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1586A - 위험 반경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위험 반경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1586A
KR20240031586A KR1020220110446A KR20220110446A KR20240031586A KR 20240031586 A KR20240031586 A KR 20240031586A KR 1020220110446 A KR1020220110446 A KR 1020220110446A KR 20220110446 A KR20220110446 A KR 20220110446A KR 20240031586 A KR20240031586 A KR 20240031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us
display means
danger
display device
haz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0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훈
안영진
정영웅
정월효
이경희
제득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0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1586A/ko
Publication of KR20240031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15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6Applications of indicating, registering, or weig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4Safety gear for preventing collisions, e.g. between cranes or trolleys operating on the same t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반경 표시 장치는, 이송 장비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물에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위험 반경 표시 장치에 있어서, 대상물의 측면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어, 대상물의 낙하 예상지점에 광을 조사하여 위험 반경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 및 대상물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정보에 따라 표시 수단을 제어하여 위험 반경을 조절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험 반경 표시 장치{HAZARD RADIUS INDICATOR}
본 발명은 위험 반경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크레인을 사용한 화물 이송 시 발생 가능한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정확한 낙하 예측 지점과 위험 반경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위험 반경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크레인은 고중량의 화물을 들어 올려 운반하는 기계장치로서, 건설 현장뿐만 아니라 도로, 상가 등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의 하부에 후크를 장착하고, 슬링 벨트를 사용하여 후크에 이송 대상물을 연결하여 이동한다.
이러한 크레인을 이용한 이송물의 이송은 대체로 높은 곳에서 고중량의 화물을 이송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낙하사고 시 큰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대상물 하부의 위치를 대강 파악할 뿐, 정확한 위치가 어디쯤인지 쉽게 인지할 방법이 없고, 크레인의 동적 움직임과 외부 환경적 요인에 의한 정확한 낙하지점과 충격범위를 판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더하여, 작업 환경에 따라 높은 소음 및 시야의 제한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작업자 및 작업지휘자가 작업 반경 내에 있는 다른 작업자 및 보행자를 감지하지 못하고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작업 반경 근처의 작업자들과 보행자들이 실제 작업반경을 인지하고 회피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작업 반경 내 실제로 침입이 발생했을 경우, 이를 빠르고 안전하게 대처할 수 없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더욱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에,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송물의 낙하 예상지점과 위험 반경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58950호
본 발명의 목적은 크레인을 사용한 화물 이송 시 발생 가능한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정확한 낙하 예측 지점과 위험 반경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위험 반경 표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송 장비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물에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위험 반경 표시 장치에 있어서, 대상물의 측면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어, 대상물의 낙하 예상지점에 광을 조사하여 위험 반경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 및 대상물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정보에 따라 표시 수단을 제어하여 위험 반경을 조절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상물의 이동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 및 대상물과 표시 수단 사이에 구비되어, 표시 수단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기를 더 포함하며, 제어기는,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물의 낙하 예상지점을 도출하고, 낙하 예상지점에 대응되는 위험 반경의 크기와 광 조사 각도를 산출하며, 표시 수단과 각도 조절기에 제어 신호를 송신함에 따라, 위험 반경의 크기 및 표시 위치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기는, 대상물의 무게와 부피를 포함하는 이송 정보를 더 수신하고, 이동 정보와 이송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물의 낙하 예상지점을 도출한다.
또한, 감지 센서는, 대상물의 이송 작업이 수행되는 작업장 내의 풍향 및 풍속을 포함하는 환경 정보를 더 감지하고, 제어기는,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된 환경 정보를 더 수신하여 낙하 예상지점을 도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험 반경 내에 작업자가 위치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작업자 단말에 위험 신호를 전송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고, 표시 수단은 대상물 상에 마그네틱 결합, 핀 결합, 암수 결합 및 고리 결합 방식 중 어느 하나의 결합 방식을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크레인을 사용한 화물 이송 시 발생 가능한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정확한 낙하 예측 지점과 위험 반경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반경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반경 조절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면 상에 표시된 위험 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 구성들의 크기, 두께 및 형상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었으며, 실제 위험 반경 표시 장치에서는 이와 다른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배선의 연결 구조는 편의를 위해 간략하게 도시된 것으로써, 이와 다른 연결 형태가 적용될 수 있으며, 소정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하여 상부, 하부, 측부 등을 표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장치의 회전이나 배치에 따라 지칭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험 반경 표시 장치는 이송 장비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물에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위험 반경 표시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여기서, 이송 장비란, 기중기, 크레인, 리프트 장치일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대상물을 들어서 이송시킬 수 있는 장비를 모두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반경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반경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반경 표시 장치(100)는 표시 수단(110) 및 제어기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표시 수단(110)은, 대상물(50)의 측면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어, 대상물(50)의 낙하 예상지점에 광을 조사하여 위험 반경을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표시 수단(110)은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111) 및 광 조사부(111)를 구동시키는 구동부(1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 조사부(111)에 적용되는 광원으로는 레이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서로 상이한 다양한 곡률 및 두께를 가지는 다수의 렌즈(112)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즉, 렌즈(112)의 곡률, 두께 및 형상에 따라 지면 상에 표시되는 위험반경의 형태를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하고 그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구동부(113)에는 충전식 배터리 혹은 태양광을 이용한 광전지 등이 적용되서 광 조사부(111)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표시 수단(110)은 대상물(50) 상에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대상물(50)의 하단부 측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지면 상에 복수 개의 위험 반경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면 상에서는 표시 수단(110)을 대상물(50)의 하단 모서리 중앙부에 각각 하나씩 배치하였으나, 표시 수단(110)의 배치 위치 및 그 형상은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면을 향해 광을 조사하여 낙하 예상지점을 용이하게 표시할 수 있는 형태라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더하여, 표시 수단(110)은 대상물(50) 상에 마그네틱 결합, 핀 결합, 암수 결합 및 고리 결합 방식 중 어느 하나의 결합 방식을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시 수단(110)이 대상물(50)의 측면부 또는 하부에 구비됨에 따라, 광이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직접적으로 조사되므로 광의 조사 경로가 주변 환경 요소, 작업 장비, 혹은 지형지물에 가려지거나 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낙하 예상지점을 향해 직접적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게 되므로 위험 반경을 보다 용이하게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이어서, 제어기(미도시)는, 표시 수단(110) 및 대상물(50)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정보에 따라 표시 수단(110)을 제어하여 위험 반경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제어기는 상술한 표시 수단(110)에 구비된 다수의 렌즈(112) 중 어느 하나가 선택 적용되도록 광 조사부(111)를 제어할 수 있으며, 대상물(50) 상에서 광 조사부(111)의 광 조사 방향 및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위험 반경의 위치, 형상 및 크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기를 사용한 위험 반경 조절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러한 제어기는 이송 장비(30)에 구비되거나, 표시 수단(110)과 함께 대상물(50) 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작업장 내 별도로 마련된 컨트롤타워에 구비되어 작업자 단말과 연동되도록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어기의 배치 위치 및 그 형상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다양한 설계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위험 반경 표시 장치(100)가 상술한 표시 수단(110)과 제어기의 구성을 포함함에 따라, 이송 대상물(50)의 하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이 정확한 낙하 예상지점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서 낙하사고의 발생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반경 표시 장치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반경 표시 장치는 아래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험 반경 표시 장치는 감지 센서 및 각도 조절기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감지 센서(미도시)는, 대상물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정보를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각도 조절기(130)는 대상물과 표시 수단(110) 사이에 구비되어, 표시 수단(110)의 각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도면 상에서는, 각도 조절기(130)가 상술한 표시 수단(110)의 광 조사부(111)와 구동부(113) 사이에 구비되는 볼 조인트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각도 조절기(130)의 형상 및 배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수단(110)의 광 조사부(111)의 각도를 전후좌우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형태라면 모두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각도 조절기(130)의 동작은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며, 제어기는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각도 조절값을 도출할 수 있다.
제어기는 도출된 각도 조절값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각도 조절기(130)에 전송함으로써 각도 조절기(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 센서와 각도 조절기(130)의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위험 반경 표시 장치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위험 반경의 위치, 형상 및 크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반경 표시 장치를 사용한 이송 대상물의 이송 작업 방법에 대해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반경 조절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물(50)의 낙하 예상지점을 도출할 수 있다.
이후, 제어기는 낙하 예상지점에 대응되는 위험 반경(A)의 크기와 광 조사 각도를 산출하고, 표시 수단(110)과 각도 조절기(130)에 제어 신호를 송신함에 따라, 위험 반경(A)의 크기 및 표시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상물(50)의 이동 속도와 가속도를 고려하여 낙하 예상지점을 계산할 수 있으며, 이동 속도가 빠를수록 이동 방향에 대한 위험 반경(A)의 폭이 확장되도록 각도 조절기(13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표시 수단(110)의 광 조사각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대상물(50)의 하단부 면적, 무게와 부피를 포함하는 이송 정보를 더 수신하고, 이동 정보와 이송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물(50)의 낙하 예상지점을 도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송 정보는 작업자가 대상물(50)의 이송 작업 전 대상물(50) 무게 및 부피를 직접 작업 단말기에 입력하여 제어기로 전송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어기는 대상물(50)의 무게 및 부피를 고려하여 대상물(50)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에 대한 낙하 예상지점을 계산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는 위험 반경(A)을 표시할 수 있도록 표시 수단(110) 및 각도 조절기(13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물(50)의 무게가 가벼울수록 표시 수단(110)의 광 조사부(111)에 두꺼운 렌즈를 적용하여 조사되는 광의 굴절률을 높이고, 각도 조절기(130)의 각도 조절값을 크게 적용하여 위험 반경(A)을 확장시킬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감지 센서는, 대상물의 이송 작업이 수행되는 작업장 내의 풍향 및 풍속을 포함하는 환경 정보를 더 감지할 수 있으며, 제어기는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된 환경 정보를 더 수신하여 낙하 예상지점을 도출할 수 있다.
일 예로, 환경 정보는 상술한 감지 센서 외에도, 기상청 서버로부터 실시간 수신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처럼 환경 정보를 더 고려하면, 예를 들어, 풍속이 강한 경우, 위험 반경(A)이 풍향을 따라 더 길어지도록 위험 반경(A)을 확장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표시 수단(110)의 렌즈를 굴절률이 높은 렌즈로 변경하고 표시 수단(110)의 광 조사 각도를 각도 조절기(130)를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풍향의 변화가 큰 경우에는, 위험 반경(A)의 폭을 전체적으로 확장시키도록 표시 수단(110) 및 각도 조절기(130)를 제어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위험 반경(A) 표시 장치는 대상물(50)의 이동 정보뿐만 아니라, 이송 정보 및 환경 정보를 더 반영하는 경우 보다 정확한 낙하 예상지점을 계산하고 이를 지면 상에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다만, 상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대한 것으로, 감지 센서는 이동 정보, 이송 정보 및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반경 표시 장치는, 위험 반경 내에 작업자가 위치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작업자 단말에 위험 신호를 전송하는 알림부(미도시)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험 반경 내에 작업자의 위치 여부는 대상물에 구비되는 카메라(미도시)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 또는 이미지 정보를 알림부로 전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알림부는 제어기 혹은 카메라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술한 영상 또는 이미지 정보를 작업자 단말에 전송하여 작업자가 위험을 인지할 수 있도록 위험 신호를 제공한다.
이 때, 카메라는 적외선 검출 또는 영상 촬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지정 범위 내 작업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동작 감지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는 CCTV 혹은 Pan, Tilt, Zoom 기능이 포함된 PTZ 네트워크 카메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영상의 회전, 확대 등이 원격 및 실시간으로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사진 혹은 영상은 실시간으로 제어기로 전송되며, 위험 반경 내 작업자의 유무 혹은 작업자가 들어오는 것을 판단하여 작업자 단말에 위험 신호를 전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위험 반경 표시 장치는, 지면 상에 위험 반경과 별도로 대상물의 수직 위치를 동시에 나타내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면 상에 표시된 위험 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지면 상에서의 대상물의 수직 위치(L)와 그 외부에 형성되는 위험 반경(A)을 각각 다른 파장을 갖는 색의 레이저로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표시 수단(110)은, 이동 정보, 이송 정보 및 환경 정보를 고려한 대상물의 위치에 따른 위험 반경(A)을 표시하는 제1 표시등(111)과, 상술한 정보들과는 별도로 지면 상에 대상물의 수직 위치(L)를 표시하는 제2 표시등(1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상물의 수직 하강 작업 또는 대상물의 이송 작업 시 대상물의 지면 상에서의 수직 위치(L)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 효율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반경 표시 장치를 사용하면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종래의 경우, 대상물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해 낙하사고 시 인명피해가 큰 문제점이 있어 왔으며, 대상물 하부의 위치를 쉽게 인지할 방법이 없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위험 반경 표시 장치는 대상물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낙하 예상지점을 도출하고 해당 위치에 광을 조사하여 위험 반경을 표시함에 따라, 작업자들이 지면 상에서 위험 범위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대상물의 무게와 부피, 작업장 내의 풍향 및 풍속을 더 고려함에 따라, 더욱 정확한 낙하 예상지점을 도출해내어 작업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위험 반경 내에 작업자가 위치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작업자 단말에 위험 신호를 전송하도록 마련됨에 따라, 낙하 사고 발생시 인명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위험 반경 표시 장치
110 : 표시 수단
111 : 광 조사부
112 : 렌즈
113 : 구동부
121 : 제1 표시등
122 : 제2 표시등
130 : 각도 조절기
30 : 이송 장비
50 : 대상물
A : 위험 반경
P : 수직 위치

Claims (4)

  1. 이송 장비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물에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위험 반경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의 측면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대상물의 낙하 예상지점에 광을 조사하여 위험 반경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 및
    상기 대상물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정보에 따라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위험 반경을 조절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위험 반경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의 상기 이동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 및
    상기 대상물과 상기 표시 수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표시 수단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물의 상기 낙하 예상지점을 도출하고,
    상기 낙하 예상지점에 대응되는 상기 위험 반경의 크기와 광 조사 각도를 산출하며,
    상기 표시 수단과 상기 각도 조절기에 제어 신호를 송신함에 따라, 상기 위험 반경의 크기 및 표시 위치를 제어하는 위험 반경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대상물의 무게와 부피를 포함하는 이송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이동 정보와 상기 이송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물의 낙하 예상지점을 도출하는 위험 반경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는,
    상기 대상물의 이송 작업이 수행되는 작업장 내의 풍향 및 풍속을 포함하는 환경 정보를 더 감지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된 상기 환경 정보를 더 수신하여 상기 낙하 예상지점을 도출하는 위험 반경 표시 장치.
KR1020220110446A 2022-09-01 2022-09-01 위험 반경 표시 장치 KR202400315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446A KR20240031586A (ko) 2022-09-01 2022-09-01 위험 반경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446A KR20240031586A (ko) 2022-09-01 2022-09-01 위험 반경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1586A true KR20240031586A (ko) 2024-03-08

Family

ID=90236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0446A KR20240031586A (ko) 2022-09-01 2022-09-01 위험 반경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158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950B1 (ko) 2017-12-05 2018-05-17 디엠씨(주) 유압 비례 밸브와 plc를 이용한 래티스 붐 오프쇼어 크레인의 레벨 포지셔닝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950B1 (ko) 2017-12-05 2018-05-17 디엠씨(주) 유압 비례 밸브와 plc를 이용한 래티스 붐 오프쇼어 크레인의 레벨 포지셔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99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rane, an excavator, a crawler-type vehicle or a similar construction machine
CN112469659B (zh) 海上船,用于提供这种船的起重机,以及用于安装桩柱的方法
US11459215B2 (en) Safety system for a machine
JP7471796B2 (ja) 光学センサ及び/又は電磁センサを使用してクレーン状態を判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10907324B2 (en) Construction machine
CN105347211A (zh) 塔式起重机全景可视、可控、智能监测与防护集成系统
CN103998367A (zh) 起重机控制
US20190359455A1 (en) Tower crane
CN207390860U (zh) 建筑塔吊智能辅助系统
KR20100037257A (ko) 지능형 영상 시스템을 이용한 타워 크레인의 작업 상황 감시 방법
JP5380747B2 (ja) 吊荷下方の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EP0583320A1 (en) Optical sensing and control system
JP2018080054A (ja) 作業支援装置、及び作業支援方法
KR102623060B1 (ko) 타워크레인의 사고예방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2357499B1 (ko) 타워크레인 자율운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율운영 방법
KR102007763B1 (ko) 크레인 안전 모니터링 장치
CN106829741A (zh) 行车远程控制系统和控制方法
KR102117046B1 (ko) 지게차 충돌 예방 시스템
KR102262384B1 (ko) 송배전 설비 감시용 드론 운용 시스템 및 운용 방법
CN115448185A (zh) 超大型智能塔式起重机及施工方法
KR20240031586A (ko) 위험 반경 표시 장치
KR102439487B1 (ko) 드론을 이용한 송전선로설비 상태점검 시스템 제공방법
KR20230078189A (ko) 안전 타워 크레인
KR100276276B1 (ko) 무인 자동화 창고 시스템
CN114604771A (zh) 用于智能塔吊的物料传输优化路径规划方法和系统