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2378A - 맞춤형 가발에서 부분가발의 위치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맞춤형 가발에서 부분가발의 위치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2378A
KR20240032378A KR1020220111283A KR20220111283A KR20240032378A KR 20240032378 A KR20240032378 A KR 20240032378A KR 1020220111283 A KR1020220111283 A KR 1020220111283A KR 20220111283 A KR20220111283 A KR 20220111283A KR 20240032378 A KR20240032378 A KR 20240032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g
support
partial
hair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1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로헤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로헤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로헤어
Priority to KR1020220111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2378A/ko
Publication of KR20240032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23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06Toupées covering a bald portion of the head
    • A41G5/0013Fastening thereof
    • A41G5/0026Fastening thereof by mechanical fasteners, e.g. clasps, buttons, comb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 A41G3/0058Bases for wigs made of a frame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맞춤형 가발에서 부분가발의 위치 조절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탈모진행 중인 머리에 씌우는 메인베이스망과, 상기 메인베이스망 표면으로 설치되는 모발과, 상기 메인베이스망 내면 하단에 설치되어 두피에 점착되는 점착부재가 구비된 전체가발; 상기 전체가발의 표면에 결합되어 부분 탈모를 은폐시키는 부분가발; 상기 부분가발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베이스망에 결합되는 위치를 선택적으로 이동 조절되게 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다.

Description

맞춤형 가발에서 부분가발의 위치 조절장치{Positioning devices for partial wigs from custom wigs}
본 발명은 가발에 관한 것으로서, 탈모부분에 가발을 착용 상태에서 계속 진행되는 탈모부분에 부분가발을 표나지 않게 연결 및 결합시켜 자연스러운 모습을 표출시키는 맞춤형 가발에서 부분가발의 위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발은 유전에 의한 선천적 원인 또는 병이나 사고에 의한 후천적 원인으로 발생하는 탈모증 또는 대머리를 가리기 위해 머리털이나 이와 유사한 것으로 머리모양을 만들어 사용되는 덧머리를 말하며, 탈모형태와 착용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통상적으로 가발은 앞 이마, 정수리, 뒷머리 등 특정한 탈모부위를 덮거나 장식하기 위한 부분가발과, 머리의 전체부분을 감싸도록 제작되는 전체 가발로 구분되는데, 이들은 모두가 공통적으로 착용한 상태에서 스스로 벗지 않으면 벗겨지지 않는 고정력이 제공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전체 가발의 경우 착용시 머리피부에 들러붙어 벗어지지 않게 하는 고정수단이 내피에 구비되어 있는 반면, 부분 가발의 경우 전체가발의 표면에 연결 또는 결합되므로 내면에 핀 또는 머리핀 등과 같은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전체가발의 경우 내피에 구비된 고정수단에 의해 두피 둘레에 점착상태로 고정력이 유지되지만, 보조가발의 경우 전체 가발의 표면에 구비된 인조모발을 포함한 모발의 틈새에 머리핀과 같은 고정수단이 걸려 부분탈모형태가 보이지 않게 은폐시키지만 머리핀에 의한 고정력이 약해서 불안정하며, 밀착이 용이하지 않아 타인들에게 보조가발의 덧붙인 상태를 알게 되고 확인 되는 상태가 되므로 착용자의 만족감이 매우 낮았던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맞춤형 가발에서 부분 가발의 위치 조절장치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특허 10-2415067호(이하 선 발명 이라 한다)로 제안된 바 있다.
선 발명은 남성의 초기탈모 이후, 이마에 모발이 없는 경우에 사용되는 가발이며, 탄력적으로 늘어나는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착용시 수영모처럼 가발의 내부에 손을 넣어 늘리면서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것이며, 탈모가 진행된 두상 전면 전체에 덮어질 수 있도록, 이마에서 정수리까지의 두상 전면부에 대응 위치되며, 가발 모(H2)가 식모되기 위한 평면 베이스인 전면 프레임(10); 상기 전면 프레임(10)의 하단부 양측이 상호간 연결되도록 수평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두상을 감싸며 가발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가발모(H2)가 식모되어 있는 테두리 프레임(20); 상기 전면 프레임(10)의 사용자의 정수리 부분측에서, 사용자 머리 양측 후방을 향해 복수개가 수직하향분기되며 테두리 프레임(20)까지 각각 연장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양측에 제 1공간(A1)과 남성의 후두부에 제 2공간(A2)의 빈공간을 각각 형성하여, 탈모가 진행되지 않은 착용자 자연모(H1)가 제 1, 2공간(A1, A2)에 각각 위치되도록 하고, 가발모(H2)가 식모되어 있는 양측 프레임(3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면 프레임(10)은 두상 전면부를 덮는 범위가, 이마에서부터 정수리까지 덮는 제 1표준모델(M1), 이마에서부터 제 1표준모델(M1)보다 적은 부위를 덮는 제 2표준모델(M2), 이마에서부터 정수리를 지나 제 1표준모델(M1)보다 두상의 더 많은 부위를 덮는 제 3표준모델(M3)이, 각각 크기별로 사전 제작되어, 사용자가 자신의 탈모진행 형태에 맞춰 가발모델을 선택후, 수영모처럼 늘려서 착용해본 후 선택이 가능토록 하며, 가발을 수영모처럼 늘린후 사용자의 머리면에 밀착시켜 착용으로써, 착용된 가발이 착용자의 정수리 측으로 말려 올라가지 않고 고정되어, 별도의 가발 붙힘수단 이나 고정수단 없이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두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가발은 붙힘수단 으로서, 상기 전면 프레임(10), 테두리 프레임(20), 양측 프레임(30)이 사용자의 두상에 밀착되면서, 사용자의 머리에 가발이 부착고정되는 붙힘수단으로 사용되며, 상기 가발은 연질의 폴리우레탄 60중량%와 경질의 폴리우레탄 40중량%로 배합된 폴리우레탄으로 제작되는 구성을 이루었다.
그러나, 선발명은 탈모가 진행 부분은 가발로 가릴 수는 있으나, 탈모가 더 진행되는 진행된 탈모부분을 가릴 수 없어 새로운 가발을 맞추어 착용하였는데, 새롭게 맞추어야 하는 경제적 비용의 부담과 관리의 불편함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KR등록특허 10-2415067호(2022.06.27.등록)
본 발명은 탈모를 가리기 위해 착용하는 전체가발에 대하여 더 진행된 탈모부위에 대하여 부분가발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립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가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더 진행되는 탈모부분을 부분가발로 선택적으로 가릴 때, 선택된 위치에서 조립위치를 미세하게 위치조절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맞춤형 가발에서 부분가발의 위치 조절장치는 탈모진행 중인 머리에 씌우는 메인베이스망과, 상기 메인베이스망 표면으로 설치되는 모발과, 상기 메인베이스망 내면 하단에 설치되어 두피에 점착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전체가발; 상기 전체가발의 표면에 결합되어 부분 탈모를 은폐시키는 부분가발; 상기 부분가발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베이스망에 결합되는 위치를 선택적으로 이동 조절되게 하는 조절부재; 를 포함하는 구성을 제공함에 의하여 본 발명의 목적이 충분히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전체가발의 메인베이스망은, 탄력 신장 수축되는 소재로 머리에 씌워져 탈모부위를 은폐되게 하는 캡체로 형성하되, 상기 캡체는 헤드와 테두리 사이에 두피의 통풍공간과 모발 및 인조모발이 결속되는 지지대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보조가발의 조립위치를 선택하며 조립되는 가변되는 조절부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부분가발은, 탈모부위를 가리는 크기로 형성되는 베이스망과, 상기 전체가발의 모발과 동일한 소재로 되어 상기 베이스망의 표면으로 결속되는 모발과, 상기 베이스망 저면으로 설치되어 상기 전체 가발의 지지대를 따라 위치를 조절되게 하는 조절부재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지지대의 조절부는, 상기 지지대의 상, 중, 하 위치를 천공시켜 형성되는 선택자리와, 상기 선택자리의 좌,우 위치에 형성되는 가이드홀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선택자리는, 일정크기의 조절공을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 천공하고, 천공되는 상기 복수개의 조절공과 조절공 사이를 절개하여 제어홀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조절부재는, 표면으로 모발이 결속되고 탈모부위를 가리는 크기로 형성되는 베이스망의 저면에 설치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 저면 중앙에서 돌출되어 상기 조절공에 삽입되는 지지핀, 상기 고정대 저면 양단으로는 상기 지지대의 가이드홀로 삽입되는 지지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구성으로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캡체의 헤드에서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테두리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캡체의 헤드에서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테두리에 연결되는 제1지지대를 형성하고, 상기 방사형의 지지대 중간부위를 가로방향으로 연장시켜 통풍공간이 격자형으로 형성되는 제2지지대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부재의 지지리브에는,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접촉되는 면에 톱니형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리브가 삽입되는 가이드홀에는 상기 돌기가 맞물리는 톱니 홈이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가발에서 부분가발의 위치 조절장치가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탈모를 가리기 위해 착용하는 전체가발에 대하여 더 진행된 탈모부위에 대하여 부분가발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립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사용상의 편리함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가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더 진행되는 탈모부분을 부분가발로 선택적으로 가릴 때, 선택된 위치에서 조립위치를 미세하게 위치조절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체 가발에 부분가발이 조립될 때 원활하고 조립 후 안정된 상태로 조립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체가발에 부분가발의 위치설정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가발의 지지대에 부분가발이 조립되는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지지대에 부분가발의 조절부재 조립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지지대에서 부분가발의 위치를 조절하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중 조절부재에 대한 다른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 중 전체가발에서 지지대에 대한 일실시예.
도 7도 본 발명 중 조절부재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인데 (a)는 분리상태이고, (b)는 조립된 상태이다.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는 예시하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 세히 설명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체가발에 부분가발의 위치설정상태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가발의 지지대에 부분가발이 조립되는 구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맞춤형 가발에서 부분가발의 위치 조절장치는 탈모진행 중인 머리에 씌우는 메인베이스망(110)과, 상기 메인베이스망(110) 표면으로 설치되는 모발(120)과, 상기 메인베이스망(110) 내면 하단에 설치되어 두피에 점착되는 점착부재(170)가 구비된 전체가발(100)이 구비된다.
이러한 전체가발(100)의 표면에 결합되어 부분 탈모를 은폐시키는 부분가발(200)이 구비되며, 또한, 상기 부분가발(200)에는 설치되어 상기 메인베이스망(110)에 결합되는 위치를 선택적으로 이동 조절되게 하는 조절부재(300)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체가발의 메인베이스망(110)은, 탄력 신장 수축되는 소재로 탈모 증세가 있는 머리에 씌워지는 헤드(131)와 탈모부위를 감싸서 은폐되게 하는 테두리(133) 사이에 두피의 통풍공간(160)과 모발 및 인조모발이 결속되는 지지대(150)가 형성되는 캡체(130)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150)는, 상기 캡체(130)의 헤드(131)에서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테두리(133)에 연결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150)에는 상기 부분가발(200)의 조립위치를 선택하며 조립되는 가변되는 조절부(180)가 형성된다.
상기 부분가발(200)은, 탈모부위를 가리는 크기로 형성되는 베이스망(210)과, 상기 전체가발(100)의 모발과 동일한 소재로 되어 상기 베이스망(210)의 표면으로 결속되는 모발(220)과, 상기 베이스망(210) 저면으로 설치되어 상기 전체가발(100)의 지지대(150)를 따라 위치를 조절되게 하는 조절부재(300)가 구비된다.
상기 조절부재(300)는, 표면으로 모발이 결속되고 탈모부위를 가리는 크기로 형성되는 베이스망(210)의 저면에 설치되는 고정대(310)와, 상기 고정대(310) 저면 중앙에서 돌출되어 상기 조절공(182)에 삽입되는 지지핀(330), 상기 고정대(310) 저면 양단으로는 상기 지지대(150)의 가이드홀(185)로 삽입되는 지지리브(350)가 돌출 형성되게 한다.
상기 지지대(150)의 조절부(180)는, 상기 지지대(150)의 상, 중, 하 위치를 천공시켜 형성되는 선택자리(181)와, 상기 선택자리(181)의 좌, 우 위치에 형성되는 가이드홀(183)로 이루어진다.
조절부(180)의 선택자리(181)를 지지대(150)의 상, 중, 하 위치에 형성하므로 부분가발(200)은 전체가발(100)의 메인베이스망(110)에 조립되는 위치가 메인베이스망(110)의 표면 상부위치, 중간위치, 하부위치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지지대에 부분가발의 조절부재 조립단면을 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지지대에서 부분가발의 위치를 조절하는 상태가 설명된다.
상기 선택자리(181)는, 일정크기의 조절공(182)을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 천공하고, 천공되는 상기 복수개의 조절공(182)과 조절공(182) 사이를 절개하여 조절공(182)과 근접위치의 조절공(182)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어홀(183)이 형성되게 한다.
이러한 선택자리(181)의 조절공(182)은 전체가발(100)에서 더 진행된 탈모현상부위를 가리기 위한 위치에 부분가발(200)의 조립하고자 하는 상, 중, 하위치 중 적당한 위치를 선택한 상태에서 선택자리(181)의 조절공(182)에 조절부재(300)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부분가발(200)이 지지대(150)의 선택자리(181)에 조립된 상태에서 더 진행된 탈모부위를 은폐시키기에 충분하지 않을 때 조절부재(300)를 이동시키면 조립된 조절공(182)에서 제어홀(183)을 통해 다음 위치의 조절공(182)으로 이동되어 부분가발(200)의 조립위치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두피의 탈모부위를 은폐시키기 위해 전체가발(100)의 캡체(130)를 머리에 씌워지게 벌려 착용하면 캡체(130)의 헤드(131)와 테두리(133)가 수축되면서 두피에 밀착되는 상태가 되고 테두리(133)의 점착부재(170)가 피부에 들러붙게 되어 메인베이스망(110)은 두피전체를 감싸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처럼 메인베이스망(110)이 두피를 감싸는 상태가 되면 메인베이스망(110) 표면에 결속된 모발(120)에 의해 탈모부분이 은폐된다.
전체가발(100)의 착용으로 탈모증세부분을 은폐시킨 상태에서 탈모증세가 더 진행되어 착용한 전체가발(100)로는 가려지지 않을 경우, 새로운 전체가발(100)을 맞추는 것보다는 부분가발(200)로 가려지지 않는 탈모부분을 가리도록 함이 바람직하므로 본 발명의 부분가발(200)을 더 진행된 탈모부분의 메인베이스망(110)에 장착한다.
부분가발(200)의 장착은 전체가발(100)의 메인베이스망(110)을 구성하고 있는 캡체(130)의 지지대(150)에 형성된 조절부(180)와 조절부재(300)의 고정대(310)이 조립됨으로 이루어진다.
즉, 부분가발(200)의 베이스망(210) 저면에 구비된 고정대(310)에서 돌출된 지지핀(330)과 지지리브(350)가 전체가발(100)의 지지대(150)에 형성된 조절부(180)의 선택자리(180)와 가이드홀(185)에 도 3 구성과 같이 삽입되도록 조립한다.
이러한 부분가발(200)의 고정대(310) 조립은 도 3의 구성에서 표현된 것과 같이 전체가발(100)의 지지대(150)에 형성된 조절부(180)에 이루어지면 고정대(310)의 지지핀(330)이 지지대(150)의 조절공(182)으로 삽입되고, 지지핀(330) 양측에 돌출된 지지리브(350)는 가이드홀(185)로 삽입된다.
이처럼 지지핀(330)과 지지리브(350)가 지지대(150)의 조절공(182)과 가이드홀(185)로 삽입되면 지지대(150)에 조립되는 지지리브(350)가 지지대(150)의 양측에 결합되므로 더 진행된 탈모부분의 지지대(150) 위치에 조립된 부분가발(200)이 유동되지 않게 하는 조립력이 제공된다.
이와 같이 더 진행된 탈모부분을 가리는 부분가발(200)의 조절부재(300)는 도 3과 도 4에서 처럼 전체가발(100)의 지지대(150)에 조립된 구성에서 부분가발(200)의 지지핀(330)이 지지대(150)의 조절공(182)에 삽입됨과 동시에 조절공(182)의 양측주변의 가이드홀(185)로 지지리브(350)가 삽입되어 조절공(182)에 대한 쐐기역할을 이루어 벌어지지 않게 되므로 지지핀(330)이 캡체(130)에서 임의적으로 분리되지 않는 구조적인 잠금 특성이 제공된다.
부분가발(200)을 전체가발(100)의 메인베이스망(110)의 지지대(150)에 형성된 조절부(180)에 결합시킬 때 더 진행된 탈모부위에 따라 상, 중, 하 선택위치(181)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선택한 상, 중, 하 위치의 선택자리(181)에서 조절공(182)이 복수개 천공되고, 복수개 천공된 조절공(182)들은 제어홀(183)로 연결되어 있어서 지지핀(330)은 선택자리(181)의 조절공(182)에 지지핀(330)이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대(310)의 위치를 조절공(182)간 위치이동을 제어홀(183)을 통해 가능하며 이때에 고정대(310)에 약간의 힘을 가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밀면 지지핀(330)은 제어홀(183)을 통해 미세한 간격으로 이동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 중 전체가발에서 지지대에 대한 조절부재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지지대(150)에 결합되는 조절부재(300)는 더 진행된 탈모부위를 충분히 은폐시키기 위해 조립된 선택자리(181)에서 위치조절을 하게 되므로 이때 지지대(150)의 조절부(180)에 조립된 조절부재(300)의 지지핀(330)과 지지리브(350)의 원활한 이동과 피부에 마찰 및 자극이 없도록 하기 위해 두피에 접촉되는 지지대(150) 내면으로 돌출되지 않는 구성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의 전체가발에서 지지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전체가발(100)의 지지대(150)에 조절부재(300)가 두피를 자극하지 않고 원활하게 그 위치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조립되는 구성에서 상기 지지대(150)는, 상기 캡체(130)의 헤드(131)에서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세로방향으로 테두리(133)에 연결되는 제1지지대(150a)를 형성하는 구성에서 제1지지대(150a)의 중간부위를 가로방향으로 연장시켜 통풍공간(160)이 격자형으로 형성되는 제2지지대(150b)가 형성되게 한다.
이처럼 캡체(130)의 세로방향으로 제1지지대(150a)에 가로방향 제2지지대(150b)를 형성하므로 캡체(130)에 형성되는 통풍공간(160)은 격자형상으로 되며, 이는 캡체(130)를 머리에 착용 또는 벗을 때 신장 수축의 원활함을 제공하게 되고 착용상태에서 조절부재(300) 즉, 부분가발(200)의 조립상태에 대한 안정감을 제공하게 될 뿐 아니라, 부분가발(300)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하는 경우 제2지지대(150b)는 제1제제대(150a)가 흔들리지 않게 하는 작용을 하여 부분가발(200)의 조절상태가 안정되고 원활히 되게 하는 작용을 한다.
도 7은 본 발명 중 조절부재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인데 (a)는 분리상태이고, (b)는 조립된 상태이다.
상기 지지대(150)에 결합되는 조절부재(300)는 더 진행된 탈모부위를 충분히 은폐시키기 위해 조립된 선택자리(181)와 에서 위치조절을 하게 되는데, 부분가발(200)의 지지핀(330)이 지지대(150)의 조절공(182)에 삽입됨과 동시에 조절공(182)의 양측주변의 가이드홀(185)로 지지리브(350)가 삽입될 때 원활히 삽입되도록 유도하고, 삽입된 후에는 맞물림에 의해 잘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한 톱니형 돌기(370)와 톱니홈(187)이 지지리브(350)와 가이드홀(185)에 형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홀(185)과 지지리브(350)의 조립 원활함과 결합상태의 안정감을 제공하기 위해 도 6과 같은 톱니형태의 돌기와 홈을 형성하는 것도 동일한 사용성을 나타내는 것이면 맞물리는 형태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전체가발 110 : 메인베이스망 120 : 모발
130 : 캡체 131 : 헤드 133 : 테두리
150 : 지지대 160 : 통풍공간 170 : 점착부재
180 : 조절부 181 : 선택자리 182 : 조절공
183 : 제어홀 185 : 가이드홀 187 : 톱니홈
200 : 부분가발 210 : 베이스망 220 : 모발
300 : 조절부재 310 : 고정대 330 : 지지핀
350 : 지지리브 370 : 톱니형 돌기

Claims (9)

  1. 탈모진행 중인 머리에 씌우는 메인베이스망과, 상기 메인베이스망 표면으로 설치되는 모발과, 상기 메인베이스망 내면 하단에 설치되어 두피에 점착되는 점착부재가 구비된 전체가발;
    상기 전체가발의 표면에 결합되어 부분 탈모를 은폐시키는 부분가발;
    상기 부분가발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베이스망에 결합되는 위치를 선택적으로 이동 조절되게 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여서 되는 맞춤형 가발에서 부분가발의 위치 조절장치.
  2.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가발의 메인베이스망은,
    탄력 신장수축되는 소재로 머리에 씌워져 탈모부위를 은폐되게 하는 캡체로 형성하되, 상기 캡체는 헤드와 테두리 사이에 두피의 통풍공간과 모발 및 인조모발이 결속되는 지지대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보조가발의 조립위치를 선택하며 조립되는 가변되는 조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가발에서 부분가발의 위치 조절장치.
  3.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가발은,
    탈모부위를 가리는 크기로 형성되는 베이스망과, 상기 전체가발의 모발과 동일한 소재로 되어 상기 베이스망의 표면으로 결속되는 모발과,
    상기 베이스망 저면으로 설치되어 상기 전체 가발의 지지대를 따라 위치를 조절되게 하는 조절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가발에서 부분가발의 위치 조절장치.
  4.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조절부는,
    상기 지지대의 상, 중, 하 위치를 천공시켜 형성되는 선택자리와, 상기 선택자리의 좌,우 위치에 형성되는 가이드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가발에서 부분가발의 위치 조절장치.
  5.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자리는,
    일정크기의 조절공을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 천공하고, 천공되는 상기 복수개의 조절공과 조절공 사이를 절개하여 제어홀이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가발에서 부분가발의 위치 조절장치.
  6.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표면으로 모발이 결속되고 탈모부위를 가리는 크기로 형성되는 베이스망의 저면에 설치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 저면 중앙에서 돌출되어 상기 조절공에 삽입되는 지지핀,
    상기 고정대 저면 양단으로는 상기 지지대의 가이드홀로 삽입되는 지지리브가 돌출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가발에서 부분가발의 위치 조절장치.
  7.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캡체의 헤드에서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테두리에 연결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가발에서 부분가발의 위치 조절장치.
  8.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캡체의 헤드에서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테두리에 연결되는 제1지지대를 형성하고, 상기 방사형의 지지대 중간부위를 가로방향으로 연장시켜 통풍공간이 격자형으로 형성되는 제2지지대로 이루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가발에서 부분가발의 위치 조절장치.
  9.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의 지지리브에는,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접촉되는 면에 톱니형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리브가 삽입되는 가이드홀에는 상기 돌기가 맞물리는 톱니 홈이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가발에서 부분가발의 위치 조절장치.
KR1020220111283A 2022-09-02 2022-09-02 맞춤형 가발에서 부분가발의 위치 조절장치 KR202400323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283A KR20240032378A (ko) 2022-09-02 2022-09-02 맞춤형 가발에서 부분가발의 위치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283A KR20240032378A (ko) 2022-09-02 2022-09-02 맞춤형 가발에서 부분가발의 위치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2378A true KR20240032378A (ko) 2024-03-12

Family

ID=90300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283A KR20240032378A (ko) 2022-09-02 2022-09-02 맞춤형 가발에서 부분가발의 위치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237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5067B1 (ko) 2020-11-05 2022-06-29 박동근 탈모진행 형태에 맞춰 착용이 가능한 남성용 가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5067B1 (ko) 2020-11-05 2022-06-29 박동근 탈모진행 형태에 맞춰 착용이 가능한 남성용 가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5428B1 (en) Weavable wig for sewing into a user's hair
US20070221240A1 (en) Multi-user adjustable hair extension apparatus and methods
KR100301362B1 (ko) 길이조절수단이부착된가발
EP2178407B1 (en) Headband comprising hair wefts
KR100598708B1 (ko) 착용자의 자모 활용형 가발 및 그 제조방법
US20130019889A1 (en) Hair extention hairpiece or wig device with flexible-grip cap base
US20110173739A1 (en) Invisible zipper ponytail cap
JP2008528823A (ja) ヘアエクステンション器具
US4205693A (en) Wig
KR100844139B1 (ko) 서로 다른 길이의 줄(날개형 식모라인)을 이용하는부분가발
JPH0768642B2 (ja) かつら
Draelos Camouflage technique for alopecia areata: What is a patient to do?
KR20240032378A (ko) 맞춤형 가발에서 부분가발의 위치 조절장치
KR101166331B1 (ko) 가발을 구비한 헤어밴드
KR101625054B1 (ko) 롤링 포니테일 가발
US20170295878A1 (en) Head covering with removable hair piece
KR200439264Y1 (ko) 가변식 가발
JP5715781B2 (ja) かつら及び補助装飾具
JP5449609B1 (ja) 補整機能付きウィッグ
JP2018003213A (ja) 部分ウィッグ及びその使用方法
KR200465773Y1 (ko) 부분 가발
JP5129507B2 (ja) かつら
KR101625044B1 (ko) 슬림형 통가발
JP5101144B2 (ja) かつらベース及びかつら
KR20190143641A (ko) 앞 트임을 포함하는 부분 가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