부재(30)는 몸체부(31)와 걸림부(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member 30 may include a body portion 31 and a locking portion 32.

몸체부(31)는 쿠션(20)의 시트백(S)과 마주하는 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즉, 몸체부(31)는 쿠션(20)의 제1 패널(22)에 고정되어 시트백(S)을 향해 돌출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The body portion 31 may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cushion 20 facing the seat back (S). That is, the body portion 31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is fixed to the first panel 22 of the cushion 20 and protrudes toward the seat back (S).

몸체부(31)는 레일홀(51)의 간극에 대응하는 단면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레일홀(51)에 끼워져 연결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31 may have a cross-sectional size corresponding to the gap between the rail holes 51 and may be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rail holes 51.

몸체부(31)는 레일홀(51)을 따라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레일홀(51)과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마찰을 감소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몸체부(31)는 단면형상이 원형인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body portion 31 may have a structure that reduces friction by minimizing contact with the rail hole 51 while moving along the rail hole 51. In an embodiment, the body portion 31 may have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걸림부(32)는 몸체부(31)의 돌출된 선단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locking portion 32 may extend laterally from the protruding end of the body portion 31.

걸림부(32)는 몸체부(31)의 단면크기와 대응되는 폭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몸체부(31)가 레일홀(51)에 삽입될 때 레일홀(51)을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locking portion 32 may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body portion 31, and accordingly may be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rail hole 51 when the body portion 31 is inserted into the rail hole 51. You can.

도면에서와 같이, 걸림부(32)는 한 쌍의 부재로 제공되어 몸체부(31)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물론, 걸림부(32)는 단일부재로 제공되어 몸체부(31)의 일측에서 연장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locking portion 32 may be provided as a pair of members and extend in opposite directions on opposite sides of the body portion 31. Of course, the locking portion 32 may be provided as a single member and extend from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31.

도 5에서와 같이, 이러한 걸림부(32)는 레일홀(51)과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로 몸체부(31)가 레일홀(51)에 삽입됨에 따라 레일홀(51)을 통과하여 시트백 프레임(50)의 내측에 놓이고, 이후 몸체부(31)를 회전시켜 걸림부(32)가 레일홀(51)과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됨으로써 몸체부(31)가 레일홀(51)에서 빠져나가지 못하게 구속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ure 5, this locking portion 32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rail hole 51, and as the body portion 31 is inserted into the rail hole 51, it passes through the rail hole 51 and is connected to the seatback frame. It is placed on the inside of (50), and then the body portion 31 is rotated so that the locking portion 32 is placed perpendicular to the rail hole 51 to prevent the body portion 31 from escaping from the rail hole 51. can be redeemed.

도 6에서는 가이드부재(30)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Figure 6 schematically shows a modified example of the guide member 30.

도 6에서와 같이, 걸림부(32)는 몸체부(31)와 분리된 별개의 부재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걸림부(32)는 몸체부(31)의 선단에 제공되는 관통홀(31a)에 끼움결함되는 핀 형태의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locking portion 32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member from the body portion 31. In an embodiment, the locking portion 32 may be provided in a pin-shaped structure that fits into the through hole 31a provided at the tip of the body portion 31.

이처럼 가이드부재(30)는 레일홀(51)에 연결된 몸체부(31)가 걸림부(32)에 의해 레일홀(51)에서 빠져나가지 못하게 구속된 상태로 레일홀(51)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In this way, the guide member 30 moves along the rail hole 51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portion 31 connected to the rail hole 51 is restrained from escaping from the rail hole 51 by the catching portion 32. .

도 7 및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이 시트백에서 전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Figures 7 and 8 schematically show a state in which the cushion is deployed on the seatback in the side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와 같이, 쿠션(20)은 가스를 공급받아는 팽창되며 시트백(S)의 측면에서 차량의 전방으로 전개되는 과정에서 가이드부재(30)를 통해 레일홀(51)에 연결된 상태로 레일홀(51)을 따라서 시트백(S)의 상부로 이동하며 전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ushion 20 is expanded when supplied with gas and is connected to the rail hole 51 through the guide member 30 in the process of being deployed from the side of the seat back (S) to the front of the vehicle. It may be configured to move to the upper part of the seatback (S) and unfold along (51).

따라서, 쿠션(20)은 후단부 하측영역과 상측영역이 모두 시트백 프레임(50)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쿠션(20)의 유동성이 최소화되어 쿠션(20)이 강건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탑승자간 충돌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cushion 20 maintains a state in which both the lower and upper rear areas are bound to the seat back frame 50, so the fluidity of the cushion 20 is minimized so that the cushion 20 can be firmly supported. Collisions between passengers can be prevented.

도 9 및 도 10에서는 레일홀(51)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9 and 10 schematically show a modified example of the rail hole 51.

도면을 참조하면, 시트백 프레임(50)은 레일홀(51)의 상단에서 시트백 프레임(5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는 수용홈(52)을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eatback frame 50 may be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52 that is inclined downwardly and bent toward the front or rear of the seatback frame 50 at the top of the rail hole 51.

수용홈(52)은 몸체부(31)를 수용하는 부분으로, 레일홀(51)의 상단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레일홀(51)을 따라서 상부로 이동한 몸체부(31)가 수용홈(52) 내로 인입됨에 따라 몸체부(31)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receiving groove 52 is a part that accommodates the body portion 31, and may be formed by being inclined downward from the top of the rail hole 51. In addition, as the body portion 31 moves upward along the rail hole 51 is drawn into the receiving groove 52, the movement of the body portion 31 may be restricted.

즉, 가이드부재(30)는 몸체부(31)가 레일홀(51)을 따라서 상부로 이동한 후 수용홈(52) 내에 인입되어 걸림고정됨에 따라 레일홀(51)의 하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되게 된다. That is, the guide member 30 is restrained from moving to the lower part of the rail hole 51 as the body part 31 moves upward along the rail hole 51 and is then drawn into and locked in the receiving groove 52. It will happen.

이에 따라 쿠션(20)은 하단영역이 시트백 프레임(5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단영역이 시트백 프레임(50)과 연결상태를 유지하며 그 측면을 따라서 상부로 이동하게 되어 쿠션(20)의 쿠션의 최종 전개 형상과 위치가 신뢰성있게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ushion 20 maintains the upper area connected to the seat back frame 50 while the lower area is fixed to the seat back frame 50 and moves upward along the side, thereby causing the cushion 20 to move upward. The final deployment shape and position can be implemented reliably.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1)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전개된 쿠션의 상단영역이 시트백과 벌어져 그 사이에 발생하는 이격공간에 의해 운전석 탑승자와 동승석 탑승자가 상호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ide airba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rea of the cushion deployed as in the prior art is spread apart from the seatback to prevent the driver's seat occupant and the passenger seat occupant from colliding with each other due to the space created between them. This allows for more effective protection of occupants.

또한, 쿠션(20)의 하단영역의 두 개의 고정 포인트로만 전개를 제어하던 종래의 구조와 달리 본 발명에서는 상단영역에 고정 포인트를 추가함으로써 쿠션(20)의 지지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unlike the conventional structure in which the deployment of the cushion 20 was controlled only by two fixing points in the lower area,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mprove the support force of the cushion 20 by adding a fixing point in the upper area.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정과 변경에 관계된 차이점들을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change it. And, the differences related to these modifications and change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 사이드 에어백 장치 10: 인플레이터
11: 토출구 12: 고정볼트
20: 쿠션 21: 마운트
21a: 조립홀 22: 제1 패널
23: 제2 패널 24: 내부 비팽창부
25: 외부 비팽창부 26: 테더
30: 가이드부재 31: 몸체부
32: 걸림부 40: 커버
50: 시트백 프레임 51: 레일홀
52: 수용홈
1: Side airbag device 10: Inflator
11: outlet 12: fixing bolt
20: Cushion 21: Mount
21a: assembly hall 22: first panel
23: second panel 24: internal non-expandable portion
25: external non-expandable portion 26: tether
30: Guide member 31: Body portion
32: Hook 40: Cover
50: Seatback frame 51: Rail hole
52: Acceptance home

Claims (9)

시트백 내에 구비되는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되며,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
후단부 하측영역에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는 마운트를 구비하여 상기 인플레이터와 연결되는 쿠션; 및
상기 쿠션의 후단부 상측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측면에 제공되는 레일홀에 연결되는 가이드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은 상기 가스를 공급받아는 팽창되며 상기 시트백의 측면에서 차량의 전방으로 전개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부재를 통해 상기 레일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레일홀을 따라서 상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An inflator installed on the seatback frame provided within the seatback and generating gas;
a cushion connected to the inflator by having a mount installed on a side of the seatback frame in the lower area of the rear end; and
a guide member provided in the upper area of the rear end of the cushion and connected to a rail hole provided on a side of the seatback frame;
Including,
The cushion is inflated when supplied with the gas, and in the process of being deployed from the side of the seatback to the front of the vehicle, the cushion is connected to the rail hole through the guide member and is configured to move upward along the rail hol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홀은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측면을 따라 상하로 길게 연장된 슬릿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쿠션의 상기 시트백과 마주하는 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레일홀에 끼워지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rail hole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lit extending vertically along the side of the seatback frame,
The guide member is a side airbag device including a body portion that protrudes from a surface of the cushion facing the seatback and is inserted into the rail hole, and a locking portion that extends laterally from a tip of the body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거나, 상기 몸체부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A side airbag device wherein the locking portion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or extends in opposite directions from opposite sides of the body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프레임은 상기 레일홀의 상단에서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상기 몸체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구비하며, 상기 레일홀을 따라서 상부로 이동한 상기 몸체부가 상기 수용홈 내로 인입됨에 따라 상기 몸체부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구성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seatback frame is bent downwardly from the top of the rail hole toward the front or rear of the seatback frame and has a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body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moving upward along the rail hole is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groove. A side airbag device configured to restrict movement of the body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연장되는 내부 비팽창부 및 전단부 상측영역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외부 비팽창부를 포함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ushion is a side airbag device including an internal non-inflatable part extending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external non-inflatable part protruding forward from the upper area of the front en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은 상기 외부 비팽창부와 상기 내부 비팽창부를 연결하는 테더를 더 포함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cushion further includes a tether connecting the external non-inflatable part and the internal non-inflatable par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비팽창부와 상기 내부 비팽창부는 각각 상기 테더가 삽입되는 테더홀을 구비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According to clause 6,
A side airbag device wherein the external non-expandable portion and the internal non-expandable portion each have a tether hole into which the tether is inser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와 함께 상기 쿠션을 롤폴딩 상태로 내부에 수납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side airba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over that stores the cushion inside in a roll-folded state along with the inflator.
시트백 내에 구비되며, 측면에 상하로 연장되는 레일홀을 구비하는 시트백 프레임;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며,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
후단부 하측영역에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는 마운트를 구비하여 상기 인플레이터와 연결되는 쿠션; 및
상기 쿠션의 후단부 상측영역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홀에 연결되는 가이드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은 상기 가스를 공급받아는 팽창되며 상기 시트백의 측면에서 차량의 전방으로 전개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부재를 통해 상기 레일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레일홀을 따라서 상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A seatback frame provided within the seatback and having rail holes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on the side;
an inflator installed on a side of the seatback frame and generating gas;
a cushion connected to the inflator by having a mount installed on a side of the seatback frame in the lower area of the rear end; and
a guide member provided in the upper area of the rear end of the cushion and connected to the rail hole;
Including,
The cushion is inflated when supplied with the gas, and in the process of being deployed from the side of the seatback to the front of the vehicle, the cushion is connected to the rail hole through the guide member and is configured to move upward along the rail hole. .
KR1020220138512A 2022-10-25 2022-10-25 Side airbag device KR2024005782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512A KR20240057826A (en) 2022-10-25 2022-10-25 Side airba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512A KR20240057826A (en) 2022-10-25 2022-10-25 Side airba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7826A true KR20240057826A (en) 2024-05-03

Family

ID=91077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8512A KR20240057826A (en) 2022-10-25 2022-10-25 Side airba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782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1387B1 (en) Far side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JP6131935B2 (en) Far-side airbag device for vehicles
JP6428666B2 (en) Vehicle seat with side airbag device
JP5595154B2 (en) Curtain airbag
JP6614047B2 (en) Side airbag device
KR102476217B1 (en) air bag device
KR101916007B1 (en) Far-side airbag
US9783149B2 (en) Side airbag device
US11214215B2 (en) Side airbag apparatus
US11155231B2 (en) Curtain airbag device for vehicle
KR102373395B1 (en) side airbag device
JP2009190678A (en) Airbag device for side collision
JP6918049B2 (en) Airbag device
KR20220100036A (en) side airbag device
CN108025696B (en) Side airbag device
KR102460804B1 (en) Airba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airbag device
KR20220038158A (en) Retention cover for airbag and airbag device for vehicle
JP5990156B2 (en) Curtain airbag device
JP2010235043A (en) Airbag device
JP5202192B2 (en) Knee airbag device
JP2023014147A (en) Vehicular seat
KR20240057826A (en) Side airbag device
KR20210136959A (en) Side airbag device
JP2015147528A (en) Gas guide of vehicular airbag and airbag device
JP5948296B2 (en) Curtain airba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